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30
2019. 11
산업용 로봇의 작업 유형에 따른
미인지 위험성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박사과정
이강돈
Unconsidered & Unknown Risks
Dept. of Safety Eng.
1/28
1. 로봇의 산업계 활용 동향
2. 산업용 로봇의 정의, 구성 및 위험요인
3. 산업현장에서의 로봇 위험성 평가 (이론 및 사례)
4. 산업현장 로봇에 대한 새로운 위험요인 검토
Dept. of Safety Eng.
2/28
☐ 활용 범위 확대
- 플랫폼 기반의 연결과 지능화를 통한 Mass Customization 구현
Physical System의 Digital화 정도가 핵심 경쟁력이며, 디지털화 수준은 인간, 로봇, IoT의 Connectivity가 결정
Dept. of Safety Eng.
3/28
☐ 적용 방향성 변화
- 제조업의 조립, 용접, 운반 등에서 건강, 음식 조리 및 서빙, 물류 포장 및 운반, 군사 등 다양한 산업
작업 방식도 기존의 로봇 단독 작업, 시간차 작업에서 같은 장소에서 동시에 협업하는 방향으로 전환
Dept. of Safety Eng.
4/28
☐ 로봇 작업의 변화에 대한 몇가지 안전 이슈 질문 (연구 필요성)
RQ1. 현재의 위험성 평가 기법은 협동로봇 작업시 사고 위험요인을 빠짐 없이 평가할 수 있는가?
RQ2. 협동로봇에 대한 현재의 4가지 안전조치가 작업자의 심리, 피로도, 조직,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안전성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
RQ3. 협동로봇의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로 평가해야 할 위험요인 항목 및
평가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현재의 ISO 12100 위험성 평가 10가지 항목에는 없음
→ 협동로봇에 대해 추가로 확인해야 할 위험요인 평가 항목 및 이러한 내용들을 반영하여
협동로봇 작업에 가장 적합한 위험성 평가 기법 고안 필요
* 보호정지, 속도 및 근접 모니터링, 충돌시 충격력 및 압축력 제한 등
Dept. of Safety Eng.
5/28
☐ 정의
- 매니퓰레이터와 기억장치를 가지고 저장된 정보에 의해 매니퓰레이터의 굴신, 신축, 상하,
좌우 이동, 선회 및 이러한 동작의 복합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계 (KOSHA Guide)
∙ ISO 10218: 자동 제어, 3축 이상으로 재프로그램 가능한 다목적 매니퓰레이터, 고정형과 이동형 (산업 자동화)
・ 노동부 고시: 3축 이상의 매니퓰레이터를 구비하고 프로그램 및 자동제어 가능한 고정식 또는 이동식 장치
Dept. of Safety Eng.
6/28
☐ 구성
- 산업용 로봇의 기본 구성요소는 기계적 동작을 하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제어장치(Controller), 전원 및 인터페이스(Power Supply & Interface) 3가지임
- 매니퓰레이터 구조
∙ 몸체 (Body): 로봇 팔 어깨를 포함하며, 매니퓰레이터를 지지
・ 팔 (Arm): Wrist와 Hand를 원하는 위치로 보내는 역할 (Arm, Elbow)
・ 손목 (Wrist): 손을 원하는 위치 또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
・ 손 (Hand): 작업 대상물을 잡거나 작업을 실제로 수행하는 역할
(그리퍼, 엔드이펙터)
- 산업용 로봇 분류
・ 직교좌표, 원통좌표, 극좌표, 수평다관절, 수직다관절 로봇 등
Dept. of Safety Eng.
7/28
☐ 운전 특성 및 위험 요인
- 운전 특성
・ 로봇은 넓은 운전 공간에서 높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동작이 많음
・ 로봇의 동작과 경로는 예측이 어려우며, 운전 요구조건 등의 변화가 빈번함
・ 로봇의 운전 공간은 다른 로봇 또는 타 기계 및 관련 장비의 작업 공간의 일부와 겹침
・ 작업자는 기계 구동부에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로봇 시스템과 근접하여 작업하는 상황 발생
- 위험 요인
・ 외관: 외장은 주로 금속 재료로 로봇 작업 중 작업자 접촉시 끼임, 부딪힘 등 중대 위험
・ 구조: 전동, 유압, 공압 등이 동력원으로 동력 차단시에도 잔류 압렵에 의한 사고 위험
・ 제어: 고속으로 관성 모멘트가 커서 급정지가 불가하고, 접근을 인지해도 피하기 어려우며,
센서로 접촉을 검출하고 비상정지로 제어해도 실패 우려가 큼
・ 기타: 유지보수 등의 비정상작업시 정지 종류 착각, 로봇 교시 작업 실패 우려, 오작동 등
Dept. of Safety Eng.
8/28
☐ 법규 및 기준
- 국내
・ 산안법: 안전교육(31조),자율안전확인(35조),안전검사(36조),令별표2(위험방지필요작업)
※ 특별안전교육: 로봇의 기본원리·구조 및 작업방법, 이상시 응급조치, 안전시설 및 안전기준, 조작방법 등
・ 안전규칙: 교시 등 (222조), 운전 중 위험 방지 (223조), 수리 등 작업시 조치 (224조)
・ 표준: KS B ISO 10218-1 & 2 (제조자, 시스템 통합자)
- 국외
・ 국제 표준: ISO 10218-1 & 2, ISO TS 15066 (협동로봇)
・ 국가별: ANSI/RIA R15.06 (미국), EN ISO 10218 (유럽연합),
CAN/CSA-Z434-14 (캐나다) 등
Dept. of Safety Eng.
9/28
☐ 국제 표준 비교
구분 제작사 시스템 통합자 비고
국제기준 ISO 10218-1 ISO 10218-2 -
미국 ANSI/RIA R15.06 ANSI/RIA R15.06 ISO 기준에 부합
영국 BS EN ISO 10218-1 BS EN ISO 10218-2 ISO 기준에 부합
유럽연합 EN ISO 10218-1 EN ISO 10218-2 ISO 기준에 부합
독일 DIN EN ISO 10218-1 DIN EN ISO 10218-2 ISO 기준에 부합
캐나다 CAN/CSA-Z434-14 CAN/CSA-Z434-14 ISO 기준에 부합
중국 GB 11291.1-2011 GB 112891.2-2013 ISO 기준에 부합
일본 JIS 8433-1 JIS 8433-2 ISO 기준에 부합
Dept. of Safety Eng.
10/28
☐ 협동로봇
- 협동 운전의 의도를 가지고 사람과 같은 작업공간(협동 영역)을 공유하면서 작업하는 로봇
안전정격감시정지 (Safety-rated Monitored Stop, SMS) 핸드가이딩 (Hand Guinding, HG)
- 협동작업 공간에서 작업자가 위험에 접근하거나 노출되기 전에 정지
ex) 부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 장비, 검사 장비
- 작업자가 도착하면 로봇이 정지. 작업자가 로봇을 직접 유도,,이동
ex) 로봇 리프트 어시스트, 제한된 또는 소량 생산
속도 및 분리 모니터링 (Speed & Separation Monitoring, SSM) 동력 및 힘 제한 (Power & Force Limiting, PFL)
- 장애물 감지시 로봇 속도가 감소, 거리별 분리 모니터링, 속도 제한 설정
ex) 간단한 작업, 직접 작업 인터페이스
- 로봇과의 접촉이 운전자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에너지를 제한
ex) 가변적인 어플리케이션, 작업 빈도가 매우 높은 조건
Dept. of Safety Eng.
11/28
☐ 로봇관련 재해 현황
- 산업용 로봇에 따른 국내 제조업에서의 최근 5년간(2011년 ∼2015년) 전체 재해자수는 207명으로
한해 평균 42명의 재해자가 발생하고 있음
- 재해자의 평균 근로손실일수는 707일로 최근 5년간 제조업 재해자의 평균 근로손실일수인
350일의 2배 이상의 손실이 발생
* 사망자 15명
* 사망자 3명
※산업용로봇에의한사고발생부위는손> 머리,얼굴>몸통>허리>팔순이며, 작업유형은수리,점검>준비,설치>로봇작동>기타순임
제조 업종명
최근 5년간 재해자 현황 (명) 합계
‘11 ‘12 '13 ‘14 ‘15 재해자 (명) 점유율 (%)
계 42 52 37 41 35 207 100.0
수송용기계기구 21 28 24 22 16 111 53.6
화학제품 8 5 2 3 5 23 11.1
기계기구 4 5 3 5 5 22 10.6
금속제품 1 3 2 4 2 12 5.8
그외 제조업 8 11 6 7 7 39 18.9
Dept. of Safety Eng.
12/28
☐ 로봇관련 방호조치
- 격리형: 높이 1.8m 이상의 방책, 인터록 장치, 안전 플러그, ‘점검 중’ 표지 등 LOTO 조치
- 접근반응형: 광전자식, 초음파 센서, 안전매트 등 위험 동작 감지 및 정지
- 비상정지형: 항상 사용 및 조작 가능, 다른 작동 신호보다 우선 작동, 수동 복귀 등
Dept. of Safety Eng.
13/28
☐ 로봇작업 위험 요인
- 10개의 위험요인 (Hazard): 기계, 전기, 열, 소음, 진동, 방사선, 재료/물질, 인간공학, 환경, 복합 요인
- 7개의 위험상황 (Hazardous Situations): 운송, 조립, 운전, 유지보수, 분해 등 7가지 상황
- 10개의 위험사건 (Hazardous Events): 기계 부품, 공압, 유압, 전기장치, 제어시스템 등 10가지 사건
☐ 위험성 추정: 위험성 = 상해의 심각성과 상해의 발생 가능성의 함수
- 심각성 (Severity): 부상 또는 건강 손상의 심각성 (사망, 중대함, 경미함), 상해의 범위
- 발생 가능성 (Probability)
・ 위험에 노출 (Frequency) 추정: 위험 영역 접근 필요성, 접근 성격, 위험 영역 잔류 시간, 접근 사람 수 및 빈도
・ 위험한 사상 발생 추정 (Occurrence): 신뢰성, 통계 데이터, 사고 이력, 건강 손상 이력, 위험성 비교
・ 상해 회피 또는 제한 가능성 추정 (Avoidance): 노출 대상, 위험인식 경로, 위험, 상해 시간, 경험과 지식
* 숙련자, 비숙련자 등 * 정보, 관찰, 표지 등 * 갑자기, 빠르게, 느리게
* 3주 이상 * 5일 ~ 3주 미만 * 개인 또는 여러 사람
* 정상작동, 오작동 교정, 정비 또는 수리 등
Dept. of Safety Eng.
14/28
☐ 위험성 결정 (Risk Graph법)
- 상해 심각도 (Severity): 회복 가능여부, 작업불능일수
- 위험원 노출 주기 (Frequency): 노출 시간, 노출 주기
- 위험 사고 발생 가능성 (Occurrence): 증명된 안전 기술 적용, 숙련도
- 상해 회피 및 감소 가능성 (Avoidance): 동작속도, 작업자의 위험 인지 및 대응 가능 여부
Dept. of Safety Eng.
15/28
☐ 위험성 결정 (Risk Graph법)
- 상해 심각도(S, Severity of Harm): S1 (경미), S2 (심각)
- 위험원 노출 주기 (F, Frequency of Exposure): F1 (드물게 / 단기간), F2 (지속적 / 장기간)
- 위험 사고 발생 가능성(O, Occurrence of a hazardous event)
・ O1: 낮음 (발생 않음; 충분한 기술, 증명되고 인정된 안전 어플리케이션, 견고함)
・ O2: 중간 (가끔 발생; 지난 2년간 기술적 고장 확인, 6개월 이상 경험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 O3: 높음 (자주 발생; 매 6개월 미만 마다 기술적 고장 확인, 6개월 미만된 비숙련자 불안전한 행동)
- 상해 회피 및 감소 가능성(A, Possibility of avoiding harm)
・ A1: 특정조건하에서 회피 가능 (0.25m/s 미만의 구동부 노출, 위험 상황 지시 및 급박한 사건에 인지 대응 가능)
・ A2: 불가능함
* 회복 가능, 3일 미만 * 회복 불가능, 3일 이상
* 15분 미만 또는2회 미만의 노출 * 15분 이상 또는2회 이상의 노출
* 온도, 소음, 인체공학 등
Dept. of Safety Eng.
16/28
☐ 위험도 구분 및 관리 기준 (Risk Matrix)
구분 위험도 위험관리 기준 비고
1
저위험
해당 로봇 시스템에 대해 추가적인 위험감소 조치가 필요하지 않으나,
근로자에게 유해위험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 및 교육
2
해당 로봇시스템의 유해위험요인에 대비하여 작업자에게
개인보호구 등 지급 및 착용
3
중위험
해당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주의, 경고 표지 및 관리대책을 제정하여
잘 보이는 곳에 게시 및 관리
4
해당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추가적인 안전보건조치를 수립하여
개선이 필요한 상태
5
고위험
해당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접근 제한, 대체, 에너지 감소 및 개선이
필요한 상태
6
해당 로봇시스템을 즉시 정지 또는 위험원을 제거시키며,
작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설계 변경 등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
Dept. of Safety Eng.
17/28
☐ 로봇관련 위험성 평가 기법 비교표
- 타 분야의 국제표준 및 해외 전문기관들은 ISO 12100의 위험성 평가 기법을 기준으로
각 기준별 특성에 맞는 위험성 평가 기법을 운용 중에 있음
* ISO 13849, IEC 62061 등 * ANSI, RIA 등
구분 ISO 12100 ANSI B11 TR3 RIAR15.06 ISO13849 (PL) IEC 62061 (SIL)
적용 범위
기계의설계,사용시
위험성확인및감소
미국내제조,수입되는기계에
대한위험성평가
미국내산업용로봇설계,시스템
통합시위험성평가
감소대책중안전부품,
제어시스템(SRP/CS)
기계를구성하고있는
전기,전자시스템
평가 절차
유해위험요인파악(HI)→분석(Analysis)→추정(Estimation)→결정(Evaluation)→
감소대책(RiskReduction)시행반복
감소대책에서요구되는
성능레벨(PLr)이상으로
SRP/CS를구성(PLa~e)
설계에서요구하는
안전무결성등급이상으로
제어시스템을구성(SIL1~3)
중대성
(Severity)
-Serious(Death),Slight
*OneorSeveralPersons
-Minor,Moderate,Serious,
Catastrophic
-Serious,Moderate,Minor -Minor,Serious -1to4(Reversible,Irreversible)
가능성
(Probability)
-빈도(F),발생(O),회피(A)를
순차적으로조합
-Remote,,Unlikely,Likely,
Verylikely
-빈도(Prevented,Low,High)
-회피(Likely,Unlikely,Impossible)
-빈도(Seldom,Frequent)
-회피(Possible,Impossible)
-Class1to5
(빈도,발생,회피를합산)
비고 2x2x3x2 4x4 3x3x3
2x2x2
* 하드웨어 구조 (5),시스템신뢰성 (4),
부품 수명 (3),설계 확실성 (2)
4x5
* CommonCause Failure, (CCF)
Diagnostic Coverage (DC)등
- 기존 위험성 평가 기법들은 기계, 부품, 시스템의 고장, 오작동 등 외형적인 위험성 위주로 평가하여
특히, 협동로봇 작업 환경에서의 작업자의 심리, 소프트웨어, 보안 등은 고려하지 못함
Dept. of Safety Eng.
18/28
☐ 필기도구 내구성 검사 작업
- 작업형태: 수동/자동 고속운전
- 작업분류: 프로그램 검증 (10 kg 하중)
- 작업위치: 협동공간 (제품 적재)
- 작업자: 1명 (10개월 숙련공)
- 작업시간: 20분
- 안전제어시스템: 충돌감지정지(PLd)
- 로봇동작속도: 250mm/s 이상(운전시)
- 생체역학치: 신체접촉 한계 초과/현장확인 안됨
Dept. of Safety Eng.
19/28
☐ 필기도구 내구성 검사 작업
Before
After
- 감소 대책: 보호정지센서 정지시간 재조정 및 비상정지장치 위치 재조정
- 위험 요인: 작업자가 펜 교체 작업 중 보호정지 오작동으로 로봇 그리퍼와 작업대 사이 끼임
Dept. of Safety Eng.
20/28
☐ 커피 드립 및 제공 서비스
- 작업형태: 드립 커피 메이킹
- 작업분류: 분말 운반, 포트 운반, 붓기, 서빙
- 작업위치: 협동공간 (커피 메이킹 및 서빙)
- 작업자: 1명 (6개월 숙련공)
- 작업시간: 7분
- 안전제어시스템: 충돌감지정지(PLd)
- 로봇동작속도: 250mm/s 이상(운전시)
- 생체역학치: 신체접촉 한계 초과/현장확인 안됨
Dept. of Safety Eng.
21/28
☐ 커피 드립 및 제공 서비스
Before
After
O3
A2
2
- 감소 대책: 기울임 각도 제한 및 작업자 손 보호 장갑 착용
- 위험 요인: 로봇이 컵에 커피를 채우던 중 기울임 각도를 초과하여 넘쳐 옆에 작업자 손 화상
Dept. of Safety Eng.
22/28
☐ 옷걸이 중량물 이동, 신발 밑창 접착, 음식 조리, 의류 봉제 등 협동로봇 작업은
유형, 난이도, 적용 대상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협동작업 특성을
반영한 위험성 평가 기법은 없는 실정임
Dept. of Safety Eng.
23/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Leading Risk Theory (선행 위험성 이론)
・ 위험성의 개념이 사람의 Minds와 Culture에 의해서 견고하게 형성이 됨
・ 윤리적, 사회적 배려, 위험성에 대해 충분한 예방 및 보호 조치가 선행된다는 믿음의 정도를 포함
・ 새로운 기계의 위험요인에 대한 높은 수준의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는 영향력 있는 작업자 (Affected Workers)
가
신규 작업자에게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안전한 작업 절차를 생각하며, 직접 느껴 체득할 수 있도록 조언 필요
- Industrial Engineering Risk Theory (시스템 위험성 이론, Hawkins ’SHELL’ 모델)
・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는 사람-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많이 발생함 (휴먼 에러)
・ 휴먼 에러는 사람-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서의 사고와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이며,
환경적 요소(Phenotypes, 실수 행동)와 유전적 요소(Genotypes, 심리적 요인)로 구분됨
・ 필요 행동으로부터의 일탈 행위는 기계의 위험성 평가에서 반드시 측정되어야 함
* Affected Worker의 리딩이 중요 (Colleague Factor)
* 시스템을 둘러싼 환경이 중요 (Environment Factor)
Dept. of Safety Eng.
24/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Mindful Response Theory (주의 반응 이론)
・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문화는 고장에 대한 합리적인 선입관, 단순화 함을 싫어하는 것, 조작에 민감함을 포
함
・ 기계의 위험성 평가 측면에서 작업자가 실수를 하거나, 잘못된 가정을 하거나, 조작시 반복되는 불일치 발생
시
알리고 공유하는 것에 대해 격려와 독려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여가는 것임
・ 그렇게 함으로써 도움 요청을 꺼려하거나, 실제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낮은 직급의 숙련자들을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임을 받아들여야 함
→ 기계류 위험성 평가에서 기업 문화는 예측하지 못한 위험성을 발견하여 제거 및 저감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
물리적인 위험성 뿐만 아니라 작업 분위기, 의사 소통, 휴먼 에러 등의 작업자 및 주변 환경 관점에서 고려 필요
이를 통해 기업의 긍정적인 문화는 상호 믿음에 기초한 의사 소통, 안전에 대한 공유된 인식,
* 알리고 공유하며 독려하는 문화가 중요 (Culture & Communication Factor)
Dept. of Safety Eng.
25/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Human-Robot Trust Theory (사람-로봇 신뢰성 이론)
・ 로봇작업 전에 사람과 로봇간 인터랙션의 신뢰성에 대한 조사, 검증이 분명히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로봇의 주 포커스는 디자인과 로봇 기술의 능력(Capability)에 맞춰져 있다 보니
작업자 관점에서의 Human Element는 이슈화 되지 않고, 간과되거나 잊혀졌던 것이 현실임
・ 작업자에게 지나친 의지는 로봇의 잘못 사용(Misuse) 또는
부적절한 사용(Inappropriate use)을 초래함
・ 사람과 로봇간 신뢰성 부족이 우수한 로봇 기술이
사용되지 않고 선반에서 먼지만 쌓이게 될 우려
* 사람-로봇 시스템과 신뢰성간 균형이 중요 (Human-Robot-Environment Factor)
Dept. of Safety Eng.
26/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Human-Robot Trust Theory (사람-로봇 신뢰성 이론)
➀ Human (사람)
- Trait (특색): 성별, 나이, 인종, 성격 등
- State (상태): 주의 집중, 피로, 스트레스, 업무량 등
➁ Robot (로봇)
- Feature (특징): 자동화 등급, 지능, 형태, 특징, 소통 등
- Capability (능력): 행동, 신뢰도, 정확도, 품질, 피드백 등
➂ Environment (환경)
- Team (부서): 역할 상호의존, 팀 구성, 문화, 공유 모델 등
- Task (작업): 위험성, 물리적 환경, 작업 유형, 멀티 태스킹 등
Dept. of Safety Eng.
27/28
☐ 협동로봇에 대한 추가 위험요인 및 맞춤형 위험성 평가 기법
- 기존의 위험성 평가는 로봇의 외형적, 기능적 측면에서의 위험요인 위주로 분석 및 평가해 왔으나,
사람과 근접 또는 나란히 작업하는 협동 로봇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거나 잘 몰라서 간과했던
위험요인도 고려되어야 함
- 이를 위해 작업자 심리, 업무 난이도(피로도), 조직 문화, 주변 환경, 시스템 연계, 해킹 등의
인적, 사회적, 환경적, 보안적 측면에서의 유해인자에 대한 추가 분석 및 평가가 필요함
- 이렇게 고안된 협동로봇에 대한 위험성 평가 기법은 협동로봇 작업의 4가지 유형 및 특성에 맞도록
모듈식으로 채택 또는 변형되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함
* 안전정격감시(SMS), 핸드가이딩(HG), 스피드&분리 모니터링(SSM), 동력 및 힘 제한(PFL)
Dept. of Safety Eng.
28/28
☐ A propose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estimation tool for manufacturing systems (Kazerouni, 2015)
☐ Industrial Machine Systems Risk Assessment: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Methods (Etherton, 2007)
☐ Managing the Unexpected (Weick et al, 2001)
☐ The Perception of Risk (Slovic, 2000)
☐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 (Reason, 1997)
☐ Risk Communication, Risk Statistics, and Risk Comparisons: A Manual for Plant Managers (Covello et al, 1988)
☐ 로봇 시스템 안전 대응 교육자료 (한국로봇산업협회, 2019)
☐ 스마트 공장 안전보건 기준 연구 (안전보건공단, 2018)
☐ ISO 12100, ISO 10218-1 & 2, ISO TS 15066, ISO 13849, IEC 62061 등
산업용 로봇의 작업 유형에 따른 미인지 위험성에 관한 연구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

Robot Classification
Robot ClassificationRobot Classification
Robot Classification
 
Chapter 1 Intro to industrial robot automation
Chapter 1 Intro to industrial robot automationChapter 1 Intro to industrial robot automation
Chapter 1 Intro to industrial robot automation
 
Robotics.fair
Robotics.fairRobotics.fair
Robotics.fair
 
Robotics
RoboticsRobotics
Robotics
 
463088881-Final-year-final-3-pptx.pdf
463088881-Final-year-final-3-pptx.pdf463088881-Final-year-final-3-pptx.pdf
463088881-Final-year-final-3-pptx.pdf
 
Robotics - IK
Robotics - IKRobotics - IK
Robotics - IK
 
Robotics
RoboticsRobotics
Robotics
 
Quadcopter
QuadcopterQuadcopter
Quadcopter
 
Introduction robotics
Introduction roboticsIntroduction robotics
Introduction robotics
 
Humanoid robotics
Humanoid roboticsHumanoid robotics
Humanoid robotics
 
Biomimetic Robot
Biomimetic RobotBiomimetic Robot
Biomimetic Robot
 
basics of robotics
basics of roboticsbasics of robotics
basics of robotics
 
Human robo
Human roboHuman robo
Human robo
 
An Introduction to ROS-Industrial
An Introduction to ROS-IndustrialAn Introduction to ROS-Industrial
An Introduction to ROS-Industrial
 
Robotics
RoboticsRobotics
Robotics
 
Hexapod ppt
Hexapod pptHexapod ppt
Hexapod ppt
 
Pick and place robot ppt
Pick and place robot pptPick and place robot ppt
Pick and place robot ppt
 
mBot教學(7)- 聲光控制應用
mBot教學(7)-聲光控制應用mBot教學(7)-聲光控制應用
mBot教學(7)- 聲光控制應用
 
Brief Presentation about Robotics and Robots
Brief Presentation about Robotics and Robots Brief Presentation about Robotics and Robots
Brief Presentation about Robotics and Robots
 
ROBOTICS (senthil)
ROBOTICS (senthil)ROBOTICS (senthil)
ROBOTICS (senthil)
 

Similar to 산업용 로봇의 작업 유형에 따른 미인지 위험성에 관한 연구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KD Lee
 
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
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
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삼 김
 
Riskmanagement
RiskmanagementRiskmanagement
RiskmanagementJiWoon Yi
 
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runkilsh
 
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
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
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HANCOM MDS
 
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
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
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삼 김
 
[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
[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
[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JEONG HAN Eom
 
[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
[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
[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JEONG HAN Eom
 
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
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
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Wan Heo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atelier t*h
 
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
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
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atelier t*h
 
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
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
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Youngjun Kim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runkilsh
 
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
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
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주형 오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runkilsh
 
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
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
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ssuserc76d48
 
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
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
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hyun park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Similar to 산업용 로봇의 작업 유형에 따른 미인지 위험성에 관한 연구 (20)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
산업용 로봇 안전관리 지침 제정시 고려해야 할 위험 요인에 관한 ᄋ...
 
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
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
Badgas bussiness model(yoube_sysytem)
 
Riskmanagement
RiskmanagementRiskmanagement
Riskmanagement
 
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반도체 직업병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
 
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
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
한컴MDS_FLIR 열화상 카메라 주요 제품 소개
 
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
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
유해가스 알림이 시스템 개발
 
[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
[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
[Nexsys] 넥시스 - 세계최초 LTE smart helmet 회사소개서 2017.07.22
 
[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
[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
[넥시스] 회사소개서 2015.12.07
 
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
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
반올림 삼성 직업병 대책 마련을 위한 요구안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pd(2013 10) issue 2-원격조종로봇 및 원격제어기술과 응용분야
 
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
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
Keit 2013-06-이슈3-웨어러블 컴퓨터의 현황과 전망 (1)
 
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
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
3차원 프린팅 적용을 위한 수술계획 소프트웨어 개발 (KIST 김영준)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총합
 
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
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
차세대 ICT융합산업 제품_서비스_보안위협_및_대응방향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2014 공공 산안법 활용 매뉴얼
 
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
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
202303 머신비전협회보_5차 - 펼침.pdf
 
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
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
Safeon 회사 및 기술소개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2020 시민안전확보] 전라남도 광양시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안경 기술
 
Netec
NetecNetec
Netec
 

산업용 로봇의 작업 유형에 따른 미인지 위험성에 관한 연구

  • 1. 2019. 11 산업용 로봇의 작업 유형에 따른 미인지 위험성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박사과정 이강돈 Unconsidered & Unknown Risks
  • 2. Dept. of Safety Eng. 1/28 1. 로봇의 산업계 활용 동향 2. 산업용 로봇의 정의, 구성 및 위험요인 3. 산업현장에서의 로봇 위험성 평가 (이론 및 사례) 4. 산업현장 로봇에 대한 새로운 위험요인 검토
  • 3. Dept. of Safety Eng. 2/28 ☐ 활용 범위 확대 - 플랫폼 기반의 연결과 지능화를 통한 Mass Customization 구현 Physical System의 Digital화 정도가 핵심 경쟁력이며, 디지털화 수준은 인간, 로봇, IoT의 Connectivity가 결정
  • 4. Dept. of Safety Eng. 3/28 ☐ 적용 방향성 변화 - 제조업의 조립, 용접, 운반 등에서 건강, 음식 조리 및 서빙, 물류 포장 및 운반, 군사 등 다양한 산업 작업 방식도 기존의 로봇 단독 작업, 시간차 작업에서 같은 장소에서 동시에 협업하는 방향으로 전환
  • 5. Dept. of Safety Eng. 4/28 ☐ 로봇 작업의 변화에 대한 몇가지 안전 이슈 질문 (연구 필요성) RQ1. 현재의 위험성 평가 기법은 협동로봇 작업시 사고 위험요인을 빠짐 없이 평가할 수 있는가? RQ2. 협동로봇에 대한 현재의 4가지 안전조치가 작업자의 심리, 피로도, 조직,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안전성을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 RQ3. 협동로봇의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로 평가해야 할 위험요인 항목 및 평가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현재의 ISO 12100 위험성 평가 10가지 항목에는 없음 → 협동로봇에 대해 추가로 확인해야 할 위험요인 평가 항목 및 이러한 내용들을 반영하여 협동로봇 작업에 가장 적합한 위험성 평가 기법 고안 필요 * 보호정지, 속도 및 근접 모니터링, 충돌시 충격력 및 압축력 제한 등
  • 6. Dept. of Safety Eng. 5/28 ☐ 정의 - 매니퓰레이터와 기억장치를 가지고 저장된 정보에 의해 매니퓰레이터의 굴신, 신축, 상하, 좌우 이동, 선회 및 이러한 동작의 복합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기계 (KOSHA Guide) ∙ ISO 10218: 자동 제어, 3축 이상으로 재프로그램 가능한 다목적 매니퓰레이터, 고정형과 이동형 (산업 자동화) ・ 노동부 고시: 3축 이상의 매니퓰레이터를 구비하고 프로그램 및 자동제어 가능한 고정식 또는 이동식 장치
  • 7. Dept. of Safety Eng. 6/28 ☐ 구성 - 산업용 로봇의 기본 구성요소는 기계적 동작을 하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 제어장치(Controller), 전원 및 인터페이스(Power Supply & Interface) 3가지임 - 매니퓰레이터 구조 ∙ 몸체 (Body): 로봇 팔 어깨를 포함하며, 매니퓰레이터를 지지 ・ 팔 (Arm): Wrist와 Hand를 원하는 위치로 보내는 역할 (Arm, Elbow) ・ 손목 (Wrist): 손을 원하는 위치 또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 ・ 손 (Hand): 작업 대상물을 잡거나 작업을 실제로 수행하는 역할 (그리퍼, 엔드이펙터) - 산업용 로봇 분류 ・ 직교좌표, 원통좌표, 극좌표, 수평다관절, 수직다관절 로봇 등
  • 8. Dept. of Safety Eng. 7/28 ☐ 운전 특성 및 위험 요인 - 운전 특성 ・ 로봇은 넓은 운전 공간에서 높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동작이 많음 ・ 로봇의 동작과 경로는 예측이 어려우며, 운전 요구조건 등의 변화가 빈번함 ・ 로봇의 운전 공간은 다른 로봇 또는 타 기계 및 관련 장비의 작업 공간의 일부와 겹침 ・ 작업자는 기계 구동부에 전원이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로봇 시스템과 근접하여 작업하는 상황 발생 - 위험 요인 ・ 외관: 외장은 주로 금속 재료로 로봇 작업 중 작업자 접촉시 끼임, 부딪힘 등 중대 위험 ・ 구조: 전동, 유압, 공압 등이 동력원으로 동력 차단시에도 잔류 압렵에 의한 사고 위험 ・ 제어: 고속으로 관성 모멘트가 커서 급정지가 불가하고, 접근을 인지해도 피하기 어려우며, 센서로 접촉을 검출하고 비상정지로 제어해도 실패 우려가 큼 ・ 기타: 유지보수 등의 비정상작업시 정지 종류 착각, 로봇 교시 작업 실패 우려, 오작동 등
  • 9. Dept. of Safety Eng. 8/28 ☐ 법규 및 기준 - 국내 ・ 산안법: 안전교육(31조),자율안전확인(35조),안전검사(36조),令별표2(위험방지필요작업) ※ 특별안전교육: 로봇의 기본원리·구조 및 작업방법, 이상시 응급조치, 안전시설 및 안전기준, 조작방법 등 ・ 안전규칙: 교시 등 (222조), 운전 중 위험 방지 (223조), 수리 등 작업시 조치 (224조) ・ 표준: KS B ISO 10218-1 & 2 (제조자, 시스템 통합자) - 국외 ・ 국제 표준: ISO 10218-1 & 2, ISO TS 15066 (협동로봇) ・ 국가별: ANSI/RIA R15.06 (미국), EN ISO 10218 (유럽연합), CAN/CSA-Z434-14 (캐나다) 등
  • 10. Dept. of Safety Eng. 9/28 ☐ 국제 표준 비교 구분 제작사 시스템 통합자 비고 국제기준 ISO 10218-1 ISO 10218-2 - 미국 ANSI/RIA R15.06 ANSI/RIA R15.06 ISO 기준에 부합 영국 BS EN ISO 10218-1 BS EN ISO 10218-2 ISO 기준에 부합 유럽연합 EN ISO 10218-1 EN ISO 10218-2 ISO 기준에 부합 독일 DIN EN ISO 10218-1 DIN EN ISO 10218-2 ISO 기준에 부합 캐나다 CAN/CSA-Z434-14 CAN/CSA-Z434-14 ISO 기준에 부합 중국 GB 11291.1-2011 GB 112891.2-2013 ISO 기준에 부합 일본 JIS 8433-1 JIS 8433-2 ISO 기준에 부합
  • 11. Dept. of Safety Eng. 10/28 ☐ 협동로봇 - 협동 운전의 의도를 가지고 사람과 같은 작업공간(협동 영역)을 공유하면서 작업하는 로봇 안전정격감시정지 (Safety-rated Monitored Stop, SMS) 핸드가이딩 (Hand Guinding, HG) - 협동작업 공간에서 작업자가 위험에 접근하거나 노출되기 전에 정지 ex) 부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 장비, 검사 장비 - 작업자가 도착하면 로봇이 정지. 작업자가 로봇을 직접 유도,,이동 ex) 로봇 리프트 어시스트, 제한된 또는 소량 생산 속도 및 분리 모니터링 (Speed & Separation Monitoring, SSM) 동력 및 힘 제한 (Power & Force Limiting, PFL) - 장애물 감지시 로봇 속도가 감소, 거리별 분리 모니터링, 속도 제한 설정 ex) 간단한 작업, 직접 작업 인터페이스 - 로봇과의 접촉이 운전자에게 해가 되지 않도록 에너지를 제한 ex) 가변적인 어플리케이션, 작업 빈도가 매우 높은 조건
  • 12. Dept. of Safety Eng. 11/28 ☐ 로봇관련 재해 현황 - 산업용 로봇에 따른 국내 제조업에서의 최근 5년간(2011년 ∼2015년) 전체 재해자수는 207명으로 한해 평균 42명의 재해자가 발생하고 있음 - 재해자의 평균 근로손실일수는 707일로 최근 5년간 제조업 재해자의 평균 근로손실일수인 350일의 2배 이상의 손실이 발생 * 사망자 15명 * 사망자 3명 ※산업용로봇에의한사고발생부위는손> 머리,얼굴>몸통>허리>팔순이며, 작업유형은수리,점검>준비,설치>로봇작동>기타순임 제조 업종명 최근 5년간 재해자 현황 (명) 합계 ‘11 ‘12 '13 ‘14 ‘15 재해자 (명) 점유율 (%) 계 42 52 37 41 35 207 100.0 수송용기계기구 21 28 24 22 16 111 53.6 화학제품 8 5 2 3 5 23 11.1 기계기구 4 5 3 5 5 22 10.6 금속제품 1 3 2 4 2 12 5.8 그외 제조업 8 11 6 7 7 39 18.9
  • 13. Dept. of Safety Eng. 12/28 ☐ 로봇관련 방호조치 - 격리형: 높이 1.8m 이상의 방책, 인터록 장치, 안전 플러그, ‘점검 중’ 표지 등 LOTO 조치 - 접근반응형: 광전자식, 초음파 센서, 안전매트 등 위험 동작 감지 및 정지 - 비상정지형: 항상 사용 및 조작 가능, 다른 작동 신호보다 우선 작동, 수동 복귀 등
  • 14. Dept. of Safety Eng. 13/28 ☐ 로봇작업 위험 요인 - 10개의 위험요인 (Hazard): 기계, 전기, 열, 소음, 진동, 방사선, 재료/물질, 인간공학, 환경, 복합 요인 - 7개의 위험상황 (Hazardous Situations): 운송, 조립, 운전, 유지보수, 분해 등 7가지 상황 - 10개의 위험사건 (Hazardous Events): 기계 부품, 공압, 유압, 전기장치, 제어시스템 등 10가지 사건 ☐ 위험성 추정: 위험성 = 상해의 심각성과 상해의 발생 가능성의 함수 - 심각성 (Severity): 부상 또는 건강 손상의 심각성 (사망, 중대함, 경미함), 상해의 범위 - 발생 가능성 (Probability) ・ 위험에 노출 (Frequency) 추정: 위험 영역 접근 필요성, 접근 성격, 위험 영역 잔류 시간, 접근 사람 수 및 빈도 ・ 위험한 사상 발생 추정 (Occurrence): 신뢰성, 통계 데이터, 사고 이력, 건강 손상 이력, 위험성 비교 ・ 상해 회피 또는 제한 가능성 추정 (Avoidance): 노출 대상, 위험인식 경로, 위험, 상해 시간, 경험과 지식 * 숙련자, 비숙련자 등 * 정보, 관찰, 표지 등 * 갑자기, 빠르게, 느리게 * 3주 이상 * 5일 ~ 3주 미만 * 개인 또는 여러 사람 * 정상작동, 오작동 교정, 정비 또는 수리 등
  • 15. Dept. of Safety Eng. 14/28 ☐ 위험성 결정 (Risk Graph법) - 상해 심각도 (Severity): 회복 가능여부, 작업불능일수 - 위험원 노출 주기 (Frequency): 노출 시간, 노출 주기 - 위험 사고 발생 가능성 (Occurrence): 증명된 안전 기술 적용, 숙련도 - 상해 회피 및 감소 가능성 (Avoidance): 동작속도, 작업자의 위험 인지 및 대응 가능 여부
  • 16. Dept. of Safety Eng. 15/28 ☐ 위험성 결정 (Risk Graph법) - 상해 심각도(S, Severity of Harm): S1 (경미), S2 (심각) - 위험원 노출 주기 (F, Frequency of Exposure): F1 (드물게 / 단기간), F2 (지속적 / 장기간) - 위험 사고 발생 가능성(O, Occurrence of a hazardous event) ・ O1: 낮음 (발생 않음; 충분한 기술, 증명되고 인정된 안전 어플리케이션, 견고함) ・ O2: 중간 (가끔 발생; 지난 2년간 기술적 고장 확인, 6개월 이상 경험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 ・ O3: 높음 (자주 발생; 매 6개월 미만 마다 기술적 고장 확인, 6개월 미만된 비숙련자 불안전한 행동) - 상해 회피 및 감소 가능성(A, Possibility of avoiding harm) ・ A1: 특정조건하에서 회피 가능 (0.25m/s 미만의 구동부 노출, 위험 상황 지시 및 급박한 사건에 인지 대응 가능) ・ A2: 불가능함 * 회복 가능, 3일 미만 * 회복 불가능, 3일 이상 * 15분 미만 또는2회 미만의 노출 * 15분 이상 또는2회 이상의 노출 * 온도, 소음, 인체공학 등
  • 17. Dept. of Safety Eng. 16/28 ☐ 위험도 구분 및 관리 기준 (Risk Matrix) 구분 위험도 위험관리 기준 비고 1 저위험 해당 로봇 시스템에 대해 추가적인 위험감소 조치가 필요하지 않으나, 근로자에게 유해위험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 및 교육 2 해당 로봇시스템의 유해위험요인에 대비하여 작업자에게 개인보호구 등 지급 및 착용 3 중위험 해당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주의, 경고 표지 및 관리대책을 제정하여 잘 보이는 곳에 게시 및 관리 4 해당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추가적인 안전보건조치를 수립하여 개선이 필요한 상태 5 고위험 해당 로봇시스템에 대하여 접근 제한, 대체, 에너지 감소 및 개선이 필요한 상태 6 해당 로봇시스템을 즉시 정지 또는 위험원을 제거시키며, 작업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설계 변경 등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
  • 18. Dept. of Safety Eng. 17/28 ☐ 로봇관련 위험성 평가 기법 비교표 - 타 분야의 국제표준 및 해외 전문기관들은 ISO 12100의 위험성 평가 기법을 기준으로 각 기준별 특성에 맞는 위험성 평가 기법을 운용 중에 있음 * ISO 13849, IEC 62061 등 * ANSI, RIA 등 구분 ISO 12100 ANSI B11 TR3 RIAR15.06 ISO13849 (PL) IEC 62061 (SIL) 적용 범위 기계의설계,사용시 위험성확인및감소 미국내제조,수입되는기계에 대한위험성평가 미국내산업용로봇설계,시스템 통합시위험성평가 감소대책중안전부품, 제어시스템(SRP/CS) 기계를구성하고있는 전기,전자시스템 평가 절차 유해위험요인파악(HI)→분석(Analysis)→추정(Estimation)→결정(Evaluation)→ 감소대책(RiskReduction)시행반복 감소대책에서요구되는 성능레벨(PLr)이상으로 SRP/CS를구성(PLa~e) 설계에서요구하는 안전무결성등급이상으로 제어시스템을구성(SIL1~3) 중대성 (Severity) -Serious(Death),Slight *OneorSeveralPersons -Minor,Moderate,Serious, Catastrophic -Serious,Moderate,Minor -Minor,Serious -1to4(Reversible,Irreversible) 가능성 (Probability) -빈도(F),발생(O),회피(A)를 순차적으로조합 -Remote,,Unlikely,Likely, Verylikely -빈도(Prevented,Low,High) -회피(Likely,Unlikely,Impossible) -빈도(Seldom,Frequent) -회피(Possible,Impossible) -Class1to5 (빈도,발생,회피를합산) 비고 2x2x3x2 4x4 3x3x3 2x2x2 * 하드웨어 구조 (5),시스템신뢰성 (4), 부품 수명 (3),설계 확실성 (2) 4x5 * CommonCause Failure, (CCF) Diagnostic Coverage (DC)등 - 기존 위험성 평가 기법들은 기계, 부품, 시스템의 고장, 오작동 등 외형적인 위험성 위주로 평가하여 특히, 협동로봇 작업 환경에서의 작업자의 심리, 소프트웨어, 보안 등은 고려하지 못함
  • 19. Dept. of Safety Eng. 18/28 ☐ 필기도구 내구성 검사 작업 - 작업형태: 수동/자동 고속운전 - 작업분류: 프로그램 검증 (10 kg 하중) - 작업위치: 협동공간 (제품 적재) - 작업자: 1명 (10개월 숙련공) - 작업시간: 20분 - 안전제어시스템: 충돌감지정지(PLd) - 로봇동작속도: 250mm/s 이상(운전시) - 생체역학치: 신체접촉 한계 초과/현장확인 안됨
  • 20. Dept. of Safety Eng. 19/28 ☐ 필기도구 내구성 검사 작업 Before After - 감소 대책: 보호정지센서 정지시간 재조정 및 비상정지장치 위치 재조정 - 위험 요인: 작업자가 펜 교체 작업 중 보호정지 오작동으로 로봇 그리퍼와 작업대 사이 끼임
  • 21. Dept. of Safety Eng. 20/28 ☐ 커피 드립 및 제공 서비스 - 작업형태: 드립 커피 메이킹 - 작업분류: 분말 운반, 포트 운반, 붓기, 서빙 - 작업위치: 협동공간 (커피 메이킹 및 서빙) - 작업자: 1명 (6개월 숙련공) - 작업시간: 7분 - 안전제어시스템: 충돌감지정지(PLd) - 로봇동작속도: 250mm/s 이상(운전시) - 생체역학치: 신체접촉 한계 초과/현장확인 안됨
  • 22. Dept. of Safety Eng. 21/28 ☐ 커피 드립 및 제공 서비스 Before After O3 A2 2 - 감소 대책: 기울임 각도 제한 및 작업자 손 보호 장갑 착용 - 위험 요인: 로봇이 컵에 커피를 채우던 중 기울임 각도를 초과하여 넘쳐 옆에 작업자 손 화상
  • 23. Dept. of Safety Eng. 22/28 ☐ 옷걸이 중량물 이동, 신발 밑창 접착, 음식 조리, 의류 봉제 등 협동로봇 작업은 유형, 난이도, 적용 대상이 다양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협동작업 특성을 반영한 위험성 평가 기법은 없는 실정임
  • 24. Dept. of Safety Eng. 23/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Leading Risk Theory (선행 위험성 이론) ・ 위험성의 개념이 사람의 Minds와 Culture에 의해서 견고하게 형성이 됨 ・ 윤리적, 사회적 배려, 위험성에 대해 충분한 예방 및 보호 조치가 선행된다는 믿음의 정도를 포함 ・ 새로운 기계의 위험요인에 대한 높은 수준의 위험성 평가를 위해서는 영향력 있는 작업자 (Affected Workers) 가 신규 작업자에게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안전한 작업 절차를 생각하며, 직접 느껴 체득할 수 있도록 조언 필요 - Industrial Engineering Risk Theory (시스템 위험성 이론, Hawkins ’SHELL’ 모델) ・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는 사람-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서 가장 많이 발생함 (휴먼 에러) ・ 휴먼 에러는 사람-시스템간 인터페이스에서의 사고와 관련하여 중요한 요소이며, 환경적 요소(Phenotypes, 실수 행동)와 유전적 요소(Genotypes, 심리적 요인)로 구분됨 ・ 필요 행동으로부터의 일탈 행위는 기계의 위험성 평가에서 반드시 측정되어야 함 * Affected Worker의 리딩이 중요 (Colleague Factor) * 시스템을 둘러싼 환경이 중요 (Environment Factor)
  • 25. Dept. of Safety Eng. 24/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Mindful Response Theory (주의 반응 이론) ・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는 문화는 고장에 대한 합리적인 선입관, 단순화 함을 싫어하는 것, 조작에 민감함을 포 함 ・ 기계의 위험성 평가 측면에서 작업자가 실수를 하거나, 잘못된 가정을 하거나, 조작시 반복되는 불일치 발생 시 알리고 공유하는 것에 대해 격려와 독려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여가는 것임 ・ 그렇게 함으로써 도움 요청을 꺼려하거나, 실제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낮은 직급의 숙련자들을 무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임을 받아들여야 함 → 기계류 위험성 평가에서 기업 문화는 예측하지 못한 위험성을 발견하여 제거 및 저감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부분임 물리적인 위험성 뿐만 아니라 작업 분위기, 의사 소통, 휴먼 에러 등의 작업자 및 주변 환경 관점에서 고려 필요 이를 통해 기업의 긍정적인 문화는 상호 믿음에 기초한 의사 소통, 안전에 대한 공유된 인식, * 알리고 공유하며 독려하는 문화가 중요 (Culture & Communication Factor)
  • 26. Dept. of Safety Eng. 25/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Human-Robot Trust Theory (사람-로봇 신뢰성 이론) ・ 로봇작업 전에 사람과 로봇간 인터랙션의 신뢰성에 대한 조사, 검증이 분명히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로봇의 주 포커스는 디자인과 로봇 기술의 능력(Capability)에 맞춰져 있다 보니 작업자 관점에서의 Human Element는 이슈화 되지 않고, 간과되거나 잊혀졌던 것이 현실임 ・ 작업자에게 지나친 의지는 로봇의 잘못 사용(Misuse) 또는 부적절한 사용(Inappropriate use)을 초래함 ・ 사람과 로봇간 신뢰성 부족이 우수한 로봇 기술이 사용되지 않고 선반에서 먼지만 쌓이게 될 우려 * 사람-로봇 시스템과 신뢰성간 균형이 중요 (Human-Robot-Environment Factor)
  • 27. Dept. of Safety Eng. 26/28 ☐ 로봇 등 기계류에 적용 가능한 위험성 이론 - Human-Robot Trust Theory (사람-로봇 신뢰성 이론) ➀ Human (사람) - Trait (특색): 성별, 나이, 인종, 성격 등 - State (상태): 주의 집중, 피로, 스트레스, 업무량 등 ➁ Robot (로봇) - Feature (특징): 자동화 등급, 지능, 형태, 특징, 소통 등 - Capability (능력): 행동, 신뢰도, 정확도, 품질, 피드백 등 ➂ Environment (환경) - Team (부서): 역할 상호의존, 팀 구성, 문화, 공유 모델 등 - Task (작업): 위험성, 물리적 환경, 작업 유형, 멀티 태스킹 등
  • 28. Dept. of Safety Eng. 27/28 ☐ 협동로봇에 대한 추가 위험요인 및 맞춤형 위험성 평가 기법 - 기존의 위험성 평가는 로봇의 외형적, 기능적 측면에서의 위험요인 위주로 분석 및 평가해 왔으나, 사람과 근접 또는 나란히 작업하는 협동 로봇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거나 잘 몰라서 간과했던 위험요인도 고려되어야 함 - 이를 위해 작업자 심리, 업무 난이도(피로도), 조직 문화, 주변 환경, 시스템 연계, 해킹 등의 인적, 사회적, 환경적, 보안적 측면에서의 유해인자에 대한 추가 분석 및 평가가 필요함 - 이렇게 고안된 협동로봇에 대한 위험성 평가 기법은 협동로봇 작업의 4가지 유형 및 특성에 맞도록 모듈식으로 채택 또는 변형되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함 * 안전정격감시(SMS), 핸드가이딩(HG), 스피드&분리 모니터링(SSM), 동력 및 힘 제한(PFL)
  • 29. Dept. of Safety Eng. 28/28 ☐ A propose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risk estimation tool for manufacturing systems (Kazerouni, 2015) ☐ Industrial Machine Systems Risk Assessment: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Methods (Etherton, 2007) ☐ Managing the Unexpected (Weick et al, 2001) ☐ The Perception of Risk (Slovic, 2000) ☐ Managing the Risks of Organizational Accidents (Reason, 1997) ☐ Risk Communication, Risk Statistics, and Risk Comparisons: A Manual for Plant Managers (Covello et al, 1988) ☐ 로봇 시스템 안전 대응 교육자료 (한국로봇산업협회, 2019) ☐ 스마트 공장 안전보건 기준 연구 (안전보건공단, 2018) ☐ ISO 12100, ISO 10218-1 & 2, ISO TS 15066, ISO 13849, IEC 62061 등

Editor's Notes

  1. - 고령화와 자동화 기계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에 의한 생산보다는 스마트화 된 공장에서 기계에 의한 생산이 증가하며 4차 산업혁명이 시작 - 공장 자동화 이후 기업은 고령화로 인한 숙련공이 감소되고, 소비자의 영향력이 확대되며, 공급 경쟁도 확대되어 이러한 사업 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최적의 제조 시스템으로 스마트 팩토리 개념을 도입 - 스마트 팩토리는 생산공정의 네트워크화, 맞춤형 생산, 공정 운영의 최적화, 다품종 복합생산, 조달 및 물류 혁신, 기계와 노동자의 협동 등으로 대변 - 이렇듯 산업현장에서의 로봇 활용 범위가 기존의 공장내 한정된 장소에서 공장내 타공정 및 전체 공장으로, 인접한 공장 또는 원격의 해외 공장에까지 확대 ※ 부연설명 삽입: 인더스트리 4.0의 수직적, 수평적 통합, 스마트 팩토리의 구축 단계별 특성 등
  2. - 기존에는 제조업 현장의 중량물 운반, 위험 및 반복 작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로봇이 활용되었으나 ICT 고도화로 기업간, 산업간 경계가 낮아지거나 없어지고 있음 - 이에 따라 로봇이 적용되는 산업 및 공정도 제조업의 조립, 용접, 운반 등 사람이 작업하기 어려운 부분을 로봇이 대신하는 개념에서 헬스케어 및 돌봄 서비스, 음식 조리 및 서빙, 물류 운반 및 포장 (Picking & Packing), 국방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람과 협업을 통해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 - 사람과의 작업 방식도 기존의 로봇 단독 작업에서 시간차를 두고 사람과 로봇이 번갈아 작업하는 방식에서 같은 장소에서 시간차 없이 실시간으로 협업하는 방향으로 전환 - 이렇듯 로봇이 적용되는 산업 및 작업 종류, 사람과의 작업 방식 등이 변화하고 있어 산업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인지와 사전 대비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음 ※ 부연설명 삽입: 협동로봇 개념 및 사례
  3. RQ1. 산업용 로봇의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적용 방향성이 작업자와 근접해서 동시에 작업을 하는 협동로봇으로 전환되고 있는데, 이러한 로봇 작업에 대한 현재의 사전 위험성 평가(협동로봇 인증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 중 하나)는 작업자의 사고 위험요인을 빠짐 없이 평가할 수 있는가? RQ2. 보호정지센서, 충돌시 충격력 및 압축력 제한 등의 안전 조치가 되어 있더라도 기계와 동시 작업하는 작업자 측면에서 심리, 피로, 조직,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안정성은 어디에, 어떻게 보증할 수 있는가? RQ3. 협동로봇 작업의 특성을 반영한 위험성 평가 기법 및 추가로 평가해야 할 항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4. 옷걸이 13종: 매장용, 가정용, 어린이용, 커튼용, 세탁소용, 논슬립용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