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 UBICOMP '15

Amanda L.,Christian K.,

Joshua T., David H. N.


,
/전하영
x 2018 Fall
01 Why this paper
02 Background
03 Methods
04 Results
05 Discussion
06 Take Away
Contents
블루투스 스피커
기기제어
빔프로젝터에 연결 ; 목소시로 음량 조절
오케이 구글 그루트 켜줘/꺼줘
루틴기능
오케이 구글 굿모닝
오케이 구글 나왔어
Why this paper
랩미팅에 발표된
극한 사용기와 방치..
Why this paper
왜 구글홈을 방치했을까?
어떤 점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지 못했던 것일까?
*그렇다면 스마트 기기들은 어떻게 사용되고 방치되는가?
Background
- "Know More, Live Better"

: 사람들은 스마트기기가 제공하는 질 좋은 정보로 더 나은 삶, 최상의 상태로 살아간다.
- 많은 사람들이 건강 활동 추적기를 사용하나 대부분 장기적으로 장치를 사용하지 못함

- 이러한 질문을 탐구하기 위해, 사용자 그룹에게 스마트 기기, 센서 및 웨어러블을 구입하여 

개인적이고 자체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함.
- 참가자들은 두 달 후에 그들의 사용에 대해 인터뷰를 실행.
Methods
절차
- 연구를 시작할 때 참가자들은 목표, 사용할 기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에 대한 열정도를 설문 진행
- 스마트 기기 구매를 위한 1,000달러 지급

1) 자신의 목표 설정

2) 사용할 기기 자유롭게 선택

3) 두 달 간 사용

4) 사용 경험에 대한 심층 인터뷰 진행(1시간) : 기기 사용에 따른 이점과 단점 확인
참여자
- IT회사의 편의 표본 추출
- 18세부터 59세에 속한 17명의 참가자가 모집 (엔지니어, 인턴, 임원 보조, 사원)
- 다양한 학벌, 다양한 인종
- 직업 상 기기 사용에 대한 높은 이해도로 다양한 기기 선택
- 기기 문제 해결 방법을 잘 알고 있으나 자신의 목표에 맞는 적용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님
분석
- 모든 인터뷰는 녹음되어 기록
- 오픈코딩
Results
참여자들의 목표
-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체력 향상
- 스포츠에서의 성과 개선
- 생산성 또는 집중력 향상
- 목표에 매핑되지 않는 기기 구매 (기기, 목표 도달법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기기 존재하지 않음)
사용된 기기
- 대부분 건강/피트니스 센서
- 착용 가능한 기기 구입
Results
사용을 중단한 이유?
- 거의 80%를 처음 두 달 내에 포기

1. 본인 컨셉과 적합하지 않음

2. 수집된 데이터가 유용하지 않음

3. 너무 많은 추가 작업/유지관리
1. 본인 컨셉과 기기컨셉과 적합하지 않음
- 참가자들은 기기가 자신보다 다른 유형의 사람들에게 더 유용할 것이라 생각

예를 들어, 다이어터/운동선수/노인 같이 극심한 건강상의 필요를 가진 사람
Results
2. 수집된 데이터가 유용하지 않음
- 수집된 데이터가 제공하는 정보의 수준에 관심이 없다.

: 페달 수, 스텝 수 는 흥미로운 정보가 아님
- 가장 유용다고 생각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 94Fify 농구/ Babolat 테니스 라켓 센서 - 후프에 넘어간 공의 수를 제공하지 않음

: Fitfit - 윗몸 일으키기 수가 아닌 식단, 숙면, 단백질 종류 등이 제공되길 원함
- 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정보 제공
- 참여자들의 데이터 처리 및 해석 능력의 부족

: 제공된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해야할지 모름

: 데이터 해석을 돕는 온라인/의료 전문가들을 이용하려는 시도 조차 하지 않음
- 참가자들은 사용자 행동을 정량화하는 것에 관심이 없음.

: 그 숫자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를 알고 싶어했다.
-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 받길 원함
Results
3. 너무 많은 추가 작업/유지 관리
- 기기 사용을 위해 필요한 사전 추가 작업

: 삼성 기어 핏 스마트 시계 전화 제어만을 위해, 충전/손목 착용/블루투스 페어링
- 높은 유지 보수

: 빠른 배터리 소모로 잦은 기기 충전
-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지 않은 사용

: 기기 사용을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 

(수면 추적을 위한 tapping, 기기 착용 습관 ‘습관이 되도록 나를 훈련시킬 인내심이 없다.’)
- 불편한 기기 착용감

- 위의 단점에 노력을 더욱 기울리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만큼의 노력을 투자할 만큼의 유용성, 가치, 이점이 없기 때문에 기기 사용을 중단.
그 외
- 다중 기기 유지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 여러 기기 관리/개입/책임에 대한 부담
Results
사용하는 이유?
- 2달 후, 사용을 지속하는 참여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을 중단한 사용자들에게 답변 보완
유용성
- Major 혜택 : 건강 습관 개선, 체력 증진, 건강 향상 (루모백을 통한 자세 교정)
- Minor 혜택 : 기기 미착용임에도 건강과 체력에 신경을 씀(계단 이용)
- Momentary small 혜택 : 높은 목표 설정으로 인한 순간적 체력 증진 및 신체 활동 인식의 증가
- ‘non-smart’ 혜택 : 스마트기기를 시계로 사용(대신 스마트 기능은 사용하지 않음)
호기심과 참신함
- 기기의 참신함과 기기 및 데이터에 대한 호기심은 참가자들이 기기 사용을 시작하도록 하는 동기
- 처음 새로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즐거움 경험
- 그러나, 후엔 새로움 감소와 기기 유지관리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사용 빈도수가 낮아지고 

어느 정도 지나면 어떤 데이터가 생성될지 대충 짐작이 가능해져 기기 사용의 흥미를 잃음
Results
잠재적 사용 희망
- 기기의 현재 능력이 기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언젠가 확장될 것이라는 희망
- 미래 이익에 대한 기대로 유용하지 않은 데이터, 흥미롭지 않은 기기 사용임에도 사용 빈도 증가
-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기기는 덜 선호 -> 정확성 중요
일상적인 사용 방법 개발
- 습관적으로 기기 사용 -> 한번 기기를 사용하면 계속 사용할 기능성도 암시
- 13개의 활동 추적기 중 6개는 사용 : Misfit Shine (매우 낮은 유지 보수)
- 스마트 시계보다 눈에 띄지 않는 활동 추적기 사용(충전, 작은 부피)
Discussion
사용자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방법
- 일상생활에서의 사용을 높임 : 사용자 기존 생황 방식을 따름, 일상생활 사용 방법 개발
- 유지 보수 최소화 : 최소 충전, 단일 장치 사용을 위해 한 장치에 더 많은 기능을 탑재
- 아이덴티티 형성 : 기기 특성과 생활 방식, 개념, 언어, 이미지가 맞는 사용자에게 제시
사용자 동기 부여
- 기기로부터 얻는 최소한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편안함이나 편리함을 희생하기를 꺼려 함
- 데이터를 찾고, 해석, 실행 계획을 세우는데 저조한 의욕
- 사용자의 언어 사용 : 원시 데이터보다 사용자 용어, 언어를 사용하여 요악(보고서 카드)
- 능동적인 피드백 : 적극적인 노티피케이션
- 사용자 코칭 : 사용자 목표 달성 방법부터 시작까지 각 단계에 따른 피드백 제공
- 개인화된 기록 : 각 사용자 개인 기록에 맞게 제공되는 정보 및 시스템
- 현실적인 동기 부여 : 보상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확률로 제시)
단기 사용자의 포기에 대한 재정의
- 단기적 사용으로도 많은 혜택을 경험하기 때문에 기기 사용 중단이 포기를 의미하지 않는다.
- 호기심 만족 / 일상 생활에서의 사용
- 스마트 기기의 단기간 개입 방식 고려 (환경적, 윤리적 측면으로 책임있는 방식 검토)
Take away
• 사용자가 노력을 투자할만큼의 유용성, 가치, 이점이 있어야 한다.
• ‘사용자들에게 줄 수 있는 장기적 혜택은 무엇을까?’

현재 방치되어있는 스피커는 ‘non-smart’기기로 사용(스피커)

사용자들에게 스마트한 가치와 장기적인 사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 고민

Major, Minor, Momentary small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들이 왜 스마트 

스피커를 이용하는지에 대핸 이해가 필요.
• 사용자들에게 호기심과 참신함을 주는 요소들 고려

-> 대화/ 알쓸신잡/ 퍼소나 등
• 사용자들의 생활 습관 행태를 분석

최소한의 노력, 자연스러운 사용이 필요
Take away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Miband UX project
Miband UX projectMiband UX project
Miband UX project
jinaya77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RightBrain inc.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Yoojung Kim
 
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
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
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Jin-Young Kang
 
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
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
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
SoobinCho5
 
Linku final
Linku finalLinku final
Linku final
ssuser8903aa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dgmit2009
 
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
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
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
Ho Hyun Lee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Chiweon Kim
 
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
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
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Seonghye Yoon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iljun19971212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Chiweon Kim
 
9th.lecture.step3.analysis
9th.lecture.step3.analysis9th.lecture.step3.analysis
9th.lecture.step3.analysis
Jeongeun Kwon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Myuserable
 
Midterm presentation
Midterm presentationMidterm presentation
Midterm presentation
juhane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
Kunwoo Park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경민 국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Yoojung Kim
 
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
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
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
Sophia Jang
 
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
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
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
jungyeonchu
 

Similar to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20)

Miband UX project
Miband UX projectMiband UX project
Miband UX project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라이트브레인 UX 아카데미 2기 오픈 프로젝트 - 스마트태그(2)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Understanding Quantified-Selfers’ Practices in Collecting and Exploring Perso...
 
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
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
병원스마트마케팅 최종
 
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
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
Use of intelligent voice assistants by older adults with low technology use
 
Linku final
Linku finalLinku final
Linku final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 5회 DGMIT UI&UX 컨퍼런스: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
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
Way wearable 개인의 맞춤형 피부관리 스킨케어 제품과 서비스 기업 비지니스 모델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20150709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v2 업로드
 
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
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
Hurry 허리 프로젝트 리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Fit mate_AI Data Analysis and Health Care Services for Obesity Management_김현우...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9th.lecture.step3.analysis
9th.lecture.step3.analysis9th.lecture.step3.analysis
9th.lecture.step3.analysis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Data Prescription: 데이터로 처방하라!
 
Midterm presentation
Midterm presentationMidterm presentation
Midterm presentation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연구소개 - 피트니스 앱의 지속 사용에 관한 연구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디지털살루스 사업설명회 강연자 발표자료_김치원(와이즈요양병원)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Health Mashups: Presenting Statistical Patterns between Wellbeing Data and Co...
 
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
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
Wearable Device Service Analysis
 
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
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
그로스 해킹 접근법을 이용한 블록체인 IoT기반 의류추천 서비스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 1. Why We Use and Abandon 
 Smart Devices + UBICOMP '15
 Amanda L.,Christian K.,
 Joshua T., David H. N. 
 , /전하영 x 2018 Fall
  • 2. 01 Why this paper 02 Background 03 Methods 04 Results 05 Discussion 06 Take Away Contents
  • 3. 블루투스 스피커 기기제어 빔프로젝터에 연결 ; 목소시로 음량 조절 오케이 구글 그루트 켜줘/꺼줘 루틴기능 오케이 구글 굿모닝 오케이 구글 나왔어 Why this paper 랩미팅에 발표된 극한 사용기와 방치..
  • 4. Why this paper 왜 구글홈을 방치했을까? 어떤 점이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하지 못했던 것일까? *그렇다면 스마트 기기들은 어떻게 사용되고 방치되는가?
  • 5. Background - "Know More, Live Better"
 : 사람들은 스마트기기가 제공하는 질 좋은 정보로 더 나은 삶, 최상의 상태로 살아간다. - 많은 사람들이 건강 활동 추적기를 사용하나 대부분 장기적으로 장치를 사용하지 못함
 - 이러한 질문을 탐구하기 위해, 사용자 그룹에게 스마트 기기, 센서 및 웨어러블을 구입하여 
 개인적이고 자체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함. - 참가자들은 두 달 후에 그들의 사용에 대해 인터뷰를 실행.
  • 6. Methods 절차 - 연구를 시작할 때 참가자들은 목표, 사용할 기기, 스마트 기기를 사용에 대한 열정도를 설문 진행 - 스마트 기기 구매를 위한 1,000달러 지급
 1) 자신의 목표 설정
 2) 사용할 기기 자유롭게 선택
 3) 두 달 간 사용
 4) 사용 경험에 대한 심층 인터뷰 진행(1시간) : 기기 사용에 따른 이점과 단점 확인 참여자 - IT회사의 편의 표본 추출 - 18세부터 59세에 속한 17명의 참가자가 모집 (엔지니어, 인턴, 임원 보조, 사원) - 다양한 학벌, 다양한 인종 - 직업 상 기기 사용에 대한 높은 이해도로 다양한 기기 선택 - 기기 문제 해결 방법을 잘 알고 있으나 자신의 목표에 맞는 적용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아님 분석 - 모든 인터뷰는 녹음되어 기록 - 오픈코딩
  • 7. Results 참여자들의 목표 - 정신적, 육체적 건강과 체력 향상 - 스포츠에서의 성과 개선 - 생산성 또는 집중력 향상 - 목표에 매핑되지 않는 기기 구매 (기기, 목표 도달법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기기 존재하지 않음) 사용된 기기 - 대부분 건강/피트니스 센서 - 착용 가능한 기기 구입
  • 8. Results 사용을 중단한 이유? - 거의 80%를 처음 두 달 내에 포기
 1. 본인 컨셉과 적합하지 않음
 2. 수집된 데이터가 유용하지 않음
 3. 너무 많은 추가 작업/유지관리 1. 본인 컨셉과 기기컨셉과 적합하지 않음 - 참가자들은 기기가 자신보다 다른 유형의 사람들에게 더 유용할 것이라 생각
 예를 들어, 다이어터/운동선수/노인 같이 극심한 건강상의 필요를 가진 사람
  • 9. Results 2. 수집된 데이터가 유용하지 않음 - 수집된 데이터가 제공하는 정보의 수준에 관심이 없다.
 : 페달 수, 스텝 수 는 흥미로운 정보가 아님 - 가장 유용다고 생각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음
 : 94Fify 농구/ Babolat 테니스 라켓 센서 - 후프에 넘어간 공의 수를 제공하지 않음
 : Fitfit - 윗몸 일으키기 수가 아닌 식단, 숙면, 단백질 종류 등이 제공되길 원함 - 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정보 제공 - 참여자들의 데이터 처리 및 해석 능력의 부족
 : 제공된 데이터를 가지고 무엇을 해야할지 모름
 : 데이터 해석을 돕는 온라인/의료 전문가들을 이용하려는 시도 조차 하지 않음 - 참가자들은 사용자 행동을 정량화하는 것에 관심이 없음.
 : 그 숫자를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를 알고 싶어했다. - 실행 가능한 정보를 제공 받길 원함
  • 10. Results 3. 너무 많은 추가 작업/유지 관리 - 기기 사용을 위해 필요한 사전 추가 작업
 : 삼성 기어 핏 스마트 시계 전화 제어만을 위해, 충전/손목 착용/블루투스 페어링 - 높은 유지 보수
 : 빠른 배터리 소모로 잦은 기기 충전 -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지 않은 사용
 : 기기 사용을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 
 (수면 추적을 위한 tapping, 기기 착용 습관 ‘습관이 되도록 나를 훈련시킬 인내심이 없다.’) - 불편한 기기 착용감
 - 위의 단점에 노력을 더욱 기울리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만큼의 노력을 투자할 만큼의 유용성, 가치, 이점이 없기 때문에 기기 사용을 중단. 그 외 - 다중 기기 유지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
 : 여러 기기 관리/개입/책임에 대한 부담
  • 11. Results 사용하는 이유? - 2달 후, 사용을 지속하는 참여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을 중단한 사용자들에게 답변 보완 유용성 - Major 혜택 : 건강 습관 개선, 체력 증진, 건강 향상 (루모백을 통한 자세 교정) - Minor 혜택 : 기기 미착용임에도 건강과 체력에 신경을 씀(계단 이용) - Momentary small 혜택 : 높은 목표 설정으로 인한 순간적 체력 증진 및 신체 활동 인식의 증가 - ‘non-smart’ 혜택 : 스마트기기를 시계로 사용(대신 스마트 기능은 사용하지 않음) 호기심과 참신함 - 기기의 참신함과 기기 및 데이터에 대한 호기심은 참가자들이 기기 사용을 시작하도록 하는 동기 - 처음 새로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즐거움 경험 - 그러나, 후엔 새로움 감소와 기기 유지관리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사용 빈도수가 낮아지고 
 어느 정도 지나면 어떤 데이터가 생성될지 대충 짐작이 가능해져 기기 사용의 흥미를 잃음
  • 12. Results 잠재적 사용 희망 - 기기의 현재 능력이 기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언젠가 확장될 것이라는 희망 - 미래 이익에 대한 기대로 유용하지 않은 데이터, 흥미롭지 않은 기기 사용임에도 사용 빈도 증가 -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 기기는 덜 선호 -> 정확성 중요 일상적인 사용 방법 개발 - 습관적으로 기기 사용 -> 한번 기기를 사용하면 계속 사용할 기능성도 암시 - 13개의 활동 추적기 중 6개는 사용 : Misfit Shine (매우 낮은 유지 보수) - 스마트 시계보다 눈에 띄지 않는 활동 추적기 사용(충전, 작은 부피)
  • 13. Discussion 사용자 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한 방법 - 일상생활에서의 사용을 높임 : 사용자 기존 생황 방식을 따름, 일상생활 사용 방법 개발 - 유지 보수 최소화 : 최소 충전, 단일 장치 사용을 위해 한 장치에 더 많은 기능을 탑재 - 아이덴티티 형성 : 기기 특성과 생활 방식, 개념, 언어, 이미지가 맞는 사용자에게 제시 사용자 동기 부여 - 기기로부터 얻는 최소한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편안함이나 편리함을 희생하기를 꺼려 함 - 데이터를 찾고, 해석, 실행 계획을 세우는데 저조한 의욕 - 사용자의 언어 사용 : 원시 데이터보다 사용자 용어, 언어를 사용하여 요악(보고서 카드) - 능동적인 피드백 : 적극적인 노티피케이션 - 사용자 코칭 : 사용자 목표 달성 방법부터 시작까지 각 단계에 따른 피드백 제공 - 개인화된 기록 : 각 사용자 개인 기록에 맞게 제공되는 정보 및 시스템 - 현실적인 동기 부여 : 보상 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확률로 제시) 단기 사용자의 포기에 대한 재정의 - 단기적 사용으로도 많은 혜택을 경험하기 때문에 기기 사용 중단이 포기를 의미하지 않는다. - 호기심 만족 / 일상 생활에서의 사용 - 스마트 기기의 단기간 개입 방식 고려 (환경적, 윤리적 측면으로 책임있는 방식 검토)
  • 15. • 사용자가 노력을 투자할만큼의 유용성, 가치, 이점이 있어야 한다. • ‘사용자들에게 줄 수 있는 장기적 혜택은 무엇을까?’
 현재 방치되어있는 스피커는 ‘non-smart’기기로 사용(스피커)
 사용자들에게 스마트한 가치와 장기적인 사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 고민
 Major, Minor, Momentary small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들이 왜 스마트 
 스피커를 이용하는지에 대핸 이해가 필요. • 사용자들에게 호기심과 참신함을 주는 요소들 고려
 -> 대화/ 알쓸신잡/ 퍼소나 등 • 사용자들의 생활 습관 행태를 분석
 최소한의 노력, 자연스러운 사용이 필요 Take a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