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21 산학협력프로젝트
LINKU 팀 발표
팀장 김하정
팀원 김병수
팀원 고태욱
팀원 박성진
팀원 허세봉
목차
1. 문제
2. 최초 해결 아이디어
3. 협력 스타트업 소개
4. 고객 검증
5. 스타트업 미팅
6. 개선 사항
7. 최종 결과
8. 향후 활용 방안
1. 문제
● 고객 관찰
연간 약 2000명이 천식으로 사망하고 있을 정도로 만성 호흡기질로 인한 사망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천식 환자의 천식 치료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음
● 고객 문제
천식 환자 스스로 본인의 호흡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해당 자료를 보기 쉽도록
가시화하는 것이 필요함
2. 최초 해결 아이디어
환자들이 복용해야 하는 약에 대한 알림을 설정할 수 있고
넥밴드를 이용하여 심장과 호흡에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상상황 발생 시 환자 및 보호자에게 알림이 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의사가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앱 제작
3. 협력 스타트업 소개
링크페이스
웨어러블 / 전도성
실리콘 관련 스타트업
청력 손상 방지 헤드폰
& 넥밴드로 CES 수상
4. 고객 검증
● 1차 고객 검증
넥밴드와 1차 프로토타입을 선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다수 얻었음.
고객 타겟팅 부족. 그로인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부가적인 기능 부족으로 앱을
깐다는 사실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음. 약 알람에 대해선 긍정적인 반응 획득
4.1 추가된 프로토타입 기능
보호자 기능
추가 및
이상신호에 대한
팝업 알람 저장,
캘린더 기능으로
이상 신호 저장
및 수기로 작성
기능 추가
이상신호에 대한
호흡 / 심장
그래프 확인 및
저장.
자동으로
저장되어
이상신호를
환자와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
4. 고객 검증
● 2차 고객 검증
캘린더 기능추가, 수기 기록 기능 추가, 넥밴드에서 기록 자동화, 그래프 기능 추가
등 다양한 기능 추가와 중증 천식환자라는 명확한 타게팅을 함.
전체적인 기능 개선(특히 캘린더 기능)과 중증 환자에게의 필요성에서 긍정적인
반응 획득
5. 스타트업 미팅
● 1차 스타트업 미팅
응급상황을 알리는 기능은 틀렸을 때의 위험도가 너무 높음.
천식환자는 매일 증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조사할 필요가 있음.
● 2차 스타트업 미팅
캘린더 뷰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얻음.
비정형화된 데이터 중 핵심 지표가 무엇일 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음.
6. 개선 사항
핵심지표가 정해져 있지 않은것 같다는 스타트업 미팅 결과를 통해 핵심 지표를
‘심장과 호흡에서의 이상 파형 측정 및 기록’으로 변환함. 이를 위해 이상신호는
사용자에게 더블 체크를 진행함.
심박이라는 표현이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에 (심박은 단순하게 측정 가능하며
노이즈가 많아 이상 신호를 측정하겠다는 목표와는 다름) 그 표현의 변경을 진행함.
넥밴드에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으므로, 이 많은 데이터들을 가지고
천식 환자와 의사들에게 유의미한 지표를 만들어 내는 것에 대하여 좀 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음.
7. 최종결과
최종 프로토타입
최종 스타트업 미팅에 따라 중요하지 않은 지표인 심박에서
심장으로 그래프 라벨 변경.
사용자에게 비이상 호흡 그래프 내용을 전달하고
더블 체크과정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여
비이상적 호흡을 측정하는데 핵심 지표를 두었음.
8. 향후 활용 방안
산학협력프로젝트 고객 인터뷰 시 사용했던 질문을 활용하여 후에 필드 리서치 시
질문 사항을 정리할 예정
후에 캘린더, 약 복용 알람, 디자인 등 부가적인 기능과 앱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B2C 사업시에 활용하여 개발할 예정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Linku final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Chiweon Kim
 
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
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
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Myuserable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Myuserable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Kim Taesook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Yoojung Kim
 
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
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
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
Chiweon Kim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Hyunjeong Lee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
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
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
Ji Song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Chiweon Kim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K data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Similar to Linku final (20)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 효용과 동향 소개
 
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
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
design dive 2020_1팀 최종발표 - 종합병원을 찾은 고령자가 진료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어떻게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을까?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Prescribing Lifestyle Data: Exploring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a Mobile ...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Quantified-Patient: 데이터가 매개하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Know Your Patient through Data!
 
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
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
의료에서의 인공지능 정리 파일 김치원 V5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More than Telemonitoring [JMIR2015]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 한국디자인진흥원
 
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
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
The Quantified Patient in the Doctor's Office: Challenges & Opportunities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51022 디지털 헬스케어 임상시험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 심포지엄 v4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2016 데이터 그랜드 컨퍼런스] 3 3(io t). 메디플러스-phr 데이터를 활용한 환자건강관리서비스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Linku final

  • 1. 2021 산학협력프로젝트 LINKU 팀 발표 팀장 김하정 팀원 김병수 팀원 고태욱 팀원 박성진 팀원 허세봉
  • 2. 목차 1. 문제 2. 최초 해결 아이디어 3. 협력 스타트업 소개 4. 고객 검증 5. 스타트업 미팅 6. 개선 사항 7. 최종 결과 8. 향후 활용 방안
  • 3. 1. 문제 ● 고객 관찰 연간 약 2000명이 천식으로 사망하고 있을 정도로 만성 호흡기질로 인한 사망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천식 환자의 천식 치료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음 ● 고객 문제 천식 환자 스스로 본인의 호흡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없으며 해당 자료를 보기 쉽도록 가시화하는 것이 필요함
  • 4. 2. 최초 해결 아이디어 환자들이 복용해야 하는 약에 대한 알림을 설정할 수 있고 넥밴드를 이용하여 심장과 호흡에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이상상황 발생 시 환자 및 보호자에게 알림이 가 빠르게 대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의사가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앱 제작
  • 5. 3. 협력 스타트업 소개 링크페이스 웨어러블 / 전도성 실리콘 관련 스타트업 청력 손상 방지 헤드폰 & 넥밴드로 CES 수상
  • 6. 4. 고객 검증 ● 1차 고객 검증 넥밴드와 1차 프로토타입을 선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다수 얻었음. 고객 타겟팅 부족. 그로인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부가적인 기능 부족으로 앱을 깐다는 사실에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음. 약 알람에 대해선 긍정적인 반응 획득
  • 7. 4.1 추가된 프로토타입 기능 보호자 기능 추가 및 이상신호에 대한 팝업 알람 저장, 캘린더 기능으로 이상 신호 저장 및 수기로 작성 기능 추가 이상신호에 대한 호흡 / 심장 그래프 확인 및 저장. 자동으로 저장되어 이상신호를 환자와 의사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함.
  • 8. 4. 고객 검증 ● 2차 고객 검증 캘린더 기능추가, 수기 기록 기능 추가, 넥밴드에서 기록 자동화, 그래프 기능 추가 등 다양한 기능 추가와 중증 천식환자라는 명확한 타게팅을 함. 전체적인 기능 개선(특히 캘린더 기능)과 중증 환자에게의 필요성에서 긍정적인 반응 획득
  • 9. 5. 스타트업 미팅 ● 1차 스타트업 미팅 응급상황을 알리는 기능은 틀렸을 때의 위험도가 너무 높음. 천식환자는 매일 증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조사할 필요가 있음. ● 2차 스타트업 미팅 캘린더 뷰를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얻음. 비정형화된 데이터 중 핵심 지표가 무엇일 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음.
  • 10. 6. 개선 사항 핵심지표가 정해져 있지 않은것 같다는 스타트업 미팅 결과를 통해 핵심 지표를 ‘심장과 호흡에서의 이상 파형 측정 및 기록’으로 변환함. 이를 위해 이상신호는 사용자에게 더블 체크를 진행함. 심박이라는 표현이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에 (심박은 단순하게 측정 가능하며 노이즈가 많아 이상 신호를 측정하겠다는 목표와는 다름) 그 표현의 변경을 진행함. 넥밴드에서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많으므로, 이 많은 데이터들을 가지고 천식 환자와 의사들에게 유의미한 지표를 만들어 내는 것에 대하여 좀 더 고민해봐야 할 것 같음.
  • 11. 7. 최종결과 최종 프로토타입 최종 스타트업 미팅에 따라 중요하지 않은 지표인 심박에서 심장으로 그래프 라벨 변경. 사용자에게 비이상 호흡 그래프 내용을 전달하고 더블 체크과정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여 비이상적 호흡을 측정하는데 핵심 지표를 두었음.
  • 12. 8. 향후 활용 방안 산학협력프로젝트 고객 인터뷰 시 사용했던 질문을 활용하여 후에 필드 리서치 시 질문 사항을 정리할 예정 후에 캘린더, 약 복용 알람, 디자인 등 부가적인 기능과 앱의 전체적인 프레임을 B2C 사업시에 활용하여 개발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