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구미경실련-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 ❸인동동․진미동>



   구미경실련은 풀뿌리시민운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자 <구미경
 실련-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을 기획했다. 시민
 운동의 정체성에 걸맞은 ‘저예산’을 기본으로, 주민 편의시설 확충과 주
 민 밀착형 복지기반 확충 중심의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의 대안을 발
 굴해 구미시에 제안하는 활동이다.
   선산읍과 도량동에 이은 세 번째 탐사지역은 인동동․진미동이다. 인동
 동은 기초생활 수급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고, 진미동은 원룸 세대 비중
 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진미동 13,980세대(21,575명) 중 무려 49.4%
 인 6,912세대가 원룸에 살고 있다. 인동동․진미동 탐사활동의 자료조사
 업무는 구미시 총무과 시정계 대외협력팀 최연호 주사보가 지원했다.




   첨단 산업도시 자부하는 구미시에 조각공원 하나 없어…
   부지 매입비와 조경비용이 필요 없는 데다 접근성 만점…
        구미시, 공원 정책에도 다양성 개념 도입해야




 인동동과 진미동을 가르는 도시 중심 대로변 양쪽 완충녹지 구간(편도
1,550m)에 대왕참나무 숲이 잘 조성돼(2007.11.12∼2009.11.25) 있다. 이




                        - 1 -
곳에 조각공원을 만들면 저예산으로(부지매입비와 조경비용이 필요 없음) 숲
의 가치와 활용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원평시설녹지에 많은 예산을 들여
조경을 했지만 접근성이 떨어져 활용도가 미미한데 비해, 인동 도시 숲은
‘볼거리’만 보완하면(현재 벤치 밖에 없음) 접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활용도
를 극대화할 수 있다. 조각 작품뿐만 아니라, 주민들과 협의해 대중성 있는
시비, 대구 두류공원처럼 인동지역 또는 구미지역 역사인물 흉상을 함께 전
시하면 볼거리가 많아질 것이다. 지역 조각예술계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이웃 김천시엔 별도의 조각공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지공원에 많은 조
각 작품과 시비를 들여놓고 있다. 구미시는 도립공원인 금오산에서조차 조각
작품을 볼 수 없는 실정이며, 최근 들어 동락공원에서 약간이나마 눈에 띄는
정도이다. 구미시의 공원 조성 사업은 천편일률적으로 체육시설 중심에다 조
경과 어린이시설로 구성된 ‘붕어빵 공원’을 양산하는 모습이다. 그 많은 어린
이공원에 조각 작품이나 시비 하나씩이라도 세웠더라면, 구미시 공원의 얼굴
이 달라졌을 것이다. 인동 도시 숲에 조각공원을 조성하는 것을 계기로, 구
미시의 공원 정책에도 다양성이 도입되길 주문한다.




 인동 여론주도층이 구미시를 원망하는 두 가지가 바로 강동문화복지회관
입지선정 잘못과 인동 원도심 지역의 유일한 공원부지(드림뷰아파트앞)를 풀
었다는 점이다. 특히 강동문화복지회관은 2006년 구미경실련의 제안으로 인
사모(인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가 주축이 돼 주민 2만여 명이 참여한
청원운동의 결과이기에, 관심과 불만이 더욱 큰 현안이다.


 칠곡군과 구미시 경계 지점(구포동 산18/6만8천㎡/시유지 절반, 나머지 보
상금액 50억원, 현재 85% 보상, 연내 보상 완료계획)인 외곽지 산자락 입지
선정은, 접근성과 활용도가 떨어지면서 예산낭비 논란으로 이어질 것이다.
대구시 달서구의 달서구첨단문화회관 재판이 될 것이다.


 이달에 착공하는 인동동사무소 신축부지(인의동 산39 외 6필지/6만4천㎡)


                    - 2 -
에 계획한 (가칭)국민체육센터(1만1천㎡)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예산지원이
불가함에 따라 달리 대체 방안이 없는 공터로 방치될 상태인데, 이곳에 강동
문화복지회관을 건립하는 게 구미시가 두고두고 원망을 받지 않는 길이다.
대단위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인 데다, 인동지역에서 가장 큰 도심공원인 구
평공원(14,749㎡)에 강동문화복지회관을 건립하는 것도 검토해볼만하다.




 주5일 수업제 2012년 전면시행이 최근 발표되면서 구미시에서도 대책 마
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수급자 1위, 원룸 1위’가 상징하듯이 저소득층이
밀집한 인동․진미동에 우선적인 관심이 모아져야할 것이다.


 인동․진미동은 도시환경 측면에서 토지구획정리사업 애초부터 잘못된 점이
너무 많은 지역이다. 도로로 복개해 도심 하천을 없앴고, ‘원룸 특별시’에다
도심 공원이라고는 손바닥만 한 쌈지공원(어린이공원) 뿐이어서 공공건물이
들어설 부지가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활용 가능한 인동도서관 뒤편 주차장
(형곡동 본관보다 주차장 면적이 훨씬 넓어서 축소해도 무리가 없다.)에 청
소년체육문화센터를 만들어 인동․진미동지역 청소년 거점공간으로 제공하자.
‘도서관+청소년문화의집’으로 구성한 상모사곡동의 구미청소년도서관처럼,
인동도서관에 청소년체육문화센터를 결합하면 상승효과가 매우 클 것이다.




 천생산 산림욕장은 접근성과 시설, 관리 상태가 우수해 활용도가 높다. 주
민들이 아쉬워하는 것은 체육활동 공간과 시설이 없다는 점이다.(주민들이
바라는 바베큐 시설은 공원법상 불가) 현재 주차장 두 곳만 있는 상태인데,
아래 주차장 바로 밑 계곡의(마차골) 배나무 밭과 경작하지 않는 다랑이 논
(1만㎡=농수산부 국유지 3,656㎡, 나머지 사유지) 일부를 매입해 족구장, 배
구장,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등을 조성하면 활용도가 배가될 것이다.




                     - 3 -
산림욕장 입구 천생산 주차장 밑 저수지(구평동 2-1번지 외 1/5,031㎡/사
유지)는 천생산 입구에 위치해 있어, 등산객들의 상쾌함을 자극할 수 있는
연지나 수변경관을 만들기에 적합한 곳이다.




 부영아파트 5, 6, 8단지와 천생중학교, 구평남부초등학교에 둘러싸인 직사
각형(172m×85m) 모양의 구평공원(구평동 474-3/14,749㎡)은 인동지역에
서 가장 큰 도심공원이다. 그런데 직사각형 길이가 긴 한 측면에 나란히 있
는 초․중학교의 운동장을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동 지역에서 유일
하게 큰 규모의 도심공원을 운동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주민들이 주로 운동
하는 시간은 학생들 등교시간 이전과 이후이기 때문에 공원 부지는 체육시
설이 아닌 다른 편의시설로 활용하는 게 상식일 텐데, 금싸라기 같은 공원
부지를 허비하고 있는 셈이다.


 공원 하단부의 콘크리트 배드민턴장만 남기고, 핸드볼장이 있는 상단부
2/3에 평탄 작업을 한 후 구미에 하나도 없는 음악분수를 설치하고, 음악분
수 주변에 느티나무 같은 낙엽활엽수를 심어 열주 모양의 숲을 만들고, 숲
안에 좌석 테이블을 다량 배치해 간식과 음악분수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구
미시의 첫 번째 피크닉(소풍) 공원으로 리모델링하자. 국내의 대표적인 벤치
마킹 음악분수는 서울의 예술의전당 음악분수이다. 당시 예술의전당 사장이
직접 이탈리아로 날아가 벤치마킹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3.1운동 기념공원 조성은 인동주민들의 숙원사업이지만, 부지매입비 때문
에 추진이 안 되고 있다. 접근방법을 바꿔, 현재 대형 태극기가 설치된 곳에
(진평동 산 8-2/13,488㎡/인동장씨남산파종중 소유) 기념탑이나 동상을 먼
저 세우는 게 공원조성을 보다 앞당길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소유주
동의서를 받으면 부지 매입비 없이 기념탑이나 동상을 쉽게 건립할 수 있다.




                     - 4 -
태극기 주변엔 묘목장이 있어서 참나무 몇 그루만 잘라내면 조망이 확보
되기 때문에, 산림훼손도 문제가 될 정도가 아니다. 주민들이 구미시에 협의
를 요청해, 인동동사무소 매각대금(감정가 65억원)의 일부를 기념탑(동상)
건립비용으로(참조=박정희동상건립비 6억원) 사용하는 것도 재원 마련의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상징성부터 확보해놓으면 부지매입은 앞당겨질 것이다.


 인동주민들은 매각을 전제로 동사무소 이전에 동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쪽에선 매각에 따른 대체보상을 바라는 분위기인데, 동사무소 매각대금 일부
를 3.1운동 기념탑(동상) 건립비로 지원하는 문제는 민원해소와 숙원사업 지
원이라는 이중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에 구미시로서도 검토해볼만한 일이다.




 인동 주민들은 사설주차장으로 임대하고 있는 우체국 뒤편 재경부 국유지
(황상동 311-1/1,655㎡)를 구미시가 용도(현재 상업용지)를 변경해(2014년
도시계획 변경 예정, 도지사 승인사항) 공시지가를(현재 1㎡당 111만원) 낮
춘 후, 구미시가 매입하거나 임대해 공영주차장으로 운영해주길 바라고 있
다. 한쪽에선 이 민원을 들어주면 동사무소 매각에 동의한다는 분위기이다.




 인동도서관 뒤편 진입로에서 산을 넘어 3공단 대성산업가스 사이 임도 공
사가 몇몇 지주의 동의를 받지 못해 작년부터 중단돼 있는데, 조속한 마무리
를 통해 자전거 출퇴근용으로 활용하자는 주민들의 요구가 있다. 그러나 갈
지자형 선형 개량공사를 통한 안전성을 보강하지 않으면 위험한 구간이다.




 구미대교부터 시작되는 인동 진입 공단대로변 매그나칩 반도체∼LG디스플
레이∼LG실트론∼델코 간 공장담장엔 장미꽃이 만개해 밝고 화사한 분위기




                     - 5 -
를 연출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그 반대편 공장담장엔 녹색 산울타리 일
색이다. 개나리나 장미 등 공장의 회색 분위기를 밝게 바꿔주는 꽃담장을 조
성, 공장담장 녹화에도 구간별 통일성을 기하자. 성남시의 한 동사무소는 상
습 쓰레기 불법투기 지역에 꽃담장과 타일벽화 화단을 설치해, 무단투기 근
절에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한다. 공장담장 옹벽엔 담쟁이덩굴을 입히자.




 구평공원 앞 좌우 부영아파트 대단지 사이에 300여m나 되는 ‘차 없는 거
리’가(소로1-28/폭 10m) 있다. ‘숨겨진 보물’ 같다. 이 소로와 큰 도로 사이
160여m(소로1-29/폭 10m), 천생초등학교와 부영아파트 사이 169m(소로
1-25/폭 10m)도 ‘구미에서 유일한 차 없는 거리’이다. 300여m 소로에 메타
세쿼이아가 두 줄로 심어져 있으나 수형이 왜소하다. 아파트 담장에 큰키나
무를 심어 보완함으로써 시원한 녹색 터널을 만들고, 소로 가운데 부분에 실
개천을 만들어 구평공원과 연결하면 공원 확장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2)도량동> 발표 후 이를 구
체화하는 과정에서 구미경실련이 제안하고, 도량동사무소와 금오종합사회복
지관, 구미시니어클럽이 공동으로 주최한 ‘도량주민 나눔리더십 아카데미’가
호평 속에 1기 수료식을 가졌다. 구미경실련이 주민밀착형 복지행정 구현을
위해 제안한 ‘도량동 복지네트워크 구축’이 구체화돼가는 출발이다.


 동사무소는 30명의 통장들을 참가자로 모으고, 두 복지기관은 프로그램을
만들고 무료강사로 참여함으로써 자원봉사자를 발굴하고, 복지기관-동사무소
/복지기관-복지기관/복지기관-주민 간의 네트워크(망)를 확대해가는 과정이
다. 인동․진미동사무소와 구미종합사회복지관이 도량동의 사례를 벤치마킹하
거나, 자체 아이디어로 인동지역 복지 네트워크 구축에 힘써주기를 바란다.


             구미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6 -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kjymn4908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kjymn4908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kjymn4908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kjymn4908
 
Tweets, Likes & Blogs 06.14.11
Tweets, Likes & Blogs 06.14.11Tweets, Likes & Blogs 06.14.11
Tweets, Likes & Blogs 06.14.11
Maureen Hall
 
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
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
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
PRIMA TERRA
 
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
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
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
PRIMA TERRA
 
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
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
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
PRIMA TERRA
 
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
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
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
PRIMA TERRA
 
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
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
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
PRIMA TERRA
 
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
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
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
PRIMA TERRA
 
The social life of healthcare
The social life of healthcareThe social life of healthcare
The social life of healthcare
Maureen Hall
 
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
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
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
Maureen Hall
 
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
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
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Milagro Queralez
 
Dolorees
Dolorees Dolorees
Dolorees
marietaruiz799
 
Teoria vespertino 2012
Teoria vespertino 2012Teoria vespertino 2012
Teoria vespertino 2012Jorge Mendes
 

Viewers also liked (20)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1학기기말 인터(10대뉴스)
 
Tweets, Likes & Blogs 06.14.11
Tweets, Likes & Blogs 06.14.11Tweets, Likes & Blogs 06.14.11
Tweets, Likes & Blogs 06.14.11
 
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
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
Présentation Collectif Ville Campagne atelier 2 masterclass up'design - juill...
 
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
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
ESPACES #HYBRIDES présentation Niort Numeric mars 2016
 
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
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
FOCUS Espaces Verts et Environnement - Ville de Nantes
 
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
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
Synthèse de la note d'intention du colloque de Villejuif du 28 mai 2016
 
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
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
FOCUS Métier de l'Up'designer - Effervescence Boris Le Floch
 
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
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
Présentation Le Jardin Public - CRIJ Poitiers
 
The social life of healthcare
The social life of healthcareThe social life of healthcare
The social life of healthcare
 
101 presentation
101 presentation101 presentation
101 presentation
 
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
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
DMAX Clubs: Creating Conversations that Matter
 
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
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
Galeria de Fotos de Rosa Queralez.
 
Dolorees
Dolorees Dolorees
Dolorees
 
Teoria vespertino 2012
Teoria vespertino 2012Teoria vespertino 2012
Teoria vespertino 2012
 
Porta folio eliza g 2014
Porta folio eliza g 2014Porta folio eliza g 2014
Porta folio eliza g 2014
 
555
555555
555
 
Synapse 2012
Synapse 2012Synapse 2012
Synapse 2012
 

Similar to 구미경실련 성명서= 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

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
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
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
ChunTaek Jeong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seekly
 
Sample
SampleSample
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
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
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
재근 황
 
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
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
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
Jaechan Yang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한국내셔널트러스트 한국내셔널트러스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JONGNO-GU Office
 
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서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Kyunghyun Kim
 

Similar to 구미경실련 성명서= 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 (10)

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
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
광교 종합가이드북 131128 저용량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경남지역의 도시숲 분석과 정책방안 연구 B5용지
 
Sample
SampleSample
Sample
 
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
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
서비스디자인 11월 16일
 
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
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
어반소사이어티 워크샵_성덕정길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모두의 발자국으로 만드는 방방곡곡 환경정의 투어개발 자료집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한국내셔널트러스트 2013 연간보고서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종로사랑 2013년 12월호
 
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2014.03 서울사랑
2014.03 서울사랑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2016 서울그린트러스트 애뉴얼리포트
 

More from CCEJ

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
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
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CCEJ
 
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
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
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
CCEJ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CCEJ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CCEJ
 
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
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
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
CCEJ
 
(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
(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
(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CCEJ
 

More from CCEJ (6)

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
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
구미경실련 성명서(110)= 해평 철새 서식처 하중도 유실 대책 시급
 
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
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
민선5기1주년평가결과보도자료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지방자치단체관사이용실태분석
 
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
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
성명서 충청권철도관련도시철도중단촉구
 
(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
(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
(06.17)대경연구원장 선임관련 성명
 

구미경실련 성명서= 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

  • 1. ■<구미경실련-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 ❸인동동․진미동> 구미경실련은 풀뿌리시민운동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자 <구미경 실련-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을 기획했다. 시민 운동의 정체성에 걸맞은 ‘저예산’을 기본으로, 주민 편의시설 확충과 주 민 밀착형 복지기반 확충 중심의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의 대안을 발 굴해 구미시에 제안하는 활동이다. 선산읍과 도량동에 이은 세 번째 탐사지역은 인동동․진미동이다. 인동 동은 기초생활 수급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고, 진미동은 원룸 세대 비중 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진미동 13,980세대(21,575명) 중 무려 49.4% 인 6,912세대가 원룸에 살고 있다. 인동동․진미동 탐사활동의 자료조사 업무는 구미시 총무과 시정계 대외협력팀 최연호 주사보가 지원했다. 첨단 산업도시 자부하는 구미시에 조각공원 하나 없어… 부지 매입비와 조경비용이 필요 없는 데다 접근성 만점… 구미시, 공원 정책에도 다양성 개념 도입해야 인동동과 진미동을 가르는 도시 중심 대로변 양쪽 완충녹지 구간(편도 1,550m)에 대왕참나무 숲이 잘 조성돼(2007.11.12∼2009.11.25) 있다. 이 - 1 -
  • 2. 곳에 조각공원을 만들면 저예산으로(부지매입비와 조경비용이 필요 없음) 숲 의 가치와 활용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원평시설녹지에 많은 예산을 들여 조경을 했지만 접근성이 떨어져 활용도가 미미한데 비해, 인동 도시 숲은 ‘볼거리’만 보완하면(현재 벤치 밖에 없음) 접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활용도 를 극대화할 수 있다. 조각 작품뿐만 아니라, 주민들과 협의해 대중성 있는 시비, 대구 두류공원처럼 인동지역 또는 구미지역 역사인물 흉상을 함께 전 시하면 볼거리가 많아질 것이다. 지역 조각예술계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이웃 김천시엔 별도의 조각공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지공원에 많은 조 각 작품과 시비를 들여놓고 있다. 구미시는 도립공원인 금오산에서조차 조각 작품을 볼 수 없는 실정이며, 최근 들어 동락공원에서 약간이나마 눈에 띄는 정도이다. 구미시의 공원 조성 사업은 천편일률적으로 체육시설 중심에다 조 경과 어린이시설로 구성된 ‘붕어빵 공원’을 양산하는 모습이다. 그 많은 어린 이공원에 조각 작품이나 시비 하나씩이라도 세웠더라면, 구미시 공원의 얼굴 이 달라졌을 것이다. 인동 도시 숲에 조각공원을 조성하는 것을 계기로, 구 미시의 공원 정책에도 다양성이 도입되길 주문한다. 인동 여론주도층이 구미시를 원망하는 두 가지가 바로 강동문화복지회관 입지선정 잘못과 인동 원도심 지역의 유일한 공원부지(드림뷰아파트앞)를 풀 었다는 점이다. 특히 강동문화복지회관은 2006년 구미경실련의 제안으로 인 사모(인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가 주축이 돼 주민 2만여 명이 참여한 청원운동의 결과이기에, 관심과 불만이 더욱 큰 현안이다. 칠곡군과 구미시 경계 지점(구포동 산18/6만8천㎡/시유지 절반, 나머지 보 상금액 50억원, 현재 85% 보상, 연내 보상 완료계획)인 외곽지 산자락 입지 선정은, 접근성과 활용도가 떨어지면서 예산낭비 논란으로 이어질 것이다. 대구시 달서구의 달서구첨단문화회관 재판이 될 것이다. 이달에 착공하는 인동동사무소 신축부지(인의동 산39 외 6필지/6만4천㎡) - 2 -
  • 3. 에 계획한 (가칭)국민체육센터(1만1천㎡)가 국민체육진흥공단의 예산지원이 불가함에 따라 달리 대체 방안이 없는 공터로 방치될 상태인데, 이곳에 강동 문화복지회관을 건립하는 게 구미시가 두고두고 원망을 받지 않는 길이다. 대단위 아파트 단지에 둘러싸인 데다, 인동지역에서 가장 큰 도심공원인 구 평공원(14,749㎡)에 강동문화복지회관을 건립하는 것도 검토해볼만하다. 주5일 수업제 2012년 전면시행이 최근 발표되면서 구미시에서도 대책 마 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수급자 1위, 원룸 1위’가 상징하듯이 저소득층이 밀집한 인동․진미동에 우선적인 관심이 모아져야할 것이다. 인동․진미동은 도시환경 측면에서 토지구획정리사업 애초부터 잘못된 점이 너무 많은 지역이다. 도로로 복개해 도심 하천을 없앴고, ‘원룸 특별시’에다 도심 공원이라고는 손바닥만 한 쌈지공원(어린이공원) 뿐이어서 공공건물이 들어설 부지가 없는 실정이다. 그나마 활용 가능한 인동도서관 뒤편 주차장 (형곡동 본관보다 주차장 면적이 훨씬 넓어서 축소해도 무리가 없다.)에 청 소년체육문화센터를 만들어 인동․진미동지역 청소년 거점공간으로 제공하자. ‘도서관+청소년문화의집’으로 구성한 상모사곡동의 구미청소년도서관처럼, 인동도서관에 청소년체육문화센터를 결합하면 상승효과가 매우 클 것이다. 천생산 산림욕장은 접근성과 시설, 관리 상태가 우수해 활용도가 높다. 주 민들이 아쉬워하는 것은 체육활동 공간과 시설이 없다는 점이다.(주민들이 바라는 바베큐 시설은 공원법상 불가) 현재 주차장 두 곳만 있는 상태인데, 아래 주차장 바로 밑 계곡의(마차골) 배나무 밭과 경작하지 않는 다랑이 논 (1만㎡=농수산부 국유지 3,656㎡, 나머지 사유지) 일부를 매입해 족구장, 배 구장, 배드민턴장, 게이트볼장 등을 조성하면 활용도가 배가될 것이다. - 3 -
  • 4. 산림욕장 입구 천생산 주차장 밑 저수지(구평동 2-1번지 외 1/5,031㎡/사 유지)는 천생산 입구에 위치해 있어, 등산객들의 상쾌함을 자극할 수 있는 연지나 수변경관을 만들기에 적합한 곳이다. 부영아파트 5, 6, 8단지와 천생중학교, 구평남부초등학교에 둘러싸인 직사 각형(172m×85m) 모양의 구평공원(구평동 474-3/14,749㎡)은 인동지역에 서 가장 큰 도심공원이다. 그런데 직사각형 길이가 긴 한 측면에 나란히 있 는 초․중학교의 운동장을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동 지역에서 유일 하게 큰 규모의 도심공원을 운동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주민들이 주로 운동 하는 시간은 학생들 등교시간 이전과 이후이기 때문에 공원 부지는 체육시 설이 아닌 다른 편의시설로 활용하는 게 상식일 텐데, 금싸라기 같은 공원 부지를 허비하고 있는 셈이다. 공원 하단부의 콘크리트 배드민턴장만 남기고, 핸드볼장이 있는 상단부 2/3에 평탄 작업을 한 후 구미에 하나도 없는 음악분수를 설치하고, 음악분 수 주변에 느티나무 같은 낙엽활엽수를 심어 열주 모양의 숲을 만들고, 숲 안에 좌석 테이블을 다량 배치해 간식과 음악분수를 함께 즐길 수 있는, 구 미시의 첫 번째 피크닉(소풍) 공원으로 리모델링하자. 국내의 대표적인 벤치 마킹 음악분수는 서울의 예술의전당 음악분수이다. 당시 예술의전당 사장이 직접 이탈리아로 날아가 벤치마킹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3.1운동 기념공원 조성은 인동주민들의 숙원사업이지만, 부지매입비 때문 에 추진이 안 되고 있다. 접근방법을 바꿔, 현재 대형 태극기가 설치된 곳에 (진평동 산 8-2/13,488㎡/인동장씨남산파종중 소유) 기념탑이나 동상을 먼 저 세우는 게 공원조성을 보다 앞당길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소유주 동의서를 받으면 부지 매입비 없이 기념탑이나 동상을 쉽게 건립할 수 있다. - 4 -
  • 5. 태극기 주변엔 묘목장이 있어서 참나무 몇 그루만 잘라내면 조망이 확보 되기 때문에, 산림훼손도 문제가 될 정도가 아니다. 주민들이 구미시에 협의 를 요청해, 인동동사무소 매각대금(감정가 65억원)의 일부를 기념탑(동상) 건립비용으로(참조=박정희동상건립비 6억원) 사용하는 것도 재원 마련의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상징성부터 확보해놓으면 부지매입은 앞당겨질 것이다. 인동주민들은 매각을 전제로 동사무소 이전에 동의했음에도 불구하고 한 쪽에선 매각에 따른 대체보상을 바라는 분위기인데, 동사무소 매각대금 일부 를 3.1운동 기념탑(동상) 건립비로 지원하는 문제는 민원해소와 숙원사업 지 원이라는 이중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에 구미시로서도 검토해볼만한 일이다. 인동 주민들은 사설주차장으로 임대하고 있는 우체국 뒤편 재경부 국유지 (황상동 311-1/1,655㎡)를 구미시가 용도(현재 상업용지)를 변경해(2014년 도시계획 변경 예정, 도지사 승인사항) 공시지가를(현재 1㎡당 111만원) 낮 춘 후, 구미시가 매입하거나 임대해 공영주차장으로 운영해주길 바라고 있 다. 한쪽에선 이 민원을 들어주면 동사무소 매각에 동의한다는 분위기이다. 인동도서관 뒤편 진입로에서 산을 넘어 3공단 대성산업가스 사이 임도 공 사가 몇몇 지주의 동의를 받지 못해 작년부터 중단돼 있는데, 조속한 마무리 를 통해 자전거 출퇴근용으로 활용하자는 주민들의 요구가 있다. 그러나 갈 지자형 선형 개량공사를 통한 안전성을 보강하지 않으면 위험한 구간이다. 구미대교부터 시작되는 인동 진입 공단대로변 매그나칩 반도체∼LG디스플 레이∼LG실트론∼델코 간 공장담장엔 장미꽃이 만개해 밝고 화사한 분위기 - 5 -
  • 6. 를 연출하고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그 반대편 공장담장엔 녹색 산울타리 일 색이다. 개나리나 장미 등 공장의 회색 분위기를 밝게 바꿔주는 꽃담장을 조 성, 공장담장 녹화에도 구간별 통일성을 기하자. 성남시의 한 동사무소는 상 습 쓰레기 불법투기 지역에 꽃담장과 타일벽화 화단을 설치해, 무단투기 근 절에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한다. 공장담장 옹벽엔 담쟁이덩굴을 입히자. 구평공원 앞 좌우 부영아파트 대단지 사이에 300여m나 되는 ‘차 없는 거 리’가(소로1-28/폭 10m) 있다. ‘숨겨진 보물’ 같다. 이 소로와 큰 도로 사이 160여m(소로1-29/폭 10m), 천생초등학교와 부영아파트 사이 169m(소로 1-25/폭 10m)도 ‘구미에서 유일한 차 없는 거리’이다. 300여m 소로에 메타 세쿼이아가 두 줄로 심어져 있으나 수형이 왜소하다. 아파트 담장에 큰키나 무를 심어 보완함으로써 시원한 녹색 터널을 만들고, 소로 가운데 부분에 실 개천을 만들어 구평공원과 연결하면 공원 확장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읍․면․동 찾아가는 저예산 정책발굴 탐사활동(2)도량동> 발표 후 이를 구 체화하는 과정에서 구미경실련이 제안하고, 도량동사무소와 금오종합사회복 지관, 구미시니어클럽이 공동으로 주최한 ‘도량주민 나눔리더십 아카데미’가 호평 속에 1기 수료식을 가졌다. 구미경실련이 주민밀착형 복지행정 구현을 위해 제안한 ‘도량동 복지네트워크 구축’이 구체화돼가는 출발이다. 동사무소는 30명의 통장들을 참가자로 모으고, 두 복지기관은 프로그램을 만들고 무료강사로 참여함으로써 자원봉사자를 발굴하고, 복지기관-동사무소 /복지기관-복지기관/복지기관-주민 간의 네트워크(망)를 확대해가는 과정이 다. 인동․진미동사무소와 구미종합사회복지관이 도량동의 사례를 벤치마킹하 거나, 자체 아이디어로 인동지역 복지 네트워크 구축에 힘써주기를 바란다. 구미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