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내비게이션 시스템
최현석, 홍재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학원 로봇공학전공
Development of a Surgical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Hyun Seok Choi, Jae Sung Hong*
Department of Robotic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DGIST, Daegu, Korea
*Choihs85@dgist.ac.kr
Abstract
A real-time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surgical operation. Recently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have been intensively researched for the surgical application since the
augmented reality based navigation system enables the accurate and precise surger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urgical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we developed a camera calibration and
registration technique.
연구 배경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 내비게이션을 사용하
면 피부나 다른 장기로 인하여 가려져 있는 종양
및 특정 부위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상 처리를 이용한 증강현
실 기법은 카메라와 영상처리용 특징점을 이용
하여 카메라의 상대적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가상의 물체를 카메라 영상에 나타낼 수 있다
[2]. 하지만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사용하는 수술
에서 증강 현실을 이용한 내비게이션을 사용할
때에는 영상처리용 특징점을 환자의 체내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카메라와 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
적 장치와 환자-영상 (patient-image)간의 영상
정합 정보를 사용하게 되면 영상처리용 특징점
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카메라와 환자간의 관계
를 계산해 낼 수 있다. 또한 수술용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내비게이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이 필요하다. 그리고 카메라와 환자의 관계를 알
기 위해서는 환자-영상간 영상정합 정보와 카메
라와 광학식 위치추적장치와의 관계 및 광학식
위치추적장치와 환자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3].
본 연구에서는 수술을 위한 좀 더 정밀한 증강현
실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캘리
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카메라와 환자간의 관계를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 하였으며 수술에 적합한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
영상처리용 특징점을 사용하지 않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초점과 환자 좌표계
사이의 관계를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학
식 위치추적 장치 (Polaris Spectra, NDI,
Canada)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마커
와 카메라에 부착된 마커 간의 관계를 알아내었
다.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마커는 환자-영상간
영상정합을 통해서 환자 좌표계를 기준으로 만
들 수 있다. 카메라에 부착된 마커와 카메라 내
부에 존재하는 초점과의 관계는 카메라 캘리브
레이션을 통하여 계산 되었다. 카메라 켈리브레
이션 방법을 이용하면 렌즈의 왜곡을 교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내부 파라메터를 구할 수 있다.
P-061
따라서 계산된 내부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카메
라와 체스보드 간의 정확한 관계를 도출해내었
다. 또한 광학식 위치 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체스
보드와 카메라에 부착된 마커와의 관계를 찾아
내어 카메라와 카메라 내부에 존재하는 초점과
의 관계를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
된 데이터를 자체 제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에 적용하여 수술용 내비게이션을 위한 증강현
실을 구현하였다.
그림 1. 카메라 초점과 환자 좌표계의 관계
연구 결과
VTK(visualization tool kit)와 OpenCV
(computer vision)를 이용하여 자체 제작한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계산된 카메라의 초
점과 환자 사이의 관계를 대입하여 수술용 내비게
이션에 이용될 수 있는 증강현실을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광학식 위치추적 장치와 마커간의
누적 오차 및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알고리즘 개선을 통
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정밀도를 높인다면 보다 정
밀한 수술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될 것이라 기대
된다.
그림 2. 증강현실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부분적으로 의료영상기반 이비인후
과 및 신경외과 수술용 최소침습 다자유도 수
술로봇시스템 기술개발 과제(100-40097)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대구경북과학기
술원 특성화 지원 융합과학 중점센터 운영사업
(12-BD-0402) 그리고 MIREBrain 도약 프로
그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참고 문헌
[1] 서병국, 강갑철, 박종일, “컴퓨터 기반 수술
시 환부표시를 위한 직접투사형 증강현실 인터
페이스 ” , 의공학회지, vol. 28, pp. 786-790,
2007.
[2] J. Marescaux and L. Soler, “Image-Guided
Robotic Surgery“, Semin. Laparosc. Surg., vol.
11, pp. 113-122, 2004.
[3] S. Kim, J. Hong, S. Joung, A. Yamada, N.
Matsumoto, S. I. Kim, Y. S. Kim, and M.
Hashizume, “Dual surgical navigation using
augmented and virtual environment
techniques”, Int. J. Optomechatroni., vol. 5, pp.
155-169, 2011.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
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
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
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
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
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
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
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
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
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
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
Sanghyeok Park
 
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
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
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
The Innovation Lab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
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
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
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
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
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
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Viewers also liked (20)

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
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
구글은 왜 로봇업체를 인수할까 김석기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최근 주목받고 있는 딥러닝 인공지능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
국내 지능형로봇 산업의 동향과 전망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
한국로봇융합연구원 국내외로봇정책동향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글로벌 Ict사업자의 m&a 현황
 
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
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
다축제어를 이용한 모듈형 조향장치 하우징의 레이저용접에 관한 연구
 
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
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
국내 지능형 로봇 표준화 동향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로봇과 인공지능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디자인과 기술융합 (0824)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해외 지능형로봇 시장_분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진화형 지식처리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과 산업전망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지능형로봇 산업의 발전방안_final
 
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
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
국내 증강현실 시장 전망
 
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
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
2014 MIS 1. Value, Customer and Resource: Business Model & You
 
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
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
세가지 증강현실 앱의 비즈니스모델 사례 분석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Iot시대의 기회와 전략 방향
 
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
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
증강현실의 활성화 및 마케팅 전략
 
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
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
Iot 기술 등장에 따른 기업 환경변화와 경쟁우위에 대한 고찰
 
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
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
Iot 과도기에 ‘액세서리 마켓’이 매력적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Iot 애프터 시장의 출격
 

Similar t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내비게이션 시스템

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
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
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
sujin park
 
10 fingers
10 fingers 10 fingers
10 fingers
munsulee1
 
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
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
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
Joo-Haeng Lee
 
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
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
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
Joo-Haeng Lee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
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
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
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
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
Sehee Min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
Hyun Jik LEE
 
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
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
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
김 유정
 

Similar to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내비게이션 시스템 (12)

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
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
1510598 박수진 증강현실AR 리서치 보고서 0313
 
10 fingers
10 fingers 10 fingers
10 fingers
 
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
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
공간증강현실을 이용한 곡선의 디자인 (HCI Korea 2013)
 
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
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
간단한 기구부와 결합한 공간증강현실 시스템의 샘플 기반 제어 방법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재활
 
증강현실
증강현실증강현실
증강현실
 
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
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
증간현실 기반 체험형 학습모델 해외 연구 동향
 
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
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
Automatic 3d reconstruction and calibration of calf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smart주제도 생성
 
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
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
Ar 최신기술과 서비스 동향 및 전망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
증강현실의 기술원리 및 프레임워크
 
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More from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ITN 자율주행자동차,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자율주행, 과연 옳은 것인가
 
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시사이슈  전기차 C조
시사이슈 전기차 C조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기업의 공간빅데이터 활용사례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시범사업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당신이 믿는 세상과 빅데이터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보험사, 빅데이터에 답을 묻다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업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산업의 빅데이터 활용 및 이슈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과 이슈 점검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개인정보 보호와 빅데이터기술의 산업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활용 정책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기업의 빅데이터 시대 대응방향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건설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의 잠재적 가치제안
 
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9.27 빅데이터 딜레마
9.27 빅데이터 딜레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Personal 빅데이터 주요 이슈 및 기술적 대응 방안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It윤리적 클라우드 빅데이터 기술의 사업화 동향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내비게이션 시스템

  • 1.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내비게이션 시스템 최현석, 홍재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학원 로봇공학전공 Development of a Surgical Naviga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Hyun Seok Choi, Jae Sung Hong* Department of Robotics Engineering, Graduate School, DGIST, Daegu, Korea *Choihs85@dgist.ac.kr Abstract A real-time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surgical operation. Recently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have been intensively researched for the surgical application since the augmented reality based navigation system enables the accurate and precise surger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urgical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we developed a camera calibration and registration technique. 연구 배경 증강 현실을 이용한 수술 내비게이션을 사용하 면 피부나 다른 장기로 인하여 가려져 있는 종양 및 특정 부위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영상 처리를 이용한 증강현 실 기법은 카메라와 영상처리용 특징점을 이용 하여 카메라의 상대적 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가상의 물체를 카메라 영상에 나타낼 수 있다 [2]. 하지만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사용하는 수술 에서 증강 현실을 이용한 내비게이션을 사용할 때에는 영상처리용 특징점을 환자의 체내에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카메라와 환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 적 장치와 환자-영상 (patient-image)간의 영상 정합 정보를 사용하게 되면 영상처리용 특징점 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카메라와 환자간의 관계 를 계산해 낼 수 있다. 또한 수술용 내시경이나 현미경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의 내비게이션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이 필요하다. 그리고 카메라와 환자의 관계를 알 기 위해서는 환자-영상간 영상정합 정보와 카메 라와 광학식 위치추적장치와의 관계 및 광학식 위치추적장치와 환자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3]. 본 연구에서는 수술을 위한 좀 더 정밀한 증강현 실 내비게이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캘리 브레이션을 수행하고 카메라와 환자간의 관계를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 하였으며 수술에 적합한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 영상처리용 특징점을 사용하지 않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 초점과 환자 좌표계 사이의 관계를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광학 식 위치추적 장치 (Polaris Spectra, NDI, Canada)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마커 와 카메라에 부착된 마커 간의 관계를 알아내었 다.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마커는 환자-영상간 영상정합을 통해서 환자 좌표계를 기준으로 만 들 수 있다. 카메라에 부착된 마커와 카메라 내 부에 존재하는 초점과의 관계는 카메라 캘리브 레이션을 통하여 계산 되었다. 카메라 켈리브레 이션 방법을 이용하면 렌즈의 왜곡을 교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내부 파라메터를 구할 수 있다. P-061
  • 2. 따라서 계산된 내부 파라메터를 이용하여 카메 라와 체스보드 간의 정확한 관계를 도출해내었 다. 또한 광학식 위치 추적장치를 이용하여 체스 보드와 카메라에 부착된 마커와의 관계를 찾아 내어 카메라와 카메라 내부에 존재하는 초점과 의 관계를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 된 데이터를 자체 제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에 적용하여 수술용 내비게이션을 위한 증강현 실을 구현하였다. 그림 1. 카메라 초점과 환자 좌표계의 관계 연구 결과 VTK(visualization tool kit)와 OpenCV (computer vision)를 이용하여 자체 제작한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계산된 카메라의 초 점과 환자 사이의 관계를 대입하여 수술용 내비게 이션에 이용될 수 있는 증강현실을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광학식 위치추적 장치와 마커간의 누적 오차 및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알고리즘 개선을 통 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정밀도를 높인다면 보다 정 밀한 수술용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될 것이라 기대 된다. 그림 2. 증강현실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부분적으로 의료영상기반 이비인후 과 및 신경외과 수술용 최소침습 다자유도 수 술로봇시스템 기술개발 과제(100-40097)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대구경북과학기 술원 특성화 지원 융합과학 중점센터 운영사업 (12-BD-0402) 그리고 MIREBrain 도약 프로 그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음. 참고 문헌 [1] 서병국, 강갑철, 박종일, “컴퓨터 기반 수술 시 환부표시를 위한 직접투사형 증강현실 인터 페이스 ” , 의공학회지, vol. 28, pp. 786-790, 2007. [2] J. Marescaux and L. Soler, “Image-Guided Robotic Surgery“, Semin. Laparosc. Surg., vol. 11, pp. 113-122, 2004. [3] S. Kim, J. Hong, S. Joung, A. Yamada, N. Matsumoto, S. I. Kim, Y. S. Kim, and M. Hashizume, “Dual surgical navigation using augmented and virtual environment techniques”, Int. J. Optomechatroni., vol. 5, pp. 155-16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