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서밋

      2010년 3월 19일

      헬스로그 양 광 모
About Me
                             양광모 / Yang Kwangmo
                              비뇨기과 젂문의, 의학 석사
                              코리아헬스로그 편집장, 의학 저널리스트, 블로거
                              헬스 커뮤니케이터 (Health Communication)
                              대핚의사협회 지향위 기획분과, 일특위, 사이버홍보 위원
                              이주민건강협회 운영위원, 요셉의원 봉사자
                                Twitter :   @healthlog   Email :   editor@healthlog.kr
Personal History
• 1997년 모교 의과대학 홈페이지 (비공식) 1호 제작
• 1998년 – 1999년 유니텔 홈페이지 제작 동호회 w3p 부시삽
• 1998년 e-book 형태 홈페이지 매뉴얼 제작 (200p.) - 초등학교 교재 홗용
• 2000년 의약분업 파업, 교내 사이버 홍보국장
• 2006년 Internet Based Multi-institute Prostate Research System : Pilot Experience
         with a Convenient, Secure and Efficient System
After 2006




  2007. 3    2008. 2   2009. 9
Agenda
1. Web 2.0 인터넷의 변화



2. 의료 소비자의 변화



3. 의료 제공자의 변화



4. 의료 웹 서비스 개발 필요성



5. 우리의 미래
Web 2.0 인터넷의 변화
사용자 증가 및 정보 유통 비용 감소
소셜미디어의 등장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사람들이 자싞
   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
   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
   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

   소셜미디어는 그 자체가 일종의 유기체처
   럼 성장하기 때문에 소비와 생산의 일반적
   인 매커니즘이 동작하지 않으며, 양방향성
   을 홗용하여 사람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
   유하며 사용자들이 만들어 나가는 미디어.

   Wikipedia – 2010. 2. 18
의료 소비자의 변화
인터넷을 통핚 의료정보 이용 증가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 2000년 – 미국인의 46%만 인터넷
          사용, 인터넷 보급된 가정 5%,
          성인의 25%만 온라인 건강정보
          찾았음

        • 2009년 – 미국인 74%가 인터넷
          사용, 인터넷 가구 보급률은 57%,
          성인의 61%가 온라인 건강 정보를
          활용
적극적인 정보 홗용 증가


원하는 특정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는다
E-patients의 선호 사이트




 소셜미디어!
홗용도가 높다.
E-patients이 소셜미디어를
           선호하는 이유는?
의학지식           임상경험        의학지식           임상경험


                                    의사
        의사


                                   소비자
        환자                                   가족들
                           이웃들
                                   인터넷
이웃들               가족들

       건강 잡지                                 환자들의
                           의학 정보
                                             경험 공유
20세기의 의학 지식 젂달 (정보의 비대칭)    21세기의 의학 지식 젂달 (정보의 균형)
사례 1.
  동생이 임신중에 신장에 종양이
  생겼습니다.
사례 2.


  무좀에 효과 좋은 약 좀 추천해
  주세요.
사례 3.
   서울의 한 아파트 지역 커뮤니티
장점과 단점
 의학지식         임상경험

                       소비자 중심의 의료
        의사
                      1. 합리적인 의료 소비
                         불필요핚 의료비 지출 감소
        소비자
                      2. 홖자 질병 치료성적 향상
이웃들
        인터넷
              가족들
                      3. 양질의 의료 서비스 형성

의학 정보         환자들의
              경험 공유
                          현실적인 문제점
                      1.   양질의 정보 부재
                      2.   충분하지 못핚 홖자들의 경험
                           (대다수가 정보를 공유하지 않음)
                      3.   악용하는 사례 발생
그러나 이미…




      출처 : Edelman Health Engagement Barometer 2008
의료 제공자의 변화
웹을 홗용해 정보를 제공하는 의사들
                              • 미국의 의사 중 Web 2.0을 진료에 홗용하는 의사
                              수는 245,000 명으로 추산 (2007 Manhattan Res
                              earch Data)

                              • 의사와 홖자 그리고 과학자들이 소셜 웹 도구들
                              (blog, podcast, youtube etc) 를 홗용해 정보를 생
                              산하고 있음

                              • 이들은 소셜 네트워크를 홗용해 단순핚 소통을 넘
                              어 건강 교육을 시행하고, 의학 정보 생산에 협력
                              하기도 함

                              • 이런 web 2.0을 건강 분야에 홗용하여 소통과 교
                              육, 협력하는 것 Health 2.0

Source : Manhattan Research, LLC. 2007. White Paper: Physicians and Web 2.0: 5 Things You S
hould Know about the Evolving Online Landscape for Physicians. Accessed at http://www.manh
attanresearch.com/TTPWhitePaper.aspx
블로그 및 트윗터를 적극 홗용
기존 홈페이지 컨텐츠와의 차이
    • 정부 및 전통 미디어에서 만드는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소셜 웹에 의존할까?


     Homepage                     Blog(social web)

     Too “dry” medical facts      Interesting “medical stories”
     (sort of “data dump”)        (movie and disease)
     “Push”                       “pull”

     One-way                      Conversation

     Individual consumption(not   Collective consumption(very
     easy to share)               easy to share and collaborate)



    • 지금까지는 교과서만 주고 자습만 시켰다면, 의사들의
    블로그는 교과서를 바탕으로 대화가 더해졌다.


                                                                   21
생각의 변화가 필요
• 인터넷 속 수많은 건강관련 정보와 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


Health Care 가치           Social Web / Health 2.0 가치

정보 젂달의 위험 최대 배제         정보 젂달의 오류 위험 수반

                        싞뢰핛 수 있는 네트워크(관계)에서
권위 있는 사람, 기관에서 정보 제공
                        정보 제공

정보제공에 걸리는 시갂이 길다        정보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갂이 짧다

지적 재산에 대해 배타적           큰 제핚을 두지 않는다


                    • 의료 정보 사이트 윤리강령 HON Code 준수
                    • 정확한 정보, 근거 중심의 정보 제공 노력


                                                      22
코리아헬스로그의 공중보건 홗동
          Public Health 2.0
     • 소셜 미디어인 블로그를 통핚 건강 정보 유통은
     매우 성공적: TBI(양치질 교육) 비디오 6만회 재생,
     백싞과 자폐 관련 포스트 10만명….

     • 2007년 첫해 9개월 방문자 330만, 2008년 450만,
     현재까지 총 1000만명 방문

     • 2010 국가 암정보센터와 함께 Public Health 2.0
     사업 시작, 소셜미디어를 통핚 의료 정보의 파급력
     연구 진행 중
공중보건과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를 홗용하는 보건당국
의료 소셜미디어 성장을 방해하는 것

         소셜미디어의 신뢰도 논란
        1. 홖자들의 경험이 조작될 가능성
        2. 일부의 경험이 일반화될 위험성
        3. 상업적 목적의 의료정보 제공
경험을 가장핚 광고

                                       네이버 지식인의 가짜 경험담… 불법 광고 도배

                                       • 물건을 판매하는 사람들이 입소문을 만들기
                                       위해

                                       • 병원 홍보 담당자들이 환자로 가장해 질문을
                                       올리기도

                                       • 스스로 질문 올리고 스스로 답변 달아




Source : SBS News, October 20, 2009.




                                                                27
의료 웹 서비스 개발 필요성
대중적인 웹 도구를 통핚 정보 공유

        환자들의 경험 공유
       1. 효과적으로 경험을 통합하기 어렵다.
       2. 거시적, 통계적 의미 찾기 어렵다.
       3. 친구들갂의 일상적 대화 수준




         의사들 간의 경험 공유
        1. 증례 보고시 홖자 정보 유출 가능성
        2. 효과적으로 유사 사례 검색이 어렵다.
           (통상 검색 엔진에 의존)
        3. 학술적 정보 교류가 이뤄지기 어렵다.
           (일부 지인들갂의 교류에 그친다)
Patients Like Me
      나와 같은 질병의 환자들
     1. 나와 비슷핚 홖자들의 치료 방법 및
        치료 효과를 손쉽게 공유
     2. 나의 질병 경과를 손쉽게 공유하고
        관리 받을 수 있다.
     3. 나와 유사핚 사례에서 효과적인 치료
        법이 무엇인지 다수의 사례를 통해
        확인핛 수 있다.
     4. 대규모 연구 가능
     5. 제약 산업에서 싞약 개발 등의 아이
        디어 얻을 수 있다.
     6. 의료에서 지금까지 소외된 홖자 소스
        를 가장 적극적으로 홗용핛 수 있다.
     7. 홖자 중심의 의료체계로 개편된다.
SERMO
 의료진간의 정보 공유 사이트
1. 의사들 갂의 소셜 네트워크 구성
2. 질문을 올리고 싞뢰핛 수 있는 답변
   얻는다.
3. 젂문가들 갂의 심도 깊은 정보 교류
   가능


 보편적 웹 도구의 단점을 커버
우리의 미래
PHR이 보편화 되는 시점에는
홖자 중심의 의료가 가져다 주는 것
             환자들의 합리적 (EBM) 의료 소비 증가

             개인과 국가의 의료비 지출 감소

             의료제공자들의 정보 투명성으로 인핚
            긍정적 경쟁 및 의료의 질 향상

             경쟁으로 인핚 가격 인하

             헬스케어 산업에 있어 환자들 자원 활용
            증가 (마켓 리서치, 임상연구 등)



의료와 IT 융합
현재 필요핚 것은 관심과 참여
정리

 앞으로 더 많은 홖자와 의료 젂문가들이 소셜 미디어를
홗용핛 것이다.

 남의 경험을 통해 합리적인 소비를 결정핛 수 있다고 믿
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록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을 증가될 것
이다.

 앞으로 건강 증진을 위핚 공중 보건 사업에 소셜미디어의
홗용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될 것이다.

 건강,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 정보 공유를 위핚 새로운 웹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
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
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
Kwangmo Yang
 
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
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
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Kwangmo Yang
 
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
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
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
Kwangmo Yang
 
90743
9074390743
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
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
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
Kwangmo Yang
 
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
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
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
Kwangmo Yang
 

Viewers also liked (6)

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
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
블로그컨퍼런스 2009 - 비즈니스 전망
 
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
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
9.노인환자의 자기결정권
 
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
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
조인스 헬스커뮤니케이션 세미나 박기호
 
90743
9074390743
90743
 
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
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
상급병실 제도개선 발표자료
 
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
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
미국의 환자정보 보호 - HIPAA
 

Similar to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Jihoon Jeong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Kwangmo Yang
 
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Jueun Jung
 
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Jueun Jung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Kyeongeun Kim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Kyeongeun Kim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Kyeongeun Kim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Kyeongeun Kim
 
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
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
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Tae-Yang Cho
 
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Kwangmo Yang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Yoon Sup Choi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Chiweon Kim
 
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
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
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
Kwangmo Yang
 
[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
[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
[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
은옥 조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
Yoon Sup Choi
 
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
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
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Junbae Jeon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
수경 박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
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
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
Yoon Sup Choi
 

Similar to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20)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국내 인터넷 의학 정보의 한계와 대안
 
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2008141233 정주은
2008141233 정주은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소셜미디어과제
소셜미디어과제
 
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
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
병원의 뉴미디어 활용사례 및 트랜드 전망
 
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2. 간사랑동우회
2. 간사랑동우회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성공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한 조언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20151117 디지털 헬스케어 의사모임 11월 전체 자료 v4
 
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
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
헬스로그의 비전과 수익모델
 
[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
[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
[브로셔] 의료산업의 미래는 코그너티브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혁신적인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조건
 
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
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
소셜미디어의활용(보건의료)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
국민신문고 민원 신청 방법_전국간호대학생연합 간호인력 개편안 TF팀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웰던투 글로벌 프런티어 11기_삐약삐약_탐방계획서
 
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
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
원격의료에 대한 생각, 그리고 그 생각에 대한 생각
 
남진우
남진우남진우
남진우
 

More from Kwangmo Yang

헬스로그의 실험
헬스로그의 실험헬스로그의 실험
헬스로그의 실험
Kwangmo Yang
 
헬스로그 상품
헬스로그 상품헬스로그 상품
헬스로그 상품Kwangmo Yang
 
헬스로그
헬스로그헬스로그
헬스로그
Kwangmo Yang
 
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
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
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Kwangmo Yang
 
닥블2009상반기정리
닥블2009상반기정리닥블2009상반기정리
닥블2009상반기정리Kwangmo Yang
 
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Kwangmo Yang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Kwangmo Yang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Kwangmo Yang
 
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Kwangmo Yang
 
Medical Wiki Project
Medical Wiki ProjectMedical Wiki Project
Medical Wiki Project
Kwangmo Yang
 
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
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
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
Kwangmo Yang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Kwangmo Yang
 
Healthy or Sexy?
Healthy or Sexy?Healthy or Sexy?
Healthy or Sexy?
Kwangmo Yang
 
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
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
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Kwangmo Yang
 
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
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
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Kwangmo Yang
 
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
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
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Kwangmo Yang
 
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
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
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Kwangmo Yang
 
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
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
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Kwangmo Yang
 
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
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
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Kwangmo Yang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Kwangmo Yang
 

More from Kwangmo Yang (20)

헬스로그의 실험
헬스로그의 실험헬스로그의 실험
헬스로그의 실험
 
헬스로그 상품
헬스로그 상품헬스로그 상품
헬스로그 상품
 
헬스로그
헬스로그헬스로그
헬스로그
 
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
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
의사블로거의 활동영역
 
닥블2009상반기정리
닥블2009상반기정리닥블2009상반기정리
닥블2009상반기정리
 
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의료인의 역할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사과 노출의기술 김호 오길비헬스
 
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옆집아이블로그
옆집아이블로그
 
Medical Wiki Project
Medical Wiki ProjectMedical Wiki Project
Medical Wiki Project
 
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
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
Google Health와 Health 2.0 양광모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Healthy or Sexy?
Healthy or Sexy?Healthy or Sexy?
Healthy or Sexy?
 
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
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
8. 의학 블로그와 환자정보 노출 주의사항 양광모
 
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
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
7. 송명근 교수님 공방 양광모
 
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
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
5. 블로거의 책 출판 김응수
 
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
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
3. 의료정보공개 제한이 필요한가 박성용
 
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
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
1. 닥블 2008년 활동 정리 양광모
 
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
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
6. 의료기기 임상시험 박종철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10. 의료윤리와환자정보보호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 1. 소셜미디어와 의료환경의 변화 2010 코리아 소셜미디어 서밋 2010년 3월 19일 헬스로그 양 광 모
  • 2. About Me 양광모 / Yang Kwangmo  비뇨기과 젂문의, 의학 석사  코리아헬스로그 편집장, 의학 저널리스트, 블로거  헬스 커뮤니케이터 (Health Communication)  대핚의사협회 지향위 기획분과, 일특위, 사이버홍보 위원  이주민건강협회 운영위원, 요셉의원 봉사자  Twitter : @healthlog Email : editor@healthlog.kr Personal History • 1997년 모교 의과대학 홈페이지 (비공식) 1호 제작 • 1998년 – 1999년 유니텔 홈페이지 제작 동호회 w3p 부시삽 • 1998년 e-book 형태 홈페이지 매뉴얼 제작 (200p.) - 초등학교 교재 홗용 • 2000년 의약분업 파업, 교내 사이버 홍보국장 • 2006년 Internet Based Multi-institute Prostate Research System : Pilot Experience with a Convenient, Secure and Efficient System
  • 3. After 2006 2007. 3 2008. 2 2009. 9
  • 4. Agenda 1. Web 2.0 인터넷의 변화 2. 의료 소비자의 변화 3. 의료 제공자의 변화 4. 의료 웹 서비스 개발 필요성 5. 우리의 미래
  • 6. 사용자 증가 및 정보 유통 비용 감소
  • 7. 소셜미디어의 등장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사람들이 자싞 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 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 라인 툴과 미디어 플랫폼. 소셜미디어는 그 자체가 일종의 유기체처 럼 성장하기 때문에 소비와 생산의 일반적 인 매커니즘이 동작하지 않으며, 양방향성 을 홗용하여 사람들이 참여하고 정보를 공 유하며 사용자들이 만들어 나가는 미디어. Wikipedia – 2010. 2. 18
  • 9. 인터넷을 통핚 의료정보 이용 증가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 2000년 – 미국인의 46%만 인터넷 사용, 인터넷 보급된 가정 5%, 성인의 25%만 온라인 건강정보 찾았음 • 2009년 – 미국인 74%가 인터넷 사용, 인터넷 가구 보급률은 57%, 성인의 61%가 온라인 건강 정보를 활용
  • 10. 적극적인 정보 홗용 증가 원하는 특정 정보를 인터넷에서 찾는다
  • 11. E-patients의 선호 사이트 소셜미디어! 홗용도가 높다.
  • 12. E-patients이 소셜미디어를 선호하는 이유는? 의학지식 임상경험 의학지식 임상경험 의사 의사 소비자 환자 가족들 이웃들 인터넷 이웃들 가족들 건강 잡지 환자들의 의학 정보 경험 공유 20세기의 의학 지식 젂달 (정보의 비대칭) 21세기의 의학 지식 젂달 (정보의 균형)
  • 13. 사례 1. 동생이 임신중에 신장에 종양이 생겼습니다.
  • 14. 사례 2. 무좀에 효과 좋은 약 좀 추천해 주세요.
  • 15. 사례 3. 서울의 한 아파트 지역 커뮤니티
  • 16. 장점과 단점 의학지식 임상경험  소비자 중심의 의료 의사 1. 합리적인 의료 소비 불필요핚 의료비 지출 감소 소비자 2. 홖자 질병 치료성적 향상 이웃들 인터넷 가족들 3. 양질의 의료 서비스 형성 의학 정보 환자들의 경험 공유  현실적인 문제점 1. 양질의 정보 부재 2. 충분하지 못핚 홖자들의 경험 (대다수가 정보를 공유하지 않음) 3. 악용하는 사례 발생
  • 17. 그러나 이미… 출처 : Edelman Health Engagement Barometer 2008
  • 19. 웹을 홗용해 정보를 제공하는 의사들 • 미국의 의사 중 Web 2.0을 진료에 홗용하는 의사 수는 245,000 명으로 추산 (2007 Manhattan Res earch Data) • 의사와 홖자 그리고 과학자들이 소셜 웹 도구들 (blog, podcast, youtube etc) 를 홗용해 정보를 생 산하고 있음 • 이들은 소셜 네트워크를 홗용해 단순핚 소통을 넘 어 건강 교육을 시행하고, 의학 정보 생산에 협력 하기도 함 • 이런 web 2.0을 건강 분야에 홗용하여 소통과 교 육, 협력하는 것 Health 2.0 Source : Manhattan Research, LLC. 2007. White Paper: Physicians and Web 2.0: 5 Things You S hould Know about the Evolving Online Landscape for Physicians. Accessed at http://www.manh attanresearch.com/TTPWhitePaper.aspx
  • 20. 블로그 및 트윗터를 적극 홗용
  • 21. 기존 홈페이지 컨텐츠와의 차이 • 정부 및 전통 미디어에서 만드는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소셜 웹에 의존할까? Homepage Blog(social web) Too “dry” medical facts Interesting “medical stories” (sort of “data dump”) (movie and disease) “Push” “pull” One-way Conversation Individual consumption(not Collective consumption(very easy to share) easy to share and collaborate) • 지금까지는 교과서만 주고 자습만 시켰다면, 의사들의 블로그는 교과서를 바탕으로 대화가 더해졌다. 21
  • 22. 생각의 변화가 필요 • 인터넷 속 수많은 건강관련 정보와 무한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 Health Care 가치 Social Web / Health 2.0 가치 정보 젂달의 위험 최대 배제 정보 젂달의 오류 위험 수반 싞뢰핛 수 있는 네트워크(관계)에서 권위 있는 사람, 기관에서 정보 제공 정보 제공 정보제공에 걸리는 시갂이 길다 정보를 만드는데 걸리는 시갂이 짧다 지적 재산에 대해 배타적 큰 제핚을 두지 않는다 • 의료 정보 사이트 윤리강령 HON Code 준수 • 정확한 정보, 근거 중심의 정보 제공 노력 22
  • 23. 코리아헬스로그의 공중보건 홗동 Public Health 2.0 • 소셜 미디어인 블로그를 통핚 건강 정보 유통은 매우 성공적: TBI(양치질 교육) 비디오 6만회 재생, 백싞과 자폐 관련 포스트 10만명…. • 2007년 첫해 9개월 방문자 330만, 2008년 450만, 현재까지 총 1000만명 방문 • 2010 국가 암정보센터와 함께 Public Health 2.0 사업 시작, 소셜미디어를 통핚 의료 정보의 파급력 연구 진행 중
  • 26. 의료 소셜미디어 성장을 방해하는 것  소셜미디어의 신뢰도 논란 1. 홖자들의 경험이 조작될 가능성 2. 일부의 경험이 일반화될 위험성 3. 상업적 목적의 의료정보 제공
  • 27. 경험을 가장핚 광고 네이버 지식인의 가짜 경험담… 불법 광고 도배 • 물건을 판매하는 사람들이 입소문을 만들기 위해 • 병원 홍보 담당자들이 환자로 가장해 질문을 올리기도 • 스스로 질문 올리고 스스로 답변 달아 Source : SBS News, October 20, 2009. 27
  • 28. 의료 웹 서비스 개발 필요성
  • 29. 대중적인 웹 도구를 통핚 정보 공유  환자들의 경험 공유 1. 효과적으로 경험을 통합하기 어렵다. 2. 거시적, 통계적 의미 찾기 어렵다. 3. 친구들갂의 일상적 대화 수준  의사들 간의 경험 공유 1. 증례 보고시 홖자 정보 유출 가능성 2. 효과적으로 유사 사례 검색이 어렵다. (통상 검색 엔진에 의존) 3. 학술적 정보 교류가 이뤄지기 어렵다. (일부 지인들갂의 교류에 그친다)
  • 30. Patients Like Me  나와 같은 질병의 환자들 1. 나와 비슷핚 홖자들의 치료 방법 및 치료 효과를 손쉽게 공유 2. 나의 질병 경과를 손쉽게 공유하고 관리 받을 수 있다. 3. 나와 유사핚 사례에서 효과적인 치료 법이 무엇인지 다수의 사례를 통해 확인핛 수 있다. 4. 대규모 연구 가능 5. 제약 산업에서 싞약 개발 등의 아이 디어 얻을 수 있다. 6. 의료에서 지금까지 소외된 홖자 소스 를 가장 적극적으로 홗용핛 수 있다. 7. 홖자 중심의 의료체계로 개편된다.
  • 31. SERMO  의료진간의 정보 공유 사이트 1. 의사들 갂의 소셜 네트워크 구성 2. 질문을 올리고 싞뢰핛 수 있는 답변 얻는다. 3. 젂문가들 갂의 심도 깊은 정보 교류 가능  보편적 웹 도구의 단점을 커버
  • 33. PHR이 보편화 되는 시점에는
  • 34. 홖자 중심의 의료가 가져다 주는 것  환자들의 합리적 (EBM) 의료 소비 증가  개인과 국가의 의료비 지출 감소  의료제공자들의 정보 투명성으로 인핚 긍정적 경쟁 및 의료의 질 향상  경쟁으로 인핚 가격 인하  헬스케어 산업에 있어 환자들 자원 활용 증가 (마켓 리서치, 임상연구 등) 의료와 IT 융합
  • 35. 현재 필요핚 것은 관심과 참여
  • 36. 정리  앞으로 더 많은 홖자와 의료 젂문가들이 소셜 미디어를 홗용핛 것이다.  남의 경험을 통해 합리적인 소비를 결정핛 수 있다고 믿 는 사람들이 늘어날 수록 소셜미디어의 영향력을 증가될 것 이다.  앞으로 건강 증진을 위핚 공중 보건 사업에 소셜미디어의 홗용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될 것이다.  건강,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 정보 공유를 위핚 새로운 웹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