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14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활용 사례
1. 서론
웰니스(Welness)는 ‘웰빙(wellbeing)+건강(fitness)’으로 주로 정의되어 왔으나, 최근
에는 ‘웰빙(wellbeing)+행복(happiness)’의 합성어로 정의되는 경향이 더 강하다. 간혹
웰니스의 의미를 국내에서 과거 10 여 년간 연구되어 왔던 유헬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보
지만, 그보다는 훨씬 포괄적인 개념으로
신체ㆍ정신ㆍ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의
미하는 합성어로서 유헬스는 웰니스의 하
나의 작은 범위에 포함될 뿐이다. 앞서 설
명하였듯이 웰니스는 정신, 신체, 사회, 환
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Spiritual, Emotional, Mental, Intellectual,
Physical, Medical, Occupational, Social,
Financial, Environmental 등 10 가지 요
소로 구분하여 정의한다((그림 1) 참조).
한태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영상의학) 연구원
taehwa.han@gmail.com
민경필
㈜CVnet 기술연구소/연구소장
손재기
전자부품연구원 메디컬 IT 융합센터 책임연구원
1. 서론
2. 웰니스 서비스의 디바이스 사례
3. 결론
ICT 기획시리즈
(그림 1) 웰니스 구성 요소([1])
정신
Spiritu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Intellectual
Wellness
Social
Wellness
Financial
Wellness
Occupational
Wellness
Physical
Wellness
Medical
Wellness
신체 사회
환경
Environmental
Wellness
Mental
Wellness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영상의학) 한태화 연구원 (taehwa.han@gmail.com)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NIPA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ICT 기획시리즈
15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본 고는 이와 같이 다양한 웰니스 분야에 적
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하지만 10 가지 분야에서 정보의 습득을 위
해 IT 가 직접적인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분
야는 그리 많지 않다. Physical, Medical, Mental
웰니스가 포함되어 있는 신체, 정신, 환경 분야 정도에서 디바이스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신체 분야와 정신, 환경 분야에 초점을 맞춰 디바이스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정보 습득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발전 경향은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면서 몸
에 착용하는 형태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해진 이유는 스마트폰의 빠른 발전과 보급에서 찾을 수 있다.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
인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다양한 센서 탑재, 빠른 연산처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각종 디바이스는 고유의 기능만 개발되고, 나머지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공유하는 형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로 소니에서 개발한 DSC-QX100 의 경우 착탈식이 가능
한 렌즈만을 제공하고, 촬영기능, 디스플레이 기능은 기존 스마트폰을 활용한다[2].
이러한 경향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가 스마트폰과 어떻게 연계
되어 활용되는지 여부도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2. 웰니스 서비스의 디바이스 사례
웰니스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나열하면 (그림 3)과 같다. 그림에 기술
된 디바이스들은 아직 연구단계인 디바이스도 있지만, 대부분 현재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는 디바이스들이다. 대부분 휴대 가능한 정도로 작은 크기를 보이거나 착용이 가능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가정 내에서 측정하여 자가 모니터링 및 저장, 그리고 원격지로 전
송할 수 있는 형태를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다.
가. 휴대용 디바이스
스마트폰과 함께 이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흔히 액세서리라 한다. 액세서리는 단순히
스마트폰의 외형을 꾸미기 위한 장치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보
다 다양하게 사용하거나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그림 2) 스마트폰 장착형 디바이스 사례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16
기능을 향상시키는 액세서리는 스마트폰에 장착하는 형태로 이용되거나, 무선 통신 방식
으로 연결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액세서리와 연결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함
께 개발되어 그 효용성을 더욱 더 높여주고 있다.
(1)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한 디바이스
Peek Vision 은 런던 스쿨의 연구팀에서 개발된 앱으로써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
용하여 눈의 상태를 측정한다. 근시나 원시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검사를 비롯하여
시야와 색각 검사, 대조 민감도 테스트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시력검사를 포함하여 백내
장과 같은 중증 질환도 검사가 가능하다[4].
전체 시각 장애인의 90%가 살고 있는 저소득 국가에 진단과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Peek Vision 은 현재 아프리카 케냐에서 5,000 명의 환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고가의 안과장비와 비교하여 안정성과 정확성이 떨어지지 않음을 입증하였
다. GPS 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정보 태그가 함께 부착되며, 진료 기록을 쉽게 저장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해 산간벽지 또는 저소득 지역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림 3) 웰니스 서비스에 요구되는 각종 디바이스 사례[3]
ICT 기획시리즈
1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비인후과에서도 이와 같이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있다. 귀 검사
를 할 때 쓰이는 오토스코프(otoscope)의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로 미국의 모바일 헬스케
어 회사인 Cellscope 은 아이폰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앱을 개발하였다[5].
아이폰 상단에 부착하여 약 10 배의 배율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귀의 감염
상태를 확인한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의료진과
실시간으로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독일의 피부암 진단 전문기업인 포토파인더는 아이폰에 케이스처럼 장착할 수 있는 형
태로 핸디스코프라는 앱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피부병이 의심되는
부분을 촬영하여 최대 20 배까지 확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피부 촬영 시 소모되는 전력을
(그림 4)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과 진료 사례
(그림 5)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진료 사례
(그림 6)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과 진료 사례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18
고려하여 최대 8 시간까지 사용 가능한 2400mAh
배터리 팩을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촬영된 영
상은 이름과 위치정보 등을 포함해서 이메일로 전
송하여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가능하다[6].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맥박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도 활용된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맥박을 측정
하는 방법은 얼굴 영상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과 손
가락 영상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손가락의 경우, 카메라 렌즈 위에 또는 카
메라 렌즈와 플래시 라이트를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손가락을 위치하고, 손가락 끝의 살
을 통과하면서 산란된 빛의 밝기를 통해 측정한다. 이는 혈류의 흐름에 따라 산란된 빛이
밝아지고 어두워지는 것의 반복됨을 측정하여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7].
후지쓰에서 개발한 카메라를 이용한 맥박 측정 방법은 혈류의 증감으로 얼굴이 홍조를
띠거나 하는 미미한 변화를 읽어 맥박 수를 검출하는 기술을 활용한다. 혈액속 헤모글로
빈은 녹색 빛을 흡수한다. 후지쓰의 기술은 피사체에 카메라를 비추고, 얼굴 각 부분의 붉
은색과 녹색, 파란색 등 3 원색의 비율을 계산한다. 녹색의 파형을 집계한 후 데이터에 기
반해 맥박을 보여주게 되는 방식이다. 5 초 정도면 맥박의 측정이 가능하며, 화장을 한 여
성을 대상으로도 성공적으로 맥박 측정이 가능하다[8].
이외에도 카메라만을 이용하는 기술은 아니
지만 Jacob Fraden 박사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 부근에 장착한 작은 적외선 센서로 온도계
를 몸에 대지 않고 스마트폰을 갖다 대기만 해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9].
(그림 7) 스마트폰을 이용한 맥박 측정
(그림 8) 스마트폰을 이용한 맥박 측정 사례
(그림 9)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체온 측정
ICT 기획시리즈
19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 스마트폰의 내부 센서 활용
스마트폰을 대표하는 아이폰과 갤럭시S 시리즈는 상당히 많은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각 센서들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연계 없이도 웰니스 서비스에 충분히 사용이 가능할 만큼
정확도를 보장한다. 아이폰5S 의 보조 프로세서 M7 는 다양한 센서 기능을 지원한다. M7
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나침반 등의 센서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사용자가 걷고, 뛰고,
운전하는 각종 동작을 인식한다. 아이폰6 의 경우 대기압,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차기 운영체제인 iOS8 에 채택할
‘헬스북’ 등 건강 관련 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0]. 갤럭시 S5
의 경우 온도ㆍ습도 센서는 제품 하단의 작은 구멍을 통해 주변 환경의 온도와 습도를 파
악하여 생활에 쾌적한 조건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가속도 센서와 기압 센서
는 갤럭시 S5 의 S 헬스 기능을 구현하는 데 결정적 요소이다. 가속도 센서는 만보계로 알
려진 워킹메이트와 연계되어 사용자가 얼마나 움직이는지 체크하고, 기압 센서는 경사도를
계산하여 산에 오를 때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칼로리 소모량을 정확히 측정해준다.
가속도 센서와 기압센서, 자이로스코프 등은 주로 신체적 웰니스를 도모하기 위한 활
동량 또는 운동량을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 GPS 정보가 활용되어 이용
자의 운동 경로, 거리 등을 누적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앱이 출시되어 이용자
의 건강관리를 도와준다[11].
수면 상태를 측정하고 적절한 수면시간을 관리하기 위해서 아이폰의 자이로스코프 기
능을 활용한 앱인 Sleep Cycle alarm clock 이 있다. 수면 싸이클을 측정하여 잠이 가장
얕게 들어있을 때 깨워주는 기능이 있는데, 이때 침대 머리맡에 아이폰을 둘 경우 자이로
(그림 10) 가속도, GPS 센서를 이용한 활동량 측정 사례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0
스코프 센서가 이용자의 엎치락 뒤치락되는 상태를 측
정하는 방법이 활용된다[12].
스마트폰의 온도와 습도 센서는 기존 날씨 정보가 광
범위한 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현재 이용자가 있
는 공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수면 관리,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뇌졸중에 대한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미국 예일대학 공중보건역학과
연구진은 ‘미국뇌졸중협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일
일 온도 변화가 심하거나 높은 습도가 더 높은 뇌졸중 입원율과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밝
혔으며, 온도와 습도의 차이가 클 경우 실제로 스트레스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
다[13]. 그러므로 스마트폰의 온도와 습도 센서를 활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의 S 헬스 앱은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 공간의 쾌적함의 정도
를 아이콘으로 알려주는 쾌적도 알리미 기능을 제공한다[14].
(3)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디바이스
일반적으로 웰니스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디바이스들은 원거리 통신을 하거나 대용량
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원격지의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데이터를 누적 관리하는데 스마트폰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 또는 NFC 통신, 블루투스 4.0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아이비콘(iBeacon), WiFi 등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법
이 아닌 마이크로5 핀, USB 등을 활용하여 젠더 형태로 개발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① 젠더 방식
AliveCor 디바이스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모두에서 FDA 를 받은 유일한 심전도
(그림 12) 실내 쾌적도 측정 사례
(그림 11)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한 수면 상태 측정 사례
ICT 기획시리즈
2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모니터링 디바이스이다. 핸드폰 케이스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케이스 뒷면에 부착된 두 개
의 전극에 손가락을 갖다 대거나, 또는 가슴에 직접 대고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주로 환자들에게 많이 쓰이는 디바이스로서 부정맥을 가진 환자들이 평상시
에 자신의 심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또는 이미 심방 세동을 진단 받아 치료 받고 있
는 환자에게는 가정에서 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활용된다[15]. AliveCor 디바이스는
환자가 평소에 항상 소지하고 다니다가, 자신의 심장에 이상을 느낄 때 ECG 를 측정하여 주
치의에게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으면 심장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사노피 아벤티스의 혈당계 ‘아이비지스타(iBGStar)’
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 부착하여 혈당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미국 최초의 ‘의료기기 앱’으로
서 디바이스에 혈액을 떨어뜨리면, 스마트폰의 앱이 혈
당 수치를 알려주고, 누적 관리도 함께 해준다. 당뇨병
환자들이 자가 모니터링을 하면서 스스로 혈당을 관리
하여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용된다[16].
초음파 검사의 경우 질병을 예방하기에 상당히 효율적인 장비이지만, 전세계 인구의
약70%가 비싼 가격과 병원을 방문해야지만 받을 수 있다는 문제로 인해 그 혜택을 받고
있지 못하다. 미국의 MobiUS 스캐너의 경우, 특히나 저개발국가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
(그림 14) 혈당 측정기 사례
(그림 13) 심전도 측정 디바이스 사례
(그림 15) 휴대용 초음파 측정 장비의 활용 사례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2
크게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모두에서 운용 가능한
휴대용 초음파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의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실
시간 공유가 가능해짐에 따라 원격 진료에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17].
Withings 는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와 연결
하여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혈압 측정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혈압 측정 디바이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
기를 통해 정확한 압력을 가해야 하는 부분이
다. 스마트폰이 이러한 역할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밴드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축기,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는 밴드 부분에 장
착되어 있고, 그 결과는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측정 정보는 자동으로 저장된다.
측정 정보는 측정 시간 정보와 함께 관리되며, 앱을 통해 시간대별 분석이 가능하여 자가
모니터링을 하는 환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저장된 데이터를
건강기록 사이트에 기록하거나 주치의에게 바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압 관련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유용한 장비이다[18].
② 무선 연결 방식
Scanadu 의 SCOUT 는 하나의 제
품으로 다양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아이폰과 연결이 가능하다.
이 디바이스는 측정 부위에 10 초만
대고 있으면 심박수, 체온, 산소 및 호
흡률 측정, 혈압측정, 심전도 측정, 스트레스, 산소 포화도 같은 신체의 여러 정보를 측정
하여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전송해준다. 측정 시에는 SCOUT 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
여 다수의 센서가 활용되고 있다[19].
애리조나 주립대학에서는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한 Breezing 이라는 휴대용 신진대사 측
정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20]. 이 디바이스는 가스 분석기를 통해 산소 소비 정도 및 배출
가스를 측정하고, 에너지 소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방이나 탄수화물과 같은 에너지의
소비 칼로리를 간접적으로 추출해 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는 상당히 큰 부피를
(그림 16) 아이폰과 연계된 혈압측정기 사례
(그림 17) SCOUT 를 통한 건강 정보 측정 사례
ICT 기획시리즈
2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차지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없었으나, Breezing 은
운동선수와 같이 빈번한 측정을 필요로 하는 이용
자가 편리하고 쉽게 에너지 소비를 측정할 수 있
는 휴대용 측정 장비로서 개발되었다. 특히, 체중
감량을 요구하는 이용자에게 충분히 활용 가능한
디바이스가 될 것이다.
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 가능한 센서를 내장하여 반지, 손목시계형과 같이 개발되는
방식과 스마트 섬유로 불리우는 전자 섬유를 통해 직접 개발되는 의복형 방식으로 구분된다.
(1) 스마트 섬유를 활용한 의복형 디바이스[24]
현재의 섬유는 최첨단 기술과 융합되어 IT 를 통한 스마트 섬유, NT 를 접목한 나노복
합섬유, BT 를 접목한 의료용 섬유 등과 같은 개념 소재로서 사용 확대가 가능하게 되었
다. 특히, 스마트 섬유는 웰니스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서 신호전달 소재개발, 플라스틱 광
학섬유 직물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네트워크 기반 기술개발(광전송 시스템), 스마트 직물용
다기능성 생체보호 필라멘트 제조기술 개발 등의 제품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러한 기
술이 적용된 첨단의류는 이미 실용화 단계를 거쳐 상용화 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라크 전
쟁에서 미군 특수군복이 등장하여 병사의 현재 위치, 혈압, 맥박, 심장박동, 호흡, 칼로리
소모량 등 몸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실에 전송함으로써 군의관은 데
이터를 분석해 부상 정도에 따라 치료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첨단 보호복이 등장했었다.
미국의 Vivometrics 에서는 LifeShirt 라는 Biosignal Monitoring Garment 를 개발하
였으며, 미국의 조지아 공대와 센사텍스가 개발한 스마트셔츠는 광섬유와 전기전도성 섬
유를 이용해서 심전도, 체온 등을 측정하여 외부에 전송한다. 필립스를 포함하여 다국적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MyHeart 프로젝트에서도 의복형 생체신호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탈리아에서도 Wealthy 프로젝트를 통해 의복형 생체신
호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아디다스와 폴라가 합작하여 운동 중 심박수 등 생체신
호를 측정하여 시계형 단말로 전송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의복형 트레이닝 시스템을 개발
하여 출시하였다.
(그림 18) 신진대사 측정기 사례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4
국내에서는 ETRI 에서도 심전도, 호
흡, 운동량 등 생체신호를 실시간 모니터
링할 수 있는 바이오셔츠와 바이오패치
를 개발하였다. 바이오셔츠는 천 소재 센
서가 내장된 의복과 측정된 생체정보를
처리하여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생체신호
처리 모듈로 구성된다.
바이오셔츠의 측정 정확도는 병원용 장비와의 비교 실험 결과 시속 14km 의 속도로
뛸 경우에도 심전도 비트 측정 정확도가 99%에 이른다. 바이오패치는 몸에 직접 부착하
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모듈로 일회용 심전도 전위센서를 모듈에 착탈식으로 붙일 수 있
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이오패치에서 측정된 심전도로부터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호흡수,
HRV(Heart Rate Variability) 등 건강관련 지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KAIST 에서는 체온과 땀의 변화 등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건강 모니터링 칩을 옷감
에 직접 장착하여 옷을 입고 있기만 하면 실시간으로 건강을 점검할 수 있는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옷을 만드는 직물 자체에 전자회로를 구성하고 그 속에 아주 적
은 전력으로 작동하는 개인 건강 모니터링 칩을 장착한 것이다. 의복형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은 의복의 특성을 잃지 않도록 생체정보 감지센서를 내장하는 것이 핵심기술이다.
(2) 센서 내장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근 출시된 삼성전자의 기어 2 와 기어핏(Fit)은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디바
이스 자체로도 활용이 가능하지만 스마트폰과 연계할 때 기능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
다. 기본적으로 운동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탑재하였고, 가장 차별화된 기능은 심박센서를
탑재하여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에 적절한 실시간 피트니스 코칭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두 디바이스 모두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계 가능하며, 스마트폰
(그림 20) 웰니스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워치 사례
(그림 19)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디바이스 사례
ICT 기획시리즈
25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의 앱을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21].
아디다스의 스마트 런은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GPS, 가속도 센서도 탑재하
였기 때문에, 별도의 스마트폰에 연계 없이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심장박동수 추
적기능, 맞춤형 트레이닝 프로그램, 마라톤모드 등 운동에 관련된 기능을 많이 탑재했고
기존에 아디다스가 선보였던 트레이닝 프로그램인 마이코치(miCoach)와 동기화 기능을
지원하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헤드폰으로 음악을 전송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순수하게 활동량에만 초점을 맞춘 디바이스로는 Fitbit 이 대표적이다. 걸음수, 이동거리,
칼로리소모량, 활동적시간, 수면시간, 수면의 효율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
며, 측정정보는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계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앱은 활동기록
을 분석하여 성과 및 목표달성률 등을 제공하고 SNS 를 통해 친구 또는 지인들과 공유
및 경쟁이 가능한 재미있는 요소를 가미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최소화하고 기능
을 특화시켜 배터리 소모량을 기존 스마트워치에 비해 상당 부분 절약할 수 있었다.
이외에 애플, 구글, LG 등에서 다양한 스마트 워치를 개발하여 웰니스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하지만 아직 정확한 스펙이 나오지 않은 관계로 본 고에서는 기
술하지 않도록 한다.
3. 결론
본 고에서는 웰니스 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디바이스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편리하고 정확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측정 디바이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되고 있고, 또한 다양한 영역에서 현재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스마트폰의 리소스를 공유함으로써 고유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게
되었으며,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장비는 헬스케어
(그림 21) 웰니스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워치 및 활동량 측정기 사례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6
에 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이용할 경우 여전히 정확도에 대한 의문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 역시도 건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에 단순히
착용감과 편리함뿐만 아니라 안정성에 대한 니즈도 매우 커지고 있다.
추후 이러한 웰니스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정확성
과 안정성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충
분히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도 함께 병행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노영희 외 11 명, “웰니스 산업의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산업 발전 방안 연구”, NIPA, 2012.
[2] http://www.sony.net/Products/di/en-gb/products/ec8t/
[3] http://infographics.fastcompany.com/magazine/162/smartphone-health.html
[4] http://www.peekvision.org/#vision
[5] https://www.cellscope.com/
[6] http://www.handyscope.net/
[7] http://www.heartbeatrate.com/
[8] http://www.fujitsu.com/global/news/pr/archives/month/2013/20130318-01.html
[9] JEFFREY BAUSCH, “Mobile app takes temperature without physical contact”, Electronic
Products Magazine, 2012. 11.
[10] 김승일, “"아이폰6, 대기압-온도-습도 센서 탑재 가능성", Wikitree Media, 2014. 3.
[11] http://www.endomono.com
[12] http://www.sleepcycle.com/howitworks.html
[13] 주민우, “급격한 온도 · 습도 변화 뇌졸중 위험”, 헬스코리아뉴스, 2014. 2.
[14] http://smartdevice.kr/m/post/view/id/967
[15] http://www.alivecor.com/what-is-it
[16] http://www.bgstar.com/web/ibgstar
[17] http://www.mobisante.com/products/product-overview/
[18] http://www.withings.com/en/bloodpressuremonitor
[19] http://www.scanadu.com/scout/
[20] http://breezing.co/
[21] http://www.samsung.com/global/microsite/gear/
[22] https://micoach.adidas.com/kr/smartrun
[23] http://www.fitbit.com/kr
[24] 감승환, “의료I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U 헬스”, 전자신문, 2013. 11.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JiHyeun Min
 
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
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
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chunbyunghoon
 
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김호천
 
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
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
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Namkee Chung
 
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
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
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Korea Institute of Marketing Education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Sung Yoon Bae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Sung Yoon Bae
 
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
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
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Gwang woo CHOI
 
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
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
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yello_o2o
 

Viewers also liked (11)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스마트 창작터 사업계획서 Heathcare doc_민지현
 
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
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
국내 보건의료업의 향후 전망
 
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20120516 소셜웹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Kr
KrKr
Kr
 
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
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
TOC 기반의 서비스경영 - 병원경영을 중심으로
 
Cn
CnCn
Cn
 
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
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
Kotler Keller 마케팅관리론 14판 요약 강의 6장. 소비자행동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
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
바름_외국인환자유치홍보제안서
 
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
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
굿닥의 보건의료 공공 데이터 활용사례
 

Similar to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활용 사례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대현 임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대현 임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Kim Taesook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atelier t*h
 

Similar to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활용 사례 (20)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복사본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복사본 2
 
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Khidi+brief+vol.115
Khidi+brief+vol.115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Ux trend report 2014 healthcare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의 센서 역할 및 활용방향
 

More from atelier t*h

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
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
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atelier t*h
 
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
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
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atelier t*h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atelier t*h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atelier t*h
 
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
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
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atelier t*h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atelier t*h
 
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
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
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atelier t*h
 
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
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
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atelier t*h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atelier t*h
 
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
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
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atelier t*h
 
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
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
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atelier t*h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atelier t*h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atelier t*h
 
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
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
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atelier t*h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atelier t*h
 
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
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
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atelier t*h
 
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
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
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atelier t*h
 
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atelier t*h
 
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
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
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atelier t*h
 
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
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
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atelier t*h
 

More from atelier t*h (20)

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
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
2014 월드컵으로 본 축구화 기술 개발 경쟁
 
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
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
인텔, 얼굴표정과 맥박을 감지하는 3 d 카메라 모듈 출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
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
태블릿 도입이 가져온 항공산업의 업무 혁신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
빅데이터 기술 및 시장동향
 
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
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
정맥인증, 얼굴인증을 도입하는 일본의 기업용 태블릿 시장
 
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
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
마이크로 서버 기술 동향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동향 및 시사점
 
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
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
2015년 드론 해금으로 상용 무인 항공기 시장 개화 전망
 
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
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
사라져 가는 디지털 카메라, 인기 급상승 액션 카메라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기업과 서비스를 급성장시키는 그로쓰 해킹(Growth hacking)
 
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
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
클라우드 컴퓨팅 The big picture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
웨어러블 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는 초소형 Ble 모듈
 
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
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
구글글래스로 안전하게 Atm에서 돈을 인출하는 시스템
 
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
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
Ces 2014와 자동차 it 융합 기술 동향
 
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Ict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
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
3 d 방송 콘텐츠 제작기술 및 국내 전후방 시장 동향
 
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
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
도로 표면의 높낮이 차이 정보를 공유하는 앱 '범프레코더'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활용 사례

  • 1.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14 웰니스 서비스를 위한 디바이스 활용 사례 1. 서론 웰니스(Welness)는 ‘웰빙(wellbeing)+건강(fitness)’으로 주로 정의되어 왔으나, 최근 에는 ‘웰빙(wellbeing)+행복(happiness)’의 합성어로 정의되는 경향이 더 강하다. 간혹 웰니스의 의미를 국내에서 과거 10 여 년간 연구되어 왔던 유헬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보 지만, 그보다는 훨씬 포괄적인 개념으로 신체ㆍ정신ㆍ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의 미하는 합성어로서 유헬스는 웰니스의 하 나의 작은 범위에 포함될 뿐이다. 앞서 설 명하였듯이 웰니스는 정신, 신체, 사회, 환 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Spiritual, Emotional, Mental, Intellectual, Physical, Medical, Occupational, Social, Financial, Environmental 등 10 가지 요 소로 구분하여 정의한다((그림 1) 참조). 한태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영상의학) 연구원 taehwa.han@gmail.com 민경필 ㈜CVnet 기술연구소/연구소장 손재기 전자부품연구원 메디컬 IT 융합센터 책임연구원 1. 서론 2. 웰니스 서비스의 디바이스 사례 3. 결론 ICT 기획시리즈 (그림 1) 웰니스 구성 요소([1]) 정신 Spiritu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Intellectual Wellness Social Wellness Financial Wellness Occupational Wellness Physical Wellness Medical Wellness 신체 사회 환경 Environmental Wellness Mental Wellness * 본 내용과 관련된 사항은 아주대학교 의과대학(영상의학) 한태화 연구원 (taehwa.han@gmail.com)에게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NIPA 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2. ICT 기획시리즈 15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본 고는 이와 같이 다양한 웰니스 분야에 적 용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하지만 10 가지 분야에서 정보의 습득을 위 해 IT 가 직접적인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분 야는 그리 많지 않다. Physical, Medical, Mental 웰니스가 포함되어 있는 신체, 정신, 환경 분야 정도에서 디바이스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신체 분야와 정신, 환경 분야에 초점을 맞춰 디바이스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정보 습득과 관련된 디바이스들의 발전 경향은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면서 몸 에 착용하는 형태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해진 이유는 스마트폰의 빠른 발전과 보급에서 찾을 수 있다.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 인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와 카메라, 다양한 센서 탑재, 빠른 연산처리가 가능해짐에 따라 각종 디바이스는 고유의 기능만 개발되고, 나머지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공유하는 형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로 소니에서 개발한 DSC-QX100 의 경우 착탈식이 가능 한 렌즈만을 제공하고, 촬영기능, 디스플레이 기능은 기존 스마트폰을 활용한다[2]. 이러한 경향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가 스마트폰과 어떻게 연계 되어 활용되는지 여부도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2. 웰니스 서비스의 디바이스 사례 웰니스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들을 나열하면 (그림 3)과 같다. 그림에 기술 된 디바이스들은 아직 연구단계인 디바이스도 있지만, 대부분 현재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는 디바이스들이다. 대부분 휴대 가능한 정도로 작은 크기를 보이거나 착용이 가능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가정 내에서 측정하여 자가 모니터링 및 저장, 그리고 원격지로 전 송할 수 있는 형태를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다. 가. 휴대용 디바이스 스마트폰과 함께 이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흔히 액세서리라 한다. 액세서리는 단순히 스마트폰의 외형을 꾸미기 위한 장치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기능을 보 다 다양하게 사용하거나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그림 2) 스마트폰 장착형 디바이스 사례
  • 3.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16 기능을 향상시키는 액세서리는 스마트폰에 장착하는 형태로 이용되거나, 무선 통신 방식 으로 연결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액세서리와 연결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함 께 개발되어 그 효용성을 더욱 더 높여주고 있다. (1)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한 디바이스 Peek Vision 은 런던 스쿨의 연구팀에서 개발된 앱으로써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활 용하여 눈의 상태를 측정한다. 근시나 원시 여부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검사를 비롯하여 시야와 색각 검사, 대조 민감도 테스트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시력검사를 포함하여 백내 장과 같은 중증 질환도 검사가 가능하다[4]. 전체 시각 장애인의 90%가 살고 있는 저소득 국가에 진단과 치료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Peek Vision 은 현재 아프리카 케냐에서 5,000 명의 환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고가의 안과장비와 비교하여 안정성과 정확성이 떨어지지 않음을 입증하였 다. GPS 를 이용하여 환자의 위치정보 태그가 함께 부착되며, 진료 기록을 쉽게 저장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해 산간벽지 또는 저소득 지역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그림 3) 웰니스 서비스에 요구되는 각종 디바이스 사례[3]
  • 4. ICT 기획시리즈 1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비인후과에서도 이와 같이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디바이스가 있다. 귀 검사 를 할 때 쓰이는 오토스코프(otoscope)의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로 미국의 모바일 헬스케 어 회사인 Cellscope 은 아이폰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와 앱을 개발하였다[5]. 아이폰 상단에 부착하여 약 10 배의 배율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장착하여 귀의 감염 상태를 확인한다.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폰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의료진과 실시간으로 공유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독일의 피부암 진단 전문기업인 포토파인더는 아이폰에 케이스처럼 장착할 수 있는 형 태로 핸디스코프라는 앱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피부병이 의심되는 부분을 촬영하여 최대 20 배까지 확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피부 촬영 시 소모되는 전력을 (그림 4)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과 진료 사례 (그림 5)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진료 사례 (그림 6)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과 진료 사례
  • 5.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18 고려하여 최대 8 시간까지 사용 가능한 2400mAh 배터리 팩을 내장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촬영된 영 상은 이름과 위치정보 등을 포함해서 이메일로 전 송하여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가능하다[6].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맥박을 측정하는 장비로서 도 활용된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맥박을 측정 하는 방법은 얼굴 영상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과 손 가락 영상을 통해 측정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손가락의 경우, 카메라 렌즈 위에 또는 카 메라 렌즈와 플래시 라이트를 동시에 덮을 수 있도록 손가락을 위치하고, 손가락 끝의 살 을 통과하면서 산란된 빛의 밝기를 통해 측정한다. 이는 혈류의 흐름에 따라 산란된 빛이 밝아지고 어두워지는 것의 반복됨을 측정하여 맥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7]. 후지쓰에서 개발한 카메라를 이용한 맥박 측정 방법은 혈류의 증감으로 얼굴이 홍조를 띠거나 하는 미미한 변화를 읽어 맥박 수를 검출하는 기술을 활용한다. 혈액속 헤모글로 빈은 녹색 빛을 흡수한다. 후지쓰의 기술은 피사체에 카메라를 비추고, 얼굴 각 부분의 붉 은색과 녹색, 파란색 등 3 원색의 비율을 계산한다. 녹색의 파형을 집계한 후 데이터에 기 반해 맥박을 보여주게 되는 방식이다. 5 초 정도면 맥박의 측정이 가능하며, 화장을 한 여 성을 대상으로도 성공적으로 맥박 측정이 가능하다[8]. 이외에도 카메라만을 이용하는 기술은 아니 지만 Jacob Fraden 박사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 부근에 장착한 작은 적외선 센서로 온도계 를 몸에 대지 않고 스마트폰을 갖다 대기만 해도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9]. (그림 7) 스마트폰을 이용한 맥박 측정 (그림 8) 스마트폰을 이용한 맥박 측정 사례 (그림 9)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체온 측정
  • 6. ICT 기획시리즈 19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 스마트폰의 내부 센서 활용 스마트폰을 대표하는 아이폰과 갤럭시S 시리즈는 상당히 많은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각 센서들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연계 없이도 웰니스 서비스에 충분히 사용이 가능할 만큼 정확도를 보장한다. 아이폰5S 의 보조 프로세서 M7 는 다양한 센서 기능을 지원한다. M7 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나침반 등의 센서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사용자가 걷고, 뛰고, 운전하는 각종 동작을 인식한다. 아이폰6 의 경우 대기압,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차기 운영체제인 iOS8 에 채택할 ‘헬스북’ 등 건강 관련 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0]. 갤럭시 S5 의 경우 온도ㆍ습도 센서는 제품 하단의 작은 구멍을 통해 주변 환경의 온도와 습도를 파 악하여 생활에 쾌적한 조건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가속도 센서와 기압 센서 는 갤럭시 S5 의 S 헬스 기능을 구현하는 데 결정적 요소이다. 가속도 센서는 만보계로 알 려진 워킹메이트와 연계되어 사용자가 얼마나 움직이는지 체크하고, 기압 센서는 경사도를 계산하여 산에 오를 때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칼로리 소모량을 정확히 측정해준다. 가속도 센서와 기압센서, 자이로스코프 등은 주로 신체적 웰니스를 도모하기 위한 활 동량 또는 운동량을 측정하는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에 GPS 정보가 활용되어 이용 자의 운동 경로, 거리 등을 누적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앱이 출시되어 이용자 의 건강관리를 도와준다[11]. 수면 상태를 측정하고 적절한 수면시간을 관리하기 위해서 아이폰의 자이로스코프 기 능을 활용한 앱인 Sleep Cycle alarm clock 이 있다. 수면 싸이클을 측정하여 잠이 가장 얕게 들어있을 때 깨워주는 기능이 있는데, 이때 침대 머리맡에 아이폰을 둘 경우 자이로 (그림 10) 가속도, GPS 센서를 이용한 활동량 측정 사례
  • 7.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0 스코프 센서가 이용자의 엎치락 뒤치락되는 상태를 측 정하는 방법이 활용된다[12]. 스마트폰의 온도와 습도 센서는 기존 날씨 정보가 광 범위한 지역의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현재 이용자가 있 는 공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정보는 수면 관리,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뇌졸중에 대한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미국 예일대학 공중보건역학과 연구진은 ‘미국뇌졸중협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일 일 온도 변화가 심하거나 높은 습도가 더 높은 뇌졸중 입원율과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밝 혔으며, 온도와 습도의 차이가 클 경우 실제로 스트레스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 다[13]. 그러므로 스마트폰의 온도와 습도 센서를 활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의 S 헬스 앱은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여 주변 공간의 쾌적함의 정도 를 아이콘으로 알려주는 쾌적도 알리미 기능을 제공한다[14]. (3) 스마트폰과 통신하는 디바이스 일반적으로 웰니스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디바이스들은 원거리 통신을 하거나 대용량 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원격지의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데이터를 누적 관리하는데 스마트폰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 또는 NFC 통신, 블루투스 4.0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아이비콘(iBeacon), WiFi 등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법 이 아닌 마이크로5 핀, USB 등을 활용하여 젠더 형태로 개발되어 활용되기도 한다. ① 젠더 방식 AliveCor 디바이스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모두에서 FDA 를 받은 유일한 심전도 (그림 12) 실내 쾌적도 측정 사례 (그림 11)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이용한 수면 상태 측정 사례
  • 8. ICT 기획시리즈 2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모니터링 디바이스이다. 핸드폰 케이스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케이스 뒷면에 부착된 두 개 의 전극에 손가락을 갖다 대거나, 또는 가슴에 직접 대고 심전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주로 환자들에게 많이 쓰이는 디바이스로서 부정맥을 가진 환자들이 평상시 에 자신의 심장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또는 이미 심방 세동을 진단 받아 치료 받고 있 는 환자에게는 가정에서 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활용된다[15]. AliveCor 디바이스는 환자가 평소에 항상 소지하고 다니다가, 자신의 심장에 이상을 느낄 때 ECG 를 측정하여 주 치의에게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으면 심장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사노피 아벤티스의 혈당계 ‘아이비지스타(iBGStar)’ 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 부착하여 혈당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미국 최초의 ‘의료기기 앱’으로 서 디바이스에 혈액을 떨어뜨리면, 스마트폰의 앱이 혈 당 수치를 알려주고, 누적 관리도 함께 해준다. 당뇨병 환자들이 자가 모니터링을 하면서 스스로 혈당을 관리 하여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용된다[16]. 초음파 검사의 경우 질병을 예방하기에 상당히 효율적인 장비이지만, 전세계 인구의 약70%가 비싼 가격과 병원을 방문해야지만 받을 수 있다는 문제로 인해 그 혜택을 받고 있지 못하다. 미국의 MobiUS 스캐너의 경우, 특히나 저개발국가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 (그림 14) 혈당 측정기 사례 (그림 13) 심전도 측정 디바이스 사례 (그림 15) 휴대용 초음파 측정 장비의 활용 사례
  • 9.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2 크게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모두에서 운용 가능한 휴대용 초음파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의 네트워크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실 시간 공유가 가능해짐에 따라 원격 진료에도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17]. Withings 는 아이폰 또는 아이패드와 연결 하여 앱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추적할 수 있는 혈압 측정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 혈압 측정 디바이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 기를 통해 정확한 압력을 가해야 하는 부분이 다. 스마트폰이 이러한 역할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밴드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축기,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는 장치는 밴드 부분에 장 착되어 있고, 그 결과는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측정 정보는 자동으로 저장된다. 측정 정보는 측정 시간 정보와 함께 관리되며, 앱을 통해 시간대별 분석이 가능하여 자가 모니터링을 하는 환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저장된 데이터를 건강기록 사이트에 기록하거나 주치의에게 바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압 관련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유용한 장비이다[18]. ② 무선 연결 방식 Scanadu 의 SCOUT 는 하나의 제 품으로 다양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아이폰과 연결이 가능하다. 이 디바이스는 측정 부위에 10 초만 대고 있으면 심박수, 체온, 산소 및 호 흡률 측정, 혈압측정, 심전도 측정, 스트레스, 산소 포화도 같은 신체의 여러 정보를 측정 하여 스마트폰에 블루투스로 전송해준다. 측정 시에는 SCOUT 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 여 다수의 센서가 활용되고 있다[19]. 애리조나 주립대학에서는 스마트폰과 연결 가능한 Breezing 이라는 휴대용 신진대사 측 정 디바이스를 개발하였다[20]. 이 디바이스는 가스 분석기를 통해 산소 소비 정도 및 배출 가스를 측정하고, 에너지 소비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방이나 탄수화물과 같은 에너지의 소비 칼로리를 간접적으로 추출해 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는 상당히 큰 부피를 (그림 16) 아이폰과 연계된 혈압측정기 사례 (그림 17) SCOUT 를 통한 건강 정보 측정 사례
  • 10. ICT 기획시리즈 23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차지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없었으나, Breezing 은 운동선수와 같이 빈번한 측정을 필요로 하는 이용 자가 편리하고 쉽게 에너지 소비를 측정할 수 있 는 휴대용 측정 장비로서 개발되었다. 특히, 체중 감량을 요구하는 이용자에게 충분히 활용 가능한 디바이스가 될 것이다. 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측정 가능한 센서를 내장하여 반지, 손목시계형과 같이 개발되는 방식과 스마트 섬유로 불리우는 전자 섬유를 통해 직접 개발되는 의복형 방식으로 구분된다. (1) 스마트 섬유를 활용한 의복형 디바이스[24] 현재의 섬유는 최첨단 기술과 융합되어 IT 를 통한 스마트 섬유, NT 를 접목한 나노복 합섬유, BT 를 접목한 의료용 섬유 등과 같은 개념 소재로서 사용 확대가 가능하게 되었 다. 특히, 스마트 섬유는 웰니스 분야에 적용되기 위해서 신호전달 소재개발, 플라스틱 광 학섬유 직물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네트워크 기반 기술개발(광전송 시스템), 스마트 직물용 다기능성 생체보호 필라멘트 제조기술 개발 등의 제품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러한 기 술이 적용된 첨단의류는 이미 실용화 단계를 거쳐 상용화 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라크 전 쟁에서 미군 특수군복이 등장하여 병사의 현재 위치, 혈압, 맥박, 심장박동, 호흡, 칼로리 소모량 등 몸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황실에 전송함으로써 군의관은 데 이터를 분석해 부상 정도에 따라 치료순서를 결정할 수 있는 첨단 보호복이 등장했었다. 미국의 Vivometrics 에서는 LifeShirt 라는 Biosignal Monitoring Garment 를 개발하 였으며, 미국의 조지아 공대와 센사텍스가 개발한 스마트셔츠는 광섬유와 전기전도성 섬 유를 이용해서 심전도, 체온 등을 측정하여 외부에 전송한다. 필립스를 포함하여 다국적 기업과 연구기관들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MyHeart 프로젝트에서도 의복형 생체신호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탈리아에서도 Wealthy 프로젝트를 통해 의복형 생체신 호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아디다스와 폴라가 합작하여 운동 중 심박수 등 생체신 호를 측정하여 시계형 단말로 전송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의복형 트레이닝 시스템을 개발 하여 출시하였다. (그림 18) 신진대사 측정기 사례
  • 11.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4 국내에서는 ETRI 에서도 심전도, 호 흡, 운동량 등 생체신호를 실시간 모니터 링할 수 있는 바이오셔츠와 바이오패치 를 개발하였다. 바이오셔츠는 천 소재 센 서가 내장된 의복과 측정된 생체정보를 처리하여 무선 전송할 수 있는 생체신호 처리 모듈로 구성된다. 바이오셔츠의 측정 정확도는 병원용 장비와의 비교 실험 결과 시속 14km 의 속도로 뛸 경우에도 심전도 비트 측정 정확도가 99%에 이른다. 바이오패치는 몸에 직접 부착하 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모듈로 일회용 심전도 전위센서를 모듈에 착탈식으로 붙일 수 있 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이오패치에서 측정된 심전도로부터 심박수, 스트레스 지수, 호흡수, HRV(Heart Rate Variability) 등 건강관련 지표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KAIST 에서는 체온과 땀의 변화 등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건강 모니터링 칩을 옷감 에 직접 장착하여 옷을 입고 있기만 하면 실시간으로 건강을 점검할 수 있는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는 옷을 만드는 직물 자체에 전자회로를 구성하고 그 속에 아주 적 은 전력으로 작동하는 개인 건강 모니터링 칩을 장착한 것이다. 의복형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은 의복의 특성을 잃지 않도록 생체정보 감지센서를 내장하는 것이 핵심기술이다. (2) 센서 내장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근 출시된 삼성전자의 기어 2 와 기어핏(Fit)은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디바 이스 자체로도 활용이 가능하지만 스마트폰과 연계할 때 기능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 다. 기본적으로 운동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탑재하였고, 가장 차별화된 기능은 심박센서를 탑재하여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에 적절한 실시간 피트니스 코칭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두 디바이스 모두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계 가능하며, 스마트폰 (그림 20) 웰니스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워치 사례 (그림 19)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디바이스 사례
  • 12. ICT 기획시리즈 25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의 앱을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21]. 아디다스의 스마트 런은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를 지원하고 GPS, 가속도 센서도 탑재하 였기 때문에, 별도의 스마트폰에 연계 없이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심장박동수 추 적기능, 맞춤형 트레이닝 프로그램, 마라톤모드 등 운동에 관련된 기능을 많이 탑재했고 기존에 아디다스가 선보였던 트레이닝 프로그램인 마이코치(miCoach)와 동기화 기능을 지원하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헤드폰으로 음악을 전송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순수하게 활동량에만 초점을 맞춘 디바이스로는 Fitbit 이 대표적이다. 걸음수, 이동거리, 칼로리소모량, 활동적시간, 수면시간, 수면의 효율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 며, 측정정보는 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과 연계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의 앱은 활동기록 을 분석하여 성과 및 목표달성률 등을 제공하고 SNS 를 통해 친구 또는 지인들과 공유 및 경쟁이 가능한 재미있는 요소를 가미하였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최소화하고 기능 을 특화시켜 배터리 소모량을 기존 스마트워치에 비해 상당 부분 절약할 수 있었다. 이외에 애플, 구글, LG 등에서 다양한 스마트 워치를 개발하여 웰니스 서비스에 활용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하지만 아직 정확한 스펙이 나오지 않은 관계로 본 고에서는 기 술하지 않도록 한다. 3. 결론 본 고에서는 웰니스 서비스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디바이스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편리하고 정확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측정 디바이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 되고 있고, 또한 다양한 영역에서 현재 상용화되어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스마트폰과 연계하여 스마트폰의 리소스를 공유함으로써 고유의 기능에 충실할 수 있게 되었으며, 경량화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장비는 헬스케어 (그림 21) 웰니스 서비스에 이용되는 스마트 워치 및 활동량 측정기 사례
  • 13. 주간기술동향 2014. 4. 2. www.nipa.kr 26 에 주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서 이용할 경우 여전히 정확도에 대한 의문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 역시도 건강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졌기 때문에 단순히 착용감과 편리함뿐만 아니라 안정성에 대한 니즈도 매우 커지고 있다. 추후 이러한 웰니스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정확성 과 안정성에 보다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충 분히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도 함께 병행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노영희 외 11 명, “웰니스 산업의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산업 발전 방안 연구”, NIPA, 2012. [2] http://www.sony.net/Products/di/en-gb/products/ec8t/ [3] http://infographics.fastcompany.com/magazine/162/smartphone-health.html [4] http://www.peekvision.org/#vision [5] https://www.cellscope.com/ [6] http://www.handyscope.net/ [7] http://www.heartbeatrate.com/ [8] http://www.fujitsu.com/global/news/pr/archives/month/2013/20130318-01.html [9] JEFFREY BAUSCH, “Mobile app takes temperature without physical contact”, Electronic Products Magazine, 2012. 11. [10] 김승일, “"아이폰6, 대기압-온도-습도 센서 탑재 가능성", Wikitree Media, 2014. 3. [11] http://www.endomono.com [12] http://www.sleepcycle.com/howitworks.html [13] 주민우, “급격한 온도 · 습도 변화 뇌졸중 위험”, 헬스코리아뉴스, 2014. 2. [14] http://smartdevice.kr/m/post/view/id/967 [15] http://www.alivecor.com/what-is-it [16] http://www.bgstar.com/web/ibgstar [17] http://www.mobisante.com/products/product-overview/ [18] http://www.withings.com/en/bloodpressuremonitor [19] http://www.scanadu.com/scout/ [20] http://breezing.co/ [21] http://www.samsung.com/global/microsite/gear/ [22] https://micoach.adidas.com/kr/smartrun [23] http://www.fitbit.com/kr [24] 감승환, “의료I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U 헬스”, 전자신문, 201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