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Spaces and Traces:
Implications of Smart
Technology in Public Housing
/ CHI 2019
/ Sandjar Kozubaev, Fernando Rochaix, ..
/ 이윤영
1 Why This Paper
2 연구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Discussion
6 Takeaway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스피커 그리드 프로젝트에 참고하고자
•디자인 워크숍 통해 결론 도출과정 정리를 참고 하고자
집단 주거시설에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고자
실행된 디자인 워크숍을 풀어내고 있는 논문이기에 선정
#Smart Homes #Public Housing #Participatory Design #Privacy
#Design Research
HCI 관점에서 공공 주택의 저소득층 주민을 대상으로
다세대 스마트 홈 기술의 구체적인 과제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상황적으로는..
새로 오픈될 다세대 저소득층 및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
‘Atlanta Housing’의 확장 및 개발에 따라,
스마트 홈 기술 도입시 발생할 가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대의적으로는..
참여형 디자인 워크숍 진행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타겟 Stake holder 그룹
1) 저소득, 주거 지원을 받는 가구 2) 노인 3) 시설 유지관리 매니저
참가자 모집
현재&이전 거주자, 새로운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
목적
•stake holder에게 워크숍을 통해 기술을 교육, 건강,
경제적 참여 등을 증진하는 새로운 기회로 인식시키고자
•계획된 개발 플랜에서, 기술의 응용 가능성 탐색하고자
•공공 주택의 맥락에서, 스마트 기술의 장기적 사용 영향 탐색하고자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워크숍 진행과정
W1
만들고
W2
미래 예상하고
W3
노인과 매니저
의견듣고
•워크숍 각 2시간 씩 진행
•참가자 : 전반적으로 ATL Housing의 demographic을 잘 대표했으나, 여자가 많음
•Semi public 한 환경에서 진행 : 정확한 참가자 수는 알 수 없지만 40명 정도
(W1 25명, W2 15명, W3 13명)
•권한 관계 등을 고려해 거주자는 관리매니저와 따로 워크숍 분리해 진행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W1. Creating Sensor
•스마트 기술 소개 & 일상에 어떻게 적용될 지 의견을 공유하고자 진행
•교회 커뮤니티 센터 / 4-8명 소그룹 테이블에서 진행
ATL housing 건설 마일스톤 소개 & 연구 목적과 리서치팀 소개
스마트 기술 소개 (20m) :
1) 센서의 기본 원리, 종류, 연결된 네트워크 사용
2) 아마존 에코 클립 영상시청
포스트 카드 활동 :
기기 설명 - 뒷면
어떻게 커뮤니티에 도움이 될까? - 하단
1) 랜덤 선택 후 작성
2) 자기소개 후 카드 발표
3
1
2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스마트 센서 게임 : 센서 인풋/아웃풋 조합 가상 기기 만들기
서베이 :
앞서 만든 기기에 대한 개인 설문 & 논의 (기기 어떻게 이해하는지)
W1. Creating Sensor
4
5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W2 •스마트 기술의 장기적 영향을 알기 위해
•4-5명 소그룹 + facilitator / 대부분 W1 참가자
“What if?” 프롬프트 작성 : 미래 기술 사용 예상
1에서 작성한 답의 영향 논의 (장단점, 위험, 사용 ox, …)
W2. Uncertain Futures
1
2
Ex) 숙제 위해 스마트 스피커 사용하는

상황이면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W3. Seniors & Property Managers
•두 팀으로 나눠서 진행 : 노인 8명 / 시설 유지관리 매니저 5명
•각 팀에서 facilitator 가 리드 진행
포스트 카드 활동
노인팀
노인만의 니즈 알기 위한 논의
매니저팀 (실제 문제 위주)
포스트 카드 활동
스마트 센서 게임
기술의 미래 영향 논의
1
2
3
1
2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워크숍 작성 자료, 녹음 transcription -> 클러스터링
(1) 트래킹과 감시
(2) 사람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3) 기준선의 변화
자기 결정권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풀어낼 지에 대한
워크숍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해관계자 간의 주요 고려사항
(1) 트래킹과 감시
- 기술에 대한 긍정적 태도 ; 보안, 건강, 가족과의 연결 유지 의 맥락 / 부정적 태도 : 타인이 추적가능한 데이터를
남긴다는 맥락 

- 첫째, 건강 웰니스 분야에서의 트래킹과 감시 : 개인 기기와 연동해 스스로 컨디션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언급.
건강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직계 가족의 범위를 넘어서 사용될 수 있음 

- 둘째, 개인 안전 분야에서의 트래킹과 감시 : 이웃과 주변 환경에 사용될 수 있음 ex) smart lock, smart street lamp

- 전반적으로, 자가감시에서 타인에 의한 감시로 대화 주제 변화 ; 새로운 visibility가 가족에서 외부 공급자나 빌딩
관리로 확장 가능성 시사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 어떤 것들이 녹화되고, 누가 데이터에 엑세스 하는지 등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없을 때, 트래킹과 감시에 대한 의심은
더 커짐 cf. 매니저 : smoke detector taping

- 당연하게도, 센서와 레코딩 기기는 공공 공간에서는 허용되지만, 개인 공간에서는 허용하지 않음 / 하지만 복도, 공
용공간, 운동실 등 반-공공 공간에서는 감시가 복잡해짐

- 어디에서 어떤 데이터를 기록 하는지, 누가 접근 가능한지의 맥락에 따라 경계 설정에 다른 의미를 가짐

- 스마트 기술이 개인, 공공 공간에 대한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음 ex. Smart camera, smart lock
(1) 트래킹과 감시
(2) 개인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3) 기준선의 변화
자기 결정권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풀어낼 지에 대한
워크숍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해관계자 간의 주요 고려사항
(2) 개인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 센싱을 매개로한 복잡하고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은 동기와 결과에 대한 불신을 낳기도 함 ex) 에너지 효율 사례

- 기존에는 스마트 기기가 거주자에게서 얻는 visibilitiy 중심, 거주자 또한 기기에서 visibilitiy 얻어야 함

- Cable tv 서비스 비용 사례 : 

1) endpoint (휴대폰, 노트북 등의 고정적 비용)와 service (광역밴드, 무선 데이터 - 지속적 비용) 구별해서 고려 

2) 기존에는 가구의 책임이지만 기기로 연결된 스마트홈에서는 인프라로 역할 > 기준선 기대치의 변화가 필요
(1) 트래킹과 감시
(2) 개인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3) 기준선의 변화
자기 결정권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풀어낼 지에 대한
워크숍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해관계자 간의 주요 고려사항
(3) 기준선의 변화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디스커션 포인트들
(1) 트래킹에 대한 책임의식
(2) 데이터와 사용에 대한 자기결정권
(3) Endpoint 에서 Infrastructure 로
- 트래킹 문제는 사람간의, 사람-집단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Housing provider는 거주자에게 이를 악용할 수 있음 ex) 기존 서비스에 접근 못하도록 하기

- 누가 기술을 지원하고,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어떻게 베네핏이 분배될지 등의 책임에 대한 고려가 필요
- 사회적, 윤리적 질문이 제기되는 공공주거의 기술 정책의 맥락

- 관리자 : ‘데이터 통합하고 활용한 스마트 기술 혜택 극대화’와 ‘거주자에게 사생활 감시에 대한 

충분한 선택권을 제공’을 해야함

- 시스템 디자이너 : ’사용자 스스로가 공간과 데이터에 관해 통제권을 행사할 수 없다면 쓸모 없는 것’

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함
- 스마트 홈은 endpoint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질적 변화는 인프라에서 나옴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단지 기계만 더해 만든 스마트 홈은 두려움 뿐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제공하는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 되는지

보다 상세히 알릴 필요성이 있음.
1
연구 결과 분석 참고하기
워크숍에서 사례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진행하는 것. (논리적으로 보이기 힘들다)
2
생각보다 더 예민한 거주자의 데이터 수집 민감 정도
스마트 스피커에 쌓이는 데이터에 대해 얼만큼의 경계심을 가질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음.
3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Clara_Kim
 
Bloggers Survival 제안서
Bloggers Survival 제안서Bloggers Survival 제안서
Bloggers Survival 제안서
Industrial Bank of Korea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Kwangmo Yang
 
웹사이트 벤치마킹
웹사이트 벤치마킹웹사이트 벤치마킹
웹사이트 벤치마킹JooWan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oganadang
 
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
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
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
Juny Lee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shannonsi
 
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
Asadal Lee
 
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oganadang
 
ZZIGNAL project
ZZIGNAL projectZZIGNAL project
ZZIGNAL project
HyeinGu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kisu kim
 
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
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
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
Pig Farm Solution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
더게임체인저스
 
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
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
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
gokisung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shannonsi
 
Knowledge & It's Management
Knowledge & It's ManagementKnowledge & It's Management
Knowledge & It's Management
Sangmin Cha
 

What's hot (20)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04
 
Bloggers Survival 제안서
Bloggers Survival 제안서Bloggers Survival 제안서
Bloggers Survival 제안서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의대생이 알아야할 인터넷 상식
 
웹사이트 벤치마킹
웹사이트 벤치마킹웹사이트 벤치마킹
웹사이트 벤치마킹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패턴 요약하기
 
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
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
Social media newsroom for corporate conversation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3번째 웹사이트벤치마킹
 
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
 
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미코노미 3장 4장
미코노미 3장 4장
 
ZZIGNAL project
ZZIGNAL projectZZIGNAL project
ZZIGNAL project
 
1020027009258
10200270092581020027009258
1020027009258
 
2008년 4월 소식지
2008년 4월 소식지2008년 4월 소식지
2008년 4월 소식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시간관리특강 Sk에너지
 
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
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
About the world research trend of bacteriophage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
[창업자&예비창업자] 2021 창업 트렌드
 
웹웹
 
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
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
경영과정보기술 M-commerce, telemetry, 상황인식기술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Part2 웹사이트 벤치마킹의 9가지 패턴
 
Knowledge & It's Management
Knowledge & It's ManagementKnowledge & It's Management
Knowledge & It's Management
 
Patten4
Patten4Patten4
Patten4
 

Spaces and Traces: Implications of Smart Technology in Public Housing

  • 1. Spaces and Traces: Implications of Smart Technology in Public Housing / CHI 2019 / Sandjar Kozubaev, Fernando Rochaix, .. / 이윤영
  • 2. 1 Why This Paper 2 연구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Discussion 6 Takeaway
  • 3.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스피커 그리드 프로젝트에 참고하고자 •디자인 워크숍 통해 결론 도출과정 정리를 참고 하고자 집단 주거시설에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하고자 실행된 디자인 워크숍을 풀어내고 있는 논문이기에 선정 #Smart Homes #Public Housing #Participatory Design #Privacy #Design Research
  • 4. HCI 관점에서 공공 주택의 저소득층 주민을 대상으로 다세대 스마트 홈 기술의 구체적인 과제를 고찰하기 위해 진행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상황적으로는.. 새로 오픈될 다세대 저소득층 및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 ‘Atlanta Housing’의 확장 및 개발에 따라, 스마트 홈 기술 도입시 발생할 가능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대의적으로는..
  • 5. 참여형 디자인 워크숍 진행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타겟 Stake holder 그룹 1) 저소득, 주거 지원을 받는 가구 2) 노인 3) 시설 유지관리 매니저 참가자 모집 현재&이전 거주자, 새로운 개발에 관심이 있는 사람 목적 •stake holder에게 워크숍을 통해 기술을 교육, 건강, 경제적 참여 등을 증진하는 새로운 기회로 인식시키고자 •계획된 개발 플랜에서, 기술의 응용 가능성 탐색하고자 •공공 주택의 맥락에서, 스마트 기술의 장기적 사용 영향 탐색하고자
  • 6.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워크숍 진행과정 W1 만들고 W2 미래 예상하고 W3 노인과 매니저 의견듣고 •워크숍 각 2시간 씩 진행 •참가자 : 전반적으로 ATL Housing의 demographic을 잘 대표했으나, 여자가 많음 •Semi public 한 환경에서 진행 : 정확한 참가자 수는 알 수 없지만 40명 정도 (W1 25명, W2 15명, W3 13명) •권한 관계 등을 고려해 거주자는 관리매니저와 따로 워크숍 분리해 진행
  • 7.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W1. Creating Sensor •스마트 기술 소개 & 일상에 어떻게 적용될 지 의견을 공유하고자 진행 •교회 커뮤니티 센터 / 4-8명 소그룹 테이블에서 진행 ATL housing 건설 마일스톤 소개 & 연구 목적과 리서치팀 소개 스마트 기술 소개 (20m) : 1) 센서의 기본 원리, 종류, 연결된 네트워크 사용 2) 아마존 에코 클립 영상시청 포스트 카드 활동 : 기기 설명 - 뒷면 어떻게 커뮤니티에 도움이 될까? - 하단 1) 랜덤 선택 후 작성 2) 자기소개 후 카드 발표 3 1 2
  • 8.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스마트 센서 게임 : 센서 인풋/아웃풋 조합 가상 기기 만들기 서베이 : 앞서 만든 기기에 대한 개인 설문 & 논의 (기기 어떻게 이해하는지) W1. Creating Sensor 4 5
  • 9.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W2 •스마트 기술의 장기적 영향을 알기 위해 •4-5명 소그룹 + facilitator / 대부분 W1 참가자 “What if?” 프롬프트 작성 : 미래 기술 사용 예상 1에서 작성한 답의 영향 논의 (장단점, 위험, 사용 ox, …) W2. Uncertain Futures 1 2 Ex) 숙제 위해 스마트 스피커 사용하는 상황이면 어떻게 할 것인가?
  • 10.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W3. Seniors & Property Managers •두 팀으로 나눠서 진행 : 노인 8명 / 시설 유지관리 매니저 5명 •각 팀에서 facilitator 가 리드 진행 포스트 카드 활동 노인팀 노인만의 니즈 알기 위한 논의 매니저팀 (실제 문제 위주) 포스트 카드 활동 스마트 센서 게임 기술의 미래 영향 논의 1 2 3 1 2
  • 11.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워크숍 작성 자료, 녹음 transcription -> 클러스터링 (1) 트래킹과 감시 (2) 사람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3) 기준선의 변화 자기 결정권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풀어낼 지에 대한 워크숍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해관계자 간의 주요 고려사항 (1) 트래킹과 감시 - 기술에 대한 긍정적 태도 ; 보안, 건강, 가족과의 연결 유지 의 맥락 / 부정적 태도 : 타인이 추적가능한 데이터를 남긴다는 맥락 - 첫째, 건강 웰니스 분야에서의 트래킹과 감시 : 개인 기기와 연동해 스스로 컨디션 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는 언급. 건강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직계 가족의 범위를 넘어서 사용될 수 있음 - 둘째, 개인 안전 분야에서의 트래킹과 감시 : 이웃과 주변 환경에 사용될 수 있음 ex) smart lock, smart street lamp - 전반적으로, 자가감시에서 타인에 의한 감시로 대화 주제 변화 ; 새로운 visibility가 가족에서 외부 공급자나 빌딩 관리로 확장 가능성 시사
  • 12.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 어떤 것들이 녹화되고, 누가 데이터에 엑세스 하는지 등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없을 때, 트래킹과 감시에 대한 의심은 더 커짐 cf. 매니저 : smoke detector taping - 당연하게도, 센서와 레코딩 기기는 공공 공간에서는 허용되지만, 개인 공간에서는 허용하지 않음 / 하지만 복도, 공 용공간, 운동실 등 반-공공 공간에서는 감시가 복잡해짐 - 어디에서 어떤 데이터를 기록 하는지, 누가 접근 가능한지의 맥락에 따라 경계 설정에 다른 의미를 가짐 - 스마트 기술이 개인, 공공 공간에 대한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있음 ex. Smart camera, smart lock (1) 트래킹과 감시 (2) 개인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3) 기준선의 변화 자기 결정권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풀어낼 지에 대한 워크숍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해관계자 간의 주요 고려사항 (2) 개인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 13.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 센싱을 매개로한 복잡하고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은 동기와 결과에 대한 불신을 낳기도 함 ex) 에너지 효율 사례 - 기존에는 스마트 기기가 거주자에게서 얻는 visibilitiy 중심, 거주자 또한 기기에서 visibilitiy 얻어야 함 - Cable tv 서비스 비용 사례 : 1) endpoint (휴대폰, 노트북 등의 고정적 비용)와 service (광역밴드, 무선 데이터 - 지속적 비용) 구별해서 고려 2) 기존에는 가구의 책임이지만 기기로 연결된 스마트홈에서는 인프라로 역할 > 기준선 기대치의 변화가 필요 (1) 트래킹과 감시 (2) 개인과 공공 프라이버시의 경계 (3) 기준선의 변화 자기 결정권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스마트 기술을 풀어낼 지에 대한 워크숍을 기반으로 도출된 이해관계자 간의 주요 고려사항 (3) 기준선의 변화
  • 14.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디스커션 포인트들 (1) 트래킹에 대한 책임의식 (2) 데이터와 사용에 대한 자기결정권 (3) Endpoint 에서 Infrastructure 로 - 트래킹 문제는 사람간의, 사람-집단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Housing provider는 거주자에게 이를 악용할 수 있음 ex) 기존 서비스에 접근 못하도록 하기 - 누가 기술을 지원하고,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어떻게 베네핏이 분배될지 등의 책임에 대한 고려가 필요 - 사회적, 윤리적 질문이 제기되는 공공주거의 기술 정책의 맥락 - 관리자 : ‘데이터 통합하고 활용한 스마트 기술 혜택 극대화’와 ‘거주자에게 사생활 감시에 대한 충분한 선택권을 제공’을 해야함 - 시스템 디자이너 : ’사용자 스스로가 공간과 데이터에 관해 통제권을 행사할 수 없다면 쓸모 없는 것’ 이라는 생각을 가져야 함 - 스마트 홈은 endpoint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질적 변화는 인프라에서 나옴
  • 15. 연구 배경 연구 방법 DiscussionWhy This Paper 연구 결과 Takeaway 단지 기계만 더해 만든 스마트 홈은 두려움 뿐이다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제공하는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 되는지 보다 상세히 알릴 필요성이 있음. 1 연구 결과 분석 참고하기 워크숍에서 사례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진행하는 것. (논리적으로 보이기 힘들다) 2 생각보다 더 예민한 거주자의 데이터 수집 민감 정도 스마트 스피커에 쌓이는 데이터에 대해 얼만큼의 경계심을 가질지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