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Cette réforme du collège qui ne passe toujours pas
여전히 통과되지 않은 중학 교육과정 개정
Jeudi 17 septembre, les professeurs des collèges sont
appelés à observer une journée de grève pour marquer
leur opposition à la réforme du collège, portée par la
ministre de l’éducation nationale, Najat Vallaud-Belkacem.
Il s’agit du premier mouvement de l’année scolaire, mais
c’est la troisième mobilisation des enseignants contre ce
projet depuis la présentation du projet par la ministre, le
11 mars, en conseil des ministres.
Aux côtés des professeurs, le cortège de ce 10 octobre
comptera des associations, de la Société des agrégés à
l'association des professeurs d'allemand (Adeaf), menacés
par la suppression des classes bilangues, en passant par
les défenseurs des langues anciennes. Parmi ces
dernières, le groupe Facebook «Défendons sans maugréer
les langues anciennes», qui compte à ce jour plus de
2600 membres. Enfin, sont attendus les parents d'élèves.
L'antenne marseillaise de la FCPE, grand soutien de la
ministre au niveau national, sera présente.
Si la réforme passe, le latin sera, dans dix ans, le
cadet de nos soucis, poursuit-elle, dénonçant «un
nivellement par le bas». On dit «De l’autonomie à
l’interdisciplinarité en passant par la disparition des
sections bilangues, la fragilisation des langues anciennes,
de l’enseignement de l’allemand ou encore de l’histoire».
9월 17일 목요일, 중학교 교사들은 전국교육부장관, 나
자 발로-벨카상에 의해 진행된 중학 교육 과정 개정에
반대의사를 표명하기 위해 파업을 강행했다. 이는 교육의
해에 이뤄진 첫 시위운동이지만 금년 5월 11일, 장관회
의에서 교육부 장관에 의해 제정된 계획안 발표 이후 이
에 반대하는 교육자들의 세 번째 결집이다.
교사집단은, 올해 10월 10일에 이중 언어 수업 폐지로
위협을 받은 대학교수협의회부터 독일 교사 협회까지의
집단을 포함하여 고대 언어를 지지하는 행렬을 진행했고.
이러한 고대 언어 지지자들 사이에는 현재 2600명 이상
의 회원을 수용하고 있는 “고대 언어를 지키자”라는 페이
스북 그룹이 있다. 끝으로 학부모들도 참여했다. 전국적
으로 교육부 장관의 지지를 받고 있는 프랑스 최대의 학
부모 연합 FCPE 마르세유 지역방송도 참여할 것이다.
이 교육과정 개혁안이 통과된다면, 10년 후에 라틴어는
조금도 관심 받지 못 하게 될 것이며 “하향평준화”가 일
어날 것이다. 사람들은 “자율성부터 다영역성까지 다중언
어 영역을 제거하며 고대 언어, 독일어 교육 또는 역사까
지 약화시킨다”고 주장한다.
14 박소희 <sohui0519@naver.com>
참고 : Le Monde “Réforme des collèges : les raisons de la
nouvelle grève des enseignants",
Figaro "Cette réforme du collège qui ne passe toujours pa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La défiance envers Hollande persiste dans l'opinion
佛, 올랑드 대통령 지지율의 지속적인 약세
L'impopularité de François Hollande est comme le
sparadrap du capitaine Haddock: il n'arrive pas à s'en
débarrasser! Depuis deux ans, la cote de confiance du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n'a pas réussi à remonter
au-dessus de 23 %. Malgré les stratégies de
communication, les déplacements et les selfies, les
événements extérieurs, les documentaires, rien n'y a
fait. Le chef de l'Etat est impopulaire. Cette rentrée
est peut-être même la pire pour François Hollande.
L'année dernière, il pouvait attribuer la chute de sa
cote de confiance à la publication du livre de son
ex-compagne Valérie Trierweiler, voire aux attaques
politiques d'un Arnaud Montebourg ou d'une Cécile
Duflot. Mais cette année? Rien de tel. Et pourtant, le
Président perd quasiment autant en quatre mois que
l'année précédente (-4 entre juillet et octobre 2014, -3
entre juillet et octobre 2015).
François Hollande, qui avait réussi à déminer la
primaire et les candidatures alternatives dans son
camp, risque de voir revenir la question pour 2017!
Quitte à perdre dès le premier tour, autant qu'il y
aille et que les autres tentent de reconstruire un parti
sur les décombres de sa défaite. Peu nombreux sont
ceux qui misent sur sa victoire. Rien n'est moins sûr
car à droite, comme le confie un élu, «pour le
moment on le protège, on retient nos coups. Mais
dans la campagne, on se lâchera». Et face aux
attaques de la gauche, du centre et de la droite,
François Hollande sera bien seul…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지지율이 브레이크
없는 열차처럼 끝없이 하락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
하지 못하고 있다. 2년 전부터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수
치가 23% 이상으로 다시 오르지 못하고 있다. 소통, 이
동, 셀카, 외부활동, 다큐멘터리 등의 수많은 전략을 펼
쳤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올랑드 대통
령은 국민들의 지지를 잃고 있다. 이는 올랑드 대통령에
게는 최악의 일일 것이다. 지난해에는 이러한 지지율 하
락의 이유를 전 동거녀인 발레리 트리에르에 관한 저서
출판과 아르노 몽뜨부르와 세실 뒤플로의 정치적 공격에
서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어떤가? 나아진 것이
없다. 심지어 그는 4개월 만에 작년 한 해 동안 잃은 지
지율을 다시 잃었다. 2014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그의
신임점수가 –4점이었고, 2015년 7월과 10월에는 –3점으
로 나타났다.
올랑드 대통령은 그의 캠프에서 1차 선거와 다른 선거
자들을 없애는 데 성공했지만, 2017년 선거에서 의문이
다시 재기될 위험이 있다. 1차 선거에서 지더라도 패배
의 잔해에서 벗어나 당을 재건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
다. 아주 극소수의 사람들은 그의 승리를 점치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우파의 한 관계자는 “그를 당선
자로 만들기 위해 우리는 온갖 힘을 다 쏟는다. 하지만
캠페인에서 우리는 손을 놓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좌파와 중립파, 그리고 우파의 공격을 골고루 받고 있는
대통령은 고독한 싸움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14 정미선 <mi9527@naver.com>
참고 : Le figaro “La défiance envers Hollande persiste dans
l'opinion”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La « loi sur la burqa », cinq ans après...
« 부르카 금지법 » 5년 후 지금은?
C'était il y a 5 ans. Le 11 octobre 2010, la France se
dotait d'une nouvelle loi interdisant « la dissimulation du
visage dans l'espace public ». Souvent appelé « loi sur la
burqa », le texte visait notamment à interdire aux femmes
musulmanes de porter un voile intégral. C'est Nicolas Sarkozy
qui avait initié cette loi punissant d'une amende, allant
jusqu'à 150€, le port du niqab ou de la burqa.
Régulièrement, le gouvernement se voit reprocher la
mauvaise application de ce texte. En juin, sur France Inter,
Henri Guaino jugeait ainsi que la loi n’était « pas appliquée
». Le 1er octobre, encore sur France Inter, Valérie Pécresse
réitérait : « Est-ce que vous tolérez que, sur le sol français, la
loi française qui interdit le voile intégral ne soit pas
appliquée ? »
Selon les chiffres du ministère de l’Intérieur, 1 546 femmes
ont été verbalisées par les forces de l'ordre, ce qui
représente un peu moins de 400 contraventions en moyenne
par an. Des chiffres stables mais faibles. Plusieurs
verbalisations renvoyant parfois à une même personne «
multirécidiviste » : une femme a par exemple été contrôlée à
33 reprises.
Pourquoi si peu de verbalisations ? Les syndicats de
policiers affirme que c’est une loi « difficile à appliquer,
mettant les policiers en difficulté ». « Les services sont
débordés, donc la question se pose de les mobiliser sur une
infraction pas si grave. » fait valoir Nicolas Comte,
porte-parole du syndicat Unité SGP Police FO.
Du côté des relais de la loi, la démonstration est la même
: le site gouvernemental dédié, www.visage- decouvert.gouv.fr,
a disparu et l’association Ni putes ni soumises, qui devait,
par le biais de ses « ambassadrices de la laïcité » et une
convention annuelle de 80 000 euros passée avec l’Etat, «
sillonner la France pour faire de la pédagogie sur la question
du voile intégral », n’a pas communiqué sur le sujet.
D’après Agnès de Féo, sociologue et réalisatrice de
documentaires qui travaille depuis plus de dix ans sur le
port du niqab, la loi a « agi comme un déclencheur et
suscité des vocations ». Avant 2010, celles qui portaient le
niqab « étaient davantage dans une démarche religieuse,
piétiste. Aujourd’hui, même si elles affirment toujours vouloir
plaire à Dieu, il y a une volonté de revendication, de
rupture avec une société qu’elles considèrent comme hostile
», explique-t-elle.
2010년 10월 11일, 프랑스는 « 공공장소에서 얼굴을 가리
는 것 »을 금지하는 법안을 도입했었고 올해가 꼭 5년째 되
는 해이다. 소위 « 부르카 금지법 »이라고도 불리는 이 법은
이슬람교 여성들을 겨냥해 전신 베일을 두르지 못하도록 하
는 법이다. 前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가 제안한 이 법은 니
캅(눈을 제외한 얼굴 전체를 덮는 일종의 얼굴 가리개) 또는
부르카(머리에서 발목까지 전신을 덮는 겉옷) 착용에 최대
150유로(한화 약 19만원)의 무거운 벌금을 부과해왔다.
그러나 이 법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정부 내에
서 주기적으로 이어져왔다. 사르코지의 보좌관이었던 앙리 구아
이노는 라디오 방송에서 이 법이 « 시행되지 않았다 »고 평가
했고 역시 공화당 소속인 발레리 페크레스는 « 여러분은 프랑
스 땅에서, 부르카를 금지하겠다는 프랑스 법이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을 견딜 수 있습니까? »라는 발언을 했다.
프랑스 내무부 통계에 따르면, 부르카 금지법과 관련하여 작
성된 조서는 2012년 332건, 2013년 383건, 2014년 397건,
2015년 9월까지 200건을 기록했다. 꾸준하지만 그다지 많다고
할 수는 없는 수치이다. 또, 한 명이 33번 붙잡히는 등 « 다중
누범자 »의 경우를 생각하면 더욱 적은 수치이다.
조서 작성 건수가 왜 이렇게 적을까? 경찰노조는 이 법이 «
시행하기 어렵고, 경찰들을 곤경에 빠트린다 »고 주장한다. 경
찰노조 SGP의 대변인 니콜라 꽁트는 « 업무가 너무 많다. (부
르카 착용과 같은) 심각하지 않은 위법행위에 경찰력을 동원해
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고 말한다.
법원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부르카 금지법 관련 정부 사이트
www.visage-decouvert.gouv.fr은 문을 닫았다. 국가와 8만 유로
(한화 약 1억 50만원)의 협약을 체결했고 정교(政敎)분리원칙의
사절로서 부르카 문제에 대한 교육법을 만들기 위해 프랑스를
종횡무진해야 할 인권단체 “창녀도 노예도 아닌”은 이 문제를
아직 다루지 않았다.
10년 이상 니캅 착용을 연구한 다큐멘터리 제작 감독 아그네
드 페오에 따르면 부르카 금지법은 « (종교적) 사명을 불러일
으키는 시동장치 역할을 » 했다. 2010년 부르카 금지법 제정
전, 니캅을 착용하는 여인들은 « 더 신앙심이 깊고 경건한 경
우였다. 오늘날, 물론 이슬람 여성들은 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니캅이나 부르카를 착용하지만 권리 요구, 그녀들에게 적대적
인 사회로부터 단절되겠다는 심리도 작용한다 »고 그녀는 설
명한다.
12 김소연 <tddhul@naver.com>
참고 : Le Monde “Loi sur le voile intégral : « On a créé le
monstre qu’on voulait éviter »”
20 minutes “Voile intégral: Quel bilan tirer de la loi cinq ans après?”
La Caisse des dépôts veut lever 1 milliard d’euros pour développer le tourisme
佛 신탁은행, 자국 관광 산업 발전 위해 1억 유로 투자 예정
Un milliard d’euros sur cinq ans pour renforcer
l’attrait touristique de la France. C’est l’annonce
faite, jeudi 8 octobre, par le directeur général de la
Caisse des dépôts et consignations (CDC),
Pierre-René Lemas, lors de la première conférence
annuelle sur le tourisme, organisée au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sous l’égide de Laurent
Fabius.
L’objectif du ministre est d’aider la France à tenir
son rang de première destination touristique du
monde pour les vingt prochaines années. M. Fabius
souhaite atteindre le seuil des 100 millions de
touristes par an d’ici à 2020, contre 84 millions en
2014. En juin 2014, dans un entretien au Monde, M.
Fabius s’était fixé comme objectif de capter 5 %, au
moins, du milliard de touristes supplémentaires qui
sont attendus à l’horizon 2030. Selon le ministre, ce
nouvel afflux pourrait permettre de « quasiment
doubler l’excédent que rapporte le tourisme à
notre balance extérieure, actuellement 12 milliards
d’euros ».
Dans le détail, la plate-forme d’investissement
sera gérée par la CDC, qui pilotera la levée des
fonds et la répartition de ce pactole. Le premier
volet du dispositif sera la création d’une foncière
de 500 millions d’euros consacrée à la rénovation
et à la construction d’infrastructures hôtelières. La
mise de fonds initiale de la CDC sera comprise
entre 100 millions et 150 millions d’euros, et la
Caisse espère attirer les investisseurs institutionnels
de manière à atteindre 500 millions d’euros.
Il s’agit ensuite de financer les territoires et leurs
équipements touristiques (ports de plaisance, parcs
d’exposition, thermalisme, tourisme culturel, etc.), à
l’aide d’« un fonds doté de 400 millions », a précisé
M. Lemas. M. Fabius a insisté sur l’importance de
développer le tourisme fluvial.
Enfin, un fonds de capital-développement sera
créé par la Banque publique d’investissement
(Bpifrance) pour les petites et moyennes de la filière
tourisme, notamment des secteurs de l’innovation et
de l’e-tourisme, et sera « doté de 100 millions
d’euros », a ajouté le directeur général de la CDC.
지난 10월 8일 목요일, “프랑스의 관광 산업을 강
화하기 위해 5년 안에 10억 유로를 투자할 것이다.”
라고 신탁은행 최고 경영자인 피에르 르네 르마가 로
랑 파비우스(프랑스 전 국무 총리)의 후원 아래 외교
부에서 열린 제 1차 연간 관광 회담 중 말했다.
로랑 파비우스의 목적은 향후 20년 간 프랑스를 사
람들이 가장 관광하러 가고 싶어 하는 나라가 되도록
돕는 것이다. 그는 프랑스에 방문하는 관광객의 수치
가 2014년 8,400만 명 대비, 현재부터 2020년까지는
매년 1억 명 선을 돌파하기를 희망한다. 2014년 6월
에 진행된 르몽드(Le Monde)지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2030년에는 적어도 십억 명의 5% 만큼을 추가
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로랑 파비우스에
따르면, 이러한 새로운 관광객들의 유입은 현재 120
억 유로인 프랑스의 무역 수지 중에서 관광 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을 거의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세히 보자면, 기본적으로 투자는 투자 기금을 신
장하고 이 자본을 분배하는 데 앞장설 신탁은행에 의
해 관리될 것이다. 처음에 선별된 대책은 호텔 산업
의 인프라 재정비와 건설에 할당된 5억 유로만큼의
토지세를 새로이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신탁은행의
초기 투자 비용은 1억 유로에서 1억 5천 만 유로 사
이에 포함될 것이며 신탁은행은 5억 유로를 달성하기
위해 기관 투자자를 모집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는 프랑스 국내 영토와 프랑스 관광 시
설들(요트항, 박람회장, 온천 시설, 문화 관광 등)에
투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4억 만 유로를 지닌
기금의 도움으로 가능할 것입니다”라고 피에르 르네
르마씨가 밝혔다. 로랑 파비우스는 수중 관광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자본 발전 기금이 프랑스 공공 투자
은행에 의해 만들어 질 것인데, 이것은 특히 혁신과
디지털 관광 분야와 같은 중소 관광 사업 계열을 위
한 것이다. 그리고 1억 유로가 이 기금에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고 신탁은행 최고 운영자가 덧붙였다.
13 배준영 <heejini94@naver.com>
참고 : Le Monde “La Caisse des dépôts veut lever 1 milliard
d’euros pour développer le tourisme”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Paris: 68 euros pour un mégot jeté par terre
파리시, “꽁초 투기시 68유로 부과하겠다”
Jettera ou ne jettera pas ? Rodolphe et Patrice
font partie des 96 inspecteurs de salubrité que
compte la ville de Paris. Habillés en civil, ils
sillonnent le 16e à l’affût de la moindre incivilité
qui salirait les rues de leur arrondissement.
Déjection canine, pipi contre le mur, dépôt
sauvage de déchet et puis, depuis septembre, les
mégots de cigarettes jetés par terre.
Tout fumeur surpris à jeter négligemment son
mégot sur le trottoir s’expose à une amende de
68 euros. Voire même 180 euros si elle n’est pas
payée dans les bons délais.
Depuis septembre, ils font de la prévention sur
cette nouvelle mesure et distribuent des fausses
amendes aux fumeurs négligents. «Nous nous
postons à proximité de fumeurs et nous
attendons tranquillement qu’ils finissent leur
cigarette», raconte Rodolphe. Et si un seul mégot
est jeté par terre, le duo intervient en sortant ses
cartes d’agent d’insalubrité de la ville. «Soit
pratiquement à chaque fois, constate Patrice.
Dans un groupe de fumeurs, il y en a toujours
un qui jette sa cigarette par terre».
Une statistique qui se vérifiait mardi aux
abords d’un centre d’affaires à deux pas de la
place du Trocadéro. James, Mathieu et Maëva
figuraient dans les attrapés du jour. «Je ne savais
pas», «oui, mais il n’y a pas de poubelles de
rue», «j’étais pressée, une réunion m’attendait»…
Les excuses ne sont jamais les mêmes.
Les Parisiens pourront difficilement dire qu’ils
n’étaient pas au courant. « La campagne de
communication a été de grande ampleur et nous
sillonnons tous les arrondissements de la capitale
depuis un mois pour faire de la sensibilisation »,
explique Muriel Bernardin, cheffe du service
Centre d’action pour la propreté de Paris (CAPP).
L’argument du manque de poubelles de rues
ne prendra pas non plus. « 30.000 corbeilles ont
été installées avant l’entrée en vigueur de la
mesure. Toutes équipées de cendrier, poursuit
Muriel Bernardin. Cela fait une poubelle tous les
100 mètres à Paris. »
버릴 것이냐, 말 것이냐. 로돌프 씨와 파트리스 씨
는 파리시 96명의 위생 검열관들의 일원으로서 일한
다. 그들은 사복차림으로 파리 16구에 잠복하여 거리
를 더럽힐 수 있는 아주 사소한 몰상식한 행위까지도
잡아낸다. 이들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치우지 않는
사람, 노상방뇨를 하는 사람,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
하는 사람 등을 단속하며, 9월부터는 담배꽁초를 땅
바닥에 무단으로 투기하는 사람 또한 단속의 대상에
포함된다.
앞으로 거리에 꽁초를 아무렇게나 버리는 사람에게
는 68유로(한화 약 8만 5천원)의 벌금이 부과되며, 만
일 정해진 기간 내에 벌금을 내지 않을 시엔 약 세
배에 해당하는 180유로(한화 약 22만 6천원)를 내야
한다.
9월부터 파리시는 이 새 대책을 만든 후 흡연자들
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있으며, 법을 위반한 흡연자
에게는 가(假)벌금을 부과했다. 로돌프 씨는 “위생 검
열관들은 2인 1조로 흡연자 가까이에 서서 그들이 담
배를 모두 필 때까지 조용히 기다린다”고 이야기 한
다. 그리고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땅에 버린 즉시
위생 검열관들은 흡연자들에게 그들의 검열관증을 보
여주며 벌금을 부과했다. 파트리스는 실제로 매번 흡
연자 무리 가운데 한 명씩은 꼭 꽁초를 땅바닥에 버
리곤 했다고 밝혔다.
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트로카데로 광장 근처에 있
는 한 사업 센터 주변에서 이 점이 잘 드러났다. 적
발된 사람 명단에는 제임스, 매튜, 마에바 등의 이름
이 적혀있었다. 꽁초를 투기하다 걸린 시민들은 “몰랐
다”, “하지만 여기엔 쓰레기통이 없지 않느냐”, “지금
시간이 없다” 등의 다양한 변명을 했다.
파리 시민들은 몰랐다는 변명도 하기 어려워 질 것
이다. 파리청결실천센터(CAPP)의 뮤리엘 센터장은 “이
와 관련된 대규모 캠페인을 벌였었고, 한 달 전부터
위생 검열관들이 흡연자들에게 이 캠페인을 알리기
위해 파리시의 모든 구를 누비고 다녔다”고 설명했다.
거리에 쓰레기통이 부족하다는 변명 또한 통하지
않는다. 꽁초 투기에 대한 새로운 적발 기준이 적용
되기 전 재떨이가 포함된 3만 개의 쓰레기통이 파리
시 100미터 당 하나 꼴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10 류정현 <youjh0220@naver.com>
참고 : 20minutes “Paris: 68 euros pour un mégot jeté par terre, «cela va gâcher des journées»”
Des nanotubes de carbone trouvés dans les poumons de petits Parisiens
파리 거주 어린이에게서 발견되는 탄소나노튜브*
Parmi les polluants présents dans l’atmosphère, les
particules fines qui mesurent moins de 2,5 µm de
diamètre (appelées PM 2,5) peuvent pénétrer dans
les voies respiratoires et entraîner des effets négatifs
sur la santé. Ces particules fines seraient une cause
majeure de décès et de maladies dans le monde :
des études ont montré une association entre
l’exposition à ces particules à long terme et la
mortalité, même à des concentrations inférieures à
celles recommandées par l'Organisation mondiale
de la santé (OMS). L’exposition à long terme à de
fortes concentrations de particules fines augmenterait
le risque cardiovasculaire, les maladies respiratoires,
le diabète et le cancer du poumon.
Dans un article paru dans EBioMedicine, des
scientifiques français et de l’université Rice ont
caractérisé les particules présentes dans les liquides
de lavage broncho-alvéolaire d'enfants asthmatiques.
Les chercheurs ont choisi de travailler sur de tels
patients car la bronchoscopie est un examen de
routine pour le diagnostic de l’asthme en France.
64 échantillons provenant de 36 garçons et 28
filles âgés de 2 mois à 17 ans ont été récoltés
entre 2007 et 2011. Ces échantillons de liquides de
lavage broncho-alvéolaires étaient congelés à
l’hôpital Trousseau, à Paris. Comme la congélation
détruit les cellules, les chercheurs ont ensuite
analysé des échantillons frais avec des cellules
pulmonaires intactes, provenant de cinq garçons
âgés de 12 à 58 mois. Tous ces patients ont fait
ces examens dans le cadre de leur traitement.
Les particules trouvées dans les poumons des
enfants asthmatiques étaient similaires à celles
présentes dans les gaz d’échappement de véhicules
parisiens, mais aussi dans des poussières provenant
de différents endroits de la ville et même d'ailleurs
dans le monde. En définitive, ces nanoparticules
pourraient être omniprésentes dans notre
environnement.
대기 오염 물질 중에서, 지름이 2,5 µm이하로 매우
작은 입자(PM2.5라고 부르기도 한다)들은 공기 중에
날려 호흡기에 침투해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 미세 입자들은 전 세계에서 사람이 죽거나 병
에 걸리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여러 연구
들은 이러한 미세 입자들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과 사
망하는 것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들은 이
관련성이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한 미세먼지 농도 기준
에 미치지 못하는 환경 속에서 조차 존재한다고 한다.
장기간 동안 미세먼지에 노출이 되면 심혈관 질환 발
생 위험률이 증가하고, 호흡기 질환, 당뇨병, 폐암 그리
고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EBioMedicine에 실린 한 기사에 따르면 프랑스 과학자
들과 라이스 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천식을 앓고 있는 어
린이들의 기관지와 폐포의 세척액에 존재하는 입자들을
규정했다. 기관지경 검사가 프랑스에서는 천식의 진단
을 위한 기본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연구진들은 이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로 선택하였다.
2007년과 2011년 사이에 2개월부터 17살까지의 남
자아이 36명과 여자아이 28명에게서 총 64개의 샘플을
추출했다. 세척액으로 기관지와 폐포에서 추출된 이 샘
플들은 파리의 트루쏘 병원에서 냉동되어졌다. 이 세포
들은 냉동상태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연구진들은 이 샘
플들을 냉동시킨 후 12개월에서 58개월 사이의 다섯
명의 남자아이들에게서부터 얻은 건강한 폐 세포들을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치료의 일환으로 이 실험에
참가했다.
천식이 있는 아이들에게서 발견된 입자들은 프랑스
차량 배기가스의 입자들과 비슷하였는데, 파리 다른 지
역과 세계 모든 지역에서 나타나는 먼지에 있는 것과
도 같았다. 무엇보다, 이러한 나노 입자는 우리 환경
모든 곳에서 나타날 수 있다.
* 탄소나노튜브는 이 세상에서 가장 튼튼한 물질로서 가볍고
잘 휘어지고 놀라운 열 전도성과 전기적 특성을 가졌다. 탄소나
노튜브로 다양한 물체들을 만드는데 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단
점이 있다. 탄소나노튜브로 만들어진 제품이 부서지거나 깨질
때 나노입자가 방출되는데 이 때 독 성질이 나타난다.
14 이미지 <alwl2897@naver.com>
참고 : Futura “Des nanotubes de carbone trouvés dans les poumons de petits Parisiens”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Ikea : les Marocains ne sont pas près de monter leur bibliothèque Billy*
이케아의 모로코 진출, 아직까지는 어려운 것으로 보여
A quelques mètres de l’autoroute urbaine qui traverse
Casablanca, le premier Ikea marocain (et le deuxième
d’Afrique, après l’Egypte) devait ouvrir ses portes le 29
septembre dans la banlieue de Zenata. Une sortie
d’autoroute avait même été aménagée spécialement.
Mais l’événement n’a pas eu lieu. La justice marocaine
a tranché la veille du jour. J : le projet « ne dispose
pas de certificat de conformité ».
Personne n’est dupe : la décision est surtout
politique. Le gouvernement suédois s’apprête en effet
à reconnaître la République arabe sahraouie
démocratique (RASD), considérée comme un « Etat
fictif », sans territoire et sans légitimité internationale.
Administré par le Maroc depuis 1975, ce territoire est
revendiqué par le Front Polisario, qui réclame son
indépendance depuis quarante ans, avec le soutien
explicite de l’Algérie.
Selon les chiffres officiels, les échanges
commerciaux entre les deux pays restent très limités :
seules 0,03 % des importations suédoises proviennent
du Maroc, alors que 0,33 % des exportations
suédoises vont au Maroc, principalement des
semi-remorques.
En s’installant aux portes de Casablanca, le cœur de
l’économie marocaine, et à quarante minutes des
quartiers cossus de Rabat, Ikea vise les classes
moyennes et supérieures de ce qu’on appelle « l’axe
Rabat-Casa[blanca] », en d’autres termes le « Maroc
utile » du maréchal Lyautey.
A l’instigation des autorités, quelques milliers de
personnes ont manifesté dimanche 4 octobre devant
l’ambassade de Suède à Rabat, et une délégation de
chefs de partis a été dépêchée par le palais marocain
카사블랑카를 가로지르는 도시 고속도로에서 몇 미
터 떨어진 곳에, 모로코에서는 처음으로 이케아(이집
트 다음으로 아프리카에서는 두 번째)가 9월 29일 제
나타 교외에서 문을 열었어야 했다. 그래서 특별히 고
속도로에 출구가 하나 설치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케
아는 개장을 할 수 없었다. 모로코의 법무부가 개장
하루 전날 이 프로젝트는 “준수 증명서가 없다”라는
이유로 일을 중단시켰기 때문이다.
아무도 그렇게 쉽게 속지 않는다: 이것은 분명 정치
적인 결정이다. 실제로 스웨덴 정부는 영토가 없고 국
제적인 합법성이 없는 “허구의 국가”로 간주되고 있는
(*참조)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인정할 준비를 했
다. 이 영토는 1975년부터 모로코가 통치하고 있는데,
알제리의 명백한 지지를 받으며 40년 전부터 독립을
주장하고 있는 폴리사리오 전선이 이 영토에 대한 통
치권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공식적인 총계에 의하면, 스웨덴과 모로코의 상업적
교류는 아주 제한되어 있다: 스웨덴이 수입한 물품 중
오직 0.03%만이 모로코에서 온 것인데 반해 스웨덴의
수출품 중 0.33%가 모로코로 수출되며 주 품목은 세
미 트레일러(동력 없이 견인차에 연결하여 짐이나 사
람을 실어 나르는 차량)이다.
모로코 경제활동의 중심지인 카사블랑카의 입구에
위치하며 라바트의 부유한 지역에서 40분 거리에 떨
어져 있는 이케아는 중상층과 “라바트와 카사블랑카
의 축”, 혹은 다른 말로 리요티 준장이 “쓸모 있는 모
로코”라고 부르는 상류층을 상대로 한다.
고위층의 선동 하에 몇 천 명의 사람들이 라바트에
위치한 스웨덴 대사관 앞에서 10월 4일 일요일에 시
위를 벌였고 스톡홀롬의 모로코 대사관은 스웨덴 정
부가 프로젝트를 관두도록 설득하기 위해 대표 당을
위임하는 일을 빠르게 진행시켰다. 하지만 이것은 진
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이 상황이 풀리기를 기다리는
* la bibliotheque Billy
: 35년 동안 이케아의 대표 상품으로 자리잡은 빌리 책장
à Stockholm pour convaincre le gouvernement
suédois de renoncer au projet. Mais c’est le statu
quo qui prévaut pour l’instant. En attendant le
déblocage de la situation, les Marocains qui le
peuvent doivent encore se déplacer en Espagne ou
en France pour s’approvisionner en produits Ikea.
L’arrivée d’Ikea a été anticipée par le leader
marocain actuel du meuble en kit, le groupe Kitea.
Lancé en 1993, ce dernier dispose de 22 magasins.
Pour faire face au nouvel arrivant, Kitea a installé de
nouveaux points de vente, notamment à Fès et
Meknès, dans le centre du pays. « L’objectif est de
diversifier notre clientèle en touchant également les
classes moins aisées, et les gens éloignés de Rabat
et de Casablanca », explique un responsable de
Kitea qui préfère garder l’anonymat.
Le reste du marché du meuble est tenu par de
petites structures, formées essentiellement de boutiques
appartenant à des artisans qui entretiennent des
rapports de proximité avec leurs clients. Ils se
retrouvent aussi bien dans les grandes que les
petites villes et adaptent « le coût du produit au
portefeuille du client », précise Ahmed, un artisan de
la médina de Rabat. Assis en tailleur dans une
boutique qu’il dit avoir hérité de son père, Ahmed,
la cinquantaine, est absorbé par la confection d’un
vieux meuble en bois. « Il y a deux types de clients,
ajoute-t-il. Les plus aisés préfèrent les objets raffinés,
avec une forte touche artisanale et traditionnelle. Les
autres sont de petits fonctionnaires de l’Etat ou des
salariés dans des petites entreprises. Ils cherchent ce
qui est moins cher et plus pratique. » A la question
« Etes vous au courant de l’implantation d’Ikea au
Maroc ? », il répond : « Ikea ? C’est quoi ça ? »
동안 모로코인들은 이케아 제품들을 장만하기 위해서
스페인이나 프랑스로 이동해야 한다.
현재 모로코의 조립세트 가구의 선두주자인 Kitea
그룹은 이케아의 입점을 예상하고 있었다. 1993년에
설립된 이 그룹은 22개의 점포를 소유하고 있다. 새로
들어오는 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Kitea는 나라의 중심
인 페즈와 메크네스에 새로운 지점을 설치하였다. “부
유하지 않은 계층과 라바트와 카사블랑카에서 멀리 사
는 사람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층을 다
양화 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익명을 요구한 Kitea의 책
임자는 설명했다.
그 외의 가구점들은 작은 규모로 구성되어있고 고객
들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장인들이 운영하는
가게가 대부분이다. 그 가게들은 또한 작은 도시보다
는 큰 도시에서 주로 발견되고 “제품의 가격은 고객의
지갑에” 맞춘다고 라바트 메디나에서 일하는 장인 아
메드는 밝혔다. 50대의 아메드는 아버지에게 물려받았
다고 밝힌 상점에서 책상다리로 앉아서 나무로 된 고
(古)가구 제작에 몰두해 있었다. 그는 “두 종류의 고객
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가장 부유한 사람들은 세련
되고 수공업적이며 전통적인 물건들을 선호합니다. 그
외의 사람들은 말단 공무원들이거나 작은 기업의 임금
노동자들입니다. 그들은 더 싸고 실용적인 것들을 찾
아요”. “당신은 이케아의 모로코 진출에 대해 알고 있
나요?”에 대한 질문에 그는 “이케아요? 그게 뭔가요?”
라고 반문했다.
* 모로코 이남에 위치한 “서사하라”라고 불리는 국가. 1976년
폴리사리오 전선이 출범시킨 서사하라 지역 영토의 통치권을
주장하는 국가이다. 모로코 또한 이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주장
한다. 유럽연합은 서사하라 지역을 자치권이 없는 영토로 간주
해 식민지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곳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모
로코가 이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가지는 것 또한 인정하지 않
고 있다. 한편 아프리카 연합은 이 지역을 국가로 인정한다. 이
국가는 1982년부터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이 되었다.
15 윤이지 <yj.yun1205@gmail.com>
참고 : Le Monde “Ikea : les Marocains ne sont pas près de monter leur bibliothèque Billy”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La Gazette d'Agora 2015년 10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
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
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5월호
La Gazette d'Agora 5월호La Gazette d'Agora 5월호
La Gazette d'Agora 5월호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8월호
La Gazette d'Agora 8월호La Gazette d'Agora 8월호
La Gazette d'Agora 8월호
hufsfrance
 

Similar to La Gazette d'Agora 2015년 10월호 (12)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5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
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
La Gazette d'Agora 2014년 12월호
 
La Gazette d'Agora 5월호
La Gazette d'Agora 5월호La Gazette d'Agora 5월호
La Gazette d'Agora 5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3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8월호
La Gazette d'Agora 8월호La Gazette d'Agora 8월호
La Gazette d'Agora 8월호
 

More from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hufsfranc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hufsfranc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hufsfrance
 

More from hufsfrance (13)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2015년 10월호

  • 1.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Cette réforme du collège qui ne passe toujours pas 여전히 통과되지 않은 중학 교육과정 개정 Jeudi 17 septembre, les professeurs des collèges sont appelés à observer une journée de grève pour marquer leur opposition à la réforme du collège, portée par la ministre de l’éducation nationale, Najat Vallaud-Belkacem. Il s’agit du premier mouvement de l’année scolaire, mais c’est la troisième mobilisation des enseignants contre ce projet depuis la présentation du projet par la ministre, le 11 mars, en conseil des ministres. Aux côtés des professeurs, le cortège de ce 10 octobre comptera des associations, de la Société des agrégés à l'association des professeurs d'allemand (Adeaf), menacés par la suppression des classes bilangues, en passant par les défenseurs des langues anciennes. Parmi ces dernières, le groupe Facebook «Défendons sans maugréer les langues anciennes», qui compte à ce jour plus de 2600 membres. Enfin, sont attendus les parents d'élèves. L'antenne marseillaise de la FCPE, grand soutien de la ministre au niveau national, sera présente. Si la réforme passe, le latin sera, dans dix ans, le cadet de nos soucis, poursuit-elle, dénonçant «un nivellement par le bas». On dit «De l’autonomie à l’interdisciplinarité en passant par la disparition des sections bilangues, la fragilisation des langues anciennes, de l’enseignement de l’allemand ou encore de l’histoire». 9월 17일 목요일, 중학교 교사들은 전국교육부장관, 나 자 발로-벨카상에 의해 진행된 중학 교육 과정 개정에 반대의사를 표명하기 위해 파업을 강행했다. 이는 교육의 해에 이뤄진 첫 시위운동이지만 금년 5월 11일, 장관회 의에서 교육부 장관에 의해 제정된 계획안 발표 이후 이 에 반대하는 교육자들의 세 번째 결집이다. 교사집단은, 올해 10월 10일에 이중 언어 수업 폐지로 위협을 받은 대학교수협의회부터 독일 교사 협회까지의 집단을 포함하여 고대 언어를 지지하는 행렬을 진행했고. 이러한 고대 언어 지지자들 사이에는 현재 2600명 이상 의 회원을 수용하고 있는 “고대 언어를 지키자”라는 페이 스북 그룹이 있다. 끝으로 학부모들도 참여했다. 전국적 으로 교육부 장관의 지지를 받고 있는 프랑스 최대의 학 부모 연합 FCPE 마르세유 지역방송도 참여할 것이다. 이 교육과정 개혁안이 통과된다면, 10년 후에 라틴어는 조금도 관심 받지 못 하게 될 것이며 “하향평준화”가 일 어날 것이다. 사람들은 “자율성부터 다영역성까지 다중언 어 영역을 제거하며 고대 언어, 독일어 교육 또는 역사까 지 약화시킨다”고 주장한다. 14 박소희 <sohui0519@naver.com> 참고 : Le Monde “Réforme des collèges : les raisons de la nouvelle grève des enseignants", Figaro "Cette réforme du collège qui ne passe toujours pa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La défiance envers Hollande persiste dans l'opinion 佛, 올랑드 대통령 지지율의 지속적인 약세 L'impopularité de François Hollande est comme le sparadrap du capitaine Haddock: il n'arrive pas à s'en débarrasser! Depuis deux ans, la cote de confiance du président de la République n'a pas réussi à remonter au-dessus de 23 %. Malgré les stratégies de communication, les déplacements et les selfies, les événements extérieurs, les documentaires, rien n'y a fait. Le chef de l'Etat est impopulaire. Cette rentrée est peut-être même la pire pour François Hollande. L'année dernière, il pouvait attribuer la chute de sa cote de confiance à la publication du livre de son ex-compagne Valérie Trierweiler, voire aux attaques politiques d'un Arnaud Montebourg ou d'une Cécile Duflot. Mais cette année? Rien de tel. Et pourtant, le Président perd quasiment autant en quatre mois que l'année précédente (-4 entre juillet et octobre 2014, -3 entre juillet et octobre 2015). François Hollande, qui avait réussi à déminer la primaire et les candidatures alternatives dans son camp, risque de voir revenir la question pour 2017! Quitte à perdre dès le premier tour, autant qu'il y aille et que les autres tentent de reconstruire un parti sur les décombres de sa défaite. Peu nombreux sont ceux qui misent sur sa victoire. Rien n'est moins sûr car à droite, comme le confie un élu, «pour le moment on le protège, on retient nos coups. Mais dans la campagne, on se lâchera». Et face aux attaques de la gauche, du centre et de la droite, François Hollande sera bien seul…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지지율이 브레이크 없는 열차처럼 끝없이 하락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 하지 못하고 있다. 2년 전부터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수 치가 23% 이상으로 다시 오르지 못하고 있다. 소통, 이 동, 셀카, 외부활동, 다큐멘터리 등의 수많은 전략을 펼 쳤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올랑드 대통 령은 국민들의 지지를 잃고 있다. 이는 올랑드 대통령에 게는 최악의 일일 것이다. 지난해에는 이러한 지지율 하 락의 이유를 전 동거녀인 발레리 트리에르에 관한 저서 출판과 아르노 몽뜨부르와 세실 뒤플로의 정치적 공격에 서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올해는 어떤가? 나아진 것이 없다. 심지어 그는 4개월 만에 작년 한 해 동안 잃은 지 지율을 다시 잃었다. 2014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그의 신임점수가 –4점이었고, 2015년 7월과 10월에는 –3점으 로 나타났다. 올랑드 대통령은 그의 캠프에서 1차 선거와 다른 선거 자들을 없애는 데 성공했지만, 2017년 선거에서 의문이 다시 재기될 위험이 있다. 1차 선거에서 지더라도 패배 의 잔해에서 벗어나 당을 재건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 다. 아주 극소수의 사람들은 그의 승리를 점치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우파의 한 관계자는 “그를 당선 자로 만들기 위해 우리는 온갖 힘을 다 쏟는다. 하지만 캠페인에서 우리는 손을 놓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좌파와 중립파, 그리고 우파의 공격을 골고루 받고 있는 대통령은 고독한 싸움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14 정미선 <mi9527@naver.com> 참고 : Le figaro “La défiance envers Hollande persiste dans l'opinion”
  • 2.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La « loi sur la burqa », cinq ans après... « 부르카 금지법 » 5년 후 지금은? C'était il y a 5 ans. Le 11 octobre 2010, la France se dotait d'une nouvelle loi interdisant « la dissimulation du visage dans l'espace public ». Souvent appelé « loi sur la burqa », le texte visait notamment à interdire aux femmes musulmanes de porter un voile intégral. C'est Nicolas Sarkozy qui avait initié cette loi punissant d'une amende, allant jusqu'à 150€, le port du niqab ou de la burqa. Régulièrement, le gouvernement se voit reprocher la mauvaise application de ce texte. En juin, sur France Inter, Henri Guaino jugeait ainsi que la loi n’était « pas appliquée ». Le 1er octobre, encore sur France Inter, Valérie Pécresse réitérait : « Est-ce que vous tolérez que, sur le sol français, la loi française qui interdit le voile intégral ne soit pas appliquée ? » Selon les chiffres du ministère de l’Intérieur, 1 546 femmes ont été verbalisées par les forces de l'ordre, ce qui représente un peu moins de 400 contraventions en moyenne par an. Des chiffres stables mais faibles. Plusieurs verbalisations renvoyant parfois à une même personne « multirécidiviste » : une femme a par exemple été contrôlée à 33 reprises. Pourquoi si peu de verbalisations ? Les syndicats de policiers affirme que c’est une loi « difficile à appliquer, mettant les policiers en difficulté ». « Les services sont débordés, donc la question se pose de les mobiliser sur une infraction pas si grave. » fait valoir Nicolas Comte, porte-parole du syndicat Unité SGP Police FO. Du côté des relais de la loi, la démonstration est la même : le site gouvernemental dédié, www.visage- decouvert.gouv.fr, a disparu et l’association Ni putes ni soumises, qui devait, par le biais de ses « ambassadrices de la laïcité » et une convention annuelle de 80 000 euros passée avec l’Etat, « sillonner la France pour faire de la pédagogie sur la question du voile intégral », n’a pas communiqué sur le sujet. D’après Agnès de Féo, sociologue et réalisatrice de documentaires qui travaille depuis plus de dix ans sur le port du niqab, la loi a « agi comme un déclencheur et suscité des vocations ». Avant 2010, celles qui portaient le niqab « étaient davantage dans une démarche religieuse, piétiste. Aujourd’hui, même si elles affirment toujours vouloir plaire à Dieu, il y a une volonté de revendication, de rupture avec une société qu’elles considèrent comme hostile », explique-t-elle. 2010년 10월 11일, 프랑스는 « 공공장소에서 얼굴을 가리 는 것 »을 금지하는 법안을 도입했었고 올해가 꼭 5년째 되 는 해이다. 소위 « 부르카 금지법 »이라고도 불리는 이 법은 이슬람교 여성들을 겨냥해 전신 베일을 두르지 못하도록 하 는 법이다. 前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가 제안한 이 법은 니 캅(눈을 제외한 얼굴 전체를 덮는 일종의 얼굴 가리개) 또는 부르카(머리에서 발목까지 전신을 덮는 겉옷) 착용에 최대 150유로(한화 약 19만원)의 무거운 벌금을 부과해왔다. 그러나 이 법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정부 내에 서 주기적으로 이어져왔다. 사르코지의 보좌관이었던 앙리 구아 이노는 라디오 방송에서 이 법이 « 시행되지 않았다 »고 평가 했고 역시 공화당 소속인 발레리 페크레스는 « 여러분은 프랑 스 땅에서, 부르카를 금지하겠다는 프랑스 법이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을 견딜 수 있습니까? »라는 발언을 했다. 프랑스 내무부 통계에 따르면, 부르카 금지법과 관련하여 작 성된 조서는 2012년 332건, 2013년 383건, 2014년 397건, 2015년 9월까지 200건을 기록했다. 꾸준하지만 그다지 많다고 할 수는 없는 수치이다. 또, 한 명이 33번 붙잡히는 등 « 다중 누범자 »의 경우를 생각하면 더욱 적은 수치이다. 조서 작성 건수가 왜 이렇게 적을까? 경찰노조는 이 법이 « 시행하기 어렵고, 경찰들을 곤경에 빠트린다 »고 주장한다. 경 찰노조 SGP의 대변인 니콜라 꽁트는 « 업무가 너무 많다. (부 르카 착용과 같은) 심각하지 않은 위법행위에 경찰력을 동원해 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고 말한다. 법원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부르카 금지법 관련 정부 사이트 www.visage-decouvert.gouv.fr은 문을 닫았다. 국가와 8만 유로 (한화 약 1억 50만원)의 협약을 체결했고 정교(政敎)분리원칙의 사절로서 부르카 문제에 대한 교육법을 만들기 위해 프랑스를 종횡무진해야 할 인권단체 “창녀도 노예도 아닌”은 이 문제를 아직 다루지 않았다. 10년 이상 니캅 착용을 연구한 다큐멘터리 제작 감독 아그네 드 페오에 따르면 부르카 금지법은 « (종교적) 사명을 불러일 으키는 시동장치 역할을 » 했다. 2010년 부르카 금지법 제정 전, 니캅을 착용하는 여인들은 « 더 신앙심이 깊고 경건한 경 우였다. 오늘날, 물론 이슬람 여성들은 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니캅이나 부르카를 착용하지만 권리 요구, 그녀들에게 적대적 인 사회로부터 단절되겠다는 심리도 작용한다 »고 그녀는 설 명한다. 12 김소연 <tddhul@naver.com> 참고 : Le Monde “Loi sur le voile intégral : « On a créé le monstre qu’on voulait éviter »” 20 minutes “Voile intégral: Quel bilan tirer de la loi cinq ans après?” La Caisse des dépôts veut lever 1 milliard d’euros pour développer le tourisme 佛 신탁은행, 자국 관광 산업 발전 위해 1억 유로 투자 예정 Un milliard d’euros sur cinq ans pour renforcer l’attrait touristique de la France. C’est l’annonce faite, jeudi 8 octobre, par le directeur général de la Caisse des dépôts et consignations (CDC), Pierre-René Lemas, lors de la première conférence annuelle sur le tourisme, organisée au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sous l’égide de Laurent Fabius. L’objectif du ministre est d’aider la France à tenir son rang de première destination touristique du monde pour les vingt prochaines années. M. Fabius souhaite atteindre le seuil des 100 millions de touristes par an d’ici à 2020, contre 84 millions en 2014. En juin 2014, dans un entretien au Monde, M. Fabius s’était fixé comme objectif de capter 5 %, au moins, du milliard de touristes supplémentaires qui sont attendus à l’horizon 2030. Selon le ministre, ce nouvel afflux pourrait permettre de « quasiment doubler l’excédent que rapporte le tourisme à notre balance extérieure, actuellement 12 milliards d’euros ». Dans le détail, la plate-forme d’investissement sera gérée par la CDC, qui pilotera la levée des fonds et la répartition de ce pactole. Le premier volet du dispositif sera la création d’une foncière de 500 millions d’euros consacrée à la rénovation et à la construction d’infrastructures hôtelières. La mise de fonds initiale de la CDC sera comprise entre 100 millions et 150 millions d’euros, et la Caisse espère attirer les investisseurs institutionnels de manière à atteindre 500 millions d’euros. Il s’agit ensuite de financer les territoires et leurs équipements touristiques (ports de plaisance, parcs d’exposition, thermalisme, tourisme culturel, etc.), à l’aide d’« un fonds doté de 400 millions », a précisé M. Lemas. M. Fabius a insisté sur l’importance de développer le tourisme fluvial. Enfin, un fonds de capital-développement sera créé par la Banque publique d’investissement (Bpifrance) pour les petites et moyennes de la filière tourisme, notamment des secteurs de l’innovation et de l’e-tourisme, et sera « doté de 100 millions d’euros », a ajouté le directeur général de la CDC. 지난 10월 8일 목요일, “프랑스의 관광 산업을 강 화하기 위해 5년 안에 10억 유로를 투자할 것이다.” 라고 신탁은행 최고 경영자인 피에르 르네 르마가 로 랑 파비우스(프랑스 전 국무 총리)의 후원 아래 외교 부에서 열린 제 1차 연간 관광 회담 중 말했다. 로랑 파비우스의 목적은 향후 20년 간 프랑스를 사 람들이 가장 관광하러 가고 싶어 하는 나라가 되도록 돕는 것이다. 그는 프랑스에 방문하는 관광객의 수치 가 2014년 8,400만 명 대비, 현재부터 2020년까지는 매년 1억 명 선을 돌파하기를 희망한다. 2014년 6월 에 진행된 르몽드(Le Monde)지의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2030년에는 적어도 십억 명의 5% 만큼을 추가 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로랑 파비우스에 따르면, 이러한 새로운 관광객들의 유입은 현재 120 억 유로인 프랑스의 무역 수지 중에서 관광 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을 거의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세히 보자면, 기본적으로 투자는 투자 기금을 신 장하고 이 자본을 분배하는 데 앞장설 신탁은행에 의 해 관리될 것이다. 처음에 선별된 대책은 호텔 산업 의 인프라 재정비와 건설에 할당된 5억 유로만큼의 토지세를 새로이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신탁은행의 초기 투자 비용은 1억 유로에서 1억 5천 만 유로 사 이에 포함될 것이며 신탁은행은 5억 유로를 달성하기 위해 기관 투자자를 모집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는 프랑스 국내 영토와 프랑스 관광 시 설들(요트항, 박람회장, 온천 시설, 문화 관광 등)에 투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4억 만 유로를 지닌 기금의 도움으로 가능할 것입니다”라고 피에르 르네 르마씨가 밝혔다. 로랑 파비우스는 수중 관광 산업 발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자본 발전 기금이 프랑스 공공 투자 은행에 의해 만들어 질 것인데, 이것은 특히 혁신과 디지털 관광 분야와 같은 중소 관광 사업 계열을 위 한 것이다. 그리고 1억 유로가 이 기금에 포함되어 있을 것이라고 신탁은행 최고 운영자가 덧붙였다. 13 배준영 <heejini94@naver.com> 참고 : Le Monde “La Caisse des dépôts veut lever 1 milliard d’euros pour développer le tourisme”
  • 3.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Paris: 68 euros pour un mégot jeté par terre 파리시, “꽁초 투기시 68유로 부과하겠다” Jettera ou ne jettera pas ? Rodolphe et Patrice font partie des 96 inspecteurs de salubrité que compte la ville de Paris. Habillés en civil, ils sillonnent le 16e à l’affût de la moindre incivilité qui salirait les rues de leur arrondissement. Déjection canine, pipi contre le mur, dépôt sauvage de déchet et puis, depuis septembre, les mégots de cigarettes jetés par terre. Tout fumeur surpris à jeter négligemment son mégot sur le trottoir s’expose à une amende de 68 euros. Voire même 180 euros si elle n’est pas payée dans les bons délais. Depuis septembre, ils font de la prévention sur cette nouvelle mesure et distribuent des fausses amendes aux fumeurs négligents. «Nous nous postons à proximité de fumeurs et nous attendons tranquillement qu’ils finissent leur cigarette», raconte Rodolphe. Et si un seul mégot est jeté par terre, le duo intervient en sortant ses cartes d’agent d’insalubrité de la ville. «Soit pratiquement à chaque fois, constate Patrice. Dans un groupe de fumeurs, il y en a toujours un qui jette sa cigarette par terre». Une statistique qui se vérifiait mardi aux abords d’un centre d’affaires à deux pas de la place du Trocadéro. James, Mathieu et Maëva figuraient dans les attrapés du jour. «Je ne savais pas», «oui, mais il n’y a pas de poubelles de rue», «j’étais pressée, une réunion m’attendait»… Les excuses ne sont jamais les mêmes. Les Parisiens pourront difficilement dire qu’ils n’étaient pas au courant. « La campagne de communication a été de grande ampleur et nous sillonnons tous les arrondissements de la capitale depuis un mois pour faire de la sensibilisation », explique Muriel Bernardin, cheffe du service Centre d’action pour la propreté de Paris (CAPP). L’argument du manque de poubelles de rues ne prendra pas non plus. « 30.000 corbeilles ont été installées avant l’entrée en vigueur de la mesure. Toutes équipées de cendrier, poursuit Muriel Bernardin. Cela fait une poubelle tous les 100 mètres à Paris. » 버릴 것이냐, 말 것이냐. 로돌프 씨와 파트리스 씨 는 파리시 96명의 위생 검열관들의 일원으로서 일한 다. 그들은 사복차림으로 파리 16구에 잠복하여 거리 를 더럽힐 수 있는 아주 사소한 몰상식한 행위까지도 잡아낸다. 이들은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치우지 않는 사람, 노상방뇨를 하는 사람,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 하는 사람 등을 단속하며, 9월부터는 담배꽁초를 땅 바닥에 무단으로 투기하는 사람 또한 단속의 대상에 포함된다. 앞으로 거리에 꽁초를 아무렇게나 버리는 사람에게 는 68유로(한화 약 8만 5천원)의 벌금이 부과되며, 만 일 정해진 기간 내에 벌금을 내지 않을 시엔 약 세 배에 해당하는 180유로(한화 약 22만 6천원)를 내야 한다. 9월부터 파리시는 이 새 대책을 만든 후 흡연자들 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있으며, 법을 위반한 흡연자 에게는 가(假)벌금을 부과했다. 로돌프 씨는 “위생 검 열관들은 2인 1조로 흡연자 가까이에 서서 그들이 담 배를 모두 필 때까지 조용히 기다린다”고 이야기 한 다. 그리고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땅에 버린 즉시 위생 검열관들은 흡연자들에게 그들의 검열관증을 보 여주며 벌금을 부과했다. 파트리스는 실제로 매번 흡 연자 무리 가운데 한 명씩은 꼭 꽁초를 땅바닥에 버 리곤 했다고 밝혔다. 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트로카데로 광장 근처에 있 는 한 사업 센터 주변에서 이 점이 잘 드러났다. 적 발된 사람 명단에는 제임스, 매튜, 마에바 등의 이름 이 적혀있었다. 꽁초를 투기하다 걸린 시민들은 “몰랐 다”, “하지만 여기엔 쓰레기통이 없지 않느냐”, “지금 시간이 없다” 등의 다양한 변명을 했다. 파리 시민들은 몰랐다는 변명도 하기 어려워 질 것 이다. 파리청결실천센터(CAPP)의 뮤리엘 센터장은 “이 와 관련된 대규모 캠페인을 벌였었고, 한 달 전부터 위생 검열관들이 흡연자들에게 이 캠페인을 알리기 위해 파리시의 모든 구를 누비고 다녔다”고 설명했다. 거리에 쓰레기통이 부족하다는 변명 또한 통하지 않는다. 꽁초 투기에 대한 새로운 적발 기준이 적용 되기 전 재떨이가 포함된 3만 개의 쓰레기통이 파리 시 100미터 당 하나 꼴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10 류정현 <youjh0220@naver.com> 참고 : 20minutes “Paris: 68 euros pour un mégot jeté par terre, «cela va gâcher des journées»” Des nanotubes de carbone trouvés dans les poumons de petits Parisiens 파리 거주 어린이에게서 발견되는 탄소나노튜브* Parmi les polluants présents dans l’atmosphère, les particules fines qui mesurent moins de 2,5 µm de diamètre (appelées PM 2,5) peuvent pénétrer dans les voies respiratoires et entraîner des effets négatifs sur la santé. Ces particules fines seraient une cause majeure de décès et de maladies dans le monde : des études ont montré une association entre l’exposition à ces particules à long terme et la mortalité, même à des concentrations inférieures à celles recommandées par l'Organisation mondiale de la santé (OMS). L’exposition à long terme à de fortes concentrations de particules fines augmenterait le risque cardiovasculaire, les maladies respiratoires, le diabète et le cancer du poumon. Dans un article paru dans EBioMedicine, des scientifiques français et de l’université Rice ont caractérisé les particules présentes dans les liquides de lavage broncho-alvéolaire d'enfants asthmatiques. Les chercheurs ont choisi de travailler sur de tels patients car la bronchoscopie est un examen de routine pour le diagnostic de l’asthme en France. 64 échantillons provenant de 36 garçons et 28 filles âgés de 2 mois à 17 ans ont été récoltés entre 2007 et 2011. Ces échantillons de liquides de lavage broncho-alvéolaires étaient congelés à l’hôpital Trousseau, à Paris. Comme la congélation détruit les cellules, les chercheurs ont ensuite analysé des échantillons frais avec des cellules pulmonaires intactes, provenant de cinq garçons âgés de 12 à 58 mois. Tous ces patients ont fait ces examens dans le cadre de leur traitement. Les particules trouvées dans les poumons des enfants asthmatiques étaient similaires à celles présentes dans les gaz d’échappement de véhicules parisiens, mais aussi dans des poussières provenant de différents endroits de la ville et même d'ailleurs dans le monde. En définitive, ces nanoparticules pourraient être omniprésentes dans notre environnement. 대기 오염 물질 중에서, 지름이 2,5 µm이하로 매우 작은 입자(PM2.5라고 부르기도 한다)들은 공기 중에 날려 호흡기에 침투해 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 미세 입자들은 전 세계에서 사람이 죽거나 병 에 걸리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여러 연구 들은 이러한 미세 입자들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과 사 망하는 것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들은 이 관련성이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한 미세먼지 농도 기준 에 미치지 못하는 환경 속에서 조차 존재한다고 한다. 장기간 동안 미세먼지에 노출이 되면 심혈관 질환 발 생 위험률이 증가하고, 호흡기 질환, 당뇨병, 폐암 그리 고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EBioMedicine에 실린 한 기사에 따르면 프랑스 과학자 들과 라이스 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천식을 앓고 있는 어 린이들의 기관지와 폐포의 세척액에 존재하는 입자들을 규정했다. 기관지경 검사가 프랑스에서는 천식의 진단 을 위한 기본적인 검사이기 때문에 연구진들은 이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로 선택하였다. 2007년과 2011년 사이에 2개월부터 17살까지의 남 자아이 36명과 여자아이 28명에게서 총 64개의 샘플을 추출했다. 세척액으로 기관지와 폐포에서 추출된 이 샘 플들은 파리의 트루쏘 병원에서 냉동되어졌다. 이 세포 들은 냉동상태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연구진들은 이 샘 플들을 냉동시킨 후 12개월에서 58개월 사이의 다섯 명의 남자아이들에게서부터 얻은 건강한 폐 세포들을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치료의 일환으로 이 실험에 참가했다. 천식이 있는 아이들에게서 발견된 입자들은 프랑스 차량 배기가스의 입자들과 비슷하였는데, 파리 다른 지 역과 세계 모든 지역에서 나타나는 먼지에 있는 것과 도 같았다. 무엇보다, 이러한 나노 입자는 우리 환경 모든 곳에서 나타날 수 있다. * 탄소나노튜브는 이 세상에서 가장 튼튼한 물질로서 가볍고 잘 휘어지고 놀라운 열 전도성과 전기적 특성을 가졌다. 탄소나 노튜브로 다양한 물체들을 만드는데 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단 점이 있다. 탄소나노튜브로 만들어진 제품이 부서지거나 깨질 때 나노입자가 방출되는데 이 때 독 성질이 나타난다. 14 이미지 <alwl2897@naver.com> 참고 : Futura “Des nanotubes de carbone trouvés dans les poumons de petits Parisiens”
  • 4. 2015년 10월 31일 -제 20호- Ikea : les Marocains ne sont pas près de monter leur bibliothèque Billy* 이케아의 모로코 진출, 아직까지는 어려운 것으로 보여 A quelques mètres de l’autoroute urbaine qui traverse Casablanca, le premier Ikea marocain (et le deuxième d’Afrique, après l’Egypte) devait ouvrir ses portes le 29 septembre dans la banlieue de Zenata. Une sortie d’autoroute avait même été aménagée spécialement. Mais l’événement n’a pas eu lieu. La justice marocaine a tranché la veille du jour. J : le projet « ne dispose pas de certificat de conformité ». Personne n’est dupe : la décision est surtout politique. Le gouvernement suédois s’apprête en effet à reconnaître la République arabe sahraouie démocratique (RASD), considérée comme un « Etat fictif », sans territoire et sans légitimité internationale. Administré par le Maroc depuis 1975, ce territoire est revendiqué par le Front Polisario, qui réclame son indépendance depuis quarante ans, avec le soutien explicite de l’Algérie. Selon les chiffres officiels, les échanges commerciaux entre les deux pays restent très limités : seules 0,03 % des importations suédoises proviennent du Maroc, alors que 0,33 % des exportations suédoises vont au Maroc, principalement des semi-remorques. En s’installant aux portes de Casablanca, le cœur de l’économie marocaine, et à quarante minutes des quartiers cossus de Rabat, Ikea vise les classes moyennes et supérieures de ce qu’on appelle « l’axe Rabat-Casa[blanca] », en d’autres termes le « Maroc utile » du maréchal Lyautey. A l’instigation des autorités, quelques milliers de personnes ont manifesté dimanche 4 octobre devant l’ambassade de Suède à Rabat, et une délégation de chefs de partis a été dépêchée par le palais marocain 카사블랑카를 가로지르는 도시 고속도로에서 몇 미 터 떨어진 곳에, 모로코에서는 처음으로 이케아(이집 트 다음으로 아프리카에서는 두 번째)가 9월 29일 제 나타 교외에서 문을 열었어야 했다. 그래서 특별히 고 속도로에 출구가 하나 설치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케 아는 개장을 할 수 없었다. 모로코의 법무부가 개장 하루 전날 이 프로젝트는 “준수 증명서가 없다”라는 이유로 일을 중단시켰기 때문이다. 아무도 그렇게 쉽게 속지 않는다: 이것은 분명 정치 적인 결정이다. 실제로 스웨덴 정부는 영토가 없고 국 제적인 합법성이 없는 “허구의 국가”로 간주되고 있는 (*참조)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을 인정할 준비를 했 다. 이 영토는 1975년부터 모로코가 통치하고 있는데, 알제리의 명백한 지지를 받으며 40년 전부터 독립을 주장하고 있는 폴리사리오 전선이 이 영토에 대한 통 치권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공식적인 총계에 의하면, 스웨덴과 모로코의 상업적 교류는 아주 제한되어 있다: 스웨덴이 수입한 물품 중 오직 0.03%만이 모로코에서 온 것인데 반해 스웨덴의 수출품 중 0.33%가 모로코로 수출되며 주 품목은 세 미 트레일러(동력 없이 견인차에 연결하여 짐이나 사 람을 실어 나르는 차량)이다. 모로코 경제활동의 중심지인 카사블랑카의 입구에 위치하며 라바트의 부유한 지역에서 40분 거리에 떨 어져 있는 이케아는 중상층과 “라바트와 카사블랑카 의 축”, 혹은 다른 말로 리요티 준장이 “쓸모 있는 모 로코”라고 부르는 상류층을 상대로 한다. 고위층의 선동 하에 몇 천 명의 사람들이 라바트에 위치한 스웨덴 대사관 앞에서 10월 4일 일요일에 시 위를 벌였고 스톡홀롬의 모로코 대사관은 스웨덴 정 부가 프로젝트를 관두도록 설득하기 위해 대표 당을 위임하는 일을 빠르게 진행시켰다. 하지만 이것은 진 정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이 상황이 풀리기를 기다리는 * la bibliotheque Billy : 35년 동안 이케아의 대표 상품으로 자리잡은 빌리 책장 à Stockholm pour convaincre le gouvernement suédois de renoncer au projet. Mais c’est le statu quo qui prévaut pour l’instant. En attendant le déblocage de la situation, les Marocains qui le peuvent doivent encore se déplacer en Espagne ou en France pour s’approvisionner en produits Ikea. L’arrivée d’Ikea a été anticipée par le leader marocain actuel du meuble en kit, le groupe Kitea. Lancé en 1993, ce dernier dispose de 22 magasins. Pour faire face au nouvel arrivant, Kitea a installé de nouveaux points de vente, notamment à Fès et Meknès, dans le centre du pays. « L’objectif est de diversifier notre clientèle en touchant également les classes moins aisées, et les gens éloignés de Rabat et de Casablanca », explique un responsable de Kitea qui préfère garder l’anonymat. Le reste du marché du meuble est tenu par de petites structures, formées essentiellement de boutiques appartenant à des artisans qui entretiennent des rapports de proximité avec leurs clients. Ils se retrouvent aussi bien dans les grandes que les petites villes et adaptent « le coût du produit au portefeuille du client », précise Ahmed, un artisan de la médina de Rabat. Assis en tailleur dans une boutique qu’il dit avoir hérité de son père, Ahmed, la cinquantaine, est absorbé par la confection d’un vieux meuble en bois. « Il y a deux types de clients, ajoute-t-il. Les plus aisés préfèrent les objets raffinés, avec une forte touche artisanale et traditionnelle. Les autres sont de petits fonctionnaires de l’Etat ou des salariés dans des petites entreprises. Ils cherchent ce qui est moins cher et plus pratique. » A la question « Etes vous au courant de l’implantation d’Ikea au Maroc ? », il répond : « Ikea ? C’est quoi ça ? » 동안 모로코인들은 이케아 제품들을 장만하기 위해서 스페인이나 프랑스로 이동해야 한다. 현재 모로코의 조립세트 가구의 선두주자인 Kitea 그룹은 이케아의 입점을 예상하고 있었다. 1993년에 설립된 이 그룹은 22개의 점포를 소유하고 있다. 새로 들어오는 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Kitea는 나라의 중심 인 페즈와 메크네스에 새로운 지점을 설치하였다. “부 유하지 않은 계층과 라바트와 카사블랑카에서 멀리 사 는 사람들에게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층을 다 양화 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익명을 요구한 Kitea의 책 임자는 설명했다. 그 외의 가구점들은 작은 규모로 구성되어있고 고객 들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장인들이 운영하는 가게가 대부분이다. 그 가게들은 또한 작은 도시보다 는 큰 도시에서 주로 발견되고 “제품의 가격은 고객의 지갑에” 맞춘다고 라바트 메디나에서 일하는 장인 아 메드는 밝혔다. 50대의 아메드는 아버지에게 물려받았 다고 밝힌 상점에서 책상다리로 앉아서 나무로 된 고 (古)가구 제작에 몰두해 있었다. 그는 “두 종류의 고객 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가장 부유한 사람들은 세련 되고 수공업적이며 전통적인 물건들을 선호합니다. 그 외의 사람들은 말단 공무원들이거나 작은 기업의 임금 노동자들입니다. 그들은 더 싸고 실용적인 것들을 찾 아요”. “당신은 이케아의 모로코 진출에 대해 알고 있 나요?”에 대한 질문에 그는 “이케아요? 그게 뭔가요?” 라고 반문했다. * 모로코 이남에 위치한 “서사하라”라고 불리는 국가. 1976년 폴리사리오 전선이 출범시킨 서사하라 지역 영토의 통치권을 주장하는 국가이다. 모로코 또한 이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주장 한다. 유럽연합은 서사하라 지역을 자치권이 없는 영토로 간주 해 식민지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곳으로 지정하고 있으나 모 로코가 이 지역에 대한 통치권을 가지는 것 또한 인정하지 않 고 있다. 한편 아프리카 연합은 이 지역을 국가로 인정한다. 이 국가는 1982년부터 아프리카 연합의 회원국이 되었다. 15 윤이지 <yj.yun1205@gmail.com> 참고 : Le Monde “Ikea : les Marocains ne sont pas près de monter leur bibliothèque Bi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