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Fête de la musique : Fleur Pellerin va dépenser 500.000 euros
문화부 장관, 음악 축제에 50만 유로 예산 책정
Le ministère de la Culture compte bien, à larges frais, vibrer au son de la 34e édition de la Fête de la musique.
Il a publié en début d'année un appel d'offre, ayant pour objet les « prestations liées à l'évènement culturel porté
par le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Fête de la musique 2015” », rapporte Économie Matin. Le
budget de l'opération: découpé en trois lots il totalise 499.652 euros soit une baisse de 1% par rapport à 2014.
Cet appel d'offre concerne l'ensemble de l'événement national qui est organisé par le ministère de la culture
depuis sa création en 1982: coordination nationale, communication nationale, concert gratuit pour plusieurs milliers
de personnes dans les jardins du Palais Royal, le défraiement des artistes et des techniciens. Donc, outre
l'agencement de spectacles musicaux, Fleur Pellerin compte aussi assurer une vaste communication de la
manifestation culturelle.
Indépendamment du programme de la rue de Valois(Le ministère est situé rue de Valois, à Paris), d'autres projets
originaux sont prévus dans la capitale, et ailleurs en France.
문화부가 올해로 34번째를 맞이하는 2015년 음악 축제에 50만 유로라는 꽤 넉넉한 예산을 책정했다. 문화부는 연초
“문화부가 주최하는 2015년 음악 축제 관련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쟁입찰서를 발표했다. 활동 예산은 2014년
에 비해 1% 감소한 499,652 유로이고 이 예산은 세 파트로 분할되어 사용될 예정이다.
이 예산이 쓰일 음악 축제는 1982년, 당시 문화부 장관 쟈크 랑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매년 문화부 주최로 열리는 국
가적인 행사이다. 예산은 국가 차원의 협력, 소통, 왕궁 정원에서 진행되는 수천 명을 위한 무료 음악회, 예술가 및 기술
자 고용 비용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문화부 장관은 이 축제를 단순한 음악 공연들의 집합이 아닌 음악을 통한 대규모
소통을 가능케 하는 축제라고 평가한다.
한편 문화부가 계획한 프로그램 외에도 시민들이 준비하는 개성있는 공연들이 파리와 다른 지역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13 임혜림 <marimeeeee@gmail.com>
참고 : Le Figaro "Fête de la musique : Fleur Pellerin va dépenser 500.000 euro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Bacs S, ES et L 2015 : découvrez les sujets de philosophie
2015년 프랑스 고교졸업시험 철학 문제
Les candidats au bac 2015 des séries générales et technologiques ont commencé à plancher mercredi 17 juin à 8
heures sur les sujets de philosophie, que le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a rendu publics une heure et quinze
minutes après le début de l’épreuve.
Les sujets du bac scientifique(S)
- « Une œuvre d’art a-t-elle toujours un sens ? »
- « La politique échappe-t-elle à une exigence de vérité ? »
Les sujets du bac économique et social(ES)
- « La conscience de l’individu n’est-elle que le reflet de la société à laquelle il appartient ? »
- « L’artiste donne-t-il quelque chose à comprendre ? »
Les sujets du bac littéraire(L)
- « Respecter tout être vivant, est-ce un devoir moral ? »
- « Suis-je ce que mon passé a fait de moi ? »
지난 6월 17일, 프랑스 고교졸업시험인 바칼로레아가 시행되었다. 바칼로레아는 찍을 수 있는 보기도 없고 외울 수 있는
모범 답안도 없는 시험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철학 시험은 수험생 뿐 아니라 프랑스 전 국민이 문제를
기다린다. 유명인들이 TV에 출연해 자신이 작성한 답안을 발표하고 시민들은 인터넷을 통해, 가족, 친구와 토론을 하며 자
발적으로 이 시험을 치른다. 올해, 2015년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자연계
- 예술 작품들은 항상 의미 있는가?
- 정치는 우리가 진실을 요구할 때 달아나려하는가?
사회경제계
- 개인의 양심은 그가 속한 사회의 반영물에 불과한가?
- 예술가들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무언가를 제시하는가?
인문계 10 강현정 <hjsophiekang@naver.com>
- 모든 생명을 존중하는 것은 도덕적 의무인가? 참고 : Le Monde "Bacs S, ES et L 2015 :
- 현재의 나는 과거의 나의 결과물인가? découvrez les sujets de philosophie"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Droit du sang ou droit du sol : le débat est rouvert
속지주의냐 속인주의냐, 다시 대두된 문제
La droite s'interroge sur la remise en question du
droit du sol, notamment face aux importants
phénomènes migratoires.
Alors que l'Europe en général et la France en
particulier sont confrontées à leur impuissance à
maîtriser les phénomènes migratoires, le débat sur
les modalités d'acquisition de la nationalité française
ressurgit. C'est Éric Ciotti qui l'a relancé, en
proposant de réserver le droit du sol aux
ressortissants de l'Union européenne.
Le député Les Républicains des Alpes-Maritimes
propose d'établir une proposition de loi pour que
«les enfants d'immigrés illégaux n'obtiennent plus la
nationalité française à leur majorité». Il prône un
système inspiré, dit-il, « d'autres pays européens »
(Italie, Espagne) et innove: « Seuls des enfants
d'immigrés légaux de l'une des nationalités de
l'Union européenne pourront y prétendre. Les autres
devront en passer par les procédures normales de
naturalisation. »
Si la majorité s'est déclarée contre, certains dans
l'opposition n'y seraient pas opposés. Notamment
l'UDI Hervé Morin, qui a estimé que la question «
mérite d'être abordée » et pas seulement « en
Guyane et à Mayotte ».
Le premier ministre se rend d'ailleurs samedi 6 juin
à Mayotte, ce petit archipel qui voit affluer des
populations toujours plus nombreuses en provenance
des Comores, attirées par un niveau de vie qui est
supérieur de cinq fois à celui qu'elles connaissent
dans leur pays. Mais Manuel Valls n'a pas souhaité
faire la part belle à ce thème sensible.
얼마 전 공화당으로 개명한 프랑스의 우파 정당이 이민
문제와 속지주의에 대한 의견을 제기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프랑스가 이민 문제에 대해 이렇
다 할 해결책을 보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프랑스 국적 취
득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다시 수면 위
로 올라왔다. 알프마리팀(프랑스 지명) 지역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인 에릭 씨오티에 의해 이 문제가 다시 대두되었
다. 그는 유럽연합 소속민에 한해 속지주의를 적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프랑스에 불법으로 들어온 이주민의 자녀에게 그
가 성인이 되어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할 수 없도록 하자”
고 제안했다. 프랑스는 속지주의를 택하고 있기 때문에 부
모가 외국인이어도 그 자녀가 프랑스에서 태어났을 경우
프랑스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그는 “이탈리아, 스페인과
같은 다른 유럽 국가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밝히며
“합법적인 이민자로서 유럽연합 내 국적을 취득한 이주자
의 자녀만이 프랑스 국적을 요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외에는 일반적인 귀화 수속을 밟아야 할 것”이라고 단언했
다.
이에 대부분의 의원들은 반대 의사를 표명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중도우파계열인 민주독립연합(UDI) 소
속 에르베 모랭 의원은 이 문제가 “기아나와 마요트(프랑
스령)”을 넘어서도 “다뤄질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고 평
가했다.
한편 마뉴엘 발스 총리는 지난 6일 마요트 섬을 방문했
다. 프랑스령인 마요트 섬은 과잉인구와 다른 섬으로부터
의 불법 이민으로 경제성장을 방해받고 있다. 특히 인도양
의 도서국가인 코모로에서 이주자들이 몰려오는데, 이는
마요트 섬의 생활수준이 코모로의 그것보다 5배 정도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GDP 기준). 그러나 이날 발스 총리는
이민 문제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크게 다루지는 않았다.
12 강선희 <sunnybonjour14@gmail.com>
참고 : Le Figaro “Droit du sang ou droit du sol : le débat
est rouvert”
Droits de l’enfant : les « échecs » de la France
아동권, 프랑스의 실패한 정책
En France, plus de 3 millions d’enfants, soit un sur
cinq, vivent sous le seuil de pauvreté, 30.000 sont sans
domicile, 9.000 habitent des bidonvilles et 140.000
arrêtent l’école chaque année, s’alarme le Fonds des
Nations unies pour l’enfance dans un rapport rendu
public mardi 9 juin.
Entre 2008 et 2012, 440.000 enfants supplémentaires
ont plongé, avec leurs familles, dans la pauvreté,
avance encore cette étude réalisée sur les moins de 18
ans, intitulée « Chaque enfant compte. Partout, tout le
temps » et qui met en lumière les zones d’ombre de
l’application de la Convention internationale des droits
de l’enfant(CIDE).
La France, comme tout Etat l’ayant ratifié, est tenue de
rendre compte, tous les cinq ans, de l’effectivité de ses
engagements internationaux et des actions entreprises
pour la mise en œuvre de la CIDE, rappelle l’Unicef.
« Notre rapport [remis aux experts du Comité des
droits de l’enfant] est un cri d’alarme qui doit pousser
les autorités à agir d’urgence et de manière plus
efficiente pour chaque enfant », insiste Michèle Barzach,
présidente d’Unicef France.
« En dépit d’efforts considérables (…), la France
échoue en partie à l’égard de l’enfance et de la
jeunesse et ce sont les plus fragilisés par la pauvreté,
l’exclusion sociale, les discriminations, mais aussi par
cette période si particulière qu’est l’adolescence, qui en
payent le plus lourd tribut », poursuit Mme Barzach
dans ce rapport, qui dénonce notamment « la situation
inacceptable des enfants migrants non accompagnés
et/ou vivant en bidonvilles ». Privés de leurs droits
fondamentaux, victimes de discriminations, ces mineurs
isolés étrangers « comptent parmi les plus vulnérables ».
Cela conduit « à des situations indignes », alerte Mme
Barzach, comme la traite des êtres humains.
UN아동기금이 6월 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프
랑스 내 300만 명이 넘는 아동들이 (5명 중 1명 꼴) 빈
곤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3만 명은 주거지가 없이 지
내며, 9,000명은 판자촌에 살고, 14만 명은 학교를 그만
둔 상태라고 알려졌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모든 아이들은 중요하다.
언제 어디서나"라는 표어를 달고 아동권리협약(CIDE)의
사각지대에 있던 아이들에 주목한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빈곤 상태에 처한 아동들이 44
만 명 추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아동권리협약을 비준했던 모든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역시 5년 마다 CIDE의 발효로 시행된 국제적인
지원과 활동들의 실효성에 대해 보고해야 한다는 것을
유니세프는 상기시켰다.
"(아동권리위원회의 전문가들이 평가한) 우리의 보고
서는 비상사태에 대한 행동을 취하고, 각각 아동에 대
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시행하도록 관계당국을 재
촉해야 한다는 경고의 메시지"라고 유니세프 프랑스 회
장은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는 사회 소외 계층이며 빈곤과 차별에 가장 취약한 아
동〮청년 계층에 대한 정책에 있어서 실패했다. 뿐만 아
니라 이러한 시기에 청년층이 가장 무거운 세금을 납부
하도록 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보호자 없이 판자촌에
사는 이주아동들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에 대해 강
력하게 비판하였다. 이 고립된 외국인 아동들은 기본권
을 존중 받지 못하고 차별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여겨진다. 프랑스 유니세프 회장은
인권 조약에 근거하여, 이러한 상황은 "안타까운 상태"
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11 김하정 <kkkhajeong0723@gmail.com>
참고 : Le Monde "Droits de l’enfant : les « échecs »
de la France"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Le ramadan en France, une « pratique identitaire et affective »
프랑스에서의 라마단, 이슬람 정체성과 정서를 담은 기도
Jeudi 18 juin, démarre le mois de jeûne annuel des musulmans, l’un des cinq piliers de l’islam et « peut-être le
rite le plus important chez les musulmans », selon l’islamologue Rachid Benzine. Selon la tradition, il marque le
début de la révélation du Coran au prophète Mahomet par l’archange Gabriel et se traduit par un mois de
privation, d’épreuve, mais aussi de partage et de convivialité.
En France, jusqu’aux années 1990, on faisait ramadan par inertie traditionnelle. Mais depuis le milieu des années
2000, celui qui dirige l’Observatoire du religieux note une sorte de revival qui touche majoritairement les jeunes. La
pratique du jeûne a progressé ces dernières années, en particulier chez les jeunes : ils étaient 73% des 18-25 ans à
le suivre en 2011, contre 59% en 1989. À la dimension identitaire déjà mise en évidence, viendrait s’ajouter un
ressort spirituel.
Depuis le milieu des années 2000, un nombre croissant de jeunes musulmans français se démarquent de la
pratique intime et discrète de leurs parents et développent un mode de vie ″halal″ ostensible. Les islamologues y
voient le marqueur d’une « pratique identitaire de la religion, dans un contexte de mondialisation » et de «
rupture avec la tradition orale des parents. La population musulmane en France est jeune et sa pratique n’est pas
assise sur une véritable tradition. Elle va donc se tourner vers une pratique identitaire et affective ».
Aujourd'hui, le ramadan reste, avant d’être religieux, un rite social qui permet la cohésion d’un groupe.
6월 18일 목요일, 무슬림의 연례 금식, 라마단이 시작되었다. 이것은 회교도의 5대 덕목 중 하나이자, 이슬람 전문가
라시드 벤진에 따르면 "무슬림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의식"이다. 이슬람 전설에 의하면 라마단은 대천사 가브리엘이 예
언자 마호메트에게 코란의 계시 시작을 알린 시점이라고 전해지며 금식, 고난과 함께 나눔과 공생을 기념하는 성스러운
달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라마단은 프랑스 내에서 활기를 띄지 못하는 전통으로 지내져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프랑스 종교 연구소가 이것을 특히 젊은이들을 감동시키는 일종의 신앙 부흥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간 금식을 지키는 청년들이 늘어났다. 1989년, 18-25세 젊은이들의 라마단 금식 참여율이 59%였던 것에 비해 2011년에
는 73%를 기록했다(프랑스 내 수치). 라마단은 무슬림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고 영적인 원동력까지 증대시키는 행사이
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젊은 프랑스인 무슬림 수가 증가하면서 부모세대의 소극적이고 조용한 관례와는 달리 과
시적인 종교 생활양식을 발전시켰다. 이슬람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세계화 흐름 속에서의 종교 정체성 실현"이자 구세
대의 구어적 전통 탈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또한 학자들은 “프랑스 내 무슬림들은 젊고, 이들의 종교 행위는 기존
의 전통에 기반한 것이 아닌, 자신의 정체성과 정서를 드러내는 종교적 실천”이라고 평가한다.
따라서 오늘날, 라마단은 종교 행사이기 이전에 무슬림이라는 한 공동체의 연대성을 갖게 하는 사회적 의식으로 남아
있다.
12 김소연 <tddhul@naver.com>
참고 : Le Monde "Le ramadan en France, une « pratique identitaire et affective »"
Campagne anti-bikini au Maroc
모로코, 라마단 기간 내 비키니 금지 캠페인 논란
Chaque année, le ramadan charrie son lot de
polémiques. La dernière en date vient du Maroc. Elle a
été provoquée par une simple pancarte. Sur un tissu
noir, des surfeurs musulmans ont écrit, samedi 20 juin,
à la peinture blanche « Respect Ramadan No Bikinis »,
en anglais pour s’adresser essentiellement aux touristes
qui se pressent sur les plages marocaines.
L’initiative n’a pas été du goût de tous les
Marocains. À commencer par les restaurateurs, hôteliers
ou commerçants qui travaillent dans le secteur du
tourisme. L’un d’entre eux, interrogé par le site
Morocco World News a déclaré : « Beaucoup de
marocains ne comprennent pas qu’il y a une séparation
entre leur vies personnelles et les vies et choix des
autres. » Et d’ajouter : « Ce genre d’initiative pourrait
décourager ces touristes qui ont l’intention de visiter le
Maroc ». Or le tourisme secteur clé du Maroc,
représentant 8% du PIB.
Le ministre du tourisme a fait part de son
indignation vis-à-vis de cette campagne « Personne n’a
le droit de faire la loi à la place des pouvoirs publics.
Nous n’admettons jamais ces comportements
inacceptables de personnes qui s’érigent en justiciers
de la morale et de la vertu », a-t-il déclaré.
Sur les réseaux sociaux, l’affaire fait jaser. Si des
touristes menacent de boycotter le Maroc cet été,
certains conservateurs marocains ne cachent pas leur
approbation de l’initiative des surfeurs. D’autres
s’interrogent, allant jusqu’à rêver d’une interdiction
totale du bikini même en dehors du Ramadan. Enfin,
les plus réalistes gardent en tête le poids considérable
du tourisme dans l’économie marocaine, qui
condamnerait selon eux cette campagne à l’échec.
매년, 라마단(이슬람 단식 성월(聖月))은 논쟁거리를 만
든다. 가장 최근에 이슈가 된 논란은 모로코에서 일어났
는데, 발단은 작은 플랜카드였다. 지난 20일, 모로코의
휴양도시인 아가딜에서 서핑을 즐기던 젊은 무슬림들이
해변을 찾는 관광객들을 겨냥해 “노 비키니! 라마단을
거룩히 지키자”라고 영어로 적힌 검은 천을 들고 라마단
기간 내 반(反)비키니 캠페인을 벌였다.
그러나 이 캠페인이 모든 모로코인들에게 환영 받지는
못했다. 특히 요식업자, 숙박업자 등 관광 산업에 종사하
는 모로코인들은 우려를 표했다. 모로코의 인터넷 언론
매체인 Morocco World News와의 인터뷰에서 한 관광
업 종사자는 “많은 모로코인들이 개인의 삶과 타인의 삶,
타인의 선택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캠페인
은 관광객들의 모로코 방문 욕구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참고로 관광산업은 모로코의 주요 산
업으로, GDP의 8%를 차지한다.
모로코 관광부 장관은 분노하며 이 캠페인에 정면으로
대응했다. 그는 “어느 누구도 공권력을 대신해 법을 제정
할 권리가 없다”며 “스스로를 심판자로 자처하는 이런
말도 안 되는 행동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력히
단언했다.
SNS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이 캠페
인 때문에 올 여름 모로코에 가지 않겠다는 관광객들이
있음에도 몇몇 보수적인 모로코인들은 ‘반(反)비키니’ 캠
페인에 적극 찬성한다. 심지어 라마단 기간 외에도 비키
니를 전면 금지하자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관광산업이 모로코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하면
이 반(反)비키니 캠페인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유력한 입장이다.
13 박소희 <sohui0519@naver.com>
참고 : Jeune Afrique "Ramadan – Maroc : à Agadir, la (mini)
guerre du bikini"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Taubira « rêve » de semaine de travail de 32 heures, Valls agacé
프랑스 법무부 장관 토비라, “주 32시간 근무제”, 정부의 입장과는 대조적
Christiane Taubira rêve « d'un monde où l'on
pourrait travailler 32 heures par semaine » afin de
préserver « la vie personnelle et la vie familiale », des
propos en rupture avec le discours gouvernemental en
plein débat sur la loi Macron. Manuel Valls a réagi à
ces propos en prônant la "valeur travail" et
"l'engagement pour la croissance".
Taubira: "Je rêve d'un monde où on peut travailler 32
heures"
“Je rêve d'un monde où on ne travaille pas le
dimanche. Je rêve d'un monde où on peut travailler 32
heures. Pour avoir du temps pour se consacrer aux
autres dans des associations. Pour avoir le temps
d'aller au musée, pour avoir le temps quand c'est
possible d'aller sur la plage, de déambuler, de marcher,
de parler à ses voisins, d'aller en librairie, d'aller au
cinéma, d'aller au théâtre, etc. Voilà la société dont on
peut rêver”, a expliqué Christiane Taubira.
Valls veut sortir des « dogmes »
Manuel Valls a répondu: “Aujourd'hui, il y a un
temps de travail qui existe. Il y a les 35 heures mais le
temps effectif est de 39 heures. Les Français, ce qu'ils
veulent aujourd'hui, c'est du boulot.” “Et l'engagement
que les Français attendent aujourd'hui pour leurs
enfants et leurs petits-enfants, c'est une bonne
formation pour avoir demain un bon travail. Soyons
pragmatiques, sortons des dogmes et engageons-nous
pour la croissance et le travail pour notre pays ”, a-t-il
ajouté.
프랑스 법무부 장관 크리스티안 토비라가 사생활과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당 32시간 근무를 제
안했다. 이러한 발언은 ‘마크롱 법안(경제부 장관이 발
의한 주 35시간 근무제 폐지 및 일요일 가게 운영 확
대)’을 논의 중인 정부의 입장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마
뉴엘 발스 총리는 “일의 가치”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참여”를 강조하며 토비라 장관의 제안에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다.
토비라, “주 32시간 근무하는 세상을 꿈꾼다
“나는 프랑스인들이 주 32시간 근무를 하며, 일요일
에는 일하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박물관 관람, 해수욕,
산책, 이웃과의 교제 그리고 서점이나 영화관에 가서
문화생활을 즐기는 등 다양한 여가활동을 하며 사교활
동을 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라고 토비라 장관은 설명했다.
발스, 프랑스는 “이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에 대해 발스 총리는 “현재 프랑스의 주당 근무시
간은 35시간인 반면, 프랑스 경제에 효과적인 근무시간
은 39시간이다. 오늘날 프랑스인들이 원하는 것은 일을
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우리의 후세를 위해 지
금 프랑스인들이 해야 하는 것은 일을 하는 것이다. 현
실적으로 생각해야하고 이념에서 벗어나야한다. 우리는
프랑스의 경제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덧붙였다.
13 조난영 nyjo23@hanmail.net
참고 : Le Monde "Taubira « rêve d’un monde » avec 32
heures de travail par semaine"
Ségolène Royal appelle à boycotter le Nutella
pour lutter contre la déforestation
프랑스 환경부 장관, 삼림파괴를 막기 위해 누텔라 보이콧 촉구
La ministre de l’Ecologie Ségolène Royal a conseillé
aux Français d’arrêter de manger du Nutella don't la
fabrication de l’un des ingrédients provoquerait des «
dégâts considérables » sur l’environnement. Ce qui
dérange Ségolène Royal, c’est sa quantité d’huile de
palme. « Il faut replanter massivement des arbres, parce
qu’il y a eu une déforestation massive qui entraîne
aussi du réchauffement climatique », a d’abord défendu
la ministre, invitée du Petit Journal de Canal+. Et « Il
faut arrêter de manger du Nutella par exemple, parce
que c’est de l’huile de palme » a annocé aussi.
Visiblement étonné d’une telle citation à la télévision,
l’animateur répond alors que, selon lui, « c’est bon le
Nutella ». Mais Ségolène Royal, maman de quatre
enfants : « Ben oui, mais faut pas, parce que c’est
l’huile de palme qui a remplacé les arbres, et donc
c’est des dégâts considérables ».
Mais après sa parole, elle a suscité la colère de
Rome. Pour tenter d’éteindre la polémique, la ministre
de l’Ecologie a présenté ses excuses sur Twitter, et a
surtout expliqué pourquoi elle a dit qu’il fallait arrêter
le Nutella. “C’était des propos tenus dans une émission
humoristique.”
Malheureusement pour elle, les internautes français ne
toujours comprennent pas le message. “Une ministre
s’excuse pour avoir dit la vérité sur le Nutella? Voilà de
quoi alimenter le sujet du bac sur la vérité” ironise
Jocelyne, l’un des internautes. Et “Comment peut-elle
s’excuser? C’est minable!” s’emporte Filnoir, l’un des
internautes.
프랑스 환경부 장관인 세골렌 루아얄은 프랑스인들에게
환경에 “상당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재료 중 하나인
‘누텔라(이탈리아의 초콜렛 잼)‘ 섭취를 중단할 것을 권고
했다.
루아얄 장관이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야자유의 양
때문이었다. 장관은 Canal+의 Petit Journal(방송 프로그램)
출연 당시 “기후온난화를 유발하는 집단적인 삼림파괴 때
문에 막대한 양의 나무를 다시 심어야 한다. (이러한 피해
를 위해서) 예를 들면, 야자유로 만들어지는 누텔라를 먹
는 것을 멈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텔레비전에서의 이런
발언에 놀란 사회자가 “그렇지만 누텔라는 맛있는걸요”라
며 받아쳤다. 하지만 네 명의 아이를 둔 엄마인 루아얄 장
관은 “네, 맞아요. 하지만 먹어서는 안 됩니다. 야자유를
얻기 위해 나무를 희생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상당한 피
해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발언 이후, 이탈리아는 분노에 휩싸였다. 논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루아얄 장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사과문
을 올렸다. 그녀는 “방송 중의 가벼운 장난식 발언이었다”
고 누텔라를 먹지 말아야 한다고 했던 발언 이유를 설명
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프랑스 네티즌들은 여전히 그녀의 사
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누텔라의 진실을 밝혔다고 사
과를 하는 장관이라니요? 바칼로레아 시험 주제로 내도 되
겠네요” 라며 네티즌 중의 한명인 조셀린이 비꼬았다. 또한
“어떻게 장관이 (이렇게 쉽게 말을 바꾸고) 사과할 수 있나
요? 형편없네요!” 라고 네티즌인 필노아는 격분했다.
13 김태림 <sjjw15@hanmail.net>
참고 : Le Parisien “Royal conseille d’arrêter le Nutella pour
sauver la planète“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hufsfranc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hufsfranc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
hufsfrance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hufsfrance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hufsfrance
 

More from hufsfrance (18)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학술제 특별호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II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11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9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8월호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7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 별지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4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2015년 2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1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10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9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7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Agora 6월호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_agora 2호 본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별지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1호 본지 1
 

La Gazette d'Agora 2015년 6월호

  • 1.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Fête de la musique : Fleur Pellerin va dépenser 500.000 euros 문화부 장관, 음악 축제에 50만 유로 예산 책정 Le ministère de la Culture compte bien, à larges frais, vibrer au son de la 34e édition de la Fête de la musique. Il a publié en début d'année un appel d'offre, ayant pour objet les « prestations liées à l'évènement culturel porté par le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 “Fête de la musique 2015” », rapporte Économie Matin. Le budget de l'opération: découpé en trois lots il totalise 499.652 euros soit une baisse de 1% par rapport à 2014. Cet appel d'offre concerne l'ensemble de l'événement national qui est organisé par le ministère de la culture depuis sa création en 1982: coordination nationale, communication nationale, concert gratuit pour plusieurs milliers de personnes dans les jardins du Palais Royal, le défraiement des artistes et des techniciens. Donc, outre l'agencement de spectacles musicaux, Fleur Pellerin compte aussi assurer une vaste communication de la manifestation culturelle. Indépendamment du programme de la rue de Valois(Le ministère est situé rue de Valois, à Paris), d'autres projets originaux sont prévus dans la capitale, et ailleurs en France. 문화부가 올해로 34번째를 맞이하는 2015년 음악 축제에 50만 유로라는 꽤 넉넉한 예산을 책정했다. 문화부는 연초 “문화부가 주최하는 2015년 음악 축제 관련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경쟁입찰서를 발표했다. 활동 예산은 2014년 에 비해 1% 감소한 499,652 유로이고 이 예산은 세 파트로 분할되어 사용될 예정이다. 이 예산이 쓰일 음악 축제는 1982년, 당시 문화부 장관 쟈크 랑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매년 문화부 주최로 열리는 국 가적인 행사이다. 예산은 국가 차원의 협력, 소통, 왕궁 정원에서 진행되는 수천 명을 위한 무료 음악회, 예술가 및 기술 자 고용 비용 등에 사용된다. 따라서 문화부 장관은 이 축제를 단순한 음악 공연들의 집합이 아닌 음악을 통한 대규모 소통을 가능케 하는 축제라고 평가한다. 한편 문화부가 계획한 프로그램 외에도 시민들이 준비하는 개성있는 공연들이 파리와 다른 지역 곳곳에 마련되어 있다. 13 임혜림 <marimeeeee@gmail.com> 참고 : Le Figaro "Fête de la musique : Fleur Pellerin va dépenser 500.000 euros" La Gazette d’Agora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학과 내 프랑스학술학회 아고라에서 발행하는 소식지입니다. 바쁜 일상 중에 접하기 쉽지 않은 프랑스어권의 시사 및 생활문화 소식을 한국어와 프랑스어로 정리하여 학과 내 구성원들이 간편하게 접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발행 목적입니다. Qui Sommes-Nous ? La Gazette d’Agora est un petit journal d’Agora(un groupe qui se réunit pour connaître la culture française). Notre but est de classer et de résumer l’actualité francophone pour que les étudiants puissent comprendre mieux la situation de la francophonie et ses cultures. la Gazette d’Agora Bacs S, ES et L 2015 : découvrez les sujets de philosophie 2015년 프랑스 고교졸업시험 철학 문제 Les candidats au bac 2015 des séries générales et technologiques ont commencé à plancher mercredi 17 juin à 8 heures sur les sujets de philosophie, que le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a rendu publics une heure et quinze minutes après le début de l’épreuve. Les sujets du bac scientifique(S) - « Une œuvre d’art a-t-elle toujours un sens ? » - « La politique échappe-t-elle à une exigence de vérité ? » Les sujets du bac économique et social(ES) - « La conscience de l’individu n’est-elle que le reflet de la société à laquelle il appartient ? » - « L’artiste donne-t-il quelque chose à comprendre ? » Les sujets du bac littéraire(L) - « Respecter tout être vivant, est-ce un devoir moral ? » - « Suis-je ce que mon passé a fait de moi ? » 지난 6월 17일, 프랑스 고교졸업시험인 바칼로레아가 시행되었다. 바칼로레아는 찍을 수 있는 보기도 없고 외울 수 있는 모범 답안도 없는 시험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철학 시험은 수험생 뿐 아니라 프랑스 전 국민이 문제를 기다린다. 유명인들이 TV에 출연해 자신이 작성한 답안을 발표하고 시민들은 인터넷을 통해, 가족, 친구와 토론을 하며 자 발적으로 이 시험을 치른다. 올해, 2015년 바칼로레아 철학 시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자연계 - 예술 작품들은 항상 의미 있는가? - 정치는 우리가 진실을 요구할 때 달아나려하는가? 사회경제계 - 개인의 양심은 그가 속한 사회의 반영물에 불과한가? - 예술가들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무언가를 제시하는가? 인문계 10 강현정 <hjsophiekang@naver.com> - 모든 생명을 존중하는 것은 도덕적 의무인가? 참고 : Le Monde "Bacs S, ES et L 2015 : - 현재의 나는 과거의 나의 결과물인가? découvrez les sujets de philosophie"
  • 2.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Droit du sang ou droit du sol : le débat est rouvert 속지주의냐 속인주의냐, 다시 대두된 문제 La droite s'interroge sur la remise en question du droit du sol, notamment face aux importants phénomènes migratoires. Alors que l'Europe en général et la France en particulier sont confrontées à leur impuissance à maîtriser les phénomènes migratoires, le débat sur les modalités d'acquisition de la nationalité française ressurgit. C'est Éric Ciotti qui l'a relancé, en proposant de réserver le droit du sol aux ressortissants de l'Union européenne. Le député Les Républicains des Alpes-Maritimes propose d'établir une proposition de loi pour que «les enfants d'immigrés illégaux n'obtiennent plus la nationalité française à leur majorité». Il prône un système inspiré, dit-il, « d'autres pays européens » (Italie, Espagne) et innove: « Seuls des enfants d'immigrés légaux de l'une des nationalités de l'Union européenne pourront y prétendre. Les autres devront en passer par les procédures normales de naturalisation. » Si la majorité s'est déclarée contre, certains dans l'opposition n'y seraient pas opposés. Notamment l'UDI Hervé Morin, qui a estimé que la question « mérite d'être abordée » et pas seulement « en Guyane et à Mayotte ». Le premier ministre se rend d'ailleurs samedi 6 juin à Mayotte, ce petit archipel qui voit affluer des populations toujours plus nombreuses en provenance des Comores, attirées par un niveau de vie qui est supérieur de cinq fois à celui qu'elles connaissent dans leur pays. Mais Manuel Valls n'a pas souhaité faire la part belle à ce thème sensible. 얼마 전 공화당으로 개명한 프랑스의 우파 정당이 이민 문제와 속지주의에 대한 의견을 제기했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프랑스가 이민 문제에 대해 이렇 다 할 해결책을 보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프랑스 국적 취 득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다시 수면 위 로 올라왔다. 알프마리팀(프랑스 지명) 지역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인 에릭 씨오티에 의해 이 문제가 다시 대두되었 다. 그는 유럽연합 소속민에 한해 속지주의를 적용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프랑스에 불법으로 들어온 이주민의 자녀에게 그 가 성인이 되어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할 수 없도록 하자” 고 제안했다. 프랑스는 속지주의를 택하고 있기 때문에 부 모가 외국인이어도 그 자녀가 프랑스에서 태어났을 경우 프랑스 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그는 “이탈리아, 스페인과 같은 다른 유럽 국가들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밝히며 “합법적인 이민자로서 유럽연합 내 국적을 취득한 이주자 의 자녀만이 프랑스 국적을 요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그 외에는 일반적인 귀화 수속을 밟아야 할 것”이라고 단언했 다. 이에 대부분의 의원들은 반대 의사를 표명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 중도우파계열인 민주독립연합(UDI) 소 속 에르베 모랭 의원은 이 문제가 “기아나와 마요트(프랑 스령)”을 넘어서도 “다뤄질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고 평 가했다. 한편 마뉴엘 발스 총리는 지난 6일 마요트 섬을 방문했 다. 프랑스령인 마요트 섬은 과잉인구와 다른 섬으로부터 의 불법 이민으로 경제성장을 방해받고 있다. 특히 인도양 의 도서국가인 코모로에서 이주자들이 몰려오는데, 이는 마요트 섬의 생활수준이 코모로의 그것보다 5배 정도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GDP 기준). 그러나 이날 발스 총리는 이민 문제와 같은 민감한 주제를 크게 다루지는 않았다. 12 강선희 <sunnybonjour14@gmail.com> 참고 : Le Figaro “Droit du sang ou droit du sol : le débat est rouvert” Droits de l’enfant : les « échecs » de la France 아동권, 프랑스의 실패한 정책 En France, plus de 3 millions d’enfants, soit un sur cinq, vivent sous le seuil de pauvreté, 30.000 sont sans domicile, 9.000 habitent des bidonvilles et 140.000 arrêtent l’école chaque année, s’alarme le Fonds des Nations unies pour l’enfance dans un rapport rendu public mardi 9 juin. Entre 2008 et 2012, 440.000 enfants supplémentaires ont plongé, avec leurs familles, dans la pauvreté, avance encore cette étude réalisée sur les moins de 18 ans, intitulée « Chaque enfant compte. Partout, tout le temps » et qui met en lumière les zones d’ombre de l’application de la Convention internationale des droits de l’enfant(CIDE). La France, comme tout Etat l’ayant ratifié, est tenue de rendre compte, tous les cinq ans, de l’effectivité de ses engagements internationaux et des actions entreprises pour la mise en œuvre de la CIDE, rappelle l’Unicef. « Notre rapport [remis aux experts du Comité des droits de l’enfant] est un cri d’alarme qui doit pousser les autorités à agir d’urgence et de manière plus efficiente pour chaque enfant », insiste Michèle Barzach, présidente d’Unicef France. « En dépit d’efforts considérables (…), la France échoue en partie à l’égard de l’enfance et de la jeunesse et ce sont les plus fragilisés par la pauvreté, l’exclusion sociale, les discriminations, mais aussi par cette période si particulière qu’est l’adolescence, qui en payent le plus lourd tribut », poursuit Mme Barzach dans ce rapport, qui dénonce notamment « la situation inacceptable des enfants migrants non accompagnés et/ou vivant en bidonvilles ». Privés de leurs droits fondamentaux, victimes de discriminations, ces mineurs isolés étrangers « comptent parmi les plus vulnérables ». Cela conduit « à des situations indignes », alerte Mme Barzach, comme la traite des êtres humains. UN아동기금이 6월 9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프 랑스 내 300만 명이 넘는 아동들이 (5명 중 1명 꼴) 빈 곤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3만 명은 주거지가 없이 지 내며, 9,000명은 판자촌에 살고, 14만 명은 학교를 그만 둔 상태라고 알려졌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모든 아이들은 중요하다. 언제 어디서나"라는 표어를 달고 아동권리협약(CIDE)의 사각지대에 있던 아이들에 주목한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빈곤 상태에 처한 아동들이 44 만 명 추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아동권리협약을 비준했던 모든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역시 5년 마다 CIDE의 발효로 시행된 국제적인 지원과 활동들의 실효성에 대해 보고해야 한다는 것을 유니세프는 상기시켰다. "(아동권리위원회의 전문가들이 평가한) 우리의 보고 서는 비상사태에 대한 행동을 취하고, 각각 아동에 대 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시행하도록 관계당국을 재 촉해야 한다는 경고의 메시지"라고 유니세프 프랑스 회 장은 주장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상당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는 사회 소외 계층이며 빈곤과 차별에 가장 취약한 아 동〮청년 계층에 대한 정책에 있어서 실패했다. 뿐만 아 니라 이러한 시기에 청년층이 가장 무거운 세금을 납부 하도록 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보호자 없이 판자촌에 사는 이주아동들을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에 대해 강 력하게 비판하였다. 이 고립된 외국인 아동들은 기본권 을 존중 받지 못하고 차별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여겨진다. 프랑스 유니세프 회장은 인권 조약에 근거하여, 이러한 상황은 "안타까운 상태" 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11 김하정 <kkkhajeong0723@gmail.com> 참고 : Le Monde "Droits de l’enfant : les « échecs » de la France"
  • 3.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Le ramadan en France, une « pratique identitaire et affective » 프랑스에서의 라마단, 이슬람 정체성과 정서를 담은 기도 Jeudi 18 juin, démarre le mois de jeûne annuel des musulmans, l’un des cinq piliers de l’islam et « peut-être le rite le plus important chez les musulmans », selon l’islamologue Rachid Benzine. Selon la tradition, il marque le début de la révélation du Coran au prophète Mahomet par l’archange Gabriel et se traduit par un mois de privation, d’épreuve, mais aussi de partage et de convivialité. En France, jusqu’aux années 1990, on faisait ramadan par inertie traditionnelle. Mais depuis le milieu des années 2000, celui qui dirige l’Observatoire du religieux note une sorte de revival qui touche majoritairement les jeunes. La pratique du jeûne a progressé ces dernières années, en particulier chez les jeunes : ils étaient 73% des 18-25 ans à le suivre en 2011, contre 59% en 1989. À la dimension identitaire déjà mise en évidence, viendrait s’ajouter un ressort spirituel. Depuis le milieu des années 2000, un nombre croissant de jeunes musulmans français se démarquent de la pratique intime et discrète de leurs parents et développent un mode de vie ″halal″ ostensible. Les islamologues y voient le marqueur d’une « pratique identitaire de la religion, dans un contexte de mondialisation » et de « rupture avec la tradition orale des parents. La population musulmane en France est jeune et sa pratique n’est pas assise sur une véritable tradition. Elle va donc se tourner vers une pratique identitaire et affective ». Aujourd'hui, le ramadan reste, avant d’être religieux, un rite social qui permet la cohésion d’un groupe. 6월 18일 목요일, 무슬림의 연례 금식, 라마단이 시작되었다. 이것은 회교도의 5대 덕목 중 하나이자, 이슬람 전문가 라시드 벤진에 따르면 "무슬림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의식"이다. 이슬람 전설에 의하면 라마단은 대천사 가브리엘이 예 언자 마호메트에게 코란의 계시 시작을 알린 시점이라고 전해지며 금식, 고난과 함께 나눔과 공생을 기념하는 성스러운 달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라마단은 프랑스 내에서 활기를 띄지 못하는 전통으로 지내져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중반에 이르러 프랑스 종교 연구소가 이것을 특히 젊은이들을 감동시키는 일종의 신앙 부흥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최근 몇 년 간 금식을 지키는 청년들이 늘어났다. 1989년, 18-25세 젊은이들의 라마단 금식 참여율이 59%였던 것에 비해 2011년에 는 73%를 기록했다(프랑스 내 수치). 라마단은 무슬림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고 영적인 원동력까지 증대시키는 행사이 다.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젊은 프랑스인 무슬림 수가 증가하면서 부모세대의 소극적이고 조용한 관례와는 달리 과 시적인 종교 생활양식을 발전시켰다. 이슬람학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세계화 흐름 속에서의 종교 정체성 실현"이자 구세 대의 구어적 전통 탈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다. 또한 학자들은 “프랑스 내 무슬림들은 젊고, 이들의 종교 행위는 기존 의 전통에 기반한 것이 아닌, 자신의 정체성과 정서를 드러내는 종교적 실천”이라고 평가한다. 따라서 오늘날, 라마단은 종교 행사이기 이전에 무슬림이라는 한 공동체의 연대성을 갖게 하는 사회적 의식으로 남아 있다. 12 김소연 <tddhul@naver.com> 참고 : Le Monde "Le ramadan en France, une « pratique identitaire et affective »" Campagne anti-bikini au Maroc 모로코, 라마단 기간 내 비키니 금지 캠페인 논란 Chaque année, le ramadan charrie son lot de polémiques. La dernière en date vient du Maroc. Elle a été provoquée par une simple pancarte. Sur un tissu noir, des surfeurs musulmans ont écrit, samedi 20 juin, à la peinture blanche « Respect Ramadan No Bikinis », en anglais pour s’adresser essentiellement aux touristes qui se pressent sur les plages marocaines. L’initiative n’a pas été du goût de tous les Marocains. À commencer par les restaurateurs, hôteliers ou commerçants qui travaillent dans le secteur du tourisme. L’un d’entre eux, interrogé par le site Morocco World News a déclaré : « Beaucoup de marocains ne comprennent pas qu’il y a une séparation entre leur vies personnelles et les vies et choix des autres. » Et d’ajouter : « Ce genre d’initiative pourrait décourager ces touristes qui ont l’intention de visiter le Maroc ». Or le tourisme secteur clé du Maroc, représentant 8% du PIB. Le ministre du tourisme a fait part de son indignation vis-à-vis de cette campagne « Personne n’a le droit de faire la loi à la place des pouvoirs publics. Nous n’admettons jamais ces comportements inacceptables de personnes qui s’érigent en justiciers de la morale et de la vertu », a-t-il déclaré. Sur les réseaux sociaux, l’affaire fait jaser. Si des touristes menacent de boycotter le Maroc cet été, certains conservateurs marocains ne cachent pas leur approbation de l’initiative des surfeurs. D’autres s’interrogent, allant jusqu’à rêver d’une interdiction totale du bikini même en dehors du Ramadan. Enfin, les plus réalistes gardent en tête le poids considérable du tourisme dans l’économie marocaine, qui condamnerait selon eux cette campagne à l’échec. 매년, 라마단(이슬람 단식 성월(聖月))은 논쟁거리를 만 든다. 가장 최근에 이슈가 된 논란은 모로코에서 일어났 는데, 발단은 작은 플랜카드였다. 지난 20일, 모로코의 휴양도시인 아가딜에서 서핑을 즐기던 젊은 무슬림들이 해변을 찾는 관광객들을 겨냥해 “노 비키니! 라마단을 거룩히 지키자”라고 영어로 적힌 검은 천을 들고 라마단 기간 내 반(反)비키니 캠페인을 벌였다. 그러나 이 캠페인이 모든 모로코인들에게 환영 받지는 못했다. 특히 요식업자, 숙박업자 등 관광 산업에 종사하 는 모로코인들은 우려를 표했다. 모로코의 인터넷 언론 매체인 Morocco World News와의 인터뷰에서 한 관광 업 종사자는 “많은 모로코인들이 개인의 삶과 타인의 삶, 타인의 선택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러한 캠페인 은 관광객들의 모로코 방문 욕구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참고로 관광산업은 모로코의 주요 산 업으로, GDP의 8%를 차지한다. 모로코 관광부 장관은 분노하며 이 캠페인에 정면으로 대응했다. 그는 “어느 누구도 공권력을 대신해 법을 제정 할 권리가 없다”며 “스스로를 심판자로 자처하는 이런 말도 안 되는 행동은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력히 단언했다. SNS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이 캠페 인 때문에 올 여름 모로코에 가지 않겠다는 관광객들이 있음에도 몇몇 보수적인 모로코인들은 ‘반(反)비키니’ 캠 페인에 적극 찬성한다. 심지어 라마단 기간 외에도 비키 니를 전면 금지하자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관광산업이 모로코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하면 이 반(反)비키니 캠페인은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고 유력한 입장이다. 13 박소희 <sohui0519@naver.com> 참고 : Jeune Afrique "Ramadan – Maroc : à Agadir, la (mini) guerre du bikini"
  • 4. 2015년 6월 29일 - 제 16호 - Taubira « rêve » de semaine de travail de 32 heures, Valls agacé 프랑스 법무부 장관 토비라, “주 32시간 근무제”, 정부의 입장과는 대조적 Christiane Taubira rêve « d'un monde où l'on pourrait travailler 32 heures par semaine » afin de préserver « la vie personnelle et la vie familiale », des propos en rupture avec le discours gouvernemental en plein débat sur la loi Macron. Manuel Valls a réagi à ces propos en prônant la "valeur travail" et "l'engagement pour la croissance". Taubira: "Je rêve d'un monde où on peut travailler 32 heures" “Je rêve d'un monde où on ne travaille pas le dimanche. Je rêve d'un monde où on peut travailler 32 heures. Pour avoir du temps pour se consacrer aux autres dans des associations. Pour avoir le temps d'aller au musée, pour avoir le temps quand c'est possible d'aller sur la plage, de déambuler, de marcher, de parler à ses voisins, d'aller en librairie, d'aller au cinéma, d'aller au théâtre, etc. Voilà la société dont on peut rêver”, a expliqué Christiane Taubira. Valls veut sortir des « dogmes » Manuel Valls a répondu: “Aujourd'hui, il y a un temps de travail qui existe. Il y a les 35 heures mais le temps effectif est de 39 heures. Les Français, ce qu'ils veulent aujourd'hui, c'est du boulot.” “Et l'engagement que les Français attendent aujourd'hui pour leurs enfants et leurs petits-enfants, c'est une bonne formation pour avoir demain un bon travail. Soyons pragmatiques, sortons des dogmes et engageons-nous pour la croissance et le travail pour notre pays ”, a-t-il ajouté. 프랑스 법무부 장관 크리스티안 토비라가 사생활과 가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당 32시간 근무를 제 안했다. 이러한 발언은 ‘마크롱 법안(경제부 장관이 발 의한 주 35시간 근무제 폐지 및 일요일 가게 운영 확 대)’을 논의 중인 정부의 입장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마 뉴엘 발스 총리는 “일의 가치”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참여”를 강조하며 토비라 장관의 제안에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다. 토비라, “주 32시간 근무하는 세상을 꿈꾼다 “나는 프랑스인들이 주 32시간 근무를 하며, 일요일 에는 일하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박물관 관람, 해수욕, 산책, 이웃과의 교제 그리고 서점이나 영화관에 가서 문화생활을 즐기는 등 다양한 여가활동을 하며 사교활 동을 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라고 토비라 장관은 설명했다. 발스, 프랑스는 “이념”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에 대해 발스 총리는 “현재 프랑스의 주당 근무시 간은 35시간인 반면, 프랑스 경제에 효과적인 근무시간 은 39시간이다. 오늘날 프랑스인들이 원하는 것은 일을 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또한 “우리의 후세를 위해 지 금 프랑스인들이 해야 하는 것은 일을 하는 것이다. 현 실적으로 생각해야하고 이념에서 벗어나야한다. 우리는 프랑스의 경제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덧붙였다. 13 조난영 nyjo23@hanmail.net 참고 : Le Monde "Taubira « rêve d’un monde » avec 32 heures de travail par semaine" Ségolène Royal appelle à boycotter le Nutella pour lutter contre la déforestation 프랑스 환경부 장관, 삼림파괴를 막기 위해 누텔라 보이콧 촉구 La ministre de l’Ecologie Ségolène Royal a conseillé aux Français d’arrêter de manger du Nutella don't la fabrication de l’un des ingrédients provoquerait des « dégâts considérables » sur l’environnement. Ce qui dérange Ségolène Royal, c’est sa quantité d’huile de palme. « Il faut replanter massivement des arbres, parce qu’il y a eu une déforestation massive qui entraîne aussi du réchauffement climatique », a d’abord défendu la ministre, invitée du Petit Journal de Canal+. Et « Il faut arrêter de manger du Nutella par exemple, parce que c’est de l’huile de palme » a annocé aussi. Visiblement étonné d’une telle citation à la télévision, l’animateur répond alors que, selon lui, « c’est bon le Nutella ». Mais Ségolène Royal, maman de quatre enfants : « Ben oui, mais faut pas, parce que c’est l’huile de palme qui a remplacé les arbres, et donc c’est des dégâts considérables ». Mais après sa parole, elle a suscité la colère de Rome. Pour tenter d’éteindre la polémique, la ministre de l’Ecologie a présenté ses excuses sur Twitter, et a surtout expliqué pourquoi elle a dit qu’il fallait arrêter le Nutella. “C’était des propos tenus dans une émission humoristique.” Malheureusement pour elle, les internautes français ne toujours comprennent pas le message. “Une ministre s’excuse pour avoir dit la vérité sur le Nutella? Voilà de quoi alimenter le sujet du bac sur la vérité” ironise Jocelyne, l’un des internautes. Et “Comment peut-elle s’excuser? C’est minable!” s’emporte Filnoir, l’un des internautes. 프랑스 환경부 장관인 세골렌 루아얄은 프랑스인들에게 환경에 “상당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재료 중 하나인 ‘누텔라(이탈리아의 초콜렛 잼)‘ 섭취를 중단할 것을 권고 했다. 루아얄 장관이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야자유의 양 때문이었다. 장관은 Canal+의 Petit Journal(방송 프로그램) 출연 당시 “기후온난화를 유발하는 집단적인 삼림파괴 때 문에 막대한 양의 나무를 다시 심어야 한다. (이러한 피해 를 위해서) 예를 들면, 야자유로 만들어지는 누텔라를 먹 는 것을 멈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텔레비전에서의 이런 발언에 놀란 사회자가 “그렇지만 누텔라는 맛있는걸요”라 며 받아쳤다. 하지만 네 명의 아이를 둔 엄마인 루아얄 장 관은 “네, 맞아요. 하지만 먹어서는 안 됩니다. 야자유를 얻기 위해 나무를 희생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 상당한 피 해가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발언 이후, 이탈리아는 분노에 휩싸였다. 논란을 진정시키기 위해 루아얄 장관은 자신의 트위터에 사과문 을 올렸다. 그녀는 “방송 중의 가벼운 장난식 발언이었다” 고 누텔라를 먹지 말아야 한다고 했던 발언 이유를 설명 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프랑스 네티즌들은 여전히 그녀의 사 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누텔라의 진실을 밝혔다고 사 과를 하는 장관이라니요? 바칼로레아 시험 주제로 내도 되 겠네요” 라며 네티즌 중의 한명인 조셀린이 비꼬았다. 또한 “어떻게 장관이 (이렇게 쉽게 말을 바꾸고) 사과할 수 있나 요? 형편없네요!” 라고 네티즌인 필노아는 격분했다. 13 김태림 <sjjw15@hanmail.net> 참고 : Le Parisien “Royal conseille d’arrêter le Nutella pour sauver la planè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