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Quality Control
EXHIBITION SPECIAL NOTE
주최
협력
발행일
발행처
2016년 12월 23일
(주)위누
서울시 성동구 서울숲길 53 2층 위누(04786)
02.782.0514
| Quality Control
1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한석현 l 울리 베스트팔 Han Seok Hyun | Uli Westphal
2016.8.31–11.4 서울특별시청 8층 하늘광장갤러리
8F SKY PLAZA GALLERY, SEOUL CITY HALL, KOREA
2
3
영양적으로도 식용으로도 완벽한 음식들이
‘팔리기에 충분히 아름답지 못하다’는 이유로 폐기되어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어내고,
그들을 생산하기까지 들인 에너지와 노동과 자원은
무의미하게 소실된다.
4
5
6
두 작가는 이런 현대 식품 산업의 불합리한 행태에서
배척당한 ‘못생긴’ 먹을 것들을 무대에 올려 조명을 비춘다.
-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展
7
8
“저에게는 자연이 그 나름의 생명이 아닌,
사회의 오브제 같은 것이 되었죠.”
“사람이 각자에게 직업과 역할을 주는 것처럼
자연물에게도 그 역할을 주고 있는데,
이것은 한 번쯤 생각해 볼 것이 아닌가 싶어요.”
- 한석현
9
10
11
12
13
“저는 10년 전부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연구하면서,
현대사회의 개발이 농사에 주는 영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죠”
14
“대규모의 시스템과 농업 산업 과정에서
숨겨진 것들을 발견하는 것이 제 직업이죠.”
- Uli Westphal
15
16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시민참여 오프닝 행사
2016.9.5(월) 10:00-18:00
서울특별시청 8층 하늘광장갤러리
8F SKY PLAZA GALLERY, SEOUL CITY HALL, KOREA
17
18
작업 체험 특이한 모양의 농산물 증정 및 작가와 함께하는 작품 촬영
먹거리 체험 다양한 농산물을 눈으로 감상하고 미각으로 체험하는 슬로푸드 코너
미니 토크 한석현, 울리베스트팔 작가가 이야기하는 그들의 작품세계
19
20
| Quality Control
21
작품 이미지에 어울리는 4글자 작품 캡션 짓기 이벤트 진행 후 우수작 11명 선정
12,243명 노출 1,000명 참여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SNS 시민참여
2016.10.6 – 11.3
22
“똑같이 건강하게 자랐으나 상품화되지 못한 못난이 농산물이
1,000명의 시민과 만나 사랑스럽게 재발견되는 순간”
말좀해봐
contributor. 김나은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삶의흔적
contributor. 김윤경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똥지렁이
contributor. 김윤지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비켜줄래
contributor. 김윤경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힘없수염
contributor. 허미호
아름다움, 규격밖의 산물 Beauty, out range of standarization, ⓒ Han Seok Hyun
발레연습
contributor. 이향안
13 MUTATO # 404, © Uli Westphal
널높이기
contributor. 안소미
06 MUTATO # 413, © Uli Westphal
가을타무
contributor. 정윤주
07 MUTATO # 63, © Uli Westphal
황꽃망울
contributor. 안소미
11 MUTATO # 427, © Uli Westphal
엄마타조
contributor. 김혜원
19 MUTATO # 278, © Uli Westphal
일심송체
contributor. 허수정
20 MUTATO # 153, © Uli Westphal
45
작가 한석현
한석현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조형예술 전문사 과정을
수학했다. 그의 작품은 자연에 대한 경외와 환경에 대한 공통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대미술과 생태학적 실천
Ecological Practice의 확장적 결합을 모색하고 그와 관련된 사회적 현상을 작품을 통해 드러내는 작업이다.
최근의 관심사는 현대미술과 인공정원 그리고 식물공장에 관한 관심을 주제로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식량과
경관을 목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면서 고안되었던 수많은 방법들과 현대에 이르러 사물의 표준으로 불려지는
ISO(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 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유기체가 표준화
되면서 겪게 되는 현상들을 주목하고 있다.
최근 보스턴미술관의 기획전(2016)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현재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베타니엔 스튜디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서울과 베를린의 도시 안에서의 자연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뤄지고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면서 작업하고 있다.
ARTIST Han Seok Hyun
Han Seok Hyun attended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MFA) from 2004 to 2008 and Hongik
University (BFA) from 1994 to 2001. With critical awareness of Mother Nature and the environment, Han
pursues fusion between creative construction and ecological practice through his art works. His explora-
tion between social science, art, and ecological engineering results in his art works.
He is interested in expanding the concept of “artificial nature”, as it for example manifests itself in such
forms as urban gardens and nature in modern human society. His recent works seek to bring our attention
into how the society is“standardizing”organic organisms.
Recently he exhibits his works at MFA Boston, U.S.A. He lives in Berlin, Germany and participates in
Künstlerhaus Bethanien Residency program. He plan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presence of nature in
the urban landscapes of Seoul and Berlin.
46
47
작가 울리 베스트팔
울리 베스트팔은 미국 볼티모어 소재 메릴랜드 미대(MICA)에서 멀티미디어와 환경예술을, 네덜란드 엔스헤데
미술대학(AKI)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그는 독일 베를린 예술대학(UDK)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면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인간이 자연을 인지하고, 표현하고, 변형하는 방식을 다룬다. 특히 그는 오해(misconceptions)와
이념(ideologies)이 우리가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어떻게 형성하게 하는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최근 음식
산업을 통해 자연이 어떻게 묘사가 되고 변형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울리 베스트팔의 작품은 종합적이고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컬렉션과 분류시스템, 시뮬레이션과 실험 등이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는 전세계 갤러리와
박물관에서 전시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책과 잡지를 발행하고 있다.
가장 최근 개최된 개인전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진행한 “트랜스플랜테이션(장기 이식)”(2014)과
미국 아이다호 주의 보이쉬 밍스튜디오의 “코르누코피아(풍요의 뿔)”,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의 오달리스갤러리의
“휴먼네이처(인간 본성)” 등이 있다.
ARTIST Uli Westphal
Uli Westphal (1980, Bochum, Germany) studied Multimedia and Environmental Art at MICA in Baltimore,
United States and Fine Arts at the AKI in Enschede, the Netherlands. He obtained his MA (Art in Context)
from the UdK in Berlin, Germany. Westphal lives and works in Berlin, Germany.
His works deal with the way humans perceive, depict and transform the natural world. He is especially
interested in how misconceptions and ideologies shape our view of nature. In recent years he has
focused on the portrayal and transformation of nature through the food industries. His work is multidis-
ciplinary and research based, frequently consisting out of collections, classification systems,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set-ups. He exhibits internationally in galleries and museums and has published in a
broad variety of books and magazines.
Recent solo exhibitions include ‘Transplantation’ at SMBA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2014),
‘Cornucopia’ at Ming Studios in Boise, Idaho, United States (2014) and‘Human Nature’ at Odalys Galería
de Arte in Caracas, Venezuela (2013)
48
49
하늘광장갤러리 전시 정보
서울특별시청 8층 하늘광장갤러리 | 평일 10:00-18:00, 주말 및 공휴일 휴관 8F SKY PLAZA GALLERY, SEOUL CITY HALL, KOREA
2016 서울시 하늘광장갤러리 공모선정작
SKY PLAZA GALLERY SPECIAL EXHIBITION
2016.3.9 – 2017.1.13
장인선 JANG IN SUN
서울의 바람 [WIND+WANT]
정희우 JEONG HEEWOO
종로와 강남대로
JONG-RO AND GANGNAM-DAERO
[m:art]
사물을 읽다
LOOKING INTO THINGS
한석현, 울리 베스트팔
HAN SEOK HYUN, ULI WESTPHAL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이은숙 EUNSOOK LEE
서울의 주 THE PILLAR OF SEOUL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展 SPECIAL NOTE_2016서울시하늘광장갤러리공모선정작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Tierra De Dinosaurios Grupo3
Tierra De Dinosaurios Grupo3Tierra De Dinosaurios Grupo3
Tierra De Dinosaurios Grupo3
salaazul
 
Evan Salce Reference Letter
Evan Salce Reference LetterEvan Salce Reference Letter
Evan Salce Reference LetterEvan Salce
 
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
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
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
Jiří Peterka
 
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
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
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
Meio & Mensagem
 
Portfolio Pictures
Portfolio PicturesPortfolio Pictures
Portfolio PicturesBailey Bond
 

Viewers also liked (8)

Trabajo
TrabajoTrabajo
Trabajo
 
Tierra De Dinosaurios Grupo3
Tierra De Dinosaurios Grupo3Tierra De Dinosaurios Grupo3
Tierra De Dinosaurios Grupo3
 
Acredite na vida
Acredite na vidaAcredite na vida
Acredite na vida
 
Evan Salce Reference Letter
Evan Salce Reference LetterEvan Salce Reference Letter
Evan Salce Reference Letter
 
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
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
Počítačové sítě II, lekce 6: sítě WLAN II
 
SAIC Growing Systems x2
SAIC Growing Systems x2SAIC Growing Systems x2
SAIC Growing Systems x2
 
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
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
Copa do caos cota digital 21.07
 
Portfolio Pictures
Portfolio PicturesPortfolio Pictures
Portfolio Pictures
 

Similar to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展 SPECIAL NOTE_2016서울시하늘광장갤러리공모선정작

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
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
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
sun_nysideup
 
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
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
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
sun_nysideup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Eunmi Park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Creative Commons Korea
 
환경논총 제61권
환경논총 제61권환경논총 제61권
환경논총 제61권
EPISNU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G2 park
 
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
choiyejin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ssuser26638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Similar to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展 SPECIAL NOTE_2016서울시하늘광장갤러리공모선정작 (9)

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
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
컬처워크 청담 코스 (7월 27일 ~ 8월 18일)
 
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
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
컬처워크 북촌 코스 (7월 31일 ~ 8월 17일)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포트폴리오] 박은미 작가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환경논총 제61권
환경논총 제61권환경논총 제61권
환경논총 제61권
 
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바우하우스
바우하우스
 
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데코레이션수업
데코레이션수업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초량천예술정원주민투어자료집 1015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면벽수행_탐방 보고서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展 SPECIAL NOTE_2016서울시하늘광장갤러리공모선정작

  • 2. 주최 협력 발행일 발행처 2016년 12월 23일 (주)위누 서울시 성동구 서울숲길 53 2층 위누(04786) 02.782.0514
  • 4.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한석현 l 울리 베스트팔 Han Seok Hyun | Uli Westphal 2016.8.31–11.4 서울특별시청 8층 하늘광장갤러리 8F SKY PLAZA GALLERY, SEOUL CITY HALL, KOREA 2
  • 5. 3
  • 6. 영양적으로도 식용으로도 완벽한 음식들이 ‘팔리기에 충분히 아름답지 못하다’는 이유로 폐기되어 대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어내고, 그들을 생산하기까지 들인 에너지와 노동과 자원은 무의미하게 소실된다. 4
  • 7. 5
  • 8. 6
  • 9. 두 작가는 이런 현대 식품 산업의 불합리한 행태에서 배척당한 ‘못생긴’ 먹을 것들을 무대에 올려 조명을 비춘다. -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展 7
  • 10. 8 “저에게는 자연이 그 나름의 생명이 아닌, 사회의 오브제 같은 것이 되었죠.”
  • 11. “사람이 각자에게 직업과 역할을 주는 것처럼 자연물에게도 그 역할을 주고 있는데, 이것은 한 번쯤 생각해 볼 것이 아닌가 싶어요.” - 한석현 9
  • 12. 10
  • 13. 11
  • 14. 12
  • 15. 13
  • 16. “저는 10년 전부터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연구하면서, 현대사회의 개발이 농사에 주는 영향에 대해 고민하고 있죠” 14
  • 17. “대규모의 시스템과 농업 산업 과정에서 숨겨진 것들을 발견하는 것이 제 직업이죠.” - Uli Westphal 15
  • 18. 16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시민참여 오프닝 행사 2016.9.5(월) 10:00-18:00 서울특별시청 8층 하늘광장갤러리 8F SKY PLAZA GALLERY, SEOUL CITY HALL, KOREA
  • 19. 17
  • 20. 18 작업 체험 특이한 모양의 농산물 증정 및 작가와 함께하는 작품 촬영 먹거리 체험 다양한 농산물을 눈으로 감상하고 미각으로 체험하는 슬로푸드 코너 미니 토크 한석현, 울리베스트팔 작가가 이야기하는 그들의 작품세계
  • 21. 19
  • 22. 20
  • 24. 작품 이미지에 어울리는 4글자 작품 캡션 짓기 이벤트 진행 후 우수작 11명 선정 12,243명 노출 1,000명 참여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SNS 시민참여 2016.10.6 – 11.3 22 “똑같이 건강하게 자랐으나 상품화되지 못한 못난이 농산물이 1,000명의 시민과 만나 사랑스럽게 재발견되는 순간”
  • 26.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 28.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 30.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 32.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展 설치장면, Han Seok Hyun
  • 34. 아름다움, 규격밖의 산물 Beauty, out range of standarization, ⓒ Han Seok Hyun
  • 36. 13 MUTATO # 404, © Uli Westphal
  • 38. 06 MUTATO # 413, © Uli Westphal
  • 40. 07 MUTATO # 63, © Uli Westphal
  • 42. 11 MUTATO # 427, © Uli Westphal
  • 44. 19 MUTATO # 278, © Uli Westphal
  • 46. 20 MUTATO # 153, © Uli Westphal
  • 47. 45
  • 48. 작가 한석현 한석현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조형예술 전문사 과정을 수학했다. 그의 작품은 자연에 대한 경외와 환경에 대한 공통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대미술과 생태학적 실천 Ecological Practice의 확장적 결합을 모색하고 그와 관련된 사회적 현상을 작품을 통해 드러내는 작업이다. 최근의 관심사는 현대미술과 인공정원 그리고 식물공장에 관한 관심을 주제로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식량과 경관을 목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면서 고안되었던 수많은 방법들과 현대에 이르러 사물의 표준으로 불려지는 ISO(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 대한 리서치를 기반으로 유기체가 표준화 되면서 겪게 되는 현상들을 주목하고 있다. 최근 보스턴미술관의 기획전(2016)에서 작품을 선보였으며, 현재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베타니엔 스튜디오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서울과 베를린의 도시 안에서의 자연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뤄지고 있는가를 비교 분석하면서 작업하고 있다. ARTIST Han Seok Hyun Han Seok Hyun attended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Arts (MFA) from 2004 to 2008 and Hongik University (BFA) from 1994 to 2001. With critical awareness of Mother Nature and the environment, Han pursues fusion between creative construction and ecological practice through his art works. His explora- tion between social science, art, and ecological engineering results in his art works. He is interested in expanding the concept of “artificial nature”, as it for example manifests itself in such forms as urban gardens and nature in modern human society. His recent works seek to bring our attention into how the society is“standardizing”organic organisms. Recently he exhibits his works at MFA Boston, U.S.A. He lives in Berlin, Germany and participates in Künstlerhaus Bethanien Residency program. He plan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presence of nature in the urban landscapes of Seoul and Berlin. 46
  • 49. 47 작가 울리 베스트팔 울리 베스트팔은 미국 볼티모어 소재 메릴랜드 미대(MICA)에서 멀티미디어와 환경예술을, 네덜란드 엔스헤데 미술대학(AKI)에서 미술을 전공했다. 그는 독일 베를린 예술대학(UDK)에서 예술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베를린에 거주하면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인간이 자연을 인지하고, 표현하고, 변형하는 방식을 다룬다. 특히 그는 오해(misconceptions)와 이념(ideologies)이 우리가 자연을 바라보는 관점을 어떻게 형성하게 하는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최근 음식 산업을 통해 자연이 어떻게 묘사가 되고 변형되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울리 베스트팔의 작품은 종합적이고 연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컬렉션과 분류시스템, 시뮬레이션과 실험 등이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는 전세계 갤러리와 박물관에서 전시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책과 잡지를 발행하고 있다. 가장 최근 개최된 개인전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에서 진행한 “트랜스플랜테이션(장기 이식)”(2014)과 미국 아이다호 주의 보이쉬 밍스튜디오의 “코르누코피아(풍요의 뿔)”,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의 오달리스갤러리의 “휴먼네이처(인간 본성)” 등이 있다. ARTIST Uli Westphal Uli Westphal (1980, Bochum, Germany) studied Multimedia and Environmental Art at MICA in Baltimore, United States and Fine Arts at the AKI in Enschede, the Netherlands. He obtained his MA (Art in Context) from the UdK in Berlin, Germany. Westphal lives and works in Berlin, Germany. His works deal with the way humans perceive, depict and transform the natural world. He is especially interested in how misconceptions and ideologies shape our view of nature. In recent years he has focused on the portrayal and transformation of nature through the food industries. His work is multidis- ciplinary and research based, frequently consisting out of collections, classification systems, simulations and experimental set-ups. He exhibits internationally in galleries and museums and has published in a broad variety of books and magazines. Recent solo exhibitions include ‘Transplantation’ at SMBA in Amsterdam, The Netherlands (2014), ‘Cornucopia’ at Ming Studios in Boise, Idaho, United States (2014) and‘Human Nature’ at Odalys Galería de Arte in Caracas, Venezuela (2013)
  • 50. 48
  • 51. 49
  • 52.
  • 53. 하늘광장갤러리 전시 정보 서울특별시청 8층 하늘광장갤러리 | 평일 10:00-18:00, 주말 및 공휴일 휴관 8F SKY PLAZA GALLERY, SEOUL CITY HALL, KOREA 2016 서울시 하늘광장갤러리 공모선정작 SKY PLAZA GALLERY SPECIAL EXHIBITION 2016.3.9 – 2017.1.13 장인선 JANG IN SUN 서울의 바람 [WIND+WANT] 정희우 JEONG HEEWOO 종로와 강남대로 JONG-RO AND GANGNAM-DAERO [m:art] 사물을 읽다 LOOKING INTO THINGS 한석현, 울리 베스트팔 HAN SEOK HYUN, ULI WESTPHAL 표준자연 l Quality Control 이은숙 EUNSOOK LEE 서울의 주 THE PILLAR OF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