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Human DB’ 서비스: 비전과 쟁점
윤영민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언론정보대학장

1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1. 지식의 소재와 도서관의 기능


문명은 사회를 규정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구조



구어 문명



 문명적 관점은 사회 제도가 지닌 도전과 기회를 찾는데 도움
 Story teller가 도서관의 역할
 지식·정보의 창조, 기록, 보관, 활용이 미분화, 특정 인간(story teller)이 그 역할을 모두 수행

문자-인쇄 문명

 지식의 생산, 기록, 보관, 활용이 분화됨
 도서관의 출현: 인쇄물의 기록, 보관, 활용의 기능을 수행



전자문명-- 매스미디어



전자문명– 소셜미디어

 도서관 기능에 전자적 기록, 보관, 활용이 추가됨
 ‘가치의 공동창조’가, 다수에 의해, 분산적으로 이루어짐
 책, 방송, 저널, 잡지 등과 같은 소수 유형의 매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기록과 보관은 불가능
 가치(지식, 정보)가 어느 곳 혹은 누구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대화’ 자체에 있는 경우

가 많은 시대
 자발성(자발적 참여)과 공감이라는 parameter
 도서관이 전문가 네트워크의 허브(hub) 혹은 연결자(connector)의 역할까지 수행해
야 한다

2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2. Human DB: 전문가 DB와 SNS의 결
합
 시대적 요구에 맞는 발상임
 현재 포털사이트나 언론사가 제공하는 전문가 DB는 물론, 국

가인재 DB마저도 취약점이 많음

 정보의 부정확성: 왜곡, 과장, 현행화안됨 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

이 많음
 DB가 사일로(silo)처럼 폐쇄적임 – 웹과 연계가 불가
 포털 검색에서 국회도서관이나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를 물고 나
오지 못한다

 SNS의 잠재성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 SNS가 정치인의 개인적인 홍보나 유권자 관리 이상 쓰이는 경우

가 있는가?
 입법 혹은 정책 토론의 장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가?

 결국 이 사업의 관건은 두 가지

 DB에 담긴 정보의 정확성을 어떻게 확보하는가?
 전문가들을 어떻게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가?

3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3. 전문가 DB: 구축보다 관리가 문제
 DB를 개방적으로 운용할 수는 없는가?





이미 인터넷상의 정보만 꿰어도 충분
온톨로지를 만들고 LOD(Linked Open Data)로 전환
문제는 업데이트, 누가,얼마나 자주, 어떻게 업데이트?
사용자 스스로 업데이트 한다면, 어떤 동기로?

 LinkedIn만큼 자주 업데이트되고, 상호네트위킹 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을까?

 경력 기재, 경력 검증, 경력 업데이트를 모두 사용자들이 하고 있음
 국회 전문가 DB에 LinkedIn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까?

 미국 DIRECT2Experts

 각 대학이 책임지고 업데이트

 국회도서관의 경우, 포털의 검색엔진에 휴먼 DB를 노출시킴으

로써 업데이트, 검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임.

 상업적 이해가 걸려있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대

책만 가지고 가면 가능할 것임

4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4. Benchmarking: Human Library

5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5. Human Library(계속)
 2000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시작된 휴먼 라이브러리 캠






페인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이동도서관에 책 대신 사람을 싣고, 그 사람들을 ‘열람’할
수 있게 함. 도서관이 만남과 대화를 주선해 줌
Human library의 역사: 시작과 전개
우리나라의 사례: 2010년 국회도서관의 human library 행
사
Human library 응용 중 하나는 온라인으로 교사•학생을 전
문가와 연결시켜줌:
 캐나다 초중등학교 사례
 우리나라의 소셜 멘토링 사례

 Human library의 핵심은? Dialogue
 Human library의 문제는 흔쾌히 참여할 ‘전문가’를 발굴하
6

국회도서관
는 것 세미나 2013. 11. 12.
6. 국회-전문가 SNS?
 국회도서관이 SNS를 서비스하는 건 가능할까요?
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효과적 활용은 어려울 듯.

 기술적으로 감당할 수 없음: 페이스북이나 구글 행아웃과

같은 품질의 서비스가 가능하겠는가?

 페이스북 그룹의 기능: edgeranker
 구글 hangout: 오바마 연두회견 다이어로그

 설령 구축된다고 해도 제대로 운영이 될까요?

 전문가들의 온라인 dialogue: 고도의 운영 테크닉이 요구됨 –

성공률이 아주 낮은 현상
 과연 국회의원이 직접 참여할까요? 정책 수립에 그렇게 관심
이 높을까요? 공청회처럼 이미 답을 갖고 설득하고 정당성만
얻고자 하는 것 아닌가요? 극소수의 정책지향적 의원들만을
위해서 어마어마한 예산을 써야할까요?

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은데….
7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8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7. 국회의원-전문가 소통?
 국회의원과 전문가 사이 소통의 장을 제공하면 ‘소통’이 일

어날까요?
 이미 그런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소통 채널, 소통 공간은
새로 만들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
카오톡, 구글+, 구글행아웃, 국회소통광장, 국민신문고….
그런데도 잘 활용되지 않는다. 왜일까요? 그 용도만의
SNS가 없어서?
 국회소통광장
 국민신문고

 국회의원은 어떤 동기가 있어 참여할까요?
 전문가들은 어떤 동기가 있어 참여할까요? 어떤 인센티브

를 줄 것인가요?
 누가 moderator가 될 것인가요?
9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8. 대안: pilot project
 상업적 SNS서비스를 활용해서 국회의원(보좌관)-전문가

대화를 시도한다.
 목적: 이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서 소셜미디어 기반의 대
화에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다양한 툴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 기간: 3개월 정도의 기간
 방법:
 1) 페이스북 그룹을 이용한 대화 시도
 공개 수준(공개, 비공개, 비밀)
 국회의원(보좌관), 전문가, 및 언론사 옵저버를 회원으로 초대
 ‘이벤트’ 기능을 이용 비실시간 대화, 실시간 대화를 실시
 2) Google+ Hangout를 이용한 실시간 화상대화 시도
 스마트폰, PC, 테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의 접근 테스트

 예산: 컨설팅 비용
 Bench-marking: 비실시간 대화, 실시간 대화
10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9. Dialogue의 원리
 일반적인 온라인 대화와 달리, 합의에 도달하려는 공론장

의 성격을 지녀야 할 것임

 Thinking together with open mind
 하지만 여기서 합의는 한 쪽이 다른 쪽을 논리적으로 압도한

결과가 아니라 때로 정치적 절충이나 타협이 될 수도 있음
 대부분의 정책은 가치 편향을 지니기 때문

 선물경제의 원리를 따른다

 무엇을 얻을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줄 것인가를 먼저 생각

해야  전문가 네트워크 운영에서도 이점이 중요

 예상되는 장애요인

 권위주의적 태도: 유권해석은 내가 한다는 태도
 설득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설득시키려고만 함

 이론적 배경: 대화방법론1, 대화방법론2, 공감, 소통, 선

물경제, 대화주의
 SNS에서 dialogue 어떻게 해야 하나?
11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10. 온라인 대화방법론
 Dialogue의 세 가지 기본 요건

① 대화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존중
② 공동의 목표 설정
③ 진정성: 대화의 목표와 용도가 명시적(explicit)이

고, 공공적(public)이어야 함

 성공을 위한 다섯 가지 대화 원칙(Lawrence M.

Miller)
①
②
③
④
⑤
12

디테일을 경청한다
참가자들의 기여를 끌어내는 질문을 한다
상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다
상대를 부인하는 유형화를 피한다
꼭 해야 할 발언만 한다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11. 선물경제 방법론
① 선물경제의 원형은 potlatch(서북부 아메리카 인

②
③
④
⑤
⑥
⑦
⑧

13

디언), kula(남태평양 멜라네시아)
선물경제의 요체는 답례 의무
선물경제는 선물주기의 경쟁
선물에는 성의와 진정성이 담겨야 함
선물 자체도 가치를 지녀야 함
선물경제에서는 명예, 존경과 같은 비금전적 가
치가 중요
선물증여에는 ‘기한’과 ‘명예’가 고려되어야 함
‘설득’이 아니라 ‘공감’으로 운용되는 사회관계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참고 문헌
 윤영민. 2011.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 I, II>. 한양

대출판부.
 크리스 브로건(김익현 역). 2013. <구글플러스를
활용한 소셜비즈니스 마케팅>. 에이콘.
 다수의 웹사이트

14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국회 Human db_update

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
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
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
Andy Daeyol Na(나대열)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Hansung University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Han Woo PARK
 
Sns와 관계
Sns와 관계Sns와 관계
Sns와 관계
guest8b82d25
 
Sns와 관계
Sns와 관계Sns와 관계
Sns와 관계
daniellynn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Sunghyun Shin
 
[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
[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
[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
socialware
 
슬라이드쉐어
슬라이드쉐어슬라이드쉐어
슬라이드쉐어
sungminlee
 
[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
[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
[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
daumfoundation
 
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
Sue Hyun Jung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Youngmi Kang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Sungkyu Lee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
kang Anthony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kang Anthony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kang Anthony
 
INNOIZ_UX_YuriLee
INNOIZ_UX_YuriLeeINNOIZ_UX_YuriLee
INNOIZ_UX_YuriLee
Yu-Ri Lee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jupitermovement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준헌 이
 
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
kang Anthony
 

Similar to 국회 Human db_update (20)

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
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
2009.11.20_Space & User Experience (발표본).. for copyright please send me a mes...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Me2day&twtter brownbag seminar
 
Sns와 관계
Sns와 관계Sns와 관계
Sns와 관계
 
Sns와 관계
Sns와 관계Sns와 관계
Sns와 관계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Social guide 20111206_강남대학교
 
[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
[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
[티그리스]성공한 기업의 협업과 소통
 
슬라이드쉐어
슬라이드쉐어슬라이드쉐어
슬라이드쉐어
 
sungmin slide
sungmin slidesungmin slide
sungmin slide
 
[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
[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
[제8회 인터넷리더십] 메뉴얼 - 아이티캐너스
 
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SMlab intensive_01
SMlab intensive_01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사회적글쓰기 콘텐츠디자인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소셜웹과 개인의 비영리 재능·재화 공유 문화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다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블로그 간담회 1차 발표자료 20091211 공개
 
INNOIZ_UX_YuriLee
INNOIZ_UX_YuriLeeINNOIZ_UX_YuriLee
INNOIZ_UX_YuriLee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01.온라인 홍보 마케팅 전망과 트렌드
 
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Social의 위험요소
Social의 위험요소
 

국회 Human db_update

  • 1. ‘Human DB’ 서비스: 비전과 쟁점 윤영민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언론정보대학장 1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2. 1. 지식의 소재와 도서관의 기능  문명은 사회를 규정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구조  구어 문명   문명적 관점은 사회 제도가 지닌 도전과 기회를 찾는데 도움  Story teller가 도서관의 역할  지식·정보의 창조, 기록, 보관, 활용이 미분화, 특정 인간(story teller)이 그 역할을 모두 수행 문자-인쇄 문명  지식의 생산, 기록, 보관, 활용이 분화됨  도서관의 출현: 인쇄물의 기록, 보관, 활용의 기능을 수행  전자문명-- 매스미디어  전자문명– 소셜미디어  도서관 기능에 전자적 기록, 보관, 활용이 추가됨  ‘가치의 공동창조’가, 다수에 의해, 분산적으로 이루어짐  책, 방송, 저널, 잡지 등과 같은 소수 유형의 매체에 의존하지 않는다 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기록과 보관은 불가능  가치(지식, 정보)가 어느 곳 혹은 누구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대화’ 자체에 있는 경우 가 많은 시대  자발성(자발적 참여)과 공감이라는 parameter  도서관이 전문가 네트워크의 허브(hub) 혹은 연결자(connector)의 역할까지 수행해 야 한다 2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3. 2. Human DB: 전문가 DB와 SNS의 결 합  시대적 요구에 맞는 발상임  현재 포털사이트나 언론사가 제공하는 전문가 DB는 물론, 국 가인재 DB마저도 취약점이 많음  정보의 부정확성: 왜곡, 과장, 현행화안됨  검증되지 않은 정보들 이 많음  DB가 사일로(silo)처럼 폐쇄적임 – 웹과 연계가 불가  포털 검색에서 국회도서관이나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를 물고 나 오지 못한다  SNS의 잠재성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 SNS가 정치인의 개인적인 홍보나 유권자 관리 이상 쓰이는 경우 가 있는가?  입법 혹은 정책 토론의 장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는가?  결국 이 사업의 관건은 두 가지  DB에 담긴 정보의 정확성을 어떻게 확보하는가?  전문가들을 어떻게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가? 3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4. 3. 전문가 DB: 구축보다 관리가 문제  DB를 개방적으로 운용할 수는 없는가?     이미 인터넷상의 정보만 꿰어도 충분 온톨로지를 만들고 LOD(Linked Open Data)로 전환 문제는 업데이트, 누가,얼마나 자주, 어떻게 업데이트? 사용자 스스로 업데이트 한다면, 어떤 동기로?  LinkedIn만큼 자주 업데이트되고, 상호네트위킹 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을까?  경력 기재, 경력 검증, 경력 업데이트를 모두 사용자들이 하고 있음  국회 전문가 DB에 LinkedIn 모형을 적용할 수 있을까?  미국 DIRECT2Experts  각 대학이 책임지고 업데이트  국회도서관의 경우, 포털의 검색엔진에 휴먼 DB를 노출시킴으 로써 업데이트, 검증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임.  상업적 이해가 걸려있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한 대 책만 가지고 가면 가능할 것임 4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5. 4. Benchmarking: Human Library 5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6. 5. Human Library(계속)  2000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시작된 휴먼 라이브러리 캠     페인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 이동도서관에 책 대신 사람을 싣고, 그 사람들을 ‘열람’할 수 있게 함. 도서관이 만남과 대화를 주선해 줌 Human library의 역사: 시작과 전개 우리나라의 사례: 2010년 국회도서관의 human library 행 사 Human library 응용 중 하나는 온라인으로 교사•학생을 전 문가와 연결시켜줌:  캐나다 초중등학교 사례  우리나라의 소셜 멘토링 사례  Human library의 핵심은? Dialogue  Human library의 문제는 흔쾌히 참여할 ‘전문가’를 발굴하 6 국회도서관 는 것 세미나 2013. 11. 12.
  • 7. 6. 국회-전문가 SNS?  국회도서관이 SNS를 서비스하는 건 가능할까요? 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효과적 활용은 어려울 듯.  기술적으로 감당할 수 없음: 페이스북이나 구글 행아웃과 같은 품질의 서비스가 가능하겠는가?  페이스북 그룹의 기능: edgeranker  구글 hangout: 오바마 연두회견 다이어로그  설령 구축된다고 해도 제대로 운영이 될까요?  전문가들의 온라인 dialogue: 고도의 운영 테크닉이 요구됨 – 성공률이 아주 낮은 현상  과연 국회의원이 직접 참여할까요? 정책 수립에 그렇게 관심 이 높을까요? 공청회처럼 이미 답을 갖고 설득하고 정당성만 얻고자 하는 것 아닌가요? 극소수의 정책지향적 의원들만을 위해서 어마어마한 예산을 써야할까요?  넘어야 할 산이 너무 많은데…. 7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9. 7. 국회의원-전문가 소통?  국회의원과 전문가 사이 소통의 장을 제공하면 ‘소통’이 일 어날까요?  이미 그런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소통 채널, 소통 공간은 새로 만들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 카오톡, 구글+, 구글행아웃, 국회소통광장, 국민신문고…. 그런데도 잘 활용되지 않는다. 왜일까요? 그 용도만의 SNS가 없어서?  국회소통광장  국민신문고  국회의원은 어떤 동기가 있어 참여할까요?  전문가들은 어떤 동기가 있어 참여할까요? 어떤 인센티브 를 줄 것인가요?  누가 moderator가 될 것인가요? 9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10. 8. 대안: pilot project  상업적 SNS서비스를 활용해서 국회의원(보좌관)-전문가 대화를 시도한다.  목적: 이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서 소셜미디어 기반의 대 화에대한 이해를 공유하고, 다양한 툴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 기간: 3개월 정도의 기간  방법:  1) 페이스북 그룹을 이용한 대화 시도  공개 수준(공개, 비공개, 비밀)  국회의원(보좌관), 전문가, 및 언론사 옵저버를 회원으로 초대  ‘이벤트’ 기능을 이용 비실시간 대화, 실시간 대화를 실시  2) Google+ Hangout를 이용한 실시간 화상대화 시도  스마트폰, PC, 테블릿 PC 등 다양한 기기의 접근 테스트  예산: 컨설팅 비용  Bench-marking: 비실시간 대화, 실시간 대화 10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11. 9. Dialogue의 원리  일반적인 온라인 대화와 달리, 합의에 도달하려는 공론장 의 성격을 지녀야 할 것임  Thinking together with open mind  하지만 여기서 합의는 한 쪽이 다른 쪽을 논리적으로 압도한 결과가 아니라 때로 정치적 절충이나 타협이 될 수도 있음  대부분의 정책은 가치 편향을 지니기 때문  선물경제의 원리를 따른다  무엇을 얻을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줄 것인가를 먼저 생각 해야  전문가 네트워크 운영에서도 이점이 중요  예상되는 장애요인  권위주의적 태도: 유권해석은 내가 한다는 태도  설득 커뮤니케이션: 상대를 설득시키려고만 함  이론적 배경: 대화방법론1, 대화방법론2, 공감, 소통, 선 물경제, 대화주의  SNS에서 dialogue 어떻게 해야 하나? 11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12. 10. 온라인 대화방법론  Dialogue의 세 가지 기본 요건 ① 대화참여자들 사이의 상호존중 ② 공동의 목표 설정 ③ 진정성: 대화의 목표와 용도가 명시적(explicit)이 고, 공공적(public)이어야 함  성공을 위한 다섯 가지 대화 원칙(Lawrence M. Miller) ① ② ③ ④ ⑤ 12 디테일을 경청한다 참가자들의 기여를 끌어내는 질문을 한다 상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다 상대를 부인하는 유형화를 피한다 꼭 해야 할 발언만 한다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13. 11. 선물경제 방법론 ① 선물경제의 원형은 potlatch(서북부 아메리카 인 ② ③ ④ ⑤ ⑥ ⑦ ⑧ 13 디언), kula(남태평양 멜라네시아) 선물경제의 요체는 답례 의무 선물경제는 선물주기의 경쟁 선물에는 성의와 진정성이 담겨야 함 선물 자체도 가치를 지녀야 함 선물경제에서는 명예, 존경과 같은 비금전적 가 치가 중요 선물증여에는 ‘기한’과 ‘명예’가 고려되어야 함 ‘설득’이 아니라 ‘공감’으로 운용되는 사회관계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
  • 14. 참고 문헌  윤영민. 2011. <소셜미디어와 집단지성 I, II>. 한양 대출판부.  크리스 브로건(김익현 역). 2013. <구글플러스를 활용한 소셜비즈니스 마케팅>. 에이콘.  다수의 웹사이트 14 국회도서관 세미나 2013.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