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APA Style 작성법
참고문헌작성법
주(註)와 참고문헌
◆ 주(註): 인용한 정보의 근거, 부가적인 정보의 제시, 상호참조를
통해서 자신의 논술에 대한 정당함을 밝히는 것
◆ 참고문헌: 참고한 문헌의 안내 및 서지사항 제시, 부가적인 독서범위
제시, 논문의 객관성 인정 기초(최신 문헌)
주(註)의 형식
◆ 서지주: 전문적, 학술적인 중요한 사실을 문헌을 참고하여 논술하였을 때
인용한 문헌을 밝히는 것
◆ 해설주: 본문의 서술에 있어서 특별한 용어나 사실에 대하여 본문에
서술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것
`
◆ 상호참조주: 논문 내의 다른 장이나 면수의 논술 내용과 도표 등이
부분적으로 중복되거나 관계 있는 것을 상호참조 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
◆ 각주(脚註): 본문에 주의 번호를 표시, 본문 하단에 주의 번호와 일치하는
인용한 문헌의 서지사항 기재
◆ 내주(內註): 본문에 '저자명, 발행년, 인용면수'등을 ( )에 묶어 기재
◆ 후주(後註): 본문에 주의 번호를 표시, 논문의 뒷 부분에 주 번호와 일치하
는 자료의 서지사항을 각주와 참고문헌을 혼합한 형식으로 기재
◆ 내주와 각주의 병용: 내주는 서지주, 각주는 해설주 또는 상호참조주
주(註)의 종류
APA style 기본 인용 양식
구분 본문에서 첫 인용 본문에서 그 이후 인용
소괄호 형태,
본문에서 첫 인용
소괄호 형태,
본문에서 그 이후 인용
단독저자의
단일 저작물
Edward (2016) Edward (2016) (Edward, 2016) (Edward, 2016)
저자 2인의
단일 저작물
Edward and Adams (2016) Edward and Adams (2016) (Edward & Adams, 2016) (Edward & Adams, 2016)
저자 3 ~5인의
단일 저작물
Edward, Adams , Cambell,
and James (2016)
Edward et al. (2016)
(Edward, Adams, Cambell, &
James, 2016)
(Edward et al., 2016)
저자 6인 이상의
단일 저작물
Edward et al. (2016) Edward et al. (2016) (Edward et al., 2016) (Edward et al., 2016)
저자로서의 집단
(약자 사용 가능)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2003)
NIMH(2003)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2003)
(NIMH, 2003)
저자로서의 집단
(약자 없음)
University of Keimyung (2016) University of Keimyung (2016) (University of Keimyung, 2016) (University of Keimyung, 2016)
본문 내 인용
1인 저서 :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김계명(2001)이 개발한 시스템에 따르면…., ← 자료전체 인용(주로 선행연구)
- 저자명이 인용문의 앞: Edward(1975, p. 29)은 “유전학은......이다.” ← 부분 인용, 문장 앞
- 저자명이 인용문의 뒤: “소설의 특성은.........이다”라고 김계명은 주장하고 있다(2005, p. 55).
발행연도, 가능하다면 페이지까지 포함
2인 공저서: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Gide와 Rist(1994, p.31)는 ...
... (Gide & Rist, 1994, p. 31).
- 김계명과 박진리(2003)는 ...
... (김계명, 박진리, 2003)
본문에서 2인 저자를 ‘와’로 연결하고 문장 밖에 내주를 ( )에 표시할 때
‘,’ 로 연결하고 외국문헌의 경우에는 &를 사용함
본문 내 인용
3~5인 공저서: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김계명, 박진리, 이정의, 최사랑, 김동산(1999)이 지적한 ... ← 첫 번째 인용 (문헌 전체 인용)
- 김계명 등(1999)에 의하면 ... ← 두 번째 이후 인용
- ... 말하였다(Edward, Adams, Cambell, & James, 1977). ← 첫 번째
- ... 주장하였다(Edward et al., 1977). ← 두 번째 이후
처음 인용할 때에만 모든 연구자의 이름을 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첫 저자의 이름만 적고
국내문헌은 등, 외국문헌은 et al. 이라고 표기함
본문 내 인용
6인 공저서: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김계명 등(1999)이 지적한 ... ← 첫 번째 인용부터 (문헌 전체 인용)
- 김계명, 박진리 등(1999)에 의하면 ...... ← 첫 저자명이 동일한 다른 문헌이 인용되어 이들이 서로
다른 문헌임을 구분해야 할 경우 두 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만큼까지 저자명을 더 기입함
처음 인용 때부터 저자의 이름을 모두 표기하지 않고
첫 저자의 이름만 기입하고 등(국내문헌) 또는 et al.(외국문헌)을 표기함
본문 내 인용
단체의 저서: 인용문에 단체명이 포함된 경우
- 정신문화연구원(정문연, 1999)은 ..... ← 첫 번째 인용
정문연(1999, p.14)은........... ← 두 번째부터의 인용(약칭 사용)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1991)..... ← 첫 번째 인용
NIMH (1991, pp.37-38) ....... ← 두 번째부터의 인용 (약칭 사용)
처음 인용은 완전한 기관명을 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생략된 약어 사용 가능
본문 내 인용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 "아름다움을 만들어 가는 활동 속에서 인간의 정서는 결정처럼 아름다운 틀을 이룩하는 것" (Read,
1999, p.141)이라 한다면...
- 비만발생과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렙틴호르몬(김기중, 1999, p.32)은...
- 이 주장은 ...한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West & Sandler, 2000, pp.30-41).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저자명을 포함하여 표기함
본문 내 인용
저자명과 자료명이 함께 인용된 경우
- 김계명은 목록조직의 실제(pp. 25-70)에서 그 예를 제시하고 있다. ← 부분인용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11판)에서는 이 문제를... 라고 했다(백과사전, 사전 등은 쪽수 생략)
- McRae는 그의 저서 The Literature of Science (p.270) 에서 이러한 경향의 다양한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명과 자료명이 함께 인용된 경우에는 페이지 혹은 판차를 표기함
본문 내 인용
한 저자의 두 개 이상 저작을 인용한 경우
- “….는 특정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언급이다”(이상훈, 1994a, p.34).
- 한국 석탑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제안이었다(이상훈, 2001, pp.213-214)
- “.....는 탑의 변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난다”(이상훈, 1994b, p.33).
동일 연도의 자료는 연도에 a, b로 표기함(연도가 다를 경우 자동으로 식별됨)
본문 내 인용
◆ 단행본
내주
Coleman(2000, p.22)은…
(Coleman, 2000, p.22).
기재 방법
저자명 (역할어). (발행년). 표제:부표제(역할을 달리한 저자) (판차, 권차). 발행지: 발생사.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book. Location of publication: Publisher.
참고문헌
Coleman, R. E. (2000). 천상의 노래: 요한계시록 강해 (석창훈 옮김). 서울: 두란노. (원서출판
2000).
참고문헌 Ibn Abdulaziz, T. (2004). Classic experiments in psychology. Westport, CT: Greenwood.
참고문헌 작성 예시
참고문헌 작성 예시
◆ 학위논문
내주
(김기원, 1992, p.65).
(Jackson, 1984).
기재 방법
연구자. (수여연도).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명, 소재지.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thesis or disser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Name of Institution, Location.
참고문헌
김기원. (1992). 관여도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변인의 타당도 검증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
학원. 대구.
참고문헌
Jackson, J. B. (1984).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정부간행물
내주
(행정자치부, 1999, p. 38).
(Dept. of Labor, 1988, pp. 22-40).
기재 방법
저자명(역할어). (보고서발행년). 표제(보고서 번호). 발행지: 발행사.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publication (Report number). Retrieved from
'website address' or publisher information
참고문헌 행정자치부. (1999). 정부의전편람. 서울: 행정자치부.
참고문헌 Dept. of Labor. (1988). Child care: A workforce issue. Washington, DC: GPO.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연속간행물(학술지)
내주
김성희, 이수연(2000, pp.22-23)은 ...
(Kaplan, 1947, p.302).
기재 방법
연구자명. (발행년). 논문명. 자료명(발행단체명), 권(호), 논문수록면수.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Journal Title, volume number(issue
number), page–page. doi:xxxx
참고문헌 김성희, 이수연. (2000). 데이터마이닝기법 검색 엔진.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1(4), 22-23.
참고문헌
Kaplan, L. (1947). The early history of reference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Library Review,
83(3), 289-311.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신문기사
내주
(김철수, 1995).
(“New drug,” 1993). * 기사명에 대한 내주는 인용부호로 식별될 수 있는 사항까지 간략히 기재함
기재 방법
저자. (연월일). 제목. 신문명, 면수.
Author, A. A. (year, month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Newspaper Title, page–
page.
참고문헌 김철수. (1995년 10월 3일). 교수급여의 현실과 개선방향. 교수신문, pp.1, 4-5.
참고문헌
New drug appears shaply cut risk of death from heart failure. (1993, July 15). The Washing
Post, pp.A12, A15.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전자문서(웹 문서)
내주
(보건복지부, 연도미상).
(Nielsen, n.d.).
기재 방법
저자명. (발행년). 저작물의 제목. 자료검색 연월일.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work. Retrieved from URL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연도미상). 의약분업 실시에 따른 영향분석 설명자료. 2000년 6월 25일 검색,
http://www.mohw.go.kr
참고문헌
Nielsen, M. E. (n.d.). Notable people in psychology of religion. Retrieved August 3, 2001,
from http://www.psywww.com/psyrelig/psyrelpr.htm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Finding credible sources
Finding credible sourcesFinding credible sources
Finding credible sources
jobear04
 
Figurative language
Figurative languageFigurative language
Figurative language
Kim Hutton-Brown
 
Sistematika Makalah
Sistematika MakalahSistematika Makalah
Sistematika MakalahAlsa Unsoed
 
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
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
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
sauerd
 
Writing the persuasive essay
Writing the persuasive essayWriting the persuasive essay
Writing the persuasive essay
Antonis Stergiou
 
Kebahasaan Teks Deskripsi.pptx
Kebahasaan Teks Deskripsi.pptxKebahasaan Teks Deskripsi.pptx
Kebahasaan Teks Deskripsi.pptx
OneKhusnawatiYuanda
 
MLA works cited page
MLA works cited pageMLA works cited page
MLA works cited page
John Tyler Writing Center
 
What is theme
What is themeWhat is theme
What is theme
Jenny Rhoads
 
Rumpun kata benda ( nomina)
Rumpun kata benda ( nomina)Rumpun kata benda ( nomina)
Rumpun kata benda ( nomina)
Fitri Ayu Kusuma Wijayanti
 
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
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
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
Rizki Ginting
 
Main Idea & Theme
Main Idea & ThemeMain Idea & Theme
Main Idea & Theme
Michele Alvarez
 
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
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
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
SMKINSANTAZAKKA
 

What's hot (12)

Finding credible sources
Finding credible sourcesFinding credible sources
Finding credible sources
 
Figurative language
Figurative languageFigurative language
Figurative language
 
Sistematika Makalah
Sistematika MakalahSistematika Makalah
Sistematika Makalah
 
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
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
Intro to elements of a plot diagram
 
Writing the persuasive essay
Writing the persuasive essayWriting the persuasive essay
Writing the persuasive essay
 
Kebahasaan Teks Deskripsi.pptx
Kebahasaan Teks Deskripsi.pptxKebahasaan Teks Deskripsi.pptx
Kebahasaan Teks Deskripsi.pptx
 
MLA works cited page
MLA works cited pageMLA works cited page
MLA works cited page
 
What is theme
What is themeWhat is theme
What is theme
 
Rumpun kata benda ( nomina)
Rumpun kata benda ( nomina)Rumpun kata benda ( nomina)
Rumpun kata benda ( nomina)
 
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
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
Pola Pengembangan Paragraf Eksposisi
 
Main Idea & Theme
Main Idea & ThemeMain Idea & Theme
Main Idea & Theme
 
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
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
TATA CARA PENULISAN KUTIPAN PADA KARYA TULIS ILMIAH
 

More from jones cho

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
jones cho
 
ebook.pdf
ebook.pdfebook.pdf
ebook.pdf
jones cho
 
KISSValue guide.pdf
KISSValue guide.pdfKISSValue guide.pdf
KISSValue guide.pdf
jones cho
 
Advanced Analytics.pdf
Advanced Analytics.pdfAdvanced Analytics.pdf
Advanced Analytics.pdf
jones cho
 
2022KIS-VALUE.pdf
2022KIS-VALUE.pdf2022KIS-VALUE.pdf
2022KIS-VALUE.pdf
jones cho
 
DATA Library.pdf
DATA Library.pdfDATA Library.pdf
DATA Library.pdf
jones cho
 
2021_Scopus-manual.pdf
2021_Scopus-manual.pdf2021_Scopus-manual.pdf
2021_Scopus-manual.pdf
jones cho
 
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
jones cho
 
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
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
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
jones cho
 
Art & Architecture Source.pdf
Art & Architecture Source.pdfArt & Architecture Source.pdf
Art & Architecture Source.pdf
jones cho
 
WGSN 가이드.pdf
WGSN 가이드.pdfWGSN 가이드.pdf
WGSN 가이드.pdf
jones cho
 
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
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
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
jones cho
 
SPORTDiscus .pdf
SPORTDiscus .pdfSPORTDiscus .pdf
SPORTDiscus .pdf
jones cho
 
Music and Dance.pdf
Music and Dance.pdfMusic and Dance.pdf
Music and Dance.pdf
jones cho
 
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
jones cho
 
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
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
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
jones cho
 
대표 소개.pdf
대표 소개.pdf대표 소개.pdf
대표 소개.pdf
jones cho
 
EBSCO ebook 이용안내.pdf
EBSCO ebook 이용안내.pdfEBSCO ebook 이용안내.pdf
EBSCO ebook 이용안내.pdf
jones cho
 
Grove Music Online.pdf
Grove Music Online.pdfGrove Music Online.pdf
Grove Music Online.pdf
jones cho
 
Classical Scores Library.pdf
Classical Scores Library.pdfClassical Scores Library.pdf
Classical Scores Library.pdf
jones cho
 

More from jones cho (20)

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
 
ebook.pdf
ebook.pdfebook.pdf
ebook.pdf
 
KISSValue guide.pdf
KISSValue guide.pdfKISSValue guide.pdf
KISSValue guide.pdf
 
Advanced Analytics.pdf
Advanced Analytics.pdfAdvanced Analytics.pdf
Advanced Analytics.pdf
 
2022KIS-VALUE.pdf
2022KIS-VALUE.pdf2022KIS-VALUE.pdf
2022KIS-VALUE.pdf
 
DATA Library.pdf
DATA Library.pdfDATA Library.pdf
DATA Library.pdf
 
2021_Scopus-manual.pdf
2021_Scopus-manual.pdf2021_Scopus-manual.pdf
2021_Scopus-manual.pdf
 
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
 
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
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
콘텐츠 - 공연 예술 정기간행물 데이터베이스 - ProQuest의 LibGuides.pdf
 
Art & Architecture Source.pdf
Art & Architecture Source.pdfArt & Architecture Source.pdf
Art & Architecture Source.pdf
 
WGSN 가이드.pdf
WGSN 가이드.pdfWGSN 가이드.pdf
WGSN 가이드.pdf
 
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
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
PQP_보그_아카이브와_함께하는_패션탐구생활_괴상한패션편.pdf
 
SPORTDiscus .pdf
SPORTDiscus .pdfSPORTDiscus .pdf
SPORTDiscus .pdf
 
Music and Dance.pdf
Music and Dance.pdfMusic and Dance.pdf
Music and Dance.pdf
 
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WSJ 안내 가이드.pdf
WSJ 안내 가이드.pdf
 
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
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
일간지-DB-안내-가이드_더-뉴욕-타임즈_ (3).pdf
 
대표 소개.pdf
대표 소개.pdf대표 소개.pdf
대표 소개.pdf
 
EBSCO ebook 이용안내.pdf
EBSCO ebook 이용안내.pdfEBSCO ebook 이용안내.pdf
EBSCO ebook 이용안내.pdf
 
Grove Music Online.pdf
Grove Music Online.pdfGrove Music Online.pdf
Grove Music Online.pdf
 
Classical Scores Library.pdf
Classical Scores Library.pdfClassical Scores Library.pdf
Classical Scores Library.pdf
 

Apa

  • 2. 주(註)와 참고문헌 ◆ 주(註): 인용한 정보의 근거, 부가적인 정보의 제시, 상호참조를 통해서 자신의 논술에 대한 정당함을 밝히는 것 ◆ 참고문헌: 참고한 문헌의 안내 및 서지사항 제시, 부가적인 독서범위 제시, 논문의 객관성 인정 기초(최신 문헌)
  • 3. 주(註)의 형식 ◆ 서지주: 전문적, 학술적인 중요한 사실을 문헌을 참고하여 논술하였을 때 인용한 문헌을 밝히는 것 ◆ 해설주: 본문의 서술에 있어서 특별한 용어나 사실에 대하여 본문에 서술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경우 부가적으로 설명하는 것 ` ◆ 상호참조주: 논문 내의 다른 장이나 면수의 논술 내용과 도표 등이 부분적으로 중복되거나 관계 있는 것을 상호참조 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
  • 4. ◆ 각주(脚註): 본문에 주의 번호를 표시, 본문 하단에 주의 번호와 일치하는 인용한 문헌의 서지사항 기재 ◆ 내주(內註): 본문에 '저자명, 발행년, 인용면수'등을 ( )에 묶어 기재 ◆ 후주(後註): 본문에 주의 번호를 표시, 논문의 뒷 부분에 주 번호와 일치하 는 자료의 서지사항을 각주와 참고문헌을 혼합한 형식으로 기재 ◆ 내주와 각주의 병용: 내주는 서지주, 각주는 해설주 또는 상호참조주 주(註)의 종류
  • 5. APA style 기본 인용 양식 구분 본문에서 첫 인용 본문에서 그 이후 인용 소괄호 형태, 본문에서 첫 인용 소괄호 형태, 본문에서 그 이후 인용 단독저자의 단일 저작물 Edward (2016) Edward (2016) (Edward, 2016) (Edward, 2016) 저자 2인의 단일 저작물 Edward and Adams (2016) Edward and Adams (2016) (Edward & Adams, 2016) (Edward & Adams, 2016) 저자 3 ~5인의 단일 저작물 Edward, Adams , Cambell, and James (2016) Edward et al. (2016) (Edward, Adams, Cambell, & James, 2016) (Edward et al., 2016) 저자 6인 이상의 단일 저작물 Edward et al. (2016) Edward et al. (2016) (Edward et al., 2016) (Edward et al., 2016) 저자로서의 집단 (약자 사용 가능)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2003) NIMH(2003)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2003) (NIMH, 2003) 저자로서의 집단 (약자 없음) University of Keimyung (2016) University of Keimyung (2016) (University of Keimyung, 2016) (University of Keimyung, 2016)
  • 6. 본문 내 인용 1인 저서 :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김계명(2001)이 개발한 시스템에 따르면…., ← 자료전체 인용(주로 선행연구) - 저자명이 인용문의 앞: Edward(1975, p. 29)은 “유전학은......이다.” ← 부분 인용, 문장 앞 - 저자명이 인용문의 뒤: “소설의 특성은.........이다”라고 김계명은 주장하고 있다(2005, p. 55). 발행연도, 가능하다면 페이지까지 포함
  • 7. 2인 공저서: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Gide와 Rist(1994, p.31)는 ... ... (Gide & Rist, 1994, p. 31). - 김계명과 박진리(2003)는 ... ... (김계명, 박진리, 2003) 본문에서 2인 저자를 ‘와’로 연결하고 문장 밖에 내주를 ( )에 표시할 때 ‘,’ 로 연결하고 외국문헌의 경우에는 &를 사용함 본문 내 인용
  • 8. 3~5인 공저서: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김계명, 박진리, 이정의, 최사랑, 김동산(1999)이 지적한 ... ← 첫 번째 인용 (문헌 전체 인용) - 김계명 등(1999)에 의하면 ... ← 두 번째 이후 인용 - ... 말하였다(Edward, Adams, Cambell, & James, 1977). ← 첫 번째 - ... 주장하였다(Edward et al., 1977). ← 두 번째 이후 처음 인용할 때에만 모든 연구자의 이름을 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첫 저자의 이름만 적고 국내문헌은 등, 외국문헌은 et al. 이라고 표기함 본문 내 인용
  • 9. 6인 공저서: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된 경우 - 김계명 등(1999)이 지적한 ... ← 첫 번째 인용부터 (문헌 전체 인용) - 김계명, 박진리 등(1999)에 의하면 ...... ← 첫 저자명이 동일한 다른 문헌이 인용되어 이들이 서로 다른 문헌임을 구분해야 할 경우 두 문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만큼까지 저자명을 더 기입함 처음 인용 때부터 저자의 이름을 모두 표기하지 않고 첫 저자의 이름만 기입하고 등(국내문헌) 또는 et al.(외국문헌)을 표기함 본문 내 인용
  • 10. 단체의 저서: 인용문에 단체명이 포함된 경우 - 정신문화연구원(정문연, 1999)은 ..... ← 첫 번째 인용 정문연(1999, p.14)은........... ← 두 번째부터의 인용(약칭 사용)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1991)..... ← 첫 번째 인용 NIMH (1991, pp.37-38) ....... ← 두 번째부터의 인용 (약칭 사용) 처음 인용은 완전한 기관명을 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생략된 약어 사용 가능 본문 내 인용
  • 11.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 "아름다움을 만들어 가는 활동 속에서 인간의 정서는 결정처럼 아름다운 틀을 이룩하는 것" (Read, 1999, p.141)이라 한다면... - 비만발생과 관련된 주요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렙틴호르몬(김기중, 1999, p.32)은... - 이 주장은 ...한 점에서 일치하고 있다(West & Sandler, 2000, pp.30-41). 인용문에 저자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저자명을 포함하여 표기함 본문 내 인용
  • 12. 저자명과 자료명이 함께 인용된 경우 - 김계명은 목록조직의 실제(pp. 25-70)에서 그 예를 제시하고 있다. ← 부분인용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11판)에서는 이 문제를... 라고 했다(백과사전, 사전 등은 쪽수 생략) - McRae는 그의 저서 The Literature of Science (p.270) 에서 이러한 경향의 다양한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명과 자료명이 함께 인용된 경우에는 페이지 혹은 판차를 표기함 본문 내 인용
  • 13. 한 저자의 두 개 이상 저작을 인용한 경우 - “….는 특정 개념을 나타내기 위한 언급이다”(이상훈, 1994a, p.34). - 한국 석탑의 형식을 구분하기 위한 제안이었다(이상훈, 2001, pp.213-214) - “.....는 탑의 변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난다”(이상훈, 1994b, p.33). 동일 연도의 자료는 연도에 a, b로 표기함(연도가 다를 경우 자동으로 식별됨) 본문 내 인용
  • 14. ◆ 단행본 내주 Coleman(2000, p.22)은… (Coleman, 2000, p.22). 기재 방법 저자명 (역할어). (발행년). 표제:부표제(역할을 달리한 저자) (판차, 권차). 발행지: 발생사.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book. Location of publication: Publisher. 참고문헌 Coleman, R. E. (2000). 천상의 노래: 요한계시록 강해 (석창훈 옮김). 서울: 두란노. (원서출판 2000). 참고문헌 Ibn Abdulaziz, T. (2004). Classic experiments in psychology. Westport, CT: Greenwood. 참고문헌 작성 예시
  • 15. 참고문헌 작성 예시 ◆ 학위논문 내주 (김기원, 1992, p.65). (Jackson, 1984). 기재 방법 연구자. (수여연도). 논문명 (학위명). 수여기관명, 소재지.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thesis or disser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 Master's thesis). Name of Institution, Location. 참고문헌 김기원. (1992). 관여도에 따른 광고에 대한 태도변인의 타당도 검증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 학원. 대구. 참고문헌 Jackson, J. B. (1984).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 16.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정부간행물 내주 (행정자치부, 1999, p. 38). (Dept. of Labor, 1988, pp. 22-40). 기재 방법 저자명(역할어). (보고서발행년). 표제(보고서 번호). 발행지: 발행사.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publication (Report number). Retrieved from 'website address' or publisher information 참고문헌 행정자치부. (1999). 정부의전편람. 서울: 행정자치부. 참고문헌 Dept. of Labor. (1988). Child care: A workforce issue. Washington, DC: GPO.
  • 17.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연속간행물(학술지) 내주 김성희, 이수연(2000, pp.22-23)은 ... (Kaplan, 1947, p.302). 기재 방법 연구자명. (발행년). 논문명. 자료명(발행단체명), 권(호), 논문수록면수.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Journal Title, volume number(issue number), page–page. doi:xxxx 참고문헌 김성희, 이수연. (2000). 데이터마이닝기법 검색 엔진.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1(4), 22-23. 참고문헌 Kaplan, L. (1947). The early history of reference service in the United States. Library Review, 83(3), 289-311.
  • 18.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신문기사 내주 (김철수, 1995). (“New drug,” 1993). * 기사명에 대한 내주는 인용부호로 식별될 수 있는 사항까지 간략히 기재함 기재 방법 저자. (연월일). 제목. 신문명, 면수. Author, A. A. (year, month date of publication). Title of article. Newspaper Title, page– page. 참고문헌 김철수. (1995년 10월 3일). 교수급여의 현실과 개선방향. 교수신문, pp.1, 4-5. 참고문헌 New drug appears shaply cut risk of death from heart failure. (1993, July 15). The Washing Post, pp.A12, A15.
  • 19. 참고문헌 작성 예시 ◆ 전자문서(웹 문서) 내주 (보건복지부, 연도미상). (Nielsen, n.d.). 기재 방법 저자명. (발행년). 저작물의 제목. 자료검색 연월일. Author, A. A. (Year of publication). Title of work. Retrieved from URL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연도미상). 의약분업 실시에 따른 영향분석 설명자료. 2000년 6월 25일 검색, http://www.mohw.go.kr 참고문헌 Nielsen, M. E. (n.d.). Notable people in psychology of religion. Retrieved August 3, 2001, from http://www.psywww.com/psyrelig/psyrelpr.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