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같이 모여 일하고, 뭔가 할 수도 있고, 그러나 소박하게 캐주얼하게 ^^
캐주얼하게 모여서 '행복', '착함', '지식'을 나누고,
작지만 ‘세상에 의미있는 일’을 함께 상상해 보실 분들과 함께 합니다.
2013년 7월 6일(토) 오후 2시 ~ 4시 ㅣ 장소: 관훈동 SK 건설빌딩 2층 '동사섭 행복마을 서울센터'
‘코워킹co-working’이란 개념
‘같이 모여서 함께 일한다.’라는 뜻에서,
‘개인이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공간을 공유하는 개념을 넘어
지식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새로운 업무형태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확장된다.
http://besuccess.com/2013/05/co-working-spaces-in-seoul/
co-working
코워킹 관련 영상 :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dgr81g18umw
http://www.youtube.com/watch?v=pEvjD_a7GE8
http://www.youtube.com/watch?v=le0dfcG_jVw
같은 공간에서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일을 한다.
일을 하다 함께 해보고 싶은 일이 있으면 나눈다.
A-OK 참여시 필요한 것?
참석자 :
각자의 일과 노트북과
밝은 미소 열린 마음
발표자 :
공유할만한 아이디어
공간 조건 :
무선 인터넷 + 빔프로젝터
• 식사와 음료 각자 해결
• 당근 무료!
중요한 아이디어일 경우 공간에 있는 모두에게
공유해보고 협력을 구한다.
코워킹에 대한 보다 명확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같은 조직에 소속되지 않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업무 환경을 공유한다.
2. 인터렉션이나 이벤트 등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3. 편안한 교류를 통해 노하우와 지식 등을 공유한다.
http://www.ciscokrblog.com/3
http://indiecoaster.tistory.com/48
collaboration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위키백과에서는 ‘모두 일하는’ ‘협력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공동 출연, 경연, 합작, 공동작업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처음 패션산업과의 협업을 의미했지만 지금은 패
션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돼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으로 활용되
고 있다. 이는 기업경영과 조직운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의 시대, 상생의 성공방정식을 찾는다.
http://www.kmac.co.kr/knowledge/read1.asp?board_kind=6&pk=1660
http://lucapis.egloos.com/2510612
Casual Coworking - JELLY
Jelly is a casual working event
젤리는 캐주얼하게 모여서 일을 하는 이벤트입니다. 세계 백개 이상의 도시에서 젤리를 하고 있습니다.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면 어디든 집,카페, 사무실에서 모입니다.
의자, 무선인터넷 그리고 가장 중요한 소통을 원하고, 협업 가능하며,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가진 분들이 있습니다.
Jelly is a casual working event. We provide chairs, wireless internet,
and interesting people to talk to, collaborate with, and bounce ideas off of.
작업 시, 컴퓨터가 필요하신 분은 들고 오셔야 해요.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열린 마음과 Friendly!
You bring a laptop (or whatever you need to get your work done) and a friendly disposition.
젤리는 2006년 2월 뉴욕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집에서 일하기를 사랑하는 두 친구가 사람들과의 소통에서 놓치는 것들이
많은 것을 느끼고, 어느날은 그들의 집으로 친구들을 초대하여 함께 일을 합니다. 새롭고 흥미로운 사람들이 가까이에 일을 한
다는 것을 알았고, 신선한 아이디어와 흥미진진한 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젤리가 태어난 배경입니다. 젤리(Jelly)라는 이름은 처음 시작할 때,
젤리빈(Jelly bean)을 먹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재미있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88170
우리도 젤리(Casual Working) 한 번 할까요?
상생 협업! 한번 할까요? 모여서 함께 일해볼까요?
3가지 개념을 이야기 했는데요,
그 개념을 참고로 A-OK(가칭)라는 이름으로 모임을 시작해 볼까 해요.
행복연구소와 플라톤아카데미와 동사섭의 실무진이 모여
즐겁게 서로를 소개하고, 각자의 일도 하고,
함께 하고픈 일의 아이디어를 내보기도 하겠습니다. 참여하실 분은 함께 하세요.
이 시간 나누어질 이야기의 컨셉은 있어야 되겠죠? 임의로 정해 봤습니다.
1) 행복 2) 착함 3) 지식
1. 왜 하나요? ‘재미’와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요.
2. 언제 하나요? 첫번째 모이는 날짜는 7월 6일 오후 2시 ~ 4시 [장소: 관훈동 SK 건설빌딩 2층]
3. 누가 하나요? 서울대 이명아 연구원, 플라톤아카데미 유경화부장님, 동사섭 실상님이 함께 하구요.
참여를 바라는 분은 이메일로 신청해 주세요. ciaosun@nate.com
4. 어떻게 하나요? 자신을 소개하고, 하시는 일을 소개하고, 하고 픈 일을 소개하고 일 속에 느끼는 행
복과 착한 실천과 일 속의 경험(지식)을 나누고, 일을 하는 어려움도 나누어 봅니다. [15분씩 발표 / 소
감나누기 / 다음 만남 약속]
5. 원칙 : A. 업무 외 시간에 모입니다.
B. 무언가 함께 할 경우, 모두가 상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 만남에서는 함께 하고 픈 아이디어를 꺼내 봅니다.
act of kindness의 약자
- 친절
이 시간의 이름을 A-OK로 하면 어떨까 해요.
우선 이 이름으로 운영하다 이름을 바꾸어도 좋구요.
제가 ‘불편한 그린티 파티’라는 이름으로도 이런 시간을 꾸려 봤었구요.
다른 컨셉으로도 꾸려봤었는데요. 일단 시작이 중요하고,
시작 한 다음은 참여하시는 분들에 의해 잘 다듬어지고 보완이 되더라구요.
한번 실행해 보고, 모여 발전시켜 보아요. ^^
A ok! 함께 하실래요-share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A ok! 함께 하실래요-share

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
pxdstory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thecirclefoundation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승연 손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승연 손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youthzone2
 
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G-Valley
 
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
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
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
codenamu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로컬디자인무브먼트
 
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
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
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
Bo Ram Han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Hyun-woo Park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ryeojin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혜지 장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Creative Commons Korea
 
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
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
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
Freewill Inc.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
ryeojin
 
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
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
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
G-Valley
 
Agile Facilitation
Agile FacilitationAgile Facilitation
Agile Facilitation
agilekorea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
thecirclefoundation
 
Zyiv studio company intro
Zyiv studio company introZyiv studio company intro
Zyiv studio company intro
Youngryul Choi
 

Similar to A ok! 함께 하실래요-share (20)

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Pxd annual esssay 2014
Pxd annual esssay 2014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두런두런 학교변화 프로젝트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청소년인턴십프로젝트 O.T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무중력지대 대방동 2018년 활동보고서
 
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2017 무중력지대 G밸리 Annual Report
 
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
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
Cfs_이런분이면좋겠어요+일정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디자인적 사고를 위한 청소년 커리어위크 워크숍 기획
 
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
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
2013 생각하는 청개구리 결과보고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스타트업에서 기술책임자로 살아가기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자료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조민경_아웃턴십 OUTPUT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 20140901 컨퍼런스 자료집(최종)
 
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
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
2021-2 아산유스프러너 Z만원 프로젝트 - 장충고등학교 2조
 
Being creative workshop
Being creative workshopBeing creative workshop
Being creative workshop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
재미-의미-백미 삼미교실 설명회, 나눔
 
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
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
G밸리 청년공간 소개집_2020 안테나
 
Agile Facilitation
Agile FacilitationAgile Facilitation
Agile Facilitati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어썸스쿨_교육자용 메뉴얼_세상을 알아가는 과정
 
Zyiv studio company intro
Zyiv studio company introZyiv studio company intro
Zyiv studio company intro
 

A ok! 함께 하실래요-share

  • 1. 같이 모여 일하고, 뭔가 할 수도 있고, 그러나 소박하게 캐주얼하게 ^^ 캐주얼하게 모여서 '행복', '착함', '지식'을 나누고, 작지만 ‘세상에 의미있는 일’을 함께 상상해 보실 분들과 함께 합니다. 2013년 7월 6일(토) 오후 2시 ~ 4시 ㅣ 장소: 관훈동 SK 건설빌딩 2층 '동사섭 행복마을 서울센터'
  • 2. ‘코워킹co-working’이란 개념 ‘같이 모여서 함께 일한다.’라는 뜻에서, ‘개인이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공간을 공유하는 개념을 넘어 지식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새로운 업무형태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확장된다. http://besuccess.com/2013/05/co-working-spaces-in-seoul/ co-working
  • 3. 코워킹 관련 영상 :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dgr81g18umw http://www.youtube.com/watch?v=pEvjD_a7GE8 http://www.youtube.com/watch?v=le0dfcG_jVw 같은 공간에서 다른 일을 하는 사람들이 일을 한다. 일을 하다 함께 해보고 싶은 일이 있으면 나눈다.
  • 4. A-OK 참여시 필요한 것? 참석자 : 각자의 일과 노트북과 밝은 미소 열린 마음 발표자 : 공유할만한 아이디어 공간 조건 : 무선 인터넷 + 빔프로젝터 • 식사와 음료 각자 해결 • 당근 무료! 중요한 아이디어일 경우 공간에 있는 모두에게 공유해보고 협력을 구한다.
  • 5. 코워킹에 대한 보다 명확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같은 조직에 소속되지 않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업무 환경을 공유한다. 2. 인터렉션이나 이벤트 등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3. 편안한 교류를 통해 노하우와 지식 등을 공유한다.
  • 6. http://www.ciscokrblog.com/3 http://indiecoaster.tistory.com/48 collaboration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을 위키백과에서는 ‘모두 일하는’ ‘협력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공동 출연, 경연, 합작, 공동작업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은 처음 패션산업과의 협업을 의미했지만 지금은 패 션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으로 확대돼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으로 활용되 고 있다. 이는 기업경영과 조직운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콜라보레이션의 시대, 상생의 성공방정식을 찾는다. http://www.kmac.co.kr/knowledge/read1.asp?board_kind=6&pk=1660 http://lucapis.egloos.com/2510612
  • 7.
  • 8. Casual Coworking - JELLY Jelly is a casual working event 젤리는 캐주얼하게 모여서 일을 하는 이벤트입니다. 세계 백개 이상의 도시에서 젤리를 하고 있습니다.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면 어디든 집,카페, 사무실에서 모입니다. 의자, 무선인터넷 그리고 가장 중요한 소통을 원하고, 협업 가능하며,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가진 분들이 있습니다. Jelly is a casual working event. We provide chairs, wireless internet, and interesting people to talk to, collaborate with, and bounce ideas off of. 작업 시, 컴퓨터가 필요하신 분은 들고 오셔야 해요. 그리고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열린 마음과 Friendly! You bring a laptop (or whatever you need to get your work done) and a friendly disposition. 젤리는 2006년 2월 뉴욕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집에서 일하기를 사랑하는 두 친구가 사람들과의 소통에서 놓치는 것들이 많은 것을 느끼고, 어느날은 그들의 집으로 친구들을 초대하여 함께 일을 합니다. 새롭고 흥미로운 사람들이 가까이에 일을 한 다는 것을 알았고, 신선한 아이디어와 흥미진진한 대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젤리가 태어난 배경입니다. 젤리(Jelly)라는 이름은 처음 시작할 때, 젤리빈(Jelly bean)을 먹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재미있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88170
  • 9.
  • 10. 우리도 젤리(Casual Working) 한 번 할까요? 상생 협업! 한번 할까요? 모여서 함께 일해볼까요? 3가지 개념을 이야기 했는데요, 그 개념을 참고로 A-OK(가칭)라는 이름으로 모임을 시작해 볼까 해요. 행복연구소와 플라톤아카데미와 동사섭의 실무진이 모여 즐겁게 서로를 소개하고, 각자의 일도 하고, 함께 하고픈 일의 아이디어를 내보기도 하겠습니다. 참여하실 분은 함께 하세요. 이 시간 나누어질 이야기의 컨셉은 있어야 되겠죠? 임의로 정해 봤습니다. 1) 행복 2) 착함 3) 지식 1. 왜 하나요? ‘재미’와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요. 2. 언제 하나요? 첫번째 모이는 날짜는 7월 6일 오후 2시 ~ 4시 [장소: 관훈동 SK 건설빌딩 2층] 3. 누가 하나요? 서울대 이명아 연구원, 플라톤아카데미 유경화부장님, 동사섭 실상님이 함께 하구요. 참여를 바라는 분은 이메일로 신청해 주세요. ciaosun@nate.com 4. 어떻게 하나요? 자신을 소개하고, 하시는 일을 소개하고, 하고 픈 일을 소개하고 일 속에 느끼는 행 복과 착한 실천과 일 속의 경험(지식)을 나누고, 일을 하는 어려움도 나누어 봅니다. [15분씩 발표 / 소 감나누기 / 다음 만남 약속] 5. 원칙 : A. 업무 외 시간에 모입니다. B. 무언가 함께 할 경우, 모두가 상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 만남에서는 함께 하고 픈 아이디어를 꺼내 봅니다.
  • 11. act of kindness의 약자 - 친절 이 시간의 이름을 A-OK로 하면 어떨까 해요. 우선 이 이름으로 운영하다 이름을 바꾸어도 좋구요. 제가 ‘불편한 그린티 파티’라는 이름으로도 이런 시간을 꾸려 봤었구요. 다른 컨셉으로도 꾸려봤었는데요. 일단 시작이 중요하고, 시작 한 다음은 참여하시는 분들에 의해 잘 다듬어지고 보완이 되더라구요. 한번 실행해 보고, 모여 발전시켜 보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