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1
Global
Frontier
with
Hippie
목차
그대들의 청춘은 안녕하십니까?
성난 대한민국(Anger Society)을 구원하라!
탐방 기관별 보고
-LADMH
-한인가정 상담소
-KYCC
-DMHC
-APCTC
-San Joaquin County MHC
-NYC Department of Education, MHO
탐방 후 활동
Happy Society, Happy KOREA
Having Fun with Hippie of JOBKOREA
그대들의 청춘은 안녕하십니까?
어쩌면 우리들의 아름다운 청춘이 가장 빛날 시기인 스물다섯의 나이에 글로벌 프
런티어를 만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고맙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흔히들 젊음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한다 말하고 천금을 준다고 하여도 다시 돌아가지 못하는 게 청춘이라 아
쉬워 하지만 정작 우리들은 그간 청춘의 소중함과 그 가능성을 과소평가했었는지 아
니면 알면서도 모른 척 지내왔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번 글로벌 프런티어는 우리들의 가치를 그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능력을 스
스로 찾아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들이 모여 잡코리아 공모전을 준비하자 마음먹
었던 순간부터 탐방보고서를 작성하는 감격스러운 지금 이 순간까지 흘러온 시간이 주
마등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물론 글로벌 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그리고 탐방 기간 동안 마주친 무수한 장애물
과 시련들에 다치기도 했지만 힘겨움 속에서도 미약하지만 우리들의 노력이 대한민국
을 조금 더 밝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확신으로 견뎌냈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우리들보
다 우리에게 찾아온 지금의 기회를 더 갈망했을 수많은 청춘들을 생각하며 매순간 스
스로 채찍질했습니다.
돌이켜 보니 정말 오랜 기간 함께였었던 우리들이지만 글로벌 프런티어로 동고동
락한 지난 시간이 우리 사이에 잊을 수 없는 소중한 추억하나 선사해주었습니다. 이제
우리에게 ‘도전’이라는 한마디로 청춘의 화려함과 소중함을 일깨워준 그 탐방의 결과
를 보고 합니다.
2011년의 대한민국
오늘날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은 Anger Society라는 불명예를 지니고 있습니다. Anger
Society라는 수렁에 빠진 대한민국은 ‘충동적 범죄’라는 이전의 가치관으로는 이해하지 못하지
만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동반하는 전혀 새로운 범죄와 맞딱들이게 되었습니다. 충동적 범죄를
저지르는 자신의 화를 이기지 못하는 사람들, 자신을 둘러싼 각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에 그만 자신을 포기해버리는 사람들의 숫자가 증가일로에 있는 대한민국의 내부는 표면적인
Anger Society라는 단어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이러한 충동적 범죄의 모든 결과를 그것을 저지르는 범인에게 전가할 수는 없습
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충동적 범죄는 이미 개인의 문제라고 치부하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광범
위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서나 따뜻한 정이 있고, 고요한 아침의 나라였던 대한민국이
왜 이렇게 변해버렸을까요? 대한민국이 이렇게 변해버린 이유는 무제한적인 경쟁에서 발생하는
필수불가결한 인간소외에 있다고 볼 수 있지만 21세기는 무한경쟁의 시대이고 인간소외도 대한
민국의 특별한 상황이 아님은 분명한데 유독 대한민국의 상황이 심각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인
간소외와 같은 사회적 차원의 문제를 개개인의 관점에서 관리하는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부
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스트레스뿐만이 아니라 정신질환 부분에서도 발
견되는데 이것은 우리 사회의 Stigma 즉,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입견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하
였습니다.
우리들의 연구는 여기서 시작되었습니다. 만약 우리가 사회적 차원에서 개개인의 문제를 체계
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면 사람들이 겪을 시련도 막을 것이며 충동적 범죄로 얼룩진 대한민
국을 Anger Society에서 구원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성난 대한민국(Anger Society)을 구원하라!
Let’s GO!!!
Global Frontier 2011
한국의 부족한 점
1.문제를 해결하는 기관과 프로그램의 부족
한국은 개인의 분노와 스트레스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나 기관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의 기관들도 자금이나 인력이 부족하고 열악
한 시설에 처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만약 현재와 같은 문제를 사람의 몸에
비유한다면 연고만 있었으면 치료가 가능했을 작은 상처를 암으로 키우는 결과로 이어
지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2.사전‧사후관리의 미비
한국의 현 상황은 개인에게 문제가 발생한 그 순간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강합니
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 그것을 되돌리기 보다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
이 중요하며 그리고 만약 문제가 발생하여 그것을 관리한 다음에도 꾸준한 사후 관리
가 필요합니다.
3.사회적 인식
개인적의 스트레스 문제와 그리고 정신적인 문제를 이유로 상담소를 찾거나 지인
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한국인들은 극도로 꺼립니다. 그것은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선입견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정신적 문제는 이상을 발견한 초기에 치료
를 한다면 해결이 가능한데 한국인이 가진 이러한 선입견은 정신적 문제에 대해 다른
의학적 질환에 비하여 지나치게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만들었고 또한 대부분의 선입
견은 부정적인 시각에 기인하고 있기에 이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
다.
LOS ANGELES COUNTY
DEPARTMENT OF MENTAL HEALTH
[Introduction]
미국에서 제일 큰 County에 위치한 정신치료 기관
으로 캘리포니아 주의 약 30%에 달하는 200,000명
이 넘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75가지의 자체 프로그
램들과 100가지가 넘는 외주 합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1000명이 넘는 전문 인력들을 관리하고 정신건
강 관리 서비스 제공자들과 소비자들을 연계 시켜주는
정부기관이다.
[Main Role]
☞정부, 비 정부 소속 산하기관 관리
☞ 정부기관 연계
☞ 스스로 사회생활을 하기 힘든 사람들을 위한 법적
대리인 역할 (Legal Guardian)
☞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만을 주는 것이 아닌, 많은
기관과의 연계(Collaboration)를 통해 재정적인 문제나
직업, 학업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다양하고, 적극적
인 도움을 준다.
LADMH
소비자
정부기관
공급자
사회복지기관
자체프로그램
외주프로그램
사회복지프로그램
[Things to Learn]
대중들에게 좀 더 거부감 없이 다가 갈 수 있는 정신건강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배우고,
아직 정신건강관리라는 개념이 구축되지 않은 한국에서 Bench-marketing 할 수 있는
Infrastructure를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기관들 간의 원활한 연계를 도모하여 도움을 필요로
사람들이 여러 프로그램들의 도움을 받기 위해 찾아 다녀야 하는 수고로움을 줄임으로써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진입장벽을 한층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는 보며 각 기관들간의 연계
와 협력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이 모든 프로그램과 활동에 드는 비용은 캘리포니아주 법안 제 63조(Mental Health Service
Act)에 의거하여 연간 소득 100만 달러 이상인 자들에게 주 세금 1%씩을 부과함으로써 얻어
지는데, 한국의 정신건강 관련 기관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재정적인 문제의 해결안에 대
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한인가정 상담소
Korean American Family Service Center
[Introduction]
[Main Role]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비영리 단체로서 이민 생활을 하는 한인 동포들의
가정과 개인들을 돕기 위하여 1984년 창립되었으며, 주요 프로그램과 봉사
업무로서는 전문 심리상담과 교육이 있다.
청소년 분노조절 프로그램 ☞ 주1회, 12주에 걸쳐 분노의 원인을 알아보고, 적절한 분노 조절
방법과 의사소통 방법을 배우며 스트레스 조절법을 익힌다.
Teen Anger Management Weekly Themes
1주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4가지 기본 영역 CASE*에 대해 이해하기
2주 분노를 조절하는 7단계 및 효과적인 분노의 진정과 ‘타임-아웃’을 적절하게 이용하기
3주 건설적·파괴적인 상호작용의 되풀이
4주 분노의 엄청난 댓가
5주 분노 체크 - 당신의 분노는 어떻습니까
6주 스스로 작성한 자아인식 목록을 통한 자신의 재발견
7주 스트레스란 무엇이고 어떤 영향을 끼치나
8주 스트레스 대처법 1. 인식
9주 스트레스 대처법 2. 수용
10주 스트레스 대처법 3. 효과적으로 다루기
11주 좋은 대화법
* Communication, Anger Management, Stress management, Emotional Intelligence
Domestic Violence Batterer's program(가정폭력 가해자 프로그램)
☞ LA Probation Department의 허가를 받아 가해자에게 법원 명령에 의한 가
정폭력가해자 의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의무 교육의 기간은 52주로 1년이라는 시간 동안
매주 1회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프로그램은 보통 10명 내외의 인원이 한 그룹으로 정해져 커
리큘럼에 따른 교육을 받게 된다.
BIP curriculum
a. Definition of domestic violence
b. Dynamics of power and control
c. Socialization, including gender roles and equality
d. Batterer's responsibility for past and future abusive behaviors
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buse and acts of violence with a disti
nction that there is not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f. Relapse prevention plan that provides alternatives to all forms of abuse
g. Challenging the beliefs that promote abusive behavior
[Things to Learn]
단기간에 성과를 나타내려는 한국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52주라는 긴 시
간을 투자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스스로 인지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게 해주는 능동참여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KYCC
Koreatown Youth and Community Center
1975년에 설립되어 초기에는 한국출신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시설을 운영해오다가 점차
다양한 인종을 대상으로 범위를 넓혔으며, 업무의 활동도 다양화하여 방과 후 학교 프로그
램과 Summer 프로그램(여름방학 기간 동안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에도 저렴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을 통해 공헌하고 있으며,
현재 매년 11,000이 넘는 아시아, 히스패닉 계통의 이민자들을 돕고 있다.
[Introduction]
Downtown
Mental Health Center
[Introduction]
LA 다운타운에서도 노숙자와 알콜 · 마약중독자가 가장 많은 지역에 위치한 센터
이다. 해마다 겨울이 되면 따뜻한 기후를 찾아 노숙자들이 전국적으로 많이 몰려드는 곳으로
연중 한가한 시간이 거의 없으며, 주로 노숙자와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면
서 육체적 건강과 노숙자들의 사회로의 복귀 등을 돕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도 병행해서 시행
하고 있다. 또한 Skidrow 즉, 거리의 무법자들이 많이 위치한 우범지역이라 범죄율 또
한 매우 높아 경찰들과 연계하여 경찰이 순찰 시 정신질환 전문가가 동승하여 같이 순
찰을 하며 정신적인 문제와 관련이 된 사건이 발생 시 재빠른 대처를 하기 위한
SMART 프로그램 또한 시행되고 있다.
Homeless Housing Program
☞ 노숙자들과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이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연방정부의 국토주거환경부와 연계
하여 최소의 금액으로 자신의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부가적으로 사회복지 단체들과
연계하여 노숙자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일도 병행한다.
Anger management Program
☞ 화를 다스리는 방법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으로 자기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프로그램이다. 주로 경범죄를 행한 사람들이 법원의 명령으로 오게 되며, 프로그램의 참여비는 벌금의
형식으로 자신이 부담하고, 수료시간이 정해져 있다. 프로그램 참여 시 개선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상담사의 판단 하에 재심을 받게 하거나 수료시간을 늘릴 수 있다.
Arts and Crafts Therapy
☞ 스트레스성 정신질환이나 우울증과 같은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예술활동이나 공작활
동을 통해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자가치료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Experience Sharing
☞약물중독이나 알코올중독과 같은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중독으로부터 벗어난 사람들의 경험을
같이 공유함으로써 개선의지를 굳건히 하고 서로 도움을 주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사의 역할을 사람
들 스스로가 하는 프로그램이다.
[Main Role]
아시아 태평양 정신상담소 < APCTC >
Asian Pacific Counseling and Treatment Centers
[Introduction]
미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고 언어소통이 어려운 아
시아 태평양계 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정신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LA
County내에 본부를 제외한 4개의 지점을 갖고 있
어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센터를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Main Role]
아시아 태평양 아동들을 위한
풀서비스 파트너쉽 프로그램 (0-15세)
☞ 15세 또는 그 이하의 심각한 정서불안 또는 다
음의 배경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아동보호국에 의해서 집으로부터 옮겨진 적이 있거나 옮겨
질 위험에 처해 있는 경우
*부모 / 보호자가 정신 질환, 약물 중독 문제가 있을 경우
*집 외의 곳으로 보내진 경험이 있고 집/ 공동체 환경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경우
*약물 중독증이 있는 경우
*집행유예 중이고 정신과 의사로부터 처방된 약을 먹는 경
우
☞ 제공되는 서비스: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당신의 자녀와 가족을 위한 상담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로부터의 동료 후원
*가족이 적합한 거주처를 찾기 위한 주택보조
*자녀와 가족이 적합한 재정 그리고 건강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복지제도로의 연결
*약물중독과 가정 폭력에 관한 상담과 도움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당신의 아이와 가족을 위해 헌신할 팀
본 프로그램은 LA County 정신건강국과 계약을 맺고 후원을 받고 있다.
학교 정신 건강 프로그램
☞ 한국의 학교 안에 설치된 형식적인 상담실의 개념이 아닌 아이들의 건강한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문제들의 해결을 도와주기 위해 학교에서 정신건강상담 서비스를 제공
하며, 학교와 협력하여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선입견을 줄인다.
☞ 혜택의 대상
* 정서적 또는 행동의 문제가 학업이나 친구들과 어울리는데 영향을 줄 때.
* 가족이나 환경에 커다란 변화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가질 때
(예: 이민, 이사, 부모님의 별거, 이혼, 가족 중의 병환 또는 죽음 등)
* 스트레스가 많은 가족환경 또는 부모님이 약물중독이나 정신건강으로 고생하는 가족의 아이들
* 아동학대를 받는 아이들
* AB3632를 받은 아이들(IEP를 가지고 있고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
IEP -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AB3632 - 정신보건국과 학교와 함께 특수교육을 받는 장애우들을 돕는 Fund
San Joaquin County
Behavioral Health Services
San Joaquin 지방정부 산하기관으로 정신건강과
약물남용에 대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지역주민들에게 제
공하고 있으며, 긴급한 조치와 꾸준한 관찰 및 도움이 필요
한 정신질환 환자들을 위한 수용시설 또한 갖추고 있다.
여타 다른 정신건강관리 기관들과는 달리 병원 시설을
갖추고 있어 정신질환이 가져오는 육체적인 병을 연계하
여 치료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Introduction]
[Main Role]
72시간 보호감찰
☞자신 혹은 타인에게 해를 가할 위협이 있거나 자기
스스로를 가누지 못하는 상황에 놓인 정신질환 환자를 경
찰 혹은 주변인이 보고를 하면, 정신상담 전문가의 판단
하에 최대 72시간까지 보호감찰을 행할 수 있다. 이
절차는 정신상담 전문가의 판단이 없이는 진행이 불가능
하며, 환자의 인권보호를 위해 정확히 정해진 규정에
따라 환자를 판단한다.
72hours
Probation
Format
NYCDepartment of Education
Mental health care office
New York City(NYC) 내의 학교들의 요청에
따라 정신상담 전문기관들의 적합성을 심사하
고 그들을 정신상담 전문기관을 요청학교들에 연계
해 주는 역할을 하는 NYC 교육청 산하기관으로,
정신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정신상담
자체가 가지는 Stigma를 극복하기 위한 홍보를
하기도 한다.
[Introduction]
[Main Role]
미국은 당국의 교육법에 의거하여 각 학교마다 Guidance Counselor가 학생 수에 비
례하게 존재하여 학생들의 학업이나 가정문제 등 여러가지를 상담해 주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은 정신상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 측에서 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교육
부 산하의 정신건강부서에 전문 상담사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한다.
정신건강부서에서 인증된 전문 상담기관을 통해 전문 상담사를 요청한 학교로 파견하
게 되면, 파견된 상담사는 학교에서 내어준 전문 사무실에 상주하여 학생들을 상담해주
며, 방과 후에 따로 남겨서 상담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 중이라도 데리고 가서 상담을
해주게 된다.
이 정신건강부서의 주 역할은 각 학교가 가진 그 학교만의 분위기와 언어를 파악하여
알맞은 상담기관을 연계해주는 것과 학생들의 정신적 고충을 조기에 발견 하여 조치를 취
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Screening Process를 제공하는 것이다.
탐방 후 활동
한국에서 미국과 같은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기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되는
요소인 사람들의 인식의 전환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공익광고주제관련고객의견‛ 게시판에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 및
정신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라는 주제로 공익광고를 건의 하였
으며, 현재 답변을 기다리는 중.
Happy Society
Happy KOREA
미국의 정신건강과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명 한국보다 앞서지만 처음부터 오늘날의 체계적인 모습
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미국의 여러 기관을 탐방하면서 모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들었
던 이야기중의 하나는 바로 정신건강에 대한 치료나 관리의 방법은 아직도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며 항상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보다 앞장선 미국조차도 늘 변화
하고 있으며 시행착오를 동반하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있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다는 것
가장 기초적이지만 지키기 어려운 바로 이러한 생각이 미국을 움직이고 원동력이었다.
우리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문제를 너무 표면적으로만 생각하고 모든 문제를 환자 혹은 본인에게만
두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었다. 미국은 문제의 본질을 우선 생각하고 본인만이 아닌 가족과 사회
차원에서부터 심도 있게 고찰하고 있었다. 우선 미국 프로그램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몇 개의 중요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해하여 이것을 앞서 한국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용해 보겠다.
1.조기 발견, 조기 치료의 중요성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의 중요성은 모든 기관에서 심지어 한국에서도 중요하다고 손에 꼽
히는 것이다. 이것을 ‘아시아 태평양 정신상담소(APCTC)’를 방문 인터뷰 도중에 가장 심각
하게 인식하게 되었는데 대부분의 정신적 문제가 발생의 초기에 찾아오면 완치도 가능하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병이 계속해서 커지기 때문에 완치가 어려우며 이는 확률적으로도 나타난다. 전
체의 25%는 초기에 치료를 선택하여 완치가 가능하고, 다른 25%는 약만 꾸준하게 먹는다면
자신을 완벽히 통제할 수 있으며, 다른 25%는 약을 먹고 관리를 받아도 증세가 오락가락 하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나머지 사람들이다. 다음 25%는 약을 아무리 먹고 관리를 받아도 호전되지
못하며, 마지막 10%는 그 상태가 심각하여 사고사,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이었다. 이는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개인이 가진 정신적 문제나
분노에 대해서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 미국은 (Screning Process)를 아주 어린나이에 시작
한다. 이것은 한국에 도입되어야 할 프로그램이다. 물론 많은 자금이 들겠지만 조기에 문제를 발견
하지 못했을 때 사회가 부담해야할 손해에 비하면 결코 많은 것이 아니다.
2.Stigma 극복
한국인들에게 유독 강한 선입견은 약간의 정신적 문제에 대해서도 격렬하게 나타난다. 이는
가족들 간에도 서로 이러한 사실을 말하지 않는 점에서 단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가족과 당사자 모두가 불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Stigma를 개인이 스스로 극복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공동체 구성원의 인식 전부를 바꿔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보와 전
달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기에 정신적인 문제 또한 일반적인 신체의 문제와 다르지 않다는 인식
의 전달이 필요하며 이는 대중매체를 이용한 지속적인 홍보로 인해 가능하다. 우리가 처음에 가장
관심을 가지고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한국인들의 Stigma 극복을 위해서는 가장 효과적이고 공신력
있는 공익광고를 이용해야 한다.
3.단기 프로그램이 아닌 장기간의 프로그램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교육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앞에서 탐방한 한인가정상담소의 [Domestic Violence]
프로그램의 의무교육이 52주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한국의 대다수의 프로그램이 길
어야 6개월인 것에 비하면 대단히 고무적이다. 단기간에 성과를 나타내려는 한국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52주라는 긴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잘못을 근본적으로 깨닫고 그것을 고
치는 것을 습관화시키는 방법이 사람들에게 있어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지 않아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확실한 변화도 가지고 온다.
4.기관간의 협력
탐방 기간 동안 또 하나 놀라웠던 점은 기관간의 협력이 매우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었다. 어찌 보면 동류의 일을 하는 서로 다른 기관 사이에는 미묘한 긴장이 흐르는 것이 당연하고
그렇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로가 경쟁하는 구도로 나타나기 마련인데 미국의 기관들은 모든 것이 물
흐르듯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사실 미국도 초기에는 이렇지 않았지만 시행착오를 겪
으면서 모든 걸 환자 위주로 변화시킨 것이다. 활발한 연계는 자연스럽게 효과적인 치료와 관리
로 이어지게 된다.
Road to
Happiness
With
Hippie
Of
JOBKOREA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Viewers also liked (1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ROBO-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염금술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알바트로스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Cheer-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기_Davinci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인절미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이상(肄翔)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라온파니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newSage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give-actually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Re-Mine-D_탐방 계획서
 

Similar to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Kyungrim Lee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C.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sujaubuns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sujaubuns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아산프론티어 Space
아산프론티어 Space아산프론티어 Space
아산프론티어 SpaceNana Choi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sujaubuns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봄인터랙트미디어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Kyungrim Lee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C.
 
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
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
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
한국성폭력상담소(KSVRC)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John Kang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환경연대
 
민들레 귀국보고서
민들레 귀국보고서민들레 귀국보고서
민들레 귀국보고서osheakorea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Similar to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보고서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계획서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성남_취약 노숙인 지원주택 시범운영 1년 6ᄀ...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2012 박성미 집단미술치료가 한부모가정 청소년의_정신건강_및_정서조절에_미치는_효과
 
아산프론티어 Space
아산프론티어 Space아산프론티어 Space
아산프론티어 Space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정신간호학1 7차시 정신건강의증진과%20정신질환의예방_v1-orchuulga[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6기_FORTE_탐방 계획서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의료재활센터 희망바라기 1호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추진을 위한 강의 자료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아동복지실천회세움 2018년 social impact report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하창수_노숙인 시설 탈시설 지원사ᄅ...
 
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
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
한국성폭력상담소 2010년 활동보고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회복자 사후관리 및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화진흥원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5호 (소식지, 2003)
 
민들레 귀국보고서
민들레 귀국보고서민들레 귀국보고서
민들레 귀국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도담도담_탐방보고서
 

More fro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More fro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취향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人able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스마일_탐방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글로벌 프런티어 박살 결과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냉장고야부탁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귀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w.e.e.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SO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Re butt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JOBS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DJ DOC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人able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박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DJ DOC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SWEE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Re:butt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JOBS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7기_희피_탐방 보고서

  • 2. 목차 그대들의 청춘은 안녕하십니까? 성난 대한민국(Anger Society)을 구원하라! 탐방 기관별 보고 -LADMH -한인가정 상담소 -KYCC -DMHC -APCTC -San Joaquin County MHC -NYC Department of Education, MHO 탐방 후 활동 Happy Society, Happy KOREA Having Fun with Hippie of JOBKOREA
  • 3. 그대들의 청춘은 안녕하십니까? 어쩌면 우리들의 아름다운 청춘이 가장 빛날 시기인 스물다섯의 나이에 글로벌 프 런티어를 만나게 된 것을 진심으로 고맙고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흔히들 젊음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한다 말하고 천금을 준다고 하여도 다시 돌아가지 못하는 게 청춘이라 아 쉬워 하지만 정작 우리들은 그간 청춘의 소중함과 그 가능성을 과소평가했었는지 아 니면 알면서도 모른 척 지내왔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번 글로벌 프런티어는 우리들의 가치를 그리고 우리가 가지고 있었던 능력을 스 스로 찾아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우리들이 모여 잡코리아 공모전을 준비하자 마음먹 었던 순간부터 탐방보고서를 작성하는 감격스러운 지금 이 순간까지 흘러온 시간이 주 마등처럼 스쳐 지나갑니다. 물론 글로벌 프런티어를 준비하면서 그리고 탐방 기간 동안 마주친 무수한 장애물 과 시련들에 다치기도 했지만 힘겨움 속에서도 미약하지만 우리들의 노력이 대한민국 을 조금 더 밝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확신으로 견뎌냈습니다. 그리고 어쩌면 우리들보 다 우리에게 찾아온 지금의 기회를 더 갈망했을 수많은 청춘들을 생각하며 매순간 스 스로 채찍질했습니다. 돌이켜 보니 정말 오랜 기간 함께였었던 우리들이지만 글로벌 프런티어로 동고동 락한 지난 시간이 우리 사이에 잊을 수 없는 소중한 추억하나 선사해주었습니다. 이제 우리에게 ‘도전’이라는 한마디로 청춘의 화려함과 소중함을 일깨워준 그 탐방의 결과 를 보고 합니다.
  • 4. 2011년의 대한민국 오늘날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은 Anger Society라는 불명예를 지니고 있습니다. Anger Society라는 수렁에 빠진 대한민국은 ‘충동적 범죄’라는 이전의 가치관으로는 이해하지 못하지 만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동반하는 전혀 새로운 범죄와 맞딱들이게 되었습니다. 충동적 범죄를 저지르는 자신의 화를 이기지 못하는 사람들, 자신을 둘러싼 각박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 에 그만 자신을 포기해버리는 사람들의 숫자가 증가일로에 있는 대한민국의 내부는 표면적인 Anger Society라는 단어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하지만 과연 이러한 충동적 범죄의 모든 결과를 그것을 저지르는 범인에게 전가할 수는 없습 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충동적 범죄는 이미 개인의 문제라고 치부하기에는 그 범위가 너무 광범 위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서나 따뜻한 정이 있고, 고요한 아침의 나라였던 대한민국이 왜 이렇게 변해버렸을까요? 대한민국이 이렇게 변해버린 이유는 무제한적인 경쟁에서 발생하는 필수불가결한 인간소외에 있다고 볼 수 있지만 21세기는 무한경쟁의 시대이고 인간소외도 대한 민국의 특별한 상황이 아님은 분명한데 유독 대한민국의 상황이 심각한 이유는 바로 이러한 인 간소외와 같은 사회적 차원의 문제를 개개인의 관점에서 관리하는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부 족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스트레스뿐만이 아니라 정신질환 부분에서도 발 견되는데 이것은 우리 사회의 Stigma 즉,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입견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하 였습니다. 우리들의 연구는 여기서 시작되었습니다. 만약 우리가 사회적 차원에서 개개인의 문제를 체계 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면 사람들이 겪을 시련도 막을 것이며 충동적 범죄로 얼룩진 대한민 국을 Anger Society에서 구원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성난 대한민국(Anger Society)을 구원하라! Let’s GO!!! Global Frontier 2011
  • 5. 한국의 부족한 점 1.문제를 해결하는 기관과 프로그램의 부족 한국은 개인의 분노와 스트레스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나 기관이 부족합니다. 그리고 현재 존재하는 대부분의 기관들도 자금이나 인력이 부족하고 열악 한 시설에 처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만약 현재와 같은 문제를 사람의 몸에 비유한다면 연고만 있었으면 치료가 가능했을 작은 상처를 암으로 키우는 결과로 이어 지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2.사전‧사후관리의 미비 한국의 현 상황은 개인에게 문제가 발생한 그 순간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강합니 다. 그러나 문제가 발생한 이후에 그것을 되돌리기 보다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 이 중요하며 그리고 만약 문제가 발생하여 그것을 관리한 다음에도 꾸준한 사후 관리 가 필요합니다. 3.사회적 인식 개인적의 스트레스 문제와 그리고 정신적인 문제를 이유로 상담소를 찾거나 지인 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한국인들은 극도로 꺼립니다. 그것은 정신적인 문제에 대한 선입견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정신적 문제는 이상을 발견한 초기에 치료 를 한다면 해결이 가능한데 한국인이 가진 이러한 선입견은 정신적 문제에 대해 다른 의학적 질환에 비하여 지나치게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만들었고 또한 대부분의 선입 견은 부정적인 시각에 기인하고 있기에 이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습니 다.
  • 6. LOS ANGELES COUNTY DEPARTMENT OF MENTAL HEALTH [Introduction] 미국에서 제일 큰 County에 위치한 정신치료 기관 으로 캘리포니아 주의 약 30%에 달하는 200,000명 이 넘는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75가지의 자체 프로그 램들과 100가지가 넘는 외주 합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1000명이 넘는 전문 인력들을 관리하고 정신건 강 관리 서비스 제공자들과 소비자들을 연계 시켜주는 정부기관이다. [Main Role] ☞정부, 비 정부 소속 산하기관 관리 ☞ 정부기관 연계 ☞ 스스로 사회생활을 하기 힘든 사람들을 위한 법적 대리인 역할 (Legal Guardian) ☞ 정신건강을 위한 상담만을 주는 것이 아닌, 많은 기관과의 연계(Collaboration)를 통해 재정적인 문제나 직업, 학업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서 다양하고, 적극적 인 도움을 준다. LADMH 소비자 정부기관 공급자 사회복지기관 자체프로그램 외주프로그램 사회복지프로그램
  • 7. [Things to Learn] 대중들에게 좀 더 거부감 없이 다가 갈 수 있는 정신건강관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배우고, 아직 정신건강관리라는 개념이 구축되지 않은 한국에서 Bench-marketing 할 수 있는 Infrastructure를 볼 수 있었다. 또한, 각 기관들 간의 원활한 연계를 도모하여 도움을 필요로 사람들이 여러 프로그램들의 도움을 받기 위해 찾아 다녀야 하는 수고로움을 줄임으로써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진입장벽을 한층 낮추는 역할을 하고 있는 보며 각 기관들간의 연계 와 협력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이 모든 프로그램과 활동에 드는 비용은 캘리포니아주 법안 제 63조(Mental Health Service Act)에 의거하여 연간 소득 100만 달러 이상인 자들에게 주 세금 1%씩을 부과함으로써 얻어 지는데, 한국의 정신건강 관련 기관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안고 있는 재정적인 문제의 해결안에 대 한 힌트를 얻을 수 있었다.
  • 8. 한인가정 상담소 Korean American Family Service Center [Introduction] [Main Role]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비영리 단체로서 이민 생활을 하는 한인 동포들의 가정과 개인들을 돕기 위하여 1984년 창립되었으며, 주요 프로그램과 봉사 업무로서는 전문 심리상담과 교육이 있다. 청소년 분노조절 프로그램 ☞ 주1회, 12주에 걸쳐 분노의 원인을 알아보고, 적절한 분노 조절 방법과 의사소통 방법을 배우며 스트레스 조절법을 익힌다. Teen Anger Management Weekly Themes 1주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4가지 기본 영역 CASE*에 대해 이해하기 2주 분노를 조절하는 7단계 및 효과적인 분노의 진정과 ‘타임-아웃’을 적절하게 이용하기 3주 건설적·파괴적인 상호작용의 되풀이 4주 분노의 엄청난 댓가 5주 분노 체크 - 당신의 분노는 어떻습니까 6주 스스로 작성한 자아인식 목록을 통한 자신의 재발견 7주 스트레스란 무엇이고 어떤 영향을 끼치나 8주 스트레스 대처법 1. 인식 9주 스트레스 대처법 2. 수용 10주 스트레스 대처법 3. 효과적으로 다루기 11주 좋은 대화법 * Communication, Anger Management, Stress management, Emotional Intelligence
  • 9. Domestic Violence Batterer's program(가정폭력 가해자 프로그램) ☞ LA Probation Department의 허가를 받아 가해자에게 법원 명령에 의한 가 정폭력가해자 의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의무 교육의 기간은 52주로 1년이라는 시간 동안 매주 1회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프로그램은 보통 10명 내외의 인원이 한 그룹으로 정해져 커 리큘럼에 따른 교육을 받게 된다. BIP curriculum a. Definition of domestic violence b. Dynamics of power and control c. Socialization, including gender roles and equality d. Batterer's responsibility for past and future abusive behaviors 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buse and acts of violence with a disti nction that there is not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f. Relapse prevention plan that provides alternatives to all forms of abuse g. Challenging the beliefs that promote abusive behavior [Things to Learn] 단기간에 성과를 나타내려는 한국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52주라는 긴 시 간을 투자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스스로 인지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게 해주는 능동참여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 10. KYCC Koreatown Youth and Community Center 1975년에 설립되어 초기에는 한국출신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시설을 운영해오다가 점차 다양한 인종을 대상으로 범위를 넓혔으며, 업무의 활동도 다양화하여 방과 후 학교 프로그 램과 Summer 프로그램(여름방학 기간 동안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지역 사회에도 저렴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 자립을 위한 지원을 통해 공헌하고 있으며, 현재 매년 11,000이 넘는 아시아, 히스패닉 계통의 이민자들을 돕고 있다. [Introduction]
  • 11. Downtown Mental Health Center [Introduction] LA 다운타운에서도 노숙자와 알콜 · 마약중독자가 가장 많은 지역에 위치한 센터 이다. 해마다 겨울이 되면 따뜻한 기후를 찾아 노숙자들이 전국적으로 많이 몰려드는 곳으로 연중 한가한 시간이 거의 없으며, 주로 노숙자와 관련된 정신건강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면 서 육체적 건강과 노숙자들의 사회로의 복귀 등을 돕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도 병행해서 시행 하고 있다. 또한 Skidrow 즉, 거리의 무법자들이 많이 위치한 우범지역이라 범죄율 또 한 매우 높아 경찰들과 연계하여 경찰이 순찰 시 정신질환 전문가가 동승하여 같이 순 찰을 하며 정신적인 문제와 관련이 된 사건이 발생 시 재빠른 대처를 하기 위한 SMART 프로그램 또한 시행되고 있다.
  • 12. Homeless Housing Program ☞ 노숙자들과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이들에게 쉼터를 제공하고 연방정부의 국토주거환경부와 연계 하여 최소의 금액으로 자신의 집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 부가적으로 사회복지 단체들과 연계하여 노숙자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일도 병행한다. Anger management Program ☞ 화를 다스리는 방법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으로 자기 자신의 감정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프로그램이다. 주로 경범죄를 행한 사람들이 법원의 명령으로 오게 되며, 프로그램의 참여비는 벌금의 형식으로 자신이 부담하고, 수료시간이 정해져 있다. 프로그램 참여 시 개선의 모습이 보이지 않으면 상담사의 판단 하에 재심을 받게 하거나 수료시간을 늘릴 수 있다. Arts and Crafts Therapy ☞ 스트레스성 정신질환이나 우울증과 같은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예술활동이나 공작활 동을 통해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함으로써 자가치료를 돕는 프로그램이다. Experience Sharing ☞약물중독이나 알코올중독과 같은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들이 중독으로부터 벗어난 사람들의 경험을 같이 공유함으로써 개선의지를 굳건히 하고 서로 도움을 주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상담사의 역할을 사람 들 스스로가 하는 프로그램이다. [Main Role]
  • 13. 아시아 태평양 정신상담소 < APCTC > Asian Pacific Counseling and Treatment Centers [Introduction] 미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고 언어소통이 어려운 아 시아 태평양계 사람들에게 보다 나은 정신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LA County내에 본부를 제외한 4개의 지점을 갖고 있 어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센터를 쉽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Main Role] 아시아 태평양 아동들을 위한 풀서비스 파트너쉽 프로그램 (0-15세) ☞ 15세 또는 그 이하의 심각한 정서불안 또는 다 음의 배경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아동보호국에 의해서 집으로부터 옮겨진 적이 있거나 옮겨 질 위험에 처해 있는 경우 *부모 / 보호자가 정신 질환, 약물 중독 문제가 있을 경우 *집 외의 곳으로 보내진 경험이 있고 집/ 공동체 환경으로 다시 돌아가야 할 경우 *약물 중독증이 있는 경우 *집행유예 중이고 정신과 의사로부터 처방된 약을 먹는 경 우
  • 14. ☞ 제공되는 서비스: 아이들과 가족들에게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당신의 자녀와 가족을 위한 상담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로부터의 동료 후원 *가족이 적합한 거주처를 찾기 위한 주택보조 *자녀와 가족이 적합한 재정 그리고 건강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복지제도로의 연결 *약물중독과 가정 폭력에 관한 상담과 도움 *하루 24시간 지속적으로 당신의 아이와 가족을 위해 헌신할 팀 본 프로그램은 LA County 정신건강국과 계약을 맺고 후원을 받고 있다. 학교 정신 건강 프로그램 ☞ 한국의 학교 안에 설치된 형식적인 상담실의 개념이 아닌 아이들의 건강한 사회적-정서적 발달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문제들의 해결을 도와주기 위해 학교에서 정신건강상담 서비스를 제공 하며, 학교와 협력하여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선입견을 줄인다. ☞ 혜택의 대상 * 정서적 또는 행동의 문제가 학업이나 친구들과 어울리는데 영향을 줄 때. * 가족이나 환경에 커다란 변화로 인해 적응에 어려움을 가질 때 (예: 이민, 이사, 부모님의 별거, 이혼, 가족 중의 병환 또는 죽음 등) * 스트레스가 많은 가족환경 또는 부모님이 약물중독이나 정신건강으로 고생하는 가족의 아이들 * 아동학대를 받는 아이들 * AB3632를 받은 아이들(IEP를 가지고 있고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 IEP -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AB3632 - 정신보건국과 학교와 함께 특수교육을 받는 장애우들을 돕는 Fund
  • 15. San Joaquin County Behavioral Health Services San Joaquin 지방정부 산하기관으로 정신건강과 약물남용에 대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지역주민들에게 제 공하고 있으며, 긴급한 조치와 꾸준한 관찰 및 도움이 필요 한 정신질환 환자들을 위한 수용시설 또한 갖추고 있다. 여타 다른 정신건강관리 기관들과는 달리 병원 시설을 갖추고 있어 정신질환이 가져오는 육체적인 병을 연계하 여 치료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Introduction] [Main Role] 72시간 보호감찰 ☞자신 혹은 타인에게 해를 가할 위협이 있거나 자기 스스로를 가누지 못하는 상황에 놓인 정신질환 환자를 경 찰 혹은 주변인이 보고를 하면, 정신상담 전문가의 판단 하에 최대 72시간까지 보호감찰을 행할 수 있다. 이 절차는 정신상담 전문가의 판단이 없이는 진행이 불가능 하며, 환자의 인권보호를 위해 정확히 정해진 규정에 따라 환자를 판단한다. 72hours Probation Format
  • 16. NYCDepartment of Education Mental health care office New York City(NYC) 내의 학교들의 요청에 따라 정신상담 전문기관들의 적합성을 심사하 고 그들을 정신상담 전문기관을 요청학교들에 연계 해 주는 역할을 하는 NYC 교육청 산하기관으로, 정신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정신상담 자체가 가지는 Stigma를 극복하기 위한 홍보를 하기도 한다. [Introduction] [Main Role] 미국은 당국의 교육법에 의거하여 각 학교마다 Guidance Counselor가 학생 수에 비 례하게 존재하여 학생들의 학업이나 가정문제 등 여러가지를 상담해 주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은 정신상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학교 측에서 학생들의 복지를 위해 교육 부 산하의 정신건강부서에 전문 상담사를 파견해 줄 것을 요청한다. 정신건강부서에서 인증된 전문 상담기관을 통해 전문 상담사를 요청한 학교로 파견하 게 되면, 파견된 상담사는 학교에서 내어준 전문 사무실에 상주하여 학생들을 상담해주 며, 방과 후에 따로 남겨서 상담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 중이라도 데리고 가서 상담을 해주게 된다. 이 정신건강부서의 주 역할은 각 학교가 가진 그 학교만의 분위기와 언어를 파악하여 알맞은 상담기관을 연계해주는 것과 학생들의 정신적 고충을 조기에 발견 하여 조치를 취 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Screening Process를 제공하는 것이다.
  • 17. 탐방 후 활동 한국에서 미국과 같은 프로그램들을 실행하기에 가장 큰 장애물이 되는 요소인 사람들의 인식의 전환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공익광고주제관련고객의견‛ 게시판에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 및 정신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라는 주제로 공익광고를 건의 하였 으며, 현재 답변을 기다리는 중.
  • 18. Happy Society Happy KOREA 미국의 정신건강과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명 한국보다 앞서지만 처음부터 오늘날의 체계적인 모습 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미국의 여러 기관을 탐방하면서 모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들었 던 이야기중의 하나는 바로 정신건강에 대한 치료나 관리의 방법은 아직도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며 항상 새로운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보다 앞장선 미국조차도 늘 변화 하고 있으며 시행착오를 동반하는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있었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다는 것 가장 기초적이지만 지키기 어려운 바로 이러한 생각이 미국을 움직이고 원동력이었다. 우리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문제를 너무 표면적으로만 생각하고 모든 문제를 환자 혹은 본인에게만 두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었다. 미국은 문제의 본질을 우선 생각하고 본인만이 아닌 가족과 사회 차원에서부터 심도 있게 고찰하고 있었다. 우선 미국 프로그램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토대를 몇 개의 중요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해하여 이것을 앞서 한국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용해 보겠다. 1.조기 발견, 조기 치료의 중요성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의 중요성은 모든 기관에서 심지어 한국에서도 중요하다고 손에 꼽 히는 것이다. 이것을 ‘아시아 태평양 정신상담소(APCTC)’를 방문 인터뷰 도중에 가장 심각 하게 인식하게 되었는데 대부분의 정신적 문제가 발생의 초기에 찾아오면 완치도 가능하지만 그것이 아니라면 병이 계속해서 커지기 때문에 완치가 어려우며 이는 확률적으로도 나타난다. 전 체의 25%는 초기에 치료를 선택하여 완치가 가능하고, 다른 25%는 약만 꾸준하게 먹는다면 자신을 완벽히 통제할 수 있으며, 다른 25%는 약을 먹고 관리를 받아도 증세가 오락가락 하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나머지 사람들이다. 다음 25%는 약을 아무리 먹고 관리를 받아도 호전되지 못하며, 마지막 10%는 그 상태가 심각하여 사고사, 자살로 이어진다는 것이었다. 이는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를 선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개인이 가진 정신적 문제나 분노에 대해서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 미국은 (Screning Process)를 아주 어린나이에 시작 한다. 이것은 한국에 도입되어야 할 프로그램이다. 물론 많은 자금이 들겠지만 조기에 문제를 발견 하지 못했을 때 사회가 부담해야할 손해에 비하면 결코 많은 것이 아니다.
  • 19. 2.Stigma 극복 한국인들에게 유독 강한 선입견은 약간의 정신적 문제에 대해서도 격렬하게 나타난다. 이는 가족들 간에도 서로 이러한 사실을 말하지 않는 점에서 단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가족과 당사자 모두가 불행해지게 된다. 이러한 Stigma를 개인이 스스로 극복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공동체 구성원의 인식 전부를 바꿔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보와 전 달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기에 정신적인 문제 또한 일반적인 신체의 문제와 다르지 않다는 인식 의 전달이 필요하며 이는 대중매체를 이용한 지속적인 홍보로 인해 가능하다. 우리가 처음에 가장 관심을 가지고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한국인들의 Stigma 극복을 위해서는 가장 효과적이고 공신력 있는 공익광고를 이용해야 한다. 3.단기 프로그램이 아닌 장기간의 프로그램 대부분의 교육 프로그램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교육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앞에서 탐방한 한인가정상담소의 [Domestic Violence] 프로그램의 의무교육이 52주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한국의 대다수의 프로그램이 길 어야 6개월인 것에 비하면 대단히 고무적이다. 단기간에 성과를 나타내려는 한국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52주라는 긴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잘못을 근본적으로 깨닫고 그것을 고 치는 것을 습관화시키는 방법이 사람들에게 있어 급격한 변화를 요구하지 않아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확실한 변화도 가지고 온다.
  • 20. 4.기관간의 협력 탐방 기간 동안 또 하나 놀라웠던 점은 기관간의 협력이 매우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었다. 어찌 보면 동류의 일을 하는 서로 다른 기관 사이에는 미묘한 긴장이 흐르는 것이 당연하고 그렇다 보면 자연스럽게 서로가 경쟁하는 구도로 나타나기 마련인데 미국의 기관들은 모든 것이 물 흐르듯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사실 미국도 초기에는 이렇지 않았지만 시행착오를 겪 으면서 모든 걸 환자 위주로 변화시킨 것이다. 활발한 연계는 자연스럽게 효과적인 치료와 관리 로 이어지게 된다. Road to Happiness With Hippie Of JOB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