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11140032 최 정 은
아웃라이어
말콤 글래그웰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O U T L I E R S
1984, 토론토대학교를 졸업하고 저널리즘계에 뛰어들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세상의 다양한 패턴과 행동양식,
심리적 아이디어로 가득 찬 기사들을 썼다.
훗날 그 기사들은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21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저널리스트의 반열에 오르게 했다.
그의 저서로는 『티핑포인트』 『블링크-첫 2초의 힘』 이 있다.
말콤 글래드웰 [Malcolm gladwell]
아웃라이어
out · li · er/-,li(-∂)r/명사
1.본체에서 분리되거나
따로 분류되어있는 물건
2.표본 중 다른 대상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통계적 관측치
소개
1장 마태복음 효과
2장 1만 시간의 법칙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CHAPTER
5장 조셉 플롬에게 배우는 세가지 교훈
1부_기회 [Opportunity]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2부_유산 [Legacy]
01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
1장
미스터 하키로 성공하는 법
법칙에 돌을 던져라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
생일이 빠른 아이들과 하키의 상관관계
누적적 이득의 치명적 효과
또래 중 가장 큰 아이라는 특권
02
CONTENTS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멍청한 학생에서 천재 프로그래머로
진정한 아웃라이어가 되기 위한 매직넘버
첫 번째 증거 : 밤샘 프로그래밍의 기억, 빌 조이
두 번째 증거 : 비틀스, 차별화된 밴드의 비밀
세 번째 증거 : 행운의 여신, 빌 게이츠를 쏘다
특별한 기회, 그리고 부자들의 타이밍
기회
성공
시
대환경1만시간
법칙
노력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_마태복음 25장 29
절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
1980년대 중반 캐나다 심리학자 로저 반슬리(Roger Barnsley)는 캐나다 메이저주니어 리그 소속팀인
메디슨 햇 타이거스 선수들의 명부를 보고 어떤 현상에 주목했다.
25명의 선수 중 1,2,3 월 생이 월등히 많다는 점이다.
그것은 우연한 결과가 아니라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1~3월생이 많은 이유는 캐나다에서 1월 1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고 그에 맞춰 하키 클래스를 짜기 때문이
다.
중요한 점은 사춘기 이전의 열 두달이라는 기간이 엄청난 신체발달의 차이를 낳는다는 것이다.
1부_기회 [Opportunity]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1장
숨겨진 이점 & 특별한 기회
연령대를 기준으로 선발하고 분류하고 차별적으로 대하면 특정시기 아이들이 집
중적으로 혜택 수혜
선별기준
9~10세 사이의 소년을 대상으로 후보를 찾음
나이
캐나다는 1월 1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림
생일이 빠른 아이들과 하키의 상관관계
1부_기회 [Opportunity]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1장
하키와 빠른 생일 이야기는 성공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지금까지 살펴본 이야기는 정상에 오르는 아이들이 가장 똑똑하고 재능이 많다는 통념을 뒤집는다.
물론 프로 하키선수들은 훨씬 더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좋은 출발을 했고 그것은 그들이 노력을 통해 얻거나 마땅히 받아야 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바로 그 기회가 그들의 성공에 결정적이었다.
로버트 머튼은 이러한 현상을 마태복음의 유명한 구절을 따 ‘마태복음 효과’라고 불렀다.
1부_기회 [Opportunity]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1장
먼저 태어난 아이들이 받는 작은 이익에서 발생 → 성취감과 용기는 계속 축적
→ 어린 나이에 똑똑한 학생보다 똑똑해 보이는 학생들에 선발 → 우등교실이라는 곳에서 최고의 학습 시스템으로
교육
→ 후에 태어난 아이들은 유리한 아이들에 치어 좌절과 낙담이라는 작은 불이익 발생
이러한 것들이 누적 되다 보면 결국 거대한 효과
결국 ‘가진 자는 더 갖게 되고 못 가진 자는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마저 뺏긴다는 것”
→ 같은 발육단계의 아이들이 공정한 기회를 가지고 경쟁할 환경이 필요함
꼭 환경적 요인만이 성공에 필수요소라는 말은 아니다
즉, 아웃라이어들은 그들의 재능과 노력에 바탕을 두고 자신들에게 찾아온 ‘기회’를 잡은 것이다.
하키선수들 또한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했더라도 그들의 능력을 키울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결국 뒤에서 출발한 선수들에게 잡혔을 것이다.
성취감 용기
작은
이익 좌절 낙담
작은
불이익
누적적 이득의 치명적 효과
Magic Number
02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최고의 천재라 불리는 모차르트는 실제로 그가 뛰어난 협주곡을 써내기 시작한 것은
작곡경력이 10년 정도 되는 시점이었다.
실제로 여러 사람의 사례를 검토해보니, 재능이 제대로 꽃을 피우려면 적어도
1만 시간이라는 땀방울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선마이크로 시스템을 공동 창업한 빌 조이, 유명한 밴드 비틀즈,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
츠
모두 1만시간을 연습에 투자할 기회를 얻었다.
어른이 아닌 아이가 1만 시간이라는 막대한 시간을 어딘가에 쏟아부으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는데 바로 ‘사회에서 제공하는 기회’라는 점이다.
비틀즈가 1만 시간을 얻은 것은 함부르크라는 지방에 갔을 때, ‘우연히’ 누군가를 만나서
날마다 여덟시간씩 연주할 기회를 얻었다.
빌 게이츠와 빌 조이도 마찬가지로’우연’과 비슷한 행운으로 컴퓨터가 무척 귀하던 시절에
남들보다 훨씬 일찍부터 컴퓨터와 가깝게 지낼 기회를 얻었다.
1만 시간이라면, 하루에 3시간씩 10년간 투자해야 나온다.
02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 첫 번째 증거 : 밤샘 프로그래밍의 기억, 빌 조이 ]
빌 조이는 전산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지만 운 좋게도 미시건 대학처럼 미래를 내
다보는 학교에 입학해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에 버그가 발
생해 원하는 만큼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었고 24시간 컴퓨터 센터를 열어두겠다는
결정 덕분에 밤이 샐 때까지 프로그래밍을 하며 실력을 키워온 인물이다. 이 때 쌓아
온 내공을 바탕으로 리눅스, 자바 분야에서 이름을 떨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빌 조이는 명석했고 배우고자 했던 열의가 많았지만 그가 전문가가 될 수 있었
던 것은 ‘기회’ 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빌 조이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고 실리콘밸리 핵심기업인 썬 마이크로 시스템사의
공동 창립자이다.
[ 두 번째 증거 : 비틀스, 차별화된 밴드의 비밀 ]
비틀즈
1960년 영국에서 결성된 록 밴드이다.
비틀즈의 음악은 로큰롤에 기반하여 출발하였으나, 이후 포크 록, 싸이
키델릭 록, 하드 록 등 여러 장르들의 탄생과 발전에 영향을 미쳤고, 각
장르의 다양한 음악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지금과 같은 연주와 노래 실력, 팀워크를 이루게 된 이유는
함부르크에서 하루에서 매일 밤 8시간씩 밴드 공연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들이 공연을 한 곳은 스트립 쇼를 하는 공연장이었는데 그들
의 공연이 주가 된 곳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매일 밤 엄청난 양의 공연을 하면서 다양한 연주방법
을 시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실력을 키울 수 있었다고 말한다.
02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 세 번째 증거 : 행운의 여신, 빌 게이츠를 쏘다 ]
빌 게이츠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좋아했던 그는 하버드대학교를
다니다 중퇴하고 폴 앨런과 함께 세계적인 기업 마이크로소프트를 공동 설립했
다.
빌 게이츠는 빌 조이보다 독특한 기회와 행운의 연속 속에서 살아왔다.
부유한 부모 덕분에 레이크사이드로 보내졌다. 레이크사이드의 어머니들이 비싼 컴퓨
터의 사용료를 낼 수 있을 만큼 여유로웠다. 또한, 워싱턴 대학에서 새벽 세 시에서 여섯
시까지 컴퓨터를 공짜로 사용할 수 있었다. 펨브로크가 알고 있는 최고의 프로그래머는
빌 게이츠를 포함 한 두 명의 고등학생이었다. 레이크사이드 고등학교가 학교에서 벗어
나 프로그래밍에 매진하는 것을 허락해 주었다.
이 모든 행운에 공통되는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그 모든 기회를 통해 빌 게이츠가 추가적인 연습시간을 얻었다는 것이다.
매일을 투자하여 실력을 쌓게 되고 그 결과 현재의 빌 게이츠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다.
[ 특별한 기회, 그리고 부자들의 타이밍 ]
하키선수들과 비틀스, 빌 조이, 빌 게이츠의 이야기를 한데 모아놓으면 성공에 대해 더욱 완벽한 그림이 그려진다.
조이와 게이츠, 그리고 비틀스는 모두 재능을 타고났다. 비틀스의 음악적 재능은 한 세대에 한번 나올 만하고,
빌 조이는 앞서 말한 것처럼 순식간에 복잡한 알고리즘을 완성시켜 지도교수들을 놀라게 했다.
그건 확실히 재능이다.
하지만 그들의 역사를 구분 짓는 진정한 요소는 그들이 지닌 탁월한 재능이 아니라 그들이 누린 ‘특별한 기회’이
CONTENTS미국에서 가장 똑똑한 사나이의 딜레마
어린 천재 집단의 미래
직관에 위배되는 지능과 성공의 상관관계
사라진 상상력은 어디로 갔는가
천재는 있다, 단지 꿈속에만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1]
04
CONTENTS랭건의 비참한 어린시절 이야기
재능을 알리는 능력,그리고 통찰력
실용 지능, 사회가 사랑하는 인간의 요건
집중 양육의 최대수혜자, 오펜하이머
터마이트 730인의 기록, 가정환경이라는 재앙
천재성에 대한 최고의 역설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2]
천재
성공
사
회환경수준
능력
지능
1부_기회 [Opportunity]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1]
보통 사람들이 갖고 있는 IQ가 높은 사람이 성공할 것이
라는
편견을 노벨상 수상자의 출신학교 등의 데이터를 통해서
높은 IQ가 반드시 성공을 보장한다는 선입견을 깨뜨리고
있다.
“한 소년의 높은 IQ는 수많은 영리한 소년과 만났을 때 거의 도움이 되지않는다.”
성공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IQ는 충분 조건이며, 높은 IQ는 상대적 평가기
준일 뿐
필요조건이 아니다. 충분조건을 갖추었다면, 거기에 상상력을 동원하면 성공률이
상승
할 것이며 지능보다는 기회가 중요 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04 CONTENTS
불행한 환경에서 태어난 천재 랭건과 부유하고 좋은 문화 속에서 성장한 천재 과학자 오펜하
이머의 비교를 통해서 천재는 IQ 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서 설명하고 있다.
1부_기회 [Opportunity]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2]
천재적인 지적 능력을 갖췄지만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자본이나 실용지능이 없었고 주목 받을만한 성
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도 소유하지 못했다. 시골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무책임한 부모 밑에서 자란 크리
스랭건과
도회적 배경에서 성공한 사업가이자 화가인 아버지를 두었고 부유한 사람들과 이웃하며 자란 오펜하이
머는
성공에 필요한 실용지능을 맘껏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진정한 성공?
랭건은 과거에 건설현장을 떠돌거나 배를 타고 고군분투하는 생활을 보냈고 현재는 목장
과 읽을 수 있는 책, 사랑하는 아내가 있어 만족하고 있다고 했다.
자신이 개발을 주도한 원자폭탄의 가공할 위력 앞에서 양심의 가책에 시달렸다는 오페하
이머의
성공과 랭건의 성공이 비교되고 있는데, 랭건은 충분히 행복한 사람, 남들의 시선과 상관
없이 나름의 성공을 누린 사람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04
CONTENTS
지독한 가난 속에 핀 성공, 그 흔해 빠진 이야기
환경의 중요성, 공짜 성공은 없다
끔찍하게 불평등한 현실과 스타 변호사
세상이 변했다, 그리고 기회가 왔다
유태인이 뉴욕에서 변호사로 일하기 좋은 시대
대공황의 통계학
성공을 결정짓는 마법의 타이밍
“여보, 이건 우리 사업이야”
신세계를 압도하는 독보적 기술
내가 원하는 대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가장 우아하고 인상적인 가계도
환경과 기회의 강력한 조합
5장
조셉플롬에게 배우는 세가지 교훈
[The Three Lessons of Joe Flom]
교훈
기회
환
경배경불평등
타이밍
가난
04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5장 조셉 플롬에게 배우는 세가지 교훈 [The Three Lessons of Joe Flom]
“성공은 환경과 기회의 조합으로부터 오는 것이고 열정과 추진력 위에 이 세가지 교훈의
장점을 얹으면 최고가 되는 것이다.”
유태인이라는
정체성
통계학적 행
운
가치 있는 일
을
하고 있다는
믿음
첫 번째 교훈 : 유태인이라는 정체성
20년간 기술울 연마하는 동안 세상이 바뀌
었고 그는 완벽히 준비된 상태였다.
두 번째 교훈 : 통계학적 행운
집안 배경이 탄탄하거나 충분한 능
력, 인격적 요소, 아니면 이 모든 것
을 갖춰야 한다. 아웃라이어에게는
그늘에 매장되는 것이 오히려 황금
같은 기회로 이어지고는 한다.
세 번째 교훈 :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 믿음
가치 있는 일=>자율성· 복잡성 · 노
력과 결과의 연관성.
열심히 일하고 스스로를 책임지며
사고력과 상상력을 발휘하면 자신이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는 교훈이
다.
04
CONTENTS그해 여름, 괌에서 생긴 일
아비앙카 52편 추락의 비밀
무거운 침묵에 둘러싸인 조종석
생사를 결정짓는 의사소통력
지나가는 말투와 비상사태 사이에서
완곡어법과의 싸움
실수보다 더 중요한 구조적인 문제
문화적 특성과 추락 사고의 연관성
잔 고장, 날씨, 그리고 피곤함
세 가지 요인보다 더 큰 요인의 발견
실패에서 성공으로 이끌어내는 길
다시 고 어라운드
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The Ethnic Theory of Plane crashes]
04
CONTENTS
두 집안 사이에 벌어진 피의 총격전
명예 문화에 젖은 어둠의 나날들
모욕에 반응하는 폭력의 작동방식
소멸 이후에도 살아남는 문화적 유산의 힘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Harlan Kentucky]
문화
명예
성
공실패의사소통
어법
말투
04 CONTENTS
2부_유산 [Legacy]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Harlan Kentucky]
명예문화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욱 하는 성질의 신사가 누군가를 쏘는 일은 개인
적 모욕에 대한 적절한 반응으로 인정받는다. 그런 환경에서는 심지어 살인까지도
유죄로 보지 않는다. 물론 다른 문화 집단에 대해서 성급한 일반화를 하는 것은 옳
지 않다. 고정관념, 문화적 유산의 힘은 강력하며 뿌리 깊게 박혀 있어 세대를 넘
어 지속되고, 나아가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우리의 태도와
행동을 결정한다.
CONTENTS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The Ethnic Theory of Plane crashes]
비행기 추락사고 중 기장과 부기장의 문화적 성향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오류를 범한 사
례를 통해 개인은 자신이 속한 문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게 해준다.
대한항공 801편의 추락은 한국의 PDI(특정 문화가 위계질서와 권위를 얼마나 존중하는
지를 나타내는 권력 간격 지수)가 높아 전달 내용을 부드럽게 하거나 상대편의 감정을 상
하지 않게 하려 ‘완곡어법’을 택한 문화적 배경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04
CONTENTS쌀은 생명이다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수리력의 비밀
1년에, 3,000을 일하는 쌀농사꾼
벼 농사를 짓는 사람은 부지런 할 수밖에 없다?
수학을 배우는 과정
재능보다 태도가 중요하다
벼농사 문화와 수학실력의 놀라운 상관관계
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Rice Paddies and Math Tests]
04
CONTENTS뉴욕이 사랑하는 공립학교
노력과 휴식은 병행되어야 하는가
긴 여름방학의 페해와 쌀 농사 문화의 교훈
수학 때문에 울던 아이가 회계를 전공한다고?
화려하지 않은 일상 속으로
21세기, 마리타의 기적을 꿈꾸다
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Marita’s Bargain]
태도
과정
기
적노력상관관계
휴식
끈기
04 CONTENTS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Rice Paddies and Math Tests]
2부_유산 [Legacy]
쌀농사를 통해 그 일에서 삶의 가치를 찾는 문화가 자리잡은 나라들은 노력과 끈기에 가
장 큰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로 숫자체계가 규칙적 이라는 것과 벼농사 문화와 깊
은 관련이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
쌀 농사를 통해 형성된 문화의 최고 장점은 그 어려운 일 속에서도 가치를 찾아낸다는 것
이다.
끈기가 필요한 수학문제를 제시하여 풀게 한 다음 결과를 보니, 상위권에 있는 나라는 싱
가포르, 한국, 대만, 홍콩, 일본이었다.
이 나라들은 논에 물을 대는 쌀 농사를 지어왔고 그 일에서 삶의 가치를 찾는 문화가 자
리잡았다는 공통점들이 있다.
“1년 내내 해뜨기 전에 일어날수 있다면 어찌 부자가 못되리”
쌀농사 문
화
끈기·성실 수학 끈질기게 도전
04 CONTENTS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Marita’s Bargain]
2부_유산 [Legacy]
성공은 주어지는 것이며 성공하는 사람은 기회를 얻는다.
이처럼 기회가 모두에게 동등하게 주어진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성공할 수 있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마리타는 중,상류층 학생들처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키프 프로그램은 이러한 가난한 학생들에게 그곳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리타는 키프에 다니면서 저녁시간과 주말, 친구들을 포기하고 새벽 5시 45분에 일어나
며
토요일에도 학교를 가고 밤11시까지 숙제를 하며 가족 중 최초의 대학생이 된다.
마리타에게는 번쩍거리는 시설과 넓은 운동장이 아닌
그저 기회가 필요했고,
그녀에게는 그 기회를 움켜잡을 힘과 마음자세가 있었다
기존의 자기계발서를 읽다 보면 ‘성공’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춰서 방법을 제시하는
뻔한 스토리를 볼 수 있는데 이 책은 첫 장부터 “우리가 성공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전부
틀렸다”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혼란을 주면서 동시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가장 인상 깊게 본 것은 1만시간의 법칙 부분인데, 아웃라이어가 되기 위해서는 하루 3시
간씩 10년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읽고, 내가 지금까지 나태하게, 게으르게 인생을 보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되고 반성을 한 계기가 된 것 같다. 물론 재능이 타고 나야 하는 것
도 있지만 그만큼 자신의 노력이 없었다면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다.
자기계발서를 보면 항상 힘겨운 상황을 이겨내고 성공한다는 사례가 많은데 생각해보니
그런 힘든 상황자체가 그들에게는 기회였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이 책에서의 성공은 타고난 재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개인의 노력 뿐만이 아니라 출생과
성장환경, 시대,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기회의 조합으로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성공하고 싶다고 무조건 자기의 꿈만 쫓을 것이 아니라 성공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를 만
드는데 힘을 합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해 볼 수 있고 되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되었던 것
같았다.
만약 나에게 기회가 찾아 왔을 때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라는 생
각했고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성공하는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마음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불공평하다고 외치기전에 자신에게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천재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감상
THANK YOU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11140032 최정은 아웃라이어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장휴 유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
daumfoundation
 
11월 지혜의공간ii
11월 지혜의공간ii11월 지혜의공간ii
11월 지혜의공간ii
Dong-Joon Kim
 
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
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
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Vantharith Oum
 
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
Dong-Joon Kim
 
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
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
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
Jean Jeong
 
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
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
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
Ji Young Kim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
Jahee Lee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Youngju Oh
 
프리Free (13장-16장) 발제
프리Free (13장-16장) 발제프리Free (13장-16장) 발제
프리Free (13장-16장) 발제
Jungpyo, JP Lee
 

Similar to 211140032 최정은 아웃라이어 (10)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스마트시니어민주시민으로살아가기 노준식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
[제12회 인터넷 리더십] 우리가 만날 미래와 미래를 위한 교육_정지훈
 
11월 지혜의공간ii
11월 지혜의공간ii11월 지혜의공간ii
11월 지혜의공간ii
 
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
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
24회+고급 2교시(듣기-읽기)b형
 
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
 
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
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
마지막 키노트. 배려의 혁명. 실리콘밸리만의 성공의 비밀은? Civilization 문명의 차이는?
 
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
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
나는 거대한 꿈을 꿨다(2012년11월)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
Range 경험과 사고의 폭 1.pdf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모두를 위한 메이커 교육 Maker Education for All (Feb 2018, Korean)
 
프리Free (13장-16장) 발제
프리Free (13장-16장) 발제프리Free (13장-16장) 발제
프리Free (13장-16장) 발제
 

211140032 최정은 아웃라이어

  • 1. 211140032 최 정 은 아웃라이어 말콤 글래그웰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O U T L I E R S
  • 2. 1984, 토론토대학교를 졸업하고 저널리즘계에 뛰어들기 위해 미국으로 갔다.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세상의 다양한 패턴과 행동양식, 심리적 아이디어로 가득 찬 기사들을 썼다. 훗날 그 기사들은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21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저널리스트의 반열에 오르게 했다. 그의 저서로는 『티핑포인트』 『블링크-첫 2초의 힘』 이 있다. 말콤 글래드웰 [Malcolm gladwell] 아웃라이어 out · li · er/-,li(-∂)r/명사 1.본체에서 분리되거나 따로 분류되어있는 물건 2.표본 중 다른 대상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통계적 관측치 소개
  • 3. 1장 마태복음 효과 2장 1만 시간의 법칙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CHAPTER 5장 조셉 플롬에게 배우는 세가지 교훈 1부_기회 [Opportunity]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2부_유산 [Legacy]
  • 4. 01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 1장 미스터 하키로 성공하는 법 법칙에 돌을 던져라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 생일이 빠른 아이들과 하키의 상관관계 누적적 이득의 치명적 효과 또래 중 가장 큰 아이라는 특권 02 CONTENTS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멍청한 학생에서 천재 프로그래머로 진정한 아웃라이어가 되기 위한 매직넘버 첫 번째 증거 : 밤샘 프로그래밍의 기억, 빌 조이 두 번째 증거 : 비틀스, 차별화된 밴드의 비밀 세 번째 증거 : 행운의 여신, 빌 게이츠를 쏘다 특별한 기회, 그리고 부자들의 타이밍 기회 성공 시 대환경1만시간 법칙 노력
  • 5.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_마태복음 25장 29 절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 1980년대 중반 캐나다 심리학자 로저 반슬리(Roger Barnsley)는 캐나다 메이저주니어 리그 소속팀인 메디슨 햇 타이거스 선수들의 명부를 보고 어떤 현상에 주목했다. 25명의 선수 중 1,2,3 월 생이 월등히 많다는 점이다. 그것은 우연한 결과가 아니라 캐나다 하키를 지배하는 철의 법칙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1~3월생이 많은 이유는 캐나다에서 1월 1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고 그에 맞춰 하키 클래스를 짜기 때문이 다. 중요한 점은 사춘기 이전의 열 두달이라는 기간이 엄청난 신체발달의 차이를 낳는다는 것이다. 1부_기회 [Opportunity]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1장
  • 6. 숨겨진 이점 & 특별한 기회 연령대를 기준으로 선발하고 분류하고 차별적으로 대하면 특정시기 아이들이 집 중적으로 혜택 수혜 선별기준 9~10세 사이의 소년을 대상으로 후보를 찾음 나이 캐나다는 1월 1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림 생일이 빠른 아이들과 하키의 상관관계 1부_기회 [Opportunity]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1장 하키와 빠른 생일 이야기는 성공과 어떤 연관이 있을까? 지금까지 살펴본 이야기는 정상에 오르는 아이들이 가장 똑똑하고 재능이 많다는 통념을 뒤집는다. 물론 프로 하키선수들은 훨씬 더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매우 이른 시기부터 좋은 출발을 했고 그것은 그들이 노력을 통해 얻거나 마땅히 받아야 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바로 그 기회가 그들의 성공에 결정적이었다. 로버트 머튼은 이러한 현상을 마태복음의 유명한 구절을 따 ‘마태복음 효과’라고 불렀다.
  • 7. 1부_기회 [Opportunity] 마태복음 효과 [The Matthew Effect]1장 먼저 태어난 아이들이 받는 작은 이익에서 발생 → 성취감과 용기는 계속 축적 → 어린 나이에 똑똑한 학생보다 똑똑해 보이는 학생들에 선발 → 우등교실이라는 곳에서 최고의 학습 시스템으로 교육 → 후에 태어난 아이들은 유리한 아이들에 치어 좌절과 낙담이라는 작은 불이익 발생 이러한 것들이 누적 되다 보면 결국 거대한 효과 결국 ‘가진 자는 더 갖게 되고 못 가진 자는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마저 뺏긴다는 것” → 같은 발육단계의 아이들이 공정한 기회를 가지고 경쟁할 환경이 필요함 꼭 환경적 요인만이 성공에 필수요소라는 말은 아니다 즉, 아웃라이어들은 그들의 재능과 노력에 바탕을 두고 자신들에게 찾아온 ‘기회’를 잡은 것이다. 하키선수들 또한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했더라도 그들의 능력을 키울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결국 뒤에서 출발한 선수들에게 잡혔을 것이다. 성취감 용기 작은 이익 좌절 낙담 작은 불이익 누적적 이득의 치명적 효과
  • 8. Magic Number 02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최고의 천재라 불리는 모차르트는 실제로 그가 뛰어난 협주곡을 써내기 시작한 것은 작곡경력이 10년 정도 되는 시점이었다. 실제로 여러 사람의 사례를 검토해보니, 재능이 제대로 꽃을 피우려면 적어도 1만 시간이라는 땀방울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선마이크로 시스템을 공동 창업한 빌 조이, 유명한 밴드 비틀즈,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 츠 모두 1만시간을 연습에 투자할 기회를 얻었다. 어른이 아닌 아이가 1만 시간이라는 막대한 시간을 어딘가에 쏟아부으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는데 바로 ‘사회에서 제공하는 기회’라는 점이다. 비틀즈가 1만 시간을 얻은 것은 함부르크라는 지방에 갔을 때, ‘우연히’ 누군가를 만나서 날마다 여덟시간씩 연주할 기회를 얻었다. 빌 게이츠와 빌 조이도 마찬가지로’우연’과 비슷한 행운으로 컴퓨터가 무척 귀하던 시절에 남들보다 훨씬 일찍부터 컴퓨터와 가깝게 지낼 기회를 얻었다. 1만 시간이라면, 하루에 3시간씩 10년간 투자해야 나온다.
  • 9. 02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 첫 번째 증거 : 밤샘 프로그래밍의 기억, 빌 조이 ] 빌 조이는 전산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지만 운 좋게도 미시건 대학처럼 미래를 내 다보는 학교에 입학해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에 버그가 발 생해 원하는 만큼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었고 24시간 컴퓨터 센터를 열어두겠다는 결정 덕분에 밤이 샐 때까지 프로그래밍을 하며 실력을 키워온 인물이다. 이 때 쌓아 온 내공을 바탕으로 리눅스, 자바 분야에서 이름을 떨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빌 조이는 명석했고 배우고자 했던 열의가 많았지만 그가 전문가가 될 수 있었 던 것은 ‘기회’ 가 주어졌기 때문이다. 빌 조이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이고 실리콘밸리 핵심기업인 썬 마이크로 시스템사의 공동 창립자이다. [ 두 번째 증거 : 비틀스, 차별화된 밴드의 비밀 ] 비틀즈 1960년 영국에서 결성된 록 밴드이다. 비틀즈의 음악은 로큰롤에 기반하여 출발하였으나, 이후 포크 록, 싸이 키델릭 록, 하드 록 등 여러 장르들의 탄생과 발전에 영향을 미쳤고, 각 장르의 다양한 음악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지금과 같은 연주와 노래 실력, 팀워크를 이루게 된 이유는 함부르크에서 하루에서 매일 밤 8시간씩 밴드 공연을 하였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들이 공연을 한 곳은 스트립 쇼를 하는 공연장이었는데 그들 의 공연이 주가 된 곳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매일 밤 엄청난 양의 공연을 하면서 다양한 연주방법 을 시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실력을 키울 수 있었다고 말한다.
  • 10. 02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2장 1만 시간의 법칙 [The 10,000 – Hour Rule] [ 세 번째 증거 : 행운의 여신, 빌 게이츠를 쏘다 ] 빌 게이츠 어렸을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좋아했던 그는 하버드대학교를 다니다 중퇴하고 폴 앨런과 함께 세계적인 기업 마이크로소프트를 공동 설립했 다. 빌 게이츠는 빌 조이보다 독특한 기회와 행운의 연속 속에서 살아왔다. 부유한 부모 덕분에 레이크사이드로 보내졌다. 레이크사이드의 어머니들이 비싼 컴퓨 터의 사용료를 낼 수 있을 만큼 여유로웠다. 또한, 워싱턴 대학에서 새벽 세 시에서 여섯 시까지 컴퓨터를 공짜로 사용할 수 있었다. 펨브로크가 알고 있는 최고의 프로그래머는 빌 게이츠를 포함 한 두 명의 고등학생이었다. 레이크사이드 고등학교가 학교에서 벗어 나 프로그래밍에 매진하는 것을 허락해 주었다. 이 모든 행운에 공통되는 요소는 무엇일까? 바로 그 모든 기회를 통해 빌 게이츠가 추가적인 연습시간을 얻었다는 것이다. 매일을 투자하여 실력을 쌓게 되고 그 결과 현재의 빌 게이츠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다. [ 특별한 기회, 그리고 부자들의 타이밍 ] 하키선수들과 비틀스, 빌 조이, 빌 게이츠의 이야기를 한데 모아놓으면 성공에 대해 더욱 완벽한 그림이 그려진다. 조이와 게이츠, 그리고 비틀스는 모두 재능을 타고났다. 비틀스의 음악적 재능은 한 세대에 한번 나올 만하고, 빌 조이는 앞서 말한 것처럼 순식간에 복잡한 알고리즘을 완성시켜 지도교수들을 놀라게 했다. 그건 확실히 재능이다. 하지만 그들의 역사를 구분 짓는 진정한 요소는 그들이 지닌 탁월한 재능이 아니라 그들이 누린 ‘특별한 기회’이
  • 11. CONTENTS미국에서 가장 똑똑한 사나이의 딜레마 어린 천재 집단의 미래 직관에 위배되는 지능과 성공의 상관관계 사라진 상상력은 어디로 갔는가 천재는 있다, 단지 꿈속에만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1] 04 CONTENTS랭건의 비참한 어린시절 이야기 재능을 알리는 능력,그리고 통찰력 실용 지능, 사회가 사랑하는 인간의 요건 집중 양육의 최대수혜자, 오펜하이머 터마이트 730인의 기록, 가정환경이라는 재앙 천재성에 대한 최고의 역설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2] 천재 성공 사 회환경수준 능력 지능
  • 12. 1부_기회 [Opportunity] 3장 위기에 빠진 천재들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1] 보통 사람들이 갖고 있는 IQ가 높은 사람이 성공할 것이 라는 편견을 노벨상 수상자의 출신학교 등의 데이터를 통해서 높은 IQ가 반드시 성공을 보장한다는 선입견을 깨뜨리고 있다. “한 소년의 높은 IQ는 수많은 영리한 소년과 만났을 때 거의 도움이 되지않는다.” 성공을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IQ는 충분 조건이며, 높은 IQ는 상대적 평가기 준일 뿐 필요조건이 아니다. 충분조건을 갖추었다면, 거기에 상상력을 동원하면 성공률이 상승 할 것이며 지능보다는 기회가 중요 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13. 04 CONTENTS 불행한 환경에서 태어난 천재 랭건과 부유하고 좋은 문화 속에서 성장한 천재 과학자 오펜하 이머의 비교를 통해서 천재는 IQ 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서 설명하고 있다. 1부_기회 [Opportunity] 4장 랭건과 오펜하이머의 결정적 차이 [The Trouble with Geniuses, Part 2] 천재적인 지적 능력을 갖췄지만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자본이나 실용지능이 없었고 주목 받을만한 성 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도 소유하지 못했다. 시골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무책임한 부모 밑에서 자란 크리 스랭건과 도회적 배경에서 성공한 사업가이자 화가인 아버지를 두었고 부유한 사람들과 이웃하며 자란 오펜하이 머는 성공에 필요한 실용지능을 맘껏 개발할 수 있는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진정한 성공? 랭건은 과거에 건설현장을 떠돌거나 배를 타고 고군분투하는 생활을 보냈고 현재는 목장 과 읽을 수 있는 책, 사랑하는 아내가 있어 만족하고 있다고 했다. 자신이 개발을 주도한 원자폭탄의 가공할 위력 앞에서 양심의 가책에 시달렸다는 오페하 이머의 성공과 랭건의 성공이 비교되고 있는데, 랭건은 충분히 행복한 사람, 남들의 시선과 상관 없이 나름의 성공을 누린 사람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 14. 04 CONTENTS 지독한 가난 속에 핀 성공, 그 흔해 빠진 이야기 환경의 중요성, 공짜 성공은 없다 끔찍하게 불평등한 현실과 스타 변호사 세상이 변했다, 그리고 기회가 왔다 유태인이 뉴욕에서 변호사로 일하기 좋은 시대 대공황의 통계학 성공을 결정짓는 마법의 타이밍 “여보, 이건 우리 사업이야” 신세계를 압도하는 독보적 기술 내가 원하는 대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가장 우아하고 인상적인 가계도 환경과 기회의 강력한 조합 5장 조셉플롬에게 배우는 세가지 교훈 [The Three Lessons of Joe Flom] 교훈 기회 환 경배경불평등 타이밍 가난
  • 15. 04 CONTENTS 1부_기회 [Opportunity] 5장 조셉 플롬에게 배우는 세가지 교훈 [The Three Lessons of Joe Flom] “성공은 환경과 기회의 조합으로부터 오는 것이고 열정과 추진력 위에 이 세가지 교훈의 장점을 얹으면 최고가 되는 것이다.” 유태인이라는 정체성 통계학적 행 운 가치 있는 일 을 하고 있다는 믿음 첫 번째 교훈 : 유태인이라는 정체성 20년간 기술울 연마하는 동안 세상이 바뀌 었고 그는 완벽히 준비된 상태였다. 두 번째 교훈 : 통계학적 행운 집안 배경이 탄탄하거나 충분한 능 력, 인격적 요소, 아니면 이 모든 것 을 갖춰야 한다. 아웃라이어에게는 그늘에 매장되는 것이 오히려 황금 같은 기회로 이어지고는 한다. 세 번째 교훈 :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는 믿음 가치 있는 일=>자율성· 복잡성 · 노 력과 결과의 연관성. 열심히 일하고 스스로를 책임지며 사고력과 상상력을 발휘하면 자신이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는 교훈이 다.
  • 16. 04 CONTENTS그해 여름, 괌에서 생긴 일 아비앙카 52편 추락의 비밀 무거운 침묵에 둘러싸인 조종석 생사를 결정짓는 의사소통력 지나가는 말투와 비상사태 사이에서 완곡어법과의 싸움 실수보다 더 중요한 구조적인 문제 문화적 특성과 추락 사고의 연관성 잔 고장, 날씨, 그리고 피곤함 세 가지 요인보다 더 큰 요인의 발견 실패에서 성공으로 이끌어내는 길 다시 고 어라운드 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The Ethnic Theory of Plane crashes] 04 CONTENTS 두 집안 사이에 벌어진 피의 총격전 명예 문화에 젖은 어둠의 나날들 모욕에 반응하는 폭력의 작동방식 소멸 이후에도 살아남는 문화적 유산의 힘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Harlan Kentucky] 문화 명예 성 공실패의사소통 어법 말투
  • 17. 04 CONTENTS 2부_유산 [Legacy] 6장 켄터키주 할란의 미스터리 [Harlan Kentucky] 명예문화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욱 하는 성질의 신사가 누군가를 쏘는 일은 개인 적 모욕에 대한 적절한 반응으로 인정받는다. 그런 환경에서는 심지어 살인까지도 유죄로 보지 않는다. 물론 다른 문화 집단에 대해서 성급한 일반화를 하는 것은 옳 지 않다. 고정관념, 문화적 유산의 힘은 강력하며 뿌리 깊게 박혀 있어 세대를 넘 어 지속되고, 나아가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우리의 태도와 행동을 결정한다. CONTENTS7장 비행기 추락에 담긴 문화적 비밀 [The Ethnic Theory of Plane crashes] 비행기 추락사고 중 기장과 부기장의 문화적 성향으로 커뮤니케이션의 오류를 범한 사 례를 통해 개인은 자신이 속한 문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게 해준다. 대한항공 801편의 추락은 한국의 PDI(특정 문화가 위계질서와 권위를 얼마나 존중하는 지를 나타내는 권력 간격 지수)가 높아 전달 내용을 부드럽게 하거나 상대편의 감정을 상 하지 않게 하려 ‘완곡어법’을 택한 문화적 배경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 18. 04 CONTENTS쌀은 생명이다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 수리력의 비밀 1년에, 3,000을 일하는 쌀농사꾼 벼 농사를 짓는 사람은 부지런 할 수밖에 없다? 수학을 배우는 과정 재능보다 태도가 중요하다 벼농사 문화와 수학실력의 놀라운 상관관계 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Rice Paddies and Math Tests] 04 CONTENTS뉴욕이 사랑하는 공립학교 노력과 휴식은 병행되어야 하는가 긴 여름방학의 페해와 쌀 농사 문화의 교훈 수학 때문에 울던 아이가 회계를 전공한다고? 화려하지 않은 일상 속으로 21세기, 마리타의 기적을 꿈꾸다 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Marita’s Bargain] 태도 과정 기 적노력상관관계 휴식 끈기
  • 19. 04 CONTENTS8장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 [Rice Paddies and Math Tests] 2부_유산 [Legacy] 쌀농사를 통해 그 일에서 삶의 가치를 찾는 문화가 자리잡은 나라들은 노력과 끈기에 가 장 큰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아시아인이 수학을 더 잘하는 이유로 숫자체계가 규칙적 이라는 것과 벼농사 문화와 깊 은 관련이 있다고 얘기하고 있다. 쌀 농사를 통해 형성된 문화의 최고 장점은 그 어려운 일 속에서도 가치를 찾아낸다는 것 이다. 끈기가 필요한 수학문제를 제시하여 풀게 한 다음 결과를 보니, 상위권에 있는 나라는 싱 가포르, 한국, 대만, 홍콩, 일본이었다. 이 나라들은 논에 물을 대는 쌀 농사를 지어왔고 그 일에서 삶의 가치를 찾는 문화가 자 리잡았다는 공통점들이 있다. “1년 내내 해뜨기 전에 일어날수 있다면 어찌 부자가 못되리” 쌀농사 문 화 끈기·성실 수학 끈질기게 도전
  • 20. 04 CONTENTS9장 마리타에게 찾아온 놀라운 기회 [Marita’s Bargain] 2부_유산 [Legacy] 성공은 주어지는 것이며 성공하는 사람은 기회를 얻는다. 이처럼 기회가 모두에게 동등하게 주어진다면, 더 많은 사람들이 성공할 수 있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마리타는 중,상류층 학생들처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없었다. 그래서 키프 프로그램은 이러한 가난한 학생들에게 그곳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리타는 키프에 다니면서 저녁시간과 주말, 친구들을 포기하고 새벽 5시 45분에 일어나 며 토요일에도 학교를 가고 밤11시까지 숙제를 하며 가족 중 최초의 대학생이 된다. 마리타에게는 번쩍거리는 시설과 넓은 운동장이 아닌 그저 기회가 필요했고, 그녀에게는 그 기회를 움켜잡을 힘과 마음자세가 있었다
  • 21. 기존의 자기계발서를 읽다 보면 ‘성공’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맞춰서 방법을 제시하는 뻔한 스토리를 볼 수 있는데 이 책은 첫 장부터 “우리가 성공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전부 틀렸다”라고 당당하게 말하고 혼란을 주면서 동시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가장 인상 깊게 본 것은 1만시간의 법칙 부분인데, 아웃라이어가 되기 위해서는 하루 3시 간씩 10년을 투자해야 한다는 것을 읽고, 내가 지금까지 나태하게, 게으르게 인생을 보낸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되고 반성을 한 계기가 된 것 같다. 물론 재능이 타고 나야 하는 것 도 있지만 그만큼 자신의 노력이 없었다면 성공할 수 없었을 것이다. 자기계발서를 보면 항상 힘겨운 상황을 이겨내고 성공한다는 사례가 많은데 생각해보니 그런 힘든 상황자체가 그들에게는 기회였던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다. 이 책에서의 성공은 타고난 재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개인의 노력 뿐만이 아니라 출생과 성장환경, 시대,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기회의 조합으로 이룰 수 있다고 한다. 성공하고 싶다고 무조건 자기의 꿈만 쫓을 것이 아니라 성공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를 만 드는데 힘을 합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해 볼 수 있고 되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되었던 것 같았다. 만약 나에게 기회가 찾아 왔을 때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라는 생 각했고 그래서 지금부터라도 성공하는 기회를 잡을 수 있는 마음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불공평하다고 외치기전에 자신에게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천재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