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1C 과학·기술·공학인의 시대정신




LUG(Linux User Group, Leaders United Group) http://www.lug.or.kr
          한국LUG 과학기술공학인 커뮤니티 회장 김태용
                           2011.11
Stay Hungry. Stay Foolish.
• 스티브잡스 - 2005년 스탠포드 대학교 졸업식




                               2
Hungry!
•   非이공계열(인문, 사회, 경영계열 등)
    –    인간사이의 소통 학습, 사고와 인간 관리 학습 및 연구
    –    이공계열의 과학과 기술은 돈으로 사면된다는 인식
    –    자기 주도적 어려움 -> Hungry -> 모임 활성화(상류)
•   이공계열
    –    기계, 환경 관리 학습, 기계와 환경과의 소통 학습 및 연구
    –    자기 주도적, Smart
    –    그러나 인간사이의 소통 부재, 융합적 사고의 비유연성, 장기적 플랜의 부재
    –    현재의 수 많은 과기공 이론들은 인간과 사회 구조의 장점을 적용 중이지만, 좀 더 심도 있는 인간과
         사회의 연구가 필요
    –    Hungry -> Small Project로 달래기 -> 이공계열간의 경쟁 유도(이공계열들 간의 적대감 유도?) -> 모
         임 非활성화(하류)
•   결과
    –    어떤 프로젝트든 실행 및 실천은 이공계가 하지만, 그 성과는 非이공계열이 가져감으로써 모순


                                               상류, 사회 지도층
                                   非이공계

                                                        하류, SCV
                                    이공계                 (Space Construction Vehicle)



                                                                                       3
Terran-SCV & Zerg-Zergling

Terran-SCV      Zerg-Zergling



          transformation




                                4
The Architecture of Participation
            (Linux, Firefox, Apache ...)

• Modularity in design, Modular Structure.
                   H/W, S/W                [Current]
     Operating                      Politics is monolithic.

      System          Member
                      Module
                      ...
                      ...
        &             ...
                      ...
                      ...
      Nation          ...                     [After]
                                    Politics is participation
      System                            and modulation
                                       and distribution.
        Glue System
                                                                5
대한민국 국회의원 이공계 현황

      2011년, 현 정부의 국회의원 수               강기정 - 전기공학
                                        김진애 - 건축학, 도시계획
           295명 중 12명                   박근혜 - 전자공학
                                        박영아 - 물리학
          이공계는 4.06%                    배은희 - 미생물학
300                                     서상기 - 금속공학
250                                     유원일 - 기계공학
200                                     이용경 - 전기, 전자공학
150                                     이찬열 - 기계공학
                           非이공계         정갑윤 - 산업관리공학
100
                           이공계          조경태 - 토목공학
 50
                                        한선교 - 물리학
  0
       非이공계    이공계

                 http://www.assembly.go.kr
                                                          6
대한민국 고위공직자 이공계 현황

       2011년, 현 정부의 실·국장 수(10배 차이)
300
250
200
150
                                     非이공계
100
                                     이공계
 50
  0
       非이공계             이공계

고위관리직에 진출한 이공계인사의 수보다 이공계 및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없는 것과 비전 제시가 없는 것이 더욱 큰 문제
                                        7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
• 2008년 2월

  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부활/재건?

                                  8
국가 기여도
• 21C 한반도 국가 기반
  – 1차적으로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 -> 2차적으로 복지
    • 한반도 자원 부족 -> 생산, 연구개발, 수출(과학기술공학인 중심)
    • 이공계 처우 개선 절실

                  국가 기여도


                  비이공계

                                      비이공계
            이공계                       이공계




                                              9
(Mental) Attitude
       A+T+T+I+T+U+D+E
  1+20+20+9+20+21+4+5 = 100%




태도는 모든 것이다.




바꾸라 당신의 태도를 그리고 당신의 인생을 변화시켜라.

                                 10
결론
   Hungry!             이공계의 다양한 인문학 학습과
                       모임 활성화, 한 목소리 필요



               Meeting &
               Gathering


전문적 과학·기술·공학인에게 비전을...      Vision & Dream
예비 과학·기술·공학인에게 희망을...
전문적 과학·기술·공학인을 사회지도층으로...      -> Power!

                                          11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
           http://cafe.naver.com/stengine

제1조 (목적)

1. 본 포럼은 대한민국의 과학인·기술인·공학인의 권익을 보
호, 증진하는데 기여하고, 국가 과학 기술 정책을 제언한다.

2. 본 포럼은 과학인·기술인·공학인의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하
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한다.

제2조 (명칭)

본 포럼의 명칭은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이라 한다.
(이하 “한국과기공포럼”이라 칭한다.)


                                            12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
           http://cafe.naver.com/stengine

제3조 (사업)

본 포럼은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1. 과학·기술·공학 정책 발굴/참여/연구 수행
2. 과학·기술·공학인의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및 제언
3. 온/오프라인을 통한 토론 및 세미나 개최
4. 이공계 저변확대를 위한 교육 및 지원




                                            13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
 http://cafe.naver.com/stengine




                                  14
감사합니다.     2011.11



    Great Dragon, Kim
    multikty@gmail.com
    multikty@facebook.com

                        15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김태용 회장 - 21 c 과학·기술·공학인의 시대정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Heung-No Lee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Soojin Shin
 
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
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
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cheolhwa
 
01 smart work smart society
01 smart work smart society01 smart work smart society
01 smart work smart societycheolhwa
 
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
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
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Han Woo PARK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Jinsoo Kim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Han Woo PARK
 
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
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
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
Kyoung Jun Lee
 
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
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
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
nkrefugee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Sci Feel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Hanbat National Univerisity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Han Woo PARK
 
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
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
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
JeongHeon Le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Heung-No Lee
 
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atelier t*h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Hanbat National Univerisity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Connect Knowledge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Webometrics Class
 

Similar to 김태용 회장 - 21 c 과학·기술·공학인의 시대정신 (20)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인공지능 거점도시> 광주육성을 위한 지자체와 대학의 역할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이공계조직화와국가발전V1.0
 
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
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
Smart work and society 2012 발표자료 모음
 
01 smart work smart society
01 smart work smart society01 smart work smart society
01 smart work smart society
 
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
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
식품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24 nov2011)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
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
2013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rogram(11.8.금.한국과학기술회관)
 
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
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
130724 과학계포럼 자료집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제102차 오픈포럼 발제자료] 20대 국회에 과학기술을 묻는다 (160527)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출연(연) 과학기술자의 현재와 미래
 
Swcs2013
Swcs2013Swcs2013
Swcs2013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구현 전략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연구업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16 sep2014)
 
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
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
제19회 정보통신응용기술워크숍(ICAT 2014) 리플렛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Keit 13-05-이슈2(고령친화형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시사점)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과학과 기술의 공진화를 통한 과학의 추격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Privacy On Media: Social Media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
인터넷소셜미디어개론4
 

김태용 회장 - 21 c 과학·기술·공학인의 시대정신

  • 1. 21C 과학·기술·공학인의 시대정신 LUG(Linux User Group, Leaders United Group) http://www.lug.or.kr 한국LUG 과학기술공학인 커뮤니티 회장 김태용 2011.11
  • 2. Stay Hungry. Stay Foolish. • 스티브잡스 - 2005년 스탠포드 대학교 졸업식 2
  • 3. Hungry! • 非이공계열(인문, 사회, 경영계열 등) – 인간사이의 소통 학습, 사고와 인간 관리 학습 및 연구 – 이공계열의 과학과 기술은 돈으로 사면된다는 인식 – 자기 주도적 어려움 -> Hungry -> 모임 활성화(상류) • 이공계열 – 기계, 환경 관리 학습, 기계와 환경과의 소통 학습 및 연구 – 자기 주도적, Smart – 그러나 인간사이의 소통 부재, 융합적 사고의 비유연성, 장기적 플랜의 부재 – 현재의 수 많은 과기공 이론들은 인간과 사회 구조의 장점을 적용 중이지만, 좀 더 심도 있는 인간과 사회의 연구가 필요 – Hungry -> Small Project로 달래기 -> 이공계열간의 경쟁 유도(이공계열들 간의 적대감 유도?) -> 모 임 非활성화(하류) • 결과 – 어떤 프로젝트든 실행 및 실천은 이공계가 하지만, 그 성과는 非이공계열이 가져감으로써 모순 상류, 사회 지도층 非이공계 하류, SCV 이공계 (Space Construction Vehicle) 3
  • 4. Terran-SCV & Zerg-Zergling Terran-SCV Zerg-Zergling transformation 4
  • 5. The Architecture of Participation (Linux, Firefox, Apache ...) • Modularity in design, Modular Structure. H/W, S/W [Current] Operating Politics is monolithic. System Member Module ... ... & ... ... ... Nation ... [After] Politics is participation System and modulation and distribution. Glue System 5
  • 6. 대한민국 국회의원 이공계 현황 2011년, 현 정부의 국회의원 수 강기정 - 전기공학 김진애 - 건축학, 도시계획 295명 중 12명 박근혜 - 전자공학 박영아 - 물리학 이공계는 4.06% 배은희 - 미생물학 300 서상기 - 금속공학 250 유원일 - 기계공학 200 이용경 - 전기, 전자공학 150 이찬열 - 기계공학 非이공계 정갑윤 - 산업관리공학 100 이공계 조경태 - 토목공학 50 한선교 - 물리학 0 非이공계 이공계 http://www.assembly.go.kr 6
  • 7. 대한민국 고위공직자 이공계 현황 2011년, 현 정부의 실·국장 수(10배 차이) 300 250 200 150 非이공계 100 이공계 50 0 非이공계 이공계 고위관리직에 진출한 이공계인사의 수보다 이공계 및 과학기술자들에 대한 인식의 개선이 없는 것과 비전 제시가 없는 것이 더욱 큰 문제 7
  • 8.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 • 2008년 2월 과학기술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행정안전부 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부활/재건? 8
  • 9. 국가 기여도 • 21C 한반도 국가 기반 – 1차적으로 경제 성장, 일자리 창출 -> 2차적으로 복지 • 한반도 자원 부족 -> 생산, 연구개발, 수출(과학기술공학인 중심) • 이공계 처우 개선 절실 국가 기여도 비이공계 비이공계 이공계 이공계 9
  • 10. (Mental) Attitude A+T+T+I+T+U+D+E 1+20+20+9+20+21+4+5 = 100% 태도는 모든 것이다. 바꾸라 당신의 태도를 그리고 당신의 인생을 변화시켜라. 10
  • 11. 결론 Hungry! 이공계의 다양한 인문학 학습과 모임 활성화, 한 목소리 필요 Meeting & Gathering 전문적 과학·기술·공학인에게 비전을... Vision & Dream 예비 과학·기술·공학인에게 희망을... 전문적 과학·기술·공학인을 사회지도층으로... -> Power! 11
  • 12.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 http://cafe.naver.com/stengine 제1조 (목적) 1. 본 포럼은 대한민국의 과학인·기술인·공학인의 권익을 보 호, 증진하는데 기여하고, 국가 과학 기술 정책을 제언한다. 2. 본 포럼은 과학인·기술인·공학인의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하 고,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한다. 제2조 (명칭) 본 포럼의 명칭은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이라 한다. (이하 “한국과기공포럼”이라 칭한다.) 12
  • 13. 한국과학기술공학인포럼 http://cafe.naver.com/stengine 제3조 (사업) 본 포럼은 제1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업을 수행한다. 1. 과학·기술·공학 정책 발굴/참여/연구 수행 2. 과학·기술·공학인의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 및 제언 3. 온/오프라인을 통한 토론 및 세미나 개최 4. 이공계 저변확대를 위한 교육 및 지원 13
  • 15. 감사합니다. 2011.11 Great Dragon, Kim multikty@gmail.com multikty@facebook.com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