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4
 건강보험적용 여부 불확실성
6
자료: Frost&Sullivan, 2017
7
자료: Frost&Sullivan, 2017
 통합적 접근으로 진화
8
자료: Evaluate, 2017
자료: Accenture analysis, 2017
9
자료: Evaluate, 2017
자료: Accenture analysis, 2017
10
11
13
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1996) : 개인정보 보호
 HITECH(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2009/2011) : Electronic Health Record 및 지원기술 도입
 GINA(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2008) : 유전정보 차별금지
 Obama care(2011/2014) : EHR 확대, PCMHs, ACOs, Quality reporting from
providers, outcome based reimbursement 등
 Big data Initiative(2012)
 Brain initiative(2013)
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2015) : 1M people cohort, Privacy and security
guideline, PrecisionFDA 등
 21st Century Cures Act(2016) : 임상시험 현대화, 의학용앱 불확실성 제거, 의과학
생태계 지원 등
 FDA DigitalHealth Unit(2017)
14
자료: FDA, 2017
 FDA 미션: 국민안전보호, 건강증진, 보안
 기본방향 : Efficient, Risk-based approach
• 모바일메디컬앱 규제완화
• 웰니스기기 가이드라인 제정
• MDDS(Medical Device Data System) 규제
완화
• 사이버보안규제 명확화
•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 가이
드라인 제정
• FDA CDRH Digital health Unit 설치
• Digital Health Innovation Action
plan(2017) : Pre-Cert, RWE 기반 허가,
전문성 강화
16
 클라우드 관련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2016)
 개인정보 비식별화 가이드라인(2016)
17
 (데이터 인프라) 진료정보 교류 확대 및 보건의료 데이터 구
축·개방 추진
• 진료정보 교류시스템 실증 및 건강보험수가반영 추진
• 인공지능 학습용 의료영상 데이터셋, 연구개발용 데이터셋 구
축개방
• 건보공단 등 분산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활용 시스템 구축,
보건의료 빅데이터 특별법 추진
 (진단치료) 정밀의료(맞춤형 헬스케어?) 개발보급
• 암 맞춤형 진단치료, 유전체분석, 바이오마커 등 정밀의료핵심
기술개발, 클라우드기반 정밀의료정보시스템 개발, 인공지능
기반 주요질환(암,심뇌혈관질환 등) 정밀진단·치료지원 솔루션
개발
• 빅데이터 활용 감염병 유입 예측·진단·치료, 자살예측모형 구
축, 맞춤형 치매예방서비스 등 개발보급
18
 (신약개발) 인공지능 활용 혁신적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 AI 기반 후보물질 예측, 임상시험설계 효율화 등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추진
 차세대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제조 R&D 추진
 유전자치료, 배아연구 등 바이오 연구규제 완화
 창업초기기업펀드 투자확대,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등
 (의료기기) 전주기(R&D-사업화) 지원 범부처 의료기기 R&D
 마이크로 의료로봇 등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융합차세대의료기기기
술 개발·상용화
 BT+ ICT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신시장 선점을 위한 범부처 차원 의료기
기 R&D 추진(과기·산업·복지, ’20-’29, 3조원)
 의료기기 시장진출 기간단축을 위한 허가 · 평가제도 개선, 기술개발 장
려를 위한 혁신기술 수가산정 시스템 개선 추진
 혁신형의료기기 기업지정 지정 및 조세지원·건보 적용확대, 의료기기 허가
임상시험 설계시 신의료기술평가에도 사용되도록 컨설팅
• 신기술 신제품 R&D 초기부터 규제기관이 참여하여 맞춤형 선제적
평가기술 및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
19
 의료기기 임상시험지원(2018-)
• 연간 1-7억원, 2-3년 이내
• 연구자 임상시험, 국내외 허가용 임상시험 및 시판후임상시험
 www.htdream.kr / RFP사전공시 참조
 인공지능 정보의학(2018-)
• 연간 10억원 이내, 총 6 (3+3) 년 이내
• 의료 인공지능 학습용 고품질 의료데이터셋 구축 및 표준기술
개발
• 인공지능 개발 주체가 활용토록 오픈플랫폼 운영
• 다기관 임상연구를 통해 인고지능의 성능평가 및 인허가 달성
 www.htdream.kr / RFP 사전공시 참조
20
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2018-)
• 총 100억원 내외(미정, 2018년 기준, 총 5년예정)
•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기관간 분석자료 공유활용 네트워크, 보
건의료 빅데이터 연계활용강화연구, 전자의무기록 인증관리시스템
구축
• 인공지능 개발 주체가 활용토록 오픈플랫폼 운영
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활용 강화연구(2018-)
• 연간 266백만원, 3년 이내
• 심평원 등 4개 공공기관 보유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보연계를 통한 연
구과제로 정책연구 및 의료정보 보호기술 연구
 보건의료 빅데이터 특별법 제정(예정)
• 정보소유자(본인)의 권리 보호
• 적절한 보안조치, 악의적 이용에 대한 대책
• 활발한 정보연계 및 보호를 위한 정책 강화방안
• 보건의료 빅데이터 보유기관 간 연계 시 정보보호의무 등
21
 인공지능 산업원천기술개발(48억원, 2018)
 국가전략프로젝트(인공지능) (244억원, 2018)
 정밀의료 및 AI 기반 의료진단 솔루션(93억원, 2018)
22
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추진 TF
(2017.4-)
 데이터 보유기관(주요 병원), 데
이터 수요기관(서비스기업, 제
약사, 보험사, 화장품업체 등),
데이터 중개기관(통신사, SW업
체 등) 참여
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시범사업
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 영상진단기기와 인공지능이 융
합된 신개념 의료기기개발
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28억원) 자료: 안기환, 2016
23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가이드라인(2017)
• 의료기기 SW : 데이터기반 진단·예측·치료제품, 생체신호분석
을 통한 진단·치료 정보제공 제품
• 비의료기기SW : 의료기관 행정사무지원제품, 일상 건강관리제
품, 교육연구 제품, 의학정보 검색제품(ex. IBM WFO)
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의 임상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
(안)(2017)
•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에 대한 후향적 임상시험
• 유효성 평가기준·방법
 K-CDM을 활용한 의약품 부작용 분석 시스템
• Sentinel CDM + OMOP CDM
25
Open
Science
Open
Benefit
Open
Governance
26
자료: https://sooyongshin.wordpress.com/2017/06/18/healthcare-data-data-data-7-privacy/ 재인용
27
보건의료빅데이터
특별법(?)
개인정보
보호법
생명윤리
법
의료법
정보통신
망법
위치
정보법
28
산과식행복방(?)
방통위
과기
정통부행자부
보건
복지부
산업통상
자원부
식약처
29
국민주도
(Bottom-up)
정부주도
(Top-down) Vs.
30
 개방형 데이터 연계공유 플랫폼
• 데이터를 국민에게 돌려주자.
(ex. Blue button Initiative)
 빅데이터 데이터셋 개방
• 기관데이터셋
• 환자 데이터셋
• 질병 데이터셋
• 의약품 데이터셋
• 행정데이터셋
 개인정보보호 기술 및 플랫폼
 혁신주체 네트워크 플랫폼
31
 스마트 코어데이터(컨텐츠)
Big data
(Just Too much data)
Large data
32
 Health benefit sharing
• Ex)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 Economic benefit sharing
• Ex) EU SNITEF Dipseity(Digital + Ipsity) project
: Pay with data
 Social benefit sharing
• Ex) 실시간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 Holistic benefit sharing
• Value based medicine
34
환자
의료공급자보험자
 Who pay?
35
 폐쇄형 플랫폼(ex. IBM WFO)
 개방형 플랫폼(ex. Nuance)
 통합제품(ex. S-Detect)
 온라인 SW(ex. Lunit)
 크라우드 소싱+월정액
36
 AI Marketplace for Diagnostic Imaging(radiologists)
 PowerShare Network: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통해 AI 훈련
용 데이터 공유 및 제공
 Nuance PowerScribe: AI개발자의 알고리즘을 2만명 방사선의
사에게 개방
 참여기관: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Ohio State Univ. Lunit,
Radlogics, Aidence, Teracon
37
20171129 medical ai medical device policy and healthcare industry in korea(h.c.kim)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
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
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
제관 이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제관 이
 
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
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
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
choonghyun kim, CFA
 
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
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
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
choonghyun kim, CFA
 
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
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
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atelier t*h
 
퀄컴 2net의 활용방안
퀄컴 2net의 활용방안퀄컴 2net의 활용방안
퀄컴 2net의 활용방안
jrim Choi
 
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
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
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
봉조 김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
Yoon Sup Choi
 
2016 유전체산업동향
2016 유전체산업동향2016 유전체산업동향
2016 유전체산업동향
Kyoung-Hwan (David) Choi
 
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
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
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
Kyoung-Hwan (David) Choi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Chiweon Kim
 
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
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
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
Seungjae Song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
Yoon Sup Choi
 
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
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
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
MnapyoLee
 
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
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
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
eungjin cho
 
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
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
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
제관 이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StartupAlliance
 
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
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
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
Yoon Sup Choi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Chiweon Kim
 
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Yoon Sup Choi
 

What's hot (20)

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
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
2015 스마트의료기술 세미나 질의응답기반의 개방형 클라우드 서비스 이제관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스마트의료기술 Mobile health
 
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
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
의료기기산업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에서 투자기회 찾기
 
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
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
의료기기의 Unmet needs가 Tech를 만났을 때
 
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
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
2 알앤디지식포럼 의료기기_20121205
 
퀄컴 2net의 활용방안
퀄컴 2net의 활용방안퀄컴 2net의 활용방안
퀄컴 2net의 활용방안
 
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
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
모바일 헬쓰캐어 센서 기술 동향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
디지털 헬스케어 국내 규제,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ver 0.1)
 
2016 유전체산업동향
2016 유전체산업동향2016 유전체산업동향
2016 유전체산업동향
 
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
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
유전체 정보기반의 맞춤의료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20150718 디지털 헬스케어 강의 업로드용
 
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
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
디지털헬스 플랫폼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 및 전망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동향 2015년 2월 고벤처포럼
 
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
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
170717_rnd Policy Trend in medical ai + bigdata_f
 
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
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
의료사업 선진화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 서울아산병원 심우현 교수
 
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
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
차세대 서비스 핵심 모바일헬스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161019_테헤란로 커피클럽_57th_눔(noom)
 
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
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
Connected Health Conference 2016 Review by DHP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20150128 디지털 헬스케어 v4
 
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한국에서 혁신적인 헬스케어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은
 

Similar to 20171129 medical ai medical device policy and healthcare industry in korea(h.c.kim)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
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
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
Artcoon
 
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
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
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JaeKwan Sun
 
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
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
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
Jihoon Jeong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Sung Yoon Bae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
Yoon Sup Choi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Jaewoo park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Namkug Kim
 
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
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
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davidhyunghokim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
Yoon Sup Choi
 
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
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
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
Namkug Kim
 
Digital_Healthcare_and_ICT.pdf
Digital_Healthcare_and_ICT.pdfDigital_Healthcare_and_ICT.pdf
Digital_Healthcare_and_ICT.pdf
Won Kwang University
 
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
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
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
은옥 조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Sung Yoon Bae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Sung Yoon Bae
 
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
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
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
Yoon Sup Choi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Jahee Lee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
Yoon Sup Choi
 

Similar to 20171129 medical ai medical device policy and healthcare industry in korea(h.c.kim) (20)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현황 및 과제
 
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
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
2020 계원예대 산학 CanDo
 
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
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
코메디닷컴 회사소개서
 
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
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
융합의학강의 1강 - 융합의학개론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보건산업 진흥 전략(배성윤, 2013.12.11)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자료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2014 핼스케어 미래 트랜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디자인 관점에서 본 헬스케어 미래 비즈니스 아이디어 - 헬스케어 미래비전 최종보고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연구자를 위한 국가과제 및 연구실 운영 소개
 
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
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
HIRA's "Medidata Ecosystem"_ government 3.0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
한국 디지털 헬스케어의 생존을 위한 규제 혁신에 대한 고언
 
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
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
최근 3D 프린팅 관련 식약처 규제완화 정책 및 법령 정비 사항
 
Digital_Healthcare_and_ICT.pdf
Digital_Healthcare_and_ICT.pdfDigital_Healthcare_and_ICT.pdf
Digital_Healthcare_and_ICT.pdf
 
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
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
의료혁신을 향한 IBM 헬스케어 로드맵_유튜브 생방송 웨비나 발표자료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파괴적 혁신과 의료환경의 변화 - 배성윤 (2011-7-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헬스케어 분야의 미래 필요인력과 일자리(배성윤,2013.06.18)
 
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
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
170216 정부정책을 통해 변화할 헬스케어의 모습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
디지털 헬스케어 파트너스 (DHP) 소개: 데모데이 2019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디지털 트윈과 핼스케어 Digital Twin and Healthcare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
FDA는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을 어떻게 규제하는가
 

20171129 medical ai medical device policy and healthcare industry in korea(h.c.kim)

  • 1.
  • 2.
  • 3.
  • 5.
  • 7. 7 자료: Frost&Sullivan, 2017  통합적 접근으로 진화
  • 8. 8 자료: Evaluate, 2017 자료: Accenture analysis, 2017
  • 9. 9 자료: Evaluate, 2017 자료: Accenture analysis, 2017
  • 10. 10
  • 11. 11
  • 12.
  • 13. 13 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1996) : 개인정보 보호  HITECH(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2009/2011) : Electronic Health Record 및 지원기술 도입  GINA(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2008) : 유전정보 차별금지  Obama care(2011/2014) : EHR 확대, PCMHs, ACOs, Quality reporting from providers, outcome based reimbursement 등  Big data Initiative(2012)  Brain initiative(2013)  Precision Medicine Initiative(2015) : 1M people cohort, Privacy and security guideline, PrecisionFDA 등  21st Century Cures Act(2016) : 임상시험 현대화, 의학용앱 불확실성 제거, 의과학 생태계 지원 등  FDA DigitalHealth Unit(2017)
  • 14. 14 자료: FDA, 2017  FDA 미션: 국민안전보호, 건강증진, 보안  기본방향 : Efficient, Risk-based approach • 모바일메디컬앱 규제완화 • 웰니스기기 가이드라인 제정 • MDDS(Medical Device Data System) 규제 완화 • 사이버보안규제 명확화 • SaMD(Software as a Medical Device) 가이 드라인 제정 • FDA CDRH Digital health Unit 설치 • Digital Health Innovation Action plan(2017) : Pre-Cert, RWE 기반 허가, 전문성 강화
  • 15.
  • 16. 16  클라우드 관련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2016)  개인정보 비식별화 가이드라인(2016)
  • 17. 17  (데이터 인프라) 진료정보 교류 확대 및 보건의료 데이터 구 축·개방 추진 • 진료정보 교류시스템 실증 및 건강보험수가반영 추진 • 인공지능 학습용 의료영상 데이터셋, 연구개발용 데이터셋 구 축개방 • 건보공단 등 분산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활용 시스템 구축, 보건의료 빅데이터 특별법 추진  (진단치료) 정밀의료(맞춤형 헬스케어?) 개발보급 • 암 맞춤형 진단치료, 유전체분석, 바이오마커 등 정밀의료핵심 기술개발, 클라우드기반 정밀의료정보시스템 개발, 인공지능 기반 주요질환(암,심뇌혈관질환 등) 정밀진단·치료지원 솔루션 개발 • 빅데이터 활용 감염병 유입 예측·진단·치료, 자살예측모형 구 축, 맞춤형 치매예방서비스 등 개발보급
  • 18. 18  (신약개발) 인공지능 활용 혁신적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  AI 기반 후보물질 예측, 임상시험설계 효율화 등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추진  차세대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제조 R&D 추진  유전자치료, 배아연구 등 바이오 연구규제 완화  창업초기기업펀드 투자확대,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등  (의료기기) 전주기(R&D-사업화) 지원 범부처 의료기기 R&D  마이크로 의료로봇 등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융합차세대의료기기기 술 개발·상용화  BT+ ICT 융합 디지털 헬스케어 신시장 선점을 위한 범부처 차원 의료기 기 R&D 추진(과기·산업·복지, ’20-’29, 3조원)  의료기기 시장진출 기간단축을 위한 허가 · 평가제도 개선, 기술개발 장 려를 위한 혁신기술 수가산정 시스템 개선 추진  혁신형의료기기 기업지정 지정 및 조세지원·건보 적용확대, 의료기기 허가 임상시험 설계시 신의료기술평가에도 사용되도록 컨설팅 • 신기술 신제품 R&D 초기부터 규제기관이 참여하여 맞춤형 선제적 평가기술 및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
  • 19. 19  의료기기 임상시험지원(2018-) • 연간 1-7억원, 2-3년 이내 • 연구자 임상시험, 국내외 허가용 임상시험 및 시판후임상시험  www.htdream.kr / RFP사전공시 참조  인공지능 정보의학(2018-) • 연간 10억원 이내, 총 6 (3+3) 년 이내 • 의료 인공지능 학습용 고품질 의료데이터셋 구축 및 표준기술 개발 • 인공지능 개발 주체가 활용토록 오픈플랫폼 운영 • 다기관 임상연구를 통해 인고지능의 성능평가 및 인허가 달성  www.htdream.kr / RFP 사전공시 참조
  • 20. 20 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2018-) • 총 100억원 내외(미정, 2018년 기준, 총 5년예정) •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기관간 분석자료 공유활용 네트워크, 보 건의료 빅데이터 연계활용강화연구, 전자의무기록 인증관리시스템 구축 • 인공지능 개발 주체가 활용토록 오픈플랫폼 운영 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활용 강화연구(2018-) • 연간 266백만원, 3년 이내 • 심평원 등 4개 공공기관 보유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보연계를 통한 연 구과제로 정책연구 및 의료정보 보호기술 연구  보건의료 빅데이터 특별법 제정(예정) • 정보소유자(본인)의 권리 보호 • 적절한 보안조치, 악의적 이용에 대한 대책 • 활발한 정보연계 및 보호를 위한 정책 강화방안 • 보건의료 빅데이터 보유기관 간 연계 시 정보보호의무 등
  • 21. 21  인공지능 산업원천기술개발(48억원, 2018)  국가전략프로젝트(인공지능) (244억원, 2018)  정밀의료 및 AI 기반 의료진단 솔루션(93억원, 2018)
  • 22. 22 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추진 TF (2017.4-)  데이터 보유기관(주요 병원), 데 이터 수요기관(서비스기업, 제 약사, 보험사, 화장품업체 등), 데이터 중개기관(통신사, SW업 체 등) 참여 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시범사업 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 영상진단기기와 인공지능이 융 합된 신개념 의료기기개발 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28억원) 자료: 안기환, 2016
  • 23. 23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의 허가심사 가이드라인(2017) • 의료기기 SW : 데이터기반 진단·예측·치료제품, 생체신호분석 을 통한 진단·치료 정보제공 제품 • 비의료기기SW : 의료기관 행정사무지원제품, 일상 건강관리제 품, 교육연구 제품, 의학정보 검색제품(ex. IBM WFO) 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의 임상 유효성 평가 가이드라인 (안)(2017) •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에 대한 후향적 임상시험 • 유효성 평가기준·방법  K-CDM을 활용한 의약품 부작용 분석 시스템 • Sentinel CDM + OMOP CDM
  • 24.
  • 30. 30  개방형 데이터 연계공유 플랫폼 • 데이터를 국민에게 돌려주자. (ex. Blue button Initiative)  빅데이터 데이터셋 개방 • 기관데이터셋 • 환자 데이터셋 • 질병 데이터셋 • 의약품 데이터셋 • 행정데이터셋  개인정보보호 기술 및 플랫폼  혁신주체 네트워크 플랫폼
  • 31. 31  스마트 코어데이터(컨텐츠) Big data (Just Too much data) Large data
  • 32. 32  Health benefit sharing • Ex) Population Health Management  Economic benefit sharing • Ex) EU SNITEF Dipseity(Digital + Ipsity) project : Pay with data  Social benefit sharing • Ex) 실시간 감염병 모니터링 시스템  Holistic benefit sharing • Value based medicine
  • 33.
  • 35. 35  폐쇄형 플랫폼(ex. IBM WFO)  개방형 플랫폼(ex. Nuance)  통합제품(ex. S-Detect)  온라인 SW(ex. Lunit)  크라우드 소싱+월정액
  • 36. 36  AI Marketplace for Diagnostic Imaging(radiologists)  PowerShare Network: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을 통해 AI 훈련 용 데이터 공유 및 제공  Nuance PowerScribe: AI개발자의 알고리즘을 2만명 방사선의 사에게 개방  참여기관: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Ohio State Univ. Lunit, Radlogics, Aidence, Teracon
  • 37.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