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접근성팀 신의식
접근성
오류와 진단
목차
1. 개요
2. History
3. Architecture
A. NWARS 3.0 (Spring, myBatis, Tiles, Bootstrap)
B. NACT (Node.js, Phantom.js)
4. Function
A. Reporting
B. Management
C. Issue
D. History(trace)
5. 한계
6. 정리
개요
접근성
1. 접근성 진단
2. 진단의 어려움
1. 필요성
2. 전문성
3. 현실성
필요성
전문성 현실성
NWARS 3.0 & NACT
1. 리포팅 툴
2. 관리
3. 이력
1. 진단 툴
2. 페이지 별로 바로 진단
개요
NWARS 3.0
1. 대시보드
2. 진단 요약
3. 진단 범위
4. 진단 이슈
개요
NACT
1. 진단 URL 입력
2. 진단 결과
3. 항목별
4. 이슈 내용
개요
NWARS 2.0 NWARS 3.0NWARS 1.0
?
History
NWARS
NACT
NWAXPLUS NACTNWAX
History
NWARS
DataBase
Maria DB
Nwars3.0 Domain
request
response
Nwars3.0 Server
Rule
NACT Check
Stat Query
REST
(Json data)
NACT Server
Phantomjs
회원정보
조직정보
Apache Server
Auth API
User info
Org info
Checklist Policy
Issue Policy
Stat Policy
- 체크리스별 이슈기준
- NACT 데이터 유지항목
- 참조데이타 정의
- 비교된 데이터 처리
- 비교 안된 데이터 처리
- 기존 이슈 비교 정의
- 통계
- 이력
Dashboard
Summary
Client
Architecture
NWARS
Client
DataBase
Maria DB
Spring Framework : java 기반의 프레임웍
Maven Framework : 다양한 library에 대한 프레임웍
Mybatis Framework : DB의 접근과 통제 프레임웍
Tiles Framework : 화면 구성에 대한 프레임웍
CKEditor : 에디터
WAS : TOMCAT 7.0
DB : Maria DB 5.5
Nwars3.0 Domain
request
response
Attached file
Nwars3.0 Server
Spring + Maven
Editor
Mybatis
Tiles
Saved file info
Attached file
회원정보
조직정보
회원 Server
Auth API
contents
status
회원정보
조직정보
Apache Server
Auth API
User info / Org info
Architecture
Client
DataBase
Maria DB
request response
log file
외부 Server
Page Source
점검대상 URL
phantomjsnodejs
nginx
▶ 트레픽 (동시접속자)
– 사내사용자
– 고려대상 낮음
▶ 접근성
– 사내망
– 외부망 (PartnerED 사이트 배너)
▶ 관리 이슈
– 서버의 안정성
– 백업 정책 없음
NACT Domain
NACT
Architecture
대시보드
2. 접근성 현황
1. 서비스 막대 차트
3. 서비스 카드
Function_Reporting
진단 요약
1. 준수도 및 의견
3. 진단 추이
2. 진단 결과
Function_Reporting
담당자 관리
1. 담당자 관리
2. 유형별 담당설정
3. 메일 받기
Function_Management
진단 범위 관리
1. 범위 수정
2. 신규 범위 추가
3. 범위 수정
4. 주요 표본 선정
Function_Management
검색
1. 범위
2. 지침항목
3. 유형
4. 타입
Function_Issue
이슈 내용
1. 서비스 정보
2. 진단 정보
3. 이슈 정보
Function_Issue
접근성 관련 정보 및 문의하기
1. 서비스 정보
2. 진단 정보
3. 이슈 정보
Function_Etc
NACT_진단
1. 대시보드
2. 상세내용
Function_Nact
다양성
1. 다양한 코드
ex) table layout – w3c 에서는 table로 레이아웃을 만들지 않기를 권고한다.
ex) <a> onclick
2. 후처리(Dynamic Contents)
Ajax, Angularjs
3. 새로운 기기(브라우져) 출현
한계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Nts Nuli

[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
Nts Nuli
 
[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
Nts Nuli
 
[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
[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
[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
Nts Nuli
 
[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
[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
[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
Nts Nuli
 
[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
[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
[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
Nts Nuli
 
[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Nts Nuli
 
[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
[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
[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
Nts Nuli
 
[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
[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
[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
Nts Nuli
 
[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
[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
[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
Nts Nuli
 
[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
[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
[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
Nts Nuli
 
[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
[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
[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
Nts Nuli
 
[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
[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
[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
Nts Nuli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Nts Nuli
 
[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
[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
[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Nts Nuli
 
[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
[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
[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Nts Nuli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Nts Nuli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Nts Nuli
 
[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
[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
[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Nts Nuli
 
[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
[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
[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Nts Nuli
 
[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
[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
[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Nts Nuli
 

More from Nts Nuli (20)

[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비슷하지만 다른 웹과 모바일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
[2019널리세미나] 모두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 구글 웹 프로덕트 및 구글 플레이의 접근성
 
[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
[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
[2018널리세미나] 모바일 인앱 실무에 활용한 접근성 해결 방안​
 
[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
[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
[2018널리세미나]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마우스이벤트
 
[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
[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
[2018널리세미나] 모두가 쉽게 쓰는 그날까지... 함께 만드는 접근성
 
[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2018널리세미나] 4차 산업혁명에서 정보 접근성 교육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
 
[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
[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
[2018널리세미나] 정보 접근성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황 및 방향 II
 
[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
[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
[2016널리세미나] 청각장애와 유니버셜 디자인 그리고 웹 접근성
 
[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
[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
[2016널리세미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N가지 생각
 
[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
[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
[2016널리세미나] 웹 접근성 체험관을 소개합니다!
 
[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
[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
[2016널리세미나] 모바일애플리케이션접근성 이것만알아두자
 
[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
[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
[2016널리세미나] 남의 문제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크로스 브라우징, 그 끝은 어디인가?
 
[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
[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
[2012널리세미나] 네이버 모바일의 숨겨진 코드 읽기
 
[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
[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
[2012널리세미나] 태블릿PC를 위한 마크업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
[2012널리세미나] 모바일 마크업을 위한 디자이너와의 소통?! 우린 이렇게 할라구요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The Anatomy of Image Format
 
[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
[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
[2012널리세미나] Front-End 최적화의 끝판왕, CSM + Markup Complexity
 
[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
[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
[2012널리세미나] 오빠~ 네이버 왜 이렇게 늦게 떠?
 
[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
[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
[2012널리세미나] 마크업 역량 개발 모델을 기반으로 특정 기술 트랙의 전문가 되기
 

[2017널리세미나] 네이버 접근성 진단솔루션

Editor's Notes

  1. 안녕하세요. 접근성 오류와 진단에 발표를 맡은 접근성팀 신의식입니다.
  2. 발표는 개요와 history 10분 Architecture 와 Function 10분 시연을 잠깐 보여드리고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3. 헤밍웨이도 자신이 쓴 초고 원본은 쓰레기라고 했듯이, 한번 개발로 끝내는 개발은 없을 것입니다. 아무리 잘 하더라도 퇴고하듯이 개발을 진행해야 좋은 개발로 이어진다 생각합니다. 접근성을 잘 지켜 개발을 진행해도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검토해 준다면 더 좋은 개발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접근성 진단 어려움이 있습니다. 1. “기능이 다 잘 작동하는데 뭐가 문제인 겁니까?” 라는 인식의 부족 2. 접근성이라는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3. 제한된 시간과 자원에 따른 현실적인 어려움. 이러한 어려운 접근성 진단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접근성팀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 중에 작은 부분 접근성 진단 자동화 툴입니다. 자동화 툴은 앞에서 지적했던 전문성과 현실성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접근성 진단을 수행하려면 접근성 지침, tag와 같은 개발 등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매일 수십 페이지를 집중해서 노려봐야 하는 끈기와 참을성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능력을 가졌음에도 사람이 실수가 없을 수는 없습니다. 자동화 툴은 개발자만 접근성 진단에 대한 전문성이 따라준다면 진단 수준이 높아집니다. 자동화 툴은 서버만 버텨 준다면 365일 24시간 노려볼수 있습니다. 자동화 툴은 개발자만 실수하지 않는다면, 진단에 대한 실수가 적습니다. 이제부터 이러한 자동화 툴은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 이번 시간에는 두 가지 툴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NWARS(Naver Web Accessibility Reporting Service) 와 NACT(Naver Accessibility Content Testing) NWARS는 리포팅 툴이고 관리와 이력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NACT는 진단을 수행하는 툴입니다. NACT는 엔진을 담당하고 NWARS는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NACT는 일회성으로 빠르게 진단을 수행하고 결과를 보여줍니다. NWARS는 등록해두면, 주 별로 진단을 수행하고 이력을 저장해서 보여줍니다. 서로 보완하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5. 먼저 NWARS를 살펴보겠습니다. NWARS 3.0 이라고 써 있습니다. 느낌 오셨듯이 3번의 큰 변화를 거쳐서 지금의 모습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4개의 주요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 > 요약 > 범위 > 이슈 라고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전체는 다른 서비스들에 비교해 어느 수준인지 알아볼 수 있습니다. 요약은 서비스의 접근성 수준을 보여줍니다. 범위는 각 URL에 대해서 이슈가 어느 정도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슈는 접근성 진단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여지는 요소를 보여줍니다.
  6. 다음으로 NACT 입니다. 얘는 숫자가 없습니다. 2개의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URL의 입력과 진단 결과 입니다. 실제적으로 실무에서 제일 많이 쓰이는 서비스이고 복잡한 UI보단 단순 명료하게 정보를 전달하려고 합니다. 딱 너 이슈!! 확인해!! 라는 느낌입니다.
  7. 앞에서 말씀 드렸듯이 NWARS는 3번의 변화를 거쳤습니다. 1.0은 폐기되었습니다. 2.0은 지수와 이력을 주요 기능으로 제공하였습니다. (지수를 설명하자면, 이슈가 몇 개라는 방식보다는 서비스 담당자들에게 잘 와 닿을 수 있게 100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보여주었습니다.) 3.0은 지수가 폐기 되어 서비스 전체에 접근성 진단 요소에 대한 과락을 보여줍니다.
  8. NACT는 원래 NWAX로 불렸었습니다. NWAX는 파이어폭스에서 설치하여 실행합니다. NWAXPLUS는 URL을 입력 받아 진단을 수행합니다. NACT는 NWAXPLUS를 고도화 시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9. NWARS의 구조도입니다. 세세한 내용 보다는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내었습니다. NACT에서 진단한 결과를 NWARS의 정책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하고, 통계와 이력을 쌓습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대시보드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됩니다.
  10. NWARS에 사용된 기술을 간략히 말씀드리면, Spring을 기반으로 Tiles, Mybatis 등이 쓰였습니다. 배치, 캐싱, 프로시져 등을 사용하였습니다. 각 상세한 기술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11. NACT는 Node.js와 Phatom.js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ode는 화면과 전체 기반을 제공합니다. Phantom은 가상 브라우져의 역할을 하며, 페이지 정보를 넘겨줍니다.
  12. 이제 자세한 기능을 살펴 보겠습니다. NWARS의 대시보드는 상, 중, 하 로 구성됩니다. 상단에는 막대차트를 이용해 도달해야 하는 목표와 다른 서비스들과의 비교를 보여줍니다. 중단에는 파이차트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수준을 보여줍니다. 하단에 서비스카드 목록은 각 서비스의 목록과 간략한 수준 정보를 보여줍니다.
  13. 대시보드에서 서비스를 선택하면, 그림 같은 요약 화면으로 넘어오게 됩니다. 전체적인 준수도 및 접근성 의견이 보여집니다. 진단 결과를 주요하게 봐주셔야 합니다. 표본 페이지별 진단 결과를 표로 보여줍니다. 이 데이터는 각 항목에 대해 어느 범위가 문제가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매주 진단이 수행되며 쌓인 추이를 보여줍니다.
  14. NWARS는 서비스 담당자를 지정하여 범위를 관리합니다. 운영 담당자로 지정되면 각 분야의 담당자를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으로 통해 서비스에서 진단이 필요한 범위를 관리하게 됩니다.
  15. 먼저 보셨듯이 서비스 담당자로 지정되게 되면 붉은색으로 표시된 버튼이 보여지게 됩니다. 범위수정을 통해 범위를 수정하고 대표 범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16. 실무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페이지 입니다. 실제 이슈들을 볼 수 있는 페이지 입니다. 검색을 통해 자신과 관련 있는 이슈들을 볼 수 있습니다.
  17. 아까 목록에서 이슈를 선택하고 이슈 상세로 이동하게 됩니다. 각 요소들을 확인합니다. 중요한 정보는 하단에 이슈내용과 관련코드 해결방안을 중점으로 보고 이슈를 처리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18. 기타 기능으로 접근성에 관련된 정보나 NWARS에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19. NACT는 먼저 말씀 드린 대로 편리하게 URL만 넣어주시면 됩니다. 진단이 수행된 후 결과를 그림처럼 항목을 나눠 보여주게 됩니다.
  20. NWARS와 NACT의 접근성 진단은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어마어마한 코드가 존재하고 방법도 다양합니다. 모든 형태의 소스를 진단하지 못합니다. 2. 후처리 언어의 경우 request와 response의 시간 차로 진단 시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3. 새로운 기기까지 나옵니다. 해상도도 각각입니다. 이 차이에 의해 진단이 달라져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완전하지 않습니다. 언제나 최선을 다해 도움이 되기만을 바랍니다.
  21.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