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나의 인문학’ 위키 콘텐츠 제작 사례 ‘검토’
건국대학교 인문정보학 입문 수업 강의
2016-06-0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김사현
CONTENTS
사례1: 추억의 애니메이션
 프로젝트 목적
 클래스 설정
 개체
 작성페이지
사례 2: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 프로젝트 목적
 클래스 설정
 개체
 작성페이지
온톨로지 리뷰
사례 1: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1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 1990년대, 2000년대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해 봅니당.
 주로 투니버스 전성기였던 2000년에서 2007년 위주로 다룰 것 같습니다.
 이 시기에 방영했던 애니메이션들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커뮤니티
나 SNS 등에서도 이를 추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오곤 합니다.
 최근 다시 주목받는 이유가 그 시절을 즐겼던 어린이들이 현재 20대가 되는 시
기이며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따라서 흥미있는 내용으로 위키를 만들 수 있고 체계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
보는 일이 개개인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
다.
 분량은 방대하지만 참여자가 많아서 알차게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각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계속해서 추가해 직접 쓰시면 되고 방송사부터
성우까지 여러가지 내용을 담아주시면 될 것 같아욤
1
 1990년대, 2000년대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해 봅니당.
 주로 투니버스 전성기였던 2000년에서 2007년 위주로 다룰 것 같습니다.
 이 시기에 방영했던 애니메이션들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커뮤니티
나 SNS 등에서도 이를 추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오곤 합니다.
 최근 다시 주목 받는 이유가 그 시절을 즐겼던 어린이들이 현재 20대가 되는 시
기이며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따라서 흥미있는 내용으로 위키를 만들 수 있고 체계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
보는 일이 개개인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
다.
 분량은 방대하지만 참여자가 많아서 알차게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각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계속해서 추가해 직접 쓰시면 되고 방송사부
터 성우까지 여러가지 내용을 담아주시면 될 것 같아욤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1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애니메이션, 방송사, 성우
 1990년대, 2000년대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해 봅니당.
 주로 투니버스 전성기였던 2000년에서 2007년 위주로 다룰 것 같습니다.
 이 시기에 방영했던 애니메이션들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커뮤니티
나 SNS 등에서도 이를 추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오곤 합니다.
 최근 다시 주목 받는 이유가 그 시절을 즐겼던 어린이들이 현재 20대가 되는 시
기이며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따라서 흥미있는 내용으로 위키를 만들 수 있고 체계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
보는 일이 개개인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
다.
 분량은 방대하지만 참여자가 많아서 알차게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각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계속해서 추가해 직접 쓰시면 되고 방송사부
터 성우까지 여러가지 내용을 담아주시면 될 것 같아욤
클래스 설정
2
 방송사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주제가
 성우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 장르
추억의 애니메이션
클래스 설정
2 추억의 애니메이션
클래스 설정
 방송사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주제가
 성우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 장르
?
개체
3
애니메이션
투니버스(방송사)
카툰네트워크(방송사)
애니맥스(방송사)
애니플러스(방송사)
챔프TV(방송사)
나루토
이누야샤
다다다
슬레이어즈
짱구는 못말려
베리베리 뮤우뮤우
라라의 스타일기
신의 괴도 잔느
추억의 애니메이션
개체 …
…
…
…
…
3
애니메이션
투니버스(방송사)
카툰네트워크(방송사)
애니맥스(방송사)
애니플러스(방송사)
챔프TV(방송사)
나루토
이누야샤
다다다
슬레이어즈
짱구는 못말려
베리베리 뮤우뮤우
라라의 스타일기
신의 괴도 잔느
추억의 애니메이션
개체
38
…
…
…
…
…
3
애니메이션
투니버스(방송사)
카툰네트워크(방송사)
애니맥스(방송사)
애니플러스(방송사)
챔프TV(방송사)
나루토
이누야샤
다다다
슬레이어즈
짱구는 못말려
베리베리 뮤우뮤우
라라의 스타일기
신의 괴도 잔느
추억의 애니메이션
개체
38
…
…
…
…
…
애니메이션, 방송사, 성우
3
 방송사 △
 애니메이션 O
 캐릭터 △
 주제가 O
 성우 O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X
 장르 X
추억의 애니메이션
개체
작성페이지
4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애니메이션
성우
4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4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4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4
 방송사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주제가
 성우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 장르
 감독( OR 제작자? 스튜디오?)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4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방송사
애니메이션
캐릭터
주제가
성우
원작과의
차이
장르
감독
제작자
사례 2: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1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 음악에 관심있으신 분들, 음악 관련 위키콘텐츠 제작을 원하시는 분들 함께해
요 !!
 원래 제 위키페이지를 보시면, 추억의 음악 - 기억 속 추억의 음악을 찾아서 라는
위키 페이지 컨셉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밌고 구체적으로, 의미
있게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즉 80-90년대에 활동했던 아티스트의 명반들을 다뤄보
고, 그 속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러 기사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라는 큰
주제를 다뤄보기로 했어요!
 대표기사는 명반(음반)이 되는 것이고, 그 음반과 관련되어서 기사를 작성하게 되
어요! 음악 들으면서 즐겁게 위키콘텐츠 실습 해보아요!!
1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 음악에 관심있으신 분들, 음악 관련 위키콘텐츠 제작을 원하시는 분들 함께
해요 !!
 원래 제 위키페이지를 보시면, 추억의 음악 - 기억 속 추억의 음악을 찾아서 라는
위키 페이지 컨셉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밌고 구체적으로, 의미
있게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즉 80-90년대에 활동했던 아티스트의 명반
들을 다뤄보고, 그 속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러 기사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황
금기'라는 큰 주제를 다뤄보기로 했어요!
 대표기사는 명반(음반)이 되는 것이고, 그 음반과 관련되어서 기사를 작성하게 되
어요! 음악 들으면서 즐겁게 위키콘텐츠 실습 해보아요!!
1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 음악에 관심있으신 분들, 음악 관련 위키콘텐츠 제작을 원하시는 분들 함께
해요 !!
 원래 제 위키페이지를 보시면, 추억의 음악 - 기억 속 추억의 음악을 찾아서 라는
위키 페이지 컨셉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밌고 구체적으로, 의미
있게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즉 80-90년대에 활동했던 아티스트의 명반
들을 다뤄보고, 그 속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러 기사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황
금기'라는 큰 주제를 다뤄보기로 했어요!
 대표기사는 명반(음반)이 되는 것이고, 그 음반과 관련되어서 기사를 작성하게 되
어요! 음악 들으면서 즐겁게 위키콘텐츠 실습 해보아요!!
음악,아티스트,명반
클래스 설정
2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클래스 설정
 아티스트
 레이블
 음반
 음악 장르
 악기
 직업
 사건
 개념
개체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45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45음반,아티스트,사건,음악 장르,개념,
직업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45음반,아티스트,사건,음악 장르,개념,
직업…
+
수록곡.?
?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음반(개념)
개념...?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하이텔(사건)
 대학가요제(사건)
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사건)
 나우누리(사건)
하이텔, 나우누리?... 사건?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 전람회(아티스트)
 패닉(아티스트)
 공일오비(아티스트)
 윤종신(아티스트)
 부활(아티스트)
 무한궤도(아티스트)
 신해철(아티스트)
 송골매(아티스트)
 산울림(아티스트)
 시나위(아티스트)
 김광석(아티스트)
 동물원(아티스트)
 유재하(아티스트)
 토이(아티스트)
 이문세(아티스트)
 조성모(아티스트)
 YB(아티스트)
 윤도현(아티스트)
 자우림(아티스트)
 체리필터(아티스트)
그룹, 멤버
분화 가능?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어쿠스틱 기타(악기)
 일렉트릭 기타(악기)
 베이스(악기)
 드럼(악기)
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어쿠스틱 기타(악기)
 일렉트릭 기타(악기)
 베이스(악기)
 드럼(악기)
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악기
 Delispice(음반)
 Exhibition 2(음반)
 The Third Wave(음반)
 우리앞의 생이 끝나갈때(음반)
 A Night in Seoul(음반)
음반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팝(음악 장르)
 록(음악 장르)
 모던 록(음악 장르)
 포크(음악 장르)
 인디(음악 장르, 개념)
인디…. 개념?...
음반(개념)?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보컬(직업)
 싱어송라이터(직업)
 음악가(직업)
보컬. 직업? - 악기?
음악가. 직업?
작성페이지
4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온톨로지 리뷰
1 온톨로지 리뷰
온톨로지 사용목적
예전부터 사람들은 표준을 만드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간단한 척도(거리, 시간, 온도 등)부터 용어 등을 표준화하는 작업을 지속
적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식들을 이러한 표준화 작업을 통해서 용어를 정의해
나가는 데는 너무 많은 노력과 합의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방법을 바꾸게 된다. 현명한 선택이다.
"각자가 다른 용어를 쓰더라도 같은 대상(존재)을 이야기 한다면, 그 속성
이 같지 않겠는가"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 온톨로지이다.
예를 들어, board가 있는데, 그 속성에 '눈'과 관련이 있으면 '스노보드'로
인식하는 것이고, 음식과 관련이 있으면 '식탁'으로, 인터넷과 관련이 있으
면 '온라인 게시판'으로, 학교 및 학부모 등과 관련이 있으면 ‘학교 등의 위
원회’, 또 회사 등이면 ‘이사회’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사람이 문맥을 보고 그 단어의 의미를 찾아가는 것과 비슷한데, '
개념', '관계', '구조', '공리(axiom)', ‘제약’ 등 좀 더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웹
에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온톨로지
1 온톨로지 리뷰
온톨로지 사용목적
시맨틱 웹 기술은 사람의 머리 속에 있는 언어에 대한 이해를 컴퓨터 언
어로 표현하고 이것을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인데, 특별한 분
산환경을 갖춘 웹에 구현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HTML 형태의 문서들로 이뤄진 현재의 웹은 사람에게 정보를 주
는 역할은 하고 있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이 각 문서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
할 수 없다.
온톨로지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세상에 있는 각각의 사물이나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이들 속에 들어있는
특징을 파악해서 이해하는 방식을 개념화라고 하는데, 온톨로지는 컴퓨터
에서도 사람이 갖고 있는 개념과 같은 것을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형태로 만드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 프로그램과 인간이 지식을 공유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온톨로지는, 정
보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자원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상세하게 기술
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온톨로지
1
2 온톨로지 리뷰
온톨로지 구성
온톨로지의 구성 요소는 클래스(class), 인스턴스(instance), 관계
(relation), 속성(proper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클래스(Class)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물이나 개념 등에 붙이는 이름을
말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키보드", "모니터", "사랑"과 같은 것은 모두 클
래스라고 할 수 있다.
인스턴스(Instance)는 사물이나 개념의 구체물이나 사건 등의 실질적인
형태로 나타난 그 자체를 의미한다. 즉, "LG전자 ST-500 울트라슬림 키보
드", "삼성 싱크마스터 Wide LCD 모니터",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은 일
반적으로 인스턴스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래스와 인스턴스의 구분은 응용과 사용목적에 따라서 매우
달라질 수 있다. 즉, 같은 표현의 개체가 어떠한 경우에는 클래스가 되었다
가 다른 경우에는 인스턴스가 될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온톨로지
2
3 온톨로지 리뷰
나의인문학에서 온톨로지의 활용
3
“An Ontology is a formal, explicit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 of a domain of interest.”
-Thomas R. Gruber & Pim Borst
*formal :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정형화된 형태로
*explicit specification :
개념의 유형과 사용 규칙을 명백하게 명시함
*shared :
각 분야를 넘나들며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conceptualization :
대상을 개념화하여 추상적으로 체계화한 모델
3 온톨로지 리뷰
나의인문학에서 온톨로지의 활용
1. PARTICULAR
 나의 인문학의 목표 및 관점을 명확히.
 대상 + 주제.
2. CLASS, INSTANCE
 클래스와 개체의 구분을 명확히.
 클래스 간(클래스에 소속된 개체)의 관계가 발생하는지.
 클래스 내의 개체 간의 관계가 발생하는지.
 클래스 및 개체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상세하게 기술할 수 있는
지.
3
- 휴식 후 검토를 원하는 팀은 알려주세요
- 한 팀만 받겠습니다.
- 그리고 고민해 주세요.
- 함께.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6년 1학기 건국대학교 인문정보학 입문 특강

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
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
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
hyeonmo koo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lee won don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ssuser129d67
 
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
Dong-Joon Kim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lee won don
 
[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
[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
[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
해강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ESCAPE
 
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
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
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2교재가이드
2012교재가이드2012교재가이드
2012교재가이드
커뮤니케이션북스(주)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주희 이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ChangeON@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Hanscoaching
 
상상유니브최종
상상유니브최종상상유니브최종
상상유니브최종
해련 백
 
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
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
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
eunyong kim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Creative Commons Korea
 
2nd.lecture.design.for.icons
2nd.lecture.design.for.icons2nd.lecture.design.for.icons
2nd.lecture.design.for.icons
Jeongeun Kwon
 
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
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
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
editricejj
 
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
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
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
Young Ju Kim
 
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
KirenKim
 

Similar to 2016년 1학기 건국대학교 인문정보학 입문 특강 (20)

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
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
아홉단어프로젝트 고전바라보기 20140603_v1.3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2009 도서관 시민학교(도서관이 꿈이다)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N개의 공론장 퀴어 공간 발제: 루인
 
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4월 지혜의공간 ii
4월 지혜의공간 ii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희망의 인문학 강의록
 
[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
[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
[Softmax] 유익한 무엇에 관하여(13.09.27)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일렉트로닉 뮤직 타임라인 (국내) By escape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
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
2012년 2학기 커뮤니케이션북스 교재 가이드
 
2012교재가이드
2012교재가이드2012교재가이드
2012교재가이드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1312188이주희 디자인과문화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한스코칭] 강의안_코칭과 인문학_한숙기
 
상상유니브최종
상상유니브최종상상유니브최종
상상유니브최종
 
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
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
쉽게 쓰고 더 쉽게 읽는 시대를 향한 프로포즈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2nd.lecture.design.for.icons
2nd.lecture.design.for.icons2nd.lecture.design.for.icons
2nd.lecture.design.for.icons
 
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
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
2조 비도서자료-최종(사진삭제)
 
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
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
2013창의서밋자료집 최종10242
 
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색채론 0918 김다래
색채론 0918 김다래
 

2016년 1학기 건국대학교 인문정보학 입문 특강

  • 1. ‘나의 인문학’ 위키 콘텐츠 제작 사례 ‘검토’ 건국대학교 인문정보학 입문 수업 강의 2016-06-01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 김사현
  • 2. CONTENTS 사례1: 추억의 애니메이션  프로젝트 목적  클래스 설정  개체  작성페이지 사례 2: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 프로젝트 목적  클래스 설정  개체  작성페이지 온톨로지 리뷰
  • 3. 사례 1: 추억의 애니메이션
  • 5. 1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 1990년대, 2000년대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해 봅니당.  주로 투니버스 전성기였던 2000년에서 2007년 위주로 다룰 것 같습니다.  이 시기에 방영했던 애니메이션들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커뮤니티 나 SNS 등에서도 이를 추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오곤 합니다.  최근 다시 주목받는 이유가 그 시절을 즐겼던 어린이들이 현재 20대가 되는 시 기이며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따라서 흥미있는 내용으로 위키를 만들 수 있고 체계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 보는 일이 개개인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 다.  분량은 방대하지만 참여자가 많아서 알차게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각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계속해서 추가해 직접 쓰시면 되고 방송사부터 성우까지 여러가지 내용을 담아주시면 될 것 같아욤
  • 6. 1  1990년대, 2000년대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해 봅니당.  주로 투니버스 전성기였던 2000년에서 2007년 위주로 다룰 것 같습니다.  이 시기에 방영했던 애니메이션들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커뮤니티 나 SNS 등에서도 이를 추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오곤 합니다.  최근 다시 주목 받는 이유가 그 시절을 즐겼던 어린이들이 현재 20대가 되는 시 기이며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따라서 흥미있는 내용으로 위키를 만들 수 있고 체계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 보는 일이 개개인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 다.  분량은 방대하지만 참여자가 많아서 알차게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각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계속해서 추가해 직접 쓰시면 되고 방송사부 터 성우까지 여러가지 내용을 담아주시면 될 것 같아욤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 7. 1 추억의 애니메이션 프로젝트 목적 애니메이션, 방송사, 성우  1990년대, 2000년대 인기 있었던 애니메이션을 추억해 봅니당.  주로 투니버스 전성기였던 2000년에서 2007년 위주로 다룰 것 같습니다.  이 시기에 방영했던 애니메이션들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커뮤니티 나 SNS 등에서도 이를 추억하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오곤 합니다.  최근 다시 주목 받는 이유가 그 시절을 즐겼던 어린이들이 현재 20대가 되는 시 기이며 어린 시절을 그리워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따라서 흥미있는 내용으로 위키를 만들 수 있고 체계적으로 이 주제를 다루어 보는 일이 개개인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 같아 이러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 다.  분량은 방대하지만 참여자가 많아서 알차게 구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각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계속해서 추가해 직접 쓰시면 되고 방송사부 터 성우까지 여러가지 내용을 담아주시면 될 것 같아욤
  • 9. 2  방송사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주제가  성우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 장르 추억의 애니메이션 클래스 설정
  • 10. 2 추억의 애니메이션 클래스 설정  방송사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주제가  성우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 장르 ?
  • 15. 3  방송사 △  애니메이션 O  캐릭터 △  주제가 O  성우 O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X  장르 X 추억의 애니메이션 개체
  • 21. 4  방송사  애니메이션  캐릭터  주제가  성우  원작과의 차이(현지화 포함)  장르  감독( OR 제작자? 스튜디오?) 추억의 애니메이션 작성페이지
  • 23. 사례 2: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 25. 1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 음악에 관심있으신 분들, 음악 관련 위키콘텐츠 제작을 원하시는 분들 함께해 요 !!  원래 제 위키페이지를 보시면, 추억의 음악 - 기억 속 추억의 음악을 찾아서 라는 위키 페이지 컨셉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밌고 구체적으로, 의미 있게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즉 80-90년대에 활동했던 아티스트의 명반들을 다뤄보 고, 그 속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러 기사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라는 큰 주제를 다뤄보기로 했어요!  대표기사는 명반(음반)이 되는 것이고, 그 음반과 관련되어서 기사를 작성하게 되 어요! 음악 들으면서 즐겁게 위키콘텐츠 실습 해보아요!!
  • 26. 1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 음악에 관심있으신 분들, 음악 관련 위키콘텐츠 제작을 원하시는 분들 함께 해요 !!  원래 제 위키페이지를 보시면, 추억의 음악 - 기억 속 추억의 음악을 찾아서 라는 위키 페이지 컨셉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밌고 구체적으로, 의미 있게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즉 80-90년대에 활동했던 아티스트의 명반 들을 다뤄보고, 그 속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러 기사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황 금기'라는 큰 주제를 다뤄보기로 했어요!  대표기사는 명반(음반)이 되는 것이고, 그 음반과 관련되어서 기사를 작성하게 되 어요! 음악 들으면서 즐겁게 위키콘텐츠 실습 해보아요!!
  • 27. 1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프로젝트 목적  음악에 관심있으신 분들, 음악 관련 위키콘텐츠 제작을 원하시는 분들 함께 해요 !!  원래 제 위키페이지를 보시면, 추억의 음악 - 기억 속 추억의 음악을 찾아서 라는 위키 페이지 컨셉으로 발표를 했었는데, 어떻게 하면 보다 재밌고 구체적으로, 의미 있게 설계를 할 수 있을까 고민고민하다가 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즉 80-90년대에 활동했던 아티스트의 명반 들을 다뤄보고, 그 속에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여러 기사들로 '한국 대중음악의 황 금기'라는 큰 주제를 다뤄보기로 했어요!  대표기사는 명반(음반)이 되는 것이고, 그 음반과 관련되어서 기사를 작성하게 되 어요! 음악 들으면서 즐겁게 위키콘텐츠 실습 해보아요!! 음악,아티스트,명반
  • 29. 2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클래스 설정  아티스트  레이블  음반  음악 장르  악기  직업  사건  개념
  • 31.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 32.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45
  • 33.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45음반,아티스트,사건,음악 장르,개념, 직업
  • 34. 3 Delispice(음반)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하이텔(사건) Exhibition 2(음반) 전람회(아티스트) 대학가요제(사건) 패닉(아티스트) The Third Wave(음반) 신해철(아티스트) 음악가(직업) 보컬(직업) 음반(개념)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 … … … … 45음반,아티스트,사건,음악 장르,개념, 직업… + 수록곡.? ?
  • 35.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음반(개념) 개념...?
  • 36.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하이텔(사건)  대학가요제(사건) 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사건)  나우누리(사건) 하이텔, 나우누리?... 사건?
  • 37.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델리 스파이스(아티스트)  전람회(아티스트)  패닉(아티스트)  공일오비(아티스트)  윤종신(아티스트)  부활(아티스트)  무한궤도(아티스트)  신해철(아티스트)  송골매(아티스트)  산울림(아티스트)  시나위(아티스트)  김광석(아티스트)  동물원(아티스트)  유재하(아티스트)  토이(아티스트)  이문세(아티스트)  조성모(아티스트)  YB(아티스트)  윤도현(아티스트)  자우림(아티스트)  체리필터(아티스트) 그룹, 멤버 분화 가능?
  • 38.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어쿠스틱 기타(악기)  일렉트릭 기타(악기)  베이스(악기)  드럼(악기) 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 39.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어쿠스틱 기타(악기)  일렉트릭 기타(악기)  베이스(악기)  드럼(악기)  피아노/신디사이저(악기) 악기  Delispice(음반)  Exhibition 2(음반)  The Third Wave(음반)  우리앞의 생이 끝나갈때(음반)  A Night in Seoul(음반) 음반
  • 40.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팝(음악 장르)  록(음악 장르)  모던 록(음악 장르)  포크(음악 장르)  인디(음악 장르, 개념) 인디…. 개념?... 음반(개념)?
  • 41. 3 한국 대중음악의 황금기 개체  보컬(직업)  싱어송라이터(직업)  음악가(직업) 보컬. 직업? - 악기? 음악가. 직업?
  • 45. 1 온톨로지 리뷰 온톨로지 사용목적 예전부터 사람들은 표준을 만드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왔다. 간단한 척도(거리, 시간, 온도 등)부터 용어 등을 표준화하는 작업을 지속 적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식들을 이러한 표준화 작업을 통해서 용어를 정의해 나가는 데는 너무 많은 노력과 합의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방법을 바꾸게 된다. 현명한 선택이다. "각자가 다른 용어를 쓰더라도 같은 대상(존재)을 이야기 한다면, 그 속성 이 같지 않겠는가"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 온톨로지이다. 예를 들어, board가 있는데, 그 속성에 '눈'과 관련이 있으면 '스노보드'로 인식하는 것이고, 음식과 관련이 있으면 '식탁'으로, 인터넷과 관련이 있으 면 '온라인 게시판'으로, 학교 및 학부모 등과 관련이 있으면 ‘학교 등의 위 원회’, 또 회사 등이면 ‘이사회’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렇게 사람이 문맥을 보고 그 단어의 의미를 찾아가는 것과 비슷한데, ' 개념', '관계', '구조', '공리(axiom)', ‘제약’ 등 좀 더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웹 에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온톨로지
  • 46. 1 온톨로지 리뷰 온톨로지 사용목적 시맨틱 웹 기술은 사람의 머리 속에 있는 언어에 대한 이해를 컴퓨터 언 어로 표현하고 이것을 컴퓨터가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인데, 특별한 분 산환경을 갖춘 웹에 구현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HTML 형태의 문서들로 이뤄진 현재의 웹은 사람에게 정보를 주 는 역할은 하고 있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이 각 문서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 할 수 없다. 온톨로지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세상에 있는 각각의 사물이나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이들 속에 들어있는 특징을 파악해서 이해하는 방식을 개념화라고 하는데, 온톨로지는 컴퓨터 에서도 사람이 갖고 있는 개념과 같은 것을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형태로 만드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 프로그램과 인간이 지식을 공유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온톨로지는, 정 보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자원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상세하게 기술 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온톨로지 1
  • 47. 2 온톨로지 리뷰 온톨로지 구성 온톨로지의 구성 요소는 클래스(class), 인스턴스(instance), 관계 (relation), 속성(property)으로 구분할 수 있다. 클래스(Class)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물이나 개념 등에 붙이는 이름을 말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키보드", "모니터", "사랑"과 같은 것은 모두 클 래스라고 할 수 있다. 인스턴스(Instance)는 사물이나 개념의 구체물이나 사건 등의 실질적인 형태로 나타난 그 자체를 의미한다. 즉, "LG전자 ST-500 울트라슬림 키보 드", "삼성 싱크마스터 Wide LCD 모니터",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은 일 반적으로 인스턴스라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래스와 인스턴스의 구분은 응용과 사용목적에 따라서 매우 달라질 수 있다. 즉, 같은 표현의 개체가 어떠한 경우에는 클래스가 되었다 가 다른 경우에는 인스턴스가 될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온톨로지 2
  • 48. 3 온톨로지 리뷰 나의인문학에서 온톨로지의 활용 3 “An Ontology is a formal, explicit specification of a shared conceptualization of a domain of interest.” -Thomas R. Gruber & Pim Borst *formal :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정형화된 형태로 *explicit specification : 개념의 유형과 사용 규칙을 명백하게 명시함 *shared : 각 분야를 넘나들며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conceptualization : 대상을 개념화하여 추상적으로 체계화한 모델
  • 49. 3 온톨로지 리뷰 나의인문학에서 온톨로지의 활용 1. PARTICULAR  나의 인문학의 목표 및 관점을 명확히.  대상 + 주제. 2. CLASS, INSTANCE  클래스와 개체의 구분을 명확히.  클래스 간(클래스에 소속된 개체)의 관계가 발생하는지.  클래스 내의 개체 간의 관계가 발생하는지.  클래스 및 개체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상세하게 기술할 수 있는 지. 3
  • 50. - 휴식 후 검토를 원하는 팀은 알려주세요 - 한 팀만 받겠습니다. - 그리고 고민해 주세요. -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