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6개 학교 중금속 및 세척제 조사, 아토피 아동 바이오 모니터링
학교, 구석구석 살피기
여성환경연대
고금숙(금자)
학교 공간
중금속 검사
(교실, 돌봄교실,
학습준비물실,
과학자료실,
강당, 체육관,
도서관)
서울시내
초중고교
세척제
성분
아토피 아동
13명
소변 속
프탈레이트
조사
순서
테트라에틸납
(유연 -> 무연 휘발유)
중금속 건강영향
염소 1% 이상
PVC
수은
Hg
브롬
Br
카드뮴
Cd
납
Pb
100ppm 이상 1,000 ppm 이상
100ppm 이상 100ppm 이상
‘위험’
기준치
조사
결과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S학교
S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33.9
20.2
45.9
S학교
6개 공간
46개 대상
51지점 측정
학교별
조사
결과
K초등학교
5개 공간
48개 대상
78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K초등학교
K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58.3
16.7
25
조사
결과
S초등학교
4개 공간
80개 대상
109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S초등학교
S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33.9
20.2
45.9
조사
결과
O초등학교
6개 공간
99개 대상
141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O초등학교
O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46.1
22.7
31.2
조사
결과
M중학교
3개 공간
39개 대상
48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M중학교
M중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64.6
16.7
18.8
조사
결과
SS초등학교
5개 공간
54개 대상
69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SS초등학교
SS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38.9
20.4
40.7
조사
결과
6개 학교 평균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6개 학교 전체
50.1
3.7 6.3 35.8
6개 학교 전체
위험
(%)
주의
(%)
안전
(%)
38.0
23.2
38.8
조사
결과
신/ 구학교
0.0 10.0 20.0 30.0 40.0 50.0 60.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구 / 신학교 비교
10년 이하의 학교
10년 이상 된 학교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위험
(%)
주의
(%)
안전
(%)
구 / 신학교 비교
10년 이상 된 학교
10년 이하의 학교
구학교 4개
신학교 2개
조사결과
장소별 비교
교실
위험
주의
안전
37.2
15.8
47.0
돌봄교실
위험
주의
안전
19.6
36.9
43.5
비교적 안전
조사결과
장소별 비교
위험한 공간
학습준비물실
위험
주의
안전
59.8
37.2
22.5
17.6
과학자료실
위험
주의
안전
59.041.0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
기준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
기준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6개 학교
오래된 학교 (4개)
새 학교 (2개)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
25.1 %
30.0 %
15.1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초과
1. 2016년부터 법 적용이므로 실태조사 차원에서 파악
2. 간이측정기 측정시 납+수은+카드뮴 0.07% 이상 시 정밀검사 요구함
3. 아래 기준은 정밀검사 기준인 납 0.06%(600ppm),
납+카드뮴의 합 0.1%(1000ppm) 초과의 경우
53000~2.8ppm
도서관 창틀 53000ppm
배구공 4319ppm
도서관 창틀 32700ppm
돌봄교실 문 37200ppm
투호볼 5634ppm 교실 칠판 35500ppm
5988~3.3ppm
도서관 비상문 시트지 276ppm
체육실 탁구대 덮개 87ppm
줄넘기 줄 246ppm
커팅매트 331ppm
교실 커팅매트 560ppm 소고 태극무늬 5988ppm
15100~1.8ppm
도서관 블라인드 99400ppm
휴게실 의자 759ppm
도서관 가벽 시트지 6045ppm
다목적실 암막커튼 앞면 15100ppm
과학 자료실 큐브 파랑색 1350ppm
카드뮴 172ppm
안전한
물건
찾기
납 2270ppm
아토피 아동 13명 소변검사I <프탈레이트>
대사산물
(㎍/L)
프탈레이트 N 검출시료(%) 기하평균 최소값 최대값
MMP DMP 13 13(100%) 9.1 1.3 20.6
MEP DEP 13 13(100%) 12.8 3.7 75.2
MnBP DnBP 13 13(100%) 119.6 25.7 485.6
MBzP BBzP 13 12(93%) 6.4 ND 77.9
MECCP
DEHP
13 13(100%) 96.8 23.6 537.5
MEHHP 13 13(100%) 73.4 19.2 306.7
MEOHP 13 13(100%) 54.6 8.8 187.6
MEHP 13 13(100%) 15.4 5.2 41.5
DEHP 합계
240.2
MINP DINP 13 13(100%) 1.8 0.4 17.4
아토피 아동 13명 소변검사II <프탈레이트>
대사산물
(㎍/g Creat)
프탈레이트 기하평균 최소값 최대값
MMP*
DMP 8.5 2.7 34.4
MEP*
DEP 12.0 4.7 45.4
MnBP*
DnBP 111.9 69.4 401.3
MBzP*
BBzP 6.0 ND 32.6
MECCP*
DEHP
90.6 29.2 225.0
MEHHP*
68.6 23.4 135.3
MEOHP*
36.0 9.5 78.5
MEHP*
14.4 4.7 32.2
∑DEHP*,1)
209.6
MINP*
DINP 1.6 9.0 197.7
결과
고찰
• 프탈레이트 중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된 물질은 DBP!
13명의 기하평균 농도는 119.6 ㎍/L로 가장 높았다.
DBP는 주로 매니큐어, 헤어제품과 같은 화장품 등에 사용되며
이러한 제품 사용 시 피부 및 호흡기로 노출되어 체내로 흡수된다.
• 두 번째로 높은 농도는 DEHP의 대사산물인 MECCP 96.8 ㎍/L,
MEHHP 73.4 ㎍/L, MEOHP 54.6 ㎍/L 순이었다.
DEHP는 주로 건축자재(바닥재, 벽지 등의 내장재), 음식포장재,
장난감이나 학용품뿐만 아니라 향수, 액체비누, 헤어스프레이 등 일상
생활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 DMP, DEP, BBP, DINP는 다른 대사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검출되었다.
바이오
모니터링
결과비교
조사명 조사시기 연령
DEHP (μg/L) DBP (μg/L) BBP (μg/L)
MEHHP MEOHP MECCP 3가지 총합
전체
평균
MnBP 전체 평균 MBzP
전체
평균
어린이 환경노
출 및 건강실태
조사 (환경부)
2014 영유아 43.49 34.28 65.47 143.24
118.91
55.5
59.88
7.46
7.29
2012~
2013
초등학교 34.47 29.82 59.39 123.68 68.26 7.58
중고등학교 28.28 20.38 41.15 89.81 55.87 6.82
NHANES (미
국)
2009~
2010
6~11세 15 9.78 27.7 52.48
51.99
21.7
20.3
11.6
11.1
12~19세 15.3 10 26.2 51.5 18.9 10.6
본 조사 2015
초등학생
(아토피)
73.4 54.6 96.8 224.8 224.8 119.6 119.6 6.4 6.4
독성가족 I 2014 22.6 19.4 15 57 57 44.4 44.4 17.3 17.3
조사명 조사시기 연령
DEHP (μg/g crea.)
DBP
(μg/g crea.)
BBP
(μg/g crea.)
MEHHP MEOHP MECCP 3가지 총합 MnBP MBzP
NHANES
(미국)
2009~
2010
6~11세 19.6 12.7 36.1 68.4 28.3 15.1
제 1기 국민환경
보건기초조사
2012
만 19세
이상
25.1 18.9 없음 44 55.2 없음
독성가족 I 2014 30.1 25.8 20 75.9 59.2 23
본 조사 2015
초등학생
(아토피)
68.6 36 90.6 195.2 111.9 6
DEHP 대사체
비교
0
20
40
60
80
100
120
MEHHP MEOHP MECCP
프탈레이트 (DEHP) 대사물질 비교
어린이 환경노출 (환경부)
NHANES (미국)
본 조사
독성가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MEHHP MEOHP MECCP
프탈레이트(DEHP) 대사물질 비교
(크레아니틴 보정 농도)
NHANES(미국)
제 1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독성가족I
본 조사
DEHP, DBP, BBP 대사체 비교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3종류 프탈레이트 검출결과 비교
DEHP (대사체 3종류 합)
DBP (MnBP)
BBP (MBzP)
어린이 환경노출 (환경부)
본 조사
미국 NHANES
DEHP, DBP, BBP 대사체 비교 (보정농도)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NHANES (미국) 제 1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독성가족 I 본 조사
3종류 프탈레이트 검출결과 비교 (크레아니틴 보정 농도)
BBP (MBzP)
DBP (MnBP)
DEHP (대사체 3종류 합)
총 1,197개 서울시내 초등고등학교사용 세척제 1,294개
(식품용, 식기 및 기구용, 바닥용 세척제 등
다용한 용도로 사용, MSDS를 통한 전성분 조사)
국제암
연구소
발암물질
세척제
◦ 그룹 1(발암성 물질)은 3개,
그룹 2B(발암 의심 물질)은 3개 등 총 6개의 물질 확인
그룹 2A(발암 가능 물질)는 발견되지 않음
◦ 발암성 물질은 비소, 카드뮴 및 황산으로
비소와 카드뮴은 동일한 4개 제품, 7개 학교에서 사용
◦ 황산은 16개 제품에서 확인
◦ 그룹 2B 물질 코코넛디에탄올아미드는 계면활성제 성분,
총 37개 제품에서 확인
총 1,197개 서울시내 초등고등학교사용 세척제 1,294개
(식품용, 식기 및 기구용, 바닥용 세척제 등
다용한 용도로 사용, MSDS를 통한 전성분 조사)
고용
노동부
발암성
세척제
◦ 구분 1A(발암성 물질):
비소, 카드뮴, 크롬 그리고 황산 등 4개 물질
◦ 구분 1B(발암 가능 물질): 납 (4개 제품)
◦ 구분2(발암 의심 물질): 2-부톡시에탄올,
디에탄올아민 (1개 제품)
◦ 발암성 물질은 극히 일부 제품에서만 확인
단, 2-부톡시에탄올이 45개 제품에서 확인
총 1,197개 서울시내 초등고등학교사용 세척제 1,294개
(식품용, 식기 및 기구용, 바닥용 세척제 등
다용한 용도로 사용, MSDS를 통한 전성분 조사)
생식독성
/
환경
호르몬
세척제
◦ 발암성 물질 중 납과 카드뮴은 생식독성물질
납은 구분 1A 그리고 카드뮴은 구분 2에 해당
◦ 납과 카드뮴 동일한 4개 제품에서 확인
◦ 알킬페놀: 주로 계면활성제로 사용,
유럽연합에서는 산업용 및 가정용 세척제, 개인위생용품,
화장품 등에서 사용제한 물질
2개 성분(Nonylphenol polyethylene glycol ether,
p-Nonylphenol polyethylene glycol ether)이 5개
제품에서 확인
◦ 트리클로산: 6개 제품(손세정제), 개인위생용품 0.3%
사용금지, 한 제품에 10% 미만이라고 표기
1) 학교 현장 모니터링과 실태 파악
2) 친환경 자재와 리모델링을 위한 가이드북 (학교용 / 공사업체용)
3) 친환경 리모델링을 위한 예산 지원
3) <경기도 교육청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처럼 지자체 조례 제정
4) 친환경 학습준비물 지원센터 및 건강한 물품 리스트 공개
5) 학교 관계자(교사, 교감, 교장, 구매 조달자 등) 의무 교육
제안
감사합니다.
여성환경연대 금자 (고금숙)
kokumsook@gmail.com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고금숙 (2015)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
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
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
여성환경연대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여성환경연대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여성환경연대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여성환경연대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여성환경연대
 

Similar to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고금숙 (2015) (6)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6년 영수증 비스페놀 검출시험 보고서
 
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
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
20170321 생리대방출시험(김만구) v3.1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진행보고(2014)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종이컵 과불화 화합물 조사보고서(2013)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어린이 급식용 통조림 비스페놀A(bpa) 검출 보고서'(2011.12.19)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여성환경연대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여성환경연대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유해물질 없는 건강한 학교 만들기, 고금숙 (2015)

  • 1. 6개 학교 중금속 및 세척제 조사, 아토피 아동 바이오 모니터링 학교, 구석구석 살피기 여성환경연대 고금숙(금자)
  • 2. 학교 공간 중금속 검사 (교실, 돌봄교실, 학습준비물실, 과학자료실, 강당, 체육관, 도서관) 서울시내 초중고교 세척제 성분 아토피 아동 13명 소변 속 프탈레이트 조사 순서
  • 3. 테트라에틸납 (유연 -> 무연 휘발유) 중금속 건강영향
  • 4. 염소 1% 이상 PVC 수은 Hg 브롬 Br 카드뮴 Cd 납 Pb 100ppm 이상 1,000 ppm 이상 100ppm 이상 100ppm 이상 ‘위험’ 기준치
  • 5. 조사 결과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S학교 S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33.9 20.2 45.9 S학교 6개 공간 46개 대상 51지점 측정 학교별
  • 6. 조사 결과 K초등학교 5개 공간 48개 대상 78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K초등학교 K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58.3 16.7 25
  • 7. 조사 결과 S초등학교 4개 공간 80개 대상 109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S초등학교 S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33.9 20.2 45.9
  • 8. 조사 결과 O초등학교 6개 공간 99개 대상 141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O초등학교 O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46.1 22.7 31.2
  • 9. 조사 결과 M중학교 3개 공간 39개 대상 48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M중학교 M중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64.6 16.7 18.8
  • 10. 조사 결과 SS초등학교 5개 공간 54개 대상 69지점 측정 0 10 20 30 40 50 60 7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SS초등학교 SS초등학교 위험 (%) 주의 (%) 안전 (%) 38.9 20.4 40.7
  • 11. 조사 결과 6개 학교 평균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6개 학교 전체 50.1 3.7 6.3 35.8 6개 학교 전체 위험 (%) 주의 (%) 안전 (%) 38.0 23.2 38.8
  • 12. 조사 결과 신/ 구학교 0.0 10.0 20.0 30.0 40.0 50.0 60.0 PVC 여부 (%) 브롬 (초과개수 %) 카드뮴 (초과개수 %) 납 (초과개수 %) 구 / 신학교 비교 10년 이하의 학교 10년 이상 된 학교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위험 (%) 주의 (%) 안전 (%) 구 / 신학교 비교 10년 이상 된 학교 10년 이하의 학교 구학교 4개 신학교 2개
  • 17.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6개 학교 오래된 학교 (4개) 새 학교 (2개)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 25.1 % 30.0 % 15.1 % 어린이 활동공간 환경안전관리기준 초과 1. 2016년부터 법 적용이므로 실태조사 차원에서 파악 2. 간이측정기 측정시 납+수은+카드뮴 0.07% 이상 시 정밀검사 요구함 3. 아래 기준은 정밀검사 기준인 납 0.06%(600ppm), 납+카드뮴의 합 0.1%(1000ppm) 초과의 경우
  • 18. 53000~2.8ppm 도서관 창틀 53000ppm 배구공 4319ppm 도서관 창틀 32700ppm 돌봄교실 문 37200ppm 투호볼 5634ppm 교실 칠판 35500ppm
  • 19. 5988~3.3ppm 도서관 비상문 시트지 276ppm 체육실 탁구대 덮개 87ppm 줄넘기 줄 246ppm 커팅매트 331ppm 교실 커팅매트 560ppm 소고 태극무늬 5988ppm
  • 20. 15100~1.8ppm 도서관 블라인드 99400ppm 휴게실 의자 759ppm 도서관 가벽 시트지 6045ppm 다목적실 암막커튼 앞면 15100ppm 과학 자료실 큐브 파랑색 1350ppm
  • 22. 아토피 아동 13명 소변검사I <프탈레이트> 대사산물 (㎍/L) 프탈레이트 N 검출시료(%) 기하평균 최소값 최대값 MMP DMP 13 13(100%) 9.1 1.3 20.6 MEP DEP 13 13(100%) 12.8 3.7 75.2 MnBP DnBP 13 13(100%) 119.6 25.7 485.6 MBzP BBzP 13 12(93%) 6.4 ND 77.9 MECCP DEHP 13 13(100%) 96.8 23.6 537.5 MEHHP 13 13(100%) 73.4 19.2 306.7 MEOHP 13 13(100%) 54.6 8.8 187.6 MEHP 13 13(100%) 15.4 5.2 41.5 DEHP 합계 240.2 MINP DINP 13 13(100%) 1.8 0.4 17.4
  • 23. 아토피 아동 13명 소변검사II <프탈레이트> 대사산물 (㎍/g Creat) 프탈레이트 기하평균 최소값 최대값 MMP* DMP 8.5 2.7 34.4 MEP* DEP 12.0 4.7 45.4 MnBP* DnBP 111.9 69.4 401.3 MBzP* BBzP 6.0 ND 32.6 MECCP* DEHP 90.6 29.2 225.0 MEHHP* 68.6 23.4 135.3 MEOHP* 36.0 9.5 78.5 MEHP* 14.4 4.7 32.2 ∑DEHP*,1) 209.6 MINP* DINP 1.6 9.0 197.7
  • 24. 결과 고찰 • 프탈레이트 중 가장 높은 농도로 검출된 물질은 DBP! 13명의 기하평균 농도는 119.6 ㎍/L로 가장 높았다. DBP는 주로 매니큐어, 헤어제품과 같은 화장품 등에 사용되며 이러한 제품 사용 시 피부 및 호흡기로 노출되어 체내로 흡수된다. • 두 번째로 높은 농도는 DEHP의 대사산물인 MECCP 96.8 ㎍/L, MEHHP 73.4 ㎍/L, MEOHP 54.6 ㎍/L 순이었다. DEHP는 주로 건축자재(바닥재, 벽지 등의 내장재), 음식포장재, 장난감이나 학용품뿐만 아니라 향수, 액체비누, 헤어스프레이 등 일상 생활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 DMP, DEP, BBP, DINP는 다른 대사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검출되었다.
  • 25. 바이오 모니터링 결과비교 조사명 조사시기 연령 DEHP (μg/L) DBP (μg/L) BBP (μg/L) MEHHP MEOHP MECCP 3가지 총합 전체 평균 MnBP 전체 평균 MBzP 전체 평균 어린이 환경노 출 및 건강실태 조사 (환경부) 2014 영유아 43.49 34.28 65.47 143.24 118.91 55.5 59.88 7.46 7.29 2012~ 2013 초등학교 34.47 29.82 59.39 123.68 68.26 7.58 중고등학교 28.28 20.38 41.15 89.81 55.87 6.82 NHANES (미 국) 2009~ 2010 6~11세 15 9.78 27.7 52.48 51.99 21.7 20.3 11.6 11.1 12~19세 15.3 10 26.2 51.5 18.9 10.6 본 조사 2015 초등학생 (아토피) 73.4 54.6 96.8 224.8 224.8 119.6 119.6 6.4 6.4 독성가족 I 2014 22.6 19.4 15 57 57 44.4 44.4 17.3 17.3 조사명 조사시기 연령 DEHP (μg/g crea.) DBP (μg/g crea.) BBP (μg/g crea.) MEHHP MEOHP MECCP 3가지 총합 MnBP MBzP NHANES (미국) 2009~ 2010 6~11세 19.6 12.7 36.1 68.4 28.3 15.1 제 1기 국민환경 보건기초조사 2012 만 19세 이상 25.1 18.9 없음 44 55.2 없음 독성가족 I 2014 30.1 25.8 20 75.9 59.2 23 본 조사 2015 초등학생 (아토피) 68.6 36 90.6 195.2 111.9 6
  • 26. DEHP 대사체 비교 0 20 40 60 80 100 120 MEHHP MEOHP MECCP 프탈레이트 (DEHP) 대사물질 비교 어린이 환경노출 (환경부) NHANES (미국) 본 조사 독성가족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MEHHP MEOHP MECCP 프탈레이트(DEHP) 대사물질 비교 (크레아니틴 보정 농도) NHANES(미국) 제 1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독성가족I 본 조사
  • 27. DEHP, DBP, BBP 대사체 비교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3종류 프탈레이트 검출결과 비교 DEHP (대사체 3종류 합) DBP (MnBP) BBP (MBzP) 어린이 환경노출 (환경부) 본 조사 미국 NHANES
  • 28. DEHP, DBP, BBP 대사체 비교 (보정농도)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NHANES (미국) 제 1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독성가족 I 본 조사 3종류 프탈레이트 검출결과 비교 (크레아니틴 보정 농도) BBP (MBzP) DBP (MnBP) DEHP (대사체 3종류 합)
  • 29. 총 1,197개 서울시내 초등고등학교사용 세척제 1,294개 (식품용, 식기 및 기구용, 바닥용 세척제 등 다용한 용도로 사용, MSDS를 통한 전성분 조사) 국제암 연구소 발암물질 세척제 ◦ 그룹 1(발암성 물질)은 3개, 그룹 2B(발암 의심 물질)은 3개 등 총 6개의 물질 확인 그룹 2A(발암 가능 물질)는 발견되지 않음 ◦ 발암성 물질은 비소, 카드뮴 및 황산으로 비소와 카드뮴은 동일한 4개 제품, 7개 학교에서 사용 ◦ 황산은 16개 제품에서 확인 ◦ 그룹 2B 물질 코코넛디에탄올아미드는 계면활성제 성분, 총 37개 제품에서 확인
  • 30. 총 1,197개 서울시내 초등고등학교사용 세척제 1,294개 (식품용, 식기 및 기구용, 바닥용 세척제 등 다용한 용도로 사용, MSDS를 통한 전성분 조사) 고용 노동부 발암성 세척제 ◦ 구분 1A(발암성 물질): 비소, 카드뮴, 크롬 그리고 황산 등 4개 물질 ◦ 구분 1B(발암 가능 물질): 납 (4개 제품) ◦ 구분2(발암 의심 물질): 2-부톡시에탄올, 디에탄올아민 (1개 제품) ◦ 발암성 물질은 극히 일부 제품에서만 확인 단, 2-부톡시에탄올이 45개 제품에서 확인
  • 31. 총 1,197개 서울시내 초등고등학교사용 세척제 1,294개 (식품용, 식기 및 기구용, 바닥용 세척제 등 다용한 용도로 사용, MSDS를 통한 전성분 조사) 생식독성 / 환경 호르몬 세척제 ◦ 발암성 물질 중 납과 카드뮴은 생식독성물질 납은 구분 1A 그리고 카드뮴은 구분 2에 해당 ◦ 납과 카드뮴 동일한 4개 제품에서 확인 ◦ 알킬페놀: 주로 계면활성제로 사용, 유럽연합에서는 산업용 및 가정용 세척제, 개인위생용품, 화장품 등에서 사용제한 물질 2개 성분(Nonylphenol polyethylene glycol ether, p-Nonylphenol polyethylene glycol ether)이 5개 제품에서 확인 ◦ 트리클로산: 6개 제품(손세정제), 개인위생용품 0.3% 사용금지, 한 제품에 10% 미만이라고 표기
  • 32. 1) 학교 현장 모니터링과 실태 파악 2) 친환경 자재와 리모델링을 위한 가이드북 (학교용 / 공사업체용) 3) 친환경 리모델링을 위한 예산 지원 3) <경기도 교육청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처럼 지자체 조례 제정 4) 친환경 학습준비물 지원센터 및 건강한 물품 리스트 공개 5) 학교 관계자(교사, 교감, 교장, 구매 조달자 등) 의무 교육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