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4년 G4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지속가능발전소에서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ww.theSustainability.org
2014 Global Reporting Trends

GRI에서는 새로운 리포팅 가이드라인(G4)발표
2015년 12월31일 이후 G4기준에 의한 보고서 작성 의무화
G4 가이드라인 ­ 환경/책임경영 국제기준과의 일관성 강화
선택형(핵심vs.종합) 보고서 작성 (Level ABC 폐지)
이해관계자 및 보고서 이용자의 가독성 강화 요구
전략, 목표, 모니터링 등 경영방식의 구체적 명시 요구
조직의 중요 Aspect의 선정과정 및 당위성 검증 요구
Value Chain 전체의 Impact 파악 및 리포팅 Boundary 명시
국제기준의 통합화 (IR과 GRI기준의 통합화 1단계 논의)
이해관계자를 가치창조의 중심에 둔 보고서 작성 관점 강화
내부 표준의 강화 및 외부 전문가 검증 간의 균형
글로벌 기업에 대한 비재무정보 공개의 의무화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및 공시 법제화
Our Service
ISD 지속가능 서비스

01

국제적 표준들을 바탕으로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된 경제 사회 환경(ESG)
지표 및 툴을 통하여 한국에 소재하는 기업 및 기관들의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책임 투자 등을 진단합니다. ISD의 방법론은 선진적 기업들의 종
합적인 형태로 미래 지향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향성을 보여줍니다.

진단

02
자문

지속 가능한 경영과 사회를 위해 ISD는 각 산업 및 분야의 특성에 따라 맞
춤전략의 수립과 실행을 자문합니다.
- 경영자문: CSR전략수립, SRI 목표수립, 보고서작성, 경영시스템운영자
문등
- EHS 준수 및 감사 자문
- 법제도 자문: 환경 및 에너지, 수출입 규제에 대한 기업의 대응 자문
- 시스템 자문: 공급망 관리, 탄소 배출권, 화학물질 관리, 수출통제 및 국
제 감사 프로그램 운영/자문 등

최근에 발표된 GRI 와 IIRC 의 보고서 작성가이드에 의하면, 사회 보고의
요구 수준은 점차 강화 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도 강화된 사회보고요구
에 맞춘 보고서 작성이 요구됩니다. ISD는 오랜 시간 지속가능보고서 발
간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게 요구되는 변화에 대응하고 각 기업 및 기관의
과거 현재 미래의 연결선 상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이해하며
국제적 트랜드에 부응하여 보고서를 발간할 수 있도록 적극 돕습니다.

ISD는 고객사와 고객 협력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
영합니다. 고객사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단계에 맞춰 맞춤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 합니다. 또한 고객사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가능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ISD는 교육을 통해 우리 공
동체의 경제발전, 환경보존, 사회적 통합의 균형 성장에 기여하고자 합
니다.

03
보고서
제작 및
발간

04
지속가능
발전 교육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ur Service
ISD 보고서 작성 방법론

01
05
5단계
접근법

ISD에서는 SR 보고서 작성을 위해 사전에 지속가능경영 수준진단을 실시(고객사
사정에 따라 생략가능)하며, 고객사의 수준에 따라 보고서작성 Plan을 수립합니다.
Plan에 기반해 보고서의 주요 Content를 파악하고 (데이터 검증과 함께) 이를 바
탕으로 보고서 제작 합니다. 최종 전문가 GRI 기준 검증을 통해 보고서는 최종 발간
됩니다.
비즈니스 관점, 환경/사회적 관점, 사회책임적 관점에서 사업활동과 지속가능경영
과의 관계에서 이해관계자와의 이슈를 진단하고 도출된 이슈와 기관의 방향성 및
목표에 따라 보고서를 기획 및 작성하게 됩니다. 보고서는 가장 선진적이면서 모두
가 이해 가능한 IIRC의 통합보고서 방향원칙의 기본 틀 안에서 GRI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합니다
Our Expertise
ISD 특장점

01

ISD는 보고서의 높은 완성도를 위해 IIRC 6대 지도원리와 개정된 GRI 가이드
라인에 입각해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이해관계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강화된 사회 보고 요구의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GRI 및 IR
원칙에
충실한
Reporting

02
지속가능
경영수준
진단을 위한
자체 진단
Tool 보유

자체 개발한 ISO 26000 이행평가 프로그램(ISD SAP)을 통해 조직 전반의 지
속 가 능 경 영 수 준 을 종 합 적 으 로 평 가 합 니 다 . 또 한 ISD Sustainability
Assessment Program은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이행 수준을 경영통합적 측면
과 핵심이슈이행 측면으로 분류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ISD SAP 진단의 특징
주요항목 및 사회책임경영 통합 이행수준 / 이행 -불이행 백분율 환산표
• 각항목의세부기준과이행수준을종합평가하여주요항목이행수준분석
• 기업간이슈별갭파악/강-약점분석

03
산업별
다양한
벤치마킹
Data 보유
ISD는 국제적 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들을 기준으로 각 산업분야별 선
진사들의 보고서를 벤치마킹하고 보고서의 구성 틀 및 방향성을 비교 분석하
여 고객사 분야의 글로벌 트랜드를 보고서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Our Expertise
ISD 특장점

BP at a glance
생산부터 판매의 과정에서 사회,
환경적 영향을 강조하여
사업모델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 러 한 사 업 모 델을 바 탕 으 로
직 원
수 , 영 엽 이 익 ,
신재생에너지, 개발비, 재해율,
계 약 직
근 무 시 간 %,
기름유출건수, GHG배출, 여성
및 외국인고용%과 같은
사업성과를 그래픽형태로
표기하여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하고 있습니다.

04
인포그래픽스를
통한 보고서의 가
독성 및 비교가능
성
(Comparability)
강화

(BP Sustainability Report 2012)

05
지속가능경영 전
략수립, 진단,
KPI 개발 및 보고
서 발간 등 다수
프로젝트 수행
경영전략, 기업 진단, Index 개발 및 기업보고 관련 경험과 전략적 관점에 입각한 국내외 석박
사급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ISD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이외에도 다
수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G4 가이드라인
주요 변화

01
Core vs.
Compreh
ensive
Report

02
Materiality
is the key

G4에 의한 SR 보고서는 Core Report (핵심보고서) 또는 Comprehensive
Report (종합보고서)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보고
서는 일반기준공시와 상세기준공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ore Report의 경
우 상세기준공시 항목 중 해당조직에서 선정한 Material Aspects(주요측면)
의 대상지표의 최소 1개의 지표만을 선택 보고해도 무방하지만,
Comprehensive Report의 경우 해당조직이 선정한 Material Aspects(주요
측면)의 대상지표 모두를 보고하여야 합니다.

G4에서의 변화 중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중요성(Materiality)의 강조입니다.
G4특히 중요한 주요 측면(Material Aspects)들을 선정하여야 하며 선정된
주요측면들에 대해서는 ‘왜 중요하고, 어떻게 대응하고, 향후 어떻게 개선 할
것 인지’에 관해 상세 공시를 해야 합니다.
기존의 정보전달이 양적인 면에 치우치던 것에서 벗어나, G4에서는 정보전달
의 질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중요성 선정은 국제적으로 인식된
표준 및 가이드라인, 전문가분석 또는 기존에 사용중인 ESG 영향평가 방법,
조직의 전략 등을 고려하여 해당 조직별로 선별합니다.

G4에서 강조하는 중대성 (Materiality) 결정을 위해 동반되는 개념이 가치사
슬(Value Chain)과 영향(Impact) 부분입니다. 조직의 주요 측면들(Material
Aspects)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시 되는 것은 ESG 관련한 토픽이 경제, 환
경, 사회 영향을 갖고 있는지/있다면 어느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지(혹은 어
디서 발생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경제, 환경, 사회 영향은 조직 내부에서 또
는 조직 외부에서 (혹은 조직내부/외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데, 그 영향이
미치는 (일어나는) 경계(Boundary)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G4에서는
영향이 미치는 경계의 파악에 가치 사슬의 개념이 분명하게 적용되고 있습니
다. 조직 내 외부에서 영향을 미치는 객체(entity)는 모든 가치사슬상에 존재
하며 경제, 환경, 사회 영향은 가치사슬상의 모든 객체에 영향을 줄 수도 있지
만 많은 경우 일부에만 영향을 주게 됩니다. 조직에서 정의된 주요 측면들을
보고하는데 있어서 조직은 가치사슬상 모든 객체를 나열할 필요는 없으나, 해
당되는 객체는 서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동노동이 material aspect라
판단되었다면, 조직내부의 어떤 부서, 혹은 조직 외부의 어떤 공급자, 혹은 외
부 협력사와 관계되는지 서술 / 부패방지가 material aspect로 정의 된다면,
이 aspect 가 특히 조직내부의 특정부서 가령 구매부서와 관계되어 있음을 명
시). G4에서는 피상적인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중요성 파
악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많은 기업들에게 새롭지만 가장 까다로운 도전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03
The
Concept
of Value
Chain &
Impact
G4 가이드라인
주요 변화

04
Detailed
DMA

G4에서는 조직이 어떻게 실제적이고 잠재적으로 중요한 환경영향, 사회영향,
경제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고 대응하는지에 대한 설명 정보(Narrative
Information)를 [경영방식의 공시]를 통해 보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한 G4에서는 [경영방식공시] 기술에 관한 표준방법을 상세히 제시함으로써,
보고서 기술의 객관성을 높이고, 비교가능성, 명확성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경영방식
상세공시 요구)

05
Detailed
Governance

G4에서는 조직의 지배구조역할에 대해 상세히 보고 할 것을 요구합니다. 기존
의 보고서에서 지배구조의 구성 자체, 보수와 성과의 연계성 정도 수준으로 공
시를 요구한 반면, G4에서는 지배구조의 의사결정 과정, ESG 정책결정의 역할,
권리 이양, 윤리의식 등 광범위한 영역에 구체적인 활동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
습니다. (관련 조항 추가 신설: G35-G58 신설 및 추가 강화됨)

(상세지배
구조공시)

G4에서는 ESG의 각 카테고리를 설명하는 각 항목에 대해 Screen 및
Assessment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ESG 영역의 실제적
이거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에 대해 계량지표로 보고하고 또한 그 보완에 대
해 서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권/노동권 등의 지표는 (조직의 Material
Aspect로 선정될 경우) 공급자의 이행상황 보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06
Enhanced
Indicators
(지표보고강화)

공급망의 명시 : G4에서는 가치사슬의 강조와 함께 조직의 공급망(Supply
Chain)에 대해 정의하고 기술 할 것을 요구합니다. 공급망의 형태, 수, 지역과
함께 해당조직의 비즈니스 오퍼레이션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보고해
야 합니다. 단 기술방식 자체를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G4-12/ G4-EC9)
윤리강령의 명시 : G4에서는 조직의 가치, 원칙, 행동기준, 규범을 기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행동강령, 또는 윤리강령의 제시가 본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음 : G4-56/G4-57~G4-58)
부패방지관행과 GHG 배출 명시 : 조직에 따라 부패방지와 GHG 배출을 중요
한 측면으로 선정하였을 경우 부패방지관행, GHG 배출 및 에너지에 대해 추
가적으로 보고해야 합니다. (G4-EN3~G4-EN7 / G4-EN15~G4-EN21)

07
Others
(기타 주요
신설 및 추가 조
항)
Other Services
ISD는 기업보고(corporate reporting)와 관련하여 다음의 서비스도 추가적으로 제공합니다.
§
§
§

DJSI 및 CDP 답변서 작성 및 대응 컨설팅을 수행합니다.
Annual Report 대신에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는 기업을 위해 IRFC 의
IR 기준에 의한 통합보고서 발간을 지원합니다.
Mobile App 및 Web app 용 보고서 개발/발간을 지원합니다.

For Further Information
윤해정 연구위원 / 지속가능경영 센터장
hjyoon@thesustainability.org
고봉숙 책임연구원 / 팀장
gwenko@thesustainability.org
http://www.thesustainability.org Tel. 031 932 7976
www.theSustainability.org
Copyright ⓒ 2013 by ISD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it may be circulated, quoted, or reproduced for distribution outside our clients without prior written approval from
ISD.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4년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컨설팅 소개서]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HRyon Lim
 
CSR final v1
CSR  final v1CSR  final v1
CSR final v1nceo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
thecirclefoundation
 
[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
[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
[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
더게임체인저스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Kevin Kim
 
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
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
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
Sustainers
 
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
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
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
seho Kim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더게임체인저스
 
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
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
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Hipertech Inc.
 
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
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
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
BOAZ Bigdata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MYSC_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sukpyo oh
 
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
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
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
Vonchio KIM
 
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
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
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
Seoungcheol Lee
 
(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
(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
(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
JAEHUN KIM
 
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
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
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
Juyeon Kim
 
STEG Company Introduction
STEG Company IntroductionSTEG Company Introduction
STEG Company Introduction
에스티이지 (STEG)
 
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
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
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
Namkee Chung
 
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
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
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
IlsongLee2
 

Similar to [2014년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컨설팅 소개서] (20)

Svca gl ver.1.0
Svca gl ver.1.0Svca gl ver.1.0
Svca gl ver.1.0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ESG란 무엇인가? l What is ESG?
 
CSR final v1
CSR  final v1CSR  final v1
CSR final v1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
[로컬 챌린지 프로젝트] 2기 결과공유회
 
[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
[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
[창업&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 실무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
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
Sm보고의문제점과대책(20080212 최종)
 
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
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
2016년 r&d 사업과제 소개 및 startup success 전략 tip 구일호(2 sr&c)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예비창업자&창업자) 2024년 정부지원사업 합격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
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
사업예산실무 Intro 120530_prezi
 
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
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
제 14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K-Sustainability팀] : 지속가능성으로 보는 대한민국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비앰팩트평가 질문세트(B Impact Assessment)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20061130 Business Model의 이해와 활용(2)
 
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
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
성과주의 인사제도 보고서
 
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
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
성과지표(KPI)의 적절성 진단
 
(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
(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
(실습지) 전략왕 김재훈 0902
 
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
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
Sap 성과관리 솔루션소개(pm gm)
 
STEG Company Introduction
STEG Company IntroductionSTEG Company Introduction
STEG Company Introduction
 
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
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
Toc strategic management 160116
 
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
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
삼성전자-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pdf
 

[2014년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컨설팅 소개서]

  • 1. 2014년 G4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지속가능발전소에서는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및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ww.theSustainability.org
  • 2. 2014 Global Reporting Trends GRI에서는 새로운 리포팅 가이드라인(G4)발표 2015년 12월31일 이후 G4기준에 의한 보고서 작성 의무화 G4 가이드라인 ­ 환경/책임경영 국제기준과의 일관성 강화 선택형(핵심vs.종합) 보고서 작성 (Level ABC 폐지) 이해관계자 및 보고서 이용자의 가독성 강화 요구 전략, 목표, 모니터링 등 경영방식의 구체적 명시 요구 조직의 중요 Aspect의 선정과정 및 당위성 검증 요구 Value Chain 전체의 Impact 파악 및 리포팅 Boundary 명시 국제기준의 통합화 (IR과 GRI기준의 통합화 1단계 논의) 이해관계자를 가치창조의 중심에 둔 보고서 작성 관점 강화 내부 표준의 강화 및 외부 전문가 검증 간의 균형 글로벌 기업에 대한 비재무정보 공개의 의무화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및 공시 법제화
  • 3. Our Service ISD 지속가능 서비스 01 국제적 표준들을 바탕으로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된 경제 사회 환경(ESG) 지표 및 툴을 통하여 한국에 소재하는 기업 및 기관들의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책임 투자 등을 진단합니다. ISD의 방법론은 선진적 기업들의 종 합적인 형태로 미래 지향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향성을 보여줍니다. 진단 02 자문 지속 가능한 경영과 사회를 위해 ISD는 각 산업 및 분야의 특성에 따라 맞 춤전략의 수립과 실행을 자문합니다. - 경영자문: CSR전략수립, SRI 목표수립, 보고서작성, 경영시스템운영자 문등 - EHS 준수 및 감사 자문 - 법제도 자문: 환경 및 에너지, 수출입 규제에 대한 기업의 대응 자문 - 시스템 자문: 공급망 관리, 탄소 배출권, 화학물질 관리, 수출통제 및 국 제 감사 프로그램 운영/자문 등 최근에 발표된 GRI 와 IIRC 의 보고서 작성가이드에 의하면, 사회 보고의 요구 수준은 점차 강화 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도 강화된 사회보고요구 에 맞춘 보고서 작성이 요구됩니다. ISD는 오랜 시간 지속가능보고서 발 간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게 요구되는 변화에 대응하고 각 기업 및 기관의 과거 현재 미래의 연결선 상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이해하며 국제적 트랜드에 부응하여 보고서를 발간할 수 있도록 적극 돕습니다. ISD는 고객사와 고객 협력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운 영합니다. 고객사의 지속가능경영 추진 단계에 맞춰 맞춤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 합니다. 또한 고객사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동반성장을 위한 지속가능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ISD는 교육을 통해 우리 공 동체의 경제발전, 환경보존, 사회적 통합의 균형 성장에 기여하고자 합 니다. 03 보고서 제작 및 발간 04 지속가능 발전 교육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4. Our Service ISD 보고서 작성 방법론 01 05 5단계 접근법 ISD에서는 SR 보고서 작성을 위해 사전에 지속가능경영 수준진단을 실시(고객사 사정에 따라 생략가능)하며, 고객사의 수준에 따라 보고서작성 Plan을 수립합니다. Plan에 기반해 보고서의 주요 Content를 파악하고 (데이터 검증과 함께) 이를 바 탕으로 보고서 제작 합니다. 최종 전문가 GRI 기준 검증을 통해 보고서는 최종 발간 됩니다. 비즈니스 관점, 환경/사회적 관점, 사회책임적 관점에서 사업활동과 지속가능경영 과의 관계에서 이해관계자와의 이슈를 진단하고 도출된 이슈와 기관의 방향성 및 목표에 따라 보고서를 기획 및 작성하게 됩니다. 보고서는 가장 선진적이면서 모두 가 이해 가능한 IIRC의 통합보고서 방향원칙의 기본 틀 안에서 GRI 가이드라인에 따라 작성합니다
  • 5. Our Expertise ISD 특장점 01 ISD는 보고서의 높은 완성도를 위해 IIRC 6대 지도원리와 개정된 GRI 가이드 라인에 입각해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이해관계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강화된 사회 보고 요구의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GRI 및 IR 원칙에 충실한 Reporting 02 지속가능 경영수준 진단을 위한 자체 진단 Tool 보유 자체 개발한 ISO 26000 이행평가 프로그램(ISD SAP)을 통해 조직 전반의 지 속 가 능 경 영 수 준 을 종 합 적 으 로 평 가 합 니 다 . 또 한 ISD Sustainability Assessment Program은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이행 수준을 경영통합적 측면 과 핵심이슈이행 측면으로 분류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ISD SAP 진단의 특징 주요항목 및 사회책임경영 통합 이행수준 / 이행 -불이행 백분율 환산표 • 각항목의세부기준과이행수준을종합평가하여주요항목이행수준분석 • 기업간이슈별갭파악/강-약점분석 03 산업별 다양한 벤치마킹 Data 보유 ISD는 국제적 보고서 가이드라인의 기본원칙들을 기준으로 각 산업분야별 선 진사들의 보고서를 벤치마킹하고 보고서의 구성 틀 및 방향성을 비교 분석하 여 고객사 분야의 글로벌 트랜드를 보고서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6. Our Expertise ISD 특장점 BP at a glance 생산부터 판매의 과정에서 사회, 환경적 영향을 강조하여 사업모델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 러 한 사 업 모 델을 바 탕 으 로 직 원 수 , 영 엽 이 익 , 신재생에너지, 개발비, 재해율, 계 약 직 근 무 시 간 %, 기름유출건수, GHG배출, 여성 및 외국인고용%과 같은 사업성과를 그래픽형태로 표기하여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하고 있습니다. 04 인포그래픽스를 통한 보고서의 가 독성 및 비교가능 성 (Comparability) 강화 (BP Sustainability Report 2012) 05 지속가능경영 전 략수립, 진단, KPI 개발 및 보고 서 발간 등 다수 프로젝트 수행 경영전략, 기업 진단, Index 개발 및 기업보고 관련 경험과 전략적 관점에 입각한 국내외 석박 사급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통합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ISD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이외에도 다 수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 7. G4 가이드라인 주요 변화 01 Core vs. Compreh ensive Report 02 Materiality is the key G4에 의한 SR 보고서는 Core Report (핵심보고서) 또는 Comprehensive Report (종합보고서)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작성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보고 서는 일반기준공시와 상세기준공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ore Report의 경 우 상세기준공시 항목 중 해당조직에서 선정한 Material Aspects(주요측면) 의 대상지표의 최소 1개의 지표만을 선택 보고해도 무방하지만, Comprehensive Report의 경우 해당조직이 선정한 Material Aspects(주요 측면)의 대상지표 모두를 보고하여야 합니다. G4에서의 변화 중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중요성(Materiality)의 강조입니다. G4특히 중요한 주요 측면(Material Aspects)들을 선정하여야 하며 선정된 주요측면들에 대해서는 ‘왜 중요하고, 어떻게 대응하고, 향후 어떻게 개선 할 것 인지’에 관해 상세 공시를 해야 합니다. 기존의 정보전달이 양적인 면에 치우치던 것에서 벗어나, G4에서는 정보전달 의 질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중요성 선정은 국제적으로 인식된 표준 및 가이드라인, 전문가분석 또는 기존에 사용중인 ESG 영향평가 방법, 조직의 전략 등을 고려하여 해당 조직별로 선별합니다. G4에서 강조하는 중대성 (Materiality) 결정을 위해 동반되는 개념이 가치사 슬(Value Chain)과 영향(Impact) 부분입니다. 조직의 주요 측면들(Material Aspects)을 결정함에 있어서 중요시 되는 것은 ESG 관련한 토픽이 경제, 환 경, 사회 영향을 갖고 있는지/있다면 어느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지(혹은 어 디서 발생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경제, 환경, 사회 영향은 조직 내부에서 또 는 조직 외부에서 (혹은 조직내부/외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데, 그 영향이 미치는 (일어나는) 경계(Boundary)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G4에서는 영향이 미치는 경계의 파악에 가치 사슬의 개념이 분명하게 적용되고 있습니 다. 조직 내 외부에서 영향을 미치는 객체(entity)는 모든 가치사슬상에 존재 하며 경제, 환경, 사회 영향은 가치사슬상의 모든 객체에 영향을 줄 수도 있지 만 많은 경우 일부에만 영향을 주게 됩니다. 조직에서 정의된 주요 측면들을 보고하는데 있어서 조직은 가치사슬상 모든 객체를 나열할 필요는 없으나, 해 당되는 객체는 서술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동노동이 material aspect라 판단되었다면, 조직내부의 어떤 부서, 혹은 조직 외부의 어떤 공급자, 혹은 외 부 협력사와 관계되는지 서술 / 부패방지가 material aspect로 정의 된다면, 이 aspect 가 특히 조직내부의 특정부서 가령 구매부서와 관계되어 있음을 명 시). G4에서는 피상적인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중요성 파 악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많은 기업들에게 새롭지만 가장 까다로운 도전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03 The Concept of Value Chain & Impact
  • 8. G4 가이드라인 주요 변화 04 Detailed DMA G4에서는 조직이 어떻게 실제적이고 잠재적으로 중요한 환경영향, 사회영향, 경제영향을 파악하고 분석하고 대응하는지에 대한 설명 정보(Narrative Information)를 [경영방식의 공시]를 통해 보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한 G4에서는 [경영방식공시] 기술에 관한 표준방법을 상세히 제시함으로써, 보고서 기술의 객관성을 높이고, 비교가능성, 명확성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경영방식 상세공시 요구) 05 Detailed Governance G4에서는 조직의 지배구조역할에 대해 상세히 보고 할 것을 요구합니다. 기존 의 보고서에서 지배구조의 구성 자체, 보수와 성과의 연계성 정도 수준으로 공 시를 요구한 반면, G4에서는 지배구조의 의사결정 과정, ESG 정책결정의 역할, 권리 이양, 윤리의식 등 광범위한 영역에 구체적인 활동을 보고하도록 하고 있 습니다. (관련 조항 추가 신설: G35-G58 신설 및 추가 강화됨) (상세지배 구조공시) G4에서는 ESG의 각 카테고리를 설명하는 각 항목에 대해 Screen 및 Assessment 정보를 제공하는 항목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ESG 영역의 실제적 이거나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에 대해 계량지표로 보고하고 또한 그 보완에 대 해 서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권/노동권 등의 지표는 (조직의 Material Aspect로 선정될 경우) 공급자의 이행상황 보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06 Enhanced Indicators (지표보고강화) 공급망의 명시 : G4에서는 가치사슬의 강조와 함께 조직의 공급망(Supply Chain)에 대해 정의하고 기술 할 것을 요구합니다. 공급망의 형태, 수, 지역과 함께 해당조직의 비즈니스 오퍼레이션과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보고해 야 합니다. 단 기술방식 자체를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G4-12/ G4-EC9) 윤리강령의 명시 : G4에서는 조직의 가치, 원칙, 행동기준, 규범을 기술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행동강령, 또는 윤리강령의 제시가 본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음 : G4-56/G4-57~G4-58) 부패방지관행과 GHG 배출 명시 : 조직에 따라 부패방지와 GHG 배출을 중요 한 측면으로 선정하였을 경우 부패방지관행, GHG 배출 및 에너지에 대해 추 가적으로 보고해야 합니다. (G4-EN3~G4-EN7 / G4-EN15~G4-EN21) 07 Others (기타 주요 신설 및 추가 조 항)
  • 9. Other Services ISD는 기업보고(corporate reporting)와 관련하여 다음의 서비스도 추가적으로 제공합니다. § § § DJSI 및 CDP 답변서 작성 및 대응 컨설팅을 수행합니다. Annual Report 대신에 통합보고서(Integrated Report)를 발간하는 기업을 위해 IRFC 의 IR 기준에 의한 통합보고서 발간을 지원합니다. Mobile App 및 Web app 용 보고서 개발/발간을 지원합니다. For Further Information 윤해정 연구위원 / 지속가능경영 센터장 hjyoon@thesustainability.org 고봉숙 책임연구원 / 팀장 gwenko@thesustainability.org http://www.thesustainability.org Tel. 031 932 7976
  • 10. www.theSustainability.org Copyright ⓒ 2013 by ISD All Rights Reserved. No part of it may be circulated, quoted, or reproduced for distribution outside our clients without prior written approval from IS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