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23
Download to read offline
사우디아라비아 지도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 국기 해설 -
■ 1973년 제정된 것으로 초록 바탕에 아랍어로 쓰여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알라 외에는 신(神)이 없고, 모하메드는 알라의 사도다.”
라는 내용이, 이는 무슬림이 되기 위한 선서문이다.
■ 글씨 아래의 칼은 네지드, 헤자즈 왕국을 통합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세운 압둘아지즈 왕(통칭 이븐 사우드)이 추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의를 의미한다.
CONTENTS
Ⅰ. 사우디아라비아 일반사항
1. 개관
가. 일반개관 ·········································································································· 3
나. 자연환경 ·········································································································· 4
2. 약사
가. 약사개요 ·········································································································· 9
나. 정치약사 ········································································································ 11
3. 정치제도
가. 권력구조 ········································································································ 14
나. 행정각부 ········································································································ 19
다. 지방제도 ········································································································ 20
4. 정치정세
가. 국내정치정세 ································································································· 21
나. 대외정책 ········································································································ 26
5. 경제현황
가.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의 특징 ······································································· 31
나. 최근 경제정세 ······························································································· 32
6. 국방관계
가. 군사조직 ········································································································ 35
나. 병역제도 ········································································································ 35
다. 병력 및 장비 ································································································· 35
라. 국방예산 ········································································································ 36
마. 국방정책 ········································································································ 37
바. 군사협력관계 ································································································· 37
사. 기타 ··············································································································· 38
7. 사회ᆞ문화
가. 인 구 ··········································································································· 39
나. 교 육 ··········································································································· 39
다. 언 론 ··········································································································· 41
라. 종 교 ··········································································································· 44
마. 생 활 ··········································································································· 45
바. 관 습 ··········································································································· 46
Ⅱ. 우리나라와의 관계
1. 기본관계
가. 정치․외교관계 ································································································ 51
나. 주요인사 교류 ······························································································· 52
다. 정부간 협정체결 ··························································································· 55
2. 경제․통상관계
가. 한-사우디 경제관계 개관 ············································································ 55
나. 교역동향 ········································································································ 57
다. 건설 및 플랜트 수주 현황 ··········································································· 58
라. 산업․기술 및 투자협력관계 ·········································································· 59
3. 문화․교육관계
가. 문화교류 ········································································································ 60
나. 교육․청소년분야 교류 ··················································································· 61
다. 방송․언론분야 교류 ······················································································· 62
4. 정부간 협의체 및 친선단체
가. 한-사우디 공동위원회 ·················································································· 63
나. 한-사우디 석유광물위원회 ··········································································· 63
다. 의원친선협회 ································································································· 63
5. 재외국민, 기업진출 현황
가. 재외국민 실태 ······························································································· 64
나. 재외국민 현황 및 단체 ················································································ 64
다. 정부 투자기관 등 ························································································· 65
라. 진출기업 현황 ······························································································· 65
III. 주요인사 프로필
1. 국왕 ······················································································································ 69
2. 여타 왕실인사 및 주요각료 ·············································································· 70
VI. 방문정보
1. 안전정보 ·············································································································· 75
2. 출입국시 유의사항 ····························································································· 75
3. 체재시 유의사항 ································································································· 77
부 록
I. 사우디아라비아 주요자원 및 산업현황
1. 석유 및 정유산업 ··························································································· 83
2. 가스산업 ········································································································· 87
3. 기타 광물자원 ································································································ 89
4. 전력산업 ········································································································· 90
5. 건설 및 플랜트산업 ······················································································· 91
6. 철도건설 ········································································································· 93
7. IT 및 통신 ······································································································ 94
8. 제조업 ············································································································· 97
9. 농업 및 축산업 ······························································································ 97
II. 사우디아라비아 교역 및 투자환경
1. 시장환경 ······································································································· 101
2. 유망분야 및 투자정보 ·················································································· 113
I. 사우디아라비아 일반사항
3
1. 개 관
가. 일반개관
◦ 국 명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Kingdom of Saudi Arabia)
※ 사우디 왕국 선포일(국경일) : 1932.9.23
◦ 수 도 : 리야드(Riyadh주 인구 약 583만명)
◦ 면 적 : 약 215만㎢(한반도의 약 10배)
◦ 인 구 : 약 2,713만명(사우디인 1,870만명, 외국인 843만명, 2010년
기준)
◦ 종 족 : 아랍족(베두윈족 27%, 기타 아랍정착민 73%)
◦ 공 용 어 : 아랍어(영어 통용)
◦ 종 교 : 이슬람교(수니파 90%, 시아파 10%)
◦ 정부형태 : 이슬람 군주국(정교일치의 국왕중심제)
- 국가원수 : The 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 King Abdullah
bin Abdulaziz Al-Saud(총리 겸임)
◦ 의 회 : 없음.(의회와 유사한 기관으로 국정자문회의(Majlis
Ash-Shura) 설치 운영)
◦ 정 당 : 없음.
◦ 사법제도 : 꾸란 및 샤리아(이슬람법)가 재판의 기본, 3등급의 법원 및
사법감독위원회 존재
◦ 주요 경제지표(2011)
- GDP : 5,602억불(1인당 GDP : 19,890불)
- 실질 GDP 성장률 : 7%
4
- 외환보유고 : 약 5,340억불
- 물가상승률 : 5.3%
- 외 채 : 1,058억불
- 무역수지 : 4,702억불(수출 3,528억불, 수입 1,174억불)
- 경상수지 : 1,430억불
- 석유매장량 : 약 2,645억배럴(세계 매장량의 약 19%)
- 화폐단위 : 리얄(SR)/1$ = 3.75SR(고정환율)
◦ 군사제도 : 지원병제
◦ 기 후 : 고온건조한 대륙성기후
(연평균 섭씨 32-34도, 최고 54도, 최저 0도)
◦ 사회관습 : 이슬람 국가 중 가장 엄격한 이슬람 관습 유지
나. 자연환경
1) 지정학적 위치
◦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걸프만, 서쪽으로 홍해와 연접해있다. 인접국가로 북쪽에 요르단, 이라크,
쿠웨이트, 동쪽에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남동에 오만, 남쪽에 예멘과
접해있다. 또한 서쪽에는 홍해를 사이에 두고 이집트,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와 인접해 있다.
< 사막지대 >
5
◦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지대로 토양은 척박하며, 내륙지방은 혹서 기후로
극도로 건조하고, 해안지방은 습한 기후가 병존한다.
2) 지형 특색
◦ 헤자즈(Hejaz)
- 요르단의 아카바(Aqaba)만과 메디나(Medina) 사이에 뻗어 있는 해안
지방으로 헤자즈 동부는 강우량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농경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 아시르(Asir)
- 티하마(Tihama)라 불리는 홍해연안 평야중 북위 20도 이남으로 좁게
뻗은 다습한 고원지역(해발 1,500m, 연간 강우량 150-300㎜)이며
농경지로의 개발이 가능하다.
- 예멘과 접경한 아시르주는 산악 지역의 자연경관을 이용하여 사우디
제일의 관광 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나지드(Najd)
- 수도 리야드 주변의 아라비아 반도 중심부를 말하며, 오아시스 농경
지역으로 유명하다. 석유 수입의 증대로 인해 많은 인구가 도시로
몰리고 있다.
◦ 룹 알-칼리(Rub'al-Khali)
- 오만 및 예멘과 접하고 있는 남부 사막지방으로 면적이 50만㎢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사막 중 하나이며, ‘The Empty Quarter’ 라고도
불린다.
◦ 하사(Hasa)
- 오만의 무산담(Musandam) 반도와 샤트 알-아랍만(Shatt Al-Arab,
이란, 이라크 및 쿠웨이트 연결) 사이에 뻗어 있는 해발 200m
이하의 해안지방으로(사우디 내에서는 쿠웨이트와 카타르 사이의
해안지방 의미), 대량의 석유자원이 매장된 지역이다.
6
◦ 나푸드(Nafud)
- 사우디에서 가장 건조한 사막으로 북부(요르단 인접지역)에 위치
하며, 여름기온이 49℃에 달하나 겨울에는 서리가 내릴 정도로 기온이
낮다.
3) 기후와 강우량
◦ 아열대 고기압 지대의 영향을 받아 남서부지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불볕더위이며, 강우량이 미미한 전형적인 사막형 기후이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며,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밤낮의 기온차도
심하다.
◦ 기온
- 홍해연안 : 아열대성 기후로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11-12월)
에는 따뜻하며 때때로 비가 내린다.
- 중부 및 북부 내륙지방 : 사막성 기후로 기온은 연평균 32-38℃이고
최고기온은 48℃이다. 여름은 건조하고 무더우나 겨울에는 0℃까지
내려간다. 대륙성 기후 영향으로 여름에 해가 지면 서늘하고, 때때로
강한 북동풍이 불어 많은 먼지와 모래바람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 동부 걸프연안 : 열대성 기후로 연중 무더위가 계속되며, 여름에는
때때로 기온이 43℃ 이상까지 올라간다.
4) 민족구성
◦ 토착민인 아랍인(약 1,870만명) 외에 파키스탄, 인도,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에서 온 제3국인(약 843만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주요도시
◦ 리야드(Riyadh)
- 인구 약 500만명의 사우디 정치 및 행정수도이다.
7
< 젯다 >
< 담맘 코르니쉬 해안지역 >
< 리야드 >
◦ 젯다(Jeddah)
- 인구 약 350만명의 사우디 최대
상업 항구 도시이다. 홍해에 면해
있으며 리야드보다 개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매년 약 3백만명의 성지 순례객이
항공 및 선박편을 이용하여 젯다를
통해 입출국하고 있다.
◦ 담맘(Dammam)
- 동부해안에 위치한 유전, 군사도시
이자 젯다에 이은 사우디 제2의
무역항이다.
- 담맘은 인구 약 80만명의 사우디
동부 최대의 도시로, 주변도시
알-코바르(Al-Khobar), 다흐란
(Dhahran) 등을 포함하는 경우,
인구 약 200만명 규모의 큰 도시
이다.
◦ 타이프(Ta'if)
- 사우디의 서남부지역, 해발 1,700m 고도에 위치한 도시이다.
8
< 타이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 >
◦ 메카(Mekkah)
- 이슬람의 창시자 모하메드가 태어나고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기 시작한 곳으로, 이슬람 최대의 성소인 카바 신전이 위치해
있다.
< 메카 >
◦ 메디나(Medina)
- 선지자 모하메드가 초기 무슬림들과 함께 메카 지배세력의 박해를
피해 이주한 도시로, 이슬람 제2의 사원인 선지자 모하메드 사원이
위치해 있다.
< 메디나 >
9
6) 종교
◦ 국민의 대부분이 정통 이슬람 교리에 따른 엄격하고 검소한 종교생활을
하고 있으며, 이슬람 수니파(90%)가 대부분이나 동부지역 등을 중심
으로 일부 시아파(10%)도 존재한다.
2. 약 사
가. 약사개요
◦ 아랍족의 발상지는 중앙아라비아와 북아라비아이며, 기원전 4-5천년
전에 이라크 남부에서 이주하여 사우디아라비아 동부에서 거주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기원전 약 500년경 나바트인(Nabateans)들이 메데인 살레(Madain
Saleh, 사우디 타부크(Tabuk) 남쪽 160km지점)를 주요 거점으로
아라비아 반도 북부를 통치하기 시작했다.
◦ 고대로부터 홍해 주변으로 연결된 대상로를 따라 대상인을 상대하는
정착도시가 활성화되었고, 이슬람의 창시자 모하메드가 7세기 아라비아
반도를 통일하면서 사우디의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622년 메카에 거주하던 꾸라이시(Quraysh)家의 모하메드가 알라
(Allah)를 유일신으로 설교하면서 이슬람교를 창시했다.
◦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은 1744년 리야드 인근 디리야(Diriyah)를
근거지로 한 나지드의 지도자 모하메드 빈 사우드(Mohammad bin
Saud)와 엄격한 종교생활을 요구한 종교학자 모하메드 빈 압델-와하브
(Mohammad bin Abdel-Wahhab)가 제휴함으로써 시작되었다.
- 오늘날까지 사우디 왕가 합법성의 초석이 되고 있는 정통 와하비즘
(Wahabism)을 전개했다.
※ 와하비즘 : 이슬람 4대 학파중 하나인 한발리 학파(Hanbali School)에
기초, 일체의 해석을 배제하고 오로지 쿠란과 순나에 따른
정통 이슬람 사회를 구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창도자의
이름을 따서 와하비즘으로 불린다.
10
- 19세기 초 사우드家의 군대는 성지(聖地)인 메카(1801), 메디나
(1805) 및 헤자즈 지역의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사우드家의 성지
장악은 즉각 오스만 터키 제국의 반발을 초래하였고, 1814년 오스만
정부는 속주인 이집트 군대에게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배로부터 성지를
해방시키라는 권한을 위임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1818년까지 사우디는
아라비아 반도의 영토 대부분을 빼앗기고 수도 디리야도 완전히
파괴되었다.
- 19세기 중반 파이잘 빈 투르키(Faisal bin Turki)의 지휘하에 사우드
家의 간헐적인 봉기가 시도되었지만, 오스만 정부가 경쟁자인 하일
(Hail) 지역의 알-라쉬드(Al-Rashid) 부족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좌절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사우드家는 쿠웨이트로 일시적으로 피신
했다.
◦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이븐 사우드(Abdul-Aziz bin Abdulrahman
Ibn Saud)가 1902년 알-라쉬드家로부터 리야드를 재탈환함으로써
사우디 재건의 기반을 확보하였다.
- 1902년과 1906년 : 나지드 지배 강화
- 1913년 : 알-하사(Hasa) 지역으로 오스만 주둔군을 추방함으로써
지배권 확대
- 1917년 : 압둘아지즈, 스스로 나지드의 술탄(Sultan) 선언
- 1926년 : 메카를 지배하고 있던 하심(Hashemite)家의 후세인(Hussein)
왕을 축출한 후 헤자즈 왕국 선포
- 1932년 : 나지드 및 헤자즈를 통합,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선포
◦ 1953년 압둘아지즈의 사망 이후 그의 아들중 사우드(Saud)가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통치능력의 부족으로 1964년 11월 폐위되고, 이복형제
파이잘(Faisal bin Abdul-Aziz)이 왕위를 계승하여 사우디 제3대 국왕
으로 취임하였다.
- 파이잘은 대내적으로 기본법제정, 지방통치규정제정, 사법기구설립,
경제개발추진, 사회보장제도구축 등을 추구하여 사우디의 근대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11
- 대외적으로는 인접한 아랍 국가들과의 유대를 강화하면서 사우디의
국제적 지위 향상에 공헌하였으며, 특히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하여 1973년 OPEC의 석유금수조치를 주도하였다.
◦ 1975년 3월 파이잘이 조카에게 암살당하자, 이복동생 칼리드(Khalid)
왕자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1982년 6월 칼리드 국왕이 심장병으로 사망하고 이복동생 파흐드(Fahd)
왕자가 제5대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 1992년 3월 파흐드 국왕은 사우디의 정부체계, 국정자문회의(Majlis
Ash-Shura) 및 지방행정을 포함하여 새로운 규칙을 규정하는 기본법
(Basic Law)제정에 관한 칙령을 공포하였다.
◦ 2005년 8월 1일 파흐드 국왕 서거로 이복동생인 압둘라(Abdullah)
왕세제가 제6대 국왕에 취임하였다.
나. 정치약사
1) 고대
◦ 모하메드의 탄생 이전 고대 예멘 국가(아라비아 반도 남서부 하드라마트
지방)가 아라비아 반도를 통치하였다.
2) 중세
◦ 570 경 메카에서 모하메드 탄생
◦ 622 모하메드, 메카에서 메디나로 천도(히즈라 이슬람력 원년)
◦ 632 모하메드, 메디나에서 사망, 초대 칼리프 아부바크르 취임
◦ 634 제2대 칼리프 우마르 취임
◦ 644 우마르 피살, 제3대 칼리프 오스만 취임
◦ 656 오스만 피살, 제4대 칼리프 알리 취임(무함마드 사촌)
12
◦ 661 알리 피살, 우마이야 왕조 창건(수도 다마스커스)
◦ 711 이슬람군, 북아프리카 및 인도 서북 정복
◦ 750 우마이야 왕조 패망, 압바스 왕조 창건(수도 바그다드)
◦ 1099 십자군 전쟁
◦ 1258 몽고군, 바그다드 공략
◦ 1325 오스만 터키군, 유럽 진출
◦ 1453 오스만 터키군, 아라비아 반도 지배
3) 근대
◦ 1744 모하메드 빈 사우드는 모하메드 빈 압둘-와하브와 제휴,
정통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사회개혁운동을 통해 제1기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기반을 구축
◦ 1811-1818 모하메드 알리 이집트 총독, 사우디-와하비 세력 진압
◦ 1843-1865 파이잘 이븐 투르크가 제2기 사우디 왕국의 기반을 구축
하였으나, 1865년 파이잘 사후 내분으로 급격히 세력
약화
◦ 1890 하일 지역의 라쉬드家(사우드家의 라이벌)가 오스만
터키의 지원 하에 리야드 점령
◦ 1902 건국의 아버지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리야드 탈환
- 1917년 나지드 술탄 선언
- 1924년 메카 점령
- 1925년 젯다 점령
4) 현대
◦ 1926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헤자즈 왕국 선포
◦ 1927 젯다 조약으로 영국의 승인 획득
13
◦ 1932 나지드 및 헤자즈 통합, 국명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으로 개칭
◦ 1938 미국 회사에 의해 동부 지역(담맘)에서 석유생산 성공
◦ 1945 아랍 연맹 및 유엔 가입(원가맹국)
◦ 1953 압둘아지즈 초대 국왕 서거, 사우드 제2대 국왕 즉위
◦ 1964 사우드 국왕 폐위, 파이잘 제3대 국왕 즉위
◦ 1973 파이잘 국왕, OPEC 석유 금수조치 주도
◦ 1975 파이잘 국왕 피살, 칼리드 제4대 국왕 즉위
◦ 1979 동부 시아파 소요사태 발생
◦ 1981 걸프협력이사회(GCC) 창설
◦ 1982 칼리드 국왕 서거, 파흐드 제5대 국왕 즉위(압둘라 왕세제
책봉)
◦ 1987 메카내 이란 성지순례자들의 데모로 순례자 400여명
사망
◦ 1990 걸프전 발생, 미군 사우디 주둔
◦ 1992 파흐드 국왕, 왕위 승계권 관련 칙령 발표
형제 승계에서 아들 승계로까지 범위 확대
◦ 1994 국정자문회의 설치
◦ 2001.9 9.11 뉴욕 세계무역센터 및 미 국방부 테러사건에 사우디
아라비아인 다수 개입
◦ 2002.2 압둘라 왕세제, 아랍 평화안 제안
◦ 2005.2 사우디 최초 지방행정자문회의(지방의회)의원선거 실시
◦ 2005.8.1 파흐드 국왕 서거, 압둘라 제6대 국왕 즉위
◦ 2011.9 제2대 지방행정자문회의(지방의회)의원 선거 실시
14
3. 정치제도
가. 권력구조
1) 국왕
◦ 국왕은 입법ㆍ사법ㆍ행정의 3권을 행사하며, 종교의 수장을 겸직한다.
1992년 이후부터 ‘성스러운 사원 2개의 수호자(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 국왕이 왕세제직을 임명하거나 박탈할 수 있으며, 왕세제직은 종교
지도자 회의(Ulama)와 왕족으로 구성된 왕실위원회 및 충성위원회
(Allegiance Committee)의 승인으로 확정된다.
◦ 1992년 파흐드 국왕 칙령으로 왕권은 왕의 형제 외에도 직계 아들이
승계할 수 있도록 승계범위가 확대되었다.
2) 내각
◦ 국왕이 왕실위원회와 각료회의(Council of Minister)를 주재, 국정을
총괄한다.(파이잘 국왕 이래 국왕이 총리직 겸직)
◦ 현재 압둘라 국왕이 총리를 겸임하고, 이복형제인 나이프 왕세제가
부총리 겸 내무부장관에 임명되어 있는 등 유력 왕실인사들이 정부
및 지방행정부 요직을 장악하고 있다.
◦ 내각회의는 총리, 제1ㆍ2부총리 및 22개 부처 장관과 5명의 무임소장관
등 28명으로 구성된다.(부총리가 내무장관 겸직, 2011.11월 현재 제2
부총리는 임명되지 않음)
◦ 국왕이 직접 내각과 군 주요 인사를 임명할 수 있다.
15
3) 국정자문회의(Majlis Ash-Shura)
< 국정자문회의 >
가) 설립 : 1992년 국왕 칙령에 의해 Ash-Shura법 제정 및 설립
※ 1927년 최초로 Ash-Shura법 제정
나) 구성 : 국왕이 임명하는 의장 1명 및 의원 150명으로 구성
- 1996년 60명에서 90명, 2001년 120명, 2005년 150명으로 증원
다) 의원임명관련
◦ 자격 : 30세 이상의 사우디 국민
◦ 공무원 겸직 금지
◦ 임기는 4년으로 새로운 의회가 구성될 때는 신임 의원수가 전체
의원수의 50% 이상이 되어야 함.
◦ 의원들은 전직각료, 공무원, 의사, 기업인, 군인, 학자, 언론인 등
사회 각계 전문가 그룹에서 임명
◦ 결원 발생시 의원이 추가로 임명, 의원 수는 상시 150명 유지
라) 주요 기능
◦ 심의ㆍ자문기능
- 경제ㆍ사회개발 정책심의
16
- 법률, 국제법, 조약 등에 관한 심의 및 법의 해석
- 정부 각 부처의 연차보고서 심의
◦ 법률 제ㆍ개정
- 10명 이상의 의원 발의로 법률 제ㆍ개정 제안
마) 정족수
◦ 회의 : 의장을 포함한 의원 2/3 이상 참석
◦ 의결 : 과반수 찬성
바) 의결사항 처리
◦ 정부 부처에서 자문위원회에 의견 검토 요청
◦ 각 전문위원회에서의 심의 후 자문위원회 의결
◦ 의결된 사항은 각료회의로 송부
- 각료회의 동의가 있을 경우, 국왕 승인을 거쳐 효력발생
- 각료회의 동의가 없을 경우, 국왕이 결정
사) 의장
◦ 의장은 국정자문회의의 모든 활동을 감독하고 동 기구를 대표
◦ 의장 밑에 부의장 및 사무총장을 둠.
아) 회의
◦ 매주 2회 정기의회 개최(매주 일, 월요일)
◦ 의원이 발언을 위해서는 서면으로 신청 필요
- 발언시간 : 10분 이내
※ 국왕은 매년 초 국정자문회의에 참석, 개회 및 시정연설 실시
17
자) 위원회
◦ 운영위원회 : 국정자문회의 의장, 부의장 및 각 위원회 위원장으로
구성
- 의장이 의사결정권자
- 국정자문회의 및 각 위원회 운영계획 준비
- 국정자문회의 회의 의제 준비 및 회의 결과보고서 작성 관리 등
◦ 전문위원회
- 5개 이상(현재는 8개)으로 각 전문위원회는 소위원회 구성 가능
- 상임위원회로서 8~13명의 위원으로 구성
◦ 필요에 따라 임시위원회 구성
◦ 각 위원회는 주1회 회의 개최
4) 사법부
가) 이슬람법
◦ 사우디의 법은 이슬람법인 샤리아(sharia)와 규율(regulations)로
구별된다. 이슬람에서는 국왕이 법률을 제정할 수 없고, 다만 알라
(Allah)가 내려준 법을 집행하고 국민의 복지를 위해 필요한 사항을
시행하기 위한 규율을 제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 그러나 샤리아와 규율이 상치될 때에는 샤리아가 우선한다. 규율은
왕국의 최고 집행기관인 국무회의를 거쳐 제정되고 왕령으로 승인
된다.
나) 이슬람법의 분류
◦ 샤리아는 네 가지 근거, 즉 꾸란(Quran), 순나(Sunna), 이즈마(Izma),
끼야스(Qiyas)에서 비롯되었다. 이중 꾸란(이슬람 경전)이 가장
기초가 되고 중요한 원천이나, 판사가 판결을 할 때 보다 더 필요한
18
지침이 요구되는 경우 순나에서 인용할 수 있다.
◦ 순나는 모하메드의 언행(하디스, Hadith)을 기록한 것으로 하디스는
9세기경 체계적으로 수집되었다.
◦ 이즈마나 끼야스는 꾸란이나 순나보다는 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즈마는 꾸란이나 순나에 의해 직접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에 대해
종교학자들이 합의한 사항을 말하며, 끼야스는 앞의 세 가지 근거에
의해서도 명백한 판결이 불가능할 경우, 이에 대한 유추 해석을
의미한다.
다) 사법부 조직
◦ 샤리아와 규율에 의거하여, 재판하는 3심의 법원이 있고, 사법감독
위원회가 법원을 감독한다.
- 대법원 : 수도 리야드에 소재
- 상급재판소 : 13개주 주도에 소재
- 초심원 : 전국 주요도시(시, 군)에 산재
※ 최고사법감독위원회(Special Judicial Council) : 메카 소재
․ 위원장 : 국왕
․ 위원 : 국왕이 임명하는 권위 있는 이슬람 법학자들로 구성
◦ 한편, 압둘라 국왕은 사회개혁의 일환으로 2007년 10월 이래 대대
적인 사법제도 개혁을 추진중이다.
19
나. 행정각부
국왕 겸 총리 King Abdullah bin Abdulaziz Al Saud
왕세제, 부총리 겸 내무부장관
Prince Naif bin Abdulaziz Al Saud
(국왕의 이복동생)
국방부장관
Prince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국왕의 이복동생, 왕세제의 동복동생)
외교부장관
Prince Saud Al-Faisal bin Abdulaziz Al Saud
(국왕 조카)
지방행정부장관
Prince Mansour bin Mutaib bin Abdulaziz Al Saud
(국왕 조카)
이슬람업무담당장관
Sheikh Saleh bin Abdulaziz bin Mohammed
Al-Sheikh
교육부장관
Prince Faisal bin Abdullah bin Mohammed Al Saud
(국왕사위)
고등교육부장관 Khalid bin Mohammed Al-Angari
법무부장관 Sheikh Muhammad bin Abdul Karim Issa
석유․광물자원부장관 Ali bin Ibrahim Al-Naimi
교통부장관 Jabara bin Eid Al-Suraiseri
통상․산업부장관 Abdullah bin Ahmad Youssef Zainal
사회부장관 Yusuf bin Ahmed 'Uthaymeen
경제․기획부장관 Khalid bin Muhammad Al-Qusaibi
보건부장관 Abdullah bin Abdulaziz Al-Rabiah
문화․공보부장관 Abdul Aziz bin Mohieddin Khoja
노동부장관 Adel Mohammad Fakeih
행정부장관 Muhammad bin Ali Al-Fayez
재무부장관 Ibrahim bin Abdulaziz Al-Assaf
수전력부장관 Abdullah bin Abdulrahman Al-Hussein
농업부장관 Fahd bin Abdulrahman
하지장관 Fuad bin Abdul Salam Al-Farsi
정보기술통신부장관 Muhammad Jamil bin Ahmad Mulla
주택부장관 Shwaish bin Saud Al-Duwaihi Al-Mutairi
20
무임소장관(Minister of State)
Chief Cabinet Secretary
Prince Abdulaziz bin Fahd bin Abdulaziz Al Saud
(前 국왕 아들)
Political Affairs(정무담당) Muttalib bin Abdullah Al-Nafisah
Shura Affairs(의회담당) Saud bin Saeed Al-Met'hami
Cabinet Affairs(각의담당) Abdulaziz bin Abdullah Al-Khuwaiter
Foreign Affairs(외교담당) Nizan bin Obeid Madani
Member of Cabinet Miteb bin Abdullah bin Abdulaziz
다. 지방제도
◦ 지방행정조직 : 사우디는 13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지사는 왕실
에서 임명한 왕자가 맡고 있다. 각 주는 내무부장관이 임명하는 정원
30명의 주 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 지방행정자문회의(Municipality Council, 우리의 지방의회에 해당)
- 전체 의석(1,184석)중 1/2에 해당하는 592석에 대해 2005년 2월
부터 3단계에 걸쳐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한다.
- 2005.12월 선출직 의원 592명과 임명직 의원 592명으로 구성된
178개의 지방행정자문회의를 구성하였다.
- 상기 지방행정자문회의 선거는 現 압둘라 국왕이 추진중인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사우디 역사상 실시된 최초의 주민직접선거이다. 2011.9
월말 제2대 지방행정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21
4. 정치정세
가. 국내정치정세
1) 개 요
◦ 2005년 8월 왕위를 계승한 압둘라 국왕은 취임 후 왕실 계파간 화해
및 점진적인 정치ㆍ경제개혁 정책 추진, 왕실 후계구도의 신중한 접근,
미국 등 서방, 아시아 및 아랍ㆍ이슬람 국가와의 관계강화 등을 통한
국정운영으로 안정적인 통치기반을 구축하였다.
- 現 알 사우드 왕가의 장기집권, 반미정서, 높은 실업률(특히, 청년층)
및 빈부격차 등에 기인한 반정부 및 이슬람 강경세력의 저항으로
치안이 불안정한 측면이 있으나, 아직은 압둘라 국왕의 통치권에
근본적인 위협세력으로 거론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 중장기적으로 압둘라 국왕하의 사우디아라비아 왕정이 안정적인 통치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①왕실 지도부의 후계구도를 둘러싼 내분
가능성, ②알-사우드 왕가의 80년간에 걸친 장기집권에 기인한 반정부
세력의 민주화 및 경제개혁 요구와 이슬람 강경세력의 테러활동 지속,
③높은 실업률 및 빈부격차 등의 난제들이 향후 정국 안정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잘 다스려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주요 정책 동향
가) 왕실 화합 도모 및 후계 구도 안정화
◦ 파흐드 前 국왕 사후 이복동생인 압둘라 왕세제가 왕위를 계승하고,
파흐드 국왕의 동복인 수다이리 7형제(Sudayri Seven)중 권력핵심부에
있는 연장자 서열에 따라 2011.10월 나이프 내무장관이 왕세제 겸
부총리에 임명됨으로써 압둘라 국왕 및 수다이리 형제간 화합을 통해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22
※ 수다이리 7형제 : 사우디 왕가의 건립자 압둘아지즈 국왕이 총애한 부인
하싸 빈트 아흐메드 알-수다이리(Hassa bint Ahmed
Al-Sudayri)가 낳은 자식들
◦ 압둘라 국왕은 2011.10월 술탄 왕세제 서거 이후, 제2부총리 겸
내무장관에 있던 나이프 왕자를 왕세제 겸 제1부총리로 임명하고,
리야드 주지사였던 쌀만 왕자를 국방장관에 임명했다.
- 국왕 또는 왕세제 서거시 제2부총리가 왕세제 겸 제1부총리로
임명되기 위해서는 왕실위원회 및 충성위원회의의 동의가 필요
하며, 나이프 제2부총리가 왕세제 겸 제1부총리로 임명된 이후
2011.11월 현재 제2부총리는 임명되지 않고 있다.
≪ 왕실 가계도 ≫
압둘아지즈 이브
사우디 초대국왕
라시드 가문
결혼 결혼
수다이리 가문
압둘라
국왕
고 파드
국왕
고 술탄
왕세제
나이프 내무장관
왕세제
쌀만
국방장관
나) 대국민 화합 도모 및 점진적 정치ㆍ경제개혁 추진
◦ 압둘라 국왕은 왕실 및 보수세력과의 화합을 통한 안정적인 통치기반
23
확립을 위해 보수 및 개혁을 병행한 완만하고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
하고 있다.
- 언론ㆍ방송 등 대중매체를 통하여 직접 국민에게 다가가는 홍보
정책을 통해 과거 어느 국왕보다 국민들에게 더 친근감 있는 국왕
으로 부각되었다.
- National Dialogue 개최 등을 통해 국민들의 여론을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압둘라 국왕 집권 이후 정치ㆍ경제개혁에 있어 제한적이나마 일부
진전을 이루었다.
- 2005년 실시된 지방행정자문회의 선거에서 사우디 역사상 최초로
주민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된 선출직 의원(592명)과 임명직 의원
(592명)으로 2005년 12월 지방행정자문회의를 구성하였고,
2011.9월에는 제2대 지방행정자문회의 의원선거를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 사상 최초로 리야드 상공회의소 이사회 여성 임원 2명, 교육부
여성교육 담당 차관 등 여성을 공직에 기용했으며, 2011.9월 차기
국정자문회의와 지방행정자문회의 선거시 여성의 참정권을 승인
하였다.
- 경제개혁과 관련, 비석유부문 및 민간부문 추가 개방 등의 조치를
통한 외자유치 및 고용증대를 노력하고 있다.
- ‘King Abdullah 경제도시’ 건설 등 다수의 신도시 건설, 다수의 지방
국립대학 신설, 서민층을 위한 복지정책 확대 추진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압둘라 국왕은 왕실내 다수인사 및 사우디 전 인구의 70% 이상이
정통 이슬람(Wahabism)을 신봉하는 보수층임을 고려, 완만하고
점진적인 정치, 경제, 교육개혁 추진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을 운영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24
< King Abdullah 경제도시건설 >
다) 알-카에다 등 이슬람 과격세력의 테러리즘 척결
◦ 압둘라 국왕은 즉위 이후 사우디내 테러세력 척결을 최우선시하고
미국 등 서방과의 공조 하에 강력한 테러 소탕작전을 전개하였다.
- 2005.1월 내무부 청사 테러사건 이후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2006년 들어 리야드 테러 총격사건(5월), Abqaiq 유전시설 공격
사건(2월)이 발생하고, 2009.8월에는 사우디 대테러업무 책임자인
모하메드 빈 나이프(Mohammed bin Naif) 내무차관보 암살 시도,
2011.8월 나이프 제2부총리 겸 내무장관 궁 인근초소에서 총격전이
발생 하는 등 간헐적인 테러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 2006.5월부터 관타나모에 수용된 사우디 수감자들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사우디내 교도소로 이송하고 있다.
◦ 국민 저변에 확산되어 있는 반미 및 반서방 정서, 알-사우드 왕가의
장기집권 및 부패, 빈부격차 및 고실업 등에 사우디내 테러가 기인
하고 있는데다, 이라크에서 활동해온 사우디 과격분자들의 귀환 등을
감안할 때 테러 완전척결에는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나,
2010.4월 사우디 고위성직자 위원회는 자선단체들의 테러행위 관련
자금지원 행위가 불법임을 발표하는 등 테러척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라) 실업 및 빈부격차 해소 노력
◦ 압둘라 국왕은 즉위 이후 부패척결, 정의실현 및 국민 복리증진을
25
민생을 위한 최우선 정책으로 채택하여, 부의 공정한 배분을 통한
빈부격차 해소에 주력하고, 왕족들의 부패단절을 각 기관에 지시하는
등의 부패척결을 추진하고 있다.
◦ 사우디의 실질 실업률은 15% 내외로 추정되고, 매년 수십만명의
청년들이 노동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 청년실업 해소문제가 경제분야의
시한폭탄으로 간주되고 있다.
- 사우디 정부는 실업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자국인화 정책을 추진,
75%의 산업인력을 자국인화 한다는 목표하에 자국인 고용 의무
비율을 상향조정하고 외국인 채용제한 업종을 늘려나가고 있다.
- 청년들의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노동시장의 수요를 반영한 교과
과정 개편을 위해 교육개혁도 추진 중이다.
- 또한, 사우디 정부는 수만명의 대학 졸업자들을 해외 국비유학생
(King Abdullah Scholarship Program)으로 파견하기로 결정, 우리
나라에도 현재 약 200여명의 사우디 국비유학생이 수학 중이다.
마) "아랍의 봄" 관련, 대국민 민심수습책 추진
◦ 2011년 2월, 역내 국가들의 민중봉기가 사우디내 미칠 영향을 사전
차단하기위해 압둘라 국왕이 약 3개월에 걸친 외국에서의 치료와
휴양을 중단하고 귀국, 약 360억불 규모의 대국민 경제 지원책과
사법 개혁안을 발표하여, 사우디의 취약요소인 청년실업, 일반 서민
들의 거주환경 문제 등의 개선을 중점적으로 지원하였다.
◦ 3월에는 20개의 국왕칙령을 통해 약 1,330억불 규모의 예산이 소요
되는 각종 복지정책을 발표하였는데 ①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국립
반부패기구 설립, ②신규 일자리 창출 등 실업자 지원 정책, ③공무원과
군인에 대한 복지 확대, ④의료서비스 및 주택건설 확장, ⑤종교계
지원 강화 등을 요지로 하였다.
26
나. 대외정책
1) 외교정책 기조
◦ 사우디는 전통적 외교정책 기조인 주권존중, 독립, 내정 불간섭 원칙에
입각하여 ①모든 국가들과 선린 우호관계 유지, ②양자, 지역간 상호
협력 증진, ③적대행위 금지, ④지역 및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계승하고 있다.
◦ 압둘라 국왕의 방미(‘05.4월, 왕세제 당시) 등을 통해 다져진 미국과의
견고한 대테러 공조 하에 알-카에다 세력 소탕 및 주변 아랍제국과의
안보협력, 유가안정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이슬람 성지 소재 및 오일머니를 내세워 국제 및 지역기구에서 아랍
및 이슬람 세력을 대변하고 이들 국가들에 대한 정치, 경제적 지원 강화를
통해 사우디의 국제적 비중 및 위상을 제고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 아랍 및 이슬람 세계의 주도국 역할을 자처하고 최근 이들 국가의
지지를 받아 다수의 국제기구 이사국 진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 주요 외교사안별 입장
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일관적인 팔레스타인 입장 지지)
◦ 2002년 압둘라 국왕(당시 왕세제)은 아랍평화안(Arab Peace
Initiative)을 제안하고, 아랍 국가들의 지지를 확보했다.
- 유엔 안보리 결의 242 및 338에 근거한 이-팔 분쟁 해결을 지지
하며, ‘land for peace’ 원칙에 입각, 1967년 이후 점령한 모든
아랍 점령지에서의 이스라엘 철수를 주장했다.
- 궁극적으로 예루살렘을 수도로 한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를 창설
하는데 지지를 표명한 것이다.
◦ 2007년 아랍연맹 정상회의에서 압둘라 국왕의 아랍평화안 재추진을
결의하고, 이스라엘에게 이-팔 평화를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27
◦ 2009.1월 쿠웨이트 아랍경제정상회의에서 가자지구 재건에 10억불
기증 계획 발표, 아랍 국가간 화합과 단합을 촉구했다.
나) 테러문제
◦ 테러리스트의 활동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받아온 사우디는 2005년
2월 리야드에서 테러척결을 위한 ‘대테러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등
국제공조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 동 테러국제회의에서 참가국들은 리야드 선언을 채택하고 압둘라
왕세제가 제안한 ‘대테러 국제센터’ 설립을 결의했다.
◦ 제2차 이라크전 직후(2003-5) 테러사건이 빈발하였으나, 강력한
테러 소탕작전으로 조직이 와해되고 핵심요원은 해외로 도피한 상태
이다. 2007년 이후 대규모 테러사건은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예멘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테러 침투를 시도하고 있다.
- 2009.8월 : 대테러 담당 내무차관 대상 테러 시도
- 2010.11월 : 약 140여명의 테러혐의자 검거 발표
◦ 특히 사우디는 이슬람 과격세력의 자금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테러
자금봉쇄를 위해 미국 등 선진국과 협조하고 있다.
다) 역내 민중봉기로 인한 정세 불안 문제
◦ 사우디 정부는 역내 민중봉기 초기부터 벤알리 前 튀니지 대통령
망명접수, 이집트 국민들의 선택 존중 발표, 바레인 정세 불안 발생시
반도방위군 파병 주도, 요르단과 모로코의 GCC 가입 추진, 시리아
사태관련 국왕명의 성명 발표, 예멘사태관련 GCC 중재안 제안 및
부상당한 살레 대통령에 대한 치료 제공, 2011.11월 살레 대통령의
GCC 중재안 서명식 주관 등 역내 정세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해왔다.
◦ 사우디 정부는 역내 민중봉기가 사우디내 불만세력을 자극하지
않도록 민심을 수습하면서, 역내 국가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지원에
주력하여 대외적으로 이슬람 종주국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8
3) 주요 국가와의 관계
가) 대미 관계
◦ 9.11테러 이후 외국 언론을 중심으로 양국 관계 악화가 우려되었으나,
미국이 요구하는 대테러 협력에 사우디가 비교적 잘 응해왔으며,
특히 이라크 전쟁시에 사우디가 전적으로 협력함으로써 양국 지도부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다만 국민들의 반미 감정이 문제)
- 2003년 5월 리야드 테러 사건으로 알-카에다 등 테러 단체들의
표적이 사우디 정부로 전환됨으로써 사우디 정부는 대테러 관련
미국과 대응 공조 및 양국관계 강화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복원
하였다.
- 2005년 4월 압둘라 국왕이 왕세제 당시 방미, 부시 대통령과
양국간 새로운 협력시대를 열기 위한 회의체로 ‘사우디-미국 전략
대화’ 창설에 합의, 제1차 회의를 2005년 11월 젯다에서 개최하고,
제2차 회의를 2006년 5월 워싱턴에서 각각 개최하였다.
◦ 오바마 대통령의 대중동 정책 및 사우디의 역할 배려를 평가(‘09.6월
오바마 대통령 방문, ’10.6월 압둘라 국왕 방미)
◦ 2010년 9월 사우디가 미국산 첨단 무기(약 600억불)를 구매하여
양국간 전략적 협력관계 강화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나) 유럽 및 러시아와의 관계
◦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국가와 긴밀한 군사 및 경제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테러리즘 공조 등 협력을 강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 2003년 9월 압둘라 왕세제가 러시아를 방문하였고, 동 방문은 사우디
로서는 1936년 이래 최초인 역사적인 방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이데올로기 차이, 사우디의 구소련 당시 아프간 반군지원,
체첸 반군지원 등으로 소원해진 양국관계가 개선되는 계기가 되었다.
◦ 헝가리와는 2005년 2월 헝가리 총리가 사우디 축구선수단을 테러범
29
들로 묘사한 것에 항의, 헝가리 주재 자국대사를 소환하였으나,
헝가리가 공식 사과함에 따라 정상화되었다.
다) 아시아와의 관계
◦ 이른바 동진정책(‘Look East’ Policy)을 추구하여 한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과 경제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다.
- 2006.1-2월 압둘라 국왕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및 파키스탄
방문
- 2006.4월 술탄 왕세제 일본 및 싱가포르 방문
- 2006.4월 후진타오 중국 주석 사우디 방문
- 2007.3월 노무현 前 대통령 사우디 방문
- 2010.2월 싱(Singh) 인도총리 사우디 방문
라) 주변국들과의 관계
◦ 이슬람, 아랍 국가들과 전통적인 우호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57개 이슬람국가들의 회의공동체인 이슬람협력기구(OIC) 본부가 사우디 젯다에 소재
◦ 특히 팔레스타인 등 중동 문제에 있어 국제사회에서의 이익 대변을 통해 이슬람의
종주국으로서의 비중과 위상을 견지하고 있다.
■ GCC 국가들과의 관계
◦ 걸프협력이사회(GCC) 최대 회원국으로서 안보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최근에는 경제 분야 협력을 주도하고 있다.
- 카타르와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2008년 국경협정서명,
공동위 설치 등을 통해 관계가 개선되고 있다.
- 최근 GCC 단일통화와 GCC 중앙은행청사 유치문제로 UAE(아부
다비)와의 관계가 다소 소원해졌다.
■ 이라크
◦ 이라크의 불안정한 사태로 인해 사우디 정세가 영향을 받을 것을
30
우려하고 있으며, 특히 이라크내 대미 항전세력에 사우디인들이
참여하고 있는데 대해 이들이 향후 사우디 안정에 위협요소가 될
것임을 경계하고 있다.
◦ 사우디는 이라크내 시아파 회교도의 영향력 증대가 자국 및 GCC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2010년
총선시 수니파와 연합한 알라위(Allawi) 이라크 前 총리의 이라키야
(Iraqiya)의 정부 구성권을 지지하였다.
■ 이란
◦ 이란 핵개발이 자국 및 GCC 역내 안보를 크게 위협한다는 인식하에
중동의 비핵화를 지지하고, 이란 핵문제 관련 이란의 국제법 준수와
대화에 의한 평화적 해결방안을 강구하도록 촉구한다.
◦ 외교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P5+1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환영
하는 입장이다.
◦ 2011.10월 발생한 주미 사우디 대사 암살기도관련, 유엔총회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사우디 동부지역 소요사태 배후로 이란을 비난하고 있다.
■ 예멘
◦ 걸프전 당시 예멘의 이라크 지지 및 국경분쟁 등으로 사우디와의
관계에서 경색을 초래하였으나, 2000년 6월 신 국경협정이 체결
되면서 정치적 화해가 조성되고 재정원조 및 인적교류를 재개하였다.
◦ 술탄 前 왕세제의 2006년 6월 예멘 방문을 계기로 나이프 前 내무
장관 및 예멘 알-올라이미(Al-Olaimi) 내무장관 간에 양국 국경지도
(1,845Km) 확정에 최종서명, 국경분쟁을 종결하였다.
◦ 예멘 정부의 치안능력 약화는 사우디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알-
카에다 세력, 후티(Houthi) 반군세력)을 주는 것으로 간주하고 정국
안정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2009.11-2010.1월간 후티 반군의
사우디 침투와 관련한 작전으로 사우디군 113명 사망)
- 예멘 정세불안사태 발생이후, 정세안정을 위해 GCC 중재안 제안에
합의하고, 테러로 부상당한 살레 대통령에 대한 치료 서비스를
31
제공하였으며, 2011.11월에는 살레 대통령의 GCC 중재안 서명식을
주관하였다.
■ 시리아와 레바논과의 관계
◦ 레바논 하리리 총리의 피살 배후 문제로 관계가 악화되었으나,
2010년 양국 정상의 교환 방문 등을 통해 관계 개선 등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 시리아와의 협력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시리아-이란 협력관계를 약화
시켜 레바논 히즈볼라와 팔레스타인 하마스에 대한 이란의 원조 차단을
시도하고, 레바논 정국안정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사우디 압둘라 국왕은 2011.8월 초 시리아 정부의 무자비한 민간인
진압으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행위를 종교적 도덕적 가치에 위배
된다고 비난하고, 시리아 정부의 전반적인 개혁을 촉구하면서 주시리아
사우디 대사를 소환함으로써 시리아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대외적
으로 천명하였고, 아랍연맹을 통한 시리아에 대한 압박 강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5. 경제현황
가.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의 특징
◦ 세계 최대의 석유 부존 및 수출국으로, 석유부문이 정부 세입액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석유 의존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 2010년 말 현재 원유 생산능력은 일일 1,250만 배럴이며, 실제 생산
량은 일일 830만 배럴이다.
- 석유부문이 사우디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당초 1970년대 GDP의
80%, 정부세입의 85% 수준에서 비석유부문에 대한 육성 및 투자를
확대한 결과 현재 GDP의 40%, 정부 세입의 80% 수준으로 감소
추세이다.
32
◦ 고유가에 기인한 막대한 재정수입의 상당부분을 사회 인프라 및 석유
화학, 전력, 담수시설, ICT 등 기간산업 분야에 투자하고, 제조업의
활성화를 통해 비석유부문 비중을 점차 늘려 나가는 산업 다변화 정책
(Diversification)을 추진 중이다.
- 2020년까지 석유화학, ICT, 천연가스 개발, 농업, 교육, 관광 등에
5,600억불, 2024년까지 전력사업 900억불, 담수산업 463억불을
투자할 계획이다.
◦ 외국인 기업에 대한 스폰서 제도, 자국인화 정책, 불공평한 조세제도
및 불공정 관행 등은 외국인의 투자유치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외국인은 사우디 스폰서를 통해 스폰서 명의로 영업 가능하다.
- 또한 일정수준 이상의 사우디인 채용을 의무화하고 있어 생산성면
에서 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
나. 최근 경제정세
◦ 사우디 경제는 2008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경제위기 그리고 중동 지역의
정세불안정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 이어 2011년에도 계속 증액 예산을
편성하는 등 비교적 양호한 경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 특히 산업구조상 세계 최대의 석유 부존 및 석유 수출국으로서 석유
의존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2005년부터 고유가에 기인한 막대한
재정수입을 바탕으로 산업 다변화 정책 추진을 통해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 석유부문이 정부 세입의 80%, GDP의 40% 및 수출액의 90%를 차지
한다.
- 현재 원유세입 재원의 상당부분을 원유 및 가스개발 외에 석유화학,
전력, 담수화, 교통(철도), 교육, 복지 등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 2010년 경제실적으로는 적자예산 편성 등 경기부양 노력 및 국제유가
상승에 기인하여, GDP가 2009년 대비 4.1% 성장한 4,478억불로 집계
된다.
33
- 이는 국제고유가(‘03-‘08)기간중 GDP 성장률 4.9% 대비 다소
감소한 실적이나, 당초 성장목표 3.2%를 상회한 것으로 평가된다.
- 2010년도 수출입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증가하였는바, ‘10년 수출은
2,511억불(‘09: 1,923억불), 수입은 974억불(‘09: 871억불)로서
무역수지 흑자도 ‘09년 1,052억불에 비해 46% 증가한 1,537억불을
기록했다.
- 아울러, 물가상승률도 5.4%로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 한편, 2010년 주재국 정부가 민간부문과 체결한 프로젝트는 총
2,460건, 약 487억불 규모로 2009년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
되어 정부부문의 투자가 경제성장으로 연결된 것으로 평가된다.
◦ 사우디 정부는 2011년도에도 기존의 석유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고
보다 다변화된 산업구조로의 목표 달성을 위해 사회간접자본 확충,
인력자원 개발 및 보건ㆍ복지수준 향상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익
사업에 정부지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 2010년도 재정수입은 1,960억불, 재정지출은 1,671억불이다.
◦ 특히 사우디의 주요 재정 수입원인 원유가격의 상승에 힘입어 사우디
정부는 경제개발의 지속적 추진과 투자환경개선 등을 주요정책 기조로
삼고 2010년에 이어 2011년에도 계속 3년간 적자예산을 편성, 집행
중이다.
- 분야별로는 2010년 대비 보건ㆍ사회분야 13%, 교육예산 8%를
추가로 증액하였고, 특히 교육부문이 세출예산 총액의 25% 이상을
차지한다.(31%인 국방분야에 이어 2위)
◦ 한편 주재국 압둘라 국왕은 2011년 3.18 국왕칙령을 발표하여 SR
5,000억(약 1,335억불) 규모의 민심수습용 복지대책을 발표하였다.
- 칙령의 주요 내용(총 18개 항)은 △공무원 및 군인들에 대한 보너스
지급(2개월 분 월급), △정부 장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추가지급,
△실업 수당 지급(SAR 2,000/월), △신규 주택 50만호 건설(SAR
2,500억 배정), △주택융자한도 상향(SAR 30만→50만), △공무원
최저임금 상향 조정(SAR 3,000/월), △병원시설 확충 및 신규 건설
34
(SAR 160억), △치안분야 6만개 일자리 창출 등의 민생안정 정책
이다.
- 상기 조치들은 리비아, 예멘, 바레인 등 주변 지역 정세 급변에 위기
감을 느낀 사우디 왕실이 민심을 조기에 수습하기 위한 국내 정치적
이유가 저변에 있으나, 사우디의 만성적인 사회 문제인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 부족 해소,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실업자
구제, △저소득층에 대한 배려를 통한 사회 불안 해소 등 경제ㆍ
사회적인 이유도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사우디 정부는 2010년 8월 총 재정 지출액 1조 4,446억 사우디 리얄
(약 3,852불)규모의 ‘제9차 5개년(2010-14년)개발 계획’을 승인하였다.
- 주요 목표는 지속 가능한 성장 달성, 공공서비스(전기, 수도, 의료
등)개선 및 주택건설, 경제구조 다변화 및 지식기반 경제로의 전환
등이다.
- 특히 인적자원 개발부문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동 분야에 총 재정
지출의 50.6%를 배정했다(보건분야는 19%로 제2순위).
※ 제9차 5개년 추진 목표
․ GDP 규모 : 2,936.5억불(11,012억리얄)달성
․ 경제성장률 : 매년 5.2%
․ 투자 : 매년 10.4% 성장
․ 실업률 : 9.6%에서 5.5%까지 하락
․ 석유재정수입 : 2.83% 증가
․ 전략투자분야 : 주요 4개 지역 가스 생산 프로젝트, 사우디 ARAMCO의
원유 생산능력 및 오일 정제시설 확장 및 기타 석유
화학, 철도, 광산, IT 및 통신, 전력 및 담수화 하수
처리 시설 등
35
6. 국방관계
가. 군사조직
◦ 사우디아라비아의 군사 편제는 국방 · 항공부 산하의 정규군(육/해/공/
방공군)과 국가 방위군(National Guard) 및 내무부 산하의 경찰 특수
부대 및 국경/해안수비대로 각각 구분된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발전과정에서 정규군 외 각 지방 부족 출신으로
구성된 국가방위군(Ikhwan의 후신)을 창설, 발전시켜 왔다. 현재
정규군은 제3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국가방위군은 국왕
친위군대로 대내외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을 주 임무로 하고 있다.
◦ 살만 前 리야드 주지사가 2011.10월 국방장관에 임명되었고, 군부의
실권 및 대부분의 요직은 왕족이 차지하고 있다.
- 국가방위군은 1962년 이래 압둘라 국왕이 총사령관직을 겸임하였
으나 2010년 11월 미텝(Miteb) 왕자를 사령관(장관급)에 임명하였다.
◦ 정규군은 육군, 해군, 공군, 방공군을 단일 지휘체계화한 통합군 형태로
편성, 운용하고 있으며 총참모장(합참의장)이 각 군 사령관을 지휘한다.
나. 병역제도
◦ 병역제도 : 지원병 제도(18세 이상 남성)
◦ 사우디 기본법 제34조는 이슬람 신앙, 두 성지 및 사회 및 국가방위를
위한 국민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징병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다. 병력 및 장비
1) 정규군 : 124,500명(추정치)
가) 지상군(육군) : 75,000명
36
◦ 3개 기갑여단, 5개 기계화 보병여단, 1개 공정여단, 1개 포병여단
등으로 구성된다.
- 타부크(Tabuk, 요르단 접경), 카미스 무샤이(Khamis Mushay,
예멘 접경), 하프르 알-바틴(Hafr Al-Batin, 이라크 접경) 등이
주요 군사 도시이다.
나) 해군 : 13,500명
◦ 서부(홍해) 함대, 동부(걸프) 함대 운영
- 4,000톤급 프리기트 함, 2,000톤급 프리기트 함, 1,000톤급 코르
벳함 등 전투함 및 기타 고속정, 소해정 등 보유
다) 공군 : 20,000명
◦ Tornado, F-15 등 주력 전투기 보유
◦ AWACS 조기경보기 보유
라) 방공군 : 약 16,000명
2) 국가 방위군 : 약 100,000명(3개 기계화 보병여단, 6개 차량화 보병여단
등으로 구성)
◦ 리야드, 담맘, 젯다 등 주요 도시에 지역사령부 소재
3) 기타 준 군사 조직 : 약 50,000명
◦ 국경/해안수비대 : 30,000명
◦ 경찰 특수부대: 10,000명
◦ 석유시설 방호부대 : 10,000명
라. 국방예산(2011년) : 약 510억불(추정)로 국가 예산의 약 31%차지
37
마. 국방정책
◦ 이슬람 신앙, 두 성지, 사회 및 국토방위를 위한 국방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 사우디 기본법 제33조는 이슬람 신앙, 두 성지, 사회 및 국토방위를
위한 군사력을 구축, 유지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 걸프협력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 GCC) 회원국간 집단 안보
체제 구축에 기여한다.
- 1981년 이란-이라크전 발발 및 이란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여
GCC 국가들 간 집단안보 체제를 구축했다.
바. 군사협력관계
◦ 사우디는 비동맹 중립노선을 표방하여 외국과 군사동맹을 맺거나 외국군
기지의 설치를 허용치 않고 있다. 그러나 국가발전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왔으며, 군사부문에서도 미국의 도움에 힘입은 바가
크다. 특히 이란으로부터의 잠재적인 위협 및 석유 수송로 안전 확보
등을 위해 미국과 긴밀한 군사적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이 관계를 자체
국방력 강화와 함께 안보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 1991년 걸프전(Operation Desert Shield) 이후 미군이 주둔, 대이라크
감시작전(Operation Southern Watch)을 수행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이슬람권내 불만에 봉착(9.11 테러사건 기도 배경의 하나로 거론)
하여, 미국은 2003년 8월 카타르로 공군기지를 이전하였다.
◦ 국방력 강화를 위해 육·해·공 전반에 걸쳐 미국 등 서방 선진국과의
긴밀한 군사기술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 및 군 장비를 주로
이들 나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 도입 장비에 대한 운영기술, 보급지원 및 훈련을 위해 미, 영, 프 군사
고문단이 상주하고 있다.
38
사. 기타
1) 국방력 증강 계획
◦ 2005년 술탄 前 국방장관은 군 교육훈련의 질적 향상과 최첨단 장비
도입 등 획기적인 국방력 증강 의지를 천명하였으며, 지원병제도에
따르는 병력충원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20년까지 정규군을 20만명
수준으로 증편하는 중장기 계획 추진 방침을 밝혔다.
◦ 2011.11월 리야드 주지사인 쌀만(Salman) 왕자가 국방장관으로 임명
되어 대대적인 국방개혁과 군 현대화 작업 추진을 위해 군부대를 직접
시찰하고 있다.
2) 장비 도입의 다양화
◦ 사우디는 현재까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 선진국으로부터 대규모의
첨단무기를 도입하여 운용해옴에 따라 이들 서방국가에 대한 무기체계
종속이 심화되었으며, 2010년초 술탄 前 국방장관은 자국의 무기생산
능력 배양 필요성을 제기하여 기술이전, 합작생산을 강조하였다.
3) 전투 경험
◦ 1990-91년 걸프전쟁시 연합군과 함께 쿠웨이트 침공 이라크군의
축출에 참여하였다.
◦ 최근에는 2009.11월-2010.1월간 사우디 육, 공군이 예멘 반군과의
전투로 113명이 사망하였다.
39
7. 사회ᆞ문화
가. 인 구
◦ 2010년 인구센서스 결과 인구는 약 2,713만명(외국인 843만)이나, 매년
2.5%에 육박하는 급속한 인구 증가율로 2020년에는 약 3,3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약 650만명에 달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줄여
나가기 위해 자국인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우디인에 비해 생산력이
높고 저임금인 외국인 노동자를 선호하는 사우디 고용주의 성향으로
자국인화 진척이 더딘 상태이다.
나. 교 육
1) 개관
◦ 전통적으로 꾸란의 교리에 기초한 이슬람교육은 종교의무로 간주된다.
- 이슬람 사원을 중심으로 이슬람 교육만이 실시되어 오다 1920년
부터는 소수의 사립교육기관이 설립되어 소년들에게만 한정된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 1953년에 최초로 교육부가 설치되었으며, 이 시기를 전후 학교설립,
교사신축 등 근대적인 교육제도 기본골격을 정비하게 되었다.
◦ 1957년에 리야드에 최초의 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후 다수의 종합
대학교를 비롯한 상당수 초급 및 단과대학이 신설되어 현대적인 교육
제도를 마련했다.
◦ 1990년대 자국인화 정책 일환으로 대학에 전문기술 교육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40
2) 교육 행정
◦ 사우디는 이슬람 율법에 의거, 남녀를 구분하고 있는 종교 사회체제상
교육주관부서가 교육부, 고등교육부(Ministry of Higher Education),
기술교육직업훈련공사(Technical and Vocational Training Corporation)로
3원화되어 복잡하게 운영되고 있다.
- 교육부(‘53년 설립) : 초중고, 사범학교, 성인교육
- 고등교육부(‘75년 설립) : 대학교 이상 교육
(24개 종합대학교와 부속 82개 단과대학)
- 기술교육직업훈련공사(‘80년 설립) : 직업교육, 실업 전문학교, 중ㆍ
고등 기술학교
3) 학제 및 교육특징
◦ 초등6년, 중등3년, 고등3년, 대학4년의 학제를 운영하고 있다.
◦ 전 교육 과정은 무상이나 의무교육제도가 아니어서 강제성은 없다.
◦ 전 교육 과정에 이슬람(꾸란) 교리 등 종교교육을 실시한다.
◦ 여성교육은 유치원에서부터 분리된다(학교건물 또는 남녀 학교로 분리).
◦ 음악 및 무용 등 이슬람 정서에 맞지 않는 분야는 교육에서 제외된다.
4) 대학교육
◦ 1957년에 리야드대학교(1982년 King Saud 대학교로 개칭)가 최초로
설립된 이후, 수많은 국립대학과 단과대학들이 설립되었다.
◦ 종합대학교는 여성교육을 위해 남학생 캠퍼스와 분리되어있는 여학생
캠퍼스를 운영한다.
◦ 대학은 주로 무료이며 기숙사 생활, 국립대학은 1,000리얄의 학비
보조금을 지급한다.
41
◦ 압둘라 국왕 즉위 이후 국립대학을 대폭 확장, 2010년 현재 약 20여
개의 국립대학과 40여개의 단과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 리야드대학교(현 King Saud 대학교) >
5) 최근 교육정책
◦ 모든 교육은 꾸란의 교리와 이슬람의 가치기준에 따라 이슬람교도적인
인격형성에 우선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전 교육과정 중 꾸란의
숙독과 교리의 이해는 필수이다.
- 9.11 테러 이후 종교 중심의 교육체제를 개편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종교, 보수세력의 반대에 직면해있다.
◦ 사우디 정부는 인적자원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1년 정부
예산의 경우 예산의 25%를 교육부문에 배정했다.
◦ 대부분의 고급인력과 기술 인력을 해외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사우디는
이른바 사우디 교육발전을 통해 인력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자국인화
실현을 위해 직업교육 확대 및 기술인력 확보에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또한, 여성의 사회참여 제고를 위해 여성교육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여성의 대학교육(교사, 의사, 약사, 간호사 등
전문분야) 참여가 매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 언 론
◦ 사우디에는 국영 라디오와 TV방송이 있으며 TV방송은 Channel
1TV(아랍어), Channel 2TV(영어, 일부 불어 뉴스)를 포함한 7개의
42
채널이 있고 신문은 Al-Riyadh, Al-Sharq Al-Awsat, Al-Jazeerah,
Okaz 등 다수의 아랍어 일간지와 Arab News, Saudi Gazette 등 2개의
영자일간지를 발간하고 있다.
- 최근에는 위성안테나를 설치하여 서구문화 및 정보를 접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CNN, BBC, Star TV 등 일부 서방의 뉴스,
교양 및 오락방송 시청 확산 추세이다.
1) 방송 : Saudi Arabia TV
◦ 창립일:1965
◦ 대표자: 문화공보부장관(국영)
◦ 사용언어: 아랍어, 영어
◦ 방송시간대
- Channel 1(아랍어방송)10:00~24:00(국내), 24시간(위성)
- Channel 2(영어방송)14:00~24:00(국내), 24시간(위성)
- Channel 3(스포츠방송):24시간
- Channel 4(뉴스방송):24시간
- Channel 5(문화방송) : 24시간
- Channel 6(이슬람 종교방송) : 24시간
- Channel 7(경제방송) : 24시간
2) 신문
가) Al-Sharq Al-Awsat(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 1978
◦ 발행인: H.H. Saudi Research & Marketing(U.K.) Ltd.
◦ 발행부수:약 400,000부
◦ 보도성향:중도
43
◦ 사우디 최대의 아랍어 일간지
나) Okaz(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1960
◦ 발행인:Okaz Publishing and Press Corporation
◦ 발행부수:약 10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사우디 서부지방 대표지이며, Saudi Gazette 영자일간지 자매지
다) Al-Riyadh(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1962
◦ 발행인:Al-Yamama Press Establishment
◦ 발행부수:약 10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사우디 중부지방 대표지
라) Al-Jazeera(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1960
◦ 발행인:Al-Jazeera Press Corporation
◦ 발행부수:약 14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사우디 중부지방 유력지
마) Al-Watan(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2000
◦ 발행인:Al-Assir Publishing and Press Organization
44
◦ 발행부수:약 200,000부
◦ 보도성향:개혁 중도
◦ 사우디 개혁성향의 대표 일간지
바) Arab News(영어 일간지)
◦ 창간일:1974
◦ 발행인:Hisham & Mohammed Ali Hafez
◦ 발행부수:약 55,000부
◦ 보도성향:중도
◦ 해외특파원:9개국
◦ 참고사항 : 사우디 최대의 영자지이며, 아랍어 일간지 Al-Sharq
Al-Awsat 자매지
사) Saudi Gazette(영어 일간지)
◦ 창간일:1976
◦ 발행인:Okaz Publishing Corporation
◦ 발행부수:약 5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참고사항 : 아랍어 일간지 Okaz의 자매지
라. 종 교
◦ 국민 모두가 무슬림이며 대부분이 와하비파에 속하는 수니파이다.
이슬람권 국가 중에서 가장 엄격하고 보수적인 종교생활이 이루어지고
있고, 전통 아랍 및 이슬람 관습을 고집한다.(동부지역에 일부 시아파
무슬림들 상존)
◦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은 태어나면서부터 모든 무슬림에게 의무로 되어
45
있는 다섯 가지 신앙적 기둥(증언, 기도, 단식, 성지순례, 희사)을 필수적
으로 이행하도록 강요된다.
마. 생 활
◦ 대체로 대륙적 기질로 내성적인 면이 강하여 좀처럼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다. 만사를 서두르지 않고 여유가 있으며, 자존심이
강하며, 이슬람교가 아닌 이방인을 경계하여 정을 주지 않고 의심이
많은 편이나, 신의와 위신, 덕망, 친절, 선행을 중시하는 기질이 있다.
◦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무감이 강하고, 남자는
위엄과 강인한 것을 중히 여겨 어려서부터 낙타경주, 승마 등을 가르
치고 특히 가부장제로 남아선호 사상이 높은 편이다.
◦ 고온건조한 사막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베두윈(유목민) 민족으로 무뚝뚝
하고 거칠며 과격한 면이 적지 않으나,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순화되어
있어 정서면에서는 많이 안정적이다.
◦ 엄격하고 검소한 이슬람 교리와 사막의 전통적인 생활관습 영향으로
문화생활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다만 경제여건의 향상과 도시의 발달,
TV 등 대중매체의 발달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며, 위성 안테나
설치를 통하여 서구문화 및 정보를 접촉할 수 있다.
◦ 와하비즘의 영향으로 엄격한 이슬람계율을 요구하며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등 오락 및 대중예술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라디오 방송
등은 외국의 팝송도 방송하고 있다.
◦ 스포츠 행사시에도 남녀가 공동 집회를 할 수 없으며 대중음식점은 물론
공공장소에서는 남녀를 분리한다. 여성운전이 금지되어 있어 여성의
사회활동에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46
바. 관 습
1) 이슬람 및 아랍 관습
◦ 이슬람 전역에 걸쳐 간음과 매춘행위, 음주, 돼지고기 판매, 이자놀이
등이 생활의 금기로 되어 있으며, 신앙생활을 해치는 가무나 요란한
음악, 영화 등은 허락하지 않고 있다. 학교에서도 음악, 무용 등의 교육
과목이 전무하다.
◦ 매년 히즈라력 9월(라마단월)은 무함마드가 지브릴(가브리엘) 천사를
통하여 꾸란을 최초로 계시 받은 성스러운 달로 여겨지고 있으며, 한 달
간은 고행과 수도의 달로서 해가 뜬 후부터 해가 지기 전까지는 물,
음료, 담배 등 일절 음식물을 금식하게 되는데, 대신 밤에는 식사를
하고 특별 예배를 보며 대부분 야간활동이 활발하다.
- 라마단(금식월) 중에 외국인은 금식하는 아랍인 앞에서 음식을
먹거나,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 좋으며, 특히 거리에서의
흡연을 삼가고 기타 아랍인들의 종교생활에 거슬리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남녀간 내외를 엄격하게 지키므로 가족이 아닌 여자와 함께 다니거나,
여인의 사진을 찍거나 말을 거는 등의 행동을 삼가야한다.
◦ 왼손은 불결한 것에만 사용하고 깨끗한 일은 오른손으로 하기 때문에
악수를 한다거나 물건을 주고받거나 음식을 먹을 때 왼손을 사용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 옷차림은 남자들은 외출시 토브(thobe)라고 하는 하얀색의 전통복장과
구트라(goutra)라고 하는 흰 바탕에 붉은 체크무늬 또는 횐색 천을
머리에 두르며 여인들은 아바야(abaya)라고 하는 검정 겉옷을 입고,
검은 머플러로 머리와 얼굴을 가린 후 외출한다. 외국 여인들도 강제로
아바야를 착용해야 한다.
◦ 권유받은 선물이나 음료, 음식 등은 거절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집으로
초대받았을 때에는 세 번 이상 거절하면 예의상 곤란하다.
47
2) 결혼
◦ 이슬람법에 있어 결혼은 모든 무슬림들의 의무사항이며, 이혼도 법적
으로 허용되고 있다.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는 중매결혼이 원칙이며 사촌
간의 근친결혼이 관습적이다.
◦ 민족이 다른 사람간에도 양가의 합의와 결혼 당사자간 동의만 있으면
결혼이 가능하다. 법적으로 꾸란에 따라 1부 4처까지 허용되어 있으나
오늘날에는 1부1처제의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약혼 합의시 신랑이
신부감에게 주는 마하르(Mahr)라는 결혼지참금 제도는 아직도 관습으로
남아있어 가난한 서민층에서는 지참금 때문에 혼기를 놓쳐 결혼을 못한
남자들도 많다.
◦ 결혼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순결과 정절로 여성들은 몸가짐에
매우 조심하고 있다. 간통죄가 성립되려면 4명의 증인과 분명한 물증이
필요하고, 형벌은 기혼자인 경우 더욱 엄격하고 미혼자간의 경우는
태형을 받게 되며, 반드시 당사자간에 결혼해야 한다.
3) 이혼
◦ 이혼 사유가 성립되면 합의 이혼이 가능하며, 재혼도 가능하나 사별하지
않는 한 재혼을 두 번 이상 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다.
◦ 이혼이 성립될 수 있는 조건은 대략 다음과 같다.
- 남편이 부인과 도저히 살 수 없다고 세 번 이상 이혼을 선언하는 경우
- 양자 중 부정한 행위가 있었을 때 증인 4명 이상이 법정에서 증언
하거나, 신에게 3번 이상 목격한 사실을 선서하는 경우(단, 거짓
증언을 했을 때는 위증죄로 처벌)
- 신체적인 결함으로 부부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경우
- 남편이 처를 학대하거나 처가 남편에게 복종하지 않을 경우
◦ 마하르는 여자가 상부를 하거나 부상 또는 이혼을 당했을 때 여자 본인은
물론 여자들의 생계 및 자녀교육을 위해 여자의 개인재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다. 최근에는 과부나 이혼녀, 노약자, 불구자 등 생활
48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국가에서 생활비를 지원하는 형태로 쓰인다.
4) 음식
◦ 개, 돼지, 맹수류, 맹금류, 파충류와 이슬람식으로 도살되지 않은 고기,
죽은 짐승의 고기와 피, 내장 등은 식음할 수 없다.
◦ 사우디인들은 샤이(shai)라고 부르는 홍차와 노란색 박하 향기의 차를
즐겨 마시며 손님 접대시 아랍 커피 까흐와(qahwah)와 함께 차를
권유하는 것이 상례이다.
5) 예절
◦ 윗사람들을 매우 공경하고, 찾아오는 손님에 대해서는 극진하게 접대
하는 것이 예의이며 미덕으로 간주하고 있다. 속담에 “손님이 찾아오지
않는 집에는 천사도 찾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인적이 드문
사막의 생활환경에서 사람을 만나는 것이 반갑다는 이유에서뿐만 아니라
종교예식 상 공덕을 많이 쌓기 위한 것으로 간주된다.
II. 우리나라와의 관계
51
1. 기본관계
가. 정치ᆞ외교관계
1) 개 요
◦ 사우디는 유엔, 비동맹기구 등 국제무대에서 평화통일정책 등 우리의
입장을 적극 지지해온 주요 우방국중의 하나이며, 우리의 제1위 원유
수입국으로서 중동지역 최대의 교역 대상국이다.
◦ 양국 관계는 1998년 압둘라 왕세제(現 국왕)의 방한, 1999년 前 리야드
주지사인 쌀만(Salman) 왕자의 방한, 2000년 제2부총리 겸 국방장관인
술탄 왕자(前 왕세제)의 방한과 2005년 이해찬 국무총리(8월, 11월)와
2007년 3월 노무현 대통령 등 정상급 인사의 상호방문은 양국 우호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 주요 외교관계 일지
◦ 1962.10.16 한ㆍ사우디 외교관계 수립
◦ 1973 주사우디 대사관 개설(젯다)
◦ 1974.4.21 주한 사우디 대사관 개설
◦ 1982 주사우디 대사관 리야드 이전
◦ 1982 주젯다 총영사관 개설
◦ 1998.12. 주젯다 총영사관 폐쇄
◦ 2007.11. 주젯다 총영사관 재개
3) 역대 공관장
◦ 1962.10.16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합의
◦ 1963.6.6 최영희 주터키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 1973.7.17 윤경도 대사 신임장 제정
52
◦ 1975.10.25 유양수 대사 신임장 제정
◦ 1980.4.7 장예준 대사 신임장 제정
◦ 1983.2.21 최광수 대사 신임장 제정
◦ 1986.1.27 최호중 대사 신임장 제정
◦ 1989.9.17 주병국 대사 신임장 제정
◦ 1992.3.28 나중배 대사 부임(5.25 신임장 제정)
◦ 1995.3.2 신효헌 대사 부임(5.2 신임장 제정)
◦ 1998.3. 김정기 대사 부임
◦ 2000.10. 박명준 대사 부임
◦ 2003.6.24 강광원 대사 부임(7.30 신임장 제정)
◦ 2006.3.31 이재길 대사 부임(6.25 신임장 제정)
◦ 2008.11.2 홍종기 대사 부임(2009.1.11 신임장 제정)
◦ 2010.9.29 김종용 대사 부임(2010.10.24 신임장 제정)
나. 주요인사 교류
1) 우리 인사 사우디 방문
◦ 1973 최규하 대통령 특사
◦ 1975 김종필 총리 방문
◦ 1977.5. 최규하 국무총리
◦ 1979.9. 박동진 외무부장관
◦ 1980.5. 최규하 대통령
◦ 1982.6. 유창순 국무총리(칼리드 국왕 조문사절)
◦ 1983.12. 강경식 청와대 비서실장(특사)
◦ 1991.4. 강영훈 前 국무총리(특사)
53
◦ 1995 박재윤 산업자원부장관
◦ 1996 이양호 국방장관
◦ 1998.11. 박태영 산업자원부장관
◦ 1999.10. 정덕구 산업자원부장관
◦ 2001.4. 양승택 정보통신부장관
◦ 2001.5. 이한동 국무총리
◦ 2003.1. 신국환 산업자원부장관
◦ 2004.2. 반기문 외교부장관
◦ 2004.6.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제13차 한ㆍ사우디 공동위)
◦ 2005.5. 한‧사우디 의원친선협회 대표단(단장 문석호 의원)
◦ 2005.8. 이해찬 국무총리(파흐드 국왕 조문사절)
◦ 2005.11. 이해찬 국무총리(공식방문)
◦ 2006.2. 전윤철 감사원장(세계감사원장회의 재무행정위 제3차 회의)
◦ 2007.3. 노무현 대통령 공식방문
◦ 2007.8. 송민순 외교장관
◦ 2008.11. 이상희 국방장관
◦ 2009.3. 임채진 검찰총장
◦ 2009.9. 이현구 과기특보(대통령 특사)
◦ 2009.11. 사공일 G20 위원장(대통령 특사)
◦ 2010.7.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제15차 한ㆍ사우디 공동위)
◦ 2011.4. 최중경 지식경제부장관
◦ 2011.9. 권도엽 국토해양부장관
◦ 2011.10. 한승수 전국무총리(술탄 前 왕세제 조문사절)
54
2) 사우디 인사 방한
◦ 1974-97 기획부, 공업전력부, 내무부, 체신부, 석유광물부, 노동부
장관 등 다수 방한
◦ 1987.11 술탄 왕자
◦ 1998.10 압둘라 왕세제
◦ 1999.4 살만 리야드 주지사
◦ 2000.2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아사프 재정경제부장관, 파키
상무부장관 및 이반 무임소장관
◦ 2000.10 술탄 제2부총리 겸 국방ㆍ항공장관
◦ 2001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02.4 이브라힘 파키 상무부장관
◦ 2003.5 압둘라 알-쉐이크 법무부장관
◦ 2004.4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04.9 물라 정보통신부장관
◦ 2005.5 오사마 파키 감사원장
◦ 2005.12 알-쿠바엘 지상군사령관(육군중장, 방산협력)
◦ 2007.1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07.2 알-안카리 고등교육부장관
◦ 2007.6 마다니 외교담당 국무장관
◦ 2007.11 고사이비 경제기획장관(제14차 한-사우디 공동위)
◦ 2008.5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10.10 알후사옌 수전력부장관
◦ 2010.10 알-안카리 고등교육부장관
◦ 2010.11 사우드 알-파이잘 외교부장관(G20 서울정상회의)
◦ 2011.4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아사프 재무부장관
◦ 2011.5 쉬크 국왕자문회의의장
55
◦ 2011.5 알-파이잘 투자진흥청 부청장
◦ 2011.9 파이잘 왕자(Jadwa 투자회사 회장)
◦ 2011.10 투르키 알-파이잘 전 정보부장, 킹파이잘이슬람연구센터
이사장(한-아랍 중동포럼)
◦ 2011.10 술탄 왕자(관광ㆍ문화재 관리청장)
◦ 2011.10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팔리 ARAMCO 회장
다. 정부간 협정체결
◦ 1974.1.19 한ㆍ사우디 경제기술협력협정(1975.1.19 발효)
◦ 1974.7.5 한ㆍ사우디 문화협정(1975.8.4 발효)
◦ 1976.11.12 한ㆍ사우디 항공협정(1984.1.21 발효)
◦ 1984.10 감천항 개발차관 협정
◦ 1990.2.29 한ㆍ사우디 항공운수소득면세협정(1991.7.18 발효)
◦ 1991.1.22 사우디에서의 한국의료단 활동에 관한 협정(1991.2.23
발효)
◦ 1997.4.23 한ㆍ사우디 교육교류약정
◦ 2002.4.4 한ㆍ사우디 투자보장협정(2003.2.19 발효)
◦ 2007.3.24 한ㆍ사우디 이중과세 방지협정(2008.12.1 발효)
◦ 2011.9.15 한ㆍ사우디 해운협정 가서명
◦ 2011.11.15 한ㆍ사우디 원자력협정 서명
2. 경제ᆞ통상관계
가. 한-사우디 경제관계 개관
◦ 사우디아라비아는 우리나라 최대의 원유공급국으로 우리나라 총 원유
56
수입량의 31.4%인 2.4억 배럴(258억불)을 공급하고 있다.(2011.10월
기준)
◦ 한-사우디 양국은 상호보완적 수출입 거래를 바탕으로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사우디는 우리의 제4대 교역국이며,
우리나라는 사우디의 제5대 교역국이다.
◦ 우리나라는 1973년 사우디에 최초 진출한 이래 2011년 11월 현재 약
1,000억불 이상을 수주하여 해외건설 진출(‘66) 이후 전체 해외 수주
누계의 21%를 상회하며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양국간 투자는 아직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 대사우디 투자 : 224건 193백만불(‘10년까지 누계 수출입은행 기준)
- 대한 투자 : 47건 318백만불(‘10년까지 누계 지식경제부 기준)
※ 1991년 ARAMCO의 S-Oil 4억불 투자는 제외
≪ 우리나라의 원유도입 현황 ≫
2009년 2010년
국가 물량(천B) 순 위 비중(%) 물량(천B) 순 위 비중(%)
사우디 265,227 1 31.8 286,312 1 32.8
UAE 114,592 2 13.7 158,109 2 12.1
쿠웨이트 100,090 3 12.0 117,245 3 11.8
이란 81,437 4 9.8 73,016 4 8.3
카타르 53,673 6 5.4 64,402 5 7.4
이라크 62,494 5 7.5 41,227 6 6.9
호주 34,423 7 4.1 34,499 8 3.6
러시아 28,037 8 3.4 23,463 7 5.7
전 체 835,085 - 100 872,415 - 100
57
나. 교역동향
◦ 양국은 상호보완적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 사우디는 중국, 미국,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의 제4위 교역대상국이며,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등에 이어 사우디의 제5위 교역대상국이다.
≪ 최근 한-사우디 교역 추이 ≫
(단위 : 백만불)
구분 2008 2009 2010 2011(1-11월)
무역합계 39,034 23,594 31,377 39,857
수출
수입
5,253
33,781
3,857
19,737
4,557
26,820
6,261
33,596
무역수지 ▽28,528 ▽15,880 ▽22,263 ▽27,335
◦ 우리나라는 사우디에 자동차ㆍ철강ㆍ중전기기ㆍ기초산업기계ㆍ전자제품
ㆍ고무제품ㆍ직물ㆍ석유화학제품 등을 주로 수출하고 있다(10개 품목
비중 84.9%).
- 반면, 우리나라는 사우디로부터 원유ㆍ석유제품 등 광물성 연료와
석유화학 원료를 주로 수입한다.(10개 품목 비중 99.8%)
≪ 2010년도 주요 10대 수출입 품목 ≫
(단위 : 백만불)
순위
수출 수입
품목명 금액 품목명 금액
1
2
3
4
5
6
7
8
9
10
자동차
정전기기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건설광산기계
고무제품
형강
인조장섬유직물
기타석유화학제품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1,526
411
169
169
168
159
142
119
105
102
원유
석유제품
LPG
석유화학합섬원료
석유화학중간원료
기타석유화학제품
정밀화학원료
동제품
알루미늄
갑각류
22,869
2,449
650
315
145
127
88
84
35
14
58
■ 최근 교역동향 분석
◦ 최근 대사우디 수출은 2008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009년에
감소하고, 다시 2010년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도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2008년 53억불(30.5%) → 2009년 39억불(-26.6%) → 2010년
46억불(18.2%)
-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국제경기 불황으로 2009년 중
수출이 전년대비 26% 감소한 39억불을 기록했다.
- 한편, 최근 5년간 우리의 주력 수출상품은 과거 직물, 섬유제품
중심에서 자동차, 철강제품, 중전기기, 기초산업기계 등 중화학
제품 수출로 변화하고 있다.
- 2011년 11월의 경우, 전품목에서 고른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55.9% 증가하였다.
◦ 수입의 경우, 원유가 상승에 따라 증가하여 왔으나, 2009년의 경우
국제유가 하락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 ‘07년 212억불(3% 증가) → ‘08년 338억불(60% 증가) → ’09년
197억불(42% 감소) → ‘10년 268억불(36% 증가)
- 2011년 11월까지 대사우디 수입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하였다.
다. 건설 및 플랜트 수주 현황
◦ 우리나라는 1973년 사우디에 최초 진출한 이래 2011년 11월 말까지
수주액 누계가 1,000억불을 상회, 전 세계 수주누계의 21%를 상회하는
등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1970년대와 1980년대 중반까지 매년 10-80억불 수준의 수주실적을
기록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1-2억불 수준으로 수주규모가 감소
했다.
- 최근 정유ㆍ석유화학, 담수ㆍ발전 플랜트 등을 중심으로 수주실적이
증가하여 최근 매년 40억-70억불 내외의 수주실적을 유지하다가
59
2010년 사상 최초로 100억불을 돌파하였다.
※ 41억불(‘08) → 72억불(‘09) → 105.2억불(‘10)→ 158.5억불(‘11.11월
현재)
◦ 2010년에는 현대중공업의 리야드 PP11 민자발전(15.8억불), 대림ㆍSK의
얀부 수출정유 플랜트(22.1억불), 두산중공업의 라빅 발전소 6단계
(34억불) 등의 프로젝트를 수주한데 이어, 2011년에도 SKㆍ삼성엔지
니어링의 와싯 가스개발 프로젝트(4건, 24억불) 및 샤이바 NGL 프로젝트
(4건, 28억불), 삼성물산의 쿠라야 민자발전소(21억불) 등을 수주하여
2011년 11월말 연간 수주액이 158억불로 2010년의 기록을 넘어섰다.
◦ 2011년 10월 사우디 전역 103개 현장에 70개 우리 건설기업이 공사
중이며, 이 중 13개 대기업이 56개 대형 프로젝트 공사를 수행 중이다.
- 석유화학플랜트 21개 프로젝트 (대림13, 삼성엔4, SK2, GS1, KCC
ㆍ현대엔1)
- 가스처리플랜트 10개 프로젝트 (현대1, GS1, 대림1, 삼성엔4, SK3)
- 담수/발전 플랜트 15개 프로젝트 (두산중6, 한화3, 현대중3, 삼성엔2,
삼성물산1)
- 송/변전 (현대건설 4) 및 철강프로젝트 (STX중1, 삼성엔2)
- 대규모 건축프로젝트 (SK건설)
◦ 2011년 10월 사우디 내에서 우리 건설기업 70개사가 약 389억불 상당의
103건 프로젝트를 시공 중이다.
라. 산업ᆞ기술 및 투자협력관계
◦ 한-사우디는 산업구조가 달라 양국간 산업 경합도가 크지 않은 관계로
자본ㆍ기술 등 비교우위요소를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 그러나, 양국간 문화적 차이, 사우디의 교역기반 취약 등으로 인해
실질적 협력은 아직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다.
60
◦ 우리의 대사우디 진출은 교역관련규제의 회피, 플랜트 건설수주 지원을
위한 소극적 투자가 주류이고, 원료ㆍ시장 지향형 투자, 기술협력 등
분야는 미흡하다.
◦ 사우디의 대한국 투자도 아직 탐색단계로서 ARAMCO의 S-Oil 4억달러
투자를 제외하고는 소액 또는 포트폴리오형 투자 위주이다.
≪ 한-사우디 투자현황 ≫
(단위 : 건, 백만불/신고기준)
연 도
‘05 ‘06 ‘07 ‘08 ‘09 ‘10 누계(‘68-’10)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對한투자 2 4.5 3 8.3 5 17 3 11 11 23 3 15.4 47 318.4
對사우디
투자
3 0.3 12 6.8 25 4.7 24 7 34 49 44 25 224 193.0
3. 문화ᆞ교육관계
가. 문화교류
1) 현황
◦ 우리나라는 1975년 사우디아라비아와 문화협정을 체결하고, 문화ㆍ교육
분야 교류 증진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양국간 문화교류 시행계획서 체결 추진중
◦ 사우디는 2005년 압둘라 국왕 즉위 이후 세계 각국과의 문화교류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특히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양국간 문화분야 교류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주요 문화교류 현황
◦ 한-아랍 소사이어티(KAS) 카라반 행사 개최
61
- 2008년 10월 서화 및 사진 전시회
- 2009년 10월 태권도 시범단
◦ 2008년 11월 안성 남사당 풍물단 공연(국제교류재단)
◦ 2012년 자나드리아 문화축제에 우리나라가 주빈국으로 참여 예정
- 한-사우디 수교 50주년 기념사업
◦ 사우디 전통 공연단 방한
- 2009년 5월 KAS 아랍전통 공연단 행사 참석
- 2009년 10월 사우디 문화 주간행사 참석(주한 사우디대사관 주관)
◦ 2012년 서울국제도서전에 사우디가 주빈국으로 참여 예정
나. 교육ᆞ청소년 교류
1) 청소년 분야
◦ 청소년 상호방문 : 1981-2011년간 총인원 551명(우리측 273명,
사우디측 278명 교류)
- 2007년, 2008년 한국유학 소개행사 개최(리야드)
- 2010년 1월 제1차 리야드 국제교육박람회 참가
- 2011년 4월 제2차 리야드 국제교육박람회 참가
- 2012년 4월 제3차 리야드 국제교육박람회 참가 예정
2) 교육 분야
◦ 압둘라 국왕 즉위 이후 인력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매년 수천명의 정부
장학생(King Abdullah Scholarship)을 선발, 해외에 파견하고 있으며
(2010년 기준 약 8만명 파견),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중국
등과 더불어 주요 협력대상국으로 선정되었다.
62
- 2011년 현재 약 180명의 사우디 정부장학생이 국내 대학에서 수학
◦ 사우디 장학생 수학 동향
- 사우디 기술교육직업훈련청(YVTC)은 사우디 청년들의 직업기술능력
향상을 위해 KASPTT(King Abdullah Scholarship Program for
Technical Trainers) 장학생들을 우리 대학에 파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 KASPTT : 사우디의 2년제 기술대학 졸업생을 해외에 3년간 파견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기술직업훈련 강사 요원으로 육성
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 2010년 7월 기술교육훈련청 부청장이 방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
산업기술대학교 등과 기술훈련 실행계약서를 체결하였고, 2010-11년
초에 걸쳐 약 50명의 KASPTT 장학생을 파견하였다.
다. 방송ᆞ언론분야 교류
1) 한국 이미지 제고 활동
◦ 한국 드라마, 영화 TV 방영 지원 등
- 한국 드라마(대장금), 사우디 국영TV 채널 1 방영('08.4-7월)
- 한국 드라마(식객), 사우디 국영TV 채널 1 방영('10.3-5월)
2) 언론인 방한 초청
◦ G20 정상회의 개최 계기 언론인 초청(해외홍보원 주관)
- Saudi Press Agency 경제뉴스 에디터 참석('10.9.5-11, 서울)
- 바레인 Gulf Daily(영자) 언론인 방한('10.11.7-13)
◦ Saudi TV 채널 2, 기자 및 사진기자 방한('10.3.1-11, 국제문화산업
교류재단 주관)
◦ Arab News 영자일간지 선임기자 방한(‘10.10월, ’11.9월 등)
63
4. 정부간 협의체 및 친선단체
가. 한-사우디 공동위원회
1) 수석대표
◦ 우 리 측 : 통상교섭본부장
◦ 사우디측 : 경제기획부장관
2) 개최 현황
◦ 2010.7. 제15차 공동위, 리야드 개최
◦ 제16차 공동위, 서울 개최 예정
나. 한-사우디 석유광물위원회
1) 수석대표
◦ 우 리 측 : 지식경제부2차관
◦ 사우디측 : 석유광물부차관
2) 개최 현황
◦ 2009.11. 제4차 석유광물 위원회, 리야드 개최
◦ 제5차 석유광물 위원회, 2012년 상반기 서울 개최 예정
다. 의원친선협회
1) 한국-사우디 의원친선협회
◦ 결성일 : 2010년 4월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사우디개황2012%282%29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drtravel

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drtravel
 
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drtravel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drtravel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drtravel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drtravel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drtravel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drtravel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drtravel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drtravel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drtravel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drtravel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drtravel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drtravel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drtravel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drtravel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drtravel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drtravel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drtravel
 

More from drtravel (20)

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
 
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사우디개황2012%282%29

  • 2. 사우디아라비아 국기 - 국기 해설 - ■ 1973년 제정된 것으로 초록 바탕에 아랍어로 쓰여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알라 외에는 신(神)이 없고, 모하메드는 알라의 사도다.” 라는 내용이, 이는 무슬림이 되기 위한 선서문이다. ■ 글씨 아래의 칼은 네지드, 헤자즈 왕국을 통합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세운 압둘아지즈 왕(통칭 이븐 사우드)이 추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정의를 의미한다.
  • 3. CONTENTS Ⅰ. 사우디아라비아 일반사항 1. 개관 가. 일반개관 ·········································································································· 3 나. 자연환경 ·········································································································· 4 2. 약사 가. 약사개요 ·········································································································· 9 나. 정치약사 ········································································································ 11 3. 정치제도 가. 권력구조 ········································································································ 14 나. 행정각부 ········································································································ 19 다. 지방제도 ········································································································ 20 4. 정치정세 가. 국내정치정세 ································································································· 21 나. 대외정책 ········································································································ 26 5. 경제현황 가.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의 특징 ······································································· 31 나. 최근 경제정세 ······························································································· 32 6. 국방관계 가. 군사조직 ········································································································ 35 나. 병역제도 ········································································································ 35 다. 병력 및 장비 ································································································· 35 라. 국방예산 ········································································································ 36 마. 국방정책 ········································································································ 37 바. 군사협력관계 ································································································· 37 사. 기타 ··············································································································· 38
  • 4. 7. 사회ᆞ문화 가. 인 구 ··········································································································· 39 나. 교 육 ··········································································································· 39 다. 언 론 ··········································································································· 41 라. 종 교 ··········································································································· 44 마. 생 활 ··········································································································· 45 바. 관 습 ··········································································································· 46 Ⅱ. 우리나라와의 관계 1. 기본관계 가. 정치․외교관계 ································································································ 51 나. 주요인사 교류 ······························································································· 52 다. 정부간 협정체결 ··························································································· 55 2. 경제․통상관계 가. 한-사우디 경제관계 개관 ············································································ 55 나. 교역동향 ········································································································ 57 다. 건설 및 플랜트 수주 현황 ··········································································· 58 라. 산업․기술 및 투자협력관계 ·········································································· 59 3. 문화․교육관계 가. 문화교류 ········································································································ 60 나. 교육․청소년분야 교류 ··················································································· 61 다. 방송․언론분야 교류 ······················································································· 62 4. 정부간 협의체 및 친선단체 가. 한-사우디 공동위원회 ·················································································· 63 나. 한-사우디 석유광물위원회 ··········································································· 63 다. 의원친선협회 ································································································· 63 5. 재외국민, 기업진출 현황 가. 재외국민 실태 ······························································································· 64 나. 재외국민 현황 및 단체 ················································································ 64 다. 정부 투자기관 등 ························································································· 65 라. 진출기업 현황 ······························································································· 65
  • 5. III. 주요인사 프로필 1. 국왕 ······················································································································ 69 2. 여타 왕실인사 및 주요각료 ·············································································· 70 VI. 방문정보 1. 안전정보 ·············································································································· 75 2. 출입국시 유의사항 ····························································································· 75 3. 체재시 유의사항 ································································································· 77 부 록 I. 사우디아라비아 주요자원 및 산업현황 1. 석유 및 정유산업 ··························································································· 83 2. 가스산업 ········································································································· 87 3. 기타 광물자원 ································································································ 89 4. 전력산업 ········································································································· 90 5. 건설 및 플랜트산업 ······················································································· 91 6. 철도건설 ········································································································· 93 7. IT 및 통신 ······································································································ 94 8. 제조업 ············································································································· 97 9. 농업 및 축산업 ······························································································ 97 II. 사우디아라비아 교역 및 투자환경 1. 시장환경 ······································································································· 101 2. 유망분야 및 투자정보 ·················································································· 113
  • 6.
  • 8.
  • 9. 3 1. 개 관 가. 일반개관 ◦ 국 명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Kingdom of Saudi Arabia) ※ 사우디 왕국 선포일(국경일) : 1932.9.23 ◦ 수 도 : 리야드(Riyadh주 인구 약 583만명) ◦ 면 적 : 약 215만㎢(한반도의 약 10배) ◦ 인 구 : 약 2,713만명(사우디인 1,870만명, 외국인 843만명, 2010년 기준) ◦ 종 족 : 아랍족(베두윈족 27%, 기타 아랍정착민 73%) ◦ 공 용 어 : 아랍어(영어 통용) ◦ 종 교 : 이슬람교(수니파 90%, 시아파 10%) ◦ 정부형태 : 이슬람 군주국(정교일치의 국왕중심제) - 국가원수 : The 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 King Abdullah bin Abdulaziz Al-Saud(총리 겸임) ◦ 의 회 : 없음.(의회와 유사한 기관으로 국정자문회의(Majlis Ash-Shura) 설치 운영) ◦ 정 당 : 없음. ◦ 사법제도 : 꾸란 및 샤리아(이슬람법)가 재판의 기본, 3등급의 법원 및 사법감독위원회 존재 ◦ 주요 경제지표(2011) - GDP : 5,602억불(1인당 GDP : 19,890불) - 실질 GDP 성장률 : 7%
  • 10. 4 - 외환보유고 : 약 5,340억불 - 물가상승률 : 5.3% - 외 채 : 1,058억불 - 무역수지 : 4,702억불(수출 3,528억불, 수입 1,174억불) - 경상수지 : 1,430억불 - 석유매장량 : 약 2,645억배럴(세계 매장량의 약 19%) - 화폐단위 : 리얄(SR)/1$ = 3.75SR(고정환율) ◦ 군사제도 : 지원병제 ◦ 기 후 : 고온건조한 대륙성기후 (연평균 섭씨 32-34도, 최고 54도, 최저 0도) ◦ 사회관습 : 이슬람 국가 중 가장 엄격한 이슬람 관습 유지 나. 자연환경 1) 지정학적 위치 ◦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의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걸프만, 서쪽으로 홍해와 연접해있다. 인접국가로 북쪽에 요르단, 이라크, 쿠웨이트, 동쪽에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남동에 오만, 남쪽에 예멘과 접해있다. 또한 서쪽에는 홍해를 사이에 두고 이집트, 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와 인접해 있다. < 사막지대 >
  • 11. 5 ◦ 국토의 대부분이 사막지대로 토양은 척박하며, 내륙지방은 혹서 기후로 극도로 건조하고, 해안지방은 습한 기후가 병존한다. 2) 지형 특색 ◦ 헤자즈(Hejaz) - 요르단의 아카바(Aqaba)만과 메디나(Medina) 사이에 뻗어 있는 해안 지방으로 헤자즈 동부는 강우량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농경지역이 형성되어 있다. ◦ 아시르(Asir) - 티하마(Tihama)라 불리는 홍해연안 평야중 북위 20도 이남으로 좁게 뻗은 다습한 고원지역(해발 1,500m, 연간 강우량 150-300㎜)이며 농경지로의 개발이 가능하다. - 예멘과 접경한 아시르주는 산악 지역의 자연경관을 이용하여 사우디 제일의 관광 지역으로 개발하기 위해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나지드(Najd) - 수도 리야드 주변의 아라비아 반도 중심부를 말하며, 오아시스 농경 지역으로 유명하다. 석유 수입의 증대로 인해 많은 인구가 도시로 몰리고 있다. ◦ 룹 알-칼리(Rub'al-Khali) - 오만 및 예멘과 접하고 있는 남부 사막지방으로 면적이 50만㎢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사막 중 하나이며, ‘The Empty Quarter’ 라고도 불린다. ◦ 하사(Hasa) - 오만의 무산담(Musandam) 반도와 샤트 알-아랍만(Shatt Al-Arab, 이란, 이라크 및 쿠웨이트 연결) 사이에 뻗어 있는 해발 200m 이하의 해안지방으로(사우디 내에서는 쿠웨이트와 카타르 사이의 해안지방 의미), 대량의 석유자원이 매장된 지역이다.
  • 12. 6 ◦ 나푸드(Nafud) - 사우디에서 가장 건조한 사막으로 북부(요르단 인접지역)에 위치 하며, 여름기온이 49℃에 달하나 겨울에는 서리가 내릴 정도로 기온이 낮다. 3) 기후와 강우량 ◦ 아열대 고기압 지대의 영향을 받아 남서부지방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불볕더위이며, 강우량이 미미한 전형적인 사막형 기후이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며,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밤낮의 기온차도 심하다. ◦ 기온 - 홍해연안 : 아열대성 기후로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11-12월) 에는 따뜻하며 때때로 비가 내린다. - 중부 및 북부 내륙지방 : 사막성 기후로 기온은 연평균 32-38℃이고 최고기온은 48℃이다. 여름은 건조하고 무더우나 겨울에는 0℃까지 내려간다. 대륙성 기후 영향으로 여름에 해가 지면 서늘하고, 때때로 강한 북동풍이 불어 많은 먼지와 모래바람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 동부 걸프연안 : 열대성 기후로 연중 무더위가 계속되며, 여름에는 때때로 기온이 43℃ 이상까지 올라간다. 4) 민족구성 ◦ 토착민인 아랍인(약 1,870만명) 외에 파키스탄, 인도, 필리핀, 방글라데시 등에서 온 제3국인(약 843만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주요도시 ◦ 리야드(Riyadh) - 인구 약 500만명의 사우디 정치 및 행정수도이다.
  • 13. 7 < 젯다 > < 담맘 코르니쉬 해안지역 > < 리야드 > ◦ 젯다(Jeddah) - 인구 약 350만명의 사우디 최대 상업 항구 도시이다. 홍해에 면해 있으며 리야드보다 개방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매년 약 3백만명의 성지 순례객이 항공 및 선박편을 이용하여 젯다를 통해 입출국하고 있다. ◦ 담맘(Dammam) - 동부해안에 위치한 유전, 군사도시 이자 젯다에 이은 사우디 제2의 무역항이다. - 담맘은 인구 약 80만명의 사우디 동부 최대의 도시로, 주변도시 알-코바르(Al-Khobar), 다흐란 (Dhahran) 등을 포함하는 경우, 인구 약 200만명 규모의 큰 도시 이다. ◦ 타이프(Ta'if) - 사우디의 서남부지역, 해발 1,700m 고도에 위치한 도시이다.
  • 14. 8 < 타이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 > ◦ 메카(Mekkah) - 이슬람의 창시자 모하메드가 태어나고 알라의 계시를 받아 이슬람을 전파하기 시작한 곳으로, 이슬람 최대의 성소인 카바 신전이 위치해 있다. < 메카 > ◦ 메디나(Medina) - 선지자 모하메드가 초기 무슬림들과 함께 메카 지배세력의 박해를 피해 이주한 도시로, 이슬람 제2의 사원인 선지자 모하메드 사원이 위치해 있다. < 메디나 >
  • 15. 9 6) 종교 ◦ 국민의 대부분이 정통 이슬람 교리에 따른 엄격하고 검소한 종교생활을 하고 있으며, 이슬람 수니파(90%)가 대부분이나 동부지역 등을 중심 으로 일부 시아파(10%)도 존재한다. 2. 약 사 가. 약사개요 ◦ 아랍족의 발상지는 중앙아라비아와 북아라비아이며, 기원전 4-5천년 전에 이라크 남부에서 이주하여 사우디아라비아 동부에서 거주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기원전 약 500년경 나바트인(Nabateans)들이 메데인 살레(Madain Saleh, 사우디 타부크(Tabuk) 남쪽 160km지점)를 주요 거점으로 아라비아 반도 북부를 통치하기 시작했다. ◦ 고대로부터 홍해 주변으로 연결된 대상로를 따라 대상인을 상대하는 정착도시가 활성화되었고, 이슬람의 창시자 모하메드가 7세기 아라비아 반도를 통일하면서 사우디의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622년 메카에 거주하던 꾸라이시(Quraysh)家의 모하메드가 알라 (Allah)를 유일신으로 설교하면서 이슬람교를 창시했다. ◦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은 1744년 리야드 인근 디리야(Diriyah)를 근거지로 한 나지드의 지도자 모하메드 빈 사우드(Mohammad bin Saud)와 엄격한 종교생활을 요구한 종교학자 모하메드 빈 압델-와하브 (Mohammad bin Abdel-Wahhab)가 제휴함으로써 시작되었다. - 오늘날까지 사우디 왕가 합법성의 초석이 되고 있는 정통 와하비즘 (Wahabism)을 전개했다. ※ 와하비즘 : 이슬람 4대 학파중 하나인 한발리 학파(Hanbali School)에 기초, 일체의 해석을 배제하고 오로지 쿠란과 순나에 따른 정통 이슬람 사회를 구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창도자의 이름을 따서 와하비즘으로 불린다.
  • 16. 10 - 19세기 초 사우드家의 군대는 성지(聖地)인 메카(1801), 메디나 (1805) 및 헤자즈 지역의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사우드家의 성지 장악은 즉각 오스만 터키 제국의 반발을 초래하였고, 1814년 오스만 정부는 속주인 이집트 군대에게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배로부터 성지를 해방시키라는 권한을 위임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1818년까지 사우디는 아라비아 반도의 영토 대부분을 빼앗기고 수도 디리야도 완전히 파괴되었다. - 19세기 중반 파이잘 빈 투르키(Faisal bin Turki)의 지휘하에 사우드 家의 간헐적인 봉기가 시도되었지만, 오스만 정부가 경쟁자인 하일 (Hail) 지역의 알-라쉬드(Al-Rashid) 부족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좌절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사우드家는 쿠웨이트로 일시적으로 피신 했다. ◦ 압둘아지즈 빈 압둘라흐만 이븐 사우드(Abdul-Aziz bin Abdulrahman Ibn Saud)가 1902년 알-라쉬드家로부터 리야드를 재탈환함으로써 사우디 재건의 기반을 확보하였다. - 1902년과 1906년 : 나지드 지배 강화 - 1913년 : 알-하사(Hasa) 지역으로 오스만 주둔군을 추방함으로써 지배권 확대 - 1917년 : 압둘아지즈, 스스로 나지드의 술탄(Sultan) 선언 - 1926년 : 메카를 지배하고 있던 하심(Hashemite)家의 후세인(Hussein) 왕을 축출한 후 헤자즈 왕국 선포 - 1932년 : 나지드 및 헤자즈를 통합,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선포 ◦ 1953년 압둘아지즈의 사망 이후 그의 아들중 사우드(Saud)가 왕위를 계승하였으나, 통치능력의 부족으로 1964년 11월 폐위되고, 이복형제 파이잘(Faisal bin Abdul-Aziz)이 왕위를 계승하여 사우디 제3대 국왕 으로 취임하였다. - 파이잘은 대내적으로 기본법제정, 지방통치규정제정, 사법기구설립, 경제개발추진, 사회보장제도구축 등을 추구하여 사우디의 근대화를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 17. 11 - 대외적으로는 인접한 아랍 국가들과의 유대를 강화하면서 사우디의 국제적 지위 향상에 공헌하였으며, 특히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하여 1973년 OPEC의 석유금수조치를 주도하였다. ◦ 1975년 3월 파이잘이 조카에게 암살당하자, 이복동생 칼리드(Khalid) 왕자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 1982년 6월 칼리드 국왕이 심장병으로 사망하고 이복동생 파흐드(Fahd) 왕자가 제5대 국왕으로 추대되었다. - 1992년 3월 파흐드 국왕은 사우디의 정부체계, 국정자문회의(Majlis Ash-Shura) 및 지방행정을 포함하여 새로운 규칙을 규정하는 기본법 (Basic Law)제정에 관한 칙령을 공포하였다. ◦ 2005년 8월 1일 파흐드 국왕 서거로 이복동생인 압둘라(Abdullah) 왕세제가 제6대 국왕에 취임하였다. 나. 정치약사 1) 고대 ◦ 모하메드의 탄생 이전 고대 예멘 국가(아라비아 반도 남서부 하드라마트 지방)가 아라비아 반도를 통치하였다. 2) 중세 ◦ 570 경 메카에서 모하메드 탄생 ◦ 622 모하메드, 메카에서 메디나로 천도(히즈라 이슬람력 원년) ◦ 632 모하메드, 메디나에서 사망, 초대 칼리프 아부바크르 취임 ◦ 634 제2대 칼리프 우마르 취임 ◦ 644 우마르 피살, 제3대 칼리프 오스만 취임 ◦ 656 오스만 피살, 제4대 칼리프 알리 취임(무함마드 사촌)
  • 18. 12 ◦ 661 알리 피살, 우마이야 왕조 창건(수도 다마스커스) ◦ 711 이슬람군, 북아프리카 및 인도 서북 정복 ◦ 750 우마이야 왕조 패망, 압바스 왕조 창건(수도 바그다드) ◦ 1099 십자군 전쟁 ◦ 1258 몽고군, 바그다드 공략 ◦ 1325 오스만 터키군, 유럽 진출 ◦ 1453 오스만 터키군, 아라비아 반도 지배 3) 근대 ◦ 1744 모하메드 빈 사우드는 모하메드 빈 압둘-와하브와 제휴, 정통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사회개혁운동을 통해 제1기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기반을 구축 ◦ 1811-1818 모하메드 알리 이집트 총독, 사우디-와하비 세력 진압 ◦ 1843-1865 파이잘 이븐 투르크가 제2기 사우디 왕국의 기반을 구축 하였으나, 1865년 파이잘 사후 내분으로 급격히 세력 약화 ◦ 1890 하일 지역의 라쉬드家(사우드家의 라이벌)가 오스만 터키의 지원 하에 리야드 점령 ◦ 1902 건국의 아버지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리야드 탈환 - 1917년 나지드 술탄 선언 - 1924년 메카 점령 - 1925년 젯다 점령 4) 현대 ◦ 1926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헤자즈 왕국 선포 ◦ 1927 젯다 조약으로 영국의 승인 획득
  • 19. 13 ◦ 1932 나지드 및 헤자즈 통합, 국명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으로 개칭 ◦ 1938 미국 회사에 의해 동부 지역(담맘)에서 석유생산 성공 ◦ 1945 아랍 연맹 및 유엔 가입(원가맹국) ◦ 1953 압둘아지즈 초대 국왕 서거, 사우드 제2대 국왕 즉위 ◦ 1964 사우드 국왕 폐위, 파이잘 제3대 국왕 즉위 ◦ 1973 파이잘 국왕, OPEC 석유 금수조치 주도 ◦ 1975 파이잘 국왕 피살, 칼리드 제4대 국왕 즉위 ◦ 1979 동부 시아파 소요사태 발생 ◦ 1981 걸프협력이사회(GCC) 창설 ◦ 1982 칼리드 국왕 서거, 파흐드 제5대 국왕 즉위(압둘라 왕세제 책봉) ◦ 1987 메카내 이란 성지순례자들의 데모로 순례자 400여명 사망 ◦ 1990 걸프전 발생, 미군 사우디 주둔 ◦ 1992 파흐드 국왕, 왕위 승계권 관련 칙령 발표 형제 승계에서 아들 승계로까지 범위 확대 ◦ 1994 국정자문회의 설치 ◦ 2001.9 9.11 뉴욕 세계무역센터 및 미 국방부 테러사건에 사우디 아라비아인 다수 개입 ◦ 2002.2 압둘라 왕세제, 아랍 평화안 제안 ◦ 2005.2 사우디 최초 지방행정자문회의(지방의회)의원선거 실시 ◦ 2005.8.1 파흐드 국왕 서거, 압둘라 제6대 국왕 즉위 ◦ 2011.9 제2대 지방행정자문회의(지방의회)의원 선거 실시
  • 20. 14 3. 정치제도 가. 권력구조 1) 국왕 ◦ 국왕은 입법ㆍ사법ㆍ행정의 3권을 행사하며, 종교의 수장을 겸직한다. 1992년 이후부터 ‘성스러운 사원 2개의 수호자(Custodian of the Two Holy Mosques)’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 ◦ 국왕이 왕세제직을 임명하거나 박탈할 수 있으며, 왕세제직은 종교 지도자 회의(Ulama)와 왕족으로 구성된 왕실위원회 및 충성위원회 (Allegiance Committee)의 승인으로 확정된다. ◦ 1992년 파흐드 국왕 칙령으로 왕권은 왕의 형제 외에도 직계 아들이 승계할 수 있도록 승계범위가 확대되었다. 2) 내각 ◦ 국왕이 왕실위원회와 각료회의(Council of Minister)를 주재, 국정을 총괄한다.(파이잘 국왕 이래 국왕이 총리직 겸직) ◦ 현재 압둘라 국왕이 총리를 겸임하고, 이복형제인 나이프 왕세제가 부총리 겸 내무부장관에 임명되어 있는 등 유력 왕실인사들이 정부 및 지방행정부 요직을 장악하고 있다. ◦ 내각회의는 총리, 제1ㆍ2부총리 및 22개 부처 장관과 5명의 무임소장관 등 28명으로 구성된다.(부총리가 내무장관 겸직, 2011.11월 현재 제2 부총리는 임명되지 않음) ◦ 국왕이 직접 내각과 군 주요 인사를 임명할 수 있다.
  • 21. 15 3) 국정자문회의(Majlis Ash-Shura) < 국정자문회의 > 가) 설립 : 1992년 국왕 칙령에 의해 Ash-Shura법 제정 및 설립 ※ 1927년 최초로 Ash-Shura법 제정 나) 구성 : 국왕이 임명하는 의장 1명 및 의원 150명으로 구성 - 1996년 60명에서 90명, 2001년 120명, 2005년 150명으로 증원 다) 의원임명관련 ◦ 자격 : 30세 이상의 사우디 국민 ◦ 공무원 겸직 금지 ◦ 임기는 4년으로 새로운 의회가 구성될 때는 신임 의원수가 전체 의원수의 50% 이상이 되어야 함. ◦ 의원들은 전직각료, 공무원, 의사, 기업인, 군인, 학자, 언론인 등 사회 각계 전문가 그룹에서 임명 ◦ 결원 발생시 의원이 추가로 임명, 의원 수는 상시 150명 유지 라) 주요 기능 ◦ 심의ㆍ자문기능 - 경제ㆍ사회개발 정책심의
  • 22. 16 - 법률, 국제법, 조약 등에 관한 심의 및 법의 해석 - 정부 각 부처의 연차보고서 심의 ◦ 법률 제ㆍ개정 - 10명 이상의 의원 발의로 법률 제ㆍ개정 제안 마) 정족수 ◦ 회의 : 의장을 포함한 의원 2/3 이상 참석 ◦ 의결 : 과반수 찬성 바) 의결사항 처리 ◦ 정부 부처에서 자문위원회에 의견 검토 요청 ◦ 각 전문위원회에서의 심의 후 자문위원회 의결 ◦ 의결된 사항은 각료회의로 송부 - 각료회의 동의가 있을 경우, 국왕 승인을 거쳐 효력발생 - 각료회의 동의가 없을 경우, 국왕이 결정 사) 의장 ◦ 의장은 국정자문회의의 모든 활동을 감독하고 동 기구를 대표 ◦ 의장 밑에 부의장 및 사무총장을 둠. 아) 회의 ◦ 매주 2회 정기의회 개최(매주 일, 월요일) ◦ 의원이 발언을 위해서는 서면으로 신청 필요 - 발언시간 : 10분 이내 ※ 국왕은 매년 초 국정자문회의에 참석, 개회 및 시정연설 실시
  • 23. 17 자) 위원회 ◦ 운영위원회 : 국정자문회의 의장, 부의장 및 각 위원회 위원장으로 구성 - 의장이 의사결정권자 - 국정자문회의 및 각 위원회 운영계획 준비 - 국정자문회의 회의 의제 준비 및 회의 결과보고서 작성 관리 등 ◦ 전문위원회 - 5개 이상(현재는 8개)으로 각 전문위원회는 소위원회 구성 가능 - 상임위원회로서 8~13명의 위원으로 구성 ◦ 필요에 따라 임시위원회 구성 ◦ 각 위원회는 주1회 회의 개최 4) 사법부 가) 이슬람법 ◦ 사우디의 법은 이슬람법인 샤리아(sharia)와 규율(regulations)로 구별된다. 이슬람에서는 국왕이 법률을 제정할 수 없고, 다만 알라 (Allah)가 내려준 법을 집행하고 국민의 복지를 위해 필요한 사항을 시행하기 위한 규율을 제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 그러나 샤리아와 규율이 상치될 때에는 샤리아가 우선한다. 규율은 왕국의 최고 집행기관인 국무회의를 거쳐 제정되고 왕령으로 승인 된다. 나) 이슬람법의 분류 ◦ 샤리아는 네 가지 근거, 즉 꾸란(Quran), 순나(Sunna), 이즈마(Izma), 끼야스(Qiyas)에서 비롯되었다. 이중 꾸란(이슬람 경전)이 가장 기초가 되고 중요한 원천이나, 판사가 판결을 할 때 보다 더 필요한
  • 24. 18 지침이 요구되는 경우 순나에서 인용할 수 있다. ◦ 순나는 모하메드의 언행(하디스, Hadith)을 기록한 것으로 하디스는 9세기경 체계적으로 수집되었다. ◦ 이즈마나 끼야스는 꾸란이나 순나보다는 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즈마는 꾸란이나 순나에 의해 직접 해결되지 못한 문제들에 대해 종교학자들이 합의한 사항을 말하며, 끼야스는 앞의 세 가지 근거에 의해서도 명백한 판결이 불가능할 경우, 이에 대한 유추 해석을 의미한다. 다) 사법부 조직 ◦ 샤리아와 규율에 의거하여, 재판하는 3심의 법원이 있고, 사법감독 위원회가 법원을 감독한다. - 대법원 : 수도 리야드에 소재 - 상급재판소 : 13개주 주도에 소재 - 초심원 : 전국 주요도시(시, 군)에 산재 ※ 최고사법감독위원회(Special Judicial Council) : 메카 소재 ․ 위원장 : 국왕 ․ 위원 : 국왕이 임명하는 권위 있는 이슬람 법학자들로 구성 ◦ 한편, 압둘라 국왕은 사회개혁의 일환으로 2007년 10월 이래 대대 적인 사법제도 개혁을 추진중이다.
  • 25. 19 나. 행정각부 국왕 겸 총리 King Abdullah bin Abdulaziz Al Saud 왕세제, 부총리 겸 내무부장관 Prince Naif bin Abdulaziz Al Saud (국왕의 이복동생) 국방부장관 Prince Salman bin Abdulaziz Al Saud (국왕의 이복동생, 왕세제의 동복동생) 외교부장관 Prince Saud Al-Faisal bin Abdulaziz Al Saud (국왕 조카) 지방행정부장관 Prince Mansour bin Mutaib bin Abdulaziz Al Saud (국왕 조카) 이슬람업무담당장관 Sheikh Saleh bin Abdulaziz bin Mohammed Al-Sheikh 교육부장관 Prince Faisal bin Abdullah bin Mohammed Al Saud (국왕사위) 고등교육부장관 Khalid bin Mohammed Al-Angari 법무부장관 Sheikh Muhammad bin Abdul Karim Issa 석유․광물자원부장관 Ali bin Ibrahim Al-Naimi 교통부장관 Jabara bin Eid Al-Suraiseri 통상․산업부장관 Abdullah bin Ahmad Youssef Zainal 사회부장관 Yusuf bin Ahmed 'Uthaymeen 경제․기획부장관 Khalid bin Muhammad Al-Qusaibi 보건부장관 Abdullah bin Abdulaziz Al-Rabiah 문화․공보부장관 Abdul Aziz bin Mohieddin Khoja 노동부장관 Adel Mohammad Fakeih 행정부장관 Muhammad bin Ali Al-Fayez 재무부장관 Ibrahim bin Abdulaziz Al-Assaf 수전력부장관 Abdullah bin Abdulrahman Al-Hussein 농업부장관 Fahd bin Abdulrahman 하지장관 Fuad bin Abdul Salam Al-Farsi 정보기술통신부장관 Muhammad Jamil bin Ahmad Mulla 주택부장관 Shwaish bin Saud Al-Duwaihi Al-Mutairi
  • 26. 20 무임소장관(Minister of State) Chief Cabinet Secretary Prince Abdulaziz bin Fahd bin Abdulaziz Al Saud (前 국왕 아들) Political Affairs(정무담당) Muttalib bin Abdullah Al-Nafisah Shura Affairs(의회담당) Saud bin Saeed Al-Met'hami Cabinet Affairs(각의담당) Abdulaziz bin Abdullah Al-Khuwaiter Foreign Affairs(외교담당) Nizan bin Obeid Madani Member of Cabinet Miteb bin Abdullah bin Abdulaziz 다. 지방제도 ◦ 지방행정조직 : 사우디는 13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지사는 왕실 에서 임명한 왕자가 맡고 있다. 각 주는 내무부장관이 임명하는 정원 30명의 주 자문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 지방행정자문회의(Municipality Council, 우리의 지방의회에 해당) - 전체 의석(1,184석)중 1/2에 해당하는 592석에 대해 2005년 2월 부터 3단계에 걸쳐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한다. - 2005.12월 선출직 의원 592명과 임명직 의원 592명으로 구성된 178개의 지방행정자문회의를 구성하였다. - 상기 지방행정자문회의 선거는 現 압둘라 국왕이 추진중인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사우디 역사상 실시된 최초의 주민직접선거이다. 2011.9 월말 제2대 지방행정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 27. 21 4. 정치정세 가. 국내정치정세 1) 개 요 ◦ 2005년 8월 왕위를 계승한 압둘라 국왕은 취임 후 왕실 계파간 화해 및 점진적인 정치ㆍ경제개혁 정책 추진, 왕실 후계구도의 신중한 접근, 미국 등 서방, 아시아 및 아랍ㆍ이슬람 국가와의 관계강화 등을 통한 국정운영으로 안정적인 통치기반을 구축하였다. - 現 알 사우드 왕가의 장기집권, 반미정서, 높은 실업률(특히, 청년층) 및 빈부격차 등에 기인한 반정부 및 이슬람 강경세력의 저항으로 치안이 불안정한 측면이 있으나, 아직은 압둘라 국왕의 통치권에 근본적인 위협세력으로 거론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 중장기적으로 압둘라 국왕하의 사우디아라비아 왕정이 안정적인 통치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①왕실 지도부의 후계구도를 둘러싼 내분 가능성, ②알-사우드 왕가의 80년간에 걸친 장기집권에 기인한 반정부 세력의 민주화 및 경제개혁 요구와 이슬람 강경세력의 테러활동 지속, ③높은 실업률 및 빈부격차 등의 난제들이 향후 정국 안정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잘 다스려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주요 정책 동향 가) 왕실 화합 도모 및 후계 구도 안정화 ◦ 파흐드 前 국왕 사후 이복동생인 압둘라 왕세제가 왕위를 계승하고, 파흐드 국왕의 동복인 수다이리 7형제(Sudayri Seven)중 권력핵심부에 있는 연장자 서열에 따라 2011.10월 나이프 내무장관이 왕세제 겸 부총리에 임명됨으로써 압둘라 국왕 및 수다이리 형제간 화합을 통해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
  • 28. 22 ※ 수다이리 7형제 : 사우디 왕가의 건립자 압둘아지즈 국왕이 총애한 부인 하싸 빈트 아흐메드 알-수다이리(Hassa bint Ahmed Al-Sudayri)가 낳은 자식들 ◦ 압둘라 국왕은 2011.10월 술탄 왕세제 서거 이후, 제2부총리 겸 내무장관에 있던 나이프 왕자를 왕세제 겸 제1부총리로 임명하고, 리야드 주지사였던 쌀만 왕자를 국방장관에 임명했다. - 국왕 또는 왕세제 서거시 제2부총리가 왕세제 겸 제1부총리로 임명되기 위해서는 왕실위원회 및 충성위원회의의 동의가 필요 하며, 나이프 제2부총리가 왕세제 겸 제1부총리로 임명된 이후 2011.11월 현재 제2부총리는 임명되지 않고 있다. ≪ 왕실 가계도 ≫ 압둘아지즈 이브 사우디 초대국왕 라시드 가문 결혼 결혼 수다이리 가문 압둘라 국왕 고 파드 국왕 고 술탄 왕세제 나이프 내무장관 왕세제 쌀만 국방장관 나) 대국민 화합 도모 및 점진적 정치ㆍ경제개혁 추진 ◦ 압둘라 국왕은 왕실 및 보수세력과의 화합을 통한 안정적인 통치기반
  • 29. 23 확립을 위해 보수 및 개혁을 병행한 완만하고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 하고 있다. - 언론ㆍ방송 등 대중매체를 통하여 직접 국민에게 다가가는 홍보 정책을 통해 과거 어느 국왕보다 국민들에게 더 친근감 있는 국왕 으로 부각되었다. - National Dialogue 개최 등을 통해 국민들의 여론을 지속적으로 수렴하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압둘라 국왕 집권 이후 정치ㆍ경제개혁에 있어 제한적이나마 일부 진전을 이루었다. - 2005년 실시된 지방행정자문회의 선거에서 사우디 역사상 최초로 주민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된 선출직 의원(592명)과 임명직 의원 (592명)으로 2005년 12월 지방행정자문회의를 구성하였고, 2011.9월에는 제2대 지방행정자문회의 의원선거를 성공적으로 실시하였다. - 사상 최초로 리야드 상공회의소 이사회 여성 임원 2명, 교육부 여성교육 담당 차관 등 여성을 공직에 기용했으며, 2011.9월 차기 국정자문회의와 지방행정자문회의 선거시 여성의 참정권을 승인 하였다. - 경제개혁과 관련, 비석유부문 및 민간부문 추가 개방 등의 조치를 통한 외자유치 및 고용증대를 노력하고 있다. - ‘King Abdullah 경제도시’ 건설 등 다수의 신도시 건설, 다수의 지방 국립대학 신설, 서민층을 위한 복지정책 확대 추진 등의 정책을 펼치고 있다. ◦ 압둘라 국왕은 왕실내 다수인사 및 사우디 전 인구의 70% 이상이 정통 이슬람(Wahabism)을 신봉하는 보수층임을 고려, 완만하고 점진적인 정치, 경제, 교육개혁 추진을 통해 안정적인 국정을 운영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 30. 24 < King Abdullah 경제도시건설 > 다) 알-카에다 등 이슬람 과격세력의 테러리즘 척결 ◦ 압둘라 국왕은 즉위 이후 사우디내 테러세력 척결을 최우선시하고 미국 등 서방과의 공조 하에 강력한 테러 소탕작전을 전개하였다. - 2005.1월 내무부 청사 테러사건 이후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2006년 들어 리야드 테러 총격사건(5월), Abqaiq 유전시설 공격 사건(2월)이 발생하고, 2009.8월에는 사우디 대테러업무 책임자인 모하메드 빈 나이프(Mohammed bin Naif) 내무차관보 암살 시도, 2011.8월 나이프 제2부총리 겸 내무장관 궁 인근초소에서 총격전이 발생 하는 등 간헐적인 테러활동이 지속되고 있다. - 2006.5월부터 관타나모에 수용된 사우디 수감자들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사우디내 교도소로 이송하고 있다. ◦ 국민 저변에 확산되어 있는 반미 및 반서방 정서, 알-사우드 왕가의 장기집권 및 부패, 빈부격차 및 고실업 등에 사우디내 테러가 기인 하고 있는데다, 이라크에서 활동해온 사우디 과격분자들의 귀환 등을 감안할 때 테러 완전척결에는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나, 2010.4월 사우디 고위성직자 위원회는 자선단체들의 테러행위 관련 자금지원 행위가 불법임을 발표하는 등 테러척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라) 실업 및 빈부격차 해소 노력 ◦ 압둘라 국왕은 즉위 이후 부패척결, 정의실현 및 국민 복리증진을
  • 31. 25 민생을 위한 최우선 정책으로 채택하여, 부의 공정한 배분을 통한 빈부격차 해소에 주력하고, 왕족들의 부패단절을 각 기관에 지시하는 등의 부패척결을 추진하고 있다. ◦ 사우디의 실질 실업률은 15% 내외로 추정되고, 매년 수십만명의 청년들이 노동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 청년실업 해소문제가 경제분야의 시한폭탄으로 간주되고 있다. - 사우디 정부는 실업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자국인화 정책을 추진, 75%의 산업인력을 자국인화 한다는 목표하에 자국인 고용 의무 비율을 상향조정하고 외국인 채용제한 업종을 늘려나가고 있다. - 청년들의 직업훈련을 강화하고 노동시장의 수요를 반영한 교과 과정 개편을 위해 교육개혁도 추진 중이다. - 또한, 사우디 정부는 수만명의 대학 졸업자들을 해외 국비유학생 (King Abdullah Scholarship Program)으로 파견하기로 결정, 우리 나라에도 현재 약 200여명의 사우디 국비유학생이 수학 중이다. 마) "아랍의 봄" 관련, 대국민 민심수습책 추진 ◦ 2011년 2월, 역내 국가들의 민중봉기가 사우디내 미칠 영향을 사전 차단하기위해 압둘라 국왕이 약 3개월에 걸친 외국에서의 치료와 휴양을 중단하고 귀국, 약 360억불 규모의 대국민 경제 지원책과 사법 개혁안을 발표하여, 사우디의 취약요소인 청년실업, 일반 서민 들의 거주환경 문제 등의 개선을 중점적으로 지원하였다. ◦ 3월에는 20개의 국왕칙령을 통해 약 1,330억불 규모의 예산이 소요 되는 각종 복지정책을 발표하였는데 ①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국립 반부패기구 설립, ②신규 일자리 창출 등 실업자 지원 정책, ③공무원과 군인에 대한 복지 확대, ④의료서비스 및 주택건설 확장, ⑤종교계 지원 강화 등을 요지로 하였다.
  • 32. 26 나. 대외정책 1) 외교정책 기조 ◦ 사우디는 전통적 외교정책 기조인 주권존중, 독립, 내정 불간섭 원칙에 입각하여 ①모든 국가들과 선린 우호관계 유지, ②양자, 지역간 상호 협력 증진, ③적대행위 금지, ④지역 및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계승하고 있다. ◦ 압둘라 국왕의 방미(‘05.4월, 왕세제 당시) 등을 통해 다져진 미국과의 견고한 대테러 공조 하에 알-카에다 세력 소탕 및 주변 아랍제국과의 안보협력, 유가안정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이슬람 성지 소재 및 오일머니를 내세워 국제 및 지역기구에서 아랍 및 이슬람 세력을 대변하고 이들 국가들에 대한 정치, 경제적 지원 강화를 통해 사우디의 국제적 비중 및 위상을 제고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 아랍 및 이슬람 세계의 주도국 역할을 자처하고 최근 이들 국가의 지지를 받아 다수의 국제기구 이사국 진출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2) 주요 외교사안별 입장 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일관적인 팔레스타인 입장 지지) ◦ 2002년 압둘라 국왕(당시 왕세제)은 아랍평화안(Arab Peace Initiative)을 제안하고, 아랍 국가들의 지지를 확보했다. - 유엔 안보리 결의 242 및 338에 근거한 이-팔 분쟁 해결을 지지 하며, ‘land for peace’ 원칙에 입각, 1967년 이후 점령한 모든 아랍 점령지에서의 이스라엘 철수를 주장했다. - 궁극적으로 예루살렘을 수도로 한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를 창설 하는데 지지를 표명한 것이다. ◦ 2007년 아랍연맹 정상회의에서 압둘라 국왕의 아랍평화안 재추진을 결의하고, 이스라엘에게 이-팔 평화를 위한 노력을 촉구했다.
  • 33. 27 ◦ 2009.1월 쿠웨이트 아랍경제정상회의에서 가자지구 재건에 10억불 기증 계획 발표, 아랍 국가간 화합과 단합을 촉구했다. 나) 테러문제 ◦ 테러리스트의 활동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받아온 사우디는 2005년 2월 리야드에서 테러척결을 위한 ‘대테러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등 국제공조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 동 테러국제회의에서 참가국들은 리야드 선언을 채택하고 압둘라 왕세제가 제안한 ‘대테러 국제센터’ 설립을 결의했다. ◦ 제2차 이라크전 직후(2003-5) 테러사건이 빈발하였으나, 강력한 테러 소탕작전으로 조직이 와해되고 핵심요원은 해외로 도피한 상태 이다. 2007년 이후 대규모 테러사건은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예멘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테러 침투를 시도하고 있다. - 2009.8월 : 대테러 담당 내무차관 대상 테러 시도 - 2010.11월 : 약 140여명의 테러혐의자 검거 발표 ◦ 특히 사우디는 이슬람 과격세력의 자금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테러 자금봉쇄를 위해 미국 등 선진국과 협조하고 있다. 다) 역내 민중봉기로 인한 정세 불안 문제 ◦ 사우디 정부는 역내 민중봉기 초기부터 벤알리 前 튀니지 대통령 망명접수, 이집트 국민들의 선택 존중 발표, 바레인 정세 불안 발생시 반도방위군 파병 주도, 요르단과 모로코의 GCC 가입 추진, 시리아 사태관련 국왕명의 성명 발표, 예멘사태관련 GCC 중재안 제안 및 부상당한 살레 대통령에 대한 치료 제공, 2011.11월 살레 대통령의 GCC 중재안 서명식 주관 등 역내 정세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해왔다. ◦ 사우디 정부는 역내 민중봉기가 사우디내 불만세력을 자극하지 않도록 민심을 수습하면서, 역내 국가에 대한 인도적 차원의 지원에 주력하여 대외적으로 이슬람 종주국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34. 28 3) 주요 국가와의 관계 가) 대미 관계 ◦ 9.11테러 이후 외국 언론을 중심으로 양국 관계 악화가 우려되었으나, 미국이 요구하는 대테러 협력에 사우디가 비교적 잘 응해왔으며, 특히 이라크 전쟁시에 사우디가 전적으로 협력함으로써 양국 지도부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다만 국민들의 반미 감정이 문제) - 2003년 5월 리야드 테러 사건으로 알-카에다 등 테러 단체들의 표적이 사우디 정부로 전환됨으로써 사우디 정부는 대테러 관련 미국과 대응 공조 및 양국관계 강화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복원 하였다. - 2005년 4월 압둘라 국왕이 왕세제 당시 방미, 부시 대통령과 양국간 새로운 협력시대를 열기 위한 회의체로 ‘사우디-미국 전략 대화’ 창설에 합의, 제1차 회의를 2005년 11월 젯다에서 개최하고, 제2차 회의를 2006년 5월 워싱턴에서 각각 개최하였다. ◦ 오바마 대통령의 대중동 정책 및 사우디의 역할 배려를 평가(‘09.6월 오바마 대통령 방문, ’10.6월 압둘라 국왕 방미) ◦ 2010년 9월 사우디가 미국산 첨단 무기(약 600억불)를 구매하여 양국간 전략적 협력관계 강화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했다. 나) 유럽 및 러시아와의 관계 ◦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국가와 긴밀한 군사 및 경제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테러리즘 공조 등 협력을 강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 2003년 9월 압둘라 왕세제가 러시아를 방문하였고, 동 방문은 사우디 로서는 1936년 이래 최초인 역사적인 방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이데올로기 차이, 사우디의 구소련 당시 아프간 반군지원, 체첸 반군지원 등으로 소원해진 양국관계가 개선되는 계기가 되었다. ◦ 헝가리와는 2005년 2월 헝가리 총리가 사우디 축구선수단을 테러범
  • 35. 29 들로 묘사한 것에 항의, 헝가리 주재 자국대사를 소환하였으나, 헝가리가 공식 사과함에 따라 정상화되었다. 다) 아시아와의 관계 ◦ 이른바 동진정책(‘Look East’ Policy)을 추구하여 한국, 일본,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주요 국가들과 경제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다. - 2006.1-2월 압둘라 국왕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및 파키스탄 방문 - 2006.4월 술탄 왕세제 일본 및 싱가포르 방문 - 2006.4월 후진타오 중국 주석 사우디 방문 - 2007.3월 노무현 前 대통령 사우디 방문 - 2010.2월 싱(Singh) 인도총리 사우디 방문 라) 주변국들과의 관계 ◦ 이슬람, 아랍 국가들과 전통적인 우호협력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57개 이슬람국가들의 회의공동체인 이슬람협력기구(OIC) 본부가 사우디 젯다에 소재 ◦ 특히 팔레스타인 등 중동 문제에 있어 국제사회에서의 이익 대변을 통해 이슬람의 종주국으로서의 비중과 위상을 견지하고 있다. ■ GCC 국가들과의 관계 ◦ 걸프협력이사회(GCC) 최대 회원국으로서 안보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한편 최근에는 경제 분야 협력을 주도하고 있다. - 카타르와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2008년 국경협정서명, 공동위 설치 등을 통해 관계가 개선되고 있다. - 최근 GCC 단일통화와 GCC 중앙은행청사 유치문제로 UAE(아부 다비)와의 관계가 다소 소원해졌다. ■ 이라크 ◦ 이라크의 불안정한 사태로 인해 사우디 정세가 영향을 받을 것을
  • 36. 30 우려하고 있으며, 특히 이라크내 대미 항전세력에 사우디인들이 참여하고 있는데 대해 이들이 향후 사우디 안정에 위협요소가 될 것임을 경계하고 있다. ◦ 사우디는 이라크내 시아파 회교도의 영향력 증대가 자국 및 GCC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2010년 총선시 수니파와 연합한 알라위(Allawi) 이라크 前 총리의 이라키야 (Iraqiya)의 정부 구성권을 지지하였다. ■ 이란 ◦ 이란 핵개발이 자국 및 GCC 역내 안보를 크게 위협한다는 인식하에 중동의 비핵화를 지지하고, 이란 핵문제 관련 이란의 국제법 준수와 대화에 의한 평화적 해결방안을 강구하도록 촉구한다. ◦ 외교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P5+1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환영 하는 입장이다. ◦ 2011.10월 발생한 주미 사우디 대사 암살기도관련, 유엔총회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사우디 동부지역 소요사태 배후로 이란을 비난하고 있다. ■ 예멘 ◦ 걸프전 당시 예멘의 이라크 지지 및 국경분쟁 등으로 사우디와의 관계에서 경색을 초래하였으나, 2000년 6월 신 국경협정이 체결 되면서 정치적 화해가 조성되고 재정원조 및 인적교류를 재개하였다. ◦ 술탄 前 왕세제의 2006년 6월 예멘 방문을 계기로 나이프 前 내무 장관 및 예멘 알-올라이미(Al-Olaimi) 내무장관 간에 양국 국경지도 (1,845Km) 확정에 최종서명, 국경분쟁을 종결하였다. ◦ 예멘 정부의 치안능력 약화는 사우디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알- 카에다 세력, 후티(Houthi) 반군세력)을 주는 것으로 간주하고 정국 안정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2009.11-2010.1월간 후티 반군의 사우디 침투와 관련한 작전으로 사우디군 113명 사망) - 예멘 정세불안사태 발생이후, 정세안정을 위해 GCC 중재안 제안에 합의하고, 테러로 부상당한 살레 대통령에 대한 치료 서비스를
  • 37. 31 제공하였으며, 2011.11월에는 살레 대통령의 GCC 중재안 서명식을 주관하였다. ■ 시리아와 레바논과의 관계 ◦ 레바논 하리리 총리의 피살 배후 문제로 관계가 악화되었으나, 2010년 양국 정상의 교환 방문 등을 통해 관계 개선 등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 시리아와의 협력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시리아-이란 협력관계를 약화 시켜 레바논 히즈볼라와 팔레스타인 하마스에 대한 이란의 원조 차단을 시도하고, 레바논 정국안정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사우디 압둘라 국왕은 2011.8월 초 시리아 정부의 무자비한 민간인 진압으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행위를 종교적 도덕적 가치에 위배 된다고 비난하고, 시리아 정부의 전반적인 개혁을 촉구하면서 주시리아 사우디 대사를 소환함으로써 시리아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대외적 으로 천명하였고, 아랍연맹을 통한 시리아에 대한 압박 강화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5. 경제현황 가.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의 특징 ◦ 세계 최대의 석유 부존 및 수출국으로, 석유부문이 정부 세입액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석유 의존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다. - 2010년 말 현재 원유 생산능력은 일일 1,250만 배럴이며, 실제 생산 량은 일일 830만 배럴이다. - 석유부문이 사우디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당초 1970년대 GDP의 80%, 정부세입의 85% 수준에서 비석유부문에 대한 육성 및 투자를 확대한 결과 현재 GDP의 40%, 정부 세입의 80% 수준으로 감소 추세이다.
  • 38. 32 ◦ 고유가에 기인한 막대한 재정수입의 상당부분을 사회 인프라 및 석유 화학, 전력, 담수시설, ICT 등 기간산업 분야에 투자하고, 제조업의 활성화를 통해 비석유부문 비중을 점차 늘려 나가는 산업 다변화 정책 (Diversification)을 추진 중이다. - 2020년까지 석유화학, ICT, 천연가스 개발, 농업, 교육, 관광 등에 5,600억불, 2024년까지 전력사업 900억불, 담수산업 463억불을 투자할 계획이다. ◦ 외국인 기업에 대한 스폰서 제도, 자국인화 정책, 불공평한 조세제도 및 불공정 관행 등은 외국인의 투자유치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외국인은 사우디 스폰서를 통해 스폰서 명의로 영업 가능하다. - 또한 일정수준 이상의 사우디인 채용을 의무화하고 있어 생산성면 에서 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한다. 나. 최근 경제정세 ◦ 사우디 경제는 2008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경제위기 그리고 중동 지역의 정세불안정에도 불구하고, 2010년에 이어 2011년에도 계속 증액 예산을 편성하는 등 비교적 양호한 경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 특히 산업구조상 세계 최대의 석유 부존 및 석유 수출국으로서 석유 의존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2005년부터 고유가에 기인한 막대한 재정수입을 바탕으로 산업 다변화 정책 추진을 통해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 석유부문이 정부 세입의 80%, GDP의 40% 및 수출액의 90%를 차지 한다. - 현재 원유세입 재원의 상당부분을 원유 및 가스개발 외에 석유화학, 전력, 담수화, 교통(철도), 교육, 복지 등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 2010년 경제실적으로는 적자예산 편성 등 경기부양 노력 및 국제유가 상승에 기인하여, GDP가 2009년 대비 4.1% 성장한 4,478억불로 집계 된다.
  • 39. 33 - 이는 국제고유가(‘03-‘08)기간중 GDP 성장률 4.9% 대비 다소 감소한 실적이나, 당초 성장목표 3.2%를 상회한 것으로 평가된다. - 2010년도 수출입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증가하였는바, ‘10년 수출은 2,511억불(‘09: 1,923억불), 수입은 974억불(‘09: 871억불)로서 무역수지 흑자도 ‘09년 1,052억불에 비해 46% 증가한 1,537억불을 기록했다. - 아울러, 물가상승률도 5.4%로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 한편, 2010년 주재국 정부가 민간부문과 체결한 프로젝트는 총 2,460건, 약 487억불 규모로 2009년 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집계 되어 정부부문의 투자가 경제성장으로 연결된 것으로 평가된다. ◦ 사우디 정부는 2011년도에도 기존의 석유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고 보다 다변화된 산업구조로의 목표 달성을 위해 사회간접자본 확충, 인력자원 개발 및 보건ㆍ복지수준 향상 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익 사업에 정부지출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 2010년도 재정수입은 1,960억불, 재정지출은 1,671억불이다. ◦ 특히 사우디의 주요 재정 수입원인 원유가격의 상승에 힘입어 사우디 정부는 경제개발의 지속적 추진과 투자환경개선 등을 주요정책 기조로 삼고 2010년에 이어 2011년에도 계속 3년간 적자예산을 편성, 집행 중이다. - 분야별로는 2010년 대비 보건ㆍ사회분야 13%, 교육예산 8%를 추가로 증액하였고, 특히 교육부문이 세출예산 총액의 25% 이상을 차지한다.(31%인 국방분야에 이어 2위) ◦ 한편 주재국 압둘라 국왕은 2011년 3.18 국왕칙령을 발표하여 SR 5,000억(약 1,335억불) 규모의 민심수습용 복지대책을 발표하였다. - 칙령의 주요 내용(총 18개 항)은 △공무원 및 군인들에 대한 보너스 지급(2개월 분 월급), △정부 장학생들에 대한 장학금 추가지급, △실업 수당 지급(SAR 2,000/월), △신규 주택 50만호 건설(SAR 2,500억 배정), △주택융자한도 상향(SAR 30만→50만), △공무원 최저임금 상향 조정(SAR 3,000/월), △병원시설 확충 및 신규 건설
  • 40. 34 (SAR 160억), △치안분야 6만개 일자리 창출 등의 민생안정 정책 이다. - 상기 조치들은 리비아, 예멘, 바레인 등 주변 지역 정세 급변에 위기 감을 느낀 사우디 왕실이 민심을 조기에 수습하기 위한 국내 정치적 이유가 저변에 있으나, 사우디의 만성적인 사회 문제인 △인구 증가에 따른 주택 부족 해소,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실업자 구제, △저소득층에 대한 배려를 통한 사회 불안 해소 등 경제ㆍ 사회적인 이유도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사우디 정부는 2010년 8월 총 재정 지출액 1조 4,446억 사우디 리얄 (약 3,852불)규모의 ‘제9차 5개년(2010-14년)개발 계획’을 승인하였다. - 주요 목표는 지속 가능한 성장 달성, 공공서비스(전기, 수도, 의료 등)개선 및 주택건설, 경제구조 다변화 및 지식기반 경제로의 전환 등이다. - 특히 인적자원 개발부문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동 분야에 총 재정 지출의 50.6%를 배정했다(보건분야는 19%로 제2순위). ※ 제9차 5개년 추진 목표 ․ GDP 규모 : 2,936.5억불(11,012억리얄)달성 ․ 경제성장률 : 매년 5.2% ․ 투자 : 매년 10.4% 성장 ․ 실업률 : 9.6%에서 5.5%까지 하락 ․ 석유재정수입 : 2.83% 증가 ․ 전략투자분야 : 주요 4개 지역 가스 생산 프로젝트, 사우디 ARAMCO의 원유 생산능력 및 오일 정제시설 확장 및 기타 석유 화학, 철도, 광산, IT 및 통신, 전력 및 담수화 하수 처리 시설 등
  • 41. 35 6. 국방관계 가. 군사조직 ◦ 사우디아라비아의 군사 편제는 국방 · 항공부 산하의 정규군(육/해/공/ 방공군)과 국가 방위군(National Guard) 및 내무부 산하의 경찰 특수 부대 및 국경/해안수비대로 각각 구분된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국가발전과정에서 정규군 외 각 지방 부족 출신으로 구성된 국가방위군(Ikhwan의 후신)을 창설, 발전시켜 왔다. 현재 정규군은 제3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을, 국가방위군은 국왕 친위군대로 대내외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을 주 임무로 하고 있다. ◦ 살만 前 리야드 주지사가 2011.10월 국방장관에 임명되었고, 군부의 실권 및 대부분의 요직은 왕족이 차지하고 있다. - 국가방위군은 1962년 이래 압둘라 국왕이 총사령관직을 겸임하였 으나 2010년 11월 미텝(Miteb) 왕자를 사령관(장관급)에 임명하였다. ◦ 정규군은 육군, 해군, 공군, 방공군을 단일 지휘체계화한 통합군 형태로 편성, 운용하고 있으며 총참모장(합참의장)이 각 군 사령관을 지휘한다. 나. 병역제도 ◦ 병역제도 : 지원병 제도(18세 이상 남성) ◦ 사우디 기본법 제34조는 이슬람 신앙, 두 성지 및 사회 및 국가방위를 위한 국민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나 징병제는 실시하지 않고 있다. 다. 병력 및 장비 1) 정규군 : 124,500명(추정치) 가) 지상군(육군) : 75,000명
  • 42. 36 ◦ 3개 기갑여단, 5개 기계화 보병여단, 1개 공정여단, 1개 포병여단 등으로 구성된다. - 타부크(Tabuk, 요르단 접경), 카미스 무샤이(Khamis Mushay, 예멘 접경), 하프르 알-바틴(Hafr Al-Batin, 이라크 접경) 등이 주요 군사 도시이다. 나) 해군 : 13,500명 ◦ 서부(홍해) 함대, 동부(걸프) 함대 운영 - 4,000톤급 프리기트 함, 2,000톤급 프리기트 함, 1,000톤급 코르 벳함 등 전투함 및 기타 고속정, 소해정 등 보유 다) 공군 : 20,000명 ◦ Tornado, F-15 등 주력 전투기 보유 ◦ AWACS 조기경보기 보유 라) 방공군 : 약 16,000명 2) 국가 방위군 : 약 100,000명(3개 기계화 보병여단, 6개 차량화 보병여단 등으로 구성) ◦ 리야드, 담맘, 젯다 등 주요 도시에 지역사령부 소재 3) 기타 준 군사 조직 : 약 50,000명 ◦ 국경/해안수비대 : 30,000명 ◦ 경찰 특수부대: 10,000명 ◦ 석유시설 방호부대 : 10,000명 라. 국방예산(2011년) : 약 510억불(추정)로 국가 예산의 약 31%차지
  • 43. 37 마. 국방정책 ◦ 이슬람 신앙, 두 성지, 사회 및 국토방위를 위한 국방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 사우디 기본법 제33조는 이슬람 신앙, 두 성지, 사회 및 국토방위를 위한 군사력을 구축, 유지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 걸프협력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 GCC) 회원국간 집단 안보 체제 구축에 기여한다. - 1981년 이란-이라크전 발발 및 이란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여 GCC 국가들 간 집단안보 체제를 구축했다. 바. 군사협력관계 ◦ 사우디는 비동맹 중립노선을 표방하여 외국과 군사동맹을 맺거나 외국군 기지의 설치를 허용치 않고 있다. 그러나 국가발전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왔으며, 군사부문에서도 미국의 도움에 힘입은 바가 크다. 특히 이란으로부터의 잠재적인 위협 및 석유 수송로 안전 확보 등을 위해 미국과 긴밀한 군사적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이 관계를 자체 국방력 강화와 함께 안보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 - 1991년 걸프전(Operation Desert Shield) 이후 미군이 주둔, 대이라크 감시작전(Operation Southern Watch)을 수행함에 따라 국내는 물론 이슬람권내 불만에 봉착(9.11 테러사건 기도 배경의 하나로 거론) 하여, 미국은 2003년 8월 카타르로 공군기지를 이전하였다. ◦ 국방력 강화를 위해 육·해·공 전반에 걸쳐 미국 등 서방 선진국과의 긴밀한 군사기술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무기 및 군 장비를 주로 이들 나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 도입 장비에 대한 운영기술, 보급지원 및 훈련을 위해 미, 영, 프 군사 고문단이 상주하고 있다.
  • 44. 38 사. 기타 1) 국방력 증강 계획 ◦ 2005년 술탄 前 국방장관은 군 교육훈련의 질적 향상과 최첨단 장비 도입 등 획기적인 국방력 증강 의지를 천명하였으며, 지원병제도에 따르는 병력충원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2020년까지 정규군을 20만명 수준으로 증편하는 중장기 계획 추진 방침을 밝혔다. ◦ 2011.11월 리야드 주지사인 쌀만(Salman) 왕자가 국방장관으로 임명 되어 대대적인 국방개혁과 군 현대화 작업 추진을 위해 군부대를 직접 시찰하고 있다. 2) 장비 도입의 다양화 ◦ 사우디는 현재까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 선진국으로부터 대규모의 첨단무기를 도입하여 운용해옴에 따라 이들 서방국가에 대한 무기체계 종속이 심화되었으며, 2010년초 술탄 前 국방장관은 자국의 무기생산 능력 배양 필요성을 제기하여 기술이전, 합작생산을 강조하였다. 3) 전투 경험 ◦ 1990-91년 걸프전쟁시 연합군과 함께 쿠웨이트 침공 이라크군의 축출에 참여하였다. ◦ 최근에는 2009.11월-2010.1월간 사우디 육, 공군이 예멘 반군과의 전투로 113명이 사망하였다.
  • 45. 39 7. 사회ᆞ문화 가. 인 구 ◦ 2010년 인구센서스 결과 인구는 약 2,713만명(외국인 843만)이나, 매년 2.5%에 육박하는 급속한 인구 증가율로 2020년에는 약 3,3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약 650만명에 달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줄여 나가기 위해 자국인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사우디인에 비해 생산력이 높고 저임금인 외국인 노동자를 선호하는 사우디 고용주의 성향으로 자국인화 진척이 더딘 상태이다. 나. 교 육 1) 개관 ◦ 전통적으로 꾸란의 교리에 기초한 이슬람교육은 종교의무로 간주된다. - 이슬람 사원을 중심으로 이슬람 교육만이 실시되어 오다 1920년 부터는 소수의 사립교육기관이 설립되어 소년들에게만 한정된 교육을 실시하게 되었다. ◦ 1953년에 최초로 교육부가 설치되었으며, 이 시기를 전후 학교설립, 교사신축 등 근대적인 교육제도 기본골격을 정비하게 되었다. ◦ 1957년에 리야드에 최초의 대학이 설립되었으며 이후 다수의 종합 대학교를 비롯한 상당수 초급 및 단과대학이 신설되어 현대적인 교육 제도를 마련했다. ◦ 1990년대 자국인화 정책 일환으로 대학에 전문기술 교육을 확대시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 46. 40 2) 교육 행정 ◦ 사우디는 이슬람 율법에 의거, 남녀를 구분하고 있는 종교 사회체제상 교육주관부서가 교육부, 고등교육부(Ministry of Higher Education), 기술교육직업훈련공사(Technical and Vocational Training Corporation)로 3원화되어 복잡하게 운영되고 있다. - 교육부(‘53년 설립) : 초중고, 사범학교, 성인교육 - 고등교육부(‘75년 설립) : 대학교 이상 교육 (24개 종합대학교와 부속 82개 단과대학) - 기술교육직업훈련공사(‘80년 설립) : 직업교육, 실업 전문학교, 중ㆍ 고등 기술학교 3) 학제 및 교육특징 ◦ 초등6년, 중등3년, 고등3년, 대학4년의 학제를 운영하고 있다. ◦ 전 교육 과정은 무상이나 의무교육제도가 아니어서 강제성은 없다. ◦ 전 교육 과정에 이슬람(꾸란) 교리 등 종교교육을 실시한다. ◦ 여성교육은 유치원에서부터 분리된다(학교건물 또는 남녀 학교로 분리). ◦ 음악 및 무용 등 이슬람 정서에 맞지 않는 분야는 교육에서 제외된다. 4) 대학교육 ◦ 1957년에 리야드대학교(1982년 King Saud 대학교로 개칭)가 최초로 설립된 이후, 수많은 국립대학과 단과대학들이 설립되었다. ◦ 종합대학교는 여성교육을 위해 남학생 캠퍼스와 분리되어있는 여학생 캠퍼스를 운영한다. ◦ 대학은 주로 무료이며 기숙사 생활, 국립대학은 1,000리얄의 학비 보조금을 지급한다.
  • 47. 41 ◦ 압둘라 국왕 즉위 이후 국립대학을 대폭 확장, 2010년 현재 약 20여 개의 국립대학과 40여개의 단과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 리야드대학교(현 King Saud 대학교) > 5) 최근 교육정책 ◦ 모든 교육은 꾸란의 교리와 이슬람의 가치기준에 따라 이슬람교도적인 인격형성에 우선 목표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전 교육과정 중 꾸란의 숙독과 교리의 이해는 필수이다. - 9.11 테러 이후 종교 중심의 교육체제를 개편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나 종교, 보수세력의 반대에 직면해있다. ◦ 사우디 정부는 인적자원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2011년 정부 예산의 경우 예산의 25%를 교육부문에 배정했다. ◦ 대부분의 고급인력과 기술 인력을 해외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사우디는 이른바 사우디 교육발전을 통해 인력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자국인화 실현을 위해 직업교육 확대 및 기술인력 확보에 정책적인 노력을 기울 이고 있다. 또한, 여성의 사회참여 제고를 위해 여성교육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여성의 대학교육(교사, 의사, 약사, 간호사 등 전문분야) 참여가 매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 언 론 ◦ 사우디에는 국영 라디오와 TV방송이 있으며 TV방송은 Channel 1TV(아랍어), Channel 2TV(영어, 일부 불어 뉴스)를 포함한 7개의
  • 48. 42 채널이 있고 신문은 Al-Riyadh, Al-Sharq Al-Awsat, Al-Jazeerah, Okaz 등 다수의 아랍어 일간지와 Arab News, Saudi Gazette 등 2개의 영자일간지를 발간하고 있다. - 최근에는 위성안테나를 설치하여 서구문화 및 정보를 접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CNN, BBC, Star TV 등 일부 서방의 뉴스, 교양 및 오락방송 시청 확산 추세이다. 1) 방송 : Saudi Arabia TV ◦ 창립일:1965 ◦ 대표자: 문화공보부장관(국영) ◦ 사용언어: 아랍어, 영어 ◦ 방송시간대 - Channel 1(아랍어방송)10:00~24:00(국내), 24시간(위성) - Channel 2(영어방송)14:00~24:00(국내), 24시간(위성) - Channel 3(스포츠방송):24시간 - Channel 4(뉴스방송):24시간 - Channel 5(문화방송) : 24시간 - Channel 6(이슬람 종교방송) : 24시간 - Channel 7(경제방송) : 24시간 2) 신문 가) Al-Sharq Al-Awsat(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 1978 ◦ 발행인: H.H. Saudi Research & Marketing(U.K.) Ltd. ◦ 발행부수:약 400,000부 ◦ 보도성향:중도
  • 49. 43 ◦ 사우디 최대의 아랍어 일간지 나) Okaz(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1960 ◦ 발행인:Okaz Publishing and Press Corporation ◦ 발행부수:약 10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사우디 서부지방 대표지이며, Saudi Gazette 영자일간지 자매지 다) Al-Riyadh(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1962 ◦ 발행인:Al-Yamama Press Establishment ◦ 발행부수:약 10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사우디 중부지방 대표지 라) Al-Jazeera(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1960 ◦ 발행인:Al-Jazeera Press Corporation ◦ 발행부수:약 14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사우디 중부지방 유력지 마) Al-Watan(아랍어 일간지) ◦ 창간일:2000 ◦ 발행인:Al-Assir Publishing and Press Organization
  • 50. 44 ◦ 발행부수:약 200,000부 ◦ 보도성향:개혁 중도 ◦ 사우디 개혁성향의 대표 일간지 바) Arab News(영어 일간지) ◦ 창간일:1974 ◦ 발행인:Hisham & Mohammed Ali Hafez ◦ 발행부수:약 55,000부 ◦ 보도성향:중도 ◦ 해외특파원:9개국 ◦ 참고사항 : 사우디 최대의 영자지이며, 아랍어 일간지 Al-Sharq Al-Awsat 자매지 사) Saudi Gazette(영어 일간지) ◦ 창간일:1976 ◦ 발행인:Okaz Publishing Corporation ◦ 발행부수:약 50,000부 ◦ 보도성향:중도 ◦ 참고사항 : 아랍어 일간지 Okaz의 자매지 라. 종 교 ◦ 국민 모두가 무슬림이며 대부분이 와하비파에 속하는 수니파이다. 이슬람권 국가 중에서 가장 엄격하고 보수적인 종교생활이 이루어지고 있고, 전통 아랍 및 이슬람 관습을 고집한다.(동부지역에 일부 시아파 무슬림들 상존) ◦ 사우디아라비아 국민은 태어나면서부터 모든 무슬림에게 의무로 되어
  • 51. 45 있는 다섯 가지 신앙적 기둥(증언, 기도, 단식, 성지순례, 희사)을 필수적 으로 이행하도록 강요된다. 마. 생 활 ◦ 대체로 대륙적 기질로 내성적인 면이 강하여 좀처럼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내지 않는다. 만사를 서두르지 않고 여유가 있으며, 자존심이 강하며, 이슬람교가 아닌 이방인을 경계하여 정을 주지 않고 의심이 많은 편이나, 신의와 위신, 덕망, 친절, 선행을 중시하는 기질이 있다. ◦ 이슬람의 영향을 받아 가족과 사회에 대한 의무감이 강하고, 남자는 위엄과 강인한 것을 중히 여겨 어려서부터 낙타경주, 승마 등을 가르 치고 특히 가부장제로 남아선호 사상이 높은 편이다. ◦ 고온건조한 사막에서 오랫동안 살아온 베두윈(유목민) 민족으로 무뚝뚝 하고 거칠며 과격한 면이 적지 않으나,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순화되어 있어 정서면에서는 많이 안정적이다. ◦ 엄격하고 검소한 이슬람 교리와 사막의 전통적인 생활관습 영향으로 문화생활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다만 경제여건의 향상과 도시의 발달, TV 등 대중매체의 발달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며, 위성 안테나 설치를 통하여 서구문화 및 정보를 접촉할 수 있다. ◦ 와하비즘의 영향으로 엄격한 이슬람계율을 요구하며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등 오락 및 대중예술은 허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라디오 방송 등은 외국의 팝송도 방송하고 있다. ◦ 스포츠 행사시에도 남녀가 공동 집회를 할 수 없으며 대중음식점은 물론 공공장소에서는 남녀를 분리한다. 여성운전이 금지되어 있어 여성의 사회활동에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 52. 46 바. 관 습 1) 이슬람 및 아랍 관습 ◦ 이슬람 전역에 걸쳐 간음과 매춘행위, 음주, 돼지고기 판매, 이자놀이 등이 생활의 금기로 되어 있으며, 신앙생활을 해치는 가무나 요란한 음악, 영화 등은 허락하지 않고 있다. 학교에서도 음악, 무용 등의 교육 과목이 전무하다. ◦ 매년 히즈라력 9월(라마단월)은 무함마드가 지브릴(가브리엘) 천사를 통하여 꾸란을 최초로 계시 받은 성스러운 달로 여겨지고 있으며, 한 달 간은 고행과 수도의 달로서 해가 뜬 후부터 해가 지기 전까지는 물, 음료, 담배 등 일절 음식물을 금식하게 되는데, 대신 밤에는 식사를 하고 특별 예배를 보며 대부분 야간활동이 활발하다. - 라마단(금식월) 중에 외국인은 금식하는 아랍인 앞에서 음식을 먹거나, 마시거나, 담배를 피우지 않는 것이 좋으며, 특히 거리에서의 흡연을 삼가고 기타 아랍인들의 종교생활에 거슬리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남녀간 내외를 엄격하게 지키므로 가족이 아닌 여자와 함께 다니거나, 여인의 사진을 찍거나 말을 거는 등의 행동을 삼가야한다. ◦ 왼손은 불결한 것에만 사용하고 깨끗한 일은 오른손으로 하기 때문에 악수를 한다거나 물건을 주고받거나 음식을 먹을 때 왼손을 사용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므로 주의해야 한다. ◦ 옷차림은 남자들은 외출시 토브(thobe)라고 하는 하얀색의 전통복장과 구트라(goutra)라고 하는 흰 바탕에 붉은 체크무늬 또는 횐색 천을 머리에 두르며 여인들은 아바야(abaya)라고 하는 검정 겉옷을 입고, 검은 머플러로 머리와 얼굴을 가린 후 외출한다. 외국 여인들도 강제로 아바야를 착용해야 한다. ◦ 권유받은 선물이나 음료, 음식 등은 거절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집으로 초대받았을 때에는 세 번 이상 거절하면 예의상 곤란하다.
  • 53. 47 2) 결혼 ◦ 이슬람법에 있어 결혼은 모든 무슬림들의 의무사항이며, 이혼도 법적 으로 허용되고 있다. 배우자 선택에 있어서는 중매결혼이 원칙이며 사촌 간의 근친결혼이 관습적이다. ◦ 민족이 다른 사람간에도 양가의 합의와 결혼 당사자간 동의만 있으면 결혼이 가능하다. 법적으로 꾸란에 따라 1부 4처까지 허용되어 있으나 오늘날에는 1부1처제의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약혼 합의시 신랑이 신부감에게 주는 마하르(Mahr)라는 결혼지참금 제도는 아직도 관습으로 남아있어 가난한 서민층에서는 지참금 때문에 혼기를 놓쳐 결혼을 못한 남자들도 많다. ◦ 결혼에 있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순결과 정절로 여성들은 몸가짐에 매우 조심하고 있다. 간통죄가 성립되려면 4명의 증인과 분명한 물증이 필요하고, 형벌은 기혼자인 경우 더욱 엄격하고 미혼자간의 경우는 태형을 받게 되며, 반드시 당사자간에 결혼해야 한다. 3) 이혼 ◦ 이혼 사유가 성립되면 합의 이혼이 가능하며, 재혼도 가능하나 사별하지 않는 한 재혼을 두 번 이상 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다. ◦ 이혼이 성립될 수 있는 조건은 대략 다음과 같다. - 남편이 부인과 도저히 살 수 없다고 세 번 이상 이혼을 선언하는 경우 - 양자 중 부정한 행위가 있었을 때 증인 4명 이상이 법정에서 증언 하거나, 신에게 3번 이상 목격한 사실을 선서하는 경우(단, 거짓 증언을 했을 때는 위증죄로 처벌) - 신체적인 결함으로 부부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경우 - 남편이 처를 학대하거나 처가 남편에게 복종하지 않을 경우 ◦ 마하르는 여자가 상부를 하거나 부상 또는 이혼을 당했을 때 여자 본인은 물론 여자들의 생계 및 자녀교육을 위해 여자의 개인재산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다. 최근에는 과부나 이혼녀, 노약자, 불구자 등 생활
  • 54. 48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국가에서 생활비를 지원하는 형태로 쓰인다. 4) 음식 ◦ 개, 돼지, 맹수류, 맹금류, 파충류와 이슬람식으로 도살되지 않은 고기, 죽은 짐승의 고기와 피, 내장 등은 식음할 수 없다. ◦ 사우디인들은 샤이(shai)라고 부르는 홍차와 노란색 박하 향기의 차를 즐겨 마시며 손님 접대시 아랍 커피 까흐와(qahwah)와 함께 차를 권유하는 것이 상례이다. 5) 예절 ◦ 윗사람들을 매우 공경하고, 찾아오는 손님에 대해서는 극진하게 접대 하는 것이 예의이며 미덕으로 간주하고 있다. 속담에 “손님이 찾아오지 않는 집에는 천사도 찾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인적이 드문 사막의 생활환경에서 사람을 만나는 것이 반갑다는 이유에서뿐만 아니라 종교예식 상 공덕을 많이 쌓기 위한 것으로 간주된다.
  • 56.
  • 57. 51 1. 기본관계 가. 정치ᆞ외교관계 1) 개 요 ◦ 사우디는 유엔, 비동맹기구 등 국제무대에서 평화통일정책 등 우리의 입장을 적극 지지해온 주요 우방국중의 하나이며, 우리의 제1위 원유 수입국으로서 중동지역 최대의 교역 대상국이다. ◦ 양국 관계는 1998년 압둘라 왕세제(現 국왕)의 방한, 1999년 前 리야드 주지사인 쌀만(Salman) 왕자의 방한, 2000년 제2부총리 겸 국방장관인 술탄 왕자(前 왕세제)의 방한과 2005년 이해찬 국무총리(8월, 11월)와 2007년 3월 노무현 대통령 등 정상급 인사의 상호방문은 양국 우호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 주요 외교관계 일지 ◦ 1962.10.16 한ㆍ사우디 외교관계 수립 ◦ 1973 주사우디 대사관 개설(젯다) ◦ 1974.4.21 주한 사우디 대사관 개설 ◦ 1982 주사우디 대사관 리야드 이전 ◦ 1982 주젯다 총영사관 개설 ◦ 1998.12. 주젯다 총영사관 폐쇄 ◦ 2007.11. 주젯다 총영사관 재개 3) 역대 공관장 ◦ 1962.10.16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합의 ◦ 1963.6.6 최영희 주터키 겸임대사 신임장 제정 ◦ 1973.7.17 윤경도 대사 신임장 제정
  • 58. 52 ◦ 1975.10.25 유양수 대사 신임장 제정 ◦ 1980.4.7 장예준 대사 신임장 제정 ◦ 1983.2.21 최광수 대사 신임장 제정 ◦ 1986.1.27 최호중 대사 신임장 제정 ◦ 1989.9.17 주병국 대사 신임장 제정 ◦ 1992.3.28 나중배 대사 부임(5.25 신임장 제정) ◦ 1995.3.2 신효헌 대사 부임(5.2 신임장 제정) ◦ 1998.3. 김정기 대사 부임 ◦ 2000.10. 박명준 대사 부임 ◦ 2003.6.24 강광원 대사 부임(7.30 신임장 제정) ◦ 2006.3.31 이재길 대사 부임(6.25 신임장 제정) ◦ 2008.11.2 홍종기 대사 부임(2009.1.11 신임장 제정) ◦ 2010.9.29 김종용 대사 부임(2010.10.24 신임장 제정) 나. 주요인사 교류 1) 우리 인사 사우디 방문 ◦ 1973 최규하 대통령 특사 ◦ 1975 김종필 총리 방문 ◦ 1977.5. 최규하 국무총리 ◦ 1979.9. 박동진 외무부장관 ◦ 1980.5. 최규하 대통령 ◦ 1982.6. 유창순 국무총리(칼리드 국왕 조문사절) ◦ 1983.12. 강경식 청와대 비서실장(특사) ◦ 1991.4. 강영훈 前 국무총리(특사)
  • 59. 53 ◦ 1995 박재윤 산업자원부장관 ◦ 1996 이양호 국방장관 ◦ 1998.11. 박태영 산업자원부장관 ◦ 1999.10. 정덕구 산업자원부장관 ◦ 2001.4. 양승택 정보통신부장관 ◦ 2001.5. 이한동 국무총리 ◦ 2003.1. 신국환 산업자원부장관 ◦ 2004.2. 반기문 외교부장관 ◦ 2004.6. 황두연 통상교섭본부장(제13차 한ㆍ사우디 공동위) ◦ 2005.5. 한‧사우디 의원친선협회 대표단(단장 문석호 의원) ◦ 2005.8. 이해찬 국무총리(파흐드 국왕 조문사절) ◦ 2005.11. 이해찬 국무총리(공식방문) ◦ 2006.2. 전윤철 감사원장(세계감사원장회의 재무행정위 제3차 회의) ◦ 2007.3. 노무현 대통령 공식방문 ◦ 2007.8. 송민순 외교장관 ◦ 2008.11. 이상희 국방장관 ◦ 2009.3. 임채진 검찰총장 ◦ 2009.9. 이현구 과기특보(대통령 특사) ◦ 2009.11. 사공일 G20 위원장(대통령 특사) ◦ 2010.7.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제15차 한ㆍ사우디 공동위) ◦ 2011.4. 최중경 지식경제부장관 ◦ 2011.9. 권도엽 국토해양부장관 ◦ 2011.10. 한승수 전국무총리(술탄 前 왕세제 조문사절)
  • 60. 54 2) 사우디 인사 방한 ◦ 1974-97 기획부, 공업전력부, 내무부, 체신부, 석유광물부, 노동부 장관 등 다수 방한 ◦ 1987.11 술탄 왕자 ◦ 1998.10 압둘라 왕세제 ◦ 1999.4 살만 리야드 주지사 ◦ 2000.2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아사프 재정경제부장관, 파키 상무부장관 및 이반 무임소장관 ◦ 2000.10 술탄 제2부총리 겸 국방ㆍ항공장관 ◦ 2001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02.4 이브라힘 파키 상무부장관 ◦ 2003.5 압둘라 알-쉐이크 법무부장관 ◦ 2004.4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04.9 물라 정보통신부장관 ◦ 2005.5 오사마 파키 감사원장 ◦ 2005.12 알-쿠바엘 지상군사령관(육군중장, 방산협력) ◦ 2007.1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07.2 알-안카리 고등교육부장관 ◦ 2007.6 마다니 외교담당 국무장관 ◦ 2007.11 고사이비 경제기획장관(제14차 한-사우디 공동위) ◦ 2008.5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 2010.10 알후사옌 수전력부장관 ◦ 2010.10 알-안카리 고등교육부장관 ◦ 2010.11 사우드 알-파이잘 외교부장관(G20 서울정상회의) ◦ 2011.4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아사프 재무부장관 ◦ 2011.5 쉬크 국왕자문회의의장
  • 61. 55 ◦ 2011.5 알-파이잘 투자진흥청 부청장 ◦ 2011.9 파이잘 왕자(Jadwa 투자회사 회장) ◦ 2011.10 투르키 알-파이잘 전 정보부장, 킹파이잘이슬람연구센터 이사장(한-아랍 중동포럼) ◦ 2011.10 술탄 왕자(관광ㆍ문화재 관리청장) ◦ 2011.10 나이미 석유광물부장관, 팔리 ARAMCO 회장 다. 정부간 협정체결 ◦ 1974.1.19 한ㆍ사우디 경제기술협력협정(1975.1.19 발효) ◦ 1974.7.5 한ㆍ사우디 문화협정(1975.8.4 발효) ◦ 1976.11.12 한ㆍ사우디 항공협정(1984.1.21 발효) ◦ 1984.10 감천항 개발차관 협정 ◦ 1990.2.29 한ㆍ사우디 항공운수소득면세협정(1991.7.18 발효) ◦ 1991.1.22 사우디에서의 한국의료단 활동에 관한 협정(1991.2.23 발효) ◦ 1997.4.23 한ㆍ사우디 교육교류약정 ◦ 2002.4.4 한ㆍ사우디 투자보장협정(2003.2.19 발효) ◦ 2007.3.24 한ㆍ사우디 이중과세 방지협정(2008.12.1 발효) ◦ 2011.9.15 한ㆍ사우디 해운협정 가서명 ◦ 2011.11.15 한ㆍ사우디 원자력협정 서명 2. 경제ᆞ통상관계 가. 한-사우디 경제관계 개관 ◦ 사우디아라비아는 우리나라 최대의 원유공급국으로 우리나라 총 원유
  • 62. 56 수입량의 31.4%인 2.4억 배럴(258억불)을 공급하고 있다.(2011.10월 기준) ◦ 한-사우디 양국은 상호보완적 수출입 거래를 바탕으로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사우디는 우리의 제4대 교역국이며, 우리나라는 사우디의 제5대 교역국이다. ◦ 우리나라는 1973년 사우디에 최초 진출한 이래 2011년 11월 현재 약 1,000억불 이상을 수주하여 해외건설 진출(‘66) 이후 전체 해외 수주 누계의 21%를 상회하며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양국간 투자는 아직 상대적으로 미미한 실정이다. - 대사우디 투자 : 224건 193백만불(‘10년까지 누계 수출입은행 기준) - 대한 투자 : 47건 318백만불(‘10년까지 누계 지식경제부 기준) ※ 1991년 ARAMCO의 S-Oil 4억불 투자는 제외 ≪ 우리나라의 원유도입 현황 ≫ 2009년 2010년 국가 물량(천B) 순 위 비중(%) 물량(천B) 순 위 비중(%) 사우디 265,227 1 31.8 286,312 1 32.8 UAE 114,592 2 13.7 158,109 2 12.1 쿠웨이트 100,090 3 12.0 117,245 3 11.8 이란 81,437 4 9.8 73,016 4 8.3 카타르 53,673 6 5.4 64,402 5 7.4 이라크 62,494 5 7.5 41,227 6 6.9 호주 34,423 7 4.1 34,499 8 3.6 러시아 28,037 8 3.4 23,463 7 5.7 전 체 835,085 - 100 872,415 - 100
  • 63. 57 나. 교역동향 ◦ 양국은 상호보완적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 사우디는 중국, 미국, 일본에 이어 우리나라의 제4위 교역대상국이며,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등에 이어 사우디의 제5위 교역대상국이다. ≪ 최근 한-사우디 교역 추이 ≫ (단위 : 백만불) 구분 2008 2009 2010 2011(1-11월) 무역합계 39,034 23,594 31,377 39,857 수출 수입 5,253 33,781 3,857 19,737 4,557 26,820 6,261 33,596 무역수지 ▽28,528 ▽15,880 ▽22,263 ▽27,335 ◦ 우리나라는 사우디에 자동차ㆍ철강ㆍ중전기기ㆍ기초산업기계ㆍ전자제품 ㆍ고무제품ㆍ직물ㆍ석유화학제품 등을 주로 수출하고 있다(10개 품목 비중 84.9%). - 반면, 우리나라는 사우디로부터 원유ㆍ석유제품 등 광물성 연료와 석유화학 원료를 주로 수입한다.(10개 품목 비중 99.8%) ≪ 2010년도 주요 10대 수출입 품목 ≫ (단위 : 백만불) 순위 수출 수입 품목명 금액 품목명 금액 1 2 3 4 5 6 7 8 9 10 자동차 정전기기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건설광산기계 고무제품 형강 인조장섬유직물 기타석유화학제품 공기조절기 및 냉난방기 1,526 411 169 169 168 159 142 119 105 102 원유 석유제품 LPG 석유화학합섬원료 석유화학중간원료 기타석유화학제품 정밀화학원료 동제품 알루미늄 갑각류 22,869 2,449 650 315 145 127 88 84 35 14
  • 64. 58 ■ 최근 교역동향 분석 ◦ 최근 대사우디 수출은 2008년까지 상승세를 보이다가 2009년에 감소하고, 다시 2010년 증가하였으며, 2011년에도 계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2008년 53억불(30.5%) → 2009년 39억불(-26.6%) → 2010년 46억불(18.2%) -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국제경기 불황으로 2009년 중 수출이 전년대비 26% 감소한 39억불을 기록했다. - 한편, 최근 5년간 우리의 주력 수출상품은 과거 직물, 섬유제품 중심에서 자동차, 철강제품, 중전기기, 기초산업기계 등 중화학 제품 수출로 변화하고 있다. - 2011년 11월의 경우, 전품목에서 고른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55.9% 증가하였다. ◦ 수입의 경우, 원유가 상승에 따라 증가하여 왔으나, 2009년의 경우 국제유가 하락으로 크게 감소되었다. - ‘07년 212억불(3% 증가) → ‘08년 338억불(60% 증가) → ’09년 197억불(42% 감소) → ‘10년 268억불(36% 증가) - 2011년 11월까지 대사우디 수입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38.9% 증가하였다. 다. 건설 및 플랜트 수주 현황 ◦ 우리나라는 1973년 사우디에 최초 진출한 이래 2011년 11월 말까지 수주액 누계가 1,000억불을 상회, 전 세계 수주누계의 21%를 상회하는 등 지속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1970년대와 1980년대 중반까지 매년 10-80억불 수준의 수주실적을 기록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1-2억불 수준으로 수주규모가 감소 했다. - 최근 정유ㆍ석유화학, 담수ㆍ발전 플랜트 등을 중심으로 수주실적이 증가하여 최근 매년 40억-70억불 내외의 수주실적을 유지하다가
  • 65. 59 2010년 사상 최초로 100억불을 돌파하였다. ※ 41억불(‘08) → 72억불(‘09) → 105.2억불(‘10)→ 158.5억불(‘11.11월 현재) ◦ 2010년에는 현대중공업의 리야드 PP11 민자발전(15.8억불), 대림ㆍSK의 얀부 수출정유 플랜트(22.1억불), 두산중공업의 라빅 발전소 6단계 (34억불) 등의 프로젝트를 수주한데 이어, 2011년에도 SKㆍ삼성엔지 니어링의 와싯 가스개발 프로젝트(4건, 24억불) 및 샤이바 NGL 프로젝트 (4건, 28억불), 삼성물산의 쿠라야 민자발전소(21억불) 등을 수주하여 2011년 11월말 연간 수주액이 158억불로 2010년의 기록을 넘어섰다. ◦ 2011년 10월 사우디 전역 103개 현장에 70개 우리 건설기업이 공사 중이며, 이 중 13개 대기업이 56개 대형 프로젝트 공사를 수행 중이다. - 석유화학플랜트 21개 프로젝트 (대림13, 삼성엔4, SK2, GS1, KCC ㆍ현대엔1) - 가스처리플랜트 10개 프로젝트 (현대1, GS1, 대림1, 삼성엔4, SK3) - 담수/발전 플랜트 15개 프로젝트 (두산중6, 한화3, 현대중3, 삼성엔2, 삼성물산1) - 송/변전 (현대건설 4) 및 철강프로젝트 (STX중1, 삼성엔2) - 대규모 건축프로젝트 (SK건설) ◦ 2011년 10월 사우디 내에서 우리 건설기업 70개사가 약 389억불 상당의 103건 프로젝트를 시공 중이다. 라. 산업ᆞ기술 및 투자협력관계 ◦ 한-사우디는 산업구조가 달라 양국간 산업 경합도가 크지 않은 관계로 자본ㆍ기술 등 비교우위요소를 상호 교류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 그러나, 양국간 문화적 차이, 사우디의 교역기반 취약 등으로 인해 실질적 협력은 아직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다.
  • 66. 60 ◦ 우리의 대사우디 진출은 교역관련규제의 회피, 플랜트 건설수주 지원을 위한 소극적 투자가 주류이고, 원료ㆍ시장 지향형 투자, 기술협력 등 분야는 미흡하다. ◦ 사우디의 대한국 투자도 아직 탐색단계로서 ARAMCO의 S-Oil 4억달러 투자를 제외하고는 소액 또는 포트폴리오형 투자 위주이다. ≪ 한-사우디 투자현황 ≫ (단위 : 건, 백만불/신고기준) 연 도 ‘05 ‘06 ‘07 ‘08 ‘09 ‘10 누계(‘68-’10)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對한투자 2 4.5 3 8.3 5 17 3 11 11 23 3 15.4 47 318.4 對사우디 투자 3 0.3 12 6.8 25 4.7 24 7 34 49 44 25 224 193.0 3. 문화ᆞ교육관계 가. 문화교류 1) 현황 ◦ 우리나라는 1975년 사우디아라비아와 문화협정을 체결하고, 문화ㆍ교육 분야 교류 증진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양국간 문화교류 시행계획서 체결 추진중 ◦ 사우디는 2005년 압둘라 국왕 즉위 이후 세계 각국과의 문화교류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특히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양국간 문화분야 교류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주요 문화교류 현황 ◦ 한-아랍 소사이어티(KAS) 카라반 행사 개최
  • 67. 61 - 2008년 10월 서화 및 사진 전시회 - 2009년 10월 태권도 시범단 ◦ 2008년 11월 안성 남사당 풍물단 공연(국제교류재단) ◦ 2012년 자나드리아 문화축제에 우리나라가 주빈국으로 참여 예정 - 한-사우디 수교 50주년 기념사업 ◦ 사우디 전통 공연단 방한 - 2009년 5월 KAS 아랍전통 공연단 행사 참석 - 2009년 10월 사우디 문화 주간행사 참석(주한 사우디대사관 주관) ◦ 2012년 서울국제도서전에 사우디가 주빈국으로 참여 예정 나. 교육ᆞ청소년 교류 1) 청소년 분야 ◦ 청소년 상호방문 : 1981-2011년간 총인원 551명(우리측 273명, 사우디측 278명 교류) - 2007년, 2008년 한국유학 소개행사 개최(리야드) - 2010년 1월 제1차 리야드 국제교육박람회 참가 - 2011년 4월 제2차 리야드 국제교육박람회 참가 - 2012년 4월 제3차 리야드 국제교육박람회 참가 예정 2) 교육 분야 ◦ 압둘라 국왕 즉위 이후 인력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매년 수천명의 정부 장학생(King Abdullah Scholarship)을 선발, 해외에 파견하고 있으며 (2010년 기준 약 8만명 파견), 우리나라는 미국, 영국, 호주, 일본, 중국 등과 더불어 주요 협력대상국으로 선정되었다.
  • 68. 62 - 2011년 현재 약 180명의 사우디 정부장학생이 국내 대학에서 수학 ◦ 사우디 장학생 수학 동향 - 사우디 기술교육직업훈련청(YVTC)은 사우디 청년들의 직업기술능력 향상을 위해 KASPTT(King Abdullah Scholarship Program for Technical Trainers) 장학생들을 우리 대학에 파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 KASPTT : 사우디의 2년제 기술대학 졸업생을 해외에 3년간 파견하여 학사학위를 취득한 후 기술직업훈련 강사 요원으로 육성 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 2010년 7월 기술교육훈련청 부청장이 방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한국 산업기술대학교 등과 기술훈련 실행계약서를 체결하였고, 2010-11년 초에 걸쳐 약 50명의 KASPTT 장학생을 파견하였다. 다. 방송ᆞ언론분야 교류 1) 한국 이미지 제고 활동 ◦ 한국 드라마, 영화 TV 방영 지원 등 - 한국 드라마(대장금), 사우디 국영TV 채널 1 방영('08.4-7월) - 한국 드라마(식객), 사우디 국영TV 채널 1 방영('10.3-5월) 2) 언론인 방한 초청 ◦ G20 정상회의 개최 계기 언론인 초청(해외홍보원 주관) - Saudi Press Agency 경제뉴스 에디터 참석('10.9.5-11, 서울) - 바레인 Gulf Daily(영자) 언론인 방한('10.11.7-13) ◦ Saudi TV 채널 2, 기자 및 사진기자 방한('10.3.1-11, 국제문화산업 교류재단 주관) ◦ Arab News 영자일간지 선임기자 방한(‘10.10월, ’11.9월 등)
  • 69. 63 4. 정부간 협의체 및 친선단체 가. 한-사우디 공동위원회 1) 수석대표 ◦ 우 리 측 : 통상교섭본부장 ◦ 사우디측 : 경제기획부장관 2) 개최 현황 ◦ 2010.7. 제15차 공동위, 리야드 개최 ◦ 제16차 공동위, 서울 개최 예정 나. 한-사우디 석유광물위원회 1) 수석대표 ◦ 우 리 측 : 지식경제부2차관 ◦ 사우디측 : 석유광물부차관 2) 개최 현황 ◦ 2009.11. 제4차 석유광물 위원회, 리야드 개최 ◦ 제5차 석유광물 위원회, 2012년 상반기 서울 개최 예정 다. 의원친선협회 1) 한국-사우디 의원친선협회 ◦ 결성일 : 2010년 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