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읽기장애의 증상
1 표현성 언어 장애
.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수용성 언어능력은 비교적 정상이지만 언어표현에는 장애를 보입니다.
간단한 단어나 문장 표현도 어려워하며 몸짓이나 손짓으로 대체하려 합니다.
2 수용성.
표현성 언어 장애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과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의 장애를 보입니다.
3 음성장애
.
부정확한 발음이 자음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자음을 대치하거나 음절의 마지막 자음을 생략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빈번하게 잘못 발음되는 자음은 ㅅ, ㅊ, 등이며 모음의 장애도 드물게
ㅆ, ㅈ
나타납니다.
4 말더듬증
.
계속 되는 말이 비정상적으로 자주 끊어지거나,
말의 속도가 불규칙하거나 말을 할 때
불필요한 노력이 들어갑니다.
소리나 음절의 반복,
말소리의 연장,
말의 막힘 등의 현상이
관찰 될 수 있습니다.
소아는 일반적으로 말 더듬기를 인식하지 못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말하기
문제를 인식하게 되고 유창하지 못함을 피하려는 기제나 감정적 반응이 일어난다.

가정에서의 지도법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yujeee93

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
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
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yujeee93
 
교공책자 표지
교공책자 표지교공책자 표지
교공책자 표지yujeee93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yujeee93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yujeee93
 
나눔리더십
나눔리더십나눔리더십
나눔리더십yujeee93
 
[최종 보고서]★
[최종 보고서]★[최종 보고서]★
[최종 보고서]★yujeee93
 
Advanced english
Advanced englishAdvanced english
Advanced english
yujeee93
 
고급영어 에세이
고급영어 에세이고급영어 에세이
고급영어 에세이
yujeee93
 
비평에세이
비평에세이비평에세이
비평에세이yujeee93
 

More from yujeee93 (20)

재구성
재구성재구성
재구성
 
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
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
Skinner p1 교학이 좋조_10조
 
교공책자 표지
교공책자 표지교공책자 표지
교공책자 표지
 
Contents
ContentsContents
Contents
 
3 2
3 23 2
3 2
 
2 10
2 102 10
2 10
 
2 9
2 92 9
2 9
 
2 7
2 72 7
2 7
 
2 5
2 52 5
2 5
 
2 1
2 12 1
2 1
 
1 3
1 31 3
1 3
 
1 2
1 21 2
1 2
 
1 1
1 11 1
1 1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단발머리머리머리멀미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나눔리더십
나눔리더십나눔리더십
나눔리더십
 
[최종 보고서]★
[최종 보고서]★[최종 보고서]★
[최종 보고서]★
 
Advanced english
Advanced englishAdvanced english
Advanced english
 
고급영어 에세이
고급영어 에세이고급영어 에세이
고급영어 에세이
 
비평에세이
비평에세이비평에세이
비평에세이
 

2 8

  • 1. 읽기장애의 증상 1 표현성 언어 장애 .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수용성 언어능력은 비교적 정상이지만 언어표현에는 장애를 보입니다. 간단한 단어나 문장 표현도 어려워하며 몸짓이나 손짓으로 대체하려 합니다. 2 수용성. 표현성 언어 장애 다른 사람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과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의 장애를 보입니다. 3 음성장애 . 부정확한 발음이 자음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자음을 대치하거나 음절의 마지막 자음을 생략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빈번하게 잘못 발음되는 자음은 ㅅ, ㅊ, 등이며 모음의 장애도 드물게 ㅆ, ㅈ 나타납니다. 4 말더듬증 . 계속 되는 말이 비정상적으로 자주 끊어지거나, 말의 속도가 불규칙하거나 말을 할 때 불필요한 노력이 들어갑니다. 소리나 음절의 반복, 말소리의 연장, 말의 막힘 등의 현상이 관찰 될 수 있습니다. 소아는 일반적으로 말 더듬기를 인식하지 못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말하기 문제를 인식하게 되고 유창하지 못함을 피하려는 기제나 감정적 반응이 일어난다. 가정에서의 지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