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1년 2학기 - 1회 강의
제11장 固澁劑
定義 固澁藥 위주로 구성되어 收斂固澁作用으로 氣, 血, 精, 津液 耗散滑脫證을 치료하는 처방을 固澁劑라 한다.  適應範圍 自汗, 盜汗, 久咳肺虛, 久瀉久痢, 五更泄瀉, 遺精, 遺尿, 小便頻數, 崩漏, 月經過多, 帶下 分類 1) 固表止汗 2) 澁精止遺 3) 澁腸固脫 4) 固崩止帶
사용상의 注意 1) 氣血精 津液의 耗傷 정도에 따라 상응되는 補益藥을배오한다. 2) 元氣大虛, 亡陽欲脫로 인한 大汗淋漓, 小便失禁 증상에는 回陽固脫하는 人蔘, 附子類의 大劑를 사용한다. 3) 外邪未去者는 忌用한다. “閉門留寇”의 폐단이 없도록 한다. 4) 實邪로 인한 熱病多汗, 火擾遺泄, 熱痢初起, 食滯泄瀉, 實熱崩帶 등 증상에는 적합하지 않다.  固澁劑와補益劑의 비교 固澁劑- (氣, 血, 精, 津液, 陰陽 耗散)滑脫不禁證, 治法-固澁, 屬急則治標之法 補益劑- (氣, 血, 精, 津液, 陰陽 虧虛) 不足證,  治法-滋補, 屬緩則治本之法
제1절 固表止汗劑 槪念 固表止汗劑는斂汗固表 작용으로 自汗․盜汗證을 치료한다.  效能 斂汗固表 適應範圍 自汗盜汗, 面色晄白, 心悸氣短, 舌淡, 脈虛弱
대표 처방 牡蠣散, 玉屛風散 상용 약물 麻黃根, 浮小麥, 蕎麥, 牡蠣, 黃芪
牡蠣散[太平惠民和劑局方] Keywords;  自汗盜汗 + 心悸驚惕 Points; 主治 配伍
黃芪  主治 : 肌表之水也。故能治黃汗、盗汗、皮水。  又旁治 : 身體腫、或不仁者。 肌表之水 黃汗 盗汗 皮水 : 삼출물 身體腫: 몸의 무거운 느낌 不仁 : 감각장애
牡蠣  主治 : 胸腹之動也  旁治 : 驚狂、煩躁 胸腹之動 : 복부 대동맥상의 과항진 驚狂 : 공포의 대상이 구체적 煩躁 가슴이 답답해 한다. 과잉행동장애
牡蠣散[太平惠民和劑局方] 用法 散, 每次 9g, 加 小麥 30g, 水煎溫服 效能 益氣固表, 斂陰止汗 主治 自汗盜汗. 常自汗出, 夜臥更甚, 心悸驚惕, 短氣煩倦, 舌淡紅, 脈細弱
證候 分析 1) 陽爲陰之外衛, 陽氣虛弱, 不能衛外固密, 則肌表空疎, 陰液乘虛外泄, 故自汗出, 久而不止 2) 夜間陰虛更甚, 故夜臥汗出更甚 3) 汗出過多, 津液多損, 耗傷心氣, 心失所養, 則心悸, 驚惕不安, 短氣煩倦 病理 衛陽不固, 心陽不潛
處方解說 治法 斂汗固表, 潛陽鎭驚 配伍 牡蠣煅- 鹹澁微寒, 斂陰潛陽, 固澁止汗, 君藥이다. 黃芪生- 味甘微溫, 益氣實衛, 固表止汗, 臣藥이다. 麻黃根- 甘平, 止汗, 佐藥이다. 小麥 - 甘凉, 入心經, 養心氣, 退虛熱, 使藥이다. 益氣固表, 斂陰止汗, 使氣陰得復, 汗出可止 要點 斂汗固表; 병기 - 衛陽失固; 주증- 自汗; 병재 - 肺心; 속 - 虛證
運用 辨證要點 自汗或盜汗, 夜臥更甚, 心悸短氣, 舌淡, 脈弱 加減 應用 1) 自汗盜汗 屬陽虛, 加 白朮, 附子, 助陽固表 2) 自汗盜汗 屬陰虛, 加 乾地黃, 白芍藥, 養陰止汗 3) 自汗盜汗 屬氣虛, 加 黨參, 白朮, 健脾益氣 4) 自汗盜汗 屬血虛, 加 熟地黃, 何首烏, 滋養陰血 現代 應用 부인산후, 병후, 수술후, 혈액병, 폐결핵의 자한도한증
Questions! 모려산적응증은? (주소증, 망진, 복진, 설진, 맥진상…)
玉屛風散[丹溪心法] Keywords;  表虛自汗證. Points; 配伍 玉屛風散과桂枝湯의 비교
朮 主 : 利水也。故能治小便自利、不利  旁治 : 身煩疼、痰飮、失精、眩冒、下利、喜唾 小便自利 :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나옴 小便不利 :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안나옴 痰飮  眩冒 : 눈앞이 캄캄하고, 덮어쓴 듯한 느낌 身煩疼: 몸이 괴롭고, 움직일 때 아픔
玉屛風散[丹溪心法] 用法 加 大棗 5枚, 水煎服 效能 益氣固表止汗 主治 表虛自汗證. 汗出惡風, 面色晄白, 舌淡苔薄白, 脈浮虛. 亦治 虛人感冒
證候 分析 1) 自汗者屬陽虛 2) 氣虛則脈弱, 脈管軟弱虛浮無力 病理 氣虛衛陽不固, 營陰不守
處方解說 治法 益氣固表以 止汗 配伍 이 처방은 補氣固表藥 위주에 소량의 祛風解表藥을배오하여補中有散한다. 黃芪配伍防風則, 固表而不留邪, 防風得黃芪則, 祛邪而不傷正하여, 兩者는相畏而相使이다. 黃芪 - 甘溫, 內可 大補脾肺之氣, 外可 固表止汗, 君藥이다. 白朮 - 健脾益氣, 助黃芪以 增强 益氣固表, 臣藥이다. 황기, 백출을 合用하면氣旺表實, 則汗不外泄, 外邪不易內侵 防風 - 走表而祛風邪, 황기, 백출과 배오하면, 扶正爲主, 兼以祛邪하여, 固表而不留邪, 祛邪而不傷正한다.
요점 : 益氣固表;  병기 - 氣虛失固;  주증- 自汗;  병재 - 肺;  속 - 虛偏寒
運用 辨證要點 自汗, 面色晄白, 舌淡苔白, 脈浮虛軟 加減 應用 1) 自汗較重者, 加 浮小麥, 牡蠣煅, 麻黃根, 증강 固表止汗 2) 虛人外感而惡風較重者, 加蘇葉, 生薑, 증강 辛散解表 使用注意 外感風寒, 營衛不和 或內熱로 인한 自汗과陰虛盜汗에는 적합하지 않다. 現代 應用 만성비염, 과민성 비염, 소아 상기도 감염, 자한, 도한, 소아기관지염
玉屛風散과桂枝湯의비교 공통점 - 治表虛自汗症 玉屛風散 원인 : 衛氣虛弱, 腠理不固 而自汗;  효능 : 固表止汗 兼以 祛風 桂枝湯 원인 : 外感風寒, 營衛不和 而自汗;  효능 : 解肌發表, 調和營衛
玉屛風散과牡蠣散의비교 공통점  약물 : 黃芪, 효능 : 益氣固表止汗, 주치 : 氣虛衛表不固之自汗證 玉屛風散 약물 : 白朮, 防風; 효능 : 健脾益氣; 병리 : 氣虛不固; 주치 : 自汗證; 치법: 治本之法 牡蠣散 약물 : 牡蠣, 小麥, 麻黃根; 효능 : 固表斂汗; 병리 : 氣虛不固, 心陽不潛; 주치 : 自汗, 盜汗證; 치법: 治表之急
Questions! 옥병풍산적응증은? (주소증, 망진, 복진, 설진, 맥진상…) 옥병풍산vs.계지탕 차이점은?
玉屛風散의附方 人蔘養榮湯 [方藥合編] 白芍藥酒炒 2錢, 當歸, 人蔘, 白朮, 黃芪蜜炒, 肉桂, 陳皮, 甘草炙 各1錢, 熟地黃, 五味子, 防風 各 7分半, 遠志 5分 효능 : 益氣補血, 養心安神 주치 : 虛勞成損, 氣血不足, 消瘦倦怠, 氣短食少, 或 寒熱自汗
제2절 澁精止遺劑 槪念 澁精止遺劑는收澁固精 작용으로 遺精滑脫, 小便失禁證을 치료한다.  效能 固攝腎氣, 澁精止遺 適應範圍 遺精滑脫, 小便失禁, 腰酸乏力, 耳鳴健忘, 舌淡脈弱
대표 처방 金鎖固精丸, 桑螵蛸散 상용 약물 沙苑蒺藜, 芡實, 龍骨, 牡蠣, 蓮鬚, 桑螵蛸, 金櫻子
金鎖固精丸[醫方集解] 用法 蓮子粉의 풀로 丸을 만들어 鹽湯으로 복용. 湯劑에는 蓮子肉을 적당량 넣어 水煎服한다. 效能 補腎澁精 主治 遺精. 遺精滑泄, 神疲乏力, 腰痛耳鳴, 舌淡苔白, 脈細弱
證候 分析 1) 由于腎虛, 封藏失職, 精關不固, 故遺精滑精 2) 腎虛氣弱, 故舌淡苔白, 脈細弱 病理 腎虛氣弱, 精關不固
處方解說 治法 固腎澁精法 配伍 沙苑蒺藜- 甘溫, 補腎固精, 君藥이다. 芡實, 蓮子- 甘澁而平, 益腎固精, 補脾氣, 蓮子幷能交通心腎, 臣藥이다. 龍骨 - 甘澁平 牡蠣- 咸平微寒, 固澁止遺 蓮鬚 - 甘平, 收斂固精之妙品, 모두 佐藥이다. 제약을 합용하면 補腎, 固精하고 標本兼治하면서治標를 위주로 하는 良方이다.  秘腎氣, 固精關의 효능으로 腎虛滑精者에게 사용하는 전문 처방이므로 처방명을 “金鎖固精”이라 한다.
要點 澁精;  병기 - 精關不固;  주증- 滑精;  병재 - 腎;  속 - 裏虛
運用 辨證要點 遺精滑泄, 腰痛耳鳴, 舌淡苔白, 脈細弱 加減 應用 1) 大便乾結者, 加 熟地黃, 肉蓯蓉, 補精血而通大便 2) 大便溏泄者, 加 兎絲子, 五味子, 補腎固澁 3) 腰膝酸痛者, 加 杜仲, 續斷, 補腎而壯腰膝 使用注意 相火內熾, 或下焦濕熱로 인한 遺精者는 忌用한다. 現代 應用 단백뇨, 중증 근육무력, 신경쇠약, 만성 전립선염, 성기능 문란, 설사, 붕루, 대하
桑螵蛸散 [本草衍義] 用法 爲末, 夜臥 人蔘湯調下 2錢 效能 調補心腎, 澁精止遺 主治 心腎兩虛證. 小便頻數, 或尿如米泔色, 或遺尿遺精, 心神恍惚, 健忘, 舌淡苔白, 脈細弱
단백뇨 (proteinuria) 정의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것 성인인 경우 하루 500mg 이상, 소아는 1시간 동안 체표면적 1제곱미터당4mg 이상의 단백이 배설될 때 신증후군, 당뇨병성 신장질환, 사구체질환, 당뇨병, 고혈압, 원발성 사구체질환, 교원성 질환이나 혈관염등
미세 단백뇨- 하루 30~300mg단백이 배설되는 경우 ,[object Object],기능성단백뇨- 신장에 심각한 병이 없이 간혹 소량의 단백뇨.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없어지는 것으로 신장 기능에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음. - 격렬한 운동을 한 직후- 발열을 동반한 경우- 오전에는 없지만, 오후에만 단백뇨가 검출되는 경우(기립성 단백뇨)- 요로 감염을 동반한 경우
치료 저단백 식이 요법 (하루 단백량 섭취를 0.6g/kg까지 감소) 일차성의 경우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이차성의 경우 원인 질병 치료 신장 내의 사구체의 압력을 낮추는 약 혈압을 철저하게 조절 고지혈증이동반될 경우 이에 대한 치료 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이뇨제 일부 사구체질환에서는 항혈전제(antithrombotic)
證候 分析 1) 腎與膀胱 爲表裏, 腎虛不攝則 膀胱失約, 故小便頻數, 或尿如米泔色, 甚或遺尿 2) 腎虛, 精關不固, 故遺精 3) 心氣不足, 神不自養, 則心神恍惚, 健忘 病理 心虛失養, 腎虛失攝
處方解說 治法 調補心腎 配伍 桑螵蛸- 甘鹹平, 補腎固精止遺, 君藥이다. 龍骨 - 收斂固澁, 安心腎 鱉甲- 滋養腎陰, 補心陰,  桑螵蛸得 龍骨則固澁止遺 증강, 龍骨配鱉甲則益陰潛陽, 安神之力 증강, 臣藥이다. 人蔘 - 大補元氣 茯神 - 寧心安神, 降心氣 下交于腎 石菖蒲- 善開心竅 遠志 - 安神定志, 通腎氣上達于心, 佐藥이다. 當歸 - 補心血 人蔘 - 補氣, 使藥이다. 제약 합용하면 交通心腎, 補益氣血, 澁精止遺의 효능이 있다.
要點 調心腎以固精止遺;  병기 - 腎虛固攝失權;  주증- 遺尿, 遺精;  병재 - 腎心;  속 - 虛偏寒證
運用 辨證要點 小便頻數, 遺尿遺精, 心神恍惚, 舌淡苔白, 脈細弱 加減 應用 1) 遺精, 脈細弱者, 加 山茱萸, 沙苑蒺藜, 固腎澁精 2) 糖尿病, 小便頻數, 屬心腎不足者, 加 山藥, 山茱萸, 固腎塡精 3) 神經衰弱, 滑精, 健忘, 心悸, 失眠, 加 五味子, 酸棗仁, 養心安神 使用注意 下焦濕熱로 인한 小便頻數, 溺赤澁痛과脾腎陽虛로 인한 尿頻失禁에는 적합하지 않다. 現代 應用 당뇨병, 신경쇠약, 子宮外脫, 尿崩
桑螵蛸散과 金鎖固精丸의비교 공통점 - 澁精止遺 金鎖固精丸 純用 補腎澁精 약물로 구성, 주치 : 腎虛精關不固, 遺精滑精 桑螵蛸散  澁精止遺와交通心腎 약물을 배합, 주치 : 心腎兩虛, 尿頻, 遺尿, 遺精
[부방] 縮泉丸 [출전] 婦人良方 [구성] 烏藥6g, 益智仁9g [용법] 爲末, 酒煎 山藥末 糊丸, 梧桐子大, 每次9g, 鹽, 酒, 米飮送下 [효능] 溫腎祛寒, 縮尿止遺 [주치] 膀胱虛寒證. 小便頻數, 或遺尿不止, 舌淡, 脈沈弱 [방해] 益智仁- 辛溫, 溫補脾腎, 固精氣, 縮小便, 君藥이다. 烏藥- 辛溫, 調氣散寒, 能除膀胱腎間冷氣, 止小便頻數, 臣藥이다. 山藥末 糊丸 - 健脾補腎, 固澁精氣, 佐使藥이다.
桑螵蛸散과 縮泉丸의비교 공통점  효능 : 固澁止遺 작용; 치료 : 小便頻數, 或遺尿 桑螵蛸散  약물 : 상표초, 별갑, 용골, 복신, 원지;  효능 : 調補心腎; 치료 : 心腎兩虛所致者 縮泉丸 약물 : 익지인, 오약;  효능 : 溫腎祛寒; 치료 : 下元虛冷所致者
REVIEW
2회 강의
제3절 澁腸固脫劑 槪念 澁腸固脫劑는澁腸固脫 작용으로 腸滑失禁證을 치료한다.  效能 澁腸固脫 適應範圍 脾腎虛寒, 腸道不固, 久瀉久痢, 滑脫不禁
대표 처방 眞人養臟湯, 桃花湯, 四神丸 상용 약물 肉豆蔲, 訶子, 罌粟殼, 赤石脂, 烏梅, 禹餘糧
眞人養臟湯[太平惠民和劑局方] 用法 效能 主治
證候 分析 病理
處方解說 治法 配伍 要點
運用 辨證要點 加減 應用 使用注意 現代 應用
桃花湯[傷寒論] Keywords;  虛寒痢 Points; 配伍 Vs. 白頭翁湯
寒濕 便膿血
桃花湯[傷寒論] 用法 水煎服, 每次服用時冲入赤石脂末2g, 1日 3次.  效能 溫中澁腸止痢 主治 虛寒痢. 下痢不止, 便膿血, 色黯不善, 日久不愈, 腹痛喜溫喜按, 舌淡苔白, 脈遲弱或微細
證候 分析 1) 腎陽虛衰, 陰寒內盛, 寒濕阻滯, 腸絡受傷, 變爲膿血, 下痢不止, 色黯不善, 日久不愈 2) 陰虛寒冷, 故腹痛喜溫喜按, 按之則痛減, 舌淡苔白, 脈遲微細; 傷寒論云 “少陰病, 下痢便膿血者, 桃花湯主之” 病理 脾腎陽虛, 陰寒內盛, 陰絶受損
處方解說 治法 溫中澁腸, 補虛固脫 配伍 赤石脂- 溫澁固脫, 止瀉痢, 君藥이다.  乾薑 - 大辛大熱, 溫中散寒, 적석지와 함께 溫中澁腸, 止血止痢, 臣藥이다. 粳米- 甘平, 養胃和中, 적석지, 건강과 함께 固腸胃, 佐使藥이다. 要點 溫澁下焦; 병기 - 下焦陽虛寒凝; 주증- 虛寒痢; 병재 - 脾腎; 속 - 虛寒證
運用 辨證要點 久痢便膿血, 色黯不善, 腹痛喜溫喜按, 舌淡脈弱 加減 應用 1) 陽虛更甚者, 加 附子, 人蔘, 溫陽補氣 2) 腹痛甚者, 加 白芍藥, 柔肝緩急止痛 使用注意 熱痢便膿血, 裏急後重, 肛門灼熱者, 忌用 現代 應用 만성세균성이질, 만성아메바성이질, 만성결장염, 위 십이지장궤양출혈, 기능성자궁출혈
Questions! 도화탕적응증은? (주소증, 망진, 복진, 설진, 맥진상…) 도화탕vs.백두옹탕vs. 사역탕?
四神丸 [證治準繩] Keywords;  腎泄
四神丸 [證治準繩] 用法 細末, 生薑, 大棗를 煮熟하여 大棗肉과 위 藥細末을 丸을 만든다. 梧桐子大를 每次6~9g, 食前에 服用한다. 效能 溫腎暖脾, 固腸止瀉 主治 腎泄. 五更泄瀉, 不思飮食, 食不消化, 或腹痛肢冷, 神疲乏力, 舌淡, 苔薄白, 脈沈遲無力.
證候 分析 1) 腎泄, 于稱 五更泄, 鷄鳴瀉 2) 《素問․ 金匱直言論》: 鷄鳴至平旦, 天之陰, 陰中之陽也, 脾腎陽虛, 陽虛則生內寒, 而五更正是 陰氣極盛, 陽氣萌發之時, 陽氣當至而不至, 陰氣極而下行, 故爲泄瀉. 3) 腎陽虛衰, 命門之火 不能上溫脾土, 脾失健運, 故不思飮食, 食不消化 病理 脾腎虛寒, 胃關不固
處方解說 治法 溫腎暖脾止瀉 配伍 補骨脂 - 辛苦大溫, 補命門之火, 溫養脾土, 《本草綱目》 治腎泄, 君藥이다. 肉豆蔲 - 辛溫, 溫脾暖胃, 澁腸止瀉, 配合補骨脂則溫腎暖脾, 固澁止瀉 효력 증강, 臣藥이다. 五味子 - 酸溫, 固腎益氣, 澁精止瀉 吳茱萸- 辛苦大熱, 溫暖脾腎, 散陰寒, 모두 佐藥이다. 生薑 - 暖胃散寒 大棗 - 補脾養胃, 使藥이다. 四腫之藥, 治腎泄有神功也, 方名, “四神”
要點 溫澁;  병기 - 脾腎虛寒;  주증- 五更泄瀉;  병재 - 脾腎;  속 - 虛寒證
運用 辨證要點 五更泄瀉, 食不消化, 舌淡苔白, 脈沈遲無力 現代 應用 만성장염, 만성결장염, 장기능문란, 장결핵, 과민성장염
眞人養臟湯과 四神丸의 비교 공통점 - 固澁止瀉之劑 四神丸  重用 補骨脂 君藥, 溫腎爲主, 배오 暖脾澁腸약물, 주치 : 命門火衰, 火不生土로 인한 腎泄 眞人養臟湯 罌粟殼君藥, 배오 溫中補脾 약물 人蔘, 白朮, 肉桂, 주치 : 瀉痢日久, 脾腎虛寒, 而脾虛爲主者
제4절 固崩止帶劑 槪念 固崩止帶劑는固崩止帶, 健脾益氣 작용으로 崩漏, 慢性帶下證을 치료한다.  效能 固崩止帶, 健脾益氣 適應範圍 婦女崩漏不止, 帶下淋漓
대표 처방 固冲湯, 完帶湯 상용 약물 龍骨, 牡蠣, 海螵蛸, 五倍子, 茜草
固冲湯[醫學哀中參書錄] Keywords;  崩漏
질 출혈 (vaginal bleeding) 정의 주로 여성 생식기(자궁 및 자궁경부, 질, 나팔관, 난소)에서 기인한 출혈을 모두 통칭  원인 - 신생아: 에스트로겐 관련- 초경 전: 이물질, 외상, 성폭력, 감염, 요도 탈출, 난소낭종, 사춘기 조숙증- 초경 초기: 무배란, 출혈소인, 스트레스, 임신, 감염- 가임기: 무배란, 임신, 암, 폴립,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감염, 내분비 기능 이상(갑상선, 다낭성난소증후군 뇌하수체 선종), 출혈소인, 약물 관련(피임약 등)- 폐경 이행기: 무배란, 폴립,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암- 폐경기: 위축성, 암, 에스트로겐 치료 기능 부전성 자궁출혈 : 해부학적 병명없이 자궁내막으로부터의 비정상 출혈
치료 - 기능성 자궁 출혈: 경구용 복합 호르몬 제제, 내과적 치료 실패 또는 금기인 경우 자궁내막 절제 등의 수술적 치료 - 자궁근종, 자궁경부 폴립, 자궁내막 폴립 등: 수술적 제거- 내분비 기능 이상(갑상선, 다낭성 난소 증후군 뇌하수체 선종) 및 출혈성 질환: 각각의 내과적 문제 해결- 감염(자궁내막염 등):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각각의 질환에 대한 치료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sujaubuns
 
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mothersafe
 
장기기증 정경기 과제
장기기증 정경기 과제장기기증 정경기 과제
장기기증 정경기 과제
aksen19
 
소셜미디어의 이해
소셜미디어의 이해소셜미디어의 이해
소셜미디어의 이해가영 정
 
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
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
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
ACA IT-Solutions
 
acsm 모임
acsm 모임acsm 모임
acsm 모임
Youngkyu Song
 
Sns (201209024)박상혁
Sns (201209024)박상혁Sns (201209024)박상혁
Sns (201209024)박상혁Sanghyeok Park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Jihoon Jeong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
Samsung Medical Center
 
발전과 빈곤
발전과 빈곤발전과 빈곤
발전과 빈곤
jsjt0822
 
영양과 식이 파트2
영양과 식이 파트2영양과 식이 파트2
영양과 식이 파트2
kochung77
 
[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
[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
[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
fmcommunications
 
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
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
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JUNO BEA
 
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
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
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
Hyangri Kang
 
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
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
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
a7309dcb
 

Viewers also liked (16)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정신간호학1 1차시 정신간호학의 기본개념과 이론_v1-2
 
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알코올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장기기증 정경기 과제
장기기증 정경기 과제장기기증 정경기 과제
장기기증 정경기 과제
 
소셜미디어의 이해
소셜미디어의 이해소셜미디어의 이해
소셜미디어의 이해
 
Self care
Self careSelf care
Self care
 
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
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
JavaOne 2016 - 10 Key Lessons you should know
 
acsm 모임
acsm 모임acsm 모임
acsm 모임
 
Sns (201209024)박상혁
Sns (201209024)박상혁Sns (201209024)박상혁
Sns (201209024)박상혁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Health2.0, Medicine 2.0, 그리고 의료의 패러다임 전환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피부염 FAQ / 환경보건센터
 
발전과 빈곤
발전과 빈곤발전과 빈곤
발전과 빈곤
 
영양과 식이 파트2
영양과 식이 파트2영양과 식이 파트2
영양과 식이 파트2
 
[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
[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
[Marketing Trend] 2014 상반기 Marketing Trend
 
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
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
130420 PTIA 세미나 : 정보를 시각적으로 배열하기 강의
 
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
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
Lan3 강향리 2014 여름방학 세미나
 
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
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
의료방사선 안전규제 현황 및 전망
 

제11장 固澁劑

  • 1. 2011년 2학기 - 1회 강의
  • 3. 定義 固澁藥 위주로 구성되어 收斂固澁作用으로 氣, 血, 精, 津液 耗散滑脫證을 치료하는 처방을 固澁劑라 한다. 適應範圍 自汗, 盜汗, 久咳肺虛, 久瀉久痢, 五更泄瀉, 遺精, 遺尿, 小便頻數, 崩漏, 月經過多, 帶下 分類 1) 固表止汗 2) 澁精止遺 3) 澁腸固脫 4) 固崩止帶
  • 4. 사용상의 注意 1) 氣血精 津液의 耗傷 정도에 따라 상응되는 補益藥을배오한다. 2) 元氣大虛, 亡陽欲脫로 인한 大汗淋漓, 小便失禁 증상에는 回陽固脫하는 人蔘, 附子類의 大劑를 사용한다. 3) 外邪未去者는 忌用한다. “閉門留寇”의 폐단이 없도록 한다. 4) 實邪로 인한 熱病多汗, 火擾遺泄, 熱痢初起, 食滯泄瀉, 實熱崩帶 등 증상에는 적합하지 않다. 固澁劑와補益劑의 비교 固澁劑- (氣, 血, 精, 津液, 陰陽 耗散)滑脫不禁證, 治法-固澁, 屬急則治標之法 補益劑- (氣, 血, 精, 津液, 陰陽 虧虛) 不足證, 治法-滋補, 屬緩則治本之法
  • 5. 제1절 固表止汗劑 槪念 固表止汗劑는斂汗固表 작용으로 自汗․盜汗證을 치료한다. 效能 斂汗固表 適應範圍 自汗盜汗, 面色晄白, 心悸氣短, 舌淡, 脈虛弱
  • 6. 대표 처방 牡蠣散, 玉屛風散 상용 약물 麻黃根, 浮小麥, 蕎麥, 牡蠣, 黃芪
  • 7. 牡蠣散[太平惠民和劑局方] Keywords; 自汗盜汗 + 心悸驚惕 Points; 主治 配伍
  • 8. 黃芪 主治 : 肌表之水也。故能治黃汗、盗汗、皮水。  又旁治 : 身體腫、或不仁者。 肌表之水 黃汗 盗汗 皮水 : 삼출물 身體腫: 몸의 무거운 느낌 不仁 : 감각장애
  • 9. 牡蠣  主治 : 胸腹之動也  旁治 : 驚狂、煩躁 胸腹之動 : 복부 대동맥상의 과항진 驚狂 : 공포의 대상이 구체적 煩躁 가슴이 답답해 한다. 과잉행동장애
  • 10.
  • 11. 牡蠣散[太平惠民和劑局方] 用法 散, 每次 9g, 加 小麥 30g, 水煎溫服 效能 益氣固表, 斂陰止汗 主治 自汗盜汗. 常自汗出, 夜臥更甚, 心悸驚惕, 短氣煩倦, 舌淡紅, 脈細弱
  • 12. 證候 分析 1) 陽爲陰之外衛, 陽氣虛弱, 不能衛外固密, 則肌表空疎, 陰液乘虛外泄, 故自汗出, 久而不止 2) 夜間陰虛更甚, 故夜臥汗出更甚 3) 汗出過多, 津液多損, 耗傷心氣, 心失所養, 則心悸, 驚惕不安, 短氣煩倦 病理 衛陽不固, 心陽不潛
  • 13. 處方解說 治法 斂汗固表, 潛陽鎭驚 配伍 牡蠣煅- 鹹澁微寒, 斂陰潛陽, 固澁止汗, 君藥이다. 黃芪生- 味甘微溫, 益氣實衛, 固表止汗, 臣藥이다. 麻黃根- 甘平, 止汗, 佐藥이다. 小麥 - 甘凉, 入心經, 養心氣, 退虛熱, 使藥이다. 益氣固表, 斂陰止汗, 使氣陰得復, 汗出可止 要點 斂汗固表; 병기 - 衛陽失固; 주증- 自汗; 병재 - 肺心; 속 - 虛證
  • 14. 運用 辨證要點 自汗或盜汗, 夜臥更甚, 心悸短氣, 舌淡, 脈弱 加減 應用 1) 自汗盜汗 屬陽虛, 加 白朮, 附子, 助陽固表 2) 自汗盜汗 屬陰虛, 加 乾地黃, 白芍藥, 養陰止汗 3) 自汗盜汗 屬氣虛, 加 黨參, 白朮, 健脾益氣 4) 自汗盜汗 屬血虛, 加 熟地黃, 何首烏, 滋養陰血 現代 應用 부인산후, 병후, 수술후, 혈액병, 폐결핵의 자한도한증
  • 15. Questions! 모려산적응증은? (주소증, 망진, 복진, 설진, 맥진상…)
  • 16. 玉屛風散[丹溪心法] Keywords; 表虛自汗證. Points; 配伍 玉屛風散과桂枝湯의 비교
  • 17. 朮 主 : 利水也。故能治小便自利、不利  旁治 : 身煩疼、痰飮、失精、眩冒、下利、喜唾 小便自利 :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나옴 小便不利 :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안나옴 痰飮 眩冒 : 눈앞이 캄캄하고, 덮어쓴 듯한 느낌 身煩疼: 몸이 괴롭고, 움직일 때 아픔
  • 18. 玉屛風散[丹溪心法] 用法 加 大棗 5枚, 水煎服 效能 益氣固表止汗 主治 表虛自汗證. 汗出惡風, 面色晄白, 舌淡苔薄白, 脈浮虛. 亦治 虛人感冒
  • 19. 證候 分析 1) 自汗者屬陽虛 2) 氣虛則脈弱, 脈管軟弱虛浮無力 病理 氣虛衛陽不固, 營陰不守
  • 20. 處方解說 治法 益氣固表以 止汗 配伍 이 처방은 補氣固表藥 위주에 소량의 祛風解表藥을배오하여補中有散한다. 黃芪配伍防風則, 固表而不留邪, 防風得黃芪則, 祛邪而不傷正하여, 兩者는相畏而相使이다. 黃芪 - 甘溫, 內可 大補脾肺之氣, 外可 固表止汗, 君藥이다. 白朮 - 健脾益氣, 助黃芪以 增强 益氣固表, 臣藥이다. 황기, 백출을 合用하면氣旺表實, 則汗不外泄, 外邪不易內侵 防風 - 走表而祛風邪, 황기, 백출과 배오하면, 扶正爲主, 兼以祛邪하여, 固表而不留邪, 祛邪而不傷正한다.
  • 21. 요점 : 益氣固表; 병기 - 氣虛失固; 주증- 自汗; 병재 - 肺; 속 - 虛偏寒
  • 22. 運用 辨證要點 自汗, 面色晄白, 舌淡苔白, 脈浮虛軟 加減 應用 1) 自汗較重者, 加 浮小麥, 牡蠣煅, 麻黃根, 증강 固表止汗 2) 虛人外感而惡風較重者, 加蘇葉, 生薑, 증강 辛散解表 使用注意 外感風寒, 營衛不和 或內熱로 인한 自汗과陰虛盜汗에는 적합하지 않다. 現代 應用 만성비염, 과민성 비염, 소아 상기도 감염, 자한, 도한, 소아기관지염
  • 23. 玉屛風散과桂枝湯의비교 공통점 - 治表虛自汗症 玉屛風散 원인 : 衛氣虛弱, 腠理不固 而自汗; 효능 : 固表止汗 兼以 祛風 桂枝湯 원인 : 外感風寒, 營衛不和 而自汗; 효능 : 解肌發表, 調和營衛
  • 24. 玉屛風散과牡蠣散의비교 공통점 약물 : 黃芪, 효능 : 益氣固表止汗, 주치 : 氣虛衛表不固之自汗證 玉屛風散 약물 : 白朮, 防風; 효능 : 健脾益氣; 병리 : 氣虛不固; 주치 : 自汗證; 치법: 治本之法 牡蠣散 약물 : 牡蠣, 小麥, 麻黃根; 효능 : 固表斂汗; 병리 : 氣虛不固, 心陽不潛; 주치 : 自汗, 盜汗證; 치법: 治表之急
  • 25. Questions! 옥병풍산적응증은? (주소증, 망진, 복진, 설진, 맥진상…) 옥병풍산vs.계지탕 차이점은?
  • 26. 玉屛風散의附方 人蔘養榮湯 [方藥合編] 白芍藥酒炒 2錢, 當歸, 人蔘, 白朮, 黃芪蜜炒, 肉桂, 陳皮, 甘草炙 各1錢, 熟地黃, 五味子, 防風 各 7分半, 遠志 5分 효능 : 益氣補血, 養心安神 주치 : 虛勞成損, 氣血不足, 消瘦倦怠, 氣短食少, 或 寒熱自汗
  • 27. 제2절 澁精止遺劑 槪念 澁精止遺劑는收澁固精 작용으로 遺精滑脫, 小便失禁證을 치료한다. 效能 固攝腎氣, 澁精止遺 適應範圍 遺精滑脫, 小便失禁, 腰酸乏力, 耳鳴健忘, 舌淡脈弱
  • 28. 대표 처방 金鎖固精丸, 桑螵蛸散 상용 약물 沙苑蒺藜, 芡實, 龍骨, 牡蠣, 蓮鬚, 桑螵蛸, 金櫻子
  • 29. 金鎖固精丸[醫方集解] 用法 蓮子粉의 풀로 丸을 만들어 鹽湯으로 복용. 湯劑에는 蓮子肉을 적당량 넣어 水煎服한다. 效能 補腎澁精 主治 遺精. 遺精滑泄, 神疲乏力, 腰痛耳鳴, 舌淡苔白, 脈細弱
  • 30. 證候 分析 1) 由于腎虛, 封藏失職, 精關不固, 故遺精滑精 2) 腎虛氣弱, 故舌淡苔白, 脈細弱 病理 腎虛氣弱, 精關不固
  • 31. 處方解說 治法 固腎澁精法 配伍 沙苑蒺藜- 甘溫, 補腎固精, 君藥이다. 芡實, 蓮子- 甘澁而平, 益腎固精, 補脾氣, 蓮子幷能交通心腎, 臣藥이다. 龍骨 - 甘澁平 牡蠣- 咸平微寒, 固澁止遺 蓮鬚 - 甘平, 收斂固精之妙品, 모두 佐藥이다. 제약을 합용하면 補腎, 固精하고 標本兼治하면서治標를 위주로 하는 良方이다. 秘腎氣, 固精關의 효능으로 腎虛滑精者에게 사용하는 전문 처방이므로 처방명을 “金鎖固精”이라 한다.
  • 32. 要點 澁精; 병기 - 精關不固; 주증- 滑精; 병재 - 腎; 속 - 裏虛
  • 33. 運用 辨證要點 遺精滑泄, 腰痛耳鳴, 舌淡苔白, 脈細弱 加減 應用 1) 大便乾結者, 加 熟地黃, 肉蓯蓉, 補精血而通大便 2) 大便溏泄者, 加 兎絲子, 五味子, 補腎固澁 3) 腰膝酸痛者, 加 杜仲, 續斷, 補腎而壯腰膝 使用注意 相火內熾, 或下焦濕熱로 인한 遺精者는 忌用한다. 現代 應用 단백뇨, 중증 근육무력, 신경쇠약, 만성 전립선염, 성기능 문란, 설사, 붕루, 대하
  • 34. 桑螵蛸散 [本草衍義] 用法 爲末, 夜臥 人蔘湯調下 2錢 效能 調補心腎, 澁精止遺 主治 心腎兩虛證. 小便頻數, 或尿如米泔色, 或遺尿遺精, 心神恍惚, 健忘, 舌淡苔白, 脈細弱
  • 35. 단백뇨 (proteinuria) 정의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것 성인인 경우 하루 500mg 이상, 소아는 1시간 동안 체표면적 1제곱미터당4mg 이상의 단백이 배설될 때 신증후군, 당뇨병성 신장질환, 사구체질환, 당뇨병, 고혈압, 원발성 사구체질환, 교원성 질환이나 혈관염등
  • 36.
  • 37. 치료 저단백 식이 요법 (하루 단백량 섭취를 0.6g/kg까지 감소) 일차성의 경우 스테로이드 등 면역억제제 이차성의 경우 원인 질병 치료 신장 내의 사구체의 압력을 낮추는 약 혈압을 철저하게 조절 고지혈증이동반될 경우 이에 대한 치료 부종이 심한 경우에는 이뇨제 일부 사구체질환에서는 항혈전제(antithrombotic)
  • 38. 證候 分析 1) 腎與膀胱 爲表裏, 腎虛不攝則 膀胱失約, 故小便頻數, 或尿如米泔色, 甚或遺尿 2) 腎虛, 精關不固, 故遺精 3) 心氣不足, 神不自養, 則心神恍惚, 健忘 病理 心虛失養, 腎虛失攝
  • 39. 處方解說 治法 調補心腎 配伍 桑螵蛸- 甘鹹平, 補腎固精止遺, 君藥이다. 龍骨 - 收斂固澁, 安心腎 鱉甲- 滋養腎陰, 補心陰, 桑螵蛸得 龍骨則固澁止遺 증강, 龍骨配鱉甲則益陰潛陽, 安神之力 증강, 臣藥이다. 人蔘 - 大補元氣 茯神 - 寧心安神, 降心氣 下交于腎 石菖蒲- 善開心竅 遠志 - 安神定志, 通腎氣上達于心, 佐藥이다. 當歸 - 補心血 人蔘 - 補氣, 使藥이다. 제약 합용하면 交通心腎, 補益氣血, 澁精止遺의 효능이 있다.
  • 40. 要點 調心腎以固精止遺; 병기 - 腎虛固攝失權; 주증- 遺尿, 遺精; 병재 - 腎心; 속 - 虛偏寒證
  • 41. 運用 辨證要點 小便頻數, 遺尿遺精, 心神恍惚, 舌淡苔白, 脈細弱 加減 應用 1) 遺精, 脈細弱者, 加 山茱萸, 沙苑蒺藜, 固腎澁精 2) 糖尿病, 小便頻數, 屬心腎不足者, 加 山藥, 山茱萸, 固腎塡精 3) 神經衰弱, 滑精, 健忘, 心悸, 失眠, 加 五味子, 酸棗仁, 養心安神 使用注意 下焦濕熱로 인한 小便頻數, 溺赤澁痛과脾腎陽虛로 인한 尿頻失禁에는 적합하지 않다. 現代 應用 당뇨병, 신경쇠약, 子宮外脫, 尿崩
  • 42. 桑螵蛸散과 金鎖固精丸의비교 공통점 - 澁精止遺 金鎖固精丸 純用 補腎澁精 약물로 구성, 주치 : 腎虛精關不固, 遺精滑精 桑螵蛸散 澁精止遺와交通心腎 약물을 배합, 주치 : 心腎兩虛, 尿頻, 遺尿, 遺精
  • 43. [부방] 縮泉丸 [출전] 婦人良方 [구성] 烏藥6g, 益智仁9g [용법] 爲末, 酒煎 山藥末 糊丸, 梧桐子大, 每次9g, 鹽, 酒, 米飮送下 [효능] 溫腎祛寒, 縮尿止遺 [주치] 膀胱虛寒證. 小便頻數, 或遺尿不止, 舌淡, 脈沈弱 [방해] 益智仁- 辛溫, 溫補脾腎, 固精氣, 縮小便, 君藥이다. 烏藥- 辛溫, 調氣散寒, 能除膀胱腎間冷氣, 止小便頻數, 臣藥이다. 山藥末 糊丸 - 健脾補腎, 固澁精氣, 佐使藥이다.
  • 44. 桑螵蛸散과 縮泉丸의비교 공통점 효능 : 固澁止遺 작용; 치료 : 小便頻數, 或遺尿 桑螵蛸散 약물 : 상표초, 별갑, 용골, 복신, 원지; 효능 : 調補心腎; 치료 : 心腎兩虛所致者 縮泉丸 약물 : 익지인, 오약; 효능 : 溫腎祛寒; 치료 : 下元虛冷所致者
  • 47. 제3절 澁腸固脫劑 槪念 澁腸固脫劑는澁腸固脫 작용으로 腸滑失禁證을 치료한다. 效能 澁腸固脫 適應範圍 脾腎虛寒, 腸道不固, 久瀉久痢, 滑脫不禁
  • 48. 대표 처방 眞人養臟湯, 桃花湯, 四神丸 상용 약물 肉豆蔲, 訶子, 罌粟殼, 赤石脂, 烏梅, 禹餘糧
  • 52. 運用 辨證要點 加減 應用 使用注意 現代 應用
  • 53. 桃花湯[傷寒論] Keywords; 虛寒痢 Points; 配伍 Vs. 白頭翁湯
  • 55. 桃花湯[傷寒論] 用法 水煎服, 每次服用時冲入赤石脂末2g, 1日 3次. 效能 溫中澁腸止痢 主治 虛寒痢. 下痢不止, 便膿血, 色黯不善, 日久不愈, 腹痛喜溫喜按, 舌淡苔白, 脈遲弱或微細
  • 56. 證候 分析 1) 腎陽虛衰, 陰寒內盛, 寒濕阻滯, 腸絡受傷, 變爲膿血, 下痢不止, 色黯不善, 日久不愈 2) 陰虛寒冷, 故腹痛喜溫喜按, 按之則痛減, 舌淡苔白, 脈遲微細; 傷寒論云 “少陰病, 下痢便膿血者, 桃花湯主之” 病理 脾腎陽虛, 陰寒內盛, 陰絶受損
  • 57. 處方解說 治法 溫中澁腸, 補虛固脫 配伍 赤石脂- 溫澁固脫, 止瀉痢, 君藥이다. 乾薑 - 大辛大熱, 溫中散寒, 적석지와 함께 溫中澁腸, 止血止痢, 臣藥이다. 粳米- 甘平, 養胃和中, 적석지, 건강과 함께 固腸胃, 佐使藥이다. 要點 溫澁下焦; 병기 - 下焦陽虛寒凝; 주증- 虛寒痢; 병재 - 脾腎; 속 - 虛寒證
  • 58. 運用 辨證要點 久痢便膿血, 色黯不善, 腹痛喜溫喜按, 舌淡脈弱 加減 應用 1) 陽虛更甚者, 加 附子, 人蔘, 溫陽補氣 2) 腹痛甚者, 加 白芍藥, 柔肝緩急止痛 使用注意 熱痢便膿血, 裏急後重, 肛門灼熱者, 忌用 現代 應用 만성세균성이질, 만성아메바성이질, 만성결장염, 위 십이지장궤양출혈, 기능성자궁출혈
  • 59. Questions! 도화탕적응증은? (주소증, 망진, 복진, 설진, 맥진상…) 도화탕vs.백두옹탕vs. 사역탕?
  • 61. 四神丸 [證治準繩] 用法 細末, 生薑, 大棗를 煮熟하여 大棗肉과 위 藥細末을 丸을 만든다. 梧桐子大를 每次6~9g, 食前에 服用한다. 效能 溫腎暖脾, 固腸止瀉 主治 腎泄. 五更泄瀉, 不思飮食, 食不消化, 或腹痛肢冷, 神疲乏力, 舌淡, 苔薄白, 脈沈遲無力.
  • 62. 證候 分析 1) 腎泄, 于稱 五更泄, 鷄鳴瀉 2) 《素問․ 金匱直言論》: 鷄鳴至平旦, 天之陰, 陰中之陽也, 脾腎陽虛, 陽虛則生內寒, 而五更正是 陰氣極盛, 陽氣萌發之時, 陽氣當至而不至, 陰氣極而下行, 故爲泄瀉. 3) 腎陽虛衰, 命門之火 不能上溫脾土, 脾失健運, 故不思飮食, 食不消化 病理 脾腎虛寒, 胃關不固
  • 63. 處方解說 治法 溫腎暖脾止瀉 配伍 補骨脂 - 辛苦大溫, 補命門之火, 溫養脾土, 《本草綱目》 治腎泄, 君藥이다. 肉豆蔲 - 辛溫, 溫脾暖胃, 澁腸止瀉, 配合補骨脂則溫腎暖脾, 固澁止瀉 효력 증강, 臣藥이다. 五味子 - 酸溫, 固腎益氣, 澁精止瀉 吳茱萸- 辛苦大熱, 溫暖脾腎, 散陰寒, 모두 佐藥이다. 生薑 - 暖胃散寒 大棗 - 補脾養胃, 使藥이다. 四腫之藥, 治腎泄有神功也, 方名, “四神”
  • 64. 要點 溫澁; 병기 - 脾腎虛寒; 주증- 五更泄瀉; 병재 - 脾腎; 속 - 虛寒證
  • 65. 運用 辨證要點 五更泄瀉, 食不消化, 舌淡苔白, 脈沈遲無力 現代 應用 만성장염, 만성결장염, 장기능문란, 장결핵, 과민성장염
  • 66. 眞人養臟湯과 四神丸의 비교 공통점 - 固澁止瀉之劑 四神丸 重用 補骨脂 君藥, 溫腎爲主, 배오 暖脾澁腸약물, 주치 : 命門火衰, 火不生土로 인한 腎泄 眞人養臟湯 罌粟殼君藥, 배오 溫中補脾 약물 人蔘, 白朮, 肉桂, 주치 : 瀉痢日久, 脾腎虛寒, 而脾虛爲主者
  • 67. 제4절 固崩止帶劑 槪念 固崩止帶劑는固崩止帶, 健脾益氣 작용으로 崩漏, 慢性帶下證을 치료한다. 效能 固崩止帶, 健脾益氣 適應範圍 婦女崩漏不止, 帶下淋漓
  • 68. 대표 처방 固冲湯, 完帶湯 상용 약물 龍骨, 牡蠣, 海螵蛸, 五倍子, 茜草
  • 70. 질 출혈 (vaginal bleeding) 정의 주로 여성 생식기(자궁 및 자궁경부, 질, 나팔관, 난소)에서 기인한 출혈을 모두 통칭 원인 - 신생아: 에스트로겐 관련- 초경 전: 이물질, 외상, 성폭력, 감염, 요도 탈출, 난소낭종, 사춘기 조숙증- 초경 초기: 무배란, 출혈소인, 스트레스, 임신, 감염- 가임기: 무배란, 임신, 암, 폴립,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감염, 내분비 기능 이상(갑상선, 다낭성난소증후군 뇌하수체 선종), 출혈소인, 약물 관련(피임약 등)- 폐경 이행기: 무배란, 폴립,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암- 폐경기: 위축성, 암, 에스트로겐 치료 기능 부전성 자궁출혈 : 해부학적 병명없이 자궁내막으로부터의 비정상 출혈
  • 71. 치료 - 기능성 자궁 출혈: 경구용 복합 호르몬 제제, 내과적 치료 실패 또는 금기인 경우 자궁내막 절제 등의 수술적 치료 - 자궁근종, 자궁경부 폴립, 자궁내막 폴립 등: 수술적 제거- 내분비 기능 이상(갑상선, 다낭성 난소 증후군 뇌하수체 선종) 및 출혈성 질환: 각각의 내과적 문제 해결- 감염(자궁내막염 등): 원인균에 대한 항생제 치료-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각각의 질환에 대한 치료
  • 72. 固冲湯[醫學哀中參書錄] 效能 益氣健脾, 固冲攝血 主治 脾氣虛弱, 冲脈不固證. 血崩或月經過多, 色淡質稀, 心悸氣短, 舌淡, 脈微弱
  • 73. 證候 分析 1) 婦人 無周期性 子宮出血, 稱爲“崩漏” 2) 月經週期不變, 而月經量超過, 稱爲“月經過多” 病理 脾氣失去統攝, 冲脈虛則不固
  • 74. 處方解說 治法 補氣健脾固冲爲主, 兼用 收斂固澁止血爲輔 配伍 白朮, 黃芪 - 補氣健脾, 脾氣健旺, 則統攝有權, 君藥이다. 山茱萸, 白芍藥生- 冲脈不固, 肝腎不足과 관계 밀접, 補益肝腎, 養血斂陰, 臣藥이다. 龍骨煆, 牡蠣煆, 棕櫚炭, 五倍子- 收澁止血 海螵蛸, 茜草- 化瘀止血, 使血止而無留瘀之弊, 모두 佐藥 要點 收澁以止血; 병기 - 衝任不固; 주증- 崩漏, 月經過多; 병재 - 肝脾; 속 - 虛證
  • 75. 運用 辨證要點 下血過多, 色淡質稀, 舌淡, 脈微弱 加減 應用 1) 若兼肢冷汗出, 脈微欲絶者, 爲陽脫之象, 加重 黃芪用量, 合 蔘附湯, 益氣回陽 使用注意 血熱妄行者 忌用 現代 應用 자궁 기능성출혈, 산후 출혈과다, 궤양병출혈
  • 76. 崩漏의 분류 1) 悲哀太甚而 崩漏, 宜 備金散 2) 經行犯房, 損傷衝任, 經血暴下, 溫經湯 3) 濕熱下迫, 而爲崩漏, 其色紫黑腐臭, 解毒四物湯 4) 胃氣下陷, 經水暴下, 益胃升陽湯 5) 室女思男, 以致血崩成勞, 十分難治, 四物湯加柴胡, 黃芩
  • 77. 益胃升陽湯 白朮 3錢, 黃芪 2錢, 人蔘, 當歸, 陳皮, 神麯炒, 甘草 各1錢, 升麻, 柴胡 各5分, 黃芩3分 主治 血塊暴下, 幷水泄俱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