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박승권 교수
   sp2996@hanyang.ac.kr.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2




목차
•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현황
• 스마트워크 추진 체계
• 스마트워크 적용 대상
• 표준화 관련 기술적 이슈
• 기술분류체계
• 표준화 필요성
• 결론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3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현황
• 2010년 3월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10대 주요과제를 선
    정하고 최우선과제로 ‘스마트워크’도입을 설정
•   2010년 7월, 방송통신위원회는 ‘스마트워크 인프라 고도화 및 민간 활
    성화 기반 조성’을 발표. 또한 2011년 1월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계획’
    발표.
•   2010년 7월, 행정안전부는 ‘스마트워크 추진전략’ 발표
•   2010년 12월, ‘스마트워크 포럼’이 결성됨.
•   2011년 9월, 스마트워크 센터가 오픈 되어 중앙부처로의 이용이 확대
    되고 있음.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4




최근 1년간 주요 스마트워크 행사
• 2010년 12.14, 조선비즈가 주최, 『스마트워크와 노동의 미래 』 코엑스 그랜드볼륨
• 2011년 6.24, 방송통신위원회 주최,『스마트워크 문화확산 선언식』및 『스마트워크 정책설
    명회』한국정보화진흥원 대강당
•   2011년 6.29~7.1, 매일경제신문사와 MBN이 주최 『 2011 스마트 워크, 스마트 러닝 코리아』
    삼성동 코엑스
•   2011년 9.10~9.14,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스마트&클
    라우드쇼 2011』 행사 개최.
•   2011년 9.21, 스마트워크포럼주최 『스마트워크세미나』대구 계명대학교
•   2011년 11.23,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관 『스마트워크와 소셜미디어 컨퍼
    런스』신한은행 강남별관 9층
•   2011년 11.23, ㈜메가뉴스, ZDNET Korea 주관, 『소셜미디어 시대의 스마트워크 & Life 전
    략』, Coex 1층 그랜드볼륨.
•   2011년 7.12, 포스코, 『스마트워크 페스티발』『스마트폰 앱경진대회』서울 포스코센터, 포
    항본사, 광양 소본부 연결한 합동행사.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5




스마트워크 추진 체계
• 정부는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Control Tower로 하여 관계부처 국장급이 참여하
  는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를 구성(의장 : 행안부 1차관)하여 운영하고 있음
•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는 그 밑에 과장급 ‘실무협의회’를 두고 있음(의장 :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Control Tower)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관계기관 국장급)

                                                스마트워크 포럼
            스마트워크                                 (민간)
            지원센터(NIA)

                        스마트워크 실무협의회
                         (관계기관 과장급)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6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구분                         주요역할
                           ○ 주요 정책 상정·논의
                           - 각 기관 국장급 공무원 참여
              스마트워크
                           ※ 행안부, 방통위, 기재부, 노동부, 여가부, 지경부, 국토부, 중
              추진협의회
                              기청 등 관계기관
                           * 長 : 전략위 정부측 실무위원장인 행안부 1차관
                           ○ 스마트워크 정책 협의·조정 및 이행실적 점검 등
              스마트워크
                           - 각 기관 과장급 공무원 참여
              실무협의회
                           * 실무협의회 長 :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
                           ○ 스마트워크센터 운영지원(상담, 컨설팅 등)
            스마트워크 지원센터
                           ○ 스마트워크 정책수립 지원, 표준모델 개발 및 인증
            (한국정보화진흥원)
                           ○ 우수사례 발굴 및 전파, 대국민 홍보 등
                           ○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책제안 및 민관 협력방안 논의
            스마트워크 포럼       ○ 민간부문의 스마트워크 의견수렴 및 성공사례 등 정보교류
                           ※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 등 참여(’10.12월 창립)
• (구성) 스마트워크 관계기관
   • 행안부, 방통위, 기재부, 고용부, 지경부, 여가부, 국토부, 중기청 등 중앙부처 및 지자체
• (기능) 부처간 협의·조정이 필요한 사항 논의 및 기관별 세부추진과제 마련 및 시행
   • 중요 정책결정사항 등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 상정·심의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7




스마트워크 추진 조직개선안
• 스마트워크의 정책을 범 정부적으로 추진해야 하므로, Control Tower
  를 국무총리실로 변화시킬 필요성이 있음
• 그러므로 스마트워크촉진법의 제정 시에, 추진체계의 Control Tower를
  국무총리실로 하고, 행정안전부가 주무부서가 되어서 범 정부적인 정
  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함
• 이 경우, 행정안전부가 공공분야를 담당하고 민간의 기술적 환경조성
  및 서비스 제공자의 관할권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임
• 행정기관에 대하여 스마트워크 책임관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나,
  기존의 정보화 책임관 제도와 중복의 가능성이 있음. 또한 민간의 활성
  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는 미흡한 실정임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8




스마트워크 적용 대상
• 스마트워크 특성의 차원들
     시간(Time), 장소(Place), 업무(Task), 기술(Technology) 및 Job/Industry (산업군
     이나 직종)의 총 5가지의 잠재 차원들이 내재하여 있는 것으로 나타남

                   재량근무제
                               일반 근로   2 단계     2 단계   2 단계    2 단계    3 단계
                   (anytime)

                   유연근무제
                               일반 근로   1 단계     1 단계   1 단계    1 단계    2 단계
                   /선택시차제
            Time




                   고정근무제       일반 근로   기초       1 단계   1 단계    1 단계    2 단계

                                                                      필요 장소
                                일반     스마트
                                               워크센터            이동형    재량 근무
                               사무실     오피스             재택 근무
                                                 근무            근무     (anywher
                                근무     근무
                                                                         e)

                                              Place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9




스마트워크 발전단계
• 기초 단계: 스마트 ICT를 활용할 수 있는 사무실 설치
• 1단계: 정해진 특정 원격 장소에 근무를 하면서 근무 시간이 고정, 선택, 유연
  제도로 제한이 있고 기록이 되는 근무형태 (정해진 곳에서 정해진 시간만큼)
• 2단계: 정해진 근무 장소 없이 매일 또는 수시로 이동하여 근무하면서 재량 시
  간 근무 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근무형태 (수시로 이동하면서 정해진 시간만큼)
• 3단계: (이상적인 미래 지식정보사회 근로의 모습) 어디에 있거나 스마트ICT를
  활용하여 강제적인 시간 기록 없이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최고 수준의
  스마트워크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0




분류기준에 따른 직종별 근로자수
                                                                                    (기준: 명)

                 Smartwork                      Non-smartwork                    Total

            4,040,803        624,304                         3,033,569 7,698,675

               52.5%              8.1%                            39.4%             100%

              KM               IM               KS                IS             Total

            4,040,803        624,304          566,570 2,466,999 7,698,675

             ※ 2011년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제6차 한국표준직업분류
               2010년 직종별 근로자수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 조사기준 :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자영업주를
               제외한 정규직 근로자, 비정규근로자 전체
              K: Knowledge, I: Information Technology, M: Mobility, S: Static, L: Labor,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1




KIMS 분류 개념도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2




표준화 관련 기술 현황
• TTA에서 인터넷전화, 메시징 서비스, 프레즌스 서비스, 영상회의 등에
  대한 기본적인 표준이 개발되어 있으나, 제품간 상호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부 수준에 대한 규격이 명시되어 있지 않음
   •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호환성은 확보되어 있으나 종단간 상호연동을 위해서는
      세부 사항에 대한 추가적인 표준 정립이 필요
• 실감형 영상회의 서비스인 텔레프레즌스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는 아직
  추진되고 있지 않음
• 행안부는 NIA를 통해 정부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회의 시스템
  표준 개발 작업에 착수하였음.
• 스마트워크 포럼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본격적인 표준화 작업은
  2012년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임.
   • 2011년 7월에 스마트워크 포럼 산하에 스마트워크 WG (Working Group)을 신설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3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 원격협업을 위한 영상회의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텔레프레즌스 기술 개발이 활발히 추
  진 중.
• 이 분야에 Cisco와 Polycom 등이 노력하고 있으며, 중국의 화웨이 및 ZTE 등도 적극적으로 기술 개
  발 중.
• EU는 가정용 텔레프레즌스인, TA2(Together Anywhere, Together Anytime) 프로젝트 진행.
• 미국의 MIT, CMU, GIT 등이 UI/UX 기술 개발 중임
• 스마트워크를 실현하는 원격협업 시스템, UI/UX 등의 핵심 요소기술에 대해 ITU-T, IETF, ISO, IMTC,
  W3C 등 많은 국제표준기구에서 관련 표준개발 작업 추진
   •   텔레프레즌스에대한 기술표준 개발 작업이 적극 추진되고 있음
   •   ITU-T SG16에 Question 5가 텔레프레즌스 서비스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 개발에 착수하였음
   •   기존 제품군간의 호환성 확보와는 별개로 멀티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을 IETF에서 표준화 진행 중에 있음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4




스마트워크 서비스 분류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5
            서비스 유형                                     제공 기능

 텔레프레즌스 서비스                  고해상도, 실감형 화상회의 서비스로 협업툴 기능도 제공

 컨퍼런스 서비스                    컨퍼런스 통화 기능 제공

 모바일워크 서비스                   모바일 오피스,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이동형 업무환경 등을 제공

 통합통신(Unified Communicatio
                             공동문서작업, 인스턴트 메시징, 자료공유, 컨퍼런스 등의 서비스를 통합제공
 n) 서비스

 Remote Access 서비스           데스크톱 가상화, 스토리지 클라우드, 원격 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

 원격협업 서비스                    원격지간의 공동문서작업, 자료공유, 화면 공유, 컨퍼런스 통화 기능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                    스마트워크에 핵심적인 전달망에 대한 품질제어, 이동성 제어, 전송제어를 제공

                             스마트워크 전반에 걸친 보안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네트워크/응용/데이터/사용
 보안 서비스
                             자 보안 기능

                             스마트워크에 분산구조를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지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기능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스마트 워크 서비스의 개발 및 운용/유지보수의 편리함을 위하여 사용되는 미들웨
 개방형 스마트워크 서비스 플랫
                             어의 한 형태로서, 본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
 폼
                             능함

                             스마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손쉬운
 UI/UX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

                             스마트워크 응용서비스별 시험 규격, 품질인증제도 및 체계정립, 스마트워크 유형
 시험, 품질인증 및 관리
                             별 품질인증 규격, 스마트워크센터 관리 및 운용 표준 등의 제공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6




CNPT 분류
               대분류                 중분류
                             텔레프레즌스 단말 기술
               단말                  UI/UX
                                컨퍼런싱 기술
                               스토리지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텔레프레즌스 서버 기술
            (소프트웨어 포함)
                                원격 접속 기술
                              UC 통신 플랫폼 기술
                                  품질 제어

              네트워크                전송 제어

                                 이동성 제어
                            Collaboration tools 기술
                                 네트워크 보안
              응용/보안
                                   자료공유
                                  모바일 보안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7




표준화 필요성
• 현재, 각 기관에 의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솔루션 간
    상호환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스마트워크 서비스의 확산에 저해 요소로
    부각되고 있음
•   스마트워크 서비스 확산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서비스 간 상호호환성
    의 확보이므로, 현재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솔루션 간 상
    호호환성 참조모델 및 세부 기술표준을 정립해야 함
•   주요 외산 솔루션의 경우, 오랫동안의 제품 개발 및 시험 등을 통해 어
    느 정도 상호호환성이 확보되어 있으나 국내 제품의 경우, 제품 간 호
    환성 확보가 매우 미흡하여 시장 진입에 애로가 큼
•   국제적으로, 미래 시장인 고품질, 고실감형 텔레프레즌스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착수되어 논의되고 있는 초기 단계이므로,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이러한 국제표준화 작업에 적극 참여해야
    함
•   국외 주요 기업은, 텔레프레즌스 제품 간 상호호환성 확보로 시장 확보
    가 용이하지 않을 것을 예측하여, 텔레프레즌스 제품 간 상호호환성 표
    준 개발에 착수하였음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8




범국민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
•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회의를 막상 하려고 하면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음. 예를 들자면, 카메라, 마이크, 통신소프트웨어, Power Point, 워
    드프로세서 등의 문서 공유소프트웨어 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
•   스마트워크 포럼이나 관련 기관들이 현재 스마트워크를 실지로 도입하
    지 않고 있음.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국민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호환
    성 있는 범국민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됨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Box로 시스템을 구성하
    고 PC의 USB 포트에 꽂으면 바로 동작하는 Simple한 저가형 범국민
    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 필요함.
•   단순한 시스템으로 출발하여 다자간 회의, 그리고 Security 기능을 갖
    춘 고도의 시스템으로 단계적으로 진화해 나가면 될 것으로 보임.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9




결어
• 스마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였으나, 아직 미흡한
    면이 많은 것으로 보임.
•   스마트워크 추진 구조도 범부처가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Control Tower가 총리실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   스마트워크 발전단계도 제시하였음.
•   스마트워크 활성화 대상도 지식 및 이동성을 가졌으며 정보기술을 활
    용하는 직군이며 이들의 인구수를 제시하였음.
•   스마트워크 관련 기술 분류 및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언급도 하였음.
•   스마트워크의 편리한 도입을 위한 범국민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도 제안하였음.
•   스마트워크를 실지로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정부 부서와 공공기관이 적
    어도 각각 하나씩은 2012년에는 만들어져서 타기관 및 민간기관의 모
    범 사례가 되었으면 함.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20




감사합니다.
• 이 발표 자료는 한국전파진흥협회의 2011년 11월, “스마트워크 중장기 추진목표 및 전략 보고서”를 일부 참
  고하였음.
• 이 보고서는 한양대학교 박승권, 연세대학교 이정우, 경성대 정충식, 숭실대학교 김영한, ETRI 강신각 등에
  의하여 작성됨.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
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
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
StartupAlliance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Seongtak Oh
 
Iot 비즈니스 기회
Iot 비즈니스 기회Iot 비즈니스 기회
Iot 비즈니스 기회Kim jeehyun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Donghyung Shin
 
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
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
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Youna Cha
 
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
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
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
이대진(버츄얼빌더스(주) 이사)
 
드림빌더 귀국보고서
드림빌더 귀국보고서드림빌더 귀국보고서
드림빌더 귀국보고서osheakorea
 
융합콘텐츠
융합콘텐츠융합콘텐츠
융합콘텐츠
sam Cyberspace
 
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
Taiheon Choi
 
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
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
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
simrc
 
싱크로 4D BIM 서비스
싱크로 4D BIM 서비스싱크로 4D BIM 서비스
싱크로 4D BIM 서비스
Taiheon Choi
 
SF 솔루션 소개(pm gm)
SF 솔루션 소개(pm gm)SF 솔루션 소개(pm gm)
SF 솔루션 소개(pm gm)
Juyeon Kim
 
1. bim history
1. bim history1. bim history
1. bim history
Dong Cheon Park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simrc
 
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
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
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Taiheon Choi
 
디쟌과문화피티
디쟌과문화피티디쟌과문화피티
디쟌과문화피티Hyeji Lee
 
[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andstudy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cheolhwa
 

Viewers also liked (20)

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
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
150311_ 테헤란로 커피클럽_캘커타 커뮤니케이션_글로벌 앱 동향(food & drink)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12 제주스마트워크센터운영성과
 
Iot 비즈니스 기회
Iot 비즈니스 기회Iot 비즈니스 기회
Iot 비즈니스 기회
 
테라로사 Slideshare
테라로사 Slideshare테라로사 Slideshare
테라로사 Slideshare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Issue01
Issue01Issue01
Issue01
 
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
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
웹업로드용 Colla bim 2013 bim competition
 
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
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
BIM 기반 통합 설계 품질검토 시스템 개발
 
드림빌더 귀국보고서
드림빌더 귀국보고서드림빌더 귀국보고서
드림빌더 귀국보고서
 
융합콘텐츠
융합콘텐츠융합콘텐츠
융합콘텐츠
 
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
 
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
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
1.마곡 u city 구축사업 소개
 
싱크로 4D BIM 서비스
싱크로 4D BIM 서비스싱크로 4D BIM 서비스
싱크로 4D BIM 서비스
 
SF 솔루션 소개(pm gm)
SF 솔루션 소개(pm gm)SF 솔루션 소개(pm gm)
SF 솔루션 소개(pm gm)
 
1. bim history
1. bim history1. bim history
1. bim history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2.마곡 u city 구축사업의 bim모델링적용
 
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
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
현장에서의 비주얼 코디네이션
 
디쟌과문화피티
디쟌과문화피티디쟌과문화피티
디쟌과문화피티
 
[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페차쿠차] 전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을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05 스마트워크성숙도모델기반컨설팅사례
 

Similar to 05 박승권교수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Kevin Kim
 
Iot support technologies
Iot support technologiesIot support technologies
Iot support technologies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Youn Sang Jang
 
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
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
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atelier t*h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atelier t*h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Daeyoung Kim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Xanat V. Meza
 
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
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
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Seongtak Oh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cheolhwa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Kevin Kim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Seongtak Oh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Jinsung Son
 
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
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
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
우진 신
 
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
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
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
RSUPPORT
 
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
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
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
JUNGHUN LEE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병석 양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봉조 김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Donghyung Shin
 

Similar to 05 박승권교수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20)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Iot support technologies
Iot support technologiesIot support technologies
Iot support technologies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oT 공통플랫폼의 구축 및 활용전략
 
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
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
It융합 서비스 사례 스마트워크 플랫폼을 이용한 주택관리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Keit 13-05-이슈5(스마트홈 미들웨어 기술 동향 및 산업 융합 전략)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8기_Smart4_탐방 계획서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Smartwork methodology construction - a book chapter by Noh Gyu Seong
 
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
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
13 인천정보산업진흥원스마트워크추진결과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02 스마트워크 정책 추진현황 및 향후과제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사물인터넷 기본계획
사물인터넷 기본계획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01 정지훈소장 smart_work_smartsociety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중소기업 스마트워크를 위한 IT시스템 확충 방안
 
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
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
비교논문 분석 - 디지털 IoT 도어락 DDiT
 
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
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
발표자료 - 성공적인 공공기관 유지보수와 모바일 오피스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활용 방안 - 알서포트
 
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
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
음성인식 기반의 지역 캐릭터 시스템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대학생 It전공자를 위한 소프트웨어특강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Weather station performance sharing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05 박승권교수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 1.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 스마트워크의 활성화 과제와 표준화의 필요성 한양대학교 융합전자공학부 박승권 교수 sp2996@hanyang.ac.kr.
  • 2.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2 목차 •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현황 • 스마트워크 추진 체계 • 스마트워크 적용 대상 • 표준화 관련 기술적 이슈 • 기술분류체계 • 표준화 필요성 • 결론
  • 3.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3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 현황 • 2010년 3월 대통령 직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10대 주요과제를 선 정하고 최우선과제로 ‘스마트워크’도입을 설정 • 2010년 7월, 방송통신위원회는 ‘스마트워크 인프라 고도화 및 민간 활 성화 기반 조성’을 발표. 또한 2011년 1월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계획’ 발표. • 2010년 7월, 행정안전부는 ‘스마트워크 추진전략’ 발표 • 2010년 12월, ‘스마트워크 포럼’이 결성됨. • 2011년 9월, 스마트워크 센터가 오픈 되어 중앙부처로의 이용이 확대 되고 있음.
  • 4.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4 최근 1년간 주요 스마트워크 행사 • 2010년 12.14, 조선비즈가 주최, 『스마트워크와 노동의 미래 』 코엑스 그랜드볼륨 • 2011년 6.24, 방송통신위원회 주최,『스마트워크 문화확산 선언식』및 『스마트워크 정책설 명회』한국정보화진흥원 대강당 • 2011년 6.29~7.1, 매일경제신문사와 MBN이 주최 『 2011 스마트 워크, 스마트 러닝 코리아』 삼성동 코엑스 • 2011년 9.10~9.14,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가 주최,『스마트&클 라우드쇼 2011』 행사 개최. • 2011년 9.21, 스마트워크포럼주최 『스마트워크세미나』대구 계명대학교 • 2011년 11.23, 중소기업청 및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주관 『스마트워크와 소셜미디어 컨퍼 런스』신한은행 강남별관 9층 • 2011년 11.23, ㈜메가뉴스, ZDNET Korea 주관, 『소셜미디어 시대의 스마트워크 & Life 전 략』, Coex 1층 그랜드볼륨. • 2011년 7.12, 포스코, 『스마트워크 페스티발』『스마트폰 앱경진대회』서울 포스코센터, 포 항본사, 광양 소본부 연결한 합동행사.
  • 5.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5 스마트워크 추진 체계 • 정부는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를 Control Tower로 하여 관계부처 국장급이 참여하 는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를 구성(의장 : 행안부 1차관)하여 운영하고 있음 •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는 그 밑에 과장급 ‘실무협의회’를 두고 있음(의장 :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Control Tower)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관계기관 국장급) 스마트워크 포럼 스마트워크 (민간) 지원센터(NIA) 스마트워크 실무협의회 (관계기관 과장급)
  • 6.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6 스마트워크 추진협의회 구분 주요역할 ○ 주요 정책 상정·논의 - 각 기관 국장급 공무원 참여 스마트워크 ※ 행안부, 방통위, 기재부, 노동부, 여가부, 지경부, 국토부, 중 추진협의회 기청 등 관계기관 * 長 : 전략위 정부측 실무위원장인 행안부 1차관 ○ 스마트워크 정책 협의·조정 및 이행실적 점검 등 스마트워크 - 각 기관 과장급 공무원 참여 실무협의회 * 실무협의회 長 :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 ○ 스마트워크센터 운영지원(상담, 컨설팅 등) 스마트워크 지원센터 ○ 스마트워크 정책수립 지원, 표준모델 개발 및 인증 (한국정보화진흥원) ○ 우수사례 발굴 및 전파, 대국민 홍보 등 ○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책제안 및 민관 협력방안 논의 스마트워크 포럼 ○ 민간부문의 스마트워크 의견수렴 및 성공사례 등 정보교류 ※ 학계, 산업계, 연구기관 등 참여(’10.12월 창립) • (구성) 스마트워크 관계기관 • 행안부, 방통위, 기재부, 고용부, 지경부, 여가부, 국토부, 중기청 등 중앙부처 및 지자체 • (기능) 부처간 협의·조정이 필요한 사항 논의 및 기관별 세부추진과제 마련 및 시행 • 중요 정책결정사항 등은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에 상정·심의
  • 7.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7 스마트워크 추진 조직개선안 • 스마트워크의 정책을 범 정부적으로 추진해야 하므로, Control Tower 를 국무총리실로 변화시킬 필요성이 있음 • 그러므로 스마트워크촉진법의 제정 시에, 추진체계의 Control Tower를 국무총리실로 하고, 행정안전부가 주무부서가 되어서 범 정부적인 정 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야 함 • 이 경우, 행정안전부가 공공분야를 담당하고 민간의 기술적 환경조성 및 서비스 제공자의 관할권은 방송통신위원회가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임 • 행정기관에 대하여 스마트워크 책임관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나, 기존의 정보화 책임관 제도와 중복의 가능성이 있음. 또한 민간의 활성 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는 미흡한 실정임
  • 8.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8 스마트워크 적용 대상 • 스마트워크 특성의 차원들 시간(Time), 장소(Place), 업무(Task), 기술(Technology) 및 Job/Industry (산업군 이나 직종)의 총 5가지의 잠재 차원들이 내재하여 있는 것으로 나타남 재량근무제 일반 근로 2 단계 2 단계 2 단계 2 단계 3 단계 (anytime) 유연근무제 일반 근로 1 단계 1 단계 1 단계 1 단계 2 단계 /선택시차제 Time 고정근무제 일반 근로 기초 1 단계 1 단계 1 단계 2 단계 필요 장소 일반 스마트 워크센터 이동형 재량 근무 사무실 오피스 재택 근무 근무 근무 (anywher 근무 근무 e) Place
  • 9.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9 스마트워크 발전단계 • 기초 단계: 스마트 ICT를 활용할 수 있는 사무실 설치 • 1단계: 정해진 특정 원격 장소에 근무를 하면서 근무 시간이 고정, 선택, 유연 제도로 제한이 있고 기록이 되는 근무형태 (정해진 곳에서 정해진 시간만큼) • 2단계: 정해진 근무 장소 없이 매일 또는 수시로 이동하여 근무하면서 재량 시 간 근무 제도를 활용할 수 있는 근무형태 (수시로 이동하면서 정해진 시간만큼) • 3단계: (이상적인 미래 지식정보사회 근로의 모습) 어디에 있거나 스마트ICT를 활용하여 강제적인 시간 기록 없이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최고 수준의 스마트워크
  • 10.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0 분류기준에 따른 직종별 근로자수 (기준: 명) Smartwork Non-smartwork Total 4,040,803 624,304 3,033,569 7,698,675 52.5% 8.1% 39.4% 100% KM IM KS IS Total 4,040,803 624,304 566,570 2,466,999 7,698,675 ※ 2011년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제6차 한국표준직업분류 2010년 직종별 근로자수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 조사기준 :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자영업주를 제외한 정규직 근로자, 비정규근로자 전체 K: Knowledge, I: Information Technology, M: Mobility, S: Static, L: Labor,
  • 11.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1 KIMS 분류 개념도
  • 12.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2 표준화 관련 기술 현황 • TTA에서 인터넷전화, 메시징 서비스, 프레즌스 서비스, 영상회의 등에 대한 기본적인 표준이 개발되어 있으나, 제품간 상호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부 수준에 대한 규격이 명시되어 있지 않음 • 기본적인 기능에 대한 호환성은 확보되어 있으나 종단간 상호연동을 위해서는 세부 사항에 대한 추가적인 표준 정립이 필요 • 실감형 영상회의 서비스인 텔레프레즌스 시스템에 대한 표준화는 아직 추진되고 있지 않음 • 행안부는 NIA를 통해 정부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회의 시스템 표준 개발 작업에 착수하였음. • 스마트워크 포럼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본격적인 표준화 작업은 2012년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임. • 2011년 7월에 스마트워크 포럼 산하에 스마트워크 WG (Working Group)을 신설
  • 13.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3 국외 기술개발 및 표준화 현황 • 원격협업을 위한 영상회의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텔레프레즌스 기술 개발이 활발히 추 진 중. • 이 분야에 Cisco와 Polycom 등이 노력하고 있으며, 중국의 화웨이 및 ZTE 등도 적극적으로 기술 개 발 중. • EU는 가정용 텔레프레즌스인, TA2(Together Anywhere, Together Anytime) 프로젝트 진행. • 미국의 MIT, CMU, GIT 등이 UI/UX 기술 개발 중임 • 스마트워크를 실현하는 원격협업 시스템, UI/UX 등의 핵심 요소기술에 대해 ITU-T, IETF, ISO, IMTC, W3C 등 많은 국제표준기구에서 관련 표준개발 작업 추진 • 텔레프레즌스에대한 기술표준 개발 작업이 적극 추진되고 있음 • ITU-T SG16에 Question 5가 텔레프레즌스 서비스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 개발에 착수하였음 • 기존 제품군간의 호환성 확보와는 별개로 멀티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을 IETF에서 표준화 진행 중에 있음
  • 14.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4 스마트워크 서비스 분류
  • 15.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5 서비스 유형 제공 기능 텔레프레즌스 서비스 고해상도, 실감형 화상회의 서비스로 협업툴 기능도 제공 컨퍼런스 서비스 컨퍼런스 통화 기능 제공 모바일워크 서비스 모바일 오피스,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이동형 업무환경 등을 제공 통합통신(Unified Communicatio 공동문서작업, 인스턴트 메시징, 자료공유, 컨퍼런스 등의 서비스를 통합제공 n) 서비스 Remote Access 서비스 데스크톱 가상화, 스토리지 클라우드, 원격 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 원격협업 서비스 원격지간의 공동문서작업, 자료공유, 화면 공유, 컨퍼런스 통화 기능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 스마트워크에 핵심적인 전달망에 대한 품질제어, 이동성 제어, 전송제어를 제공 스마트워크 전반에 걸친 보안성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네트워크/응용/데이터/사용 보안 서비스 자 보안 기능 스마트워크에 분산구조를 활용하기 위한 스토리지 클라우드, 컴퓨팅 클라우드 기능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스마트 워크 서비스의 개발 및 운용/유지보수의 편리함을 위하여 사용되는 미들웨 개방형 스마트워크 서비스 플랫 어의 한 형태로서, 본 서비스 플랫폼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가 폼 능함 스마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이고 손쉬운 UI/UX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 스마트워크 응용서비스별 시험 규격, 품질인증제도 및 체계정립, 스마트워크 유형 시험, 품질인증 및 관리 별 품질인증 규격, 스마트워크센터 관리 및 운용 표준 등의 제공
  • 16.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6 CNPT 분류 대분류 중분류 텔레프레즌스 단말 기술 단말 UI/UX 컨퍼런싱 기술 스토리지 클라우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텔레프레즌스 서버 기술 (소프트웨어 포함) 원격 접속 기술 UC 통신 플랫폼 기술 품질 제어 네트워크 전송 제어 이동성 제어 Collaboration tools 기술 네트워크 보안 응용/보안 자료공유 모바일 보안
  • 17.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7 표준화 필요성 • 현재, 각 기관에 의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솔루션 간 상호환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스마트워크 서비스의 확산에 저해 요소로 부각되고 있음 • 스마트워크 서비스 확산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서비스 간 상호호환성 의 확보이므로, 현재 시장에서 통용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솔루션 간 상 호호환성 참조모델 및 세부 기술표준을 정립해야 함 • 주요 외산 솔루션의 경우, 오랫동안의 제품 개발 및 시험 등을 통해 어 느 정도 상호호환성이 확보되어 있으나 국내 제품의 경우, 제품 간 호 환성 확보가 매우 미흡하여 시장 진입에 애로가 큼 • 국제적으로, 미래 시장인 고품질, 고실감형 텔레프레즌스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착수되어 논의되고 있는 초기 단계이므로, 국내에서도 관련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이러한 국제표준화 작업에 적극 참여해야 함 • 국외 주요 기업은, 텔레프레즌스 제품 간 상호호환성 확보로 시장 확보 가 용이하지 않을 것을 예측하여, 텔레프레즌스 제품 간 상호호환성 표 준 개발에 착수하였음
  • 18.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8 범국민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 •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회의를 막상 하려고 하면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음. 예를 들자면, 카메라, 마이크, 통신소프트웨어, Power Point, 워 드프로세서 등의 문서 공유소프트웨어 등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음. • 스마트워크 포럼이나 관련 기관들이 현재 스마트워크를 실지로 도입하 지 않고 있음.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국민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호환 성 있는 범국민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됨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하여 하나의 Box로 시스템을 구성하 고 PC의 USB 포트에 꽂으면 바로 동작하는 Simple한 저가형 범국민 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 필요함. • 단순한 시스템으로 출발하여 다자간 회의, 그리고 Security 기능을 갖 춘 고도의 시스템으로 단계적으로 진화해 나가면 될 것으로 보임.
  • 19.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19 결어 • 스마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하였으나, 아직 미흡한 면이 많은 것으로 보임. • 스마트워크 추진 구조도 범부처가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Control Tower가 총리실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임. • 스마트워크 발전단계도 제시하였음. • 스마트워크 활성화 대상도 지식 및 이동성을 가졌으며 정보기술을 활 용하는 직군이며 이들의 인구수를 제시하였음. • 스마트워크 관련 기술 분류 및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언급도 하였음. • 스마트워크의 편리한 도입을 위한 범국민적인 스마트워크 시스템 개발 및 표준화도 제안하였음. • 스마트워크를 실지로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정부 부서와 공공기관이 적 어도 각각 하나씩은 2012년에는 만들어져서 타기관 및 민간기관의 모 범 사례가 되었으면 함.
  • 20. 2011-12-8 한양대학교 박승권 교수 20 감사합니다. • 이 발표 자료는 한국전파진흥협회의 2011년 11월, “스마트워크 중장기 추진목표 및 전략 보고서”를 일부 참 고하였음. • 이 보고서는 한양대학교 박승권, 연세대학교 이정우, 경성대 정충식, 숭실대학교 김영한, ETRI 강신각 등에 의하여 작성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