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32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 연구 보고서
2014.01.31
연구수행기관 : ㈜엠엔앰네트웍스
한국텔레스크린협회
- 2 -
제 출 문
한국텔레스크린협회
본 보고서를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 연구”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01.31
수 탁 연 구 기 관 엠앤엠네트웍스㈜
연 구 책 임 자 김 성 원
참 여 연 구 원 이 세 리
- 3 -
목 차
그림 목차 .............................................................................................................................................................. 7
1.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배경 ....................................................................................... 9
1.1 텔레스크린에 대한 이해............................................................................................................ 9
1.2 방송통신 융합과 융합 미디어 ..............................................................................................11
1.3 스마트 미디어 ..............................................................................................................................15
1.4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목적..........................................................................16
2. 공공 서비스 이론적과 개념...............................................................................................................18
2.1 공공서비스 개념..........................................................................................................................18
2.2 도시공공서비스............................................................................................................................21
2.3 신공공서비스.................................................................................................................................24
2.4 공공서비스 유형..........................................................................................................................26
3. 공공서비스 공급......................................................................................................................................28
3.1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28
3.2 공공서비스 공급방식.................................................................................................................29
3.3 공공서비스의 공급유형............................................................................................................31
3.3.1 정부의 직접공급..................................................................................................................31
3.3.2 계약...........................................................................................................................................31
3.3.3 허가...........................................................................................................................................32
3.3.4 보조금......................................................................................................................................32
3.4 민영화와 민간 위탁...................................................................................................................33
3.4.1 민간부문으로 이양해야 할 기능 .................................................................................34
3.4.2 민간위탁 대상 정부기능의 선정기준 ........................................................................34
3.4.3 민간 위탁의 운영 형태....................................................................................................35
- 4 -
3.5 공공서비스의 계약방식............................................................................................................35
3.5.1 서비스 계약...........................................................................................................................36
3.5.2 관리운영 계약......................................................................................................................36
3.5.3 임대차 계약...........................................................................................................................36
3.5.4 양여권 계약...........................................................................................................................36
3.6 공공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37
3.7 공공서비스 품질 관리 필요성 ..............................................................................................38
4. IT 기술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40
4.1 공공서비스에서 기술의 역할.................................................................................................40
4.2 사용자의 중심의 공공서비스.................................................................................................42
4.3 공공서비스를 위한 기술확산.................................................................................................43
4.4 U City 서비스..................................................................................................................................45
4.4.1 U-City 서비스 분류............................................................................................................47
4.4.2 U City 서비스 수익성 이해..............................................................................................56
4.4.3 U City 기술 표준 현황 .......................................................................................................58
4.5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 서비스 ..............................................................................61
4.5.1 IPTV 공공서비스...................................................................................................................63
4.5.2 DCATV 공공서비스 .............................................................................................................63
4.5.3 스마트 TV 공공서비스....................................................................................................64
4.6 표준 체계........................................................................................................................................65
4.6.1 U-City 서비스 표준체계...................................................................................................65
4.6.2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플랫폼....................................................67
5. 국내외 IT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 ..................................................................................................70
5.1 국내 U-City 공공서비스 선정 ...........................................................................................70
5.2 국내 U-City 서비스 우수 사례.........................................................................................73
- 5 -
5.2.1 용인 흥덕지구......................................................................................................................73
5.2.2 광교 신도시...........................................................................................................................74
5.2.3 판교 신도시...........................................................................................................................75
5.2.4 파주교하 신도시..................................................................................................................76
5.2.5 인천경제자유구역(IFEZ)................................................................................................77
5.3 해외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78
5.3.1 미국...........................................................................................................................................78
5.3.2 영국...........................................................................................................................................81
5.3.3 호주...........................................................................................................................................83
5.3.4 일본...........................................................................................................................................84
5.4 국내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사례 ..............................................................................86
5.4.1 IPTV 공공서비스 시범 사례............................................................................................86
5.4.2 DCATV 공공서비스 사례..................................................................................................88
5.5 국외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사례 ..............................................................................90
5.5.1 영국...........................................................................................................................................90
5.5.2 미국...........................................................................................................................................91
6. 텔레스크린 기반 공공서비스 모델.................................................................................................92
6.1 텔레스크린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반 융,복합 스마트 미디어 이해....................92
6.2 텔레스크린 기술 및 표준화...................................................................................................98
6.2.1 유비쿼터스 기술과 공공미디어....................................................................................98
6.2.2 텔레스크린 기술과 표준화.......................................................................................... 103
6.3 국내외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사례.............................................................................. 109
6.3.1 국내 재난 재해 중심으로 한 사례.......................................................................... 110
6.3.2 해외 사례 ............................................................................................................................ 113
6.4 텔레스크린 적용 공공서비스 검토.................................................................................. 116
- 6 -
6.5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모델 설계 방법 및 프로세스 ........................................... 122
6.6 텔레스크린 적용 가능한 공공서비스 모델 예 ........................................................... 129
- 7 -
그림 목차
그림 1 텔레스크린 융합 과정...............................................................10
그림 2 방송통신융합 개념도 ................................................................13
그림 3 방송통신 융합미디어 서비스 발전 방향...................................14
그림 4 스마트 미디어 진화 과정 .........................................................15
그림 5 재화의 유형 ..............................................................................23
그림 6 공공서비스 유형 .......................................................................27
그림 7 사회복지서비스 흐름도.............................................................28
그림 8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 모형.................................................29
그림 9 재화 서비스 공급방식의 유형...................................................30
그림 10 공공서비스 전달 체계 ............................................................38
그림 11 u-City 산업 및 서비스 분류 예시.........................................48
그림 12 u-City 유망서비스 선정기준을 위한 분류.............................50
그림 13 국토해양부의 u-City 서비스 분류 체계 및 통합서비스 예시
.......................................................................................................54
그림 14 u-City 서비스 제공 결정 기준..............................................58
그림 15 u City 기반기술 표준현황 ......................................................60
그림 16 u-City 연계기술 표준화 현황................................................60
그림 17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적용대상...............................................61
그림 18 PC vs TV 기반 공공서비스 비교 ...........................................65
그림 19 서비스 표준체계 수립단계 산출물 .........................................67
그림 20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 대상 예.....................68
그림 21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성방안 ........................69
그림 22 기존 시군구 업무와 시도 업무...............................................70
그림 23 분야별 선호 서비스................................................................71
그림 24 2010년 기준 국내 u-City 추진 현황 ...................................72
그림 25 용인흥덕지구 구성도 ..............................................................73
- 8 -
그림 26 광교 u-City의 미래상...........................................................74
그림 27 판교 신도시 개념도................................................................75
그림 28 파주교하 신도시 구성도.........................................................76
그림 29 인천경제자유구역 추진전략....................................................77
그림 30 유비쿼터스 특구사업 ..............................................................85
그림 31 미디어 융합에 따른 스마트 미디어 분류 ...............................93
그림 32 방송통신 융합.........................................................................94
그림 33 IPTV 기술 발전 전망 : 유비쿼터스화 ...................................96
그림 34 유비쿼터스 서비스 발전 단계.............................................100
그림 35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 ..........................................................102
그림 36 텔레스크린 시스템 구성 요소 ..............................................104
그림 37 미디어 변화에 따른 재난방송 체계 구성도..........................111
그림 38 텔레스크린 기반 재난관리 시스탬 구성도 ...........................112
그림 39 일본 재난 재해 방송 디지털사이니지 자판기 ......................114
그림 40 일본 재해 대책용 디지털 사이니지 플랫폼 구축 계획 ........114
그림 41 방송통신융합형 공공서비스 사례 .........................................116
그림 42 텔레스크린 정보 수집, 가공 생산 및 미디어 소비 형태......118
그림 43 텔레스크린 공공 서비스 특징 ..............................................119
그림 44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모델 유형 .......................................122
그림 45 강남미디오 폴.......................................................................123
그림 46 디자인을 통한 공공서비스 혁신 및 사화문제 해결 사례.....124
그림 47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정의 ..............................................125
그림 48 텔레스크린 서비스 모델 개발 프로세스...............................128
그림 49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모델 개발 요소...............................129
그림 50 텔레스크린 적용 가능한 공공 서비스 예 .............................130
- 9 -
1.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배경
1.1 텔레스크린에 대한 이해
텔레스크린은 공간을 미디어로 장소를 채널로 규정하여 사람과
소통하는 뉴미디어이다.
텔레스크린을 “포스터/간판/현수막 등 아날로그 옥외광고 매체가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대체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쌍방향으로 제공하는 IT 융합시스템으로 TV-PC-휴대폰 등
기존 3 대 스크린에 이은 ‘제 4 의 스크린 미디어’로 방송통신
위원회는 정의 내리고 있다. 그리고 ITU 에서는 서비스 요구사항과
IPTV 기반의 구조로 정보와 광고 그리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날짜와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위치한 곳에
스케줄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규정하고 있다.1
텔레스크린은“공간을 기반으로 하여 사람과 접점을 이루는 지능형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상호 제공하는 융합
미디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간을 기반으로 한다는 의미는 공공 미디어로서 옥외에 설치되어
운영됨을 의미하며, 사람과 접점을 이루는 지능형 디지털
1
ITU-T H.780 _ Approved in June 2012
- 10 -
디스플레이라 함은 주변 상황정보와 연계하여 인터랙티브한
방식으로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좀 더 발전된
인공 지능(AI)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함은 융합, 양방향, 스마트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송, 수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융합 미디어는
기존의 옥외 기반의 광고, 공공 미디어(OOH: Out Of Home
media)와 디지털 기술과 결합으로 디지털 옥외 미디어(DOOH:
Digital Out Of Home media)와 홈 미디어(TV, 가전 제품 등), 개인
미디어 (개인용 스마트 기기)등과의 연동과 유통을 의미한다.
그림 1 텔레스크린 융합 과정
텔레스크린에 대한 이해는 옥외 광고에서부터 ICT 와 미디어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고 융합적 관점에서 접근을 해야 한다.
- 11 -
기기 융합 관점은 기존의 옥외 미디어(OOH)기기에 디지털 기기가
접목이 되어 하드웨어 기반의 텔레스크린이 되었다. 이후 옥외
미디어(OOH)산업과 ICT 산업이 접목 되어 디지털 옥외
미디어(DOOH)로 발전하였다. 최근에는 초 연결 사회를 지향하면서
N Screen 개념이 적용이 되어 개인 미디어, 홈 미디어와 더불어
텔레스크린이 공공미디어 개념으로 텔레스크린으로 규정이 되면서
미디어간의 융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기기와 산업 융합에서 미디어
융합을 통해 융합 미디어로서 텔레스크린의 역할과 정의가 내려진다.
1.2 방송통신 융합과 융합 미디어
방송통신융합은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해 대두되는 새로운
미디어환경으로, 통신과 방송의 구분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TV 나 라디오로만 볼 수 있던 방송 콘텐츠를 휴대전화나
개인휴대단말기, 차량용 TV 로도 받아볼 수 있게 되고, 또한
일방적으로 받기만 하는 방송과 달리 방송을 보는 도중에도
정보검색이나 e 메일 사용을 하는 등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첫째로 '망의 융합(convergence of network)'이 있는데, 이는
방송망과 통신망의 구분이 점차 불명확해지는 것을 말한다. 즉,
방송이 방송망뿐이 아니라 통신망을 통하여도 전송되며 또 통신도
통신망뿐만 아니라 방송망을 통하여도 행하여지는 현상을 말하는
- 12 -
것이다. CATV 망을 이용한 통신서비스, FM 주파수대역을 이용한
무선호출서비스, 통신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둘째로 '서비스의 융합(convergence of service provision)'은
방송과 통신 서비스의 구분이 불분명해지는 경계영역적 서비스가
출현하는 것이다. 방송에서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인에 대한
수신을 목적으로 하거나 양방향성의 서비스를 내보내며, 통신 분야도
다수의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일방향성 서비스가 증가하고 통신망의
대역폭 증가 등의 이유로 영상 서비스의 제공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셋째로 '기업의 융합(convergence of corporate organizations)'은
방송사업자가 통신사업을 하며 통신사업자가 방송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송통신융합의 예로는 데이터방송, DMB, DMC
등이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등장한 인터넷방송이나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와 텔레스크린 서비스 등도 방송통신
융합의 예로 볼 수 있다. 방송통신 융합은 독자적으로 발전해온
방송과 통신 서비스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되어, 소비자의 선택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며 새로운 미디어 문화를 창달하는 기술/문화/경제적인
현상이라고 정의된다.
- 13 -
그림 2 방송통신융합 개념도2
이러한 방송통신 융합은 궁극적으로 융합 미디어를 탄생시키는
인과율을 결정하는데, 융합미디어란 디지털 미디어가
다대다(多對多)인터넷 네트워킹 망을 기반으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새로운 미디어를 의미한다.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과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며 따라서 융합
미디어는 정보의 생성, 저장, 전달, 및 전파의 모든 부분에 새로운
가치사슬을 형성시킨다. 융합은 크게 정보-전달매체-망간의 다양한
결합 즉, 서비스 및 단말기의 융합 그리고 전달매체 간 발생하고
특히 방송과 통신간의 경계가 중첩되는 네트워크 융합이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융합 미디어는 문자, 소리, 영상이라는 정보
2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서비스 동향 및 전망 (ETRI 홍진우 2010)
- 14 -
표현수단들이 디지털 방송통신 융합 망을 통하여 전달시키는 장치가
되고 이를 개개인들이 활용하는 수단이 단말기라고 하겠다.
융합 미디어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면 개인화 / 지능화, 이동성 /
선택성, 실감화가 주요 핵심이다. 이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및 기술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홈
미디어, 개인 미디어 공공 미디어간의 융합의 특징을 의미한다.
그림 3 방송통신 융합미디어 서비스 발전 방향3
홈 미디어로 분류될 수 있는 TV, PC 와 개인 미디어의 스마트 기기
기반의 소셜 미디어 그리고 텔레스크린 기반의 공공 미디어 등은
3 스크린 개념이 확장된 4 스크린 개념과 N 스크린 개념이 결함 되어
융합 미디어로서 확장되고 있다
3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서비스 동향 및 전망 (ETRI 홍진우 2010)
- 15 -
1.3 스마트 미디어
스마트 미디어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콘텐츠가 표현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융, 복합 서비스”라고
규정된다. 스마트 사회를 이끄는 기술은 디지털 IT 기술이다. 디지털
IT 기술은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미디어와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이른바 스마트 기기로 불리는 스마트 폰,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등은 한동안 정체되어왔던 디지털 기술이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을 양산 시키고 있다.
그림 4 스마트 미디어 진화 과정4
스마트폰의 진화는 곧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N 스크린이라는
스마트 미디어로 확산되고 있다. 기기와 서비스, 콘텐츠의 본격적인
4
스마트미디어와 저작권보호기술 동향 (문화체육관광부 최재표, 2011)
- 16 -
결합이라 할 수 있는 미디어의 스마트화는 기술적으로 무선인터넷의
확대,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이 기반이 되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원하는 콘텐츠를 어디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전개로 미디어 서비스는
단순히 제품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차원을 너머 다양한 형태의
연계와 결합을 통해 제공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연계한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고객의 필요를 반영하면서 끈끈한 유대관계를 형성한 모델로
제공되고 있다.
1.4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목적
제 4 의 스크린으로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시공간 제약 없이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서비스로 스마트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을 하는 텔레스크린은 공간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옥외 미디어이다.
옥외 미디어는 전통적으로 공공성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운영하였다.
텔레스크린이 융합 미디어와 스마트 미디어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공성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공공서비스를
창조하고 발굴해야 한다. 이를 위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조사와
텔레스크린 기반의 공공서비스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삶의 질을
- 17 -
높이며 새로운 공공미디어로서 서비스를 규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공서비스 조사와 연구에 있어 준공공재로서의 텔레스크린의
역할과 기능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검토하고, 국내적용 가능한
공공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 관계를 통해 서비스의 지속성을 통해
경쟁력과 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 연구는 기존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활용 그리고
공공서비스 정의와 현황 등을 여러 검증되고 연구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수용을 하였으며, 디지털 서비스를 위한 공공서비스 부분은 u-
City 와 IPTV 부분에서 검토되고 기획 설계된 부분들을 검토하여
텔레스크린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 가능한 공공서비스를 제안하였다.
u-City 와 IPTV 서비스가 인프라와 홈 미디어를 토대로 하여
공공서비스를 기획하면서 포괄적인 접근을 하였다. 미디어에 따른
특성을 분류하여 다시 텔레스크린 적용 공공서비스를 제안하려고
했다. 본 조사 연구는 텔레스크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공서비스의 효율적인 활용과 적용 및 운영 그리고 트랜드에 따른
새로운 공공서비스를 제안하고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자료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텔레스크린이 제공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조사 연구하였다.
- 18 -
2.공공 서비스 이론적과 개념
2.1 공공서비스 개념
공공서비스의 개념이 만들어지던 초창기에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들은 주로 자선단체나 종교조직이었다. 그 가운데 많은 업무들을
공공재원으로 운영되는 기관들이 인수하여 제공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19 세기까지만 해도 민간기업들이 핵심적 공공서비스인 도로와
교량 및 철도 등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20 세기 초 행정국가의 경향이
부각되면서 영미국가는 물론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이러한
기간서비스들이 상수도, 가스, 전기, 전신 등과 보편적 서비스와 함께
공적 소유로 이전되었다.5
영어사전에 의하면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는 1) 전기, 가스 등
일반 대중에게 긴요한 용역을 제공하는 일, 2) 공무원, 3)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이 대가를 바라지 않고 제공하는 용역 등을 의미한다.6
일반적으로 국가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활동과 재화 및
서비스 공급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Lucy, Gilbert & Birkhead(1977)에 따르면 공공서비스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정부가
5
영국의 경우에는 철강과 석탄 산업들도 공적 소유권에 포함되었고, 많은 동유럽 국가에서는 농업을 포함한 대
부분의 산업까지 공적 소유권이 확대 적용되었다.
6
Oxford Dictionary, 1989: 774
- 19 -
사회 내 편익을 배분하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Jones(1981)는
공공서비스를 사회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공공서비스를 정부 등
공공기관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사회의 일반 공중이 모두 이용할 수
있게 공급되는 서비스로 정의하기도 한다 7
. 또한, 공공서비스는
공공의 재화와 용역으로 공급주체가 공공부문이나 민간부문이건
상관없이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8
공공서비스를 비배제성(non-exclusive)과 비경합성(non-
rivalry)을 가진 서비스로 것으로 정의한 학자도 있다. 비배제성은
공급과정에서 누구도 배제(exclude)할 수 없는 성격을 말한다. 즉,
서비스로부터 얻어지는 효용이 어느 특정인에게만 한정되는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경쟁성이란 다수가 서비스를 공동으로
이용할 때 한 사람의 소유가 타인의 소유를 감소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익의 불가분성(indivisibility of benefits)라고도
한다.
Ostrom(1990)은 공공서비스를 재화나 서비스의 성격이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을 가진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Savas(1987, 1999, 2005)
7
최창호, 2000
8
Roth, 1987
- 20 -
역시 정부가 공급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소비과정에서 비배제성과
비경쟁성의 속성을 가진 재화 또는 서비스를 공공서비스로
지칭하였다. 이와 같이 비배제성과 비경쟁성을 완전히 갖춘 재화나
서비스를 순수공공재(Pure Public Goods) 또는 공공재(Public
Goods)라고 한다. 오늘날 공공서비스 공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순수한 공공재 보다는 공유재(common-pool goods)와
요금재(toll goods)인 준공공재의 증가라고 볼 수 있다(Savas, 1987,
1999, 2005). 준공공재(공유재와 요금재)는 가치재(merit
goods)9
로 볼 수 있다. 이때 가치재란 민간부문에서 생산·공급되고
있으나 이윤극대화 논리에 따라 생산량이 최적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공공부문이 직접 공급에 개입하는 재화로써 의무교육, 공영주택,
학교급식, 의료보험 등이 해당된다.10
공공서비스의 핵심 개념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 및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공공서비스를 위한 정부의 노력과 활동이
강조되는 것은 비배제성과 비경제성의 원칙이 준용되기 위해서는
수익사업을 기반으로 한 민간의 참여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공공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경제성을 위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
9
가치재란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가치, 공동dl익을 위해 사회가 공급을 장려하는 재화
(Richard A. Musgrave & Peggy B. Musgrave, Public in Theory and Practice, 5th
ed)
10
공공서비스의 수급 개선을 위한 새로운 균형점의 모색* 함요상(한국자치경영평가원)
- 21 -
참여는 불가피하다. 공공서비스의 민간 참여에 있어 핵심 개념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추진 되어야 한다. 준공공재가 가치재로
민간과 정부가 공동으로 공급에 개입하여 공공서비스 핵심 개념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본주의 발전과 그 한계에 따라
공공서비스 부분이 소비 주체가 단체를 만들어 자급력을 가지거나,
정부의 지원으로 공공성을 스스로 갖추어 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는 초기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던 단체나 조직의 공급자 형태에서
소비자들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조직 및 단체를 만드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2.2 도시공공서비스
도시공공서비스는 도시를 물적 단위로 하여 공공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재화나 용역의 총체를 일컫고 있다. 사회일반공중의
일상생활에 필요 불가결한 필수적 서비스이긴 하지만 반드시 정부나
공공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민간부분에서 제공되더라도 비배제성과 비경제성의 두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면 도시공공서비스가 된다.
도시공공서비스는 도시사회에서 편익의 배분을 가능케 하는 재화와
용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정부가 도시민의 편익을 위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로서 도시민의 생존적 수요 및 경제 사회적
- 22 -
기회를 충족시켜주고 불공평한 소득격차를 완화하는 소득재분배
등의 기능을 갖는 가치재를 뜻한다.
도시공공서비스 도시라는 공간적 차원에서 전달되는 공공서비스라는
성격 때문에 서비스의 구조나 공급체계가 개별도시에 따라 다를 수
있다.11
Richards(1983)는 영국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공공성의 성격에
따라 보호적 서비스(소방, 경찰, 쓰레기수거 등), 공동적 서비스(도로,
도시정비 등), 개인적 서비스(교육, 노인보호, 생활무능력자에 대한
원조 등), 경영적 서비스(상수도, 교통, 주택건설, 유료도로 등)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 서비스의 수혜범위에 따라서
연결재(도시활동 및 도시기능을 연결시켜주는 서비스로서 대표적인
것은 도로, 상수도, 경찰, 소방 등)와 혜택재(혜택이 대개 개인의
편익증진을 위한 서비스로서 소득재분배효과가 강한 서비스로 학교,
병원, 도서관, 박물관, 사회복지서비스 등)로 나누기도 하고 이외에
도시활동의 유지․성장․발전․복지증진 등에 따라 기초적
서비스(소방․범죄방지․상하수도 등), 중추적 서비스(도시간
교통망․유통시설 등), 외부불경제를 방지하는
서비스(폐기물처리․공해방지․교통안전 등),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서비스(공원․가로수 등), 사회․문화적 서비스(학 교․노인복지․도서관
11
도시공공서비스 이론에 관한 연구 (박수영 :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1993. 행정학회)
- 23 -
등), 도시영세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서비스(의료․장애자복지 등)로
분류하는 학자12
도 있다.
도시공공서비스를 분류하면 소비와 배제의 두 가지 기준으로 하여
소기가 경합적인가 아닌가, 소비에 있어 배제가 가능한가 아닌가에
따라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13
, 민간재, 요금재, 공동소유재,
공공재가 그것이다. 하지만 민간재는 도시공공서비스하고는 거리가
있어 제외하기로 한다.14
그림 5 재화의 유형
1) 요금재
배제는 가능하지만 비경합성을 띠는 재화로, 그 양과 질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통신․유료도로,
상수도서비스도 등이 해당하는데 사용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비용이 감소하는 자연독점현상이 있어서 이의 방지를 위해서
정부의 개입이나 규제가 필요한 서비스
12
차병권, 1989
13
Ostrom & Ostrom, 1977: 12; Savas, 1987: 37-48
14
공공서비스 민간위탁의 효과에 관한 연구 (안국찬, 정승용 : 2006)
- 24 -
2) 공동 소유재
소비는 경합적이지만 배제가 불가능한 재화이다. 공원, 공공수영장
등이 이에 해당되는데 이 재화는 집합적 소비재이나 혼잡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정된 자원이라는 특성상 공급과 소비에서 공공부문의
적극적 규제가 따르며, 재화의 보호와 소비에 대한 적절한
비용부담체계가 필요
3) 공공재
배제가 불가능하고 공동으로 소비도 되는 재화이다. 공공재는
시장을 통해 공급될수 없는 특성이 있다. 정부가 직접 또는 계약을
통해서 사기업이 생산한다. 화재예방, 일기예보 등이 이에 해당하며
그 재원은 의무적인 조세수입으로 확보
2.3 신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에 대한 역사적 개념적 고찰에서 도시공공서비스는
공공서비스가 공간과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공서비스를 정의하였다.
신공공서비스는 공공서비스를 수행 및 관리하는 행정업무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다. 신공공서비스는 주인으로서의 시민, 적극적인
시민의식, 다양한 세력의 협력 그리고 시민에 대한 정부의 봉사를
특별히 강조하는 행정개혁이다.15
15
오석홍(2006: 891-896)
- 25 -
행정인은 조직의 관리와 정책의 수립과정에서 시민에게 힘을
실어주고 시민에게 봉사하는 책임성에 중점을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공공서비스는 정부는 사익을 추구하는 기업과는
다르다는 것이며, 따라서 공익을 중시하며 공무원의 응대자도 고객이
아니며 시민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신공공서비스는 신공공관리가
강조했던 이윤추구를 넘어서서, 헌법과 법률, 공동체 가치 그리고
전문 직업적 기준을 중요시 한다. 또한 인간보다 생산성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신공공관리를 비판하면서 생산성보다는 인간에게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하기를 권고하고 있다.16
신공공서비스는 행정의 역할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즉, 행정이 시민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는 대신
시민들로 하여금 공동의 이해관계를 표현하도록 하고, 지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협상과 중재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본다는 점이다. 따라서 관료는 시민들이 담론을
통해 공유된 가치(shared value)를 표명하고 이와 함께 공익에 대한
집단적 의미로 발전시킬 수 있는 활동의 장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하는 것으로 본다.17
16
Denhart ant Denhart, 2003: 42-43
17
김태룡 2007
- 26 -
신공공서비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기본원칙을 제시한다.
첫째, 고객이 아닌 시민에 대해 봉사하라. 둘째, 공익을 찾으려고
노력하라. 셋째, 기업주의 정신보다는 시민의식(citizenship)의
가치를 받아들여라. 넷째, 전략적으로 생각하고 민주적으로 행동하라.
다섯째, 책임성이란 것이 단순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라.
여섯째, 방향잡기보다 봉사하기를 하라. 일곱째, 단순히 생산성이
아니라 ‘사람’의 가치를 받아들여라.18
2.4 공공서비스 유형
공공서비스의 유형을 연구한 것으로 Gaster(2003)의 연구를
살펴보면, 공공서비스를 서비스의 목적성과 제공방식에 기반하여
7 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Gaster 는 공공서비스를 서비스의 목적성과 제공방식에 기반하여
완전 보편적서비스, 욕구에 따른 서비스, 규칙에 기반한 서비스,
자산조사나 욕구평가에 기반하여 배분되는 서비스, 강제적 서비스,
예방적 서비스, 선택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18
이종수 외 2008a: 163-165
- 27 -
그림 6 공공서비스 유형19
Gaster 의 공공서비스 유형분류의 기준을 살펴보면 서비스가
제공되는 목적과 그 방식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를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여 분류하고 있지 않으므로 7 개 분류유형이 상위포괄성과
상호배타성을 확보한 결과로 볼 수는없다. 하지만 위 분류의
기준설정은 공공서비스가 제공되는 목적과 전달방식이 공
공서비스의 개념상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
자료 : Gaster & Squires(2003), 공공서비스와 과학기술의 연계강화방안 재인용(2013)
- 28 -
3.공공서비스 공급
3.1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는 서비스 제공의 흐름과 재정흐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으며 또, 공급자와 수요자 차원의
접근방식으로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 중 공공서비스의
제공방식은 공공서비스의 흐름에 기반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Kumar(2004)는 공공서비스의 일환인 사회복지서비스의 흐름을
그림 7 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그림 7 사회복지서비스 흐름도20
20
Kumar(2004)
- 29 -
이를 기반으로 Kumar 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해관계자간 가치교환
특징을 고려한 5 개의 유형으로 구분된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림 8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 모형21
공공서비스의 제공방식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관점은 재정흐름의
차원이다. 정부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재정을
지원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기획-제공-수혜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3.2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공공서비스의 전통적인 공급방식은 정부기관이 행정서비스를
내부적으로 생산(internal production)하는 것이었지만, 오늘날
사회가 복잡·다변화되면서 정부는 국민의 사회적 욕구와 수요에
대응하고 행정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공서비스 생산 내지
21
Kumar(2004)
- 30 -
제공 주체로 민간부문이 개입되면서 공공서비스 공급방식의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Savas(1987; 1999)는 공공서비스의 공급방식을
생산자(producer)와 공급자(provider)의 배열을 조합하여 정부생산,
정부판매(government vending), 정부간 협약, 민간위탁(Contract-
Out), 허가권(Franchising), 보조금(Subsidy), 구매권(Voucher),
자유시장, 자발적 조직, 자율조달(self-delivery) 등 10 가지 형태로
정리하고 있다.
그림 9 재화 서비스 공급방식의 유형
공공서비스 자체보다도 공급방식이나 공급주체 등에 의해서
공공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급방식은
공공서비스의 개념과 함께 공공서비스의 범위(spectrum of public
service)를 구성하는 요소이다.22
22
공공서비스의 수급 개선을 위한 새로운 균형점의 모색* - 함요상(한국자치경영평가원)
- 31 -
민관협력 재정지원방식(Public-Private Partnership: 이하 PPP)이
있다. 흔히 민관협동사업 또는 민관협력사업이라 의역되는 PPP 는
민간부분의 자원이나 서비스를 공공부분으로 이전하거나 촉진하는
광범위한 사업으로서 광범위한 협력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23
3.3 공공서비스의 공급유형
공급을 결정하는 역할은 주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서비스의 공급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공급 또는
전달하는 역할까지 항상 정부가 전담할 필요는 없다. 정부가 직접
공급하거나 계약, 허가에 의해 공급하거나 보조금을 지불하여
공급하기도 한다.
3.3.1 정부의 직접공급
정부의 인력을 이용하여 정부기구에 의해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정부는 서비스 공급 결정자와 서비스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3.3.2 계약
정부가 민간 기업이나 비영리 조직과의 계약을 통해 시민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 민간조직은 생산자가
23
National Audit Office, 2002
- 32 -
되고, 정부는 이 생산자에게 서비스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공급결정자가 된다.
3.3.3 허가
독점적 허가와 경쟁적 허가로 나누어지는데, 독점적 허가는 민간
기업에 특정 서비스의 공급권을 부여하고 정부가 가격규제 등
통제 및 감독을 실시하며 비용은 소비자가 지불하는 것이다.
경쟁적 허가는 택시의 경우와 같이 사업면허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 경우 소비자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결국 소비자와
정부가 같이 공급결정자가 된다. 허가의 경우 계약방식과 같이
정부가 공급 결정자이며, 민간조직이 서비스의 생산자가 되는
점에서 동일하나 생산자에 대한 비용 지불 면에서 차이가 난다.
3.3.4 보조금
지급은 정부가 서비스 생산자에게 보조해 주는 것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세제상의 혜택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서비스
생산자는 민간 기업이며, 서비스 공급 결정자와 비용 지불자는
정부와 소비자가 된다. 이 경우 경쟁적 허가와 흡사하나 정부가
민간기업에 보조금을 지불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 33 -
3.4 민영화와 민간 위탁
민영화의 개념은 공공부문의 활동이나 기능을 민간부문으로
이양하는 것으로 감세, 정부지출삭감, 정부의 규제완화(government
deregulation)와 정부개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민영화에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목적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시장효율의 장점을 활용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능률적으로 공급할 목적을 갖는다. 즉 정부는 행정서비스 전달의
감독자 혹은 조달자(procurer)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서비스의 생산과 전달은 민간부문이 담당한다. 따라서 정부는 어떤
서비스를 누구를 통해 제공할 것인가를 통제할 수 있는 재정적
의사결정규칙, 표준설정, 규제, 정책결정을 수행한다. 둘째는 특별한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공공지출의 삭감 혹은 종결(load-
shedding)하는 것이다. 정부가 구매자, 규제자, 표준설정자 혹은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축소한다. 극단적인 경우 정부는 서비스의
생산과 제공의 기능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민영화는 정부실패로
인해 정부가 재화 혹은 서비스를 생산‧공급하는 것이 비능률적이기
때문에 시장 메카니즘에 익숙한 민간부문을 활용하여 반응성과
능률성을 제고시키려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재화 혹은 서비스 제공에 관한 최종적인 책임을 갖고 보다
능률적인 공공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민간영역을 정책적으로
이용하려는 일련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34 -
3.4.1 민간부문으로 이양해야 할 기능
① 민간부문과 경쟁적 관계에 있거나 민간부문의 발전이
요청되는 기능
② 기업적 성격을 지닌 현업기능 및 생산․제작기능
③ 국민운동적 성격의 기능
④ 비권력적 시설관리 및 단순 사실행위적 기능
⑤ 검사․검증 등 민간의 자율적인 사실 확인 기능
⑥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시험․연구․조사기능 등이다.
3.4.2 민간위탁 대상 정부기능의 선정기준
① 단위업무로 분리 가능한 기능
② 성과 측정과 평가가 용이한 기능
③ 공공성과 형평성의 손상이 크지 않은 기능
④ 현업 생산적․집행적 성격의 기능
⑤ 재원조달과 사용의 자족성을 가질 수 있는 기능 등을
제시하고 있다.
민간위탁의 경우 정부에 의해 직접 생산되고 제공되던 단순한
공공서비스를 민간이 대신 제공하는 형태였으나, 오늘날에는
계약의 범위가 확대되어 민간위탁 되는 서비스가 다양화
- 35 -
되었으며, 점차 혁신적인 민관협력체제 도입으로 공공서비스
생산과 공급에서 민간부문의 역할과 기능이 증대되고 있다.24
3.4.3 민간 위탁의 운영 형태
① 직영(자치단체): 시설의 설립 및 운영, 재정까지 모두
공공에서 담당하는 경우
② 민간위탁: 민간위탁은 시설설립 및 소유는 공공에서 갖고,
민간단체에 운영비를 지원하고 시설관리와 사업운영을
위탁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민간 기관에서 운영비의 일부를
부담
③ 법인직영: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이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법인직영도 대부분
운영비의 일부를 정부로부터 보조받고 있어 보조금 지원을
통한 민영화라 볼 수 있음.
3.5 공공서비스의 계약방식
민간위탁은 위탁자와 수탁자 간의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계약방식은 서비스 계약, 관리운영 계약, 임대차 계약, 그리고 양여권
계약 등 다양하다
24
윤영진 외 2008
- 36 -
3.5.1 서비스 계약
민간참여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 지자체가 운영. 관리의 전반적인
책임을 갖고 구체적이고 한정된 서비스만 외부 조달하는
방식으로, 정부는 모든 고정자산 및 운영자금의 재원조달을 담당
3.5.2 관리운영 계약
수탁자는 정해진 위탁관리비로 시설운영 및 관리를 책임지고,
정부는 재정적인 책임을 담당하는 형태
3.5.3 임대차 계약
민간 임대사업자가 정부에 임대료를 지불하고 일정기간 시설을
임대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정부는 시설소유권을 보유하고 신규
시설투자와 재원조달, 주요 시설교체 등에 책임
3.5.4 양여권 계약
민간부문이 시설의 운영. 보수.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서비스
향상을 위한 신규 자본투자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공급 전반에
걸쳐 책임을 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유형 중에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운영은 공공이 시설설립과 재정을
담당하고 민간이 서비스 제공과 관리운영을 담당하는 형태(즉,
서비스 계약과 관리운영 계약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형태)
- 37 -
3.6 공공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공공서비스 공급에 따르는 재정부담 및 운영의 비효율성이 문제시
되면서,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공공서비스는 공공재로서 정부가 직접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을 취했으나, 공공부분의 지나친 확장과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재정지원방식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재정지원방식의 변화는 서비스 사용자의 수요가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계기가 되며,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지위를
피동적인 수혜자가 아니라, 서비스 내용과 공급방식을 결정하는
참여자의 지위로 변화시키고 있다.
공공서비스 집행기능의 분화로 민간 서비스 공급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 생산과 전달에 관한 관리와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독립적 재량권과 시장원리에 의해 서비스 전달체계가
운영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 38 -
그림 10 공공서비스 전달 체계25
3.7 공공서비스 품질 관리 필요성
사용자의 재량권 확대와 민간공급자의 증가는 개인의 수요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양질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민간공급자의 증가는 공공서비스 생산의 내부규제에 따른 제약을
축소/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거래비용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좋은’ 서비스 공급의 책임성은 약화될 우려가 있다.
서비스 수요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과 모니터링, 전달체계 내에서의
거래비용 저감과 투명성 확보를 위한 노력 등이 동반될 때,
공공서비스의 실질적 복지 효과가 창출된다. 서비스 기획-제공-
25
Kernaghan, Marson, Borins(2002: 97).
- 39 -
사용의 각 단계에서 교환되는 가치(지원되는 금액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가 동등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체계에서 민간 행위자들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서비스의 다양성과 접근성에 있어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나, 서비스에 대한 품질관리가 소홀할 경우 오히려
사회적 형평성을 더욱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26
26
공공서비스 목적형 R&D 기획과 성과확산을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 (서지영, 고명주 -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2013)
- 40 -
4. IT 기술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4.1 공공서비스에서 기술의 역할
공공서비스에서 과학기술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서비스 공급자와
서비스 사용자간의 거리를 줄여 접근성을 강화하고, 사용자 필요성을
보다 정확히, 신속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흐름이 있다.
기술의 변화는 공공서비스의 제공자 및 수요자를 비롯하여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기술변화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영향을 공간 및 장소 개념의 변화, 서비스
공급자의 과제의 변화, 서비스 수요자의 변화, 서비스 제공의 시공간
변화 등으로 정리될 수 있는데27
주요한 몇 가지 측면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기술변화로 인한 중요한 영향 중
하나는 공간 및 장소개념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공공서비스 수요자인
시민관점에서 살펴보면, 서비스 전달의 물리적인 장소에 대한 제약이
감소시키는 ICT 기반의 정보시스템 발달이 큰 기여를 하였다.
인터넷 및 정보통신의 발달로 세금환급, 자동차면허 등록 및 재발급,
여권갱신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서든
제공받고 있다. 다음으로 공공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공간 및 장소
27
Pollitt, 2012: 56-69
- 41 -
개념을 살펴보면, 기술변화는 공공서비스 제공기관의 물리적 혹은
지리학적 위치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 기술 및
교통수단의 발달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및 인터넷의
발달로 공공서비스 제공자는 언제, 어디서든 국민들의 요구에
반응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기술의 변화는 공공서비스 제공자인 공무원들의 과제와
공무원들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ICT 기반 정보시스템과 의사결정
지원 툴을 활용함으로써 권한위임과 직무확장(job enlargement)이
나타난다. 또한, 과제의 변화와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측면으로
ICT 의 역할을 원스톱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의 교차적 제공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공공서비스가 전달되는 대국민 접촉점은 단일창구로
통합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데, 해외의 경우 웹을 기반으로
공공서비스의 원스톱 서비스 및 단일 창구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기술의 변화는 서비스 제공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수요자 혹은
사용자인 국민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기술의 도입은 서비스 접근이 온라인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비스 접근의 편리성이 개선되는 반면, 정보격차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정보격차로 인한 서비스 접근의 차별보다는
전반적으로 서비스 접근이 개선된다고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의 시공간 변화를 들 수 있다. ICT 및 인터넷
기반의 공공서비스 전달체계로 인해 서비스 수요자는 서비스
- 42 -
제공자의 업무시간에 제약 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공서비스 제공자인 정부를 공공빌딩 등 물리적인 공간이
아닌 온라인 공간 어디에서나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4.2 사용자 중심의 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 부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는 기술이 서비스에
활용되기 위한 조건을 형성할 것이다. 기술의 연구개발이
공공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어떤 조건에서 연구 결과가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을지, 또는 어떤 기술이나
제품을 사용자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수용성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1990 년대 이후, 많은 기업들이 수많은 혁신적 기술들을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그 상품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가 기술 중심의 접근법에 있음을 인지하고, 사용자 중심의
접근법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졌고, 그 결과로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개념이 바로 Living Lab28
접근법이다. Living Lab 의 가능성과
필요성 등에 관한 논의는 공공서비스 기술의 개발에서 사용자의
28
Eriksson et al., 2005; Schaffers and Kulkki, 2007; Almirall and Wareham, 2008)
정의 : MIT의 W. Mitchell 교수가 제시,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서 공공연구부문, 민간 기업, 시
민사회(PPP)가 협력하여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 주도형’, ‘개방형’ 혁신 생태계
- 43 -
수요가 적극적으로 반영되기 위해 갖추어져야 할 개발환경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연구자는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Living Lab 에 지식, 기술의 연구결과, 방법론 등으로
기여하고,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최종 생산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개발자는 사용자들의 필요를 탐색하고 그들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며, 최종사용자는 그들의 필요와 경험을
표현함으로써 Living Lab 에 기여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기술의
공급자-기술의 사용자의 관계를 일방향적인 공급과 적용, 판매와
구매의 관계로 보지 않고, 쌍방향의 의사소통 관계로 보며, 기술이
공동의 협력으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사용자 수요를 중심에 둔 연구개발 전략을 도입했을 경우, 연구개발
성과의 사용성 평가가 실제 사용환경에서 이루어 질 수 있어서,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제품으로 상용화 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를 연구 그 자체가 아닌 ‘공공서비스’의 관점에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4.3 공공서비스를 위한 기술확산
공공서비스 부문의 기술확산정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기술확산 정책은 신기술이 시장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 처음 설정한
- 44 -
기술/제품 구매자의 범위가 달라질 수도 있고, 공공서비스 정책의 틀
안에서 차지하는 기능이 달라질 수도 있다. 구매층의 변화와 함께
시장에서의 위치변화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개발자(또는 기업)는 공공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일정 정도의 시장규모를 확보할 것인지, 일반시장으로의
진출을 보다 강력히 추진할 것인지 등 이에 대한 전략수립이
요구되며, 정부는 이러한 개발자/기업의 전략을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정부의 기술확산 정책은
기술이 어떤 시장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지, 고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수요와 공급 요소들 간의 상호 작용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그리고 기술확산의 속도도 정부의 정책수립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수요는 그 기술을 취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과 기술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따라 변화하며, 공급은
자본재 생산 비용과 기간 별 가격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기술확산의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확산속도가 너무 빠를
때, 기술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지 못하며, 때로는 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미래의 보다 나은 기술의 도입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29
. 개인 및 사회적 비용과 편익 사이의 명확한 차이로
29
Solow, 1963
- 45 -
기술도입의 긍정적 효과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기업이 신기술을
도입해야 시장지배력이 강화될 것이다.
공공서비스 기술의 빠르고,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의
혁신시스템 내에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확산 속도는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얼마나 성숙해 있는지 등의 요소뿐만 아니라, 기술적 요소의 우수성,
기업의 내부적 구조와 조직의 유연성, 기업의 학습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업의 학습과 모니터링 능력을 자극시킴으로써
확산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4 U City 서비스
u-City 사업은 도입 초기 서비스에 대한 과대평가와 함께 기술적
불완전성과 함께 주민 체감형 서비스의 불확실성 등으로 기대감이
붕괴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에 대한 실망단계를 벗어나 효용성을
발견하고 실질적인 가치발견을 하기 위해 성숙해져 가고 있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u-City 에 대해 다시 복기를 해보면서
공공서비스에 기술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u-City 서비스란 u-City 기술과 u-City 기반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연계·제공하는 고도화·지능화된 서비스로서 대통령령으로
- 46 -
정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u-City 기술이란 u-City 기반시설의
구축과 u-City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건설·정보 통신 융합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u-City 기반시설이란 유비쿼터스
센서 통신망, 초고속 정보통신망과 광대역 통합정보통신망 등 첨단
정보통신망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2 조 제 6 호에
의한 기반 시설 또는 동조 제 13 호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도시
시설물을 지능화한 시설, u-City 운영에 관한 시설 등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그리고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이란 기반 시설 또는 공공시설 등의 도시 시설물을
지능화하기 위하여 건설 기술에 전자·제어·통신 기술을 접목한 기술을
의미하며 u-City 운영센터란 u-City 기반 시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가공하여 u-City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u-City 건설 시 가장 어려운 부분 중의 하나는 연간 40 억 원
이상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관리비 부담의
문제이다. 지자체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료 등을 징수하여
이 관리비를 충당하는 것은 마치 정부가 수익 사업을 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추진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특정 지역의 u-City 주민들을 위해 그 시의 세금을
- 47 -
활용하는 것은 그 u-City 에 주거하지 않는 시민들에게는 형평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지속적인 관리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지자체가 자체 비용으로 자가망을
구축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았다.
u-City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익성 측면의 논의에 앞서 시장에서
경제적으로 수요자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심적이어야 한다. 수요자 입장에서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필요와
편리성이 기술과 함께 제공되어져 그에 따른 비용 부담에 대한
당위성이 수반되어야 했다. 장미 빛의 청사진과 미래형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계획만으로 수요자에 대한 고려와 기술 적용 후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검토가 미흡했던 정책이었다.
4.4.1 U-City 서비스 분류
u-City 서비스를 분류할 때 기술적인 분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구현방향에 따른 이동성(mobility), 내재성(embedment),
자율성(smart)등과 유비쿼터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대상(보편성과 특수성), 시간(상시성과 일시성), 장소(이동성과
고정성)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분류는 서비스를 산업분류를 중심으로 하여
개인생활부문(문화․오락,보건․복지),산업경제부문(비즈니스․상거
래, 통신․방송․출판, 금융․보험, 물류․교통, 건설, 정보 관련
- 48 -
서비스)과 공공행정부문(일반 행정, 사회안전관리)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림 11 u-City 산업 및 서비스 분류 예시30
u-City 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서비스의 적용 범위에 따라 표 1 과
같이 크게 u-Home, u-Work, u-Traffic, u-Health, u-
Environment, u-Public service, u-Education 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u-City 서비스는
① 유무선 서비스의 통신 인프라
② 첨단 인텔리전트 빌딩과 지능형 도로 등의 도시인프라
③ 홈 네트워킹, 건물관리 시스템 등의 솔루션
30
정우수 외(2006)
- 49 -
④ e-Learning, IP-미디어 등의 콘텐츠가 결합되어 구현된다.
구분 주요내용
U Home 원격검침, 원격제어, 원격수리, 출입문제어, 홈 네트
워킹, IP-미디어
U Work 재택근무, 원격회의, 무선상거래
U Traffic 교통상황, 교통사고처리, 도로통합관리, 텔레매틱스
U Health 헬스케어 서비스, 원격검진, 원격의료/치료, 응급 조
치
U Environment 환경관리, 위생관리
U Public 전자정부, 방범, 재난관리
U Education E-Learning, 학교관리 시스템, 학원 등하교 관리
시스템
표 1 u City 서비스 유형31
표 1에 나타난 u-City의 서비스 유형을 살펴보면 공공 서비스와
민간 서비스로 크게 구분되며 공공 서비스에는 u-Public과 u-
Environment Management, u-Traffic 등이 있는데 이들 서비스
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도움이 없이는 구현될 수 없는 서비스
들이다. 민간 서비스로 가장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u-
Healthcare, u-Home, u-Work, u-Education 서비스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u-
City 통합운영센터와 연계될 때 제대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1
U City 공공/민간 서비스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전호인 : 경원대 교수 TTA Journal no
112)
- 50 -
u-City 에 있어 유망서비스의 선정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u-
City 서비스를 그림 12 와 같이 공공서비스와 민간서비스로
구분하고 공공서비스를 다시 시설물관리, 방범․치안․안전, 교통,
환경, 민원․행정으로 그리고 민간서비스를 비즈니스․상거래,
통신․방송․출판, 금융․보험, 물류, 건설, 정보 관련 서비스,
주거단지, 홈, 보건․복지, 교육, 문화․오락, 관광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림 12 u-City 유망서비스 선정기준을 위한 분류32
32
정우수 외(2007)
- 51 -
국토해양부가 2009년에 고시한 고시 제2009-439호에 의한 유
비쿼터스 도시서비스 분류체계 및 예시에서는 u-City 서비스를
행정, 교통 등 11개 분야에 68개 통합서비스로 분류하고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그림 13과 같다.
- 52 -
- 53 -
- 54 -
그림 13 국토해양부의 u-City 서비스 분류 체계 및 통합서비스 예시
분류란 연구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류가
나타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이러한 다양한 분류의 한
계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무리 대 분류와 같이 상위개념의 분류가 아니더라도 공공
부문의 서비스와 민간부문의 서비스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물론
전자민원과 같이 명확한 것도 있겠으나 교통, 심지어 보건, 복지
및 방범까지도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서비
- 55 -
스에 대한 범위는 지역마다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공공
부문과 민간부문이 서로 연계되어 나타나는 서비스의 경우 공공
부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투자된 기반시설을 민간부문의 서비
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수입원 창출이 가
능하다.
둘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서비스 구분이 불명확하다. 예를 들어
u-Payment의 경우 지불결재를 담당하는 은행과 같은 민간업체
의 참여가 요구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u-City는 민간부문 서비스제공업체와 지역주민 사이에서 특정한
시스템이나 통신망 혹은 일정 부분의 설비를 제공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셋째, u-City가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역주민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역주
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한 간접적인 서
비스 제공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u-택배의 경
우 실질적인 혜택을 누리는 것은 지역주민이지만 그것을 위하여
u-City가 필요한 정보와 시스템을 택배업체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u-City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지역주민의 편익을 향
상시키고 나아가 u-City 운영의 재정적 자립성까지 갖추기 위하
여 민간부문의 서비스 활성화는 물론 이를 위한 민간업체의 적극
적인 참여도 매우 중요하다.
- 56 -
4.4.2 U City 서비스 수익성 이해
유비쿼터스도시 서비스는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에 의하면 행정, 교통, 보건․의료․복지, 환경, 방범․방재,
시설물 관리, 교육, 문화․관광․스포츠, 물류, 근로․고용 및 그
밖의 도시의 경쟁력 향상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국토해양부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분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의한 u-City 는 2005 년 한국토지공사의 ‘u-City
개발 및 운영방안’에 의하면 도시 전체를 체계적으로
관리․관제하는 도시통합운영센터를 구축하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으로 설계된 최첨단 광통신인프라를 통하여
주민들에게 교통정보제공, 생활안전, 환경기상정보의
공공서비스와 원격교육 등의 상용서비스를 도시 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로 해석되고
있다. 결국 u-City 건설의 목적은 크게 공공부문의 서비스를
정보화하여 공공부문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이를 위하여 구축된 유비쿼터스 환경, 특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민간부문의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주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u-City 건설의 성패는
u-City 건설 그 자체가 아니며 u-City 기반시설을 통하여
- 57 -
제공되는 서비스로 인하여 나타나는 사회적 편익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국토해양부의 제 1 차 유비쿼터스
도시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u-City 의 3 대 목표가 ①
도시관리의 효율화, ②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 및 ③ 도시서비스의
선진화인 것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u-City 건설 및 운영의 수익성이란 공공부문의 경우
도시의 관리, 운영 면에 있어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 향상과
민간부문에 있어 상용서비스 제공에 따른 새로운 수입원의
창출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공공부문의 서비스가 모두
무상이며 민간부문의 서비스가 모두 유료서비스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제공대가를 부담하는 것은 결국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u-City 건설 및 운영에 관한 수익성은 다음과 같이
공공부문의 경우 u-City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네트워크와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설치․운영에 소요되는 비용과 이러한
서비스를 u-City 서비스가 아닌 기존 방식으로의 공공서비스로
제공했을 때의 비용을 비교하는 즉 원가절감 측면에서 검토될
것이다. 또한 소요 비용이 증대할 경우도 사회적 편익의 증가분이
이를 상쇄할 수 있다면 서비스 제공의 근거가 될 것이다.
- 58 -
반면 민간부문의 서비스의 경우 u-City 기반설비를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인 만큼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과 이를
통하여 발생되는 수익과의 비교에서 나타나는 수익성 측면에서
검토해야 할 것이다.
그림 14 u-City 서비스 제공 결정 기준
u-City 서비스 제공 결정 기준에서 공공부문의 경우
원가절감(도시관리 효율성 향상), 민간부문의 경우 수익성(신규
수입원의 창출)이 의사결정의 핵심요인이 된다.33
4.4.3 U City 기술 표준 현황
표준화는 필요한 표준을 합리적으로 선정하여 조직적으로
활용하는 행위를 말하며, 사회전반에 걸쳐 모든 사물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고 생산성 향상, 부적합한 개발 방지 및 경제적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표준화의
의미를 생각할 때 떠오르는 것은 표준개발이다. 즉, 표준대상을
선정(발굴)하고 구현(개발)하는 것을 표준화라 할 수 있다.
33
U-City 서비스활성화 방안 (황성진 외 2010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59 -
그러나 표준화라는 의미는 보다 넓은 활동을 내포하고 있다. 즉,
표준대상을 선정하고 표준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하는데 이르는 일련의 과정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u-City 서비스 표준화의 개념을 정의한다면, u-
City 서비스 표준화란‘합리적인 u-City 서비스 표준을 정의하고
활용하기 위해 서비스 표준을 발굴, 개발, 운용 및 관리 등의
전반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u-City 기술은 u-City 를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기술적 범위 및 영역을 구분 짓기에는 다소 어렵다. 왜냐하면 u-
City 는 도시적 특성 및 서비스 적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기 때문이다. 즉, u-City 는 다양한 u-IT 기술의 접목으로
이루어진다. u-City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크게 RFID/USN, WiBro, BcN 등과 같은 기반기술과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연계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GIS(지리정보시스템),
LBS(위치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응용 서비스 연계기술로 나눌
수 있다.
- 60 -
그림 15 u City 기반기술 표준현황34
그림 16 u-City 연계기술 표준화 현황
34
국내 u-City 서비스 및 요소기술 표준화 (김구수 KT인프라 연구소 외 2인) 재인용
- 61 -
그림 11 은 u-City 에 필요한 유비쿼터스 기반기술들의 내용과
요소기술 표준 현황을 정리한 것이고 그림 12 는 연계기술들의
내용과 요소기술 표준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4.5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 서비스
방통융합 환경에서는 인터넷 기반 환경과는 다르게 콘텐츠 및
서비스의 전송을 위해서는 사업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는 방통·융합 서비스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회복지/교육/공공정보/민원처리 등 공공서비스를 IPTV, DCATV,
모바일 IPTV 등과 같은 TV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17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적용대상35
35
공공부분 IPTV 적용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 62 -
방통융합 환경을 통한 공공서비스 제공은 일반 국민이 TV 라는
익숙한 매체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방송과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나아가 민간 분야의 방통융합 서비스
이용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관련 IT 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IPTV 가 사업을 시작하던 초기부터 이 새로운
양방향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의료, 교통, 민원, 문화, 사회복지,
지자체 홍보 등 국민에게 친숙하고 다양한 공공서비스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2008 년 7 월,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을 통해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자로 KT 컨소시엄, SK
Broadband(하나로컨소시엄), LG 데이콤 컨소시엄을 선정해 IPTV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총 30 억여원의 민관 매치펀드로
국가기록원, 지역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등 9 개 공공기관이 참여하여
6 개 서비스를 발굴하고 600 여가구에 서비스를 시범 제공하였다.
2009 년에는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발굴과제 32 개 중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4 개 부문(국방, 보건의료, 관광, 농수산)을 선정하여
사업을 실시하였다.
- 63 -
4.5.1 IPTV 공공서비스
IPTV 공공서비스는 유형의 제공 방식 별, 서비스 종류별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제공 방식 별로는 단 방향 서비스,
양방향서비스(Interactive 서비스), 거래형 서비스(Transaction
서비스)의 유형이 있으며, 서비스 종류별로는 민원서비스,
국정홍보, 정보제공 및 국민 참여형 서비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통정보, 재난정보, 국정홍보, 시정안내, 날씨정보,
환경정보, 보건정보, 공약정보 및 정책사업 소개 등은
단방향으로 제공되는 공공서비스의 예이다. 설문조사나 T-
learning 의 경우는 양방향이 필요한 공공서비스의 예가 되며,
민원이나 세금/공과금 납부 등은 거래형 공공서비스의 예이다.
4.5.2 DCATV 공공서비스
DCATV(Digital Cable TV) 공공서비스는 시범지역 SO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시스템 구축, 서비스 제공자
(공공기관)와의 망 연결 및 인터페이스 구축, 공공서비스
콘텐츠(애플리케이션 포함)개발, 기존 서비스 연동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원지원이며,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각각의 SO,
방송·통신위, 지방자치단체, 기술개발관련 업체 등은 실무자
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개발을 추진하였다.
- 64 -
DACATV 는 특성상 지역밀착형 미디어로 정부주도형의 정부가
지원하는 프로그램/프로젝트에서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사업자가 주체가 되어 지역밀착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4.5.3 스마트 TV 공공서비스
현재 개발된 스마트 TV 는 웹 브라우징, 다양한 동영상 구현
등이 PC 환경과 동일하게 자유롭다. 그리고 현재 TV 에서는
프로그램에서 주어지는 정보에 한정되는 불완전한 양방성을
갖추고 있지만 스마트 TV 는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습득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다운받아 확인하고, SNS 를 통해
친구들과 공유하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여행을 준비하는 직장인의 경우 TV 검색을 통해 다양한
여행상품을 살펴보고, 가격정보․항공․호텔 등 결재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며, TV 에 설치된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
어플을 통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 TV 는 IPTV 의
양방향성인 참여에 공유 기능이 추가 되고, 개인화된 미디어로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 TV 의 장점을 활용한 국민 체감형 공공서비스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웹(PC) 및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공서비스가 개발되고 활용되고 있는 연장 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다.
- 65 -
그림 18 PC vs TV 기반 공공서비스 비교36
웹과 스마트폰 기반으로 개발된 공공서비스를 TV 용 서비스로
변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TV 만의 장점을 활용한 특화된 서비스
개발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동반되고 있는 추세이다.
4.6 표준 체계
4.6.1 U-City 서비스 표준체계
u-City 서비스 표준은 서비스의 분류와 분류별 서비스 모델,
u-City 서비스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규약이다. u-City
서비스 표준화는 서비스 모델의 발굴과 개발, 그리고 관리 및
운영단계까지를 포함하여 서비스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종 방법, 절차, 문법 등에 대한 공통된 서비스 규약으로서의
36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추진 방향(TTA, 2009.4)
- 66 -
표준을 제정하고, 그 표준을 따르는 일련의 과정이다. 서비스
표준 모델은 자치단체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공통서비스
모델을 도출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기반 하에서 지역 특색을
감안한 특화서비스도 가능하다. u-City 서비스 표준 모델은
공간적 확장이 가능한 상호 통합‧연계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서비스 표준체계는 서비스 분류체계, 서비스 목록정의, 서비스
선정, 서비스 운영 및 관리체계, 서비스 평가의 5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서비스 분류체계와 서비스 목록정의는 u-City
추진현황, 법‧제도적 환경, 정보기술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정의되며, 정부 또는 연구기관에 의하여 국가의 표준체계
도출차원 에서 수립된다. 자치단체는 자치단체의 환경분석, 수요
조사·분석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자치단체에 적합한 서비스 성정,
서비스 운영 및 관리, 서비스 평가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u-City 서비스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 및 연구들이
있었으나 분류기준에 대한 명확한 근거 제시나, 분류에 따른
구별의 실익이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기존의 서비스
분류기준으로 도시기능과 활동, 서비스 활용주체, 표준산업분류,
도시공간 요소를 활용한 연구들이 있다.
- 67 -
그림 19 서비스 표준체계 수립단계 산출물37
4.6.2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플랫폼
방통융합 공공서비스를 사업자를 통해서도 국민에게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단말/장비 등에 대한
기술, 정보보호(인증/보안) 안정성 등의 규격/표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37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드라인 V2.0 (한국정보화진흥원)
- 68 -
그림 20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 대상 예38
예를 들면 IPTV 서비스 관련 STB, 미들웨어 플랫폼,
보안시스템 등의 규격,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
이용자인터페이스(GUI, 리모콘 등) 방식, IPTV 콘텐츠(audio,
video) 규격, 서비스 제작 및 제공 방식, 프로그램 편성,
채널접근 방식 등에 대한 규격 정립이 필요했다. 정부·공공기관
등에서 방통융합 공공서비스를 구축·제공할 경우 필요한 구축
절차, 시스템 규격, 콘텐츠 방식, 사업자 연동방식 등에 대한
38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공공서비스 활성화 방안(이승택 한국정보화진흥원)
- 69 -
가이드를 제작하여 보급함으로써 효율적인 투자 계획을
추진했다.
그림 21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성방안39
39
공공부분 IPTV 적용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 70 -
5.국내외 IT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
5.1 국내 U-City 공공서비스 선정
자치단체에 u-City 서비스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u-City
서비스의 표준모델화, 운영기준, 평가기준을 표준화하여야 한다. 정부
또는 표준화 기관에 의하여 수행되는 u-City 서비스 표준모델,
운영기준, 평가기준은 각 자치단체의 환경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다. 자치단체는 표준 서비스 분류체계와 표준
서비스목록 정의로부터 시‧도 및 시‧군‧구 업무와의 연계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자치단체에 적합한 u-City 서비스를 선정하게
된다.
그림 22 기존 시군 구 업무와 시도 업무
- 71 -
한국 정보화 진흥원에서는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
드라인 V2.0은 여러 자치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공통 u-City
서비스 참조모델을 선정 하기 위하여 자치단체의 u-City 담당
자를 대상으로 6개 분야의 u-City 서비스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선호하는 각 분야별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그림 23 분야별 선호 서비스
- 72 -
그림 24 2010년 기준 국내 u-City 추진 현황40
40
자료 VETA Research & Consulting(2010) & u-City 서비스 활성화 방안(정보통신정책연
구원) 수정
- 73 -
5.2 국내 U-City 서비스 우수 사례41
5.2.1 용인 흥덕지구
용인시 기흥읍 영덕리 일원 214 만 6 천㎡ 부지 내에 위치한
용인흥덕지구는 2009 년 7 월까지 170 여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광케이블 통신망과 공공정보상황실을 설치하며,
공동주택, 상업·업무용 건물 등에도 초고속정보통신 건물
1 등급(공동주택의 경우 특등급) 이상의 구내 통신선로 설비가
구축된다. 기간통신망을 기반으로 지구특성을 반영한 8 대
공공정보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그림 25 용인흥덕지구 구성도
41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드라인 V2.0 (한국정보화진흥원)에 수록된 사례 참조
- 74 -
5.2.2 광교 신도시
수원시 매탄동, 이의동, 원천동, 하동, 우만동, 연무동 일원
1,130 ㎡ 부지내에 위치한 광교 신도시는 안정적인 유무선
통신인프라와 플랫폼 기반 하에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8 대
u-서비스를 제공하며, 거주민편익증대, 공공편익증대 등
지속가능성 제고로 도시경쟁력을 확보하여 경기도 신도시
개발사업의 u-City 모델을 실현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림 26 광교 u-City의 미래상
- 75 -
5.2.3 판교 신도시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하산운동, 삼평동일원 930 만㎡ 부지내에
위치한 판교신도시는 ‘수도권남부의 주택 수요에 대응한 쾌적한
주택단지조성’,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친환경적 도시조성’,
‘수도권 동남부의 업무거점 육성’이라는 목표 하에, 성남시의
합리적 도시발전을 도모하고, 계획적 공영개발을 통한 수도권
지역의 지속적인 택지공급에 기여하고자 추진되고 있다.
그림 27 판교 신도시 개념도
- 76 -
성남판교 u-City 는 지구 내 풍요로운 공원/녹지 등 자연환경과
공급을 목표로 정보통신기술이 제공하는 편리성으로
자연친화적인 삶을 추구하는 현대 도시민들의 이상을 충족시킬
수 있는 ‘U-Ecotopia’를 지향하고 있다.
5.2.4 파주교하 신도시
파주시 교하읍 일원 9555 만㎡ 부지 내에 위치한 교하 신도시는
기존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첨단 인프라
기반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림 28 파주교하 신도시 구성도
최첨단도시건설구축의 일환으로 개발되고 있는 u-City 는
최첨단 IT 기술을 도시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적용한 미래형
- 77 -
첨단도시로 도시민의 복지 향상, 도시운영의 효율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교하신도시 u-City 는 광통신정보통신 인프라 위에
교통, 방범, 환경, 보건복지, UIS 등 총 10 개 분야 48 개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으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통합센터에서 통합 운영하게 된다.
5.2.5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연수구 송도동 일원 53.4 ㎢ 부지 내에 위치한 송도국제도시는
“21 세기 동북아 물류중심, 경제자유도시“라는 도시비전을
가지고, 최고의 비즈니스 중심도시 건설을 목표로 4 대허브 조성
및 3 대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되며, 최적화된 u-City
비전 및 전략을 수립했다.
그림 29 인천경제자유구역 추진전략
- 78 -
IFEZ u-City 의 추진전략은 인천시 도시 비전에 대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었다.
5.3 해외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42
5.3.1 미국
미국은 지난 1991 년부터 NITRD(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의 네트워킹 및
IT 연구 계획을 통해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유비쿼터스와 관련한 기술을 공공부문에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실제로 최첨단
컴퓨팅, 대규모 네트워킹, 고 신뢰성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정보관리,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생산성 등의 정부 주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은 국방, 의료, 산업, 가정 등의 사회전반에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미국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공공서비스 중에서도 U-
Health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미국의 의료분야는
시장중심의 서비스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미국인 3 억명 중
약 4700 만 명만이 의료보험에 가입하였다. 따라서 이와
42
지역정보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vol81 2013) 참조
- 79 -
관련하여 정부 주도의 의료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더불어 유비쿼터스 기반의
의료서비스는 민간의 원격의료 투자에 따라 경제성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공공의료분야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가 추진 되
고 있다.
선진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보건의료 공급자와 이용자의
요구가 달라짐에 따라 U-Health 가 발전하게 되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U-Health 는 원격의료, 원격진단의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보통신기술과 의료기술을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U-Health 는 안정성,
적시성, 효과성, 균형성 등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공공서비스 제공은 행정서비스의 안정성,
능동성을 향상시키고, 민원업무의 신속성이 증대되어 이전보다
효율적인 정부서비스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은 정부차원에서 의회, 보건부, 국방부 등을 중심으로 U-
Health 관련 정책, 표준화, 기술개발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96 년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인 의료보험 정보교환 및 책임 관련
법안이 제정되고, 1997 년 연방 원격진료법(Balanced Budget
Act)이 제정되는 등 정부의 의료정보서비스 법제화를 통해
원격진료 확산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 근 에 는
- 80 -
N H I I ( N a t i o n a l H e a l t h Information Infrastructure)를
통한 의료정보화 향상과 더불어 NHIN(Nat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을 구축하여 의료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부처 간, 각 관련 기관간 효율적으로 정보를
사용하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오바마 정부는 중앙 및 주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공공의료,
원격의료기술을 활성 시키고 있으며, 지역별로
원격의료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및
의료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OC)는 이러한 원격의료프로젝트를
통하여 소외계층, 농어촌지역, 교도소, 학교 등에서 활용되고 약
50 개 세부 진료과목에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의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어 다양한 의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시공간을
초월하여 제공되고 있다. 신규 노인주택 서비스는 제공하면서
집에서도 질병관리서비스, 의료서비스 등을 편하게 점검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Home-Health Care 서비스는 사회전반의
의료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 81 -
5.3.2 영국
일찍부터 공공서비스 전달에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영국은, 치안, 의료, 방재, 교육, 도서관 등 거의
모든 공공서비스 부문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정한
유비쿼터스 기술이 가능해지면서 그 범위를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영국에서 유비쿼터스에 기반한 공공서비스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치안, 의료 및 돌봄, 그리고 도시 안전과 방재
부문 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로 치안 부분으로 영국은 세계에서 CCTV 설치 대수가
가장 많고 이를 개인 및 사회의 안전과 국가 안보에 적극
활용하는 대표 적인 국가이다. 영국 정부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빅 브라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CCTV 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치안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유비쿼터스의
정의처럼 언제 어디서든지 가능한 치안서비스의 구축에 초점을
맞춘 치안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범죄와 테러
위협 등의 안보 목적과 연계하여 여권, 비자 등에 다중생체
DB 를 구축하고 생체인식(지문/얼굴 등) 시스템을 활용해
테러용의자와 범죄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신원확인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였다.
- 82 -
둘째 U-Health 부분으로 일찍이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영국은 이러한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노령층의 의료 및 돌봄(Health and Care) 서비스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노령층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서비스로 텔레케어 서비스(Tele-Care Service)가 있다. 텔레
케어 서비스는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등을 활용해 만성 질환
자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혈압측정, 응급상황 알림 등을 통해
건강관리와 독립생활을 지원하는
것이다(http://www.telecare.org.uk). 현재 전체 노인인구의 약
30%가 텔레케어 서비스를 통해 스스로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있다. 한편, 의사와 화상 통화를 통해 상담하는 텔레
헬스(Tele-Health)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통신서비스 기업인 O2 는 환자가 디지털 기기들을 활용한
화상접속을 통해 자신의 집에서 편안하게 의사와 상담할 수
있게 해주고 있는데, 초기 진단 및 의사와의 상담에 소요되는
교통비를 약 30% 정도 절감하고 있다.
세 번째로 도시 안전과 방재부분으로 영국의 U-방재 서비스는
전염병과 테러 등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먼저, 전염병에
대한 예방과 대응이다. 영국은 광우병이 처음 발병한 국가이고
그 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국가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지금도
발병하는 광우병과 구제역의 예방과 대응에 정보통신기술을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M&M Networks

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M&M Networks
 
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M&M Networks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M&M Networks
 
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M&M Network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M&M Network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M&M Network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M&M Network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M&M Networks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M&M Networks
 
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M&M Networks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M&M Network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M&M Network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M&M Network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M&M Networks
 
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M&M Networks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M&M Networks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M&M Networks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M&M Networks
 

More from M&M Networks (20)

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Dooh audience research
Dooh audience research
 
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Cosmetic smart store
Cosmetic smart store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SMART Retail report_ index
SMART Retail report_ index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pp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Traditional market research & Analysis _ report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 Food store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Smb_food store _ analysis
Smb_food store _ analysis
 
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SMART Store_ DANURI-2017
SMART Store_ DANURI-2017
 
Tomaru
TomaruTomaru
Tomaru
 
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Exhibition _ Move line
Exhibition _ Move line
 
Ux matrix
Ux matrixUx matrix
Ux matrix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 research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_ Behavior analysis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UX & UI
 
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Exhibition  space pattern
Exhibition space pattern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영화의 전당 디지털 사이니지 미디어 구축 리서치 (동서대학교)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부산 해운대 스마트 관광 미디어 구축을 위한 리서치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간 미디어로 Digital signage / telescreen _2012
 

공공 미디어 서비스 개발 연구 _ Public media service research 2014

  • 1.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 연구 보고서 2014.01.31 연구수행기관 : ㈜엠엔앰네트웍스 한국텔레스크린협회
  • 2. - 2 - 제 출 문 한국텔레스크린협회 본 보고서를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 연구”의 최종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01.31 수 탁 연 구 기 관 엠앤엠네트웍스㈜ 연 구 책 임 자 김 성 원 참 여 연 구 원 이 세 리
  • 3. - 3 - 목 차 그림 목차 .............................................................................................................................................................. 7 1.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배경 ....................................................................................... 9 1.1 텔레스크린에 대한 이해............................................................................................................ 9 1.2 방송통신 융합과 융합 미디어 ..............................................................................................11 1.3 스마트 미디어 ..............................................................................................................................15 1.4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목적..........................................................................16 2. 공공 서비스 이론적과 개념...............................................................................................................18 2.1 공공서비스 개념..........................................................................................................................18 2.2 도시공공서비스............................................................................................................................21 2.3 신공공서비스.................................................................................................................................24 2.4 공공서비스 유형..........................................................................................................................26 3. 공공서비스 공급......................................................................................................................................28 3.1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28 3.2 공공서비스 공급방식.................................................................................................................29 3.3 공공서비스의 공급유형............................................................................................................31 3.3.1 정부의 직접공급..................................................................................................................31 3.3.2 계약...........................................................................................................................................31 3.3.3 허가...........................................................................................................................................32 3.3.4 보조금......................................................................................................................................32 3.4 민영화와 민간 위탁...................................................................................................................33 3.4.1 민간부문으로 이양해야 할 기능 .................................................................................34 3.4.2 민간위탁 대상 정부기능의 선정기준 ........................................................................34 3.4.3 민간 위탁의 운영 형태....................................................................................................35
  • 4. - 4 - 3.5 공공서비스의 계약방식............................................................................................................35 3.5.1 서비스 계약...........................................................................................................................36 3.5.2 관리운영 계약......................................................................................................................36 3.5.3 임대차 계약...........................................................................................................................36 3.5.4 양여권 계약...........................................................................................................................36 3.6 공공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37 3.7 공공서비스 품질 관리 필요성 ..............................................................................................38 4. IT 기술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40 4.1 공공서비스에서 기술의 역할.................................................................................................40 4.2 사용자의 중심의 공공서비스.................................................................................................42 4.3 공공서비스를 위한 기술확산.................................................................................................43 4.4 U City 서비스..................................................................................................................................45 4.4.1 U-City 서비스 분류............................................................................................................47 4.4.2 U City 서비스 수익성 이해..............................................................................................56 4.4.3 U City 기술 표준 현황 .......................................................................................................58 4.5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 서비스 ..............................................................................61 4.5.1 IPTV 공공서비스...................................................................................................................63 4.5.2 DCATV 공공서비스 .............................................................................................................63 4.5.3 스마트 TV 공공서비스....................................................................................................64 4.6 표준 체계........................................................................................................................................65 4.6.1 U-City 서비스 표준체계...................................................................................................65 4.6.2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플랫폼....................................................67 5. 국내외 IT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 ..................................................................................................70 5.1 국내 U-City 공공서비스 선정 ...........................................................................................70 5.2 국내 U-City 서비스 우수 사례.........................................................................................73
  • 5. - 5 - 5.2.1 용인 흥덕지구......................................................................................................................73 5.2.2 광교 신도시...........................................................................................................................74 5.2.3 판교 신도시...........................................................................................................................75 5.2.4 파주교하 신도시..................................................................................................................76 5.2.5 인천경제자유구역(IFEZ)................................................................................................77 5.3 해외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78 5.3.1 미국...........................................................................................................................................78 5.3.2 영국...........................................................................................................................................81 5.3.3 호주...........................................................................................................................................83 5.3.4 일본...........................................................................................................................................84 5.4 국내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사례 ..............................................................................86 5.4.1 IPTV 공공서비스 시범 사례............................................................................................86 5.4.2 DCATV 공공서비스 사례..................................................................................................88 5.5 국외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사례 ..............................................................................90 5.5.1 영국...........................................................................................................................................90 5.5.2 미국...........................................................................................................................................91 6. 텔레스크린 기반 공공서비스 모델.................................................................................................92 6.1 텔레스크린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반 융,복합 스마트 미디어 이해....................92 6.2 텔레스크린 기술 및 표준화...................................................................................................98 6.2.1 유비쿼터스 기술과 공공미디어....................................................................................98 6.2.2 텔레스크린 기술과 표준화.......................................................................................... 103 6.3 국내외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사례.............................................................................. 109 6.3.1 국내 재난 재해 중심으로 한 사례.......................................................................... 110 6.3.2 해외 사례 ............................................................................................................................ 113 6.4 텔레스크린 적용 공공서비스 검토.................................................................................. 116
  • 6. - 6 - 6.5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모델 설계 방법 및 프로세스 ........................................... 122 6.6 텔레스크린 적용 가능한 공공서비스 모델 예 ........................................................... 129
  • 7. - 7 - 그림 목차 그림 1 텔레스크린 융합 과정...............................................................10 그림 2 방송통신융합 개념도 ................................................................13 그림 3 방송통신 융합미디어 서비스 발전 방향...................................14 그림 4 스마트 미디어 진화 과정 .........................................................15 그림 5 재화의 유형 ..............................................................................23 그림 6 공공서비스 유형 .......................................................................27 그림 7 사회복지서비스 흐름도.............................................................28 그림 8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 모형.................................................29 그림 9 재화 서비스 공급방식의 유형...................................................30 그림 10 공공서비스 전달 체계 ............................................................38 그림 11 u-City 산업 및 서비스 분류 예시.........................................48 그림 12 u-City 유망서비스 선정기준을 위한 분류.............................50 그림 13 국토해양부의 u-City 서비스 분류 체계 및 통합서비스 예시 .......................................................................................................54 그림 14 u-City 서비스 제공 결정 기준..............................................58 그림 15 u City 기반기술 표준현황 ......................................................60 그림 16 u-City 연계기술 표준화 현황................................................60 그림 17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적용대상...............................................61 그림 18 PC vs TV 기반 공공서비스 비교 ...........................................65 그림 19 서비스 표준체계 수립단계 산출물 .........................................67 그림 20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 대상 예.....................68 그림 21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성방안 ........................69 그림 22 기존 시군구 업무와 시도 업무...............................................70 그림 23 분야별 선호 서비스................................................................71 그림 24 2010년 기준 국내 u-City 추진 현황 ...................................72 그림 25 용인흥덕지구 구성도 ..............................................................73
  • 8. - 8 - 그림 26 광교 u-City의 미래상...........................................................74 그림 27 판교 신도시 개념도................................................................75 그림 28 파주교하 신도시 구성도.........................................................76 그림 29 인천경제자유구역 추진전략....................................................77 그림 30 유비쿼터스 특구사업 ..............................................................85 그림 31 미디어 융합에 따른 스마트 미디어 분류 ...............................93 그림 32 방송통신 융합.........................................................................94 그림 33 IPTV 기술 발전 전망 : 유비쿼터스화 ...................................96 그림 34 유비쿼터스 서비스 발전 단계.............................................100 그림 35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 ..........................................................102 그림 36 텔레스크린 시스템 구성 요소 ..............................................104 그림 37 미디어 변화에 따른 재난방송 체계 구성도..........................111 그림 38 텔레스크린 기반 재난관리 시스탬 구성도 ...........................112 그림 39 일본 재난 재해 방송 디지털사이니지 자판기 ......................114 그림 40 일본 재해 대책용 디지털 사이니지 플랫폼 구축 계획 ........114 그림 41 방송통신융합형 공공서비스 사례 .........................................116 그림 42 텔레스크린 정보 수집, 가공 생산 및 미디어 소비 형태......118 그림 43 텔레스크린 공공 서비스 특징 ..............................................119 그림 44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모델 유형 .......................................122 그림 45 강남미디오 폴.......................................................................123 그림 46 디자인을 통한 공공서비스 혁신 및 사화문제 해결 사례.....124 그림 47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 정의 ..............................................125 그림 48 텔레스크린 서비스 모델 개발 프로세스...............................128 그림 49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모델 개발 요소...............................129 그림 50 텔레스크린 적용 가능한 공공 서비스 예 .............................130
  • 9. - 9 - 1.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배경 1.1 텔레스크린에 대한 이해 텔레스크린은 공간을 미디어로 장소를 채널로 규정하여 사람과 소통하는 뉴미디어이다. 텔레스크린을 “포스터/간판/현수막 등 아날로그 옥외광고 매체가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대체되고 인터넷에 연결되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쌍방향으로 제공하는 IT 융합시스템으로 TV-PC-휴대폰 등 기존 3 대 스크린에 이은 ‘제 4 의 스크린 미디어’로 방송통신 위원회는 정의 내리고 있다. 그리고 ITU 에서는 서비스 요구사항과 IPTV 기반의 구조로 정보와 광고 그리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날짜와 시간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위치한 곳에 스케줄을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규정하고 있다.1 텔레스크린은“공간을 기반으로 하여 사람과 접점을 이루는 지능형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상호 제공하는 융합 미디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간을 기반으로 한다는 의미는 공공 미디어로서 옥외에 설치되어 운영됨을 의미하며, 사람과 접점을 이루는 지능형 디지털 1 ITU-T H.780 _ Approved in June 2012
  • 10. - 10 - 디스플레이라 함은 주변 상황정보와 연계하여 인터랙티브한 방식으로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좀 더 발전된 인공 지능(AI)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함은 융합, 양방향, 스마트 등의 다양한 콘텐츠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송, 수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융합 미디어는 기존의 옥외 기반의 광고, 공공 미디어(OOH: Out Of Home media)와 디지털 기술과 결합으로 디지털 옥외 미디어(DOOH: Digital Out Of Home media)와 홈 미디어(TV, 가전 제품 등), 개인 미디어 (개인용 스마트 기기)등과의 연동과 유통을 의미한다. 그림 1 텔레스크린 융합 과정 텔레스크린에 대한 이해는 옥외 광고에서부터 ICT 와 미디어 분야의 특성을 고려하고 융합적 관점에서 접근을 해야 한다.
  • 11. - 11 - 기기 융합 관점은 기존의 옥외 미디어(OOH)기기에 디지털 기기가 접목이 되어 하드웨어 기반의 텔레스크린이 되었다. 이후 옥외 미디어(OOH)산업과 ICT 산업이 접목 되어 디지털 옥외 미디어(DOOH)로 발전하였다. 최근에는 초 연결 사회를 지향하면서 N Screen 개념이 적용이 되어 개인 미디어, 홈 미디어와 더불어 텔레스크린이 공공미디어 개념으로 텔레스크린으로 규정이 되면서 미디어간의 융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기기와 산업 융합에서 미디어 융합을 통해 융합 미디어로서 텔레스크린의 역할과 정의가 내려진다. 1.2 방송통신 융합과 융합 미디어 방송통신융합은 디지털 기술발달로 인해 대두되는 새로운 미디어환경으로, 통신과 방송의 구분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TV 나 라디오로만 볼 수 있던 방송 콘텐츠를 휴대전화나 개인휴대단말기, 차량용 TV 로도 받아볼 수 있게 되고, 또한 일방적으로 받기만 하는 방송과 달리 방송을 보는 도중에도 정보검색이나 e 메일 사용을 하는 등 쌍방향 통신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첫째로 '망의 융합(convergence of network)'이 있는데, 이는 방송망과 통신망의 구분이 점차 불명확해지는 것을 말한다. 즉, 방송이 방송망뿐이 아니라 통신망을 통하여도 전송되며 또 통신도 통신망뿐만 아니라 방송망을 통하여도 행하여지는 현상을 말하는
  • 12. - 12 - 것이다. CATV 망을 이용한 통신서비스, FM 주파수대역을 이용한 무선호출서비스, 통신위성을 이용한 위성방송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둘째로 '서비스의 융합(convergence of service provision)'은 방송과 통신 서비스의 구분이 불분명해지는 경계영역적 서비스가 출현하는 것이다. 방송에서 불특정 다수가 아닌 특정인에 대한 수신을 목적으로 하거나 양방향성의 서비스를 내보내며, 통신 분야도 다수의 수신자에게 제공되는 일방향성 서비스가 증가하고 통신망의 대역폭 증가 등의 이유로 영상 서비스의 제공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셋째로 '기업의 융합(convergence of corporate organizations)'은 방송사업자가 통신사업을 하며 통신사업자가 방송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송통신융합의 예로는 데이터방송, DMB, DMC 등이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등장한 인터넷방송이나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와 텔레스크린 서비스 등도 방송통신 융합의 예로 볼 수 있다. 방송통신 융합은 독자적으로 발전해온 방송과 통신 서비스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되어, 소비자의 선택을 증대시키고,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며 새로운 미디어 문화를 창달하는 기술/문화/경제적인 현상이라고 정의된다.
  • 13. - 13 - 그림 2 방송통신융합 개념도2 이러한 방송통신 융합은 궁극적으로 융합 미디어를 탄생시키는 인과율을 결정하는데, 융합미디어란 디지털 미디어가 다대다(多對多)인터넷 네트워킹 망을 기반으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는 새로운 미디어를 의미한다.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과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며 따라서 융합 미디어는 정보의 생성, 저장, 전달, 및 전파의 모든 부분에 새로운 가치사슬을 형성시킨다. 융합은 크게 정보-전달매체-망간의 다양한 결합 즉, 서비스 및 단말기의 융합 그리고 전달매체 간 발생하고 특히 방송과 통신간의 경계가 중첩되는 네트워크 융합이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융합 미디어는 문자, 소리, 영상이라는 정보 2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서비스 동향 및 전망 (ETRI 홍진우 2010)
  • 14. - 14 - 표현수단들이 디지털 방송통신 융합 망을 통하여 전달시키는 장치가 되고 이를 개개인들이 활용하는 수단이 단말기라고 하겠다. 융합 미디어의 발전 방향을 살펴보면 개인화 / 지능화, 이동성 / 선택성, 실감화가 주요 핵심이다. 이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따른 사용자의 콘텐츠 서비스 및 기술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홈 미디어, 개인 미디어 공공 미디어간의 융합의 특징을 의미한다. 그림 3 방송통신 융합미디어 서비스 발전 방향3 홈 미디어로 분류될 수 있는 TV, PC 와 개인 미디어의 스마트 기기 기반의 소셜 미디어 그리고 텔레스크린 기반의 공공 미디어 등은 3 스크린 개념이 확장된 4 스크린 개념과 N 스크린 개념이 결함 되어 융합 미디어로서 확장되고 있다 3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서비스 동향 및 전망 (ETRI 홍진우 2010)
  • 15. - 15 - 1.3 스마트 미디어 스마트 미디어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콘텐츠가 표현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시공간적 제약이 없는 융, 복합 서비스”라고 규정된다. 스마트 사회를 이끄는 기술은 디지털 IT 기술이다. 디지털 IT 기술은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미디어와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이른바 스마트 기기로 불리는 스마트 폰,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등은 한동안 정체되어왔던 디지털 기술이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와 기술을 양산 시키고 있다. 그림 4 스마트 미디어 진화 과정4 스마트폰의 진화는 곧 스마트 TV, 스마트 패드, N 스크린이라는 스마트 미디어로 확산되고 있다. 기기와 서비스, 콘텐츠의 본격적인 4 스마트미디어와 저작권보호기술 동향 (문화체육관광부 최재표, 2011)
  • 16. - 16 - 결합이라 할 수 있는 미디어의 스마트화는 기술적으로 무선인터넷의 확대,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이 기반이 되었다. 이를 통해 누구나 원하는 콘텐츠를 어디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다.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전개로 미디어 서비스는 단순히 제품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차원을 너머 다양한 형태의 연계와 결합을 통해 제공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연계한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고객의 필요를 반영하면서 끈끈한 유대관계를 형성한 모델로 제공되고 있다. 1.4 텔레스크린 공공서비스 조사 연구 목적 제 4 의 스크린으로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시공간 제약 없이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서비스로 스마트 미디어의 기능과 역할을 하는 텔레스크린은 공간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옥외 미디어이다. 옥외 미디어는 전통적으로 공공성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운영하였다. 텔레스크린이 융합 미디어와 스마트 미디어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공성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공공서비스를 창조하고 발굴해야 한다. 이를 위한 공공서비스에 대한 조사와 텔레스크린 기반의 공공서비스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삶의 질을
  • 17. - 17 - 높이며 새로운 공공미디어로서 서비스를 규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공서비스 조사와 연구에 있어 준공공재로서의 텔레스크린의 역할과 기능을 국내외 사례를 통해 검토하고, 국내적용 가능한 공공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 관계를 통해 서비스의 지속성을 통해 경쟁력과 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마련하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 연구는 기존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활용 그리고 공공서비스 정의와 현황 등을 여러 검증되고 연구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수용을 하였으며, 디지털 서비스를 위한 공공서비스 부분은 u- City 와 IPTV 부분에서 검토되고 기획 설계된 부분들을 검토하여 텔레스크린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 가능한 공공서비스를 제안하였다. u-City 와 IPTV 서비스가 인프라와 홈 미디어를 토대로 하여 공공서비스를 기획하면서 포괄적인 접근을 하였다. 미디어에 따른 특성을 분류하여 다시 텔레스크린 적용 공공서비스를 제안하려고 했다. 본 조사 연구는 텔레스크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공서비스의 효율적인 활용과 적용 및 운영 그리고 트랜드에 따른 새로운 공공서비스를 제안하고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관련 자료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텔레스크린이 제공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조사 연구하였다.
  • 18. - 18 - 2.공공 서비스 이론적과 개념 2.1 공공서비스 개념 공공서비스의 개념이 만들어지던 초창기에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들은 주로 자선단체나 종교조직이었다. 그 가운데 많은 업무들을 공공재원으로 운영되는 기관들이 인수하여 제공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19 세기까지만 해도 민간기업들이 핵심적 공공서비스인 도로와 교량 및 철도 등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20 세기 초 행정국가의 경향이 부각되면서 영미국가는 물론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이러한 기간서비스들이 상수도, 가스, 전기, 전신 등과 보편적 서비스와 함께 공적 소유로 이전되었다.5 영어사전에 의하면 공공서비스(public service)는 1) 전기, 가스 등 일반 대중에게 긴요한 용역을 제공하는 일, 2) 공무원, 3) 이윤을 추구하는 조직이 대가를 바라지 않고 제공하는 용역 등을 의미한다.6 일반적으로 국가가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모든 활동과 재화 및 서비스 공급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Lucy, Gilbert & Birkhead(1977)에 따르면 공공서비스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정부가 5 영국의 경우에는 철강과 석탄 산업들도 공적 소유권에 포함되었고, 많은 동유럽 국가에서는 농업을 포함한 대 부분의 산업까지 공적 소유권이 확대 적용되었다. 6 Oxford Dictionary, 1989: 774
  • 19. - 19 - 사회 내 편익을 배분하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Jones(1981)는 공공서비스를 사회의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공공서비스를 정부 등 공공기관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사회의 일반 공중이 모두 이용할 수 있게 공급되는 서비스로 정의하기도 한다 7 . 또한, 공공서비스는 공공의 재화와 용역으로 공급주체가 공공부문이나 민간부문이건 상관없이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8 공공서비스를 비배제성(non-exclusive)과 비경합성(non- rivalry)을 가진 서비스로 것으로 정의한 학자도 있다. 비배제성은 공급과정에서 누구도 배제(exclude)할 수 없는 성격을 말한다. 즉, 서비스로부터 얻어지는 효용이 어느 특정인에게만 한정되는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경쟁성이란 다수가 서비스를 공동으로 이용할 때 한 사람의 소유가 타인의 소유를 감소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익의 불가분성(indivisibility of benefits)라고도 한다. Ostrom(1990)은 공공서비스를 재화나 서비스의 성격이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을 가진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Savas(1987, 1999, 2005) 7 최창호, 2000 8 Roth, 1987
  • 20. - 20 - 역시 정부가 공급하는 것과는 관계없이 소비과정에서 비배제성과 비경쟁성의 속성을 가진 재화 또는 서비스를 공공서비스로 지칭하였다. 이와 같이 비배제성과 비경쟁성을 완전히 갖춘 재화나 서비스를 순수공공재(Pure Public Goods) 또는 공공재(Public Goods)라고 한다. 오늘날 공공서비스 공급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순수한 공공재 보다는 공유재(common-pool goods)와 요금재(toll goods)인 준공공재의 증가라고 볼 수 있다(Savas, 1987, 1999, 2005). 준공공재(공유재와 요금재)는 가치재(merit goods)9 로 볼 수 있다. 이때 가치재란 민간부문에서 생산·공급되고 있으나 이윤극대화 논리에 따라 생산량이 최적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공공부문이 직접 공급에 개입하는 재화로써 의무교육, 공영주택, 학교급식, 의료보험 등이 해당된다.10 공공서비스의 핵심 개념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 및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공공서비스를 위한 정부의 노력과 활동이 강조되는 것은 비배제성과 비경제성의 원칙이 준용되기 위해서는 수익사업을 기반으로 한 민간의 참여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공공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경제성을 위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 9 가치재란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가치, 공동dl익을 위해 사회가 공급을 장려하는 재화 (Richard A. Musgrave & Peggy B. Musgrave, Public in Theory and Practice, 5th ed) 10 공공서비스의 수급 개선을 위한 새로운 균형점의 모색* 함요상(한국자치경영평가원)
  • 21. - 21 - 참여는 불가피하다. 공공서비스의 민간 참여에 있어 핵심 개념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추진 되어야 한다. 준공공재가 가치재로 민간과 정부가 공동으로 공급에 개입하여 공공서비스 핵심 개념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본주의 발전과 그 한계에 따라 공공서비스 부분이 소비 주체가 단체를 만들어 자급력을 가지거나, 정부의 지원으로 공공성을 스스로 갖추어 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는 초기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던 단체나 조직의 공급자 형태에서 소비자들이 공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조직 및 단체를 만드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2.2 도시공공서비스 도시공공서비스는 도시를 물적 단위로 하여 공공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재화나 용역의 총체를 일컫고 있다. 사회일반공중의 일상생활에 필요 불가결한 필수적 서비스이긴 하지만 반드시 정부나 공공기관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민간부분에서 제공되더라도 비배제성과 비경제성의 두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으면 도시공공서비스가 된다. 도시공공서비스는 도시사회에서 편익의 배분을 가능케 하는 재화와 용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도시정부가 도시민의 편익을 위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로서 도시민의 생존적 수요 및 경제 사회적
  • 22. - 22 - 기회를 충족시켜주고 불공평한 소득격차를 완화하는 소득재분배 등의 기능을 갖는 가치재를 뜻한다. 도시공공서비스 도시라는 공간적 차원에서 전달되는 공공서비스라는 성격 때문에 서비스의 구조나 공급체계가 개별도시에 따라 다를 수 있다.11 Richards(1983)는 영국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를 공공성의 성격에 따라 보호적 서비스(소방, 경찰, 쓰레기수거 등), 공동적 서비스(도로, 도시정비 등), 개인적 서비스(교육, 노인보호, 생활무능력자에 대한 원조 등), 경영적 서비스(상수도, 교통, 주택건설, 유료도로 등)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한편 서비스의 수혜범위에 따라서 연결재(도시활동 및 도시기능을 연결시켜주는 서비스로서 대표적인 것은 도로, 상수도, 경찰, 소방 등)와 혜택재(혜택이 대개 개인의 편익증진을 위한 서비스로서 소득재분배효과가 강한 서비스로 학교, 병원, 도서관, 박물관, 사회복지서비스 등)로 나누기도 하고 이외에 도시활동의 유지․성장․발전․복지증진 등에 따라 기초적 서비스(소방․범죄방지․상하수도 등), 중추적 서비스(도시간 교통망․유통시설 등), 외부불경제를 방지하는 서비스(폐기물처리․공해방지․교통안전 등), 쾌적성을 증진시키는 서비스(공원․가로수 등), 사회․문화적 서비스(학 교․노인복지․도서관 11 도시공공서비스 이론에 관한 연구 (박수영 :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1993. 행정학회)
  • 23. - 23 - 등), 도시영세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서비스(의료․장애자복지 등)로 분류하는 학자12 도 있다. 도시공공서비스를 분류하면 소비와 배제의 두 가지 기준으로 하여 소기가 경합적인가 아닌가, 소비에 있어 배제가 가능한가 아닌가에 따라 네 가지 형태로 구분한다. 13 , 민간재, 요금재, 공동소유재, 공공재가 그것이다. 하지만 민간재는 도시공공서비스하고는 거리가 있어 제외하기로 한다.14 그림 5 재화의 유형 1) 요금재 배제는 가능하지만 비경합성을 띠는 재화로, 그 양과 질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통신․유료도로, 상수도서비스도 등이 해당하는데 사용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비용이 감소하는 자연독점현상이 있어서 이의 방지를 위해서 정부의 개입이나 규제가 필요한 서비스 12 차병권, 1989 13 Ostrom & Ostrom, 1977: 12; Savas, 1987: 37-48 14 공공서비스 민간위탁의 효과에 관한 연구 (안국찬, 정승용 : 2006)
  • 24. - 24 - 2) 공동 소유재 소비는 경합적이지만 배제가 불가능한 재화이다. 공원, 공공수영장 등이 이에 해당되는데 이 재화는 집합적 소비재이나 혼잡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정된 자원이라는 특성상 공급과 소비에서 공공부문의 적극적 규제가 따르며, 재화의 보호와 소비에 대한 적절한 비용부담체계가 필요 3) 공공재 배제가 불가능하고 공동으로 소비도 되는 재화이다. 공공재는 시장을 통해 공급될수 없는 특성이 있다. 정부가 직접 또는 계약을 통해서 사기업이 생산한다. 화재예방, 일기예보 등이 이에 해당하며 그 재원은 의무적인 조세수입으로 확보 2.3 신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에 대한 역사적 개념적 고찰에서 도시공공서비스는 공공서비스가 공간과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공서비스를 정의하였다. 신공공서비스는 공공서비스를 수행 및 관리하는 행정업무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다. 신공공서비스는 주인으로서의 시민, 적극적인 시민의식, 다양한 세력의 협력 그리고 시민에 대한 정부의 봉사를 특별히 강조하는 행정개혁이다.15 15 오석홍(2006: 891-896)
  • 25. - 25 - 행정인은 조직의 관리와 정책의 수립과정에서 시민에게 힘을 실어주고 시민에게 봉사하는 책임성에 중점을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공공서비스는 정부는 사익을 추구하는 기업과는 다르다는 것이며, 따라서 공익을 중시하며 공무원의 응대자도 고객이 아니며 시민이란 점을 강조하고 있다. 신공공서비스는 신공공관리가 강조했던 이윤추구를 넘어서서, 헌법과 법률, 공동체 가치 그리고 전문 직업적 기준을 중요시 한다. 또한 인간보다 생산성을 지나치게 중시하는 신공공관리를 비판하면서 생산성보다는 인간에게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하기를 권고하고 있다.16 신공공서비스는 행정의 역할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즉, 행정이 시민을 통제하는 역할을 하는 대신 시민들로 하여금 공동의 이해관계를 표현하도록 하고, 지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협상과 중재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본다는 점이다. 따라서 관료는 시민들이 담론을 통해 공유된 가치(shared value)를 표명하고 이와 함께 공익에 대한 집단적 의미로 발전시킬 수 있는 활동의 장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하는 것으로 본다.17 16 Denhart ant Denhart, 2003: 42-43 17 김태룡 2007
  • 26. - 26 - 신공공서비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기본원칙을 제시한다. 첫째, 고객이 아닌 시민에 대해 봉사하라. 둘째, 공익을 찾으려고 노력하라. 셋째, 기업주의 정신보다는 시민의식(citizenship)의 가치를 받아들여라. 넷째, 전략적으로 생각하고 민주적으로 행동하라. 다섯째, 책임성이란 것이 단순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라. 여섯째, 방향잡기보다 봉사하기를 하라. 일곱째, 단순히 생산성이 아니라 ‘사람’의 가치를 받아들여라.18 2.4 공공서비스 유형 공공서비스의 유형을 연구한 것으로 Gaster(2003)의 연구를 살펴보면, 공공서비스를 서비스의 목적성과 제공방식에 기반하여 7 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Gaster 는 공공서비스를 서비스의 목적성과 제공방식에 기반하여 완전 보편적서비스, 욕구에 따른 서비스, 규칙에 기반한 서비스, 자산조사나 욕구평가에 기반하여 배분되는 서비스, 강제적 서비스, 예방적 서비스, 선택에 의해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18 이종수 외 2008a: 163-165
  • 27. - 27 - 그림 6 공공서비스 유형19 Gaster 의 공공서비스 유형분류의 기준을 살펴보면 서비스가 제공되는 목적과 그 방식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를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여 분류하고 있지 않으므로 7 개 분류유형이 상위포괄성과 상호배타성을 확보한 결과로 볼 수는없다. 하지만 위 분류의 기준설정은 공공서비스가 제공되는 목적과 전달방식이 공 공서비스의 개념상에서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 자료 : Gaster & Squires(2003), 공공서비스와 과학기술의 연계강화방안 재인용(2013)
  • 28. - 28 - 3.공공서비스 공급 3.1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 공공서비스의 공급체계는 서비스 제공의 흐름과 재정흐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으며 또, 공급자와 수요자 차원의 접근방식으로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 중 공공서비스의 제공방식은 공공서비스의 흐름에 기반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Kumar(2004)는 공공서비스의 일환인 사회복지서비스의 흐름을 그림 7 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그림 7 사회복지서비스 흐름도20 20 Kumar(2004)
  • 29. - 29 - 이를 기반으로 Kumar 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해관계자간 가치교환 특징을 고려한 5 개의 유형으로 구분된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림 8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 모형21 공공서비스의 제공방식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관점은 재정흐름의 차원이다. 정부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서비스 사용자에게 재정을 지원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기획-제공-수혜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3.2 공공서비스 공급방식 공공서비스의 전통적인 공급방식은 정부기관이 행정서비스를 내부적으로 생산(internal production)하는 것이었지만, 오늘날 사회가 복잡·다변화되면서 정부는 국민의 사회적 욕구와 수요에 대응하고 행정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공공서비스 생산 내지 21 Kumar(2004)
  • 30. - 30 - 제공 주체로 민간부문이 개입되면서 공공서비스 공급방식의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Savas(1987; 1999)는 공공서비스의 공급방식을 생산자(producer)와 공급자(provider)의 배열을 조합하여 정부생산, 정부판매(government vending), 정부간 협약, 민간위탁(Contract- Out), 허가권(Franchising), 보조금(Subsidy), 구매권(Voucher), 자유시장, 자발적 조직, 자율조달(self-delivery) 등 10 가지 형태로 정리하고 있다. 그림 9 재화 서비스 공급방식의 유형 공공서비스 자체보다도 공급방식이나 공급주체 등에 의해서 공공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급방식은 공공서비스의 개념과 함께 공공서비스의 범위(spectrum of public service)를 구성하는 요소이다.22 22 공공서비스의 수급 개선을 위한 새로운 균형점의 모색* - 함요상(한국자치경영평가원)
  • 31. - 31 - 민관협력 재정지원방식(Public-Private Partnership: 이하 PPP)이 있다. 흔히 민관협동사업 또는 민관협력사업이라 의역되는 PPP 는 민간부분의 자원이나 서비스를 공공부분으로 이전하거나 촉진하는 광범위한 사업으로서 광범위한 협력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23 3.3 공공서비스의 공급유형 공급을 결정하는 역할은 주로 정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공공서비스의 공급방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공급 또는 전달하는 역할까지 항상 정부가 전담할 필요는 없다. 정부가 직접 공급하거나 계약, 허가에 의해 공급하거나 보조금을 지불하여 공급하기도 한다. 3.3.1 정부의 직접공급 정부의 인력을 이용하여 정부기구에 의해 서비스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정부는 서비스 공급 결정자와 서비스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3.3.2 계약 정부가 민간 기업이나 비영리 조직과의 계약을 통해 시민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 민간조직은 생산자가 23 National Audit Office, 2002
  • 32. - 32 - 되고, 정부는 이 생산자에게 서비스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공급결정자가 된다. 3.3.3 허가 독점적 허가와 경쟁적 허가로 나누어지는데, 독점적 허가는 민간 기업에 특정 서비스의 공급권을 부여하고 정부가 가격규제 등 통제 및 감독을 실시하며 비용은 소비자가 지불하는 것이다. 경쟁적 허가는 택시의 경우와 같이 사업면허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 경우 소비자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결국 소비자와 정부가 같이 공급결정자가 된다. 허가의 경우 계약방식과 같이 정부가 공급 결정자이며, 민간조직이 서비스의 생산자가 되는 점에서 동일하나 생산자에 대한 비용 지불 면에서 차이가 난다. 3.3.4 보조금 지급은 정부가 서비스 생산자에게 보조해 주는 것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세제상의 혜택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서비스 생산자는 민간 기업이며, 서비스 공급 결정자와 비용 지불자는 정부와 소비자가 된다. 이 경우 경쟁적 허가와 흡사하나 정부가 민간기업에 보조금을 지불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 33. - 33 - 3.4 민영화와 민간 위탁 민영화의 개념은 공공부문의 활동이나 기능을 민간부문으로 이양하는 것으로 감세, 정부지출삭감, 정부의 규제완화(government deregulation)와 정부개혁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민영화에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목적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는 시장효율의 장점을 활용하여 재화나 서비스를 능률적으로 공급할 목적을 갖는다. 즉 정부는 행정서비스 전달의 감독자 혹은 조달자(procurer)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서비스의 생산과 전달은 민간부문이 담당한다. 따라서 정부는 어떤 서비스를 누구를 통해 제공할 것인가를 통제할 수 있는 재정적 의사결정규칙, 표준설정, 규제, 정책결정을 수행한다. 둘째는 특별한 재화나 서비스에 대한 공공지출의 삭감 혹은 종결(load- shedding)하는 것이다. 정부가 구매자, 규제자, 표준설정자 혹은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축소한다. 극단적인 경우 정부는 서비스의 생산과 제공의 기능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다. 민영화는 정부실패로 인해 정부가 재화 혹은 서비스를 생산‧공급하는 것이 비능률적이기 때문에 시장 메카니즘에 익숙한 민간부문을 활용하여 반응성과 능률성을 제고시키려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재화 혹은 서비스 제공에 관한 최종적인 책임을 갖고 보다 능률적인 공공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민간영역을 정책적으로 이용하려는 일련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34. - 34 - 3.4.1 민간부문으로 이양해야 할 기능 ① 민간부문과 경쟁적 관계에 있거나 민간부문의 발전이 요청되는 기능 ② 기업적 성격을 지닌 현업기능 및 생산․제작기능 ③ 국민운동적 성격의 기능 ④ 비권력적 시설관리 및 단순 사실행위적 기능 ⑤ 검사․검증 등 민간의 자율적인 사실 확인 기능 ⑥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하는 시험․연구․조사기능 등이다. 3.4.2 민간위탁 대상 정부기능의 선정기준 ① 단위업무로 분리 가능한 기능 ② 성과 측정과 평가가 용이한 기능 ③ 공공성과 형평성의 손상이 크지 않은 기능 ④ 현업 생산적․집행적 성격의 기능 ⑤ 재원조달과 사용의 자족성을 가질 수 있는 기능 등을 제시하고 있다. 민간위탁의 경우 정부에 의해 직접 생산되고 제공되던 단순한 공공서비스를 민간이 대신 제공하는 형태였으나, 오늘날에는 계약의 범위가 확대되어 민간위탁 되는 서비스가 다양화
  • 35. - 35 - 되었으며, 점차 혁신적인 민관협력체제 도입으로 공공서비스 생산과 공급에서 민간부문의 역할과 기능이 증대되고 있다.24 3.4.3 민간 위탁의 운영 형태 ① 직영(자치단체): 시설의 설립 및 운영, 재정까지 모두 공공에서 담당하는 경우 ② 민간위탁: 민간위탁은 시설설립 및 소유는 공공에서 갖고, 민간단체에 운영비를 지원하고 시설관리와 사업운영을 위탁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민간 기관에서 운영비의 일부를 부담 ③ 법인직영: 사회복지법인 등 비영리법인이 사회복지시설을 설립하고 운영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법인직영도 대부분 운영비의 일부를 정부로부터 보조받고 있어 보조금 지원을 통한 민영화라 볼 수 있음. 3.5 공공서비스의 계약방식 민간위탁은 위탁자와 수탁자 간의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계약방식은 서비스 계약, 관리운영 계약, 임대차 계약, 그리고 양여권 계약 등 다양하다 24 윤영진 외 2008
  • 36. - 36 - 3.5.1 서비스 계약 민간참여의 가장 단순한 형태로 지자체가 운영. 관리의 전반적인 책임을 갖고 구체적이고 한정된 서비스만 외부 조달하는 방식으로, 정부는 모든 고정자산 및 운영자금의 재원조달을 담당 3.5.2 관리운영 계약 수탁자는 정해진 위탁관리비로 시설운영 및 관리를 책임지고, 정부는 재정적인 책임을 담당하는 형태 3.5.3 임대차 계약 민간 임대사업자가 정부에 임대료를 지불하고 일정기간 시설을 임대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정부는 시설소유권을 보유하고 신규 시설투자와 재원조달, 주요 시설교체 등에 책임 3.5.4 양여권 계약 민간부문이 시설의 운영. 보수.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서비스 향상을 위한 신규 자본투자에 이르기까지 서비스 공급 전반에 걸쳐 책임을 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유형 중에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운영은 공공이 시설설립과 재정을 담당하고 민간이 서비스 제공과 관리운영을 담당하는 형태(즉, 서비스 계약과 관리운영 계약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형태)
  • 37. - 37 - 3.6 공공서비스 패러다임 변화 공공서비스 공급에 따르는 재정부담 및 운영의 비효율성이 문제시 되면서, 사용자의 서비스 선택권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공공서비스는 공공재로서 정부가 직접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을 취했으나, 공공부분의 지나친 확장과 재정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재정지원방식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재정지원방식의 변화는 서비스 사용자의 수요가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계기가 되며,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지위를 피동적인 수혜자가 아니라, 서비스 내용과 공급방식을 결정하는 참여자의 지위로 변화시키고 있다. 공공서비스 집행기능의 분화로 민간 서비스 공급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서비스 생산과 전달에 관한 관리와 규제가 완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독립적 재량권과 시장원리에 의해 서비스 전달체계가 운영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 38. - 38 - 그림 10 공공서비스 전달 체계25 3.7 공공서비스 품질 관리 필요성 사용자의 재량권 확대와 민간공급자의 증가는 개인의 수요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양질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민간공급자의 증가는 공공서비스 생산의 내부규제에 따른 제약을 축소/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거래비용을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좋은’ 서비스 공급의 책임성은 약화될 우려가 있다. 서비스 수요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과 모니터링, 전달체계 내에서의 거래비용 저감과 투명성 확보를 위한 노력 등이 동반될 때, 공공서비스의 실질적 복지 효과가 창출된다. 서비스 기획-제공- 25 Kernaghan, Marson, Borins(2002: 97).
  • 39. - 39 - 사용의 각 단계에서 교환되는 가치(지원되는 금액과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가 동등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 공급과 수요의 불일치는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서비스 공급체계에서 민간 행위자들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서비스의 다양성과 접근성에 있어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나, 서비스에 대한 품질관리가 소홀할 경우 오히려 사회적 형평성을 더욱 떨어뜨릴 수 있는 위험을 가지고 있다.26 26 공공서비스 목적형 R&D 기획과 성과확산을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 (서지영, 고명주 -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2013)
  • 40. - 40 - 4. IT 기술을 활용한 공공 서비스 4.1 공공서비스에서 기술의 역할 공공서비스에서 과학기술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서비스 공급자와 서비스 사용자간의 거리를 줄여 접근성을 강화하고, 사용자 필요성을 보다 정확히, 신속하게 반영하고자 하는 흐름이 있다. 기술의 변화는 공공서비스의 제공자 및 수요자를 비롯하여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기술변화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영향을 공간 및 장소 개념의 변화, 서비스 공급자의 과제의 변화, 서비스 수요자의 변화, 서비스 제공의 시공간 변화 등으로 정리될 수 있는데27 주요한 몇 가지 측면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기술변화로 인한 중요한 영향 중 하나는 공간 및 장소개념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공공서비스 수요자인 시민관점에서 살펴보면, 서비스 전달의 물리적인 장소에 대한 제약이 감소시키는 ICT 기반의 정보시스템 발달이 큰 기여를 하였다. 인터넷 및 정보통신의 발달로 세금환급, 자동차면허 등록 및 재발급, 여권갱신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서든 제공받고 있다. 다음으로 공공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공간 및 장소 27 Pollitt, 2012: 56-69
  • 41. - 41 - 개념을 살펴보면, 기술변화는 공공서비스 제공기관의 물리적 혹은 지리학적 위치의 변화를 수반한다.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 기술 및 교통수단의 발달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정보통신기술 및 인터넷의 발달로 공공서비스 제공자는 언제, 어디서든 국민들의 요구에 반응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기술의 변화는 공공서비스 제공자인 공무원들의 과제와 공무원들의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ICT 기반 정보시스템과 의사결정 지원 툴을 활용함으로써 권한위임과 직무확장(job enlargement)이 나타난다. 또한, 과제의 변화와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측면으로 ICT 의 역할을 원스톱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의 교차적 제공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공공서비스가 전달되는 대국민 접촉점은 단일창구로 통합되는 경향을 나타내는 데, 해외의 경우 웹을 기반으로 공공서비스의 원스톱 서비스 및 단일 창구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기술의 변화는 서비스 제공자뿐만 아니라 서비스 수요자 혹은 사용자인 국민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기술의 도입은 서비스 접근이 온라인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서비스 접근의 편리성이 개선되는 반면, 정보격차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그러나 정보격차로 인한 서비스 접근의 차별보다는 전반적으로 서비스 접근이 개선된다고 평가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제공의 시공간 변화를 들 수 있다. ICT 및 인터넷 기반의 공공서비스 전달체계로 인해 서비스 수요자는 서비스
  • 42. - 42 - 제공자의 업무시간에 제약 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공공서비스 제공자인 정부를 공공빌딩 등 물리적인 공간이 아닌 온라인 공간 어디에서나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4.2 사용자 중심의 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 부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는 기술이 서비스에 활용되기 위한 조건을 형성할 것이다. 기술의 연구개발이 공공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어떤 조건에서 연구 결과가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을지, 또는 어떤 기술이나 제품을 사용자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지 수용성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1990 년대 이후, 많은 기업들이 수많은 혁신적 기술들을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그 상품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가 기술 중심의 접근법에 있음을 인지하고, 사용자 중심의 접근법을 개발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졌고, 그 결과로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개념이 바로 Living Lab28 접근법이다. Living Lab 의 가능성과 필요성 등에 관한 논의는 공공서비스 기술의 개발에서 사용자의 28 Eriksson et al., 2005; Schaffers and Kulkki, 2007; Almirall and Wareham, 2008) 정의 : MIT의 W. Mitchell 교수가 제시, 특정 지역이나 공간에서 공공연구부문, 민간 기업, 시 민사회(PPP)가 협력하여 혁신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 주도형’, ‘개방형’ 혁신 생태계
  • 43. - 43 - 수요가 적극적으로 반영되기 위해 갖추어져야 할 개발환경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연구자는 새로운 지식의 생산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Living Lab 에 지식, 기술의 연구결과, 방법론 등으로 기여하고,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최종 생산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자 하는 개발자는 사용자들의 필요를 탐색하고 그들에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며, 최종사용자는 그들의 필요와 경험을 표현함으로써 Living Lab 에 기여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기술의 공급자-기술의 사용자의 관계를 일방향적인 공급과 적용, 판매와 구매의 관계로 보지 않고, 쌍방향의 의사소통 관계로 보며, 기술이 공동의 협력으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사용자 수요를 중심에 둔 연구개발 전략을 도입했을 경우, 연구개발 성과의 사용성 평가가 실제 사용환경에서 이루어 질 수 있어서,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제품으로 상용화 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를 연구 그 자체가 아닌 ‘공공서비스’의 관점에서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4.3 공공서비스를 위한 기술확산 공공서비스 부문의 기술확산정책이 추진되기 위해서는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기술확산 정책은 신기술이 시장에서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한다. 처음 설정한
  • 44. - 44 - 기술/제품 구매자의 범위가 달라질 수도 있고, 공공서비스 정책의 틀 안에서 차지하는 기능이 달라질 수도 있다. 구매층의 변화와 함께 시장에서의 위치변화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개발자(또는 기업)는 공공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출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일정 정도의 시장규모를 확보할 것인지, 일반시장으로의 진출을 보다 강력히 추진할 것인지 등 이에 대한 전략수립이 요구되며, 정부는 이러한 개발자/기업의 전략을 지원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정부의 기술확산 정책은 기술이 어떤 시장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지, 고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등과 같은 수요와 공급 요소들 간의 상호 작용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그리고 기술확산의 속도도 정부의 정책수립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다. 수요는 그 기술을 취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비용과 기술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따라 변화하며, 공급은 자본재 생산 비용과 기간 별 가격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기술확산의 여건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확산속도가 너무 빠를 때, 기술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지 못하며, 때로는 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미래의 보다 나은 기술의 도입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29 . 개인 및 사회적 비용과 편익 사이의 명확한 차이로 29 Solow, 1963
  • 45. - 45 - 기술도입의 긍정적 효과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기업이 신기술을 도입해야 시장지배력이 강화될 것이다. 공공서비스 기술의 빠르고,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의 혁신시스템 내에 있는 다양한 요소들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 확산 속도는 시장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 얼마나 성숙해 있는지 등의 요소뿐만 아니라, 기술적 요소의 우수성, 기업의 내부적 구조와 조직의 유연성, 기업의 학습 능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업의 학습과 모니터링 능력을 자극시킴으로써 확산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4.4 U City 서비스 u-City 사업은 도입 초기 서비스에 대한 과대평가와 함께 기술적 불완전성과 함께 주민 체감형 서비스의 불확실성 등으로 기대감이 붕괴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술에 대한 실망단계를 벗어나 효용성을 발견하고 실질적인 가치발견을 하기 위해 성숙해져 가고 있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u-City 에 대해 다시 복기를 해보면서 공공서비스에 기술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향후 개선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u-City 서비스란 u-City 기술과 u-City 기반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연계·제공하는 고도화·지능화된 서비스로서 대통령령으로
  • 46. - 46 - 정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u-City 기술이란 u-City 기반시설의 구축과 u-City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건설·정보 통신 융합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u-City 기반시설이란 유비쿼터스 센서 통신망, 초고속 정보통신망과 광대역 통합정보통신망 등 첨단 정보통신망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 2 조 제 6 호에 의한 기반 시설 또는 동조 제 13 호에 의한 공공시설 등의 도시 시설물을 지능화한 시설, u-City 운영에 관한 시설 등으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그리고 건설·정보통신 융합기술이란 기반 시설 또는 공공시설 등의 도시 시설물을 지능화하기 위하여 건설 기술에 전자·제어·통신 기술을 접목한 기술을 의미하며 u-City 운영센터란 u-City 기반 시설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가공하여 u-City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u-City 건설 시 가장 어려운 부분 중의 하나는 연간 40 억 원 이상이 지속적으로 소요되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관리비 부담의 문제이다. 지자체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료 등을 징수하여 이 관리비를 충당하는 것은 마치 정부가 수익 사업을 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추진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특정 지역의 u-City 주민들을 위해 그 시의 세금을
  • 47. - 47 - 활용하는 것은 그 u-City 에 주거하지 않는 시민들에게는 형평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지속적인 관리비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초기 투자비용이 들기는 하지만 지자체가 자체 비용으로 자가망을 구축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는 쉽지 않았다. u-City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익성 측면의 논의에 앞서 시장에서 경제적으로 수요자가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심적이어야 한다. 수요자 입장에서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필요와 편리성이 기술과 함께 제공되어져 그에 따른 비용 부담에 대한 당위성이 수반되어야 했다. 장미 빛의 청사진과 미래형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계획만으로 수요자에 대한 고려와 기술 적용 후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검토가 미흡했던 정책이었다. 4.4.1 U-City 서비스 분류 u-City 서비스를 분류할 때 기술적인 분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구현방향에 따른 이동성(mobility), 내재성(embedment), 자율성(smart)등과 유비쿼터스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의 대상(보편성과 특수성), 시간(상시성과 일시성), 장소(이동성과 고정성)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분류는 서비스를 산업분류를 중심으로 하여 개인생활부문(문화․오락,보건․복지),산업경제부문(비즈니스․상거 래, 통신․방송․출판, 금융․보험, 물류․교통, 건설, 정보 관련
  • 48. - 48 - 서비스)과 공공행정부문(일반 행정, 사회안전관리)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림 11 u-City 산업 및 서비스 분류 예시30 u-City 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서비스의 적용 범위에 따라 표 1 과 같이 크게 u-Home, u-Work, u-Traffic, u-Health, u- Environment, u-Public service, u-Education 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u-City 서비스는 ① 유무선 서비스의 통신 인프라 ② 첨단 인텔리전트 빌딩과 지능형 도로 등의 도시인프라 ③ 홈 네트워킹, 건물관리 시스템 등의 솔루션 30 정우수 외(2006)
  • 49. - 49 - ④ e-Learning, IP-미디어 등의 콘텐츠가 결합되어 구현된다. 구분 주요내용 U Home 원격검침, 원격제어, 원격수리, 출입문제어, 홈 네트 워킹, IP-미디어 U Work 재택근무, 원격회의, 무선상거래 U Traffic 교통상황, 교통사고처리, 도로통합관리, 텔레매틱스 U Health 헬스케어 서비스, 원격검진, 원격의료/치료, 응급 조 치 U Environment 환경관리, 위생관리 U Public 전자정부, 방범, 재난관리 U Education E-Learning, 학교관리 시스템, 학원 등하교 관리 시스템 표 1 u City 서비스 유형31 표 1에 나타난 u-City의 서비스 유형을 살펴보면 공공 서비스와 민간 서비스로 크게 구분되며 공공 서비스에는 u-Public과 u- Environment Management, u-Traffic 등이 있는데 이들 서비스 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도움이 없이는 구현될 수 없는 서비스 들이다. 민간 서비스로 가장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u- Healthcare, u-Home, u-Work, u-Education 서비스는 u-City 통합운영센터의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지만 u- City 통합운영센터와 연계될 때 제대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1 U City 공공/민간 서비스구현을 위한 핵심기술 (전호인 : 경원대 교수 TTA Journal no 112)
  • 50. - 50 - u-City 에 있어 유망서비스의 선정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u- City 서비스를 그림 12 와 같이 공공서비스와 민간서비스로 구분하고 공공서비스를 다시 시설물관리, 방범․치안․안전, 교통, 환경, 민원․행정으로 그리고 민간서비스를 비즈니스․상거래, 통신․방송․출판, 금융․보험, 물류, 건설, 정보 관련 서비스, 주거단지, 홈, 보건․복지, 교육, 문화․오락, 관광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림 12 u-City 유망서비스 선정기준을 위한 분류32 32 정우수 외(2007)
  • 51. - 51 - 국토해양부가 2009년에 고시한 고시 제2009-439호에 의한 유 비쿼터스 도시서비스 분류체계 및 예시에서는 u-City 서비스를 행정, 교통 등 11개 분야에 68개 통합서비스로 분류하고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그림 13과 같다.
  • 54. - 54 - 그림 13 국토해양부의 u-City 서비스 분류 체계 및 통합서비스 예시 분류란 연구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류가 나타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이러한 다양한 분류의 한 계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무리 대 분류와 같이 상위개념의 분류가 아니더라도 공공 부문의 서비스와 민간부문의 서비스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물론 전자민원과 같이 명확한 것도 있겠으나 교통, 심지어 보건, 복지 및 방범까지도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공공부문의 서비
  • 55. - 55 - 스에 대한 범위는 지역마다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공공 부문과 민간부문이 서로 연계되어 나타나는 서비스의 경우 공공 부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투자된 기반시설을 민간부문의 서비 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새로운 수입원 창출이 가 능하다. 둘째,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서비스 구분이 불명확하다. 예를 들어 u-Payment의 경우 지불결재를 담당하는 은행과 같은 민간업체 의 참여가 요구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u-City는 민간부문 서비스제공업체와 지역주민 사이에서 특정한 시스템이나 통신망 혹은 일정 부분의 설비를 제공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셋째, u-City가 기본적으로 지역주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역주민에 대한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은 물론 지역주 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한 간접적인 서 비스 제공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u-택배의 경 우 실질적인 혜택을 누리는 것은 지역주민이지만 그것을 위하여 u-City가 필요한 정보와 시스템을 택배업체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u-City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지역주민의 편익을 향 상시키고 나아가 u-City 운영의 재정적 자립성까지 갖추기 위하 여 민간부문의 서비스 활성화는 물론 이를 위한 민간업체의 적극 적인 참여도 매우 중요하다.
  • 56. - 56 - 4.4.2 U City 서비스 수익성 이해 유비쿼터스도시 서비스는 유비쿼터스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에 의하면 행정, 교통, 보건․의료․복지, 환경, 방범․방재, 시설물 관리, 교육, 문화․관광․스포츠, 물류, 근로․고용 및 그 밖의 도시의 경쟁력 향상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국토해양부 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분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의한 u-City 는 2005 년 한국토지공사의 ‘u-City 개발 및 운영방안’에 의하면 도시 전체를 체계적으로 관리․관제하는 도시통합운영센터를 구축하고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으로 설계된 최첨단 광통신인프라를 통하여 주민들에게 교통정보제공, 생활안전, 환경기상정보의 공공서비스와 원격교육 등의 상용서비스를 도시 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로 해석되고 있다. 결국 u-City 건설의 목적은 크게 공공부문의 서비스를 정보화하여 공공부문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이를 위하여 구축된 유비쿼터스 환경, 특히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민간부문의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주민의 편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u-City 건설의 성패는 u-City 건설 그 자체가 아니며 u-City 기반시설을 통하여
  • 57. - 57 - 제공되는 서비스로 인하여 나타나는 사회적 편익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국토해양부의 제 1 차 유비쿼터스 도시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u-City 의 3 대 목표가 ① 도시관리의 효율화, ② 신 성장동력으로 육성 및 ③ 도시서비스의 선진화인 것에도 잘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u-City 건설 및 운영의 수익성이란 공공부문의 경우 도시의 관리, 운영 면에 있어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 향상과 민간부문에 있어 상용서비스 제공에 따른 새로운 수입원의 창출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공공부문의 서비스가 모두 무상이며 민간부문의 서비스가 모두 유료서비스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제공대가를 부담하는 것은 결국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제공되는 서비스의 성격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u-City 건설 및 운영에 관한 수익성은 다음과 같이 공공부문의 경우 u-City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네트워크와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설치․운영에 소요되는 비용과 이러한 서비스를 u-City 서비스가 아닌 기존 방식으로의 공공서비스로 제공했을 때의 비용을 비교하는 즉 원가절감 측면에서 검토될 것이다. 또한 소요 비용이 증대할 경우도 사회적 편익의 증가분이 이를 상쇄할 수 있다면 서비스 제공의 근거가 될 것이다.
  • 58. - 58 - 반면 민간부문의 서비스의 경우 u-City 기반설비를 활용하여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인 만큼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용과 이를 통하여 발생되는 수익과의 비교에서 나타나는 수익성 측면에서 검토해야 할 것이다. 그림 14 u-City 서비스 제공 결정 기준 u-City 서비스 제공 결정 기준에서 공공부문의 경우 원가절감(도시관리 효율성 향상), 민간부문의 경우 수익성(신규 수입원의 창출)이 의사결정의 핵심요인이 된다.33 4.4.3 U City 기술 표준 현황 표준화는 필요한 표준을 합리적으로 선정하여 조직적으로 활용하는 행위를 말하며, 사회전반에 걸쳐 모든 사물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고 생산성 향상, 부적합한 개발 방지 및 경제적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표준화의 의미를 생각할 때 떠오르는 것은 표준개발이다. 즉, 표준대상을 선정(발굴)하고 구현(개발)하는 것을 표준화라 할 수 있다. 33 U-City 서비스활성화 방안 (황성진 외 2010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59. - 59 - 그러나 표준화라는 의미는 보다 넓은 활동을 내포하고 있다. 즉, 표준대상을 선정하고 표준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하는데 이르는 일련의 과정까지 포함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u-City 서비스 표준화의 개념을 정의한다면, u- City 서비스 표준화란‘합리적인 u-City 서비스 표준을 정의하고 활용하기 위해 서비스 표준을 발굴, 개발, 운용 및 관리 등의 전반적인 활동’을 의미한다. u-City 기술은 u-City 를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지만, 기술적 범위 및 영역을 구분 짓기에는 다소 어렵다. 왜냐하면 u- City 는 도시적 특성 및 서비스 적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융합되기 때문이다. 즉, u-City 는 다양한 u-IT 기술의 접목으로 이루어진다. u-City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는 크게 RFID/USN, WiBro, BcN 등과 같은 기반기술과 다양한 응용 서비스에 연계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GIS(지리정보시스템), LBS(위치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응용 서비스 연계기술로 나눌 수 있다.
  • 60. - 60 - 그림 15 u City 기반기술 표준현황34 그림 16 u-City 연계기술 표준화 현황 34 국내 u-City 서비스 및 요소기술 표준화 (김구수 KT인프라 연구소 외 2인) 재인용
  • 61. - 61 - 그림 11 은 u-City 에 필요한 유비쿼터스 기반기술들의 내용과 요소기술 표준 현황을 정리한 것이고 그림 12 는 연계기술들의 내용과 요소기술 표준 현황을 정리한 것이다. 4.5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 서비스 방통융합 환경에서는 인터넷 기반 환경과는 다르게 콘텐츠 및 서비스의 전송을 위해서는 사업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는 방통·융합 서비스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회복지/교육/공공정보/민원처리 등 공공서비스를 IPTV, DCATV, 모바일 IPTV 등과 같은 TV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17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적용대상35 35 공공부분 IPTV 적용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 62. - 62 - 방통융합 환경을 통한 공공서비스 제공은 일반 국민이 TV 라는 익숙한 매체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방송과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수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나아가 민간 분야의 방통융합 서비스 이용활성화를 유도함으로써 관련 IT 산업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IPTV 가 사업을 시작하던 초기부터 이 새로운 양방향 기술을 활용하여, 교육, 의료, 교통, 민원, 문화, 사회복지, 지자체 홍보 등 국민에게 친숙하고 다양한 공공서비스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2008 년 7 월,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을 통해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자로 KT 컨소시엄, SK Broadband(하나로컨소시엄), LG 데이콤 컨소시엄을 선정해 IPTV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총 30 억여원의 민관 매치펀드로 국가기록원, 지역교육청, 지방자치단체 등 9 개 공공기관이 참여하여 6 개 서비스를 발굴하고 600 여가구에 서비스를 시범 제공하였다. 2009 년에는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발굴과제 32 개 중 평가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4 개 부문(국방, 보건의료, 관광, 농수산)을 선정하여 사업을 실시하였다.
  • 63. - 63 - 4.5.1 IPTV 공공서비스 IPTV 공공서비스는 유형의 제공 방식 별, 서비스 종류별로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제공 방식 별로는 단 방향 서비스, 양방향서비스(Interactive 서비스), 거래형 서비스(Transaction 서비스)의 유형이 있으며, 서비스 종류별로는 민원서비스, 국정홍보, 정보제공 및 국민 참여형 서비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통정보, 재난정보, 국정홍보, 시정안내, 날씨정보, 환경정보, 보건정보, 공약정보 및 정책사업 소개 등은 단방향으로 제공되는 공공서비스의 예이다. 설문조사나 T- learning 의 경우는 양방향이 필요한 공공서비스의 예가 되며, 민원이나 세금/공과금 납부 등은 거래형 공공서비스의 예이다. 4.5.2 DCATV 공공서비스 DCATV(Digital Cable TV) 공공서비스는 시범지역 SO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시스템 구축, 서비스 제공자 (공공기관)와의 망 연결 및 인터페이스 구축, 공공서비스 콘텐츠(애플리케이션 포함)개발, 기존 서비스 연동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원지원이며, 시범사업자로 선정된 각각의 SO, 방송·통신위, 지방자치단체, 기술개발관련 업체 등은 실무자 협의회를 구성하여 사업개발을 추진하였다.
  • 64. - 64 - DACATV 는 특성상 지역밀착형 미디어로 정부주도형의 정부가 지원하는 프로그램/프로젝트에서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사업자가 주체가 되어 지역밀착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4.5.3 스마트 TV 공공서비스 현재 개발된 스마트 TV 는 웹 브라우징, 다양한 동영상 구현 등이 PC 환경과 동일하게 자유롭다. 그리고 현재 TV 에서는 프로그램에서 주어지는 정보에 한정되는 불완전한 양방성을 갖추고 있지만 스마트 TV 는 검색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습득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다운받아 확인하고, SNS 를 통해 친구들과 공유하는 서비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여행을 준비하는 직장인의 경우 TV 검색을 통해 다양한 여행상품을 살펴보고, 가격정보․항공․호텔 등 결재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며, TV 에 설치된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 어플을 통해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다. 스마트 TV 는 IPTV 의 양방향성인 참여에 공유 기능이 추가 되고, 개인화된 미디어로 발전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 TV 의 장점을 활용한 국민 체감형 공공서비스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웹(PC) 및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공서비스가 개발되고 활용되고 있는 연장 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다.
  • 65. - 65 - 그림 18 PC vs TV 기반 공공서비스 비교36 웹과 스마트폰 기반으로 개발된 공공서비스를 TV 용 서비스로 변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TV 만의 장점을 활용한 특화된 서비스 개발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동반되고 있는 추세이다. 4.6 표준 체계 4.6.1 U-City 서비스 표준체계 u-City 서비스 표준은 서비스의 분류와 분류별 서비스 모델, u-City 서비스의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규약이다. u-City 서비스 표준화는 서비스 모델의 발굴과 개발, 그리고 관리 및 운영단계까지를 포함하여 서비스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각종 방법, 절차, 문법 등에 대한 공통된 서비스 규약으로서의 36 방송통신 융합 공공서비스 활성화 추진 방향(TTA, 2009.4)
  • 66. - 66 - 표준을 제정하고, 그 표준을 따르는 일련의 과정이다. 서비스 표준 모델은 자치단체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공통서비스 모델을 도출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기반 하에서 지역 특색을 감안한 특화서비스도 가능하다. u-City 서비스 표준 모델은 공간적 확장이 가능한 상호 통합‧연계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서비스 표준체계는 서비스 분류체계, 서비스 목록정의, 서비스 선정, 서비스 운영 및 관리체계, 서비스 평가의 5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서비스 분류체계와 서비스 목록정의는 u-City 추진현황, 법‧제도적 환경, 정보기술 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정의되며, 정부 또는 연구기관에 의하여 국가의 표준체계 도출차원 에서 수립된다. 자치단체는 자치단체의 환경분석, 수요 조사·분석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자치단체에 적합한 서비스 성정, 서비스 운영 및 관리, 서비스 평가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u-City 서비스 분류체계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 및 연구들이 있었으나 분류기준에 대한 명확한 근거 제시나, 분류에 따른 구별의 실익이 명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기존의 서비스 분류기준으로 도시기능과 활동, 서비스 활용주체, 표준산업분류, 도시공간 요소를 활용한 연구들이 있다.
  • 67. - 67 - 그림 19 서비스 표준체계 수립단계 산출물37 4.6.2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플랫폼 방통융합 공공서비스를 사업자를 통해서도 국민에게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텐츠/단말/장비 등에 대한 기술, 정보보호(인증/보안) 안정성 등의 규격/표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37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드라인 V2.0 (한국정보화진흥원)
  • 68. - 68 - 그림 20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표준플랫폼 개발 대상 예38 예를 들면 IPTV 서비스 관련 STB, 미들웨어 플랫폼, 보안시스템 등의 규격,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 이용자인터페이스(GUI, 리모콘 등) 방식, IPTV 콘텐츠(audio, video) 규격, 서비스 제작 및 제공 방식, 프로그램 편성, 채널접근 방식 등에 대한 규격 정립이 필요했다. 정부·공공기관 등에서 방통융합 공공서비스를 구축·제공할 경우 필요한 구축 절차, 시스템 규격, 콘텐츠 방식, 사업자 연동방식 등에 대한 38 방통융합 환경에서의 공공서비스 활성화 방안(이승택 한국정보화진흥원)
  • 69. - 69 - 가이드를 제작하여 보급함으로써 효율적인 투자 계획을 추진했다. 그림 21 방통융합 공공서비스 공통기반환경 구성방안39 39 공공부분 IPTV 적용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 70. - 70 - 5.국내외 IT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 5.1 국내 U-City 공공서비스 선정 자치단체에 u-City 서비스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서는 u-City 서비스의 표준모델화, 운영기준, 평가기준을 표준화하여야 한다. 정부 또는 표준화 기관에 의하여 수행되는 u-City 서비스 표준모델, 운영기준, 평가기준은 각 자치단체의 환경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변경될 수 있다. 자치단체는 표준 서비스 분류체계와 표준 서비스목록 정의로부터 시‧도 및 시‧군‧구 업무와의 연계 및 확장성을 고려하여 자치단체에 적합한 u-City 서비스를 선정하게 된다. 그림 22 기존 시군 구 업무와 시도 업무
  • 71. - 71 - 한국 정보화 진흥원에서는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 드라인 V2.0은 여러 자치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공통 u-City 서비스 참조모델을 선정 하기 위하여 자치단체의 u-City 담당 자를 대상으로 6개 분야의 u-City 서비스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선호하는 각 분야별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그림 23 분야별 선호 서비스
  • 72. - 72 - 그림 24 2010년 기준 국내 u-City 추진 현황40 40 자료 VETA Research & Consulting(2010) & u-City 서비스 활성화 방안(정보통신정책연 구원) 수정
  • 73. - 73 - 5.2 국내 U-City 서비스 우수 사례41 5.2.1 용인 흥덕지구 용인시 기흥읍 영덕리 일원 214 만 6 천㎡ 부지 내에 위치한 용인흥덕지구는 2009 년 7 월까지 170 여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광케이블 통신망과 공공정보상황실을 설치하며, 공동주택, 상업·업무용 건물 등에도 초고속정보통신 건물 1 등급(공동주택의 경우 특등급) 이상의 구내 통신선로 설비가 구축된다. 기간통신망을 기반으로 지구특성을 반영한 8 대 공공정보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그림 25 용인흥덕지구 구성도 41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드라인 V2.0 (한국정보화진흥원)에 수록된 사례 참조
  • 74. - 74 - 5.2.2 광교 신도시 수원시 매탄동, 이의동, 원천동, 하동, 우만동, 연무동 일원 1,130 ㎡ 부지내에 위치한 광교 신도시는 안정적인 유무선 통신인프라와 플랫폼 기반 하에 현실적이고 미래지향적인 8 대 u-서비스를 제공하며, 거주민편익증대, 공공편익증대 등 지속가능성 제고로 도시경쟁력을 확보하여 경기도 신도시 개발사업의 u-City 모델을 실현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림 26 광교 u-City의 미래상
  • 75. - 75 - 5.2.3 판교 신도시 성남시 분당구 판교동, 하산운동, 삼평동일원 930 만㎡ 부지내에 위치한 판교신도시는 ‘수도권남부의 주택 수요에 대응한 쾌적한 주택단지조성’,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친환경적 도시조성’, ‘수도권 동남부의 업무거점 육성’이라는 목표 하에, 성남시의 합리적 도시발전을 도모하고, 계획적 공영개발을 통한 수도권 지역의 지속적인 택지공급에 기여하고자 추진되고 있다. 그림 27 판교 신도시 개념도
  • 76. - 76 - 성남판교 u-City 는 지구 내 풍요로운 공원/녹지 등 자연환경과 공급을 목표로 정보통신기술이 제공하는 편리성으로 자연친화적인 삶을 추구하는 현대 도시민들의 이상을 충족시킬 수 있는 ‘U-Ecotopia’를 지향하고 있다. 5.2.4 파주교하 신도시 파주시 교하읍 일원 9555 만㎡ 부지 내에 위치한 교하 신도시는 기존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첨단 인프라 기반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림 28 파주교하 신도시 구성도 최첨단도시건설구축의 일환으로 개발되고 있는 u-City 는 최첨단 IT 기술을 도시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적용한 미래형
  • 77. - 77 - 첨단도시로 도시민의 복지 향상, 도시운영의 효율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교하신도시 u-City 는 광통신정보통신 인프라 위에 교통, 방범, 환경, 보건복지, UIS 등 총 10 개 분야 48 개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으로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통합센터에서 통합 운영하게 된다. 5.2.5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연수구 송도동 일원 53.4 ㎢ 부지 내에 위치한 송도국제도시는 “21 세기 동북아 물류중심, 경제자유도시“라는 도시비전을 가지고, 최고의 비즈니스 중심도시 건설을 목표로 4 대허브 조성 및 3 대 차별화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되며, 최적화된 u-City 비전 및 전략을 수립했다. 그림 29 인천경제자유구역 추진전략
  • 78. - 78 - IFEZ u-City 의 추진전략은 인천시 도시 비전에 대한 방향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었다. 5.3 해외 유비쿼터스 기반 공공서비스 사례42 5.3.1 미국 미국은 지난 1991 년부터 NITRD(Networ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의 네트워킹 및 IT 연구 계획을 통해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페이스 기술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유비쿼터스와 관련한 기술을 공공부문에 활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실제로 최첨단 컴퓨팅, 대규모 네트워킹, 고 신뢰성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정보관리,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생산성 등의 정부 주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은 국방, 의료, 산업, 가정 등의 사회전반에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미국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반의 공공서비스 중에서도 U- Health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도록 한다. 미국의 의료분야는 시장중심의 서비스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미국인 3 억명 중 약 4700 만 명만이 의료보험에 가입하였다. 따라서 이와 42 지역정보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vol81 2013) 참조
  • 79. - 79 - 관련하여 정부 주도의 의료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더불어 유비쿼터스 기반의 의료서비스는 민간의 원격의료 투자에 따라 경제성의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공공의료분야를 중심으로 의료서비스가 추진 되 고 있다. 선진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보건의료 공급자와 이용자의 요구가 달라짐에 따라 U-Health 가 발전하게 되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U-Health 는 원격의료, 원격진단의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보통신기술과 의료기술을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U-Health 는 안정성, 적시성, 효과성, 균형성 등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공공서비스 제공은 행정서비스의 안정성, 능동성을 향상시키고, 민원업무의 신속성이 증대되어 이전보다 효율적인 정부서비스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은 정부차원에서 의회, 보건부, 국방부 등을 중심으로 U- Health 관련 정책, 표준화, 기술개발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996 년 HIPA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인 의료보험 정보교환 및 책임 관련 법안이 제정되고, 1997 년 연방 원격진료법(Balanced Budget Act)이 제정되는 등 정부의 의료정보서비스 법제화를 통해 원격진료 확산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최 근 에 는
  • 80. - 80 - N H I I ( N a t i o n a l H e a l t h Information Infrastructure)를 통한 의료정보화 향상과 더불어 NHIN(National Health Information Network)을 구축하여 의료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부처 간, 각 관련 기관간 효율적으로 정보를 사용하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오바마 정부는 중앙 및 주정부의 지원을 통하여 공공의료, 원격의료기술을 활성 시키고 있으며, 지역별로 원격의료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의료서비스 접근성 제고 및 의료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OC)는 이러한 원격의료프로젝트를 통하여 소외계층, 농어촌지역, 교도소, 학교 등에서 활용되고 약 50 개 세부 진료과목에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의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어 다양한 의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시공간을 초월하여 제공되고 있다. 신규 노인주택 서비스는 제공하면서 집에서도 질병관리서비스, 의료서비스 등을 편하게 점검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Home-Health Care 서비스는 사회전반의 의료서비스 수준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 81. - 81 - 5.3.2 영국 일찍부터 공공서비스 전달에 정보통신기술의 도입에 적극적이었던 영국은, 치안, 의료, 방재, 교육, 도서관 등 거의 모든 공공서비스 부문에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통해 진정한 유비쿼터스 기술이 가능해지면서 그 범위를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영국에서 유비쿼터스에 기반한 공공서비스로 가장 대표적인 것은 치안, 의료 및 돌봄, 그리고 도시 안전과 방재 부문 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로 치안 부분으로 영국은 세계에서 CCTV 설치 대수가 가장 많고 이를 개인 및 사회의 안전과 국가 안보에 적극 활용하는 대표 적인 국가이다. 영국 정부는 프라이버시 침해와 빅 브라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CCTV 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치안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유비쿼터스의 정의처럼 언제 어디서든지 가능한 치안서비스의 구축에 초점을 맞춘 치안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범죄와 테러 위협 등의 안보 목적과 연계하여 여권, 비자 등에 다중생체 DB 를 구축하고 생체인식(지문/얼굴 등) 시스템을 활용해 테러용의자와 범죄자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신원확인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였다.
  • 82. - 82 - 둘째 U-Health 부분으로 일찍이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영국은 이러한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노령층의 의료 및 돌봄(Health and Care) 서비스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노령층을 대상으로 한 대표적인 서비스로 텔레케어 서비스(Tele-Care Service)가 있다. 텔레 케어 서비스는 인터넷이나 휴대전화 등을 활용해 만성 질환 자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혈압측정, 응급상황 알림 등을 통해 건강관리와 독립생활을 지원하는 것이다(http://www.telecare.org.uk). 현재 전체 노인인구의 약 30%가 텔레케어 서비스를 통해 스스로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있다. 한편, 의사와 화상 통화를 통해 상담하는 텔레 헬스(Tele-Health)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인 통신서비스 기업인 O2 는 환자가 디지털 기기들을 활용한 화상접속을 통해 자신의 집에서 편안하게 의사와 상담할 수 있게 해주고 있는데, 초기 진단 및 의사와의 상담에 소요되는 교통비를 약 30% 정도 절감하고 있다. 세 번째로 도시 안전과 방재부분으로 영국의 U-방재 서비스는 전염병과 테러 등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먼저, 전염병에 대한 예방과 대응이다. 영국은 광우병이 처음 발병한 국가이고 그 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국가 중 하나이다. 따라서, 지금도 발병하는 광우병과 구제역의 예방과 대응에 정보통신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