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7
과목명: 담화텍스트 이론연구

발표일: 2013. 12. 11

담당교수: 양명희 교수님

발표자: 펑원징(석사1차)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텍스트성 분석

1. 머리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머리말을 연구대상으로, 머리말을 머리말답게 만들어주는 텍스트
성이 텍스트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언어현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계몽기 이후부터 한국 국내에 한국어교육기관이 본격적으로 생기고 한국어 교재도 출판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어 교육은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 다양한 한국어 교재가
출판되면서 급속 발전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재가 가장 ‘좋은’ 것인지
를 두고 고민한다. 이때 교재 머리말은 좋은 길잡이가 되어 독자는 텍스트 생산자인 편저자
로부터 직접 교재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게 된다.
한국어 교재 머리말 텍스트에 관한 조사 및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 없다 . 따라
서 이론적, 실용적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교재 머리말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성 등에 대한 연
구는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머리말 분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어1(서울대)』
,『연세한국
어1(연대)』
『재미있는 한국어1(고대)』
,
『이화한국어1(이대)』
,
『한국어1(경희대)』
,
『한국어1(인
,
하대)』,『한국어1(선문대)』 총 7권을 연구 대상 자료로 선정하였다.
2. 머리말의 본질과 구조
2.1 한국어 교재 머리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머리말이란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로 정의하고 있으며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라고도 한다.
한국어 교재의 머리말은 본문에 앞서 독자인 한국어 학습자나 교사를 텍스트 수용자로 하여 ,
텍스트 생산자인 편저자가 교제의 대강이나 집필동기를 보여 주며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
다.
2.2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구조
한국어 교재 머리말은 교재의 내용을 개관하고 편집자의 출판목적을 전달하는 동시에 출판
에 도움을 준 사람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도 적는다.
표1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구조
서울대

경희대

연대

인하대

고대

이대

(1999)
1출판배경,

선문대
(2001)

(2004)

(2007)

(2009)

(2010)

(2010)

○

○

○

○

○
2필요성,

○

○

3편찬 과정,

○

○

4교재의 구성 및 특성,

○

○

○

5감사의 표현,

○

○
○

○

6독자와 미래에 대한

○

○

○

○

○

○

○

○

○

○

○

○

○

○

○

○

○

○

바람

<표1>에서 나타난 듯이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거시 구조는 ‘출판배경’, ‘필요성’, ‘편찬 과정’,
‘교재에 관한 구성 및 특성’ 등 정보, ‘감사의 표현’, ‘독자와 미래에 대한 바람’으로 나눈다. 하
지만 교재마다 머리말의 양식은 모든 항목 다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7권 교재의 머리말에
서 ‘교재의 구성 및 특성’은 모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 따라서 독사에게 교
재의 구성 및 특성 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교재 머리말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고 본다.
1999년에서 2010년까지 출판의 시간에 따라 머리말의 구조의 변화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
고 1999년에 출판된
『한국어1(서울대)』
머리말은 가장 간단하다. 오직 ‘편찬 과정’, ‘교재의 구
성 및 특성’, ‘감사의 표현’ 3 항목일 뿐이다. 그러나 최근 2010년에 출판된 『이화한국어1(이
대)』 『재미있는 한국어1(고대)』 모든 항목이 빠짐없이 등장하여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과
는
여기에서 1999년에 출판된 것부터 2010년에 출판된 것에 이르기까지 한국어 교재 머리말 구
조의 발전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세해 지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3.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텍스트성 분석
Beaugrande&Dressler(1981,2002)는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만들어 주는 요소가 무
엇일까’에 관심을 가지고, 외형적으로 단순한 문장 연속체를 유의미한 텍스트로 만들어
주는 이른바 텍스트성(textuality)을 일곱 가지 곧, 의도성(intentionality), 용인성
(acceptability), 응결성(cohesion), 응집성(coherence), 상황성(situationality), 정보성
(informativity),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으로 상정하였다.
본고에서는 텍스트연구에서 일곱 가지 기준을 똑같은 비중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일곱 가지 기준들이, 다른 텍스트의 분석에서도 그러하듯이,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분석에서
동일한 정도로 중요성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응결성
(cohesion), 응집성(coherence))에 주목하여 살필 것이다. 나머지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언
급하기도 한다.
3.1 응결성(cohesion)
응결성(cohesion)이란 Beaugrande와 Dressler(2002:69)에 의하면, “텍스트를 이루는 다양한
발화체들이 그 사용되는 환경(context, 맥락)50)과 서로 관련 있는 질로서, 인지과학적으로
보면 각 발화체들이 적어도 (해당 텍스트 안의) 다른 몇몇 발화체들을 액세스하게 됨으로써
텍스트의 연속성(continuity)과 안정성(stability)을 확보시켜 주는 텍스트성”을 말한다.
또 응결성(cohesion)는 Renkema(1997:59)에 따르면 “응집성(cohesion)이란 텍스트에 존재
하는 한 요소의 해석이 같은 텍스트에 존재하는 다른 요소에 의존함으로써 생겨나는 연결 관
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Halliday & Hasan(1976)은 응결성을 대용(substitution), 생략(ellipsis), 지시(reference), 접속
(conjunction), 어휘적 응집(lexical cohesion)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제가
긴밀히 연결되면 텍스트 전체의 결속 구조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의미적 결속력을 높이는
데도 일조하고 있다(채춘옥,2013).
3.1.1 지시(reference)와 대용(substitution)
지시(reference)는 앞이나 뒤에 있는 요소를 가리키는 행위인 지시는 의미적 관계를 다룬다 .
반면에, 대용은 단어, 문장, 절과 같이 문법적인 단위들(grammatical units) 사이의 관계를 다
룬다. 지시의 경우 ‘허(dummy)’ 단어의 의미는 그 허 단어의 앞이나 뒤에 주어진 것에 의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그 허 단어는 대명사이다.(이원표 역(1997:64))
다시 말하면, ‘지시’는 텍스트 내에 지시 대명사, 지시 관형사, 지시 부사가 사용되었음을 의
미한다. ‘대용’은 특정한 뜻이 없는 경제적이고 짧은 단어를 사용하여 발화의 표층 구조를 간
결하게 만드는 기법이다. 앞이나 뒤에 오는 표현을 다시 반복하지 않고 대용어라는 짧은 형
식으로써 그 기능을 대신하는 것을 말한다(윤재연, 2012). 선행 연구에서는 모두 지시와 대용
을 구분하지 않고 ‘대용’의 범주에서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 그래서 본고에서는 ‘지시’와
‘대용’을 모두 ‘대용’이라고 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재의 머리말에서 나타나는 대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이화 한국어(Ewha Korean)』는 말하기·듣기·쓰기의 통합 교재이며 초급부터 고급까지
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교재는 네 가지 언어 기능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유도하면서
도 특히 말하기 능력을 강화하도록 고안된 것이 특징입니다 . 말하기 연습을 유도하는 장치로
‘Try it’을 활용하였는데 이것은 외국인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담화
순서와 문장의 핵심어를 담은 것입니다. 이 장치를 따라 말하기 연습을 함으로써 학습자는 단
순 암기방식에서 벗어나서 주도적으로 대화를 이끌어 가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이화 한국어(이대)』)
(2) 이 교재는 한국어문화교육센터가 그동안 쌓아 온 연구와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이교재의 가장 큰 특징은 한국어 구조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말하기 연습을 바탕으
로 학습자 스스로 의사소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는 점입니다. 이 교재를 통해 학습자
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성공적인 한국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입
니다.
(『재미있는 한국어1(고대)』)
텍스트 형성할 때 같은 품사가 되풀이되기도 하고 대용어로 바뀌기도 한다 . 한국어 교재 머
리말에서 특히 교재의 구성 및 특징을 소개하는 부분에 잘 나타나고 있다. (1)에서 보면 ‘이
교재’의 ‘이’는 관형사로서 앞에 나오는 교재 명칭 『이화 한국어(Ewha Korean)』 가리키는
‘
’를
것이다. (2)의 예에서 ‘이 교재’가 반복 되고 있는데 특이한 것은 앞 문장에서 교재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아서 대용할 교재 명칭이 없어도 있는 것처럼 대용어 ‘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다. 또한 ‘이’는 주요한 관심대상으로 긴밀히 끌어들여 받을 때 쓰는 경향이 있는데 (심재기 외
1984:148~149) ‘본’이 아닌 ‘이’계열 대용어의 선호는 한국어 교재 머리말에서 교재의 특징
에 관련 어구를 주요 관심대상으로 부각하려는 점과 관련된다.
(1)에서 보면 ‘이 장치’은 앞 문장의 ‘말하기 연습을 유도하는 장치’를 가리키며 문맥에서 그
의미가 해석 되는데 이 과정에서 두 표현은 문장 단위를 넘어서 연결된다.

이러한 지시현상이 한국어 교재 머리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도
록 한다.
<표2> 교재의 이름을 대용하는 표현
대용 표현
서울대(1999)

이책

선문대(2001)

이책

경희대(2004)

이 교재, 본 교재

연대(2007)

이 교재

인하대(2009)

본 도서

고대(2010)

이 교재, 이 책

이대(2010)

이 교재, 이 책

<표2>를 보면 각 교재 머리말에 교재의 이름을 대용하는 표현을 알 수 있다 . 가장 처음에 나
오는 서울대와 선문대 교재는 ‘이 책’이라는 대용표현만이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에 나오는
고대와 이대 교재 머리말 속에서 ‘이 교재’와 ‘이 책’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보인다 . 따
라서 교재의 이름에 관한 대용표현이 ‘이’ 계열의 대용어를 사용하여 ‘교재’와 ‘책’이 복합적으
로 발전하는 추세를 보인다.
3.1.2 접속(conjunction)
접속은 이원표 역(1997:65)에 따르면 “이어지는 문장이나 절이 어떻게 앞이나 뒤의 절 (또는
그 부분)과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관계”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이는 대체로 접속사의 사용
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등위접속, 이접적 접속, 역접속 등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등위접속은 같은 지위를 가진 것들을 연결하는데 ‘그리고 , 역시, 더욱이’ 등을 사용해서 표시
한다. 이접적 접속은 지위가 다른 것들을 연결하는데 거의 언제나 ‘또는’에 의하여 표시되며
한 문장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역접속은 주로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아직’
등으로 표시된다. 종속적 접속은 ‘왜냐하면, 이우에, 이와 같이, 동안에’ 등의 표현들로 통상
적인 원인관계를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것은 원인관계, 이유, 시간적 인접(그러고
나서, 다음에, 이후에, 동안), 서법 등이 있다(이석규, 2008:37).
표 2. 접속표현의 유형
유형

등위접속

이접적 접속

역접속

종속적 접속

접속 표현

그리고 5

0

그러나 3

동시에 1
아울러 2
또한8

<표 4>에서 보다시피 등위접속에서 ‘그리고’가 다섯 번, ‘아울러’가 두 번이 나타났다. 이접적
적속에서는 ‘또한’, 역접속에서는 ‘그러나’, 종속적 접속에서는 ‘동시에’가 나타났다.
다음은 접속표현의 예이다.
(3)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을 대표하여, 『이화 한국어(Ewha Korean)』가 출간되기까지
이 책의 저자들이 쏟은 열정과 노고에 대해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또한 내용 구성에 많은
조언을 해 주신 이해영, 김영규, 최형용, 박선희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문학 부분에
조언을 해 주신 김현자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편집과 출판을 맡아 주신 이
화여자대학교출판부에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이화 한국어(이대)』)
(4) 연습 문제 수정 작업에 수고해 준 김정하, 장은아, 김은애, 신혜원 선행님과 영어 번역을
맡아 준 필립 오닐 선생님, 그리고 감수와 교정에 참여해 준 여러 선생님들의 노고에 깊은 감
사를 드린다. 아울러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문진미디어 이상철 사장님과 편
집진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한국어1(서울대)』)
감사의 표현에서 감사의 인물들이 바뀔 때 이접적 접속의 ‘또한’과 등위접속의 ‘아울러’로 앞
뒤 문장을 결속시키고 그 내부에서는 등위접속사 ‘그리고’를 사용하여 일관성을 보여 주어 문
장 사이의 강한 응결성을 보여준다. 머리말 저자는 감사의 표현에서 출현하는 많은 인물이나
기관에 대하여 감사하는 강도에 따라서 일정한 순서로 배정하는데 접속사를 텍스트 응결의
장치로 적절하게 활용했음을 잘 보여준다.
3.2 응집성(coherence) (일관성)
응집성(coherence)는 이원표 역(1997:59)에 따르면 “텍스트 밖의 무엇인가에 의해서 생겨나
는 연결 관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이 ‘무엇’이란 대체로 청자나 독자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행각되는 지식이라고 한다. 텍스트의 응집성은 ‘의의 연쇄망’을 통해 구현된다.
(5)S1: 국내 최고의 명성으로 한국어 교육의 50년 전통을 이어 온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그 동안 많은 교재를 편찬해 왔다.
S2: 최근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해외
동포와 외국인이 늘면서 한국어 교재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도 다양해졌다.
S3: 이에 따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에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할 수 있는 새로운 교재를 출간하게 되었다.
(『연세한국어1(연대)』)
하나의 텍스트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내용의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독자가 해석하
는데 무리가 없도록 자연스럽게 전개되어야 한다(채춘옥,2013). (5)의 텍스트는 S1의 한국어
학당의 역사배경으로부터 S2의 최근 사회적 배경, S3의 이러한 현실에서 교재를 출간하게
되는 것 등 3가지 층위로 이루어졌는데 후행 텍스트는 모두 선행 텍스트를 전제로 하고 있다.
4. 결론
본고에서는 독사적인 형식, 내용, 기능을 가지는 규범적인 텍스트인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거시구조, 텍스트성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응집성과 응결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제의 거시구조는 출판배경과 필요성, 편찬 과정, 교재에 관한 정보, 감사의 표현, 독자와 미
래에 대한 바람이 있다.
텍스트성은 응결성과 응집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응결성 중에 지시와 대용은 교재의 구성 및 특징을 소개하는 부분에 잘 나타나고 있다고 본
다. 감사의 표현에서 접속표현이 잘 쓰여서 문장 사이의 강한 응결성을 보여준다.

<참고 문헌>
박나리(2009),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재연(2012), TV광고 텍스트의 응결성: TVCF Award 2011 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83-217, 한국어학회
이석규 외(2001), “텍스트 언어학의 이론과 실제”, 박이정
이원표 역(1997),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Jan Renkema, 1992, ..........
이재희 외(2011), 한국문화사
장소원(2003). “텍스트언어학: 응용편(국어); TV뉴스보도문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텍스
트언어학15,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채춘옥(2013), “한·중, 중·한 서전 머리말의 텍스트성에 관하여”, 한국사전학21, 한국사전학
회
이희영(2008), 어린이 권장도서의 머리말 내용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새 Microsoft word 文档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ssuserda0f2e1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Student
 
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
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
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GiaS8
 
기존 컨텐츠 분석 2
기존 컨텐츠 분석 2기존 컨텐츠 분석 2
기존 컨텐츠 분석 2KIM jeonghyun
 
영어 논문 작성법
영어 논문 작성법영어 논문 작성법
영어 논문 작성법KAIST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thai nguyen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에 대하여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에 대하여yoonjungwon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Nuri-sejonghakdang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Altai2013
 
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
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
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Kungmin
 
My korean 01 (2nd edition)
My korean 01 (2nd edition)My korean 01 (2nd edition)
My korean 01 (2nd edition)nguyenbaolinh2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gbayar
 
2008 [lang con2020] act!
2008 [lang con2020] act!2008 [lang con2020] act!
2008 [lang con2020] act!WarNik Chow
 
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
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
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Н. Батмагнай
 
Espa leer
Espa leerEspa leer
Espa leerStudent
 
강의계획안
강의계획안강의계획안
강의계획안gbayar
 

Similar to 새 Microsoft word 文档 (20)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언어의 신비를 찾아서 중간시험 대체 보고서.pdf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중남미에서+배우는+한국어+
 
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
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
Giáo trình tiếng Hàn Sejong 1.1
 
기존 컨텐츠 분석 2
기존 컨텐츠 분석 2기존 컨텐츠 분석 2
기존 컨텐츠 분석 2
 
My korean 02
My korean 02My korean 02
My korean 02
 
Coreano básico .pdf
Coreano básico .pdfCoreano básico .pdf
Coreano básico .pdf
 
영어 논문 작성법
영어 논문 작성법영어 논문 작성법
영어 논문 작성법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3주)한국어 문법 교육의 단위와 내용.pptx
 
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에 대하여언어학에 대하여
언어학에 대하여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3.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에 대하여(심현숙)
 
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제3과 문법 단위
제3과 문법 단위
 
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
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
고려대 교수요목 분석하기
 
학생언어표준화
학생언어표준화학생언어표준화
학생언어표준화
 
My korean 01 (2nd edition)
My korean 01 (2nd edition)My korean 01 (2nd edition)
My korean 01 (2nd edition)
 
교사언어표준화
교사언어표준화교사언어표준화
교사언어표준화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хичээлийн төлөвлөгөө - Үгсийн сан
 
2008 [lang con2020] act!
2008 [lang con2020] act!2008 [lang con2020] act!
2008 [lang con2020] act!
 
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
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
Монгол хүнд зориулсан солонгос хэлний цогц сурах бичиг 3
 
Espa leer
Espa leerEspa leer
Espa leer
 
강의계획안
강의계획안강의계획안
강의계획안
 

새 Microsoft word 文档

  • 1. 과목명: 담화텍스트 이론연구 발표일: 2013. 12. 11 담당교수: 양명희 교수님 발표자: 펑원징(석사1차)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텍스트성 분석 1. 머리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머리말을 연구대상으로, 머리말을 머리말답게 만들어주는 텍스트 성이 텍스트 안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언어현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근대계몽기 이후부터 한국 국내에 한국어교육기관이 본격적으로 생기고 한국어 교재도 출판 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어 교육은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 다양한 한국어 교재가 출판되면서 급속 발전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재가 가장 ‘좋은’ 것인지 를 두고 고민한다. 이때 교재 머리말은 좋은 길잡이가 되어 독자는 텍스트 생산자인 편저자 로부터 직접 교재에 대한 정보를 안내받게 된다. 한국어 교재 머리말 텍스트에 관한 조사 및 연구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 없다 . 따라 서 이론적, 실용적 측면에서 보면 한국어 교재 머리말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성 등에 대한 연 구는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 머리말 분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어1(서울대)』 ,『연세한국 어1(연대)』 『재미있는 한국어1(고대)』 , 『이화한국어1(이대)』 , 『한국어1(경희대)』 , 『한국어1(인 , 하대)』,『한국어1(선문대)』 총 7권을 연구 대상 자료로 선정하였다. 2. 머리말의 본질과 구조 2.1 한국어 교재 머리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머리말이란 ‘책이나 논문 따위의 첫머리에 내용이나 목적 따위를 간략하게 적은 글’로 정의하고 있으며 ‘두서’, ‘머리글’, ‘서기’, ‘서문’, ‘서언’, ‘서제’라고도 한다. 한국어 교재의 머리말은 본문에 앞서 독자인 한국어 학습자나 교사를 텍스트 수용자로 하여 , 텍스트 생산자인 편저자가 교제의 대강이나 집필동기를 보여 주며 일정한 형식을 가지고 있 다. 2.2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구조 한국어 교재 머리말은 교재의 내용을 개관하고 편집자의 출판목적을 전달하는 동시에 출판 에 도움을 준 사람들에 대한 감사의 표현도 적는다. 표1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구조 서울대 경희대 연대 인하대 고대 이대 (1999) 1출판배경, 선문대 (2001) (2004) (2007) (2009) (2010) (2010) ○ ○ ○ ○ ○
  • 2. 2필요성, ○ ○ 3편찬 과정, ○ ○ 4교재의 구성 및 특성, ○ ○ ○ 5감사의 표현, ○ ○ ○ ○ 6독자와 미래에 대한 ○ ○ ○ ○ ○ ○ ○ ○ ○ ○ ○ ○ ○ ○ ○ ○ ○ ○ 바람 <표1>에서 나타난 듯이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거시 구조는 ‘출판배경’, ‘필요성’, ‘편찬 과정’, ‘교재에 관한 구성 및 특성’ 등 정보, ‘감사의 표현’, ‘독자와 미래에 대한 바람’으로 나눈다. 하 지만 교재마다 머리말의 양식은 모든 항목 다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다. 7권 교재의 머리말에 서 ‘교재의 구성 및 특성’은 모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필수적 요소이다 . 따라서 독사에게 교 재의 구성 및 특성 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교재 머리말의 기본적인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고 본다. 1999년에서 2010년까지 출판의 시간에 따라 머리말의 구조의 변화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최 고 1999년에 출판된 『한국어1(서울대)』 머리말은 가장 간단하다. 오직 ‘편찬 과정’, ‘교재의 구 성 및 특성’, ‘감사의 표현’ 3 항목일 뿐이다. 그러나 최근 2010년에 출판된 『이화한국어1(이 대)』 『재미있는 한국어1(고대)』 모든 항목이 빠짐없이 등장하여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과 는 여기에서 1999년에 출판된 것부터 2010년에 출판된 것에 이르기까지 한국어 교재 머리말 구 조의 발전과정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상세해 지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3.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텍스트성 분석 Beaugrande&Dressler(1981,2002)는 ‘텍스트를 텍스트답게 만들어 주는 요소가 무 엇일까’에 관심을 가지고, 외형적으로 단순한 문장 연속체를 유의미한 텍스트로 만들어 주는 이른바 텍스트성(textuality)을 일곱 가지 곧, 의도성(intentionality), 용인성 (acceptability), 응결성(cohesion), 응집성(coherence), 상황성(situationality), 정보성 (informativity),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으로 상정하였다. 본고에서는 텍스트연구에서 일곱 가지 기준을 똑같은 비중으로 적용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일곱 가지 기준들이, 다른 텍스트의 분석에서도 그러하듯이,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분석에서 동일한 정도로 중요성을 지니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응결성 (cohesion), 응집성(coherence))에 주목하여 살필 것이다. 나머지는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언 급하기도 한다. 3.1 응결성(cohesion) 응결성(cohesion)이란 Beaugrande와 Dressler(2002:69)에 의하면, “텍스트를 이루는 다양한 발화체들이 그 사용되는 환경(context, 맥락)50)과 서로 관련 있는 질로서, 인지과학적으로 보면 각 발화체들이 적어도 (해당 텍스트 안의) 다른 몇몇 발화체들을 액세스하게 됨으로써 텍스트의 연속성(continuity)과 안정성(stability)을 확보시켜 주는 텍스트성”을 말한다. 또 응결성(cohesion)는 Renkema(1997:59)에 따르면 “응집성(cohesion)이란 텍스트에 존재
  • 3. 하는 한 요소의 해석이 같은 텍스트에 존재하는 다른 요소에 의존함으로써 생겨나는 연결 관 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Halliday & Hasan(1976)은 응결성을 대용(substitution), 생략(ellipsis), 지시(reference), 접속 (conjunction), 어휘적 응집(lexical cohesion) 다섯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기제가 긴밀히 연결되면 텍스트 전체의 결속 구조를 강화할 뿐만 아니라, 의미적 결속력을 높이는 데도 일조하고 있다(채춘옥,2013). 3.1.1 지시(reference)와 대용(substitution) 지시(reference)는 앞이나 뒤에 있는 요소를 가리키는 행위인 지시는 의미적 관계를 다룬다 . 반면에, 대용은 단어, 문장, 절과 같이 문법적인 단위들(grammatical units) 사이의 관계를 다 룬다. 지시의 경우 ‘허(dummy)’ 단어의 의미는 그 허 단어의 앞이나 뒤에 주어진 것에 의해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그 허 단어는 대명사이다.(이원표 역(1997:64)) 다시 말하면, ‘지시’는 텍스트 내에 지시 대명사, 지시 관형사, 지시 부사가 사용되었음을 의 미한다. ‘대용’은 특정한 뜻이 없는 경제적이고 짧은 단어를 사용하여 발화의 표층 구조를 간 결하게 만드는 기법이다. 앞이나 뒤에 오는 표현을 다시 반복하지 않고 대용어라는 짧은 형 식으로써 그 기능을 대신하는 것을 말한다(윤재연, 2012). 선행 연구에서는 모두 지시와 대용 을 구분하지 않고 ‘대용’의 범주에서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 그래서 본고에서는 ‘지시’와 ‘대용’을 모두 ‘대용’이라고 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재의 머리말에서 나타나는 대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1) 『이화 한국어(Ewha Korean)』는 말하기·듣기·쓰기의 통합 교재이며 초급부터 고급까지 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교재는 네 가지 언어 기능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유도하면서 도 특히 말하기 능력을 강화하도록 고안된 것이 특징입니다 . 말하기 연습을 유도하는 장치로 ‘Try it’을 활용하였는데 이것은 외국인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대화를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담화 순서와 문장의 핵심어를 담은 것입니다. 이 장치를 따라 말하기 연습을 함으로써 학습자는 단 순 암기방식에서 벗어나서 주도적으로 대화를 이끌어 가는 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이화 한국어(이대)』) (2) 이 교재는 한국어문화교육센터가 그동안 쌓아 온 연구와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것입니다. 이교재의 가장 큰 특징은 한국어 구조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말하기 연습을 바탕으 로 학습자 스스로 의사소통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는 점입니다. 이 교재를 통해 학습자 는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성공적인 한국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될 것입 니다. (『재미있는 한국어1(고대)』) 텍스트 형성할 때 같은 품사가 되풀이되기도 하고 대용어로 바뀌기도 한다 . 한국어 교재 머 리말에서 특히 교재의 구성 및 특징을 소개하는 부분에 잘 나타나고 있다. (1)에서 보면 ‘이 교재’의 ‘이’는 관형사로서 앞에 나오는 교재 명칭 『이화 한국어(Ewha Korean)』 가리키는 ‘ ’를 것이다. (2)의 예에서 ‘이 교재’가 반복 되고 있는데 특이한 것은 앞 문장에서 교재의 이름이
  • 4. 등장하지 않아서 대용할 교재 명칭이 없어도 있는 것처럼 대용어 ‘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다. 또한 ‘이’는 주요한 관심대상으로 긴밀히 끌어들여 받을 때 쓰는 경향이 있는데 (심재기 외 1984:148~149) ‘본’이 아닌 ‘이’계열 대용어의 선호는 한국어 교재 머리말에서 교재의 특징 에 관련 어구를 주요 관심대상으로 부각하려는 점과 관련된다. (1)에서 보면 ‘이 장치’은 앞 문장의 ‘말하기 연습을 유도하는 장치’를 가리키며 문맥에서 그 의미가 해석 되는데 이 과정에서 두 표현은 문장 단위를 넘어서 연결된다. 이러한 지시현상이 한국어 교재 머리말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도 록 한다. <표2> 교재의 이름을 대용하는 표현 대용 표현 서울대(1999) 이책 선문대(2001) 이책 경희대(2004) 이 교재, 본 교재 연대(2007) 이 교재 인하대(2009) 본 도서 고대(2010) 이 교재, 이 책 이대(2010) 이 교재, 이 책 <표2>를 보면 각 교재 머리말에 교재의 이름을 대용하는 표현을 알 수 있다 . 가장 처음에 나 오는 서울대와 선문대 교재는 ‘이 책’이라는 대용표현만이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에 나오는 고대와 이대 교재 머리말 속에서 ‘이 교재’와 ‘이 책’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보인다 . 따 라서 교재의 이름에 관한 대용표현이 ‘이’ 계열의 대용어를 사용하여 ‘교재’와 ‘책’이 복합적으 로 발전하는 추세를 보인다. 3.1.2 접속(conjunction) 접속은 이원표 역(1997:65)에 따르면 “이어지는 문장이나 절이 어떻게 앞이나 뒤의 절 (또는 그 부분)과 연결되는지를 보여주는 관계”이라고 정의하고 있고, “이는 대체로 접속사의 사용 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등위접속, 이접적 접속, 역접속 등 네 가지 유형이 있다. 등위접속은 같은 지위를 가진 것들을 연결하는데 ‘그리고 , 역시, 더욱이’ 등을 사용해서 표시 한다. 이접적 접속은 지위가 다른 것들을 연결하는데 거의 언제나 ‘또는’에 의하여 표시되며 한 문장 내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역접속은 주로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아직’ 등으로 표시된다. 종속적 접속은 ‘왜냐하면, 이우에, 이와 같이, 동안에’ 등의 표현들로 통상 적인 원인관계를 명시하는 역할을 한다. 대표적인 것은 원인관계, 이유, 시간적 인접(그러고 나서, 다음에, 이후에, 동안), 서법 등이 있다(이석규, 2008:37). 표 2. 접속표현의 유형 유형 등위접속 이접적 접속 역접속 종속적 접속 접속 표현 그리고 5 0 그러나 3 동시에 1
  • 5. 아울러 2 또한8 <표 4>에서 보다시피 등위접속에서 ‘그리고’가 다섯 번, ‘아울러’가 두 번이 나타났다. 이접적 적속에서는 ‘또한’, 역접속에서는 ‘그러나’, 종속적 접속에서는 ‘동시에’가 나타났다. 다음은 접속표현의 예이다. (3)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을 대표하여, 『이화 한국어(Ewha Korean)』가 출간되기까지 이 책의 저자들이 쏟은 열정과 노고에 대해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또한 내용 구성에 많은 조언을 해 주신 이해영, 김영규, 최형용, 박선희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문학 부분에 조언을 해 주신 김현자 교수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또한 편집과 출판을 맡아 주신 이 화여자대학교출판부에도 고마움을 전합니다. (『이화 한국어(이대)』) (4) 연습 문제 수정 작업에 수고해 준 김정하, 장은아, 김은애, 신혜원 선행님과 영어 번역을 맡아 준 필립 오닐 선생님, 그리고 감수와 교정에 참여해 준 여러 선생님들의 노고에 깊은 감 사를 드린다. 아울러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문진미디어 이상철 사장님과 편 집진 여러분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한국어1(서울대)』) 감사의 표현에서 감사의 인물들이 바뀔 때 이접적 접속의 ‘또한’과 등위접속의 ‘아울러’로 앞 뒤 문장을 결속시키고 그 내부에서는 등위접속사 ‘그리고’를 사용하여 일관성을 보여 주어 문 장 사이의 강한 응결성을 보여준다. 머리말 저자는 감사의 표현에서 출현하는 많은 인물이나 기관에 대하여 감사하는 강도에 따라서 일정한 순서로 배정하는데 접속사를 텍스트 응결의 장치로 적절하게 활용했음을 잘 보여준다. 3.2 응집성(coherence) (일관성) 응집성(coherence)는 이원표 역(1997:59)에 따르면 “텍스트 밖의 무엇인가에 의해서 생겨나 는 연결 관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이 ‘무엇’이란 대체로 청자나 독자가 가지고 있는 것으로 행각되는 지식이라고 한다. 텍스트의 응집성은 ‘의의 연쇄망’을 통해 구현된다. (5)S1: 국내 최고의 명성으로 한국어 교육의 50년 전통을 이어 온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그 동안 많은 교재를 편찬해 왔다. S2: 최근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해외 동포와 외국인이 늘면서 한국어 교재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도 다양해졌다. S3: 이에 따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에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교육할 수 있는 새로운 교재를 출간하게 되었다. (『연세한국어1(연대)』) 하나의 텍스트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내용의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독자가 해석하
  • 6. 는데 무리가 없도록 자연스럽게 전개되어야 한다(채춘옥,2013). (5)의 텍스트는 S1의 한국어 학당의 역사배경으로부터 S2의 최근 사회적 배경, S3의 이러한 현실에서 교재를 출간하게 되는 것 등 3가지 층위로 이루어졌는데 후행 텍스트는 모두 선행 텍스트를 전제로 하고 있다. 4. 결론 본고에서는 독사적인 형식, 내용, 기능을 가지는 규범적인 텍스트인 한국어 교재 머리말의 거시구조, 텍스트성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응집성과 응결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제의 거시구조는 출판배경과 필요성, 편찬 과정, 교재에 관한 정보, 감사의 표현, 독자와 미 래에 대한 바람이 있다. 텍스트성은 응결성과 응집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응결성 중에 지시와 대용은 교재의 구성 및 특징을 소개하는 부분에 잘 나타나고 있다고 본 다. 감사의 표현에서 접속표현이 잘 쓰여서 문장 사이의 강한 응결성을 보여준다. <참고 문헌> 박나리(2009), 학술논문의 텍스트성(textuality)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윤재연(2012), TV광고 텍스트의 응결성: TVCF Award 2011 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183-217, 한국어학회 이석규 외(2001), “텍스트 언어학의 이론과 실제”, 박이정
  • 7. 이원표 역(1997),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Jan Renkema, 1992, .......... 이재희 외(2011), 한국문화사 장소원(2003). “텍스트언어학: 응용편(국어); TV뉴스보도문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텍스 트언어학15,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채춘옥(2013), “한·중, 중·한 서전 머리말의 텍스트성에 관하여”, 한국사전학21, 한국사전학 회 이희영(2008), 어린이 권장도서의 머리말 내용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