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지역 문화 예술 및
스타트업 기반
도시 재생을 위한 방향
2017
방 승 애 (스쾃컴퍼니 대표)
www.squatcompany.com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
발표자 Profile
• 현) 스쾃컴퍼니(Squat Company) 대표 (문화예술 비즈니스 회사)
www.squatcompany.com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콘텐츠 학부 겸임교수
가천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강사
• 전) 성남산업진흥재단 창업성장부 연구원
- 문화 콘텐츠 창작자를 위한 창작/비즈니스 인큐베이팅 센터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프로그램 기획/운영
• 숭실대학교 IT 대학 미디어 아트 전공 (공학 박사 / 공학 석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예술 학사) 방승애
(스쾃컴퍼니 대표)
2Ⓒ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목차
1. 국내 도시 재생 현황 및 이슈
2. 지역의 문화 예술 활동 활성화
3. 아트 & 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결합
4. 문화 예술 브랜딩을 위한 시스템의 방향성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
1. 국내 도시 재생 현황 및 이슈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4
도시 재생의 정의
• 도시 재생의 정의
-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경제적으로 낙후되어가는 장소를 새롭게 재정비
하여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
• 문화 예술 활동과 도시 재생과의 연관성
- 쇠퇴하는 장소에 문화 축제, 공공예술 프로젝트 기획 및 운영
- 문화와 경제, 산업 등 타 분야와의 융합하는 사업 실행
- 창조적 공간을 조성하고 도시에 새로운 숨을 불어 넣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5
서울 문래동 철강단지
• 제조업 쇠락에 의해 철강 단지 쇠퇴, 빈 공장의 저렴한 임대료로 인해 예술
가가 모여들어 문래동 예술단지 형성
• 2013년, 중소기업청의 한국소공인진흥협회가 문래소공인특화지원센터 운
영, 문래 머시닝 밸리 프로젝트 추진
• 시제품 제작 그룹 구성하여 소공인을 위한 경영및 마케팅 등 교육, 3D 프린
터 등 지원, 영세한 회사만이 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실현할 수 있도록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6
벽화 마을
• 2000년대 중반, 전국적으로 낙후 지역에 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프로젝트 시
작. 전국에 많은 벽화 마을이 생겨남
• 달동네이거나 소외되는 마을에 벽화마을을 조성하여 관광객 방문이 증가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7
벽화 마을
• 한류 관광 코스가 되는 등 명소가 되면서 거주민들 불만도 증가
• 단순히 지역 재생만을 위해 예술작품을 통한 관광지로 만든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 다음 문제를 고려하여 도시 재생을 진행한다.
 지역 거주민이 함께 하는 도시 재생인가?
 주민들의 공감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되었는가?
 예술가 역할의 범위와 미션을 어디까지 생각해야 하는가?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8
성수동 소셜벤처밸리
• 과거 서울의 준공업 지역으로 구두 공장 등이 모였던 곳, 현재 사회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소셜 벤처와 사회적 기업이 모인 소셜벤처밸리
- 대표적인 회사
• 마리몬드 : 위안부 할머니의 미술 치료를 위해 그린 그림을 통해 작품, 생활
용품 판매
• 두손컴퍼니 : 종이로 된 친환경 옷걸이 판매 회사
• 디웰살롱 : 소셜 벤처 사업가, 체인지 메이커들이 모이는 다목적 공간
• 카우앤독 : 코워킹스페이스 & 커피숍
• 소풍 : 소셜벤처를 육성하는 회사
• 그 외 사회적 기업, 소셜벤처 60곳 이상이 성수동에 집결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9
성수동 소셜 벤처밸리
• 성수동의 비영리사단법인 루트임팩트가 250억 규모 펀드 조성하여 헤이그
라운드(8층 규모) 준공, 사회적기업, 스타트업 40여개 사무실 입주
• 현대해상화재보험 자회사인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2015년 부동산 개
발 펀드 조성, 부지 매입시 건축비 부담하여 완공)
• 내부 공간 설계시 커뮤니티, 소셜벤처 성장 조건 등 근본적인 부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 설계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0
창신동 봉제 공장 단지
• 동대문 의류 시장과 연결되어있는 창신동 봉제공장단지는 200여 개의 봉제
공장이 모여있음
• 뉴타운 재개발 대상이었으나 2007년도에 주민들의 반대로 재개발 추진을
하지 않고, 창신동 자체의 지역적 특색을 살려 도시 재생으로 방향을 바꿈
• 봉제거리 박물관 조성, 지역 재생 사업인 H-빌리지 프로젝트 진행(2015년)
(현대자동차그룹, 한국메세나협회 주관,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이 참여)
• 창신동 봉제공장과 협업하여 패션 용품 및 옷 제작, 창신동 골목을 안내하
는 관광 투어 어플리케이션 제작
• 제품 제작 프로그램 등 공장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진행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1
창신동 봉제 공장 단지
• 초창기 아티스트 및 디자이너가 봉제공장에 회사를 차렸을 때, 기존 거주
민 및 공장 사람들과의 소통 및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 발생
• 창신동 봉제 공장 단지에 있는 회사들은 봉제 공장과 일거리를 협업함
• 봉제 공장 관계자 대상으로 예술 및 경영 관련 교육 진행
• 사회적 기업 -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여 나누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영업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재투자하여 일자리를 창출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2
사진 : 000간 (창신동에 위치한 제로웨이스트, 공생을 위한 디자인을 하는 회사
창신기지 크리에이티브 하우스
• 독채형 한옥 렌탈 하우스 (1937년에 지어진 오래된 한옥을 재탄생)
• 종로구 창신동에 공간을 재창조하는 크리에이터 그룹 ‘지랩’ ‘Z_Lab’이 만듦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3
사진 출처 : www.creativehouse.co.k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 아티스트 및 디자이너가 회사를 운영하여 창작 활동과 독자적인 경제적
활동을 하면서, 주변 거주민과의 공생 및 협업을 진행
(초창기 저렴한 임대료로 인해 크리에이터들이 모여들어 자발적인 활동)
<발생하는 문제>
•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뜨는 동네 문제
• 지속 가능한 산업과 지역적 특색에 기반한 예술 활동을 저해하는 문제
•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재개발, 도시재생에 기여했던 거주민이 쫓겨남
• 대형 프랜차이즈 진출, 자본 유입
• 거주민의 생활 터전이 관광지로 변화하여 생활의 불편함 야기
• 법규와 정책적 개선, 지역을 위한 소통을 우선순위로 해결해야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4
2. 지역의 문화 예술 활동 활성화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5
장소특정적 미술 (Site-specific Art)
• 미술관이라는 특정 장소에 작품이 놓이는 것을 반대, 공간에 대한 실험진
• 기존 미술관 제도를 반대, 공간에 대한 실험을 진행
• 1990년대에 들어서장소에 의해 결정되거나 반응되는 등의 작품들이 등장
(작품과 특정 장소의 관계성)
• 지역의 역사, 환경, 문화, 지형 등 특성을 연구 조사하여 그것의 의미를 통해
작품을 창조, 이를 통해 특정 지역만의 의미를 재생산할 수 있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6
리처드 세라, 기울어진 호, 강철, 높이 3.6m, 길이 36m, 뉴욕연방정부 광장, 1981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
• 미술관이나 박물관이라는 공간에서 벗어나 예술가의 행위에 초점을 맞춰
길거리, 벽화, 기구 등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대상을 활용
• 예술가 그룹이 지역 공동체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행위를 구체화하기를 기
대함 (행동주의)
• 거주민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작품 활동, 문화예술 교육 활동을 진행
• 인종 차별, 경제적 소외 등 차별에 반대하여 기존의 예술와 비예술가, 전문
가, 비전문가 간의 구분 거부
• 커뮤니티 아트는 지역의 사회 복지, 삶의 질 등과 연관되어 설명 가능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7
런던의 문화예술 & 산업 사례
• 1990년대 런던 혹스턴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면서 상업지구로의 재개발이
무산됨, 건물주는 예술가에게 저렴한 임대공간 제공
• 자연스럽게 크리에이터들 모이면서 지역사회 기반한 후원 네트워킹 형성
• 문화예술 도시로 성장하면서 산업조직과 결합, 뉴미디어 산업의 중심지로
변화, 광고, 마케팅, 뉴미디어, 사진, 공연, 디자인 제조업 등 창조산업군 종
사자가 10%에 육박 (1인 미디어, 프리랜서 포함)
• 예술가가 모여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을 시작점으로 인근 창작 분야 관련한
산업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주안점
• 출처 :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 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2013, 한국정책
학회 하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8
런던의 문화예술 & 산업 사례
• 2005년도 호크니 자치구는 Creative Hackney라는 슬로건으로 지역 문화예
술운동을 진행, 창조문화산업을 위한 전략 원칙 제시
1. 포용 : 가난, 문맹, 질병 등 사회적으로 소외문화정책을 통해 참여 기회 동등
하게 부여, 자존감 회복 및 적극적 시민 의식 강조
2. 참여 : 지역 내 장소들을 활용하여 문화활동 개최, 접근성 향상, 오픈스페이
스 활용, 이벤트를 통해 마케팅하여 기금 마련
3. 장소감 : 문화적 자산은 장소와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지역 내 투자
와 고용을 이끌어 냄. 이러한 활동은 이 지역에 살고 싶거나 방문하고 싶은
사람이 많아짐, 역사, 전시장, 오픈마켓, 페스티벌, 이벤트 등을 통해 해크니
의 고유한 것으로 인지시킴
• 출처 :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 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2013, 한국정책
학회 하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9
런던의 문화예술 & 산업 사례
• 혹스턴에 지역 문화예술가를 지원하는 2개 조직 (SPACE studio, ACME)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0
SPACE Studio ACME
SPACE studio는 빈 창고를 스튜디오를
활용 (스쾃(squat) 방식), 건물주의 후원
기업과 공공, 예술가와 예술가 조직을
연결하는 에이전시로 역할, 지역 공동체
와 예술가 대상으로 교육 프로젝트 실행,
주차장이나 빈 건물을 예술 스튜디오로
저렴한 임대료를 받으면서 운영
ACME는 국가 복권기금 후원금을 통해
빌딩 매입하여 스튜디오 소유하여 예술
가에게 임대료를 받음
혹스턴 내 레지던시의 경우 18개월 무료
및 생활비 지원
빌딩 소유를 원칙으로 하며, 상업적 임
대 방식으로 인해 논란 있었음
출처 :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 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
으로, 2013,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3. 아트 & 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결합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1
아트 & 테크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 IT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은 디자인 및 예술과 테크의 융합, 순수 예술보다
미디어 아트(Media art)와 같은 아트 & 테크의 융합 및 간학제적 시도 중요
성공적인 아트 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 “기초적인 순수 문화 예술 활동의 토대에” 혁신적인 스타트업 육성과 발굴
및 투자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 (예술가, 공학자, 과학자, 창업가 등 서로 네
트워킹하여 시너지낼 수 있는 환경 조성)
• 문화 산업 종사자, 문화예술 육성 및 지원 시설 및 기관, 정책가가 모두 장기
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2
스타트업(Startup)
•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코워킹 스페이스 및 투자자 네트워크, 전문가 멘토쉽
및 코칭, 초기 자금 투자, 데모데이, 워크숍 등을 위한 전문 시스템이 필요
• 좋은 팀 구성을 위해서는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 좋은 크리에
이터들이 모여있는 곳이어야 함
(메이커 비즈니스의 영역은 단순 개발 분야가 아님, 분야 다양)
• 메이커들의 창작을 위해서 3D 프린터 및 스캐너, 조립 공간, 사진 및 영상
스튜디오 등을 보유한 작업 레지던시를 운영
• 혁신형 스타트업은 사회, 환경 등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3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 라임와프 (LimeWharf)
• 2009년 설립, 런던 해크니 지역 기반에 위치
• 창조 기업과 단체, 예술가, 과학자, 공학자가 입주하여 서로 교류 및 협력
• 지역 주민이 테크놀로지 및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식당을 열고, 다양
한 분야의 간학제적 활동을 위한 레지던시 운영, DIY 장비 및 교육 제공
• 지역 사회 구성원과 함께 할 수 있는 과정 중심의 실험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4
출처 : 한국국제교류재단, 창조 사회적 기업가 교류 프로그램 자료집, 2016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 콕픽 아츠 (Cockpit Arts)
• 1986년 설립, 공예 기반의 디자이너, 메이커를 위한 영국 유일 크리에이티
브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 사회적 목적으로 운영하며 이익을 공동체에 재투자)
• 저렴하게 작업실 제공(5년 단위 계약), 비즈니스 개발 코치 및 교육, 유통 및
판매 교육, 오픈 스튜디오를 통한 직거래 행사, 캠페인, 판매 기회를 위한 스
튜디오 투어 프로그램, 홍보 활동을 진행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5
출처 : 한국국제교류재단, 창조 사회적 기업가 교류 프로그램 자료집, 2016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 2014년 개소, 경기도 판교에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경기도/성남시 출자
• 문화콘텐츠 창작자가 창작을 하면서 창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큐베이팅 프
로그램 운영, 3D 프린팅 및 스튜디오, 영상 편집실 등 시설 운영
• 국내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의 특성상 정부 주도, 공무원 및 산하 기관이 운
영하여 행정 체계 존재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6
출처 :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웹사이트
https://www.gconlab.or.kr/
코워킹 스페이스 및 쉐어하우스
• 아이콘 기업(1조 이상 기업 가치)인 위워크(wework) 인기
• 청년들이 저렴한 유료 멤버쉽로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창업 시작
(코워킹 스페이스의 수익 모델은 전통적인 부동산 임대업이 아님)
• 최근 코워킹스페이스와 쉐어하우스가 결합하여 운영하고자 함
• 창업가, 활동가, 디자이너, 아티스트, 개발자, 기획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코
워킹스페이스와 쉐어하우스를 통해 생활하고 협업, 프로젝트 기반 일을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7
사진 출처 : 디웰하우스
http://www.d-wellhouse.com/
4. 문화 예술 브랜딩을 위한 시스템의 방향성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8
예술가를 바라보는 관점
• 예술가를 효율과 결과론적인 생산성의 잣대로 판단하면 안됨
• 예술가가 모여서 창작 활동을 하고 네트워킹 허브가 형성된다면, 그 자체로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이자 브랜딩 생성
• 예술가는 사업을 위한 고객의 관점으로 봐서는 안되며, 예술가의 예술 활동
을 통해 생기는 해당 지역의 고부가 가치에 주목해야 함
• 그 시스템은 단기간에 생성할 수 없음, 당장 단기 수익을 생각해서는 안 됨
• 청년 스타트업 창업가를 육성하고 투자하기 위한 관점과 맞닿아 있는 지점
(성장한 기업 투자에 비해 벤처 혹은 스타트업 투자는 하이리스크)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9
예술가 집단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 근본적인 문화 산업 육성과 지역 브랜딩을 위한다면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0
지역의
예술가
네트워킹
혁신형
스타트업
네트워킹
문화적 토대를 기반으로 혁신형 스타트업
육성 전략(코워킹스페이스, 작업실 및 사무실,
비즈니스 교육 및 워크숍)을 결합해야
문화 산업 영향력 커짐
예술가 위한 활동 무대 (전시 및 공연,
오픈스페이스), 레지던시, 문화 관련
교육 활동 등 기본 토대
상호적 관계
예술가 집단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 젊은 청년(창업가, 예술가, 기획자 등)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경제적 문제(생
계 문제)를 건강한 스타트업과 프로젝트 협업을 통해 창작 활동과 병행
•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예술가, 디자이너, 공예가 등 크리에이터는 직접 창
업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가능성 있음
• 기존 예술가 그룹 모델처럼 예술 분야의 사람들만의 그룹 형성으로 한정
되서는 안 되며, 다학제간 소통이 되어야 함
(이는 전통적인 순수 예술의 모델보다 뉴미디어 아트 모델에 가까움
예술가, 공학자, 연구자, 퍼포머 등 예술과 테크놀로지 상호적 호환성 바탕
혁신적 전환을 위해서는 기존의 정통성을 따지는 문화부터 혁신해야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1
정책적 & 사회적 이슈
• 타 사례에서 보았듯이 문화 산업을 위한 제반 시설이 인접 지역 내 모여서
자연스럽게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아티스트 레지던시, 전시장
및 공연장, 작업실, 코워킹스페이스, 쉐어하우스등을 연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예산 문제
• 기존 정부 주도의 행정적 엄격성, 정치적 활동 등 개입한다면, 장기적으로
크리에이터의 성장과 자발적인 문화예술 도시 재생 힘듦
• 세입자의 임대료 상승 문제, 젠트리피케이션의 강력한 정책적 마련 필요
• 단순 운영이 아닌, 담당 실무자와 책임자가 철학과 비전을 갖고 임해야 함
(본인이 맡은 영역과 타 영역과의 협업 마인드와 소통이 되어야 함, 철학 없
이 운영할 경우 타 분야 간 협업, 소통 부재, 책임 회피 문제 발생)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2
Squat Company) 비전
• 문화 콘텐츠 분야 비즈니스 컨설팅,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를 위한 아이디
어 설계, 인큐베이팅 회사 www.squatcompany.com
• 문화 예술 기획자, 아티스트, 디자이너, 공예가 등 크리에이터들의 비즈니스
화를 목적으로,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 실행과 성장을 위함
• 스쾃컴퍼니는 창조적인 문화 산업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에 주목하여, 크리
에이터들이 새로운 비즈니스의 길을 개척하고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3
Contact
main@squatcompany.com
www.squatcompany.com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4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지역 문화 예술 및 스타트업 기반 도시 재생을 위한 방향 방승애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thecirclefound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thecirclefoundation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seekly
 
Se-un-sang-ga Renaissance
Se-un-sang-ga RenaissanceSe-un-sang-ga Renaissance
Se-un-sang-ga Renaissance
tideinstitut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숨 문화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서울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seed:s corporation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Creative Commons Korea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Seongwon Kim
 
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
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
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
wehome.me, a home sharing on blockchain owned by hosts and guests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economad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
Artcoon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Gori Communication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
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
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
SuYeon Kim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legokim
 

Similar to 지역 문화 예술 및 스타트업 기반 도시 재생을 위한 방향 방승애 (20)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살아있는 영웅전 기획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Se-un-sang-ga Renaissance
Se-un-sang-ga RenaissanceSe-un-sang-ga Renaissance
Se-un-sang-ga Renaissanc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응답하라 1964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9기_은가비_탐방 계획서
 
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Art commons 외부제안서 (20110801)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
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
Open tOilet bukchOn 개방형 화장실 갤러리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12년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 선정단체 사업소개 요약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
2020년 2학기 한양대 브랜드디자인 5조 그라폴리오 리브랜딩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연금술사_탐방 계획서
 
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
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
물 타지 않은 맥주, 롯데 클라우드의 PR프로그램 제안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지역 문화 예술 및 스타트업 기반 도시 재생을 위한 방향 방승애

  • 1. 지역 문화 예술 및 스타트업 기반 도시 재생을 위한 방향 2017 방 승 애 (스쾃컴퍼니 대표) www.squatcompany.com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
  • 2. 발표자 Profile • 현) 스쾃컴퍼니(Squat Company) 대표 (문화예술 비즈니스 회사) www.squatcompany.com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콘텐츠 학부 겸임교수 가천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강사 • 전) 성남산업진흥재단 창업성장부 연구원 - 문화 콘텐츠 창작자를 위한 창작/비즈니스 인큐베이팅 센터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프로그램 기획/운영 • 숭실대학교 IT 대학 미디어 아트 전공 (공학 박사 / 공학 석사)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예술 학사) 방승애 (스쾃컴퍼니 대표) 2Ⓒ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 3. 목차 1. 국내 도시 재생 현황 및 이슈 2. 지역의 문화 예술 활동 활성화 3. 아트 & 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결합 4. 문화 예술 브랜딩을 위한 시스템의 방향성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
  • 4. 1. 국내 도시 재생 현황 및 이슈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4
  • 5. 도시 재생의 정의 • 도시 재생의 정의 -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경제적으로 낙후되어가는 장소를 새롭게 재정비 하여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방안 • 문화 예술 활동과 도시 재생과의 연관성 - 쇠퇴하는 장소에 문화 축제, 공공예술 프로젝트 기획 및 운영 - 문화와 경제, 산업 등 타 분야와의 융합하는 사업 실행 - 창조적 공간을 조성하고 도시에 새로운 숨을 불어 넣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5
  • 6. 서울 문래동 철강단지 • 제조업 쇠락에 의해 철강 단지 쇠퇴, 빈 공장의 저렴한 임대료로 인해 예술 가가 모여들어 문래동 예술단지 형성 • 2013년, 중소기업청의 한국소공인진흥협회가 문래소공인특화지원센터 운 영, 문래 머시닝 밸리 프로젝트 추진 • 시제품 제작 그룹 구성하여 소공인을 위한 경영및 마케팅 등 교육, 3D 프린 터 등 지원, 영세한 회사만이 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실현할 수 있도록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6
  • 7. 벽화 마을 • 2000년대 중반, 전국적으로 낙후 지역에 문화 환경을 조성하는 프로젝트 시 작. 전국에 많은 벽화 마을이 생겨남 • 달동네이거나 소외되는 마을에 벽화마을을 조성하여 관광객 방문이 증가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7
  • 8. 벽화 마을 • 한류 관광 코스가 되는 등 명소가 되면서 거주민들 불만도 증가 • 단순히 지역 재생만을 위해 예술작품을 통한 관광지로 만든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 다음 문제를 고려하여 도시 재생을 진행한다.  지역 거주민이 함께 하는 도시 재생인가?  주민들의 공감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되었는가?  예술가 역할의 범위와 미션을 어디까지 생각해야 하는가?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8
  • 9. 성수동 소셜벤처밸리 • 과거 서울의 준공업 지역으로 구두 공장 등이 모였던 곳, 현재 사회문제를 해 결하기 위한 소셜 벤처와 사회적 기업이 모인 소셜벤처밸리 - 대표적인 회사 • 마리몬드 : 위안부 할머니의 미술 치료를 위해 그린 그림을 통해 작품, 생활 용품 판매 • 두손컴퍼니 : 종이로 된 친환경 옷걸이 판매 회사 • 디웰살롱 : 소셜 벤처 사업가, 체인지 메이커들이 모이는 다목적 공간 • 카우앤독 : 코워킹스페이스 & 커피숍 • 소풍 : 소셜벤처를 육성하는 회사 • 그 외 사회적 기업, 소셜벤처 60곳 이상이 성수동에 집결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9
  • 10. 성수동 소셜 벤처밸리 • 성수동의 비영리사단법인 루트임팩트가 250억 규모 펀드 조성하여 헤이그 라운드(8층 규모) 준공, 사회적기업, 스타트업 40여개 사무실 입주 • 현대해상화재보험 자회사인 현대인베스트먼트자산운용 (2015년 부동산 개 발 펀드 조성, 부지 매입시 건축비 부담하여 완공) • 내부 공간 설계시 커뮤니티, 소셜벤처 성장 조건 등 근본적인 부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 설계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0
  • 11. 창신동 봉제 공장 단지 • 동대문 의류 시장과 연결되어있는 창신동 봉제공장단지는 200여 개의 봉제 공장이 모여있음 • 뉴타운 재개발 대상이었으나 2007년도에 주민들의 반대로 재개발 추진을 하지 않고, 창신동 자체의 지역적 특색을 살려 도시 재생으로 방향을 바꿈 • 봉제거리 박물관 조성, 지역 재생 사업인 H-빌리지 프로젝트 진행(2015년) (현대자동차그룹, 한국메세나협회 주관, 청년 사회적기업가들이 참여) • 창신동 봉제공장과 협업하여 패션 용품 및 옷 제작, 창신동 골목을 안내하 는 관광 투어 어플리케이션 제작 • 제품 제작 프로그램 등 공장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진행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1
  • 12. 창신동 봉제 공장 단지 • 초창기 아티스트 및 디자이너가 봉제공장에 회사를 차렸을 때, 기존 거주 민 및 공장 사람들과의 소통 및 관계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 발생 • 창신동 봉제 공장 단지에 있는 회사들은 봉제 공장과 일거리를 협업함 • 봉제 공장 관계자 대상으로 예술 및 경영 관련 교육 진행 • 사회적 기업 -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취약 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여 나누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영업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재투자하여 일자리를 창출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2 사진 : 000간 (창신동에 위치한 제로웨이스트, 공생을 위한 디자인을 하는 회사
  • 13. 창신기지 크리에이티브 하우스 • 독채형 한옥 렌탈 하우스 (1937년에 지어진 오래된 한옥을 재탄생) • 종로구 창신동에 공간을 재창조하는 크리에이터 그룹 ‘지랩’ ‘Z_Lab’이 만듦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3 사진 출처 : www.creativehouse.co.k
  • 14. 젠트리피케이션 문제 • 아티스트 및 디자이너가 회사를 운영하여 창작 활동과 독자적인 경제적 활동을 하면서, 주변 거주민과의 공생 및 협업을 진행 (초창기 저렴한 임대료로 인해 크리에이터들이 모여들어 자발적인 활동) <발생하는 문제> •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뜨는 동네 문제 • 지속 가능한 산업과 지역적 특색에 기반한 예술 활동을 저해하는 문제 •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재개발, 도시재생에 기여했던 거주민이 쫓겨남 • 대형 프랜차이즈 진출, 자본 유입 • 거주민의 생활 터전이 관광지로 변화하여 생활의 불편함 야기 • 법규와 정책적 개선, 지역을 위한 소통을 우선순위로 해결해야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4
  • 15. 2. 지역의 문화 예술 활동 활성화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5
  • 16. 장소특정적 미술 (Site-specific Art) • 미술관이라는 특정 장소에 작품이 놓이는 것을 반대, 공간에 대한 실험진 • 기존 미술관 제도를 반대, 공간에 대한 실험을 진행 • 1990년대에 들어서장소에 의해 결정되거나 반응되는 등의 작품들이 등장 (작품과 특정 장소의 관계성) • 지역의 역사, 환경, 문화, 지형 등 특성을 연구 조사하여 그것의 의미를 통해 작품을 창조, 이를 통해 특정 지역만의 의미를 재생산할 수 있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6 리처드 세라, 기울어진 호, 강철, 높이 3.6m, 길이 36m, 뉴욕연방정부 광장, 1981
  • 17. 커뮤니티 아트(Community Art) • 미술관이나 박물관이라는 공간에서 벗어나 예술가의 행위에 초점을 맞춰 길거리, 벽화, 기구 등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대상을 활용 • 예술가 그룹이 지역 공동체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행위를 구체화하기를 기 대함 (행동주의) • 거주민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작품 활동, 문화예술 교육 활동을 진행 • 인종 차별, 경제적 소외 등 차별에 반대하여 기존의 예술와 비예술가, 전문 가, 비전문가 간의 구분 거부 • 커뮤니티 아트는 지역의 사회 복지, 삶의 질 등과 연관되어 설명 가능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7
  • 18. 런던의 문화예술 & 산업 사례 • 1990년대 런던 혹스턴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면서 상업지구로의 재개발이 무산됨, 건물주는 예술가에게 저렴한 임대공간 제공 • 자연스럽게 크리에이터들 모이면서 지역사회 기반한 후원 네트워킹 형성 • 문화예술 도시로 성장하면서 산업조직과 결합, 뉴미디어 산업의 중심지로 변화, 광고, 마케팅, 뉴미디어, 사진, 공연, 디자인 제조업 등 창조산업군 종 사자가 10%에 육박 (1인 미디어, 프리랜서 포함) • 예술가가 모여서 작품 활동을 하는 것을 시작점으로 인근 창작 분야 관련한 산업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주안점 • 출처 :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 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2013, 한국정책 학회 하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8
  • 19. 런던의 문화예술 & 산업 사례 • 2005년도 호크니 자치구는 Creative Hackney라는 슬로건으로 지역 문화예 술운동을 진행, 창조문화산업을 위한 전략 원칙 제시 1. 포용 : 가난, 문맹, 질병 등 사회적으로 소외문화정책을 통해 참여 기회 동등 하게 부여, 자존감 회복 및 적극적 시민 의식 강조 2. 참여 : 지역 내 장소들을 활용하여 문화활동 개최, 접근성 향상, 오픈스페이 스 활용, 이벤트를 통해 마케팅하여 기금 마련 3. 장소감 : 문화적 자산은 장소와 지역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지역 내 투자 와 고용을 이끌어 냄. 이러한 활동은 이 지역에 살고 싶거나 방문하고 싶은 사람이 많아짐, 역사, 전시장, 오픈마켓, 페스티벌, 이벤트 등을 통해 해크니 의 고유한 것으로 인지시킴 • 출처 :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 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2013, 한국정책 학회 하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19
  • 20. 런던의 문화예술 & 산업 사례 • 혹스턴에 지역 문화예술가를 지원하는 2개 조직 (SPACE studio, ACME)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0 SPACE Studio ACME SPACE studio는 빈 창고를 스튜디오를 활용 (스쾃(squat) 방식), 건물주의 후원 기업과 공공, 예술가와 예술가 조직을 연결하는 에이전시로 역할, 지역 공동체 와 예술가 대상으로 교육 프로젝트 실행, 주차장이나 빈 건물을 예술 스튜디오로 저렴한 임대료를 받으면서 운영 ACME는 국가 복권기금 후원금을 통해 빌딩 매입하여 스튜디오 소유하여 예술 가에게 임대료를 받음 혹스턴 내 레지던시의 경우 18개월 무료 및 생활비 지원 빌딩 소유를 원칙으로 하며, 상업적 임 대 방식으로 인해 논란 있었음 출처 : 도시재생의 빛과 그림자, 런던 혹스턴 지역의 문화예술 중심의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 으로, 2013,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 21. 3. 아트 & 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결합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1
  • 22. 아트 & 테크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 IT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은 디자인 및 예술과 테크의 융합, 순수 예술보다 미디어 아트(Media art)와 같은 아트 & 테크의 융합 및 간학제적 시도 중요 성공적인 아트 테크 스타트업 육성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 “기초적인 순수 문화 예술 활동의 토대에” 혁신적인 스타트업 육성과 발굴 및 투자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 (예술가, 공학자, 과학자, 창업가 등 서로 네 트워킹하여 시너지낼 수 있는 환경 조성) • 문화 산업 종사자, 문화예술 육성 및 지원 시설 및 기관, 정책가가 모두 장기 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2
  • 23. 스타트업(Startup) • 스타트업을 위해서는 코워킹 스페이스 및 투자자 네트워크, 전문가 멘토쉽 및 코칭, 초기 자금 투자, 데모데이, 워크숍 등을 위한 전문 시스템이 필요 • 좋은 팀 구성을 위해서는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 좋은 크리에 이터들이 모여있는 곳이어야 함 (메이커 비즈니스의 영역은 단순 개발 분야가 아님, 분야 다양) • 메이커들의 창작을 위해서 3D 프린터 및 스캐너, 조립 공간, 사진 및 영상 스튜디오 등을 보유한 작업 레지던시를 운영 • 혁신형 스타트업은 사회, 환경 등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3
  • 24.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 라임와프 (LimeWharf) • 2009년 설립, 런던 해크니 지역 기반에 위치 • 창조 기업과 단체, 예술가, 과학자, 공학자가 입주하여 서로 교류 및 협력 • 지역 주민이 테크놀로지 및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식당을 열고, 다양 한 분야의 간학제적 활동을 위한 레지던시 운영, DIY 장비 및 교육 제공 • 지역 사회 구성원과 함께 할 수 있는 과정 중심의 실험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4 출처 : 한국국제교류재단, 창조 사회적 기업가 교류 프로그램 자료집, 2016
  • 25.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 콕픽 아츠 (Cockpit Arts) • 1986년 설립, 공예 기반의 디자이너, 메이커를 위한 영국 유일 크리에이티 브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 사회적 목적으로 운영하며 이익을 공동체에 재투자) • 저렴하게 작업실 제공(5년 단위 계약), 비즈니스 개발 코치 및 교육, 유통 및 판매 교육, 오픈 스튜디오를 통한 직거래 행사, 캠페인, 판매 기회를 위한 스 튜디오 투어 프로그램, 홍보 활동을 진행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5 출처 : 한국국제교류재단, 창조 사회적 기업가 교류 프로그램 자료집, 2016
  • 26. 크리에이터를 위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 2014년 개소, 경기도 판교에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경기도/성남시 출자 • 문화콘텐츠 창작자가 창작을 하면서 창업할 수 있도록 하는 인큐베이팅 프 로그램 운영, 3D 프린팅 및 스튜디오, 영상 편집실 등 시설 운영 • 국내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의 특성상 정부 주도, 공무원 및 산하 기관이 운 영하여 행정 체계 존재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6 출처 : 경기 콘텐츠코리아 랩 웹사이트 https://www.gconlab.or.kr/
  • 27. 코워킹 스페이스 및 쉐어하우스 • 아이콘 기업(1조 이상 기업 가치)인 위워크(wework) 인기 • 청년들이 저렴한 유료 멤버쉽로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창업 시작 (코워킹 스페이스의 수익 모델은 전통적인 부동산 임대업이 아님) • 최근 코워킹스페이스와 쉐어하우스가 결합하여 운영하고자 함 • 창업가, 활동가, 디자이너, 아티스트, 개발자, 기획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코 워킹스페이스와 쉐어하우스를 통해 생활하고 협업, 프로젝트 기반 일을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7 사진 출처 : 디웰하우스 http://www.d-wellhouse.com/
  • 28. 4. 문화 예술 브랜딩을 위한 시스템의 방향성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8
  • 29. 예술가를 바라보는 관점 • 예술가를 효율과 결과론적인 생산성의 잣대로 판단하면 안됨 • 예술가가 모여서 창작 활동을 하고 네트워킹 허브가 형성된다면, 그 자체로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이자 브랜딩 생성 • 예술가는 사업을 위한 고객의 관점으로 봐서는 안되며, 예술가의 예술 활동 을 통해 생기는 해당 지역의 고부가 가치에 주목해야 함 • 그 시스템은 단기간에 생성할 수 없음, 당장 단기 수익을 생각해서는 안 됨 • 청년 스타트업 창업가를 육성하고 투자하기 위한 관점과 맞닿아 있는 지점 (성장한 기업 투자에 비해 벤처 혹은 스타트업 투자는 하이리스크)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29
  • 30. 예술가 집단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 근본적인 문화 산업 육성과 지역 브랜딩을 위한다면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0 지역의 예술가 네트워킹 혁신형 스타트업 네트워킹 문화적 토대를 기반으로 혁신형 스타트업 육성 전략(코워킹스페이스, 작업실 및 사무실, 비즈니스 교육 및 워크숍)을 결합해야 문화 산업 영향력 커짐 예술가 위한 활동 무대 (전시 및 공연, 오픈스페이스), 레지던시, 문화 관련 교육 활동 등 기본 토대 상호적 관계
  • 31. 예술가 집단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 젊은 청년(창업가, 예술가, 기획자 등)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경제적 문제(생 계 문제)를 건강한 스타트업과 프로젝트 협업을 통해 창작 활동과 병행 •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예술가, 디자이너, 공예가 등 크리에이터는 직접 창 업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의 가능성 있음 • 기존 예술가 그룹 모델처럼 예술 분야의 사람들만의 그룹 형성으로 한정 되서는 안 되며, 다학제간 소통이 되어야 함 (이는 전통적인 순수 예술의 모델보다 뉴미디어 아트 모델에 가까움 예술가, 공학자, 연구자, 퍼포머 등 예술과 테크놀로지 상호적 호환성 바탕 혁신적 전환을 위해서는 기존의 정통성을 따지는 문화부터 혁신해야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1
  • 32. 정책적 & 사회적 이슈 • 타 사례에서 보았듯이 문화 산업을 위한 제반 시설이 인접 지역 내 모여서 자연스럽게 허브를 구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아티스트 레지던시, 전시장 및 공연장, 작업실, 코워킹스페이스, 쉐어하우스등을 연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예산 문제 • 기존 정부 주도의 행정적 엄격성, 정치적 활동 등 개입한다면, 장기적으로 크리에이터의 성장과 자발적인 문화예술 도시 재생 힘듦 • 세입자의 임대료 상승 문제, 젠트리피케이션의 강력한 정책적 마련 필요 • 단순 운영이 아닌, 담당 실무자와 책임자가 철학과 비전을 갖고 임해야 함 (본인이 맡은 영역과 타 영역과의 협업 마인드와 소통이 되어야 함, 철학 없 이 운영할 경우 타 분야 간 협업, 소통 부재, 책임 회피 문제 발생)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2
  • 33. Squat Company) 비전 • 문화 콘텐츠 분야 비즈니스 컨설팅,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를 위한 아이디 어 설계, 인큐베이팅 회사 www.squatcompany.com • 문화 예술 기획자, 아티스트, 디자이너, 공예가 등 크리에이터들의 비즈니스 화를 목적으로, 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 실행과 성장을 위함 • 스쾃컴퍼니는 창조적인 문화 산업 생태계를 형성하는 데에 주목하여, 크리 에이터들이 새로운 비즈니스의 길을 개척하고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함 Ⓒ Squat Company / www.squatcompany.com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