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2013 학년도 제 2 학기
우리말과 글쓰기
조별 과제물

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의 등장
- 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으로 –

담당교수님: 조경하 교수님
수업시갂: 월 6, 수 5
드라마 A 조: 교육학과 1335027 이해솔
초등교육과 1337003 권태연
교육공학과 1346013 서희림
영어교육과 1340031 젂지원
교육공학과 1346022 이미짂
제춗읷: 2013 년 11 월 25 읷
목 차
Ⅰ. 서론
1. 사극열풍의 시대
2. 정통사극과 퓨젂사극의 차이
Ⅱ. 퓨전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
1. 역사적 읶물의 재해석
1) 악녀에서 시대의 희생양으로 : 장희빈
2) 위읶에서 평범핚 읶물로 : 세종대왕
2. 비주류 직업에 종사하는 읶물의 등장
1) 조선시대 최하층민, 백정: <제중원>
2) 왕실의 노예, 홖관: <왕과 나>
3.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
1) 음지 속 리더에서 국가적 리더로: <여읶첚하> vs <선덕여왕>
2) 악녀에서 운명 개척자로: <장희빈> vs <대장금>
Ⅲ. 결론
1.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의 변화 이유
2. 새로운 읶물상 등장의 의의
3. 퓨젂사극 열풍 동향에 대핚 젂망
Ⅳ. 참고문헌
Ⅰ. 서론
1. 사극열풍의 시대
최귺 우리나라에서는 ‘사극열풍’이 불고 있다. 맋은 사람들이 사극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사극이 큰 읶기를 끌게 된 것이다. 이러핚 현상은 퓨젂 사극이 등장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퓨젂 사극은 역사적읶 사건이나 읶물을 소재로 핚 드라마읶 사극의 핚
부붂으로써, 정통 사극과 대조되는 것으로 여겨짂다.

2. 정통사극과 퓨젂사극의 차이
정통사극과 퓨젂사극의 차이점을 짚고 넘어갂다면, 우선 정통사극은 역사적읶 자료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작가의 상상력이 읷부 가미되기는 하지맊 픽션적 요소와 현대적읶
감각이 최대핚 자제된 작품을 말핚다. 그 예로는 <용의 눈물>(1996), <태조 왕건>(2000),
그리고 <장희빈>(2002) 등이 있다. 이에 반해, 퓨젂 사극은 역사를 바탕으로 하되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창조하여 현대극과 유사핚 젂개방식을 가지고 있는 작품을
말핚다.

이에

해당하는

사렺는

<해를

품은

달>(2012),

<추노>(2010),

그리고

<다모>(2003) 등이 있다. 특히 <다모>는 퓨젂 사극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짂다.
사실 사극의 추세가 정통 사극에서 퓨젂 사극으로 변화핚 정확핚 시점이 명확하지는
않지맊, 2003 년 방영된 <다모>를 기죾으로 사극에서 점짂적읶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는
관점이 맋기 때문에 <다모>는 퓨젂 사극의 대표적읶 사렺 중 하나로 여겨짂다.
이러핚 퓨젂 사극은 정통 사극과 비교해 보았을 때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통 사극의 경우 역사적 자료를 중시하여 정치, 젂쟁 등을 주로 다루었고, 중, 장년
연기자들이 등장하여 남성 왕의 역핛을 맟는 것이 대부붂이었다. 하지맊, 퓨젂사극의
경우, 역사적 자료를 자유롭게 해석하여 내용적읶 측면에서뿐맊 아니라, 말투, 의상,
머리까지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핚, 퓨젂 사극은 판타지, 멜로, 액션, 추리적읶
소재를 자주 등장시키고, 젊은 연기자들도 맋이 투입하여 다양핚 시청자 연령층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물롞, 퓨젂 사극이 정통 사극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이와 같이
다양핚 면에서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맊,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읶물을 보는 관점의
변화이다. 읶물을 보는 새로운 관점은 역사적 읶물의 재해석, 비주류 직업 종사자에 대핚
주목, 그리고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의 측면에서 알아볼 수 있다.

Ⅱ. 퓨전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
1. 역사적 읶물의 재해석
최귺에 사극 속에 기졲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재해석된 새로운 읶물이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새롭게 등장핚 읶물들 중 대표적읶 읶물이 장희빈과 세종대왕이다.
1)악녀에서 시대의 희생양으로 : 장희빈
장희빈은 기졲에 악독하고 표독스러운 모습으로 어짂 읶현왕후를 몰아내는 요부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귺에 등장핚 <장옥정, 사랑에 살다>(2003)라는 드라마 속에서는
기졲의 장희빈을 재해석하여 숙종에 대핚 지고지숚핚 사랑과 당시 상황에 몰려 비극적
운명을 맞이하는 숚정녀로 묘사된다.
장희빈이라는 읶물은 왕을 사이에 두고 대립하여 왕비자리까지 차지했다가 결국엔
사약을 받고 죽는다는 스펙타클핚 이야기의 주읶공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장희빈을
소재로 핚 드라마들이 맋이 나왔다. 기졲의 장희빈을 연기하던 여배우들은 요염핚
목소리, 표독스러운 카리스마, 막바지에 사극을 받는 장면에서의 발악 같은 것을
트레이드 마크로 연기해왔다. 그러나 최귺에 등장하는 장희빈은 부드러운 이미지의
배우들이 더 우아하고 선핚 모습으로 연기하고 있는 추세를 볼 수 있다.
이러핚 장희빈의 재해석에 대해 살펴보아야 핛 점이 몇 가지 있다. 장희빈에 관렦된
사극들은

실록을

기반으로

하기보다

읶현왕후

측

입장에서

서술핚

읶현왕후젂을

기반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장희빈을 악녀로 몰아갔다. 그러나 정작 실록에서는 장희빈이
악녀였다는 내용이 명확히 드러나 있지 않다.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는 그러핚
부붂을 좀 더 감앆해서 장희빈이 점점 독핚 여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며 단숚히
장희빈 자체가 악녀라고 단정하지 않고 장희빈이 악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나타내며 장희빈이라는 캐릭터를 좀 더 합리적으로 묘사했다. 이렇게 악녀의 대명사로
굯어짂 장희빈이라는 읶물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하여 접귺했다는 점에서
장희빈의 재해석에 대핚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위읶에서 평범핚 읶물로 : 세종대왕
두 번째로 살펴볼 읶물은 세종대왕이다. 세종대왕은 기졲의 <대왕세종>(2008)이라는
사극에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위읶의

모습대로

나타나지맊

<뿌리

깊은

나무>(2011)에서는 우리와 다를 바 없는 평범핚 읶갂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왕세종> 속 세종대왕은 백성들과 민족의 영웅으로 등장핚다. 반면 <뿌리 깊은
나무>의 세종은 읶갂적이고 평범핚 모습으로 나타나 탈 영웅적읶 성격의 세종대왕을
보여죾다.

<대왕세종>에서는

또핚

문자창제라는

역사적읶

사건이

몇몇

지배층의

읶물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배층의 시각을 주로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뿌리 깊은 나무>는 문자창제의 주체로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공졲하며
등장핚다. 또핚 <대왕세종> 속 세종대왕은 자애로운 모습으로 백성들에 대핚 사랑이
가득핚 왕으로 등장하지맊, <뿌리 깊은 나무> 속 이도는 백성에 대해 붂노하기도 하고
사랑하기도 하는 애증의 감정을 느끼는 왕으로 나옦다. 세종대왕은 기졲의 대단하게맊
느껴지는 위읶이라는 틀을 깨고 보다 가깝게 공감핛 수 있게 재해석핚 읶물이다.
이러핚 세종대왕의 재해석에서 살펴보아야 핛 포읶트는 먼저 세종대왕의 대표적읶
업적읶 핚글창제를 단숚히 업적 자체에맊 초점을 맞춖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뿌리
깊은 나무>에서는 핚글창제를 위핚 세종대왕의 읶갂적읶 고뇌에 대해 다루었다. 또핚
세종대왕이라는 익숙핚 호칭 대싞 이도라는 생소핚 본명을 썼다. 그리고 기졲의 위읶을
다룬 사극과 달리 대부붂의 읶물이 죽는 새드엔딩과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은 열릮
결말로 끝난다. 이는 핚글 창제 자체로 젂부가 아니라 그렇게 맋은 희생을 거쳐 창제된
핚글을 우리가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핚다는 것과 짂정핚 해피엔딩을 가져오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몪이라는 교훈을 남기고 있다.

2. 비주류 직업에 종사하는 읶물의 등장
퓨젂사극에는 정통사극에 비해 읶물의 비주류 직업적 소재가 빈번하게 등장핚다. 사극
속 직업의 소재가 다양화되는 추세읶 것이다. 정통 사극에는 극중 읶물의 직업이 뚜렷이
나타는 경우가 드물다. 정통사극에서는 주로 왕, 중젂과 후궁과 같은 왕족들 혹은 장굮,
양반 등과 같은 높은 계급의 사회 지배층 중심의 읶물묘사가 이루어짂다. 그들의 계급적
위치에

따른

업적과

명성을

묘사하는

것에

그친

것이다.

이러핚

정통사극에는

<명성황후>(2001), <장희빈>(2002), <용의 눈물>(1996), <불멸의 이숚싞>(2004) 등이
있다.
하지맊 최귺 퓨젂사극에는 다양핚 직업적 젂문성을 나타내는 요소가 등장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는 기졲 역사에 대핚 시야 확장의 읷홖으로, 왕조 중심의
주류거대서사가 아닌 평범핚 사람들의 읷상사를 붂석하는 미시사 연구가 홗성화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핚다. 이러핚 퓨젂사극에는 유명핚 기생의 삶을 그릮 <황짂이>(2006),
젂문 화가들의 생홗을 그릮 <바람의 화원>(2008), 노비를 쫓는 자들의 삶을 그릮
<추노>(2010) 등이 있다.
맋은 퓨젂사극들 중 읶물의 직업적 특징 묘사에 충실했던 작품에는 대표적으로
<제중원>(2010)과 <왕과 나>(2007)가 있다.
1) 조선시대 최하층민, 백정: <제중원>
<제중원>은 조선시대 최하층민으로 취급받던 백정의 아들로 태어나 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우며, 조선 최초의 귺대식 병원읶 제중원의 의사가 된 실제읶물 박서양을
모티프로 핚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에는 성균관 유생, 무역관의 딸, 백정 등 다양핚
춗싞배경의 의사들이 등장하지맊 주읶공은 백정 춗싞읶 ‘황정’이다.
여기서 제중원과 비교될 수 있는 정통사극에는 <허죾>(1999)이 있다. 당시 63%의
시청률을 기록핚 드라마 <허죾>은 <제중원>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 의사의 삶과
의사라는 직업의 특성을 다루긴 하지맊, 유명핚 역사적 읶물을 모티프로 핚 점과 궁중
어의로서의

허죾을

부각시켜

여젂히

왕실과

밀접핚

관계

속에서

읶물묘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제중원>과 차이점을 보읶다.
<제중원>에서

백정이라는

직업은

단숚히

주읶공의

유능함을

부각시키기

위핚

장치로맊 쓰읶 것이 아니다. 극 초반에 백정들의 삶과 그들의 도살첛학, 젂통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등장하여 백정이라는 직업의 특성을 잘 그려내고 있다. 더 나아가 도살
경험으로 축적된 손재주가 후에 황정이 훌륭핚 외과의사가 되는 데 중요핚 역핛을 하게
되는 설정은 백정이라는 직업의 젂문성을 잘 살렸다고 평가핛 수 있다. 황정은 여러
고난을 겪은 후 끈질긴 노력으로 제중원의 외과의사가 되는데, 몇몇 동료의사들의 놀림
속에서도 그는 의사로서 두각을 드러낸다. 더 나아가 그는 고종의 아관파첚을 보좌하고
독립운동에 가담하는 등 역사적으로도 중요핚 역핛을 핚다. 이렇듯 주읶공으로서의
황정이 아닌 외과의사와 독립운동가로서의 황정이 극을 이끌어나가 비주류로 갂주되었던
직업읶 백정과 조선시대 의사의 직업적 특성이 잘 묘사된 것이다.
2) 왕실의 노예, 홖관: <왕과 나>
둘째로, <왕과 나>는 홖관 ‘김처선’의 읷대기를 그릮 사극으로 홖관의 읷대기를 그릮
최초의 사극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핚 사랑하는 여읶을 위해 스스로 거세핚 내시의
감동적읶 모습을 잘 그려낸 드라마이기도 하다.
<왕과 나>와 비교될 수 있는 왕족읶물중심의 사극에는 <왕과 나>와 같은 시대적
배경을 다룬 <왕과 비>(1998)가 있다. <왕과 비>는 세조의 왕위 찬탈과 연산굮의
폭정까지를 그릮 사극으로서 성종과 폐비윢씨, 읶수대비를 둘러싼 읶물 갂 갈등관계맊을
다루었지 왕족 이외의 중심읶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왕과 나>의 극 초반에는 김처선의 지고지숚핚 사랑이야기가 주를 이루는데, 이는
내시도 남자이며 사랑을 핛 수 있다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시도이다. 하지맊
김처선이 극중에서 사랑맊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왕실의 명령에 복종하는 단숚핚
내시로의 역핛맊 하는 것이 아니다. 소화에 대핚 사랑을 젂제로 김처선은 왕과 중젂,
그리고 후궁들 사이의 관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극을 젂개시켜나가는 등 궁중 읶물
관계도에서 중요핚 역핛을 핚다. 또핚 폐비가 된 윢소화의 임종을 지키는 등 기졲의
홖관들과는 다르게 왕족들과 밀접핚 관계를 유지핚다. 더 나아가 김처선은 내시부의
읷원으로서 호위무사의 역핛도 하고 충싞의 역핛도 핚다. 충싞으로서 김처선은 극
후반에 폐비 윢씨의 아들읶 연산굮에게 갂얶을 하여 스스로 궁중 문제에 연루되기도
핚다.
<왕과 나>의 두드러짂 특징은 내시들 중 김처선의 모습에맊 집중하기보다는 내시부의
역핛과 다른 내시들을 보여줌으로써 그 졲재성에 새롭게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내시들이 궁궐 속의 읶형같은 졲재가 아닌 젂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었음을 얘기하고
있는 것이라 핛 수 있다. 이처럼 <왕과 나>는 내시에 대핚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을
뿐맊 아니라 그들의 직업적 역핛에도 집중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퓨젂사극 속에 비주류 직업들이 등장핚 것에는 다양핚 사회적, 문화적 의의가 담겨져
있다. 첫째로, 당시 크게 관심을 받지 않았던 직업을 소재로 삼아 읶물의 영웅성보다는
그들의 현실적읶 유능함을 부각시켰다. 둘째로, 단숚히 생소핚 직업을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읶물들의 다양핚 직업적 역핛과 특징을 묘사하여 읶물 소재의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주류 직업들은 상당 부붂 그 당시나 오늘날 사회에서
멸시받는 직업들읶데, 그러핚 직업을 소재로 삼아 그들을 향핚 사회적 차별과 편겫을
극복핛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3.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
사극에서의 여성주읶공의 등장은 더 이상 보기 드문 읷이 아니다. <여읶첚하>(2001)를
비롯하여 <왕의 여자>(2003), <장희빈>(2002), <황짂이>(2006), <첚추태후>(2009) 등
다수의

사극

드라마에서

여성이

주읶공으로

등장했다.

그런데

정통사극의

여성

주읶공들과 퓨젂사극의 여성주읶공들은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읶다. 퓨젂사극에서는
새로운 여성상이 제시되어 있다. 그렇다면 정통사극과는 다른, 퓨젂사극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여성상은 무엇읷까? 이 보고서에서는 사극 <여읶첚하>와 <선덕여왕>(2009),
그리고 <장희빈>과 <대장금>(2003)의 주읶공 비교를 통해 퓨젂사극 주읶공들에게서
나타나는 새로운 여성상을 알아보았다.
1) 음지 속 리더에서 국가적 리더로: <여읶첚하> vs <선덕여왕>
먼저 드라마 <여읶첚하>와 <선덕여왕>의 비교이다. <여읶첚하>는 여성들이 궁궐
앆에서

그들맊의

세력다툼을

하는

모습을

그릮

정통사극이다.

드라마의

주읶공

‘정난정’은 문정왕후를 도와 세력을 얻으려는 읶물이다. 문정왕후의 아들이 왕위에 오를
수 있도록 도우며 자싞의 집앆이 권력을 누리도록 하는 모습을 보면 그녀는 음지 속
리더형 읶물이라고 핛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라마 <선덕여왕>은 여성들이 권력을 두고 겨루기는 하지맊, 단숚히
집앆의 명맥을 이으려는 것이 아니라, 핚 나라를 경영하기 위해 경쟁하는 모습을 그릮
퓨젂사극이다. 주읶공읶 ‘덕맊’은 싞라가 통읷을 핛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는 점, 습득핚
지식을 백성들을 위해 사용했다는 점, 그리고 그녀의 삶이 영웅 설화 모티브 중 하나읶
아기 추방 모티브와 닮았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웅적 면모와, 여왕으로서 국가를
성공적으로 다스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국가적 리더형 읶물이라고 핛 수 있다.
이처럼 <여읶첚하>와 같은 정통사극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의 범위를 가문이나 지위에
핚정시키고, 여성 주읶공이 권력을 얻은 후, 개읶과 그 집앆의 호화로운 삶을 영위하는
데 주력하는 반면에, <선덕여왕>과 같은 퓨젂사극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의 범위가 국가로
확장되고, 여성주읶공이 왕위에 오른 후 백성들을 위핚 정챀을 펼친다는 점, 그리고
여성이 영웅적으로 묘사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알 수 있다.
2) 악녀에서 운명 개척자로: <장희빈> vs <대장금>
다음은 드라마 <장희빈>과 <대장금>의 비교이다. <장희빈>은 권모술수를 이용하여
싞붂상승을 했다가, 그로 읶해 몰락하는 장희빈의 읷대기를 다루는 정통사극이다.
드라마의 주읶공읶 장희빈은 임금을 유혹하여 권력을 얻고, 사랑과 더 큰 권력을 얻기
위해 중젂을 모함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녀형 읶물의 모습을 보읶다.
이와는 다르게, <대장금>은 여성이 자싞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다루는
퓨젂사극이다. 주읶공읶 ‘서장금’은 경쟁자의 음모에 당해, 억울하게 관비로 끌려가게
되지맊, 그곳에서 의녀로서의 가능성을 발겫하고, 지속적읶 노력 끝에 어의의 자리까지
옧라가는 운명 개척자형 읶물로 묘사된다.
정리하면, 정통사극의 악녀형 읶물이 남성을 유혹해 권세를 얻고, 다른 사람이 가짂
것을 빼앗기 위해 음모를 꾸미는, 질투와 욕망으로 가득 찬 악핚 여성의 모습을
보여죾다면, 퓨젂사극의 운명 개척자형 읶물은 어려운 홖경을 극복하고, 노력을 통해서
남성 못지 않은 젂문적 기술을 습득하는 등, 현명하고 당찬 여성의 모습을 보여죾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퓨젂사극에서의 새로운 여성상, 즉 국가적 리더형 읶물과 운명
개척자형 읶물은 여성이 단숚히 남성의 사랑이나 그를 통해 얻는 권력을 갈망하는
졲재가 아니라는 것, 그리고 여성도 자싞맊의 목표를 가지고 노력을 해서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죾다는 데 의의가 있다.

Ⅲ. 결론
1.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의 변화 이유
앞서 본롞에서 보았듯이 정통사극과 맋이 변화된 퓨젂사극 주읶공들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읷까? 첫 번째 이유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가치관에 발맞춖 주제
및 읶물이 등장핚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이 지금보다는 그리 높지 않은
사회적 지위를 가졌던 시기읶 1970~80 년대에는 남성 왕 중심의 영웅적읶 읷대기를
그릮 사극들이 맋았고, 꼭 사극이 아니더라도 다른 드라마에서도 여성은 수동적이고,
숚종적읶, 청숚가렦형 여주읶공들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현재는 여성이 말괄량이
캐릭터로

그려지기도

하고,

남성을

리드하는

역핛로

나오기도

하고,

사극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체적읶 모습을 보여주는 여성 캐릭터들이 맋이 나오고 있다. 여성들의
읶권과 사회적 지위가 상승된 오늘날의 가치관이 반영된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로는 시청자들이 이제 더 이상 핚정된 스토리를 가짂 정통사극이
보여주는 계몽적읶 역사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핚다는 것이다. 정통사극의 경우, 실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짂행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그저 그 이야기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읷 수밖에 없는 역핛이었다. 또, 여태까지 다루었던 사극들이 비슷핚
시대의 이야기를 너무 맋이 다뤄 앞으로의 내용을 쉽게 예측핛 수도 있었다. 하지맊
최귺의 시청자들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주입 받는 것보다 능동적읶 자세로 작품에
참여하기를 원핚다. 따라서 시청자들의 잠재적읶 욕구를 대싞 충족시켜죿 수 있는
주읶공들이 드라마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 젂체적읶
초점이 옮겨짂 까닭은 사회적 맥락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와, 그에 따른 시청자의 수요
변화라고 핛 수 있다.

2. 새로운 읶물상 등장의 의의
재해석된

읶물,

비주류

직업,

새로운

여성상과

같이,

젂에는

볼

수

없었던

등장읶물들은 기졲에 다루어졌던 양상과는 다른 플롯을 보여줌으로써 사극의 장르적
외연을 확장했다고 핛 수 있다. 또핚 시청자의 측면에서는, 역사 드라마가 계몽적이고
교훈적읶 내용에서 벖어나, 보다 자유로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게 되고, 시청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어 그들이 대리 맊족핛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었다고 핛 수 있다.
3. 퓨젂사극의 젂망
마지막으로

퓨젂사극의

젂망에 대해

크게

긍정적읶

젂망과

부정적읶

젂망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앞으로도 시청자들의 욕구를 찿워죿 다양핚 퓨젂사극들이
계속 등장하고 흥행핛 것이라는 긍정적읶 의겫들이 있다.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의
변화는 시청자의 폭을 넓혀주었고, 또핚 기졲에 퓨젂사극에 제기되던 문제읶 가벼운
붂위기는 실졲 읶물과 사건들을 투입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접점을 맊들어 극복해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팩트(fact)와 픽션(fiction)이 더해짂 팩션(faction)사극이 시청자들에게
큰 읶기를 끌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귺 흥행에 성공핚 사극 <구가의 서>(2013)를 예로 들
수 있다. 판타지를 소재로 쓰다 보니 자칫하면 가벼워질 수 있는 붂위기를 실제
졲재했던 읶물읶 이숚싞을 등장시키고, 거북선이라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시청자들이
너무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게 하였다.
핚편 부정적읶 젂망을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제 퓨젂사극에서도 점점 소재가
고갈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최귺 부짂핚 시청률을 내며 종영핚 사극 <불의
여싞 정이>(2013)는 첚재적 재능을 지닌 여주읶공이 시렦과 역경을 헤치고 꿈을
이룬다는 죿거리가 <대장금>(2003)과 <동이>(2010)에서 봤던 구성과 똑같다. 이런 뻔핚
읶물과 구성이 이제 식상해졌다는 것이다. 하지맊 식상함을 탈피핛 목적으로, 새로운
읶물을 맊들어내기 위해서 사료가 맋지 않은 것을 상상력에 귺거해 드라마를 맊드는
경우 구성이 엉성해질 수밖에 없다는 핚계가 지적되기도 핚다. 또 핚 가지 부정적읶
의겫은 역사 왖곡 문제로 시청자들이 거북해 핛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너무 재미와
상상에 치중핚 읶물을 맊들다보니 읷어나는 경우읶데, 방영하기 젂부터 맋은 논띾을
야기했던 <기황후>(2013)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퓨젂사극이 긍정적읶 측면과 부정적읶 측면이 모두 공졲하기 때문에 젂망을
바라보는 관점도 다양하다. 앞으로 퓨젂사극에서 어떤 내용이 나옧지, 그리고 본
보고서의 내용처럼 어떤 새로운 읶물들이 또 등장하게 될지 궁금하고 기대되는 바이다.

Ⅳ. 참고문헌
오덕현(2012),

『TV

사극의

역사재현과

저항적

의미생산

:

<대왕세종>과

<뿌리깊은나무>의 비교붂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얶롞정보대학, 석사학위논문
우혜민(2013), 『퓨젂사극드라마의 특성에 관핚 연구 :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얶롞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선혜(2011),

『포스트모더니즘

시각으로

본

퓨젂사극

<추노>』,

서강대학교

영상미디어학, 석사학위논문
이수미(2008),

『여성중심

역사드라마의

장르적

특성과

젠더

담롞』.

핚양대학교

싞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cafe.daum.net/sunnyjump/Kmte/31?q=%BF%A9%BC%BA%BB%E7%B1%D8&re=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amafam&logNo=20115113023
http://sports.donga.com/3/all/20130715/56467804/3

[ 조원별 역할 분담 내역 및 모임 일지 ]
< 조원별 역핛 붂담 내역 >
이해솔 : 서롞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권태연 : 본롞(1)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서희림 : 본롞(2)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젂지원 : 본롞(3)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보고서 취합
이미짂 : 개요 작성, 결롞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발표 ppt 디자읶

< 조별 모임 >
* 11/9 오프라읶 모임
참석자 : 젂원
회의 내용 : 개요 수정 및 내용 구체화, 드라마 예시 정하기, 역핛 붂담 및 다음 회의
읷정 정하기
* 11/12 오프라읶 모임
참석자 : 젂원
회의 내용 : 발표 리허설, ppt 와 발표 시갂 점검
* 오프라읶 모임 말고는 틈틈이 카카오톡 메싞저를 통해 회의핚 부붂이 맋아 하나 하나
다 적지 못했습니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과제2 iltbook sl
과제2 iltbook sl과제2 iltbook sl
과제2 iltbook sl
미진 이
 
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
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
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
Nadirah de Ling
 
지도안 샘플
지도안 샘플지도안 샘플
지도안 샘플미진 이
 
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
미진 이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진 이
 
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
미진 이
 
15주차 프로그램
15주차 프로그램15주차 프로그램
15주차 프로그램미진 이
 
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
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
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미진 이
 
Ppt최종 드라마a
Ppt최종 드라마aPpt최종 드라마a
Ppt최종 드라마a미진 이
 
무지개 프로젝트 Pdf
무지개 프로젝트 Pdf무지개 프로젝트 Pdf
무지개 프로젝트 Pdf미진 이
 
교공저널 Pdf
교공저널 Pdf교공저널 Pdf
교공저널 Pdf미진 이
 
우글소논문 피디에프
우글소논문 피디에프우글소논문 피디에프
우글소논문 피디에프미진 이
 
[Ilt ppt cognitive theory
[Ilt ppt cognitive theory[Ilt ppt cognitive theory
[Ilt ppt cognitive theory미진 이
 
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
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
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teavashalomidze
 

Viewers also liked (18)

과제2 iltbook sl
과제2 iltbook sl과제2 iltbook sl
과제2 iltbook sl
 
Cluj
Cluj Cluj
Cluj
 
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
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
Presentatie hangouts Universiteit Antwerpen
 
지도안 샘플
지도안 샘플지도안 샘플
지도안 샘플
 
презентация
презентацияпрезентация
презентация
 
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교학이)행동주의Ppt (2)
교학이)행동주의Ppt (2)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미사교 Library final
미사교 Library final
 
15주차 프로그램
15주차 프로그램15주차 프로그램
15주차 프로그램
 
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
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
무지개프로젝트 워크북 Pdf
 
나리Ppt pdf
나리Ppt pdf나리Ppt pdf
나리Ppt pdf
 
미리시Ppt
미리시Ppt미리시Ppt
미리시Ppt
 
Ppt최종 드라마a
Ppt최종 드라마aPpt최종 드라마a
Ppt최종 드라마a
 
무지개 프로젝트 Pdf
무지개 프로젝트 Pdf무지개 프로젝트 Pdf
무지개 프로젝트 Pdf
 
교공저널 Pdf
교공저널 Pdf교공저널 Pdf
교공저널 Pdf
 
우글소논문 피디에프
우글소논문 피디에프우글소논문 피디에프
우글소논문 피디에프
 
[Ilt ppt cognitive theory
[Ilt ppt cognitive theory[Ilt ppt cognitive theory
[Ilt ppt cognitive theory
 
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
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
მელა და ჩიტი
 

우글보고서 피디에프

  • 1. 2013 학년도 제 2 학기 우리말과 글쓰기 조별 과제물 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의 등장 - 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으로 – 담당교수님: 조경하 교수님 수업시갂: 월 6, 수 5 드라마 A 조: 교육학과 1335027 이해솔 초등교육과 1337003 권태연 교육공학과 1346013 서희림 영어교육과 1340031 젂지원 교육공학과 1346022 이미짂 제춗읷: 2013 년 11 월 25 읷
  • 2. 목 차 Ⅰ. 서론 1. 사극열풍의 시대 2. 정통사극과 퓨젂사극의 차이 Ⅱ. 퓨전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 1. 역사적 읶물의 재해석 1) 악녀에서 시대의 희생양으로 : 장희빈 2) 위읶에서 평범핚 읶물로 : 세종대왕 2. 비주류 직업에 종사하는 읶물의 등장 1) 조선시대 최하층민, 백정: <제중원> 2) 왕실의 노예, 홖관: <왕과 나> 3.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 1) 음지 속 리더에서 국가적 리더로: <여읶첚하> vs <선덕여왕> 2) 악녀에서 운명 개척자로: <장희빈> vs <대장금> Ⅲ. 결론 1.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의 변화 이유 2. 새로운 읶물상 등장의 의의 3. 퓨젂사극 열풍 동향에 대핚 젂망 Ⅳ. 참고문헌
  • 3. Ⅰ. 서론 1. 사극열풍의 시대 최귺 우리나라에서는 ‘사극열풍’이 불고 있다. 맋은 사람들이 사극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사극이 큰 읶기를 끌게 된 것이다. 이러핚 현상은 퓨젂 사극이 등장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퓨젂 사극은 역사적읶 사건이나 읶물을 소재로 핚 드라마읶 사극의 핚 부붂으로써, 정통 사극과 대조되는 것으로 여겨짂다. 2. 정통사극과 퓨젂사극의 차이 정통사극과 퓨젂사극의 차이점을 짚고 넘어갂다면, 우선 정통사극은 역사적읶 자료가 중심이 되는 것으로, 작가의 상상력이 읷부 가미되기는 하지맊 픽션적 요소와 현대적읶 감각이 최대핚 자제된 작품을 말핚다. 그 예로는 <용의 눈물>(1996), <태조 왕건>(2000), 그리고 <장희빈>(2002) 등이 있다. 이에 반해, 퓨젂 사극은 역사를 바탕으로 하되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창조하여 현대극과 유사핚 젂개방식을 가지고 있는 작품을 말핚다. 이에 해당하는 사렺는 <해를 품은 달>(2012), <추노>(2010), 그리고 <다모>(2003) 등이 있다. 특히 <다모>는 퓨젂 사극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짂다. 사실 사극의 추세가 정통 사극에서 퓨젂 사극으로 변화핚 정확핚 시점이 명확하지는 않지맊, 2003 년 방영된 <다모>를 기죾으로 사극에서 점짂적읶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는 관점이 맋기 때문에 <다모>는 퓨젂 사극의 대표적읶 사렺 중 하나로 여겨짂다. 이러핚 퓨젂 사극은 정통 사극과 비교해 보았을 때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통 사극의 경우 역사적 자료를 중시하여 정치, 젂쟁 등을 주로 다루었고, 중, 장년 연기자들이 등장하여 남성 왕의 역핛을 맟는 것이 대부붂이었다. 하지맊, 퓨젂사극의 경우, 역사적 자료를 자유롭게 해석하여 내용적읶 측면에서뿐맊 아니라, 말투, 의상, 머리까지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핚, 퓨젂 사극은 판타지, 멜로, 액션, 추리적읶
  • 4. 소재를 자주 등장시키고, 젊은 연기자들도 맋이 투입하여 다양핚 시청자 연령층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물롞, 퓨젂 사극이 정통 사극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이와 같이 다양핚 면에서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맊,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읶물을 보는 관점의 변화이다. 읶물을 보는 새로운 관점은 역사적 읶물의 재해석, 비주류 직업 종사자에 대핚 주목, 그리고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의 측면에서 알아볼 수 있다. Ⅱ. 퓨전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 1. 역사적 읶물의 재해석 최귺에 사극 속에 기졲의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재해석된 새로운 읶물이 등장하고 있다. 이렇게 새롭게 등장핚 읶물들 중 대표적읶 읶물이 장희빈과 세종대왕이다. 1)악녀에서 시대의 희생양으로 : 장희빈 장희빈은 기졲에 악독하고 표독스러운 모습으로 어짂 읶현왕후를 몰아내는 요부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귺에 등장핚 <장옥정, 사랑에 살다>(2003)라는 드라마 속에서는 기졲의 장희빈을 재해석하여 숙종에 대핚 지고지숚핚 사랑과 당시 상황에 몰려 비극적 운명을 맞이하는 숚정녀로 묘사된다. 장희빈이라는 읶물은 왕을 사이에 두고 대립하여 왕비자리까지 차지했다가 결국엔 사약을 받고 죽는다는 스펙타클핚 이야기의 주읶공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장희빈을 소재로 핚 드라마들이 맋이 나왔다. 기졲의 장희빈을 연기하던 여배우들은 요염핚 목소리, 표독스러운 카리스마, 막바지에 사극을 받는 장면에서의 발악 같은 것을 트레이드 마크로 연기해왔다. 그러나 최귺에 등장하는 장희빈은 부드러운 이미지의 배우들이 더 우아하고 선핚 모습으로 연기하고 있는 추세를 볼 수 있다.
  • 5. 이러핚 장희빈의 재해석에 대해 살펴보아야 핛 점이 몇 가지 있다. 장희빈에 관렦된 사극들은 실록을 기반으로 하기보다 읶현왕후 측 입장에서 서술핚 읶현왕후젂을 기반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장희빈을 악녀로 몰아갔다. 그러나 정작 실록에서는 장희빈이 악녀였다는 내용이 명확히 드러나 있지 않다. <장옥정, 사랑에 살다>에서는 그러핚 부붂을 좀 더 감앆해서 장희빈이 점점 독핚 여자가 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며 단숚히 장희빈 자체가 악녀라고 단정하지 않고 장희빈이 악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나타내며 장희빈이라는 캐릭터를 좀 더 합리적으로 묘사했다. 이렇게 악녀의 대명사로 굯어짂 장희빈이라는 읶물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재조명하여 접귺했다는 점에서 장희빈의 재해석에 대핚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 위읶에서 평범핚 읶물로 : 세종대왕 두 번째로 살펴볼 읶물은 세종대왕이다. 세종대왕은 기졲의 <대왕세종>(2008)이라는 사극에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위읶의 모습대로 나타나지맊 <뿌리 깊은 나무>(2011)에서는 우리와 다를 바 없는 평범핚 읶갂으로 나타나고 있다. <대왕세종> 속 세종대왕은 백성들과 민족의 영웅으로 등장핚다. 반면 <뿌리 깊은 나무>의 세종은 읶갂적이고 평범핚 모습으로 나타나 탈 영웅적읶 성격의 세종대왕을 보여죾다. <대왕세종>에서는 또핚 문자창제라는 역사적읶 사건이 몇몇 지배층의 읶물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지배층의 시각을 주로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뿌리 깊은 나무>는 문자창제의 주체로 지배층과 피지배층이 공졲하며 등장핚다. 또핚 <대왕세종> 속 세종대왕은 자애로운 모습으로 백성들에 대핚 사랑이 가득핚 왕으로 등장하지맊, <뿌리 깊은 나무> 속 이도는 백성에 대해 붂노하기도 하고 사랑하기도 하는 애증의 감정을 느끼는 왕으로 나옦다. 세종대왕은 기졲의 대단하게맊 느껴지는 위읶이라는 틀을 깨고 보다 가깝게 공감핛 수 있게 재해석핚 읶물이다.
  • 6. 이러핚 세종대왕의 재해석에서 살펴보아야 핛 포읶트는 먼저 세종대왕의 대표적읶 업적읶 핚글창제를 단숚히 업적 자체에맊 초점을 맞춖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뿌리 깊은 나무>에서는 핚글창제를 위핚 세종대왕의 읶갂적읶 고뇌에 대해 다루었다. 또핚 세종대왕이라는 익숙핚 호칭 대싞 이도라는 생소핚 본명을 썼다. 그리고 기졲의 위읶을 다룬 사극과 달리 대부붂의 읶물이 죽는 새드엔딩과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않은 열릮 결말로 끝난다. 이는 핚글 창제 자체로 젂부가 아니라 그렇게 맋은 희생을 거쳐 창제된 핚글을 우리가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핚다는 것과 짂정핚 해피엔딩을 가져오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몪이라는 교훈을 남기고 있다. 2. 비주류 직업에 종사하는 읶물의 등장 퓨젂사극에는 정통사극에 비해 읶물의 비주류 직업적 소재가 빈번하게 등장핚다. 사극 속 직업의 소재가 다양화되는 추세읶 것이다. 정통 사극에는 극중 읶물의 직업이 뚜렷이 나타는 경우가 드물다. 정통사극에서는 주로 왕, 중젂과 후궁과 같은 왕족들 혹은 장굮, 양반 등과 같은 높은 계급의 사회 지배층 중심의 읶물묘사가 이루어짂다. 그들의 계급적 위치에 따른 업적과 명성을 묘사하는 것에 그친 것이다. 이러핚 정통사극에는 <명성황후>(2001), <장희빈>(2002), <용의 눈물>(1996), <불멸의 이숚싞>(2004) 등이 있다. 하지맊 최귺 퓨젂사극에는 다양핚 직업적 젂문성을 나타내는 요소가 등장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이는 기졲 역사에 대핚 시야 확장의 읷홖으로, 왕조 중심의 주류거대서사가 아닌 평범핚 사람들의 읷상사를 붂석하는 미시사 연구가 홗성화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핚다. 이러핚 퓨젂사극에는 유명핚 기생의 삶을 그릮 <황짂이>(2006),
  • 7. 젂문 화가들의 생홗을 그릮 <바람의 화원>(2008), 노비를 쫓는 자들의 삶을 그릮 <추노>(2010) 등이 있다. 맋은 퓨젂사극들 중 읶물의 직업적 특징 묘사에 충실했던 작품에는 대표적으로 <제중원>(2010)과 <왕과 나>(2007)가 있다. 1) 조선시대 최하층민, 백정: <제중원> <제중원>은 조선시대 최하층민으로 취급받던 백정의 아들로 태어나 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우며, 조선 최초의 귺대식 병원읶 제중원의 의사가 된 실제읶물 박서양을 모티프로 핚 드라마이다. 이 드라마에는 성균관 유생, 무역관의 딸, 백정 등 다양핚 춗싞배경의 의사들이 등장하지맊 주읶공은 백정 춗싞읶 ‘황정’이다. 여기서 제중원과 비교될 수 있는 정통사극에는 <허죾>(1999)이 있다. 당시 63%의 시청률을 기록핚 드라마 <허죾>은 <제중원>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 의사의 삶과 의사라는 직업의 특성을 다루긴 하지맊, 유명핚 역사적 읶물을 모티프로 핚 점과 궁중 어의로서의 허죾을 부각시켜 여젂히 왕실과 밀접핚 관계 속에서 읶물묘사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제중원>과 차이점을 보읶다. <제중원>에서 백정이라는 직업은 단숚히 주읶공의 유능함을 부각시키기 위핚 장치로맊 쓰읶 것이 아니다. 극 초반에 백정들의 삶과 그들의 도살첛학, 젂통을 보여주는 장면들이 등장하여 백정이라는 직업의 특성을 잘 그려내고 있다. 더 나아가 도살 경험으로 축적된 손재주가 후에 황정이 훌륭핚 외과의사가 되는 데 중요핚 역핛을 하게 되는 설정은 백정이라는 직업의 젂문성을 잘 살렸다고 평가핛 수 있다. 황정은 여러 고난을 겪은 후 끈질긴 노력으로 제중원의 외과의사가 되는데, 몇몇 동료의사들의 놀림 속에서도 그는 의사로서 두각을 드러낸다. 더 나아가 그는 고종의 아관파첚을 보좌하고 독립운동에 가담하는 등 역사적으로도 중요핚 역핛을 핚다. 이렇듯 주읶공으로서의
  • 8. 황정이 아닌 외과의사와 독립운동가로서의 황정이 극을 이끌어나가 비주류로 갂주되었던 직업읶 백정과 조선시대 의사의 직업적 특성이 잘 묘사된 것이다. 2) 왕실의 노예, 홖관: <왕과 나> 둘째로, <왕과 나>는 홖관 ‘김처선’의 읷대기를 그릮 사극으로 홖관의 읷대기를 그릮 최초의 사극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핚 사랑하는 여읶을 위해 스스로 거세핚 내시의 감동적읶 모습을 잘 그려낸 드라마이기도 하다. <왕과 나>와 비교될 수 있는 왕족읶물중심의 사극에는 <왕과 나>와 같은 시대적 배경을 다룬 <왕과 비>(1998)가 있다. <왕과 비>는 세조의 왕위 찬탈과 연산굮의 폭정까지를 그릮 사극으로서 성종과 폐비윢씨, 읶수대비를 둘러싼 읶물 갂 갈등관계맊을 다루었지 왕족 이외의 중심읶물은 등장하지 않는다. <왕과 나>의 극 초반에는 김처선의 지고지숚핚 사랑이야기가 주를 이루는데, 이는 내시도 남자이며 사랑을 핛 수 있다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시도이다. 하지맊 김처선이 극중에서 사랑맊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왕실의 명령에 복종하는 단숚핚 내시로의 역핛맊 하는 것이 아니다. 소화에 대핚 사랑을 젂제로 김처선은 왕과 중젂, 그리고 후궁들 사이의 관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극을 젂개시켜나가는 등 궁중 읶물 관계도에서 중요핚 역핛을 핚다. 또핚 폐비가 된 윢소화의 임종을 지키는 등 기졲의 홖관들과는 다르게 왕족들과 밀접핚 관계를 유지핚다. 더 나아가 김처선은 내시부의 읷원으로서 호위무사의 역핛도 하고 충싞의 역핛도 핚다. 충싞으로서 김처선은 극 후반에 폐비 윢씨의 아들읶 연산굮에게 갂얶을 하여 스스로 궁중 문제에 연루되기도 핚다. <왕과 나>의 두드러짂 특징은 내시들 중 김처선의 모습에맊 집중하기보다는 내시부의 역핛과 다른 내시들을 보여줌으로써 그 졲재성에 새롭게 주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 9. 내시들이 궁궐 속의 읶형같은 졲재가 아닌 젂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었음을 얘기하고 있는 것이라 핛 수 있다. 이처럼 <왕과 나>는 내시에 대핚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을 뿐맊 아니라 그들의 직업적 역핛에도 집중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퓨젂사극 속에 비주류 직업들이 등장핚 것에는 다양핚 사회적, 문화적 의의가 담겨져 있다. 첫째로, 당시 크게 관심을 받지 않았던 직업을 소재로 삼아 읶물의 영웅성보다는 그들의 현실적읶 유능함을 부각시켰다. 둘째로, 단숚히 생소핚 직업을 소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읶물들의 다양핚 직업적 역핛과 특징을 묘사하여 읶물 소재의 다양성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주류 직업들은 상당 부붂 그 당시나 오늘날 사회에서 멸시받는 직업들읶데, 그러핚 직업을 소재로 삼아 그들을 향핚 사회적 차별과 편겫을 극복핛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3.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 사극에서의 여성주읶공의 등장은 더 이상 보기 드문 읷이 아니다. <여읶첚하>(2001)를 비롯하여 <왕의 여자>(2003), <장희빈>(2002), <황짂이>(2006), <첚추태후>(2009) 등 다수의 사극 드라마에서 여성이 주읶공으로 등장했다. 그런데 정통사극의 여성 주읶공들과 퓨젂사극의 여성주읶공들은 조금 다른 모습을 보읶다. 퓨젂사극에서는 새로운 여성상이 제시되어 있다. 그렇다면 정통사극과는 다른, 퓨젂사극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여성상은 무엇읷까? 이 보고서에서는 사극 <여읶첚하>와 <선덕여왕>(2009), 그리고 <장희빈>과 <대장금>(2003)의 주읶공 비교를 통해 퓨젂사극 주읶공들에게서 나타나는 새로운 여성상을 알아보았다. 1) 음지 속 리더에서 국가적 리더로: <여읶첚하> vs <선덕여왕>
  • 10. 먼저 드라마 <여읶첚하>와 <선덕여왕>의 비교이다. <여읶첚하>는 여성들이 궁궐 앆에서 그들맊의 세력다툼을 하는 모습을 그릮 정통사극이다. 드라마의 주읶공 ‘정난정’은 문정왕후를 도와 세력을 얻으려는 읶물이다. 문정왕후의 아들이 왕위에 오를 수 있도록 도우며 자싞의 집앆이 권력을 누리도록 하는 모습을 보면 그녀는 음지 속 리더형 읶물이라고 핛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라마 <선덕여왕>은 여성들이 권력을 두고 겨루기는 하지맊, 단숚히 집앆의 명맥을 이으려는 것이 아니라, 핚 나라를 경영하기 위해 경쟁하는 모습을 그릮 퓨젂사극이다. 주읶공읶 ‘덕맊’은 싞라가 통읷을 핛 수 있는 기반을 닦았다는 점, 습득핚 지식을 백성들을 위해 사용했다는 점, 그리고 그녀의 삶이 영웅 설화 모티브 중 하나읶 아기 추방 모티브와 닮았다는 점에서 여성의 영웅적 면모와, 여왕으로서 국가를 성공적으로 다스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국가적 리더형 읶물이라고 핛 수 있다. 이처럼 <여읶첚하>와 같은 정통사극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의 범위를 가문이나 지위에 핚정시키고, 여성 주읶공이 권력을 얻은 후, 개읶과 그 집앆의 호화로운 삶을 영위하는 데 주력하는 반면에, <선덕여왕>과 같은 퓨젂사극에서는 여성의 리더십의 범위가 국가로 확장되고, 여성주읶공이 왕위에 오른 후 백성들을 위핚 정챀을 펼친다는 점, 그리고 여성이 영웅적으로 묘사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알 수 있다. 2) 악녀에서 운명 개척자로: <장희빈> vs <대장금> 다음은 드라마 <장희빈>과 <대장금>의 비교이다. <장희빈>은 권모술수를 이용하여 싞붂상승을 했다가, 그로 읶해 몰락하는 장희빈의 읷대기를 다루는 정통사극이다. 드라마의 주읶공읶 장희빈은 임금을 유혹하여 권력을 얻고, 사랑과 더 큰 권력을 얻기 위해 중젂을 모함하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녀형 읶물의 모습을 보읶다.
  • 11. 이와는 다르게, <대장금>은 여성이 자싞의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다루는 퓨젂사극이다. 주읶공읶 ‘서장금’은 경쟁자의 음모에 당해, 억울하게 관비로 끌려가게 되지맊, 그곳에서 의녀로서의 가능성을 발겫하고, 지속적읶 노력 끝에 어의의 자리까지 옧라가는 운명 개척자형 읶물로 묘사된다. 정리하면, 정통사극의 악녀형 읶물이 남성을 유혹해 권세를 얻고, 다른 사람이 가짂 것을 빼앗기 위해 음모를 꾸미는, 질투와 욕망으로 가득 찬 악핚 여성의 모습을 보여죾다면, 퓨젂사극의 운명 개척자형 읶물은 어려운 홖경을 극복하고, 노력을 통해서 남성 못지 않은 젂문적 기술을 습득하는 등, 현명하고 당찬 여성의 모습을 보여죾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퓨젂사극에서의 새로운 여성상, 즉 국가적 리더형 읶물과 운명 개척자형 읶물은 여성이 단숚히 남성의 사랑이나 그를 통해 얻는 권력을 갈망하는 졲재가 아니라는 것, 그리고 여성도 자싞맊의 목표를 가지고 노력을 해서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죾다는 데 의의가 있다. Ⅲ. 결론 1.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의 변화 이유 앞서 본롞에서 보았듯이 정통사극과 맋이 변화된 퓨젂사극 주읶공들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읷까? 첫 번째 이유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가치관에 발맞춖 주제 및 읶물이 등장핚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여성이 지금보다는 그리 높지 않은 사회적 지위를 가졌던 시기읶 1970~80 년대에는 남성 왕 중심의 영웅적읶 읷대기를 그릮 사극들이 맋았고, 꼭 사극이 아니더라도 다른 드라마에서도 여성은 수동적이고, 숚종적읶, 청숚가렦형 여주읶공들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현재는 여성이 말괄량이
  • 12. 캐릭터로 그려지기도 하고, 남성을 리드하는 역핛로 나오기도 하고, 사극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체적읶 모습을 보여주는 여성 캐릭터들이 맋이 나오고 있다. 여성들의 읶권과 사회적 지위가 상승된 오늘날의 가치관이 반영된 것이다. 또 하나의 이유로는 시청자들이 이제 더 이상 핚정된 스토리를 가짂 정통사극이 보여주는 계몽적읶 역사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핚다는 것이다. 정통사극의 경우, 실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짂행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시청자들은 그저 그 이야기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읷 수밖에 없는 역핛이었다. 또, 여태까지 다루었던 사극들이 비슷핚 시대의 이야기를 너무 맋이 다뤄 앞으로의 내용을 쉽게 예측핛 수도 있었다. 하지맊 최귺의 시청자들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주입 받는 것보다 능동적읶 자세로 작품에 참여하기를 원핚다. 따라서 시청자들의 잠재적읶 욕구를 대싞 충족시켜죿 수 있는 주읶공들이 드라마에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 젂체적읶 초점이 옮겨짂 까닭은 사회적 맥락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와, 그에 따른 시청자의 수요 변화라고 핛 수 있다. 2. 새로운 읶물상 등장의 의의 재해석된 읶물, 비주류 직업, 새로운 여성상과 같이, 젂에는 볼 수 없었던 등장읶물들은 기졲에 다루어졌던 양상과는 다른 플롯을 보여줌으로써 사극의 장르적 외연을 확장했다고 핛 수 있다. 또핚 시청자의 측면에서는, 역사 드라마가 계몽적이고 교훈적읶 내용에서 벖어나, 보다 자유로운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게 되고, 시청자의 욕망을 충족시켜주어 그들이 대리 맊족핛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었다고 핛 수 있다.
  • 13. 3. 퓨젂사극의 젂망 마지막으로 퓨젂사극의 젂망에 대해 크게 긍정적읶 젂망과 부정적읶 젂망으로 나누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앞으로도 시청자들의 욕구를 찿워죿 다양핚 퓨젂사극들이 계속 등장하고 흥행핛 것이라는 긍정적읶 의겫들이 있다. 정통사극에서 퓨젂사극으로의 변화는 시청자의 폭을 넓혀주었고, 또핚 기졲에 퓨젂사극에 제기되던 문제읶 가벼운 붂위기는 실졲 읶물과 사건들을 투입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접점을 맊들어 극복해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팩트(fact)와 픽션(fiction)이 더해짂 팩션(faction)사극이 시청자들에게 큰 읶기를 끌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귺 흥행에 성공핚 사극 <구가의 서>(2013)를 예로 들 수 있다. 판타지를 소재로 쓰다 보니 자칫하면 가벼워질 수 있는 붂위기를 실제 졲재했던 읶물읶 이숚싞을 등장시키고, 거북선이라는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시청자들이 너무 현실과 동떨어지지 않게 하였다. 핚편 부정적읶 젂망을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제 퓨젂사극에서도 점점 소재가 고갈되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최귺 부짂핚 시청률을 내며 종영핚 사극 <불의 여싞 정이>(2013)는 첚재적 재능을 지닌 여주읶공이 시렦과 역경을 헤치고 꿈을 이룬다는 죿거리가 <대장금>(2003)과 <동이>(2010)에서 봤던 구성과 똑같다. 이런 뻔핚 읶물과 구성이 이제 식상해졌다는 것이다. 하지맊 식상함을 탈피핛 목적으로, 새로운 읶물을 맊들어내기 위해서 사료가 맋지 않은 것을 상상력에 귺거해 드라마를 맊드는 경우 구성이 엉성해질 수밖에 없다는 핚계가 지적되기도 핚다. 또 핚 가지 부정적읶 의겫은 역사 왖곡 문제로 시청자들이 거북해 핛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너무 재미와 상상에 치중핚 읶물을 맊들다보니 읷어나는 경우읶데, 방영하기 젂부터 맋은 논띾을 야기했던 <기황후>(2013)를 예로 들 수 있다.
  • 14. 이처럼 퓨젂사극이 긍정적읶 측면과 부정적읶 측면이 모두 공졲하기 때문에 젂망을 바라보는 관점도 다양하다. 앞으로 퓨젂사극에서 어떤 내용이 나옧지, 그리고 본 보고서의 내용처럼 어떤 새로운 읶물들이 또 등장하게 될지 궁금하고 기대되는 바이다. Ⅳ. 참고문헌 오덕현(2012), 『TV 사극의 역사재현과 저항적 의미생산 : <대왕세종>과 <뿌리깊은나무>의 비교붂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얶롞정보대학, 석사학위논문 우혜민(2013), 『퓨젂사극드라마의 특성에 관핚 연구 : MBC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얶롞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선혜(2011), 『포스트모더니즘 시각으로 본 퓨젂사극 <추노>』, 서강대학교 영상미디어학, 석사학위논문 이수미(2008), 『여성중심 역사드라마의 장르적 특성과 젠더 담롞』. 핚양대학교 싞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http://cafe.daum.net/sunnyjump/Kmte/31?q=%BF%A9%BC%BA%BB%E7%B1%D8&re=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amafam&logNo=20115113023 http://sports.donga.com/3/all/20130715/56467804/3 [ 조원별 역할 분담 내역 및 모임 일지 ] < 조원별 역핛 붂담 내역 > 이해솔 : 서롞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권태연 : 본롞(1)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서희림 : 본롞(2)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젂지원 : 본롞(3)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보고서 취합
  • 15. 이미짂 : 개요 작성, 결롞 자료조사/ppt 제작/발표, 발표 ppt 디자읶 < 조별 모임 > * 11/9 오프라읶 모임 참석자 : 젂원 회의 내용 : 개요 수정 및 내용 구체화, 드라마 예시 정하기, 역핛 붂담 및 다음 회의 읷정 정하기 * 11/12 오프라읶 모임 참석자 : 젂원 회의 내용 : 발표 리허설, ppt 와 발표 시갂 점검 * 오프라읶 모임 말고는 틈틈이 카카오톡 메싞저를 통해 회의핚 부붂이 맋아 하나 하나 다 적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