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여성의 건강 - 방학동환경건강학교


                                                  고은광순(한의사. koeunks1@hotmail.com)

1. 인간의 몸: 소우주


육체와 정신/ 정지된 것과 움직이는 것/ 기와 혈


혈: 영양물질/ 후천에 섭취한 음식, 공기를 통해 형성
기: 영양물질을 기초로 움직임, 이동, 변화를 일으키는 에너지


머리카락
.
.
.
발톱



2. 여성의 몸: 신의 대행자(종의 재창조)


    7년 단위의 큰 생리적 변화


7세:    氣    ,    更
14세:    癸
21세:    氣       均,            ,       極
28세: 筋骨이 堅,
35세: 양명맥         ,    이           ,
42세:    이 皆      ,        皆
49세:    癸 竭,         壞,
?
    생명재창조 기관
• 유방: 아기 도시락
• 자궁: 대리 창조
      월경(초경: 14세 ~ 완경: 49세)- 부단한 생명창조 준비작업
      난소/ 난관/ 난자/ 배란/ 수정/ 임신--                            36.7C를 경계로 주기적 변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v
체세포핵: 23쌍의 염색체 (22쌍의 상(         )염색체+1쌍의 성(   )염색체 XX, XY)
성세포핵: 체세포 절반, 23개의 염색체
            난자 (22개+X)
        ♂   정자 (22개+X, 22개+Y)
세포질 물질의 하나: 미토콘드리아 (mtDNA)-모계유전


    건강의 바로미터: 월경


경전복통(           )-혈실허한, 충임한습, 기울혈체
경래복통-간비손상
경후복통(           )-기혈구허, 혈허내열
경폐복통-냉적/혈적, 분노상간          (수술후 자궁경관 폐색으로 인한 통증도)
     ==>복부, 둔부 따듯하게 해주어야.


<   즉       ,    즉   >


    완경의 의미


• 갱년기 증상 (일부)
초기: 상기(안면홍조), 발한, 두근거림,(완경전 2,3년 - 완경후 2~5년)
        신경과민, 불면, 우울, 의욕상실
완경후 3년: 질, 요도의 위축(질건조감, 빈뇨, 배뇨곤란, 뇨실금, 성교통)
        골밀도 저하, 동맥경화



• 호르몬치료를 할 것인가?
유방암, 자궁내막암, 담낭질환의 증가- 프랑스의학협회, 미국 사용 금지 요구



석류, 흑태(쥐눈이 콩) 등 운동과 음식으로 갱년기 탈출을 시도해볼 것.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8 kwen
2018 kwen2018 kwen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
 
2018 kwen
2018 kwen2018 kwen
2018 kwen
 

여성의 건강 (2004)

  • 1. 여성의 건강 - 방학동환경건강학교 고은광순(한의사. koeunks1@hotmail.com) 1. 인간의 몸: 소우주 육체와 정신/ 정지된 것과 움직이는 것/ 기와 혈 혈: 영양물질/ 후천에 섭취한 음식, 공기를 통해 형성 기: 영양물질을 기초로 움직임, 이동, 변화를 일으키는 에너지 머리카락 . . . 발톱 2. 여성의 몸: 신의 대행자(종의 재창조) 7년 단위의 큰 생리적 변화 7세: 氣 , 更 14세: 癸 21세: 氣 均, , 極 28세: 筋骨이 堅, 35세: 양명맥 , 이 , 42세: 이 皆 , 皆 49세: 癸 竭, 壞, ? 생명재창조 기관 • 유방: 아기 도시락 • 자궁: 대리 창조 월경(초경: 14세 ~ 완경: 49세)- 부단한 생명창조 준비작업 난소/ 난관/ 난자/ 배란/ 수정/ 임신-- 36.7C를 경계로 주기적 변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v
  • 2. 체세포핵: 23쌍의 염색체 (22쌍의 상( )염색체+1쌍의 성( )염색체 XX, XY) 성세포핵: 체세포 절반, 23개의 염색체 난자 (22개+X) ♂ 정자 (22개+X, 22개+Y) 세포질 물질의 하나: 미토콘드리아 (mtDNA)-모계유전 건강의 바로미터: 월경 경전복통( )-혈실허한, 충임한습, 기울혈체 경래복통-간비손상 경후복통( )-기혈구허, 혈허내열 경폐복통-냉적/혈적, 분노상간 (수술후 자궁경관 폐색으로 인한 통증도) ==>복부, 둔부 따듯하게 해주어야. < 즉 , 즉 > 완경의 의미 • 갱년기 증상 (일부) 초기: 상기(안면홍조), 발한, 두근거림,(완경전 2,3년 - 완경후 2~5년) 신경과민, 불면, 우울, 의욕상실 완경후 3년: 질, 요도의 위축(질건조감, 빈뇨, 배뇨곤란, 뇨실금, 성교통) 골밀도 저하, 동맥경화 • 호르몬치료를 할 것인가? 유방암, 자궁내막암, 담낭질환의 증가- 프랑스의학협회, 미국 사용 금지 요구 석류, 흑태(쥐눈이 콩) 등 운동과 음식으로 갱년기 탈출을 시도해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