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입문
• SW Kang
• Jan/2015
이와타니 세이지 지음(2009년)
목차
• 회계를 알면 돈을 벌 수 있을까?
• 장사 기록과 재무 제표
• 퍼즐의 그림
• 허망한 현금 흐름표
• 일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계
• [보충] 30분 만에 배우는 재무제표 보는 방법
회계를 알면 돈을 벌 수 있을까?
• 일반 부서의 사람도 회계를 이용하여 이익을 낼 수 있을까?
– 재무 재표 읽기만으로는 이익을 내기 어렵다
– 회계상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수치를 어떻게 개선하느냐’가 중요
• 회계는 회사의 활동을 화폐가치로 환산하는 일
– 기업활동은 회계를 통해 수치로 전환된다.
– 전환된 수치를 분석하여 다시 기업 활동으로 환원하는 작업 필요
• 정적인 재무제표 vs 동적인 재무제표
– 정적인 재무제표 : 결과로서의 재무제표 (결산 기말에 작성하는 재무제표)
– 동적인 재무제표 : 재무제표의 동적인 변화 (업무활동이 재무제표에 대한 영향)
• 회계는 직소퍼즐  각각의 조각(BS, PL, CF, SS)으로 분해하기가 쉽다
• 회계의 리트머스 시험지 : ‘차입금 상환은 이익에 도움이 되는가?’
• 부기는 회계의 기본  계정과목에 기인: ‘어떤일을 하면 어떻게 될까’로 이해 필요
• 회계적 독립 : 규모에 상관없이 조직 자체적으로 이익을 만들어내고 자금을 운용
기업
활동
회계 수치
전환
환원
회계의 역할
동적인 재무제표 변화
재무
제표
재무
제표
재무
제표
기업
활동
선택 1
선택 2
재무
재정
회계 경영
회계(부기)
장사 기록과 재무제표
• 회계는 장사의 기록
– 자산 : 지금 갖고 있는 것
– 자본 : 자신의 지분
– 부채 : 타인에게서 조달한 것
첫날의 대차대조표
자산
사과
600원
200원 x 3개
부채
홍길동에게
빌린돈
500원
자본
내가 낸 돈
100원
2일째 대차대조표
자산
현금
500원
사과
400원
200원 x 2개
부채
홍길동에게
빌린돈
500원
자본
내가 낸 돈
100원
2일째의 이익
300원
사과 1개 500원에 판매
벌어들인 이익만큼
수중의 돈이 늘어났다.
수 익 500
비용 -200
----------------
이 익 300
2일째 손익계산서
왼쪽 합계 900원 = 오른쪽 합계 900원
퍼즐의 그림 (1/3)
• 재무제표의 블록에 의한 회계 공식
– 5가지 회계요소(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 이익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회계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 회계 블록을 쌓을 때의 규칙 세가지
– 기업 활동은 거래에 맞는 회계요소를 쌓아올리는 작업
– 회계 블록 : 기업 활동에 맞게 쌓아올리는 각 회계요소
1) 블록은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2열로 쌓는다
2) ‘회계공식’에서 정한 위치에 쌓는다
3) 오른쪽과 왼쪽에 같은 크기의 블록을 쌓는다
– 차입금을 상환하면 이익을 낼 수 있을까?
• 자산과 부채의 블록 (단, 줄어드는 효과이므로 반대 위치)
• 자산과 부채는 줄어드나, 화살표에 길이(이익)은 변화가 없음
• 회계 블록의 조합 4 단계
– 1) 첫번째 블록 고르기  2)첫블록의 위치 선정  3) 두번째 블록 고르기  4) 두번째 블록은 첫블록의 반대편
자산
1000
부채
500
자본
200
회계 공식
수익
1000
화살표의 길이가
이익을 나타냄
비용
700
자산부채
퍼즐의 그림 (2/3)
• 회계 블록의 조합 조건  5x5=25이나 제한이 있음
1) ‘자본’과 관련된 거래는 일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1년에 한두번?)
2) ‘수익’과 ‘비용’의 조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3) ‘수익’(항상 오른쪽)과 ‘비용’(항상 왼쪽)은 발생하기만 한다
• “자산이 늘어난다고 해도 이익은 줄어들지 않는다” 의 의미
– 옆의 그림으로 이해해야…  화살표(이익)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
– 가능한 결과는 오른쪽 블록에 따라
• 자산, 자본, 부채이면  변화없음, 수익, 비용이면  증가한다
– 동일한 방법으로 생각하면 ‘부채가 늘어도 이익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 이익이 변하지 않는다는 말은 뉴스거리가 아니다  뉴스는수익/비용과 관계
– 충당금(퇴직충당금, 포인트 충당금, 대손충당금 등)은 ‘발생주의’에 따른 비용처리
– 오른쪽에 비용, 왼쪽에 부채  이익이 줌
– 충당금 처리  왼쪽에 ‘부채’, 오른쪽은 자산(발생) 혹은 수익(충당금 환입) 가능성
– 대손충당금은 회계이항시켜 ‘자산’ 항목에 ‘음’의 값으로 둠. (자기주식은 이항시켜 ‘자본’ 항목으로)
자산
부채
수익비용
자산
부채
왼쪽 오른쪽
대차대조표
항목

손익이
변하지 않음
손익계산서
항목
손익이 변함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자산 ???
회계 블록의 조합
부채 (xxx 충당금)비용
퍼즐의 그림 (3/3)
• 이연 세금 자산은 이익
– 이연 세금 자산은  자산
– 이익이 변하지 않으면 뉴스가 되지 않는다
회계 블록은
 이익은 증가 한다
• 차입금을 상환과 이익(다시 생각하기)
– 차입금 상환의 첫 회계블록 : 현금 상환이므로 자산
– 현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른쪽 위치
– 두번째 블록은 부채. 위치는 왼쪽
– 대차대조표는 작아지나, 이익(화살표)은 변화없음
– 시간축에 따른 변화를 생각하면 아래의 두 가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 시간에 따른 (이자 비용)에 대한 회계 블록은
 상환에 따른 이자 비용을 절감하여 차입금 상환은 이익을 증가시킨다
• 시간에 따른 (예금이자 혹은 배당금)에 대한 회계 블록은
 상환에 따른 배당금의 감소로 차입금 상환은 이익을 감소시킨다.
자산 수익
자산부채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자산 (현금)비용(지불이자)
자산 (현금/증권) 수익(배당금 등)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자산 (현금/증권) 수익(배당금 등)
자산 (현금)비용(지불이자)
(그외의)
자산
허망한 현금 흐름표
• 현금 흐름이 막히면 ‘흑자 도산’
– 현금주의 vs 발생주의 : 현금흐름과 이익을 같이 고려해서 의사 결정
• 현금 흐름은 중요하지만 현금흐름표는 필요없다
– 현금 흐름표는 회사 외부의 이해관계자에게는 손익계산서 이상으로 중요
– 회사 내부에서 현금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현금 흐름표는 의미가 없다
– 현금 흐름표는 회계의 기본 구조에 들어 있지 않다
• (현금흐름표) = (전기 대차대조표) – (당기 대차대조표) + (조정항목)
• 퍼즐의 전체 그림을 위한 (현금) 블록 추가
– 자산을 ‘현금’과 ‘(그외의)자산’으로 분할
– 차입금 상환의 블록은
– 이익은 변화가 없으나, 현금 흐름은 감소
– 감가상각의 자기금융효과  현금 = (이익) + (감가상각)
• 초기
• 시간의 진행에 따라 (현금 흐름에 영향이 없다 )
• 기계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수익은
수익
비용 이익
수입
지출
현금
흐름
현금 부채
자본
새로운 회계 공식
수익
비용
이익의
변화 표시
현금 흐름의
변화 표시
현금부채
현금자산 (기계)
자산 (기계)비용(기계값)
현금 수익
일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계
• 자신의 행동과 회사의 이익을 연결해서 생각하라
– 어떤 블록을 쌓고 있는가?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기업 경영의 지표는 회계)
• 영업 현장의 상대방도 회계에 묶여있다
– 자산과 비용의 갈림길 ( Odds Price (단수가격??) : 99800 원 등) : 소액 자산은 비용처리
– 회사의 숨겨진 욕구 : “돈을 벌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벌고 싶지 않기도 하다”  세금처리
• 제조 현장의 재고를 줄여야 하는 이유
– 1) 비용(Cost) : 관리비용, 외상매입 vs 외상매출의 회수기간 차이 비용
– 2) 현금흐름(Cash Flow) : 의 회계블록  현금흐름 화살표 감소
– 3) 리스크(Risk) : 상품이 팔리지 않을 경우 상품의 평가손 
– 4) 시간 (Time) : (수익성지표) = (이익)/(자산) = (이익)/(매출) x (매출)/(자산) = (매출이익률) x (자산회전율)
– 5) 의식(Mind) : 상품부족, 재료부족에 의한 기회손실 회피 수단으로 남용 가능성  전체 효율성 저하
• 회계로 이익을 만들 수 있을까?  회계로 회사를 바라보는 능력 활용
– 1) 손익개선, 2)장래 비용 고려, 3) 장래의 수익 고려, 4) 현금흐름표 개선, 5) 수익성 향상
현금자산 (상품)
자산 (상품)비용(평가손)
[보충] 30분 만에 배우는 재무제표 보는 방법
• 대차대조표의 이해  5개의 큰 요소로 파악
– 오른쪽(부채, 자본 – 자금의 조달원)과 왼쪽(자산 – 자금의 용도) 나누기
– 오른쪽 을 위(부채 – 타인 자본)와 아래(자본 - 자기자본)으로 나눈다
– 자산과 부채를 위(유동)과 아래(고정)으로 나눈다
• 손익계산서의 이해  손익의 단계 계산
– 매출 – 매출원가=매출이익, -판관비= 영업이익 , -영업외 손익 = 경상이익, - 특별이익=세전순이익, -
세금=순이익
• 현금흐름표의 이해  세가지 현금흐름
– 영업 현금 흐름, 투자 현금 흐름, 재무현금흐름
– 영업 현금 흐름은 크면 클수록 좋다
• 주주 자본등 변동계산서의 이해 (Statements of Shareholders’ Equity)
– 주주자본, 평가/환산차액, 신주예약권
– 3번째 화살표(주주자본등 변동 계산서)
(그외의)
자산
현금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주주 자본의 변화 내역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입문(도서 요약)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입문(도서 요약)

[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Jiyoung Yi
 
[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쪼 꼬
 
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창업 에듀
 
재무 3표(국문)
재무 3표(국문)재무 3표(국문)
재무 3표(국문)
Yun-Ho Chang
 
회계천재가된홍대리(2)
회계천재가된홍대리(2)회계천재가된홍대리(2)
회계천재가된홍대리(2)
상훈 이
 
Financial statement basics
Financial statement basicsFinancial statement basics
Financial statement basics
Yoohyun Kim
 
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
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
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
진수 이
 
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
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
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
상훈 이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
thecirclefoundation
 
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
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
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
Seunghyun Park, 박승현
 

Similar to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입문(도서 요약) (10)

[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플러스포럼] 고한얼 자비스 이사(회계사)가 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세무회계 가이드'
 
[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창업에듀]12. 전략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16. 기업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기본 구성요소는
 
재무 3표(국문)
재무 3표(국문)재무 3표(국문)
재무 3표(국문)
 
회계천재가된홍대리(2)
회계천재가된홍대리(2)회계천재가된홍대리(2)
회계천재가된홍대리(2)
 
Financial statement basics
Financial statement basicsFinancial statement basics
Financial statement basics
 
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
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
북아현1-3 이편한세상 신촌 조합원 설명회 2015-09-23
 
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
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
진단 자기개방 및 재무진단 강의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1코스_회계관리, 원가관리, 재무관리
 
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
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
sERP,중소기업 경리.회계.영업.재고.금융.자금을 한번에
 

More from Seung-Woo Kang

[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
[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
[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
Seung-Woo Kang
 
[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
[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
[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
Seung-Woo Kang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Seung-Woo Kang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Seung-Woo Kang
 
[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Seung-Woo Kang
 
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
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
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
Seung-Woo Kang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
Seung-Woo Kang
 
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
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
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
Seung-Woo Kang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Seung-Woo Kang
 
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
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
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
Seung-Woo Kang
 
확률을 높이는 확률
확률을 높이는 확률확률을 높이는 확률
확률을 높이는 확률
Seung-Woo Kang
 
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
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
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
Seung-Woo Kang
 
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
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
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
Seung-Woo Kang
 
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
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
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
Seung-Woo Kang
 
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
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
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
Seung-Woo Kang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
Seung-Woo Kang
 
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
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
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
Seung-Woo Kang
 
MS_QnA_Maker_챗봇만들기
MS_QnA_Maker_챗봇만들기MS_QnA_Maker_챗봇만들기
MS_QnA_Maker_챗봇만들기
Seung-Woo Kang
 
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
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
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
Seung-Woo Kang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Seung-Woo Kang
 

More from Seung-Woo Kang (20)

[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
[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
[도서 리뷰] 디스럽트(Disrupt)
 
[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
[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
[도서 리뷰] 인센티브와 무임승차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왜 지금 핀테크인가?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도서 리뷰] 헤드 퍼스트 데이터 분석 ( Head First Data Analysis )
 
[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도서 리뷰]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
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
차이의 붕괴(Collapse of Distinction) - 도서 요약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도서 정리)
 
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
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
소음과 투자 (도서 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도서요약)
 
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
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
현명한 초보 투자자(도서 요약)
 
확률을 높이는 확률
확률을 높이는 확률확률을 높이는 확률
확률을 높이는 확률
 
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
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
캐리커처 생성기 테스트
 
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
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
주가_변화시점탐지(Change point Detection)
 
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
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
시계열 분석의 이해와 활용
 
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
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
스플렁크 머신러닝 연동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
하이퍼레저 프로젝트 개요
 
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
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
Azure ml studio_fraud_detection
 
MS_QnA_Maker_챗봇만들기
MS_QnA_Maker_챗봇만들기MS_QnA_Maker_챗봇만들기
MS_QnA_Maker_챗봇만들기
 
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
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
통계의 힘 (스터디 자료)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블록체인 이해와 활용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입문(도서 요약)

  • 1. 세상에서 가장 쉬운 회계학 입문 • SW Kang • Jan/2015 이와타니 세이지 지음(2009년)
  • 2. 목차 • 회계를 알면 돈을 벌 수 있을까? • 장사 기록과 재무 제표 • 퍼즐의 그림 • 허망한 현금 흐름표 • 일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계 • [보충] 30분 만에 배우는 재무제표 보는 방법
  • 3. 회계를 알면 돈을 벌 수 있을까? • 일반 부서의 사람도 회계를 이용하여 이익을 낼 수 있을까? – 재무 재표 읽기만으로는 이익을 내기 어렵다 – 회계상 문제점을 발견하여 ‘그 수치를 어떻게 개선하느냐’가 중요 • 회계는 회사의 활동을 화폐가치로 환산하는 일 – 기업활동은 회계를 통해 수치로 전환된다. – 전환된 수치를 분석하여 다시 기업 활동으로 환원하는 작업 필요 • 정적인 재무제표 vs 동적인 재무제표 – 정적인 재무제표 : 결과로서의 재무제표 (결산 기말에 작성하는 재무제표) – 동적인 재무제표 : 재무제표의 동적인 변화 (업무활동이 재무제표에 대한 영향) • 회계는 직소퍼즐  각각의 조각(BS, PL, CF, SS)으로 분해하기가 쉽다 • 회계의 리트머스 시험지 : ‘차입금 상환은 이익에 도움이 되는가?’ • 부기는 회계의 기본  계정과목에 기인: ‘어떤일을 하면 어떻게 될까’로 이해 필요 • 회계적 독립 : 규모에 상관없이 조직 자체적으로 이익을 만들어내고 자금을 운용 기업 활동 회계 수치 전환 환원 회계의 역할 동적인 재무제표 변화 재무 제표 재무 제표 재무 제표 기업 활동 선택 1 선택 2 재무 재정 회계 경영 회계(부기)
  • 4. 장사 기록과 재무제표 • 회계는 장사의 기록 – 자산 : 지금 갖고 있는 것 – 자본 : 자신의 지분 – 부채 : 타인에게서 조달한 것 첫날의 대차대조표 자산 사과 600원 200원 x 3개 부채 홍길동에게 빌린돈 500원 자본 내가 낸 돈 100원 2일째 대차대조표 자산 현금 500원 사과 400원 200원 x 2개 부채 홍길동에게 빌린돈 500원 자본 내가 낸 돈 100원 2일째의 이익 300원 사과 1개 500원에 판매 벌어들인 이익만큼 수중의 돈이 늘어났다. 수 익 500 비용 -200 ---------------- 이 익 300 2일째 손익계산서 왼쪽 합계 900원 = 오른쪽 합계 900원
  • 5. 퍼즐의 그림 (1/3) • 재무제표의 블록에 의한 회계 공식 – 5가지 회계요소(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 이익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회계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 회계 블록을 쌓을 때의 규칙 세가지 – 기업 활동은 거래에 맞는 회계요소를 쌓아올리는 작업 – 회계 블록 : 기업 활동에 맞게 쌓아올리는 각 회계요소 1) 블록은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2열로 쌓는다 2) ‘회계공식’에서 정한 위치에 쌓는다 3) 오른쪽과 왼쪽에 같은 크기의 블록을 쌓는다 – 차입금을 상환하면 이익을 낼 수 있을까? • 자산과 부채의 블록 (단, 줄어드는 효과이므로 반대 위치) • 자산과 부채는 줄어드나, 화살표에 길이(이익)은 변화가 없음 • 회계 블록의 조합 4 단계 – 1) 첫번째 블록 고르기  2)첫블록의 위치 선정  3) 두번째 블록 고르기  4) 두번째 블록은 첫블록의 반대편 자산 1000 부채 500 자본 200 회계 공식 수익 1000 화살표의 길이가 이익을 나타냄 비용 700 자산부채
  • 6. 퍼즐의 그림 (2/3) • 회계 블록의 조합 조건  5x5=25이나 제한이 있음 1) ‘자본’과 관련된 거래는 일상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1년에 한두번?) 2) ‘수익’과 ‘비용’의 조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3) ‘수익’(항상 오른쪽)과 ‘비용’(항상 왼쪽)은 발생하기만 한다 • “자산이 늘어난다고 해도 이익은 줄어들지 않는다” 의 의미 – 옆의 그림으로 이해해야…  화살표(이익)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 – 가능한 결과는 오른쪽 블록에 따라 • 자산, 자본, 부채이면  변화없음, 수익, 비용이면  증가한다 – 동일한 방법으로 생각하면 ‘부채가 늘어도 이익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 이익이 변하지 않는다는 말은 뉴스거리가 아니다  뉴스는수익/비용과 관계 – 충당금(퇴직충당금, 포인트 충당금, 대손충당금 등)은 ‘발생주의’에 따른 비용처리 – 오른쪽에 비용, 왼쪽에 부채  이익이 줌 – 충당금 처리  왼쪽에 ‘부채’, 오른쪽은 자산(발생) 혹은 수익(충당금 환입) 가능성 – 대손충당금은 회계이항시켜 ‘자산’ 항목에 ‘음’의 값으로 둠. (자기주식은 이항시켜 ‘자본’ 항목으로) 자산 부채 수익비용 자산 부채 왼쪽 오른쪽 대차대조표 항목  손익이 변하지 않음 손익계산서 항목 손익이 변함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자산 ??? 회계 블록의 조합 부채 (xxx 충당금)비용
  • 7. 퍼즐의 그림 (3/3) • 이연 세금 자산은 이익 – 이연 세금 자산은  자산 – 이익이 변하지 않으면 뉴스가 되지 않는다 회계 블록은  이익은 증가 한다 • 차입금을 상환과 이익(다시 생각하기) – 차입금 상환의 첫 회계블록 : 현금 상환이므로 자산 – 현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오른쪽 위치 – 두번째 블록은 부채. 위치는 왼쪽 – 대차대조표는 작아지나, 이익(화살표)은 변화없음 – 시간축에 따른 변화를 생각하면 아래의 두 가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 시간에 따른 (이자 비용)에 대한 회계 블록은  상환에 따른 이자 비용을 절감하여 차입금 상환은 이익을 증가시킨다 • 시간에 따른 (예금이자 혹은 배당금)에 대한 회계 블록은  상환에 따른 배당금의 감소로 차입금 상환은 이익을 감소시킨다. 자산 수익 자산부채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자산 (현금)비용(지불이자) 자산 (현금/증권) 수익(배당금 등)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자산 (현금/증권) 수익(배당금 등) 자산 (현금)비용(지불이자)
  • 8. (그외의) 자산 허망한 현금 흐름표 • 현금 흐름이 막히면 ‘흑자 도산’ – 현금주의 vs 발생주의 : 현금흐름과 이익을 같이 고려해서 의사 결정 • 현금 흐름은 중요하지만 현금흐름표는 필요없다 – 현금 흐름표는 회사 외부의 이해관계자에게는 손익계산서 이상으로 중요 – 회사 내부에서 현금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 현금 흐름표는 의미가 없다 – 현금 흐름표는 회계의 기본 구조에 들어 있지 않다 • (현금흐름표) = (전기 대차대조표) – (당기 대차대조표) + (조정항목) • 퍼즐의 전체 그림을 위한 (현금) 블록 추가 – 자산을 ‘현금’과 ‘(그외의)자산’으로 분할 – 차입금 상환의 블록은 – 이익은 변화가 없으나, 현금 흐름은 감소 – 감가상각의 자기금융효과  현금 = (이익) + (감가상각) • 초기 • 시간의 진행에 따라 (현금 흐름에 영향이 없다 ) • 기계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수익은 수익 비용 이익 수입 지출 현금 흐름 현금 부채 자본 새로운 회계 공식 수익 비용 이익의 변화 표시 현금 흐름의 변화 표시 현금부채 현금자산 (기계) 자산 (기계)비용(기계값) 현금 수익
  • 9. 일반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계 • 자신의 행동과 회사의 이익을 연결해서 생각하라 – 어떤 블록을 쌓고 있는가?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다 (기업 경영의 지표는 회계) • 영업 현장의 상대방도 회계에 묶여있다 – 자산과 비용의 갈림길 ( Odds Price (단수가격??) : 99800 원 등) : 소액 자산은 비용처리 – 회사의 숨겨진 욕구 : “돈을 벌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벌고 싶지 않기도 하다”  세금처리 • 제조 현장의 재고를 줄여야 하는 이유 – 1) 비용(Cost) : 관리비용, 외상매입 vs 외상매출의 회수기간 차이 비용 – 2) 현금흐름(Cash Flow) : 의 회계블록  현금흐름 화살표 감소 – 3) 리스크(Risk) : 상품이 팔리지 않을 경우 상품의 평가손  – 4) 시간 (Time) : (수익성지표) = (이익)/(자산) = (이익)/(매출) x (매출)/(자산) = (매출이익률) x (자산회전율) – 5) 의식(Mind) : 상품부족, 재료부족에 의한 기회손실 회피 수단으로 남용 가능성  전체 효율성 저하 • 회계로 이익을 만들 수 있을까?  회계로 회사를 바라보는 능력 활용 – 1) 손익개선, 2)장래 비용 고려, 3) 장래의 수익 고려, 4) 현금흐름표 개선, 5) 수익성 향상 현금자산 (상품) 자산 (상품)비용(평가손)
  • 10. [보충] 30분 만에 배우는 재무제표 보는 방법 • 대차대조표의 이해  5개의 큰 요소로 파악 – 오른쪽(부채, 자본 – 자금의 조달원)과 왼쪽(자산 – 자금의 용도) 나누기 – 오른쪽 을 위(부채 – 타인 자본)와 아래(자본 - 자기자본)으로 나눈다 – 자산과 부채를 위(유동)과 아래(고정)으로 나눈다 • 손익계산서의 이해  손익의 단계 계산 – 매출 – 매출원가=매출이익, -판관비= 영업이익 , -영업외 손익 = 경상이익, - 특별이익=세전순이익, - 세금=순이익 • 현금흐름표의 이해  세가지 현금흐름 – 영업 현금 흐름, 투자 현금 흐름, 재무현금흐름 – 영업 현금 흐름은 크면 클수록 좋다 • 주주 자본등 변동계산서의 이해 (Statements of Shareholders’ Equity) – 주주자본, 평가/환산차액, 신주예약권 – 3번째 화살표(주주자본등 변동 계산서) (그외의) 자산 현금 부채 자본 수익 비용 주주 자본의 변화 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