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이주자
Contents

•이주자는 누구인가?

     현황
•이주자 Ubiquitous

•이주자 사역 현황

•Conclusion
이주자는 누구인가?
• 직업을 위해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노동자

• 학업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유학생

• 한국인과의 혼인으로 다문화가정을 이룬 외국인 배우자와 자녀

– 자녀들은 이주자로 보기 어려우나,

 복음전도를 위해 다문화 가정 사역을 할 때 그 자녀들을 위한 사역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자녀들도 범주에 포함시킴
이주자현황
1.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 : 약 100만명 (인구 100명 중 2명이 외국인)
  2020년 국내인구 100명 중 5명이 외국인이 될 것으로 예상

2. 외국인 노동자 : 약 72만명 (국내 총 취업자의 3%)
  (이중 불법체류 노동자 약 23만명)

3. 외국인 유학생 : 약 6만명

4. 다문화결혼 : 국내결혼의 약 13% (약 15만명)

5. 국제결혼가정 자녀 : 12만명 이상
  2020년 167만 명으로 전체 아동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이주자현황
이주자현황_외국인인구
• 시군구별 외국인 등록인구




                   <통계청>
이주자현황_다문화혼인통계
• 지역별 다문화 혼인




                    <통계청>
이주자현황_결혼이주인구
• 국제결혼 이주자




                   <통계청>
이주자현황 _결혼이주자 자녀
• 국제결혼 이주자 자녀




                     <통계청>
이주자 사역 현황
• 다문화 가정의 그늘
1.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
  최근 4년간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폭력사건 4배 이상 증가.
  2007년 1천793건에서 2010년 6,985건으로 4년 만에 급증.


2. 다문화가정 자녀의 미취학율
  • 한국인가정 학생 미취학률 : 초등-0.4%, 중등-4%, 고등9.7%
  • 다문화가정 학생 미취학률 : 초등-한국인의 22배 (약8.8%)
                  중등- 9.9배 (약39.6%)
                  고등- 8배 (약77.6%)
이주자현황_외국인근로자
•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 국가별 도입현황




                             <통계청>
이주자현황_외국인근로자
•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 업종별 도입현황




                             <통계청>
이주자현황_유학생
• 외국인 유학생 수




                   <한국교육개발원>
이주자현황_유학생
• 국내 유학생 출신국가 비율




                   <한국교육개발원>
이주자현황_거주지
• 외국인 집중 거주지
이주자 사역 현황
• 이주자사역을 위한 조언
1.   성도들에게 이주자 선교 사역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교육을 시켜라.

2.   현지어에 능통한 한국인 사역자나 전문 이주민 사역자를 세워 그들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한국어 교육, 컴퓨터 교육, 요리 교육, 한국가정 방문 초청 등의 방법으로 한국에서 적응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우라.

4.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을 위한 ‘방과후학교’를 하거나 기존의 다문화학교를 후원하라.

5.   김장담그기, 음식 만들기, 성탄절, 부활절 등의 교회행사에 초대하여, 한국생활의 기쁨을 만들어주라.

6.   이주여성이민자 남편을 대상으로 한 ‘아버지학교’를 만들라.

7.   결혼이민자가 주최하는 시부모·동서초청 행사를 열라.

8.   지역의 기업, 병원, 학교, 전문단체들과 연계하여 그들의 한국생활적응에 도움을 줘라
이주자 사역
• 이주자사역동향
1.   현재 한국교회는 외국인 이주노동자 통합지원센터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역을 펼치는 목회
     자 증가.


2.   최근 국내 한 교단이 다문화 선교위원회를 신설, 앞으로 정부 및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통
     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상담, 탁아소 운영, 문화·친교활동, 무료 진료 등의 활동을 벌여 나
     갈 계획이다.


3.   또 다른 교단에서는 지난해 12명의 이주 여성들이 친정에 다녀올 수 있도록 후원하였고,
     지금도 개교회 차원에서 ‘이주민 여성 친정 보내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 교단은 조만
     간 다문화 가정사역 정책협의회를 출범시켜 다문화 가정사역 모델 발굴에도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4.   모 기독교기관은 다문화 가정의 아동교육권 확보 등 인권과 법 개정에 주력.
다문화 사회를 위해 아이들의 교육

   1. 이주민도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존엄한 존재이며, 사람을 차별 하는것은 하나님을 무시하는 죄를
    범하는것임을 교육해야 한다.

   2. 인종주의 등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유색인종의 아이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3 동질성에 대한 가정으로써 사용하는 “우리”하는 말보다 “우리”내에서의 개인은 다를수 있음을
   인식하도록 교육해주는것이 좋다.

   4. 아이들이 자신의 문화와 가치를 존경하는것과 마찬가지로 다른사람의 문화와 가치도 존중할수
    있게 가르친다.
이주자 사역 현황
• 이주자사역 사례_다문화 가정 자녀
서울 목동 제자교회 청년부 - 사천시 사천다문화센터

1. 지난 해 여름 청년들의 봉사·선교활동
 - 사천의 다문화가정 부모와 아이들을 대상으로 영어캠프와 한국어교실, 검정고시 학습지원 등


2. 두 번째 연계 행사 : 다문화가정 자녀들 3박4일 서울 초청
 - 청년들의 진행. 숙식 및 홈스테이 제공.
 - 국립서울과학관, 국회의사당, 63빌딩, 교보문고, 롯데월드 방문 등 관광
 - 영어캠프, 진로·적성검사 등의 프로그램 진행
 - 전액 경비 제공.
 - 복음프로그램 : 예배와 기도시간 - 아이들이 자연스레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함.
  이미 지난 여름에 관계성이 만들어져 거부감이 없었음.


3. 다문화가정 프로그램도 연속성이 중요.
 - 청년부와 다문화센터와의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
Conclusion
1. 이주자 인구의 급속한 증가
     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사역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2.   그들이 한국문화 뿐 아니라 교회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적응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한 가이드 및   멘토가 되어 돌보는 프로그램이 필요
      e.g. Cell 모임에 초대하고, 가정을 방문해 요리 등을 가르쳐 주고
      관공서 업무를 동행해서 도와주고 아이들을 돌봐주는 부분에
      큰 니즈가 있다.

3.   이들을 위한 사역은 이벤트적인 일회성행사보다 지속적인 프
     로그램을 갖고 진행되어야 한다.
신유목민-이주자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신유목민-이주자들

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
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
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seekly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Rotary International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Kyungrim Lee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Jung-won Son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Jung-won Son
 
선교 매거진 2012 12
선교 매거진 2012 12선교 매거진 2012 12
선교 매거진 2012 12Giaolim Giaoli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
[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
[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
ChangeON@
 
도마 매거진 2013 01
도마 매거진 2013 01도마 매거진 2013 01
도마 매거진 2013 01Giaolim Giaolim
 
선교 매거진 2012 09
선교 매거진 2012 09선교 매거진 2012 09
선교 매거진 2012 09Giaolim Giaolim
 
선교 매거진 2012 08
선교 매거진 2012 08선교 매거진 2012 08
선교 매거진 2012 08Giaolim Giaoli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공립교환학생Pt
공립교환학생Pt공립교환학생Pt
공립교환학생Pt
Kwangyoung Oh
 
선교 매거진 2012 11
선교 매거진 2012 11선교 매거진 2012 11
선교 매거진 2012 11Giaolim Giaolim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We Start
 
피플어스 사업소개서
피플어스 사업소개서피플어스 사업소개서
피플어스 사업소개서
장규 강
 

Similar to 신유목민-이주자들 (20)

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
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
13 심인선 경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정착지원 방안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햇살 네 스푼_탐방 보고서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Sing-a-long Healing Program/다문화 어린이 노래를 통한 치유 프로그램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아동복지실천회 세움 2016애뉴얼리포트
 
선교 2012 3매거진
선교 2012 3매거진선교 2012 3매거진
선교 2012 3매거진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시소와그네 마포센터 소개
 
선교 매거진 2012 12
선교 매거진 2012 12선교 매거진 2012 12
선교 매거진 2012 12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3기_사다리타기_탐방 보고서
 
[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
[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
[2013 ChangeON@GNTECH] 2부세션 다문화연결하기_이정기
 
도마 매거진 2013 01
도마 매거진 2013 01도마 매거진 2013 01
도마 매거진 2013 01
 
선교 매거진 2012 09
선교 매거진 2012 09선교 매거진 2012 09
선교 매거진 2012 09
 
선교 매거진 2012 08
선교 매거진 2012 08선교 매거진 2012 08
선교 매거진 2012 08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U go girls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5기_보금자리_탐방 보고서
 
공립교환학생Pt
공립교환학생Pt공립교환학생Pt
공립교환학생Pt
 
선교 매거진 2012 11
선교 매거진 2012 11선교 매거진 2012 11
선교 매거진 2012 1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노답이_탐방보고서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위스타트사업소개표준안
 
피플어스 사업소개서
피플어스 사업소개서피플어스 사업소개서
피플어스 사업소개서
 

신유목민-이주자들

  • 2. Contents •이주자는 누구인가? 현황 •이주자 Ubiquitous •이주자 사역 현황 •Conclusion
  • 3. 이주자는 누구인가? • 직업을 위해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노동자 • 학업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유학생 • 한국인과의 혼인으로 다문화가정을 이룬 외국인 배우자와 자녀 – 자녀들은 이주자로 보기 어려우나, 복음전도를 위해 다문화 가정 사역을 할 때 그 자녀들을 위한 사역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자녀들도 범주에 포함시킴
  • 4. 이주자현황 1. 국내 체류중인 외국인 : 약 100만명 (인구 100명 중 2명이 외국인) 2020년 국내인구 100명 중 5명이 외국인이 될 것으로 예상 2. 외국인 노동자 : 약 72만명 (국내 총 취업자의 3%) (이중 불법체류 노동자 약 23만명) 3. 외국인 유학생 : 약 6만명 4. 다문화결혼 : 국내결혼의 약 13% (약 15만명) 5. 국제결혼가정 자녀 : 12만명 이상 2020년 167만 명으로 전체 아동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
  • 9. 이주자현황 _결혼이주자 자녀 • 국제결혼 이주자 자녀 <통계청>
  • 10. 이주자 사역 현황 • 다문화 가정의 그늘 1.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 최근 4년간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폭력사건 4배 이상 증가. 2007년 1천793건에서 2010년 6,985건으로 4년 만에 급증. 2. 다문화가정 자녀의 미취학율 • 한국인가정 학생 미취학률 : 초등-0.4%, 중등-4%, 고등9.7% • 다문화가정 학생 미취학률 : 초등-한국인의 22배 (약8.8%) 중등- 9.9배 (약39.6%) 고등- 8배 (약77.6%)
  • 11. 이주자현황_외국인근로자 •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 국가별 도입현황 <통계청>
  • 12. 이주자현황_외국인근로자 •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 업종별 도입현황 <통계청>
  • 14. 이주자현황_유학생 • 국내 유학생 출신국가 비율 <한국교육개발원>
  • 16. 이주자 사역 현황 • 이주자사역을 위한 조언 1. 성도들에게 이주자 선교 사역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교육을 시켜라. 2. 현지어에 능통한 한국인 사역자나 전문 이주민 사역자를 세워 그들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한국어 교육, 컴퓨터 교육, 요리 교육, 한국가정 방문 초청 등의 방법으로 한국에서 적응할 수 있는 기 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우라. 4.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을 위한 ‘방과후학교’를 하거나 기존의 다문화학교를 후원하라. 5. 김장담그기, 음식 만들기, 성탄절, 부활절 등의 교회행사에 초대하여, 한국생활의 기쁨을 만들어주라. 6. 이주여성이민자 남편을 대상으로 한 ‘아버지학교’를 만들라. 7. 결혼이민자가 주최하는 시부모·동서초청 행사를 열라. 8. 지역의 기업, 병원, 학교, 전문단체들과 연계하여 그들의 한국생활적응에 도움을 줘라
  • 17. 이주자 사역 • 이주자사역동향 1. 현재 한국교회는 외국인 이주노동자 통합지원센터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역을 펼치는 목회 자 증가. 2. 최근 국내 한 교단이 다문화 선교위원회를 신설, 앞으로 정부 및 전문기관과의 협력을 통 해 다문화 가정에 대한 상담, 탁아소 운영, 문화·친교활동, 무료 진료 등의 활동을 벌여 나 갈 계획이다. 3. 또 다른 교단에서는 지난해 12명의 이주 여성들이 친정에 다녀올 수 있도록 후원하였고, 지금도 개교회 차원에서 ‘이주민 여성 친정 보내기’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이 교단은 조만 간 다문화 가정사역 정책협의회를 출범시켜 다문화 가정사역 모델 발굴에도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4. 모 기독교기관은 다문화 가정의 아동교육권 확보 등 인권과 법 개정에 주력.
  • 18. 다문화 사회를 위해 아이들의 교육  1. 이주민도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존엄한 존재이며, 사람을 차별 하는것은 하나님을 무시하는 죄를 범하는것임을 교육해야 한다.  2. 인종주의 등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유색인종의 아이들이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할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3 동질성에 대한 가정으로써 사용하는 “우리”하는 말보다 “우리”내에서의 개인은 다를수 있음을  인식하도록 교육해주는것이 좋다.  4. 아이들이 자신의 문화와 가치를 존경하는것과 마찬가지로 다른사람의 문화와 가치도 존중할수 있게 가르친다.
  • 19. 이주자 사역 현황 • 이주자사역 사례_다문화 가정 자녀 서울 목동 제자교회 청년부 - 사천시 사천다문화센터 1. 지난 해 여름 청년들의 봉사·선교활동 - 사천의 다문화가정 부모와 아이들을 대상으로 영어캠프와 한국어교실, 검정고시 학습지원 등 2. 두 번째 연계 행사 : 다문화가정 자녀들 3박4일 서울 초청 - 청년들의 진행. 숙식 및 홈스테이 제공. - 국립서울과학관, 국회의사당, 63빌딩, 교보문고, 롯데월드 방문 등 관광 - 영어캠프, 진로·적성검사 등의 프로그램 진행 - 전액 경비 제공. - 복음프로그램 : 예배와 기도시간 - 아이들이 자연스레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함. 이미 지난 여름에 관계성이 만들어져 거부감이 없었음. 3. 다문화가정 프로그램도 연속성이 중요. - 청년부와 다문화센터와의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
  • 20. Conclusion 1. 이주자 인구의 급속한 증가 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사역을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 2. 그들이 한국문화 뿐 아니라 교회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적응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 한국 생활 적응을 위한 가이드 및 멘토가 되어 돌보는 프로그램이 필요 e.g. Cell 모임에 초대하고, 가정을 방문해 요리 등을 가르쳐 주고 관공서 업무를 동행해서 도와주고 아이들을 돌봐주는 부분에 큰 니즈가 있다. 3. 이들을 위한 사역은 이벤트적인 일회성행사보다 지속적인 프 로그램을 갖고 진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