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Open Source License 101
appkr <juwonkim@me.com>
Modern PUG 2016년 2월 정기 모임
Open Source
공짜 자유 무보증 무차별
Movement or Campaign
License
허락
누구로 부터? 저작권자로 부터..
“Open Source” + “License”
저작권자가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공부하고, 개작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권리를 부여하는 행위/정신
c.f. Proprietary Source, Shared Source
이걸 왜 알아야 하죠?
• 생산자 - 오픈소스의 저작권자일 경우
• 어떤 라이센스 정책을 선택할 것인가?
• 사용자들에게 무엇을 허락할 것인가?

• 소비자 - 오픈소스의 사용자일 경우
•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하면 안 되는가?
•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무엇을 기대할 수 없는가?
그림 출처: BootstrapCMS/CMS
우리는 SOFTWARE 개발자 - Open Source Software
영상 출처: http://mgoonflv19.fms.nefficient.co.kr/mgoon/20000/25/3133225.flv
비디오 요약
• 1960’s Software 는 컴퓨터에 번들
• 1970’s Software 개발 비용 올라가면서 감소
• 1976 EMACS by Richard Stallman
• 1976 “Open Letters to Hobbyists” by Bill Gates
• 1983 GNU founded, 1989 GPL published by Richard Stallman
• 1987 Perl released by Larray Wall
• 1991~92 Linux Kernel released by Linus Torvalds
• 1995 Apache HTTP Server released
• late 1990’s 오픈소스 전성 시대, 2000’s Git, Github, …
Why Open Source Software?
그림 출처: http://www.slideshare.net/blackducksoftware/2015-future-of-open-source-survey-results
Why Open Source Software? - 생산자 측면
• Open Source attracts top talents.

Top Talent 들은 Open Source 활동에 참여한다.
• Open Source participation fuels enterprise
competitive advantage.

Open Source 활동은 기업 경쟁력을 강화 시킨다.
• Open Source seen as superior to proprietary.

Software 의 코드 품질이 더 우수하다.
출처: http://www.pcworld.com/article/209891/10_reasons_open_source_is_good_for_business.html
• Cost
• Support Options - 우선 사용해 보고, 기술 지원 구매 가능
• Enormous Community & Eco-system
• Security - “Given enough eyeballs, all bugs are shallow.”
• Quality - 표준을 따를 가능성이 더 큼
• Interoperability
• Freedom
• Customizability
• Flixibility - 업그레이드는 사용자의 선택
Why Open Source Software? - 소비자 측면
그림 출처: 밝힐 수 없음
전체 라이센스 목록: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free_and_open-source_software_licenses
Open Source Software Licenses
결론 - 그래서 뭘 선택해야 해?
MIT BSD Apache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안전함
• GPL - Linux Kernel, MySql
• MIT - Laravel, CodeIgniter
• BSD - Nginx Web Server
• Apache - Apache Web Server
• The PHP License - PHP
결론 - 더 쉬운 방법
http://choosealicense.com/
– Richard Stallman
“Share this code with your fellow users. Learn from
it. Improve upon it. And when you're done, please
give something back to the community”
출처: http://wiki.csisdmz.ul.ie/wiki/Open_source_software
고맙습니다.
appkr <juwonkim@me.com>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
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
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
Changwan Jun
 
Modern PHP
Modern PHPModern PHP
Modern PHP
Changwan Jun
 
RESTful API 설계
RESTful API 설계RESTful API 설계
RESTful API 설계
Jinho Yoo
 
REST API 디자인 개요
REST API 디자인 개요REST API 디자인 개요
REST API 디자인 개요
nexusz99
 
[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
[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
[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
NAVER D2
 
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
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
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Channy Yun
 
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
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
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
Nalee Jang
 
REST API 설계
REST API 설계REST API 설계
REST API 설계
Terry Cho
 
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
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
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
Juwon Kim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
Ji-Woong Choi
 
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
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
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Nalee Jang
 

Viewers also liked (11)

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
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
PHP에서 GCM 푸시 빠르게 보내기 (feat. Async / Generator)
 
Modern PHP
Modern PHPModern PHP
Modern PHP
 
RESTful API 설계
RESTful API 설계RESTful API 설계
RESTful API 설계
 
REST API 디자인 개요
REST API 디자인 개요REST API 디자인 개요
REST API 디자인 개요
 
[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
[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
[232] 성능어디까지쥐어짜봤니 송태웅
 
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
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
Daum 내부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술 활용 사례- 윤석찬 (2012)
 
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
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
오픈스택 커뮤니티 소개 및 기술 동향
 
REST API 설계
REST API 설계REST API 설계
REST API 설계
 
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
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
RESTful API 제대로 만들기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 클라우드 개발플랫폼_및_Docker의_이해_v1
 
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
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
오픈소스로 구축하는 클라우드 이야기
 

Similar to Open Source License 101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Minsuk Lee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Ji-Woong Choi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Ji-Woong Choi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Kevin Kim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slhead1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Kevin Kim
 
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
Kenu, GwangNam Heo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mosaicnet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Kevin Kim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if kakao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Channy Yun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Hannah Kim
 
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
SANGHEE SHIN
 
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
SANGHEE SHIN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Kevin Kim
 
The opensource
The opensourceThe opensource
The opensource
licubeclub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휘웅 정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Channy Yun
 
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
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
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
Ubuntu Korea Community
 

Similar to Open Source License 101 (20)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오픈소스개요 및 동향_v2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오픈소스컨설팅]엔터프라이즈 오픈소스 도입전략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
 
OSS and R&D
OSS and R&DOSS and R&D
OSS and R&D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오픈소스를 사용하고, 준비하는 개발자를 위한 가이드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uengine.org-uEngine Day] Open Source SW 활용방안및 uEngine BPMS V.4 발표자료
 
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
오픈소스의 이해와 활용
 
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 소스 GIS와 OSGeo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The opensource
The opensourceThe opensource
The opensource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공개Sw의 이해와 활용 2016-11-23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
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
장태희 - General Trend, Ubuntu Based Platform (대세는 우분투 기반, 2014Y11M05D)
 

Open Source License 101

  • 1. Open Source License 101 appkr <juwonkim@me.com> Modern PUG 2016년 2월 정기 모임
  • 2. Open Source 공짜 자유 무보증 무차별 Movement or Campaign
  • 4. “Open Source” + “License” 저작권자가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공부하고, 개작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권리를 부여하는 행위/정신 c.f. Proprietary Source, Shared Source
  • 5. 이걸 왜 알아야 하죠? • 생산자 - 오픈소스의 저작권자일 경우 • 어떤 라이센스 정책을 선택할 것인가? • 사용자들에게 무엇을 허락할 것인가?
 • 소비자 - 오픈소스의 사용자일 경우 • 무엇을 할 수 있고, 무엇을 하면 안 되는가? •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무엇을 기대할 수 없는가?
  • 7. 우리는 SOFTWARE 개발자 - Open Source Software 영상 출처: http://mgoonflv19.fms.nefficient.co.kr/mgoon/20000/25/3133225.flv
  • 8. 비디오 요약 • 1960’s Software 는 컴퓨터에 번들 • 1970’s Software 개발 비용 올라가면서 감소 • 1976 EMACS by Richard Stallman • 1976 “Open Letters to Hobbyists” by Bill Gates • 1983 GNU founded, 1989 GPL published by Richard Stallman • 1987 Perl released by Larray Wall • 1991~92 Linux Kernel released by Linus Torvalds • 1995 Apache HTTP Server released • late 1990’s 오픈소스 전성 시대, 2000’s Git, Github, …
  • 9. Why Open Source Software? 그림 출처: http://www.slideshare.net/blackducksoftware/2015-future-of-open-source-survey-results
  • 10. Why Open Source Software? - 생산자 측면 • Open Source attracts top talents.
 Top Talent 들은 Open Source 활동에 참여한다. • Open Source participation fuels enterprise competitive advantage.
 Open Source 활동은 기업 경쟁력을 강화 시킨다. • Open Source seen as superior to proprietary.
 Software 의 코드 품질이 더 우수하다.
  • 11. 출처: http://www.pcworld.com/article/209891/10_reasons_open_source_is_good_for_business.html • Cost • Support Options - 우선 사용해 보고, 기술 지원 구매 가능 • Enormous Community & Eco-system • Security - “Given enough eyeballs, all bugs are shallow.” • Quality - 표준을 따를 가능성이 더 큼 • Interoperability • Freedom • Customizability • Flixibility - 업그레이드는 사용자의 선택 Why Open Source Software? - 소비자 측면
  • 12. 그림 출처: 밝힐 수 없음
  • 13. 전체 라이센스 목록: https://en.wikipedia.org/wiki/Comparison_of_free_and_open-source_software_licenses Open Source Software Licenses
  • 14. 결론 - 그래서 뭘 선택해야 해? MIT BSD Apache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안전함 • GPL - Linux Kernel, MySql • MIT - Laravel, CodeIgniter • BSD - Nginx Web Server • Apache - Apache Web Server • The PHP License - PHP
  • 15. 결론 - 더 쉬운 방법 http://choosealicense.com/
  • 16. – Richard Stallman “Share this code with your fellow users. Learn from it. Improve upon it. And when you're done, please give something back to the community” 출처: http://wiki.csisdmz.ul.ie/wiki/Open_source_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