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NGO서신에
                  NGO서신에 대한 유니레버의 입장

이번 데오드란트 프탈레이트 검출과 관련하여
한국유니레버에서 유니레버본사에 회신을 의뢰한 결과입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이번 데오드란트와 관련해서는
완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로 사용되는 DEP에 대해서는
어찌할 수 없으며, 안전한 물질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


수신: 여성환경연대 사무국장님
발신: 유니레버코리아(주) 대표이사


NGO서신에 대한 유니레버의 입장


유니레버는 안전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번 사안에 대해서도 이러한 방침을 준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프탈레이트라 불리는 화학물질류 중 DBP와 DEHP와 같은 일부 원료는 GMP(우수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하에서도 피할 수 없는 최소 흔적량(trace level)을 제외하고는 EU에서 사
용이 금지되고 있습니다. 유니레버는 이러한 프탈레이트와 관련한 금지조치를 준수하고 있
으며, 한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들 또한 이 조치를 따르고 있습니다.


프탈레이트는 포장재 산업에서 가소재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종종 극미량이
원료나 제품 내로 용출되는 경우가 있어, 최소 흔적량(trace level)은 피할 수 없는 실정입
니다. 이 최소 흔적량은 현재 안전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으나, 유니레버는 그
존재 자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DEP와 같은 프탈레이트는 EU의 지속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안전하다고 판명되어, 현재 사
용이 금지되고 있지 않습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DEP를 함유한 소수의 수입제품을 포함하여 안전한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한국에서의 프탈레이트 프리 선언에 대해 유니레버를 믿고 있었던
소비자 여러분에게 사죄합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적법하게 정해진 제품 분석방법에 따라 이러한 물질들에 대해 한국식품의
약품안전청에서 정하는 표준화된 제도를 따를 것이며, 그러한 지침에 따라 유용한 데이터를
만들어 갈 것입니다. 저희로부터 이와 관련된 데이터가 필요하시다면, 유니레버 본사의 동
의를 받아 저희가 보관하고 있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항상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을 다시 한 번 약속드
리며, 또한 우리 후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프탈레이트 프리 선언이 확실히 애매한 측면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서도 앞으로 잘 지켜나갔으면 좋겠고요..


DEP와 관련해서는 EU에서도 여전히 논란거리입니다.
유해하다는 연구와 유해하지않다는 연구가 공존하니까요..
이에 대해서는 저희도 연구결과를 주시하면서 계속해서 활동을 펼쳐나갈 것입니다.


이번 한 번으로 쉽게 DEP를 원료에서 금지시키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기업들의 자율규약 등을 통해
앞으로 소비자들이 위험한 화학물질을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할일이 많지요.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여성환경연대
 
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
여성환경연대
 
2018 kwen
2018 kwen2018 kwen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여성환경연대
 
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
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
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2014 결산재무제표
2014 결산재무제표
 
2018 kwen
2018 kwen2018 kwen
2018 kwen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년 한해살이 보고서
 
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
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
20181230_브로슈어_플라스틱없다방
 

Ngo서신에 대한 유니레버의 입장 (2005)

  • 1. NGO서신에 NGO서신에 대한 유니레버의 입장 이번 데오드란트 프탈레이트 검출과 관련하여 한국유니레버에서 유니레버본사에 회신을 의뢰한 결과입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이번 데오드란트와 관련해서는 완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로 사용되는 DEP에 대해서는 어찌할 수 없으며, 안전한 물질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 수신: 여성환경연대 사무국장님 발신: 유니레버코리아(주) 대표이사 NGO서신에 대한 유니레버의 입장 유니레버는 안전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번 사안에 대해서도 이러한 방침을 준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프탈레이트라 불리는 화학물질류 중 DBP와 DEHP와 같은 일부 원료는 GMP(우수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하에서도 피할 수 없는 최소 흔적량(trace level)을 제외하고는 EU에서 사 용이 금지되고 있습니다. 유니레버는 이러한 프탈레이트와 관련한 금지조치를 준수하고 있 으며, 한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제품들 또한 이 조치를 따르고 있습니다. 프탈레이트는 포장재 산업에서 가소재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종종 극미량이 원료나 제품 내로 용출되는 경우가 있어, 최소 흔적량(trace level)은 피할 수 없는 실정입 니다. 이 최소 흔적량은 현재 안전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지는 않으나, 유니레버는 그 존재 자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방법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DEP와 같은 프탈레이트는 EU의 지속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안전하다고 판명되어, 현재 사 용이 금지되고 있지 않습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DEP를 함유한 소수의 수입제품을 포함하여 안전한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한국에서의 프탈레이트 프리 선언에 대해 유니레버를 믿고 있었던 소비자 여러분에게 사죄합니다. 유니레버코리아는 적법하게 정해진 제품 분석방법에 따라 이러한 물질들에 대해 한국식품의 약품안전청에서 정하는 표준화된 제도를 따를 것이며, 그러한 지침에 따라 유용한 데이터를 만들어 갈 것입니다. 저희로부터 이와 관련된 데이터가 필요하시다면, 유니레버 본사의 동 의를 받아 저희가 보관하고 있는 모든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 2. 유니레버코리아는 항상 소비자의 안전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을 다시 한 번 약속드 리며, 또한 우리 후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프탈레이트 프리 선언이 확실히 애매한 측면이 있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이에 대해서도 앞으로 잘 지켜나갔으면 좋겠고요.. DEP와 관련해서는 EU에서도 여전히 논란거리입니다. 유해하다는 연구와 유해하지않다는 연구가 공존하니까요.. 이에 대해서는 저희도 연구결과를 주시하면서 계속해서 활동을 펼쳐나갈 것입니다. 이번 한 번으로 쉽게 DEP를 원료에서 금지시키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기업들의 자율규약 등을 통해 앞으로 소비자들이 위험한 화학물질을 알지 못하고 사용하는 일은 없도록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할일이 많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