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HTS(Hedera Token Service)
Defi 스왑 및 유동성 프로토콜
㈜WENOASOFT 김지만
준비사항
- A testnet or mainnet account
- Node.js v14.9.0
- Yarn 1.22.10
- Docker
- Docker compose (optional)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 Javascript(Vue)
데모 구동 후 3종류 계정 자동 생성
- 새 토큰의 소유자(관리자) 계정
- 토큰 사용자 계정 (Alice 및 Bob)
- 토큰 판매 마켓(에스크로) 계정
데모 시연용 자금
Testnet 계정에 hBar가 소량 존재 해야함
데모
데모 기능(시연 용도이며, 실운영시 점검 테스트 필요)
- 관리자가 토큰 생성
- 관리자가 Mint & Burn
- 관리자가 사용자 계정을 생성된 토큰과 연결 또는 분리
- 관리자가 토큰/계정 관계를 위한 KYC 및 동결 관리
- 관리자(소유자)가 사용자에게 토큰 전송
- 사용자 간 전송
- 사용자 간에 최대 두 개의 토큰을 전송하고 한번의 전송으로 hBar 지불(선택 사항)
- 편의를 위해 데모 중에 생성된 계정 및 토큰은 쿠키에 보관되며 데모 재시작 시 재사용
환경설정 파일(.env.sample을 .env로 복사하고 아래와 같이 수정 )
•VUE_APP_OPERATOR_ID=0.0.xxxx Input your operator id
•VUE_APP_OPERATOR_KEY=302xxx Input your private key
•VUE_APP_INITIAL_BALANCE=100
•VUE_APP_NETWORK=testnet
•Source download : https://github.com/hashgraph/hedera-hts-demo
Demo run
<Build> build는 최초 1회만 수행 필요. 이후에 .env 파일 등을 수정한 경우 build 재수행 필요
docker-compose build --no-cache
<Run>
docker-compose up
웹브라우져에서 UI 확인
http://localhost:8080
UI _ header
토큰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기능 구성
사용자 계정들
빠른 토큰 추가를 위한 + 버튼
세부 설정을 통한 토큰 추가 버튼
데모를 실행하는 동안 발생된 트랜잭션 목록을 표시하는 버튼
데모를 재설정(누크) 붉은색 버튼 :
- 브라우저에 있는 토큰 및 계정의 모든 기록을 제거
- 3 종류의 새 계정으로 새롭게 데모 환경 재구성
UI _ 토큰생성 (관리자)
UI _ 생성된 토큰 관리 기능 (관리자)
계정 버튼(가장 왼쪽) 클릭 시 토큰과 연결된 계정 표시 (다음 페이지 참고)
Mint(토큰 생성 시 Mint 기능을 추가한 경우)
Burn(토큰을 생성 시 Burn 기능을 추가한 경우)
Treasury 에서 사용자로 전송 (현재 Update 및 Delete 미지원)
UI _ 계정관리 버튼 (관리자)
토큰과 관련된 계정 Freeze (동결/해제)
토큰과 관련된 계정에 대해 KYC (허가/해지)
계정에 할당한 토큰 wipe (삭제)
UI _ 토큰전송 (사용자)
헤더에서 사용자 계정 중 하나를 선택하면,
토큰에서 계정을 연결 및
토큰 연결 해제 가능
환경설정파일의 VUE_APP_INITIAL_BALANCE 값 할당(수수료 제외)
사용자가 토큰과 연결된 후(관리자가 계정을 KYCd, 동결 해제한 경우)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전송 가능
UI _ NFT 생성 (관리자)
토큰 도구를 통해 NFT 생성시, 템플릿 제공
템플릿 설정 파일 위치
- vjsf 구성 요소의 지침에 따라 템플릿 추가 및 수정 가능
- 파일위치 : /public/tokenTemplates.json
사진을 NFT 사양에 포함시키려면 그 속성을 photo라고 정의
UI _ NFT 관리 (관리자)
템플릿의 속성(이미지 포함 가능)은
Hedera의 불변 파일에 저장
결과물인 FileId는 토큰 심볼을 정의하는 데 사용
FileId 예) HEDERA://0.0.xxxx
Defi 스왑 및 유동성 프로토콜
Klayswap
Uniswap
Hedera Hashgraph
Klayswap (AMM protocol)
중앙 운영자 부재
KLAY 스왑은 특정 중앙화 운영체가 아닌 거래자와 유동성 제공자 등 다양한 지배구조 참여자들을 통해 자율적 운영
스마트 계약 방식
계정을 만들거나 자산을 특정 주소로 입금하지 않고 지갑을 연결하여 스마트 계약과 직접 통신합니다.
사용자의 완전한 자산관리
거래 프로세스에 대한 외부 개입이 없으며 자산에 대한 경영은 사용자 책임
투명성과 보안
모든 거래는 신뢰할 수 없는 온 체인 자산 교환이기 때문에 상대방 리스크 없이 투명하고 안전
다양한 자산 쌍
자산은 ETH, WBTC, DAI와 같은 Ethereum 기반 자산뿐만 아니라 Klaytn 기반 자산도 효율적인 교환 가능
바운티풀 유동성
다양한 공급가 제공하는 자동화된 AMM(Automated Market Maker) 메커니즘과 유동성 풀 기반 거래를 통해 클레이튼 DeFi에서 다양한 금융 기회에 빠르
고 쉽게 참여
Klayswap UI(2021. 11. 운영시작)
최대 1000억원 유동성
일평균 40억원 거래량
2021년에는 3천억 원 규모의
유동성 성장 기대
스테이킹을 진행한 보유자에
대한 연간 수수료 보상
총 50억 원 이상 기대
Klayswap KSP 토큰
KSP 토큰 용도(Uni 토큰과 유사)
1) 의제 발의 2) 공식 의제 투표 3) 투표 참여와 추가 보상을 위한 스테이킹 등에 활용
1) KSP 보유자의 수익
- KLAY 스왑에 새 KCT 토큰 쌍 풀을 생성할 때 일정 금액의 KSP(풀 계약 생성 수수료) 지불
- 사용된 수수료는 소멸됨
- 클레이스압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KSP 보유자가 계약 기간과 유동성 풀 지지를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생태계에 참여한다면, 4배 이상 보상 효율
2) 투표
KSP를 스테이킹(Vote-staking)하여 토큰화된 보팅파워인 투표권(vKSP)을 획득
스테이킹 기간이 길수록 거버넌스의 장기 참여자로 인정받아 더 많은 투표권(vKSP) 획득
투표 시 vKSP는 소각되지 않으며, 스테이킹된 KSP를 클레임 하는 경우, 보유한 vKSP는 소각됨
동시에 다수의 의제가 진행중인 경우, 각 의제 별로 보유한 vKSP 만큼 투표 가능
Uniswap UI (AMM protocol)
Uniswap 특징
ERC20 / ERC20 Pairs
Price Oracles
Flash Swaps
Core/Helper Architecture
Technical Improvements
Path to Sustainability
Testnet and Launch Details
유동성 풀 함수
유니스왑 및 클레이스왑은
"X*Y = K"(X=이더리움(ETH), Y=테더(USDT), K=상수함수) 라는 공식을 기반
토큰 가격 범위는 해당 유동성 풀이 생성될 때 각 토큰의 수량에 따라 설정
- X(이더리움)의 유동성 공급이 증가하면(토큰 공급 개수가 많으면)
- Y(테더)의 공급이 감소하여
- 일정한 상수 K를 유지
Hedera Hashgraph
Defi 에코시스템은 구축 진행중
Hedera-Ethereum bridge: wrapped HBAR (Kent Makishima)
- DeFi 구현을 위해 기존 Ethereum 중심의 DeFi 생태계에 Hbar를 참여시킴
- 수탁자는 Hedera Hashgraph에 Hbar를 Lock 하고, ERC-20 토큰에 상응하는 토큰을 만들기 위해 Ethereum의 스마트 계약을 호출
- Hedera Hashgraph 생태계의 구성원인 Hashing Systems 의 Pablo Peillard와 그의 팀은 WHBAR이라는 이름의 HBAR ERC-20 토큰을
생성함
HTS 및 Smart contract 를 이용하여 Hedera Hashgraph 기반의 토큰 간 Swap 가능
- Whbar 를 이용하여 BTC를 포함한 다양한 코인간의 Swap 추후 가능
Hedera Hashgraph Defi 사례
1) Kpay (https://kpay.live/)
Kpay 는 Hedera 기반의 소액결제 지원
2) eftpos (지급결제사)
오스트레일리아 에서 프라이빗 사용
Hedera 스테이블 토큰을 이용한
직불카드 POC
3) TOKO (글로벌로펌 DLA Piper)
Hedera Hashgraph 의 HCS 과
Hyperledger Fabric 이용
프라이빗 증권(security) 토큰 POC
Hbar Swap이 가능한 거래소
End
끝까지 귀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 wenoasoft.danny@gmail.com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Min Heo
 
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
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
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omymh
 
Tile Based Rendering
Tile Based RenderingTile Based Rendering
Tile Based Rendering
ChoKuangmin
 
316 Ch
316 Ch316 Ch
316 Chanjaan
 
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
Asadal Lee
 
Gunz Postmortem
Gunz PostmortemGunz Postmortem
Gunz Postmortem기룡 남
 
Status Ruby on Rails in China
Status Ruby on Rails in ChinaStatus Ruby on Rails in China
Status Ruby on Rails in China
Jesse Cai
 
1libro quinto 1-35_0_
1libro quinto 1-35_0_1libro quinto 1-35_0_
1libro quinto 1-35_0_
ivette simon
 
2008 Brading A Holistic View
2008 Brading A Holistic View2008 Brading A Holistic View
2008 Brading A Holistic ViewJin Lee
 
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
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
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
hukim
 
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
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
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petercadejong
 
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
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
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
Евгений Марков
 
QM-069-生產現場7S實務
QM-069-生產現場7S實務QM-069-生產現場7S實務
QM-069-生產現場7S實務handbook
 
期貨籌碼表20090303
期貨籌碼表20090303期貨籌碼表20090303
期貨籌碼表20090303tsu0716
 
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
Taiheon Choi
 
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
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
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andresf123
 
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
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
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kevin han
 

What's hot (1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Os Geo Korea 최근활동 향후계획 2009
 
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
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
نشرة صحية مدرسية
 
Tile Based Rendering
Tile Based RenderingTile Based Rendering
Tile Based Rendering
 
316 Ch
316 Ch316 Ch
316 Ch
 
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How Wiki Changes the World?
How Wiki Changes the World?
 
Gunz Postmortem
Gunz PostmortemGunz Postmortem
Gunz Postmortem
 
Status Ruby on Rails in China
Status Ruby on Rails in ChinaStatus Ruby on Rails in China
Status Ruby on Rails in China
 
1libro quinto 1-35_0_
1libro quinto 1-35_0_1libro quinto 1-35_0_
1libro quinto 1-35_0_
 
2008 Brading A Holistic View
2008 Brading A Holistic View2008 Brading A Holistic View
2008 Brading A Holistic View
 
007 al-araf
007 al-araf007 al-araf
007 al-araf
 
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
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
사이냅소프트 회사소개서
 
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
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
Novell Proposal To Atos Major Events 07 12 2009
 
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
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
Газета "Навигатор" 44 номер от 13 ноября 2015
 
QM-069-生產現場7S實務
QM-069-生產現場7S實務QM-069-生產現場7S實務
QM-069-生產現場7S實務
 
期貨籌碼表20090303
期貨籌碼表20090303期貨籌碼表20090303
期貨籌碼表20090303
 
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5D Must Be Better Than 4D
5D Must Be Better Than 4D
 
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
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
Departamentalizacion y tipos de departamentalizacion
 
051 060
051 060051 060
051 060
 
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
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
2008년전세계모바일콘텐츠시장규모및부문별트렌드[1]
 

More from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
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
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
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
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
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
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
[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
[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More from Hyperledger Korea User Group (7)

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Fabric v2.0: 새로운 기능
 
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
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
1909 Hyperledger Besu(a.k.a pantheon) Overview
 
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
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
1908 Hyperledger Fabric 소개 및 첫 네트워크 구축하기
 
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
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
Hyperledger Fabric v2.0 Alpha - FabToken Overview, Hands-On Lab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2019.04] 쿠버네티스 기반 하이퍼레저 패브릭 네트워크 구축하기
 
[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019.03] 멀티 노드에서 Hyperledger Fabric 네트워크 구성하기
 
[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
[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
[2019.1] 하이퍼레저 패브릭 v1.3, v1.4 새로운 기능
 

Hyperledger Meetup Korea #28 - HTS(Hedera Token Service), DeFi 스왑 및 유동성 프로토콜

  • 1. HTS(Hedera Token Service) Defi 스왑 및 유동성 프로토콜 ㈜WENOASOFT 김지만
  • 2. 준비사항 - A testnet or mainnet account - Node.js v14.9.0 - Yarn 1.22.10 - Docker - Docker compose (optional)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 Javascript(Vue) 데모 구동 후 3종류 계정 자동 생성 - 새 토큰의 소유자(관리자) 계정 - 토큰 사용자 계정 (Alice 및 Bob) - 토큰 판매 마켓(에스크로) 계정 데모 시연용 자금 Testnet 계정에 hBar가 소량 존재 해야함 데모
  • 3. 데모 기능(시연 용도이며, 실운영시 점검 테스트 필요) - 관리자가 토큰 생성 - 관리자가 Mint & Burn - 관리자가 사용자 계정을 생성된 토큰과 연결 또는 분리 - 관리자가 토큰/계정 관계를 위한 KYC 및 동결 관리 - 관리자(소유자)가 사용자에게 토큰 전송 - 사용자 간 전송 - 사용자 간에 최대 두 개의 토큰을 전송하고 한번의 전송으로 hBar 지불(선택 사항) - 편의를 위해 데모 중에 생성된 계정 및 토큰은 쿠키에 보관되며 데모 재시작 시 재사용
  • 4. 환경설정 파일(.env.sample을 .env로 복사하고 아래와 같이 수정 ) •VUE_APP_OPERATOR_ID=0.0.xxxx Input your operator id •VUE_APP_OPERATOR_KEY=302xxx Input your private key •VUE_APP_INITIAL_BALANCE=100 •VUE_APP_NETWORK=testnet •Source download : https://github.com/hashgraph/hedera-hts-demo
  • 5. Demo run <Build> build는 최초 1회만 수행 필요. 이후에 .env 파일 등을 수정한 경우 build 재수행 필요 docker-compose build --no-cache <Run> docker-compose up 웹브라우져에서 UI 확인 http://localhost:8080
  • 6. UI _ header 토큰을 관리할 수 있는 관리기능 구성 사용자 계정들 빠른 토큰 추가를 위한 + 버튼 세부 설정을 통한 토큰 추가 버튼 데모를 실행하는 동안 발생된 트랜잭션 목록을 표시하는 버튼 데모를 재설정(누크) 붉은색 버튼 : - 브라우저에 있는 토큰 및 계정의 모든 기록을 제거 - 3 종류의 새 계정으로 새롭게 데모 환경 재구성
  • 7. UI _ 토큰생성 (관리자)
  • 8. UI _ 생성된 토큰 관리 기능 (관리자) 계정 버튼(가장 왼쪽) 클릭 시 토큰과 연결된 계정 표시 (다음 페이지 참고) Mint(토큰 생성 시 Mint 기능을 추가한 경우) Burn(토큰을 생성 시 Burn 기능을 추가한 경우) Treasury 에서 사용자로 전송 (현재 Update 및 Delete 미지원)
  • 9. UI _ 계정관리 버튼 (관리자) 토큰과 관련된 계정 Freeze (동결/해제) 토큰과 관련된 계정에 대해 KYC (허가/해지) 계정에 할당한 토큰 wipe (삭제)
  • 10. UI _ 토큰전송 (사용자) 헤더에서 사용자 계정 중 하나를 선택하면, 토큰에서 계정을 연결 및 토큰 연결 해제 가능 환경설정파일의 VUE_APP_INITIAL_BALANCE 값 할당(수수료 제외) 사용자가 토큰과 연결된 후(관리자가 계정을 KYCd, 동결 해제한 경우)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전송 가능
  • 11. UI _ NFT 생성 (관리자) 토큰 도구를 통해 NFT 생성시, 템플릿 제공 템플릿 설정 파일 위치 - vjsf 구성 요소의 지침에 따라 템플릿 추가 및 수정 가능 - 파일위치 : /public/tokenTemplates.json 사진을 NFT 사양에 포함시키려면 그 속성을 photo라고 정의
  • 12. UI _ NFT 관리 (관리자) 템플릿의 속성(이미지 포함 가능)은 Hedera의 불변 파일에 저장 결과물인 FileId는 토큰 심볼을 정의하는 데 사용 FileId 예) HEDERA://0.0.xxxx
  • 13. Defi 스왑 및 유동성 프로토콜 Klayswap Uniswap Hedera Hashgraph
  • 14. Klayswap (AMM protocol) 중앙 운영자 부재 KLAY 스왑은 특정 중앙화 운영체가 아닌 거래자와 유동성 제공자 등 다양한 지배구조 참여자들을 통해 자율적 운영 스마트 계약 방식 계정을 만들거나 자산을 특정 주소로 입금하지 않고 지갑을 연결하여 스마트 계약과 직접 통신합니다. 사용자의 완전한 자산관리 거래 프로세스에 대한 외부 개입이 없으며 자산에 대한 경영은 사용자 책임 투명성과 보안 모든 거래는 신뢰할 수 없는 온 체인 자산 교환이기 때문에 상대방 리스크 없이 투명하고 안전 다양한 자산 쌍 자산은 ETH, WBTC, DAI와 같은 Ethereum 기반 자산뿐만 아니라 Klaytn 기반 자산도 효율적인 교환 가능 바운티풀 유동성 다양한 공급가 제공하는 자동화된 AMM(Automated Market Maker) 메커니즘과 유동성 풀 기반 거래를 통해 클레이튼 DeFi에서 다양한 금융 기회에 빠르 고 쉽게 참여
  • 15. Klayswap UI(2021. 11. 운영시작) 최대 1000억원 유동성 일평균 40억원 거래량 2021년에는 3천억 원 규모의 유동성 성장 기대 스테이킹을 진행한 보유자에 대한 연간 수수료 보상 총 50억 원 이상 기대
  • 16. Klayswap KSP 토큰 KSP 토큰 용도(Uni 토큰과 유사) 1) 의제 발의 2) 공식 의제 투표 3) 투표 참여와 추가 보상을 위한 스테이킹 등에 활용 1) KSP 보유자의 수익 - KLAY 스왑에 새 KCT 토큰 쌍 풀을 생성할 때 일정 금액의 KSP(풀 계약 생성 수수료) 지불 - 사용된 수수료는 소멸됨 - 클레이스압 스테이킹에 참여하는 KSP 보유자가 계약 기간과 유동성 풀 지지를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생태계에 참여한다면, 4배 이상 보상 효율 2) 투표 KSP를 스테이킹(Vote-staking)하여 토큰화된 보팅파워인 투표권(vKSP)을 획득 스테이킹 기간이 길수록 거버넌스의 장기 참여자로 인정받아 더 많은 투표권(vKSP) 획득 투표 시 vKSP는 소각되지 않으며, 스테이킹된 KSP를 클레임 하는 경우, 보유한 vKSP는 소각됨 동시에 다수의 의제가 진행중인 경우, 각 의제 별로 보유한 vKSP 만큼 투표 가능
  • 17. Uniswap UI (AMM protocol)
  • 18. Uniswap 특징 ERC20 / ERC20 Pairs Price Oracles Flash Swaps Core/Helper Architecture Technical Improvements Path to Sustainability Testnet and Launch Details
  • 19. 유동성 풀 함수 유니스왑 및 클레이스왑은 "X*Y = K"(X=이더리움(ETH), Y=테더(USDT), K=상수함수) 라는 공식을 기반 토큰 가격 범위는 해당 유동성 풀이 생성될 때 각 토큰의 수량에 따라 설정 - X(이더리움)의 유동성 공급이 증가하면(토큰 공급 개수가 많으면) - Y(테더)의 공급이 감소하여 - 일정한 상수 K를 유지
  • 20. Hedera Hashgraph Defi 에코시스템은 구축 진행중 Hedera-Ethereum bridge: wrapped HBAR (Kent Makishima) - DeFi 구현을 위해 기존 Ethereum 중심의 DeFi 생태계에 Hbar를 참여시킴 - 수탁자는 Hedera Hashgraph에 Hbar를 Lock 하고, ERC-20 토큰에 상응하는 토큰을 만들기 위해 Ethereum의 스마트 계약을 호출 - Hedera Hashgraph 생태계의 구성원인 Hashing Systems 의 Pablo Peillard와 그의 팀은 WHBAR이라는 이름의 HBAR ERC-20 토큰을 생성함 HTS 및 Smart contract 를 이용하여 Hedera Hashgraph 기반의 토큰 간 Swap 가능 - Whbar 를 이용하여 BTC를 포함한 다양한 코인간의 Swap 추후 가능
  • 21. Hedera Hashgraph Defi 사례 1) Kpay (https://kpay.live/) Kpay 는 Hedera 기반의 소액결제 지원 2) eftpos (지급결제사) 오스트레일리아 에서 프라이빗 사용 Hedera 스테이블 토큰을 이용한 직불카드 POC 3) TOKO (글로벌로펌 DLA Piper) Hedera Hashgraph 의 HCS 과 Hyperledger Fabric 이용 프라이빗 증권(security) 토큰 POC Hbar Swap이 가능한 거래소
  • 22. End 끝까지 귀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 문의 사항 : wenoasoft.danny@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