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방송프로그램 추천 및 평가 Application
Interface Design / Group 1
손정민 임신영 김나래
Chewing TVChewing TV
Concept
사람 콘텐츠matching
리뷰 코멘트
Rating
큐레이팅 커뮤니케이션
Value
큐레이팅 커뮤니케이션
편리함
효율성
공감 공유
재미
User Context 1
Target User
TV가 없는 적극적 시청자
환경
1 TV가 없기 때문에 방송 콘텐츠를 취사 선택해서
컴퓨터(노트북)으로 다운로드를 함
2 다양한 방송 콘텐츠의 증가
3 SNS 세대
목표
1 나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해 줌으로서
Selecting의 부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자 한다
2 SNS 세대에 맞게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공유 가능하게 한다
User Context 2
Target User
스마트 TV를 보유한 적극적 시청자
환경
1 스마트 TV 환경에서는 User에게 알맞은 서비스가
부족함
2 모바일 및 웹 환경에서는 데이터가 방대하지만
산재되어 있어 체계적이지 않다
목표
Connecting
체계적이고 양질의 풍부한 데이터를 user에게 제공
Interview
20, 30대 청년층 30대 이상 주부층
1 TV가 없더라도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소비한다
2 SNS를 대부분 이용하며 생각을 공유하는 것에
익숙하다
1 TV 시청시간이 기본적으로 높다
2 소통 욕구가 존재한다
Primary Persona Secondary Persona
Narrative
유민아는 23세 대학생이다.
대학이 타지에 있어 자취를 하게 되었지만, 방송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보는 걸 좋아하는
그녀는 방송은 꼭 큰 화면으로 봐야 한다며 부모님을 설득했고, 결국 소형 TV 만한 컴퓨터
모니터를 자취방에 두고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부터 흥미롭게 보고 있던 방송을 위주로 프로그램을 받아 시청하고 있지만, 그녀는 때때로
조금 지겹다고 느끼곤 했다. 일요일 오전, 온 국민이 전국 노래자랑을 따라 외치던 그 즈음,
새로운 방송을 보고 싶었던 그녀는 누군가 그녀에게 신선한 방송을 추천해줬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녀의 주변 사람들은 TV 시청에 그녀와 같이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녀는 필연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추천 받고자 했다. 그러나
그녀가 검색창에 [방송 프로그램 추천]을 검색해본들, 인터넷에서는 이미 유행하고 있는
방송들만 떠돌고 있을 뿐이었다.
차선책으로 민아는 스마트폰을 켜서, 네이버 TV 캐스트에서 랜덤하게 뜨는 클립 영상들을
보면서 흥미가 가는 방송을 스스로 찾아 헤매기 시작했다. 덕분에, 그녀는 흥미가 가는 마이너
방송들을 몇개나마 건질 수 있었으나, 민아는 피로감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취향에 맞는 새로운
방송들을 찾기 위해 민아는 본인의 취향과는 관련이 없는 클립 영상들을 반강제로 시청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힘겨운 과정이었지만, 민아는 본인의 취향에 맞는 방송을 찾았고, 이를
굉장히 흥미롭게 보았다.
민아는 SNS를 통해 자신의 생각에 대해 글을 남기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들이 나의 생각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통해 새롭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민아는 네이버
TV캐스트에서 건져낸 방송들에 대한 후기를 장문으로 페이스북에 올렸다. 재밌게 시청을
했으며, 어떤 점이 흥미로웠는지 등등을, 아주 상세하게 말이다. 민아는 내심 자신의 글을 통해
누군가가 이 마이너한 방송을 재밌게 시청하고, 본인에게 그 후기를 남겨주기를 기대하며 눈을
감았다.
월요일 아침, 민아는 자취방에서 나와 캠퍼스로 걸어 가고 있었다. 주머니 속에서 진동이 울려
휴대폰을 꺼내본 그녀는, 그것이 페이스북 알람임을 확인하고 휴대폰을 켰다. 그녀의 글에
누군가가 후기를 남긴게 아닐까? 라는 마음에 설레였던 그녀는 곧 실소를 금치 못했다.
그녀의 장문 아래에는 이름도 모를 복학생 선배의 [좋아요] 하나가 덩그러니 남아있을 뿐이었다.
Primary Persona
저는 방송을 보는 걸 좋아해서 많은 방송을 보는데,
다른 사람들은 어떤 방송을 어떻게 보는지 궁금해요
유민아 (23세, 자취 중인 대학생)
Primary Requirement
Source Data Needs Functional Needs Product Qualities Constraints
Scenario
Mental Model
Goals
Environment
Skill and
Abilities
- 최신 예능, 드라마 클립 영상
- 지난 예능, 드라마 클립 영상
- 방송 프로그램 제작진, 출연진 정보
-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 평점
-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 리뷰
- 해외 드라마 평점, 리뷰
- 방송 프로그램 검색 기능
- 방송 클립 영상 검색 기능
- 방송 출연진 검색 기능
- 방송 프로그램 자동 추천 기능
(큐레이션 기능)
- 프로그램별(회차별) 평점 매기기 기능
- 프로그램별(회차별) 한줄평/리뷰 작성 기능
- 베스트 한줄평/리뷰 기능
- 평점별 모아보기 기능
- 관심 프로그램 지정 기능
- 관심 있는 방송의 평판(평점) 알아보기
- 내가 좋아할 만한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받기
- 내가 본 방송에 대한 한줄평/리뷰 작성하기
- 내 한줄평/리뷰에 대한 피드백 받기
(ex. 좋아요, 댓글)
- 관심 있는 방송의 평판(평점) 알아보기
- 내가 좋아할 만한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받기
- 내가 본 방송에 대한 한줄평/리뷰 작성하기
- 내 한줄평/리뷰에 대한 피드백 받기
(ex. 좋아요, 댓글)
- 모바일 화면에 적합한 동영상 크기 조절
기능
- 프로그램별 평점 매기기 기능
- 출연진 검색 기능
- 방송 프로그램 큐레이션 기능
- 모바일(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한 UI 
- 모바일(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한 UI 
 - 동영상 플레이 환경에 따른 문제.
동영상 플레이 시 WIFI가 아닌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요금이 많이 나올
위험이 있음
 - 모바일 환경에 친숙해야 함
- 어플리케이션 UI가 직관적이고 trendy한
look이어야 함
- 리뷰의 경우 글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UI가 가독성이 높아야 함
Narrative
하나 뿐인 아들과 남편은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집에 있는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녀는
혼자 집에서 하루를 보내는 날이 많다. 그런 그녀에게 TV는 소중한 house mate가 아닐 수 없다.
설거지를 하면서, 청소기를 돌리면서도 Background music처럼 TV를 틀어놓을 뿐만 아니라
가사 노동 중 한숨 돌릴 때도 재미나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쉰다. 또 수영은 스스로 TV를 통해
얻은 시사상식과 교양 수준이 남편보다 박식하다고 자부하기도 한다.
하지만 드라마 본방 시간을 제외한 낮 시간에는 재미있는 방송이 많지 않다. 요즘 채널은 또
왜이리 많은지, 채널을 돌리다보면 어느새 홈쇼핑 채널에 묶여 충동 구매를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아들은 VOD 서비스로 자기가 보고 싶은 예능을 잘만 찾아보던데 수영은 뭘 봐야할지
아들처럼 잘 골라내기 어렵다. 간혹 본방을 놓친 경우, 해당 방송을 찾아볼 뿐이다. 누가 옆에서
재미난 방송 좀 조목조목 추천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해본다.
심심해진 그녀는 컴퓨터를 켜본다. 문화센터에서 만난 희영 엄마는 일산 일대에서 꽤나
알아주는 파워 블로거라고 한다. 희영 엄마의 블로그에 방문하자 인기 포스팅으로 최근 인기리
에 방영 중인 드라마 리뷰가 있다. 댓글이 잔뜩 달려있다. 수영은 '희영엄마 대단한걸?'
생각하면서도 '이 정도는 내가 더 잘 쓰겠구만' 싶기도 하다. 평소 드라마에 일가견이 있는
수영의 찰진 멘트에 비하면 하영 엄마의 리뷰는 그저 방송 내용 요약에 가까울 뿐. 그래도 DIY의
대가인 하영 엄마 만큼 손재주가 없는 수영은 '파워블로거가 되긴 쉽지 않겠지?' 체념한다. 왠지
모르게 쓸쓸한 마음으로 다시 쇼파에 앉은 수영은 다시 리모컨을 이리저리 돌려본다. 딱히
재밌는 방송이 안 한다.
[아들~~ 오늘은 언제 들어와?^^]
아들 놈은 여친 카톡은 붙잡고 있어도 수영의 카톡 1을 지울 생각이 없다. 휴! 스마트폰 있어서
뭐하나. 수영은 씁쓸하다.
Secondary Persona
가끔 엄마들끼리 만나면 드라마
얘기 하느라 시간가는 줄을 몰라요
박수영 (39세, 주부)
Secondary Requirement
Source Data Needs Functional Needs Product Qualities Constraints
Scenario
Mental Model
Goals
Environment
Skill and
Abilities
- 사용자 입력 정보 분류하여 추천
- 모바일 기반 선별된 데이터 전송
- TV 시청 중 모바일 APP 연동
- 신뢰성
- 생생함
- APP과 TV의 유기성
- TV USER의 수동성
-> UI의 직관적, at a glance!
- USER가 다수일 경우 정확한 타겟 불가능
-> 주요 사용자 설정 가능
- 처음 TV를 틀자마자 보고싶은 실시간
채널로 쉽게 이동하길 희망
- VOD 서비스 이용시 재미가 보장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길 바람
- 지금 시청 중인 방송에 대해 모바일에서
즉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길 바람
- APP 첫 이용시 어느 정도 기본 데이터가
확보되는 것이 유리
- 사용자가 건너뛸 경우에도 디폴트로
시청률 데이터와 인터넷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도 확보
- USER의 높은 참여도를 바탕으로 선별된
질 좋은 리뷰 및 코멘트가 요구됨
-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 데이터
- 인터넷 기반 빅 데이터
- TV의 방송 페이지가 사용자가 원할시
즉각적으로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블루투스 기능 필요
- 데이터 인풋이 용이한 모바일과 TV의
연동으로 원활한 소통과 동시에 쾌적한
시청 환경 확보
- 유비쿼터스
- 쉽고 빠른 리뷰 작성 가능
- 베스트 선정시 TV 노출 가능
 -동영상 플레이 환경에 따른 문제.
동영상 플레이 시 WIFI가 아닌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요금이 많이 나올
위험이 있음.
- USER의 높은 참여도 및 평가 능력
요구됨
-> 베스트 선정 및 TV 노출로 유인
- TV를 키자마자 or 버튼 하나만 누르면
의미없이 채널 돌리는 일이 없을 정도로
정확도가 높고 한 눈에 쏙 들어오는
효율적인 실시간 가이드
- VOD 서비스를 폭넓게 즐기는 데 도움이
될만큼 개인 취향 및 화제를 잘 반영한
큐레이션
- 프로그램 평이 밋밋하고 신뢰도 없는
별점이 아니라 모바일/웹으로 축적된 풍부한
데이터 및 BEST로 선정된 살아있는 리뷰
학교 수업이 끝난 민아는 종로에서 친구를 만나기 위해 지하철을 탔다. 신촌에서 종로까지는 약 30분. 지하철 좌석에 앉아
딱히 할 일이 없어진 민아는 자연스레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츄잉TV 앱에 들어간 민아는 최신 예능 클립들을 훑어보았다.
그 중에는 이미 민아가 본 방송도 많았다. 새로운게 뭐 없을까 생각하던 민아는 '라디오스타' 페이지에 들어가 5점 만점
별점을 받은 일명 '레전드' 회차만 모아보기 검색을 했다. 5점 만점에 리뷰수도 많은 '259회' 영상 클립을 본 민아는 이따
집에서 다운받아 보길 기약하고 관심 버튼을 눌러두었다. 어느새 지하철은 종로역에 도착했다.
친구와 약속을 마치고 자취방에 돌아오니 어느새 11시가 훌쩍 넘었다. 집에 TV도 없고 그냥 자기엔 뭔가 아쉬운 민아는 아까
관심 버튼을 눌러 놓았던 라디오 스타 259회를 다운받아보기로 한다. 역시 츄잉TV의 평점은 믿을 만 했다. 한참을 배꼽잡고
웃던 민아는 프로그램이 끝나자 마자 츄잉TV 앱에 들어가 별점 5점을 매기고 '우울한 당신을 위한 전설의 레전드편!' 라는
한줄평을 남겼다. 라디오스타 프로그램에 대한 민아의 한줄평 개수가 10개를 넘어가자 츄잉TV는 '이런 방송은 어때요?' 라며
'#윤종신 #토크 #재미' 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민아에게 '속사정쌀롱'이라는 예능 프로그램을 추천해주었다. 윤종신을
좋아하는 민아는 '속사정쌀롱'을 관심 프로그램으로 지정하고 그제야 잠에 들었다.
약속도 없는 주말. 느즈막히 자취방 침대에서 잠이 깬 민아는 스마트폰부터 켰다. 주말인 오늘은 왠지 예능보다는 드라마를
보고싶다는 생각이 든 민아는 츄잉TV에 들어갔다. 츄잉TV는 드라마광인 민아의 별점과 리뷰취향을 분석해 '가을에 잘
어울리는 감성 멜로 단막극' 이라는 주제로 민아에게 큐레이션을 해주었다. 민아는 추천 받은 드라마를 다운받아 보고는
츄잉TV에 4점 별점을 매겼다. 특히 드라마에 대해서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남기는 것을 좋아하는 민아는 자신이 본
단막극에 대한 리뷰를 길게 남겼다. 내심 누군가가 민아의 글을 통해 마이너한 방송을 재밌게 시청하고, 본인에게 후기를
남겨주길 바라는 마음도 있던 것이다.
그리고 며칠 뒤, 민아의 단막극 리뷰는 다른 시청자의 '좋아요'를 많이 받아 베스트 리뷰에 올랐다!
Primary Scenario
Primary Conti
Chewing
TV
주부 수영씨는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주로 TV를 자주 틀어 놓는다. 오늘도 어김없이 자녀와
남편은 집을 나가고 난 뒤 적적한 오전, 그녀는 TV를 틀었다. 어젯밤 늦게 집에 들어 온 남편이 자기 전에 TV를 봤는지 KBS1
채널이 첫 화면에 있다. 수영씨는 KBS1 채널에 흥미가 전혀 없다. 걱정할 것 없이, TV를 처음 틀면 우측 바에 실시간 채널
중 수영씨가 평소 즐겨 보았던 방송 프로그램과 시청률을 조합하여 추천 베스트 5가 나열되어있다. 가볍게 리모컨 -> 방향을
눌러 목록 중 첫 번째의 채널을 눌렀다. 실시간 채널인지라, 중간부터 시작되어 아쉽지만 일단은 재밌으니 틀어놓고
설거지를 했다.
설거지를 끝내고 돌아온 수영. 이제 한번 제대로 쉬어볼까, 하여 아까 슬라이드 바를 버튼 하나로 불러낸다.리모컨 ‘->’
버튼을 누르고 이번엔 ‘더 보기’를 누른다. 그러자 5개의 실시간 채널 목록이 아니라, 요즘 화제성과 자신의 취향대로
큐레이션이 된 프로그램 목록이 뜬다. 요즘 수영이 관심있는 드라마도 목록의 상위권을 당연히 차지했다. 이번 회차를
놓쳤는데, 잘 됐다. 해당 프로그램 아이콘을 눌러 ‘바로 시청’을 누르려다가 ‘평점&리뷰’로 들어간다. 웬걸. 평점이 확
깎여있다. 사람들이 이제 안 본다며, 작위적이라며, 난리도 아니다. 설마설마 했는데 ‘진짜로 걔가 걔의 잃어버린
딸이었나보네’, 흥미를 잃어버린 수영은 해당 드라마를 보지 않기로 한다.
대신 추천 목록에서 슬라이드를 좀 더 내리자 ‘가을에 잘 어울리는 감성 멜로 단막극' 이라는 주제의 큐레이션에 눈에 띄었다.
‘내가 한 감성하지!’ 수영의 눈길을 잡아끄는 여러 드라마들이 있었다. 뭘 볼까, 평점을 가볍게 훑어보고 그 중 하나를 택했다.
마치 독립영화 같이 연출이 담백하면서도 여운이 짙게 남는 내용이었다. 마음에 든 수영은 해당 드라마의 베스트 리뷰를
읽어보았다. 민아가 쓴 내용이었다. 군데군데 공감이 가는 구절도 있고, 몰랐던 상징적 의미를 잘 분석해서 ‘아!’ 싶은 내용도
있었다. ‘참 잘 썼네.’ 하트 버튼으로 좋아요 1표 던져준다. 그리고 좀 더 아쉬운 마음에 모바일을 켰다. 블루투스 기능을 키자
모바일 APP에 해당 프로그램 화면으로 바로 연결되었다. 민아의 리뷰 밑에 댓글을 달기 위해 모바일을 킨 것이다. [정말
공감하며 읽었어요^^앞으로도 좋은 리뷰 부탁해요~] 댓글 꾹. 적적할 뻔 했던 하루가 어느새 훌쩍 지났고 아이들이 귀가를
했다.
Secondary Scenario
Secondary Conti
Attribute
효율적
즐거운
시끄러운
재미
트렌디
Customizable
Helful
Playful
Joyful
At a glance 한눈에
문화
선별적인
감성적
공감
세밀한
시사적
활기찬
정보적인
공유하는
Socialable
입맛에 맞는
친구같은
Entertain
자극적인
호기심있는
Sensitive
낭만적인
공산
Critic
Awesome
현실도피
최신의
젊은
청춘
네트워킹
Ranking
흥미로운
수다스러운
전문적인
Routine
Attribute
젊은
공감하는
Insightful
At a glance
Networking
Critic
Deep
Clean
세련된
Daily
Familiar
Precise
선별적인
Informative트렌디한
활기찬
친구같은
Social
Helpful효율적인
수다스러운
전문적인
Attribute _ 젊은
젊은
활기찬
트렌디한
Social
호기심많은
수다스러운
다채로운
Fresh
Attribute _ 공감하는
공감하는Familiar
Understanding
친구같은
Networking
Attribute _ Insightful
Insightful
심층적인
호기심많은
Helpful Deep
전문적인Informative
Attribute _ At a glance
At a glance
잘 분류된
축약한
대비되는
선별적인
간단한
효율적인
정돈된
Chewing TVChewing TV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Chewing TV

final project
final projectfinal project
final project
narae kim
 
Chewing TV Final
Chewing TV FinalChewing TV Final
Chewing TV Final
narae kim
 
Persona
PersonaPersona
Persona
narae kim
 
Magazineb tvN 박소정
Magazineb tvN 박소정Magazineb tvN 박소정
Magazineb tvN 박소정
sojeong park
 
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
yesolrr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
Sinyoung Lim
 
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
yesolrr
 
[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
[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
[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
MezzoMedia
 

Similar to Chewing TV (8)

final project
final projectfinal project
final project
 
Chewing TV Final
Chewing TV FinalChewing TV Final
Chewing TV Final
 
Persona
PersonaPersona
Persona
 
Magazineb tvN 박소정
Magazineb tvN 박소정Magazineb tvN 박소정
Magazineb tvN 박소정
 
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 최종 발표
 
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프레젠테이션1
프레젠테이션1
 
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
보이스크램블_최종 발표
 
[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
[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
[메조미디어] SNS 드라마의 특징 및 활용_2013.11
 

More from narae kim

Wireframe TV
Wireframe TVWireframe TV
Wireframe TV
narae kim
 
Wireframe
WireframeWireframe
Wireframe
narae kim
 
wireframes
wireframeswireframes
wireframes
narae kim
 
site map and task flow
site map and task flowsite map and task flow
site map and task flow
narae kim
 
Chewing tv
Chewing tvChewing tv
Chewing tv
narae kim
 
Requirements
RequirementsRequirements
Requirements
narae kim
 

More from narae kim (6)

Wireframe TV
Wireframe TVWireframe TV
Wireframe TV
 
Wireframe
WireframeWireframe
Wireframe
 
wireframes
wireframeswireframes
wireframes
 
site map and task flow
site map and task flowsite map and task flow
site map and task flow
 
Chewing tv
Chewing tvChewing tv
Chewing tv
 
Requirements
RequirementsRequirements
Requirements
 

Chewing TV

  • 1. 방송프로그램 추천 및 평가 Application Interface Design / Group 1 손정민 임신영 김나래 Chewing TVChewing TV
  • 4. User Context 1 Target User TV가 없는 적극적 시청자 환경 1 TV가 없기 때문에 방송 콘텐츠를 취사 선택해서 컴퓨터(노트북)으로 다운로드를 함 2 다양한 방송 콘텐츠의 증가 3 SNS 세대 목표 1 나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추천해 줌으로서 Selecting의 부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고자 한다 2 SNS 세대에 맞게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공유 가능하게 한다
  • 5. User Context 2 Target User 스마트 TV를 보유한 적극적 시청자 환경 1 스마트 TV 환경에서는 User에게 알맞은 서비스가 부족함 2 모바일 및 웹 환경에서는 데이터가 방대하지만 산재되어 있어 체계적이지 않다 목표 Connecting 체계적이고 양질의 풍부한 데이터를 user에게 제공
  • 6. Interview 20, 30대 청년층 30대 이상 주부층 1 TV가 없더라도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소비한다 2 SNS를 대부분 이용하며 생각을 공유하는 것에 익숙하다 1 TV 시청시간이 기본적으로 높다 2 소통 욕구가 존재한다 Primary Persona Secondary Persona
  • 7. Narrative 유민아는 23세 대학생이다. 대학이 타지에 있어 자취를 하게 되었지만, 방송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보는 걸 좋아하는 그녀는 방송은 꼭 큰 화면으로 봐야 한다며 부모님을 설득했고, 결국 소형 TV 만한 컴퓨터 모니터를 자취방에 두고 생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부터 흥미롭게 보고 있던 방송을 위주로 프로그램을 받아 시청하고 있지만, 그녀는 때때로 조금 지겹다고 느끼곤 했다. 일요일 오전, 온 국민이 전국 노래자랑을 따라 외치던 그 즈음, 새로운 방송을 보고 싶었던 그녀는 누군가 그녀에게 신선한 방송을 추천해줬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녀의 주변 사람들은 TV 시청에 그녀와 같이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녀는 필연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방송을 추천 받고자 했다. 그러나 그녀가 검색창에 [방송 프로그램 추천]을 검색해본들, 인터넷에서는 이미 유행하고 있는 방송들만 떠돌고 있을 뿐이었다. 차선책으로 민아는 스마트폰을 켜서, 네이버 TV 캐스트에서 랜덤하게 뜨는 클립 영상들을 보면서 흥미가 가는 방송을 스스로 찾아 헤매기 시작했다. 덕분에, 그녀는 흥미가 가는 마이너 방송들을 몇개나마 건질 수 있었으나, 민아는 피로감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취향에 맞는 새로운 방송들을 찾기 위해 민아는 본인의 취향과는 관련이 없는 클립 영상들을 반강제로 시청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힘겨운 과정이었지만, 민아는 본인의 취향에 맞는 방송을 찾았고, 이를 굉장히 흥미롭게 보았다. 민아는 SNS를 통해 자신의 생각에 대해 글을 남기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들이 나의 생각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통해 새롭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민아는 네이버 TV캐스트에서 건져낸 방송들에 대한 후기를 장문으로 페이스북에 올렸다. 재밌게 시청을 했으며, 어떤 점이 흥미로웠는지 등등을, 아주 상세하게 말이다. 민아는 내심 자신의 글을 통해 누군가가 이 마이너한 방송을 재밌게 시청하고, 본인에게 그 후기를 남겨주기를 기대하며 눈을 감았다. 월요일 아침, 민아는 자취방에서 나와 캠퍼스로 걸어 가고 있었다. 주머니 속에서 진동이 울려 휴대폰을 꺼내본 그녀는, 그것이 페이스북 알람임을 확인하고 휴대폰을 켰다. 그녀의 글에 누군가가 후기를 남긴게 아닐까? 라는 마음에 설레였던 그녀는 곧 실소를 금치 못했다. 그녀의 장문 아래에는 이름도 모를 복학생 선배의 [좋아요] 하나가 덩그러니 남아있을 뿐이었다. Primary Persona 저는 방송을 보는 걸 좋아해서 많은 방송을 보는데, 다른 사람들은 어떤 방송을 어떻게 보는지 궁금해요 유민아 (23세, 자취 중인 대학생)
  • 8. Primary Requirement Source Data Needs Functional Needs Product Qualities Constraints Scenario Mental Model Goals Environment Skill and Abilities - 최신 예능, 드라마 클립 영상 - 지난 예능, 드라마 클립 영상 - 방송 프로그램 제작진, 출연진 정보 -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 평점 - 방송 프로그램 시청자 리뷰 - 해외 드라마 평점, 리뷰 - 방송 프로그램 검색 기능 - 방송 클립 영상 검색 기능 - 방송 출연진 검색 기능 - 방송 프로그램 자동 추천 기능 (큐레이션 기능) - 프로그램별(회차별) 평점 매기기 기능 - 프로그램별(회차별) 한줄평/리뷰 작성 기능 - 베스트 한줄평/리뷰 기능 - 평점별 모아보기 기능 - 관심 프로그램 지정 기능 - 관심 있는 방송의 평판(평점) 알아보기 - 내가 좋아할 만한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받기 - 내가 본 방송에 대한 한줄평/리뷰 작성하기 - 내 한줄평/리뷰에 대한 피드백 받기 (ex. 좋아요, 댓글) - 관심 있는 방송의 평판(평점) 알아보기 - 내가 좋아할 만한 방송 프로그램 추천 받기 - 내가 본 방송에 대한 한줄평/리뷰 작성하기 - 내 한줄평/리뷰에 대한 피드백 받기 (ex. 좋아요, 댓글) - 모바일 화면에 적합한 동영상 크기 조절 기능 - 프로그램별 평점 매기기 기능 - 출연진 검색 기능 - 방송 프로그램 큐레이션 기능 - 모바일(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한 UI  - 모바일(스마트폰) 환경에 적합한 UI   - 동영상 플레이 환경에 따른 문제. 동영상 플레이 시 WIFI가 아닌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요금이 많이 나올 위험이 있음  - 모바일 환경에 친숙해야 함 - 어플리케이션 UI가 직관적이고 trendy한 look이어야 함 - 리뷰의 경우 글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UI가 가독성이 높아야 함
  • 9. Narrative 하나 뿐인 아들과 남편은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면 집에 있는 시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녀는 혼자 집에서 하루를 보내는 날이 많다. 그런 그녀에게 TV는 소중한 house mate가 아닐 수 없다. 설거지를 하면서, 청소기를 돌리면서도 Background music처럼 TV를 틀어놓을 뿐만 아니라 가사 노동 중 한숨 돌릴 때도 재미나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쉰다. 또 수영은 스스로 TV를 통해 얻은 시사상식과 교양 수준이 남편보다 박식하다고 자부하기도 한다. 하지만 드라마 본방 시간을 제외한 낮 시간에는 재미있는 방송이 많지 않다. 요즘 채널은 또 왜이리 많은지, 채널을 돌리다보면 어느새 홈쇼핑 채널에 묶여 충동 구매를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아들은 VOD 서비스로 자기가 보고 싶은 예능을 잘만 찾아보던데 수영은 뭘 봐야할지 아들처럼 잘 골라내기 어렵다. 간혹 본방을 놓친 경우, 해당 방송을 찾아볼 뿐이다. 누가 옆에서 재미난 방송 좀 조목조목 추천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해본다. 심심해진 그녀는 컴퓨터를 켜본다. 문화센터에서 만난 희영 엄마는 일산 일대에서 꽤나 알아주는 파워 블로거라고 한다. 희영 엄마의 블로그에 방문하자 인기 포스팅으로 최근 인기리 에 방영 중인 드라마 리뷰가 있다. 댓글이 잔뜩 달려있다. 수영은 '희영엄마 대단한걸?' 생각하면서도 '이 정도는 내가 더 잘 쓰겠구만' 싶기도 하다. 평소 드라마에 일가견이 있는 수영의 찰진 멘트에 비하면 하영 엄마의 리뷰는 그저 방송 내용 요약에 가까울 뿐. 그래도 DIY의 대가인 하영 엄마 만큼 손재주가 없는 수영은 '파워블로거가 되긴 쉽지 않겠지?' 체념한다. 왠지 모르게 쓸쓸한 마음으로 다시 쇼파에 앉은 수영은 다시 리모컨을 이리저리 돌려본다. 딱히 재밌는 방송이 안 한다. [아들~~ 오늘은 언제 들어와?^^] 아들 놈은 여친 카톡은 붙잡고 있어도 수영의 카톡 1을 지울 생각이 없다. 휴! 스마트폰 있어서 뭐하나. 수영은 씁쓸하다. Secondary Persona 가끔 엄마들끼리 만나면 드라마 얘기 하느라 시간가는 줄을 몰라요 박수영 (39세, 주부)
  • 10. Secondary Requirement Source Data Needs Functional Needs Product Qualities Constraints Scenario Mental Model Goals Environment Skill and Abilities - 사용자 입력 정보 분류하여 추천 - 모바일 기반 선별된 데이터 전송 - TV 시청 중 모바일 APP 연동 - 신뢰성 - 생생함 - APP과 TV의 유기성 - TV USER의 수동성 -> UI의 직관적, at a glance! - USER가 다수일 경우 정확한 타겟 불가능 -> 주요 사용자 설정 가능 - 처음 TV를 틀자마자 보고싶은 실시간 채널로 쉽게 이동하길 희망 - VOD 서비스 이용시 재미가 보장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길 바람 - 지금 시청 중인 방송에 대해 모바일에서 즉각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길 바람 - APP 첫 이용시 어느 정도 기본 데이터가 확보되는 것이 유리 - 사용자가 건너뛸 경우에도 디폴트로 시청률 데이터와 인터넷 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신뢰도 확보 - USER의 높은 참여도를 바탕으로 선별된 질 좋은 리뷰 및 코멘트가 요구됨 - 사용자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 데이터 - 인터넷 기반 빅 데이터 - TV의 방송 페이지가 사용자가 원할시 즉각적으로 모바일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블루투스 기능 필요 - 데이터 인풋이 용이한 모바일과 TV의 연동으로 원활한 소통과 동시에 쾌적한 시청 환경 확보 - 유비쿼터스 - 쉽고 빠른 리뷰 작성 가능 - 베스트 선정시 TV 노출 가능  -동영상 플레이 환경에 따른 문제. 동영상 플레이 시 WIFI가 아닌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데이터요금이 많이 나올 위험이 있음. - USER의 높은 참여도 및 평가 능력 요구됨 -> 베스트 선정 및 TV 노출로 유인 - TV를 키자마자 or 버튼 하나만 누르면 의미없이 채널 돌리는 일이 없을 정도로 정확도가 높고 한 눈에 쏙 들어오는 효율적인 실시간 가이드 - VOD 서비스를 폭넓게 즐기는 데 도움이 될만큼 개인 취향 및 화제를 잘 반영한 큐레이션 - 프로그램 평이 밋밋하고 신뢰도 없는 별점이 아니라 모바일/웹으로 축적된 풍부한 데이터 및 BEST로 선정된 살아있는 리뷰
  • 11. 학교 수업이 끝난 민아는 종로에서 친구를 만나기 위해 지하철을 탔다. 신촌에서 종로까지는 약 30분. 지하철 좌석에 앉아 딱히 할 일이 없어진 민아는 자연스레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츄잉TV 앱에 들어간 민아는 최신 예능 클립들을 훑어보았다. 그 중에는 이미 민아가 본 방송도 많았다. 새로운게 뭐 없을까 생각하던 민아는 '라디오스타' 페이지에 들어가 5점 만점 별점을 받은 일명 '레전드' 회차만 모아보기 검색을 했다. 5점 만점에 리뷰수도 많은 '259회' 영상 클립을 본 민아는 이따 집에서 다운받아 보길 기약하고 관심 버튼을 눌러두었다. 어느새 지하철은 종로역에 도착했다. 친구와 약속을 마치고 자취방에 돌아오니 어느새 11시가 훌쩍 넘었다. 집에 TV도 없고 그냥 자기엔 뭔가 아쉬운 민아는 아까 관심 버튼을 눌러 놓았던 라디오 스타 259회를 다운받아보기로 한다. 역시 츄잉TV의 평점은 믿을 만 했다. 한참을 배꼽잡고 웃던 민아는 프로그램이 끝나자 마자 츄잉TV 앱에 들어가 별점 5점을 매기고 '우울한 당신을 위한 전설의 레전드편!' 라는 한줄평을 남겼다. 라디오스타 프로그램에 대한 민아의 한줄평 개수가 10개를 넘어가자 츄잉TV는 '이런 방송은 어때요?' 라며 '#윤종신 #토크 #재미' 라는 키워드를 바탕으로 민아에게 '속사정쌀롱'이라는 예능 프로그램을 추천해주었다. 윤종신을 좋아하는 민아는 '속사정쌀롱'을 관심 프로그램으로 지정하고 그제야 잠에 들었다. 약속도 없는 주말. 느즈막히 자취방 침대에서 잠이 깬 민아는 스마트폰부터 켰다. 주말인 오늘은 왠지 예능보다는 드라마를 보고싶다는 생각이 든 민아는 츄잉TV에 들어갔다. 츄잉TV는 드라마광인 민아의 별점과 리뷰취향을 분석해 '가을에 잘 어울리는 감성 멜로 단막극' 이라는 주제로 민아에게 큐레이션을 해주었다. 민아는 추천 받은 드라마를 다운받아 보고는 츄잉TV에 4점 별점을 매겼다. 특히 드라마에 대해서는 자신의 생각을 글로 남기는 것을 좋아하는 민아는 자신이 본 단막극에 대한 리뷰를 길게 남겼다. 내심 누군가가 민아의 글을 통해 마이너한 방송을 재밌게 시청하고, 본인에게 후기를 남겨주길 바라는 마음도 있던 것이다. 그리고 며칠 뒤, 민아의 단막극 리뷰는 다른 시청자의 '좋아요'를 많이 받아 베스트 리뷰에 올랐다! Primary Scenario
  • 13. 주부 수영씨는 집에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주로 TV를 자주 틀어 놓는다. 오늘도 어김없이 자녀와 남편은 집을 나가고 난 뒤 적적한 오전, 그녀는 TV를 틀었다. 어젯밤 늦게 집에 들어 온 남편이 자기 전에 TV를 봤는지 KBS1 채널이 첫 화면에 있다. 수영씨는 KBS1 채널에 흥미가 전혀 없다. 걱정할 것 없이, TV를 처음 틀면 우측 바에 실시간 채널 중 수영씨가 평소 즐겨 보았던 방송 프로그램과 시청률을 조합하여 추천 베스트 5가 나열되어있다. 가볍게 리모컨 -> 방향을 눌러 목록 중 첫 번째의 채널을 눌렀다. 실시간 채널인지라, 중간부터 시작되어 아쉽지만 일단은 재밌으니 틀어놓고 설거지를 했다. 설거지를 끝내고 돌아온 수영. 이제 한번 제대로 쉬어볼까, 하여 아까 슬라이드 바를 버튼 하나로 불러낸다.리모컨 ‘->’ 버튼을 누르고 이번엔 ‘더 보기’를 누른다. 그러자 5개의 실시간 채널 목록이 아니라, 요즘 화제성과 자신의 취향대로 큐레이션이 된 프로그램 목록이 뜬다. 요즘 수영이 관심있는 드라마도 목록의 상위권을 당연히 차지했다. 이번 회차를 놓쳤는데, 잘 됐다. 해당 프로그램 아이콘을 눌러 ‘바로 시청’을 누르려다가 ‘평점&리뷰’로 들어간다. 웬걸. 평점이 확 깎여있다. 사람들이 이제 안 본다며, 작위적이라며, 난리도 아니다. 설마설마 했는데 ‘진짜로 걔가 걔의 잃어버린 딸이었나보네’, 흥미를 잃어버린 수영은 해당 드라마를 보지 않기로 한다. 대신 추천 목록에서 슬라이드를 좀 더 내리자 ‘가을에 잘 어울리는 감성 멜로 단막극' 이라는 주제의 큐레이션에 눈에 띄었다. ‘내가 한 감성하지!’ 수영의 눈길을 잡아끄는 여러 드라마들이 있었다. 뭘 볼까, 평점을 가볍게 훑어보고 그 중 하나를 택했다. 마치 독립영화 같이 연출이 담백하면서도 여운이 짙게 남는 내용이었다. 마음에 든 수영은 해당 드라마의 베스트 리뷰를 읽어보았다. 민아가 쓴 내용이었다. 군데군데 공감이 가는 구절도 있고, 몰랐던 상징적 의미를 잘 분석해서 ‘아!’ 싶은 내용도 있었다. ‘참 잘 썼네.’ 하트 버튼으로 좋아요 1표 던져준다. 그리고 좀 더 아쉬운 마음에 모바일을 켰다. 블루투스 기능을 키자 모바일 APP에 해당 프로그램 화면으로 바로 연결되었다. 민아의 리뷰 밑에 댓글을 달기 위해 모바일을 킨 것이다. [정말 공감하며 읽었어요^^앞으로도 좋은 리뷰 부탁해요~] 댓글 꾹. 적적할 뻔 했던 하루가 어느새 훌쩍 지났고 아이들이 귀가를 했다. Secondary Scenario
  • 15. Attribute 효율적 즐거운 시끄러운 재미 트렌디 Customizable Helful Playful Joyful At a glance 한눈에 문화 선별적인 감성적 공감 세밀한 시사적 활기찬 정보적인 공유하는 Socialable 입맛에 맞는 친구같은 Entertain 자극적인 호기심있는 Sensitive 낭만적인 공산 Critic Awesome 현실도피 최신의 젊은 청춘 네트워킹 Ranking 흥미로운 수다스러운 전문적인 Routine
  • 20. Attribute _ At a glance At a glance 잘 분류된 축약한 대비되는 선별적인 간단한 효율적인 정돈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