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AS, MS
개요



[인터넷전화의 부가서비스를 책임지는 AS와 MS를 소개합니다.]


                              “요즘 누가 휴대폰으로 통화만
                              하니? 촌스럽게…”라는 말을 들
                              어본 적 있으신가요?
                              이런 말들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
                              로 요즘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으
                              로 통화, 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즐기고 있습니다.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인터넷전화
                              에서도 제공이 될까요? 인터넷전
화로 전화를 걸었을 때 들리는 컬러링, 통화 중이라는 안내 음성, 영상 회의 통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등 인터넷전화에서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그 중 AS, MS가 부가서비스의 핵심 장비
라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전화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 후, 부가서비스
장비인 AS, MS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소개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구성요소
 AS, MS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넷전화 시스템이라는 큰 틀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에 따라 가입자의 단말을 의미하는 접근 계층(Access Layer)부터 망 장비들을 총
 괄 관리하는 관리 계층(Management Layer)까지 총 5개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를 보면 각 계층에 대한 개념과 포함되는 장비를 알 수 있습니다.

<표 1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계층별 구분>

계층 구분       설명 내용                                장비
관리 계층       인터넷전화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거나 운용하는 데에 도움       NMS, TMS

서비스 계층      미리 정해져 있는 다양한 로직에 따라 부가서비스 제공




                                                       AS, LS


제어 계층       전달받은 호(전화)를 보고 수신자 찾기, 호 전달 경로 선택,   SSW, SIP Server,
            호 제어

                                                 IP-Centrex,          GK,

                                                 SG
미디어 계층      음성/영상 통화, 안내방송 등에 필요한 다양한 미디어 제공 및
            처리


                                                 TG,            MS,   VG,


                                                 ,SBC
접근 계층       개인 가입자나 기업이 갖고 있는 단말기나 소형 장비         IP-PBX, 소형GW,



                                                 영상폰, IP폰, WIFI폰




 위에 제시된 대로 인터넷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들이 다양합니다. 각 계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인터넷전화 시스템 개요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S, MS란 무엇인가?




                                                                            2
계층에 속하는 AS(Application
앞서 살펴본 인터넷전화의 구성요소 중 서비스 AS(Application Server) 서비스
                                       지시
Server)와 미디어 계층에 속하는 MS(Media Server)는 부가서비스 제공에 중추적 역
                                       - 서비스 로직 보유
                               - 서비스 가입자 인증/관리
할을 합니다. 이 두 장비를 통해 컬러링 서비스, 영상 사서함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 서비스 과금
                               - 서비스 제공 컨트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S가 서비스 절차를 제어하는 머리 역할 을 한다면, MS가
                                       MS(Media Server) 서비스 수행
                                         -   안내 방송 플레이
부가서비스를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몸 역할 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
                           - 컬러링 송출
                                         -   회의 통화를 위한 믹싱
을 통해 두 장비의 서비스제공 관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 코덱 변환 등 정의와 기능
                              - 다음, 각각의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AS
                          MS




        SSW




    A
                  B


                               PC
   휴대폰        인터넷전화기
                              Client


         <그림 1> AS와 MS의 관계도




예를 들어, A가 B에게 전화를 걸면 제어 계층에 있는 SSW(Softswitch)에게 통화

를 시작하겠다는 신호가 전달됩니다.

만약 B가 RBT 서비스 에 가입해 있다면 SSW는 AS에게 ‘B가 RBT 서비스 에 가입

되어 있어.’라고 전달합니다.




                                                                  3
다시 AS가 MS에게 “B가 RBT 서비스 에 가입되어 있는데, B가 지정한 음원은 ‘

장윤정의 어머나’야. 그러니까 ‘어머나’ 음원을 A에게 내보내야 해.”라고 지시
합니다.

결국 MS가 A에게 B가 지정한 RBT 음원인 ‘장윤정의 어머나’를 내보내게 되는

거죠. 이러한 절차로 부가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4
AS, MS의 정의 및 관계도
 앞서 살펴본 AS와 MS에 대한 정의와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AS
 는 단독으로 서비스를 처리하기 보다는 MS와 함께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습니다.


  AS(Application Server):
  서비스 절차를 실행하고 미디어 자원(MS)을 제어하는 장비로서 서비스 제어 시스템



  MS(Media Server):
  서비스 제어 장비(AS)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각종 처리(플레이, 믹싱, 코덱
  변환 등)를 수행하는 장비로서 미디어 처리 시스템



                            AS




                      제어
                                     멀티미디어
                                 안내 방송 / RBT 컨텐츠


                                                             유선
                                                       무선
                            MS

                                                            단말기


                             <그림 2> AS, MS의 정의 및 관계도




                                                                  5
AS, MS의 기능
 AS(Application Server)와 MS(Media Server)가 연동하여 제공하는 대표적
 인 부가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정의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표 2 AS, MS 연동 제공 서비스 목록>

 번호    주요 기능                설명
  1    RBT 서비스              RBT(Ring Back Tone, 통화연결대기음)는 보통 ‘컬러링’ 서비스라고
                            말합니다. 단, 단순 기본링이 아닌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음악을 재생해
                            줍니다.
  2    MRBT 서비스             MRBT(Multimedia Ring Back Tone)는 앞서 설명한 컬러링 서비스에
                            서 기존의 음성 컬러링 대신 멀티미디어(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등) 컬
                            러링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3    MCID 서비스             MCID(Multimedia Caller ID)는 발신자가 가입자의 번호로 통화 시도
                            시, 발신자가 지정한 자신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착신자에게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4    영상 회의 통화 서비스         먼 지역에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영상 및 음성 통신망을 통해 한 장소에
                            있는 것 같이 영상 회의를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5    선불 통화 서비스            선불 통화 서비스는 선불 카드와 선불제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에 일정 금액의 교통카드를 사서 이용하듯이 선

                            불 카드 서비스는 인증 코드가 담긴 카드를 구매하여 통화하는 서비스

                            입니다. 선불제 서비스는 단말기를 보유한 가입자가 일정 금액을 사전

                            에 미리 지불한 후 그 금액만큼 통화하는 서비스입니다.
  6    SMS/MMS 서비스          사용자가 SMS/MMS 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7    음성 자동안내 서비스          대표번호로 걸려온 전화에 대해 안내 방송을 제공하고, 안내 방송에 따
                            라 수집된 착신번호로 전화를 연결 시키는 서비스입니다.

  8    PTT 서비스              PTT(Push To Talk)는 무전기처럼 1:N으로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서
                            비스입니다.
  9    Video Sharing 서비스    영상 통화 중 본인과 상대방이 함께 영상을 공유해서 볼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10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전화를 걸었는데 상대방이 부재중일 경우 음성/영상 메시지를 남긴 후
                            시스템이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존 음성 사서
                            함 서비스와 형태는 유사하나 영상을 기반으로 합니다.




                                                                               6
AS, MS 서비스 제공의 예
 위 표에서 설명한 서비스 중 일상 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RBT(컬러링) 서비스
 가       어떻게      제공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RBT(컬러링) 서비스 제공 절차


      RBT(Ring Back Tone)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번호로 발신 시
      단순 기본링 형태의 RBT 대신 가입자가 지정한 음악을 재생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제공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SSW




                                  SSW                      AS

               W 전화 연결 시도                RBT(컬러링) 서비스 요
                                        청


         발신자

                                                            림 컬러링 송출
                                                                요청
                                            청 컬러링 플레이
                                                           MS

                       청 전화벨 울림

                                  수신자



     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를 시도합니다.
      수신자의 인터넷전화기 벨이 울립니다.
      신호를 전달받은 SSW가 AS에게 RBT(컬러링) 서비스 제공을 요청합니다.
      AS가 MS에게 컬러링(수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음원) 송출을 요청합니다.
      MS가 발신자의 전화기로 컬러링을 내보냅니다. 발신자는 컬러링을 들으며 수신자가 전화
     받기를 기다립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RBT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그림 3> AS, MS를 통한 RBT 서비스 제공 절차




                                                                       7
요약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가는 정보 통신 시장에서 인터넷전화의 사용이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전화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성 향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는 휴대폰의 컬러링처럼 쓸 수 있
는 인터넷전화의 RBT서비스, 멀리 떨어져 있는 여럿이 함께 얼굴을 보면서 회의할 수 있는 영
상 회의 통화, 영상 사서함 서비스 등 인터넷전화의 질을 높이는 부가서비스의 영향이 크지 않
을까요? 이를 가능케 하는 장비가 AS(Application Server)와 MS(Media Server)입니
다.
AS가 부가서비스 절차를 제어하는 머리 역할을 한다면, MS가 실제로 부가서비스를 수행하는
몸 역할을 합니다. 제가 친구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AS가 컬러링 음원을 내보내라는 지시를
하고, MS가 음원을 내보내어 제가 친구 전화기의 컬러링을 들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휴대폰 못지 않게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인터넷전화의 부가서비스를 통해 앞으로 인터
넷전화의 질이 더욱 향상될 것입니다.




                                                                8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xenersystems

[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
[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
[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xenersystems
 
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
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
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
xenersystems
 
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
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
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
xenersystems
 
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
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
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
xenersystems
 
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
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
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
xenersystems
 
FMC 활용 현황
FMC 활용 현황FMC 활용 현황
FMC 활용 현황
xenersystems
 
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
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
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
xenersystems
 
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
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
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
xenersystems
 
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
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
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
xenersystems
 
[브로셔]NGN
[브로셔]NGN[브로셔]NGN
[브로셔]NGN
xenersystems
 
[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
[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
[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
xenersystems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
xenersystems
 
[브로셔]X-MS (미디어 서버)
[브로셔]X-MS (미디어 서버)[브로셔]X-MS (미디어 서버)
[브로셔]X-MS (미디어 서버)
xenersystems
 
[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
[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
[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
xenersystems
 
[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
[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
[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
xenersystems
 
[브로셔] LI (감청솔루션)
[브로셔] LI (감청솔루션)[브로셔] LI (감청솔루션)
[브로셔] LI (감청솔루션)
xenersystems
 
[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
[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
[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
xenersystems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xenersystems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xenersystems
 
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xenersystems
 

More from xenersystems (20)

[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
[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
[제너시스템즈]iVAS소개자료
 
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
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
FMC구축전략: FMC 품질 고려 사항
 
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
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
Fmc구축전략 ip교환망과무선랜환경
 
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
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
Fmc기대성과와 활용방안
 
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
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
통신사업자 Fmc 서비스 추진 현황
 
FMC 활용 현황
FMC 활용 현황FMC 활용 현황
FMC 활용 현황
 
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
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
FMC 서비스망 개선 사례와 구축 성공 사례
 
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
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
FMC 표준 연구와 표준 SDK
 
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
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
유무선통합서비스(FMC)란?
 
[브로셔]NGN
[브로셔]NGN[브로셔]NGN
[브로셔]NGN
 
[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
[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
[브로셔] ABG (보안 통합 솔루션)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
[브로셔]X-AS (애플리케이션 서버 )
 
[브로셔]X-MS (미디어 서버)
[브로셔]X-MS (미디어 서버)[브로셔]X-MS (미디어 서버)
[브로셔]X-MS (미디어 서버)
 
[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
[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
[브로셔]X-SSW (소프트 스위치)
 
[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
[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
[브로셔]iGuardian ( 모바일 관제/협업 솔루션)
 
[브로셔] LI (감청솔루션)
[브로셔] LI (감청솔루션)[브로셔] LI (감청솔루션)
[브로셔] LI (감청솔루션)
 
[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
[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
[브로셔]X-CSCF [통화/세션 제어 시스템]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기술풀이] FMC물결 탄 스마트폰, 기업전화망으로 전진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LIG투자증권리포트]제너시스템즈
 
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스마트폰은 어떻게 쓰고 있을까?
 

[기술풀이] AS,MS

  • 1. AS, MS 개요 [인터넷전화의 부가서비스를 책임지는 AS와 MS를 소개합니다.] “요즘 누가 휴대폰으로 통화만 하니? 촌스럽게…”라는 말을 들 어본 적 있으신가요? 이런 말들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 로 요즘 많은 사람들이 휴대폰으 로 통화, 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즐기고 있습니다.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인터넷전화 에서도 제공이 될까요? 인터넷전 화로 전화를 걸었을 때 들리는 컬러링, 통화 중이라는 안내 음성, 영상 회의 통화, 음성 사서함 서비스 등 인터넷전화에서도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그 중 AS, MS가 부가서비스의 핵심 장비 라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전화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 후, 부가서비스 장비인 AS, MS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 2. 소개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구성요소 AS, MS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인터넷전화 시스템이라는 큰 틀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에 따라 가입자의 단말을 의미하는 접근 계층(Access Layer)부터 망 장비들을 총 괄 관리하는 관리 계층(Management Layer)까지 총 5개의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음 표를 보면 각 계층에 대한 개념과 포함되는 장비를 알 수 있습니다. <표 1 인터넷전화 시스템의 계층별 구분> 계층 구분 설명 내용 장비 관리 계층 인터넷전화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거나 운용하는 데에 도움 NMS, TMS 서비스 계층 미리 정해져 있는 다양한 로직에 따라 부가서비스 제공 AS, LS 제어 계층 전달받은 호(전화)를 보고 수신자 찾기, 호 전달 경로 선택, SSW, SIP Server, 호 제어 IP-Centrex, GK, SG 미디어 계층 음성/영상 통화, 안내방송 등에 필요한 다양한 미디어 제공 및 처리 TG, MS, VG, ,SBC 접근 계층 개인 가입자나 기업이 갖고 있는 단말기나 소형 장비 IP-PBX, 소형GW, 영상폰, IP폰, WIFI폰 위에 제시된 대로 인터넷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비들이 다양합니다. 각 계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인터넷전화 시스템 개요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S, MS란 무엇인가? 2
  • 3. 계층에 속하는 AS(Application 앞서 살펴본 인터넷전화의 구성요소 중 서비스 AS(Application Server) 서비스 지시 Server)와 미디어 계층에 속하는 MS(Media Server)는 부가서비스 제공에 중추적 역 - 서비스 로직 보유 - 서비스 가입자 인증/관리 할을 합니다. 이 두 장비를 통해 컬러링 서비스, 영상 사서함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 서비스 과금 - 서비스 제공 컨트롤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S가 서비스 절차를 제어하는 머리 역할 을 한다면, MS가 MS(Media Server) 서비스 수행 - 안내 방송 플레이 부가서비스를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몸 역할 을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그림 - 컬러링 송출 - 회의 통화를 위한 믹싱 을 통해 두 장비의 서비스제공 관계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 코덱 변환 등 정의와 기능 - 다음, 각각의 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AS MS SSW A B PC 휴대폰 인터넷전화기 Client <그림 1> AS와 MS의 관계도 예를 들어, A가 B에게 전화를 걸면 제어 계층에 있는 SSW(Softswitch)에게 통화 를 시작하겠다는 신호가 전달됩니다. 만약 B가 RBT 서비스 에 가입해 있다면 SSW는 AS에게 ‘B가 RBT 서비스 에 가입 되어 있어.’라고 전달합니다. 3
  • 4. 다시 AS가 MS에게 “B가 RBT 서비스 에 가입되어 있는데, B가 지정한 음원은 ‘ 장윤정의 어머나’야. 그러니까 ‘어머나’ 음원을 A에게 내보내야 해.”라고 지시 합니다. 결국 MS가 A에게 B가 지정한 RBT 음원인 ‘장윤정의 어머나’를 내보내게 되는 거죠. 이러한 절차로 부가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4
  • 5. AS, MS의 정의 및 관계도 앞서 살펴본 AS와 MS에 대한 정의와 관계를 정리하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AS 는 단독으로 서비스를 처리하기 보다는 MS와 함께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습니다. AS(Application Server): 서비스 절차를 실행하고 미디어 자원(MS)을 제어하는 장비로서 서비스 제어 시스템 MS(Media Server): 서비스 제어 장비(AS)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각종 처리(플레이, 믹싱, 코덱 변환 등)를 수행하는 장비로서 미디어 처리 시스템 AS 제어 멀티미디어 안내 방송 / RBT 컨텐츠 유선 무선 MS 단말기 <그림 2> AS, MS의 정의 및 관계도 5
  • 6. AS, MS의 기능 AS(Application Server)와 MS(Media Server)가 연동하여 제공하는 대표적 인 부가서비스에 대해 간략히 정의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표 2 AS, MS 연동 제공 서비스 목록> 번호 주요 기능 설명 1 RBT 서비스 RBT(Ring Back Tone, 통화연결대기음)는 보통 ‘컬러링’ 서비스라고 말합니다. 단, 단순 기본링이 아닌 가입자가 지정한 특정 음악을 재생해 줍니다. 2 MRBT 서비스 MRBT(Multimedia Ring Back Tone)는 앞서 설명한 컬러링 서비스에 서 기존의 음성 컬러링 대신 멀티미디어(이미지, 동영상, 캐릭터 등) 컬 러링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3 MCID 서비스 MCID(Multimedia Caller ID)는 발신자가 가입자의 번호로 통화 시도 시, 발신자가 지정한 자신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착신자에게 보여주는 서비스입니다. 4 영상 회의 통화 서비스 먼 지역에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 영상 및 음성 통신망을 통해 한 장소에 있는 것 같이 영상 회의를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5 선불 통화 서비스 선불 통화 서비스는 선불 카드와 선불제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에 일정 금액의 교통카드를 사서 이용하듯이 선 불 카드 서비스는 인증 코드가 담긴 카드를 구매하여 통화하는 서비스 입니다. 선불제 서비스는 단말기를 보유한 가입자가 일정 금액을 사전 에 미리 지불한 후 그 금액만큼 통화하는 서비스입니다. 6 SMS/MMS 서비스 사용자가 SMS/MMS 수신이 가능한 유/무선 단말기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7 음성 자동안내 서비스 대표번호로 걸려온 전화에 대해 안내 방송을 제공하고, 안내 방송에 따 라 수집된 착신번호로 전화를 연결 시키는 서비스입니다. 8 PTT 서비스 PTT(Push To Talk)는 무전기처럼 1:N으로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서 비스입니다. 9 Video Sharing 서비스 영상 통화 중 본인과 상대방이 함께 영상을 공유해서 볼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10 영상 사서함 서비스 전화를 걸었는데 상대방이 부재중일 경우 음성/영상 메시지를 남긴 후 시스템이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존 음성 사서 함 서비스와 형태는 유사하나 영상을 기반으로 합니다. 6
  • 7. AS, MS 서비스 제공의 예 위 표에서 설명한 서비스 중 일상 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RBT(컬러링) 서비스 가 어떻게 제공되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RBT(컬러링) 서비스 제공 절차 RBT(Ring Back Tone)는 발신자가 수신자의 번호로 발신 시 단순 기본링 형태의 RBT 대신 가입자가 지정한 음악을 재생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서비스 제공 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SSW SSW AS W 전화 연결 시도  RBT(컬러링) 서비스 요 청 발신자 림 컬러링 송출 요청 청 컬러링 플레이 MS 청 전화벨 울림 수신자 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눌러 통화를 시도합니다.  수신자의 인터넷전화기 벨이 울립니다.  신호를 전달받은 SSW가 AS에게 RBT(컬러링) 서비스 제공을 요청합니다.  AS가 MS에게 컬러링(수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음원) 송출을 요청합니다.  MS가 발신자의 전화기로 컬러링을 내보냅니다. 발신자는 컬러링을 들으며 수신자가 전화 받기를 기다립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RBT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그림 3> AS, MS를 통한 RBT 서비스 제공 절차 7
  • 8. 요약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가는 정보 통신 시장에서 인터넷전화의 사용이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전화비용 절감과 업무 효율성 향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이는 휴대폰의 컬러링처럼 쓸 수 있 는 인터넷전화의 RBT서비스, 멀리 떨어져 있는 여럿이 함께 얼굴을 보면서 회의할 수 있는 영 상 회의 통화, 영상 사서함 서비스 등 인터넷전화의 질을 높이는 부가서비스의 영향이 크지 않 을까요? 이를 가능케 하는 장비가 AS(Application Server)와 MS(Media Server)입니 다. AS가 부가서비스 절차를 제어하는 머리 역할을 한다면, MS가 실제로 부가서비스를 수행하는 몸 역할을 합니다. 제가 친구에게 전화를 걸었을 때, AS가 컬러링 음원을 내보내라는 지시를 하고, MS가 음원을 내보내어 제가 친구 전화기의 컬러링을 들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휴대폰 못지 않게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인터넷전화의 부가서비스를 통해 앞으로 인터 넷전화의 질이 더욱 향상될 것입니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