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속시원내과 내부 교육용 자료[5]
Helicobacter pylori의 발견
나폴레옹과 위궤양
• 1821년 5월 5일 저녁, 나폴레옹 황제
는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임종을 맞이
하였다. 자신이 죽게되면 반드시 사
인을 밝혀달라던 생전의 당부대로 다
음날 부검이 시행되었다.

• 5명의 영국 군의관들이 서명한 부검
소견서의 주된 내용은 간에 위가 유
착되어 있고, 이 부위에 새끼손가락
이 들어갈만한 구멍이 나있는, ‘위 유
문부의 암성 궤양’이었다.
Nobel Prize in physiology
of .Medicine 2005

• 베리 마샬과 로빈워렌 박사는 위염과 소화
성궤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헬리
코박터균을 발견하여 이 공로로 노벨상을
받음.
• 이 균의 발견으로 인해 소화성 궤양은 더 이
상 만성적이거나 불치의 병이 아니고, 완치
가 가능한 질환이 되었다.
• 오랫동안 궤양은 스트레스와 자극성의 음
식의 결과로 생긴 위의 병리적 형태로 여겨
져왔으나 베리 마샬과 로빈 워렌의 헬리코
박터 균 발견에 의해 위궤양은 세균 감염으
로 생기고 완전히 치유될 수 있음을 알게 되
었다.
• 이러한 사실은 처음 학회에 발표되었을때
지동설을 주장했던 갈릴레이 처럼 처음에
아무도 믿지 않았다.
• Barry Marshall and Robin Warren은 당시 팽배해
있고 누구도 부정하지 않았던 dogma인 소화성
궤양의 원인에 대하여,
• 세균 감염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처음으로 주장하
였고 입증하였다.
• 이 발견으로 인하여 수천만명 이상의 사람이 소화
성 궤양을 항생제 치료로 완치할 수 있는 길을 열
어주었으며,
• 만성 세균 감염과 암의 관계에 대해 더 많이 이해
하게 되었다.
발견
• 베리 마샬 박사는
워렌 박사의 발견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 세균을 배양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배양을 위해 많은 실험이 있었으나 배양되지 않다가 1982
년 부활절에 실수로 배양기에 plate 하나가 남겨졌고 이 plate내
에 세균 콜로니가 무수히 배양되었다.
• 곧 새로운 박테리아가 휴가기간이 끝나고 돌아온 마샬 박사에
게 발견되었고 새로운 박테리아는 모양에서 이름따
Helicobacter pylori로 명명 되었다.
• 웨렌 박사는 병리학자로서 위궤양을 앓은 환자의 위점막에 나
선형의 세균이 중요한 역할을 강한 위산 환경의 위점막에서 점
액으로 보호받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 이 세균이 많은 점막부위에 위염과 위궤양이 심한 것을 관찰하
여 위염, 위궤양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균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일부의 감염자에게서 위장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균 자체는 매우 변화가
많고 헬리코박터 균 자체의 유전적
변화는 위장질환의 위험에 다양한
영향을 준다.
또한 사람 개개인의 유전적 다양성
또한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주게
된다.
헬리코박터 균 감염은 전세계 인구의 약 50%에서 감염되어 있고
나라마다 감염율이 차이가 많다.
대부분의 감염은 어린시절에 발생하며 엄마에게서 아이로 감염되게
된다. 일단 감염 되면 위장내에서 일생동안 남아 있게 된다.
• 대부분의 경우 헬리코박
터 균 감염은 증상이 없
으나 10-15%의 감염자
중에서 소화성 궤양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
한 합병증(출혈, 천공,
장폐색)등을 경험하게
된다.
일부의 환자에서 헬리코
박터 균 감염은 위의 체
부쪽에 감염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위점막의 염증
을 일으켜 궤양 뿐 아니
라 위암을 일으키게 된
다.
소화성 궤양은 위보다
십이지장에서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Adhesion

• 헬리코박터 균은
adhesin이라는 물질
을 분비하여 위점막의
세포에 특정 수용체와
달라붙게 된다.
Virulence
• 헬리코박터 균중 일
부는 염색체에 DNA
부분인 cag을 포함
하고 있으며,
• 이 부분(cag)은 위
점막에서 염증 반응
을 일으키게 한다.
Protection & Flagella
• 헬리코박터 균은
urease를 생산 분
비하여 위산을 중
화시킨다.
• 헬리코박터균은 위
점막층을 flagella를
이용하여 프로펠러
처럼 움직여서 움직
이고 부착하게 된다.
Immune evasion and suppression
• 비록 헬리코박터 균이
위점막에 염증을 일으키
지만, 염증을 억제하여
오랜기간 살아가는 방법
들이 있다.
• (ex : toxin을 분비하여 T
림프구를 사멸시킨다.)
Link between H.pylori & gastritis

• 코흐의 4번째 법칙인
세균이 질병을 일으킨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동정된 세균이 실험동물이나 인체에 같은 질환을 일으키
는 것을 증명하여야 했다.
그러한 실험동물이 없었으므로
• 마샬은 헬리코박터균 콜로니를 직접 마셨고 이후 극심한
위염과 위궤양에 시달렸고 결국 가설을 증명하게 되었다.
Link between H.pylori & gastritis
• 마샬과 워렌은 위점막에서

항

생제 치료로 헬리코박터 균의
제거후에 소화성 궤양이 완전히
치료가 되는 것을 밝혀내었다.
Relationship between
H.pylori & Human
• 현재에는 대부분의 소화성 궤양이 헬리코박터 균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
며, 대부분의 사람이 어린시절 감염된 이후 일생
동안 감염을 유지하게 된다.
• 전인류의 절반이상이 감염되어 있지만 운이 좋게
대부분의 감염자가 증상을 느끼지는 못한다.
• 헬리코박터 균은 오직 사람의 위장내에서
만 존재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헬리코
박터균과 숙주인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위
궤양, 위암은 오랜시간동안 평화롭게 유지
되던 서로의 관계가 깨진 결과라고 볼 수 있
다.
• 이 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미국 NIH에서도 1994
년 2월 7∼9일에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를 개최하
여 십이지장궤양이나 위궤양 환자에게 반드시 균
박멸치료를 하도록 공식적으로 천명하게되어 궤
양 치료에 역사적인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Helicobacter pylori in peptic ulcer disease. JAMA 1994; 272: 65-9.
진단 방법
•

감염성 질환의 진단에서는 균배양이 가장 중요하지만 헬리코박터 균의 경우 예민도가 가장 떨
어지는 방법이다. (60-80%이내)

•

1) CLO test (rapid urease test) : 균의 urease에 의해 pH가 변하여
붉은색으로 양성 반응을 보임 (예민도와 특이도가 매우 높고
그자리에서 간편하게 결과를 알수 있다)
2) UBT test : (urea breath test)는 가장 좋은 비침습적 진단 방법으로
예민도와 특이도가 95% 정도로 매우높다.
3) 혈청 검사 - IgG가 가장 정확, 현재 만성적인 감염을 의미
내시경 없이 진단을 할 수 있는 좋은 검사방법
H. pylori 박멸 여부를 확인안됨
4) 조직 검사 – 염색(Giemsa 염색법, Warthin-Starry 은염색)
5) stool antigen assay
6) salivary assay
7) urinary assay

•

•

•
•
•
•
우리나라 제균 치료의 대상
• 1998년 대한헬리코박터 연구회에서 제정
한 권고안
• 1) 반흔을 포함하는 모든 소화성 궤양
• 2) 위 점막 및 점막하에 국한된 저위도 B 세
포 MALT 림프종
• 3)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절제술 후 환자
• => 보험 급여 가능
Korean Helicobacter pylori Study Group.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1998;32:275-289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Changhwa Lee

[6] 금연 챔픽스 20091215
[6] 금연   챔픽스 20091215[6] 금연   챔픽스 20091215
[6] 금연 챔픽스 20091215
Changhwa Lee
 
[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
[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
[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
Changhwa Lee
 
[7] 만성c형 간염 20100308
[7] 만성c형 간염 20100308[7] 만성c형 간염 20100308
[7] 만성c형 간염 20100308
Changhwa Lee
 
[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
[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
[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
Changhwa Lee
 
[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
[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
[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
Changhwa Lee
 
[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
[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
[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
Changhwa Lee
 

More from Changhwa Lee (6)

[6] 금연 챔픽스 20091215
[6] 금연   챔픽스 20091215[6] 금연   챔픽스 20091215
[6] 금연 챔픽스 20091215
 
[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
[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
[4] 신종인플루엔자 h1 n1 20091116
 
[7] 만성c형 간염 20100308
[7] 만성c형 간염 20100308[7] 만성c형 간염 20100308
[7] 만성c형 간염 20100308
 
[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
[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
[3] 역류성 식도염,리어카행상의 경영 20091109
 
[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
[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
[2] 대장의 구조와기능, 유한킴벌리, 이미지 메이킹 20091026
 
[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
[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
[1] 위십이지장구조기능,노드스트롬백화점20091019
 

[5] 헬리코박터 균의 발견 20091130

  • 1. 속시원내과 내부 교육용 자료[5] Helicobacter pylori의 발견
  • 2. 나폴레옹과 위궤양 • 1821년 5월 5일 저녁, 나폴레옹 황제 는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임종을 맞이 하였다. 자신이 죽게되면 반드시 사 인을 밝혀달라던 생전의 당부대로 다 음날 부검이 시행되었다. • 5명의 영국 군의관들이 서명한 부검 소견서의 주된 내용은 간에 위가 유 착되어 있고, 이 부위에 새끼손가락 이 들어갈만한 구멍이 나있는, ‘위 유 문부의 암성 궤양’이었다.
  • 3. Nobel Prize in physiology of .Medicine 2005 • 베리 마샬과 로빈워렌 박사는 위염과 소화 성궤양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헬리 코박터균을 발견하여 이 공로로 노벨상을 받음. • 이 균의 발견으로 인해 소화성 궤양은 더 이 상 만성적이거나 불치의 병이 아니고, 완치 가 가능한 질환이 되었다.
  • 4. • 오랫동안 궤양은 스트레스와 자극성의 음 식의 결과로 생긴 위의 병리적 형태로 여겨 져왔으나 베리 마샬과 로빈 워렌의 헬리코 박터 균 발견에 의해 위궤양은 세균 감염으 로 생기고 완전히 치유될 수 있음을 알게 되 었다. • 이러한 사실은 처음 학회에 발표되었을때 지동설을 주장했던 갈릴레이 처럼 처음에 아무도 믿지 않았다.
  • 5. • Barry Marshall and Robin Warren은 당시 팽배해 있고 누구도 부정하지 않았던 dogma인 소화성 궤양의 원인에 대하여, • 세균 감염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처음으로 주장하 였고 입증하였다. • 이 발견으로 인하여 수천만명 이상의 사람이 소화 성 궤양을 항생제 치료로 완치할 수 있는 길을 열 어주었으며, • 만성 세균 감염과 암의 관계에 대해 더 많이 이해 하게 되었다.
  • 6. 발견 • 베리 마샬 박사는 워렌 박사의 발견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 세균을 배양하기로 결정하였다. 이후 배양을 위해 많은 실험이 있었으나 배양되지 않다가 1982 년 부활절에 실수로 배양기에 plate 하나가 남겨졌고 이 plate내 에 세균 콜로니가 무수히 배양되었다. • 곧 새로운 박테리아가 휴가기간이 끝나고 돌아온 마샬 박사에 게 발견되었고 새로운 박테리아는 모양에서 이름따 Helicobacter pylori로 명명 되었다.
  • 7. • 웨렌 박사는 병리학자로서 위궤양을 앓은 환자의 위점막에 나 선형의 세균이 중요한 역할을 강한 위산 환경의 위점막에서 점 액으로 보호받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 이 세균이 많은 점막부위에 위염과 위궤양이 심한 것을 관찰하 여 위염, 위궤양의 발생에 중요한 원인균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 8. 일부의 감염자에게서 위장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균 자체는 매우 변화가 많고 헬리코박터 균 자체의 유전적 변화는 위장질환의 위험에 다양한 영향을 준다. 또한 사람 개개인의 유전적 다양성 또한 질환의 발생에 영향을 주게 된다.
  • 9. 헬리코박터 균 감염은 전세계 인구의 약 50%에서 감염되어 있고 나라마다 감염율이 차이가 많다. 대부분의 감염은 어린시절에 발생하며 엄마에게서 아이로 감염되게 된다. 일단 감염 되면 위장내에서 일생동안 남아 있게 된다.
  • 10. • 대부분의 경우 헬리코박 터 균 감염은 증상이 없 으나 10-15%의 감염자 중에서 소화성 궤양을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 한 합병증(출혈, 천공, 장폐색)등을 경험하게 된다.
  • 11. 일부의 환자에서 헬리코 박터 균 감염은 위의 체 부쪽에 감염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위점막의 염증 을 일으켜 궤양 뿐 아니 라 위암을 일으키게 된 다.
  • 13. Adhesion • 헬리코박터 균은 adhesin이라는 물질 을 분비하여 위점막의 세포에 특정 수용체와 달라붙게 된다.
  • 14. Virulence • 헬리코박터 균중 일 부는 염색체에 DNA 부분인 cag을 포함 하고 있으며, • 이 부분(cag)은 위 점막에서 염증 반응 을 일으키게 한다.
  • 15. Protection & Flagella • 헬리코박터 균은 urease를 생산 분 비하여 위산을 중 화시킨다. • 헬리코박터균은 위 점막층을 flagella를 이용하여 프로펠러 처럼 움직여서 움직 이고 부착하게 된다.
  • 16. Immune evasion and suppression • 비록 헬리코박터 균이 위점막에 염증을 일으키 지만, 염증을 억제하여 오랜기간 살아가는 방법 들이 있다. • (ex : toxin을 분비하여 T 림프구를 사멸시킨다.)
  • 17. Link between H.pylori & gastritis • 코흐의 4번째 법칙인 세균이 질병을 일으킨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동정된 세균이 실험동물이나 인체에 같은 질환을 일으키 는 것을 증명하여야 했다. 그러한 실험동물이 없었으므로 • 마샬은 헬리코박터균 콜로니를 직접 마셨고 이후 극심한 위염과 위궤양에 시달렸고 결국 가설을 증명하게 되었다.
  • 18. Link between H.pylori & gastritis • 마샬과 워렌은 위점막에서 항 생제 치료로 헬리코박터 균의 제거후에 소화성 궤양이 완전히 치료가 되는 것을 밝혀내었다.
  • 19. Relationship between H.pylori & Human • 현재에는 대부분의 소화성 궤양이 헬리코박터 균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 며, 대부분의 사람이 어린시절 감염된 이후 일생 동안 감염을 유지하게 된다. • 전인류의 절반이상이 감염되어 있지만 운이 좋게 대부분의 감염자가 증상을 느끼지는 못한다.
  • 20. • 헬리코박터 균은 오직 사람의 위장내에서 만 존재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헬리코 박터균과 숙주인 사람에게서 발생하는 위 궤양, 위암은 오랜시간동안 평화롭게 유지 되던 서로의 관계가 깨진 결과라고 볼 수 있 다.
  • 21. • 이 균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미국 NIH에서도 1994 년 2월 7∼9일에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를 개최하 여 십이지장궤양이나 위궤양 환자에게 반드시 균 박멸치료를 하도록 공식적으로 천명하게되어 궤 양 치료에 역사적인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Helicobacter pylori in peptic ulcer disease. JAMA 1994; 272: 65-9.
  • 22. 진단 방법 • 감염성 질환의 진단에서는 균배양이 가장 중요하지만 헬리코박터 균의 경우 예민도가 가장 떨 어지는 방법이다. (60-80%이내) • 1) CLO test (rapid urease test) : 균의 urease에 의해 pH가 변하여 붉은색으로 양성 반응을 보임 (예민도와 특이도가 매우 높고 그자리에서 간편하게 결과를 알수 있다) 2) UBT test : (urea breath test)는 가장 좋은 비침습적 진단 방법으로 예민도와 특이도가 95% 정도로 매우높다. 3) 혈청 검사 - IgG가 가장 정확, 현재 만성적인 감염을 의미 내시경 없이 진단을 할 수 있는 좋은 검사방법 H. pylori 박멸 여부를 확인안됨 4) 조직 검사 – 염색(Giemsa 염색법, Warthin-Starry 은염색) 5) stool antigen assay 6) salivary assay 7) urinary assay • • • • • •
  • 23. 우리나라 제균 치료의 대상 • 1998년 대한헬리코박터 연구회에서 제정 한 권고안 • 1) 반흔을 포함하는 모든 소화성 궤양 • 2) 위 점막 및 점막하에 국한된 저위도 B 세 포 MALT 림프종 • 3)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절제술 후 환자 • => 보험 급여 가능 Korean Helicobacter pylori Study Group. Diagnosis and treat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1998;32:275-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