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NoNamed의
발자취
DSM Embedded Club NONAMED
2018. 01. 04.
발표자 송근재
01. NoNamed 소개
02. NoNamed 자랑
03. 전공 동아리가 중요한 이유
04. 전공 동아리의 목적
CONTENTS
NoNamed 소개
NoNamed 소개
NoNamed는 뭐하는 곳입니까?
1
NoNamed
대마고에 있는 희소한
2개의 임베디드 동아리들 중 하나
임베디드 SW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모여서
닥치는 대로 멋있는 거 만드는 동아리
NoNamed 소개
NoNamed는 뭐하는 곳입니까?
2
그냥 이런 거 만들어요….
Remote Control Car
Drone
뇌파로 하는
아스팔트 게임
NoNamed 소개
NoNamed 생태계
3
우두머리 이수민
그 외 깔따구들(코딩 노예, 짐꾼)
여기 서있는 제가 그 중 한 명입니다.
NoNamed 자랑
우린 수상 경력이 하나도 없어요!
그렇지만…
뭐 동아리SW경진대회 장려상 째끄만거 받긴 했지만…
1부터 10까지. 프로젝트
간단한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직접 일일이…
1
1학년 동아리원들이 처음부터 직접 만들어 본
1학년들의 첫 동아리 프로젝트!
Remote Control Car 제작
1부터 10까지. 프로젝트
간단한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직접 일일이…
2
2학년들이 주체가 되어 오픈 소스나
오픈 하드웨어 없이 처음부터 직접 개발한 프로젝트
Drone 제작
1부터 10까지. 프로젝트
간단한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직접 일일이…
3
1학년들과 2학년들의 합동 프로젝트
뇌파로 부스터를, 손목으로 차체 회전을 컨트롤!
뇌파와 손목으로 하는 ASPHALT 게임기 제작
오지는 친목
친목도 실력이다!
4
회식 엄청 하는 정말 정이 넘치는 동아리
엄청난 열정
엄청나게 갈리고 일하고 개발하는 친구들
4
프로젝트를 위해서 주말까지 반납하여
개발에 열정을 쏟는 팀원들
전공 동아리가 중요한 이유
빵빵한 지원
DSM은 정말 대단한 학교입니다.
1
기술적 지원
선배들의 경험
동료들의 지식
훌륭한 멘토 섭외
물질적 지원
많은 부품
동아리실
각종 세미나,
대회 참여
이만큼 자신에게 오는 기회는 더 늘어난다!
혼자? 팀!
We are a team
2
개인 프로젝트로 얻을 수 없는 것들을 얻을 수 있다.
Communication Pair Coding
Members”
Knowledge
People
팀으로서 팀원이 가져야 할 것
What you need
3
책임감
열정
(하고자 하는
의지와 마음)
팀으로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
먹튀 금지
먹은만큼 내뱉자...
네가 나태하고 있는 순간에도 예산과 시간은 먹을만큼 먹었고
팀원들의 노력과 시간은 사용되고 있다.
전공 동아리의 목적
단 하나
Only One
1
Research
연구
연구?
그게 뭐죠? 우린 연구원이 아닌데…
2
(나(고2 개발 찌끄레기)만의) 연구의 정의
새로운 것을 얻어내는 것
남들이 했건 안했건 직접 처음부터
프로젝트의 function을 구현하는 것
지금까지 나든 팀이든 경험해보지 않았던
지식을 학습하여 output의 창출과 그 과정
물론 cos(), sin()이나 atan2() 이런 함수들 말고…
엔진이나 막 정말 필요한 라이브러리 말고… 알고리즘 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거…
개무시해도 돼
세상엔 너무나도 편하고 짱짱인 오픈 소스가 많은데…
3 오픈 소스 쓰면 안 돼?
오픈 소스? 좋지!
근데 그거 include할 때 이해하고 써?
그 헤더 파일없이 그 기능 만들어 낼 수 있어?
나중에 프로젝트 설명할 때 그냥 누가
GitHub에 올린 거 가져다 썼다고 설명할래?
그냥 include만 할 줄 아는 거야?
개발시간도 단축하고 얼마나 좋아!
아니 NoNamed가 뭐길래 왈가왈부야?
3 그럼 느그 동아리는?
그럼 너넨 개발할 때 OPEN 안 쓰냐?
응
Drone?
걍 이런 거 꽂고 설정 몇 번 하면 날던데?
날기야 날지.
근데 너 그거 어떤 알고리즘과 기술로 나는지 설명할 수 있어?
어..글쎄.. 니네는 설명할 수 있냐?
시중에 많이 판매되는 드론의 메인 컨트롤러들
당연한 거 아니야?
설명해봐!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떤 동아리가 참된 동아리인가.
3 전공 동아리의 추구점
이전까지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공부하고 응용하는 것을 좋아하며
동료와 후배들에게 include하는
기술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thinking과 self-making
능력을 길러주는
그런 동아리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80104 NoNamed Introduction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
Hyun-sik Yoo
 
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
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
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
Kim kyoung-song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해강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DaeMyung Kang
 
[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
[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
[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
해강
 
20180302 NoNamed Introduction
20180302 NoNamed Introduction20180302 NoNamed Introduction
20180302 NoNamed Introduction
NoNamed DSM
 
트리거 시스템
트리거 시스템트리거 시스템
트리거 시스템승형 이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springgames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NAVER D2
 
[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
[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
[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
해강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Wonha Ryu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Eunseok Yi
 
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
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
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
JuHong Jeong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devCAT Studio, NEXON
 
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
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
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
Eunseok Yi
 
[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
[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
[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
Hoyeon Kim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WonJongOh1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devCAT Studio, NEXON
 
인프라사업팀 소개
인프라사업팀 소개인프라사업팀 소개
인프라사업팀 소개Il-joon Park
 

Similar to 20180104 NoNamed Introduction (20)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직하기
 
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
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
사내 TDD 도입을 위한 설명 문서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Dev rookie]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13.05.11)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게임강연정리
게임강연정리게임강연정리
게임강연정리
 
[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
[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
[Dev rookie] 나는 네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13.08.24)
 
20180302 NoNamed Introduction
20180302 NoNamed Introduction20180302 NoNamed Introduction
20180302 NoNamed Introduction
 
트리거 시스템
트리거 시스템트리거 시스템
트리거 시스템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인디 게임을 개발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
[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
[Dev rookie] Omnibus Me (2014.01.11)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현업 엔지니어의 시각에서 본 알고리즘 공부의 장점과 단점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
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
Hello World 천안아산 발표자료 - 학생 개발자로 학생을 뛰어넘기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오승준, 사회적 기술이 프로그래머 인생을 바꿔주는 이유, NDC2011
 
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
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
NDC 2013 이은석 - 게임 디렉터가 뭐하는 건가요
 
[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
[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
[NDC2014]쉽게 따라 할 수있는 "꽤" 훌륭한 유저 동향 분석 시스템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0917_서인고_멘토링_오원종_최종.pdf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인프라사업팀 소개
인프라사업팀 소개인프라사업팀 소개
인프라사업팀 소개
 

20180104 NoNamed Introduction

  • 1. NoNamed의 발자취 DSM Embedded Club NONAMED 2018. 01. 04. 발표자 송근재
  • 2. 01. NoNamed 소개 02. NoNamed 자랑 03. 전공 동아리가 중요한 이유 04. 전공 동아리의 목적 CONTENTS
  • 4. NoNamed 소개 NoNamed는 뭐하는 곳입니까? 1 NoNamed 대마고에 있는 희소한 2개의 임베디드 동아리들 중 하나 임베디드 SW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모여서 닥치는 대로 멋있는 거 만드는 동아리
  • 5. NoNamed 소개 NoNamed는 뭐하는 곳입니까? 2 그냥 이런 거 만들어요…. Remote Control Car Drone 뇌파로 하는 아스팔트 게임
  • 6. NoNamed 소개 NoNamed 생태계 3 우두머리 이수민 그 외 깔따구들(코딩 노예, 짐꾼) 여기 서있는 제가 그 중 한 명입니다.
  • 8. 우린 수상 경력이 하나도 없어요! 그렇지만… 뭐 동아리SW경진대회 장려상 째끄만거 받긴 했지만…
  • 9. 1부터 10까지. 프로젝트 간단한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직접 일일이… 1 1학년 동아리원들이 처음부터 직접 만들어 본 1학년들의 첫 동아리 프로젝트! Remote Control Car 제작
  • 10. 1부터 10까지. 프로젝트 간단한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직접 일일이… 2 2학년들이 주체가 되어 오픈 소스나 오픈 하드웨어 없이 처음부터 직접 개발한 프로젝트 Drone 제작
  • 11. 1부터 10까지. 프로젝트 간단한 것부터 어려운 것까지 직접 일일이… 3 1학년들과 2학년들의 합동 프로젝트 뇌파로 부스터를, 손목으로 차체 회전을 컨트롤! 뇌파와 손목으로 하는 ASPHALT 게임기 제작
  • 12. 오지는 친목 친목도 실력이다! 4 회식 엄청 하는 정말 정이 넘치는 동아리
  • 13. 엄청난 열정 엄청나게 갈리고 일하고 개발하는 친구들 4 프로젝트를 위해서 주말까지 반납하여 개발에 열정을 쏟는 팀원들
  • 15. 빵빵한 지원 DSM은 정말 대단한 학교입니다. 1 기술적 지원 선배들의 경험 동료들의 지식 훌륭한 멘토 섭외 물질적 지원 많은 부품 동아리실 각종 세미나, 대회 참여 이만큼 자신에게 오는 기회는 더 늘어난다!
  • 16. 혼자? 팀! We are a team 2 개인 프로젝트로 얻을 수 없는 것들을 얻을 수 있다. Communication Pair Coding Members” Knowledge People
  • 17. 팀으로서 팀원이 가져야 할 것 What you need 3 책임감 열정 (하고자 하는 의지와 마음) 팀으로 프로젝트를 하게 되면 먹튀 금지 먹은만큼 내뱉자... 네가 나태하고 있는 순간에도 예산과 시간은 먹을만큼 먹었고 팀원들의 노력과 시간은 사용되고 있다.
  • 20. 연구? 그게 뭐죠? 우린 연구원이 아닌데… 2 (나(고2 개발 찌끄레기)만의) 연구의 정의 새로운 것을 얻어내는 것 남들이 했건 안했건 직접 처음부터 프로젝트의 function을 구현하는 것 지금까지 나든 팀이든 경험해보지 않았던 지식을 학습하여 output의 창출과 그 과정 물론 cos(), sin()이나 atan2() 이런 함수들 말고… 엔진이나 막 정말 필요한 라이브러리 말고… 알고리즘 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거… 개무시해도 돼
  • 21. 세상엔 너무나도 편하고 짱짱인 오픈 소스가 많은데… 3 오픈 소스 쓰면 안 돼? 오픈 소스? 좋지! 근데 그거 include할 때 이해하고 써? 그 헤더 파일없이 그 기능 만들어 낼 수 있어? 나중에 프로젝트 설명할 때 그냥 누가 GitHub에 올린 거 가져다 썼다고 설명할래? 그냥 include만 할 줄 아는 거야? 개발시간도 단축하고 얼마나 좋아!
  • 22. 아니 NoNamed가 뭐길래 왈가왈부야? 3 그럼 느그 동아리는? 그럼 너넨 개발할 때 OPEN 안 쓰냐? 응 Drone? 걍 이런 거 꽂고 설정 몇 번 하면 날던데? 날기야 날지. 근데 너 그거 어떤 알고리즘과 기술로 나는지 설명할 수 있어? 어..글쎄.. 니네는 설명할 수 있냐? 시중에 많이 판매되는 드론의 메인 컨트롤러들 당연한 거 아니야? 설명해봐!
  • 23.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떤 동아리가 참된 동아리인가. 3 전공 동아리의 추구점 이전까지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공부하고 응용하는 것을 좋아하며 동료와 후배들에게 include하는 기술을 알려주는 것이 아닌 thinking과 self-making 능력을 길러주는 그런 동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