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1 -
제주도 이주 제주사회의 변동과 전망,	
최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1. 제주 이주 현황
제주의 순유입 인구가 년을 기점으로 순유출인구보다 많다는 점에 주목2010◯
대 이전과 대까지의 인구 유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가10 30-40◯
족 단위의 이동이 이루어짐을 추정
대 이전과 대 대까지 인구이동이 순이동의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10 30 -40◯
가족 구성원의 새출발을 위한 정착형 이주가 다수임을 알 수 있음
대 대 이주 역시 많은 것으로 보아 은퇴 후 제 의 인생을 위해 제주를 선택50 -60 2◯
함을 추정할 수 있음
제주 유입 인구 수◯
연령
연도
대10
이전
대10 대20 대30 대40 대50 대60 대70 대80
90
세-100
총계
2001 259 1 -1495 449 248 72 105 41 -2 -4 -326
2002 468 -58 -1214 564 222 153 69 60 -24 -6 234
2003 211 -338 -1854 376 3 117 51 12 -25 0 -1447
2004 326 -322 -1035 477 255 126 90 -21 20 1 -83
2005 9 -347 -1009 220 125 99 80 5 14 -1 -805
2006 -238 -342 -1405 -212 38 146 46 16 50 -1 -1902
2007 -176 -312 -2134 -372 -150 132 55 33 -2 -2 -2928
2008 -73 -478 -1345 -129 -191 -19 64 -57 -5 -3 -2236
2009 -29 -324 -1221 298 86 232 -57 24 -10 -14 -1015
2010 383 -234 -1002 559 311 309 95 36 -14 -6 437
2011 527 30 -874 831 872 580 268 59 48 2 2343
2012 964 149 -683 1768 1228 938 367 124 19 2 4876
2013 1546 352 -70 2451 1800 1164 428 124 21 7 7823
계 3,037 531 -1,627 5,050 3,900 2,682 1,063 307 88 11 15,042
- 2 -
년부터 순유입이 증가한 대 이주인 경우 국제학교 개설과 시기와 맞물리2010 10◯
는 것으로 보아 국제학교 입학생의 증가와 영향이 있다고 추측하였으나 재학생
수와 비교하였을 때 이주 현상의 수가 적어 국제학교가 유의미한 제주 이주에 영
향을 미쳤다고는 볼 수 없음
제주 이주 현황 도외에서 제주로( )◯
1) 제주도 전체 시별( )
구분
2011 2012 2013
총계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제주시 16,662 15,470 1,192 18,150 15,013 3,137 20,180 15,142 5,038 9,367
귀포시 6,211 5,061 1,150 7,095 5,359 1,736 8,083 5,297 2,786 5,672
계 22,873 20,531 2,342 25,245 20,372 4,873 28,263 20,439 7,824 15,039
2) 제주시 동별( )
구분 2011 2012 2013 계
제주시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계
소계 16662 15470 1192 18150 15013 3137 20180 15142 5038 9367
한림읍 820 610 210 952 570 382 1106 691 415 1007
애월읍 1464 969 495 1579 989 590 1758 1045 713 1798
구좌읍 487 403 84 543 365 178 626 414 212 474
조천읍 922 813 109 851 744 107 1070 739 331 547
- 3 -
3) 서귀포시 동별( )
한경면 311 217 94 368 21 347 362 195 167 608
추자면 171 218 -47 149 173 -24 163 166 -3 -74
우도면 59 58 1 76 56 20 91 55 36 57
일도일동 163 155 8 175 153 22 1557 130 1427 1457
일도이동 946 1052 -106 864 865 -1 899 91 808 701
이도일동 276 278 -2 320 301 19 272 250 22 39
이도이동 1433 1310 123 1741 1390 351 1795 1439 356 830
삼도일동 321 373 -52 361 351 10 411 379 32 -10
삼도이동 373 348 25 391 242 149 348 336 12 186
용담일동 266 292 -26 274 152 122 268 254 14 110
용담이동 534 541 -7 473 475 -2 515 455 60 51
건입동 399 560 -161 430 368 62 337 311 26 -73
화북동 470 543 -73 51 477 -426 594 474 120 -379
삼양동 322 378 -56 334 371 -37 20 312 -292 -385
봉개동 85 69 16 101 80 21 101 74 27 64
아라동 613 588 25 815 678 137 1283 705 578 740
오라동 207 176 31 204 170 34 243 169 74 139
연동 2449 2345 104 2672 2420 252 2902 2352 550 906
노형동 2537 2385 152 2925 2337 588 3067 2374 693 1433
외도동 769 674 95 796 630 166 1001 674 327 588
이호동 109 103 6 123 132 -9 167 118 49 46
도두동 106 112 -6 122 86 36 124 112 12 42
원도심 지역 이주자 수 6,485
구분 2011 2012 2013 계
서귀포시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계
소계 6211 5061 1150 7095 5359 1736 8083 5297 2786 5672
대정읍 581 459 122 671 430 241 634 438 196 559
남원읍 573 413 160 637 457 180 790 514 276 616
성산읍 620 426 194 712 546 166 870 561 309 669
안덕면 356 259 97 498 320 178 545 332 213 488
표선면 514 409 105 547 422 125 657 383 274 504
송산동 231 236 -5 213 10 203 210 174 36 234
- 4 -
제주시 지역인 경우 도심 근방의 교외 지역의 인구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도시 내 지-
역인 경우 원도심보다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인구유입이 이루어짐
서귀포시는 꾸준히 이주가 증가하였고 서귀포시 전역에 두루 이루어짐 읍면지역 순유- (
입자가 전체의 50%)
서귀포시의 인구는 제주 전제 인구의 에 불과하나 이주민의- 26.7% 37.7%(2011-2013
년 가 이주했음) . 년는 전체 이주자의 반 정도가 서귀포로 이주했으나 년부터2011 2012
는 대략 분의 로 줄어듬3 1 .
4) 행정구역별 인구증감
정방동 279 206 73 213 187 26 194 123 71 170
중앙동 183 185 -2 217 174 43 261 146 115 156
천지동 185 154 31 177 142 35 182 125 57 123
효돈동 94 70 24 122 110 12 146 97 49 85
영천동 175 160 15 195 158 37 190 137 53 105
동홍동 602 596 6 635 588 47 819 570 249 302
서홍동 375 307 68 427 341 86 526 374 152 306
대륜동 518 363 155 585 421 164 604 449 155 474
대천동 307 250 57 437 268 169 569 335 234 460
중문동 437 408 29 604 463 141 650 402 248 418
예래동 181 160 21 205 162 43 236 137 99 163
행정구역 시 별( ) (1) 합계 제주시 서귀포시 비율
2011
세대수 세대( ) 227,873 165,494 62,379 27.4
총인구 명( ) 583,284 427,593 155,691 26.7
남자인구 명( ) 292,313 213,503 78,810 27.0
여자인구 명( ) 290,971 214,090 76,881 26.4
한국인인구 명( ) 576,156 422,790 153,366 26.6
한국인남자인구 명( ) 288,152 210,873 77,279 26.8
한국인여자인구 명( ) 288,004 211,917 76,087 26.4
외국인인구 명( ) 7,128 4,803 2,325 32.6
외국인남자인구 명( ) 4,161 2,630 1,531 36.8
외국인여자인구 명( ) 2,967 2,173 794 26.8
인구증가율 (%) 1.06 1.4 0.12 11.3
세대당인구 명( ) 2.6 2.6 2.5 96.2
세 이상65
고령자인구 명( )
72,684 47,821 24,863 34.2
인구밀도 명( / )㎢ 315.43 437.1 178.76 56.7
면적 ( )㎢ 1,849.18 978.25 870.93 47.1
2012
세대수 세대( ) 232,141 168,658 63,483 27.3
총인구 명( ) 592,449 435,413 157,036 26.5
남자인구 명( ) 297,344 217,733 79,611 26.8
여자인구 명( ) 295,105 217,680 77,425 26.2
한국인인구 명( ) 583,713 429,656 154,057 26.4
- 5 -
인구 구성 대비 서귀포 이주 인구가 많은 것은 의미가 있음◯ 그러나 점차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
서귀포시의 산업구조를 참고하였을 때 농림어업과 관광사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
하는 것으로 이주자 생활 기반이 농림어업과 관광서비스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반면 제주시의 경우 여전히 도시 생활권이 다수를 차지◯
도심 근교에 이주자의 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상당수 여전히 도심 생활을◯
유지
제주의 이주는 도심지역과 귀농 귀촌이 공존 그러나 서귀포 이주인 경우 인구가· ,◯
밀집한 지역보다 비밀집 지역의 이주가 로 과반 이상을 차지54.5%
젊은 가족의 이주가 활발하고 인구 비밀집 지역으로 이주 귀농 귀촌인구의 꾸준, ·◯
한 증가 등을 고려하였을 때 정책적 제도적 요인보다 제주 이미지를 통한 문화
및 감성적 요인이 제주 이주에 상당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전국적 귀농 귀촌과 제주 이주·
1) 전국적 귀농귀촌의 추세
년대 중반 천 가구 수준이었던 귀농ㆍ귀촌가구는 년대 들어서 빠르2000 1~2 2010◯
게 늘어나 년에는 가구 세대원 명 로 확대되었음2014 44,586 ( 80,855 )
그런데 년부터 귀농과 귀촌이 분리되어 작성되는 통계를 주의 깊게 살펴보2012◯
면 양자의 움직임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음
귀농은 년 가구 명 년 가구 명- 2012 11,220 (19,657 ) 2013 10,923 (18,825 ) 2014→ →
년 가구 명 로 정체 상태11,144 (18,864 )
귀촌은 같은 기간 가구 명 가구 명 가구- 15,788 (27,665 ) 21,501 (37,442 ) 33,442→ →
명 로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61,991 )
귀농 귀촌하는 지역도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역시 귀농과 귀촌에는 차이가· ,◯
있음
농산물 생산ㆍ가공 등이 주목적인 귀농인은 경북 전남 경남- (19.5%), (16.5%),
등에 몰리고 있음(12.3%)
한국인남자인구 명( ) 292,213 214,588 77,625 26.6
한국인여자인구 명( ) 291,500 215,068 76,432 26.2
외국인인구 명( ) 8,736 5,757 2,979 34.1
외국인남자인구 명( ) 5,131 3,145 1,986 38.7
외국인여자인구 명( ) 3,605 2,612 993 27.5
인구증가율 (%) 1.57 1.83 0.86 54.8
세대당인구 명( ) 2.6 2.6 2.5 96.2
세 이상65
고령자인구 명( ) 76,060 50,199 25,861 34.0
인구밀도 명( / )㎢ 320.36 445.06 180.3 56.3
면적 ( )㎢ 1,849.3 978.33 870.96 47.1
- 6 -
반면 전원생활 등이 주목적인 귀촌인의 경우 생활여건이나 자연경관 등이 우선- ,
고려되어 년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수도권인 경기 에 가장 집중되2014 (30.3%)
고 그 외 충북 제주 가 인기가 많음, (12.7%), (10.7%)
특히 제주의 경우 년 가구였던 것이 년 가구로 늘어나 최근의- 2012 75 2014 3,569
제주도 인기를 반영하고 있음
- 7 -
년 귀농 귀촌가구주의 연령을 보면 대와 대가 귀농은2014 · 50 40 39.6%, 22.4%,◯
그리고 귀촌은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29.6%, 22.0%
년 귀농과 귀촌가구주의 연령대별 움직임을 보면 큰 차이를 보임2012~2014◯
귀농가구주는 대와 대에서 약간의 증가가 있고 가장 젊은 층인 대 미만은- 50 60 , 30
대는 나 줄어들었음7.4%, 40 9.6%
귀촌가구주의 경우 연령대별로 차이는 있으나 전 연령대에서 크게 늘어나고 있음-
그 결과 대 미만의 귀농가구주 비율은 년 에서 년 로 줄- 40 2012 36.2% 2014 33.1%
어들었음
제주 이주의 특징2)
(1) 이주 유형
경제효용형 경제적 안정을 도모 장년층 귀농 창업 다음 등 회사 이전: . , ,
생활편의형 도시의 주택난 교통난 환경오염 과잉경쟁 교육문제 등을: , , , ,
- 8 -
피해 이주 은퇴 후 전원생활 국제학교 입학 등, ,
대안가치형 개발주의에 반대 대안적 생활방식과 공동체 지향: .
(2) 제주 이주의 특징
제주로의 이주는 복합적이지만 탈물질주의적 가치와 관계가 있다 이주자가 경제.
적 고려를 전혀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탈물질주의적 가치 지향이 전혀 없이 제주
로 이주하는 것은 쉽지 않다 물질적 가치를 우선시할 때 서울이나 경기 등 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서 제주로 이주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다 생활편의형도.
어느 정도는 대안적 가치관을 가지지 않고는 제주이주를 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제.
주 이주 자체가 도시 생활의 번거로움과 함께 화려함을 포기하는 선택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가 년과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나타났던 돈에 대한 숭배가 다시 시들해1997
졌다 일인당 소득이 만 달러 수준에 이른 현재는 소득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3
의문이 일반화되면서 대안적 삶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과 제주로의
이주민 증가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분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제주특별자치도 정착이주민 현황
구분 인원 명( ) 기준년도 자료제공
귀농귀촌 이주 2,414 2013 제주특별자치도
문화 이주* 100+@ 2014 제주문화예술재단
다문화 이주 2,423 2013 제주특별자치도
경우 정확히 파악된 데이터는 없는 실정이며 제주문화예술재단에 사업비 신청 정* , , ,
착 문의 등을 시도한 적극적인 이주민만 파악된 인원임 출처 제주특별자치도 정. :▪
착이주민 실태조사 및 정착지원 방안 연구 황경수( , 2014:69)
3. 제주 사회 변동과 그 전망
1) 사회 변동
이주민의 유입을 계기로 제주의 토박이들과 이주민 관광객들이 섞여 새로운 시도를 통해,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제주의 내재적 발전의 체계.
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1) 칠성로 상가
이주자들이 개발한 토속적 상품 기념품 등을 파는 상점이 등장해서 원도심 활성화에 기,
여 예 벨롱장 장전리 프리마켓 멩글엉 폴장 지꺼진장 등. ( : , , , )
(2) 마을만들기
토박이와 이주민들이 잘 결합해 마을만들기의 좋은 사례를 제시 이것은 마을목장이라는.
- 9 -
공동자원을 매개로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사례로 마을목장 등 공동자원의 관리에도 새
로운 모델을 제시함 예 가시리 등. ( : )
(3) 장터
현재 제주도에서 개설되는 장터는 토박이들과 이주민 관광객이 소통하는 주요 거점 예, . ( :
벨롱장 장전리 프리마켓 멩글엉 폴장 지꺼진장 등, , , )
(4) 복합문화공간
제주도에 이주한 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복합문화공간이 들어서고 있으며 제주문,
화의 양적 성장과 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음 예 서귀포문화빳데리충전소 등. ( : )
(5) 카페 및 게스트하우스
초기 제주 이주민들이 가장 선호했던 것이 카페 및 게스트하우스 운영이었는데 과중한 노,
동과 수익창출의 실패로 많은 곳이 폐업했다 그러나 참신한 콘텐츠를 보유한 곳은 오히려.
좋은 성과를 내고 새로운 카페와 게스트하우스의 모델을 제공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연결
하는 소통의 장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6) 리얼 제주 매거진 ‘iiin’
서울에서 더 잘 팔리는 제주잡지로 알려진 리얼 제주 매거진 계간 이 제주 토박이‘ iiin( )’ ,
이주민 여행자가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간됨, .
(7) 토크콘서트
제주 이주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많은 문화예술인들의 이주 그 가운데 음악인들을 초청해.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예 올댓제주 제주평화축제 등. ( : , 2014 )
(8) 귀농귀촌협동조합
이주민들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을 형성해서 감귤 등 지역에서 나는 특산물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 유통사업과 지역문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예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 : )
(9) 슬로우 라이프
자전거 카페 운영 트레일런 기획 지역문화 기획 슬로푸드 운동 등 느린 삶을 위해 좌충, , ,
우돌하는 젊은이들이 있다 예 최영미 등.( : )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ChangeON@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ChangeON@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ChangeON@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ChangeON@
 

More from ChangeON@ (20)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섭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권종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조경숙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023 체인지온@미디토리_김재인 연사 발표자료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이내 폭풍우의 잠길 물방울들(이수경)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미디어로 기록하고 연대하며 살아가기(김설해)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농성장 다이어리(배성민))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수정하는 '삶, 쓰기'(이수정)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00의집, 그집(김나은)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2_체인지온@미디토리] '드러나기, 나아가기'(송국클럽하우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예술+행동+아카이브 (연사: 송진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완월동의 역사를 기록하는 이유(연사: 정경숙)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여성의 기록이 역사가 될 때까지(연사: 허나윤)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지속가능한 공동체 아카이브이 조건(연사: 배은희)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어느날 갑자기, 마을기록관(연사: 백복주)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21 체인지온@미디토리] 민간기록과 공동체아카이브의 미래(연사: 손동유)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김수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더나은_박하은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고승현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9체인지온@원주영상미디어센터_원주옥상영화제_박혜림
 

[2015 체인지온@Sum] 제주도 이주와 전망 - 최현

  • 1. - 1 - 제주도 이주 제주사회의 변동과 전망, 최현 제주대학교 사회학과 1. 제주 이주 현황 제주의 순유입 인구가 년을 기점으로 순유출인구보다 많다는 점에 주목2010◯ 대 이전과 대까지의 인구 유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 가10 30-40◯ 족 단위의 이동이 이루어짐을 추정 대 이전과 대 대까지 인구이동이 순이동의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아10 30 -40◯ 가족 구성원의 새출발을 위한 정착형 이주가 다수임을 알 수 있음 대 대 이주 역시 많은 것으로 보아 은퇴 후 제 의 인생을 위해 제주를 선택50 -60 2◯ 함을 추정할 수 있음 제주 유입 인구 수◯ 연령 연도 대10 이전 대10 대20 대30 대40 대50 대60 대70 대80 90 세-100 총계 2001 259 1 -1495 449 248 72 105 41 -2 -4 -326 2002 468 -58 -1214 564 222 153 69 60 -24 -6 234 2003 211 -338 -1854 376 3 117 51 12 -25 0 -1447 2004 326 -322 -1035 477 255 126 90 -21 20 1 -83 2005 9 -347 -1009 220 125 99 80 5 14 -1 -805 2006 -238 -342 -1405 -212 38 146 46 16 50 -1 -1902 2007 -176 -312 -2134 -372 -150 132 55 33 -2 -2 -2928 2008 -73 -478 -1345 -129 -191 -19 64 -57 -5 -3 -2236 2009 -29 -324 -1221 298 86 232 -57 24 -10 -14 -1015 2010 383 -234 -1002 559 311 309 95 36 -14 -6 437 2011 527 30 -874 831 872 580 268 59 48 2 2343 2012 964 149 -683 1768 1228 938 367 124 19 2 4876 2013 1546 352 -70 2451 1800 1164 428 124 21 7 7823 계 3,037 531 -1,627 5,050 3,900 2,682 1,063 307 88 11 15,042
  • 2. - 2 - 년부터 순유입이 증가한 대 이주인 경우 국제학교 개설과 시기와 맞물리2010 10◯ 는 것으로 보아 국제학교 입학생의 증가와 영향이 있다고 추측하였으나 재학생 수와 비교하였을 때 이주 현상의 수가 적어 국제학교가 유의미한 제주 이주에 영 향을 미쳤다고는 볼 수 없음 제주 이주 현황 도외에서 제주로( )◯ 1) 제주도 전체 시별( ) 구분 2011 2012 2013 총계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제주시 16,662 15,470 1,192 18,150 15,013 3,137 20,180 15,142 5,038 9,367 귀포시 6,211 5,061 1,150 7,095 5,359 1,736 8,083 5,297 2,786 5,672 계 22,873 20,531 2,342 25,245 20,372 4,873 28,263 20,439 7,824 15,039 2) 제주시 동별( ) 구분 2011 2012 2013 계 제주시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계 소계 16662 15470 1192 18150 15013 3137 20180 15142 5038 9367 한림읍 820 610 210 952 570 382 1106 691 415 1007 애월읍 1464 969 495 1579 989 590 1758 1045 713 1798 구좌읍 487 403 84 543 365 178 626 414 212 474 조천읍 922 813 109 851 744 107 1070 739 331 547
  • 3. - 3 - 3) 서귀포시 동별( ) 한경면 311 217 94 368 21 347 362 195 167 608 추자면 171 218 -47 149 173 -24 163 166 -3 -74 우도면 59 58 1 76 56 20 91 55 36 57 일도일동 163 155 8 175 153 22 1557 130 1427 1457 일도이동 946 1052 -106 864 865 -1 899 91 808 701 이도일동 276 278 -2 320 301 19 272 250 22 39 이도이동 1433 1310 123 1741 1390 351 1795 1439 356 830 삼도일동 321 373 -52 361 351 10 411 379 32 -10 삼도이동 373 348 25 391 242 149 348 336 12 186 용담일동 266 292 -26 274 152 122 268 254 14 110 용담이동 534 541 -7 473 475 -2 515 455 60 51 건입동 399 560 -161 430 368 62 337 311 26 -73 화북동 470 543 -73 51 477 -426 594 474 120 -379 삼양동 322 378 -56 334 371 -37 20 312 -292 -385 봉개동 85 69 16 101 80 21 101 74 27 64 아라동 613 588 25 815 678 137 1283 705 578 740 오라동 207 176 31 204 170 34 243 169 74 139 연동 2449 2345 104 2672 2420 252 2902 2352 550 906 노형동 2537 2385 152 2925 2337 588 3067 2374 693 1433 외도동 769 674 95 796 630 166 1001 674 327 588 이호동 109 103 6 123 132 -9 167 118 49 46 도두동 106 112 -6 122 86 36 124 112 12 42 원도심 지역 이주자 수 6,485 구분 2011 2012 2013 계 서귀포시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전입 전출 순이동 계 소계 6211 5061 1150 7095 5359 1736 8083 5297 2786 5672 대정읍 581 459 122 671 430 241 634 438 196 559 남원읍 573 413 160 637 457 180 790 514 276 616 성산읍 620 426 194 712 546 166 870 561 309 669 안덕면 356 259 97 498 320 178 545 332 213 488 표선면 514 409 105 547 422 125 657 383 274 504 송산동 231 236 -5 213 10 203 210 174 36 234
  • 4. - 4 - 제주시 지역인 경우 도심 근방의 교외 지역의 인구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도시 내 지- 역인 경우 원도심보다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인구유입이 이루어짐 서귀포시는 꾸준히 이주가 증가하였고 서귀포시 전역에 두루 이루어짐 읍면지역 순유- ( 입자가 전체의 50%) 서귀포시의 인구는 제주 전제 인구의 에 불과하나 이주민의- 26.7% 37.7%(2011-2013 년 가 이주했음) . 년는 전체 이주자의 반 정도가 서귀포로 이주했으나 년부터2011 2012 는 대략 분의 로 줄어듬3 1 . 4) 행정구역별 인구증감 정방동 279 206 73 213 187 26 194 123 71 170 중앙동 183 185 -2 217 174 43 261 146 115 156 천지동 185 154 31 177 142 35 182 125 57 123 효돈동 94 70 24 122 110 12 146 97 49 85 영천동 175 160 15 195 158 37 190 137 53 105 동홍동 602 596 6 635 588 47 819 570 249 302 서홍동 375 307 68 427 341 86 526 374 152 306 대륜동 518 363 155 585 421 164 604 449 155 474 대천동 307 250 57 437 268 169 569 335 234 460 중문동 437 408 29 604 463 141 650 402 248 418 예래동 181 160 21 205 162 43 236 137 99 163 행정구역 시 별( ) (1) 합계 제주시 서귀포시 비율 2011 세대수 세대( ) 227,873 165,494 62,379 27.4 총인구 명( ) 583,284 427,593 155,691 26.7 남자인구 명( ) 292,313 213,503 78,810 27.0 여자인구 명( ) 290,971 214,090 76,881 26.4 한국인인구 명( ) 576,156 422,790 153,366 26.6 한국인남자인구 명( ) 288,152 210,873 77,279 26.8 한국인여자인구 명( ) 288,004 211,917 76,087 26.4 외국인인구 명( ) 7,128 4,803 2,325 32.6 외국인남자인구 명( ) 4,161 2,630 1,531 36.8 외국인여자인구 명( ) 2,967 2,173 794 26.8 인구증가율 (%) 1.06 1.4 0.12 11.3 세대당인구 명( ) 2.6 2.6 2.5 96.2 세 이상65 고령자인구 명( ) 72,684 47,821 24,863 34.2 인구밀도 명( / )㎢ 315.43 437.1 178.76 56.7 면적 ( )㎢ 1,849.18 978.25 870.93 47.1 2012 세대수 세대( ) 232,141 168,658 63,483 27.3 총인구 명( ) 592,449 435,413 157,036 26.5 남자인구 명( ) 297,344 217,733 79,611 26.8 여자인구 명( ) 295,105 217,680 77,425 26.2 한국인인구 명( ) 583,713 429,656 154,057 26.4
  • 5. - 5 - 인구 구성 대비 서귀포 이주 인구가 많은 것은 의미가 있음◯ 그러나 점차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 서귀포시의 산업구조를 참고하였을 때 농림어업과 관광사업이 많은 비중을 차지◯ 하는 것으로 이주자 생활 기반이 농림어업과 관광서비스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 반면 제주시의 경우 여전히 도시 생활권이 다수를 차지◯ 도심 근교에 이주자의 비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상당수 여전히 도심 생활을◯ 유지 제주의 이주는 도심지역과 귀농 귀촌이 공존 그러나 서귀포 이주인 경우 인구가· ,◯ 밀집한 지역보다 비밀집 지역의 이주가 로 과반 이상을 차지54.5% 젊은 가족의 이주가 활발하고 인구 비밀집 지역으로 이주 귀농 귀촌인구의 꾸준, ·◯ 한 증가 등을 고려하였을 때 정책적 제도적 요인보다 제주 이미지를 통한 문화 및 감성적 요인이 제주 이주에 상당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전국적 귀농 귀촌과 제주 이주· 1) 전국적 귀농귀촌의 추세 년대 중반 천 가구 수준이었던 귀농ㆍ귀촌가구는 년대 들어서 빠르2000 1~2 2010◯ 게 늘어나 년에는 가구 세대원 명 로 확대되었음2014 44,586 ( 80,855 ) 그런데 년부터 귀농과 귀촌이 분리되어 작성되는 통계를 주의 깊게 살펴보2012◯ 면 양자의 움직임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가 있음 귀농은 년 가구 명 년 가구 명- 2012 11,220 (19,657 ) 2013 10,923 (18,825 ) 2014→ → 년 가구 명 로 정체 상태11,144 (18,864 ) 귀촌은 같은 기간 가구 명 가구 명 가구- 15,788 (27,665 ) 21,501 (37,442 ) 33,442→ → 명 로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61,991 ) 귀농 귀촌하는 지역도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역시 귀농과 귀촌에는 차이가· ,◯ 있음 농산물 생산ㆍ가공 등이 주목적인 귀농인은 경북 전남 경남- (19.5%), (16.5%), 등에 몰리고 있음(12.3%) 한국인남자인구 명( ) 292,213 214,588 77,625 26.6 한국인여자인구 명( ) 291,500 215,068 76,432 26.2 외국인인구 명( ) 8,736 5,757 2,979 34.1 외국인남자인구 명( ) 5,131 3,145 1,986 38.7 외국인여자인구 명( ) 3,605 2,612 993 27.5 인구증가율 (%) 1.57 1.83 0.86 54.8 세대당인구 명( ) 2.6 2.6 2.5 96.2 세 이상65 고령자인구 명( ) 76,060 50,199 25,861 34.0 인구밀도 명( / )㎢ 320.36 445.06 180.3 56.3 면적 ( )㎢ 1,849.3 978.33 870.96 47.1
  • 6. - 6 - 반면 전원생활 등이 주목적인 귀촌인의 경우 생활여건이나 자연경관 등이 우선- , 고려되어 년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수도권인 경기 에 가장 집중되2014 (30.3%) 고 그 외 충북 제주 가 인기가 많음, (12.7%), (10.7%) 특히 제주의 경우 년 가구였던 것이 년 가구로 늘어나 최근의- 2012 75 2014 3,569 제주도 인기를 반영하고 있음
  • 7. - 7 - 년 귀농 귀촌가구주의 연령을 보면 대와 대가 귀농은2014 · 50 40 39.6%, 22.4%,◯ 그리고 귀촌은 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29.6%, 22.0% 년 귀농과 귀촌가구주의 연령대별 움직임을 보면 큰 차이를 보임2012~2014◯ 귀농가구주는 대와 대에서 약간의 증가가 있고 가장 젊은 층인 대 미만은- 50 60 , 30 대는 나 줄어들었음7.4%, 40 9.6% 귀촌가구주의 경우 연령대별로 차이는 있으나 전 연령대에서 크게 늘어나고 있음- 그 결과 대 미만의 귀농가구주 비율은 년 에서 년 로 줄- 40 2012 36.2% 2014 33.1% 어들었음 제주 이주의 특징2) (1) 이주 유형 경제효용형 경제적 안정을 도모 장년층 귀농 창업 다음 등 회사 이전: . , , 생활편의형 도시의 주택난 교통난 환경오염 과잉경쟁 교육문제 등을: , , , ,
  • 8. - 8 - 피해 이주 은퇴 후 전원생활 국제학교 입학 등, , 대안가치형 개발주의에 반대 대안적 생활방식과 공동체 지향: . (2) 제주 이주의 특징 제주로의 이주는 복합적이지만 탈물질주의적 가치와 관계가 있다 이주자가 경제. 적 고려를 전혀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탈물질주의적 가치 지향이 전혀 없이 제주 로 이주하는 것은 쉽지 않다 물질적 가치를 우선시할 때 서울이나 경기 등 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지역에서 제주로 이주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다 생활편의형도. 어느 정도는 대안적 가치관을 가지지 않고는 제주이주를 택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제. 주 이주 자체가 도시 생활의 번거로움과 함께 화려함을 포기하는 선택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가 년과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나타났던 돈에 대한 숭배가 다시 시들해1997 졌다 일인당 소득이 만 달러 수준에 이른 현재는 소득과 행복의 상관관계에 대한. 3 의문이 일반화되면서 대안적 삶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과 제주로의 이주민 증가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분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제주특별자치도 정착이주민 현황 구분 인원 명( ) 기준년도 자료제공 귀농귀촌 이주 2,414 2013 제주특별자치도 문화 이주* 100+@ 2014 제주문화예술재단 다문화 이주 2,423 2013 제주특별자치도 경우 정확히 파악된 데이터는 없는 실정이며 제주문화예술재단에 사업비 신청 정* , , , 착 문의 등을 시도한 적극적인 이주민만 파악된 인원임 출처 제주특별자치도 정. :▪ 착이주민 실태조사 및 정착지원 방안 연구 황경수( , 2014:69) 3. 제주 사회 변동과 그 전망 1) 사회 변동 이주민의 유입을 계기로 제주의 토박이들과 이주민 관광객들이 섞여 새로운 시도를 통해,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러한 시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제주의 내재적 발전의 체계. 를 구축하는 데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 (1) 칠성로 상가 이주자들이 개발한 토속적 상품 기념품 등을 파는 상점이 등장해서 원도심 활성화에 기, 여 예 벨롱장 장전리 프리마켓 멩글엉 폴장 지꺼진장 등. ( : , , , ) (2) 마을만들기 토박이와 이주민들이 잘 결합해 마을만들기의 좋은 사례를 제시 이것은 마을목장이라는.
  • 9. - 9 - 공동자원을 매개로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사례로 마을목장 등 공동자원의 관리에도 새 로운 모델을 제시함 예 가시리 등. ( : ) (3) 장터 현재 제주도에서 개설되는 장터는 토박이들과 이주민 관광객이 소통하는 주요 거점 예, . ( : 벨롱장 장전리 프리마켓 멩글엉 폴장 지꺼진장 등, , , ) (4) 복합문화공간 제주도에 이주한 문화예술인을 중심으로 다양한 복합문화공간이 들어서고 있으며 제주문, 화의 양적 성장과 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하고 있음 예 서귀포문화빳데리충전소 등. ( : ) (5) 카페 및 게스트하우스 초기 제주 이주민들이 가장 선호했던 것이 카페 및 게스트하우스 운영이었는데 과중한 노, 동과 수익창출의 실패로 많은 곳이 폐업했다 그러나 참신한 콘텐츠를 보유한 곳은 오히려. 좋은 성과를 내고 새로운 카페와 게스트하우스의 모델을 제공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연결 하는 소통의 장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6) 리얼 제주 매거진 ‘iiin’ 서울에서 더 잘 팔리는 제주잡지로 알려진 리얼 제주 매거진 계간 이 제주 토박이‘ iiin( )’ , 이주민 여행자가 함께 공감하고 소통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간됨, . (7) 토크콘서트 제주 이주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많은 문화예술인들의 이주 그 가운데 음악인들을 초청해.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예 올댓제주 제주평화축제 등. ( : , 2014 ) (8) 귀농귀촌협동조합 이주민들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을 형성해서 감귤 등 지역에서 나는 특산물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는 유통사업과 지역문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예 서귀포귀농귀촌협동조합.( : ) (9) 슬로우 라이프 자전거 카페 운영 트레일런 기획 지역문화 기획 슬로푸드 운동 등 느린 삶을 위해 좌충, , , 우돌하는 젊은이들이 있다 예 최영미 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