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기
후
변
화
에
따
른
도
시
홍
수
재
해
:




어
떻
게
대
비
할
것
인
가
?




    1
2
1.1 세계 자연재해 피해현황

                       1.2 국내 도시홍수 피해현황

                       1.3 국외 도시홍수 피해현황

                       1.4 기존도시 홍수피해 원인

기존도시 홍수피해 현황과 원인




                   3
▣ 1970년 이후 세계 주요 자연재해와 희생자 수




 전세계적인 기상이변에 따라 거대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함 → 적극적인 대응 필요
 국내의 경우 돌발홍수 피해 빈번 → 치수적으로 안전한 도시 내수처리대책 필요
                        4
▣ 피해 현황 분석




                                              추세선

               전 세계 대형 기상이변의 발생빈도 추이




    ※ 기상이변으로 500명 이상 사망자 또는 5억 달러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경우임
      (자료출처 : 삼성경제연구소)



 12.7건(1980년대) , 19.2건(1990년대) , 24.5건(2000년대) → 80년대 대비 약 2배 증가
 기록적인 지진, 폭우, 폭설, 한파 등 건 당 피해 규모도 커짐
                                 5
▣ 국내 사례 - 서울 9.21 기습폭우

 서울시의 주요 연도별 홍수피해 현황                          강우 및 침수 피해 현황(2010. 9. 21)

         인명 이재민                피해액              강우 현황
 년도                    세대               비고
         (명) (명)               (억원)
                                                ○ 강우량 : 241.3mm/day
 1990    71    93,133 26242    184.2   대홍수
                                                           (서울지역 일평균 강우량)
 1995    5       0      0      63.2
                                                      시간 최대강우량 : 98.5mm/hr (강서구)
 1998    61    2,287   573     625.6   대홍수
                                                     ( 서울시 배수처리시설 기준 : 75mm/hr)
 1999    3     1,823   456     130.7
                                                     ※ 하수관거 설계강우강도 : 간선 10년, 지선 5년
 2001    139    465     94     714.5   대홍수
                                                침수 피해 현황
 2002    0      120     46     92.3

 2003    1       0      0      22.7              ○ 주택침수 : 11,744건

 2006    0      73      22      63               ○ 도로침수 : 36개소
 2010.
         0     27,728 12,968   376.3   기습폭우      ○ 지하철 통제구간 : 7개소
 09.21



                                                 6
▣ 국내 사례 - 서울 9.21 기습폭우(광화문)

 강우 및 침수 피해 현황
  강우 현황

  ○ 강우량 : 264.5mm/6hr (종로구 AWS)

    시간 최대강우량 : 75.5mm/hr, 202.0mm/3hr

   ※ 하수관거 설계강우강도 : 간선 10년, 지선 5년

  침수 피해 현황

  ○ 주택침수 : 총 11,744건

  ○ 도로침수 : 총 36개소

  ○ 지하철 통제구간 : 총 7개소




                                  7
▣ 국내 사례 – 부산 (2009.07.16)

 남부지방 일 강수량 및 주요 피해 현황                         강우 및 피해 현황

                                                     강우 현황

                                                    ○ 강우량 : 266.5mm
                                                      시간 최대강우량 : 90mm/hr

                                                     (부산시 배수처리시설 기준 : 72mm)

                                                      ※ 2009.07.07~16 : 730.5mm
                                                        (연평균 강수량의 49%)

 부산시 홍수피해 현황

    일시         인명(명)   이재민(명)   세대      피해액(억원)        침수지역    붕괴지역       비고

                                                                        초등교 293개
  2009.07.16     5      3,057   1,282       571.4        635     147
                                                                         임시 휴교




                                        8
▣ 국외 사례
          국가            피해 사진                       피해 현황

                                       인구 200만 ‘ 호주 제 3의 도시’ 브리즈번
침                                      300mm/hr 이상의 폭우
수                                      주택 약 2만채 침수
피                                      사망 12명, 실종 70여명, 이재민 4만5000여명
해                                      130억 달러(약 1조 4550억원)의 경제 손실 예상

     호주 (2011.01.11)
                                     모호 도 붐바 주택지역
                                     3일 동안 290mm의 집중호우에 따른 지반 약화로
토                                     인해 산사태 발생
석                                    가옥 파손 및 매몰로 인한 인명피해 증가
류                                    사망 212명, 실종 150여명, 이재민 14,000명
                                     가옥 매몰 및 공공시설물 피해
    브라질 (2010.04.07)

                                       미국 워싱턴 주
겨                                      머드 마운팀 댐의 방류로 퍼시픽 시가 침수
울                                      1,200여명 주민 대피
홍                                      주택피해 약 3000채
수                                      눈사태와 진흙사태로 인한 고속도로 폐쇄
                                       피해액 1억 2,500만 달러
    미국(2009.01.06-16)

                                9
▣ 우리나라 도시침수 피해원인

 도시 침수는 외수(27%)보다 내수(73%)에 의한 침수피해가 크게 발생함
 기후변화로 인해 돌발홍수가 빈번하고 대형화 되어 기존 처리대책에 한계 발생
 따라서 인구와 기반시설이 집중된 도시지역의 새로운 내수처리대책 수립이 시급함


          저지대    22%


    배수능력 부족      14%
                                                               74%   하천 범람
하천수위상승 배수불량      14%        73%
                           내수침수                27%
  하천역류 노면배수      13%                도시 침수
                                              외수침수
  하수관거 용량부족      11%
                                                                     하천미정비
   배수로 단면협소      7%                                            12%
    배수시설 미비      6%                                                  제방붕괴
                                                               10%
                                                                     해일에 의한 월파
           기타    13%                                           2%    제방미설치 및 기타
                                                               2%

  참고 : 심재현·김영복.2006.”전국 상습수해지구 현황과 대책”.방재연구 제8권 제1호. 국립방재연구소

                                         10
2.1 기존도시 홍수처리대책의 문제점
               2.2 구조적 홍수처리대책의 한계점




기존도시
홍수처리대책의 한계점



          11
▣ 법적·제도적 측면
              •도시계획 수립시 명확한 방재 및 치수의 기본방향 부재
 관련법 규정 미흡
              •홍수관리에 대한 법령과 주체 분산

              •우수유출저감시설 적용 기준 미비
  적용기준 미비
              •방재지구 지정에 대한 기준, 정비 및 용도제한 등에 규정 미비

              •풍수해저감계획 및 하수도정비계획 수립시 법령과 주체 분산
              •실질적인 하천유역협의회 구성 및 운영 미흡
 관련계획의 한계     •전국적인 유역종합치수사업 시행에 막대한 재원 소요 예상
              •기본계획에서 도시지역에 대한 치수대책 수립 어려움
              •유역종합치수계획, 하천정비기본계획, 하수도정비계획간 연계성 미흡

              •침수흔적도 작성을 위한 지침 불명확
  재해지도 작성     •침수예상지역의 침수예보의 기준 설정 및 발령, 홍수대피지도의 작성 및
 및 활용방안 미정착   보급을 위한 제도 미비
              •재정보조 등의 지원제도 없음

 재정적 지원 부족    •중소도시의 재정부담에 대한 국고의 지원, 인센티브 등의 지원제도 전무

                           12
▣ 홍수대책 미흡


  제한적인 홍수대책                    도시하천과 하수도 시설물의
  •   제한적인 내 ·외수 대책            연계부족
  •   비구조적 대책의 비활성화            •   우수관거의 설계빈도 적용 미흡
  •   도시지역의 시설부지 선정 어려움        •   배수펌프장 운영·관리 소홀
                               •   지하공간 침수대책 부족




  홍수예보 시스템의 획일화                재해관련지도 작성·활용 미흡
  •   도시하천특성 미고려               •   침수흔적도     작성 · 활용 미흡
  •   대유역과 도시하천간 연계 운영         •   시나리오에     따른 홍수대피지도
      미비                           작성 · 활용   미흡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미고려




                          13
▣ 관리주체 및 법체계의 분산·관리

                             부서간 연계성 부족
   하수도법               하천법                소하천정비법


                                          소방방재청
    환경부                                    (소하천)
    (하수도)
                       국토해양부
                           (국가하천)
            분산
            관리
                                         산림청
                                     (산림 및 계곡)

    지자체                지자체
    (하수도)             (지방하천)


   하수도                              하천




                      14
기존도시 구조적 홍수처리대책


    하수도 정비 및 확충                      산사태 방지시설 설치
내   배수펌프장 신설 및 증설
                                 외   하천 정비 및 하도 개수
수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수   홍수조절지 및 유수지 신설



            관리주체가 이원화되어 통합된 관리 어려움
            계획빈도를 상향하여 우수 배제시 하천 유출량 증가
            시설물 설치를 위한 부지매입 어려움
            공사 시행시 민원발생 및 지하지장물 처리 등의 어려움




              새로운 파라다임의 내수처리대책 필요


                           15
3.1 기후변화란

                  3.2 기후와 도시개발을 고려한 물관리 대책

                  3.3 구조적 내수처리대책 - 지하방수로

                  3.4 구조적 내수처리대책 - 도시물순환
기후변화를 고려한
구조적 내수처리대책



             16
▣ 기후변화의 정의
 수십 년 또는 그 이상 지속되는 기후의 변동성이 평균적 상태에 대해 통계적으로 변동하는 것



 기후변화의 요인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               기후변화 대응 대책
 자연적 요인              환경(이상기후 현상)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5대 전략
  대기, 해양, 육지, 설빙,    빙하감소 및 해수면 상승
                                                대규모 홍수방어 능력 제고
  생물권 자신의 내적 요인      홍수, 가뭄 및 사막화
  태양 활동의 변화, 태양과     생태계 변화                     이상가뭄 대처능력 확보
  지구의 천문학적 상대위치
  관계 등의 외적 요인        경제·사회                      수질 및 하천환경 개선
 인위적인 요인             유럽지역의 개화기, 파종일,
                     곤충 출현 시기가 빨라지고             기후변화 예측기술 및
  산란 효과에 의한 지구 냉각화                              물관련 R&D 투자확대
                     작물재배 기간의 장기화
  과잉 토지 이용이나 장작과     전염성 질병 및 재난 후 심리적
  숯 채취 등에 의한 토지 피                               원활한 물 확보 및 공정한
                     외상에 대한 영향 발생
  복의 변화                                         물 이용을 위한 제도개선
                     자연눈의 감소로 인한 유럽
 인공열 등에 의한 도시        스키관광객 수 감소 및 비
 기후의 변화              용증가

                                         주) 기후변화대응 미래 수자원전략 (녹색성장위원회)




                             17
장기대책



            중기대책                  • 원천적으로 도시내
                                    침투,저류
                                  • 유출량, 유출총량
                                    저감가능
                  • 지하방수로에 의한
                                                              PID
                    항구대책
단기대책              • 설계빈도 상향 가능
                  • 기존도시 시공 가능
                                           NID                             Positive Impact Development
                                                                             상징적인 개발 계획
  • 기존 내수처리대책
  • 설계빈도 상향 불가
  • 기존도시내 시공 불가           LID                                   No Impact Development
                                                                    지속가능성과 환경성이 반영된 개발
                                                                    자연친화형 대책

          HID                                  Low Impact Development
                                                 지속가능성이 높은 개발
                                                 개발과 대책 병행

                         High Impact Development
                           지속가능성이 낮은 개발
                           선개발 후대책
                                                                주)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를 위한 레인가든 (2009)

                                          18
▣ 지하방수로 개념

 도시의 지하에 대규모 수로 터널을 시공하여, 토지 수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집중호우 발생 시 내수를 지하 방수로로 초기에 배제하여 도시 침수 피해를 줄임




    일본 수도권외곽방수로                San Antonio River Tunnel

                        19
▣ 목감천 방수로·도림천 지하방수로 건설사업(2005)

 사업명          사업지           사업내용        사업기간       총사업비     사업주체       사업효과     비고
                        방수로 (L=9.849km)
 목감천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2005~2012  2,111억원
                         배수갑문 1개소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방수로      ~ 시흥시 하중동                       (8년간)   전액 국가부담
                         제수문 2개소
                                                                       안양천유역의
                       지하방수로                                                    미추진
         서울시 관악구                                                       홍수피해방지
 도림천                (L=3.0km, D=7.0m) 2005~2010    648억원
       신림제4동 ~ 영등포구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지하 방수로                 배수펌프장            (6년간)     전액 국가부담
           신길동
                      (Q=1.3m3/sec)




                     목감천 방수로                          도림천 지하방수로

                                             20
▣ 중랑천 SMART 건설사업(2007)           ▣ 광화문지역 침수방지대책(2011)

 사업위치                            사업위치
 • 도봉구~성동구 일원                      • 경복궁역 ~ 청계천까지 터널공사
 • 도봉천 합류점~청계천 합류점                사업개요
 사업개요                             • 50년 빈도 침수방지대책
 • 홍수조절기능+도심지와 외곽 연결용 도로           • 지하 40m 이상의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기능 등의 다기능 방수로(L=18.12㎞)          • D=3.5m 이상, L=2㎞
 • 사업 미추진                          • 2011년 8월 실시설계 시행 예정

                                       유입부-수직구

                                              경복궁역

                                              백

                                               운
                                                                  중
                                                   동
                                                       천          학

                                                           광화문    천
                                                            역
                                                                            청   계   천 유출부-수직구

                                    관저고                                    청계천 계획홍수위
                                  EL.34.42m                      수두차 h=10.71m EL.23.71m

                추가계획안                             Qmax≒40.0㎥/s, V=4.03m/s
      경기고 사거리    (3.2km)




                            21
▣ Deep Tunnel Sewerage System (DTSS)

 위   치                                Deep Tunnel Sewerage System 계획
   싱가폴 전 지역

 배   경
   향후 100년 동안 나라 전체 하수처리 수요를 교체
   지하 50m에 하수관로 건설 - 자연유하방식

 사업개요
   건설기간 : 1차 사업(1998년 ~ 2008년)
             2차 사업(2008년 ~ 2015년)       자연유하방식의 하수관로
  터널규모
   • 길이(하수관로용) : 80km
   • 연결용 소형터널 : 170km
   • 터널직경 : 최대 6.5m이하
   • 심 도 : 50m깊이
                                        Changi 하수처리장         NEWater
   하수처리로 물의 재사용 – NEWater

 효   과
   유역 내 하천 및 호수로 하수의 유입을 차단
   지하수를 온전한 취수원수로서 보전 가능
                                22
▣ SMART (Syarikat Mengurus Air Banjir dan Terowong Sdn Bhd ) Tunnel Project

 위     치                                 SMART 터널 모식도
  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품푸트
   • Klang강 중류부 위치

 배   경
   홍수피해로 부터 즉각적인 홍수대책 필요
   도시화로 인한 교통체증 해결

 사업개요
   건설기간 : 2003년 ~ 2007년 6월
  터널규모
   • SMART터널 총연장 12.7km
   • 홍수 조절지 터널 9.7km                      SMART 터널 홍수조절
   • 도로 겸용 수로터널 3.0km
   • 홍수시 전 구간을 수로터널로 이용

 효    과
   약 200㎥/s 의 홍수저감효과
   도심지역 교통혼잡 개선

                                     23
▣ TARP(Tunnel And Reservoir Plan)

 위   치
   미국 일리노이주 북동부 시카고
 배   경
   폐수처리용량(7.6백만㎥)<강우유출량(19백만㎥)
   합류식 하수체계로 강우 시 수질오염
   시카고 상수원인 미시건호 오염
 사업개요
   지하터널 건설(1단계)
   • 건설기간 : 1976년 ~ 1998년
   • 터널깊이 : 48m ~ 110m
   • 터널연장 : 175km
   저류지 건설(2단계)
   • 건설기간 : 1990년 ~ 현재진행중
   • O`hare 저류지 : 1.3백만㎥
   • Thornton 저류지 : 28.6백만㎥
   • Mc Cook 저류지 : 7.9백만㎥
 효   과
   연간 $4000만 경제적 이익효과
                                24
▣ Bonnet Carre Spillway

 위   치
   미국 루이지애나 미시시피강 하류

 배   경
   루이지애나 남부 잦은 홍수 피해

 사업내용
   길 이 : 약 2.1km
   방수량 : 7,100㎥/s
   수 문 : 6mX350개
   기 간 : 1928년 ~ 1931년
  설계홍수량 42,500㎥/s 중 7,100㎥/s처리




                              25
▣ 일본 지하방수로
      나니와 대방수로(오사카)                         오오츠 방수로(오오츠)
  내수 침수로 인한 피해에 취약                    8개 하천에 대한 방수로 터널 건설
  지하 약30m에 위치, 총연장 : 12.2km           중류부에 방수로 터널 연결




    신우지강 지하 방수로(코치현)                     와다야요이 간선 하수도(도쿄)
  저지대로 매년 내수로 인한 침수피해                 하수관 아래 대규모 유수저류관 계획
  방수로 터널 직경 : 7.0m 연장 : 2.3km         1996년 공사 착공 – 2006년 완공




                                 26
▣ Guadalupe강의 방수로
 위      치
   California
   • California주 San Jone시
 배    경
   1955’ 58’ 63’ 69’ 82’ 83’ 86’ 1995년 홍수
   잦은 홍수로 부터의 보호 및 생태계 보전
 사업개요
   Guadalupe River Flood Protection Project 계획
  기간 : 1992년~2008년
   방수로 설치
   • Santa Clara 유입구, St. John 유입구로 유입
   • Coleman 방류구 하나로 유출

                                                  Cuadalupe River Flood Protection Project
 Santa Clara



   St. John                     Coleman
                                                  방수로 모식도
                                          27
▣ San Antonio River Tunnel

 위   치                             San Antonio River 위치도
   미국 텍사스주
 배   경
   빈번한 홍수로 부터의 안전 확보
   운하도시로 안전한 물의 재순환 이용
 사업개요
   도시를 관통하는 20km구간의 물을 100% 재순환
   일정수위 및 홍수예방 위한 지하 20m에 관망설치
   터널건설기간 : 1993년 9월 ~ 1997년 12월
   터널규모                            River Tunnel 모식도
   • 길 이 : 3마일(약 5km)
   • 깊 이 : 지하 150ft(약 46m)
   • 유입부 : 지름 24ft (약 7m)
   • 유출부 : 직름 35ft (약 10m)
   • 상하류 터널 연결로 치수적 안정한 하천 조성
   • 게이트를 통한 일정수위 유지
 효   과
  한 해 2,00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운하도시
                             28
.
    ▣ San Antonio River Tunnel

    San Antonio River Tunnel     일정수위를 유지시켜 도시 물의 재순환 가능




                                 San Antonio River Walk




                                     29
▣ 빗물체인에 의한 도시물순환

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의 빗물체인(stormwater chain)
    빗물이 흘러나가기 전에 유출
     수를 자연적인 방법으로 이동
     시키고 저장하여 재이용하는
     일련의 순환과정
    물을 지붕 아래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고 유도하며, 일부 유출
     수는 증발과 유출을 통해 감소
    빗물체인에 의해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 가능
    LID에서 NID로 실현 가능
                                   주)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를 위한 레인가든 (2009)




                           30
▣ 도시물순환 개념도




                                                차도 및 가정
                                         유출수의    우수 이동
                 우수저류조                   수로이동


                                           식생 수로/생태적
                                다공포장도로       저류시설


      연못/습지에   식생 수로/생태적
      의한 수처리     저류시설

     식생 수로/생태적
       저류시설




                           31
▣ 도시물순환 사례

 광진구 자양동 “스타시티”(2007.3)
   면적 : 62,500㎡(빗물집수 가능 면적 51,200㎡)
   대규모 아파트에 의해 폭우시 이곳보다 저지대인 한강변 주택가의 침수가 우려되어 빗물이용시설을 도입
   하게 되었음
   건물 지하에 옥상 빗물, 바닥면 빗물, 비상용수를 저장하는 1,000톤짜리 탱크 3개가 설치되어 있음
   중앙공원의 조경 용수, 분수 및 실개천과 공용화장실용수로 재활용
   빗물 재활용량은 연간 40,000톤에 이르며, 빗물 재용률은 66% 정도임




             스타시티 빗물 이용도                    지상 집수구    조경용수


                                       32
▣ 도시물순환 사례
 수원시, “통합물관리를 이용한 빗물도시 레인시티(Rain-City)” 조성(2009.)
  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연차적으로 추진 중
   물 공급에 있어서 이·취수에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드는 광역상수도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큼
   빗물관리를 통한 수원시의 물 자급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
   수원시의 레인시티 사업으로 적극적인 빗물 관리를 통한 물 자급률 향상방안 강구
   도시 전체를 시스템으로 묶어 추진하기는 수원시가 처음
   첫 사업으로 수원종합운동장에 빗물 1만㎥를 저장할 수 있는 저류시설 6곳과 빗물 4천㎥를 토양에 유입
   시킬 수 있는 침투시설 2곳을 설치




                                   33
결론




     34
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에 따라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
  며, 국내의 경우 돌발적인 폭우가 증가하여 도시 침수 피해가 커지고 있으므로 치
  수적으로 안전한 미래도시를 위해 새로운 내수처리대책이 필요함

 계획빈도 상향에 따른 하천 제방 증고와 우수관거 및 펌프장 증설 등은 단기적 처
  방일 뿐만 아니라, 부지매입, 민원발생 및 지하 지장물 처리의 어려움 등으로 실질
  적인 공사가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음

 금회 사례조사를 통해 검토된 지하방수로(대규모 지하 저류시설 포함)는 항구적인
  내수처리를 위해 선진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으므로 국내에 도입이 가능함

 또한 미래 도시가 HID(High Impact Development)에서 LID(Low Impact
  Development)로 변화함에 따라 지속가능하고 환경적으로 건전한 도시 물관리 및
  도시 물순환을 제안함

                                35
감사합니다




  36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KIM JI HO) 김지호

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
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
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
(KIM JI HO) 김지호
 
Prezi template
Prezi templatePrezi template
Prezi template
(KIM JI HO) 김지호
 
Contagious_전략적입소문
Contagious_전략적입소문Contagious_전략적입소문
Contagious_전략적입소문
(KIM JI HO) 김지호
 
Business model you(korean)
Business model you(korean)Business model you(korean)
Business model you(korean)
(KIM JI HO) 김지호
 
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
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
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
(KIM JI HO) 김지호
 
Gung ho(겅호)
Gung ho(겅호)Gung ho(겅호)
Gung ho(겅호)
(KIM JI HO) 김지호
 
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
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
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
(KIM JI HO) 김지호
 
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
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
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
(KIM JI HO) 김지호
 
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
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
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
(KIM JI HO) 김지호
 
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
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
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
(KIM JI HO) 김지호
 
Business model canvas(korean)
Business model canvas(korean)Business model canvas(korea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KIM JI HO) 김지호
 
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
(KIM JI HO) 김지호
 

More from (KIM JI HO) 김지호 (12)

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
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
Blueocean shift(블루오션 시프트)_경쟁없는 새로운 시장으로 이동하는 법
 
Prezi template
Prezi templatePrezi template
Prezi template
 
Contagious_전략적입소문
Contagious_전략적입소문Contagious_전략적입소문
Contagious_전략적입소문
 
Business model you(korean)
Business model you(korean)Business model you(korean)
Business model you(korean)
 
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
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
Prezi template(프레지 템플릿 사용하기)
 
Gung ho(겅호)
Gung ho(겅호)Gung ho(겅호)
Gung ho(겅호)
 
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
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
Dongbu of the Future - Cutting Edge Technologies of Dongbu
 
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
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
Water use bp_Life Straw,Slingshot,Solvatten,Water treatment backpack(적정기술 포함)
 
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
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
Blue ocean strategy, new business model
 
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
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
Prezi learning with YouTube(유튜브로 프레지 배우기)_ver20130222
 
Business model canvas(korean)
Business model canvas(korean)Business model canvas(korea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
Business model canvas(korean version)
 

기후변화를 고려한 기존도시의 내수처리대책(2011)

  • 2. 2
  • 3. 1.1 세계 자연재해 피해현황 1.2 국내 도시홍수 피해현황 1.3 국외 도시홍수 피해현황 1.4 기존도시 홍수피해 원인 기존도시 홍수피해 현황과 원인 3
  • 4. ▣ 1970년 이후 세계 주요 자연재해와 희생자 수  전세계적인 기상이변에 따라 거대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함 → 적극적인 대응 필요  국내의 경우 돌발홍수 피해 빈번 → 치수적으로 안전한 도시 내수처리대책 필요 4
  • 5. ▣ 피해 현황 분석 추세선 전 세계 대형 기상이변의 발생빈도 추이 ※ 기상이변으로 500명 이상 사망자 또는 5억 달러 이상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경우임 (자료출처 : 삼성경제연구소)  12.7건(1980년대) , 19.2건(1990년대) , 24.5건(2000년대) → 80년대 대비 약 2배 증가  기록적인 지진, 폭우, 폭설, 한파 등 건 당 피해 규모도 커짐 5
  • 6. ▣ 국내 사례 - 서울 9.21 기습폭우  서울시의 주요 연도별 홍수피해 현황  강우 및 침수 피해 현황(2010. 9. 21) 인명 이재민 피해액  강우 현황 년도 세대 비고 (명) (명) (억원) ○ 강우량 : 241.3mm/day 1990 71 93,133 26242 184.2 대홍수 (서울지역 일평균 강우량) 1995 5 0 0 63.2  시간 최대강우량 : 98.5mm/hr (강서구) 1998 61 2,287 573 625.6 대홍수 ( 서울시 배수처리시설 기준 : 75mm/hr) 1999 3 1,823 456 130.7 ※ 하수관거 설계강우강도 : 간선 10년, 지선 5년 2001 139 465 94 714.5 대홍수  침수 피해 현황 2002 0 120 46 92.3 2003 1 0 0 22.7 ○ 주택침수 : 11,744건 2006 0 73 22 63 ○ 도로침수 : 36개소 2010. 0 27,728 12,968 376.3 기습폭우 ○ 지하철 통제구간 : 7개소 09.21 6
  • 7. ▣ 국내 사례 - 서울 9.21 기습폭우(광화문)  강우 및 침수 피해 현황  강우 현황 ○ 강우량 : 264.5mm/6hr (종로구 AWS)  시간 최대강우량 : 75.5mm/hr, 202.0mm/3hr ※ 하수관거 설계강우강도 : 간선 10년, 지선 5년  침수 피해 현황 ○ 주택침수 : 총 11,744건 ○ 도로침수 : 총 36개소 ○ 지하철 통제구간 : 총 7개소 7
  • 8. ▣ 국내 사례 – 부산 (2009.07.16)  남부지방 일 강수량 및 주요 피해 현황  강우 및 피해 현황  강우 현황 ○ 강우량 : 266.5mm  시간 최대강우량 : 90mm/hr (부산시 배수처리시설 기준 : 72mm) ※ 2009.07.07~16 : 730.5mm (연평균 강수량의 49%)  부산시 홍수피해 현황 일시 인명(명) 이재민(명) 세대 피해액(억원) 침수지역 붕괴지역 비고 초등교 293개 2009.07.16 5 3,057 1,282 571.4 635 147 임시 휴교 8
  • 9. ▣ 국외 사례 국가 피해 사진 피해 현황  인구 200만 ‘ 호주 제 3의 도시’ 브리즈번 침  300mm/hr 이상의 폭우 수  주택 약 2만채 침수 피  사망 12명, 실종 70여명, 이재민 4만5000여명 해  130억 달러(약 1조 4550억원)의 경제 손실 예상 호주 (2011.01.11)  모호 도 붐바 주택지역  3일 동안 290mm의 집중호우에 따른 지반 약화로 토 인해 산사태 발생 석  가옥 파손 및 매몰로 인한 인명피해 증가 류  사망 212명, 실종 150여명, 이재민 14,000명  가옥 매몰 및 공공시설물 피해 브라질 (2010.04.07)  미국 워싱턴 주 겨  머드 마운팀 댐의 방류로 퍼시픽 시가 침수 울  1,200여명 주민 대피 홍  주택피해 약 3000채 수  눈사태와 진흙사태로 인한 고속도로 폐쇄  피해액 1억 2,500만 달러 미국(2009.01.06-16) 9
  • 10. ▣ 우리나라 도시침수 피해원인  도시 침수는 외수(27%)보다 내수(73%)에 의한 침수피해가 크게 발생함  기후변화로 인해 돌발홍수가 빈번하고 대형화 되어 기존 처리대책에 한계 발생  따라서 인구와 기반시설이 집중된 도시지역의 새로운 내수처리대책 수립이 시급함 저지대 22% 배수능력 부족 14% 74% 하천 범람 하천수위상승 배수불량 14% 73% 내수침수 27% 하천역류 노면배수 13% 도시 침수 외수침수 하수관거 용량부족 11% 하천미정비 배수로 단면협소 7% 12% 배수시설 미비 6% 제방붕괴 10% 해일에 의한 월파 기타 13% 2% 제방미설치 및 기타 2% 참고 : 심재현·김영복.2006.”전국 상습수해지구 현황과 대책”.방재연구 제8권 제1호. 국립방재연구소 10
  • 11. 2.1 기존도시 홍수처리대책의 문제점 2.2 구조적 홍수처리대책의 한계점 기존도시 홍수처리대책의 한계점 11
  • 12. ▣ 법적·제도적 측면 •도시계획 수립시 명확한 방재 및 치수의 기본방향 부재 관련법 규정 미흡 •홍수관리에 대한 법령과 주체 분산 •우수유출저감시설 적용 기준 미비 적용기준 미비 •방재지구 지정에 대한 기준, 정비 및 용도제한 등에 규정 미비 •풍수해저감계획 및 하수도정비계획 수립시 법령과 주체 분산 •실질적인 하천유역협의회 구성 및 운영 미흡 관련계획의 한계 •전국적인 유역종합치수사업 시행에 막대한 재원 소요 예상 •기본계획에서 도시지역에 대한 치수대책 수립 어려움 •유역종합치수계획, 하천정비기본계획, 하수도정비계획간 연계성 미흡 •침수흔적도 작성을 위한 지침 불명확 재해지도 작성 •침수예상지역의 침수예보의 기준 설정 및 발령, 홍수대피지도의 작성 및 및 활용방안 미정착 보급을 위한 제도 미비 •재정보조 등의 지원제도 없음 재정적 지원 부족 •중소도시의 재정부담에 대한 국고의 지원, 인센티브 등의 지원제도 전무 12
  • 13. ▣ 홍수대책 미흡 제한적인 홍수대책 도시하천과 하수도 시설물의 • 제한적인 내 ·외수 대책 연계부족 • 비구조적 대책의 비활성화 • 우수관거의 설계빈도 적용 미흡 • 도시지역의 시설부지 선정 어려움 • 배수펌프장 운영·관리 소홀 • 지하공간 침수대책 부족 홍수예보 시스템의 획일화 재해관련지도 작성·활용 미흡 • 도시하천특성 미고려 • 침수흔적도 작성 · 활용 미흡 • 대유역과 도시하천간 연계 운영 • 시나리오에 따른 홍수대피지도 미비 작성 · 활용 미흡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미고려 13
  • 14. ▣ 관리주체 및 법체계의 분산·관리 부서간 연계성 부족 하수도법 하천법 소하천정비법 소방방재청 환경부 (소하천) (하수도) 국토해양부 (국가하천) 분산 관리 산림청 (산림 및 계곡) 지자체 지자체 (하수도) (지방하천) 하수도 하천 14
  • 15. 기존도시 구조적 홍수처리대책 하수도 정비 및 확충 산사태 방지시설 설치 내 배수펌프장 신설 및 증설 외 하천 정비 및 하도 개수 수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수 홍수조절지 및 유수지 신설 관리주체가 이원화되어 통합된 관리 어려움 계획빈도를 상향하여 우수 배제시 하천 유출량 증가 시설물 설치를 위한 부지매입 어려움 공사 시행시 민원발생 및 지하지장물 처리 등의 어려움 새로운 파라다임의 내수처리대책 필요 15
  • 16. 3.1 기후변화란 3.2 기후와 도시개발을 고려한 물관리 대책 3.3 구조적 내수처리대책 - 지하방수로 3.4 구조적 내수처리대책 - 도시물순환 기후변화를 고려한 구조적 내수처리대책 16
  • 17. ▣ 기후변화의 정의  수십 년 또는 그 이상 지속되는 기후의 변동성이 평균적 상태에 대해 통계적으로 변동하는 것 기후변화의 요인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 기후변화 대응 대책 자연적 요인 환경(이상기후 현상) 기후변화 대응 미래 수자원 5대 전략 대기, 해양, 육지, 설빙, 빙하감소 및 해수면 상승 대규모 홍수방어 능력 제고 생물권 자신의 내적 요인 홍수, 가뭄 및 사막화 태양 활동의 변화, 태양과 생태계 변화 이상가뭄 대처능력 확보 지구의 천문학적 상대위치 관계 등의 외적 요인 경제·사회 수질 및 하천환경 개선 인위적인 요인 유럽지역의 개화기, 파종일, 곤충 출현 시기가 빨라지고 기후변화 예측기술 및 산란 효과에 의한 지구 냉각화 물관련 R&D 투자확대 작물재배 기간의 장기화 과잉 토지 이용이나 장작과 전염성 질병 및 재난 후 심리적 숯 채취 등에 의한 토지 피 원활한 물 확보 및 공정한 외상에 대한 영향 발생 복의 변화 물 이용을 위한 제도개선 자연눈의 감소로 인한 유럽 인공열 등에 의한 도시 스키관광객 수 감소 및 비 기후의 변화 용증가 주) 기후변화대응 미래 수자원전략 (녹색성장위원회) 17
  • 18. 장기대책 중기대책 • 원천적으로 도시내 침투,저류 • 유출량, 유출총량 저감가능 • 지하방수로에 의한 PID 항구대책 단기대책 • 설계빈도 상향 가능 • 기존도시 시공 가능 NID Positive Impact Development 상징적인 개발 계획 • 기존 내수처리대책 • 설계빈도 상향 불가 • 기존도시내 시공 불가 LID No Impact Development 지속가능성과 환경성이 반영된 개발 자연친화형 대책 HID Low Impact Development 지속가능성이 높은 개발 개발과 대책 병행 High Impact Development 지속가능성이 낮은 개발 선개발 후대책 주)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를 위한 레인가든 (2009) 18
  • 19. ▣ 지하방수로 개념  도시의 지하에 대규모 수로 터널을 시공하여, 토지 수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집중호우 발생 시 내수를 지하 방수로로 초기에 배제하여 도시 침수 피해를 줄임 일본 수도권외곽방수로 San Antonio River Tunnel 19
  • 20. ▣ 목감천 방수로·도림천 지하방수로 건설사업(2005) 사업명 사업지 사업내용 사업기간 총사업비 사업주체 사업효과 비고 방수로 (L=9.849km) 목감천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2005~2012 2,111억원 배수갑문 1개소 서울지방국토관리청 방수로 ~ 시흥시 하중동 (8년간) 전액 국가부담 제수문 2개소 안양천유역의 지하방수로 미추진 서울시 관악구 홍수피해방지 도림천 (L=3.0km, D=7.0m) 2005~2010 648억원 신림제4동 ~ 영등포구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지하 방수로 배수펌프장 (6년간) 전액 국가부담 신길동 (Q=1.3m3/sec) 목감천 방수로 도림천 지하방수로 20
  • 21. ▣ 중랑천 SMART 건설사업(2007) ▣ 광화문지역 침수방지대책(2011)  사업위치  사업위치 • 도봉구~성동구 일원 • 경복궁역 ~ 청계천까지 터널공사 • 도봉천 합류점~청계천 합류점  사업개요  사업개요 • 50년 빈도 침수방지대책 • 홍수조절기능+도심지와 외곽 연결용 도로 • 지하 40m 이상의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기능 등의 다기능 방수로(L=18.12㎞) • D=3.5m 이상, L=2㎞ • 사업 미추진 • 2011년 8월 실시설계 시행 예정 유입부-수직구 경복궁역 백 운 중 동 천 학 광화문 천 역 청 계 천 유출부-수직구 관저고 청계천 계획홍수위 EL.34.42m 수두차 h=10.71m EL.23.71m 추가계획안 Qmax≒40.0㎥/s, V=4.03m/s 경기고 사거리 (3.2km) 21
  • 22. ▣ Deep Tunnel Sewerage System (DTSS)  위 치 Deep Tunnel Sewerage System 계획  싱가폴 전 지역  배 경  향후 100년 동안 나라 전체 하수처리 수요를 교체  지하 50m에 하수관로 건설 - 자연유하방식  사업개요  건설기간 : 1차 사업(1998년 ~ 2008년) 2차 사업(2008년 ~ 2015년) 자연유하방식의 하수관로 터널규모 • 길이(하수관로용) : 80km • 연결용 소형터널 : 170km • 터널직경 : 최대 6.5m이하 • 심 도 : 50m깊이 Changi 하수처리장 NEWater  하수처리로 물의 재사용 – NEWater  효 과  유역 내 하천 및 호수로 하수의 유입을 차단  지하수를 온전한 취수원수로서 보전 가능 22
  • 23. ▣ SMART (Syarikat Mengurus Air Banjir dan Terowong Sdn Bhd ) Tunnel Project  위 치 SMART 터널 모식도 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품푸트 • Klang강 중류부 위치  배 경  홍수피해로 부터 즉각적인 홍수대책 필요  도시화로 인한 교통체증 해결  사업개요  건설기간 : 2003년 ~ 2007년 6월 터널규모 • SMART터널 총연장 12.7km • 홍수 조절지 터널 9.7km SMART 터널 홍수조절 • 도로 겸용 수로터널 3.0km • 홍수시 전 구간을 수로터널로 이용  효 과  약 200㎥/s 의 홍수저감효과  도심지역 교통혼잡 개선 23
  • 24. ▣ TARP(Tunnel And Reservoir Plan)  위 치  미국 일리노이주 북동부 시카고  배 경  폐수처리용량(7.6백만㎥)<강우유출량(19백만㎥)  합류식 하수체계로 강우 시 수질오염  시카고 상수원인 미시건호 오염  사업개요  지하터널 건설(1단계) • 건설기간 : 1976년 ~ 1998년 • 터널깊이 : 48m ~ 110m • 터널연장 : 175km  저류지 건설(2단계) • 건설기간 : 1990년 ~ 현재진행중 • O`hare 저류지 : 1.3백만㎥ • Thornton 저류지 : 28.6백만㎥ • Mc Cook 저류지 : 7.9백만㎥  효 과  연간 $4000만 경제적 이익효과 24
  • 25. ▣ Bonnet Carre Spillway  위 치  미국 루이지애나 미시시피강 하류  배 경  루이지애나 남부 잦은 홍수 피해  사업내용  길 이 : 약 2.1km  방수량 : 7,100㎥/s  수 문 : 6mX350개  기 간 : 1928년 ~ 1931년 설계홍수량 42,500㎥/s 중 7,100㎥/s처리 25
  • 26. ▣ 일본 지하방수로 나니와 대방수로(오사카) 오오츠 방수로(오오츠)  내수 침수로 인한 피해에 취약  8개 하천에 대한 방수로 터널 건설  지하 약30m에 위치, 총연장 : 12.2km  중류부에 방수로 터널 연결 신우지강 지하 방수로(코치현) 와다야요이 간선 하수도(도쿄)  저지대로 매년 내수로 인한 침수피해  하수관 아래 대규모 유수저류관 계획  방수로 터널 직경 : 7.0m 연장 : 2.3km  1996년 공사 착공 – 2006년 완공 26
  • 27. ▣ Guadalupe강의 방수로  위 치  California • California주 San Jone시  배 경  1955’ 58’ 63’ 69’ 82’ 83’ 86’ 1995년 홍수  잦은 홍수로 부터의 보호 및 생태계 보전  사업개요  Guadalupe River Flood Protection Project 계획 기간 : 1992년~2008년  방수로 설치 • Santa Clara 유입구, St. John 유입구로 유입 • Coleman 방류구 하나로 유출 Cuadalupe River Flood Protection Project Santa Clara St. John Coleman 방수로 모식도 27
  • 28. ▣ San Antonio River Tunnel  위 치 San Antonio River 위치도  미국 텍사스주  배 경  빈번한 홍수로 부터의 안전 확보  운하도시로 안전한 물의 재순환 이용  사업개요  도시를 관통하는 20km구간의 물을 100% 재순환  일정수위 및 홍수예방 위한 지하 20m에 관망설치  터널건설기간 : 1993년 9월 ~ 1997년 12월  터널규모 River Tunnel 모식도 • 길 이 : 3마일(약 5km) • 깊 이 : 지하 150ft(약 46m) • 유입부 : 지름 24ft (약 7m) • 유출부 : 직름 35ft (약 10m) • 상하류 터널 연결로 치수적 안정한 하천 조성 • 게이트를 통한 일정수위 유지  효 과 한 해 2,00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운하도시 28
  • 29. . ▣ San Antonio River Tunnel San Antonio River Tunnel 일정수위를 유지시켜 도시 물의 재순환 가능 San Antonio River Walk 29
  • 30. ▣ 빗물체인에 의한 도시물순환 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의 빗물체인(stormwater chain)  빗물이 흘러나가기 전에 유출 수를 자연적인 방법으로 이동 시키고 저장하여 재이용하는 일련의 순환과정  물을 지붕 아래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고 유도하며, 일부 유출 수는 증발과 유출을 통해 감소  빗물체인에 의해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 가능  LID에서 NID로 실현 가능 주) 지속가능한 도시 물관리를 위한 레인가든 (2009) 30
  • 31. ▣ 도시물순환 개념도 차도 및 가정 유출수의 우수 이동 우수저류조 수로이동 식생 수로/생태적 다공포장도로 저류시설 연못/습지에 식생 수로/생태적 의한 수처리 저류시설 식생 수로/생태적 저류시설 31
  • 32. ▣ 도시물순환 사례  광진구 자양동 “스타시티”(2007.3)  면적 : 62,500㎡(빗물집수 가능 면적 51,200㎡)  대규모 아파트에 의해 폭우시 이곳보다 저지대인 한강변 주택가의 침수가 우려되어 빗물이용시설을 도입 하게 되었음  건물 지하에 옥상 빗물, 바닥면 빗물, 비상용수를 저장하는 1,000톤짜리 탱크 3개가 설치되어 있음  중앙공원의 조경 용수, 분수 및 실개천과 공용화장실용수로 재활용  빗물 재활용량은 연간 40,000톤에 이르며, 빗물 재용률은 66% 정도임 스타시티 빗물 이용도 지상 집수구 조경용수 32
  • 33. ▣ 도시물순환 사례  수원시, “통합물관리를 이용한 빗물도시 레인시티(Rain-City)” 조성(2009.) 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연차적으로 추진 중  물 공급에 있어서 이·취수에 많은 비용과 에너지가 드는 광역상수도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큼  빗물관리를 통한 수원시의 물 자급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  수원시의 레인시티 사업으로 적극적인 빗물 관리를 통한 물 자급률 향상방안 강구  도시 전체를 시스템으로 묶어 추진하기는 수원시가 처음  첫 사업으로 수원종합운동장에 빗물 1만㎥를 저장할 수 있는 저류시설 6곳과 빗물 4천㎥를 토양에 유입 시킬 수 있는 침투시설 2곳을 설치 33
  • 34. 결론 34
  • 35. 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에 따라 자연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 며, 국내의 경우 돌발적인 폭우가 증가하여 도시 침수 피해가 커지고 있으므로 치 수적으로 안전한 미래도시를 위해 새로운 내수처리대책이 필요함  계획빈도 상향에 따른 하천 제방 증고와 우수관거 및 펌프장 증설 등은 단기적 처 방일 뿐만 아니라, 부지매입, 민원발생 및 지하 지장물 처리의 어려움 등으로 실질 적인 공사가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음  금회 사례조사를 통해 검토된 지하방수로(대규모 지하 저류시설 포함)는 항구적인 내수처리를 위해 선진 도시에서 시행되고 있으므로 국내에 도입이 가능함  또한 미래 도시가 HID(High Impact Development)에서 LID(Low Impact Development)로 변화함에 따라 지속가능하고 환경적으로 건전한 도시 물관리 및 도시 물순환을 제안함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