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욕망과 개척의 상징, 프라다
시각영상디자인과
1415893
배혜빈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2006년 개봉한 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는 낯선 패션계 적응
기와 더불어 일과 사랑을 고민하는 워커홀릭 여성 앤 해서웨이의 이
야기이다. 큰 흥행을 거두어 단순히 영화 말고도 프라다라는 브랜드
의 인지도도 함께 높아졌었다.
줒주제 선정 이유
이 영화에서 프라다란 성공 지향적인 패션 잡지사의 편집장을 상징하며 진
취적이고 활동적인 문화를 대변하는 패션 브랜드인 것이다. 나는 이 영화의
제목으로 프라다라는 브랜드에 대해서 관심이 갔다. 이렇게 대중적인 곳에
넣을 정도면 얼마나 사랑받는 브랜드 일까 더 알아보고 싶어 연구 주제를
프라다로 잡았다.
줒주제 선정 이유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프라다의 역사
PRADA
프라다는 의류, 가죽 액세서리, 신발, 가방 등을 제조,판매하는 이탈리
아 명품 브랜드이다. 설립자 마리오 프라다(Mario Prada)의 이름에서
유래한 프라다는 1913년 이탈리아 밀라노에 오픈한 가죽제품 전문매
장 에서 시작되었다. 1919년 프라다는 이탈리아 사보이 왕실의 공식
납품 업체로 지정될 만큼 품질을 인정받았다.
프라다의 역사
MARIO PRADA
1910년 창업자인 마리오 프라다는 당시 밀라노의 중심가에 왕족과 귀
족들을 위한 최고급 여행용 가방을 만드는 작은 가게를 경영하였다.
그는 최고 품질의 가죽 제품 가방과 여행용 액세서리를 만들어 판매하
며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하지
만 프라다의 가게는 1958년 마리오의 사망과 함께 점차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프라다의 설립자
MIUCCIA PRADA
프라다의 3대 회장이자 새로운 전환점이 된
프라다의 역사
상식을 깬 과감한 소재로 성공을 이끈 미우치아
1977년 마리오 프라다의 손녀이자 루이자 프라다의 딸인 미우치아 프
라다가 프라다를 이어받았다. 1949년에 이탈리아밀라노에서 태어난
미우치아 프라다는 패션 디자인을 전혀 배운 적이 없었기 때문에 자신
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디자인 팀을 꾸려 나갔다. 미우치아 프라다는
자신이 생각하는 스타일을 디자인 팀에 전한 다음 소재와 재단법을
함께 찾는 방식으로 디자인 팀을 운영했다.
프라다의 역사
상식을 깬 과감한 소재로 성공을 이끈 미우치아
MIUCCIA PRADA
가업을 이어받은 그녀는 가방의 소재로 오랫동안 사용되던 가죽을 대
신할 독특한 소재를 찾기 위해 고심하다 군용 물품 공장에서 낙하산이
나 텐트용으로 쓰인 방수천의 일종인 포코노나일론을 생산하게 되었고,
즉각 이 소재를 이용한 프라다 백을 새롭게 선보이게 되었다. 그녀의
아이디어로 탄생된 프라다의 나일론 백은 출시되자마자 커다란 돌풍을
일으키며 크게 히트를 치게 되었다.
프라다의 3대 회장이자 새로운 전환점이 된
프라다의 역사
상식을 깬 과감한 소재로 성공을 이끈 미우치아
PRADA CLASSIC HANBAG
1985년에는 나일론 천을 소재로 프라다 클래식 핸드백을 출시.
방수용의 평범한 나일론 소재가 프라다와 만나 신선한 패션 아이템으로 탄생.
이 제품은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과 높은 실용성으로 출시 첫날부터 소비자들로
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하며, 이 제품의 인기로 인해 프라다는 명품 브랜드
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명품 브랜드로 자리잡게 해준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미우미우
MIU MIU
프라다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자, 프라다는 이를 활용하여 1993년에 세
컨드 브랜드(Second Brand, 오리지널 디자이너 브랜드의 대중적인 라인)로
10~20대 여성들을 겨냥한 '미우미우(Miu Miu)'를 출시했다. 이 브랜드 이름
은 미우치아 프라다의 애칭을 딴 것이라고 한다. 프라다보다는 밝고 젊은 분
위기에 실험적인 디자인이 많다.
미우치아가 만든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PRADA 의 로고
프라다의 제품 중에는 영국에서 수입한 바다 코끼리 가죽, 악어 가죽 등
의 특이한 소재로 만든 방수 핸드백, 여행용 가방 등도 포함되어 있었는
데, 이러한 진귀한 제품들은 유럽 왕가와 상류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
었다. 1919년에 프라다는 이탈리아 왕실의 가죽 및 의류 제품의 공식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고, 이후 프라다 로고에는 사보이 왕실의 문장과
매듭이 포함되었다.
프라다의 로고
미우치아 프라다는 상품에 금속 삼각형
모양의 모노그램을 새롭게 새겨 넣었다.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POCONO NYLON
포코노 나일론은 낙하산 혹은 군용 텐트에 주로 사용되던 소재로, 질기
고 가벼우면서도 가죽처럼 무겁지 않고 방오 ,방수 기능이 있다고 한다.
처음에는 소비자들로부터 단조로운 가방의 디자인이 낯설다는 반응을
얻었으나, 미국의 미니멀리즘 유행과 맞물리면서 계절이나 스타일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소재로 패션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1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NAPPA LEATHER
나파 가죽은 1875년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에서 가죽 가공업자인 엠마누
엘 마나세가 개발한 가공법으로 만들어진 가죽을 의미한다. 마리오 프
라다는 1900년대 초기에 이 가공법을 가방 제작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부드러운 스페인 양가죽을 선별해 2차례 무두질하여 가죽을 유연
하게 한 후 그 위해 광택을 입혔다. 프라다는 이 나파 가죽을 이용해 고
프레(벌집) 주름 장식을 만들어 지갑, 신발, 가방 등에 적용시켰다.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2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SAFFIANO Leather
마리오 프라다는 1913년에 프라다를 설립함과 동시에 사피아노 가죽을
개발했다. 사피아노는 이탈리아어로 '철망'을 뜻하는데, 사피아노 가죽
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염에 강한 특징이 있다. 사피아노 가죽 소재를
활용한 제품으로는 1913년에 출시된 '사피아노 럭스백(Saffiano Lux Ba
g)'이 대표적이다. 이후 사피아노 가죽은 지갑, 신발, 액세서리 등에 광범
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3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MIUCCIA PRADA
프라다를 성공으로 이끈
프라다의 철학
미우치아 프라다의 철학
내가 뭘 좋아하는 지 아는 것과 내가 좋아하는 것을 만드는 것은
매우 쉽다! 나는 일명 좋은 취향을 갖고 있지만 이것은 매우 지루
하다. 그래서 나는 기본적으로 나쁜것과 틀린것을 갖고 작업해야
만 한다.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연구과제를 마치며
앞에서 언급했던 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통해 프라다를 처음알게되었다. 후에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미우미우를 들른 적이 있다. 솔직히 미우미우는 정말 내 스타일이 아니었다. 미우미
우의 가방은 대체로 오색도 모자라 다양한 색상, 여러 재질을 사용하였다. 굉장히 소녀스러운 디자
인들이었다. 미우미우라는 이름도 그렇고 가방의 특색이 틀림없이 일본 브랜드구나 싶었다. 하지만
알고보니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였다. 내가 생각하는 프라다의 느낌은 세련되고 무채색에 단조로
운것이었기에 더욱 놀랐던 기억이 있다.
외국 명품 브랜드들은 그 명성으로 이름은 모두 알지만 이름을 제외한 브랜드 백그라운드는 아예 알
지못했었다. 프라다를 조사하면서도 느낀 것은 외국의 유명한 브랜드는 꼭 창립자의 이름을 딴것이
라는 것이 공통적이었다. 처음에 외국 명품 브랜드를 생각하면 사실 막연히 가격이 비싸다, 예쁘다
라는 생각이 든다. 가격도 이름값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평소 같았으면 브랜드들의 상품 디자인만
휙휙 넘겨보았지만 연구과제준비로 브랜드 스토리까지 빠짐없이 찾아보았다. 유명한데에는 이유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내의 여타 브랜드와는 달리 그 스토리, 노력들이 정말 많고 대단하다. 예전
엔 비싸다외에는 생각이 들지 않았었는데 지금은 아 이래서 이만큼의 가치를 갖고있고 사람들이
원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찾아보지 않은 다른 브랜드도 그러하겠지만 프라다는
정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3대 회장 미우치아 프라다는 예의 관념을 깨는 발상으로 전에 없던
것들을 만들어 내었다. 가방에 낙하선 천이라니 생각지도 못할 발상이다. 이 가방은 성공한 여성
의 상징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미우치아 프라다의 철학, 그녀의 발상을 보면 새롭기도 하
며 정말 현실에 안주하지않는 다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게 되었다. 나는 어떤 디자인을 해야
하면 좋을까 항상 생각했다. 디자인의 특성이나 스타일도 가지각색이다. 하지만 어떤 디자인을
보면 나는 이것이 좋다라는 느낌을 전혀 받지 못한다 남들은 다 감탄하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가끔
어떻게 디자인한게 좋아보이고 예쁜건지 헷갈릴때가 참 많다. 아직도 그렇다. 연구 과제를 하면서
앞으로는 이런 좋은 잘된 브랜드들의 디자인과 그 스토리를 보며 내가 디자인을 어떻게 해나갈 것
인지에 대해 앞으로 남은 방학동안 생각해보아야겠다.-89
감사합니다
시각영상디자인과
1415893
배혜빈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인터랙
인터랙인터랙
인터랙
Hye Bin Bae
 
모아채팅
모아채팅모아채팅
모아채팅
Hye Bin Bae
 
연구과제문제
연구과제문제연구과제문제
연구과제문제
Hye Bin Bae
 
미래세상의 디자인
미래세상의 디자인미래세상의 디자인
미래세상의 디자인
Hye Bin Bae
 
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
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
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
Hye Bin Bae
 
인터랙_워킹 메이트_
인터랙_워킹 메이트_인터랙_워킹 메이트_
인터랙_워킹 메이트_
Hye Bin Bae
 
인터랙_워킹 메이트
인터랙_워킹 메이트인터랙_워킹 메이트
인터랙_워킹 메이트
Hye Bin Bae
 
인터랙 중간 1
인터랙 중간 1인터랙 중간 1
인터랙 중간 1
Hye Bin Bae
 

Viewers also liked (8)

인터랙
인터랙인터랙
인터랙
 
모아채팅
모아채팅모아채팅
모아채팅
 
연구과제문제
연구과제문제연구과제문제
연구과제문제
 
미래세상의 디자인
미래세상의 디자인미래세상의 디자인
미래세상의 디자인
 
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
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
1415893 배혜빈 색채학 중간
 
인터랙_워킹 메이트_
인터랙_워킹 메이트_인터랙_워킹 메이트_
인터랙_워킹 메이트_
 
인터랙_워킹 메이트
인터랙_워킹 메이트인터랙_워킹 메이트
인터랙_워킹 메이트
 
인터랙 중간 1
인터랙 중간 1인터랙 중간 1
인터랙 중간 1
 

More from Hye Bin Bae

1415893배혜빈 포폴
1415893배혜빈 포폴1415893배혜빈 포폴
1415893배혜빈 포폴
Hye Bin Bae
 
러닝 디제이
러닝 디제이러닝 디제이
러닝 디제이
Hye Bin Bae
 
모아 피피티
모아 피피티모아 피피티
모아 피피티
Hye Bin Bae
 
인터랙 피티
인터랙 피티인터랙 피티
인터랙 피티
Hye Bin Bae
 
인터랙
인터랙인터랙
인터랙
Hye Bin Bae
 
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
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
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
Hye Bin Bae
 
1415893 미래세상
1415893 미래세상1415893 미래세상
1415893 미래세상
Hye Bin Bae
 
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
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
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
Hye Bin Bae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Hye Bin Bae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Hye Bin Bae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Hye Bin Bae
 
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
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
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
Hye Bin Bae
 
테드 강의
테드 강의테드 강의
테드 강의
Hye Bin Bae
 
전기화재 디미컨
전기화재 디미컨전기화재 디미컨
전기화재 디미컨
Hye Bin Bae
 
디미컨 파이널
디미컨 파이널디미컨 파이널
디미컨 파이널
Hye Bin Bae
 
[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
[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
[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
Hye Bin Bae
 
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
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
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Hye Bin Bae
 
연구과제문제 배혜빈
연구과제문제 배혜빈연구과제문제 배혜빈
연구과제문제 배혜빈
Hye Bin Bae
 
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
Hye Bin Bae
 
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
Hye Bin Bae
 

More from Hye Bin Bae (20)

1415893배혜빈 포폴
1415893배혜빈 포폴1415893배혜빈 포폴
1415893배혜빈 포폴
 
러닝 디제이
러닝 디제이러닝 디제이
러닝 디제이
 
모아 피피티
모아 피피티모아 피피티
모아 피피티
 
인터랙 피티
인터랙 피티인터랙 피티
인터랙 피티
 
인터랙
인터랙인터랙
인터랙
 
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
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
1415893 배혜빈 테크놀로지 트렌드아이디어
 
1415893 미래세상
1415893 미래세상1415893 미래세상
1415893 미래세상
 
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
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
1415893 배혜빈 색채연구 최종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디미컨 슈퍼맘 비쥬얼 완성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에리히 프롬 1415893 배혜빈
 
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
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
가정 내 안전교육(중간) 남소휘 이시영 배혜빈
 
테드 강의
테드 강의테드 강의
테드 강의
 
전기화재 디미컨
전기화재 디미컨전기화재 디미컨
전기화재 디미컨
 
디미컨 파이널
디미컨 파이널디미컨 파이널
디미컨 파이널
 
[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
[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
[시각영상디자인론]디터람스의 lessbut more
 
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
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
시각영상디자인과 배혜빈
 
연구과제문제 배혜빈
연구과제문제 배혜빈연구과제문제 배혜빈
연구과제문제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귀농귀촌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
팀별 1415893 디미컨 배혜빈
 

1415893 배혜빈

  • 1. 욕망과 개척의 상징, 프라다 시각영상디자인과 1415893 배혜빈
  • 2.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 3. 2006년 개봉한 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는 낯선 패션계 적응 기와 더불어 일과 사랑을 고민하는 워커홀릭 여성 앤 해서웨이의 이 야기이다. 큰 흥행을 거두어 단순히 영화 말고도 프라다라는 브랜드 의 인지도도 함께 높아졌었다. 줒주제 선정 이유
  • 4. 이 영화에서 프라다란 성공 지향적인 패션 잡지사의 편집장을 상징하며 진 취적이고 활동적인 문화를 대변하는 패션 브랜드인 것이다. 나는 이 영화의 제목으로 프라다라는 브랜드에 대해서 관심이 갔다. 이렇게 대중적인 곳에 넣을 정도면 얼마나 사랑받는 브랜드 일까 더 알아보고 싶어 연구 주제를 프라다로 잡았다. 줒주제 선정 이유
  • 5.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 6. 프라다의 역사 PRADA 프라다는 의류, 가죽 액세서리, 신발, 가방 등을 제조,판매하는 이탈리 아 명품 브랜드이다. 설립자 마리오 프라다(Mario Prada)의 이름에서 유래한 프라다는 1913년 이탈리아 밀라노에 오픈한 가죽제품 전문매 장 에서 시작되었다. 1919년 프라다는 이탈리아 사보이 왕실의 공식 납품 업체로 지정될 만큼 품질을 인정받았다.
  • 7. 프라다의 역사 MARIO PRADA 1910년 창업자인 마리오 프라다는 당시 밀라노의 중심가에 왕족과 귀 족들을 위한 최고급 여행용 가방을 만드는 작은 가게를 경영하였다. 그는 최고 품질의 가죽 제품 가방과 여행용 액세서리를 만들어 판매하 며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하지 만 프라다의 가게는 1958년 마리오의 사망과 함께 점차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했다. 프라다의 설립자
  • 8. MIUCCIA PRADA 프라다의 3대 회장이자 새로운 전환점이 된 프라다의 역사 상식을 깬 과감한 소재로 성공을 이끈 미우치아 1977년 마리오 프라다의 손녀이자 루이자 프라다의 딸인 미우치아 프 라다가 프라다를 이어받았다. 1949년에 이탈리아밀라노에서 태어난 미우치아 프라다는 패션 디자인을 전혀 배운 적이 없었기 때문에 자신 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디자인 팀을 꾸려 나갔다. 미우치아 프라다는 자신이 생각하는 스타일을 디자인 팀에 전한 다음 소재와 재단법을 함께 찾는 방식으로 디자인 팀을 운영했다.
  • 9. 프라다의 역사 상식을 깬 과감한 소재로 성공을 이끈 미우치아 MIUCCIA PRADA 가업을 이어받은 그녀는 가방의 소재로 오랫동안 사용되던 가죽을 대 신할 독특한 소재를 찾기 위해 고심하다 군용 물품 공장에서 낙하산이 나 텐트용으로 쓰인 방수천의 일종인 포코노나일론을 생산하게 되었고, 즉각 이 소재를 이용한 프라다 백을 새롭게 선보이게 되었다. 그녀의 아이디어로 탄생된 프라다의 나일론 백은 출시되자마자 커다란 돌풍을 일으키며 크게 히트를 치게 되었다. 프라다의 3대 회장이자 새로운 전환점이 된
  • 10. 프라다의 역사 상식을 깬 과감한 소재로 성공을 이끈 미우치아 PRADA CLASSIC HANBAG 1985년에는 나일론 천을 소재로 프라다 클래식 핸드백을 출시. 방수용의 평범한 나일론 소재가 프라다와 만나 신선한 패션 아이템으로 탄생. 이 제품은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과 높은 실용성으로 출시 첫날부터 소비자들로 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하며, 이 제품의 인기로 인해 프라다는 명품 브랜드 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한다. 지금의 명품 브랜드로 자리잡게 해준
  • 11.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미우미우 MIU MIU 프라다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자, 프라다는 이를 활용하여 1993년에 세 컨드 브랜드(Second Brand, 오리지널 디자이너 브랜드의 대중적인 라인)로 10~20대 여성들을 겨냥한 '미우미우(Miu Miu)'를 출시했다. 이 브랜드 이름 은 미우치아 프라다의 애칭을 딴 것이라고 한다. 프라다보다는 밝고 젊은 분 위기에 실험적인 디자인이 많다. 미우치아가 만든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 12.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 13. PRADA 의 로고 프라다의 제품 중에는 영국에서 수입한 바다 코끼리 가죽, 악어 가죽 등 의 특이한 소재로 만든 방수 핸드백, 여행용 가방 등도 포함되어 있었는 데, 이러한 진귀한 제품들은 유럽 왕가와 상류층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 었다. 1919년에 프라다는 이탈리아 왕실의 가죽 및 의류 제품의 공식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고, 이후 프라다 로고에는 사보이 왕실의 문장과 매듭이 포함되었다. 프라다의 로고 미우치아 프라다는 상품에 금속 삼각형 모양의 모노그램을 새롭게 새겨 넣었다.
  • 14.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 15. POCONO NYLON 포코노 나일론은 낙하산 혹은 군용 텐트에 주로 사용되던 소재로, 질기 고 가벼우면서도 가죽처럼 무겁지 않고 방오 ,방수 기능이 있다고 한다. 처음에는 소비자들로부터 단조로운 가방의 디자인이 낯설다는 반응을 얻었으나, 미국의 미니멀리즘 유행과 맞물리면서 계절이나 스타일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소재로 패션업계의 관심을 받았다.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1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 16. NAPPA LEATHER 나파 가죽은 1875년 캘리포니아 나파밸리에서 가죽 가공업자인 엠마누 엘 마나세가 개발한 가공법으로 만들어진 가죽을 의미한다. 마리오 프 라다는 1900년대 초기에 이 가공법을 가방 제작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부드러운 스페인 양가죽을 선별해 2차례 무두질하여 가죽을 유연 하게 한 후 그 위해 광택을 입혔다. 프라다는 이 나파 가죽을 이용해 고 프레(벌집) 주름 장식을 만들어 지갑, 신발, 가방 등에 적용시켰다.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2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 17. SAFFIANO Leather 마리오 프라다는 1913년에 프라다를 설립함과 동시에 사피아노 가죽을 개발했다. 사피아노는 이탈리아어로 '철망'을 뜻하는데, 사피아노 가죽 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염에 강한 특징이 있다. 사피아노 가죽 소재를 활용한 제품으로는 1913년에 출시된 '사피아노 럭스백(Saffiano Lux Ba g)'이 대표적이다. 이후 사피아노 가죽은 지갑, 신발, 액세서리 등에 광범 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3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 18.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 19. MIUCCIA PRADA 프라다를 성공으로 이끈 프라다의 철학 미우치아 프라다의 철학 내가 뭘 좋아하는 지 아는 것과 내가 좋아하는 것을 만드는 것은 매우 쉽다! 나는 일명 좋은 취향을 갖고 있지만 이것은 매우 지루 하다. 그래서 나는 기본적으로 나쁜것과 틀린것을 갖고 작업해야 만 한다.
  • 20. 주제 선정 이유 CONTENTS 프라다의 역사 프라다의 로고 프라다의 새로운 기술과 발명 철학첧첧 연구 과제를 마치며
  • 21. 연구과제를 마치며 앞에서 언급했던 영화<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를 통해 프라다를 처음알게되었다. 후에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 미우미우를 들른 적이 있다. 솔직히 미우미우는 정말 내 스타일이 아니었다. 미우미 우의 가방은 대체로 오색도 모자라 다양한 색상, 여러 재질을 사용하였다. 굉장히 소녀스러운 디자 인들이었다. 미우미우라는 이름도 그렇고 가방의 특색이 틀림없이 일본 브랜드구나 싶었다. 하지만 알고보니 프라다의 세컨드 브랜드였다. 내가 생각하는 프라다의 느낌은 세련되고 무채색에 단조로 운것이었기에 더욱 놀랐던 기억이 있다. 외국 명품 브랜드들은 그 명성으로 이름은 모두 알지만 이름을 제외한 브랜드 백그라운드는 아예 알 지못했었다. 프라다를 조사하면서도 느낀 것은 외국의 유명한 브랜드는 꼭 창립자의 이름을 딴것이 라는 것이 공통적이었다. 처음에 외국 명품 브랜드를 생각하면 사실 막연히 가격이 비싸다, 예쁘다 라는 생각이 든다. 가격도 이름값이라는 생각이 먼저 든다. 평소 같았으면 브랜드들의 상품 디자인만 휙휙 넘겨보았지만 연구과제준비로 브랜드 스토리까지 빠짐없이 찾아보았다. 유명한데에는 이유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국내의 여타 브랜드와는 달리 그 스토리, 노력들이 정말 많고 대단하다. 예전
  • 22. 엔 비싸다외에는 생각이 들지 않았었는데 지금은 아 이래서 이만큼의 가치를 갖고있고 사람들이 원하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찾아보지 않은 다른 브랜드도 그러하겠지만 프라다는 정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3대 회장 미우치아 프라다는 예의 관념을 깨는 발상으로 전에 없던 것들을 만들어 내었다. 가방에 낙하선 천이라니 생각지도 못할 발상이다. 이 가방은 성공한 여성 의 상징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미우치아 프라다의 철학, 그녀의 발상을 보면 새롭기도 하 며 정말 현실에 안주하지않는 다는 것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게 되었다. 나는 어떤 디자인을 해야 하면 좋을까 항상 생각했다. 디자인의 특성이나 스타일도 가지각색이다. 하지만 어떤 디자인을 보면 나는 이것이 좋다라는 느낌을 전혀 받지 못한다 남들은 다 감탄하는데도 말이다. 그래서 가끔 어떻게 디자인한게 좋아보이고 예쁜건지 헷갈릴때가 참 많다. 아직도 그렇다. 연구 과제를 하면서 앞으로는 이런 좋은 잘된 브랜드들의 디자인과 그 스토리를 보며 내가 디자인을 어떻게 해나갈 것 인지에 대해 앞으로 남은 방학동안 생각해보아야겠다.-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