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9
Download to read offline
 
       생리전증후군 환자에서 
     조직 미네랄 검사를 이용한 
              영양치료 효과 
 E f f ect o f n u t r i t i o n al t r eat m en t
                    us ing  
     T i s s u e m i n er al as s ay i n  
P r em en s t r u al S y n dr o m e P at i en t  
                
       지도 교수 : 김 진 홍 교수 
   이 논문을 의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4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산부인과 전공 
            윤 호 주 
                         
                         
                         
                         
                     초 록 
 
생리전증후군이란, 황체 후반기에 특정한 정신적, 육체적인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는 질환을 말한다. 폐경 전 여성의 80%에서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지고 있으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가 않으며 치료 역시 정확한 지침이
없다. 생리전증후군을 하나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이해할 때 미네랄이 불균형 상
태에 있으면 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는 미네랄의 결핍이나 미네랄의 불균형이 생리전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추측된다. 그러
므로 생리전증후군 환자에서 미네랄 치료의 객관적 근거를 제공하는 조직미네랄 검사를
이용하여 조기에 생리전증후군 환자를 진단하여 미네랄 치료를 적용한다면 그 동안 치
료하여온 약물 치료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저자는 생리전증후
군이 있는 여성을 미네랄 투여군과 위약을 사용하는 대조군의 두 군으로 분류하여 조직
미네랄 검사를 이용한 미네랄 치료를 시도하여 효과를 판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
다. 
조직미네랄 검사는 생리전증후군이 있으면서 실험에 동의한 연구자를 공고를 통해 모집
하였으며, 자원한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조직미네랄 검사를 실시하고 MMDQ (Modified
Moss menstrual questionnaire)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의 각 카테고리별 점
수를 모발 검사 결과와 비교하였고, 조직미네랄 검사는 Ca, Mg, Na, K, Cu, Zn, Fe, Mn,
Cr 의 9 가지 미네랄을 측정하고 Ca/Mg, Na/K, Na/Mg, Zn/Cu, Na/Mg, Fe/Cu 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의 분류는 지원자를 무작위 이중맹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복합 미
네랄 투여군 (마그네슘 600mg #3 + 아연600 mg #3 + Vit. B6 900 mg #3) 과 Placebo 군
(소화제 투여) 으로 분류하였다. 3개월간의 미네랄 투여 후 모발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미네랄 패턴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MMDQ 설문지를 재 조사하여 주관적인 증
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 하였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서 미네랄 투여군에서 감정기복, 판단, 행동장애 등의 증상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생리전증후군의 여러 가지 증상 중 어떠한 증상
이 미네랄이나 비타민 투여로 완화가 가능할 것인지 예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앞으로 생리전증후군 여성에서 식이습관의 영양학적 인지도와 체계적인 미네
랄 투여로 무분별한 진통제, 진정제, 항 우울제등의 투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핵심단어: 생리전증후군, 아연, 마그네슘, MMDQ 
 
머리말 
 
생리전증후군이란, 황체 후반기에 특정한 정신적, 육체적인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는 질환을 말한다. 생리적증후군의 발생율은 많게는 80% 정도까지 나타나, 1,2 임상적으
로 의의가 있는 증상은 약 18% 의 여성들에서 나타난다고 보여진다. 3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은 약 300여가지 정도 되는데, 이중 가장 흔한 빈도로 나타나는 증상은 20가지이다.
2,4
    주된 증상으로는 신경불안정증상, 우울증, 불안, 충동성향, 감정기복, 고창, 두통, 유
방통 등으로, 정상적인 사회활동이나 가족간 관계, 성생활 등에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
다. 2 생리전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호르몬 불균형, 호르몬
결핍, 수분과 염분의 결핍, 비타민 부족, 정신과적인 문제나 혹은 자율신경계 부제로 인
해 생리전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미네
랄의 결핍과 연관 지어 마그네슘 결핍이 생리적 증후군의 원인이라는 보고가 있다. 5 적
혈구 내의 마그네슘 수치가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사람에서 훨씬 낮게 나타난다는 보고
가 있으며, 5,6 백혈구 세포에서는 마그네슘이 증가하나 적혈구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7 이러한 영양학적인 차이는 식이패턴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지
만. 개개인의 생화학적 개별성 때문에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동일한 환경에서 유사한 식
이패턴을 가지고 있는, 같은 연령의 성인이라고 해도 생화학적인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영양학적인 요구량에 차이가 있으며, 8 이러한 생화학적인 개별성을 측정하여 교정하는
것은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생화학적인 개별성은 생체 내 미네랄
과 비타민 대사의 차이로 나타나는데, 1920년대 이 후 사용되기 시작한 모발분석으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9 모발검사는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한 검사보다 이용에 편리하
며, 한번에 여러 가지 원소를 분석할 수 있고, 혈액에 비해 조직 내 만성적인 상태 표지
자로서 더욱 민감하다. 10 
저자는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여성과 없는 여성의 조직 내 미네랄 함량의 차이를 보기 위
한 연구를 시행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결과를 이용하여 무작위 이중맹검을 통
해 조직 내 영양소 불균형에 대한 미네랄의 보급이 생리전증후군의 치료에 어떠한 영향
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대상 
생리전증후군에 대한 무작위맹검연구 자원공고를 통해 모집된 생리전증후군 여성 40명
을 대상으로, 고지된 동의서를 받은 후 이들을 20명씩 무작위로 각각 투여군, Placebo군
으로 분류하였다. 
20명은 placebo를 투여하였으며, 20명은 아연(600mg #3), 마그네슘(600mg #3), 비타민
B6 (900mg #3) 가 함유된 복합 미네랄 처방을 하였다. 아연, 마그네슘, 비타민 B6 의 투
여는 저자들의 이전 실험 결과 (preliminary study)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생리전증후군
이 없는 군과 있는 군의 모발 내 미네랄의 함량은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생리전증후군
이 없는 군에서 모발 내 마그네슘과 아연의 총량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lacebo
군은 밀가루로 만든 위약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에서 사용된 알약과 크기와 모양이 같
도록 하였다. 투약전과 투약 후 모발을 이용한 조직미네랄검사를 실시하여 모발 내 미네
랄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은 투약전과 투약 후
MMDQ 설문지를 통해 증상의 중등도를 측정하였다. 
 
2. 방법 
모발을 이용한 조직미네랄 검사는 최근 3주간 염색이나 파마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
한 채취 3시간 이내에 두발세정을 하지 않고 젤이나 스프레이등의 모발관련 제품을 사용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되었다.  
모발의 채위는 두정부에서 모근으로부터 3Cm 정도 길이로 0.15 gm 스테인리스 가위로
채취하여 무게를 정량한 후, 모발미네랄 전문분석기관인 미국 TEI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ct, TX, USA) 에 분석을 의뢰하였으며 측정된 미네랄의 CV (Coefficient of
Variation) 은 다음과 같다. (Ca 4.6%, Mg 5.1%, K 13.8%, Na 8.0%, Cu 5.0%, Zn 5.0%,
Fe 5.0%  ) 
채취 된 모발 표본은 3mm 이하의 길이로 잘라 무게를 측정한 후, 각각을 50ml의 acid-
washed polyprophylene 원심 분리관에 넣고 초고순도의 trace-metal grade HNO3를 첨가
한다. 5분간 원심 분리 후, CEM Mars 5 Plus Microwave Digestion apparatus (Houston, TX,
USA) 에 넣는다.  
표본을 70℃에서 20분 동안 방치한 후 온도를 115℃로 올려 15분간 더 방치한다. 이후
표본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deionized water / gold solution으로 희석한 후 잘 섞는다. 미
네랄 함량의 측정은 ICP-MS (inductive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를 사용 (Sciex
Elan 6100, Perkin-Elmer, Houston, TX, USA) 하여 분석하였다.  
 
3. 통계분석 
표시된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Excel 을 사용하였다.  
결 과 
 
1) 두 군의 투약 전 비교 
위약군의 평균연령은 27.40±6.24 세(mean±SD) 이였으며 (25세 ~ 37세), 투약군의 평균
연력은 29.33 ±4.58세 (24세 ~ 41세)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군의 투약 전 MMDQ 설문지 점수에서 판단 및 기억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설문지영역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판단 및 기억에서는 투여군에서 판단 및 기억장애
가 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두 군의 투여 전 모발 검사상 미네랄의 성분은 칼슘을 제외한 각 성분에서 유의한 차이
가 발견되지 않았다. 칼슘 성분은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Table 1. Scores of MMDQ before intervention in placebo and treatment groups. 




                                                                                  
Figure 1. Mineral concentrations of hair before treatment in both groups. 




                                                                              
 
† mean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 ith the other. (p < 0.01) 
 
2) 투여 전 후의 MMDQ 점수의 변화 
위약군에서는 투여 전 후의 MMDQ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에서는 감정기
복, 판단 및 기억, 행동장애 등의 증상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1) (Fig. 2). 
 
Figure 2. Changes of MMDQ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reatment group. 
 
† means statistically siginificant compared w ith the corresponding values before treatment. (p <
0.01) 
Negative affect, concentration and behaviour chang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w ith zinc, magnesium and Vit. B6 for 3 months. 
 
3) 투약 전 후의 모발 내 미네랄 함량 (concentration : mg%) 의 비교 
투여 전 후의 모발검사 소견은 위약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Table 2). 
 
Table 2. Changes fo mineral concentration (mg%) and ratio in hair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both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고 찰 
 
인체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모발분석(tissue mineral assay) 는 머리카락 속에 있
는 30여 가지의 미네랄과 8가지 중금속의 양, 중요 미네랄 비율을 분석하여 체내에 과잉,
결핍 및 불균형 상태를 평가하고 대사타입을 제시하는 임상 영양학과 독성학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검사방법이다. 
미네랄의 측정은 신체조직을 이용하는 방법, 소변이나 척수액 등의 소변을 이용하는 방
법, 세포 분획을 이용하는 방법, 혈장 단백 등에서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두발을
이용한 방법은 고통 없이 검체의 채취가 가능하며, 저장이 간편하고 여러 종류의 미네랄
을 한꺼번에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12 그러나, 항상 외부 자극에 노출이 되어
있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하는 모발관리 제품의 영향을 완전히 무시하기 어
려우며, 두발의 손질, 위치, 직경, 연령, 계절, 성장속도, 분석방법 등에 영향을 받기 때
문에 아직까지 일치하는 참고치가 확립이 되어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3 또한 모발
중의 미네랄 함량과 혈액 내 미네랄의 농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모발의 미네랄이
인체 내의 미네랄 정도를 얼마나 반영하는 가에 대한 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14,15
그러나 최근, 모발 내 미네랄 불균형이 특정 질병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분만력과 모발 내 크롬함량의 감소, 16 학습장애 아동의 모발 내 카드뮴,
납의 증가, 17,18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아의 납, 수은 증가 등이 보고된 바가 있으
며, 19 다른 질병으로 건선, 20,21 아토피 피부염, 22-14 원형탈모, 25 여드름, 26,27 백반증 28
등 체내 특정 미네랄의 함량 이상과 여러 질병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가 있다. 산부인
과 영역에서 모발 미네랄의 이용은 산보의 산전진찰 과정에서 중금속 오염 여부를 진단
하고 식이요법은 안내하는 목적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리전증후군이나 다낭성난
소증후군처럼 원인과 치료가 명확하지 않는 질환 치료의 보조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생리전증후군의 원인 역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최근에는 개개인의 생화
학적인 차이로 인한 특정 영양성분의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주장이 대두
되고 있다. 23 혈중 마그네슘의 양은 생리전증후군의 유무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나 마그네슘을 공급하는 것으로 생리전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
다. 29 또한 칼슘 섭취가 생리전증후군을 경감시킨다는 보고도 있어 30,31 여러 가지 식생
활 패턴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여
성과 없는 여성과의 식생활 패턴은,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이 62%정도 정제된 탄
수화물을 더 섭취하며, 75% 정도 정제된 설탕을 더 복용하고, 79% 정도 유제품의 섭취
량이 많고, 78% 정도 소금섭취량이 높고 53% 정도 철분 섭취량이 적으며 77% 정도 망
간 섭취량이 적고, 52% 정도 아연 섭취량이 부족한 특징을 보인다. 1 즉, 어떤 형태이던
미네랄의 부족과 결핍, 혹은 과다가 생리전증후군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식생활에서 부족한 미네랄은 다른 미네랄의 흡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기간의 부족
은 예기치 못한 불균형을 유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슘의 지속적인 과다 보충은 아
연이나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여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32  
생리전증후군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것은 Mos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rie (MDQ) 이다. 33 본 논문에서는 1983년에 개정 된 Modified Mos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MDQ)를 사용하였다. 34 MMDQ 는 감정기복, 판단 및 기
억, 통증, 수분저류, 피곤, 자율신경실조증상, 사회활동장애의 7가지 영역에 대한 설문으
로 이루어져 있다.  
 
아연, 마그네슘, 비타민 B6 의 투여는 저자들의 이전 실험 결과(Preliminary study)를 바
탕으로 한 것이다. 생리전증후군이 없는 군과 있는 군의 모발 내 미네랄의 함량은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생리전증후군이 없는 군에서 모발 내 마그네슘과 아연의 총량이 더 많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reliminary study) 아연은 체내의 200여 개가 넘는 효소의 기능
에 관여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metalloenzyme으로 단백질을 catalyse 하거나 단백질은
stabilize 하는데 관여한다. 35,36 아연은 또한 강한 항산화물질로, 항노화에 관여하는
superoxide dismutase 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꼭 필요한 물질이다. 아연은 혈액 검사로
도 확인할 수 있으나, 신체 내 염증성 변화가 있거나 육체적인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수
치가 감소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진다. 37,38  
과거 생리전증후군의 영양치료로, 하루 1200mg 정도의 칼슘 복용이 생리전증후군의 증
상을 완화한다는 여러 보고들이 있었다. 생리통을 54%에서 완화시키고, 음식과다섭취
(food craving) 증상을 54%에서 감소시키며, 기분의 저조한 변화를 45%에서 개선시킨다
는 보고가 있었다. 31 그러나 본 연구자들의 조사에서, 생리전증후군의 유무에 따라 모발
내 칼슘의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어 치료 제제로 선택하지 않았다. 
비타민 B6는 신경전달물질의 생합성에 사용되는 cofactor 이다. 비타민 B6 의 단독투여
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39,40 효과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41,42 비타민 B와 마그
네슘을 동시 투여하였을 때 synergistic effect를 가져 생리전증후군 환자의 신경과민 증상
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 43 본 논문에서 마그네슘과 아연을 비타민 B6 와 동시 투
여한 결과, 생리전증후군의 증상 중 특히 심한 감정기복, 피곤함, 판단력 저하에 효과적
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개월 치료 후 재 시행된 모발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미세영양
소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투여된 영양소가 조직 내 축적될 정도의 과다한 용
량이 아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생체 내 이용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양이 과다하여 이
용 후 남은 잔여 미네랄들은 모발 등 조직 내에 남아있게 된다. 11,12 
결론적으로, 저자는 본 연구에서 생리전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식이요법과 식생활
패턴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미세 영양소 중 특히 마그네슘과 아연이 증상완화에
중요한 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Domoney 등 (2003) 에 의하면 생리전증후군 여성들의
대부분이 기존의 치료방법에 대해 불신하고 있으며 혼자 진단 내리고 적당한 대체요법
을 찾아 증상의 경감을 시도한다고 하였다. 44 이러한 생리전증후군 여성들에게 정확한
진단과 신빙성 있는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향 후 미세영양소를 이용한 상태평가와
치료에 더 많은 검사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Campbell EM, Peterkin D, O’Grady K, Sanson-fisher R. Premenstrual symptoms in general
        practice patients. Prevalence and treatment. J Reprod Med 1997;42:637-46 
    2.Johnson SR, McChesney C, Bean JA. Epidemiology of premenstrual symptoms in a
        nonclinical sample. I. Prevalence, natural history and help-seeking behavior. J Reprod
        Med 1988;33:340-6 
    3.Wittchen HU, Becker E, Lieb R, Krause P. Prevalence, incidence and stabilit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in the community. Psychol Med 2002;32:119-32 
    4.Freeman EW. Premenstrual syndrome: current perspectives on treatment and etiology.
        Curr Opin Obstet Gynecol 1997;9:147-53 
    5.Abraham GE, Lubran MM. Serum and red cell magnesium levels in patients with
        premenstrual tension. Am J Clin Nutr 1981;34:2364-6 
    6.Sherwood RA, Rocks BF, Stewart A, Saxton RS. Magnesium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Ann Clin Biochem 1986;23:667-70 
    7.Rosenstein DL, Elin RJ, Hosseini JM, Grover G, Rubinow DR. Magnesium measures
        across the menstrual cycle in premenstrual syndrome. Biol Psychiatry 1994;35:557-61 
    8.Williams RJ. Biochemical individuality : the basis for genetotrophic concept. New Canaan,
        Ct.: Keats publishing 1998 
    9.Althausen TL, Gunther L. Acute arsenic poisioning; a report of seven cases and a study
        of arsenic excretion with especial reference to hair. JAMA 1929;92;2002-6 
    10.Wilhelm M, Muller F, Idel H. Biological monitoring of Mercury vapor exposure by scalp
        hair analysis in comparison to blood and urine. Toxicol lett 1996;88;221-6 
    11.Delves HT. Assessment of trace element status. J Clin Endocrinol Metab 1985;14:725-
        60 
    12.Klevay LM, Bistrian BR, Fleming CR, Neumann CG. Hair analysis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medicine. Am J Clin Nutr 1987;46:233-6 
    13.Kruse-Jarres JD. Limited usefulness of essential trace element analyses in hair. Am Clin
        Lab 2000;19:8-10 
    14.Jacob RA, Klevay LM, Logan GM Jr. Hair as a biopsy material. V. Hair metal as an index
        of hepatic metal in rats: copper and zinc. Am J Clin Nutr 1978;31:477-80 
    15.Rivlin RS. Misuse of hair analysis for nutritional assessment. Am J Med 1983;75:489-93 
    16.Hambidge KM, Rodgerson DO. Comparison of hair chromium levels of nulliparous and
        parous women. Am J Obstet Gynecol 1969;320-321 
    17.Phil RO, Parkes M. Hair element content in learing disabled children. Science
        1977;198:204-6 
    18.Stewart-Pinkham SM. The effect of ambient cadmium air pollution on the hair mineral
        content of children. Sci Total Environ 1989;78:289-96 
    19.Pihl RO, Parkes M, Hair element content in learning disabled children. Science
        1977;198:204-6 
    20.Smith SA, Aamir F, Otis MP. Elevated serum nickel concentration in psoriasis vulgaris.
        Int J Dermatol 1994;33:783-5 
    21.Michaelsson G. Decreased concentration of selenium in whole blood and plasma in
        acne vulgaris. Acta Derm Venereol 1990;70:92 
    22.Hinks LJ, Young S, Clayton B. Trace element status in eczema and psoriasis. Clin Exp
        Dermatol 1987;12:93-7 
    23.Di Toro R, Galdo Capotorti G, Gialanella G, Miraglia del Giudice M, Moro R, Perrone L.
        Zinc and copper status of allergic children. Acta Paediatr Scand 1987;76:612-7 
    24.Fairris GM, Perkins PJ, Lloyd B, Hinks L, Clayton BE. The effect on atopic dermatitis of
        supplementation with selenium and vitamin E. Acta Derm Venereol 1989;69:359-62 
    25.Mussalo-Rauhamaa H, Lakomaa EL, Kianto U, Lehto J. Element concentrations in serum,
        erythrocytes, hair and urine of alopecia patients. Acta Derm Venereol 1986;06:103-9 
    26.Weimar VM, Puhl SC, Smith WH, tenBroeke JE. Zinc sulfate in acne vulgaris. Arch
        Dermatol 1978;114:1776-8 
    27.Verma KC, Saini AS, Dhamija SK. Oral zinc sulphate therapy in acne vulgaris: a double-
        blind trial. Acta Derm Venereol 19801;60:337-40 
    28.Genov D, Bozhkov B, Zlatkov NB. Copper pathochemistry in vitiligo. Clin Chim Acta
1972;37:207-11 
29.Facchinetti F, Borella P, Sances G, Fioroni L, Nappi RE, Genazzani AR. Oral magnesium
    successfully relieves premenstrual mood changes. Obstet Gynecol 1991;78:177-81 
30.Penland JG, Johnson PE. Dietary calcium and magnesium effects on menstrual cycle
    symptoms. Am J Obstet Gynecol 1993;168:1417-23 
31.Thys-Jacobs S, Ceccarelli S, Bierman A, Weisman H, Cohen MA, Alvir J. Calcium
    supplementation in premenstrual syndrome: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J Gen Intern
    Med 1989;4:183-9 
32.Shamberger RJ. Calcium, Magnesium and other elements in the red blood cells and hair
    of normals and pati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Biol Trace Elem Res
    2003;94:123-9 
33.Moss RH.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 Med
    1968;30:853-67 
34.Clare AW. Psychiatric and social aspects of premenstrual complaint. Psychol med
    1983;2:75-86 
35.Warlaw GM, Hampl JS, Disilvestro RA. Perspectives in nutrition, 6th ed., McGrow-Hill,
    New York, 2004, Chap 12 
36.Chesters JK. Zinc in Handbook of nutritionally essential mineral elements, O’Dell BL and
    Sunde RA, Eds., Marcel Dekker, New York, 1997, Chap 7 
37.Disilvestro RA, Cousins RJ. Mediation of endotoxin-induced changes in zinc metabolism
    in rats. Am J Physiol 1984;247:E436-41 
38.Naber TH, Van den Hamer CJ, Van den Broke WJ, Van Tongeren JH. Zinc uptake by
    blood cells of rats in zinc deficiency and inflammation. Biol Trace Elem Res
    1992;35:137-52 
39.Abraham GE, Rumley RE. Role of nutrition in managing the premenstrual tension
    syndromes. J Reprod Med 1987;32:405-22 
40.Doll H, Brown S, Thurston A, Vessey M. Pyridoxine ( vitamin B6)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J R Coll Gen Pract. 1989;39:364-8 
41.Hagen I, Nesheim BI, Tuntland T. No effect of vitamin B-6 against premenstrual tension.
    A controlled clinical study 
42.Malmgren R, Collins A, Nilsson CG. Platelet serotonin uptake and effects of vitamin B6-
    treatment in premenstrual tension. Neuropsychobiology 1987;18:83-6 
43.De Souza MC, Walker AF, Robinson PA, Bolland K. A synergistic effect of a daily
    supplement for 1 month of 200 mg magnesium plus 50 mg vitamin B6 for the relief of
    anxiety – related premenstrual symptoms: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J womens Health Gend Based Med 2000;9:131-9 
44.Domoney CL, Vashisht A, Studd JW. Premenstrual syndrome and the use of alternative
    therapies. Ann N Y Acad Sci 2003;997:330-4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지완 김

More from 지완 김 (7)

삽입 도형(패턴 채우기)
삽입 도형(패턴 채우기)삽입 도형(패턴 채우기)
삽입 도형(패턴 채우기)
 
Test.
Test.Test.
Test.
 
Sam03
Sam03Sam03
Sam03
 
Sam02
Sam02Sam02
Sam02
 
Sam01
Sam01Sam01
Sam01
 
Sam00
Sam00Sam00
Sam00
 
Test6
Test6Test6
Test6
 

1111

  • 1.   생리전증후군 환자에서  조직 미네랄 검사를 이용한  영양치료 효과  E f f ect o f n u t r i t i o n al t r eat m en t us ing   T i s s u e m i n er al as s ay i n   P r em en s t r u al S y n dr o m e P at i en t     지도 교수 : 김 진 홍 교수  이 논문을 의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4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산부인과 전공  윤 호 주          초 록 
  • 2.   생리전증후군이란, 황체 후반기에 특정한 정신적, 육체적인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는 질환을 말한다. 폐경 전 여성의 80%에서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지고 있으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가 않으며 치료 역시 정확한 지침이 없다. 생리전증후군을 하나의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로 이해할 때 미네랄이 불균형 상 태에 있으면 스트레스에 적응하지 못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는 미네랄의 결핍이나 미네랄의 불균형이 생리전증후군의 한 원인으로 추측된다. 그러 므로 생리전증후군 환자에서 미네랄 치료의 객관적 근거를 제공하는 조직미네랄 검사를 이용하여 조기에 생리전증후군 환자를 진단하여 미네랄 치료를 적용한다면 그 동안 치 료하여온 약물 치료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저자는 생리전증후 군이 있는 여성을 미네랄 투여군과 위약을 사용하는 대조군의 두 군으로 분류하여 조직 미네랄 검사를 이용한 미네랄 치료를 시도하여 효과를 판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 다.  조직미네랄 검사는 생리전증후군이 있으면서 실험에 동의한 연구자를 공고를 통해 모집 하였으며, 자원한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조직미네랄 검사를 실시하고 MMDQ (Modified Moss menstrual questionnaire)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의 각 카테고리별 점 수를 모발 검사 결과와 비교하였고, 조직미네랄 검사는 Ca, Mg, Na, K, Cu, Zn, Fe, Mn, Cr 의 9 가지 미네랄을 측정하고 Ca/Mg, Na/K, Na/Mg, Zn/Cu, Na/Mg, Fe/Cu 의 비율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의 분류는 지원자를 무작위 이중맹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복합 미 네랄 투여군 (마그네슘 600mg #3 + 아연600 mg #3 + Vit. B6 900 mg #3) 과 Placebo 군 (소화제 투여) 으로 분류하였다. 3개월간의 미네랄 투여 후 모발검사를 다시 시행하여 미네랄 패턴의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으며 MMDQ 설문지를 재 조사하여 주관적인 증 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 하였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서 미네랄 투여군에서 감정기복, 판단, 행동장애 등의 증상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생리전증후군의 여러 가지 증상 중 어떠한 증상 이 미네랄이나 비타민 투여로 완화가 가능할 것인지 예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앞으로 생리전증후군 여성에서 식이습관의 영양학적 인지도와 체계적인 미네 랄 투여로 무분별한 진통제, 진정제, 항 우울제등의 투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핵심단어: 생리전증후군, 아연, 마그네슘, MMDQ   
  • 3. 머리말    생리전증후군이란, 황체 후반기에 특정한 정신적, 육체적인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 는 질환을 말한다. 생리적증후군의 발생율은 많게는 80% 정도까지 나타나, 1,2 임상적으 로 의의가 있는 증상은 약 18% 의 여성들에서 나타난다고 보여진다. 3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은 약 300여가지 정도 되는데, 이중 가장 흔한 빈도로 나타나는 증상은 20가지이다. 2,4 주된 증상으로는 신경불안정증상, 우울증, 불안, 충동성향, 감정기복, 고창, 두통, 유 방통 등으로, 정상적인 사회활동이나 가족간 관계, 성생활 등에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 다. 2 생리전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호르몬 불균형, 호르몬 결핍, 수분과 염분의 결핍, 비타민 부족, 정신과적인 문제나 혹은 자율신경계 부제로 인 해 생리전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미네 랄의 결핍과 연관 지어 마그네슘 결핍이 생리적 증후군의 원인이라는 보고가 있다. 5 적 혈구 내의 마그네슘 수치가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사람에서 훨씬 낮게 나타난다는 보고 가 있으며, 5,6 백혈구 세포에서는 마그네슘이 증가하나 적혈구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7 이러한 영양학적인 차이는 식이패턴에 따라 나타나기도 하지 만. 개개인의 생화학적 개별성 때문에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동일한 환경에서 유사한 식 이패턴을 가지고 있는, 같은 연령의 성인이라고 해도 생화학적인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영양학적인 요구량에 차이가 있으며, 8 이러한 생화학적인 개별성을 측정하여 교정하는 것은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생화학적인 개별성은 생체 내 미네랄 과 비타민 대사의 차이로 나타나는데, 1920년대 이 후 사용되기 시작한 모발분석으로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9 모발검사는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한 검사보다 이용에 편리하 며, 한번에 여러 가지 원소를 분석할 수 있고, 혈액에 비해 조직 내 만성적인 상태 표지 자로서 더욱 민감하다. 10  저자는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여성과 없는 여성의 조직 내 미네랄 함량의 차이를 보기 위 한 연구를 시행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결과를 이용하여 무작위 이중맹검을 통 해 조직 내 영양소 불균형에 대한 미네랄의 보급이 생리전증후군의 치료에 어떠한 영향 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4. 방 법    1. 연구대상  생리전증후군에 대한 무작위맹검연구 자원공고를 통해 모집된 생리전증후군 여성 40명 을 대상으로, 고지된 동의서를 받은 후 이들을 20명씩 무작위로 각각 투여군, Placebo군 으로 분류하였다.  20명은 placebo를 투여하였으며, 20명은 아연(600mg #3), 마그네슘(600mg #3), 비타민 B6 (900mg #3) 가 함유된 복합 미네랄 처방을 하였다. 아연, 마그네슘, 비타민 B6 의 투 여는 저자들의 이전 실험 결과 (preliminary study)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생리전증후군 이 없는 군과 있는 군의 모발 내 미네랄의 함량은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생리전증후군 이 없는 군에서 모발 내 마그네슘과 아연의 총량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lacebo 군은 밀가루로 만든 위약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에서 사용된 알약과 크기와 모양이 같 도록 하였다. 투약전과 투약 후 모발을 이용한 조직미네랄검사를 실시하여 모발 내 미네 랄 패턴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생리전증후군의 증상은 투약전과 투약 후 MMDQ 설문지를 통해 증상의 중등도를 측정하였다.    2. 방법  모발을 이용한 조직미네랄 검사는 최근 3주간 염색이나 파마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또 한 채취 3시간 이내에 두발세정을 하지 않고 젤이나 스프레이등의 모발관련 제품을 사용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되었다.   모발의 채위는 두정부에서 모근으로부터 3Cm 정도 길이로 0.15 gm 스테인리스 가위로 채취하여 무게를 정량한 후, 모발미네랄 전문분석기관인 미국 TEI (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ct, TX, USA) 에 분석을 의뢰하였으며 측정된 미네랄의 CV (Coefficient of Variation) 은 다음과 같다. (Ca 4.6%, Mg 5.1%, K 13.8%, Na 8.0%, Cu 5.0%, Zn 5.0%, Fe 5.0% )  채취 된 모발 표본은 3mm 이하의 길이로 잘라 무게를 측정한 후, 각각을 50ml의 acid- washed polyprophylene 원심 분리관에 넣고 초고순도의 trace-metal grade HNO3를 첨가 한다. 5분간 원심 분리 후, CEM Mars 5 Plus Microwave Digestion apparatus (Houston, TX, USA) 에 넣는다.   표본을 70℃에서 20분 동안 방치한 후 온도를 115℃로 올려 15분간 더 방치한다. 이후 표본을 상온으로 냉각한 후 deionized water / gold solution으로 희석한 후 잘 섞는다. 미 네랄 함량의 측정은 ICP-MS (inductive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를 사용 (Sciex Elan 6100, Perkin-Elmer, Houston, TX, USA) 하여 분석하였다.     3. 통계분석  표시된 모든 값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Excel 을 사용하였다.  
  • 5. 결 과    1) 두 군의 투약 전 비교  위약군의 평균연령은 27.40±6.24 세(mean±SD) 이였으며 (25세 ~ 37세), 투약군의 평균 연력은 29.33 ±4.58세 (24세 ~ 41세)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군의 투약 전 MMDQ 설문지 점수에서 판단 및 기억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설문지영역 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판단 및 기억에서는 투여군에서 판단 및 기억장애 가 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  두 군의 투여 전 모발 검사상 미네랄의 성분은 칼슘을 제외한 각 성분에서 유의한 차이 가 발견되지 않았다. 칼슘 성분은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 1).    Table 1. Scores of MMDQ before intervention in placebo and treatment groups.    Figure 1. Mineral concentrations of hair before treatment in both groups.      † mean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 ith the other. (p < 0.01)    2) 투여 전 후의 MMDQ 점수의 변화  위약군에서는 투여 전 후의 MMDQ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에서는 감정기 복, 판단 및 기억, 행동장애 등의 증상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1) (Fig. 2).    Figure 2. Changes of MMDQ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reatment group. 
  • 6.   † means statistically siginificant compared w ith the corresponding values before treatment. (p < 0.01)  Negative affect, concentration and behaviour chang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w ith zinc, magnesium and Vit. B6 for 3 months.    3) 투약 전 후의 모발 내 미네랄 함량 (concentration : mg%) 의 비교  투여 전 후의 모발검사 소견은 위약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 았다. (Table 2).    Table 2. Changes fo mineral concentration (mg%) and ratio in hair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both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고 찰    인체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모발분석(tissue mineral assay) 는 머리카락 속에 있 는 30여 가지의 미네랄과 8가지 중금속의 양, 중요 미네랄 비율을 분석하여 체내에 과잉, 결핍 및 불균형 상태를 평가하고 대사타입을 제시하는 임상 영양학과 독성학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검사방법이다.  미네랄의 측정은 신체조직을 이용하는 방법, 소변이나 척수액 등의 소변을 이용하는 방 법, 세포 분획을 이용하는 방법, 혈장 단백 등에서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두발을 이용한 방법은 고통 없이 검체의 채취가 가능하며, 저장이 간편하고 여러 종류의 미네랄 을 한꺼번에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12 그러나, 항상 외부 자극에 노출이 되어 있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사용하는 모발관리 제품의 영향을 완전히 무시하기 어 려우며, 두발의 손질, 위치, 직경, 연령, 계절, 성장속도, 분석방법 등에 영향을 받기 때 문에 아직까지 일치하는 참고치가 확립이 되어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3 또한 모발 중의 미네랄 함량과 혈액 내 미네랄의 농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모발의 미네랄이
  • 7. 인체 내의 미네랄 정도를 얼마나 반영하는 가에 대한 점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14,15 그러나 최근, 모발 내 미네랄 불균형이 특정 질병과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분만력과 모발 내 크롬함량의 감소, 16 학습장애 아동의 모발 내 카드뮴, 납의 증가, 17,18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아의 납, 수은 증가 등이 보고된 바가 있으 며, 19 다른 질병으로 건선, 20,21 아토피 피부염, 22-14 원형탈모, 25 여드름, 26,27 백반증 28 등 체내 특정 미네랄의 함량 이상과 여러 질병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바가 있다. 산부인 과 영역에서 모발 미네랄의 이용은 산보의 산전진찰 과정에서 중금속 오염 여부를 진단 하고 식이요법은 안내하는 목적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생리전증후군이나 다낭성난 소증후군처럼 원인과 치료가 명확하지 않는 질환 치료의 보조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생리전증후군의 원인 역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최근에는 개개인의 생화 학적인 차이로 인한 특정 영양성분의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주장이 대두 되고 있다. 23 혈중 마그네슘의 양은 생리전증후군의 유무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나 마그네슘을 공급하는 것으로 생리전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 다. 29 또한 칼슘 섭취가 생리전증후군을 경감시킨다는 보고도 있어 30,31 여러 가지 식생 활 패턴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여 성과 없는 여성과의 식생활 패턴은, 생리전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이 62%정도 정제된 탄 수화물을 더 섭취하며, 75% 정도 정제된 설탕을 더 복용하고, 79% 정도 유제품의 섭취 량이 많고, 78% 정도 소금섭취량이 높고 53% 정도 철분 섭취량이 적으며 77% 정도 망 간 섭취량이 적고, 52% 정도 아연 섭취량이 부족한 특징을 보인다. 1 즉, 어떤 형태이던 미네랄의 부족과 결핍, 혹은 과다가 생리전증후군의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식생활에서 부족한 미네랄은 다른 미네랄의 흡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기간의 부족 은 예기치 못한 불균형을 유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칼슘의 지속적인 과다 보충은 아 연이나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여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32   생리전증후군의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것은 Mos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rie (MDQ) 이다. 33 본 논문에서는 1983년에 개정 된 Modified Moss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MMDQ)를 사용하였다. 34 MMDQ 는 감정기복, 판단 및 기 억, 통증, 수분저류, 피곤, 자율신경실조증상, 사회활동장애의 7가지 영역에 대한 설문으 로 이루어져 있다.     아연, 마그네슘, 비타민 B6 의 투여는 저자들의 이전 실험 결과(Preliminary study)를 바 탕으로 한 것이다. 생리전증후군이 없는 군과 있는 군의 모발 내 미네랄의 함량은 서로 차이를 보이는데, 생리전증후군이 없는 군에서 모발 내 마그네슘과 아연의 총량이 더 많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reliminary study) 아연은 체내의 200여 개가 넘는 효소의 기능 에 관여하는데 이들의 대부분은 metalloenzyme으로 단백질을 catalyse 하거나 단백질은 stabilize 하는데 관여한다. 35,36 아연은 또한 강한 항산화물질로, 항노화에 관여하는 superoxide dismutase 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꼭 필요한 물질이다. 아연은 혈액 검사로 도 확인할 수 있으나, 신체 내 염증성 변화가 있거나 육체적인 스트레스가 있는 경우 수 치가 감소하므로 정확도가 떨어진다. 37,38   과거 생리전증후군의 영양치료로, 하루 1200mg 정도의 칼슘 복용이 생리전증후군의 증 상을 완화한다는 여러 보고들이 있었다. 생리통을 54%에서 완화시키고, 음식과다섭취 (food craving) 증상을 54%에서 감소시키며, 기분의 저조한 변화를 45%에서 개선시킨다 는 보고가 있었다. 31 그러나 본 연구자들의 조사에서, 생리전증후군의 유무에 따라 모발 내 칼슘의 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어 치료 제제로 선택하지 않았다.  비타민 B6는 신경전달물질의 생합성에 사용되는 cofactor 이다. 비타민 B6 의 단독투여 는 효과가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39,40 효과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41,42 비타민 B와 마그 네슘을 동시 투여하였을 때 synergistic effect를 가져 생리전증후군 환자의 신경과민 증상 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 43 본 논문에서 마그네슘과 아연을 비타민 B6 와 동시 투 여한 결과, 생리전증후군의 증상 중 특히 심한 감정기복, 피곤함, 판단력 저하에 효과적 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개월 치료 후 재 시행된 모발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미세영양 소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투여된 영양소가 조직 내 축적될 정도의 과다한 용 량이 아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생체 내 이용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양이 과다하여 이 용 후 남은 잔여 미네랄들은 모발 등 조직 내에 남아있게 된다. 11,12  결론적으로, 저자는 본 연구에서 생리전증후군의 예방과 치료에 식이요법과 식생활 패턴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미세 영양소 중 특히 마그네슘과 아연이 증상완화에 중요한 기능을 함을 알 수 있었다. Domoney 등 (2003) 에 의하면 생리전증후군 여성들의 대부분이 기존의 치료방법에 대해 불신하고 있으며 혼자 진단 내리고 적당한 대체요법
  • 8. 을 찾아 증상의 경감을 시도한다고 하였다. 44 이러한 생리전증후군 여성들에게 정확한 진단과 신빙성 있는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향 후 미세영양소를 이용한 상태평가와 치료에 더 많은 검사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Campbell EM, Peterkin D, O’Grady K, Sanson-fisher R. Premenstrual symptoms in general practice patients. Prevalence and treatment. J Reprod Med 1997;42:637-46  2.Johnson SR, McChesney C, Bean JA. Epidemiology of premenstrual symptoms in a nonclinical sample. I. Prevalence, natural history and help-seeking behavior. J Reprod Med 1988;33:340-6  3.Wittchen HU, Becker E, Lieb R, Krause P. Prevalence, incidence and stabilit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in the community. Psychol Med 2002;32:119-32  4.Freeman EW. Premenstrual syndrome: current perspectives on treatment and etiology. Curr Opin Obstet Gynecol 1997;9:147-53  5.Abraham GE, Lubran MM. Serum and red cell magnesium levels in patients with premenstrual tension. Am J Clin Nutr 1981;34:2364-6  6.Sherwood RA, Rocks BF, Stewart A, Saxton RS. Magnesium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Ann Clin Biochem 1986;23:667-70  7.Rosenstein DL, Elin RJ, Hosseini JM, Grover G, Rubinow DR. Magnesium measures across the menstrual cycle in premenstrual syndrome. Biol Psychiatry 1994;35:557-61  8.Williams RJ. Biochemical individuality : the basis for genetotrophic concept. New Canaan, Ct.: Keats publishing 1998  9.Althausen TL, Gunther L. Acute arsenic poisioning; a report of seven cases and a study of arsenic excretion with especial reference to hair. JAMA 1929;92;2002-6  10.Wilhelm M, Muller F, Idel H. Biological monitoring of Mercury vapor exposure by scalp hair analysis in comparison to blood and urine. Toxicol lett 1996;88;221-6  11.Delves HT. Assessment of trace element status. J Clin Endocrinol Metab 1985;14:725- 60  12.Klevay LM, Bistrian BR, Fleming CR, Neumann CG. Hair analysis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medicine. Am J Clin Nutr 1987;46:233-6  13.Kruse-Jarres JD. Limited usefulness of essential trace element analyses in hair. Am Clin Lab 2000;19:8-10  14.Jacob RA, Klevay LM, Logan GM Jr. Hair as a biopsy material. V. Hair metal as an index of hepatic metal in rats: copper and zinc. Am J Clin Nutr 1978;31:477-80  15.Rivlin RS. Misuse of hair analysis for nutritional assessment. Am J Med 1983;75:489-93  16.Hambidge KM, Rodgerson DO. Comparison of hair chromium levels of nulliparous and parous women. Am J Obstet Gynecol 1969;320-321  17.Phil RO, Parkes M. Hair element content in learing disabled children. Science 1977;198:204-6  18.Stewart-Pinkham SM. The effect of ambient cadmium air pollution on the hair mineral content of children. Sci Total Environ 1989;78:289-96  19.Pihl RO, Parkes M, Hair element content in learning disabled children. Science 1977;198:204-6  20.Smith SA, Aamir F, Otis MP. Elevated serum nickel concentration in psoriasis vulgaris. Int J Dermatol 1994;33:783-5  21.Michaelsson G. Decreased concentration of selenium in whole blood and plasma in acne vulgaris. Acta Derm Venereol 1990;70:92  22.Hinks LJ, Young S, Clayton B. Trace element status in eczema and psoriasis. Clin Exp Dermatol 1987;12:93-7  23.Di Toro R, Galdo Capotorti G, Gialanella G, Miraglia del Giudice M, Moro R, Perrone L. Zinc and copper status of allergic children. Acta Paediatr Scand 1987;76:612-7  24.Fairris GM, Perkins PJ, Lloyd B, Hinks L, Clayton BE. The effect on atopic dermatitis of supplementation with selenium and vitamin E. Acta Derm Venereol 1989;69:359-62  25.Mussalo-Rauhamaa H, Lakomaa EL, Kianto U, Lehto J. Element concentrations in serum, erythrocytes, hair and urine of alopecia patients. Acta Derm Venereol 1986;06:103-9  26.Weimar VM, Puhl SC, Smith WH, tenBroeke JE. Zinc sulfate in acne vulgaris. Arch Dermatol 1978;114:1776-8  27.Verma KC, Saini AS, Dhamija SK. Oral zinc sulphate therapy in acne vulgaris: a double- blind trial. Acta Derm Venereol 19801;60:337-40  28.Genov D, Bozhkov B, Zlatkov NB. Copper pathochemistry in vitiligo. Clin Chim Acta
  • 9. 1972;37:207-11  29.Facchinetti F, Borella P, Sances G, Fioroni L, Nappi RE, Genazzani AR. Oral magnesium successfully relieves premenstrual mood changes. Obstet Gynecol 1991;78:177-81  30.Penland JG, Johnson PE. Dietary calcium and magnesium effects on menstrual cycle symptoms. Am J Obstet Gynecol 1993;168:1417-23  31.Thys-Jacobs S, Ceccarelli S, Bierman A, Weisman H, Cohen MA, Alvir J. Calcium supplementation in premenstrual syndrome: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J Gen Intern Med 1989;4:183-9  32.Shamberger RJ. Calcium, Magnesium and other elements in the red blood cells and hair of normals and patients with premenstrual syndrome. Biol Trace Elem Res 2003;94:123-9  33.Moss RH. The development of a Menstrual Distress Questionnaire. Psychosom Med 1968;30:853-67  34.Clare AW. Psychiatric and social aspects of premenstrual complaint. Psychol med 1983;2:75-86  35.Warlaw GM, Hampl JS, Disilvestro RA. Perspectives in nutrition, 6th ed., McGrow-Hill, New York, 2004, Chap 12  36.Chesters JK. Zinc in Handbook of nutritionally essential mineral elements, O’Dell BL and Sunde RA, Eds., Marcel Dekker, New York, 1997, Chap 7  37.Disilvestro RA, Cousins RJ. Mediation of endotoxin-induced changes in zinc metabolism in rats. Am J Physiol 1984;247:E436-41  38.Naber TH, Van den Hamer CJ, Van den Broke WJ, Van Tongeren JH. Zinc uptake by blood cells of rats in zinc deficiency and inflammation. Biol Trace Elem Res 1992;35:137-52  39.Abraham GE, Rumley RE. Role of nutrition in managing the premenstrual tension syndromes. J Reprod Med 1987;32:405-22  40.Doll H, Brown S, Thurston A, Vessey M. Pyridoxine ( vitamin B6) and the premenstrual syndrome: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J R Coll Gen Pract. 1989;39:364-8  41.Hagen I, Nesheim BI, Tuntland T. No effect of vitamin B-6 against premenstrual tension. A controlled clinical study  42.Malmgren R, Collins A, Nilsson CG. Platelet serotonin uptake and effects of vitamin B6- treatment in premenstrual tension. Neuropsychobiology 1987;18:83-6  43.De Souza MC, Walker AF, Robinson PA, Bolland K. A synergistic effect of a daily supplement for 1 month of 200 mg magnesium plus 50 mg vitamin B6 for the relief of anxiety – related premenstrual symptoms: a randomized, double-blind, crossover study. J womens Health Gend Based Med 2000;9:131-9  44.Domoney CL, Vashisht A, Studd JW. Premenstrual syndrome and the use of alternative therapies. Ann N Y Acad Sci 2003;997:3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