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0
Download to read offline
보 도 자 료
                2012년 5월 7일(월) 조간(5.6. 12:00 이후)부터 보도
        보도일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   환경보건정책관실 이율범 과장 / 이서현 사무관
         부서    화학물질과     02-2110-7951 / 7960
         배포일시     2012. 5. 4.(금) / 총 10매

국민 31% “환경부 최우선 해결과제는 유해화학물질 피해”
 ◇ 환경부, 2012년 3월 국민 1,000명 대상 ‘생활공감 화학물질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 화학물질 피해의 심각도 관련 조사대상 80% “심각” 이상 답변
 - 정부의 유해물질 관리강화(32%), 기업의 위해성 정보 공개
   (39%) 등에 대한 개선요구 높음
 ◇ 환경부 “화학물질에 대해 높아진 국민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
   하고 선진화된 화학물질 관리정책을 추진할 것”

□ 국민 31%가 환경부의 최우선 해결과제로 유해화학물질 피해 관리를
  꼽으며 화학물질 피해에 대한 높은 우려와 관심을 드러냈다.


□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6일 2012년 3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공감 화학물질에 관한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이번 조사는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의 인식수준을 파악해 화학물질
   위해성관리 정책방향 설정에 활용하는 한편, 2002년 1차로 실시한
   인식도조사와의 결과비교를 통해 10년간 변화된 국민 인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 조사결과, 조사 대상의 31.3%가 유해화학물질 피해를 환경부의 최
  우선 해결분야로 선택했으며,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의 심각도에
  대해서는 80.1%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 1 -
<화학물질 피해발생의 심각성 인식도>




□ 아울러,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우려 정도는 공장‧소각시설 관련 화학
 물질(35.7%)이 가장 높았으며, 가정용품 관련 화학물질이 2위(27.0%)를
 차지했다.
           <생활주변 화학물질 피해발생 또는 불안감 원인>




 ○ 가정용품에 대한 화학물질 피해우려는 2002년 17.7%에서 2012년
  27%로 9.3% 증가한 반면,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화학물질 피해
  우려 정도는 31.3%에서 24.9%로 6.4% 감소하며 2, 3위 자리를
  맞바꿨다.


□ 또한, 화학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
 (38.1%)하며, 다음으로 기업체의 역할이 중요(24.6%)하다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2 -
<화학물질 안전성 확보 주체>




 ○ 정부의 우선정책과제로는 유해물질 사용금지 등 규제강화(32.3%)와
   대국민 홍보 및 정보제공(27.5%)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 기업의 우선정책과제로는 위해성 정보 공개(39.0%)와 유해물질 사용
   감축 또는 대체물질 사용(30.9%)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정부의 우선 정책과제>           <기업의 우선 정책과제>




□ 환경부 관계자는 “화학물질 위해성 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제도강화 등 안전관리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정책이 마련되도록
 다양하고 선진화된 화학물질 관리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붙임 : 생활공감 화학물질에 관한 인식도 조사 결과. 1부. 끝.


                      - 3 -
[붙 임] 생활공감 화학물질에 관한 인식도 조사 결과


□ 화학물질 인식도

 ① 유해화학물질 피해저감을 환경부의 최우선 해결분야로 선택(31%)

  - ‘02년도에는 수질오염분야(31.6%)가 가장 높았으며, 유해화학물질
   피해(10.2%)는 4위였음
               《환경관련 우선 해결과제》




 ② 응답자의 80% 화학물질 로 인한 피해 심각 (조금 심각함 60%,
  매우 심각함 20%)하다고 인식
             《생활주변 화학물질 피해 인식도》




                      - 4 -
‧
 ③ 화학물질 불안요인은 공장소각시설 관련 화학물질이 가장 높고 (36%),
  가정용품 관련 화학물질도 2위(27%)를 차지
             《생활주변 화학물질 피해발생 원인》




□ 가정용 화학제품 인식도

 ①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유해성인식은 3.71점*으로 높은 편이며, 접착제,
   살충제, 광택제, 살균제를 특히 유해하다고 인식
              《생활화학용품 유해인식도》




  * 5점 척도 문항으로 1점(매우 안전)부터 5점(매우 위험)까지 가운데 선택


                     - 5 -
② 합성세제→섬유유연제→세정제→표백제 순으로 주 2~3회 이상 사
 용한다고 응답
             《생활화학용품 사용빈도》




 - 합성세제, 섬유유연제, 세정제, 표백제 등 피부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용품에 대한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남

 - 살충제, 접착제, 살균제, 광택제, 방향제, 탈취제 등 흡입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용품에 대한 사용빈도가 낮게 나타남


③ 유해성과 노출의 중요성 비슷 (64%)하지만, 유해성 (12%)보다
  노출(24%)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두 배 정도 더 높음
             《유해성과 노출의 중요도》




                  - 6 -
④ 가장 관리가 필요한 제품으로 살충제(20%)를 선택했으며 표백제(14%),
   접착제(14%), 살균제(13%) 등의 순서로 필요성 인식
                 《관리 필요 생활화학용품》




  - 관리필요대상 순위와 유해도 순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국민의
   요구가 단지 유해성뿐만 아니라 사용빈도(②항목 결과) 즉 노출을
   고려한 것으로 추측
   ․이는, ③의 조사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음

  - 살충제, 접착제, 살균제 등 사용용도 이외로 불가피 하게 호흡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군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높게
   나타남


□ 정보 취득 현황

 ① 응답자의 59%는 화학제품 관련 정보 취득이 어렵다(조금 어렵다 49%,
   매우 어렵다 11%)고 응답
              《화학제품 정보취득 용이성》




                     - 7 -
② 가장 중요한 정보취득 경로가 언론매체(60%)이며, 주변사람(16%)과
  인터넷‧SNS(15%)을 그 다음 중요 경로로 선택
             《화학제품 정보취득 경로》




③ 피해 예방을 위해 화학물질의 위해성정보(35%)를 가장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응답
           《피해예방을 위해 알고 싶은 정보》




                  - 8 -
□ 관리정책 수립방향

 ① 화학물질 안전성확보를 위해 정부 역할(38%)이 가장 중요
               《화학물질 안전성 확보 주체》




  - 중앙정부(38.1%)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화학물질 안전관리
   책임이 중앙정부가 가장 큰 것을 의미

  -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전달 측면에서 언론매체(20.3%)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줌

 ② 정부에는 화학물질의 위해성 자료제출의 의무화 및 제품 표시
   (61%)를 요청
                  《정부 정책 방향》




  - 93.7% 응답자가 정부의 관리 필요성에 동의하며, 산업계의 자율적
   이행 등 규제가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6.3%)에 비해 월등히 높음

  - 위해성자료제출 의무화 및 제품표시(61.2%)를 소비자정보 선별
   후 제품에 표시(32.5%)보다 2배정도 높은 비율로 선택

                    - 9 -
③ 기업에는 화학물질 사용 및 위해성 정보공개(39%)를 요청
                   《기업의 우선 과제》




 - 기업스스로 유해물질 배출저감을 하는 것보다 위해성정보 공개에
  더 높은 비율로 응답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환경부 화학물질과 이서현 사무관(☎ 02-2110-7960)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10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환경부 유해물질 국민인식조사결과 (2012)

[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
[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
[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여성환경연대
 
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
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
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여성환경연대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여성환경연대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여성환경연대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여성환경연대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여성환경연대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여성환경연대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환경타임즈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여성환경연대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여성환경연대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환경타임즈
 
[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
[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
[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여성환경연대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Similar to 환경부 유해물질 국민인식조사결과 (2012) (13)

[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
[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
[국정감사정책 자료집] 국민건강이 위태롭다! (생활화학용품 안전 관리대책 평가를 중심으로, 2012년)
 
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
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
이클레이시민사회포럼 환경보건 자료집(2015년)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자료집] 초미세먼지 대기오염과 중국스모그 문제 이렇게 대처하자; 최예용 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울만들기 토론회 자료집(2015)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화평법,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 가능한가 (2012)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20201105_[결과보고서] 외음부 세정제 사용경험 및 몸에 대한 인식 조사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환경성질환 예방ㆍ관리를 위한 환경보건정책 추친현황 및 향후방향(2008)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생리대 안전과 여성건강 토론회자료집 (2017)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04 환경부 아토피 예방관리 정책방향_최종_수정
 
[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
[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
[보도자료] 7월 안심마트 치약, 비누 트리클로산 모니터링결과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환경정의] 차기정부를 위한 환경정의 10대 정책 과제 요약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여성환경연대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여성환경연대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여성환경연대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2015 결산재무제표
2015 결산재무제표
 

환경부 유해물질 국민인식조사결과 (2012)

  • 1. 보 도 자 료 2012년 5월 7일(월) 조간(5.6. 12:00 이후)부터 보도 보도일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 환경보건정책관실 이율범 과장 / 이서현 사무관 부서 화학물질과 02-2110-7951 / 7960 배포일시 2012. 5. 4.(금) / 총 10매 국민 31% “환경부 최우선 해결과제는 유해화학물질 피해” ◇ 환경부, 2012년 3월 국민 1,000명 대상 ‘생활공감 화학물질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 화학물질 피해의 심각도 관련 조사대상 80% “심각” 이상 답변 - 정부의 유해물질 관리강화(32%), 기업의 위해성 정보 공개 (39%) 등에 대한 개선요구 높음 ◇ 환경부 “화학물질에 대해 높아진 국민 관심을 바탕으로 다양 하고 선진화된 화학물질 관리정책을 추진할 것” □ 국민 31%가 환경부의 최우선 해결과제로 유해화학물질 피해 관리를 꼽으며 화학물질 피해에 대한 높은 우려와 관심을 드러냈다. □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6일 2012년 3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공감 화학물질에 관한 국민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이번 조사는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의 인식수준을 파악해 화학물질 위해성관리 정책방향 설정에 활용하는 한편, 2002년 1차로 실시한 인식도조사와의 결과비교를 통해 10년간 변화된 국민 인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됐다. □ 조사결과, 조사 대상의 31.3%가 유해화학물질 피해를 환경부의 최 우선 해결분야로 선택했으며,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의 심각도에 대해서는 80.1%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 1 -
  • 2. <화학물질 피해발생의 심각성 인식도> □ 아울러, 화학물질로 인한 피해우려 정도는 공장‧소각시설 관련 화학 물질(35.7%)이 가장 높았으며, 가정용품 관련 화학물질이 2위(27.0%)를 차지했다. <생활주변 화학물질 피해발생 또는 불안감 원인> ○ 가정용품에 대한 화학물질 피해우려는 2002년 17.7%에서 2012년 27%로 9.3% 증가한 반면, 자동차 배기가스에 대한 화학물질 피해 우려 정도는 31.3%에서 24.9%로 6.4% 감소하며 2, 3위 자리를 맞바꿨다. □ 또한, 화학물질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 (38.1%)하며, 다음으로 기업체의 역할이 중요(24.6%)하다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2 -
  • 3. <화학물질 안전성 확보 주체> ○ 정부의 우선정책과제로는 유해물질 사용금지 등 규제강화(32.3%)와 대국민 홍보 및 정보제공(27.5%)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 기업의 우선정책과제로는 위해성 정보 공개(39.0%)와 유해물질 사용 감축 또는 대체물질 사용(30.9%)의 우선순위가 높았다. <정부의 우선 정책과제> <기업의 우선 정책과제> □ 환경부 관계자는 “화학물질 위해성 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제도강화 등 안전관리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정책이 마련되도록 다양하고 선진화된 화학물질 관리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붙임 : 생활공감 화학물질에 관한 인식도 조사 결과. 1부. 끝. - 3 -
  • 4. [붙 임] 생활공감 화학물질에 관한 인식도 조사 결과 □ 화학물질 인식도 ① 유해화학물질 피해저감을 환경부의 최우선 해결분야로 선택(31%) - ‘02년도에는 수질오염분야(31.6%)가 가장 높았으며, 유해화학물질 피해(10.2%)는 4위였음 《환경관련 우선 해결과제》 ② 응답자의 80% 화학물질 로 인한 피해 심각 (조금 심각함 60%, 매우 심각함 20%)하다고 인식 《생활주변 화학물질 피해 인식도》 - 4 -
  • 5. ‧ ③ 화학물질 불안요인은 공장소각시설 관련 화학물질이 가장 높고 (36%), 가정용품 관련 화학물질도 2위(27%)를 차지 《생활주변 화학물질 피해발생 원인》 □ 가정용 화학제품 인식도 ① 생활화학용품에 대한 유해성인식은 3.71점*으로 높은 편이며, 접착제, 살충제, 광택제, 살균제를 특히 유해하다고 인식 《생활화학용품 유해인식도》 * 5점 척도 문항으로 1점(매우 안전)부터 5점(매우 위험)까지 가운데 선택 - 5 -
  • 6. ② 합성세제→섬유유연제→세정제→표백제 순으로 주 2~3회 이상 사 용한다고 응답 《생활화학용품 사용빈도》 - 합성세제, 섬유유연제, 세정제, 표백제 등 피부에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용품에 대한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남 - 살충제, 접착제, 살균제, 광택제, 방향제, 탈취제 등 흡입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용품에 대한 사용빈도가 낮게 나타남 ③ 유해성과 노출의 중요성 비슷 (64%)하지만, 유해성 (12%)보다 노출(24%)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두 배 정도 더 높음 《유해성과 노출의 중요도》 - 6 -
  • 7. ④ 가장 관리가 필요한 제품으로 살충제(20%)를 선택했으며 표백제(14%), 접착제(14%), 살균제(13%) 등의 순서로 필요성 인식 《관리 필요 생활화학용품》 - 관리필요대상 순위와 유해도 순위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국민의 요구가 단지 유해성뿐만 아니라 사용빈도(②항목 결과) 즉 노출을 고려한 것으로 추측 ․이는, ③의 조사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음 - 살충제, 접착제, 살균제 등 사용용도 이외로 불가피 하게 호흡을 통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군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높게 나타남 □ 정보 취득 현황 ① 응답자의 59%는 화학제품 관련 정보 취득이 어렵다(조금 어렵다 49%, 매우 어렵다 11%)고 응답 《화학제품 정보취득 용이성》 - 7 -
  • 8. ② 가장 중요한 정보취득 경로가 언론매체(60%)이며, 주변사람(16%)과 인터넷‧SNS(15%)을 그 다음 중요 경로로 선택 《화학제품 정보취득 경로》 ③ 피해 예방을 위해 화학물질의 위해성정보(35%)를 가장 알고 싶어 하는 것으로 응답 《피해예방을 위해 알고 싶은 정보》 - 8 -
  • 9. □ 관리정책 수립방향 ① 화학물질 안전성확보를 위해 정부 역할(38%)이 가장 중요 《화학물질 안전성 확보 주체》 - 중앙정부(38.1%)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은 것은 화학물질 안전관리 책임이 중앙정부가 가장 큰 것을 의미 -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전달 측면에서 언론매체(20.3%)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줌 ② 정부에는 화학물질의 위해성 자료제출의 의무화 및 제품 표시 (61%)를 요청 《정부 정책 방향》 - 93.7% 응답자가 정부의 관리 필요성에 동의하며, 산업계의 자율적 이행 등 규제가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6.3%)에 비해 월등히 높음 - 위해성자료제출 의무화 및 제품표시(61.2%)를 소비자정보 선별 후 제품에 표시(32.5%)보다 2배정도 높은 비율로 선택 - 9 -
  • 10. ③ 기업에는 화학물질 사용 및 위해성 정보공개(39%)를 요청 《기업의 우선 과제》 - 기업스스로 유해물질 배출저감을 하는 것보다 위해성정보 공개에 더 높은 비율로 응답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환경부 화학물질과 이서현 사무관(☎ 02-2110-7960)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