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Ⅰ. 조사 개요
Ⅱ. 요약 및 시사점
Ⅲ. 세부 조사 결과
Ⅰ. 조사 개요
1. 과업 명 62
2. 과업 목적 62
3. 과업 내용 62
가. 조사 설계
나. 조사 내용
다. 응답자 표본 특성
Ⅱ. 요약 및 시사점 66
Ⅲ. 세부 조사 결과
제1절 네일숍 근로자 근무 현황
1. 네일숍 종사 기간 75
2. 네일숍 근무 시간 76
3. 정규 휴게시간 78
4. 네일숍 직원 수 80
제2절 네일숍 작업환경 현황
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2
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4
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및 시술 작업대 비치 수 86
4. 네일숍 방문 고객 수 88
5. 네일숍 내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90
6. 네일숍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91
7.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97
8.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99
9.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01
10. 네일 제품 구입 방법 103
목차
11.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05
12.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107
13.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0
14.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112
15.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경험 및 교육 주체 114
16.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및 정기교육 빈도 116
제3절 근로자 건강 관련 인식
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119
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1
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3
제4절 네일숍 건강 영향 평가
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5
2. 현재 복용중인 약 127
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29
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1
5.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3
6.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135
7. 흡연 현황 137
8. 산부인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9
9. 초경 시점 141
10. 불규칙한 월경 경험 143
11. 생리전증후군 경험 현황 146
12. 생리전증후군 경험 시점 148
13.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 변화 150
14. 임신 경험 및 1년 이상 소요 임신 경험 152
[표Ⅰ-1-1] 응답자 표본 특성 65
[표Ⅲ-1-1] 네일숍 근무 시간 77
[표Ⅲ-1-2] 정규 휴게시간 여부 79
[표Ⅲ-1-3] 정규 휴게시간 시간대 79
[표Ⅲ-1-4] 네일숍 직원 수 81
[표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3
[표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5
[표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87
[표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87
[표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89
[표Ⅲ-2-6] 급기/배기시스템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2
[표Ⅲ-2-7]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3
[표Ⅲ-2-8] 환기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4
[표Ⅲ-2-9] 창문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5
[표Ⅲ-2-10] 작업대 환기시스템 (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6
[표Ⅲ-2-11]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98
[표Ⅲ-2-12]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100
[표Ⅲ-2-13]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기준) 102
[표Ⅲ-2-14] 네일 제품 구입 장소 104
[표Ⅲ-2-15]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06
[표Ⅲ-2-16]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품 명 및 제품 성분) 108
[표Ⅲ-2-17]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조사 및 제품 용량) 109
[표Ⅲ-2-18]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1
[표Ⅲ-2-19]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1+2순위) 113
[표Ⅲ-2-20]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및 교육 주체 115
[표Ⅲ-2-21]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117
[표Ⅲ-2-22]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정기교육 빈도 118
표목차
[표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120
[표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2
[표Ⅲ-3-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4
[표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6
[표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128
[표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0
[표Ⅲ-4-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2
[표Ⅲ-4-5]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4
[표Ⅲ-4-6]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 주 1회 이상 자주 경험한 비율 136
[표Ⅲ-4-7] 흡연 여부 및 흡연기간, 흡연량 138
[표Ⅲ-4-8] 산부인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40
[표Ⅲ-4-9] 초경 시점 142
[표Ⅲ-4-10] 90일 이상 월경하지 않은 경험 144
[표Ⅲ-4-11] 규칙적 월경주기 여부 및 월경이 불규칙적이었던 시점 145
[표Ⅲ-4-12] 경험했던 생리전증후군 147
[표Ⅲ-4-13] 생리전증후군 경험 시점 149
[표Ⅲ-4-14]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 변화 15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그림Ⅲ-1-1] 네일숍 근로자 종사기간 75

[그림Ⅲ-1-2] 네일숍 근무시간대 분포 76
[그림Ⅲ-1-3] 정규 휴게시간 여부 78
[그림Ⅲ-1-4] 정규 휴게시간대 78
[그림Ⅲ-1-5] 네일숍 직원 수 80
[그림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2
[그림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4
[그림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86
[그림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86
[그림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하루 기준) 88
[그림Ⅲ-2-6] 환기시스템 설치 여부 90
[그림Ⅲ-2-7] 설치 환기시스템 종류 90
[그림Ⅲ-2-8]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91
[그림Ⅲ-2-9]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97
[그림Ⅲ-2-10]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99
[그림Ⅲ-2-11]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01
[그림Ⅲ-2-12] 네일 제품 구입 방법 103
[그림Ⅲ-2-13]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05
[그림Ⅲ-2-14]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107
[그림Ⅲ-2-15]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0
[그림Ⅲ-2-16]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112
[그림Ⅲ-2-17]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114
[그림Ⅲ-2-18] 교육 주체 114
[그림Ⅲ-2-19] 교육 시점 116
[그림Ⅲ-2-20] 정기교육 빈도 116
[그림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119
[그림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1
[그림Ⅲ-3-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3
그림목차
[그림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5
[그림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127
[그림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29
[그림Ⅲ-4-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1
[그림Ⅲ-4-5]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3
[그림Ⅲ-4-6]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135
[그림Ⅲ-4-7] 흡연 여부 137
[그림Ⅲ-4-8] 흡연 기간 및 흡연량 137
[그림Ⅲ-4-9] 산부인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9
[그림Ⅲ-4-10] 초경 시점 141
[그림Ⅲ-4-11] 90일이상 월경 없는 경험 143
[그림Ⅲ-4-12] 규칙적인 월경주기 여부 143
[그림Ⅲ-4-13] 월경이 불규칙적이었던 시점 143
[그림Ⅲ-4-14] 경험했던 생리전증후군 146
[그림Ⅲ-4-15] 생리전증후군 경험 시점 148
[그림Ⅲ-4-16]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 변화 150
[그림Ⅲ-4-17] 임신 경험 152
[그림Ⅲ-4-18] 임신되기까지 1년 이상 소요 경험 152
[그림Ⅲ-4-19] 임신 횟수 153
[그림Ⅲ-4-20] 출산 횟수 153
[그림Ⅲ-4-21] 임신 결과 154
6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Ⅰ. 조사 개요 ㅣ  6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Ⅰ. 조사 개요
1. 과업명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과업 목적 
◍ 2013년 자료에 따르면 국내 네일숍 근로자는 1만 명이 넘으며, 네일숍은 생활 밀착형 사업장으로서
널리 자리를 잡고 있으나, 네일숍의 실내 환경 평가 자료나 네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정보는 접근성
이 떨어지거나 빈약한 실정임.
◍ 네일숍의 주 소비층과 업계 근로자의 대다수가 20~30대의 여성임을 고려하였을 때, 여성 건강, 특
히 생식독성과 발달독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상황임. 이에 따라 서울시내 소재 네일숍 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 환경 및 건강 상태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네일숍의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여
성 건강 노출 실태를 파악하여 네일숍 관련 환경정책과 관리의 문제점, 향후 개선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본 조사의 목적임.
3. 과업 내용
가. 조사 설계
 1) 조사 대상
서울시 소재 네일숍 근로자 (직접 시술자)
2) 조사 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방문면접조사 (Face to Face Interview)
3) 표본 추출 및 규모 
- 표본 추출 : 서울시 소재 네일숍 임의표본 추출법 (Purposive Sampling)
- 유효 표본 : 총 285명 (95% 신뢰구간에서 최대표본허용오차 : ±5.8%)
4) 조사 시점
2017년 8월 14일 ~ 9월 28일
나. 조사 내용
구분 세부 조사 내용
응답자
기초사항
■ 사업장 소재지, 응답자 연령, 네일숍 유형(단독, 숍인숍, 복합형)
■ 응답자 직책, 현재 네일숍 종사 기간 등
기본사항 및
작업환경 평가
■ 네일숍 종사기간 및 휴게시간
   - 네일아트 분야 총 종사기간
   - 네일숍 근무시간 (하루/주 단위)
   - 정규 휴게시간
■ 네일숍 작업 환경 관련
   - 네일숍 규모 (전체 면적, 작업장 면적)
   - 네일숍 위치 (지상, 반지하, 지하)
   - 시술 공간 및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 시술 가능 작업대 설치 대수
   - 네일숍 방문 고객 수 (하루 평균, 최대 방문 고객 수, 최소 방문 고객 수)
■ 네일숍 내부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 공기청정기, 환기 팬, 창문, 작업대 환기시스템
■ 네일숍 환경 관리 현황
   - 쓰레기통 밀폐 관리 정도,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정도
   - 네일 제품 용기 정보 표시 정도, 작업 시 사용 보호구
■ 네일 제품 사용 및 구매 현황
   - 자주 사용 네일 제품 브랜드, 네일 제품 구매 장소
   - 네일 제품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소
■ 건강보호를 위한 인식 및 교육 관련
   - 건강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 네일 제품 관련 안전 및 유해성 관련 교육 현황
6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Ⅰ. 조사 개요 ㅣ  6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구분 세부 조사 내용
건강 인지 정도
및 건강 영향 평가
■ 건강 인지 정도 관련
   - 네일숍 사용 제품의 건강 및 안전/유해성 관련 정도 인지 정도
   - 네일숍 작업 시 네일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 건강 영향 평가
   -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
   - 각종 질환 노출 경험
(알레르기, 피부질환, 호흡기, 이비인후과 질환, 산부인과 질환 경험)
   - 건강 상 불편을 느꼈던 증상
   - 흡연 여부 및 흡연량
   - 생리 관련 질환 (월경주기, 생리전증후군, 생리통 강도 변화 등)
   - 임신 및 출산 관련 (임신 및 출산 경험, 횟수, 임신 결과 등)
다. 응답자 표본 특성
◍ 응답자 표본 특성을 보면, 단독숍이 181표본으로 63.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복합형(미용실, 마사지숍 등과 함께 있는 형태)이 72표본으로 25.3%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백화점
이나 대형마트 내에 있는 숍인숍 형태는 32표본으로 11.2%를 차지하고 있음.
◍ 응답자 중에서 사업주/대표는 95표본으로 33.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업원은 190표
본으로 66.7%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네일아트 분야 종사기간에 따른 표본 분포를 보면,
4년 미만 근로자가 108표본으로 37.9%의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7년 이상 근로자의 경우는 77표본으
로 27.0%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구분 사례 수 구성비(%)
전체 285 100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3.5
숍인숍 32 11.2
복합형 72 25.3
종사기간
4년미만 108 37.9
4~7년미만 100 35.1
7년이상 77 27
직원 수
2명이하 131 46
3명 97 34
4명이상 57 20
연령
20대 137 48.1
30대 121 42.5
40대이상 27 9.5
직책
사업주/대표 95 33.3
종업원 190 66.7
[표Ⅰ-1-1] 응답자 표본 특성
단독
181
63.5%
네일숍 유형 종사기간 직원 수
복합형
72
25.3%
4년미만
108
37.9%
2명이하
131
46%
7년이상
77
27%
4~7년미만
100
35.1%
3명
97
34%
4명이상
57
20%
샵인샵
32
11.2%
종업원
190
66.7%
연령 직책
20대
137
48.1%
30대
121
42.5%
사업주/대표
95
33.3%
40대이상
27
9.5%
6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6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Ⅱ. 요약 및 시사점
1. 네일숍 작업 환경 여건 관련 이슈 
 가. 음식 섭취 공간과 시술 작업 공간의 공유에서 오는 문제점
◍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36.5%로 나타났으며,
특히 숍인숍 형태의 매장과 방문고객 수가 적은 소규모 네
일숍일수록 음식섭취 공간과 작업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3곳 중 1곳이 음식섭취 과정에서 시
술 작업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
으로 파악되어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 섭취 공간을 분
리해야 하는 가이드를 만들어 홍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됨.
나. 네일숍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및 사용 빈도 관련 이슈
◍ 네일숍 응답자의 14.7%가 실내공기 환기를 위한 환기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경우가 73.9%로 가장 많았음. 그 다음으로 많이 설치된 환기시스템
으로 환기팬 65.9%, 창문 55.4%, 급배기시스템(천장팬) 45.8%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를 보면, 공기청정기의 경우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85.9%로 대부분의 매장에서 공기청정기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급기배기시스템(천장 팬)의 경
우는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고 있다는 의견이 70.4%로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
어서 작업 중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실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적극 사용을 권장할 필
요가 있음. 창문을 통한 환기의 경우도 간헐적
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실
내공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환기할 수 있도록
홍보나 계도하는 것이 필요함.
다. 작업 중 쓰레기통의 밀폐 관리를 통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필요성
◍ 작업 시 쓰레기통을 항상 밀폐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43.2%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
고 있는 반면, 항상 개방된 형태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8.8%로 나타났으며, 쓰레기통 뚜
껑은 있으나 가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28.1%로 나타나, 네일숍 절반 이상이
쓰레기통 밀폐 관리 미흡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따라서, 뚜껑이 있는 쓰레기통으로 교체 및 항상 밀폐된 상태로 쓰레기통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가 요구됨.
라.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권장 필요성
◍  작업장 근처에 네일 케어 도구 및 고객 피부에 사용하는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는지 방법과 절차
를 안내하는 내용물을 부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4.6%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작업 후 네일 케어 도구 및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며, 관리하는 일종의 매뉴얼을 제작하여 작업
도구의 사후 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항상 밀폐형태로 사용
43.2%
개방형태로 사용
28.8%
가끔 개방형태로 사용
28.1%
6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6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관련 인식 및 실천
가.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에 대한 충분한 제공 필요
◍ 네일 제품의 건강 및 유해성 관련 정보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3.0%에 불과
하며,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2.8%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근로자
연령이 많을수록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는 응답이 많아서 지속적인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를 제공
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네일 제품의 건강 유해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네일 제품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 주고 건강 보호를 위한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나.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와 실천의 이슈
◍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개인용 보호구 착용’이 49.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기시설 설치’ 16.5%, ‘주기적 환기’ 15.1% 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음.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네일숍 근로자들은 자신의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개인용 보호구 착용’과 ‘실
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환기’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술 작업 과정에서 번거로움이나 고객이 싫어하는 점 등의 이유로 인해 건강 보호를 위한 개인용
보호구 착용이나 환기 등의 기본적인 조치를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실
천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를 보면, ‘앞치마’가 96.8%, ‘마스크’ 95.1%로 대부분 보호구로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갑’의 경우는 46.1%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어
서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피부 보호 노력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 안경’의 경우는
6.7% 만이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매우 낮은 사용 비중을 보이고 있음.
앞치마 96.8%
마스크 95.1%
장갑 46.1%
보호안경 6.7%
7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7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다.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관련 이슈
◍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70.1%로 나타나 비교적 교
육 경험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파악됨.
◍ 네일숍 관련 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경우가 77.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네일숍
자체 사업주가 교육하는 경우는 13.9%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는
경우도 40.8%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서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만
들어서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3.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영향 평가 관련
가. 네일숍 근로자들의 각종 질환으로 인한 건강 영향 평가 필요
◍ 네일숍 근로자들의 39.6%가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해 본인 또는 동료에게 부작용이 발생한 경
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음. 구체적으로는 전체 응답자의 21.4%가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하였으며,
18.6%는 비염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기타 : 호흡기 질환 경험 12.6%, 피부염 경험 6.7% 등)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7.9% 였음.
알레르기 반응 21.4%
호흡기 질환 12.6%
피부염 6.7%
비염 18.6%
부작용 경험 39.6%
◍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은 3.8% 였으며, 연령별 유병률을 살
펴보았을 때, 20~29세 여성에서 4.3% 인 것으로 확인됨.1)
아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10.2% 와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됨. 이는 설문조사에서 확인된 건강영향 중
일반 인구집단의 유병률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임.
◍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근무 환경 및 보호구 착용 유무로 유병률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추후의 피부 질환 예방을 위해 개인 보호구 착용을 의무화 및 네일 제품 전성분 표시와 이에 대
한 직원 안전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따라서, 네일숍에서 사용량이 많은 제품의 유해성이 근로자들의 각종 질환 발생에 어떠한 역학관
계가 있는지 과학적으로 밝히고 검증하는 등 일련의 건강 영향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됨.
나. 네일숍 근로자들의 각종 질환에 대한 진료 경험 현황
◍ 네일숍 근로자들의 22.1%가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
중 1명꼴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 비염 등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됨. 또한, 네일숍 근로자들의 24.6%가 피부 질환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 중 1명꼴로 알레르기성/아토피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 등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의 경우는 네일숍 근로자들의 22.6%가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 중 1명꼴로 비염이나 감기 등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일숍
종사로 인한 증상 악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검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됨.
1) Donghyuk Im, Young Soo Yang, Hye Rang Choi, Seongjun Choi, Hyunjoo Nahm, Kyujin Han, Seok-Chan Hong, Jin
Kook Kim, Jae Hoon Cho |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7;60(10):504-511
7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7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다. 네일숍 근로자들의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 지난 1년간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크게 느꼈던 증상 중에서 주 1회 이상으로 자주 경험한 증상
으로 ‘피로감’이 26.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안구건조/가려움/따가움’ 22.2%, ‘코막
힘’ 17.6%, ‘손건조/가려움/따가움’ 17.6%, ‘두통’ 10.6%, ‘콧물’ 10.2%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증상 역시 다른 요인에 의한 증상일 수도 있으나 네일 제품 취급에 따른 증상 악화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계절 별로 환자 수가 다르나 매해 13만에서 33만명의 환자가 병원을 방
문하는 질환으로, 일반인구집단에서 약 20% 내외의 유병률을 보임. 안구건조증의 경우 2014년
조사된 바에 따르면 서울에서 9.3%의 유병률을 보임. 설문지에서는 지난 1년간 안구건조/가려
움/따가움의 증상 유무 및 빈도를 물었으며, 이에 22.2%가 주 1회 이상 증상을 겪었고, 52.5%
가 한 달에 2~3회 증상을 겪은 것으로 응답하였음. 이로써 일반인구집단에서보다 안구 건조
증상 및 가려움, 따가움과 같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을 겪고 있는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
정할 수 있음. 다만 설문지에서 사용된 안구건조/가려움/따가움 증상을 구분하여 묻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수 있음.
손건조/가려움/따가움 17.6%
피로감 26.8%
안구건조/가려움/따가움 22.2%
코막힘 17.6%
두통 10.6%
콧물 10.2%
◍ 또한,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와 관련하여 네일
숍 근무 시작 전의 생리통 통증 강도가 10점 기준으로 4.8점이
었으나, 네일숍 근무 후의 생리통 통증 강도가 5.1점으로 다
소 증가한 점을 보더라도 네일숍 작업 환경으로 인한 생리통
통증의 강도에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보다
과학적인 역학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음
◍ 본 보고서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근로자의 약 10%가 두통을 느낀다고 응답함. 이러한 증상들은
유기용제 노출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고, 네일숍 실내 공기를 통해 근로자들은 아세톤, 톨루
엔, 폼알데히드 등 유기용제에 노출되고 있음. 따라서 작업 시 노출되는 유기용제로부터 두통과
어지러움이 유발되는지 면밀한 조사가 필요함. 한국에서의 편두통 유병률은 6%이며, 여성에서
9%로 확인됨.2)
편두통의 원인 물질에 VOCs, 후각자극 물질(향수) 등이 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긴장형 두통의 경우 머리 주위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이 동반되면서 나타나므로 작업 시 취하는
자세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임.
2) 신경과학 2판, 범문에듀케이션 787쪽.
네일숍 근무 전
생리통 통증강도
4.8점
네일숍 근무 후
생리통 통증강도
5.1점
7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7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4. 결론 및 제언
 
◍ 네일숍 특성상 영세한 규모로 자영업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바, 작업 환경 역시 열악하게 관리되
고 있는 실정에서 네일숍 근로자들의 건강에 위해한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실임.
◍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네일 제품의 건
강/유해성 관련 정보에 대한 충분한 제공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유해성 정보 제공을 통해 네일
숍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유해 환경으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됨. 특히,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의 유해성 분석 및 결과 공유는
우선적으로 필요한 부분임.
 
◍ 또한, 네일숍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건강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개발하
여 정기적인 교육 시행을 통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 특히, 네일숍에서 사용량이 많은 제품의 유해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네일숍 근로자들의 자
주 사용하는 제품의 유해성 및 각종 질환 발생 관련 역학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입증하는 등 일
련의 건강 영향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적절한 수준에서의 정보 공개를 통해 작업
현장에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호 조치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
함.
Ⅲ. 세부 조사 결과
제1절 네일숍 근로자 근무 현황
1. 네일숍 종사 기간
Q. 현재까지 네일아트 분야에 종사하신 총 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 네일숍 종사 기간은 4년 미만이 37.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4~7년 35.1%, 7년 이상은 27.0%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
   평균 종사 기간은 5.3년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4년미만 37.9
종사기간 (평균) : 5.3년4~7년미만 35.1
7년이상 27.0
(단위 : %)
[그림Ⅲ-1-1] 네일숍 근로자 종사기간
7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7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네일숍 근무 시간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에서의 근무 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 네일숍 근무 시간대를 보면,
   근무 시작 시간은 11시가 62.1%로 가장 많았으며, 10시 29.5%로 그 다음으로 많았음.
   근무 종료 시간은 21시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20시 33.3%로 그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10~11시에 근무 시작하여 20~21시에 근무 종료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일평균 근무 시간은 9.9시간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0.7
0.4 0.4 0.4 3.2
33.3
51.6
9.8
1.1
29.5
62.1
6.0
1.1 0.7
일평균 근무 시간 : 9.9시간
[그림Ⅲ-1-2] 네일숍 근무 시간대 분포
【근무시작 시간대 분포】
【근무종료 시간대 분포】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16시     17시     18시     19시     20시     21시     22시     23시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근무 시간
네일숍 근무 시간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표본 특성에 따라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
고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하루 근무시간(부터)  (단위 : %)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전체 285 0.7 29.5 62.1 6.0 1.1 0.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0.6 26.5 63.5 7.2 1.7 0.6
숍인숍 32 3.1 31.3 53.1 9.4 0.0 3.1
복합형 72 0.0 36.1 62.5 1.4 0.0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0.8 38.2 52.7 7.6 0.8 0.0
3명 97 1.0 21.6 75.3 1.0 1.0 0.0
4명이상 57 0.0 22.8 61.4 10.5 1.8 3.5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0.8 29.6 57.6 9.6 1.6 0.8
9~14명 101 1.0 28.7 65.3 3.0 1.0 1.0
15명이상 59 0.0 30.5 66.1 3.4 0.0 0.0
구분 사례 수
하루 근무시간(까지)  (단위 : %) 평균 하루
근무 시간16시 17시 18시 19시 20시 21시 22시 23시
전체 285 0.4 0.4 0.4 3.2 33.3 51.6 9.8 1.1 9.9
네일숍
유형
단독 181 0.6 0.6 0.0 2.2 35.4 50.3 9.4 1.7 9.8
숍인숍 32 0.0 0.0 0.0 3.1 21.9 65.6 9.4 0.0 10.0
복합형 72 0.0 0.0 1.4 5.6 33.3 48.6 11.1 0.0 10.0
직원 수
2명이하 131 0.8 0.0 0.8 3.1 36.6 48.9 9.9 0.0 9.9
3명 97 0.0 1.0 0.0 5.2 30.9 53.6 8.2 1.0 9.9
4명이상 57 0.0 0.0 0.0 0.0 29.8 54.4 12.3 3.5 9.9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0.8 0.8 0.8 3.2 29.6 52.0 10.4 2.4 9.9
9~14명 101 0.0 0.0 0.0 4.0 28.7 59.4 7.9 0.0 9.9
15명이상 59 0.0 0.0 0.0 1.7 49.2 37.3 11.9 0.0 9.9
[표Ⅲ-1-1] 네일숍 근무 시간
7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7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3. 정규 휴게시간
Q. 근무시간 중에 정규 휴게시간 (식사시간 포함)이 있습니까?
↳ 정규 휴게시간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85.6%로 대부분의 네일숍에서 정규 휴게시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정규 휴게시간은 13~14시가 51.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2~13시는 21.2%로 그 다음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로 점심시간 전후로 하여 정규 휴게시간이 주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Ⅲ-1-3] 정규 휴게시간 여부
[그림Ⅲ-1-4] 정규 휴게시간대
있다
85.6%
없다
14.4%
11시~12시
12시~13시
13시~14시
14시~15시
15시~16시
16시~17시
13시~15시
0.8
21.2
51.5
5.0
10.8
10.0
0.8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5)) (Base : 정규 휴게시간 있다 응답자 (N=241))
◎ 표본 특성 별 분석 – 정규 휴게시간 여부 및 시간대
- 복합형 네일숍 및 직원 수가 3명, 일평균 고객 수가 15명 이상인 네일숍에서 정규 휴게시간을
제공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근무시간 중 정규휴게시간 여부  (단위 : %)
있다 없다
전체 285 85.6 14.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2.9 17.1
숍인숍 32 87.5 12.5
복합형 72 91.7 8.3
직원 수
2명이하 131 86.3 13.7
3명 97 92.8 7.2
4명이상 57 71.9 28.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3.2 16.8
9~14명 101 83.2 16.8
15명이상 59 94.9 5.1
- 단독숍 및 평균 고객 수가 적을수록 12~13시에 정규 휴게시간이 주어지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반면, 숍인숍 및 복합형 숍, 평균 고객 수가 많은 숍의 경우는 13~14시 사이에 정규 휴게시
간이 주어지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정규 휴게시간 있다 응답자 (N=241))
구분 사례 수
정규 휴게시간  (단위 : %)
11~12시 12~13시 13~14시 14~15시 15~16시 16~17시 13~15시
전체 241 0.8 21.2 51.5 5.0 10.8 10.0 0.8
네일숍
유형
단독 147 0.0 25.2 47.6 4.8 12.2 8.8 1.4
숍인숍 28 3.6 10.7 53.6 10.7 10.7 10.7 0.0
복합형 66 1.5 16.7 59.1 3.0 7.6 12.1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0.0 13.3 45.1 8.0 17.7 15.0 0.9
3명 90 1.1 35.6 47.8 3.3 4.4 6.7 1.1
4명이상 38 2.6 10.5 78.9 0.0 5.3 2.6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01 0.0 25.7 45.5 5.9 11.9 8.9 2.0
9~14명 84 1.2 20.2 54.8 4.8 11.9 7.1 0.0
15명이상 56 1.8 14.3 57.1 3.6 7.1 16.1 0.0
[표Ⅲ-1-2] 정규 휴게시간 여부
[표Ⅲ-1-3] 정규 휴게시간 시간대
8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4. 네일숍 직원 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의 직원 수는 총 몇 명입니까? (사업주 포함)
↳ 네일숍 직원 수는 2명 이하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3명은 34.0%로 그 다음으로 많은 것으
로 나타남.
 
↳ 네일숍 평균 직원 수는 2.7명으로 대부분 영세한 규모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2명이하 46.0
평균 직원 수 : 2.7명3명 34.0
4명이상 20.0
(단위 : %)
[그림Ⅲ-1-5] 네일숍 직원 수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직원 수
- 네일숍 직원 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유형 및 방문 고객 수가 많을수록 직원 수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숍 직원 수  (단위 : %)
평균 (명)
2명이하 3명 4명이상
전체 285 46.0 34.0 20.0 2.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46.4 30.4 23.2 2.7
숍인숍 32 31.3 37.5 31.3 3.0
복합형 72 51.4 41.7 6.9 2.4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56.0 25.6 18.4 2.6
9~14명 101 51.5 35.6 12.9 2.5
15명이상 59 15.3 49.2 35.6 3.3
  
[표Ⅲ-1-4] 네일숍 직원 수
8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제2절 네일숍 작업환경 현황
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의 규모(면적)는 대략 어느 정도 입니까?
↳ 네일숍의 전체 면적은 평균 37.3㎡이며, 작업장 면적은 24.2㎡로 나타남.
 
↳ 네일숍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장 면적은 66.1%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전체면적 37.3
전체대비 작업장 비중 : 66.1%
작업장면적 24.2
(단위 : %)
[그림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 네일숍 면적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단독 및 숍인숍 형태의 경우 작업장 면적 비중이 70% 내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복합형은 53%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또한, 직원 수가 많은 네일숍일수록 작업장 면적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숍 작업장 규모 (단위 : ㎡)
전체 면적 작업장 면적 작업장 면적 비중 (%)
전체 285 37.3 24.2 66.1
네일숍
유형
단독 181 37.3 26.6 70.7
숍인숍 32 31.0 20.9 69.0
복합형 72 40.1 19.8 53.0
직원 수
2명이하 131 27.5 16.3 62.7
3명 97 41.1 25.7 64.8
4명이상 57 53.8 40.1 76.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40.4 26.2 65.3
9~14명 101 32.3 22.2 69.9
15명이상 59 39.5 23.4 61.1
[표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습니까?
↳ 네일숍의 건물 내 위치를 보면, ‘지상’에 위치한 경
우가 91.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반지하’
또는 ‘지하’에 위치한 경우는 8.8%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반지하’ 또는 ‘지하’에 위치한 네일숍의 경우는
자연환기를 통한 실내공기 질 개선에 어려움이 존재
하므로 별도의 환기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지상 91.2
반지하 1.4
지하 7.4
(단위 : %)
[그림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 표본 특성 별 분석 – 건물 내 네일숍 위치
- 건물 내 네일숍 위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단독 및 복합형 네일숍의 경우 대부분 지상에 위치한
반면, 숍인숍의 경우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에 입주하고 있는 관계로 지하에 위치한 경우가 상
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건물 내 네일숍 위치  (단위 : %)
지상 반지하 지하
전체 285 91.2 1.4 7.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96.7 1.1 2.2
숍인숍 32 62.5 0.0 37.5
복합형 72 90.3 2.8 6.9
직원 수
2명이하 131 96.2 0.8 3.1
3명 97 88.7 2.1 9.3
4명이상 57 84.2 1.8 14.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95.2 0.8 4.0
9~14명 101 88.1 2.0 9.9
15명이상 59 88.1 1.7 10.2
[표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및 시술 작업대 비치 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은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습니까?
Q. 시술이 가능한 작업대는 총 몇 대가 비치되어 있습니까?
↳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36.5%로 나타나,
음식섭취 과정에서 시술 작업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네일숍 시술 작업대 수는 3대가 33.0%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3.5대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그림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분리
63.5%
비분리
36.5%
2대 이하
3대
4~5대
6대 이상
29.1
33.0
28.1
9.8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5))
◎ 표본 특성 별 분석 -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및 시술 작업대 비치 수
- 음식섭취 공간의 작업공간과 분리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와 방문고객 수가 적은 네
일숍일수록 음식섭취 공간과 작업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시술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단위 : %)
분리 비분리
전체 285 63.5 36.5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5.2 34.8
숍인숍 32 53.1 46.9
복합형 72 63.9 36.1
직원 수
2명이하 131 67.2 32.8
3명 97 55.7 44.3
4명이상 57 68.4 31.6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0.0 40.0
9~14명 101 61.4 38.6
15명이상 59 74.6 25.4
 
- 시술 작업대 수의 경우 단독형 네일숍 및 직원 수가 많을수록 시술 작업대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
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숍 직원 수  (단위 : %)
평균 (대)
2대 이하 3대 4~5대 6대 이상
전체 285 29.1 33.0 28.1 9.8 3.5
네일숍
유형
단독 181 26.0 37.0 26.5 10.5 3.6
숍인숍 32 28.1 25.0 28.1 18.8 3.7
복합형 72 37.5 26.4 31.9 4.2 3.1
직원 수
2명이하 131 55.7 29.0 13.7 1.5 2.6
3명 97 7.2 50.5 41.2 1.0 3.5
4명이상 57 5.3 12.3 38.6 43.9 5.6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32.8 32.0 26.4 8.8 3.5
9~14명 101 35.6 40.6 17.8 5.9 3.1
15명이상 59 10.2 22.0 49.2 18.6 4.3
[표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표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평균 시술작업대 수
: 3.5대
8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4. 네일숍 방문 고객 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의 방문 고객 수는 하루 기준으로 어느 정도입니까?
↳ 네일숍 평균 방문 고객 수는 하루 기준으로 평균 9.8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방문 고객 수는 12.0명, 최소 방문 고객 수는 4.3명으로 조사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방문고객 수(하루평균)
최대 방문 고객 수(일)
9.8
12.0
최소 방문 고객 수(일) 4.3
(단위 : 평균(명))
[그림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하루 기준)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방문 고객 수
- 네일숍 방문 고객 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및 직원 수가 많은 매장의 방문 고객 수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건물 내 네일숍 위치  (단위 : %)
하루 평균
방문 고객 수
최대 방문
고객 수
최소 방문
고객 수
전체 285 9.8 12.0 4.3
네일숍
유형
단독 181 9.6 11.7 4.2
숍인숍 32 10.9 14.6 5.1
복합형 72 9.9 11.6 4.4
직원 수
2명이하 131 8.1 9.7 3.6
3명 97 11.1 13.0 4.8
4명이상 57 11.6 15.5 5.3
[표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9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5. 네일숍 내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Q. 네일숍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습니까?
↳ 네일숍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5.3%로 나타나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환기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경우가 73.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기팬 65.9%,
창문 55.4%, 급배기시스템(천장팬) 45.8%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Ⅲ-2-6] 환기시스템 설치 여부
[그림Ⅲ-2-7] 설치 환기시스템 종류
없다
14.7%
있다
85.3%
급배기시스템(천장팬)
공기청정기
환기팬
창문
작업대환기시스템
(국소배기장치)
45.8
73.9
65.9
55.4
27.7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5)) (Base : 환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249))
[그림Ⅲ-2-8]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급배기시스템
(천장팬)
공기청정기 환기팬 창문 작업대환기시스템
(국소배기장치)
70.4
21.7
2.6
5.2
0
(단위 : %)
6. 네일숍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Q. 각각의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는 어떠합니까?
↳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를 보면, 전반적으로 ‘영업시간 내내 사용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가운데,
작업대환기시스템의 경우는 작업시에만 사용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창문의 경
우는 간헐적으로 사용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상황에 따른 환기시스템
의 사용 빈도가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음.
(Base : 환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249))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시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85.9
74.4
58.8
64.7
10.9
18.9
14.0
32.4
1.6
4.9
8.8
1.5
1.1
1.2
17.6
1.5
0.5
0.6
0.7
0
9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및 직원 수가 많은 매장
일수록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를 설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숍인숍 형태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을 사용하
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급기/배기시스템
설치여부
급기/배기시스템 (천장 팬)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45.8 54.2 70.4 21.7 2.6 5.2 0.0
네일숍
유형
단독 156 43.6 56.4 65.2 24.6 2.9 7.2 0.0
숍인숍 30 83.3 16.7 88.0 12.0 0.0 0.0 0.0
복합형 63 33.3 66.7 66.7 23.8 4.8 4.8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37.2 62.8 64.3 28.6 4.8 2.4 0.0
3명 81 45.7 54.3 78.4 18.9 0.0 2.7 0.0
4명이상 55 63.6 36.4 69.4 16.7 2.8 11.1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39.5 60.5 69.6 23.9 2.2 4.3 0.0
9~14명 80 56.3 43.8 71.1 22.2 4.4 2.2 0.0
15명이상 55 43.6 56.4 70.8 16.7 0.0 12.5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급기/배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114))
[표Ⅲ-2-6] 급기/배기시스템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표본 특성 별 분석 -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및 방문 고객 수가 많은 매장일수록 공
기청정기를 설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복합형 매장 및 직원 수가 많은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공기청정기를 사용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공기청정기
설치여부
공기청정기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73.9 26.1 85.9 10.9 1.6 1.1 0.5
네일숍
유형
단독 156 71.2 28.8 85.6 10.8 0.9 1.8 0.9
숍인숍 30 83.3 16.7 80.0 16.0 4.0 0.0 0.0
복합형 63 76.2 23.8 89.6 8.3 2.1 0.0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75.2 24.8 84.7 11.8 2.4 1.2 0.0
3명 81 76.5 23.5 83.9 11.3 1.6 1.6 1.6
4명이상 55 67.3 32.7 91.9 8.1 0.0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66.7 33.3 85.7 11.7 0.0 1.3 1.3
9~14명 80 75.0 25.0 88.1 8.5 3.4 0.0 0.0
15명이상 55 87.3 12.7 83.3 12.5 2.1 2.1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공기청정기 설치 응답자 (N=184))
[표Ⅲ-2-7]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환기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환기팬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표본 특성에 따른 특이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
한 수준의 환기팬 설치를 한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직원 수가 많은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환기팬을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환기팬
설치여부
환기팬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65.9 34.1 74.4 18.9 4.9 1.2 0.6
네일숍
유형
단독 156 66.0 34.0 74.8 18.4 4.9 1.0 1.0
숍인숍 30 63.3 36.7 78.9 21.1 0.0 0.0 0.0
복합형 63 66.7 33.3 71.4 19.0 7.1 2.4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69.0 31.0 70.5 20.5 9.0 0.0 0.0
3명 81 58.0 42.0 72.3 21.3 0.0 4.3 2.1
4명이상 55 70.9 29.1 84.6 12.8 2.6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57.0 43.0 70.8 21.5 6.2 0.0 1.5
9~14명 80 83.8 16.3 79.1 14.9 4.5 1.5 0.0
15명이상 55 58.2 41.8 71.9 21.9 3.1 3.1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환기팬 설치 응답자 (N=164))
[표Ⅲ-2-8] 환기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표본 특성 별 분석 - 창문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창문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의 경우 창문 설치가 안 된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직원 수가 많은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창문을 통해 환기를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창문
설치여부
창문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55.4 44.6 58.8 14.0 8.8 17.6 0.7
네일숍
유형
단독 156 60.3 39.7 66.3 7.6 7.6 18.5 0.0
숍인숍 30 30.0 70.0 44.4 44.4 0.0 11.1 0.0
복합형 63 55.6 44.4 42.9 22.9 14.3 17.1 2.9
직원 수
2명이하 113 54.9 45.1 54.1 18.0 13.1 13.1 1.6
3명 81 63.0 37.0 58.0 10.0 8.0 24.0 0.0
4명이상 55 45.5 54.5 72.0 12.0 0.0 16.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61.4 38.6 52.9 16.2 8.8 22.1 0.0
9~14명 80 56.3 43.8 71.1 6.7 11.1 8.9 2.2
15명이상 55 41.8 58.2 52.2 21.7 4.3 21.7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창문 설치 응답자 (N=138))
[표Ⅲ-2-9] 창문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단독형 매장의 경우 작업대 환
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를 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으나 작업시에만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숍인숍 및 복합형 매장의 경우는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
기장치) 설치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는 경우가 단독형 매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 또한, 방문 고객 수가 많은 매장일수록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
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작업대
환기시스템
설치여부
작업대 환기시스템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27.7 72.3 64.7 32.4 1.5 1.5 0.7
네일숍
유형
단독 156 33.3 66.7 56.9 39.2 2.0 2.0 0.0
숍인숍 30 16.7 83.3 100.0 0.0 0.0 0.0 0.0
복합형 63 19.0 81.0 83.3 16.7 0.0 0.0 2.9
직원 수
2명이하 113 27.4 72.6 71.0 25.8 3.2 0.0 1.6
3명 81 17.3 82.7 71.4 28.6 0.0 0.0 0.0
4명이상 55 43.6 56.4 52.2 43.5 0.0 4.3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30.7 69.3 45.7 54.3 0.0 0.0 0.0
9~14명 80 25.0 75.0 78.9 10.5 5.3 5.3 2.2
15명이상 55 25.5 74.5 92.9 7.1 0.0 0.0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작업대 환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69))
[표Ⅲ-2-10]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7.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Q. 작업 시 쓰레기통을 주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습니까?
↳ 시술 작업 시 쓰레기통을 항상 밀폐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43.2%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반면, 항상 개방된 형태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8.8%로 나타났으며, 뚜껑은 있으나 가
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28.1%로 나타나 절반 이상이 쓰레기통 밀폐 관리 미
흡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항상 밀폐된 상태로 사용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는 쓰레기통)
가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은 있음)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이 없음)
43.2
28.1
28.8
(단위 : 평균(명))
[그림Ⅲ-2-9]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항상 밀폐형태로 사용
43.2%
개방형태로 사용
28.8%
가끔 개방형태로 사용
28.1%
항상밀폐형태로사용
43.2%
개방형태로사용
28.8%
가끔개방형태로사용
28.1%
9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및 종사기간이 7년 이상 응
답자, 직원 수가 많을수록 작업 시 쓰레기통을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단위 : %)
항상 밀폐된
상태로 사용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는 쓰레기통)
가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은 있음)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이 없음)
전체 285 43.2 28.1 28.8
네일숍
유형
단독 181 48.1 24.9 27.1
숍인숍 32 37.5 28.1 34.4
복합형 72 33.3 36.1 30.6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51.9 23.1 25.0
4~7년미만 100 38.0 35.0 27.0
7년이상 77 37.7 26.0 36.4
직원 수
2명이하 131 52.7 22.9 24.4
3명 97 37.1 35.1 27.8
4명이상 57 31.6 28.1 40.4
연령
20대 137 43.8 28.5 27.7
30대 121 40.5 29.8 29.8
40대이상 27 51.9 18.5 29.6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41.6 25.6 32.8
9~14명 101 48.5 26.7 24.8
15명이상 59 37.3 35.6 27.1
[표Ⅲ-2-11]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8.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Q. 작업장 근처에 네일케어 도구 및 고객 피부에 사용하는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는지
방법과 절차를 안내하는 내용물이 부착되어 있습니까?
↳ 작업장 근처에 네일케어 도구 및 고객 피부에 사용하는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는지 방법과 절차를
안내하는 내용물을 부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4.6%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아니오
55.4%
예
44.6%
[그림Ⅲ-2-10]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10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응답자 연령대가 높을수록 안
내 내용물 부착을 하지 않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단위 : %)
예 아니오
전체 285 44.6 55.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42.5 57.5
숍인숍 32 65.6 34.4
복합형 72 40.3 59.7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52.8 47.2
4~7년미만 100 36.0 64.0
7년이상 77 44.2 55.8
직원 수
2명이하 131 58.8 41.2
3명 97 27.8 72.2
4명이상 57 40.4 59.6
연령
20대 137 48.2 51.8
30대 121 43.8 56.2
40대이상 27 29.6 70.4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42.4 57.6
9~14명 101 38.6 61.4
15명이상 59 59.3 40.7
[표Ⅲ-2-12]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9.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Q. 주로 사용하는 네일 제품(리퀴드, 젤 등)의 브랜드를 사용량이 많은 순서대로 3개까지
적어주십시오.
↳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으로는 전반적으로 ‘반디젤’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모디’, ‘젤리핏’, ‘켄디젤’, ‘디젤’ 등의 순으로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그림Ⅲ-2-11]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반디젤 모디 젤리핏 켄디젤 디젤 아이즈미 오페라젤 그라시아 아발리코 바비젤
30.6
23.6
15.5
4.2
15.8
2.5
17.6
6.7
4.9
2.8
9.5
2.1
62.0
7.0
15.8
6.3
38.0
4.9
11.6
7.0
(단위 : %)1순위 1+2+3순위
10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기준)
-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표본 특성에 따른 특이할만한 차이를 보이
지 않고 비슷한 브랜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구분 사례 수
주로 사용하는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단위 : %)
반디
젤
모디
젤리
핏
기타
그라
시아
켄디
젤
디젤
오페
라젤
아발
리코
바비
젤
전체 284 62.0 38.0 23.6 19.4 15.8 15.8 15.5 11.6 9.5 7.0
네일숍
유형
단독 180 60.0 36.7 23.9 20.6 15.6 17.2 13.9 13.9 7.8 6.7
숍인숍 32 78.1 37.5 25.0 18.8 21.9 6.3 15.6 6.3 9.4 3.1
복합형 72 59.7 41.7 22.2 16.7 13.9 16.7 19.4 8.3 13.9 9.7
종사
기간
4년미만 107 61.7 31.8 25.2 22.4 15.0 10.3 9.3 13.1 6.5 5.6
4~7년미만 100 60.0 44.0 20.0 17.0 16.0 23.0 19.0 11.0 9.0 9.0
7년이상 77 64.9 39.0 26.0 18.2 16.9 14.3 19.5 10.4 14.3 6.5
직원 수
2명이하 131 67.9 33.6 24.4 14.5 16.8 17.6 13.0 17.6 7.6 4.6
3명 96 67.7 53.1 18.8 15.6 20.8 12.5 16.7 9.4 10.4 8.3
4명이상 57 38.6 22.8 29.8 36.8 5.3 17.5 19.3 1.8 12.3 10.5
연령
20대 136 58.1 33.8 26.5 22.1 12.5 16.2 14.0 12.5 6.6 8.1
30대 121 66.9 42.1 19.0 17.4 20.7 14.9 17.4 9.1 11.6 6.6
40대이상 27 59.3 40.7 29.6 14.8 11.1 18.5 14.8 18.5 14.8 3.7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4 63.7 36.3 22.6 24.2 19.4 16.9 15.3 4.8 8.9 6.5
9~14명 101 60.4 43.6 25.7 9.9 11.9 16.8 12.9 22.8 8.9 6.9
15명이상 59 61.0 32.2 22.0 25.4 15.3 11.9 20.3 6.8 11.9 8.5
[표Ⅲ-2-13]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기준)
10. 네일 제품 구입 방법
Q. 네일 제품은 주로 어디에서 구입하십니까? (복수응답)
↳ 네일 제품 구입 방법으로 ‘소매점’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52.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온
라인 쇼핑몰’ 50.2%, ‘박람회’ 37.9%, ‘도매점’ 11.6%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소매점
박람회
온라인 쇼핑몰
도매점
기타
본사(영업사원)
52.6
37.9
50.2
11.6
3.9
2.5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2-12] 네일 제품 구입 방법
10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구입 방법
- 네일 제품 구입 방법에 대해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응답자 종사기간이 짧고 직원 수가 적은 매장의
경우 ‘소매점’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반면, 복합형 매장의 경우는 ‘온라인 쇼
핑몰’에서, 응답자 종사기간이 7년 이상인 경우는 ‘박람회’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아 표본 특성에 따른 네일 제품 구입 방법에 다소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 구입 방법 (복수응답, 단위 : %)
소매점
온라인
쇼핑몰
박람회 도매점
본사
(영업사원)
기타
전체 285 52.6 50.2 37.9 11.6 2.5 3.9
네일숍
유형
단독 181 56.9 49.7 37.0 9.4 0.6 4.4
숍인숍 32 50.0 31.3 31.3 15.6 15.6 6.3
복합형 72 43.1 59.7 43.1 15.3 1.4 1.4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1.1 54.6 28.7 7.4 3.7 3.7
4~7년미만 100 49.0 49.0 41.0 15.0 0.0 4.0
7년이상 77 45.5 45.5 46.8 13.0 3.9 3.9
직원 수
2명이하 131 64.1 45.0 38.2 12.2 1.5 1.5
3명 97 40.2 59.8 29.9 15.5 3.1 2.1
4명이상 57 47.4 45.6 50.9 3.5 3.5 12.3
연령
20대 137 56.9 54.7 29.9 13.1 2.9 2.9
30대 121 49.6 46.3 43.0 10.7 2.5 3.3
40대이상 27 44.4 44.4 55.6 7.4 0.0 11.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51.2 63.2 34.4 11.2 1.6 4.0
9~14명 101 49.5 42.6 50.5 12.9 4.0 2.0
15명이상 59 61.0 35.6 23.7 10.2 1.7 6.8
 
 
[표Ⅲ-2-14] 네일 제품 구입 장소
11.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Q. 네일 제품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시는 선택 기준은 무엇입니까?
↳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는 1순위 기준으로 ‘제품 성능’이 65.3%로 가장 많이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유해성 여부’ 14.7%, ‘브랜드’ 13.0%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2+3순위 중복응답 기준으로 볼 때도 1순위 기준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그림Ⅲ-2-13]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단위 : %)
제품성능
65.3
85.6
유해성 여부
14.7
53.7
브랜드
31.6
13.0
인지도
2.5
9.1
고객 선호도
8.4
2.5
가격
2.1
10.9
1순위 1+2순위
10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및 응답자 종사기간
7년 이상인 경우에 ‘유해성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 구매 시 중요 고려요소 (1+2순위) (단위 : %)
제품
성능
유해성
여부
브랜드 가격 인지도
고객
선호도
기타
전체 285 85.6 53.7 31.6 10.9 9.1 8.4 0.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7.8 49.7 31.5 9.9 9.9 10.5 0.0
숍인숍 32 84.4 65.6 37.5 6.3 6.3 0.0 0.0
복합형 72 80.6 58.3 29.2 15.3 8.3 6.9 1.4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8.0 50.0 28.7 13.0 11.1 8.3 0.9
4~7년미만 100 89.0 50.0 29.0 11.0 7.0 13.0 0.0
7년이상 77 77.9 63.6 39.0 7.8 9.1 2.6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80.2 54.2 29.8 13.0 11.5 9.9 0.8
3명 97 90.7 54.6 29.9 10.3 4.1 10.3 0.0
4명이상 57 89.5 50.9 38.6 7.0 12.3 1.8 0.0
연령
20대 137 87.6 48.9 27.7 13.1 10.2 10.9 0.7
30대 121 83.5 58.7 37.2 7.4 6.6 6.6 0.0
40대이상 27 85.2 55.6 25.9 14.8 14.8 3.7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4.8 52.8 32.0 11.2 11.2 6.4 0.8
9~14명 101 84.2 58.4 24.8 12.9 8.9 10.9 0.0
15명이상 59 89.8 47.5 42.4 6.8 5.1 8.5 0.0
 
  
[표Ⅲ-2-15]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2.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Q. 네일 제품 용기에 관련 정보가 잘 보이도록 표기가 되어 있습니까?
↳ 네일 제품 용기에 관련 정보가 잘 보이도록 표기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모든 제품에
표기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가운데, 제품 명 및 용량 표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
으로 나타난 반면, 제품 성분 및 제조사 표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표기 정도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제품 명
제조사
제품 성분
용량표기
89.1 10.2 0.7
0.7
2.1
70.5
78.6
28.8
19.3
67.0 29.5 3.5
(단위 : %)
[그림Ⅲ-2-14]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되지 않음
10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명 및 성분 정보 표기 정도
- 네일 제품 명 및 성분 정보 표기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응답자 종사기간이 4년 미만 및 직원
수가 4명 이상으로 많은 매장에서 ‘제품 명’ 및 ‘성분’ 정보 표기를 일부 제품에만 표기한다고 응
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제품 명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제품 성분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전체 285 89.1 10.2 0.7 67.0 29.5 3.5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5.6 13.8 0.6 61.9 34.8 3.3
숍인숍 32 93.8 3.1 3.1 84.4 9.4 6.3
복합형 72 95.8 4.2 0.0 72.2 25.0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1.5 18.5 0.0 54.6 43.5 1.9
4~7년미만 100 94.0 4.0 2.0 78.0 19.0 3.0
7년이상 77 93.5 6.5 0.0 70.1 23.4 6.5
직원 수
2명이하 131 92.4 7.6 0.0 76.3 23.7 0.0
3명 97 88.7 9.3 2.1 64.9 28.9 6.2
4명이상 57 82.5 17.5 0.0 49.1 43.9 7.0
연령
20대 137 86.9 13.1 0.0 60.6 38.0 1.5
30대 121 91.7 7.4 0.8 73.6 23.1 3.3
40대이상 27 88.9 7.4 3.7 70.4 14.8 14.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6.4 12.8 0.8 60.0 34.4 5.6
9~14명 101 94.1 5.0 1.0 78.2 20.8 1.0
15명이상 59 86.4 13.6 0.0 62.7 33.9 3.4
 
 
 
[표Ⅲ-2-16]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품 명 및 제품 성분)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제조사 및 제품 용량 정보 표기 정도
- 네일 제품 제조사 및 제품 용량 정보 표기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복합형 매장에서 ‘제품 제조
사’ 및 ‘제품 용량’ 정보 표기를 일부 제품에만 표기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
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제조사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제품 용량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전체 285 70.5 28.8 0.7 78.6 19.3 2.1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9.6 29.8 0.6 78.5 20.4 1.1
숍인숍 32 87.5 9.4 3.1 93.8 0.0 6.3
복합형 72 65.3 34.7 0.0 72.2 25.0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8.5 31.5 0.0 79.6 17.6 2.8
4~7년미만 100 75.0 23.0 2.0 81.0 17.0 2.0
7년이상 77 67.5 32.5 0.0 74.0 24.7 1.3
직원 수
2명이하 131 72.5 27.5 0.0 81.7 16.8 1.5
3명 97 69.1 28.9 2.1 75.3 20.6 4.1
4명이상 57 68.4 31.6 0.0 77.2 22.8 0.0
연령
20대 137 66.4 33.6 0.0 77.4 20.4 2.2
30대 121 76.0 23.1 0.8 81.8 17.4 0.8
40대이상 27 66.7 29.6 3.7 70.4 22.2 7.4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8.0 31.2 0.8 68.0 29.6 2.4
9~14명 101 72.3 26.7 1.0 88.1 10.9 1.0
15명이상 59 72.9 27.1 0.0 84.7 11.9 3.4
 
 
[표Ⅲ-2-17]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조사 및 제품 용량)
11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3.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Q. 작업 시에 사용하는 보호구가 있습니까?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를 보면, ‘앞치마’가 96.8%, ‘마스크’ 95.1%로 대부분 보호구로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장갑’의 경우는 46.1%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유해화학물질로 인
한 피부 보호 노력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 안경’의 경우는 6.7% 만이 사용하고 있
다고 응답하여 매우 낮은 사용 비중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앞치마
장갑
마스크
보호안경
기타
96.8
46.1
95.1
6.7
0.4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2-15]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앞치마’ 및 ‘마스크’의 경우는 표본 특성별로
는 특이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수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장갑’의 경우는 응답자 종사기간이 4년 미만인 경우와 직원 수가 2명 이하, 방문 고객 수가 15명
이상의 매장에서 ‘장갑’을 사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구분 사례 수
작업 시 사용 보호구 (복수응답) (단위 : %)
앞치마 마스크 장갑 보호안경 기타
전체 284 96.8 95.1 46.1 6.7 0.4
네일숍
유형
단독 180 96.7 94.4 47.2 6.7 0.0
숍인숍 32 96.9 90.6 43.8 6.3 0.0
복합형 72 97.2 98.6 44.4 6.9 1.4
종사
기간
4년미만 107 95.3 92.5 52.3 4.7 0.0
4~7년미만 100 98.0 98.0 46.0 8.0 1.0
7년이상 77 97.4 94.8 37.7 7.8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98.5 93.9 55.7 7.6 0.8
3명 97 94.8 94.8 32.0 8.2 0.0
4명이상 56 96.4 98.2 48.2 1.8 0.0
연령
20대 136 94.9 92.6 47.1 9.6 0.0
30대 121 98.3 96.7 48.8 2.5 0.8
40대이상 27 100.0 100.0 29.6 11.1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4 94.4 92.7 46.0 5.6 0.0
9~14명 101 98.0 97.0 38.6 7.9 1.0
15명이상 59 100.0 96.6 59.3 6.8 0.0
 
[표Ⅲ-2-18]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4.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Q. 귀하의 직업에서 건강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보면, 1순위 기준으로 ‘개인용 보호
구 착용’이 49.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기시설 설치’ 16.5%, ‘주기적 환기’ 15.1%
등의 순으로 나타남.
↳ 1+2순위 복수응답 기준으로 보면, ‘주기적 환기’를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
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개인용 보호구 착용’과 ‘실내공기질 관리’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단위 : %)
개인용
보호구 착용
49.5
70.2
환기시설
설치
16.5
42.1
15.1
교육
12.3
19.3
근무시간/
근무량 조절
11.2
4.2
고용주의
인식변화
2.5
6.71순위 1+2순위
[그림Ⅲ-2-16]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주기적
환기
50.5
◎ 표본 특성 별 분석 -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1+2순위)
-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의 매장인 경우는 ‘보호구 착
용’ 및 ‘환기시설 설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한편으로 응답자 종사기간이 7년 이상인 경우와 40대 이상 연령층의 경우는 ‘주기적 환기’를 중
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 직원 수가 4명 이상인 매장의 경우 ‘근무시간/근무량 조절’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았으며, 종사기간이 4~7년 사이의 응답자는 ‘교육’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표본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건강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1+2순위) (단위 : %)
개인용
보호구
착용
주기적
환기
환기시설
설치
교육
근무시간/
근무량
조절
고용주의
인식변화
전체 285 70.2 50.5 42.1 19.3 11.2 6.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7.4 53.0 39.8 19.9 12.2 7.7
숍인숍 32 84.4 25.0 59.4 18.8 9.4 3.1
복합형 72 70.8 55.6 40.3 18.1 9.7 5.6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72.2 47.2 40.7 12.0 15.7 12.0
4~7년미만 100 78.0 45.0 37.0 27.0 9.0 4.0
7년이상 77 57.1 62.3 50.6 19.5 7.8 2.6
직원 수
2명이하 131 67.9 59.5 35.9 19.8 8.4 8.4
3명 97 78.4 48.5 43.3 17.5 7.2 5.2
4명이상 57 61.4 33.3 54.4 21.1 24.6 5.3
연령
20대 137 71.5 48.9 38.0 21.9 12.4 7.3
30대 121 71.1 47.1 47.1 18.2 9.9 6.6
40대이상 27 59.3 74.1 40.7 11.1 11.1 3.7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4.8 58.4 42.4 13.6 13.6 7.2
9~14명 101 75.2 42.6 44.6 19.8 8.9 8.9
15명이상 59 72.9 47.5 37.3 30.5 10.2 1.7
[표Ⅲ-2-19]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1+2순위)
11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5.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경험 및 교육 주체
Q. 네일숍에서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안전과 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Q. 안전과 유해성 관련 교육의 주체는 누구였습니까?
↳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70.1%로 나타남.
 
↳ 관련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경우가 77.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네일숍 자체 사업주가 교육하는 경우는 13.9%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그림Ⅲ-2-17]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그림Ⅲ-2-18] 교육 주체
없다
29.9%
있다
70.1%
협회
사업주
세미나
본사
기타
77.6
13.9
5.5
2.5
0.5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201))
◎ 표본 특성 별 분석 -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및 교육 주체
-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의 경우 교육을 받았
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교육 주체에 대해서는 응답자 종사기간이 4~7년 미만인 경우와 직원 수가 2명 이하인 매장에서
관련 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응답자 종사기간이 4년 미만으로
짧거나 직원 수가 4명 이상인 매장의 경우는 사업주가 직접 교육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제품사용 관련
안전/유해성
교육 여부
교육 주체 (단위 : %)
있다 없다
사례
수
협회 사업주 세미나 본사 기타
전체 284 70.1 29.9 201 77.6 13.9 5.5 2.5 0.5
네일숍
유형
단독 180 67.2 32.8 123 81.3 14.6 1.6 1.6 0.8
숍인숍 32 90.6 9.4 29 62.1 10.3 24.1 3.4 0.0
복합형 72 68.1 31.9 49 77.6 14.3 4.1 4.1 0.0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0.2 39.8 65 64.6 26.2 3.1 4.6 1.5
4~7년미만 99 73.7 26.3 73 84.9 8.2 6.8 0.0 0.0
7년이상 77 79.2 20.8 63 82.5 7.9 6.3 3.2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72.5 27.5 95 85.3 11.6 1.1 2.1 0.0
3명 97 64.9 35.1 64 79.7 12.5 7.8 0.0 0.0
4명이상 56 73.2 26.8 42 57.1 21.4 11.9 7.1 2.4
연령
20대 137 61.3 38.7 84 75.0 15.5 2.4 6.0 1.2
30대 120 79.2 20.8 97 79.4 13.4 7.2 0.0 0.0
40대이상 27 74.1 25.9 20 80.0 10.0 10.0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4 72.6 27.4 91 76.9 16.5 3.3 2.2 1.1
9~14명 101 64.4 35.6 65 80.0 10.8 9.2 0.0 0.0
15명이상 59 74.6 25.4 45 75.6 13.3 4.4 6.7 0.0
 
 
[표Ⅲ-2-20]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및 교육 주체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201))
11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6.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및 정기교육 빈도
Q. 교육은 언제 받았습니까?
Q. 연간 기준으로 교육 빈도는 어떻게 됩니까?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은 시점을 보면, ‘자격증 취득 후’가 43.9%로 가장 많았으
며, 그 다음으로 ‘정기적으로 교육’ 40.8%, ‘자격 취득 시’ 35.7%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보면 자격증 취득 시점 이후에 교육을 받고 있으며, 일부는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음.
 
↳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는 경우 교육 빈도를 보면 연간 평균 2.4회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Ⅲ-2-19] 교육 시점 [그림Ⅲ-2-20] 정기교육 빈도
자격증 취득 후
정기적으로
자격증 취득 시
사업장 취직 시
1회
2~4회
5회이상
43.9 56.8
40.8 38.3
35.7 4.9
5.1
(단위 : %, 복수응답) (단위 : %)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201)) (Base : 정기교육 경험 응답자 (N=81))
평균 교육 빈도 : 2.4회/연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은 시점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의 경우 정
기적으로 교육을 받는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196), 무응답(N=5) 제외)
구분 사례 수
교육 시점 (복수응답) (단위 : %)
자격증 취득 후 정기적으로 자격증 취득 시 사업장 취직 시
전체 196 43.9 40.8 35.7 5.1
네일숍
유형
단독 120 50.8 34.2 36.7 5.0
숍인숍 29 31.0 72.4 20.7 6.9
복합형 47 34.0 38.3 42.6 4.3
종사
기간
4년미만 65 43.1 43.1 29.2 10.8
4~7년미만 71 38.0 39.4 47.9 1.4
7년이상 60 51.7 40.0 28.3 3.3
직원 수
2명이하 93 44.1 38.7 40.9 1.1
3명 61 42.6 49.2 41.0 3.3
4명이상 42 45.2 33.3 16.7 16.7
연령
20대 83 42.2 38.6 36.1 7.2
30대 94 44.7 42.6 35.1 1.1
40대이상 19 47.4 42.1 36.8 15.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87 47.1 36.8 35.6 5.7
9~14명 64 35.9 34.4 40.6 1.6
15명이상 45 48.9 57.8 28.9 8.9
[표Ⅲ-2-21]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11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정기교육 빈도
- 정기교육 시 교육 빈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및 복합형 매장, 직원 수가 4명 이상인 매장
에서 교육 빈도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정기교육 경험 응답자 (N=81))
구분 사례 수
정기교육 빈도 (단위 : %)
평균(회)
1회 2~4회 5회이상
전체 81 56.8 38.3 4.9 2.4
네일숍
유형
단독 42 64.3 33.3 2.4 2.0
숍인숍 21 52.4 42.9 4.8 2.8
복합형 18 44.4 44.4 11.1 2.8
종사
기간
4년미만 29 65.5 31.0 3.4 1.9
4~7년미만 28 46.4 50.0 3.6 2.4
7년이상 24 58.3 33.3 8.3 2.9
직원 수
2명이하 37 67.6 24.3 8.1 2.2
3명 30 56.7 43.3 0.0 2.1
4명이상 14 28.6 64.3 7.1 3.4
연령
20대 32 56.3 34.4 9.4 2.8
30대 41 53.7 43.9 2.4 2.1
40대이상 8 75.0 25.0 0.0 1.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32 62.5 31.3 6.3 2.2
9~14명 23 43.5 52.2 4.3 2.6
15명이상 26 61.5 34.6 3.8 2.3
 
 
 
 
 
 
[표Ⅲ-2-22]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빈도
제3절 근로자 건강 관련 인식
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Q. 네일숍에서 사용되는 제품과 관련하여 건강과 안전, 유해성 등에 대한 정보를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 네일 제품의 건강 및 유해성 관련 정보를 알고 있는 정도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
우는 13.0%에 불과하며,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2.8%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그림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잘 모른다
4.2%
매우 잘 알고 있다
13.0%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82.8%
12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의 매장 및 직원
수가 2명 이하인 매장에서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단위 : %)
매우 잘
알고 있다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잘 모른다
전체 285 13.0 82.8 4.2
네일숍
유형
단독 181 11.6 83.4 5.0
숍인숍 32 25.0 71.9 3.1
복합형 72 11.1 86.1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13.9 79.6 6.5
4~7년미만 100 8.0 89.0 3.0
7년이상 77 18.2 79.2 2.6
직원 수
2명이하 131 20.6 77.1 2.3
3명 97 5.2 90.7 4.1
4명이상 57 8.8 82.5 8.8
연령
20대 137 10.9 83.2 5.8
30대 121 14.9 81.8 3.3
40대이상 27 14.8 85.2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14.4 80.8 4.8
9~14명 101 11.9 85.1 3.0
15명이상 59 11.9 83.1 5.1
 
 
 
[표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Q. 네일숍에서 작업할 때 사용하는 제품으로부터 자신의 건강 위험을 얼마나 인식하십니까?
↳ 네일숍에서 작업 시 사용하는 제품으로부터 자신의 건강 위험을 인식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
체의 60.7%로 나타났으며, 인식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5.3%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전혀 인식안함
보통
별로 인식안함
다소 인식
매우 인식
0.0
34.0
5.3
55.8
4.9
(단위 : %)
인식 안함 : 5.3%
인식함 : 60.7%
[그림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근로자와 종사
기간 4년 미만 응답자, 그리고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건강 위험 정도에 대해 인식하는 경우가 상
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단위 : %)
별로
인식 안함
보통 다소 인식 매우 인식
전체 285 5.3 34.0 55.8 4.9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1 36.5 53.0 4.4
숍인숍 32 3.1 25.0 62.5 9.4
복합형 72 4.2 31.9 59.7 4.2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10.2 19.4 60.2 10.2
4~7년미만 100 3.0 46.0 51.0 0.0
7년이상 77 1.3 39.0 55.8 3.9
직원 수
2명이하 131 3.8 32.8 59.5 3.8
3명 97 7.2 35.1 55.7 2.1
4명이상 57 5.3 35.1 47.4 12.3
연령
20대 137 8.8 31.4 56.2 3.6
30대 121 2.5 38.0 55.4 4.1
40대이상 27 0.0 29.6 55.6 14.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4 27.2 59.2 7.2
9~14명 101 4.0 43.6 49.5 3.0
15명이상 59 5.1 32.2 59.3 3.4
 
 
 
 
[표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Q. 건강 위험을 인식하는 경우에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십니까?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보면, ‘마스크 착용’이 86.3%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으로 ‘자주 환기’ 65.6%, ‘위생관리 철저’ 65.0%, ‘장갑 사용’ 54.1%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건강 위험 인식 응답자 (N=183))
마스크 착용
위생관리 철저
흡입하지 않는다
환기를 자주 한다
뚜껑이 있는 제품 사용
장갑 사용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음
작은 용기에 제품을 옮겨 사용
86.3
65.0
34.4
65.6
39.9
54.1
1.1
20.2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3-2]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종사기간이 7년 이상인
응답자의 경우 보다 다양하게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건강 위험 인식 응답자 (N=183))
구분 사례 수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복수응답) (단위 : %)
마스크
착용
환기를
자주
한다
위생
관리
철저
장갑
사용
뚜껑이
있는
제품
사용
흡입
하지
않는다
작은
용기에
제품을
옮겨
사용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음
전체 183 86.3 65.6 65.0 54.1 39.9 34.4 20.2 1.1
네일숍
유형
단독 110 86.4 70.0 68.2 58.2 40.9 39.1 15.5 0.0
숍인숍 26 84.6 53.8 53.8 42.3 65.4 46.2 57.7 3.8
복합형 47 87.2 61.7 63.8 51.1 23.4 17.0 10.6 2.1
종사
기간
4년미만 79 88.6 62.0 64.6 58.2 36.7 38.0 13.9 2.5
4~7년미만 54 94.4 64.8 59.3 48.1 37.0 18.5 11.1 0.0
7년이상 50 74.0 72.0 72.0 54.0 48.0 46.0 40.0 0.0
직원 수
2명이하 85 88.2 78.8 67.1 64.7 41.2 37.6 17.6 0.0
3명 62 83.9 53.2 66.1 38.7 35.5 24.2 16.1 1.6
4명이상 36 86.1 55.6 58.3 55.6 44.4 44.4 33.3 2.8
연령
20대 88 92.0 58.0 65.9 55.7 31.8 31.8 13.6 0.0
30대 75 80.0 74.7 60.0 56.0 45.3 37.3 25.3 2.7
40대이상 20 85.0 65.0 80.0 40.0 55.0 35.0 3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86 87.2 66.3 65.1 51.2 34.9 31.4 17.4 1.2
9~14명 56 78.6 64.3 69.6 42.9 44.6 33.9 25.0 1.8
15명이상 41 95.1 65.9 58.5 75.6 43.9 41.5 19.5 0.0
 
  
[표Ⅲ-3-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제4절 네일숍 건강 영향 평가
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Q. 사용 제품으로 인해 본인 또는 동료에게 부작용이 발생한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어떤 부작용이었습니까?
↳ 사용 제품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60.4%로 나타남.
 
↳ 사용 제품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이 있는 경우에 알레르기 반응 및 비염 등이 상대적으로 많
은 반면, 피부염은 가장 적은 발생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없다
비염
알레르기 반응
호흡기 질환
피부염
60.4
18.6
21.4
12.6
6.7
(단위 : %)
[그림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종사기간이 길수록, 40대 이상 연령
층에서 알레르기 반응이나 비염을 경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복수응답) (단위 : %)
없다
알레르기
반응
비염
호흡기
질환
피부염
전체 285 60.4 21.4 18.6 12.6 6.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57.5 24.3 19.3 13.3 8.8
숍인숍 32 75.0 3.1 21.9 0.0 0.0
복합형 72 61.1 22.2 15.3 16.7 4.2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8.5 16.7 15.7 9.3 8.3
4~7년미만 100 57.0 21.0 19.0 14.0 5.0
7년이상 77 53.2 28.6 22.1 15.6 6.5
직원 수
2명이하 131 72.5 15.3 11.5 8.4 5.3
3명 97 54.6 21.6 20.6 18.6 6.2
4명이상 57 42.1 35.1 31.6 12.3 10.5
연령
20대 137 59.1 24.8 16.8 13.9 6.6
30대 121 63.6 16.5 19.8 9.1 5.8
40대이상 27 51.9 25.9 22.2 22.2 11.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0.0 27.2 16.0 15.2 9.6
9~14명 101 48.5 18.8 27.7 11.9 5.9
15명이상 59 81.4 13.6 8.5 8.5 1.7
 
  
[표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2. 현재 복용중인 약
Q. 현재 복용중인 약이 있습니까? 복용 중인 약을 모두 말씀해 주세요. (복수응답)
↳ 현재 복용중인 약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 92.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알레르기 질
환 관련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2.5%, 산부인과 질환 1.8% 등으로 미미한 비중
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3), 무응답(N=2) 제외)
없음
산부인과 질환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질환
고지혈증
피부 질환
기타
92.6
1.8
0.4
2.5
0.4
0.7
2.5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12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현재 복용중인 약
- 현재 복용중인 약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표본 특성에 따라 특이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3), 무응답(N=2) 제외)
구분 사례 수
현재 복용중인 약 (복수응답) (단위 : %)
없음
알레르기
질환
산부인과
질환
피부
질환
고지혈증
호흡기
질환
기타
전체 283 92.6 2.5 1.8 0.7 0.4 0.4 2.5
네일숍
유형
단독 180 90.6 2.2 2.8 1.1 0.0 0.6 3.9
숍인숍 32 93.8 3.1 0.0 0.0 3.1 0.0 0.0
복합형 71 97.2 2.8 0.0 0.0 0.0 0.0 0.0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8.9 3.7 2.8 0.9 0.0 0.0 4.6
4~7년미만 98 96.9 1.0 1.0 1.0 0.0 1.0 0.0
7년이상 77 92.2 2.6 1.3 0.0 1.3 0.0 2.6
직원 수
2명이하 130 96.2 1.5 0.8 0.8 0.0 0.0 0.8
3명 97 94.8 3.1 2.1 0.0 0.0 1.0 0.0
4명이상 56 80.4 3.6 3.6 1.8 1.8 0.0 10.7
연령
20대 136 90.4 2.2 2.9 1.5 0.0 0.7 3.7
30대 120 94.2 2.5 0.8 0.0 0.8 0.0 1.7
40대이상 27 96.3 3.7 0.0 0.0 0.0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8.0 3.2 3.2 1.6 0.0 0.8 4.8
9~14명 101 96.0 1.0 1.0 0.0 1.0 0.0 1.0
15명이상 57 96.5 3.5 0.0 0.0 0.0 0.0 0.0
 
 
 
[표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Q. 지난 1년 동안 알레르기 질환에 대해 병원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77.9%로 가장 많은 가운데,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1.6%, 알레르기성 비염 10.9% 등으로 10명 중 1명
꼴로 진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7.9%로 비염 유병률은 비근로자와 비슷하게 나타남.
↳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일반인구집단에서 약 20% 내외의 유병률을 보임. 안구건조증의 경
우 2014년 조사된 바에 따르면 서울에서 9.3%의 유병률을 보임. 설문지를 결과에 따르면 일반인
구집단에서보다 안구 건조 증상 및 가려움, 따가움과 같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을 겪고 있
는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 경험 없음
알레르기 비염
기타
11.6
77.9
10.9
1.4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알레르기 반응 21.4%
호흡기 질환 12.6%
비염
13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3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 알레르기 질환 진료 경험에 대해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및 직원 수 4명 이상 매장,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알레르기성 질환 진료 경험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복수응답) (단위 : %)
진료 경험
없음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
비염
기타
전체 285 77.9 11.6 10.9 1.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0.1 9.9 11.0 1.1
숍인숍 32 65.6 18.8 15.6 0.0
복합형 72 77.8 12.5 8.3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2.4 8.3 10.2 0.0
4~7년미만 100 79.0 14.0 9.0 1.0
7년이상 77 70.1 13.0 14.3 3.9
직원 수
2명이하 131 87.8 6.9 5.3 0.0
3명 97 69.1 18.6 12.4 4.1
4명이상 57 70.2 10.5 21.1 0.0
연령
20대 137 79.6 11.7 9.5 0.0
30대 121 79.3 9.9 11.6 0.8
40대이상 27 63.0 18.5 14.8 11.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4.8 6.4 8.8 3.2
9~14명 101 69.3 18.8 12.9 0.0
15명이상 59 78.0 10.2 11.9 0.0
[표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Q. 지난 1년 동안 피부 질환에 대해 병원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75.4%로 가장 많은 가운데, 알레르기성/ 아
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0.2%, 접촉성 피부염 9.2% 등으로 10명 중 1명
꼴로 진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은 3.8% 였으며, 연령별 유병률을 살
펴보았을 때, 20~29세 여성에서 4.3% 인 것으로 확인됨. 아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10.2%와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됨. 이는 설문조사에서 확인된 건강영향 중
일반 인구집단의 유병률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임.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알레르기성/아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 없음
접촉성 피부염
습진
여드름
10.2
75.4
9.2
4.9
2.5
[그림Ⅲ-4-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호흡기 질환 12.6%
피부염 6.7%
부작용 경
(단위 : %, 복수응답)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More from 여성환경연대 (20)

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2021 mh forum_20210527
2021 mh forum_20210527
 
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20210528_보도자료
20210528_보도자료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1
 
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2019 plasticfreecafe 2
2019 plasticfreecafe 2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19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운영성과표 및 재무상태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20년 연간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Kwen] 2020 annual report
[Kwen] 2020 annual report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 기부금 모금액 및 활용실적 명세서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보도자료 및 성명서] 코로나에도 월경은 계속된다 - 5.28 세계월경의날 맞이 기자회견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90918_여성 청결제 꼭 써야 할까요_간담회 자료집(2019)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8 연간 기부금 모금책 및 활용실적 명세서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90521_생리대 유해성 논란 3년, 안전성 확보를 위한 민,관의 노력 어디까지 왔나?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2017 결산재무제표
2017 결산재무제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2016 결산재무제표
2016 결산재무제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5 기부금모금액 및 활용실적명세서
 

20171227_네일숍 종사자 건강경험 설문조사 및 그룹인터뷰 부분

  • 1.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Ⅰ. 조사 개요 Ⅱ. 요약 및 시사점 Ⅲ. 세부 조사 결과
  • 2. Ⅰ. 조사 개요 1. 과업 명 62 2. 과업 목적 62 3. 과업 내용 62 가. 조사 설계 나. 조사 내용 다. 응답자 표본 특성 Ⅱ. 요약 및 시사점 66 Ⅲ. 세부 조사 결과 제1절 네일숍 근로자 근무 현황 1. 네일숍 종사 기간 75 2. 네일숍 근무 시간 76 3. 정규 휴게시간 78 4. 네일숍 직원 수 80 제2절 네일숍 작업환경 현황 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2 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4 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및 시술 작업대 비치 수 86 4. 네일숍 방문 고객 수 88 5. 네일숍 내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90 6. 네일숍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91 7.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97 8.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99 9.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01 10. 네일 제품 구입 방법 103 목차 11.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05 12.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107 13.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0 14.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112 15.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경험 및 교육 주체 114 16.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및 정기교육 빈도 116 제3절 근로자 건강 관련 인식 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119 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1 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3 제4절 네일숍 건강 영향 평가 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5 2. 현재 복용중인 약 127 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29 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1 5.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3 6.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135 7. 흡연 현황 137 8. 산부인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9 9. 초경 시점 141 10. 불규칙한 월경 경험 143 11. 생리전증후군 경험 현황 146 12. 생리전증후군 경험 시점 148 13.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 변화 150 14. 임신 경험 및 1년 이상 소요 임신 경험 152
  • 3. [표Ⅰ-1-1] 응답자 표본 특성 65 [표Ⅲ-1-1] 네일숍 근무 시간 77 [표Ⅲ-1-2] 정규 휴게시간 여부 79 [표Ⅲ-1-3] 정규 휴게시간 시간대 79 [표Ⅲ-1-4] 네일숍 직원 수 81 [표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3 [표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5 [표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87 [표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87 [표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89 [표Ⅲ-2-6] 급기/배기시스템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2 [표Ⅲ-2-7]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3 [표Ⅲ-2-8] 환기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4 [표Ⅲ-2-9] 창문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5 [표Ⅲ-2-10] 작업대 환기시스템 (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96 [표Ⅲ-2-11]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98 [표Ⅲ-2-12]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100 [표Ⅲ-2-13]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기준) 102 [표Ⅲ-2-14] 네일 제품 구입 장소 104 [표Ⅲ-2-15]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06 [표Ⅲ-2-16]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품 명 및 제품 성분) 108 [표Ⅲ-2-17]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조사 및 제품 용량) 109 [표Ⅲ-2-18]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1 [표Ⅲ-2-19]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1+2순위) 113 [표Ⅲ-2-20]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및 교육 주체 115 [표Ⅲ-2-21]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117 [표Ⅲ-2-22]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정기교육 빈도 118 표목차 [표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120 [표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2 [표Ⅲ-3-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4 [표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6 [표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128 [표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0 [표Ⅲ-4-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2 [표Ⅲ-4-5]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4 [표Ⅲ-4-6]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 주 1회 이상 자주 경험한 비율 136 [표Ⅲ-4-7] 흡연 여부 및 흡연기간, 흡연량 138 [표Ⅲ-4-8] 산부인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40 [표Ⅲ-4-9] 초경 시점 142 [표Ⅲ-4-10] 90일 이상 월경하지 않은 경험 144 [표Ⅲ-4-11] 규칙적 월경주기 여부 및 월경이 불규칙적이었던 시점 145 [표Ⅲ-4-12] 경험했던 생리전증후군 147 [표Ⅲ-4-13] 생리전증후군 경험 시점 149 [표Ⅲ-4-14]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 변화 151
  • 4.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그림Ⅲ-1-1] 네일숍 근로자 종사기간 75 [그림Ⅲ-1-2] 네일숍 근무시간대 분포 76 [그림Ⅲ-1-3] 정규 휴게시간 여부 78 [그림Ⅲ-1-4] 정규 휴게시간대 78 [그림Ⅲ-1-5] 네일숍 직원 수 80 [그림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82 [그림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84 [그림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86 [그림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86 [그림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하루 기준) 88 [그림Ⅲ-2-6] 환기시스템 설치 여부 90 [그림Ⅲ-2-7] 설치 환기시스템 종류 90 [그림Ⅲ-2-8]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91 [그림Ⅲ-2-9]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97 [그림Ⅲ-2-10]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99 [그림Ⅲ-2-11]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01 [그림Ⅲ-2-12] 네일 제품 구입 방법 103 [그림Ⅲ-2-13]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05 [그림Ⅲ-2-14]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107 [그림Ⅲ-2-15]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110 [그림Ⅲ-2-16]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112 [그림Ⅲ-2-17]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114 [그림Ⅲ-2-18] 교육 주체 114 [그림Ⅲ-2-19] 교육 시점 116 [그림Ⅲ-2-20] 정기교육 빈도 116 [그림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119 [그림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121 [그림Ⅲ-3-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123 그림목차 [그림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125 [그림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127 [그림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29 [그림Ⅲ-4-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1 [그림Ⅲ-4-5]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3 [그림Ⅲ-4-6]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135 [그림Ⅲ-4-7] 흡연 여부 137 [그림Ⅲ-4-8] 흡연 기간 및 흡연량 137 [그림Ⅲ-4-9] 산부인과 질환 관련 진료 경험 139 [그림Ⅲ-4-10] 초경 시점 141 [그림Ⅲ-4-11] 90일이상 월경 없는 경험 143 [그림Ⅲ-4-12] 규칙적인 월경주기 여부 143 [그림Ⅲ-4-13] 월경이 불규칙적이었던 시점 143 [그림Ⅲ-4-14] 경험했던 생리전증후군 146 [그림Ⅲ-4-15] 생리전증후군 경험 시점 148 [그림Ⅲ-4-16]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 변화 150 [그림Ⅲ-4-17] 임신 경험 152 [그림Ⅲ-4-18] 임신되기까지 1년 이상 소요 경험 152 [그림Ⅲ-4-19] 임신 횟수 153 [그림Ⅲ-4-20] 출산 횟수 153 [그림Ⅲ-4-21] 임신 결과 154
  • 5. 6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Ⅰ. 조사 개요 ㅣ  6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Ⅰ. 조사 개요 1. 과업명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과업 목적  ◍ 2013년 자료에 따르면 국내 네일숍 근로자는 1만 명이 넘으며, 네일숍은 생활 밀착형 사업장으로서 널리 자리를 잡고 있으나, 네일숍의 실내 환경 평가 자료나 네일 관련 제품들에 대한 정보는 접근성 이 떨어지거나 빈약한 실정임. ◍ 네일숍의 주 소비층과 업계 근로자의 대다수가 20~30대의 여성임을 고려하였을 때, 여성 건강, 특 히 생식독성과 발달독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상황임. 이에 따라 서울시내 소재 네일숍 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 환경 및 건강 상태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네일숍의 환경호르몬으로 인한 여 성 건강 노출 실태를 파악하여 네일숍 관련 환경정책과 관리의 문제점, 향후 개선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본 조사의 목적임. 3. 과업 내용 가. 조사 설계  1) 조사 대상 서울시 소재 네일숍 근로자 (직접 시술자) 2) 조사 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방문면접조사 (Face to Face Interview) 3) 표본 추출 및 규모  - 표본 추출 : 서울시 소재 네일숍 임의표본 추출법 (Purposive Sampling) - 유효 표본 : 총 285명 (95% 신뢰구간에서 최대표본허용오차 : ±5.8%) 4) 조사 시점 2017년 8월 14일 ~ 9월 28일 나. 조사 내용 구분 세부 조사 내용 응답자 기초사항 ■ 사업장 소재지, 응답자 연령, 네일숍 유형(단독, 숍인숍, 복합형) ■ 응답자 직책, 현재 네일숍 종사 기간 등 기본사항 및 작업환경 평가 ■ 네일숍 종사기간 및 휴게시간    - 네일아트 분야 총 종사기간    - 네일숍 근무시간 (하루/주 단위)    - 정규 휴게시간 ■ 네일숍 작업 환경 관련    - 네일숍 규모 (전체 면적, 작업장 면적)    - 네일숍 위치 (지상, 반지하, 지하)    - 시술 공간 및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 시술 가능 작업대 설치 대수    - 네일숍 방문 고객 수 (하루 평균, 최대 방문 고객 수, 최소 방문 고객 수) ■ 네일숍 내부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 공기청정기, 환기 팬, 창문, 작업대 환기시스템 ■ 네일숍 환경 관리 현황    - 쓰레기통 밀폐 관리 정도,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정도    - 네일 제품 용기 정보 표시 정도, 작업 시 사용 보호구 ■ 네일 제품 사용 및 구매 현황    - 자주 사용 네일 제품 브랜드, 네일 제품 구매 장소    - 네일 제품 구매 시 중요 고려 요소 ■ 건강보호를 위한 인식 및 교육 관련    - 건강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 네일 제품 관련 안전 및 유해성 관련 교육 현황
  • 6. 6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Ⅰ. 조사 개요 ㅣ  6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구분 세부 조사 내용 건강 인지 정도 및 건강 영향 평가 ■ 건강 인지 정도 관련    - 네일숍 사용 제품의 건강 및 안전/유해성 관련 정도 인지 정도    - 네일숍 작업 시 네일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 건강 영향 평가    -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    - 각종 질환 노출 경험 (알레르기, 피부질환, 호흡기, 이비인후과 질환, 산부인과 질환 경험)    - 건강 상 불편을 느꼈던 증상    - 흡연 여부 및 흡연량    - 생리 관련 질환 (월경주기, 생리전증후군, 생리통 강도 변화 등)    - 임신 및 출산 관련 (임신 및 출산 경험, 횟수, 임신 결과 등) 다. 응답자 표본 특성 ◍ 응답자 표본 특성을 보면, 단독숍이 181표본으로 63.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복합형(미용실, 마사지숍 등과 함께 있는 형태)이 72표본으로 25.3%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백화점 이나 대형마트 내에 있는 숍인숍 형태는 32표본으로 11.2%를 차지하고 있음. ◍ 응답자 중에서 사업주/대표는 95표본으로 33.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업원은 190표 본으로 66.7%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네일아트 분야 종사기간에 따른 표본 분포를 보면, 4년 미만 근로자가 108표본으로 37.9%의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7년 이상 근로자의 경우는 77표본으 로 27.0%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구분 사례 수 구성비(%) 전체 285 100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3.5 숍인숍 32 11.2 복합형 72 25.3 종사기간 4년미만 108 37.9 4~7년미만 100 35.1 7년이상 77 27 직원 수 2명이하 131 46 3명 97 34 4명이상 57 20 연령 20대 137 48.1 30대 121 42.5 40대이상 27 9.5 직책 사업주/대표 95 33.3 종업원 190 66.7 [표Ⅰ-1-1] 응답자 표본 특성 단독 181 63.5% 네일숍 유형 종사기간 직원 수 복합형 72 25.3% 4년미만 108 37.9% 2명이하 131 46% 7년이상 77 27% 4~7년미만 100 35.1% 3명 97 34% 4명이상 57 20% 샵인샵 32 11.2% 종업원 190 66.7% 연령 직책 20대 137 48.1% 30대 121 42.5% 사업주/대표 95 33.3% 40대이상 27 9.5%
  • 7. 6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6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Ⅱ. 요약 및 시사점 1. 네일숍 작업 환경 여건 관련 이슈   가. 음식 섭취 공간과 시술 작업 공간의 공유에서 오는 문제점 ◍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36.5%로 나타났으며, 특히 숍인숍 형태의 매장과 방문고객 수가 적은 소규모 네 일숍일수록 음식섭취 공간과 작업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3곳 중 1곳이 음식섭취 과정에서 시 술 작업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 으로 파악되어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 섭취 공간을 분 리해야 하는 가이드를 만들어 홍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됨. 나. 네일숍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및 사용 빈도 관련 이슈 ◍ 네일숍 응답자의 14.7%가 실내공기 환기를 위한 환기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경우가 73.9%로 가장 많았음. 그 다음으로 많이 설치된 환기시스템 으로 환기팬 65.9%, 창문 55.4%, 급배기시스템(천장팬) 45.8%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를 보면, 공기청정기의 경우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85.9%로 대부분의 매장에서 공기청정기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급기배기시스템(천장 팬)의 경 우는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고 있다는 의견이 70.4%로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 어서 작업 중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실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적극 사용을 권장할 필 요가 있음. 창문을 통한 환기의 경우도 간헐적 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실 내공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환기할 수 있도록 홍보나 계도하는 것이 필요함. 다. 작업 중 쓰레기통의 밀폐 관리를 통한 유해화학물질 관리 필요성 ◍ 작업 시 쓰레기통을 항상 밀폐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43.2%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 고 있는 반면, 항상 개방된 형태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8.8%로 나타났으며, 쓰레기통 뚜 껑은 있으나 가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28.1%로 나타나, 네일숍 절반 이상이 쓰레기통 밀폐 관리 미흡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따라서, 뚜껑이 있는 쓰레기통으로 교체 및 항상 밀폐된 상태로 쓰레기통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 및 홍보가 요구됨. 라.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권장 필요성 ◍  작업장 근처에 네일 케어 도구 및 고객 피부에 사용하는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는지 방법과 절차 를 안내하는 내용물을 부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4.6%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작업 후 네일 케어 도구 및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며, 관리하는 일종의 매뉴얼을 제작하여 작업 도구의 사후 관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항상 밀폐형태로 사용 43.2% 개방형태로 사용 28.8% 가끔 개방형태로 사용 28.1%
  • 8. 6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6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관련 인식 및 실천 가.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에 대한 충분한 제공 필요 ◍ 네일 제품의 건강 및 유해성 관련 정보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3.0%에 불과 하며,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2.8%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근로자 연령이 많을수록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는 응답이 많아서 지속적인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를 제공 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네일 제품의 건강 유해성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줌으로써 네일 제품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 주고 건강 보호를 위한 자발적인 실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나.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와 실천의 이슈 ◍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로 ‘개인용 보호구 착용’이 49.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기시설 설치’ 16.5%, ‘주기적 환기’ 15.1% 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음.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네일숍 근로자들은 자신의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개인용 보호구 착용’과 ‘실 내공기 질 개선을 위한 환기’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술 작업 과정에서 번거로움이나 고객이 싫어하는 점 등의 이유로 인해 건강 보호를 위한 개인용 보호구 착용이나 환기 등의 기본적인 조치를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실 천을 유도할 필요가 있음.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를 보면, ‘앞치마’가 96.8%, ‘마스크’ 95.1%로 대부분 보호구로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갑’의 경우는 46.1%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어 서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피부 보호 노력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 안경’의 경우는 6.7% 만이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매우 낮은 사용 비중을 보이고 있음. 앞치마 96.8% 마스크 95.1% 장갑 46.1% 보호안경 6.7%
  • 9. 7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7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다.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관련 이슈 ◍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70.1%로 나타나 비교적 교 육 경험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파악됨. ◍ 네일숍 관련 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경우가 77.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네일숍 자체 사업주가 교육하는 경우는 13.9%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는 경우도 40.8%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서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만 들어서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3.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영향 평가 관련 가. 네일숍 근로자들의 각종 질환으로 인한 건강 영향 평가 필요 ◍ 네일숍 근로자들의 39.6%가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해 본인 또는 동료에게 부작용이 발생한 경 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음. 구체적으로는 전체 응답자의 21.4%가 알레르기 반응을 경험하였으며, 18.6%는 비염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남. (기타 : 호흡기 질환 경험 12.6%, 피부염 경험 6.7% 등)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7.9% 였음. 알레르기 반응 21.4% 호흡기 질환 12.6% 피부염 6.7% 비염 18.6% 부작용 경험 39.6% ◍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은 3.8% 였으며, 연령별 유병률을 살 펴보았을 때, 20~29세 여성에서 4.3% 인 것으로 확인됨.1) 아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10.2% 와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됨. 이는 설문조사에서 확인된 건강영향 중 일반 인구집단의 유병률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임. ◍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근무 환경 및 보호구 착용 유무로 유병률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추후의 피부 질환 예방을 위해 개인 보호구 착용을 의무화 및 네일 제품 전성분 표시와 이에 대 한 직원 안전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따라서, 네일숍에서 사용량이 많은 제품의 유해성이 근로자들의 각종 질환 발생에 어떠한 역학관 계가 있는지 과학적으로 밝히고 검증하는 등 일련의 건강 영향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됨. 나. 네일숍 근로자들의 각종 질환에 대한 진료 경험 현황 ◍ 네일숍 근로자들의 22.1%가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 중 1명꼴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알레르기 비염 등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됨. 또한, 네일숍 근로자들의 24.6%가 피부 질환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 중 1명꼴로 알레르기성/아토피 피부염 또는 접촉성 피부염 등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호흡기/이비인후과 질환의 경우는 네일숍 근로자들의 22.6%가 관련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0명 중 1명꼴로 비염이나 감기 등의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일숍 종사로 인한 증상 악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검증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됨. 1) Donghyuk Im, Young Soo Yang, Hye Rang Choi, Seongjun Choi, Hyunjoo Nahm, Kyujin Han, Seok-Chan Hong, Jin Kook Kim, Jae Hoon Cho |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7;60(10):504-511
  • 10. 7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Ⅱ. 요약 및 시사점 ㅣ  7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다. 네일숍 근로자들의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느꼈던 증상 ◍ 지난 1년간 건강 측면에서 불편을 크게 느꼈던 증상 중에서 주 1회 이상으로 자주 경험한 증상 으로 ‘피로감’이 26.8%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안구건조/가려움/따가움’ 22.2%, ‘코막 힘’ 17.6%, ‘손건조/가려움/따가움’ 17.6%, ‘두통’ 10.6%, ‘콧물’ 10.2%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증상 역시 다른 요인에 의한 증상일 수도 있으나 네일 제품 취급에 따른 증상 악화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 ◍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계절 별로 환자 수가 다르나 매해 13만에서 33만명의 환자가 병원을 방 문하는 질환으로, 일반인구집단에서 약 20% 내외의 유병률을 보임. 안구건조증의 경우 2014년 조사된 바에 따르면 서울에서 9.3%의 유병률을 보임. 설문지에서는 지난 1년간 안구건조/가려 움/따가움의 증상 유무 및 빈도를 물었으며, 이에 22.2%가 주 1회 이상 증상을 겪었고, 52.5% 가 한 달에 2~3회 증상을 겪은 것으로 응답하였음. 이로써 일반인구집단에서보다 안구 건조 증상 및 가려움, 따가움과 같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을 겪고 있는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 정할 수 있음. 다만 설문지에서 사용된 안구건조/가려움/따가움 증상을 구분하여 묻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수 있음. 손건조/가려움/따가움 17.6% 피로감 26.8% 안구건조/가려움/따가움 22.2% 코막힘 17.6% 두통 10.6% 콧물 10.2% ◍ 또한, 네일숍 근무로 인한 생리통 통증 강도와 관련하여 네일 숍 근무 시작 전의 생리통 통증 강도가 10점 기준으로 4.8점이 었으나, 네일숍 근무 후의 생리통 통증 강도가 5.1점으로 다 소 증가한 점을 보더라도 네일숍 작업 환경으로 인한 생리통 통증의 강도에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보다 과학적인 역학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음 ◍ 본 보고서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근로자의 약 10%가 두통을 느낀다고 응답함. 이러한 증상들은 유기용제 노출 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고, 네일숍 실내 공기를 통해 근로자들은 아세톤, 톨루 엔, 폼알데히드 등 유기용제에 노출되고 있음. 따라서 작업 시 노출되는 유기용제로부터 두통과 어지러움이 유발되는지 면밀한 조사가 필요함. 한국에서의 편두통 유병률은 6%이며, 여성에서 9%로 확인됨.2) 편두통의 원인 물질에 VOCs, 후각자극 물질(향수) 등이 있기 때문에 이 점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긴장형 두통의 경우 머리 주위 근육의 지속적인 수축이 동반되면서 나타나므로 작업 시 취하는 자세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임. 2) 신경과학 2판, 범문에듀케이션 787쪽. 네일숍 근무 전 생리통 통증강도 4.8점 네일숍 근무 후 생리통 통증강도 5.1점
  • 11. 7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7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4. 결론 및 제언   ◍ 네일숍 특성상 영세한 규모로 자영업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는 바, 작업 환경 역시 열악하게 관리되 고 있는 실정에서 네일숍 근로자들의 건강에 위해한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현실임. ◍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네일 제품의 건 강/유해성 관련 정보에 대한 충분한 제공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유해성 정보 제공을 통해 네일 숍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유해 환경으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됨. 특히,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의 유해성 분석 및 결과 공유는 우선적으로 필요한 부분임.   ◍ 또한, 네일숍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건강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개발하 여 정기적인 교육 시행을 통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됨. ◍ 특히, 네일숍에서 사용량이 많은 제품의 유해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네일숍 근로자들의 자 주 사용하는 제품의 유해성 및 각종 질환 발생 관련 역학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입증하는 등 일 련의 건강 영향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적절한 수준에서의 정보 공개를 통해 작업 현장에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보호 조치를 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 함. Ⅲ. 세부 조사 결과 제1절 네일숍 근로자 근무 현황 1. 네일숍 종사 기간 Q. 현재까지 네일아트 분야에 종사하신 총 기간은 얼마나 됩니까? ↳ 네일숍 종사 기간은 4년 미만이 37.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4~7년 35.1%, 7년 이상은 27.0%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    평균 종사 기간은 5.3년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4년미만 37.9 종사기간 (평균) : 5.3년4~7년미만 35.1 7년이상 27.0 (단위 : %) [그림Ⅲ-1-1] 네일숍 근로자 종사기간
  • 12. 7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7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네일숍 근무 시간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에서의 근무 시간은 어떻게 됩니까? ↳ 네일숍 근무 시간대를 보면,    근무 시작 시간은 11시가 62.1%로 가장 많았으며, 10시 29.5%로 그 다음으로 많았음.    근무 종료 시간은 21시가 51.6%로 가장 많았으며, 20시 33.3%로 그 다음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10~11시에 근무 시작하여 20~21시에 근무 종료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일평균 근무 시간은 9.9시간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0.7 0.4 0.4 0.4 3.2 33.3 51.6 9.8 1.1 29.5 62.1 6.0 1.1 0.7 일평균 근무 시간 : 9.9시간 [그림Ⅲ-1-2] 네일숍 근무 시간대 분포 【근무시작 시간대 분포】 【근무종료 시간대 분포】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16시     17시     18시     19시     20시     21시     22시     23시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근무 시간 네일숍 근무 시간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표본 특성에 따라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 고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하루 근무시간(부터)  (단위 : %)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전체 285 0.7 29.5 62.1 6.0 1.1 0.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0.6 26.5 63.5 7.2 1.7 0.6 숍인숍 32 3.1 31.3 53.1 9.4 0.0 3.1 복합형 72 0.0 36.1 62.5 1.4 0.0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0.8 38.2 52.7 7.6 0.8 0.0 3명 97 1.0 21.6 75.3 1.0 1.0 0.0 4명이상 57 0.0 22.8 61.4 10.5 1.8 3.5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0.8 29.6 57.6 9.6 1.6 0.8 9~14명 101 1.0 28.7 65.3 3.0 1.0 1.0 15명이상 59 0.0 30.5 66.1 3.4 0.0 0.0 구분 사례 수 하루 근무시간(까지)  (단위 : %) 평균 하루 근무 시간16시 17시 18시 19시 20시 21시 22시 23시 전체 285 0.4 0.4 0.4 3.2 33.3 51.6 9.8 1.1 9.9 네일숍 유형 단독 181 0.6 0.6 0.0 2.2 35.4 50.3 9.4 1.7 9.8 숍인숍 32 0.0 0.0 0.0 3.1 21.9 65.6 9.4 0.0 10.0 복합형 72 0.0 0.0 1.4 5.6 33.3 48.6 11.1 0.0 10.0 직원 수 2명이하 131 0.8 0.0 0.8 3.1 36.6 48.9 9.9 0.0 9.9 3명 97 0.0 1.0 0.0 5.2 30.9 53.6 8.2 1.0 9.9 4명이상 57 0.0 0.0 0.0 0.0 29.8 54.4 12.3 3.5 9.9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0.8 0.8 0.8 3.2 29.6 52.0 10.4 2.4 9.9 9~14명 101 0.0 0.0 0.0 4.0 28.7 59.4 7.9 0.0 9.9 15명이상 59 0.0 0.0 0.0 1.7 49.2 37.3 11.9 0.0 9.9 [표Ⅲ-1-1] 네일숍 근무 시간
  • 13. 7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7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3. 정규 휴게시간 Q. 근무시간 중에 정규 휴게시간 (식사시간 포함)이 있습니까? ↳ 정규 휴게시간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85.6%로 대부분의 네일숍에서 정규 휴게시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정규 휴게시간은 13~14시가 51.5%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12~13시는 21.2%로 그 다음 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로 점심시간 전후로 하여 정규 휴게시간이 주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Ⅲ-1-3] 정규 휴게시간 여부 [그림Ⅲ-1-4] 정규 휴게시간대 있다 85.6% 없다 14.4% 11시~12시 12시~13시 13시~14시 14시~15시 15시~16시 16시~17시 13시~15시 0.8 21.2 51.5 5.0 10.8 10.0 0.8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5)) (Base : 정규 휴게시간 있다 응답자 (N=241)) ◎ 표본 특성 별 분석 – 정규 휴게시간 여부 및 시간대 - 복합형 네일숍 및 직원 수가 3명, 일평균 고객 수가 15명 이상인 네일숍에서 정규 휴게시간을 제공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근무시간 중 정규휴게시간 여부  (단위 : %) 있다 없다 전체 285 85.6 14.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2.9 17.1 숍인숍 32 87.5 12.5 복합형 72 91.7 8.3 직원 수 2명이하 131 86.3 13.7 3명 97 92.8 7.2 4명이상 57 71.9 28.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3.2 16.8 9~14명 101 83.2 16.8 15명이상 59 94.9 5.1 - 단독숍 및 평균 고객 수가 적을수록 12~13시에 정규 휴게시간이 주어지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반면, 숍인숍 및 복합형 숍, 평균 고객 수가 많은 숍의 경우는 13~14시 사이에 정규 휴게시 간이 주어지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정규 휴게시간 있다 응답자 (N=241)) 구분 사례 수 정규 휴게시간  (단위 : %) 11~12시 12~13시 13~14시 14~15시 15~16시 16~17시 13~15시 전체 241 0.8 21.2 51.5 5.0 10.8 10.0 0.8 네일숍 유형 단독 147 0.0 25.2 47.6 4.8 12.2 8.8 1.4 숍인숍 28 3.6 10.7 53.6 10.7 10.7 10.7 0.0 복합형 66 1.5 16.7 59.1 3.0 7.6 12.1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0.0 13.3 45.1 8.0 17.7 15.0 0.9 3명 90 1.1 35.6 47.8 3.3 4.4 6.7 1.1 4명이상 38 2.6 10.5 78.9 0.0 5.3 2.6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01 0.0 25.7 45.5 5.9 11.9 8.9 2.0 9~14명 84 1.2 20.2 54.8 4.8 11.9 7.1 0.0 15명이상 56 1.8 14.3 57.1 3.6 7.1 16.1 0.0 [표Ⅲ-1-2] 정규 휴게시간 여부 [표Ⅲ-1-3] 정규 휴게시간 시간대
  • 14. 8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4. 네일숍 직원 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의 직원 수는 총 몇 명입니까? (사업주 포함) ↳ 네일숍 직원 수는 2명 이하가 46.0%로 가장 많았으며, 3명은 34.0%로 그 다음으로 많은 것으 로 나타남.   ↳ 네일숍 평균 직원 수는 2.7명으로 대부분 영세한 규모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2명이하 46.0 평균 직원 수 : 2.7명3명 34.0 4명이상 20.0 (단위 : %) [그림Ⅲ-1-5] 네일숍 직원 수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직원 수 - 네일숍 직원 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유형 및 방문 고객 수가 많을수록 직원 수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숍 직원 수  (단위 : %) 평균 (명) 2명이하 3명 4명이상 전체 285 46.0 34.0 20.0 2.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46.4 30.4 23.2 2.7 숍인숍 32 31.3 37.5 31.3 3.0 복합형 72 51.4 41.7 6.9 2.4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56.0 25.6 18.4 2.6 9~14명 101 51.5 35.6 12.9 2.5 15명이상 59 15.3 49.2 35.6 3.3    [표Ⅲ-1-4] 네일숍 직원 수
  • 15. 8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제2절 네일숍 작업환경 현황 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의 규모(면적)는 대략 어느 정도 입니까? ↳ 네일숍의 전체 면적은 평균 37.3㎡이며, 작업장 면적은 24.2㎡로 나타남.   ↳ 네일숍 전체 면적 대비 작업장 면적은 66.1%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전체면적 37.3 전체대비 작업장 비중 : 66.1% 작업장면적 24.2 (단위 : %) [그림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 네일숍 면적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단독 및 숍인숍 형태의 경우 작업장 면적 비중이 70% 내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복합형은 53%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또한, 직원 수가 많은 네일숍일수록 작업장 면적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숍 작업장 규모 (단위 : ㎡) 전체 면적 작업장 면적 작업장 면적 비중 (%) 전체 285 37.3 24.2 66.1 네일숍 유형 단독 181 37.3 26.6 70.7 숍인숍 32 31.0 20.9 69.0 복합형 72 40.1 19.8 53.0 직원 수 2명이하 131 27.5 16.3 62.7 3명 97 41.1 25.7 64.8 4명이상 57 53.8 40.1 76.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40.4 26.2 65.3 9~14명 101 32.3 22.2 69.9 15명이상 59 39.5 23.4 61.1 [표Ⅲ-2-1] 네일숍 작업장 규모 (면적)
  • 16. 8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습니까? ↳ 네일숍의 건물 내 위치를 보면, ‘지상’에 위치한 경 우가 91.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반지하’ 또는 ‘지하’에 위치한 경우는 8.8%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반지하’ 또는 ‘지하’에 위치한 네일숍의 경우는 자연환기를 통한 실내공기 질 개선에 어려움이 존재 하므로 별도의 환기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지상 91.2 반지하 1.4 지하 7.4 (단위 : %) [그림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 표본 특성 별 분석 – 건물 내 네일숍 위치 - 건물 내 네일숍 위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단독 및 복합형 네일숍의 경우 대부분 지상에 위치한 반면, 숍인숍의 경우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등에 입주하고 있는 관계로 지하에 위치한 경우가 상 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건물 내 네일숍 위치  (단위 : %) 지상 반지하 지하 전체 285 91.2 1.4 7.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96.7 1.1 2.2 숍인숍 32 62.5 0.0 37.5 복합형 72 90.3 2.8 6.9 직원 수 2명이하 131 96.2 0.8 3.1 3명 97 88.7 2.1 9.3 4명이상 57 84.2 1.8 14.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95.2 0.8 4.0 9~14명 101 88.1 2.0 9.9 15명이상 59 88.1 1.7 10.2 [표Ⅲ-2-2] 건물 내 네일숍 위치
  • 17. 8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및 시술 작업대 비치 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은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습니까? Q. 시술이 가능한 작업대는 총 몇 대가 비치되어 있습니까? ↳ 시술 작업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가 36.5%로 나타나, 음식섭취 과정에서 시술 작업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네일숍 시술 작업대 수는 3대가 33.0%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3.5대인 것으로 나타남. [그림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그림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분리 63.5% 비분리 36.5% 2대 이하 3대 4~5대 6대 이상 29.1 33.0 28.1 9.8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5)) ◎ 표본 특성 별 분석 -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및 시술 작업대 비치 수 - 음식섭취 공간의 작업공간과 분리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와 방문고객 수가 적은 네 일숍일수록 음식섭취 공간과 작업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시술 공간과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단위 : %) 분리 비분리 전체 285 63.5 36.5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5.2 34.8 숍인숍 32 53.1 46.9 복합형 72 63.9 36.1 직원 수 2명이하 131 67.2 32.8 3명 97 55.7 44.3 4명이상 57 68.4 31.6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0.0 40.0 9~14명 101 61.4 38.6 15명이상 59 74.6 25.4   - 시술 작업대 수의 경우 단독형 네일숍 및 직원 수가 많을수록 시술 작업대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 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숍 직원 수  (단위 : %) 평균 (대) 2대 이하 3대 4~5대 6대 이상 전체 285 29.1 33.0 28.1 9.8 3.5 네일숍 유형 단독 181 26.0 37.0 26.5 10.5 3.6 숍인숍 32 28.1 25.0 28.1 18.8 3.7 복합형 72 37.5 26.4 31.9 4.2 3.1 직원 수 2명이하 131 55.7 29.0 13.7 1.5 2.6 3명 97 7.2 50.5 41.2 1.0 3.5 4명이상 57 5.3 12.3 38.6 43.9 5.6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32.8 32.0 26.4 8.8 3.5 9~14명 101 35.6 40.6 17.8 5.9 3.1 15명이상 59 10.2 22.0 49.2 18.6 4.3 [표Ⅲ-2-3] 음식섭취 공간 분리 여부 [표Ⅲ-2-4] 시술 작업대 비치 수 평균 시술작업대 수 : 3.5대
  • 18. 8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8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4. 네일숍 방문 고객 수 Q. 현재 근무하시는 네일숍의 방문 고객 수는 하루 기준으로 어느 정도입니까? ↳ 네일숍 평균 방문 고객 수는 하루 기준으로 평균 9.8명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대 방문 고객 수는 12.0명, 최소 방문 고객 수는 4.3명으로 조사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방문고객 수(하루평균) 최대 방문 고객 수(일) 9.8 12.0 최소 방문 고객 수(일) 4.3 (단위 : 평균(명)) [그림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하루 기준)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숍 방문 고객 수 - 네일숍 방문 고객 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및 직원 수가 많은 매장의 방문 고객 수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건물 내 네일숍 위치  (단위 : %) 하루 평균 방문 고객 수 최대 방문 고객 수 최소 방문 고객 수 전체 285 9.8 12.0 4.3 네일숍 유형 단독 181 9.6 11.7 4.2 숍인숍 32 10.9 14.6 5.1 복합형 72 9.9 11.6 4.4 직원 수 2명이하 131 8.1 9.7 3.6 3명 97 11.1 13.0 4.8 4명이상 57 11.6 15.5 5.3 [표Ⅲ-2-5] 네일숍 방문 고객 수
  • 19. 9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5. 네일숍 내 환기시스템 설치 현황 Q. 네일숍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습니까? ↳ 네일숍 내부를 환기시킬 수 있는 환기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5.3%로 나타나 대부분의 매장에서는 환기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공기청정기를 설치한 경우가 73.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기팬 65.9%, 창문 55.4%, 급배기시스템(천장팬) 45.8%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됨. [그림Ⅲ-2-6] 환기시스템 설치 여부 [그림Ⅲ-2-7] 설치 환기시스템 종류 없다 14.7% 있다 85.3% 급배기시스템(천장팬) 공기청정기 환기팬 창문 작업대환기시스템 (국소배기장치) 45.8 73.9 65.9 55.4 27.7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5)) (Base : 환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249)) [그림Ⅲ-2-8]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급배기시스템 (천장팬) 공기청정기 환기팬 창문 작업대환기시스템 (국소배기장치) 70.4 21.7 2.6 5.2 0 (단위 : %) 6. 네일숍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 Q. 각각의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는 어떠합니까? ↳ 환기시스템 사용 빈도를 보면, 전반적으로 ‘영업시간 내내 사용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가운데, 작업대환기시스템의 경우는 작업시에만 사용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창문의 경 우는 간헐적으로 사용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상황에 따른 환기시스템 의 사용 빈도가 서로 다른 차이를 보이고 있음. (Base : 환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249))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시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85.9 74.4 58.8 64.7 10.9 18.9 14.0 32.4 1.6 4.9 8.8 1.5 1.1 1.2 17.6 1.5 0.5 0.6 0.7 0
  • 20. 9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및 직원 수가 많은 매장 일수록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를 설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숍인숍 형태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급기/배기 시스템(천장 팬)을 사용하 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급기/배기시스템 설치여부 급기/배기시스템 (천장 팬)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45.8 54.2 70.4 21.7 2.6 5.2 0.0 네일숍 유형 단독 156 43.6 56.4 65.2 24.6 2.9 7.2 0.0 숍인숍 30 83.3 16.7 88.0 12.0 0.0 0.0 0.0 복합형 63 33.3 66.7 66.7 23.8 4.8 4.8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37.2 62.8 64.3 28.6 4.8 2.4 0.0 3명 81 45.7 54.3 78.4 18.9 0.0 2.7 0.0 4명이상 55 63.6 36.4 69.4 16.7 2.8 11.1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39.5 60.5 69.6 23.9 2.2 4.3 0.0 9~14명 80 56.3 43.8 71.1 22.2 4.4 2.2 0.0 15명이상 55 43.6 56.4 70.8 16.7 0.0 12.5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급기/배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114)) [표Ⅲ-2-6] 급기/배기시스템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표본 특성 별 분석 -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및 방문 고객 수가 많은 매장일수록 공 기청정기를 설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복합형 매장 및 직원 수가 많은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공기청정기를 사용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공기청정기 설치여부 공기청정기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73.9 26.1 85.9 10.9 1.6 1.1 0.5 네일숍 유형 단독 156 71.2 28.8 85.6 10.8 0.9 1.8 0.9 숍인숍 30 83.3 16.7 80.0 16.0 4.0 0.0 0.0 복합형 63 76.2 23.8 89.6 8.3 2.1 0.0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75.2 24.8 84.7 11.8 2.4 1.2 0.0 3명 81 76.5 23.5 83.9 11.3 1.6 1.6 1.6 4명이상 55 67.3 32.7 91.9 8.1 0.0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66.7 33.3 85.7 11.7 0.0 1.3 1.3 9~14명 80 75.0 25.0 88.1 8.5 3.4 0.0 0.0 15명이상 55 87.3 12.7 83.3 12.5 2.1 2.1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공기청정기 설치 응답자 (N=184)) [표Ⅲ-2-7] 공기청정기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21. 9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환기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환기팬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표본 특성에 따른 특이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 한 수준의 환기팬 설치를 한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직원 수가 많은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환기팬을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환기팬 설치여부 환기팬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65.9 34.1 74.4 18.9 4.9 1.2 0.6 네일숍 유형 단독 156 66.0 34.0 74.8 18.4 4.9 1.0 1.0 숍인숍 30 63.3 36.7 78.9 21.1 0.0 0.0 0.0 복합형 63 66.7 33.3 71.4 19.0 7.1 2.4 0.0 직원 수 2명이하 113 69.0 31.0 70.5 20.5 9.0 0.0 0.0 3명 81 58.0 42.0 72.3 21.3 0.0 4.3 2.1 4명이상 55 70.9 29.1 84.6 12.8 2.6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57.0 43.0 70.8 21.5 6.2 0.0 1.5 9~14명 80 83.8 16.3 79.1 14.9 4.5 1.5 0.0 15명이상 55 58.2 41.8 71.9 21.9 3.1 3.1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환기팬 설치 응답자 (N=164)) [표Ⅲ-2-8] 환기팬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표본 특성 별 분석 - 창문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창문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의 경우 창문 설치가 안 된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사용빈도 측면에서는 직원 수가 많은 매장에서 영업시간 내내 창문을 통해 환기를 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구분 사례 수 창문 설치여부 창문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55.4 44.6 58.8 14.0 8.8 17.6 0.7 네일숍 유형 단독 156 60.3 39.7 66.3 7.6 7.6 18.5 0.0 숍인숍 30 30.0 70.0 44.4 44.4 0.0 11.1 0.0 복합형 63 55.6 44.4 42.9 22.9 14.3 17.1 2.9 직원 수 2명이하 113 54.9 45.1 54.1 18.0 13.1 13.1 1.6 3명 81 63.0 37.0 58.0 10.0 8.0 24.0 0.0 4명이상 55 45.5 54.5 72.0 12.0 0.0 16.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61.4 38.6 52.9 16.2 8.8 22.1 0.0 9~14명 80 56.3 43.8 71.1 6.7 11.1 8.9 2.2 15명이상 55 41.8 58.2 52.2 21.7 4.3 21.7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창문 설치 응답자 (N=138)) [표Ⅲ-2-9] 창문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22. 9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단독형 매장의 경우 작업대 환 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를 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으나 작업시에만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숍인숍 및 복합형 매장의 경우는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 기장치) 설치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는 경우가 단독형 매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 또한, 방문 고객 수가 많은 매장일수록 영업시간 내내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 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작업대 환기시스템 설치여부 작업대 환기시스템 사용빈도 (단위 : %) 설치 비설치 영업시간  내내 사용 작업 시 에만 사용 고객이 있을 때만 사용 간헐적 으로 사용 거의 사용 안함 전체 249 27.7 72.3 64.7 32.4 1.5 1.5 0.7 네일숍 유형 단독 156 33.3 66.7 56.9 39.2 2.0 2.0 0.0 숍인숍 30 16.7 83.3 100.0 0.0 0.0 0.0 0.0 복합형 63 19.0 81.0 83.3 16.7 0.0 0.0 2.9 직원 수 2명이하 113 27.4 72.6 71.0 25.8 3.2 0.0 1.6 3명 81 17.3 82.7 71.4 28.6 0.0 0.0 0.0 4명이상 55 43.6 56.4 52.2 43.5 0.0 4.3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14 30.7 69.3 45.7 54.3 0.0 0.0 0.0 9~14명 80 25.0 75.0 78.9 10.5 5.3 5.3 2.2 15명이상 55 25.5 74.5 92.9 7.1 0.0 0.0 0.0     (Base : 환기시스템 보유 응답자 (N=249)) (Base : 작업대 환기시스템 설치 응답자 (N=69)) [표Ⅲ-2-10] 작업대 환기시스템(국소배기장치) 설치 여부 및 사용빈도 7.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Q. 작업 시 쓰레기통을 주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습니까? ↳ 시술 작업 시 쓰레기통을 항상 밀폐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43.2%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고 있음.   ↳ 반면, 항상 개방된 형태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8.8%로 나타났으며, 뚜껑은 있으나 가 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28.1%로 나타나 절반 이상이 쓰레기통 밀폐 관리 미 흡으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항상 밀폐된 상태로 사용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는 쓰레기통) 가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은 있음)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이 없음) 43.2 28.1 28.8 (단위 : 평균(명)) [그림Ⅲ-2-9]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항상 밀폐형태로 사용 43.2% 개방형태로 사용 28.8% 가끔 개방형태로 사용 28.1% 항상밀폐형태로사용 43.2% 개방형태로사용 28.8% 가끔개방형태로사용 28.1%
  • 23. 9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9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및 종사기간이 7년 이상 응 답자, 직원 수가 많을수록 작업 시 쓰레기통을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단위 : %) 항상 밀폐된 상태로 사용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는 쓰레기통) 가끔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은 있음) 항상 개방된 상태로 사용 (쓰레기통에 뚜껑이 없음) 전체 285 43.2 28.1 28.8 네일숍 유형 단독 181 48.1 24.9 27.1 숍인숍 32 37.5 28.1 34.4 복합형 72 33.3 36.1 30.6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51.9 23.1 25.0 4~7년미만 100 38.0 35.0 27.0 7년이상 77 37.7 26.0 36.4 직원 수 2명이하 131 52.7 22.9 24.4 3명 97 37.1 35.1 27.8 4명이상 57 31.6 28.1 40.4 연령 20대 137 43.8 28.5 27.7 30대 121 40.5 29.8 29.8 40대이상 27 51.9 18.5 29.6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41.6 25.6 32.8 9~14명 101 48.5 26.7 24.8 15명이상 59 37.3 35.6 27.1 [표Ⅲ-2-11] 작업 시 쓰레기통 사용 형태 8.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Q. 작업장 근처에 네일케어 도구 및 고객 피부에 사용하는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는지 방법과 절차를 안내하는 내용물이 부착되어 있습니까? ↳ 작업장 근처에 네일케어 도구 및 고객 피부에 사용하는 기구들을 씻고 소독하는지 방법과 절차를 안내하는 내용물을 부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44.6%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아니오 55.4% 예 44.6% [그림Ⅲ-2-10]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 24. 10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응답자 연령대가 높을수록 안 내 내용물 부착을 하지 않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단위 : %) 예 아니오 전체 285 44.6 55.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42.5 57.5 숍인숍 32 65.6 34.4 복합형 72 40.3 59.7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52.8 47.2 4~7년미만 100 36.0 64.0 7년이상 77 44.2 55.8 직원 수 2명이하 131 58.8 41.2 3명 97 27.8 72.2 4명이상 57 40.4 59.6 연령 20대 137 48.2 51.8 30대 121 43.8 56.2 40대이상 27 29.6 70.4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42.4 57.6 9~14명 101 38.6 61.4 15명이상 59 59.3 40.7 [표Ⅲ-2-12] 네일 케어 도구 관리 안내 내용물 부착 여부 9.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Q. 주로 사용하는 네일 제품(리퀴드, 젤 등)의 브랜드를 사용량이 많은 순서대로 3개까지 적어주십시오. ↳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으로는 전반적으로 ‘반디젤’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모디’, ‘젤리핏’, ‘켄디젤’, ‘디젤’ 등의 순으로 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그림Ⅲ-2-11]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반디젤 모디 젤리핏 켄디젤 디젤 아이즈미 오페라젤 그라시아 아발리코 바비젤 30.6 23.6 15.5 4.2 15.8 2.5 17.6 6.7 4.9 2.8 9.5 2.1 62.0 7.0 15.8 6.3 38.0 4.9 11.6 7.0 (단위 : %)1순위 1+2+3순위
  • 25. 10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기준) -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표본 특성에 따른 특이할만한 차이를 보이 지 않고 비슷한 브랜드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구분 사례 수 주로 사용하는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단위 : %) 반디 젤 모디 젤리 핏 기타 그라 시아 켄디 젤 디젤 오페 라젤 아발 리코 바비 젤 전체 284 62.0 38.0 23.6 19.4 15.8 15.8 15.5 11.6 9.5 7.0 네일숍 유형 단독 180 60.0 36.7 23.9 20.6 15.6 17.2 13.9 13.9 7.8 6.7 숍인숍 32 78.1 37.5 25.0 18.8 21.9 6.3 15.6 6.3 9.4 3.1 복합형 72 59.7 41.7 22.2 16.7 13.9 16.7 19.4 8.3 13.9 9.7 종사 기간 4년미만 107 61.7 31.8 25.2 22.4 15.0 10.3 9.3 13.1 6.5 5.6 4~7년미만 100 60.0 44.0 20.0 17.0 16.0 23.0 19.0 11.0 9.0 9.0 7년이상 77 64.9 39.0 26.0 18.2 16.9 14.3 19.5 10.4 14.3 6.5 직원 수 2명이하 131 67.9 33.6 24.4 14.5 16.8 17.6 13.0 17.6 7.6 4.6 3명 96 67.7 53.1 18.8 15.6 20.8 12.5 16.7 9.4 10.4 8.3 4명이상 57 38.6 22.8 29.8 36.8 5.3 17.5 19.3 1.8 12.3 10.5 연령 20대 136 58.1 33.8 26.5 22.1 12.5 16.2 14.0 12.5 6.6 8.1 30대 121 66.9 42.1 19.0 17.4 20.7 14.9 17.4 9.1 11.6 6.6 40대이상 27 59.3 40.7 29.6 14.8 11.1 18.5 14.8 18.5 14.8 3.7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4 63.7 36.3 22.6 24.2 19.4 16.9 15.3 4.8 8.9 6.5 9~14명 101 60.4 43.6 25.7 9.9 11.9 16.8 12.9 22.8 8.9 6.9 15명이상 59 61.0 32.2 22.0 25.4 15.3 11.9 20.3 6.8 11.9 8.5 [표Ⅲ-2-13] 사용량이 많은 네일 제품 브랜드 (1+2+3순위 기준) 10. 네일 제품 구입 방법 Q. 네일 제품은 주로 어디에서 구입하십니까? (복수응답) ↳ 네일 제품 구입 방법으로 ‘소매점’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52.6%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온 라인 쇼핑몰’ 50.2%, ‘박람회’ 37.9%, ‘도매점’ 11.6%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소매점 박람회 온라인 쇼핑몰 도매점 기타 본사(영업사원) 52.6 37.9 50.2 11.6 3.9 2.5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2-12] 네일 제품 구입 방법
  • 26. 10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구입 방법 - 네일 제품 구입 방법에 대해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응답자 종사기간이 짧고 직원 수가 적은 매장의 경우 ‘소매점’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반면, 복합형 매장의 경우는 ‘온라인 쇼 핑몰’에서, 응답자 종사기간이 7년 이상인 경우는 ‘박람회’에서 구입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아 표본 특성에 따른 네일 제품 구입 방법에 다소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 구입 방법 (복수응답, 단위 : %) 소매점 온라인 쇼핑몰 박람회 도매점 본사 (영업사원) 기타 전체 285 52.6 50.2 37.9 11.6 2.5 3.9 네일숍 유형 단독 181 56.9 49.7 37.0 9.4 0.6 4.4 숍인숍 32 50.0 31.3 31.3 15.6 15.6 6.3 복합형 72 43.1 59.7 43.1 15.3 1.4 1.4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1.1 54.6 28.7 7.4 3.7 3.7 4~7년미만 100 49.0 49.0 41.0 15.0 0.0 4.0 7년이상 77 45.5 45.5 46.8 13.0 3.9 3.9 직원 수 2명이하 131 64.1 45.0 38.2 12.2 1.5 1.5 3명 97 40.2 59.8 29.9 15.5 3.1 2.1 4명이상 57 47.4 45.6 50.9 3.5 3.5 12.3 연령 20대 137 56.9 54.7 29.9 13.1 2.9 2.9 30대 121 49.6 46.3 43.0 10.7 2.5 3.3 40대이상 27 44.4 44.4 55.6 7.4 0.0 11.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51.2 63.2 34.4 11.2 1.6 4.0 9~14명 101 49.5 42.6 50.5 12.9 4.0 2.0 15명이상 59 61.0 35.6 23.7 10.2 1.7 6.8     [표Ⅲ-2-14] 네일 제품 구입 장소 11.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Q. 네일 제품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시는 선택 기준은 무엇입니까? ↳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는 1순위 기준으로 ‘제품 성능’이 65.3%로 가장 많이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유해성 여부’ 14.7%, ‘브랜드’ 13.0%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1+2+3순위 중복응답 기준으로 볼 때도 1순위 기준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그림Ⅲ-2-13]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단위 : %) 제품성능 65.3 85.6 유해성 여부 14.7 53.7 브랜드 31.6 13.0 인지도 2.5 9.1 고객 선호도 8.4 2.5 가격 2.1 10.9 1순위 1+2순위
  • 27. 10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및 응답자 종사기간 7년 이상인 경우에 ‘유해성 여부’를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 구매 시 중요 고려요소 (1+2순위) (단위 : %) 제품 성능 유해성 여부 브랜드 가격 인지도 고객 선호도 기타 전체 285 85.6 53.7 31.6 10.9 9.1 8.4 0.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7.8 49.7 31.5 9.9 9.9 10.5 0.0 숍인숍 32 84.4 65.6 37.5 6.3 6.3 0.0 0.0 복합형 72 80.6 58.3 29.2 15.3 8.3 6.9 1.4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8.0 50.0 28.7 13.0 11.1 8.3 0.9 4~7년미만 100 89.0 50.0 29.0 11.0 7.0 13.0 0.0 7년이상 77 77.9 63.6 39.0 7.8 9.1 2.6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80.2 54.2 29.8 13.0 11.5 9.9 0.8 3명 97 90.7 54.6 29.9 10.3 4.1 10.3 0.0 4명이상 57 89.5 50.9 38.6 7.0 12.3 1.8 0.0 연령 20대 137 87.6 48.9 27.7 13.1 10.2 10.9 0.7 30대 121 83.5 58.7 37.2 7.4 6.6 6.6 0.0 40대이상 27 85.2 55.6 25.9 14.8 14.8 3.7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4.8 52.8 32.0 11.2 11.2 6.4 0.8 9~14명 101 84.2 58.4 24.8 12.9 8.9 10.9 0.0 15명이상 59 89.8 47.5 42.4 6.8 5.1 8.5 0.0      [표Ⅲ-2-15] 네일 제품 구입 시 중요 고려요소 12.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Q. 네일 제품 용기에 관련 정보가 잘 보이도록 표기가 되어 있습니까? ↳ 네일 제품 용기에 관련 정보가 잘 보이도록 표기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모든 제품에 표기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가운데, 제품 명 및 용량 표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 으로 나타난 반면, 제품 성분 및 제조사 표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표기 정도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제품 명 제조사 제품 성분 용량표기 89.1 10.2 0.7 0.7 2.1 70.5 78.6 28.8 19.3 67.0 29.5 3.5 (단위 : %) [그림Ⅲ-2-14]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되지 않음
  • 28. 10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0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명 및 성분 정보 표기 정도 - 네일 제품 명 및 성분 정보 표기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응답자 종사기간이 4년 미만 및 직원 수가 4명 이상으로 많은 매장에서 ‘제품 명’ 및 ‘성분’ 정보 표기를 일부 제품에만 표기한다고 응 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제품 명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제품 성분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전체 285 89.1 10.2 0.7 67.0 29.5 3.5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5.6 13.8 0.6 61.9 34.8 3.3 숍인숍 32 93.8 3.1 3.1 84.4 9.4 6.3 복합형 72 95.8 4.2 0.0 72.2 25.0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1.5 18.5 0.0 54.6 43.5 1.9 4~7년미만 100 94.0 4.0 2.0 78.0 19.0 3.0 7년이상 77 93.5 6.5 0.0 70.1 23.4 6.5 직원 수 2명이하 131 92.4 7.6 0.0 76.3 23.7 0.0 3명 97 88.7 9.3 2.1 64.9 28.9 6.2 4명이상 57 82.5 17.5 0.0 49.1 43.9 7.0 연령 20대 137 86.9 13.1 0.0 60.6 38.0 1.5 30대 121 91.7 7.4 0.8 73.6 23.1 3.3 40대이상 27 88.9 7.4 3.7 70.4 14.8 14.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6.4 12.8 0.8 60.0 34.4 5.6 9~14명 101 94.1 5.0 1.0 78.2 20.8 1.0 15명이상 59 86.4 13.6 0.0 62.7 33.9 3.4       [표Ⅲ-2-16]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품 명 및 제품 성분)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제조사 및 제품 용량 정보 표기 정도 - 네일 제품 제조사 및 제품 용량 정보 표기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복합형 매장에서 ‘제품 제조 사’ 및 ‘제품 용량’ 정보 표기를 일부 제품에만 표기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 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제조사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제품 용량 정보표기 여부 (단위 : %)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모든 제품에 표기 일부 제품에만 표기 표기 되지 않음 전체 285 70.5 28.8 0.7 78.6 19.3 2.1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9.6 29.8 0.6 78.5 20.4 1.1 숍인숍 32 87.5 9.4 3.1 93.8 0.0 6.3 복합형 72 65.3 34.7 0.0 72.2 25.0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8.5 31.5 0.0 79.6 17.6 2.8 4~7년미만 100 75.0 23.0 2.0 81.0 17.0 2.0 7년이상 77 67.5 32.5 0.0 74.0 24.7 1.3 직원 수 2명이하 131 72.5 27.5 0.0 81.7 16.8 1.5 3명 97 69.1 28.9 2.1 75.3 20.6 4.1 4명이상 57 68.4 31.6 0.0 77.2 22.8 0.0 연령 20대 137 66.4 33.6 0.0 77.4 20.4 2.2 30대 121 76.0 23.1 0.8 81.8 17.4 0.8 40대이상 27 66.7 29.6 3.7 70.4 22.2 7.4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8.0 31.2 0.8 68.0 29.6 2.4 9~14명 101 72.3 26.7 1.0 88.1 10.9 1.0 15명이상 59 72.9 27.1 0.0 84.7 11.9 3.4     [표Ⅲ-2-17] 네일 제품 용기의 정보 표기 정도 (제조사 및 제품 용량)
  • 29. 11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3.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Q. 작업 시에 사용하는 보호구가 있습니까?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를 보면, ‘앞치마’가 96.8%, ‘마스크’ 95.1%로 대부분 보호구로 사용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반면, ‘장갑’의 경우는 46.1%로 절반이 안 되는 비중으로 사용하고 있어서 유해화학물질로 인 한 피부 보호 노력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 안경’의 경우는 6.7% 만이 사용하고 있 다고 응답하여 매우 낮은 사용 비중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앞치마 장갑 마스크 보호안경 기타 96.8 46.1 95.1 6.7 0.4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2-15]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앞치마’ 및 ‘마스크’의 경우는 표본 특성별로 는 특이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수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장갑’의 경우는 응답자 종사기간이 4년 미만인 경우와 직원 수가 2명 이하, 방문 고객 수가 15명 이상의 매장에서 ‘장갑’을 사용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구분 사례 수 작업 시 사용 보호구 (복수응답) (단위 : %) 앞치마 마스크 장갑 보호안경 기타 전체 284 96.8 95.1 46.1 6.7 0.4 네일숍 유형 단독 180 96.7 94.4 47.2 6.7 0.0 숍인숍 32 96.9 90.6 43.8 6.3 0.0 복합형 72 97.2 98.6 44.4 6.9 1.4 종사 기간 4년미만 107 95.3 92.5 52.3 4.7 0.0 4~7년미만 100 98.0 98.0 46.0 8.0 1.0 7년이상 77 97.4 94.8 37.7 7.8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98.5 93.9 55.7 7.6 0.8 3명 97 94.8 94.8 32.0 8.2 0.0 4명이상 56 96.4 98.2 48.2 1.8 0.0 연령 20대 136 94.9 92.6 47.1 9.6 0.0 30대 121 98.3 96.7 48.8 2.5 0.8 40대이상 27 100.0 100.0 29.6 11.1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4 94.4 92.7 46.0 5.6 0.0 9~14명 101 98.0 97.0 38.6 7.9 1.0 15명이상 59 100.0 96.6 59.3 6.8 0.0   [표Ⅲ-2-18] 작업 시 사용하는 보호구 종류
  • 30. 11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4.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Q. 귀하의 직업에서 건강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 네일숍 근로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를 보면, 1순위 기준으로 ‘개인용 보호 구 착용’이 49.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환기시설 설치’ 16.5%, ‘주기적 환기’ 15.1% 등의 순으로 나타남. ↳ 1+2순위 복수응답 기준으로 보면, ‘주기적 환기’를 중요하게 고려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 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건강 보호를 위해서는 ‘개인용 보호구 착용’과 ‘실내공기질 관리’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단위 : %) 개인용 보호구 착용 49.5 70.2 환기시설 설치 16.5 42.1 15.1 교육 12.3 19.3 근무시간/ 근무량 조절 11.2 4.2 고용주의 인식변화 2.5 6.71순위 1+2순위 [그림Ⅲ-2-16]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주기적 환기 50.5 ◎ 표본 특성 별 분석 -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1+2순위) -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의 매장인 경우는 ‘보호구 착 용’ 및 ‘환기시설 설치’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 한편으로 응답자 종사기간이 7년 이상인 경우와 40대 이상 연령층의 경우는 ‘주기적 환기’를 중 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 직원 수가 4명 이상인 매장의 경우 ‘근무시간/근무량 조절’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았으며, 종사기간이 4~7년 사이의 응답자는 ‘교육’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경우가 상대적 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표본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건강보호를 위한 중요 고려요소 (1+2순위) (단위 : %) 개인용 보호구 착용 주기적 환기 환기시설 설치 교육 근무시간/ 근무량 조절 고용주의 인식변화 전체 285 70.2 50.5 42.1 19.3 11.2 6.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7.4 53.0 39.8 19.9 12.2 7.7 숍인숍 32 84.4 25.0 59.4 18.8 9.4 3.1 복합형 72 70.8 55.6 40.3 18.1 9.7 5.6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72.2 47.2 40.7 12.0 15.7 12.0 4~7년미만 100 78.0 45.0 37.0 27.0 9.0 4.0 7년이상 77 57.1 62.3 50.6 19.5 7.8 2.6 직원 수 2명이하 131 67.9 59.5 35.9 19.8 8.4 8.4 3명 97 78.4 48.5 43.3 17.5 7.2 5.2 4명이상 57 61.4 33.3 54.4 21.1 24.6 5.3 연령 20대 137 71.5 48.9 38.0 21.9 12.4 7.3 30대 121 71.1 47.1 47.1 18.2 9.9 6.6 40대이상 27 59.3 74.1 40.7 11.1 11.1 3.7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4.8 58.4 42.4 13.6 13.6 7.2 9~14명 101 75.2 42.6 44.6 19.8 8.9 8.9 15명이상 59 72.9 47.5 37.3 30.5 10.2 1.7 [표Ⅲ-2-19] 건강 보호를 위한 중요고려요소 (1+2순위)
  • 31. 11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5.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경험 및 교육 주체 Q. 네일숍에서 사용하는 제품에 대한 안전과 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Q. 안전과 유해성 관련 교육의 주체는 누구였습니까? ↳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는 70.1%로 나타남.   ↳ 관련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경우가 77.6%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네일숍 자체 사업주가 교육하는 경우는 13.9%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 [그림Ⅲ-2-17]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그림Ⅲ-2-18] 교육 주체 없다 29.9% 있다 70.1% 협회 사업주 세미나 본사 기타 77.6 13.9 5.5 2.5 0.5 (단위 : %)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201)) ◎ 표본 특성 별 분석 -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및 교육 주체 - 네일 제품에 대한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의 경우 교육을 받았 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교육 주체에 대해서는 응답자 종사기간이 4~7년 미만인 경우와 직원 수가 2명 이하인 매장에서 관련 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응답자 종사기간이 4년 미만으로 짧거나 직원 수가 4명 이상인 매장의 경우는 사업주가 직접 교육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 제품사용 관련 안전/유해성 교육 여부 교육 주체 (단위 : %) 있다 없다 사례 수 협회 사업주 세미나 본사 기타 전체 284 70.1 29.9 201 77.6 13.9 5.5 2.5 0.5 네일숍 유형 단독 180 67.2 32.8 123 81.3 14.6 1.6 1.6 0.8 숍인숍 32 90.6 9.4 29 62.1 10.3 24.1 3.4 0.0 복합형 72 68.1 31.9 49 77.6 14.3 4.1 4.1 0.0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0.2 39.8 65 64.6 26.2 3.1 4.6 1.5 4~7년미만 99 73.7 26.3 73 84.9 8.2 6.8 0.0 0.0 7년이상 77 79.2 20.8 63 82.5 7.9 6.3 3.2 0.0 직원 수 2명이하 131 72.5 27.5 95 85.3 11.6 1.1 2.1 0.0 3명 97 64.9 35.1 64 79.7 12.5 7.8 0.0 0.0 4명이상 56 73.2 26.8 42 57.1 21.4 11.9 7.1 2.4 연령 20대 137 61.3 38.7 84 75.0 15.5 2.4 6.0 1.2 30대 120 79.2 20.8 97 79.4 13.4 7.2 0.0 0.0 40대이상 27 74.1 25.9 20 80.0 10.0 10.0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4 72.6 27.4 91 76.9 16.5 3.3 2.2 1.1 9~14명 101 64.4 35.6 65 80.0 10.8 9.2 0.0 0.0 15명이상 59 74.6 25.4 45 75.6 13.3 4.4 6.7 0.0     [표Ⅲ-2-20]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여부 및 교육 주체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201))
  • 32. 11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6.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및 정기교육 빈도 Q. 교육은 언제 받았습니까? Q. 연간 기준으로 교육 빈도는 어떻게 됩니까?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은 시점을 보면, ‘자격증 취득 후’가 43.9%로 가장 많았으 며, 그 다음으로 ‘정기적으로 교육’ 40.8%, ‘자격 취득 시’ 35.7%로 나타남.   ↳ 전반적으로 보면 자격증 취득 시점 이후에 교육을 받고 있으며, 일부는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고 있 는 것을 알 수 있음.   ↳ 정기적으로 교육을 받는 경우 교육 빈도를 보면 연간 평균 2.4회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Ⅲ-2-19] 교육 시점 [그림Ⅲ-2-20] 정기교육 빈도 자격증 취득 후 정기적으로 자격증 취득 시 사업장 취직 시 1회 2~4회 5회이상 43.9 56.8 40.8 38.3 35.7 4.9 5.1 (단위 : %, 복수응답) (단위 : %)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201)) (Base : 정기교육 경험 응답자 (N=81)) 평균 교육 빈도 : 2.4회/연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을 받은 시점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의 경우 정 기적으로 교육을 받는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특징을 보이고 있음. (Base : 교육받은 경험 응답자 (N=196), 무응답(N=5) 제외) 구분 사례 수 교육 시점 (복수응답) (단위 : %) 자격증 취득 후 정기적으로 자격증 취득 시 사업장 취직 시 전체 196 43.9 40.8 35.7 5.1 네일숍 유형 단독 120 50.8 34.2 36.7 5.0 숍인숍 29 31.0 72.4 20.7 6.9 복합형 47 34.0 38.3 42.6 4.3 종사 기간 4년미만 65 43.1 43.1 29.2 10.8 4~7년미만 71 38.0 39.4 47.9 1.4 7년이상 60 51.7 40.0 28.3 3.3 직원 수 2명이하 93 44.1 38.7 40.9 1.1 3명 61 42.6 49.2 41.0 3.3 4명이상 42 45.2 33.3 16.7 16.7 연령 20대 83 42.2 38.6 36.1 7.2 30대 94 44.7 42.6 35.1 1.1 40대이상 19 47.4 42.1 36.8 15.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87 47.1 36.8 35.6 5.7 9~14명 64 35.9 34.4 40.6 1.6 15명이상 45 48.9 57.8 28.9 8.9 [표Ⅲ-2-21]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시점
  • 33. 11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1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정기교육 빈도 - 정기교육 시 교육 빈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및 복합형 매장, 직원 수가 4명 이상인 매장 에서 교육 빈도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정기교육 경험 응답자 (N=81)) 구분 사례 수 정기교육 빈도 (단위 : %) 평균(회) 1회 2~4회 5회이상 전체 81 56.8 38.3 4.9 2.4 네일숍 유형 단독 42 64.3 33.3 2.4 2.0 숍인숍 21 52.4 42.9 4.8 2.8 복합형 18 44.4 44.4 11.1 2.8 종사 기간 4년미만 29 65.5 31.0 3.4 1.9 4~7년미만 28 46.4 50.0 3.6 2.4 7년이상 24 58.3 33.3 8.3 2.9 직원 수 2명이하 37 67.6 24.3 8.1 2.2 3명 30 56.7 43.3 0.0 2.1 4명이상 14 28.6 64.3 7.1 3.4 연령 20대 32 56.3 34.4 9.4 2.8 30대 41 53.7 43.9 2.4 2.1 40대이상 8 75.0 25.0 0.0 1.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32 62.5 31.3 6.3 2.2 9~14명 23 43.5 52.2 4.3 2.6 15명이상 26 61.5 34.6 3.8 2.3             [표Ⅲ-2-22] 네일 제품 안전/유해성 관련 교육 빈도 제3절 근로자 건강 관련 인식 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Q. 네일숍에서 사용되는 제품과 관련하여 건강과 안전, 유해성 등에 대한 정보를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 네일 제품의 건강 및 유해성 관련 정보를 알고 있는 정도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 우는 13.0%에 불과하며,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82.8%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그림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잘 모른다 4.2% 매우 잘 알고 있다 13.0%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82.8%
  • 34. 12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의 매장 및 직원 수가 2명 이하인 매장에서 매우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단위 : %) 매우 잘 알고 있다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 잘 모른다 전체 285 13.0 82.8 4.2 네일숍 유형 단독 181 11.6 83.4 5.0 숍인숍 32 25.0 71.9 3.1 복합형 72 11.1 86.1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13.9 79.6 6.5 4~7년미만 100 8.0 89.0 3.0 7년이상 77 18.2 79.2 2.6 직원 수 2명이하 131 20.6 77.1 2.3 3명 97 5.2 90.7 4.1 4명이상 57 8.8 82.5 8.8 연령 20대 137 10.9 83.2 5.8 30대 121 14.9 81.8 3.3 40대이상 27 14.8 85.2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14.4 80.8 4.8 9~14명 101 11.9 85.1 3.0 15명이상 59 11.9 83.1 5.1       [표Ⅲ-3-1] 네일 제품의 건강/유해성 관련 정보 인지 정도 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Q. 네일숍에서 작업할 때 사용하는 제품으로부터 자신의 건강 위험을 얼마나 인식하십니까? ↳ 네일숍에서 작업 시 사용하는 제품으로부터 자신의 건강 위험을 인식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 체의 60.7%로 나타났으며, 인식하지 않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5.3%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전혀 인식안함 보통 별로 인식안함 다소 인식 매우 인식 0.0 34.0 5.3 55.8 4.9 (단위 : %) 인식 안함 : 5.3% 인식함 : 60.7% [그림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 35. 122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3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근로자와 종사 기간 4년 미만 응답자, 그리고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건강 위험 정도에 대해 인식하는 경우가 상 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단위 : %) 별로 인식 안함 보통 다소 인식 매우 인식 전체 285 5.3 34.0 55.8 4.9 네일숍 유형 단독 181 6.1 36.5 53.0 4.4 숍인숍 32 3.1 25.0 62.5 9.4 복합형 72 4.2 31.9 59.7 4.2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10.2 19.4 60.2 10.2 4~7년미만 100 3.0 46.0 51.0 0.0 7년이상 77 1.3 39.0 55.8 3.9 직원 수 2명이하 131 3.8 32.8 59.5 3.8 3명 97 7.2 35.1 55.7 2.1 4명이상 57 5.3 35.1 47.4 12.3 연령 20대 137 8.8 31.4 56.2 3.6 30대 121 2.5 38.0 55.4 4.1 40대이상 27 0.0 29.6 55.6 14.8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4 27.2 59.2 7.2 9~14명 101 4.0 43.6 49.5 3.0 15명이상 59 5.1 32.2 59.3 3.4         [표Ⅲ-3-2] 작업 시 사용 제품의 건강 위험에 대한 인식 정도 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Q. 건강 위험을 인식하는 경우에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십니까?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보면, ‘마스크 착용’이 86.3%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으로 ‘자주 환기’ 65.6%, ‘위생관리 철저’ 65.0%, ‘장갑 사용’ 54.1% 등의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건강 위험 인식 응답자 (N=183)) 마스크 착용 위생관리 철저 흡입하지 않는다 환기를 자주 한다 뚜껑이 있는 제품 사용 장갑 사용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음 작은 용기에 제품을 옮겨 사용 86.3 65.0 34.4 65.6 39.9 54.1 1.1 20.2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3-2]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 36. 124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5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전반적으로 종사기간이 7년 이상인 응답자의 경우 보다 다양하게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건강 위험 인식 응답자 (N=183)) 구분 사례 수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복수응답) (단위 : %) 마스크 착용 환기를 자주 한다 위생 관리 철저 장갑 사용 뚜껑이 있는 제품 사용 흡입 하지 않는다 작은 용기에 제품을 옮겨 사용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음 전체 183 86.3 65.6 65.0 54.1 39.9 34.4 20.2 1.1 네일숍 유형 단독 110 86.4 70.0 68.2 58.2 40.9 39.1 15.5 0.0 숍인숍 26 84.6 53.8 53.8 42.3 65.4 46.2 57.7 3.8 복합형 47 87.2 61.7 63.8 51.1 23.4 17.0 10.6 2.1 종사 기간 4년미만 79 88.6 62.0 64.6 58.2 36.7 38.0 13.9 2.5 4~7년미만 54 94.4 64.8 59.3 48.1 37.0 18.5 11.1 0.0 7년이상 50 74.0 72.0 72.0 54.0 48.0 46.0 40.0 0.0 직원 수 2명이하 85 88.2 78.8 67.1 64.7 41.2 37.6 17.6 0.0 3명 62 83.9 53.2 66.1 38.7 35.5 24.2 16.1 1.6 4명이상 36 86.1 55.6 58.3 55.6 44.4 44.4 33.3 2.8 연령 20대 88 92.0 58.0 65.9 55.7 31.8 31.8 13.6 0.0 30대 75 80.0 74.7 60.0 56.0 45.3 37.3 25.3 2.7 40대이상 20 85.0 65.0 80.0 40.0 55.0 35.0 3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86 87.2 66.3 65.1 51.2 34.9 31.4 17.4 1.2 9~14명 56 78.6 64.3 69.6 42.9 44.6 33.9 25.0 1.8 15명이상 41 95.1 65.9 58.5 75.6 43.9 41.5 19.5 0.0      [표Ⅲ-3-3] 건강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제4절 네일숍 건강 영향 평가 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Q. 사용 제품으로 인해 본인 또는 동료에게 부작용이 발생한 적이 있습니까? 있다면 어떤 부작용이었습니까? ↳ 사용 제품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60.4%로 나타남.   ↳ 사용 제품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이 있는 경우에 알레르기 반응 및 비염 등이 상대적으로 많 은 반면, 피부염은 가장 적은 발생 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없다 비염 알레르기 반응 호흡기 질환 피부염 60.4 18.6 21.4 12.6 6.7 (단위 : %) [그림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 37. 126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7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발생 경험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종사기간이 길수록, 40대 이상 연령 층에서 알레르기 반응이나 비염을 경험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복수응답) (단위 : %) 없다 알레르기 반응 비염 호흡기 질환 피부염 전체 285 60.4 21.4 18.6 12.6 6.7 네일숍 유형 단독 181 57.5 24.3 19.3 13.3 8.8 숍인숍 32 75.0 3.1 21.9 0.0 0.0 복합형 72 61.1 22.2 15.3 16.7 4.2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68.5 16.7 15.7 9.3 8.3 4~7년미만 100 57.0 21.0 19.0 14.0 5.0 7년이상 77 53.2 28.6 22.1 15.6 6.5 직원 수 2명이하 131 72.5 15.3 11.5 8.4 5.3 3명 97 54.6 21.6 20.6 18.6 6.2 4명이상 57 42.1 35.1 31.6 12.3 10.5 연령 20대 137 59.1 24.8 16.8 13.9 6.6 30대 121 63.6 16.5 19.8 9.1 5.8 40대이상 27 51.9 25.9 22.2 22.2 11.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60.0 27.2 16.0 15.2 9.6 9~14명 101 48.5 18.8 27.7 11.9 5.9 15명이상 59 81.4 13.6 8.5 8.5 1.7      [표Ⅲ-4-1] 네일 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경험 2. 현재 복용중인 약 Q. 현재 복용중인 약이 있습니까? 복용 중인 약을 모두 말씀해 주세요. (복수응답) ↳ 현재 복용중인 약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 92.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알레르기 질 환 관련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2.5%, 산부인과 질환 1.8% 등으로 미미한 비중 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3), 무응답(N=2) 제외) 없음 산부인과 질환 호흡기 질환 알레르기 질환 고지혈증 피부 질환 기타 92.6 1.8 0.4 2.5 0.4 0.7 2.5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 38. 128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29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현재 복용중인 약 - 현재 복용중인 약을 표본 특성 별로 보면, 표본 특성에 따라 특이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3), 무응답(N=2) 제외) 구분 사례 수 현재 복용중인 약 (복수응답) (단위 : %) 없음 알레르기 질환 산부인과 질환 피부 질환 고지혈증 호흡기 질환 기타 전체 283 92.6 2.5 1.8 0.7 0.4 0.4 2.5 네일숍 유형 단독 180 90.6 2.2 2.8 1.1 0.0 0.6 3.9 숍인숍 32 93.8 3.1 0.0 0.0 3.1 0.0 0.0 복합형 71 97.2 2.8 0.0 0.0 0.0 0.0 0.0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8.9 3.7 2.8 0.9 0.0 0.0 4.6 4~7년미만 98 96.9 1.0 1.0 1.0 0.0 1.0 0.0 7년이상 77 92.2 2.6 1.3 0.0 1.3 0.0 2.6 직원 수 2명이하 130 96.2 1.5 0.8 0.8 0.0 0.0 0.8 3명 97 94.8 3.1 2.1 0.0 0.0 1.0 0.0 4명이상 56 80.4 3.6 3.6 1.8 1.8 0.0 10.7 연령 20대 136 90.4 2.2 2.9 1.5 0.0 0.7 3.7 30대 120 94.2 2.5 0.8 0.0 0.8 0.0 1.7 40대이상 27 96.3 3.7 0.0 0.0 0.0 0.0 0.0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8.0 3.2 3.2 1.6 0.0 0.8 4.8 9~14명 101 96.0 1.0 1.0 0.0 1.0 0.0 1.0 15명이상 57 96.5 3.5 0.0 0.0 0.0 0.0 0.0       [표Ⅲ-4-2] 현재 복용중인 약 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Q. 지난 1년 동안 알레르기 질환에 대해 병원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77.9%로 가장 많은 가운데,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1.6%, 알레르기성 비염 10.9% 등으로 10명 중 1명 꼴로 진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 유병률은 17.9%로 비염 유병률은 비근로자와 비슷하게 나타남. ↳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경우 일반인구집단에서 약 20% 내외의 유병률을 보임. 안구건조증의 경 우 2014년 조사된 바에 따르면 서울에서 9.3%의 유병률을 보임. 설문지를 결과에 따르면 일반인 구집단에서보다 안구 건조 증상 및 가려움, 따가움과 같은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을 겪고 있 는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Base : 응답자 전체 (N=285))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 경험 없음 알레르기 비염 기타 11.6 77.9 10.9 1.4 (단위 : %, 복수응답) [그림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알레르기 반응 21.4% 호흡기 질환 12.6% 비염
  • 39. 130  ㅣ 생활밀착형 사업장(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 방안 제시 보고서 Ⅲ. 세부 조사 결과 ㅣ  131 2장. 건강한 네일숍을 만들기 위한 설문조사 (1) 네일숍 유해화학물질 저감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 표본 특성 별 분석 –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 알레르기 질환 진료 경험에 대해 표본 특성 별로 보면, 숍인숍 형태 매장 및 직원 수 4명 이상 매장,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알레르기성 질환 진료 경험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남. (Base : 응답자 전체 (N=285)) 구분 사례 수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복수응답) (단위 : %) 진료 경험 없음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 비염 기타 전체 285 77.9 11.6 10.9 1.4 네일숍 유형 단독 181 80.1 9.9 11.0 1.1 숍인숍 32 65.6 18.8 15.6 0.0 복합형 72 77.8 12.5 8.3 2.8 종사 기간 4년미만 108 82.4 8.3 10.2 0.0 4~7년미만 100 79.0 14.0 9.0 1.0 7년이상 77 70.1 13.0 14.3 3.9 직원 수 2명이하 131 87.8 6.9 5.3 0.0 3명 97 69.1 18.6 12.4 4.1 4명이상 57 70.2 10.5 21.1 0.0 연령 20대 137 79.6 11.7 9.5 0.0 30대 121 79.3 9.9 11.6 0.8 40대이상 27 63.0 18.5 14.8 11.1 방문 고객 수 8명이하 125 84.8 6.4 8.8 3.2 9~14명 101 69.3 18.8 12.9 0.0 15명이상 59 78.0 10.2 11.9 0.0 [표Ⅲ-4-3] 알레르기 질환 관련 진료 경험 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Q. 지난 1년 동안 피부 질환에 대해 병원 진료를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가 75.4%로 가장 많은 가운데, 알레르기성/ 아 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0.2%, 접촉성 피부염 9.2% 등으로 10명 중 1명 꼴로 진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2015년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의 유병률은 3.8% 였으며, 연령별 유병률을 살 펴보았을 때, 20~29세 여성에서 4.3% 인 것으로 확인됨. 아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이 있다고 응 답한 10.2%와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됨. 이는 설문조사에서 확인된 건강영향 중 일반 인구집단의 유병률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임. (Base : 응답자 전체 (N=284), 무응답(N=1) 제외) 알레르기성/아토피 피부염 진료 경험 없음 접촉성 피부염 습진 여드름 10.2 75.4 9.2 4.9 2.5 [그림Ⅲ-4-4] 피부 질환 관련 진료 경험 호흡기 질환 12.6% 피부염 6.7% 부작용 경 (단위 : %, 복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