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UNICON 2008Team Development Conference“Think Differently: Make a Difference”Dec 3-5, 2008 @ Seattle, Washington, USAhost: Foster School of business, univ. of washington 심지윤
Presentations/Workshops Schedule
참석한 Presentation/Workshops
Newcomer’s Workshop 교육기관이 바라는 것 ,[object Object]
잠재적 의뢰인 (주로 회사) 와의 관계 발전
새로운 정보위탁사가 바라는 것 ,[object Object]
분야별 화두 및 가이드
발전적 조직운영
파트너쉽
정보리소스 network
Full-service
비용대비 효과,[object Object]
Newcomer’s Workshop: Exec. Ed.의 시장 크기 시장크기 $66억 대학기반 실무자교육 크기 $200만 평균적으로 $66억 정도가 실무자교육에 투자됨 대학 기반의 실무자 교육 market share는 대략 $200만으로 추정됨 대학 기반 실무자 교육 1위인 Harvard Univ.의 share는 1%도 안 됨.
Newcomer’s Workshop: 최근 교육기관이 맞닥뜨린 변화들 예측 불가능한 시장 상황 “혁신” 에의 요구 - action learning 비중 늘림 - 실무자 강사진 - Coaching 조직 유연성 짧아지는 교육과정 빨라지는 교육과정 파트너십 및 협동 외부조달 증가 직접 눈으로 보여지는 효과를 원함 비용 대비 효과
Newcomer’s Workshop:최근의 요구 리더십 개발 강조: 조직 크기와 사원 직위에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 요구가 늘고 있음 이유 - 국제화 - 예측 불가능해지는 시장 상황 - 리더십의 의미가 포괄적으로 변함 - 가능한 가장 낮은 곳까지 리더십 발휘를 원함
Newcomer’s Workshop: 2008년의 화두 위탁과정 sales에 있어서의 기본단위 Open-Enrollment과정 sales의 기본단위 - 과금은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나?  	- Premium과 그 과금은 어떤 식으로 얻어내는가? 누가 최고의 value를 만들어 내는가? 경쟁자는 누구인가? (컨설팅社? 다른 학교?) 어떤 소비자를 가장 잘 공략할 수 있는가? 	- 세계화, 교육 접근성 다양화 	- 비디오, case 발굴, business coaching등은 수입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지만 마케팅 및 미래의 위탁사와의관계 발전에 도움이 됨.
참석한 Presentation/Workshops
Going Global: Working with a Foreign Partner Global 인재: 정의에 대해서 아직 많은 논란이 있으나 세계화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며 그 역할을 잘 해낼 수 있는 사람
Going Global: 위탁과정
Going Global: Open Enrollment
Going Global: 교육과정의 기본 전제 가르치기 보다는, 각 과정/주제의 중요성과 function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What is surprising to you?” “Where fits where?” 배움의 기회 제공 + 배운 것의 review를 도와주는 중간자= Cheung Ko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Networking 중간자의 역할 충실히 수행
Going Global: 파트너 선정시 고려해야 할 것들 Win-Win? 	- market share가 줄어들거나 이름, 대표지위 등이 부당하게 사용되는 경우 있음. 	- 파트너를 하청업체로 보는가? 문화의 차이 파트너가 흥미롭고 유용한 과정을 개발/운영할 역량이 충분한가? Guest speaker, 회사방문, 졸업생 network가 잘 유지되고 있는가? 시설 동등한 파트너의 의도를 가지고 있는가? 파트너에 관련하여 제3자 문의, 방문 등이 도움이 됨
참석한 Presentation/Workshops
Corporate Perspectives on Exec. Ed Challenges Panel Discussion 형식으로 진행됨. 위탁사 입장에서 실무자 교육에게 바라는 점, 미래, 관련사항 등을 설명함.
Corporate Perspectives on Exec. Ed Challenges 불황이라고 해도 위탁사들과의 관계를 지켜 나가는 것, 그리고 먼저 손을 내미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말아야 함 회사 경영진도 상경대 faculty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 회사측 매년 예산 계획: 시간이 지나면서 유연하게 update 되며, 회사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도 예산 수립에 영향을 끼침.   따라서 너무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아도 됨.
Corporate Perspectives on Exec. Ed Challenges: 대학 실무교육의 강점 사내교육과는 다른 기회 제공 사내교육이나 컨설팅사의 교육과정과 달리, "점수 매겨진다" 라는 긴장감 없이, 마음껏 실험해 보고 실수해 볼 수 있는 분위기
참석한 Presentation/Workshops
Operations Round Table 사회: Kathy Venne, Harvard University  과정운영에 관련된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round table 형식의 session.
Operations Round Table: Decision to Run a Program
Operations Round Table: 준비 및 등록금 관련 가장 이상적인 과정 준비기간은 35일로 보는 사람이 많았음 (local/short term의 경우 2주) Open Enrollment 과정 지원자 수가 부족할 경우, 위탁과정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할인을 적용함 	- London School of Economics: 할인은 하지 않지만, 같은 가격에 더 “얹어” 준다. 등록금 할부 납입: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분위기.  가끔 문의가 오면 대답은 해 주지만, 선전하지는 않는다. 따로 영업/재무 파트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도 있지만, 대부분 교육기관과 영업/재무를 연결하여 생각하지 못하므로 그러한 부서를 따로 만들지 않고 운영하는 기관도 많다. 강사진에 의한 강의교재/시간 확인 전달 지체 	-Rice University: 강사진이 제 시간에 전달해 줄 경우, 소정의 보너스/상품 지급
Operations Round Table: 등록취소 등록금 100% 지불 전에는 수강생으로 인정하지 않음. 번거로운 일이지만 되도록 친절하게, 수강생의 편의 위주로 대할 것 “People remember how they were treated on bad times.”  - Smith College 과정운영 팀장
Operations Round Table: 비용 교육생들의 과제물 수행 	- 다 읽는 것이 좋지만 현업 종사자로서 어려움 	- Syllabus에 꼭 읽어야 하는 것과 보조과제를 분리하여 명시함 Business Cases 	- Business cases를 아직도 많이 사용하나, 멀어지는 추세도 곳곳에서 보이고 있음 	- Action Learning, 시뮬레이션, 뉴스토론 등
Operations Round Table: 저작권비용 강의교재 및 과제물 배부: 하드카피? 소프트카피? 오디오 교재 교수진의 저작권 문제가 대두됨 Dartmouth, Harvard: 온라인으로 바로 저작권 확인/인증을 거쳐 배부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
Operations Round Table: 과정운영, 위탁사와의 관계 유지 부원장 등 책임자 직접 방문 과정 진행 중, 쉬는 시간 또는 점심시간에 항상 누군가가 현장에 있도록 한다. 	- 교육생들과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며 신경 써 주고 있다는 느낌이 듦. 위탁 과정은 가능한 한 장기과정으로 각 프로그램 담당 교수 과정마다 배치 운영관련자들을 과정에 참여시킴 	- 원활한 communication 	- 보통 새로운 과정/강의/강사의 경우, 또는 첫 강의일 운영관련자가 강의 참석 	- 해당 “상품” 에 관하여 더 많은 지식을 얻으며, 마케팅 아이디어도 생김 Institutional Connection > Personal Connection 가장 이상적이지만 쉽지 않은 관계임
Operations Round Table: 과정평가, etc 강사진 섭외: 보통 Program Manager가 관여.  	- Smith College: 상경대가 없으나 실무교육과정은 운영함.  강사진을 전부 외부에서 섭외하는 관계로 쉽지 않다고 함. Univ. of Texas: “3진아웃”제.  	- 7점 만점에 5점을 3회 이상 넘기지 못할 경우 과정담당 교수 및 기타 관련자가 강사와 면담 	- 발전이 없을 시 퇴출
참석한 Presentation/Workshops
Rising Demand in Emerging Market Business  발표: Cascade Huan Guanghua School of Management, Peking University (북경대학 광화관리학원) 광하관리학원: 1980년 설립, 아직까지 비학위 비중은 높지 않아 보임.  	- 참여사 사업분야는 다양함 	- 마케팅 director급, 사장/이사 등 임원급도 많이 참여함 (주로 15년 이상 경력/중국 영업) 	- 의외로 중국 본토보다 유럽, 미국 등의 참여비율이 더 높음
Rising Demand: China Business Immersion Programs 보통 1주일 정도로, 광화관리학원 내 숙박시설에서 묵으며 교육 1년에 2-3회 시행함 등록금: 약 $5,000 USD 타겟: 다국적또는 해외기업 지역HQ, 아태지역 담당부서, 중국담당부서 managers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Unicon 2008

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
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
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
THE LAB h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THE LAB h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THE LAB h
 
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
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
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
THE LAB h
 
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
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
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
THE LAB h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종훈 이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
THE LAB h
 
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
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
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
KOO Facilitation Group
 
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
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
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
THE LAB h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
SVI(KOVA Entrepreneurship Center)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THE LAB h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
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
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NED_Korea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상훈 심
 
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
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
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
Jahee Lee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조현경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
D.CAMP
 
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
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
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
Min Hwa Lee
 
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
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
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
진백 채
 

Similar to Unicon 2008 (20)

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
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
제 30차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2016년 6월 13-14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30차 오픈워크샵 2016년 10월 10-11일
 
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
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
POP 설득의 심리학 29차 오픈워크샵 2016년 3월 17 18일
 
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
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
POP 설득의 심리학 28차 오픈 워크샵_2015년 10월 19_20일 안내문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린런치패드(Lean launchpad)_How to build a startup_part2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32차 2017년 10월 23-24일
 
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
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
소통하는 학습조직 만들기 breakthrough leader course
 
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
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
공인 설득의 심리학 워크샵 안내문 31차 2017.3.23-24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
효과적인 멘토링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창업멘토링AtoZ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Pop 설득의 심리학 24차 오픈 워크샵 2014년 6월 19_20일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LD_탐방보고서
 
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
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
20130926 기업가정신교육사례 강진자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스마트창작터 사업계획서
 
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
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
Creative employee engagement ideas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기업교육론 6장 학생발표자료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LD_탐방계획서
 
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oec- 창업가정신교육
oec- 창업가정신교육
 
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
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
창조경제와기업가정신교육 Ver.2.0
 
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
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
국내외대학생대상기업가정신교육(이방실)
 

Unicon 2008

  • 1. UNICON 2008Team Development Conference“Think Differently: Make a Difference”Dec 3-5, 2008 @ Seattle, Washington, USAhost: Foster School of business, univ. of washington 심지윤
  • 4.
  • 5. 잠재적 의뢰인 (주로 회사) 와의 관계 발전
  • 6.
  • 12.
  • 13. Newcomer’s Workshop: Exec. Ed.의 시장 크기 시장크기 $66억 대학기반 실무자교육 크기 $200만 평균적으로 $66억 정도가 실무자교육에 투자됨 대학 기반의 실무자 교육 market share는 대략 $200만으로 추정됨 대학 기반 실무자 교육 1위인 Harvard Univ.의 share는 1%도 안 됨.
  • 14. Newcomer’s Workshop: 최근 교육기관이 맞닥뜨린 변화들 예측 불가능한 시장 상황 “혁신” 에의 요구 - action learning 비중 늘림 - 실무자 강사진 - Coaching 조직 유연성 짧아지는 교육과정 빨라지는 교육과정 파트너십 및 협동 외부조달 증가 직접 눈으로 보여지는 효과를 원함 비용 대비 효과
  • 15. Newcomer’s Workshop:최근의 요구 리더십 개발 강조: 조직 크기와 사원 직위에 관계 없이 전체적으로 요구가 늘고 있음 이유 - 국제화 - 예측 불가능해지는 시장 상황 - 리더십의 의미가 포괄적으로 변함 - 가능한 가장 낮은 곳까지 리더십 발휘를 원함
  • 16. Newcomer’s Workshop: 2008년의 화두 위탁과정 sales에 있어서의 기본단위 Open-Enrollment과정 sales의 기본단위 - 과금은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나? - Premium과 그 과금은 어떤 식으로 얻어내는가? 누가 최고의 value를 만들어 내는가? 경쟁자는 누구인가? (컨설팅社? 다른 학교?) 어떤 소비자를 가장 잘 공략할 수 있는가? - 세계화, 교육 접근성 다양화 - 비디오, case 발굴, business coaching등은 수입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지만 마케팅 및 미래의 위탁사와의관계 발전에 도움이 됨.
  • 18. Going Global: Working with a Foreign Partner Global 인재: 정의에 대해서 아직 많은 논란이 있으나 세계화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며 그 역할을 잘 해낼 수 있는 사람
  • 20. Going Global: Open Enrollment
  • 21. Going Global: 교육과정의 기본 전제 가르치기 보다는, 각 과정/주제의 중요성과 function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What is surprising to you?” “Where fits where?” 배움의 기회 제공 + 배운 것의 review를 도와주는 중간자= Cheung Kong Graduate School of Business Networking 중간자의 역할 충실히 수행
  • 22. Going Global: 파트너 선정시 고려해야 할 것들 Win-Win? - market share가 줄어들거나 이름, 대표지위 등이 부당하게 사용되는 경우 있음. - 파트너를 하청업체로 보는가? 문화의 차이 파트너가 흥미롭고 유용한 과정을 개발/운영할 역량이 충분한가? Guest speaker, 회사방문, 졸업생 network가 잘 유지되고 있는가? 시설 동등한 파트너의 의도를 가지고 있는가? 파트너에 관련하여 제3자 문의, 방문 등이 도움이 됨
  • 24. Corporate Perspectives on Exec. Ed Challenges Panel Discussion 형식으로 진행됨. 위탁사 입장에서 실무자 교육에게 바라는 점, 미래, 관련사항 등을 설명함.
  • 25. Corporate Perspectives on Exec. Ed Challenges 불황이라고 해도 위탁사들과의 관계를 지켜 나가는 것, 그리고 먼저 손을 내미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말아야 함 회사 경영진도 상경대 faculty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 회사측 매년 예산 계획: 시간이 지나면서 유연하게 update 되며, 회사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도 예산 수립에 영향을 끼침. 따라서 너무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아도 됨.
  • 26. Corporate Perspectives on Exec. Ed Challenges: 대학 실무교육의 강점 사내교육과는 다른 기회 제공 사내교육이나 컨설팅사의 교육과정과 달리, "점수 매겨진다" 라는 긴장감 없이, 마음껏 실험해 보고 실수해 볼 수 있는 분위기
  • 28. Operations Round Table 사회: Kathy Venne, Harvard University 과정운영에 관련된 사람들이 모여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는 round table 형식의 session.
  • 29. Operations Round Table: Decision to Run a Program
  • 30. Operations Round Table: 준비 및 등록금 관련 가장 이상적인 과정 준비기간은 35일로 보는 사람이 많았음 (local/short term의 경우 2주) Open Enrollment 과정 지원자 수가 부족할 경우, 위탁과정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할인을 적용함 - London School of Economics: 할인은 하지 않지만, 같은 가격에 더 “얹어” 준다. 등록금 할부 납입: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분위기. 가끔 문의가 오면 대답은 해 주지만, 선전하지는 않는다. 따로 영업/재무 파트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도 있지만, 대부분 교육기관과 영업/재무를 연결하여 생각하지 못하므로 그러한 부서를 따로 만들지 않고 운영하는 기관도 많다. 강사진에 의한 강의교재/시간 확인 전달 지체 -Rice University: 강사진이 제 시간에 전달해 줄 경우, 소정의 보너스/상품 지급
  • 31. Operations Round Table: 등록취소 등록금 100% 지불 전에는 수강생으로 인정하지 않음. 번거로운 일이지만 되도록 친절하게, 수강생의 편의 위주로 대할 것 “People remember how they were treated on bad times.” - Smith College 과정운영 팀장
  • 32. Operations Round Table: 비용 교육생들의 과제물 수행 - 다 읽는 것이 좋지만 현업 종사자로서 어려움 - Syllabus에 꼭 읽어야 하는 것과 보조과제를 분리하여 명시함 Business Cases - Business cases를 아직도 많이 사용하나, 멀어지는 추세도 곳곳에서 보이고 있음 - Action Learning, 시뮬레이션, 뉴스토론 등
  • 33. Operations Round Table: 저작권비용 강의교재 및 과제물 배부: 하드카피? 소프트카피? 오디오 교재 교수진의 저작권 문제가 대두됨 Dartmouth, Harvard: 온라인으로 바로 저작권 확인/인증을 거쳐 배부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축
  • 34. Operations Round Table: 과정운영, 위탁사와의 관계 유지 부원장 등 책임자 직접 방문 과정 진행 중, 쉬는 시간 또는 점심시간에 항상 누군가가 현장에 있도록 한다. - 교육생들과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며 신경 써 주고 있다는 느낌이 듦. 위탁 과정은 가능한 한 장기과정으로 각 프로그램 담당 교수 과정마다 배치 운영관련자들을 과정에 참여시킴 - 원활한 communication - 보통 새로운 과정/강의/강사의 경우, 또는 첫 강의일 운영관련자가 강의 참석 - 해당 “상품” 에 관하여 더 많은 지식을 얻으며, 마케팅 아이디어도 생김 Institutional Connection > Personal Connection 가장 이상적이지만 쉽지 않은 관계임
  • 35. Operations Round Table: 과정평가, etc 강사진 섭외: 보통 Program Manager가 관여. - Smith College: 상경대가 없으나 실무교육과정은 운영함. 강사진을 전부 외부에서 섭외하는 관계로 쉽지 않다고 함. Univ. of Texas: “3진아웃”제. - 7점 만점에 5점을 3회 이상 넘기지 못할 경우 과정담당 교수 및 기타 관련자가 강사와 면담 - 발전이 없을 시 퇴출
  • 37. Rising Demand in Emerging Market Business 발표: Cascade Huan Guanghua School of Management, Peking University (북경대학 광화관리학원) 광하관리학원: 1980년 설립, 아직까지 비학위 비중은 높지 않아 보임. - 참여사 사업분야는 다양함 - 마케팅 director급, 사장/이사 등 임원급도 많이 참여함 (주로 15년 이상 경력/중국 영업) - 의외로 중국 본토보다 유럽, 미국 등의 참여비율이 더 높음
  • 38. Rising Demand: China Business Immersion Programs 보통 1주일 정도로, 광화관리학원 내 숙박시설에서 묵으며 교육 1년에 2-3회 시행함 등록금: 약 $5,000 USD 타겟: 다국적또는 해외기업 지역HQ, 아태지역 담당부서, 중국담당부서 managers
  • 39.
  • 40. Rising Demand: China Business Immersion Programs 홍보 및 접근 - 양보다 질: Financial Times등 유력 매체들에만 집중적으로 광고 게재 - 북경대의 명성, 초청강의, 졸업생 인맥 등이 지원자 수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 그러나 명성은 항상 도움이 되는 것만은 아님 - 한계가 있어 추후에는 다른 방향을 생각중임
  • 42. Managing the Gen Y Employee 발표: Laura B. Schildkraut (전 Univ. of Washington 교수) 1981-1999년 태어난 세대 (만 9-27세) 7천6백만 (미국 기준) 왜 Y세대에 대해 알아야 하나? 노동시장에 빠른 속도로 진입 중 현재로서는 이들 이외 다른 대안이 없음
  • 43. Managing the Gen Y Employee: 前 세대와의 차이점 현재 보통의 조직 내 가치 (or 기존 세대) Y세대의 가치 일, 회사 > 나와 내 시간 “싫어도 어쩔 수 없지…” 일, 회사 <<<나와 내 시간 “왜?” “왜 안돼?” “싫은데 왜 해?” 왜 Y세대에 대해 알아야 하나? 노동시장에 빠른 속도로 진입 중 현재로서는 이들 이외 다른 대안이 없음 싫으면 바로 나가버린다.
  • 44. Managing the Gen Y Employee: Future 북미에서는 조직에서의 Y세대 관리에 관한 논의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련한 교육도 서서히 시작되고 있음. 수요도 상승세 한국에서도 필요한 교육이라고 생각되지만, (조직 내) 인간관계가 더 수직적인 한국에서는 어떨는지 의문임. Schildkraut曰: 한국 회사들하고도 일해 본 적이 있는데, 대개 신세대에 관해서 “우리 조직이니까 우리가 너희를 뜯어고쳐 놓겠다” 라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아마 한국에서는 조직이 Y세대를 흡수하기 보다는, 기존 조직에 만족하지 못한 Y세대들이 나와 스스로 만든 소규모 비즈니스가 많아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