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추사를 넘어

   @chaeya
작가 김종헌

 전 남영비비안 대표이사
 2003년부터 빵집(부인) 겸 서예전문화랑(본
  인)으로 제2의 인생
 www.peaceofmind.co.kr
무엇에 대한 책인가

   서예를 즐기는 기초
     서예문화에   대한 쉬운 접근을 돕는다
   근대 현대의 서예고수들은 누구?
     중국과   한국의 숨겨진 서예고수들
 우리나라의 가장 뛰어난 서예가 추사 김정희
 서예의 역사와 예술성,감상법 등 서예에 대
  한 기본적 사항 역시 친절하게 제시.
왜 한자만이 독특한 예술형태로 발전했을까?

 한글,영어등 대부분은 표음문자
 한자는 상형문자에서 표의문자로 발전(5천
  년역사)
 상형화된 문자의 조합이나 뜻과 음을 빌려오
  는 표현기법
 서예의 원형은 토기에 새긴 그림까지 거슬러
  가며, 서예화 회화를 하나의 뿌리로 생각한
  다.
서예의 아름다움 - 일필휘지, 기운생동

   일필휘지
     천천히 휘두르는 칼은 연한 무도 자르지 못한다.
     글씨를 단숨에 죽 내리 씀.
      한번 붓을 휘둘러 글씨를 모두 완성한다는 의미로
      글 솜씨가 좋거나 글씨를 잘 쓰는 사람들을 이야기
      할 때 쓰곤 한다.
   기운생동
     살아있는 획과 바르고 생동감있는 선을 그리는 것
     작품에 기품이 넘치고 용약하는 힘이 있으며 주제가
      명확할 때 기운생동이라고 말한다.
서예의 아름다움 - 점 & 선

   임서
     위대한 서예가가 남긴 글씨들을 모범으로 삼아
      수없이 반복하고 모방하는 것
     서예란 고전에서 새것을 찾아내는 입고출신의
      정신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 팔뚝아래 삼백아홉개의 옛비문 글씨를 완전히
      익혀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 - 추사
여백의 미
 달을 직접 그리지 않고 주변에 구름을 그려 마
  치 달이 있는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
 먹물이 묻지 않은 흰 공간에도 힘과 기운의 흐
  름이 존재하여 연결된다.
 여백이 없으면 뜻의 경지가 나올 수 있는 공간
  이 없게 된다
 세한도의 여백-중용과 침묵의 공간
 육시도의 여백-충만감
 팔대산인의 잡화책지팔-절제의 미학을 여백으
  로 표현
팔대산인




       잡화책지팔




         방예운림산수(150억)
서예의 아름다움 - 시서화 삼절

 시, 글씨, 그림이 모두 어우러진 경지를 삼절
  이라 부름
 기능적 테크닉만으로는 경지에 이를 수 없고
  인문철학적 소양이 풍부해야 한다.
 선비나 문인들은 글을 쓰다 남은 먹으로 문
  인화(사군자 등)를 그려 정신적 이상세계를
  표현
서예의 아름다움-살아있는 글씨

 명필의 글씨를 보면 씨눈을 찾을수 있다.
 명필은 붓을 댈때와 거둘때, 머무를때와 꺽
  고 강기거나 끌때, 붓을 빠르게 하거나 천천
  히 할때, 어느 단계에서도 흐트러짐이 없는
  자세로 중봉으로 시작하여 중봉으로 끝낸다.
 특히 붓을 거둘때 순간적으로 안필한 다음
  수필하는 관계로 ‘씨눈’을 남기게 된다
씨눈 찾아보기




추사 김정희 - 춘풍대아
서예의 아름다움 - 음과양

 글씨는 주역에서 근원이 되니 주역에는 음양
  이 있고 세가지 멈춤이 있고 네가지오른방향
  이 있고 네 모퉁이가 있다 – 옥동필결(우리
  나라최초의 서예이론서)
 가는획과 굵은획, 강한획과 약한획, 둥근획
  과 각진획, 곧은획과 굽은획, 밖의 획과 안의
  획, 위의획과 아래획 이런 어우러진 글자의
  조화
음과 양을 살펴보자

   안진경 - 근례비
서예의 아름다움-전각

 전서의 서체로 도장을 새긴다는 뜻
 옛날에 도장을 팔때 전서체로 쓴다음 칼로
  새겼기 때문
 붉은색의 인주를 묻혀 낙관을 찍어서 화룡점
  정청의 효과를 낸다
 일반적으로 세개의 셋트(성명, 아호인, 수인)
선수지식-서예용어

 금석문 - 돌이나금속에 새겨진 글을 연구하
  는 학문
 낙관 - 서화를완성하고 도장을 찍는 행위
 비백 - 붓털이 빠르게 지나가서 희게나오는
  특수한선
 서각 - 글씨를 돌이나 나무등에 새김
 오지제력 - 붓을잡을때 다섯손가락의 힘이
  모두 고르게 붓대에 보내져야한다
 죽간 - 종이가없을때 글을쓰던 대나무
한자의 변화
 갑골문-그림문자의 성
  격
 전서(대전,소전-진시황
  이 통일한 문자)-세로로
  길쭉
 네모난 형태의 예서(가
  로로 길쭉)와 해서
 흘림체의 초서(예서를
  흘려쓰는 방식)와 행서
  (해서와 초서의 중간)
근대서예가 - 판교 정섭(중국)
 단정하고 균일한 스타일의 전통적 틀을 깬 민중
  작가
 난득호도 - 총명하기도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
  렵지만 총명함에서 어리석음으로 나아가기는
  더욱 어렵다(판교가 산둥지방에서 벼슬을할때
  만난 어수룩한 늙은이에게서 배운점)
 속을 잘 내보이지 않는 중국인의 인생철학
 예서+전서+행서+해서+초서를 혼합
 난초를 그리듯 글자를 쓴 사람
 정섭 - 육분반서(마치어린아이가쓴듯한 글씨)
판교 - 난득호도
근대서예-추사 김정희(CONT)
 충남예산의 조선후기 실학자, 금석학자
 좋은 글씨나 그림을 위하여 따로 법식을 배울
  것이 아니라 맑은 마음과 고상한 뜻, 그리고 우
  아한 인품과 밝은 정신을 먼저 갖추어야 한다고
  가르침
 명필과 명화는 글쓰기와 그림그리기의 반복이
  아니라 학문을 닦고 뜻을 맑게하여 그 도를 깨
  쳐 경지에 이르면 자연히 우러나온다
 추사는 서예의 근본적 법식을 깨쳐 스스로 새로
  운 법식을 만들어 내었다.
추사 김정희(CONT)
 예서를 쓰지 않고는 글씨의 근본을 알 수 없다
  고 강조
 한나라시대의 예서가 추구하던 예스러움과 소
  박함, 반듯하고 곧은 필획의 전통과 아름다운
  자태가 잘 나타나 있다.
 실학적 입장에서 경학을 공부한 사람, 주역도
  깊이 공부하였고 글씨에 음양의 원리가 녹아있
  다.
 비균제속 균제미 - 비균제의 기이함을 교묘히
  보완하는 기법으로 균제미로 돌리면서 비균제
  미를 유지하는 방식
추사 – 명월매화

   필획의 굵기가 거의 같
    다, 직선과 곡선의 획을
    묘하게 교차, 각진 글자
    와 둥근 형태를 섞어 별
    난 시각적 효과
추사 – 잔서완석루

   예서는 다른 서체에 비하여 대칭적, 장식적,
    기교적 측면이 많음, 빨래줄에 옷을 걸어 말
    리는 모습
추사 - 죽로지실

   독특한 공간을 만들고 연출하여 기교의 극치
    를 보임
추사 - 세한도
추사 – 세한도

 제자 이상적이 구하기 힘든책을 구해서 귀양
  지로 보낸것에 감동하여 선물한 그림
 세한도- 추사의 외로움과 그리움의 세계(59
  세, 귀양생활 중)
 도도한 추사의 선비정신을 그린 표현주의적
  기법의 문인화
 처절한 귀양생활-조그마한집
 제자의 고마운마음과 행동, 자신의 지조를
  소나무와 잣나무로 비유
추사 – 불이선란도

 붓 가는대로 친 난 그림
 전통적 서예가가 그린 난
  초의 유연한선도 여백의
  어우러짐도 없다. 이그림
  을 보는 이들의 자신의 의
  도를 이해할수있을지 걱
  정했다.
추사 - 판전
추사 김정희의 절필 – 판전

 서울 강남에 있는 무역센터와 경기고등학교
  사이에 위치한 옛절 봉은사 안에,
 대장경 목판을 보존하고 있는 전통사찰건물
  에 걸려있는 작품
 서당에 다니던 어린아이가 쓴 글씨처럼 보여
  동자체라고 한다.
 노자-진정한 기교는 천도에 순응하는것
 크게 완성된것은 마치 결함이 있는듯하지만,
  그 쓰임에는 다함이 없다-도덕경
중국의 서예가들
   왕희지 (晉, 321 ~ 379 혹은 303 ~ 361) - 천하제일의 행
    서,행서체의 전범
   구양순 (唐, 557 ~ 641) - 해서의 필법을 완성한 서예가
   안진경 (唐, 709 ~ 785) -천하제이의 행서
   회소(唐, 725 ~ 785) - 서예 역사상 가장 초서를 활달하
    게 잘 썼던 승려 서예가.
   유공권(唐, 778 ~ 865)
   소동파(宋, 1036 ~ 1101)
   동기창(明, 1555 ~ 1636) - 명나라의 대표적 서예가.
   오창석(淸, 1844 ~ 1927) - 淸나라 때 크게 일어난 서예
    이론과 금석학 연구, 시서화 모두 능함
근현대의 여러 서예가

 도마 안중근
 소전 손재형

 검여 유희강-우반신마비를 이기고 왼손글씨

 소지도인 강창원

 송천 정하건
도마 안중근

 중국 휘순감옥에서 사형신고받고나서 한달
  가량 쓴 글씨
 서예가의 본보기

 독립

 청조당

 견리사의 견위수명
도마 – 독립
도마 – 청조당
도마 – 견리사의 견위수명

 이익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
  하고
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쳐라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Kevin Kim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Kevin Kim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Kevin Kim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Kevin Kim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Kevin Kim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Kevin Kim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Kevin Kim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Kevin Kim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Kevin Kim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Kevin Kim
 
오픈R&D 성과관리
오픈R&D 성과관리오픈R&D 성과관리
오픈R&D 성과관리
Kevin Kim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Kevin Kim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Kevin Kim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
Kevin Kim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Kevin Kim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Kevin Kim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Kevin Kim
 
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
Kevin Kim
 
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
Kevin Kim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Kevin Kim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Kevin Kim
 

More from Kevin Kim (20)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오픈테크넷]오픈소스 연구개발 프로젝트 거버넌스 프랙티스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개방형 혁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The growth process of open source projects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미래교육을 위한 오픈소스 기술과 문화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에듀테크 산업에서 개방형OS 하모니카 활용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출연연의 공개소프트웨어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개방형 데스크톱 OS 기술동향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언제 애자일을 써야 좋을까? The better ways of developing software
 
오픈R&D 성과관리
오픈R&D 성과관리오픈R&D 성과관리
오픈R&D 성과관리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개방형혁신 연구개발 역량 성숙도 모델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Open source community Building
 
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오픈 R&D 거버넌스
오픈 R&D 거버넌스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Understanding of Open Source
Understanding of Open Source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오픈소스와 거버넌스
오픈소스와 거버넌스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 거버넌스 실무
 
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공개SW거버넌스(개요)
공개SW거버넌스(개요)
 
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애자일이야기
애자일이야기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숭실대교육교재 - Io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활용방안(김형채)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추사를넘어

  • 2. 작가 김종헌  전 남영비비안 대표이사  2003년부터 빵집(부인) 겸 서예전문화랑(본 인)으로 제2의 인생  www.peaceofmind.co.kr
  • 3. 무엇에 대한 책인가  서예를 즐기는 기초  서예문화에 대한 쉬운 접근을 돕는다  근대 현대의 서예고수들은 누구?  중국과 한국의 숨겨진 서예고수들  우리나라의 가장 뛰어난 서예가 추사 김정희  서예의 역사와 예술성,감상법 등 서예에 대 한 기본적 사항 역시 친절하게 제시.
  • 4. 왜 한자만이 독특한 예술형태로 발전했을까?  한글,영어등 대부분은 표음문자  한자는 상형문자에서 표의문자로 발전(5천 년역사)  상형화된 문자의 조합이나 뜻과 음을 빌려오 는 표현기법  서예의 원형은 토기에 새긴 그림까지 거슬러 가며, 서예화 회화를 하나의 뿌리로 생각한 다.
  • 5. 서예의 아름다움 - 일필휘지, 기운생동  일필휘지  천천히 휘두르는 칼은 연한 무도 자르지 못한다.  글씨를 단숨에 죽 내리 씀. 한번 붓을 휘둘러 글씨를 모두 완성한다는 의미로 글 솜씨가 좋거나 글씨를 잘 쓰는 사람들을 이야기 할 때 쓰곤 한다.  기운생동  살아있는 획과 바르고 생동감있는 선을 그리는 것  작품에 기품이 넘치고 용약하는 힘이 있으며 주제가 명확할 때 기운생동이라고 말한다.
  • 6. 서예의 아름다움 - 점 & 선  임서  위대한 서예가가 남긴 글씨들을 모범으로 삼아 수없이 반복하고 모방하는 것  서예란 고전에서 새것을 찾아내는 입고출신의 정신으로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 팔뚝아래 삼백아홉개의 옛비문 글씨를 완전히 익혀 간직하고 있어야 한다 - 추사
  • 7. 여백의 미  달을 직접 그리지 않고 주변에 구름을 그려 마 치 달이 있는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  먹물이 묻지 않은 흰 공간에도 힘과 기운의 흐 름이 존재하여 연결된다.  여백이 없으면 뜻의 경지가 나올 수 있는 공간 이 없게 된다  세한도의 여백-중용과 침묵의 공간  육시도의 여백-충만감  팔대산인의 잡화책지팔-절제의 미학을 여백으 로 표현
  • 8. 팔대산인 잡화책지팔 방예운림산수(150억)
  • 9. 서예의 아름다움 - 시서화 삼절  시, 글씨, 그림이 모두 어우러진 경지를 삼절 이라 부름  기능적 테크닉만으로는 경지에 이를 수 없고 인문철학적 소양이 풍부해야 한다.  선비나 문인들은 글을 쓰다 남은 먹으로 문 인화(사군자 등)를 그려 정신적 이상세계를 표현
  • 10. 서예의 아름다움-살아있는 글씨  명필의 글씨를 보면 씨눈을 찾을수 있다.  명필은 붓을 댈때와 거둘때, 머무를때와 꺽 고 강기거나 끌때, 붓을 빠르게 하거나 천천 히 할때, 어느 단계에서도 흐트러짐이 없는 자세로 중봉으로 시작하여 중봉으로 끝낸다.  특히 붓을 거둘때 순간적으로 안필한 다음 수필하는 관계로 ‘씨눈’을 남기게 된다
  • 12. 서예의 아름다움 - 음과양  글씨는 주역에서 근원이 되니 주역에는 음양 이 있고 세가지 멈춤이 있고 네가지오른방향 이 있고 네 모퉁이가 있다 – 옥동필결(우리 나라최초의 서예이론서)  가는획과 굵은획, 강한획과 약한획, 둥근획 과 각진획, 곧은획과 굽은획, 밖의 획과 안의 획, 위의획과 아래획 이런 어우러진 글자의 조화
  • 13. 음과 양을 살펴보자  안진경 - 근례비
  • 14. 서예의 아름다움-전각  전서의 서체로 도장을 새긴다는 뜻  옛날에 도장을 팔때 전서체로 쓴다음 칼로 새겼기 때문  붉은색의 인주를 묻혀 낙관을 찍어서 화룡점 정청의 효과를 낸다  일반적으로 세개의 셋트(성명, 아호인, 수인)
  • 15. 선수지식-서예용어  금석문 - 돌이나금속에 새겨진 글을 연구하 는 학문  낙관 - 서화를완성하고 도장을 찍는 행위  비백 - 붓털이 빠르게 지나가서 희게나오는 특수한선  서각 - 글씨를 돌이나 나무등에 새김  오지제력 - 붓을잡을때 다섯손가락의 힘이 모두 고르게 붓대에 보내져야한다  죽간 - 종이가없을때 글을쓰던 대나무
  • 16. 한자의 변화  갑골문-그림문자의 성 격  전서(대전,소전-진시황 이 통일한 문자)-세로로 길쭉  네모난 형태의 예서(가 로로 길쭉)와 해서  흘림체의 초서(예서를 흘려쓰는 방식)와 행서 (해서와 초서의 중간)
  • 17. 근대서예가 - 판교 정섭(중국)  단정하고 균일한 스타일의 전통적 틀을 깬 민중 작가  난득호도 - 총명하기도 어렵고 어리석기도 어 렵지만 총명함에서 어리석음으로 나아가기는 더욱 어렵다(판교가 산둥지방에서 벼슬을할때 만난 어수룩한 늙은이에게서 배운점)  속을 잘 내보이지 않는 중국인의 인생철학  예서+전서+행서+해서+초서를 혼합  난초를 그리듯 글자를 쓴 사람  정섭 - 육분반서(마치어린아이가쓴듯한 글씨)
  • 19. 근대서예-추사 김정희(CONT)  충남예산의 조선후기 실학자, 금석학자  좋은 글씨나 그림을 위하여 따로 법식을 배울 것이 아니라 맑은 마음과 고상한 뜻, 그리고 우 아한 인품과 밝은 정신을 먼저 갖추어야 한다고 가르침  명필과 명화는 글쓰기와 그림그리기의 반복이 아니라 학문을 닦고 뜻을 맑게하여 그 도를 깨 쳐 경지에 이르면 자연히 우러나온다  추사는 서예의 근본적 법식을 깨쳐 스스로 새로 운 법식을 만들어 내었다.
  • 20. 추사 김정희(CONT)  예서를 쓰지 않고는 글씨의 근본을 알 수 없다 고 강조  한나라시대의 예서가 추구하던 예스러움과 소 박함, 반듯하고 곧은 필획의 전통과 아름다운 자태가 잘 나타나 있다.  실학적 입장에서 경학을 공부한 사람, 주역도 깊이 공부하였고 글씨에 음양의 원리가 녹아있 다.  비균제속 균제미 - 비균제의 기이함을 교묘히 보완하는 기법으로 균제미로 돌리면서 비균제 미를 유지하는 방식
  • 21. 추사 – 명월매화  필획의 굵기가 거의 같 다, 직선과 곡선의 획을 묘하게 교차, 각진 글자 와 둥근 형태를 섞어 별 난 시각적 효과
  • 22. 추사 – 잔서완석루  예서는 다른 서체에 비하여 대칭적, 장식적, 기교적 측면이 많음, 빨래줄에 옷을 걸어 말 리는 모습
  • 23. 추사 - 죽로지실  독특한 공간을 만들고 연출하여 기교의 극치 를 보임
  • 25. 추사 – 세한도  제자 이상적이 구하기 힘든책을 구해서 귀양 지로 보낸것에 감동하여 선물한 그림  세한도- 추사의 외로움과 그리움의 세계(59 세, 귀양생활 중)  도도한 추사의 선비정신을 그린 표현주의적 기법의 문인화  처절한 귀양생활-조그마한집  제자의 고마운마음과 행동, 자신의 지조를 소나무와 잣나무로 비유
  • 26. 추사 – 불이선란도  붓 가는대로 친 난 그림  전통적 서예가가 그린 난 초의 유연한선도 여백의 어우러짐도 없다. 이그림 을 보는 이들의 자신의 의 도를 이해할수있을지 걱 정했다.
  • 28. 추사 김정희의 절필 – 판전  서울 강남에 있는 무역센터와 경기고등학교 사이에 위치한 옛절 봉은사 안에,  대장경 목판을 보존하고 있는 전통사찰건물 에 걸려있는 작품  서당에 다니던 어린아이가 쓴 글씨처럼 보여 동자체라고 한다.  노자-진정한 기교는 천도에 순응하는것  크게 완성된것은 마치 결함이 있는듯하지만, 그 쓰임에는 다함이 없다-도덕경
  • 29. 중국의 서예가들  왕희지 (晉, 321 ~ 379 혹은 303 ~ 361) - 천하제일의 행 서,행서체의 전범  구양순 (唐, 557 ~ 641) - 해서의 필법을 완성한 서예가  안진경 (唐, 709 ~ 785) -천하제이의 행서  회소(唐, 725 ~ 785) - 서예 역사상 가장 초서를 활달하 게 잘 썼던 승려 서예가.  유공권(唐, 778 ~ 865)  소동파(宋, 1036 ~ 1101)  동기창(明, 1555 ~ 1636) - 명나라의 대표적 서예가.  오창석(淸, 1844 ~ 1927) - 淸나라 때 크게 일어난 서예 이론과 금석학 연구, 시서화 모두 능함
  • 30. 근현대의 여러 서예가  도마 안중근  소전 손재형  검여 유희강-우반신마비를 이기고 왼손글씨  소지도인 강창원  송천 정하건
  • 31. 도마 안중근  중국 휘순감옥에서 사형신고받고나서 한달 가량 쓴 글씨  서예가의 본보기  독립  청조당  견리사의 견위수명
  • 34. 도마 – 견리사의 견위수명  이익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 하고 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