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53
Download to read offline
1
제 출 문
한국정보화진흥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 전망 및 신기술 가이드 작성”의 최종연구
개발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 년 10 월 31 일
공동연구책임자 : 김 우 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교수)
이 명 진 (주식회사 LIST 이사)
과제관리책임자 : 이 병 하 (한국정보화진흥원 지식자원활용부 부장)
이 의 순 (한국정보화진흥원 지식자원활용부 수석)
참 여 연 구 원 : 문 세 희 (주식회사 LIST 팀장)
박 광 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통합과정)
안 태 준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석사과정)
심 홍 매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석사과정)
전 동 규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박사과정)
정 해 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석사과정)
2
요 약 문
1. 제 목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 전망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적인 공공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여, 공공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가 보다
주목해야 할 기술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데 있다.
미국, 영국 등과 같은 선진국들은 공공 데이터 포털의 개발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함과 동시에 다양한 데이터 활용 방안을 촉구함으로써 데이터 활용에 따른
가치창출에 적극 힘쓰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공공 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역시 공공 포털의 운영을 통해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요성은 공공 데이터를 개방함에 있어서 선진국들과
우리나라간의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측면의 간극(GAP)을 파악함과 동시에
우리나라가 취해야할 발전방향과 추진 추진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더불어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기술의 발전 방향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본 연구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문헌조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해 선정된 총 41개국, 총 256개 사이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레드에 따라 선정된 총 83개 세부기술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
조사를 수행하였고, 조사 결과에 대한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와
선진국(선도국)간의 격차를 분석하였고, 우리나라가 향후 주목해야할 기술을 제시하였다.
3
4. 연 구 결 과
본 연구 보고서는 총 여섯 장으로 구성되며, 연구 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 제 1 장 서론
전 세계적으로 공공 부문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 제공 현황을 세 가지
관점(View관점-26개 기술, DataService관점-10개 기술, DataSet관점-47개 기술)으로
구분하여 각 관점에 속한 총 83개 기술에 대한 공공 데이터 제공 현황을 조사하였다.
공공 데이터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선진국간의 GAP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제 2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전망
문헌조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의 발전 추세를 파악하고, 공공 데이터 현황
조사를 위한 총 83개 세부 기술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세부 기술은 View관점에 26개, DataService관점에 10개, DataSet관점에
47개로 총 83개 세부 기술이 선정되었고, 이에 대한 기술 구조도를 각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 제 3 장 국내 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현황 조사
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 문헌 조사, 관련 사이트 조사를 통해 총 41개국, 256개
사이트를 선정하였고, 각 사이트마다 총 83개 세부 기술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
조사를 수행 및 이에 대한 기초 통계를 제시하였다.
선정된 총 41개국, 256개 사이트에 대하여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ODI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정부자원관리(BRM)와 같은 분류 기준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4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관점 별‘국제 유망 기술’을 선정하였다. 각 관점별로
선정된 국제 유망 기술과 각 기술별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 View관점 : Map > Donut > Timeline > TreeMap > StackedBar
• DataService관점 : REST > WMS > WFS > Application > SPARQL Endpoint
• DataSet관점 : XML > RDF > JSON > CSV > KML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은 크게 4가지 영역(Web Database
Service, Semantic Database Service, Geospatial Database Service, Others)으로
구성되며, 도출된 국제 유망 기술(DataService관점 및 DataSet관점에 속한 기술)을
앞서 기술한 네 가지 영역을 활용하여 군집화하였다.
• Web Database Service : REST, XML, JSON
• Semantic Database Service : SPARQL Endpoint, RDF
• Geospatial Database Service : WMS, WFS, KML
• Others : Application, CSV
□ 제 4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GAP 분석 및 목표 기술 도출
제 3 장에서 기술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기술 수준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기술 수준 비교는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으로
이루어지는데, 정성적 분석은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의 기술 채택 측면에서, 정량적
분석은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의 정보 제공량 측면의 분석을 의미한다.
정성적 분석 결과와 정량적 분석 결과 그리고 앞서 도출된 국제 유망 기술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가 주목해야할‘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를
도출하였고, 이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네 가지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로 군집화하여
제시하였다.
5
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분야
분야 기술
평균 순위
활용 기술 기술 별 순위
Web Database Service 2.0
XML 1
REST 2
JSON 3
Geospatial Database Service 4.2
WMS(Web Map Service) 1
WFS(Web Feature Service) 3
ArcGIS Services 5
KML 5
SHP 5
Esri REST 6
Semantic Database Service 5.5
RDF 4
SPARQL Endpoint 7
□ 제 5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발전 방향 수립 및 추진 전략
연구 결과로 도출된‘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의 국가적 발전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가적 발전 방향은 AS-IS / TO-BE 분석 모형을 활용한 분석 결과에 따라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DataService관점에 대한 기술 채택율은
40%이상으로 높아지고,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의 비중은 DataSet > DataService >
View 순에서 DataService > DataSet > View의 순으로 변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데이터 공유 고도화 수준은 TXT, CSV의 의존도가 낮아지고, Web Database Service,
Geospatial Database Service, Semantic Web Service와 같은 다양한 기술이 활용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진 전략은 단기, 중기, 장기의 시점적 구분으로 이루어진 로드맵(Road Map)을
통해 기술하였다. 단기에는 Web Database Service 플랫폼의 REST 기술이 선정되었고,
중기에는 Geospatial Database Service플랫폼의 WMS, WFS, ArcGIS Service 기술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장기에는 Semantic Database Service플랫폼의 SPARQL
Endpoint 기술이 선정되었다.
6
□ 제 6 장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총 41개국에 속한 총 256개 사이트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 조사를
통하여 세계적인 공공 데이터 영역의 트랜드를 파악하였고, 선진국과 우리나라간의
GAP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위치를 조명함과 동시에 향후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발전방향과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5.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어떤 기술을 활용하여 어떤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지에 대한 의사 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어떤 기술이란 총 83개
세부 기술의 관점을 의미하고, 어떤 서비스란 View관점, DataService관점,
DataSet관점의 측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터 포털과 관련된 모든 기관의
참고 자료나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6. 기 대 효 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진전략의 단기, 중기, 장기적 측면에서, 우리나라가 각각의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을 활성화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나 방안을 마련한다면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선도국과의 격차를 줄임과 동시에 정부 3.0에 기반한 데이터
개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7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What South Korea should focus on
technology related to the Open Data?”For this,
firstly, We examine the Open Data Status in the world. hereat, Open Data Status
means that countries of the world have adopted some technologies to provide a
public data whether and how much of the available information.
Secondly, for the Open Data Satatus Examination, We carried out a vast amount of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And then, Depending on the research
findings, We selected 256 sites belonging to a total of 41 countries. Also, We
selected a total of 83 technologies through examine the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Trend.
Thirdly, We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total of 83
technologies for each of the 256 sites. also, proposed a statistical value for the
survey.
Fourth, We selected technologies should be focused more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echnology gap between South Korea and advanced countries.
Fifth, We established a development direction and a promote strategy.
8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7
Chapter 2 Outlook for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18
Section 1 Database Market Statu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echnique Growth....... 18
1. Gartner’s Hype Cycle for Big Data......................................................................................... 20
2. 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 ....................................................................................... 21
Section 2 Servey Technique Chosen through Database Technology Trend........................ 24
1. Technology Structure Chart – ALL....................................................................................... 26
2. Technology Structure Chart - View...................................................................................... 27
3. Technology Structure Chart - Data Service......................................................................... 28
4. Technology Structure Chart - Data Set................................................................................ 29
Chapter 3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 Service Status Survey...................................... 30
Section 1 Selection Criteria of Survey Sites and Selected Results....................................... 30
1. Selection Criteria and Selected Results................................................................................. 30
2. Basic Statistics of Selected Results....................................................................................... 35
3. Statistics of Selected Results................................................................................................. 36
Section 2 Information Provision Status Survey based Technology....................................... 42
1. Example of Research Findings on Technology ..................................................................... 42
2. Statistics of Information Provision based Technology ......................................................... 44
Section 3 Promising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Selec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ountries........................................................................................................... 64
1. Comparison by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 655
2. Comparison by Technology Sub Categorization.................................................................... 72
Section 4 Selection of Promis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ly ..........................................103
9
1. Promising Field Selection through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103
2. Promising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Analysis, Internationally............................... 109
Chapter 4 GAP Analysis and Target Technology Selection..................................................................110
Section 1 National Core Technology Selection – Qualitative(Selection Rate) ..................110
1. Comparison by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 111
2. Compatison by Technology Sub Categorization .................................................................. 113
3. National Core Technology Selection.................................................................................... 119
Section 2 National Core Technology Selection – Quantitative(BRM) .................................121
1. Comparison by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 122
2. Comparison by Technology Sub Categorization.................................................................. 124
Section 3 Target Technology Selection through GAP Analysis Results ............................131
1. Target Technology Selection ............................................................................................... 132
Section 4 Summary of Recent Trends in Database Technology ..........................................133
Section 5 Focus Technology Selection of South Korea .........................................................134
Chapter 5 Database Use Technique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pulsion Strategy ...........136
Section 1 Database Use Technique Development Direction Establishment.......................136
1. Data Service Adoption Rate.................................................................................................. 137
2. Database Use Technique Portion ......................................................................................... 138
3. Export and Advancement of Data Share.............................................................................. 139
Section 2 Propulsion Strategy .....................................................................................................141
Chapter 6 Conclusion ...........................................................................................................................143
Appendix(Surveyed Sites)...................................................................................................................144
10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7
제 2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전망.................................................................................................... 18
제 1 절 데이터베이스 시장 현황 및 기술 발전 검토.................................................................... 18
1. Gartner’s Hype Cycle for Big Data......................................................................................... 20
2. 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 ....................................................................................... 21
제 2 절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를 통한 조사 대상 기술 선정................................................ 24
1.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전체.................................................................................................. 26
2.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View................................................................................................. 27
3.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rvice .................................................................................. 28
4.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t.......................................................................................... 29
제 3 장 국내 외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현황 조사 ............................................................................... 30
제 1 절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30
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30
2. 조사 대상 사이트 기초 통계..................................................................................................... 35
3.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 ............................................................................................................. 36
제 2 절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 조사 .......................................................................................... 42
1. 조사항목에 대한 조사 결과 예시 .............................................................................................. 42
2.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 통계.................................................................................................. 44
제 3 절 국가간 비교 분석을 통한 유망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도출.............................................. 64
1. 기술대분류별 비교 .................................................................................................................... 65
2. 기술소분류별 비교 .................................................................................................................... 72
제 4 절 국제 유망 기술 선정.........................................................................................................103
1. 기술대분류 관점 유망 분야 도출 ............................................................................................ 103
11
2. 국제 유망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분석 ................................................................................ 109
제 4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GAP 분석 및 목표 기술 도출 .......................................................110
제 1 절 국가 핵심 기술 도출 – 정성적(채택율 차이 기반).......................................................110
1. 기술대분류 기준 비교 ............................................................................................................. 111
2. 기술소분류 기준 비교 ............................................................................................................. 113
3. 정성적(채택율 차이 기반) 국가 핵심 기술 도출 .................................................................... 119
제 2 절 국가 핵심 기술 도출 – 정량적(정부자원관리(BRM)기준) ..........................................121
1. 기술대분류 기준 비교 ............................................................................................................ 122
2. 기술소분류 기준 비교 ............................................................................................................. 124
제 3 절 GAP 분석 결과를 통한 목표 기술 도출.........................................................................131
1. 국제 유망 기술, 국가 핵심 기술 통합 기준 목표 기술 도출 .................................................. 132
제 4 절 최신 데이터베이스 기술 동향 요약.................................................................................133
제 5 절 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 도출 ..............................................................134
제 5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발전 방향 수립 및 추진 전략.......................................................136
제 1 절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발전 방향 수립........................................................................136
1. Data Service 채택율............................................................................................................... 137
2.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비중 ................................................................................................. 138
3. 데이터 공유 고도화 수준 ........................................................................................................ 139
제 2 절 추진 전략............................................................................................................................141
제 6 장 결 론...........................................................................................................................................143
부 록(조사 대상 사이트) ........................................................................................................................144
12
< 표 목차 >
표 2-1 기술 영역 및 개요 ......................................................................................................... 25
표 3-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결과.......................................................................................... 34
표 3-2 ODI에 따른 조사 대상 군집화........................................................................................ 36
표 3-3 BRM기준에 따른 분류 체계........................................................................................... 37
표 3-4 OECD기준에 따른 국가 수와 사이트 수 ........................................................................ 39
표 3-5 OECD회원국 및 비회원국 목록...................................................................................... 39
표 3-6 ODI기준 별 국가 수 및 사이트 수................................................................................. 40
표 3-7 ODI기준 별 국가 목록 ................................................................................................... 40
표 3-8 BRM기준 항목 별 국가 수 및 사이트 수....................................................................... 41
표 3-9 국가 별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45
표 3-10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정보 제공 건수....................................................................... 46
표 3-11 국가 별 채택 기술 수 및 기술 채택율 ........................................................................ 47
표 3-12 국가 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49
표 3-13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 50
표 3-14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 53
표 3-15 XML, REST, JSON 기술 간의 비교 ............................................................................ 54
표 3-16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 58
표 3-17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 62
표 3-18 채택 비율과 상대적 채택 비율 .................................................................................... 63
표 3-19 BRM 항목 별 정보 제공 건수 및 비중........................................................................ 64
표 3-20 기술대분류별 비교 ....................................................................................................... 66
표 3-21 ODI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67
표 3-22 정부자원관리(BRM) 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 68
표 3-23 OECD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 69
13
표 3-24 ODI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70
표 3-25 정부자원관리(BRM) 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 71
표 3-26 기술소분류 View관점, OECD기준 비교....................................................................... 74
표 3-27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ECD기준 비교 ........................................................... 75
표 3-28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ECD기준 비교 .................................................................. 77
표 3-29 기술소분류 View관점, ODI기준 비교 .......................................................................... 79
표 3-30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DI기준 비교............................................................... 80
표 3-31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DI기준 비교...................................................................... 82
표 3-32 기술소분류 View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 84
표 3-33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85
표 3-34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86
표 3-35 기술소분류 View관점, OECD기준 비교....................................................................... 89
표 3-36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ECD기준 비교 ........................................................... 90
표 3-37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ECD기준 비교 .................................................................. 92
표 3-38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DI기준 비교............................................................... 94
표 3-39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DI기준 비교............................................................... 95
표 3-40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DI기준 비교...................................................................... 97
표 3-41 기술소분류 View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 99
표 3-42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100
표 3-43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102
표 3-44 기술대분류 기준, 우선 순위 ......................................................................................103
표 3-45 기술소분류 View관점, 우선 순위 ..............................................................................105
표 3-46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우선 순위 ..................................................................106
표 3-47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우선 순위 .........................................................................107
표 4-1 기술소분류 기준, 한국 Vs OECD회원국......................................................................111
표 4-2 기술소분류 기준, 한국 Vs ODI상위권 .........................................................................112
14
표 4-3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114
표 4-4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116
표 4-5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DI상위권 .....................................................117
표 4-6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한국 Vs ODI상위권 ............................................................119
표 4-7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최종 순위.....................................................................120
표 4-8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최종 순위............................................................................121
표 4-9 기술대분류 기준, 한국 Vs OECD회원국......................................................................122
표 4-10 기술대분류 기준, 한국 Vs ODI상위권 .......................................................................123
표 4-11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간 우선 순위 ...........................125
표 4-12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간 우선 순위 ..................................126
표 4-13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DI상위권간 우선 순위...............................128
표 4-14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DI상위권간 우선 순위...............................129
표 4-15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최종 순위 ..................................................................130
표 4-16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최종 순위 .........................................................................131
표 4-17 DataService관점, 목표 기술 도출 .............................................................................132
표 4-18 DataSet관점, 목표 기술 도출 ....................................................................................133
표 4-19 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 도출...........................................................135
15
< 그림 목차 >
그림 2-1 데이터 표현 단위........................................................................................................ 18
그림 2-2 데이터 제공 형태........................................................................................................ 19
그림 2-3 Gartner’s Hype Cycle for Big Data........................................................................ 20
그림 2-4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전체.................................................................................. 26
그림 2-5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View................................................................................. 27
그림 2-6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rvice..................................................................... 28
그림 2-7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t............................................................................ 29
그림 3-1 E-government toolkit 문헌 조사.............................................................................. 31
그림 3-2 ODI(Open Data Index).............................................................................................. 32
그림 3-3 OData/Ecosystem...................................................................................................... 33
그림 3-4 조사 대상 사이트 기초 통계....................................................................................... 35
그림 3-5 BRM기준 항목 별 사이트 수 및 비율 ........................................................................ 41
그림 3-6 View관점 조사 결과 예시........................................................................................... 42
그림 3-7 DataService관점 조사 결과 예시............................................................................... 43
그림 3-8 DataSet관점 조사 결과 예시...................................................................................... 43
그림 3-9 국가 별 기술 채택 비율 ............................................................................................. 48
그림 3-10 전체 기준, 기술 별 정보 제공 건수 평균 비중 ........................................................ 51
그림 3-11 OECD회원국 기준, 기술 별 정보 제공 건수 평균 비중 ........................................... 52
그림 3-12 OECD비회원국 기준, 기술 별 정보 제공 건수 평균 비중........................................ 53
그림 3-13 기술 별 사이트 채택 비율........................................................................................ 55
그림 3-14 OECD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 채택 비율 ......................................................... 56
그림 3-15 OECD비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 채택 비율...................................................... 57
그림 3-16 전체 기준,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59
그림 3-17 OECD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60
16
그림 3-18 OECD비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61
그림 3-19 국제 유망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분석................................................................109
그림 4-1 최신 데이터베이스 기술 동향 요약 ..........................................................................134
그림 5-1 AS-IS/TO-BE 분석 ...............................................................................................136
그림 5-2 Road Map .................................................................................................................141
17
제 1 장 서 론
공공 부문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전 국민의 재산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공공 데이터 활용이 촉진되고 있다. 현재 공공 데이터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데, 2009년 오바마 정부는 Open Government Flagship
Initiatives에 따라 Data.gov를 통해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였고, 영국은‘정보공개법’
개정에 따라 Data.gov.uk를 신설하여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 총 78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공공 데이터 개방 현황은 Open
Knowledge Foundation Korea(http://okfn.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주된 관심을 받고 있는 공공 데이터의 개방은 다수의 장점을 보이는 것으로 인식되는데,
대표적으로 정부 정책 분석에 따른 정부 투명성 확보와 공공 데이터와 민간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신사업 창출 및 경제발전과 같은 효과들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세계적 트렌드에 맞추어 전 세계적인 공공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공공 데이터 현황은 세 가지 관점(View, DataService,
DataSet)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을 통해 조사되었고, View관점은 26개의
세부기술을, DataService관점은 총 10개의 세부기술을, DataSet관점은 총 47개의 세부
기술로 구성되었다.
공공 데이터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선진국간의 GAP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이 향후 집중해야할 기술을 선정하였다. GAP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선진국은 OECD회원국과 ODI상위권에 속한 국가로 정의되었다. 즉,‘한국 Vs
OECD회원국’,‘한국 Vs ODI상위권’간의 기술 채택 수와 정보 제공 건수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선진국간의 실질적인 기술 격차를 분석하였다(GAP분석).
공공 데이터 현황과 GAP분석 결과를 통해 한국이 집중해야 할‘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을 선정하였고, 향후 한국이 취해야 할 발전방향과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
제
Goo
much i
보다 빨
시대가
데이
데이터
강화되는
제
1 절 데
ogle의 Eric
information
빨라질 것이
올 것이라
이터의 증가와
간의 연결
는 추세를 방
제 2 장
이터베이
c Schmidt는
n as we d
라 주장하였
예측하였다
와 더불어
결 강도가 강
방증하는 몇
장 데이터
스 시장
는“Data is
did up to
였고, 이에
다.
그림 2-
데이터의 형
강화되는 추
몇 가지 데이
18
베이스
현황 및
s getting b
2003”이라
따른 데이
-1 데이터 표
형태 또한 변
추세를 보이
이터 제공 형
활용 기
기술 발
bigger : E
라는 언급을
터 규모 역
표현 단위
변화하고 있
이고 있다.
형태를 [그림
기술 전망
전 검토
Every 2 da
을 통해 데이
역시 제타(Z
있는데, 데이
데이터의
림 2-2]에
망
ays we cr
이터의 증가
ZETTA) 바
이터의 형태
연결 강도가
제시하였다
eate as
가 속도가
바이트의
는 점차
가 점점
다.
Tex
주소를
RSS
서비스로
있고, B
공유할
보통
키워드를
사용된다
RDF
기술이다
데이터의
추가
xt는 단순히
기술하여 상
S와 Blogs
로, 사용자는
Blog를 통해
수 있다.
통 Tagging
를 통해 해
다.
F는 데이터
다. 예를 들
의 의미와 관
가적으로, 제
히 정보를
상호 연결함
s의 경우
는 RSS를
해 타인의
은 정보에
당 정보를
터간의 관
들어, 날짜는
관계를 기술
제시된 6가지
그림 2-
담고 있는
함으로써 단
사용자가
통해 관심
Blog에 속
관련된 키
찾을 수 있
관계를 기술
는 단순한 텍
술함으로써
지 기술은 모
19
-2 데이터 제
형태이지만
단순한 Text
필요로 하
있는 정보
속한 임의
워드를 기술
있도록 지원
술함으로써
텍스트이지만
보다 정확하
모두 데이터
제공 형태
만 HyperT
t보다 데이터
하는 정보를
보의 최신 버
정보를 Pin
술하는 것으
원하는 기능
데이터의
만 RDF에서
하고 원활한
의 연결 강
Text는 Te
터의 연결성
를 보다 편
버전을 편리
ngback 기
으로 사용자
능이다. 주로
상호운용
의 날짜는
한 검색 능력
강도 향상과
ext에 다른
성이 강화되
편리하게 제
리하게 받아
능을 통해
자가 정보에
로 검색용 꼬
용성을 향상
그냥 날짜이
력을 지원한
관련이 깊
문서의
어있다.
제공하는
아 볼 수
손쉽게
부착된
꼬리표로
상시키는
이다. 즉,
한다.
다.
1.
가트
분석하였
가트
트렌드를
기술 중
하향 기
가트
Search
기술은
the
Service
Gartner’s
트너의 Hyp
였다.
트너의 Hype
를 한눈에
중 몇 가지
기술(Sliding
트너 곡선에
h-Based D
Informatio
Trough’기
e(dbSaaS)
s Hype Cy
pe Cycle
e Cycle은
파악할 수
주요 기술
g into the T
그림
서‘On th
Data Disc
on Semant
기술로 주
기술이다.
ycle for B
분석을 통
기술 변화
있는 장점
들을‘상승
Trough)’로
2-3 Gartne
he Rise’기
covery To
tic Service
주목할 만
20
Big Data
통해 빅 데
화의 양상을
점이 있다.
승 기술(On
로 분류하여
er’s Hype C
기술로 주목
ools 이고,
es와 Intern
만한 기술
이터 시장
단적으로 보
가트너의
the Rise)
여 조명하였
Cycle for Big
목할 만한
‘At the
net of Thi
은 Data
관점의 기
보여 주는
Hype Cyc
), 정점 기술
다.
g Data
기술은 Gr
Peak’기술
ngs이다. 또
base So
기술 발전
좋은 예시로
cle에 속한
술(At the
raph Datab
술로 주목할
또한,‘Slidi
oftware
추세를
로, 기술
다양한
Peak),
bases와
할 만한
ing into
as a
21
2. 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
Gartner’s Hype Cycle을 통한 기술 발전 추세와 더불어“SCALABILITY
EXPERTS”에서 발행한“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문헌 조사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사용되는 최신 트렌드 10가지를 소개하였다.
가. Data Warehouse Appliance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이나 사용자가 보유한 데이터 규모에 맞추어 구현되어 있는
시스템을 변경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변화하는 시스템 환경과
데이터 규모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병렬 처리(MPP :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대규모 병렬처리에 활용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병렬 데이터 저장소(Microsoft’s Parallel Data
Warehouse)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저장소는 수백 테라 바이트 규모의 저장소를
지원함과 동시에 데이터에 대한 즉각적인 활용성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저장소를 사용하여 적은 노력으로 탁월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는 대규모 병렬 처리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데이터 저장 방법에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규모 병렬 처리 데이터 저장소는 CPU부터 DISK까지
온라인 분석 처리(OLAP : Online Analytical Processing)에 최적화 되어 있고, 데이터
처리의 잠재적 병목 현상을 제거하는 기능이 강화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통적
시스템의 1/3정도의 비용으로 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
역시 탁월하다.
나. Database in the Cloud
기업들은 데이터 저장 공간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이는 요구되는
데이터의 규모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는 이를 간단히 해결하고 있다. 기업은 클라우드 환경의 저장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기업이 필요로하는 데이터의 규모를 단순한 추가/삭제(add or drop)
기능을 통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22
다. Data Governance
마이크로소프트사의 Excel과 같은 프로그램의 출현과 보급화에 따라 데이터 관리의
용이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툴을 활용한
데이터 통제 및 관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데이터
열람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사용한 사용자를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정한 사용자를 알 수 있다. 셋째, 데이터 통합이나 가공이 용이하다. 넷째,
데이터에 대한 가독성이 증대된다.
라. Predictive and In-Database Analytics
Predictive Analytics를 통해 기업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해 놓은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정보들 간의 특정 패턴과 같은 유의한 정보를 발견한다. 기업은 창출된 정보를
활용하여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거나 기업 시스템에 적용하는 등 해당 기업의 목적에
맞추어 발견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In-Database Analytics는 Database Analytics의 Capability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가 한 번에 많은 요청을 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즉, In-Database Analytics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영향을 가급적 덜 받으면서
주어진 임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업무 수행 능력과 관련된 기법이다.
마. Pervasive Insight
“Pervasive Insight”라는 용어는 데이터를 보다 가치 있고, 접근 용이하며
이용가능성을 높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며
기술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Microsoft Office”를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Tool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 및 활용 할 수 있다.
바. Data Integration
데이터의 통합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자원을 상호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된 데이터는 의사결정이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23
데이터 가독성을 제공한다. 향상된 데이터 가독성은 데이터의 구조, 형태, 의미 등의
유용한 정보를 데이터 분석가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데이터의 구조를 완벽히 이해한 데이터 분석가는 보다 우수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업은 기업이 보유한 정보를 전사적 차원에서 통합 및 관리할 필요성이 있고,
통합된 정보를 활용하여 기업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사. Master Data Management
“Master Data Management”는“Data Integration”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데이터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임의의 정보나 특정 시스템의 명칭 등의 정보 속성이
서로 다르다면 데이터 통합에 있어서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동일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에 대하여 전사적 차원의 공통된 용어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전사적 차원의 데이터의 일관성 및 균일성 보장, 매칭(Matching), 품질 보장, 수집
및 통합 등의 방법론이“Master Data Management”에 속한다.
아. Very Large Databases(Hadoop)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업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
및 통제 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다. 단적인 예를 들면, 백만건의 데이터에 대한
작업 수행 시간은 수 초에 불과하지만 십억건의 데이터 작업 수행 시간은 수 분을
초과한다. 이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빅데이터의 원활한 저장, 관리, 통제를 위해 하둡시스템이 각광 받고 있다. 하둡은
맵리듀스(MapReduce)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맵리듀스(MapReduce)는 하둡
클러스터(Hadoop Cluster)를 활용하여 페타바이트(Petabytes)의 데이터도 매우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24
자. Data Replication
“Data Replication”은 정보 공유 과정이다. 여기서 정보 공유란 원본과 복사본
간의 정보 공유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원본과 복사본은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를
갖는다.
중요한 정보에 대한 복제를 통해 생성된 복사본은 원본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원본과 동일하게 업데이트 된다. 이를 통해 원본과 복사본간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Data Replication은 주로 다수의 복사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확장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차.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은 지리적 위치 또는 특정 지역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 그리고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즉, 지도, 통계적
분석 기술,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공간
정보 분석, 지도 수정, 분석 결과 시각화 등을 제공한다.
제 2 절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를 통한 조사 대상 기술 선정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의 목적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진행할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 기술을 선정함에
있다.
조사 대상 기술을 선정하기 위해, 공공 데이터 공유 사이트, 인터넷 검색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을
분류하고 목록화 하였다.
조사를 통해 발굴된 총 83개 기술을‘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라 정의하며, 이
기술들의 활용 형태와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영역(View, Data Service, Data
Set)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25
표 2-1 기술 영역 및 개요
기술 영역 개요 세부 기술 조사 수(총 83 개 기술)
View Web Browser 를 통해서 접근 가능 26 개
Data Service Application 을 통해 접근 가능 10 개
Data Set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가능 47 개
세 가지 영역에 속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들을 각 기술이 갖는 성격에 따라 View,
Data Service, Data Set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 하였고, 각 영역에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세부 기술들의 개수는 View 영역 26개, Data Service 영역 10개, Data Set
47개로 총 83개 기술이 조사 대상으로 선정 되었다.
1.
조사
기술
가지 영
가지
기술들을
조사 대상
사 대상으로
술 구조도에
영역으로 군집
영역을‘기
을‘기술소분
상 기술 구조
선정된 83
는 83개의
집화되어 있
기술대분류’
분류’라 정
그림
조도 – 전체
3개 기술의
의 각 기술들
있다. 향후 연
라 정의하
정의하였다.
림 2-4 조사
26
체
구조도를
들이‘View
연구를 위해
하였고, 각
사 대상 기술
[그림 2-4
w’,‘Data
해 View, D
각각의‘기술
구조도 – 전
4]에 제시하
Service’
ata Servic
술대분류’에
전체
하였다.
,‘Data
ce, Data Se
에 속하는
Set’세
et 이 세
는 세부
2.
조사
제시하였
View
기술을
영역이다
View
Map, G
기술(C
Bubble
Gantt,
조사 대상
사 대상 기
였다.
w 영역 기
활용하는지
다.
w 영역에 포
Grid, Sca
olumn, Sta
e, TreeMap
Nolan, Per
상 기술 구조
술 구조도
그림
술은 특정
지를 조사하
포함된 세부
tter Plot)
acked Colu
p, Histogra
rt, Gauge,
조도 – Vie
에서 View
림 2-5 조사
데이터를
하기 위한 영
부 기술들은
구성되어
umn, Bar,
am, Open-
Smith)이 포
27
ew
w 영역의
사 대상 기술
효과적으로
영역으로, W
은 총 6가지
있다. 이
Stacked B
-high-low
포함되었다
기술에 대한
구조도 - V
로 사용자에
Web Brows
영역의 기술
때 Chart
Bar, Pie, D
w-close, C
다.
한 구조도를
View
게 제시/표
ser를 통해
술들로 (Ch
기술에는
onut, Line
andlestick
를 [그림
표현하기 위
접근 가능
hart, Text
총 21개의
e, Area, Ti
, Kagi, Sp
2-5]에
해 어떤
능한 기술
, Graph,
의 세부
imeline,
arkline,
3.
Data
어떤 기
기술 영
Data
이루어지
기술(R
세부 기
WFS(W
Data
조사 대상
a Service
기술을 활용
영역이다.
a Service
지는데(We
EST, SOA
기술(WMS(
Web Featur
a Service
상 기술 구조
영역 기술
용하는지를
e 영역에
b API, A
AP, SPARQ
(Web Map
re Service
영역은 총
그림 2
조도 - Da
술은 특정
조사하기 위
포함된
pplication,
QL Endpoin
p Service)
e), ArcGIS
10개의 세
-6 조사 대상
28
ata Servic
데이터를
위한 영역으
세부 기술
, E-Mail)
nt, GeoAPI
, Esri RE
Service)이
부 기술로
상 기술 구조
ce
효과적으로
으로, Appl
술들은 총
, Web AP
I)이 포함되
EST, WCS
이 포함되었
구성되었다
조도 – Data
로 사용자에
ication을
3가지
PI 기술에는
되었고, Geo
S(Web Cov
었다.
다.
Service
게 제공하기
통해 접근
영역의 기
는 총 4개의
API에는 총
verage Se
기 위해
가능한
기술들로
의 세부
총 5개의
ervice),
4.
Data
기술을
다운로드
형태로
Data
RSS, A
Spread
Json l
FGDB/
SWF,
기술(G
CDED
GeoRS
포함한다
조사 대상
a Set 영역
활용하는지
드 하는 것을
데이터를 다
a Service
Atom, RD
dheet), Ex
lines, x-
/GDB, ASC
gif, ti
ML(Geogr
ASCⅡ(C
S, SHP(S
다. 즉, Dat
상 기술 구조
역 기술은
지를 조사하
을 가능하게
다운로드 할
그림
영역에 포
F, OpenX
xcel, PGDB
sas, x-s
CⅡ, Octet
ff, CDR)
raphy Mar
anadian D
ShapeFile)
a Set 영역
조도 - Da
특정 데이터
하기 위한
게 하는 기술
할 수 있다.
2-7 조사 대
함된 세부
ml, OData
B, PDF, TX
pss, tar,
-Stream),
)을 포함
rkup Langu
Digital Ele
, lyr, N
은 총 47개
29
ata Set
터를 효과적
영역으로,
술 영역이다
대상 기술 구
기술들은 총
a, GData,
XT, HWP,
zip, HDF
, Image 기
함하고, GE
uage, MrS
evation Da
NetCDF, K
개의 세부 기
적으로 사용
사용자가
다. 즉, 사용
구조도 – Dat
총 29가지
Image, C
GEOGRA
F(Hierarch
기술은 총 6
EOGRAPH
SID, QGIS,
ata), GeoP
KML(Keyh
기술로 구성
용자에게 제
데이터를
용자는 Exce
ta Set
기술들로 이
CSV, ODS
APHIC, JSO
hical Data
6개의 세부
HIC은 총
GeoTIF,
PDF, SEG
ole Mark
되었다.
제공하기 위
파일 형태로
el, CSV 등
이루어지는데
(Open Do
ON, JSON
a Format,
부 기술(JPG
14개의
TIFF Wor
GY, ASCⅡ
kup Langu
해 어떤
로 직접
등과 같은
데(XML,
cument
P, JSP,
, DOC,
G, PNG,
세부
rld file,
Ⅱ Grid,
uage)를
30
제 3 장 국내 외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현황 조사
제 1 절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제 2 장 데이터베이스 기술 조사’에서 기술한 총 83개의 기술 제공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조사 대상 사이트를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선정 기준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사이트는 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와 문헌조사 그리고 관련
사이트 조사를 통해 선정되었다. 이 세 가지 조사 영역에 대한 공통적인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을 토대로‘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를 통해 총 30개의 공공 포털을
선정하였고,‘문헌조사’와‘관련 사이트 조사’를 통해 총 226개의 공공 포털을
선정하였다.
• 총 83개 기술 중 적어도 1개의 기술을 포함해야 한다.
• GDP per capita에 포함된 국가에 속하는 사이트여야 한다.
• 공공 포털의 성격을 지녀야 한다.
• 사이트 운영 주체가 정부이든 민간이든 상관하지 않는다. (정부, 민간 모두
포함한다.)
가. 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총 30개 사이트 선정)
자문위원의 추천과 주관 기관의 협의에 따라‘한국정보화진흥원(www.nia.or.kr)
자료실’에 존재하는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여 조사 대상 사이트를 선정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트 자료실의 3개 카테고리(이슈분석, 조사연구보고서,
동향자료)에 속한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여 조사 대상 사이트 기준에 부합하는 30개
사이트들을 선정하였다. (이슈분석 : 7개, 조사연구보고서 : 19개, 동향자료 : 4개)
선정
‘NIA_
나
유네
문헌을
선정
for Dev
1
http://w
materials/p
정된 총 3
_조사연구보
나. 문헌조사
네스코에서
조사하여 기
정된 20개 사
veloping C
www.unesco.org/n
publications/full-
30개 사이
보고서’,‘N
사(총 20개
제공하는“
기준에 적합
그림
사이트는 부
ountries’
new/en/commun
-list/e-governme
트는 부록
NIA_동향자
사이트 선정
“E - Gov
합한 20개 사
3-1 E-go
부록에 제시
로 기재하였
nication-and-info
ent-toolkit-for-de
31
록에 제시된
료’로 기재
정)
vernment
사이트를 선
overnment t
된 표의‘출
였다.
ormation/resour
eveloping-count
된 표의‘출
재하였다.
Toolkit fo
선정하였다.1
toolkit 문헌
출처’란에
rces/publications
ries
출처’란에
or Develo
1
조사
‘E - Gov
s-and-communic
‘NIA_이슈
ping Coun
vernment
cation-
슈분석’,
ntries”
Toolkit
다
인터
ODI
200개의
적합한
ODI
지표이다
각
선정하였
선정
기재하였
2
http://gl
다. 관련 사이
터넷 조사를
I(Open Da
의 사이트를
총 6개의
1) 전자 정
I는 Open
다.
국가에 해
였다.2
정된 총 2
였다.
lobal.census.okfn
이트 조사(
통해 총 2
ata Index)
를 선정하였
사이트를 선
정부 관련 사
Knowledg
해당하는 사
00개 사이
n.org/place/gb
206개 공공
206개의 조사
)를 기준으
고, OData/
선정하였다.
사이트 조사
ge Founda
그림 3-2 O
사이트를 조
이트는 부록
32
공 포털 선정
사 대상 사
으로 인터넷
/Ecosyste
(ODI : Ope
ation에서
ODI(Open D
조사하여 기
록에 제시된
정)
사이트를 선정
넷 조사를
m관련 인터
en Data Ind
국가 별
Data Index)
기준에 적합
된 표의‘출
정하였다.
수행하여 기
터넷 조사를
dex)
정보 개방
합한 총 2
출처’란에
기준에 적합
를 수행하여
정도를 평
200개의 사
‘인터넷 조
합한 총
기준에
평가하는
사이트를
조사’로
ODa
공통 규
ODa
선정하였
선정
기재하였
라
선정
제시하였
좌측
비율(2
개수로
3
http://w
2) OData/E
ata(Open
규약이다.
ata 홈페이
였다.3
정된 6개 사
였다.
라. 조사 대상
정된 사이트
였다. 총 41
측부터 미국
1*100/253
나눈 비율
www.odata.or
Ecosystem
Data Prot
지(Ecosys
사이트는 부
상 사이트
트들에 대한
1개국, 256
에 포함된
3)은 8.30%
(2*100/3)
rg
m
tocol)은 데
stem 포함)
부록에 제시
그림 3-
선정 결과
한 국가별,
개 사이트가
정부사이트
%이다. 또
은 66.67%
33
데이터 접근
)를 조사하
시된 표의
-3 OData/Ec
, 정부별,
가 선정되었
트 수는 21
또한, 민간사
%이다.
근 프로토콜
하여 기준에
‘출처’란에
cosystem
민간별
었고 자세한
1개이고, 이
사이트 수는
콜로 정의되
적합한 총
에‘OData/
조사 사이
사항은 [표
이를 정부사
는 2개이며
는 데이터
총 6개의 사
/Ecosystem
이트 수와
표 3-1]과
사이트 개수로
이를 민간
교환의
사이트를
m’으로
비율을
같다.
로 나눈
간사이트
34
표 3-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결과
국가
정부
사이트 수
비율
민간
사이트 수
비율
국가별 조사
사이트 수
비율
인도 21 8.30% 0 0 21 8.20%
미국 15 5.93% 2 66.67% 17 6.64%
대한민국 16 6.32% 1 33.33% 17 6.64%
영국 14 5.53% 0 0 14 5.47%
일본 11 4.35% 0 0 11 4.30%
오스트레일리아 11 4.35% 0 0 11 4.30%
캐나다 10 3.95% 0 0 10 3.91%
이탈리아 9 3.56% 0 0 9 3.52%
러시아 9 3.56% 0 0 9 3.52%
중국 8 3.16% 0 0 8 3.13%
네덜란드 8 3.16% 0 0 8 3.13%
포르투갈 7 2.77% 0 0 7 2.73%
싱가포르 7 2.77% 0 0 7 2.73%
스위스 7 2.77% 0 0 7 2.73%
브라질 7 2.77% 0 0 7 2.73%
독일 7 2.77% 0 0 7 2.73%
남아프리카공화국 7 2.77% 0 0 7 2.73%
폴란드 6 2.37% 0 0 6 2.34%
이스라엘 6 2.37% 0 0 6 2.34%
아일랜드 6 2.37% 0 0 6 2.34%
프랑스 5 1.98% 0 0 5 1.95%
인도네시아 5 1.98% 0 0 5 1.95%
오스트리아 5 1.98% 0 0 5 1.95%
스웨덴 5 1.98% 0 0 5 1.95%
덴마크 5 1.98% 0 0 5 1.95%
노르웨이 5 1.98% 0 0 5 1.95%
핀란드 4 1.58% 0 0 4 1.56%
나이지리아 4 1.58% 0 0 4 1.56%
홍콩 3 1.19% 0 0 3 1.17%
스페인 3 1.19% 0 0 3 1.17%
파키스탄 2 0.79% 0 0 2 0.78%
칠레 2 0.79% 0 0 2 0.78%
이집트 2 0.79% 0 0 2 0.78%
벨기에 2 0.79% 0 0 2 0.78%
멕시코 2 0.79% 0 0 2 0.78%
그리스 2 0.79% 0 0 2 0.78%
필리핀 1 0.40% 0 0 1 0.39%
타이완 1 0.40% 0 0 1 0.39%
콜롬비아 1 0.40% 0 0 1 0.39%
사우디아라비아 1 0.40% 0 0 1 0.39%
말레이시아 1 0.40% 0 0 1 0.39%
총 합 253 100.00% 3 100.00% 256 100.00%
‘국가별 조사 사이트 수’는 각 국가의‘정부사이트 수’와‘민간사이트 수’의
합을 전체 사이트 수의 총합인 256으로 나눈 값에 대한 백분율이다. 즉, 미국의 경우 총
17개의 사이트가 선정되었고, 이는 전체에서 6.64%의 비중을 차지한다.
2.
조사
선정
조사 대상
사 대상으로
정 결과 총 4
상 사이트 기
선정된 사
41개국의 2
그
기초 통계
이트에 대한
256개 사이
그림 3-4 조사
35
한 기초 통계
이트가 선정되
사 대상 사이
계를 제시하
되었고, 이를
이트 기초 통
하였다.
를 [그림 3
계
-4]에 제시시하였다.
36
3.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는 향후 진행될 조사 결과 분석과 GAP 분석을 위하여
OECD가입국과 미가입국, ODI(Open Data Index) 상, 중, 하 그룹, BRM(Business
Reference Model)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가. 세 가지 영역(OECD, ODI, BRM)에 대한 정의
1) OECD가입국과 미가입국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결과’를 바탕으로 총 41개국을 OECD가입국과
미가입국으로 분류하였다.
OECD에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가입되어 있으므로, OECD 가입 유/무를 활용하여
선진국과 후진국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선진국은 OECD가입국으로, 후진국은
OECD미가입국으로 정의하였다.
2) ODI(Open Data Index)
ODI는 전 세계의 국가별 정보 개방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현재 Open Knowledge
Foundation4
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ODI 지수는 정부가 얼마나 주요한 정보를 공개하는가를 의미하는데 이는 시민이
얼마나 합법적이고 기술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ODI
지수가 높다면 공공 데이터 수준이 높고, 지수가 낮다면 공공 데이터 수준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DI 지수에 따라 ODI를 세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하였다.
표 3-2 ODI에 따른 조사 대상 군집화
ODI 지수 >= 500 ODI 지수 >= 400 ODI 지수 < 400
ODI 상 14 개 국가 / 112 개 사이트
ODI 중 14 개 국가 / 109 개 사이트
ODI 하 13 개 국가 / 35 개 사이트
4
http://index.okfn.org
37
3) BRM(Business Reference Model)
조사된 사이트의 성격을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분류 기준이
요구되며, 이를 충족시키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류 기준은 문헌조사를 통해
발굴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한국전산원에서 발행한“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준
소개(2006)”의 BRM 모델을 분류기준으로 활용하였다.“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준 소개”에 따르면, BRM을“공공부문의 업무와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정의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준 소개”에 기술된 분류 체계는 아래 표로 제시하며,
표에 제시된‘정책분야’카테고리에 속한 총 20개 카테고리로, 조사된 총 256개의
사이트를 군집화하였다. 이 때‘정책영역’은 사이트의 성격을 분류할 때 참고자료로만
활용되며, 총 256개 사이트는‘정책분야’컬럼에 속한 20개 분야로 군집화되었다.
표 3-3 BRM기준에 따른 분류 체계
정책분야 정책영역
서비스 제공지원
법령, 입법
감사
홍보
위험관리
고충처리
국무조정
심사평가
일반행정
정부자원관리
기획 및 자원배분
인적자원관리
세입징수관리
조달과 물자관리
정보자원관리
공공질서
법무
검찰
사회안전(경찰)
범죄자 수감
교정
재난방재
재난방재
기상
38
국방
국방정책수립
국방정보관리
국방
군수획득
군사시설관리
국방정책평가
외교통일
외교정책
영사관리
외교안보연구
통상외교
통일정책
북한정보관리
국가안정보장
환경관리
환경정책
자연보전
대기보전
재정경제
경제정책
세제징수
금융정책
경제협력
특허정책
통계정책과 관리
상공업 발전
산업정책
중소기업정책
농림수산
농업정책
축산정책
산림정책
수산정책
정보통신
정보화
정보통신정책
우정사업
과학기술
과학기술정책수립
과학기술연구개발
에너지자원개발
에너지자원정책수립
자원개발
국토개발 SOC
국토개발정책
지역사회개발
건설정책
운송교통
육상교통정책
항공정책
해운항만정책
물류관리
교육
학교정책
교육재정지원
인적자원정책
문화관광
문화정책수립
문화재정책
관광진흥
복지
사회복지정책수립
국민연금정책수립
인원정책
보훈복지정책
39
보건(건강)
보건정책수립
건강증진정책수립
식품의약품정책수립
건강보험정책수립
노동
고용정책
산업안전관리
근로능력개발
노사협력지원
나. 영역별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
영역별(OECD기준, ODI기준, BRM기준)로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를 제시하였다.
OECD기준은 OECD회원국과 비회원국으로 나누어 기술되었고, ODI기준은 상, 중, 하로
분류하여 제시되었다. 또한 BRM기준은 BRM에 속한 정책분야에 따라 사이트 조사
결과를 기술하였다.
1) OECD 가입 여부 기준
OECD 가입 여부에 따른 사이트 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와 국가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표 3-4 OECD기준에 따른 국가 수와 사이트 수
전체 OECD 회원국 OECD 비회원국
조사 국가 수 41 25 16
조사 사이트 수 256 176 80
표 3-5 OECD회원국 및 비회원국의 목록
OECD 회원국(25 개국) OECD 비회원국(16 개국)
미국 아일랜드 독일 칠레 인도 콜롬비아
대한민국 프랑스 스위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영국 스웨덴 포르투갈 중국 필리핀
일본 노르웨이 폴란드 브라질 홍콩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캐나다 덴마크 멕시코 싱가포르 파키스탄
이탈리아 핀란드 벨기에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 스페인 그리스 나이지리아 타이완
40
2) ODI(Open Data Index) 기준
ODI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에 따른 사이트 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와 국가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표 3-6 ODI기준별 국가 수 및 사이트 수
전체 상위 (ODI >= 500) 중위 (ODI >= 400) 하위 (ODI < 400)
국가 수 41 14 14 13
사이트 수 256 112 109 35
표 3-7 ODI기준 별 국가 목록
ODI 등급 '상’(14 국가) ODI 등급 '중’(14 국가) ODI 등급 '하’(13 국가)
미국 스위스 인도 폴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
영국 프랑스 대한민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파키스탄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일본 아일랜드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노르웨이 러시아 인도네시아 홍콩 콜롬비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중국 스페인 벨기에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덴마크 브라질 멕시코 칠레 필리핀
독일 핀란드 포르투갈 타이완 이집트
3) BRM(Business Reference Model) 기준
BRM기준에 따른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를 제시하였다.
총 20가지 BRM 분야 중, 적합한 사이트가 조사되지 않은 4가지 분야(재난방재,
국방, 에너지자원개발, 노동)를 제외한 16가지 분야를 활용하여 조사된 사이트를 분류
하였다.
각 국가마다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되는 다수의 사이트를 지니므로, 총 16개 분야
마다‘국가 수’는 중복을 허용하여 제시하였고,‘사이트 수’는 BRM 각 분야에 속한
사이트 수를 기술하였다.
BRM기준에 따라 분류된 총 사이트 수는 256개이고, 총 개별 국가 수는 41개국이다.
재정경제
정부자원
서비스제
공공질서
국토개발
운송교통
환경관리
상공업발
교육
정보통신
문화관광
과학기술
농림수산
보건
복지
외교통일
BRM
총 16개
제
원관리
제공지원
서
발 SOC
통
리
발전
신
광
술
산
일
총 계
M 기준에 따
개 BRM 분
표 3-
계
따른 항목
야에 대한
그림 3
8 BRM기준
국
별 사이트
(BRM 카테
3-5 BRM기
41
항목 별 국가
국가 수(중복 허
조사 개수
테고리, 개수
준 항목 별
가 수 및 사이
허용)
30
30
22
19
19
16
17
9
7
4
1
1
2
2
1
1
181
및 비율을
수, 비율)로
사이트 수 및
이트 수
사
을 제시하였다
이루어져
및 비율
사이트 수
다. [그림
있다.
57
53
38
21
20
17
17
9
8
5
3
2
2
2
1
1
256
3-5]는
제
국내
선도국가
및 해당
41개국
언급한
1.
선정
조사 항
1개(htt
DataSe
가
View
정부 포
View
기재되어
의미한다
기술을
Chart/C
3건으로
2 절 기
내외 데이터
가와 국내와
당 기술 기반
, 총 256개
3가지 영역
조사항목
정된 각 사이
항목에 대한
tp://www.d
et관점으로
가. 조사 결과
w 영역의
포털의 정보제
w영역에 속
어 있는 레
다. 예를 들
채택하고
Column의
로 조사되었
술기반 정
베이스 서
와의 비교 분
반 정보 제공
개 사이트에
역에 속한 세
에 대한 조
이트가 제공
한 결과 예시
data.go.kr)
나누어 기술
과 예시 -
데이터베이
제공 현황을
속한 26가
코드는 정보
들어, 미국
고 있고,
수가 195건
다.
정보 제공
비스 현황을
분석을 위해
공 건수를 조
에 대하여 진
세부 기술에
조사 결과 예
하는 기술과
시는 미국 사
), 총 2개
술하였다.
View 관점
이스 기술 항
을 조사하였
그림 3-6 V
가지 기술항
보제공건수를
정부 포털
정보제공건
건 임에 비해
42
공 현황 조
을 조사하였
해 조사 대상
조사하였다.
진행되었고
에 따라 조사
예시
과 정보 제공
사이트 1개
사이트에
점
항목 항목
였다.
View관점 조사
항목에 대한
를 의미함과
털과 대한민
건수 측면에
해 대한민국
조사
였고, 세계적
상 사이트에
. 기술기반
‘제2장 데
사되었다.
공 건수에 대
개(http://ww
대하여 V
관점에서
사 결과 예시
한 정보제공
과 동시에 해
민국 정부
에서 미국
국 정부가 제
적 데이터베
에 대한 기술
정보제공현
이터베이스
대한 조사
ww.data.go
View관점,
미국 정부
시
공건수를
해당 기술을
포털은 모
국 정부
제공하는 Ch
베이스 기술
술 분류 활
현황 조사는
스 기술 조사
예시를 제시
ov)와 한국
DataServi
부 포털과 대
기술하며,
을 채택하고
모두 Chart/
포털이 제
hart/Cloum
술현황과
용 여부
는 선정된
사’에서
시하였다.
사이트
ice관점,
대한민국
숫자가
있음을
Column
제공하는
mn 수는
나
Data
민국 정
Data
숫자가
해당 기
View 관
다
Data
민국 정
대한 정
의미함과
의미에
나. 조사 대상
a Service
정부 포털의
a Service
기재되어
기술을 채택
관점과 동일
다. 조사 대상
a Set 영역
정부 포털의
정보제공건
과 동시에
대한 해석은
상 기술 구
영역의 데
서비스 현
그림
영역에 속한
있는 레코드
하고 있음을
일하다.
상 기술 구
역의 데이터
서비스 현
수를 기술
해당 기술
은 View 관
그
조도 – Dat
이터베이스
황을 조사하
림 3-7 DataS
한 10가지
드는 정보 제
을 의미한다
조도 – Dat
터베이스 기
현황을 조사하
술하며, 숫자
술을 채택하
관점과 동일
그림 3-8 Da
43
ta Service
스 기술 항목
하였다.
Service관점
기술 항목
제공 건수를
다. 더불어
ta Set 관점
기술 항목 항
하였다. Da
자가 기재
하고 있음을
하다.
ataSet관점 조
관점
목 항목 관점
조사 결과
목에 대한
를 의미함과
각 레코드가
점
항목 관점에
ata Set영역
되어 있는
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 예
점에서 미국
예시
정보 제공
동시에 해
가 갖는 의
에서 미국
역에 속한 4
는 레코드는
. 더불어 각
시
정부 포털
건수를 기
당 사이트(
의미에 대한
정부 포털
47가지 기술
는 정보제공
각 레코드가
과 대한
기술하며,
(국가)가
해석은
과 대한
술항목에
공건수를
가 갖는
44
2.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 통계
수집된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에 대한 통계를 제시하였다. 정보 제공 현황은 세
가지 영역(국가별 통계, 사이트별 통계, BRM별 통계)으로 나누어 기술되었다.
가. 국가별 통계
정보 제공 현황에 대한 국가 관점의 통계를 기술하였다.
1) 국가 별 총 정보 제공 건수
총 41개국에 대하여 각 국가마다‘국가별 정보 제공 건수’와‘국가별 사이트
수’를 기술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는 총 7개의 사이트가 포함되었고, 이들
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6,200만건으로 나타났다.
2) 국가별 데이터베이스 기술대분류 별 정보 제공 건수
총 41개국에 대하여 각 국가마다‘국가별 정보제공건수’(총합)과 기술 대분류별
정보제공건수를 기술하였다. 대한민국에 속한 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제공건수는 대략
6천 2백만건인데 이를 기술 대분류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면 View영역에 대략 3천 8백
5십만건, Data Service영역에 대략 190만건, Data Set영역에 대략 2천 2백만건 정도의
정보가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국가별 채택 기술 수 및 채택 비율
총 41개국에 대하여 각 국가들이 채택한 채택 기술 수와 이에 대한 비율(기술
채택율)을 기술하였다. 국가별 채택 기술 수는‘기술소분류’의 기준을 따르며, 총 83개
기술(View(26개), Data Service(10개), Data Set(47개))로 구성 되어있다.
미국을 예로 들면, 총 83개 세부 기술 중 미국은 47개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83개 기술 중 56.627%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45
표 3-9 국가 별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국가 국가별 정보제공건수 국가별 사이트 수
대한민국 62,269,138 7
브라질 53,598,468 17
러시아 7,292,653 2
그리스 6,491,742 9
프랑스 1,851,408 5
폴란드 1,801,997 6
캐나다 585,670 3
스페인 304,366 10
영국 229,025 2
독일 135,113 7
미국 108,985 14
오스트레일리아 107,176 5
이탈리아 88,147 9
노르웨이 56,443 11
멕시코 43,925 3
포르투갈 41,683 17
중국 41,185 7
이스라엘 31,361 5
인도 29,247 6
인도네시아 26,569 8
홍콩 22,406 4
싱가포르 20,025 2
일본 15,402 7
나이지리아 14,946 1
네덜란드 14,839 8
스위스 10,055 7
칠레 6,125 11
아일랜드 3,645 21
남아프리카공화국 3,337 1
오스트리아 3,224 1
핀란드 2,611 2
스웨덴 2,066 2
파키스탄 2,062 4
벨기에 2,002 5
타이완 1,979 6
덴마크 1,524 7
콜롬비아 1,219 2
말레이시아 1,200 5
이집트 850 5
필리핀 160 1
사우디아라비아 15 1
총 합 135,263,993.0 256
46
표 3-10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정보 제공 건수
View Data Service Data Set 총합
대한민국 38,546,887.0 1,915,245.0 21,807,006.0 62,269,138.0
브라질 17,869,194.0 17,859,123.0 17,870,151.0 53,598,468.0
러시아 3,774,167.0 5,547.0 3,512,939.0 7,292,653.0
그리스 0.0 1.0 6,491,741.0 6,491,742.0
프랑스 31,976.0 6,074.0 1,813,358.0 1,851,408.0
폴란드 53.0 0.0 1,801,944.0 1,801,997.0
캐나다 883.0 210,335.0 374,452.0 585,670.0
스페인 162,223.0 452.0 141,691.0 304,366.0
영국 3,203.0 549.0 225,273.0 229,025.0
독일 36,288.0 11,994.0 86,831.0 135,113.0
미국 11,661.0 12,867.0 84,457.0 108,985.0
오스트레일리아 24,661.0 560.0 81,955.0 107,176.0
이탈리아 62,081.0 4,537.0 21,529.0 88,147.0
노르웨이 34,822.0 159.0 21,462.0 56,443.0
멕시코 21,299.0 0.0 22,626.0 43,925.0
포르투갈 9,496.0 21.0 32,166.0 41,683.0
중국 22,856.0 16.0 18,313.0 41,185.0
이스라엘 4,585.0 0.0 26,776.0 31,361.0
인도 3,272.0 47.0 25,928.0 29,247.0
인도네시아 751.0 0.0 25,818.0 26,569.0
홍콩 653.0 0.0 21,753.0 22,406.0
싱가포르 1,048.0 0.0 18,977.0 20,025.0
일본 4,952.0 34.0 10,416.0 15,402.0
나이지리아 7,736.0 0.0 7,210.0 14,946.0
네덜란드 3,014.0 1,535.0 10,290.0 14,839.0
스위스 280.0 102.0 9,673.0 10,055.0
칠레 275.0 76.0 5,774.0 6,125.0
아일랜드 688.0 1.0 2,956.0 3,645.0
남아프리카공화국 516.0 311.0 2,510.0 3,337.0
오스트리아 9.0 509.0 2,706.0 3,224.0
핀란드 0.0 71.0 2,540.0 2,611.0
스웨덴 8.0 28.0 2,030.0 2,066.0
파키스탄 57.0 0.0 2,005.0 2,062.0
벨기에 1,876.0 11.0 115.0 2,002.0
타이완 0.0 0.0 1,979.0 1,979.0
덴마크 664.0 0.0 860.0 1,524.0
콜롬비아 0.0 85.0 1,134.0 1,219.0
말레이시아 18.0 7.0 1,175.0 1,200.0
이집트 0.0 0.0 850.0 850.0
필리핀 13.0 9.0 138.0 160.0
사우디아라비아 0.0 0.0 15.0 15.0
47
표 3-11 국가 별 채택 기술 수 및 기술 채택율
국가 채택 기술 수 기술 채택율
미국 47 56.627%
캐나다 39 46.988%
네덜란드 31 37.349%
스페인 30 36.145%
대한민국 29 34.940%
독일 28 33.735%
영국 28 33.735%
이탈리아 27 32.530%
일본 27 32.530%
스웨덴 25 30.120%
오스트레일리아 25 30.120%
프랑스 25 30.120%
러시아 24 28.916%
브라질 24 28.916%
스위스 22 26.506%
인도 20 24.096%
칠레 20 24.096%
남아프리카공화국 19 22.892%
오스트리아 17 20.482%
노르웨이 16 19.277%
싱가포르 16 19.277%
덴마크 15 18.072%
벨기에 15 18.072%
중국 15 18.072%
핀란드 14 16.867%
멕시코 13 15.663%
포르투갈 11 13.253%
폴란드 11 13.253%
나이지리아 9 10.843%
아일랜드 9 10.843%
이스라엘 9 10.843%
말레이시아 8 9.639%
필리핀 7 8.434%
홍콩 6 7.229%
그리스 5 6.024%
인도네시아 5 6.024%
타이완 4 4.819%
파키스탄 4 4.819%
콜롬비아 3 3.614%
이집트 2 2.410%
사우디아라비아 1 1.205%
국가
나
사이
의미한다
보다 명
국가
정보 제
사이트
3백 7십
것으로
가별 채택 기
나. 사이트별
이트 별 통
다. 사이트
명확하게 기술
1) 국가별
가별 사이트
제공 건수의
수)는 총
십만건이다.
나타났다.
기술 수 및
별 통계
통계는 총 4
별 통계를
술하였다.
사이트 당
당 평균
평균을 의
17개이고,
. 즉, 한국
채택 비율에
그림 3-9
41개국의
를 통해 각
평균 정보
정보 제공
의미한다. 예
이 17개
에 속한 사
48
에 대한 차트
국가 별 기술
256개 사이
국가에 속
제공 건수
건수는 각
예를 들어,
사이트가
사이트들은
트를 [그림
술 채택 비율
이트를 고려
속한 사이트
각 국가에 속
대한민국에
제공하는 평
평균 3백
3-9]에 제시
려한 보다
트들이 제공
속한 모든 사
속한 사이
평균 정보
7십만건의
시하였다.
세부적인
공하는 기술
사이트가 제
이트의 개수
제공 건수
정보를 제
통계를
통계를
제공하는
수(국가별
는 대략
제공하는
49
표 3-12 국가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국가 국가별 평균 정보제공건수 국가별 사이트 수
브라질 7,656,924.0 7
대한민국 3,662,890.5 17
그리스 3,245,871.0 2
러시아 810,294.8 9
프랑스 370,281.6 5
폴란드 300,332.8 6
스페인 101,455.3 3
캐나다 58,567.0 10
멕시코 21,962.5 2
독일 19,301.9 7
영국 16,358.9 14
노르웨이 11,288.6 5
이탈리아 9,794.1 9
오스트레일리아 9,743.3 11
홍콩 7,468.7 3
미국 6,410.9 17
포르투갈 5,954.7 7
인도네시아 5,313.8 5
이스라엘 5,226.8 6
중국 5,148.1 8
나이지리아 3,736.5 4
칠레 3,062.5 2
싱가포르 2,860.7 7
타이완 1,979.0 1
네덜란드 1,854.9 8
스위스 1,436.4 7
일본 1,400.2 11
인도 1,392.7 21
콜롬비아 1,219.0 1
말레이시아 1,200.0 1
파키스탄 1,031.0 2
벨기에 1,001.0 2
핀란드 652.8 4
오스트리아 644.8 5
아일랜드 607.5 6
남아프리카공화국 476.7 7
이집트 425.0 2
스웨덴 413.2 5
덴마크 304.8 5
필리핀 160.0 1
사우디아라비아 15.0 1
2) 국가별 데이터베이스 기술대분류 별 사이트 당 평균 정보 제공 건수
각 국가에 속한 모든 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 제공 건수의 기술대분류 별 평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 속한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3백 70만건이다. 이 수치를 기술대분류 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50
대한민국의 경우 총 17개의 사이트들이 View 영역에서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230만건 정도이고, Data Service 영역에서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11만건 정도이며, Data Set 영역에서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130만건으로 나타났다.
표 3-13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국가 View Data Service Data Set
브라질 2,552,742.0 2,551,303.3 2,552,878.7
대한민국 2,267,463.9 112,661.5 1,282,765.1
그리스 0.0 0.5 3,245,870.5
러시아 419,351.9 616.3 390,326.6
프랑스 6,395.2 1,214.8 362,671.6
폴란드 8.8 0.0 300,324.0
스페인 54,074.3 150.7 47,230.3
캐나다 88.3 21,033.5 37,445.2
멕시코 10,649.5 0.0 11,313.0
독일 5,184.0 1,713.4 12,404.4
영국 228.8 39.2 16,090.9
노르웨이 6,964.4 31.8 4,292.4
이탈리아 6,897.9 504.1 2,392.1
오스트레일리아 2,241.9 50.9 7,450.5
홍콩 217.7 0.0 7,251.0
미국 685.9 756.9 4,968.1
포르투갈 1,356.6 3.0 4,595.1
인도네시아 150.2 0.0 5,163.6
이스라엘 764.2 0.0 4,462.7
중국 2,857.0 2.0 2,289.1
나이지리아 1,934.0 0.0 1,802.5
칠레 137.5 38.0 2,887.0
싱가포르 149.7 0.0 2,711.0
타이완 0.0 0.0 1,979.0
네덜란드 376.8 191.9 1,286.3
스위스 40.0 14.6 1,381.9
일본 450.2 3.1 946.9
인도 155.8 2.2 1,234.7
콜롬비아 0.0 85.0 1,134.0
말레이시아 18.0 7.0 1,175.0
파키스탄 28.5 0.0 1,002.5
벨기에 938.0 5.5 57.5
핀란드 0.0 17.8 635.0
오스트리아 1.8 101.8 541.2
아일랜드 114.7 0.2 492.7
남아프리카공화국 73.7 44.4 358.6
이집트 0.0 0.0 425.0
스웨덴 1.6 5.6 406.0
덴마크 132.8 0.0 172.0
필리핀 13.0 9.0 138.0
사우디아라비아 0.0 0.0 15.0
사이
‘OECD
분석하여
차이점을
기술
건수를
구하여
[그림
기술이
해석된다
사이
Text >
3) 사이트의
이트의 기술
D비회원국
여 세 가지
을 기술하였
가) 전체
술 별 정보
해당 사이
계산하였다
림 3-10]을
총 256개
다.
이트 당 가장
> Excel > G
의 기술 별
별 정보 제
기준’으로
기준에 따
였다.
기준, 사이트
제공 건수
트의 전체
다.
을 보면 P
개 사이트를
장 많은 비율
Grid > Map
그림 3-10
정보 제공
제공 건수 평
로 나누어
른 사이트의
트 기술 별
수 평균 비
정보 제공
DF가 33.8
를 고려했을
율을 차지하
의 순서로
0 전체 기준,
51
건수 평균
평균 비중을
제시한 뒤
의 기술 별
정보 제공
비중은, 사이
건수로 나
870%로 가
때, 평균
하는 기술의
나타났다.
기술 별 정
비중
을‘전체 기
뒤, 세 가지
정보 제공
공 건수 평균
이트에서의
나눈 값을 전
가장 많은 비
33.870%
Top 5는
보 제공 건수
기준’,‘OE
지 기준에 따
건수 평균
균 비중
해당 기술
전체 사이트
비율을 보였
의 비율을
비율이 큰
수 평균 비중
ECD회원국
따른 비교
비중 간의
술 기반 정보
트에 대해 평
였는데, 이는
보인다는
큰 순서대로
중
기준’,
결과를
유의한
보 제공
평균치를
는 PDF
의미로
PDF >
사이
포함될
11]을
OECD회
보인다는
사이
Text >
사이
포함될
12]를
OECD비
보인다는
나) OECD
그림
이트의 기술
사이트의
보면 PDF
회원국에 속
는 의미로 해
이트 당 가장
> Excel > M
다) OECD
이트의 기술
사이트의
보면 PDF
비회원국에
는 의미로 해
D회원국 기
림 3-11 OE
별 정보 제
수를 OEC
F가 30.79
속한 총 1
해석된다.
장 많은 비율
Map > CSV
D비회원국 기
별 정보 제
수를 OEC
F가 40.63
속한 총
해석된다.
준, 사이트
CD회원국 기
제공 건수 평
CD회원국에
96%로 가
76개의 사
율을 차지하
V의 순서로
기준, 사이트
제공 건수 평
CD비회원국
34%로 가
80개의 사
52
기술 별 정
기준, 기술 별
평균 비중(전
에 속한 국
가장 많은
사이트를 고
하는 기술의
나타났다.
트 기술 별
평균 비중(전
국에 속한
가장 많은
사이트를 고
정보 제공 건
별 정보 제공
전체)와 계산
가 사이트들
비율을 보
고려했을 때
Top 5는
정보 제공
전체)와 계산
국가 사이트
비율을 보
고려했을 때
건수 평균
건수 평균 비
산 방법은 동
들로 제한하
보였는데, 이
때, 평균 30
비율이 큰
건수 평균
산 방법은 동
트들로 제한
보였는데, 이
때, 평균 40
비중(OECD
비중
동일하지만
하였다. [그
이는 PDF
0.796%의
큰 순서대로
균 비중
동일하지만
한한다. [그
이는 PDF
0.634%의
D회원국)
만 계산에
그림 3-
기술이
비율을
PDF >
만 계산에
그림 3-
기술이
비율을
사이
Text >
‘전
사이트
별 정보
상호 비
어떤 차
순위
OEC
OECD
세 가
가지 비
이트 당 가장
> Grid > Ex
그림
라) 전체
전체 기준,
기술 별 정
보 제공 건수
비교 분석을
차이를 보이는
위 Top 5
전체
CD 회원국
D 비회원국
가지 기준에
비교 모두 P
장 많은 비율
xcel > CSV
3-12 OEC
기준, OECD
사이트 기술
정보 제공 건
수 평균 비
을 통해‘사
는지를 제시
표 3-14
1
PDF(33.870
PDF(30.796
PDF(40.634
에 따른 비교
PDF와 Tex
율을 차지하
V의 순서로
CD비회원국
D회원국 기
술 별 정보
건수 평균
비중’을 비
이트 기술
시하였다.
전체, OECD
0%) Text(1
6%) Text(1
4%) Text(1
교에서 가장
xt 기술이 가
53
하는 기술의
나타났다.
기준, 기술 별
기준, OECD
보 제공 건수
비중’그리
교하여 이
별 정보
D회원국, OEC
2
2.652%) Ex
0.998%) Ex
6.290%) Gr
장 큰 비중을
가장 많은 비
Top 5는
별 정보 제공
비회원국 기
수 평균 비
리고‘OECD
들 세 가지
제공 건수
CD비회원국
3
xcel(9.598%)
cel(10.974%)
rid(10.587%)
을 차지하는
비중을 차지
비율이 큰
공 건수 평균
기준 간의 비
비중’과‘O
D비회원국
지 기준에
평균 비중
간의 비교
4
Grid(7.081
Map(6.328
Excel(6.572
는 기술 Top
지하고 있음을
큰 순서대로
비중
비교
OECD회원국
기준, 사이
대한 비교
중’이 기준
1%) Map(5
8%) CSV(5
2%) CSV(4
p 5를 살펴
을 알 수 있
PDF >
국 기준,
트 기술
들 간의
에 따라
5
5.529%)
5.598%)
4.487%)
보면 세
있다.
54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OECD회원국에는 Map기술이
포함되어 있고, OECD비회원국에는 Grid 기술이 포함 되어 있다. 또한, Excel 기술은
순위의 차이는 있지만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명 옆의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PDF 기술의 경우‘전체 기준’,‘OECD회원국 기준’,‘OECD비회원국
기준’에서 각각 33.870%, 30.796%, 40.634%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회원국이든 OECD비회원국이든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2가지 기술은 PDF와
Text로 모두 동일했지만 비중을 고려했을때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PDF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긴 하지만 OECD회원국의 PDF
기술 비중이 상대적으로 OECD비회원국의 PDF기술 비중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OECD회원국의 Text기술 비중 역시 OECD비회원국의 Text기술 비중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OECD회원국의 Excel 기술에 대한 비율은 OECD비회원국의
Excel 기술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CSV 기술의 경우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비회원국의 상위 5가지 기술 중 PDF, Text 기술의 비중을 합한 값은
56.924%으로 나타났고, 이들 기술에 대한 OECD비회원국의 비중의 합은 41.794%로
나타났다. 이는 OECD비회원국들이 OECD회원국보다 PDF, Text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OECD비회원국들의‘기술 별 정보 제공 평균 비중’은
총 83개 기술 중 2개 기술이 무려‘약 57%’를 차지하므로, 다른 기술들 보다 이 두
기술에 너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5 XML, REST, JSON 기술 간의 비교
기술명 XML REST JSON
전체 2.722 1.918 기타
OECD 회원국 3.320 2.374 1.144
OECD 비회원국 1.406 기타 기타
XML과 REST 그리고 JSON 기술만 별도로 추출하여 비교하면 XML기술의
OECD회원국 비중은 3.320%로 OECD비회원국 1.406%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OECD회원국에서 차지하는 REST와 JSON 기술의 비중은 각각 2.374%, 1.144%로
나타났지
OECD비
있다.
기술
‘OECD
분석하여
기술하였
전체
수)로
있는 지
총 2
Grid >
보였고,
Map, G
지만 OEC
비회원국에서
4) 기술 별
술 별 사
D비회원국
여 세 가지
였다.
가) 전체
체 기준, 기술
얻어진다.
지를 나타내는
256개 사이
> CSV’의
약 45%를
Grid, CSV 기
CD비회원국
서 REST와
별 사이트에서
사이트에서의
기준’으로
기준에 따
기준, 기술
술 별 사이트
즉, 각각의
는 비율이다
이트들이 가
순으로 나
를 보인 Ex
기술은 약
그
국에서는 비
와 JSON 기
서의 채택 비
의 채택
로 나누어
따른 기술 별
별 사이트
트에서의 채
기술이 전
다.
가장 많이 채
나타났다. 이
xcel 기술이
30%의 비율
그림 3-13 기
55
비중이 너무
기술이 차지
비율
비율을‘전
제시한 뒤
별 사이트에
에서의 채택
채택 비율은
전체 256개
채택한 기술
이 중, PDF
이 2위로 나
율을 차지하
기술 별 사이
무 작아
지하는 비중
전체 기준
뒤, 세 가지
에서의 채택
택 비율
은(채택 사이
개 사이트들
의 Top 5는
F 기술이
나타났다. 순
하는 것으로
이트 채택 비율
기타로 분
중은 매우
준’,‘OECD
지 기준에 따
비율 간의
이트 수 * 1
들에 의해서
는‘PDF >
약 67%로
순서대로 3,
나타났다.
율
분류 되었다
미비하다고
D회원국
따른 비교
의 유의한 차
100 / 전체
얼마나 채
> Excel >
로 압도적인
, 4, 5위를
다. 즉,
고 할 수
기준’,
결과를
차이점을
사이트
채택되고
Map >
우위를
차지한
OEC
OECD회
OECD회
OEC
> Map
우위를
차지한
OEC
OECD비
OECD비
비율이다
나) OECD
CD회원국
회원국 사
회원국에 속
CD회원국에
> CSV >
보였고, 약
Map, CSV
다) OECD
CD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에
다.
D회원국 기준
기준, 기술
사이트 수(
속한 사이트들
에 속한 사이
> ZIP’의
약 50%를
V, ZIP 기술
그림 3-14
D비회원국 기
국 기준, 기
사이트 수
속한 사
준, 기술 별
술 별 사이트
(176개 사
들에 의해서
이트들이 가
순으로 나
보인 MAP
술은 약 35%
4 OECD회원
기준, 기술
술 별 사이
수(80개 사
이트들에
56
별 사이트에서
트에서의 채
사이트))로
서 얼마나 채
가장 많이 채
나타났다. 이
P 기술이 2
%의 비율을
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
이트에서의
사이트))로
의해서 얼
서의 채택
채택 비율은
얻어 진
채택되고 있
채택한 기술의
중, PDF
2위로 나타
차지하는
술 별 사이트
에서의 채택
채택 비율은
얻어 진
얼마나 채택
비율
은(채택 사이
진다. 즉,
있는 지를 나
의 Top 5는
기술이 약
났다. 순서
것으로 나타
트 채택 비율
택 비율
은(채택 사
진다. 즉,
택되고 있는
이트 수 *
각각의
나타내는 비
는 ‘PDF >
약 68%로 압
대로 3, 4
타났다.
사이트 수 *
각각의
는 지를 나
100 /
기술이
율이다.
> Excel
압도적인
, 5위를
100 /
기술이
나타내는
OEC
> Exce
우위를
나타났다
비율을
‘전
사이트에
비율’을
‘기술
제시한다
세 가
가지 비
OEC
ZIP기술
또한, 순
CD비회원국
el > Map >
보였고, 약
다. 순서대로
차지하는 것
라) 전체
전체 기준,
에서의 채택
을 비교하여
별 사이트
다.
가지 기준에
비교 모두 P
CD회원국과
술이 포함되
순위의 차이
그림 3-15
국에 속한 사
> Text’의
약 38%를
로 4, 5위
것으로 나타
기준, OECD
기술 별 사
택 비율’그
여 이들 세
트에서의 채
에 따른 비교
PDF기술이
과 OECD비
되어 있고, O
이는 있지만
OECD비회원
사이트들이
의 순으로 나
보인 Grid기
를 차지한
타났다.
D회원국 기
사이트에서
그리고‘OE
세 가지 기준
택 비율’이
교에서 가장
가장 많은
회원국간의
OECD비회원
만 PDF기술
57
원국 기준, 기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기술이 2위
Map과 T
기준, 비OEC
의 채택 비
ECD비회원국
준에 대한
이 기준에
장 큰 비율을
채택 비율을
의 차이를 살
원국에는 G
술과 Excel
기술 별 사이트
채택한 기술
이 중, PDF
위, 약 35%
Text 기술은
CD회원국 기
비율’과‘O
국 기준, 기
비교들 간
따라 어떤
을 차지하는
을 보이는 것
살펴보면 O
Grid기술과
기술이 OE
트 채택 비율
술의 Top
F 기술이 약
를 보인 E
은 각각 2
기준 간의 비
OECD회원국
기술 별 사
간의 상호
떤 유의한 차
는 기술 Top
것을 알 수
OECD회원국
Text기술이
ECD회원국과
율
5는‘PDF
약 64%로 압
Excel기술이
2%, 21%
비교
국 기준, 기
사이트에서의
비교 분석을
차이를 보이
p 5를 살펴
수 있다.
국에는 CSV
이 포함되어
과 OECD비
> Grid
압도적인
이 3위로
정도의
기술 별
의 채택
을 통해
이는지를
보면 세
V기술과
어 있다.
비회원국
58
모두에서 높은 채택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기준에 따른 비교 모두 PDF와 Excel이 높은 채택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6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순위 Top 5 1 2 3 4 5
전체 PDF(67%) Excel(45%) Map(31%) Grid(31%) CSV(30%)
OECD 회원국 PDF(68%) Excel(50%) Map(35%) CSV(35%) ZIP(34%)
OECD 비회원국 PDF(64%) Grid(38%) Excel(35%) Map(22%) Text(21%)
기술명 옆의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기술이 차지하는 채택 비율을 나타내며 가장 많은
채택 비율을 차지한 PDF의 경우‘전체 기준’,‘OECD회원국 기준’,‘OECD비회원국
기준’에서 각각 약 67%, 68%, 64%의 채택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회원국에서 채택 비율이 가장 높은 상위 2가지 기술은 PDF와 Excel이고,
OECD비회원국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2가지 기술은 PDF와 Grid이다. 하지만,
OECD비회원국의 Top 3는 Excel 기술을 포함하며 상위 2위에 랭크된 Grid 기술과의
채택 비율 격차는 불과 3%이다. 이는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PDF기술과
Excel기술의 채택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PDF기술이 가장 높은 순위에 랭크되었는데,
OECD회원국의 PDF 기술 채택 비율이 상대적으로 OECD비회원국의 PDF 기술 채택
비율보다 높다. 또한, OECD회원국의 Text 기술 비중은 앞서 제시한 차트를 보면, 9위에
랭크되어있으며 약 19%정도의 채택 비율을 보인다. 이는 OECD비회원국의 Text 기술
채택 비율이 OECD회원국의 채택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세 가지 기준에서 모두 PDF 기술의 채택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을‘전체 기준’,‘OECD회원국 기준’,
‘OECD비회원국 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한 뒤, 세 가지 기준에 따른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차이점을
전체
대한 비
예를 들
1/80의
선택된
기술 별
총 2
Grid’의
13.202
Map, G
여 세 가지
을 기술하였
가) 전체
체 기준, 기술
비율값(해당
들어 A라는
값이 할당
각 기술들
별 전체 평균
그
256개 사이
의 순으로
2%를 보인
Grid 기술은
지 기준에 따
였다.
기준, 기술
술 별 사이
당 기술 채택
사이트가
당된다. 마
은 모두 1/
균(총 256개
그림 3-16 전
이트들의 상대
나타났다.
Text 기술
은 각각 8
따른 기술
별 사이트
트에서의 상
택 건수 /
총 80개의
찬가지로
/50의 값을
개 사이트)을
전체 기준, 기
대적 채택
이 중, PD
술이 2위로
8.381%, 7
59
별 사이트
에서의 상대
상대적 채택
전체 기술
의 기술을 선
B라는 사이
을 갖는다. 이
을 구하였다
기술 별 사이트
비율의 To
DF 기술이
나타났다.
7.030%, 6
에서의 상대
대적 채택 비
택 비율은,
채택 건수
선택했다면
이트가 총
이렇게 얻어
다.
트에서의 상대
p 5는 ‘PD
22.837%
순서대로
.074%의
대적 채택
비율
각 사이트
수)들에 대한
선택된 각
50개의 기
진 각 기술
대적 채택 비
DF > Text
로 압도적인
3, 4, 5위
상대적 채택
비율 간의
당 채택한
한 전체 평
각 기술들에
기술을 선택
술의 값을 활
비율
t > Excel >
인 우위를
위를 차지한
택 비율을
유의한
기술에
평균이다.
는 모두
택했다면
활용하여
> Map >
보였고,
Excel,
보이는
것으로
50%를
OEC
사이트에
사이트를
제한하였
총 1
ZIP’의
보였고,
Excel,
것으로
나타났다.
상회하는
나) OECD
CD회원국
에서의 상대
를 전체
였다.
그림 3
176개 사이
의 순으로
11.357%
Map, ZIP
나타났다.
또한 PDF
것으로 나타
D회원국 기준
기준, 기술
대적 채택
256개 사
3-17 OECD
이트들의 상대
나타났다.
%를 보인 T
기술은 각
, Text, Ex
타났다.
준, 기술 별
별 사이트
비율과 동일
이트가 아
D회원국 기준
대적 채택
이 중, PD
Text 기술이
각 8.633%
60
xcel, Map,
별 사이트에서
트에서의 상
일한 방법으
아닌 OECD
준, 기술 별 사
비율의 To
DF 기술이
이 2위로 나
%, 7.962%,
Grid 기술
서의 상대적
상대적 채택
으로 얻어 진
D회원국에
사이트에서의
p 5는 ‘PD
19.953%
나타났다. 순
, 5.291%의
술 형식의 상
적 채택 비율
비율은, 전
진다. 하지만
속한 총
상대적 채택
DF > Text
%로 가장
순서대로 3,
의 상대적 채
상대적 채택
율
전체 기준
만, 계산시
176개 사
택 비율
t > Excel >
많은 채택
, 4, 5위를
채택 비율을
비중이
기술 별
고려된
사이트로
> Map >
비율을
차지한
을 보이는
PDF
것으로
OEC
사이트에
사이트를
제한하였
총 8
DOC’
보였고,
Grid, E
보이는
F, Text, E
나타났다.
다) OECD
CD비회원국
에서의 상대
를 전체 2
였다.
그림 3
80개 사이트
의 순으로
17.262%
Excel, DO
것으로 나타
Excel, Ma
D비회원국 기
국 기준, 기술
대적 채택 비
256개 사이
-18 OECD비
트들의 상대
나타났다.
%를 보인 T
OC 기술은
타났다.
p, ZIP 기
기준, 기술
술 별 사이
비율과 동일
이트가 아
비회원국 기준
대적 채택 비
이 중, P
Text 기술이
각각 8.9
61
술 형식의
별 사이트
트에서의 상
일한 방법으
닌 OECD
준, 기술 별
비율의 Top
PDF 기술이
이 2위로 나
982%, 7.8
상대적 채
에서의 상대
상대적 채택
으로 얻어 진
비회원국에
사이트에서의
5는‘PDF
이 29.181%
나타났다. 순
26%, 5.32
채택 비중이
대적 채택 비
택 비율은, 전
진다. 하지만
속한 총
의 상대적 채
F > Text >
%로 가장
순서대로 3,
28%의 상
50%를 상
비율
전체 기준
만, 계산 시
총 80개 사
채택 비율
> Grid > E
많은 채택
, 4, 5위를
대적 채택
상회하는
기술 별
고려된
사이트로
Excel >
비율을
차지한
비율을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Amazon Web Services Korea
 
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
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
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AWSKRUG - AWS한국사용자모임
 
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
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
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Amazon Web Services Korea
 
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
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
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Amazon Web Services Korea
 
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
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
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Taehoon Kim
 

Viewers also liked (8)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
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
DynamoDB의 안과밖 - 정민영 (비트패킹 컴퍼니)
 
The Google Bigtable
The Google BigtableThe Google Bigtable
The Google Bigtable
 
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
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
게임서비스를 위한 ElastiCache 활용 전략 :: 구승모 솔루션즈 아키텍트 :: Gaming on AWS 2016
 
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
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
찾아가는 AWS 세미나(구로,가산,판교) - AWS 기반 빅데이터 활용 방법 (김일호 솔루션즈 아키텍트)
 
GOOGLE BIGTABLE
GOOGLE BIGTABLEGOOGLE BIGTABLE
GOOGLE BIGTABLE
 
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
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
텐서플로우 설치도 했고 튜토리얼도 봤고 기초 예제도 짜봤다면 TensorFlow KR Meetup 2016
 
NetApp & Storage fundamentals
NetApp & Storage fundamentalsNetApp & Storage fundamentals
NetApp & Storage fundamentals
 

Similar to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Han Woo PARK
 
LH Smartcity for osgeo
LH Smartcity for osgeoLH Smartcity for osgeo
LH Smartcity for osgeossuser3b2776
 
Lh smartcity for_osgeo
Lh smartcity for_osgeoLh smartcity for_osgeo
Lh smartcity for_osgeossuser3b2776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Kyuho Kim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Suntae Kim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BOAZ Bigdata
 
(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
(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
(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gilgil1973
 
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
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
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Hanbat National Univerisity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codenamu
 
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
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
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Han Woo PARK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SuHyun Jeon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Han Woo PARK
 
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
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
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Jungkyu Lee
 
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
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
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Kwang Woo NAM
 
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
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
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SuHyun Jeon
 
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
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
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Han Woo PARK
 
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sam Cyberspace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SANGHEE SHIN
 

Similar to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20)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계량정보분석 해외사례 조사분석.
 
LH Smartcity for osgeo
LH Smartcity for osgeoLH Smartcity for osgeo
LH Smartcity for osgeo
 
Lh smartcity for_osgeo
Lh smartcity for_osgeoLh smartcity for_osgeo
Lh smartcity for_osgeo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시카고 Array of Things 프로젝트 리뷰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
연구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관리 계획서 (DMP) - part04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제 17회 보아즈(BOAZ) 빅데이터 컨퍼런스 - [Catch, Traffic!] : 지하철 혼잡도 및 키워드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태국 철도역의 공공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태국 철도역의 공공서비스디자인서비스디자인을 통한 태국 철도역의 공공서비스디자인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태국 철도역의 공공서비스디자인
 
(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
(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
(10 진흥-라-8) 불법유해정보의-우회접속_기술_동향_조사_및_기술보급
 
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
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
정보활성화를 위한 데이타베이스 발전
 
2장
2장2장
2장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
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
네이버 검색엔진 조사도구_사이버컴학회(4_march2014)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Ankus Open Source Conference 2013] Introduction to Ankus / data mining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
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
앙상블 학습 기반의 추천시스템 개발
 
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
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
세월호/ 타이타닉호 사고의 빅 데이터 방법론적 분석
 
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
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
Big Data Analytics and Data Mining
 
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
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
KrKwic내용분석특강(november2006)
 
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H/W 규모산정기준
H/W 규모산정기준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환경영향평가 의사결정지원 시공간 표출기술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Hansung University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Hansung University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Hansung University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Hansung University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Hansung University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Hansung University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Hansung University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Hansung University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Hansung University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Hansung University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20)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RDF 해설서
RDF 해설서RDF 해설서
RDF 해설서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
 
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Bibframe
BibframeBibframe
Bibframe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 1.
  • 2.
  • 3. 1 제 출 문 한국정보화진흥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 전망 및 신기술 가이드 작성”의 최종연구 개발결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4 년 10 월 31 일 공동연구책임자 : 김 우 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교수) 이 명 진 (주식회사 LIST 이사) 과제관리책임자 : 이 병 하 (한국정보화진흥원 지식자원활용부 부장) 이 의 순 (한국정보화진흥원 지식자원활용부 수석) 참 여 연 구 원 : 문 세 희 (주식회사 LIST 팀장) 박 광 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통합과정) 안 태 준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석사과정) 심 홍 매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석사과정) 전 동 규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박사과정) 정 해 민 (연세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석사과정)
  • 4. 2 요 약 문 1. 제 목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 전망 2. 연구개발의 목적 및 중요성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적인 공공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여, 공공 데이터 영역에 있어서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가 보다 주목해야 할 기술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데 있다. 미국, 영국 등과 같은 선진국들은 공공 데이터 포털의 개발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함과 동시에 다양한 데이터 활용 방안을 촉구함으로써 데이터 활용에 따른 가치창출에 적극 힘쓰고 있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공공 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역시 공공 포털의 운영을 통해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중요성은 공공 데이터를 개방함에 있어서 선진국들과 우리나라간의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측면의 간극(GAP)을 파악함과 동시에 우리나라가 취해야할 발전방향과 추진 추진전략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더불어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기술의 발전 방향을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본 연구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3.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문헌조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해 선정된 총 41개국, 총 256개 사이트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레드에 따라 선정된 총 83개 세부기술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 조사를 수행하였고, 조사 결과에 대한 다양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와 선진국(선도국)간의 격차를 분석하였고, 우리나라가 향후 주목해야할 기술을 제시하였다.
  • 5. 3 4. 연 구 결 과 본 연구 보고서는 총 여섯 장으로 구성되며, 연구 결과를 각 장별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 제 1 장 서론 전 세계적으로 공공 부문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 제공 현황을 세 가지 관점(View관점-26개 기술, DataService관점-10개 기술, DataSet관점-47개 기술)으로 구분하여 각 관점에 속한 총 83개 기술에 대한 공공 데이터 제공 현황을 조사하였다. 공공 데이터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선진국간의 GAP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제 2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전망 문헌조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의 발전 추세를 파악하고, 공공 데이터 현황 조사를 위한 총 83개 세부 기술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세부 기술은 View관점에 26개, DataService관점에 10개, DataSet관점에 47개로 총 83개 세부 기술이 선정되었고, 이에 대한 기술 구조도를 각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 제 3 장 국내 외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현황 조사 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 문헌 조사, 관련 사이트 조사를 통해 총 41개국, 256개 사이트를 선정하였고, 각 사이트마다 총 83개 세부 기술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 조사를 수행 및 이에 대한 기초 통계를 제시하였다. 선정된 총 41개국, 256개 사이트에 대하여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ODI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정부자원관리(BRM)와 같은 분류 기준을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 6. 4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관점 별‘국제 유망 기술’을 선정하였다. 각 관점별로 선정된 국제 유망 기술과 각 기술별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 View관점 : Map > Donut > Timeline > TreeMap > StackedBar • DataService관점 : REST > WMS > WFS > Application > SPARQL Endpoint • DataSet관점 : XML > RDF > JSON > CSV > KML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은 크게 4가지 영역(Web Database Service, Semantic Database Service, Geospatial Database Service, Others)으로 구성되며, 도출된 국제 유망 기술(DataService관점 및 DataSet관점에 속한 기술)을 앞서 기술한 네 가지 영역을 활용하여 군집화하였다. • Web Database Service : REST, XML, JSON • Semantic Database Service : SPARQL Endpoint, RDF • Geospatial Database Service : WMS, WFS, KML • Others : Application, CSV □ 제 4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GAP 분석 및 목표 기술 도출 제 3 장에서 기술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기술 수준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선진국간의 기술 수준 비교는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으로 이루어지는데, 정성적 분석은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의 기술 채택 측면에서, 정량적 분석은 데이터베이스 활용기술의 정보 제공량 측면의 분석을 의미한다. 정성적 분석 결과와 정량적 분석 결과 그리고 앞서 도출된 국제 유망 기술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가 주목해야할‘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를 도출하였고, 이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네 가지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로 군집화하여 제시하였다.
  • 7. 5 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분야 분야 기술 평균 순위 활용 기술 기술 별 순위 Web Database Service 2.0 XML 1 REST 2 JSON 3 Geospatial Database Service 4.2 WMS(Web Map Service) 1 WFS(Web Feature Service) 3 ArcGIS Services 5 KML 5 SHP 5 Esri REST 6 Semantic Database Service 5.5 RDF 4 SPARQL Endpoint 7 □ 제 5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발전 방향 수립 및 추진 전략 연구 결과로 도출된‘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향후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의 국가적 발전 방향과 추진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가적 발전 방향은 AS-IS / TO-BE 분석 모형을 활용한 분석 결과에 따라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DataService관점에 대한 기술 채택율은 40%이상으로 높아지고,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의 비중은 DataSet > DataService > View 순에서 DataService > DataSet > View의 순으로 변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데이터 공유 고도화 수준은 TXT, CSV의 의존도가 낮아지고, Web Database Service, Geospatial Database Service, Semantic Web Service와 같은 다양한 기술이 활용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진 전략은 단기, 중기, 장기의 시점적 구분으로 이루어진 로드맵(Road Map)을 통해 기술하였다. 단기에는 Web Database Service 플랫폼의 REST 기술이 선정되었고, 중기에는 Geospatial Database Service플랫폼의 WMS, WFS, ArcGIS Service 기술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장기에는 Semantic Database Service플랫폼의 SPARQL Endpoint 기술이 선정되었다.
  • 8. 6 □ 제 6 장 결론 본 연구에서는 총 41개국에 속한 총 256개 사이트에 대한 방대한 양의 정보 조사를 통하여 세계적인 공공 데이터 영역의 트랜드를 파악하였고, 선진국과 우리나라간의 GAP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위치를 조명함과 동시에 향후 우리나라가 취해야 할 발전방향과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5. 활용에 대한 건의 본 연구는 공공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어떤 기술을 활용하여 어떤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지에 대한 의사 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어떤 기술이란 총 83개 세부 기술의 관점을 의미하고, 어떤 서비스란 View관점, DataService관점, DataSet관점의 측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터 포털과 관련된 모든 기관의 참고 자료나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6. 기 대 효 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추진전략의 단기, 중기, 장기적 측면에서, 우리나라가 각각의 플랫폼과 관련된 기술을 활성화하고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제도나 방안을 마련한다면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선도국과의 격차를 줄임과 동시에 정부 3.0에 기반한 데이터 개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 9. 7 SUMMAR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What South Korea should focus on technology related to the Open Data?”For this, firstly, We examine the Open Data Status in the world. hereat, Open Data Status means that countries of the world have adopted some technologies to provide a public data whether and how much of the available information. Secondly, for the Open Data Satatus Examination, We carried out a vast amount of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research. And then, Depending on the research findings, We selected 256 sites belonging to a total of 41 countries. Also, We selected a total of 83 technologies through examine the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Trend. Thirdly, We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total of 83 technologies for each of the 256 sites. also, proposed a statistical value for the survey. Fourth, We selected technologies should be focused more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echnology gap between South Korea and advanced countries. Fifth, We established a development direction and a promote strategy.
  • 10. 8 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17 Chapter 2 Outlook for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18 Section 1 Database Market Statu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Technique Growth....... 18 1. Gartner’s Hype Cycle for Big Data......................................................................................... 20 2. 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 ....................................................................................... 21 Section 2 Servey Technique Chosen through Database Technology Trend........................ 24 1. Technology Structure Chart – ALL....................................................................................... 26 2. Technology Structure Chart - View...................................................................................... 27 3. Technology Structure Chart - Data Service......................................................................... 28 4. Technology Structure Chart - Data Set................................................................................ 29 Chapter 3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base Service Status Survey...................................... 30 Section 1 Selection Criteria of Survey Sites and Selected Results....................................... 30 1. Selection Criteria and Selected Results................................................................................. 30 2. Basic Statistics of Selected Results....................................................................................... 35 3. Statistics of Selected Results................................................................................................. 36 Section 2 Information Provision Status Survey based Technology....................................... 42 1. Example of Research Findings on Technology ..................................................................... 42 2. Statistics of Information Provision based Technology ......................................................... 44 Section 3 Promising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Selec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ountries........................................................................................................... 64 1. Comparison by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 655 2. Comparison by Technology Sub Categorization.................................................................... 72 Section 4 Selection of Promis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ly ..........................................103
  • 11. 9 1. Promising Field Selection through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103 2. Promising Database Utilization Technology Analysis, Internationally............................... 109 Chapter 4 GAP Analysis and Target Technology Selection..................................................................110 Section 1 National Core Technology Selection – Qualitative(Selection Rate) ..................110 1. Comparison by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 111 2. Compatison by Technology Sub Categorization .................................................................. 113 3. National Core Technology Selection.................................................................................... 119 Section 2 National Core Technology Selection – Quantitative(BRM) .................................121 1. Comparison by Technology Main Categorization ................................................................ 122 2. Comparison by Technology Sub Categorization.................................................................. 124 Section 3 Target Technology Selection through GAP Analysis Results ............................131 1. Target Technology Selection ............................................................................................... 132 Section 4 Summary of Recent Trends in Database Technology ..........................................133 Section 5 Focus Technology Selection of South Korea .........................................................134 Chapter 5 Database Use Technique Development Direction and Propulsion Strategy ...........136 Section 1 Database Use Technique Development Direction Establishment.......................136 1. Data Service Adoption Rate.................................................................................................. 137 2. Database Use Technique Portion ......................................................................................... 138 3. Export and Advancement of Data Share.............................................................................. 139 Section 2 Propulsion Strategy .....................................................................................................141 Chapter 6 Conclusion ...........................................................................................................................143 Appendix(Surveyed Sites)...................................................................................................................144
  • 12. 10 < 목 차 > 제 1 장 서 론............................................................................................................................................. 17 제 2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전망.................................................................................................... 18 제 1 절 데이터베이스 시장 현황 및 기술 발전 검토.................................................................... 18 1. Gartner’s Hype Cycle for Big Data......................................................................................... 20 2. 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 ....................................................................................... 21 제 2 절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를 통한 조사 대상 기술 선정................................................ 24 1.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전체.................................................................................................. 26 2.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View................................................................................................. 27 3.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rvice .................................................................................. 28 4.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t.......................................................................................... 29 제 3 장 국내 외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현황 조사 ............................................................................... 30 제 1 절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30 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30 2. 조사 대상 사이트 기초 통계..................................................................................................... 35 3.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 ............................................................................................................. 36 제 2 절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 조사 .......................................................................................... 42 1. 조사항목에 대한 조사 결과 예시 .............................................................................................. 42 2.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 통계.................................................................................................. 44 제 3 절 국가간 비교 분석을 통한 유망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도출.............................................. 64 1. 기술대분류별 비교 .................................................................................................................... 65 2. 기술소분류별 비교 .................................................................................................................... 72 제 4 절 국제 유망 기술 선정.........................................................................................................103 1. 기술대분류 관점 유망 분야 도출 ............................................................................................ 103
  • 13. 11 2. 국제 유망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분석 ................................................................................ 109 제 4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GAP 분석 및 목표 기술 도출 .......................................................110 제 1 절 국가 핵심 기술 도출 – 정성적(채택율 차이 기반).......................................................110 1. 기술대분류 기준 비교 ............................................................................................................. 111 2. 기술소분류 기준 비교 ............................................................................................................. 113 3. 정성적(채택율 차이 기반) 국가 핵심 기술 도출 .................................................................... 119 제 2 절 국가 핵심 기술 도출 – 정량적(정부자원관리(BRM)기준) ..........................................121 1. 기술대분류 기준 비교 ............................................................................................................ 122 2. 기술소분류 기준 비교 ............................................................................................................. 124 제 3 절 GAP 분석 결과를 통한 목표 기술 도출.........................................................................131 1. 국제 유망 기술, 국가 핵심 기술 통합 기준 목표 기술 도출 .................................................. 132 제 4 절 최신 데이터베이스 기술 동향 요약.................................................................................133 제 5 절 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 도출 ..............................................................134 제 5 장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발전 방향 수립 및 추진 전략.......................................................136 제 1 절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발전 방향 수립........................................................................136 1. Data Service 채택율............................................................................................................... 137 2.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비중 ................................................................................................. 138 3. 데이터 공유 고도화 수준 ........................................................................................................ 139 제 2 절 추진 전략............................................................................................................................141 제 6 장 결 론...........................................................................................................................................143 부 록(조사 대상 사이트) ........................................................................................................................144
  • 14. 12 < 표 목차 > 표 2-1 기술 영역 및 개요 ......................................................................................................... 25 표 3-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결과.......................................................................................... 34 표 3-2 ODI에 따른 조사 대상 군집화........................................................................................ 36 표 3-3 BRM기준에 따른 분류 체계........................................................................................... 37 표 3-4 OECD기준에 따른 국가 수와 사이트 수 ........................................................................ 39 표 3-5 OECD회원국 및 비회원국 목록...................................................................................... 39 표 3-6 ODI기준 별 국가 수 및 사이트 수................................................................................. 40 표 3-7 ODI기준 별 국가 목록 ................................................................................................... 40 표 3-8 BRM기준 항목 별 국가 수 및 사이트 수....................................................................... 41 표 3-9 국가 별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45 표 3-10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정보 제공 건수....................................................................... 46 표 3-11 국가 별 채택 기술 수 및 기술 채택율 ........................................................................ 47 표 3-12 국가 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49 표 3-13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 50 표 3-14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 53 표 3-15 XML, REST, JSON 기술 간의 비교 ............................................................................ 54 표 3-16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 58 표 3-17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 62 표 3-18 채택 비율과 상대적 채택 비율 .................................................................................... 63 표 3-19 BRM 항목 별 정보 제공 건수 및 비중........................................................................ 64 표 3-20 기술대분류별 비교 ....................................................................................................... 66 표 3-21 ODI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67 표 3-22 정부자원관리(BRM) 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 68 표 3-23 OECD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 69
  • 15. 13 표 3-24 ODI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70 표 3-25 정부자원관리(BRM) 기준, 기술대분류별 비교 ............................................................ 71 표 3-26 기술소분류 View관점, OECD기준 비교....................................................................... 74 표 3-27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ECD기준 비교 ........................................................... 75 표 3-28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ECD기준 비교 .................................................................. 77 표 3-29 기술소분류 View관점, ODI기준 비교 .......................................................................... 79 표 3-30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DI기준 비교............................................................... 80 표 3-31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DI기준 비교...................................................................... 82 표 3-32 기술소분류 View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 84 표 3-33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85 표 3-34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86 표 3-35 기술소분류 View관점, OECD기준 비교....................................................................... 89 표 3-36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ECD기준 비교 ........................................................... 90 표 3-37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ECD기준 비교 .................................................................. 92 표 3-38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DI기준 비교............................................................... 94 표 3-39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ODI기준 비교............................................................... 95 표 3-40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ODI기준 비교...................................................................... 97 표 3-41 기술소분류 View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 ................................................ 99 표 3-42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100 표 3-43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정부자원관리(BRM)기준 비교..........................................102 표 3-44 기술대분류 기준, 우선 순위 ......................................................................................103 표 3-45 기술소분류 View관점, 우선 순위 ..............................................................................105 표 3-46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우선 순위 ..................................................................106 표 3-47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우선 순위 .........................................................................107 표 4-1 기술소분류 기준, 한국 Vs OECD회원국......................................................................111 표 4-2 기술소분류 기준, 한국 Vs ODI상위권 .........................................................................112
  • 16. 14 표 4-3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114 표 4-4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116 표 4-5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DI상위권 .....................................................117 표 4-6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한국 Vs ODI상위권 ............................................................119 표 4-7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최종 순위.....................................................................120 표 4-8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최종 순위............................................................................121 표 4-9 기술대분류 기준, 한국 Vs OECD회원국......................................................................122 표 4-10 기술대분류 기준, 한국 Vs ODI상위권 .......................................................................123 표 4-11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간 우선 순위 ...........................125 표 4-12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한국 Vs OECD회원국간 우선 순위 ..................................126 표 4-13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DI상위권간 우선 순위...............................128 표 4-14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한국 Vs ODI상위권간 우선 순위...............................129 표 4-15 기술소분류 DataService관점, 최종 순위 ..................................................................130 표 4-16 기술소분류 DataSet관점, 최종 순위 .........................................................................131 표 4-17 DataService관점, 목표 기술 도출 .............................................................................132 표 4-18 DataSet관점, 목표 기술 도출 ....................................................................................133 표 4-19 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 분야 도출...........................................................135
  • 17. 15 < 그림 목차 > 그림 2-1 데이터 표현 단위........................................................................................................ 18 그림 2-2 데이터 제공 형태........................................................................................................ 19 그림 2-3 Gartner’s Hype Cycle for Big Data........................................................................ 20 그림 2-4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전체.................................................................................. 26 그림 2-5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View................................................................................. 27 그림 2-6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rvice..................................................................... 28 그림 2-7 조사 대상 기술 구조도 – Data Set............................................................................ 29 그림 3-1 E-government toolkit 문헌 조사.............................................................................. 31 그림 3-2 ODI(Open Data Index).............................................................................................. 32 그림 3-3 OData/Ecosystem...................................................................................................... 33 그림 3-4 조사 대상 사이트 기초 통계....................................................................................... 35 그림 3-5 BRM기준 항목 별 사이트 수 및 비율 ........................................................................ 41 그림 3-6 View관점 조사 결과 예시........................................................................................... 42 그림 3-7 DataService관점 조사 결과 예시............................................................................... 43 그림 3-8 DataSet관점 조사 결과 예시...................................................................................... 43 그림 3-9 국가 별 기술 채택 비율 ............................................................................................. 48 그림 3-10 전체 기준, 기술 별 정보 제공 건수 평균 비중 ........................................................ 51 그림 3-11 OECD회원국 기준, 기술 별 정보 제공 건수 평균 비중 ........................................... 52 그림 3-12 OECD비회원국 기준, 기술 별 정보 제공 건수 평균 비중........................................ 53 그림 3-13 기술 별 사이트 채택 비율........................................................................................ 55 그림 3-14 OECD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 채택 비율 ......................................................... 56 그림 3-15 OECD비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 채택 비율...................................................... 57 그림 3-16 전체 기준,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59 그림 3-17 OECD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60
  • 18. 16 그림 3-18 OECD비회원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61 그림 3-19 국제 유망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 분석................................................................109 그림 4-1 최신 데이터베이스 기술 동향 요약 ..........................................................................134 그림 5-1 AS-IS/TO-BE 분석 ...............................................................................................136 그림 5-2 Road Map .................................................................................................................141
  • 19. 17 제 1 장 서 론 공공 부문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전 국민의 재산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공공 데이터 활용이 촉진되고 있다. 현재 공공 데이터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인데, 2009년 오바마 정부는 Open Government Flagship Initiatives에 따라 Data.gov를 통해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였고, 영국은‘정보공개법’ 개정에 따라 Data.gov.uk를 신설하여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을 포함하여 전 세계 총 78개국이 참여하고 있는 공공 데이터 개방 현황은 Open Knowledge Foundation Korea(http://okfn.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주된 관심을 받고 있는 공공 데이터의 개방은 다수의 장점을 보이는 것으로 인식되는데, 대표적으로 정부 정책 분석에 따른 정부 투명성 확보와 공공 데이터와 민간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신사업 창출 및 경제발전과 같은 효과들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세계적 트렌드에 맞추어 전 세계적인 공공 데이터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공공 데이터 현황은 세 가지 관점(View, DataService, DataSet)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을 통해 조사되었고, View관점은 26개의 세부기술을, DataService관점은 총 10개의 세부기술을, DataSet관점은 총 47개의 세부 기술로 구성되었다. 공공 데이터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과 선진국간의 GAP분석을 수행하여 한국이 향후 집중해야할 기술을 선정하였다. GAP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선진국은 OECD회원국과 ODI상위권에 속한 국가로 정의되었다. 즉,‘한국 Vs OECD회원국’,‘한국 Vs ODI상위권’간의 기술 채택 수와 정보 제공 건수를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선진국간의 실질적인 기술 격차를 분석하였다(GAP분석). 공공 데이터 현황과 GAP분석 결과를 통해 한국이 집중해야 할‘국가 데이터베이스 활용 주력 기술’을 선정하였고, 향후 한국이 취해야 할 발전방향과 추진 전략을 수립하였다.
  • 20. 제 Goo much i 보다 빨 시대가 데이 데이터 강화되는 제 1 절 데 ogle의 Eric information 빨라질 것이 올 것이라 이터의 증가와 간의 연결 는 추세를 방 제 2 장 이터베이 c Schmidt는 n as we d 라 주장하였 예측하였다 와 더불어 결 강도가 강 방증하는 몇 장 데이터 스 시장 는“Data is did up to 였고, 이에 다. 그림 2- 데이터의 형 강화되는 추 몇 가지 데이 18 베이스 현황 및 s getting b 2003”이라 따른 데이 -1 데이터 표 형태 또한 변 추세를 보이 이터 제공 형 활용 기 기술 발 bigger : E 라는 언급을 터 규모 역 표현 단위 변화하고 있 이고 있다. 형태를 [그림 기술 전망 전 검토 Every 2 da 을 통해 데이 역시 제타(Z 있는데, 데이 데이터의 림 2-2]에 망 ays we cr 이터의 증가 ZETTA) 바 이터의 형태 연결 강도가 제시하였다 eate as 가 속도가 바이트의 는 점차 가 점점 다.
  • 21. Tex 주소를 RSS 서비스로 있고, B 공유할 보통 키워드를 사용된다 RDF 기술이다 데이터의 추가 xt는 단순히 기술하여 상 S와 Blogs 로, 사용자는 Blog를 통해 수 있다. 통 Tagging 를 통해 해 다. F는 데이터 다. 예를 들 의 의미와 관 가적으로, 제 히 정보를 상호 연결함 s의 경우 는 RSS를 해 타인의 은 정보에 당 정보를 터간의 관 들어, 날짜는 관계를 기술 제시된 6가지 그림 2- 담고 있는 함으로써 단 사용자가 통해 관심 Blog에 속 관련된 키 찾을 수 있 관계를 기술 는 단순한 텍 술함으로써 지 기술은 모 19 -2 데이터 제 형태이지만 단순한 Text 필요로 하 있는 정보 속한 임의 워드를 기술 있도록 지원 술함으로써 텍스트이지만 보다 정확하 모두 데이터 제공 형태 만 HyperT t보다 데이터 하는 정보를 보의 최신 버 정보를 Pin 술하는 것으 원하는 기능 데이터의 만 RDF에서 하고 원활한 의 연결 강 Text는 Te 터의 연결성 를 보다 편 버전을 편리 ngback 기 으로 사용자 능이다. 주로 상호운용 의 날짜는 한 검색 능력 강도 향상과 ext에 다른 성이 강화되 편리하게 제 리하게 받아 능을 통해 자가 정보에 로 검색용 꼬 용성을 향상 그냥 날짜이 력을 지원한 관련이 깊 문서의 어있다. 제공하는 아 볼 수 손쉽게 부착된 꼬리표로 상시키는 이다. 즉, 한다. 다.
  • 22. 1. 가트 분석하였 가트 트렌드를 기술 중 하향 기 가트 Search 기술은 the Service Gartner’s 트너의 Hyp 였다. 트너의 Hype 를 한눈에 중 몇 가지 기술(Sliding 트너 곡선에 h-Based D Informatio Trough’기 e(dbSaaS) s Hype Cy pe Cycle e Cycle은 파악할 수 주요 기술 g into the T 그림 서‘On th Data Disc on Semant 기술로 주 기술이다. ycle for B 분석을 통 기술 변화 있는 장점 들을‘상승 Trough)’로 2-3 Gartne he Rise’기 covery To tic Service 주목할 만 20 Big Data 통해 빅 데 화의 양상을 점이 있다. 승 기술(On 로 분류하여 er’s Hype C 기술로 주목 ools 이고, es와 Intern 만한 기술 이터 시장 단적으로 보 가트너의 the Rise) 여 조명하였 Cycle for Big 목할 만한 ‘At the net of Thi 은 Data 관점의 기 보여 주는 Hype Cyc ), 정점 기술 다. g Data 기술은 Gr Peak’기술 ngs이다. 또 base So 기술 발전 좋은 예시로 cle에 속한 술(At the raph Datab 술로 주목할 또한,‘Slidi oftware 추세를 로, 기술 다양한 Peak), bases와 할 만한 ing into as a
  • 23. 21 2. 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 Gartner’s Hype Cycle을 통한 기술 발전 추세와 더불어“SCALABILITY EXPERTS”에서 발행한“Top Ten Data Management Trends”문헌 조사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사용되는 최신 트렌드 10가지를 소개하였다. 가. Data Warehouse Appliance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이나 사용자가 보유한 데이터 규모에 맞추어 구현되어 있는 시스템을 변경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변화하는 시스템 환경과 데이터 규모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병렬 처리(MPP :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채택하고 있다. 대규모 병렬처리에 활용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병렬 데이터 저장소(Microsoft’s Parallel Data Warehouse)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저장소는 수백 테라 바이트 규모의 저장소를 지원함과 동시에 데이터에 대한 즉각적인 활용성 및 확장성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저장소를 사용하여 적은 노력으로 탁월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는 대규모 병렬 처리를 지원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데이터 저장 방법에 최적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규모 병렬 처리 데이터 저장소는 CPU부터 DISK까지 온라인 분석 처리(OLAP : Online Analytical Processing)에 최적화 되어 있고, 데이터 처리의 잠재적 병목 현상을 제거하는 기능이 강화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통적 시스템의 1/3정도의 비용으로 데이터 저장소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 역시 탁월하다. 나. Database in the Cloud 기업들은 데이터 저장 공간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이는 요구되는 데이터의 규모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는 이를 간단히 해결하고 있다. 기업은 클라우드 환경의 저장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기업이 필요로하는 데이터의 규모를 단순한 추가/삭제(add or drop) 기능을 통해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 24. 22 다. Data Governance 마이크로소프트사의 Excel과 같은 프로그램의 출현과 보급화에 따라 데이터 관리의 용이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툴을 활용한 데이터 통제 및 관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데이터 열람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킨다. 둘째, 사용한 사용자를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정한 사용자를 알 수 있다. 셋째, 데이터 통합이나 가공이 용이하다. 넷째, 데이터에 대한 가독성이 증대된다. 라. Predictive and In-Database Analytics Predictive Analytics를 통해 기업이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해 놓은 다양한 정보를 분석하여 정보들 간의 특정 패턴과 같은 유의한 정보를 발견한다. 기업은 창출된 정보를 활용하여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거나 기업 시스템에 적용하는 등 해당 기업의 목적에 맞추어 발견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In-Database Analytics는 Database Analytics의 Capability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가 한 번에 많은 요청을 할 경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즉, In-Database Analytics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영향을 가급적 덜 받으면서 주어진 임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업무 수행 능력과 관련된 기법이다. 마. Pervasive Insight “Pervasive Insight”라는 용어는 데이터를 보다 가치 있고, 접근 용이하며 이용가능성을 높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로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며 기술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Microsoft Office”를 들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Tool을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확인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관리 및 활용 할 수 있다. 바. Data Integration 데이터의 통합은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자원을 상호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통합된 데이터는 의사결정이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 25. 23 데이터 가독성을 제공한다. 향상된 데이터 가독성은 데이터의 구조, 형태, 의미 등의 유용한 정보를 데이터 분석가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데이터의 구조를 완벽히 이해한 데이터 분석가는 보다 우수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기업은 기업이 보유한 정보를 전사적 차원에서 통합 및 관리할 필요성이 있고, 통합된 정보를 활용하여 기업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사. Master Data Management “Master Data Management”는“Data Integration”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데이터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임의의 정보나 특정 시스템의 명칭 등의 정보 속성이 서로 다르다면 데이터 통합에 있어서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동일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에 대하여 전사적 차원의 공통된 용어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전사적 차원의 데이터의 일관성 및 균일성 보장, 매칭(Matching), 품질 보장, 수집 및 통합 등의 방법론이“Master Data Management”에 속한다. 아. Very Large Databases(Hadoop)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업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 및 통제 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다. 단적인 예를 들면, 백만건의 데이터에 대한 작업 수행 시간은 수 초에 불과하지만 십억건의 데이터 작업 수행 시간은 수 분을 초과한다. 이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빅데이터의 원활한 저장, 관리, 통제를 위해 하둡시스템이 각광 받고 있다. 하둡은 맵리듀스(MapReduce)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맵리듀스(MapReduce)는 하둡 클러스터(Hadoop Cluster)를 활용하여 페타바이트(Petabytes)의 데이터도 매우 빠른 시간 안에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 26. 24 자. Data Replication “Data Replication”은 정보 공유 과정이다. 여기서 정보 공유란 원본과 복사본 간의 정보 공유를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원본과 복사본은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를 갖는다. 중요한 정보에 대한 복제를 통해 생성된 복사본은 원본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원본과 동일하게 업데이트 된다. 이를 통해 원본과 복사본간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Data Replication은 주로 다수의 복사본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확장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차.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은 지리적 위치 또는 특정 지역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저장 및 분석 그리고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즉, 지도, 통계적 분석 기술,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공간 정보 분석, 지도 수정, 분석 결과 시각화 등을 제공한다. 제 2 절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를 통한 조사 대상 기술 선정 ‘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의 목적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기술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진행할 연구를 위한 조사 대상 기술을 선정함에 있다. 조사 대상 기술을 선정하기 위해, 공공 데이터 공유 사이트, 인터넷 검색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을 분류하고 목록화 하였다. 조사를 통해 발굴된 총 83개 기술을‘데이터베이스 기술 트렌드’라 정의하며, 이 기술들의 활용 형태와 목적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영역(View, Data Service, Data Set)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 27. 25 표 2-1 기술 영역 및 개요 기술 영역 개요 세부 기술 조사 수(총 83 개 기술) View Web Browser 를 통해서 접근 가능 26 개 Data Service Application 을 통해 접근 가능 10 개 Data Set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가능 47 개 세 가지 영역에 속한 데이터베이스 활용 기술들을 각 기술이 갖는 성격에 따라 View, Data Service, Data Set 세 가지 영역으로 분류 하였고, 각 영역에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세부 기술들의 개수는 View 영역 26개, Data Service 영역 10개, Data Set 47개로 총 83개 기술이 조사 대상으로 선정 되었다.
  • 28. 1. 조사 기술 가지 영 가지 기술들을 조사 대상 사 대상으로 술 구조도에 영역으로 군집 영역을‘기 을‘기술소분 상 기술 구조 선정된 83 는 83개의 집화되어 있 기술대분류’ 분류’라 정 그림 조도 – 전체 3개 기술의 의 각 기술들 있다. 향후 연 라 정의하 정의하였다. 림 2-4 조사 26 체 구조도를 들이‘View 연구를 위해 하였고, 각 사 대상 기술 [그림 2-4 w’,‘Data 해 View, D 각각의‘기술 구조도 – 전 4]에 제시하 Service’ ata Servic 술대분류’에 전체 하였다. ,‘Data ce, Data Se 에 속하는 Set’세 et 이 세 는 세부
  • 29. 2. 조사 제시하였 View 기술을 영역이다 View Map, G 기술(C Bubble Gantt, 조사 대상 사 대상 기 였다. w 영역 기 활용하는지 다. w 영역에 포 Grid, Sca olumn, Sta e, TreeMap Nolan, Per 상 기술 구조 술 구조도 그림 술은 특정 지를 조사하 포함된 세부 tter Plot) acked Colu p, Histogra rt, Gauge, 조도 – Vie 에서 View 림 2-5 조사 데이터를 하기 위한 영 부 기술들은 구성되어 umn, Bar, am, Open- Smith)이 포 27 ew w 영역의 사 대상 기술 효과적으로 영역으로, W 은 총 6가지 있다. 이 Stacked B -high-low 포함되었다 기술에 대한 구조도 - V 로 사용자에 Web Brows 영역의 기술 때 Chart Bar, Pie, D w-close, C 다. 한 구조도를 View 게 제시/표 ser를 통해 술들로 (Ch 기술에는 onut, Line andlestick 를 [그림 표현하기 위 접근 가능 hart, Text 총 21개의 e, Area, Ti , Kagi, Sp 2-5]에 해 어떤 능한 기술 , Graph, 의 세부 imeline, arkline,
  • 30. 3. Data 어떤 기 기술 영 Data 이루어지 기술(R 세부 기 WFS(W Data 조사 대상 a Service 기술을 활용 영역이다. a Service 지는데(We EST, SOA 기술(WMS( Web Featur a Service 상 기술 구조 영역 기술 용하는지를 e 영역에 b API, A AP, SPARQ (Web Map re Service 영역은 총 그림 2 조도 - Da 술은 특정 조사하기 위 포함된 pplication, QL Endpoin p Service) e), ArcGIS 10개의 세 -6 조사 대상 28 ata Servic 데이터를 위한 영역으 세부 기술 , E-Mail) nt, GeoAPI , Esri RE Service)이 부 기술로 상 기술 구조 ce 효과적으로 으로, Appl 술들은 총 , Web AP I)이 포함되 EST, WCS 이 포함되었 구성되었다 조도 – Data 로 사용자에 ication을 3가지 PI 기술에는 되었고, Geo S(Web Cov 었다. 다. Service 게 제공하기 통해 접근 영역의 기 는 총 4개의 API에는 총 verage Se 기 위해 가능한 기술들로 의 세부 총 5개의 ervice),
  • 31. 4. Data 기술을 다운로드 형태로 Data RSS, A Spread Json l FGDB/ SWF, 기술(G CDED GeoRS 포함한다 조사 대상 a Set 영역 활용하는지 드 하는 것을 데이터를 다 a Service Atom, RD dheet), Ex lines, x- /GDB, ASC gif, ti ML(Geogr ASCⅡ(C S, SHP(S 다. 즉, Dat 상 기술 구조 역 기술은 지를 조사하 을 가능하게 다운로드 할 그림 영역에 포 F, OpenX xcel, PGDB sas, x-s CⅡ, Octet ff, CDR) raphy Mar anadian D ShapeFile) a Set 영역 조도 - Da 특정 데이터 하기 위한 게 하는 기술 할 수 있다. 2-7 조사 대 함된 세부 ml, OData B, PDF, TX pss, tar, -Stream), )을 포함 rkup Langu Digital Ele , lyr, N 은 총 47개 29 ata Set 터를 효과적 영역으로, 술 영역이다 대상 기술 구 기술들은 총 a, GData, XT, HWP, zip, HDF , Image 기 함하고, GE uage, MrS evation Da NetCDF, K 개의 세부 기 적으로 사용 사용자가 다. 즉, 사용 구조도 – Dat 총 29가지 Image, C GEOGRA F(Hierarch 기술은 총 6 EOGRAPH SID, QGIS, ata), GeoP KML(Keyh 기술로 구성 용자에게 제 데이터를 용자는 Exce ta Set 기술들로 이 CSV, ODS APHIC, JSO hical Data 6개의 세부 HIC은 총 GeoTIF, PDF, SEG ole Mark 되었다. 제공하기 위 파일 형태로 el, CSV 등 이루어지는데 (Open Do ON, JSON a Format, 부 기술(JPG 14개의 TIFF Wor GY, ASCⅡ kup Langu 해 어떤 로 직접 등과 같은 데(XML, cument P, JSP, , DOC, G, PNG, 세부 rld file, Ⅱ Grid, uage)를
  • 32. 30 제 3 장 국내 외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현황 조사 제 1 절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제 2 장 데이터베이스 기술 조사’에서 기술한 총 83개의 기술 제공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조사 대상 사이트를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선정 기준 및 결과를 제시하였다. 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 및 선정 결과 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사이트는 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와 문헌조사 그리고 관련 사이트 조사를 통해 선정되었다. 이 세 가지 조사 영역에 대한 공통적인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기준을 토대로‘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를 통해 총 30개의 공공 포털을 선정하였고,‘문헌조사’와‘관련 사이트 조사’를 통해 총 226개의 공공 포털을 선정하였다. • 총 83개 기술 중 적어도 1개의 기술을 포함해야 한다. • GDP per capita에 포함된 국가에 속하는 사이트여야 한다. • 공공 포털의 성격을 지녀야 한다. • 사이트 운영 주체가 정부이든 민간이든 상관하지 않는다. (정부, 민간 모두 포함한다.) 가. 자문위원 추천 사례 조사(총 30개 사이트 선정) 자문위원의 추천과 주관 기관의 협의에 따라‘한국정보화진흥원(www.nia.or.kr) 자료실’에 존재하는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여 조사 대상 사이트를 선정하였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트 자료실의 3개 카테고리(이슈분석, 조사연구보고서, 동향자료)에 속한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여 조사 대상 사이트 기준에 부합하는 30개 사이트들을 선정하였다. (이슈분석 : 7개, 조사연구보고서 : 19개, 동향자료 : 4개)
  • 33. 선정 ‘NIA_ 나 유네 문헌을 선정 for Dev 1 http://w materials/p 정된 총 3 _조사연구보 나. 문헌조사 네스코에서 조사하여 기 정된 20개 사 veloping C www.unesco.org/n publications/full- 30개 사이 보고서’,‘N 사(총 20개 제공하는“ 기준에 적합 그림 사이트는 부 ountries’ new/en/commun -list/e-governme 트는 부록 NIA_동향자 사이트 선정 “E - Gov 합한 20개 사 3-1 E-go 부록에 제시 로 기재하였 nication-and-info ent-toolkit-for-de 31 록에 제시된 료’로 기재 정) vernment 사이트를 선 overnment t 된 표의‘출 였다. ormation/resour eveloping-count 된 표의‘출 재하였다. Toolkit fo 선정하였다.1 toolkit 문헌 출처’란에 rces/publications ries 출처’란에 or Develo 1 조사 ‘E - Gov s-and-communic ‘NIA_이슈 ping Coun vernment cation- 슈분석’, ntries” Toolkit
  • 34. 다 인터 ODI 200개의 적합한 ODI 지표이다 각 선정하였 선정 기재하였 2 http://gl 다. 관련 사이 터넷 조사를 I(Open Da 의 사이트를 총 6개의 1) 전자 정 I는 Open 다. 국가에 해 였다.2 정된 총 2 였다. lobal.census.okfn 이트 조사( 통해 총 2 ata Index) 를 선정하였 사이트를 선 정부 관련 사 Knowledg 해당하는 사 00개 사이 n.org/place/gb 206개 공공 206개의 조사 )를 기준으 고, OData/ 선정하였다. 사이트 조사 ge Founda 그림 3-2 O 사이트를 조 이트는 부록 32 공 포털 선정 사 대상 사 으로 인터넷 /Ecosyste (ODI : Ope ation에서 ODI(Open D 조사하여 기 록에 제시된 정) 사이트를 선정 넷 조사를 m관련 인터 en Data Ind 국가 별 Data Index) 기준에 적합 된 표의‘출 정하였다. 수행하여 기 터넷 조사를 dex) 정보 개방 합한 총 2 출처’란에 기준에 적합 를 수행하여 정도를 평 200개의 사 ‘인터넷 조 합한 총 기준에 평가하는 사이트를 조사’로
  • 35. ODa 공통 규 ODa 선정하였 선정 기재하였 라 선정 제시하였 좌측 비율(2 개수로 3 http://w 2) OData/E ata(Open 규약이다. ata 홈페이 였다.3 정된 6개 사 였다. 라. 조사 대상 정된 사이트 였다. 총 41 측부터 미국 1*100/253 나눈 비율 www.odata.or Ecosystem Data Prot 지(Ecosys 사이트는 부 상 사이트 트들에 대한 1개국, 256 에 포함된 3)은 8.30% (2*100/3) rg m tocol)은 데 stem 포함) 부록에 제시 그림 3- 선정 결과 한 국가별, 개 사이트가 정부사이트 %이다. 또 은 66.67% 33 데이터 접근 )를 조사하 시된 표의 -3 OData/Ec , 정부별, 가 선정되었 트 수는 21 또한, 민간사 %이다. 근 프로토콜 하여 기준에 ‘출처’란에 cosystem 민간별 었고 자세한 1개이고, 이 사이트 수는 콜로 정의되 적합한 총 에‘OData/ 조사 사이 사항은 [표 이를 정부사 는 2개이며 는 데이터 총 6개의 사 /Ecosystem 이트 수와 표 3-1]과 사이트 개수로 이를 민간 교환의 사이트를 m’으로 비율을 같다. 로 나눈 간사이트
  • 36. 34 표 3-1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결과 국가 정부 사이트 수 비율 민간 사이트 수 비율 국가별 조사 사이트 수 비율 인도 21 8.30% 0 0 21 8.20% 미국 15 5.93% 2 66.67% 17 6.64% 대한민국 16 6.32% 1 33.33% 17 6.64% 영국 14 5.53% 0 0 14 5.47% 일본 11 4.35% 0 0 11 4.30% 오스트레일리아 11 4.35% 0 0 11 4.30% 캐나다 10 3.95% 0 0 10 3.91% 이탈리아 9 3.56% 0 0 9 3.52% 러시아 9 3.56% 0 0 9 3.52% 중국 8 3.16% 0 0 8 3.13% 네덜란드 8 3.16% 0 0 8 3.13% 포르투갈 7 2.77% 0 0 7 2.73% 싱가포르 7 2.77% 0 0 7 2.73% 스위스 7 2.77% 0 0 7 2.73% 브라질 7 2.77% 0 0 7 2.73% 독일 7 2.77% 0 0 7 2.73% 남아프리카공화국 7 2.77% 0 0 7 2.73% 폴란드 6 2.37% 0 0 6 2.34% 이스라엘 6 2.37% 0 0 6 2.34% 아일랜드 6 2.37% 0 0 6 2.34% 프랑스 5 1.98% 0 0 5 1.95% 인도네시아 5 1.98% 0 0 5 1.95% 오스트리아 5 1.98% 0 0 5 1.95% 스웨덴 5 1.98% 0 0 5 1.95% 덴마크 5 1.98% 0 0 5 1.95% 노르웨이 5 1.98% 0 0 5 1.95% 핀란드 4 1.58% 0 0 4 1.56% 나이지리아 4 1.58% 0 0 4 1.56% 홍콩 3 1.19% 0 0 3 1.17% 스페인 3 1.19% 0 0 3 1.17% 파키스탄 2 0.79% 0 0 2 0.78% 칠레 2 0.79% 0 0 2 0.78% 이집트 2 0.79% 0 0 2 0.78% 벨기에 2 0.79% 0 0 2 0.78% 멕시코 2 0.79% 0 0 2 0.78% 그리스 2 0.79% 0 0 2 0.78% 필리핀 1 0.40% 0 0 1 0.39% 타이완 1 0.40% 0 0 1 0.39% 콜롬비아 1 0.40% 0 0 1 0.39% 사우디아라비아 1 0.40% 0 0 1 0.39% 말레이시아 1 0.40% 0 0 1 0.39% 총 합 253 100.00% 3 100.00% 256 100.00% ‘국가별 조사 사이트 수’는 각 국가의‘정부사이트 수’와‘민간사이트 수’의 합을 전체 사이트 수의 총합인 256으로 나눈 값에 대한 백분율이다. 즉, 미국의 경우 총 17개의 사이트가 선정되었고, 이는 전체에서 6.64%의 비중을 차지한다.
  • 37. 2. 조사 선정 조사 대상 사 대상으로 정 결과 총 4 상 사이트 기 선정된 사 41개국의 2 그 기초 통계 이트에 대한 256개 사이 그림 3-4 조사 35 한 기초 통계 이트가 선정되 사 대상 사이 계를 제시하 되었고, 이를 이트 기초 통 하였다. 를 [그림 3 계 -4]에 제시시하였다.
  • 38. 36 3.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는 향후 진행될 조사 결과 분석과 GAP 분석을 위하여 OECD가입국과 미가입국, ODI(Open Data Index) 상, 중, 하 그룹, BRM(Business Reference Model)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가. 세 가지 영역(OECD, ODI, BRM)에 대한 정의 1) OECD가입국과 미가입국 ‘조사 대상 사이트 선정 결과’를 바탕으로 총 41개국을 OECD가입국과 미가입국으로 분류하였다. OECD에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가입되어 있으므로, OECD 가입 유/무를 활용하여 선진국과 후진국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선진국은 OECD가입국으로, 후진국은 OECD미가입국으로 정의하였다. 2) ODI(Open Data Index) ODI는 전 세계의 국가별 정보 개방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현재 Open Knowledge Foundation4 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ODI 지수는 정부가 얼마나 주요한 정보를 공개하는가를 의미하는데 이는 시민이 얼마나 합법적이고 기술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가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ODI 지수가 높다면 공공 데이터 수준이 높고, 지수가 낮다면 공공 데이터 수준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DI 지수에 따라 ODI를 세 개의 그룹으로 군집화하였다. 표 3-2 ODI에 따른 조사 대상 군집화 ODI 지수 >= 500 ODI 지수 >= 400 ODI 지수 < 400 ODI 상 14 개 국가 / 112 개 사이트 ODI 중 14 개 국가 / 109 개 사이트 ODI 하 13 개 국가 / 35 개 사이트 4 http://index.okfn.org
  • 39. 37 3) BRM(Business Reference Model) 조사된 사이트의 성격을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분류 기준이 요구되며, 이를 충족시키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류 기준은 문헌조사를 통해 발굴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한국전산원에서 발행한“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준 소개(2006)”의 BRM 모델을 분류기준으로 활용하였다.“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준 소개”에 따르면, BRM을“공공부문의 업무와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정의한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범정부 정보기술아키텍처 기준 소개”에 기술된 분류 체계는 아래 표로 제시하며, 표에 제시된‘정책분야’카테고리에 속한 총 20개 카테고리로, 조사된 총 256개의 사이트를 군집화하였다. 이 때‘정책영역’은 사이트의 성격을 분류할 때 참고자료로만 활용되며, 총 256개 사이트는‘정책분야’컬럼에 속한 20개 분야로 군집화되었다. 표 3-3 BRM기준에 따른 분류 체계 정책분야 정책영역 서비스 제공지원 법령, 입법 감사 홍보 위험관리 고충처리 국무조정 심사평가 일반행정 정부자원관리 기획 및 자원배분 인적자원관리 세입징수관리 조달과 물자관리 정보자원관리 공공질서 법무 검찰 사회안전(경찰) 범죄자 수감 교정 재난방재 재난방재 기상
  • 40. 38 국방 국방정책수립 국방정보관리 국방 군수획득 군사시설관리 국방정책평가 외교통일 외교정책 영사관리 외교안보연구 통상외교 통일정책 북한정보관리 국가안정보장 환경관리 환경정책 자연보전 대기보전 재정경제 경제정책 세제징수 금융정책 경제협력 특허정책 통계정책과 관리 상공업 발전 산업정책 중소기업정책 농림수산 농업정책 축산정책 산림정책 수산정책 정보통신 정보화 정보통신정책 우정사업 과학기술 과학기술정책수립 과학기술연구개발 에너지자원개발 에너지자원정책수립 자원개발 국토개발 SOC 국토개발정책 지역사회개발 건설정책 운송교통 육상교통정책 항공정책 해운항만정책 물류관리 교육 학교정책 교육재정지원 인적자원정책 문화관광 문화정책수립 문화재정책 관광진흥 복지 사회복지정책수립 국민연금정책수립 인원정책 보훈복지정책
  • 41. 39 보건(건강) 보건정책수립 건강증진정책수립 식품의약품정책수립 건강보험정책수립 노동 고용정책 산업안전관리 근로능력개발 노사협력지원 나. 영역별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 영역별(OECD기준, ODI기준, BRM기준)로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를 제시하였다. OECD기준은 OECD회원국과 비회원국으로 나누어 기술되었고, ODI기준은 상, 중, 하로 분류하여 제시되었다. 또한 BRM기준은 BRM에 속한 정책분야에 따라 사이트 조사 결과를 기술하였다. 1) OECD 가입 여부 기준 OECD 가입 여부에 따른 사이트 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와 국가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표 3-4 OECD기준에 따른 국가 수와 사이트 수 전체 OECD 회원국 OECD 비회원국 조사 국가 수 41 25 16 조사 사이트 수 256 176 80 표 3-5 OECD회원국 및 비회원국의 목록 OECD 회원국(25 개국) OECD 비회원국(16 개국) 미국 아일랜드 독일 칠레 인도 콜롬비아 대한민국 프랑스 스위스 러시아 말레이시아 영국 스웨덴 포르투갈 중국 필리핀 일본 노르웨이 폴란드 브라질 홍콩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이스라엘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캐나다 덴마크 멕시코 싱가포르 파키스탄 이탈리아 핀란드 벨기에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네덜란드 스페인 그리스 나이지리아 타이완
  • 42. 40 2) ODI(Open Data Index) 기준 ODI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에 따른 사이트 조사 결과에 대한 통계와 국가 리스트를 제시하였다. 표 3-6 ODI기준별 국가 수 및 사이트 수 전체 상위 (ODI >= 500) 중위 (ODI >= 400) 하위 (ODI < 400) 국가 수 41 14 14 13 사이트 수 256 112 109 35 표 3-7 ODI기준 별 국가 목록 ODI 등급 '상’(14 국가) ODI 등급 '중’(14 국가) ODI 등급 '하’(13 국가) 미국 스위스 인도 폴란드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 영국 프랑스 대한민국 이스라엘 싱가포르 파키스탄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일본 아일랜드 나이지리아 사우디아라비아 캐나다 노르웨이 러시아 인도네시아 홍콩 콜롬비아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중국 스페인 벨기에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덴마크 브라질 멕시코 칠레 필리핀 독일 핀란드 포르투갈 타이완 이집트 3) BRM(Business Reference Model) 기준 BRM기준에 따른 사이트 조사 결과 통계를 제시하였다. 총 20가지 BRM 분야 중, 적합한 사이트가 조사되지 않은 4가지 분야(재난방재, 국방, 에너지자원개발, 노동)를 제외한 16가지 분야를 활용하여 조사된 사이트를 분류 하였다. 각 국가마다 복수의 영역으로 분류되는 다수의 사이트를 지니므로, 총 16개 분야 마다‘국가 수’는 중복을 허용하여 제시하였고,‘사이트 수’는 BRM 각 분야에 속한 사이트 수를 기술하였다. BRM기준에 따라 분류된 총 사이트 수는 256개이고, 총 개별 국가 수는 41개국이다.
  • 43. 재정경제 정부자원 서비스제 공공질서 국토개발 운송교통 환경관리 상공업발 교육 정보통신 문화관광 과학기술 농림수산 보건 복지 외교통일 BRM 총 16개 제 원관리 제공지원 서 발 SOC 통 리 발전 신 광 술 산 일 총 계 M 기준에 따 개 BRM 분 표 3- 계 따른 항목 야에 대한 그림 3 8 BRM기준 국 별 사이트 (BRM 카테 3-5 BRM기 41 항목 별 국가 국가 수(중복 허 조사 개수 테고리, 개수 준 항목 별 가 수 및 사이 허용) 30 30 22 19 19 16 17 9 7 4 1 1 2 2 1 1 181 및 비율을 수, 비율)로 사이트 수 및 이트 수 사 을 제시하였다 이루어져 및 비율 사이트 수 다. [그림 있다. 57 53 38 21 20 17 17 9 8 5 3 2 2 2 1 1 256 3-5]는
  • 44. 제 국내 선도국가 및 해당 41개국 언급한 1. 선정 조사 항 1개(htt DataSe 가 View 정부 포 View 기재되어 의미한다 기술을 Chart/C 3건으로 2 절 기 내외 데이터 가와 국내와 당 기술 기반 , 총 256개 3가지 영역 조사항목 정된 각 사이 항목에 대한 tp://www.d et관점으로 가. 조사 결과 w 영역의 포털의 정보제 w영역에 속 어 있는 레 다. 예를 들 채택하고 Column의 로 조사되었 술기반 정 베이스 서 와의 비교 분 반 정보 제공 개 사이트에 역에 속한 세 에 대한 조 이트가 제공 한 결과 예시 data.go.kr) 나누어 기술 과 예시 - 데이터베이 제공 현황을 속한 26가 코드는 정보 들어, 미국 고 있고, 수가 195건 다. 정보 제공 비스 현황을 분석을 위해 공 건수를 조 에 대하여 진 세부 기술에 조사 결과 예 하는 기술과 시는 미국 사 ), 총 2개 술하였다. View 관점 이스 기술 항 을 조사하였 그림 3-6 V 가지 기술항 보제공건수를 정부 포털 정보제공건 건 임에 비해 42 공 현황 조 을 조사하였 해 조사 대상 조사하였다. 진행되었고 에 따라 조사 예시 과 정보 제공 사이트 1개 사이트에 점 항목 항목 였다. View관점 조사 항목에 대한 를 의미함과 털과 대한민 건수 측면에 해 대한민국 조사 였고, 세계적 상 사이트에 . 기술기반 ‘제2장 데 사되었다. 공 건수에 대 개(http://ww 대하여 V 관점에서 사 결과 예시 한 정보제공 과 동시에 해 민국 정부 에서 미국 국 정부가 제 적 데이터베 에 대한 기술 정보제공현 이터베이스 대한 조사 ww.data.go View관점, 미국 정부 시 공건수를 해당 기술을 포털은 모 국 정부 제공하는 Ch 베이스 기술 술 분류 활 현황 조사는 스 기술 조사 예시를 제시 ov)와 한국 DataServi 부 포털과 대 기술하며, 을 채택하고 모두 Chart/ 포털이 제 hart/Cloum 술현황과 용 여부 는 선정된 사’에서 시하였다. 사이트 ice관점, 대한민국 숫자가 있음을 Column 제공하는 mn 수는
  • 45. 나 Data 민국 정 Data 숫자가 해당 기 View 관 다 Data 민국 정 대한 정 의미함과 의미에 나. 조사 대상 a Service 정부 포털의 a Service 기재되어 기술을 채택 관점과 동일 다. 조사 대상 a Set 영역 정부 포털의 정보제공건 과 동시에 대한 해석은 상 기술 구 영역의 데 서비스 현 그림 영역에 속한 있는 레코드 하고 있음을 일하다. 상 기술 구 역의 데이터 서비스 현 수를 기술 해당 기술 은 View 관 그 조도 – Dat 이터베이스 황을 조사하 림 3-7 DataS 한 10가지 드는 정보 제 을 의미한다 조도 – Dat 터베이스 기 현황을 조사하 술하며, 숫자 술을 채택하 관점과 동일 그림 3-8 Da 43 ta Service 스 기술 항목 하였다. Service관점 기술 항목 제공 건수를 다. 더불어 ta Set 관점 기술 항목 항 하였다. Da 자가 기재 하고 있음을 하다. ataSet관점 조 관점 목 항목 관점 조사 결과 목에 대한 를 의미함과 각 레코드가 점 항목 관점에 ata Set영역 되어 있는 을 의미한다 조사 결과 예 점에서 미국 예시 정보 제공 동시에 해 가 갖는 의 에서 미국 역에 속한 4 는 레코드는 . 더불어 각 시 정부 포털 건수를 기 당 사이트( 의미에 대한 정부 포털 47가지 기술 는 정보제공 각 레코드가 과 대한 기술하며, (국가)가 해석은 과 대한 술항목에 공건수를 가 갖는
  • 46. 44 2.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 통계 수집된 기술기반 정보 제공 현황에 대한 통계를 제시하였다. 정보 제공 현황은 세 가지 영역(국가별 통계, 사이트별 통계, BRM별 통계)으로 나누어 기술되었다. 가. 국가별 통계 정보 제공 현황에 대한 국가 관점의 통계를 기술하였다. 1) 국가 별 총 정보 제공 건수 총 41개국에 대하여 각 국가마다‘국가별 정보 제공 건수’와‘국가별 사이트 수’를 기술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는 총 7개의 사이트가 포함되었고, 이들 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6,200만건으로 나타났다. 2) 국가별 데이터베이스 기술대분류 별 정보 제공 건수 총 41개국에 대하여 각 국가마다‘국가별 정보제공건수’(총합)과 기술 대분류별 정보제공건수를 기술하였다. 대한민국에 속한 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제공건수는 대략 6천 2백만건인데 이를 기술 대분류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면 View영역에 대략 3천 8백 5십만건, Data Service영역에 대략 190만건, Data Set영역에 대략 2천 2백만건 정도의 정보가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국가별 채택 기술 수 및 채택 비율 총 41개국에 대하여 각 국가들이 채택한 채택 기술 수와 이에 대한 비율(기술 채택율)을 기술하였다. 국가별 채택 기술 수는‘기술소분류’의 기준을 따르며, 총 83개 기술(View(26개), Data Service(10개), Data Set(47개))로 구성 되어있다. 미국을 예로 들면, 총 83개 세부 기술 중 미국은 47개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83개 기술 중 56.627%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 47. 45 표 3-9 국가 별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국가 국가별 정보제공건수 국가별 사이트 수 대한민국 62,269,138 7 브라질 53,598,468 17 러시아 7,292,653 2 그리스 6,491,742 9 프랑스 1,851,408 5 폴란드 1,801,997 6 캐나다 585,670 3 스페인 304,366 10 영국 229,025 2 독일 135,113 7 미국 108,985 14 오스트레일리아 107,176 5 이탈리아 88,147 9 노르웨이 56,443 11 멕시코 43,925 3 포르투갈 41,683 17 중국 41,185 7 이스라엘 31,361 5 인도 29,247 6 인도네시아 26,569 8 홍콩 22,406 4 싱가포르 20,025 2 일본 15,402 7 나이지리아 14,946 1 네덜란드 14,839 8 스위스 10,055 7 칠레 6,125 11 아일랜드 3,645 21 남아프리카공화국 3,337 1 오스트리아 3,224 1 핀란드 2,611 2 스웨덴 2,066 2 파키스탄 2,062 4 벨기에 2,002 5 타이완 1,979 6 덴마크 1,524 7 콜롬비아 1,219 2 말레이시아 1,200 5 이집트 850 5 필리핀 160 1 사우디아라비아 15 1 총 합 135,263,993.0 256
  • 48. 46 표 3-10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정보 제공 건수 View Data Service Data Set 총합 대한민국 38,546,887.0 1,915,245.0 21,807,006.0 62,269,138.0 브라질 17,869,194.0 17,859,123.0 17,870,151.0 53,598,468.0 러시아 3,774,167.0 5,547.0 3,512,939.0 7,292,653.0 그리스 0.0 1.0 6,491,741.0 6,491,742.0 프랑스 31,976.0 6,074.0 1,813,358.0 1,851,408.0 폴란드 53.0 0.0 1,801,944.0 1,801,997.0 캐나다 883.0 210,335.0 374,452.0 585,670.0 스페인 162,223.0 452.0 141,691.0 304,366.0 영국 3,203.0 549.0 225,273.0 229,025.0 독일 36,288.0 11,994.0 86,831.0 135,113.0 미국 11,661.0 12,867.0 84,457.0 108,985.0 오스트레일리아 24,661.0 560.0 81,955.0 107,176.0 이탈리아 62,081.0 4,537.0 21,529.0 88,147.0 노르웨이 34,822.0 159.0 21,462.0 56,443.0 멕시코 21,299.0 0.0 22,626.0 43,925.0 포르투갈 9,496.0 21.0 32,166.0 41,683.0 중국 22,856.0 16.0 18,313.0 41,185.0 이스라엘 4,585.0 0.0 26,776.0 31,361.0 인도 3,272.0 47.0 25,928.0 29,247.0 인도네시아 751.0 0.0 25,818.0 26,569.0 홍콩 653.0 0.0 21,753.0 22,406.0 싱가포르 1,048.0 0.0 18,977.0 20,025.0 일본 4,952.0 34.0 10,416.0 15,402.0 나이지리아 7,736.0 0.0 7,210.0 14,946.0 네덜란드 3,014.0 1,535.0 10,290.0 14,839.0 스위스 280.0 102.0 9,673.0 10,055.0 칠레 275.0 76.0 5,774.0 6,125.0 아일랜드 688.0 1.0 2,956.0 3,645.0 남아프리카공화국 516.0 311.0 2,510.0 3,337.0 오스트리아 9.0 509.0 2,706.0 3,224.0 핀란드 0.0 71.0 2,540.0 2,611.0 스웨덴 8.0 28.0 2,030.0 2,066.0 파키스탄 57.0 0.0 2,005.0 2,062.0 벨기에 1,876.0 11.0 115.0 2,002.0 타이완 0.0 0.0 1,979.0 1,979.0 덴마크 664.0 0.0 860.0 1,524.0 콜롬비아 0.0 85.0 1,134.0 1,219.0 말레이시아 18.0 7.0 1,175.0 1,200.0 이집트 0.0 0.0 850.0 850.0 필리핀 13.0 9.0 138.0 160.0 사우디아라비아 0.0 0.0 15.0 15.0
  • 49. 47 표 3-11 국가 별 채택 기술 수 및 기술 채택율 국가 채택 기술 수 기술 채택율 미국 47 56.627% 캐나다 39 46.988% 네덜란드 31 37.349% 스페인 30 36.145% 대한민국 29 34.940% 독일 28 33.735% 영국 28 33.735% 이탈리아 27 32.530% 일본 27 32.530% 스웨덴 25 30.120% 오스트레일리아 25 30.120% 프랑스 25 30.120% 러시아 24 28.916% 브라질 24 28.916% 스위스 22 26.506% 인도 20 24.096% 칠레 20 24.096% 남아프리카공화국 19 22.892% 오스트리아 17 20.482% 노르웨이 16 19.277% 싱가포르 16 19.277% 덴마크 15 18.072% 벨기에 15 18.072% 중국 15 18.072% 핀란드 14 16.867% 멕시코 13 15.663% 포르투갈 11 13.253% 폴란드 11 13.253% 나이지리아 9 10.843% 아일랜드 9 10.843% 이스라엘 9 10.843% 말레이시아 8 9.639% 필리핀 7 8.434% 홍콩 6 7.229% 그리스 5 6.024% 인도네시아 5 6.024% 타이완 4 4.819% 파키스탄 4 4.819% 콜롬비아 3 3.614% 이집트 2 2.410% 사우디아라비아 1 1.205%
  • 50. 국가 나 사이 의미한다 보다 명 국가 정보 제 사이트 3백 7십 것으로 가별 채택 기 나. 사이트별 이트 별 통 다. 사이트 명확하게 기술 1) 국가별 가별 사이트 제공 건수의 수)는 총 십만건이다. 나타났다. 기술 수 및 별 통계 통계는 총 4 별 통계를 술하였다. 사이트 당 당 평균 평균을 의 17개이고, . 즉, 한국 채택 비율에 그림 3-9 41개국의 를 통해 각 평균 정보 정보 제공 의미한다. 예 이 17개 에 속한 사 48 에 대한 차트 국가 별 기술 256개 사이 국가에 속 제공 건수 건수는 각 예를 들어, 사이트가 사이트들은 트를 [그림 술 채택 비율 이트를 고려 속한 사이트 각 국가에 속 대한민국에 제공하는 평 평균 3백 3-9]에 제시 려한 보다 트들이 제공 속한 모든 사 속한 사이 평균 정보 7십만건의 시하였다. 세부적인 공하는 기술 사이트가 제 이트의 개수 제공 건수 정보를 제 통계를 통계를 제공하는 수(국가별 는 대략 제공하는
  • 51. 49 표 3-12 국가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및 사이트 수 국가 국가별 평균 정보제공건수 국가별 사이트 수 브라질 7,656,924.0 7 대한민국 3,662,890.5 17 그리스 3,245,871.0 2 러시아 810,294.8 9 프랑스 370,281.6 5 폴란드 300,332.8 6 스페인 101,455.3 3 캐나다 58,567.0 10 멕시코 21,962.5 2 독일 19,301.9 7 영국 16,358.9 14 노르웨이 11,288.6 5 이탈리아 9,794.1 9 오스트레일리아 9,743.3 11 홍콩 7,468.7 3 미국 6,410.9 17 포르투갈 5,954.7 7 인도네시아 5,313.8 5 이스라엘 5,226.8 6 중국 5,148.1 8 나이지리아 3,736.5 4 칠레 3,062.5 2 싱가포르 2,860.7 7 타이완 1,979.0 1 네덜란드 1,854.9 8 스위스 1,436.4 7 일본 1,400.2 11 인도 1,392.7 21 콜롬비아 1,219.0 1 말레이시아 1,200.0 1 파키스탄 1,031.0 2 벨기에 1,001.0 2 핀란드 652.8 4 오스트리아 644.8 5 아일랜드 607.5 6 남아프리카공화국 476.7 7 이집트 425.0 2 스웨덴 413.2 5 덴마크 304.8 5 필리핀 160.0 1 사우디아라비아 15.0 1 2) 국가별 데이터베이스 기술대분류 별 사이트 당 평균 정보 제공 건수 각 국가에 속한 모든 사이트가 제공하는 정보 제공 건수의 기술대분류 별 평균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 속한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3백 70만건이다. 이 수치를 기술대분류 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 52. 50 대한민국의 경우 총 17개의 사이트들이 View 영역에서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230만건 정도이고, Data Service 영역에서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11만건 정도이며, Data Set 영역에서 제공하는 평균 정보 제공 건수는 대략 130만건으로 나타났다. 표 3-13 국가 별, 기술대분류 별, 평균 정보 제공 건수 국가 View Data Service Data Set 브라질 2,552,742.0 2,551,303.3 2,552,878.7 대한민국 2,267,463.9 112,661.5 1,282,765.1 그리스 0.0 0.5 3,245,870.5 러시아 419,351.9 616.3 390,326.6 프랑스 6,395.2 1,214.8 362,671.6 폴란드 8.8 0.0 300,324.0 스페인 54,074.3 150.7 47,230.3 캐나다 88.3 21,033.5 37,445.2 멕시코 10,649.5 0.0 11,313.0 독일 5,184.0 1,713.4 12,404.4 영국 228.8 39.2 16,090.9 노르웨이 6,964.4 31.8 4,292.4 이탈리아 6,897.9 504.1 2,392.1 오스트레일리아 2,241.9 50.9 7,450.5 홍콩 217.7 0.0 7,251.0 미국 685.9 756.9 4,968.1 포르투갈 1,356.6 3.0 4,595.1 인도네시아 150.2 0.0 5,163.6 이스라엘 764.2 0.0 4,462.7 중국 2,857.0 2.0 2,289.1 나이지리아 1,934.0 0.0 1,802.5 칠레 137.5 38.0 2,887.0 싱가포르 149.7 0.0 2,711.0 타이완 0.0 0.0 1,979.0 네덜란드 376.8 191.9 1,286.3 스위스 40.0 14.6 1,381.9 일본 450.2 3.1 946.9 인도 155.8 2.2 1,234.7 콜롬비아 0.0 85.0 1,134.0 말레이시아 18.0 7.0 1,175.0 파키스탄 28.5 0.0 1,002.5 벨기에 938.0 5.5 57.5 핀란드 0.0 17.8 635.0 오스트리아 1.8 101.8 541.2 아일랜드 114.7 0.2 492.7 남아프리카공화국 73.7 44.4 358.6 이집트 0.0 0.0 425.0 스웨덴 1.6 5.6 406.0 덴마크 132.8 0.0 172.0 필리핀 13.0 9.0 138.0 사우디아라비아 0.0 0.0 15.0
  • 53. 사이 ‘OECD 분석하여 차이점을 기술 건수를 구하여 [그림 기술이 해석된다 사이 Text > 3) 사이트의 이트의 기술 D비회원국 여 세 가지 을 기술하였 가) 전체 술 별 정보 해당 사이 계산하였다 림 3-10]을 총 256개 다. 이트 당 가장 > Excel > G 의 기술 별 별 정보 제 기준’으로 기준에 따 였다. 기준, 사이트 제공 건수 트의 전체 다. 을 보면 P 개 사이트를 장 많은 비율 Grid > Map 그림 3-10 정보 제공 제공 건수 평 로 나누어 른 사이트의 트 기술 별 수 평균 비 정보 제공 DF가 33.8 를 고려했을 율을 차지하 의 순서로 0 전체 기준, 51 건수 평균 평균 비중을 제시한 뒤 의 기술 별 정보 제공 비중은, 사이 건수로 나 870%로 가 때, 평균 하는 기술의 나타났다. 기술 별 정 비중 을‘전체 기 뒤, 세 가지 정보 제공 공 건수 평균 이트에서의 나눈 값을 전 가장 많은 비 33.870% Top 5는 보 제공 건수 기준’,‘OE 지 기준에 따 건수 평균 균 비중 해당 기술 전체 사이트 비율을 보였 의 비율을 비율이 큰 수 평균 비중 ECD회원국 따른 비교 비중 간의 술 기반 정보 트에 대해 평 였는데, 이는 보인다는 큰 순서대로 중 기준’, 결과를 유의한 보 제공 평균치를 는 PDF 의미로 PDF >
  • 54. 사이 포함될 11]을 OECD회 보인다는 사이 Text > 사이 포함될 12]를 OECD비 보인다는 나) OECD 그림 이트의 기술 사이트의 보면 PDF 회원국에 속 는 의미로 해 이트 당 가장 > Excel > M 다) OECD 이트의 기술 사이트의 보면 PDF 비회원국에 는 의미로 해 D회원국 기 림 3-11 OE 별 정보 제 수를 OEC F가 30.79 속한 총 1 해석된다. 장 많은 비율 Map > CSV D비회원국 기 별 정보 제 수를 OEC F가 40.63 속한 총 해석된다. 준, 사이트 CD회원국 기 제공 건수 평 CD회원국에 96%로 가 76개의 사 율을 차지하 V의 순서로 기준, 사이트 제공 건수 평 CD비회원국 34%로 가 80개의 사 52 기술 별 정 기준, 기술 별 평균 비중(전 에 속한 국 가장 많은 사이트를 고 하는 기술의 나타났다. 트 기술 별 평균 비중(전 국에 속한 가장 많은 사이트를 고 정보 제공 건 별 정보 제공 전체)와 계산 가 사이트들 비율을 보 고려했을 때 Top 5는 정보 제공 전체)와 계산 국가 사이트 비율을 보 고려했을 때 건수 평균 건수 평균 비 산 방법은 동 들로 제한하 보였는데, 이 때, 평균 30 비율이 큰 건수 평균 산 방법은 동 트들로 제한 보였는데, 이 때, 평균 40 비중(OECD 비중 동일하지만 하였다. [그 이는 PDF 0.796%의 큰 순서대로 균 비중 동일하지만 한한다. [그 이는 PDF 0.634%의 D회원국) 만 계산에 그림 3- 기술이 비율을 PDF > 만 계산에 그림 3- 기술이 비율을
  • 55. 사이 Text > ‘전 사이트 별 정보 상호 비 어떤 차 순위 OEC OECD 세 가 가지 비 이트 당 가장 > Grid > Ex 그림 라) 전체 전체 기준, 기술 별 정 보 제공 건수 비교 분석을 차이를 보이는 위 Top 5 전체 CD 회원국 D 비회원국 가지 기준에 비교 모두 P 장 많은 비율 xcel > CSV 3-12 OEC 기준, OECD 사이트 기술 정보 제공 건 수 평균 비 을 통해‘사 는지를 제시 표 3-14 1 PDF(33.870 PDF(30.796 PDF(40.634 에 따른 비교 PDF와 Tex 율을 차지하 V의 순서로 CD비회원국 D회원국 기 술 별 정보 건수 평균 비중’을 비 이트 기술 시하였다. 전체, OECD 0%) Text(1 6%) Text(1 4%) Text(1 교에서 가장 xt 기술이 가 53 하는 기술의 나타났다. 기준, 기술 별 기준, OECD 보 제공 건수 비중’그리 교하여 이 별 정보 D회원국, OEC 2 2.652%) Ex 0.998%) Ex 6.290%) Gr 장 큰 비중을 가장 많은 비 Top 5는 별 정보 제공 비회원국 기 수 평균 비 리고‘OECD 들 세 가지 제공 건수 CD비회원국 3 xcel(9.598%) cel(10.974%) rid(10.587%) 을 차지하는 비중을 차지 비율이 큰 공 건수 평균 기준 간의 비 비중’과‘O D비회원국 지 기준에 평균 비중 간의 비교 4 Grid(7.081 Map(6.328 Excel(6.572 는 기술 Top 지하고 있음을 큰 순서대로 비중 비교 OECD회원국 기준, 사이 대한 비교 중’이 기준 1%) Map(5 8%) CSV(5 2%) CSV(4 p 5를 살펴 을 알 수 있 PDF > 국 기준, 트 기술 들 간의 에 따라 5 5.529%) 5.598%) 4.487%) 보면 세 있다.
  • 56. 54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OECD회원국에는 Map기술이 포함되어 있고, OECD비회원국에는 Grid 기술이 포함 되어 있다. 또한, Excel 기술은 순위의 차이는 있지만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명 옆의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PDF 기술의 경우‘전체 기준’,‘OECD회원국 기준’,‘OECD비회원국 기준’에서 각각 33.870%, 30.796%, 40.634%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회원국이든 OECD비회원국이든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2가지 기술은 PDF와 Text로 모두 동일했지만 비중을 고려했을때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PDF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긴 하지만 OECD회원국의 PDF 기술 비중이 상대적으로 OECD비회원국의 PDF기술 비중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OECD회원국의 Text기술 비중 역시 OECD비회원국의 Text기술 비중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에 OECD회원국의 Excel 기술에 대한 비율은 OECD비회원국의 Excel 기술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CSV 기술의 경우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비회원국의 상위 5가지 기술 중 PDF, Text 기술의 비중을 합한 값은 56.924%으로 나타났고, 이들 기술에 대한 OECD비회원국의 비중의 합은 41.794%로 나타났다. 이는 OECD비회원국들이 OECD회원국보다 PDF, Text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OECD비회원국들의‘기술 별 정보 제공 평균 비중’은 총 83개 기술 중 2개 기술이 무려‘약 57%’를 차지하므로, 다른 기술들 보다 이 두 기술에 너무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5 XML, REST, JSON 기술 간의 비교 기술명 XML REST JSON 전체 2.722 1.918 기타 OECD 회원국 3.320 2.374 1.144 OECD 비회원국 1.406 기타 기타 XML과 REST 그리고 JSON 기술만 별도로 추출하여 비교하면 XML기술의 OECD회원국 비중은 3.320%로 OECD비회원국 1.406%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OECD회원국에서 차지하는 REST와 JSON 기술의 비중은 각각 2.374%, 1.144%로
  • 57. 나타났지 OECD비 있다. 기술 ‘OECD 분석하여 기술하였 전체 수)로 있는 지 총 2 Grid > 보였고, Map, G 지만 OEC 비회원국에서 4) 기술 별 술 별 사 D비회원국 여 세 가지 였다. 가) 전체 체 기준, 기술 얻어진다. 지를 나타내는 256개 사이 > CSV’의 약 45%를 Grid, CSV 기 CD비회원국 서 REST와 별 사이트에서 사이트에서의 기준’으로 기준에 따 기준, 기술 술 별 사이트 즉, 각각의 는 비율이다 이트들이 가 순으로 나 를 보인 Ex 기술은 약 그 국에서는 비 와 JSON 기 서의 채택 비 의 채택 로 나누어 따른 기술 별 별 사이트 트에서의 채 기술이 전 다. 가장 많이 채 나타났다. 이 xcel 기술이 30%의 비율 그림 3-13 기 55 비중이 너무 기술이 차지 비율 비율을‘전 제시한 뒤 별 사이트에 에서의 채택 채택 비율은 전체 256개 채택한 기술 이 중, PDF 이 2위로 나 율을 차지하 기술 별 사이 무 작아 지하는 비중 전체 기준 뒤, 세 가지 에서의 채택 택 비율 은(채택 사이 개 사이트들 의 Top 5는 F 기술이 나타났다. 순 하는 것으로 이트 채택 비율 기타로 분 중은 매우 준’,‘OECD 지 기준에 따 비율 간의 이트 수 * 1 들에 의해서 는‘PDF > 약 67%로 순서대로 3, 나타났다. 율 분류 되었다 미비하다고 D회원국 따른 비교 의 유의한 차 100 / 전체 얼마나 채 > Excel > 로 압도적인 , 4, 5위를 다. 즉, 고 할 수 기준’, 결과를 차이점을 사이트 채택되고 Map > 우위를 차지한
  • 58. OEC OECD회 OECD회 OEC > Map 우위를 차지한 OEC OECD비 OECD비 비율이다 나) OECD CD회원국 회원국 사 회원국에 속 CD회원국에 > CSV > 보였고, 약 Map, CSV 다) OECD CD비회원국 비회원국 비회원국에 다. D회원국 기준 기준, 기술 사이트 수( 속한 사이트들 에 속한 사이 > ZIP’의 약 50%를 V, ZIP 기술 그림 3-14 D비회원국 기 국 기준, 기 사이트 수 속한 사 준, 기술 별 술 별 사이트 (176개 사 들에 의해서 이트들이 가 순으로 나 보인 MAP 술은 약 35% 4 OECD회원 기준, 기술 술 별 사이 수(80개 사 이트들에 56 별 사이트에서 트에서의 채 사이트))로 서 얼마나 채 가장 많이 채 나타났다. 이 P 기술이 2 %의 비율을 국 기준, 기술 별 사이트 이트에서의 사이트))로 의해서 얼 서의 채택 채택 비율은 얻어 진 채택되고 있 채택한 기술의 중, PDF 2위로 나타 차지하는 술 별 사이트 에서의 채택 채택 비율은 얻어 진 얼마나 채택 비율 은(채택 사이 진다. 즉, 있는 지를 나 의 Top 5는 기술이 약 났다. 순서 것으로 나타 트 채택 비율 택 비율 은(채택 사 진다. 즉, 택되고 있는 이트 수 * 각각의 나타내는 비 는 ‘PDF > 약 68%로 압 대로 3, 4 타났다. 사이트 수 * 각각의 는 지를 나 100 / 기술이 율이다. > Excel 압도적인 , 5위를 100 / 기술이 나타내는
  • 59. OEC > Exce 우위를 나타났다 비율을 ‘전 사이트에 비율’을 ‘기술 제시한다 세 가 가지 비 OEC ZIP기술 또한, 순 CD비회원국 el > Map > 보였고, 약 다. 순서대로 차지하는 것 라) 전체 전체 기준, 에서의 채택 을 비교하여 별 사이트 다. 가지 기준에 비교 모두 P CD회원국과 술이 포함되 순위의 차이 그림 3-15 국에 속한 사 > Text’의 약 38%를 로 4, 5위 것으로 나타 기준, OECD 기술 별 사 택 비율’그 여 이들 세 트에서의 채 에 따른 비교 PDF기술이 과 OECD비 되어 있고, O 이는 있지만 OECD비회원 사이트들이 의 순으로 나 보인 Grid기 를 차지한 타났다. D회원국 기 사이트에서 그리고‘OE 세 가지 기준 택 비율’이 교에서 가장 가장 많은 회원국간의 OECD비회원 만 PDF기술 57 원국 기준, 기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 기술이 2위 Map과 T 기준, 비OEC 의 채택 비 ECD비회원국 준에 대한 이 기준에 장 큰 비율을 채택 비율을 의 차이를 살 원국에는 G 술과 Excel 기술 별 사이트 채택한 기술 이 중, PDF 위, 약 35% Text 기술은 CD회원국 기 비율’과‘O 국 기준, 기 비교들 간 따라 어떤 을 차지하는 을 보이는 것 살펴보면 O Grid기술과 기술이 OE 트 채택 비율 술의 Top F 기술이 약 를 보인 E 은 각각 2 기준 간의 비 OECD회원국 기술 별 사 간의 상호 떤 유의한 차 는 기술 Top 것을 알 수 OECD회원국 Text기술이 ECD회원국과 율 5는‘PDF 약 64%로 압 Excel기술이 2%, 21% 비교 국 기준, 기 사이트에서의 비교 분석을 차이를 보이 p 5를 살펴 수 있다. 국에는 CSV 이 포함되어 과 OECD비 > Grid 압도적인 이 3위로 정도의 기술 별 의 채택 을 통해 이는지를 보면 세 V기술과 어 있다. 비회원국
  • 60. 58 모두에서 높은 채택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기준에 따른 비교 모두 PDF와 Excel이 높은 채택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16 전체, OECD회원국, OECD비회원국 간의 비교 순위 Top 5 1 2 3 4 5 전체 PDF(67%) Excel(45%) Map(31%) Grid(31%) CSV(30%) OECD 회원국 PDF(68%) Excel(50%) Map(35%) CSV(35%) ZIP(34%) OECD 비회원국 PDF(64%) Grid(38%) Excel(35%) Map(22%) Text(21%) 기술명 옆의 괄호안의 숫자는 해당 기술이 차지하는 채택 비율을 나타내며 가장 많은 채택 비율을 차지한 PDF의 경우‘전체 기준’,‘OECD회원국 기준’,‘OECD비회원국 기준’에서 각각 약 67%, 68%, 64%의 채택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ECD회원국에서 채택 비율이 가장 높은 상위 2가지 기술은 PDF와 Excel이고, OECD비회원국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상위 2가지 기술은 PDF와 Grid이다. 하지만, OECD비회원국의 Top 3는 Excel 기술을 포함하며 상위 2위에 랭크된 Grid 기술과의 채택 비율 격차는 불과 3%이다. 이는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PDF기술과 Excel기술의 채택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OECD회원국과 OECD비회원국 모두 PDF기술이 가장 높은 순위에 랭크되었는데, OECD회원국의 PDF 기술 채택 비율이 상대적으로 OECD비회원국의 PDF 기술 채택 비율보다 높다. 또한, OECD회원국의 Text 기술 비중은 앞서 제시한 차트를 보면, 9위에 랭크되어있으며 약 19%정도의 채택 비율을 보인다. 이는 OECD비회원국의 Text 기술 채택 비율이 OECD회원국의 채택 비율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세 가지 기준에서 모두 PDF 기술의 채택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 기술 별 사이트에서의 상대적 채택 비율을‘전체 기준’,‘OECD회원국 기준’, ‘OECD비회원국 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한 뒤, 세 가지 기준에 따른 비교 결과를
  • 61. 분석하여 차이점을 전체 대한 비 예를 들 1/80의 선택된 기술 별 총 2 Grid’의 13.202 Map, G 여 세 가지 을 기술하였 가) 전체 체 기준, 기술 비율값(해당 들어 A라는 값이 할당 각 기술들 별 전체 평균 그 256개 사이 의 순으로 2%를 보인 Grid 기술은 지 기준에 따 였다. 기준, 기술 술 별 사이 당 기술 채택 사이트가 당된다. 마 은 모두 1/ 균(총 256개 그림 3-16 전 이트들의 상대 나타났다. Text 기술 은 각각 8 따른 기술 별 사이트 트에서의 상 택 건수 / 총 80개의 찬가지로 /50의 값을 개 사이트)을 전체 기준, 기 대적 채택 이 중, PD 술이 2위로 8.381%, 7 59 별 사이트 에서의 상대 상대적 채택 전체 기술 의 기술을 선 B라는 사이 을 갖는다. 이 을 구하였다 기술 별 사이트 비율의 To DF 기술이 나타났다. 7.030%, 6 에서의 상대 대적 채택 비 택 비율은, 채택 건수 선택했다면 이트가 총 이렇게 얻어 다. 트에서의 상대 p 5는 ‘PD 22.837% 순서대로 .074%의 대적 채택 비율 각 사이트 수)들에 대한 선택된 각 50개의 기 진 각 기술 대적 채택 비 DF > Text 로 압도적인 3, 4, 5위 상대적 채택 비율 간의 당 채택한 한 전체 평 각 기술들에 기술을 선택 술의 값을 활 비율 t > Excel > 인 우위를 위를 차지한 택 비율을 유의한 기술에 평균이다. 는 모두 택했다면 활용하여 > Map > 보였고, Excel, 보이는
  • 62. 것으로 50%를 OEC 사이트에 사이트를 제한하였 총 1 ZIP’의 보였고, Excel, 것으로 나타났다. 상회하는 나) OECD CD회원국 에서의 상대 를 전체 였다. 그림 3 176개 사이 의 순으로 11.357% Map, ZIP 나타났다. 또한 PDF 것으로 나타 D회원국 기준 기준, 기술 대적 채택 256개 사 3-17 OECD 이트들의 상대 나타났다. %를 보인 T 기술은 각 , Text, Ex 타났다. 준, 기술 별 별 사이트 비율과 동일 이트가 아 D회원국 기준 대적 채택 이 중, PD Text 기술이 각 8.633% 60 xcel, Map, 별 사이트에서 트에서의 상 일한 방법으 아닌 OECD 준, 기술 별 사 비율의 To DF 기술이 이 2위로 나 %, 7.962%, Grid 기술 서의 상대적 상대적 채택 으로 얻어 진 D회원국에 사이트에서의 p 5는 ‘PD 19.953% 나타났다. 순 , 5.291%의 술 형식의 상 적 채택 비율 비율은, 전 진다. 하지만 속한 총 상대적 채택 DF > Text %로 가장 순서대로 3, 의 상대적 채 상대적 채택 율 전체 기준 만, 계산시 176개 사 택 비율 t > Excel > 많은 채택 , 4, 5위를 채택 비율을 비중이 기술 별 고려된 사이트로 > Map > 비율을 차지한 을 보이는
  • 63. PDF 것으로 OEC 사이트에 사이트를 제한하였 총 8 DOC’ 보였고, Grid, E 보이는 F, Text, E 나타났다. 다) OECD CD비회원국 에서의 상대 를 전체 2 였다. 그림 3 80개 사이트 의 순으로 17.262% Excel, DO 것으로 나타 Excel, Ma D비회원국 기 국 기준, 기술 대적 채택 비 256개 사이 -18 OECD비 트들의 상대 나타났다. %를 보인 T OC 기술은 타났다. p, ZIP 기 기준, 기술 술 별 사이 비율과 동일 이트가 아 비회원국 기준 대적 채택 비 이 중, P Text 기술이 각각 8.9 61 술 형식의 별 사이트 트에서의 상 일한 방법으 닌 OECD 준, 기술 별 비율의 Top PDF 기술이 이 2위로 나 982%, 7.8 상대적 채 에서의 상대 상대적 채택 으로 얻어 진 비회원국에 사이트에서의 5는‘PDF 이 29.181% 나타났다. 순 26%, 5.32 채택 비중이 대적 채택 비 택 비율은, 전 진다. 하지만 속한 총 의 상대적 채 F > Text > %로 가장 순서대로 3, 28%의 상 50%를 상 비율 전체 기준 만, 계산 시 총 80개 사 채택 비율 > Grid > E 많은 채택 , 4, 5위를 대적 채택 상회하는 기술 별 고려된 사이트로 Excel > 비율을 차지한 비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