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한양예술융합센터 설립 및 
산학협력단 교책연구센터 지정(안) 
2014. 10. 27(월) 
산학협력단 연구진흥팀 
본 보고서는 국악과 조주선 교수, 김영지 동문의 
한양예술융합센터 추진계획안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 [협의] CT는 인간에게 행복을 느끼게 하는 문화상품의 창작 · 기획, 개발 · 제작, 유통 · 소비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을 말함 
• [광의] 이공학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분야의 지식과 감성적 요소를 포함하여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총체적 기술을 의미함 
문화 · 예술 · 체육 콘텐츠 창작, 기획 
-2- 
제안 배경 
1 ‘창조경제’에는 기술과 지적자본(예술, 문화)이 결합된 ‘창조기술’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 
 창조경제시대로 접어들면서 세계 각국은 소프트웨어, 지식산업에 자국의 역량을 집중하기 시작함 
 지식산업의 대표적인 분야가 문화콘텐츠 산업으로 우리나라도 문화콘텐츠 5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CT R&D전략을 수립 
 CT는 문화(Culture)와 기술(Technology)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개념으로 인문사회, 예술, 공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노하우를 포함한 복합적인 기술을 총칭함 
2 본교는 문화콘텐츠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최적화된 인프라 보유 
인문학 
경영학 
콘텐츠 유통, 소비 
이공학 콘텐츠 제작, 가공
-3- 
제안 배경 
3 우수한 인프라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문화·예술·체육 
경영학 인문학 
이공학 
전공과목 이외의 다양한 경험 부족으로 식견, 창의력 부족 
학과 간 통합활동 부족에 따른 문화예술계 동문네트워크 부실 
정부 및 기업 문화예술진흥기금 유치 실적 저조 
교내외 행사 시 교내 문화예술인력 자원 활용기회 상실 
글로벌 문화예술교류 시장에서의 본교 존재감 희박
-4- 
제안 배경 _ 타 대학 현황 
[예술대학원 융합교육과정 운영 ] 
공연영상학과, 예술경영학과, 공공미술·디자인학과를 유기적 운영 
 공연예술, 영상 미디어, 음악, 시각예술을 아우르는 종합 문화 
예술 인재 육성  현장경험+동문네트워크 구축 
[산학협력단 산하 학교기업 아리(Ari) 설립] 
- 국악기 교육·대중용 국악기 연구개발(R&D) 및 생산보급 
- 아리예술단 운영  예술을 통한 사회공헌 
[문화예술교육센터] 
- 한국예술종합학교의 대외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주관 
- 음악, 연극, 미술, 무용, 영상, 전통예술 등 예술의 전 분야를 
아우르는 콘텐츠로 학교와 사회를 잇는 예술교육 확산 지향 
- 사회공헌프로그램, 문화예술프로그램, 기관지원프로그램, 
최고경영자과정 등 운영 
[공연예술학 협동과정 운영 ] 
- 인문학과, 미학과, 작곡과 등 교수진 및 학생들이 협력사업 주도 
- 전통연극, 무용, 음악극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 발전 
- 다양한 전공의 재학생을 주축으로 콘텐츠를 기획, 제작토록 함으 
로써 ‘기획-제작-홍보-비평활동’의 문화예술 전 과정을 체험 
[Outreach Programs] 
- 문화예술인재를 활용한 지역 및 국제사회 대상 사회 환원 사업 
 학교 홍보 및 학생들의 수학 동기 부여 효과 
- 지역 내 학교들과 유기적 파트너십 형성하여 지속적 교류 추진 
 학생들에게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책임감, 리더십 함양
단기 중장기 
-5- 
제안 및 기대효과 
1 제안 
산학협력단 산하 한양예술융합센터 설치 및 교책연구센터 지정 
2 기대효과 
• 문화예술전공 학생들의 교류 및 실전 공연기회 
확대 
• 대학 내 문화예술 관련 학과들의 교류 확대 
• 문화예술 매개 대학의 지역사회 공헌활동 강화 
• 문화예술 관련 학과의 융합R&D사업 아이템 발굴 
•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 
• 교내 문화콘텐츠 관련 학문분야의 융합의 구심점 
위상 정립 
• 이공계 기술 기반 CT 산업 분야 R&D 과제 확보를 
위한 교두보 구축 
• 스포츠산업학과, 예술경영트랙 등 교육과정 연계 
를 통한 교육-연구-산학협력-취업의 선순환 구축 
• 대학원 학과간 협동과정 운영(BK21 사업 연계) 
• 자매결연 해외기관 연계 글로벌 시장 진출
센터 운영을 위한 재정기반 확보 
관련 학과 참여 확대 
-6- 
한양예술융합센터 추진 로드맵 
센터 운영 활성화 수준에 따른 단계별 추진전략 
내부 
외부 
1단계 2단계 3단계 
센터 신설 및 교책연구센터 지정 
사회봉사 연계를 통한 활성화 
센터 주관 교내 공연실적 축적 
(국악과 중심) 
사회봉사단 봉사 프로그램과 연계 모색 
한양예술융합센터 홍보 
국내외 공연예술 협력기관 확보 
지역사회 공헌 프로그램 개발 
정부 및 기업 문화예술진흥기금 
수주를 통한 센터 자립기반 확보 
공연수익 발생 프로그램 개발 
사회공헌 프로그램 활성화 
안정적 운영을 위한 행정체계 구축 
센터-교육과정 연계 
학과간 협동과정 운영(BK21) 
자립을 위한 문화예술진흥기금 확보 
글로벌 문화예술 교류프로그램 운영 
공연예술 비즈니스 모델 확보 
대학 위상 강화 대표 브랜드화
1단계 : 문화예술 분야 CONTROL TOWER 위상 구축 
-7- 
주요 추진 사업 
일반 공연 행사 
• 교내 산하기관 행사 및 학술대회 사전 문화행사 참여 
• 교외 문화예술공연 요청시 ‘한양예술융합센터‘ 명의로 참여 
센터 주관 기획행사 
• 5월 8일 어버이날 기념 ‘孝콘서트‘ 추진 
- 노천극장에서 성동구 지역 어르신 대상 무료 공연 
- 공연 기획, 예술 공연, 무대 제작, 의상 제작 등 행사의 전 과정을 전공 학생들의 
자원봉사로 추진 
- 참여 학생들에게는 사회봉사 학점 인정 
- 티켓 판매대금은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탁 
문화예술진흥기금 확보 
• 문화예술 전공학생들의 실전 경험을 늘리기 위한 정부 및 기업 기금 확보 
• 센터의 활동 실적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 적극적 시도 
1 
2 
3 
학생 해외 공연 장려 
• 문화예술 해외 레지던스사업 외부기금 유치활동 강화 
• 자매결연학교의 예술센터와의 상설 교환 레지던스 프로그램 추진 
4 
• 연말 ‘사랑의 연탄배달 사업’ 연계 위로 공연 추진 
- 연탄 수혜가정 및 지연주민 대상
-8- 
벤치마크 1. 한국예술종합학교 
성북구 저소득층 아동 및 청소년, 의정부 지역 문화 소외계층, 
한예종-KIST 간의 통섭, 기업체 대중 문화예술교육 등을 통해 
문화예술의 저변 확대 실천 
 목적 : 학생들의 예술재능을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봉사정신을 함양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통로를 만들자는 취지로 개설 
 지원규모 : 국내 프로젝트 당 최대 3백만원 
 국외 : 프로젝트 당 최대 7백만원 
 혜택 : 사회봉사 1학점 인정 
1 
2 
※ 지원금은 교비가 아닌 외부의 문화 
예술공연기금 확보를 통해 조달
벤치마크 2. 중앙대학교 학교기업 “아리” 
국악기의 실질적인 수요에 최적화된 대중용 국악기 연구 개발 ·생산· 보급하고 
교수법을 개발 · 보급하며, 방과 후 특성화 교육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하에 설치 (2013.12.10) 
전략 사업 
-9- 
1. 국악기 제조 
- R&D를 통한 저렴하고 우수한 교육용 악기 제작 
2. 교육지원 서비스 
- 교육과 생활 현장에서 악기가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시스템 보급, 컨설팅 
3. 공연 기획·창작·예술 관련 서비스 
- 전통의 가치를 담은 공연과 문화콘텐츠 제공 
4. 아리예술단 운영 
- 예술을 통한 사회공헌 수행 
R&D 교육 
산학 
협력 
사회 
공헌 
 연구와 교육, 사회봉사, 산학협력을 아우르는 문화예술 분야 대표적인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음 
 ‘아리’의 교육용 국악기 제작 사업 전단계인 어린이용 축소모델 개발 
연구를 에리카 캠퍼스 인체공학연구센터에서 수행 
 Control Tower가 있을 경우 문화예술 관련 교내 자원을 활용한 
R&D 수주, 교육 및 실전공연 활용, 창업 및 기술사업화 모색 가능
벤치마크 3. HYU 청소년과학기술진흥센터 
사업내용 
-10- 
1. 사이언스 피크닉 
- 이동과학차/이동화학차를 찾아가는 과학교육 서비스 
2. 과학 대중화 사업 
- 청소년 발명 아이디어전, 디자인 경진대회 개최, 
과학교사 직무연수, 과학캠프 
3. 하자! 과학동아리 
- 전국 초·중·고생 대상 과학동아리(HASA) 운영 
4. 대학생 사회봉사 
- 대학생 봉사활동을 통해 센터의 프로그램 운영 
한양융합예술센터가 교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경우 
‘문화예술 분야의 청소년과학기술진흥센터’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됨
-11- 
의사결정 요청사항 
1 산학협력단 산하 교책연구센터 지정 
 대학 공인조직으로 대내외 활동이 가능토록 최소한의 
행정기능 부여 
 조직코드 부여, 센터장 발령, 홈페이지 등재 등 
2 예산 지원 
 초기 단계에는 별도의 예산지원 없음 
 활성화 수준을 평가하여 예산지원 검토 
부설연구소 국책연구센터 교책연구센터 
[부설연구소] : 학칙상의 기구 
[국책연구센터] 
정부 R&D과제 수주 시 대내외 행정업무 처리를 위해 임의의 기 
구(한시적) 설치 
[교책연구센터] 
교내 융합연구활성화를 위한 조직을 산학협력단 산하 임의기구 
로 설치 
* 2014. 10 현재 교책연구센터 현황 
1. 한양계산과학센터 
2. 차세대융합의료연구센터 
한양예술융합센터(미정) 
교책연구센터 지정 
2014. 10 
기본 운영예산 지원 
여부 심의 
(하이코어운영본부) 
2015. 3 
센터 발전계획 심의 
예산지원 범위 검토 
2016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한양예술융합센터 설립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별일사무소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서울
 
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숨 문화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Gori Communication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seed:s corporation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thecirclefound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thecirclefoundation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Jeonghwan Jeon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seekly
 
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
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
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
류 이
 
놀이나무
놀이나무놀이나무
놀이나무
bestseoul
 
Munasum program book
Munasum program bookMunasum program book
Munasum program book
숨 문화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
sharon2016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
skuinc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Sue Hyun Jung
 
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
Gumin Jung
 
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Uos Town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Npocenter Seoul
 

Similar to 한양예술융합센터 설립안 (20)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년
 
Starfile0001
Starfile0001Starfile0001
Starfile0001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Munasum portfolio
Munasum portfolio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문화도시만들기(시흥사례) 자바르떼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서울문화기업 아카데미 ㅡ 13강 사회적기업 자바르떼 - 이은진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동그라미재단]동그라미에 빠진 지역파수꾼 이야기3 예술문화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로컬챌린지프로젝트] 1기 선정기업 '(주)꿈꾸는씨어터'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기업과문화예술특강 - 예술적 개입, 창조경제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200001 「21 c 문화세기」의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방향
 
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
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
미디어교육연구소 길라잡이 2012
 
놀이나무
놀이나무놀이나무
놀이나무
 
Munasum program book
Munasum program bookMunasum program book
Munasum program book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
실시간 스트리밍서비스를 활용한 한중 O2 o 한류예술교육(예술융합연구소 새론)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청소년 창의성 계발 위한 융합형 발명디자인 교육과정 개발 - 특허청 국민디자인단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특성화 방안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우리동네 공유공간을 찾아라...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로컬커넥터 앤스페이스
 
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Isus newsletter vol. 2 kor
Isus newsletter vol. 2 kor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한양예술융합센터 설립안

  • 1. 한양예술융합센터 설립 및 산학협력단 교책연구센터 지정(안) 2014. 10. 27(월) 산학협력단 연구진흥팀 본 보고서는 국악과 조주선 교수, 김영지 동문의 한양예술융합센터 추진계획안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 2. • [협의] CT는 인간에게 행복을 느끼게 하는 문화상품의 창작 · 기획, 개발 · 제작, 유통 · 소비 등과 이에 관련된 서비스에 필요한 기술을 말함 • [광의] 이공학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 디자인, 예술분야의 지식과 감성적 요소를 포함하여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총체적 기술을 의미함 문화 · 예술 · 체육 콘텐츠 창작, 기획 -2- 제안 배경 1 ‘창조경제’에는 기술과 지적자본(예술, 문화)이 결합된 ‘창조기술’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  창조경제시대로 접어들면서 세계 각국은 소프트웨어, 지식산업에 자국의 역량을 집중하기 시작함  지식산업의 대표적인 분야가 문화콘텐츠 산업으로 우리나라도 문화콘텐츠 5대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CT R&D전략을 수립  CT는 문화(Culture)와 기술(Technology)이 융합하여 만들어진 개념으로 인문사회, 예술, 공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노하우를 포함한 복합적인 기술을 총칭함 2 본교는 문화콘텐츠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최적화된 인프라 보유 인문학 경영학 콘텐츠 유통, 소비 이공학 콘텐츠 제작, 가공
  • 3. -3- 제안 배경 3 우수한 인프라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문화·예술·체육 경영학 인문학 이공학 전공과목 이외의 다양한 경험 부족으로 식견, 창의력 부족 학과 간 통합활동 부족에 따른 문화예술계 동문네트워크 부실 정부 및 기업 문화예술진흥기금 유치 실적 저조 교내외 행사 시 교내 문화예술인력 자원 활용기회 상실 글로벌 문화예술교류 시장에서의 본교 존재감 희박
  • 4. -4- 제안 배경 _ 타 대학 현황 [예술대학원 융합교육과정 운영 ] 공연영상학과, 예술경영학과, 공공미술·디자인학과를 유기적 운영  공연예술, 영상 미디어, 음악, 시각예술을 아우르는 종합 문화 예술 인재 육성  현장경험+동문네트워크 구축 [산학협력단 산하 학교기업 아리(Ari) 설립] - 국악기 교육·대중용 국악기 연구개발(R&D) 및 생산보급 - 아리예술단 운영  예술을 통한 사회공헌 [문화예술교육센터] - 한국예술종합학교의 대외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주관 - 음악, 연극, 미술, 무용, 영상, 전통예술 등 예술의 전 분야를 아우르는 콘텐츠로 학교와 사회를 잇는 예술교육 확산 지향 - 사회공헌프로그램, 문화예술프로그램, 기관지원프로그램, 최고경영자과정 등 운영 [공연예술학 협동과정 운영 ] - 인문학과, 미학과, 작곡과 등 교수진 및 학생들이 협력사업 주도 - 전통연극, 무용, 음악극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립, 발전 - 다양한 전공의 재학생을 주축으로 콘텐츠를 기획, 제작토록 함으 로써 ‘기획-제작-홍보-비평활동’의 문화예술 전 과정을 체험 [Outreach Programs] - 문화예술인재를 활용한 지역 및 국제사회 대상 사회 환원 사업  학교 홍보 및 학생들의 수학 동기 부여 효과 - 지역 내 학교들과 유기적 파트너십 형성하여 지속적 교류 추진  학생들에게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책임감, 리더십 함양
  • 5. 단기 중장기 -5- 제안 및 기대효과 1 제안 산학협력단 산하 한양예술융합센터 설치 및 교책연구센터 지정 2 기대효과 • 문화예술전공 학생들의 교류 및 실전 공연기회 확대 • 대학 내 문화예술 관련 학과들의 교류 확대 • 문화예술 매개 대학의 지역사회 공헌활동 강화 • 문화예술 관련 학과의 융합R&D사업 아이템 발굴 •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해외활동 활성화 방안 모색 • 교내 문화콘텐츠 관련 학문분야의 융합의 구심점 위상 정립 • 이공계 기술 기반 CT 산업 분야 R&D 과제 확보를 위한 교두보 구축 • 스포츠산업학과, 예술경영트랙 등 교육과정 연계 를 통한 교육-연구-산학협력-취업의 선순환 구축 • 대학원 학과간 협동과정 운영(BK21 사업 연계) • 자매결연 해외기관 연계 글로벌 시장 진출
  • 6. 센터 운영을 위한 재정기반 확보 관련 학과 참여 확대 -6- 한양예술융합센터 추진 로드맵 센터 운영 활성화 수준에 따른 단계별 추진전략 내부 외부 1단계 2단계 3단계 센터 신설 및 교책연구센터 지정 사회봉사 연계를 통한 활성화 센터 주관 교내 공연실적 축적 (국악과 중심) 사회봉사단 봉사 프로그램과 연계 모색 한양예술융합센터 홍보 국내외 공연예술 협력기관 확보 지역사회 공헌 프로그램 개발 정부 및 기업 문화예술진흥기금 수주를 통한 센터 자립기반 확보 공연수익 발생 프로그램 개발 사회공헌 프로그램 활성화 안정적 운영을 위한 행정체계 구축 센터-교육과정 연계 학과간 협동과정 운영(BK21) 자립을 위한 문화예술진흥기금 확보 글로벌 문화예술 교류프로그램 운영 공연예술 비즈니스 모델 확보 대학 위상 강화 대표 브랜드화
  • 7. 1단계 : 문화예술 분야 CONTROL TOWER 위상 구축 -7- 주요 추진 사업 일반 공연 행사 • 교내 산하기관 행사 및 학술대회 사전 문화행사 참여 • 교외 문화예술공연 요청시 ‘한양예술융합센터‘ 명의로 참여 센터 주관 기획행사 • 5월 8일 어버이날 기념 ‘孝콘서트‘ 추진 - 노천극장에서 성동구 지역 어르신 대상 무료 공연 - 공연 기획, 예술 공연, 무대 제작, 의상 제작 등 행사의 전 과정을 전공 학생들의 자원봉사로 추진 - 참여 학생들에게는 사회봉사 학점 인정 - 티켓 판매대금은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기탁 문화예술진흥기금 확보 • 문화예술 전공학생들의 실전 경험을 늘리기 위한 정부 및 기업 기금 확보 • 센터의 활동 실적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진흥기금 지원 적극적 시도 1 2 3 학생 해외 공연 장려 • 문화예술 해외 레지던스사업 외부기금 유치활동 강화 • 자매결연학교의 예술센터와의 상설 교환 레지던스 프로그램 추진 4 • 연말 ‘사랑의 연탄배달 사업’ 연계 위로 공연 추진 - 연탄 수혜가정 및 지연주민 대상
  • 8. -8- 벤치마크 1. 한국예술종합학교 성북구 저소득층 아동 및 청소년, 의정부 지역 문화 소외계층, 한예종-KIST 간의 통섭, 기업체 대중 문화예술교육 등을 통해 문화예술의 저변 확대 실천  목적 : 학생들의 예술재능을 사회에 환원함으로써 봉사정신을 함양하고 세상과 소통하는 통로를 만들자는 취지로 개설  지원규모 : 국내 프로젝트 당 최대 3백만원  국외 : 프로젝트 당 최대 7백만원  혜택 : 사회봉사 1학점 인정 1 2 ※ 지원금은 교비가 아닌 외부의 문화 예술공연기금 확보를 통해 조달
  • 9. 벤치마크 2. 중앙대학교 학교기업 “아리” 국악기의 실질적인 수요에 최적화된 대중용 국악기 연구 개발 ·생산· 보급하고 교수법을 개발 · 보급하며, 방과 후 특성화 교육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하는 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하에 설치 (2013.12.10) 전략 사업 -9- 1. 국악기 제조 - R&D를 통한 저렴하고 우수한 교육용 악기 제작 2. 교육지원 서비스 - 교육과 생활 현장에서 악기가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교육시스템 보급, 컨설팅 3. 공연 기획·창작·예술 관련 서비스 - 전통의 가치를 담은 공연과 문화콘텐츠 제공 4. 아리예술단 운영 - 예술을 통한 사회공헌 수행 R&D 교육 산학 협력 사회 공헌  연구와 교육, 사회봉사, 산학협력을 아우르는 문화예술 분야 대표적인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음  ‘아리’의 교육용 국악기 제작 사업 전단계인 어린이용 축소모델 개발 연구를 에리카 캠퍼스 인체공학연구센터에서 수행  Control Tower가 있을 경우 문화예술 관련 교내 자원을 활용한 R&D 수주, 교육 및 실전공연 활용, 창업 및 기술사업화 모색 가능
  • 10. 벤치마크 3. HYU 청소년과학기술진흥센터 사업내용 -10- 1. 사이언스 피크닉 - 이동과학차/이동화학차를 찾아가는 과학교육 서비스 2. 과학 대중화 사업 - 청소년 발명 아이디어전, 디자인 경진대회 개최, 과학교사 직무연수, 과학캠프 3. 하자! 과학동아리 - 전국 초·중·고생 대상 과학동아리(HASA) 운영 4. 대학생 사회봉사 - 대학생 봉사활동을 통해 센터의 프로그램 운영 한양융합예술센터가 교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경우 ‘문화예술 분야의 청소년과학기술진흥센터’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됨
  • 11. -11- 의사결정 요청사항 1 산학협력단 산하 교책연구센터 지정  대학 공인조직으로 대내외 활동이 가능토록 최소한의 행정기능 부여  조직코드 부여, 센터장 발령, 홈페이지 등재 등 2 예산 지원  초기 단계에는 별도의 예산지원 없음  활성화 수준을 평가하여 예산지원 검토 부설연구소 국책연구센터 교책연구센터 [부설연구소] : 학칙상의 기구 [국책연구센터] 정부 R&D과제 수주 시 대내외 행정업무 처리를 위해 임의의 기 구(한시적) 설치 [교책연구센터] 교내 융합연구활성화를 위한 조직을 산학협력단 산하 임의기구 로 설치 * 2014. 10 현재 교책연구센터 현황 1. 한양계산과학센터 2. 차세대융합의료연구센터 한양예술융합센터(미정) 교책연구센터 지정 2014. 10 기본 운영예산 지원 여부 심의 (하이코어운영본부) 2015. 3 센터 발전계획 심의 예산지원 범위 검토 2016